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244A - 제거 가능한 모듈을 구비한 식품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제거 가능한 모듈을 구비한 식품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244A
KR20210112244A KR1020210027251A KR20210027251A KR20210112244A KR 20210112244 A KR20210112244 A KR 20210112244A KR 1020210027251 A KR1020210027251 A KR 1020210027251A KR 20210027251 A KR20210027251 A KR 20210027251A KR 20210112244 A KR20210112244 A KR 20210112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ispensing
drive unit
foo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랄프 레이저
숀 캠벨
제프 킴
Original Assignee
리치 프러덕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치 프러덕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리치 프러덕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1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2Whipping by introducing a stream of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25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2Beer engines or like manually-operable pump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4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식품 디스펜서는 구동 유닛, 및 구동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한다. 디스펜싱 유닛은 식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품 저장고, 디스펜싱 노즐, 및 식품을 제품 저장고로부터 디스펜스 노즐로 운반하도록 디스펜싱 유닛이 구동 유닛에 결합될 때,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펌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품 이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거 가능한 모듈을 구비한 식품 디스펜서{FOOD PRODUCT DISPENSER WITH REMOVABLE MODUL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3월 4일에 출원된 공동 계류중인 미국 가출원번호 62/985,142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식품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휘핑된 토핑과 같은 소비 가능한 식품 또는 음료 제품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온도 제어 식품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휘핑된 제품(예를 들면, 휘핑크림 또는 기타 에어레이팅된 에멀젼)용의 디스펜서는 휘핑된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휘핑될 액체 제품을 포함하는 제품 저장고, 휘핑 어셈블리(예를 들면 정적 혼합/에어레이터 로드), 및 휘핑 어셈블리를 통해 제품 저장고로부터 제품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메커니즘(예를 들면 모터/펌프 또는 가압 가스원)을 포함한다. 그 다음, 휘핑된 제품은 사용되는 노즐을 통해 디스펜싱된다.
식품 안전상의 이유로, 제품과 접촉하는 제품 저장고 및 하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충분히 낮은 온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전의 디스펜서는 제품 및 기타 구성요소를 보냉하기 위한 내부 냉장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 냉장 시스템은 디스펜서의 가격, 크기, 작동 소음 및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동 유닛, 및 구동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디스펜싱 유닛은 식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품 저장고, 디스펜싱 노즐, 및 제품 저장고로부터 디스펜싱 노즐로 식품을 운반하기 위해 디스펜싱 유닛이 구동 유닛에 결합될 때,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펌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품 이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동 유닛, 및 구동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디스펜싱 유닛은 식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품 저장고, 디스펜싱 노즐, 및 제품 저장고로부터 디스펜싱 노즐로 식품을 운반하기 위해 디스펜싱 유닛이 구동 유닛에 결합될 때,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제품 이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품 이송 어셈블리는 식품이 디스펜싱 노즐로부터 토출되기 전에 식품에 에어레이팅하기 위해 디스펜싱 노즐의 상류에 고정식 혼합 로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동 유닛, 및 구동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교환 가능한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시스템을 제공한다. 