KR20210112285A - 텔레매틱스 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매틱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285A
KR20210112285A KR1020210117552A KR20210117552A KR20210112285A KR 20210112285 A KR20210112285 A KR 20210112285A KR 1020210117552 A KR1020210117552 A KR 1020210117552A KR 20210117552 A KR20210117552 A KR 20210117552A KR 20210112285 A KR20210112285 A KR 2021011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em unit
modem
antenna unit
telema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639B1 (ko
Inventor
남형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63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285A/ko
Priority to KR1020220114280A priority patent/KR102611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5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vehicle- or driver-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장치는 차량 외부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유닛 및 차량 내부의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안테나부,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1 모뎀 유닛 및 상기 제2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2 모뎀 유닛을 포함하는 모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텔레매틱스 장치{TELEMATICS APPARATUS}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용 모뎀을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에 탑재된 텔레매틱스(telematics) 장치는 원격의 텔레매틱스 서버와 통신한다. 이를 이용하여 운전자는 차량을 원격 진단하거나,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원격의 텔레매틱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정보를 이용하거나, 텔레매틱스 서버로 원격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선랜(Wireless Lacal Access Network, WLAN)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내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모바일 핫스팟(mobile hotspot)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 내에 탑재된 AP(Access Point)가 차량 내의 단말과 차량 외부의 기지국 간의 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 다만, 차량이 이동하므로 AP와 기지국 간의 연결이 쉽게 끊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품질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서비스 품질을 가지는 텔레매틱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장치는 텔레매틱스 장치에 있어서, 차량 외부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유닛 및 차량 내부의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안테나부,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1 모뎀 유닛 및 상기 제2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2 모뎀 유닛을 포함하는 모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뎀 유닛은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며,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상기 제1 모뎀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모뎀 유닛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모뎀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 유닛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이종인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인 컨트롤러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유닛과 상기 제1 모뎀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1 RF(Radio Frequency) 전단 유닛 및 상기 제2 안테나 유닛과 상기 제2 모뎀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2 RF 전단 유닛을 포함하는 RF 전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의 텔레매틱스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 관리부, 상기 차량의 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차량의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텔레매틱스 장치, 그리고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는, 차량 외부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유닛 및 차량 내부의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안테나부,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1 모뎀 유닛 및 상기 제2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2 모뎀 유닛을 포함하는 모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뎀 유닛은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며,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상기 제1 모뎀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모뎀 유닛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모뎀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모뎀 유닛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이종인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중인 차량 내에서도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내의 단말기의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으며,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텔레매틱스 시스템(10)은 텔레매틱스 장치(100) 및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를 포함한다. 텔레매틱스 장치(100)는 원격의 텔레매틱스 서버와 통신을 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원격 진단 등이 가능한다.
텔레매틱스 장치(100)는 안테나부(110), RF(Radio Frequency) 전단부(120) 및 모뎀(modem)부(130)를 포함한다. 안테나부(110)는 신호를 송수신하며, 모뎀부(130)는 안테나부(11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한다. 그리고, RF 전단부(120)는 안테나부(110) 및 모뎀부(130) 사이에 배치되며, 안테나부(11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즉, RF 전단부(120)는 안테나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하거나, 기저대역 신호를 주파수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부(11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RF 전단부(120)는, 듀플렉서,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 믹서(mixer), 위상 동기 회로(Phase Locked Loop, PL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통과 필터, IF 믹서, IF 위상 동기 회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는 텔레매틱스 장치(100)의 모뎀부(130)와 연결되며, 텔레매틱스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텔레매틱스 장치(100)는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 관리부, 차량의 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매틱스 장치는 무선랜(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텔레매틱스 장치는 차량 내의 핫스팟(hotspot)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텔레매틱스 장치(100)는 안테나부(110), RF(Radio Frequency) 전단부(120) 및 모뎀(modem)부(130)를 포함한다.
안테나부(110)는 차량 외부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유닛(112) 및 차량 내부의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유닛(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 내부의 단말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차량 내에 미리 탑재된 데이터 통신 가능한 장치, 차량 내에 미리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일 수 있다.