각 디스펜싱 유닛은 식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품 저장고, 디스펜싱 노즐, 및 제품 저장고로부터 디스펜싱 노즐로 식품을 운반하기 위해 디스펜싱 유닛이 구동 유닛에 결합될 때,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제품 이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작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동 유닛 및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구동 유닛의 하우징의 일부가 가려진 도 1의 식품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구동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디스펜싱 유닛을 도시하는 도 1의 식품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식품 디스펜서의 디스펜싱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식품 디스펜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냉장고에 보관된 복수의 디스펜싱 유닛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디스펜싱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4의 7-7선을 따라 취한 디스펜싱 유닛의 공기 흡입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8-8선을 따라 취한 디스펜싱 유닛의 펌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9-9선을 따라 취한 디스펜싱 유닛의 제품 유동 경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그 적용에 있어서 하기 설명에 제시된 또는 하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구성 및 배열의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가 가능하고,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되거나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 디스펜서(10)를 도시한다. 디스펜서(10)는 구동 유닛(14), 및 구동 유닛(14)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펜싱 유닛 또는 모듈(18)을 포함한다. 디스펜싱 유닛(18)은 휘핑될 액체 제품을 포함하는 제품 저장고(20), 디스펜싱 노즐(22), 및 저장고(20)로부터 디스펜싱 노즐(22)로 제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유닛(14)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제품 이송 어셈블리 또는 휩핑 어셈블리(26)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구동 유닛(14)은 하우징(27), 하우징(27)의 상부 내에 지지된 모터(28)(도 2), 및 모터(28)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30)(도 3)를 포함한다. 구동축(30)은 휘핑 어셈블리(26)에 회전 입력을 제공하도록 디스펜싱 유닛(18)이 구동 유닛(14)에 결합될 때, 휘핑 어셈블리(26) 상의 구동 소켓(32)과 계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14)은 모터(28)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장치(33)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전원 장치(33)는 하우징(27) 내에 모터(28) 아래에 위치되고; 그러나, 전원 장치(33)와 모터(28)의 상대적 위치는 변할 수 있다. 전원 장치(33)는 AC 전원(예를 들면, 월 플러그로부터)을 수신할 수 있고, 모터(28)에 공급될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모터(28)는 AC 모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원 장치(33)는 구동 유닛(14)의 무선 조작을 허용하도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휘핑 어셈블리(26)는 제품 저장고로부터 제품을 인출하고, 에어레이팅된 또는 "휩핑된" 제품을 형성하도록 에어레이터에 제품을 통과시키기 위해, 제품 저장고(20) 및 모터(28)(구동축(30) 및 구동 소켓(32)을 통해)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예를 들면, 기어 펌프, 와이퍼 펌프 등)와 유체 연통하는 에어레이터를 포함한다. 에어레이터는 휘핑된 제품을 디스펜싱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싱 노즐(22)과 연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스펜싱 유닛(18)은 모터(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구동축(30) 및 구동 소켓(32)은 전기 커넥터로 대체될 수 있다. 구동 유닛(14)의 전원 장치(33)는 구동 유닛(14)이 디스펜싱 유닛(18)에 결합될 때 펌프를 구동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를 통해 디스펜싱 유닛(18)의 모터(28)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구동 유닛(14)은 재충전 가능 및/또는 교환 가능한 가압 가스 캐니스터와 같은 가압 가스원 및/또는 필요에 따라 가압 가스를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한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구동축(30) 및 구동 소켓(32)은 공압 커넥터, 바람직하게는 베이요넷 피팅(bayonet fitting)과 같은 퀵 릴리즈(quick-releas) 공압 커넥터로 대체될 수 있다. 그 다음, 액체 제품이 제품 저장고(20)로부터 에어레이터를 통과하도록(예를 들면, 제품 저장고(20)를 가압함으로써), 구동 유닛(14)은 디스펜싱 유닛(18)에 가압 가스를 공급한다. 대안적으로, 펌프는 회전 날개를 포함할 수 있고, 가압 가스는 펌프가 작동하도록 회전 날개를 구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압 가스는 제품 저장고로부터 액체 제품을 인출하도록 흡입을 생성하는 벤추리를 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생성물은 에어레이터를 통해 가압 가스의 흐름에 혼입되어 안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펜싱 유닛(18) 및 구동 유닛(14)은 디스펜싱 유닛(18)과 구동 유닛(14)을 정렬하기 위해 협력하는 정렬 특징부(34, 38)(예를 들면, 디스펜싱 유닛(18) 상의 비원형 돌출부(34) 및 구동 유닛(14) 상의 상응하는 형상의 오목부(38), 또는 그 반대)를 포함한다. 정렬 특징부(34, 38)는 휘핑 어셈블리(26)를 구동하기 위해서 디스펜싱 유닛(18)에 구동 유닛(14)의 구동축(30), 전기 커넥터 또는 공압 커넥터(모두 에너지 전달 커넥터라고도 칭해질 수도 있음)를 접속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돌출부(34) 및 오목부(38)는 각각 일반적으로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도 5를 참조하면, 제품 저장고(20), 휘핑 어셈블리(26) 및 디스펜싱 노즐(22)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유닛(18)은 단일의 자기 완비적 어셈블리로서 구동 유닛(14)으로부터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디스펜싱 유닛(18)을 사용하지 않을 때 제거하여 냉장고(50)에 보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품 및 제품과 접촉하는 모든 하류 구성요소는 전용 냉장 시스템을 필요로하지 않고 안전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온보드 냉장 시스템을 갖는 기존의 디스펜서와 비교하여 디스펜서(10)의 크기, 가격, 복잡성, 에너지 요구량 및 작동 소음을 유리하게 감소시킨다.
도 4∼도 6을 참조하면, 디스펜싱 유닛(18)의 제품 저장고(20)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유닛이 냉장고(50)의 외부에 있을 때 내부에 포함된 제품을 적절한 냉온에서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 절연된다. 예를 들면, 제품 저장고(20)는 이중벽의 진공 절연 캐니스터일 수 있다. 제품 저장고(20)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한 임의의 다른 절연성의 식품 안전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스펜싱 유닛(18)이 냉장고(50)에 배치되는 경우, 제품 저장고(20) 내의 제품의 냉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품 저장고(20)는 제품 저장고(20)의 내벽과 접촉하는 열전도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품 저장고(20)가 사용을 위해 냉장고(50)로부터 분리될 때 열전도성 영역을 덮도록 절연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열전도성 영역은 디스펜싱 유닛(18)이 구동 유닛(14)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 얼음 또는 냉각 장치(예를 들면 열전 냉각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품 저장고(20)는 무균 브릭 패키지, 플라스틱 또는 금속 호일 파우치, 또는 백-인-박스(bag in box) 어셈블리와 같은 일회용 제품 패키지일 수 있다. 일회용 제품 패키징은 제품 저장고(20)를 세척할 필요없이 디스펜싱 유닛(18)에 의해 디스펜싱될 제품의 유형을 교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품 저장고(20)는 선택적으로 절연 슬리브 또는 케이싱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휘핑 어셈블리(26)는 제품 저장고(2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52)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제품 저장고(20)에 하우징(52)을 제거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하우징(52)은 제품 저장고(20)에 L자형 슬롯(56)에 수용되는 돌출부(54)(예를 들면, 핀)를 포함한다. 휘핑 어셈블리(26)는 제품 저장고(20)에 대해 하우징(52)을 회전시킴으로써 제품 저장고(20)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제품 저장고(20)를 세척 및 재충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교환 가능한 제품 저장고(20)가 휘핑 어셈블리(26)에 제공되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품 저장고(20)는 상이한 크기 및/또는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우징(52) 및 제품 저장고(20)는 다른 방식으로(예를 들면, 나사 연결을 통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펜싱 노즐(22)은 하우징(5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디스펜싱 유닛(18)의 위생적인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스펜싱 유닛(18)은 디스펜싱 노즐(22)을 덮도록 구성된 위생 커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나사 결합, 마찰(예를 들면 압착 결합), 리테이닝 핀 또는 링,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커버는 디스펜싱 유닛(18)을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거될 수 있고, 또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커버는 디스펜싱 유닛(18)을 구동 유닛(14)에 결합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펜싱 노즐(22)로부터 자동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해방될 수 있다(도 1). 다른 실시형태에서, 디스펜싱 노즐(22)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완충재로 제작된 내부 글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글랜드는 저장시 디스펜싱 노즐(22) 내로 후퇴될 수 있고, 글랜드는 디스펜싱 유닛(18)의 활성화시 또는 디스펜싱 유닛(18)을 구동 유닛(14)에 결합시 디스펜싱 노즐(2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디스펜싱 노즐(22)은 디스펜싱 유닛(18)의 보관시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디스펜싱 노즐(22)은 디스펜싱 유닛(18)의 보관시 디스펜싱 노즐(22)의 제품 접촉 표면을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52)의 개구(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하우징(52)의 개구는 또한 제품 저장고(20)로의 공기 유입구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개구 내로의 디스펜싱 노즐(22)의 삽입은 디스펜싱 노즐(22)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제품 저장고(20) 내에 포함된 제품의 신선도를 보존하기 위해 공기 유입구 통로를 밀봉할 수도 있다.