모뎀부(130)는 제1 안테나 유닛(112)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1 모뎀 유닛(132) 및 제2 안테나 유닛(114)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2 모뎀 유닛(134)을 포함한다. 모뎀부(130)는 제1 안테나 유닛(112) 또는 제2 안테나 유닛(114)을 통하여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거나, 데이터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한 후 제1 안테나 유닛(112) 또는 제2 안테나 유닛(114)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RF 전단부(120)는 제1 안테나 유닛(112)과 제1 모뎀 유닛(13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안테나 유닛(112)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1 RF(Radio Frequency) 전단 유닛(122) 및 제2 안테나 유닛(114)과 제2 모뎀 유닛(134)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안테나 유닛(114)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2 RF 전단 유닛(124)을 포함한다. 제1 RF 전단 유닛(122) 및 제2 RF 전단 유닛(124) 각각은 듀플렉서,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 믹서(mixer), 위상 동기 회로(Phase Locked Loop, PL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뎀 유닛(132)은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는 모뎀 유닛이고, 제2 모뎀 유닛(134)은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을 지원하는 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뎀 유닛(132)은 MDM9215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모뎀 유닛은 QCA6053X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텔레매틱스 장치가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는 모뎀 유닛과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을 지원하는 모뎀 유닛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텔레매틱스 장치는 와이파이를 위한 핫스팟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도 3과 같이, 제1 모뎀 유닛(132)은 텔레매틱스 장치(100)와 연결되는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에 의하여 제어되며, 제2 모뎀 유닛(134)은 제1 모뎀 유닛(13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모뎀 유닛(132)과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하여 연결되고, 제1 모뎀 유닛(132)과 제2 모뎀 유닛(134)은 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 인터페이스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모뎀 유닛(132)은 SDIO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모뎀 유닛(134)은 SD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모뎀 유닛(132)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도 4와 같이, 제1 모뎀 유닛(132) 및 제2 모뎀 유닛(134)은 텔레매틱스 장치(100)와 연결되는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에 의하여 각각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모뎀 유닛(132)과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하여 연결되고, 제2 모뎀 유닛(134)과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는 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 인터페이스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는 SDIO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모뎀 유닛(134)은 SD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모뎀 유닛(132)에 연결된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텔레매틱스 장치(100) 내에 탑재되며, WLAN을 지원하는 칩을 포함하는 제2 모뎀 유닛(134)이 LTE를 지원하는 칩을 포함하는 제1 모뎀 유닛(134)에 의하여 직접 제어되거나,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를 통하여 제어되는 경우, 텔레매틱스 장치(100)는 와이파이를 위한 핫스팟으로 작용하며, 차량 내부의 단말은 안정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뎀 유닛(134), 즉 WLAN을 지원하는 와이파이 칩이 제1 모뎀 유닛(132) 또는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에 SD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제1 모뎀 유닛(132) 또는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가 제2 모뎀 유닛(134)을 안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텔레매틱스 장치(100) 및 메인 컨트롤러 장치(200)의 부피 및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텔레매틱스 시스템
100: 텔레매틱스 장치
200: 메인 컨트롤러 장치
110: 안테나부
120: RF 전단부
130: 모뎀부

Claims (8)

  1. 텔레매틱스 장치에 있어서,
    차량 외부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유닛 및 차량 내부의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안테나부,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1 모뎀 유닛 및 상기 제2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2 모뎀 유닛을 포함하는 모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뎀 유닛은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며,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상기 제1 모뎀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모뎀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텔레매틱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모뎀 유닛과 연결되는 텔레매틱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 유닛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이종인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인 컨트롤러 장치에 연결되는 텔레매틱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과 상기 제1 모뎀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1 RF(Radio Frequency) 전단 유닛 및 상기 제2 안테나 유닛과 상기 제2 모뎀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2 RF 전단 유닛을 포함하는 RF 전단부를 더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원격의 텔레매틱스 서버와 통신하는 텔레매틱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 관리부,
    상기 차량의 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차량의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장치.