도 6∼9를 참조하면, 휘핑 어셈블리(26)는 디스펜싱 노즐(22)과 유체 연통하는 에어레이터(142)(도 6 및 9), 공기 유입구(144)(도 7), 및 제품 저장고(20)로부터 제품을 인출하고 공기 유입구(14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또한 제품과 공기의 혼합물이 에어레이터(142)를 통과하도록 작동 가능한 펌프 어셈블리(146)(도 6 및 8)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조정 가능한 밸브(156)(예를 들면, 덕빌 밸브(duckbill valve)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밸브)가 노즐(22)을 통해 토출되는 휘핑된 제품에 대해 소망하는 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펌프 어셈블리(146)의 작동시 공기 유입구(144)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부피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공기 유입구(144)에 설치된다. 도시된 밸브(156)는 밸브(156)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52)의 상부측에 배치된 노브(161)를 포함한다.
도시된 펌프 어셈블리(146)는 케이싱(148), 로터축(150), 및 케이싱(148) 내에서 로터축(150)과 함께 동시 회전하도록 결합된 와이퍼 어셈블리(152)를 포함한다. 하우징(52)은 공기 유입구(144)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통로(154) 및 픽업 튜브(159)(도 7)를 통해 제품 저장고(20)와 연통하는 제 2 통로(155)를 포함한다. 제 1 통로(154) 및 제 2 통로(155)는 펌프 어셈블리(146)의 유입구 통로(157)에서 교차한다. 펌프 어셈블리(146)의 토출 통로(158)(도 6)는 에어레이터(142)와 유동적으로 연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펌프 어셈블리(146)의 케이싱(148)은 와이퍼 어셈블리(152)가 수용되는 편심 보어(160)를 포함한다. 로터축(150)이 와이퍼 어셈블리(152)를 회전시키면, 공기는 제 1 통로(154)를 통해 흡입되고, 제품은 제 2 통로(155)(도 7)를 통해 흡입된다. 공기와 생성물은 유입구(157)에서 혼합되어 케이싱(148)으로 흡입된다. 혼합물은 회전하는 와이퍼 어셈블리(152)에 의해 압축되고, 토출 통로(158)(도 6)를 통해 에어레이터(142)로 토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휘핑 어셈블리(26)의 하우징(52)은 제품 저장고(20) 내로 연장되는 에어레이터 하우징부(17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7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75)에 의해 분리된 제 1 챔버(172) 및 제 2 챔버(174)를 포함한다. 제 2 챔버(174)는 격벽(175)을 통해 연장되는 이송 통로(176)를 거쳐 제 1 챔버(172)와 유체 연통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이송 통로(176)는 제 1 원형 보어(176a), 및 제 1 원형 보어(176a)와 교차하는 제 2 원형 보어(176b)를 포함한다. 원형 보어(176a, 176b)는 일반적으로 구형상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 1 원형 보어(176a)는 볼 엔드 밀이 계합하여 격벽(175) 재료를 제거할 때까지, 에어레이터 하우징부(170)의 바닥 단부를 통해 제 1 챔버(172) 내로 볼 엔드 밀을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원형 보어(176b)는 볼 엔드 밀이 계합하여 제 1 원형 보어(176a) 반대편에 있는 격벽(175) 재료를 제거할 때까지, 에어레이터 하우징의 바닥 단부를 통해 제 2 챔버(174) 내로 볼 엔드 밀을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송 통로(176)를 가공함으로써, 예를 들면 직선 드릴 비트를 사용하여 격벽(175)을 통해 횡 방향으로 드릴링하는데 필요로 되는 임의의 추가적 엑세스 개구가 필요없이 이송 통로(176)가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보어(176a, 176b)는 예리한 코너와 90도의 인터페이스 각도가 부족하여, 제품이 이송 통로(176)에 박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송 통로(176)(원형 보어(176a, 176b) 포함)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출 성형 또는 3D 프린팅을 포함한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계속해서 참조하면, 제 1 혼합 로드(178)는 제 1 챔버(172) 내에 지지되고, 제 2 혼합 로드(180)는 제 2 챔버(174) 내에 지지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혼합 로드(178, 180)는 고정식의 미로 혼합 로드이며, 각각 혼합 로드(178, 180)의 외부를 따라 구불구불한 유동 경로를 규정하기 위해 복수의 홈 및/또는 톱니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다른 유형 또는 기하학적 구조의 하나 이상의 혼합 로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혼합 로드(178, 18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혼합 로드(178, 180)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의 각각의 혼합 로드(178, 180)는 하우징(52)에 혼합 로드(178, 180)를 결합시키기 위해 리테이닝 핀 어셈블리(192)를 수용하는 환형 홈(191)을 포함한다. 혼합 로드(178, 180)를 제거(예를 들면 세척 또는 교체를 위해)하기 위해서는, 리테이닝 핀 어셈블리(192)가 하우징(5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그 다음 혼합 로드(178, 180)가 하우징(52)의 상부측으로부터 각각의 챔버(172, 174) 밖으로 밀려 내려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혼합 로드(178, 180)는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5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혼합 로드(178, 180)는 나사산, 캠 프로파일 등을 포함함으로써, 혼합 로드(178, 180)가 에어레이터 하우징부(170)의 바닥 단부로부터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사용시, 구동 유닛(14)은 펌프 어셈블리(146)를 구동하여, 공기와 제품 혼합물을 토출 통로(158)를 통해서 하우징부(170)의 제 1 챔버(172) 내로 밀어 넣는다. 그 다음, 공기와 제품 혼합물은 제 1 방향(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제 1 혼합 로드(178)를 따라 유동하여, 부분적으로 제품을 에어레이팅한다. 제 1 혼합 로드(178)의 단부에 도달하면, 부분적으로 에어레이팅된 제품은 제 2 방향으로 이송 통로(176)를 통해 유동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제 2 방향은 일반적으로 제 1 방향에 대해 횡단한다. 그 다음, 부분적으로 에어레이팅된 제품은 일반적으로 제 1 방향과 반대쪽인 제 3 방향(즉,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제 2 혼합 로드(180) 전면에 걸쳐 유동한다. 이것은 제품의 에어레이팅을 완료하고, 에어레이팅 또는 휘핑된 제품이 디스펜싱 노즐(22)을 통해 제 2 챔버(174)로부터 토출된다.