  7. 텔레매틱스 장치, 그리고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매틱스 장치는,
    차량 외부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유닛 및 차량 내부의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안테나부, 그리고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1 모뎀 유닛 및 상기 제2 안테나 유닛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제2 모뎀 유닛을 포함하는 모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뎀 유닛은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며,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을 지원하고,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상기 제1 모뎀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모뎀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뎀 유닛은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모뎀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모뎀 유닛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이종인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 장치에 연결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KR1020210117552A 2015-05-08 2021-09-03 텔레매틱스 장치 KR10244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552A KR102443639B1 (ko) 2015-05-08 2021-09-03 텔레매틱스 장치
KR1020220114280A KR102611928B1 (ko) 2015-05-08 2022-09-08 텔레매틱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13A KR102300516B1 (ko) 2015-05-08 2015-05-08 텔레매틱스 장치
KR1020210117552A KR102443639B1 (ko) 2015-05-08 2021-09-03 텔레매틱스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13A Division KR102300516B1 (ko) 2015-05-08 2015-05-08 텔레매틱스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280A Division KR102611928B1 (ko) 2015-05-08 2022-09-08 텔레매틱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285A true KR20210112285A (ko) 2021-09-14
KR102443639B1 KR102443639B1 (ko) 2022-09-15

Family

ID=5754084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13A KR102300516B1 (ko) 2015-05-08 2015-05-08 텔레매틱스 장치
KR1020210117552A KR102443639B1 (ko) 2015-05-08 2021-09-03 텔레매틱스 장치
KR1020220114280A KR102611928B1 (ko) 2015-05-08 2022-09-08 텔레매틱스 장치
KR1020230174486A KR20230169058A (ko) 2015-05-08 2023-12-05 텔레매틱스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13A KR102300516B1 (ko) 2015-05-08 2015-05-08 텔레매틱스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280A KR102611928B1 (ko) 2015-05-08 2022-09-08 텔레매틱스 장치
KR1020230174486A KR20230169058A (ko) 2015-05-08 2023-12-05 텔레매틱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00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71A1 (ko)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000B1 (ko) 2016-12-13 2023-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통신 서비스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939A (ko) * 2010-02-11 2011-08-18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및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의 핸드오버 방법
JP2011527845A (ja) * 2008-07-09 2011-11-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モジュール式の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モデム装置
KR101405217B1 (ko) * 2012-12-07 2014-06-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내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273B1 (ko) * 2011-08-12 2018-01-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355977B1 (ko) * 2012-05-24 2014-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146659B1 (ko) * 2013-07-09 2020-08-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파이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7503B1 (ko) * 2013-09-26 2015-05-06 주식회사 비트앤펄스 사물지능통신 및 사물인터넷을 위한 광대역모뎀 기반 다중센서장비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7845A (ja) * 2008-07-09 2011-11-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モジュール式の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モデム装置
KR20110092939A (ko) * 2010-02-11 2011-08-18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및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의 핸드오버 방법
KR101405217B1 (ko) * 2012-12-07 2014-06-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내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71A1 (ko)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22A (ko) 2016-11-16
KR102443639B1 (ko) 2022-09-15
KR102611928B1 (ko) 2023-12-08
KR102300516B1 (ko) 2021-09-09
KR20220129514A (ko) 2022-09-23
KR20230169058A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928B1 (ko) 텔레매틱스 장치
US97566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 network connectivity
JP561148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CN107040251A (zh) 操作开关的方法以及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WO202103724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collision between ssb transmission and periodic transmission
US9806971B2 (en) Restricted-signal confirmation for high-throughput links
US10535914B2 (en) Antenna device
WO2016160233A1 (en) Adaptive device transmission power for interference reduction
US20160065263A1 (en) Dual band concurrent transceiver
US9112588B2 (en) Wi-fi transceiver having dual-band virtual concurrent connection mod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11669211A (zh) 具有集成服务器天线的电源适配器
EP1906537A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mponents in a time division multiplex wireless system
KR101355977B1 (ko) 텔레매틱스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0886952B1 (en) Low-cost method for selectively reducing switch loss
CN104483680A (zh) 移动定位系统及其抗干扰方法
US1100647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short-range and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US11595070B2 (en) LTE module remote from a receiver system
EP404278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EP431569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EP408556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on of same
CN115915247A (zh) Dc位置信息上报、接收方法、装置、终端及第一设备
KR20140129589A (ko) Uart 신호 감시 시스템 및 방법
TWM495694U (zh) 車載用戶端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