별도의 섹션에 2개의 혼합 로드(178, 180)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레이터(142)의 전체 높이가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디스펜싱 유닛(18)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로드(178, 180)의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드(178, 180)의 결합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단편 로드에 비해)는 누적 공차를 덜 생성하기 때문에, 혼합 로드(178, 180)에 대한 제조 공차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에어레이터(142)는 단편 혼합 로드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혼합 로드를 포함하는 다른 혼합 로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중에, 제품 혼합물이 혼합 로드(178, 180) 전면에 걸쳐 유동할 때 발생하는 제품 혼합물의 전단은 열을 발생한다. 혼합 로드(178, 180)가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예를 들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플라스틱)로 제조되기 때문에, 혼합 로드(178, 180)에 의해 최소량의 열이 흡수된다. 오히려, 발생된 열은 제품과 함께 제거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혼합 로드(178, 180)는 0.1∼0.5Watts/Meter-Kelvin의 열전도율을 갖는다. 대조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 종래의 혼합 로드는 10∼20 Watts/ Meter-Kelvin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혼합 로드는 혼합 로드(178, 180)보다 적어도 50∼100배 더 큰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혼합 로드에 의해 열이 더욱 흡수되게 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의 혼합 로드(178, 180)의 낮은 열전도율은 하우징부(170)가 제품 저장고(20) 내에 포함된 제품 내에 침지되어, 제품 저장고(20) 내의 제품의 가열이 최소화될 때 특히 유리하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펜싱 시스템(300)을 도시한다. 디스펜싱 시스템(300)은 구동 유닛(14) 및 복수의 교환 가능한 디스펜싱 유닛(18)을 포함한다. 복수의 교환 가능한 디스펜싱 유닛(18)을 포함함으로써, 예시된 디스펜싱 시스템(300)은 사용자가 상이한 제품(예를 들면, 유제품, 두유제품, 아몬드밀크 제품, 오트밀크 제품 등)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유닛(18)을 구동 유닛(14)에 결합할 수 있게 하여, 디스펜싱할 제품의 유형을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모든 제품 접촉 구성요소는 교환 가능한 디스펜싱 유닛(18)의 일부이기 때문에, 제품을 교체할 때 분해 또는 세척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양태는 하기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Claims (20)

  1.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로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식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품 저장고,
    디스펜싱 노즐, 및
    상기 제품 저장고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노즐로 식품을 운반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이 상기 구동 유닛에 결합될 때,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펌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품 이송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어셈블리는 로터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디스펜싱 유닛이 상기 구동 유닛에 결합될 때 상기 로터축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식품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디스펜싱 유닛이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로터축으로부터 분리되는 식품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저장고는 단열 용기를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이송 어셈블리는 상기 제품 저장고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이송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펜싱 노즐의 상류에 에어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 어셈블리는 상기 식품이 상기 디스펜싱 노즐로부터 토출되기 전에 상기 식품을 에어레이팅하도록 상기 에어레이터를 따라 상기 식품을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디스펜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레이터는 상기 제품 저장고 내로 연장되는 식품 디스펜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레이터는 고정식 혼합 로드를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로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식품 디스펜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를 갖는 에어레이터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레이터는 상기 제 1 챔버 내에 지지된 제 1 고정식 혼합 로드 및 상기 제 2 챔버 내에 지지된 제 2 고정식 혼합 로드를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레이터 하우징부는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상호 연결하는 이송 통로를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통로는 제 1 원형 보어, 및 상기 제 1 원형 보어와 교차하는 제 2 원형 보어를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고정식 혼합 로드 전면에 걸쳐 유동하고,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쪽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고정식 혼합 로드 전면에 걸쳐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식품 디스펜서.
  14.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로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식품 저장을 위해 구성된 제품 저장고,
    디스펜싱 노즐, 및
    상기 제품 저장고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노즐로 식품을 운반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이 상기 구동 유닛에 결합될 때,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제품 이송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이송 어셈블리는 상기 식품이 상기 디스펜싱 노즐로부터 토출되기 전에 식품을 에어레이팅하도록 상기 디스펜싱 노즐의 상류에 고정식 혼합 로드를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저장고는 절연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이송 어셈블리는 상기 제품 저장고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혼합 로드는 제 1 고정식 혼합 로드이고, 상기 제품 이송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고정식 혼합 로드와 상기 디스펜싱 노즐 사이에 유동적으로 위치된 제 2 고정식 혼합 로드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고정식 혼합 로드가 수용되는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고정식 혼합 로드가 수용되는 제 2 챔버를 갖는 에어레이터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식품 디스펜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레이터 하우징부는 상기 제품 저장고 내로 연장되는 식품 디스펜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식 혼합 로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식품 디스펜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는 격벽에 의해 분리되고, 또한 상기 제 1 챔버와 상기 제 2 챔버를 서로 연결하도록 이송 통로가 상기 격벽을 통해 연장되는 식품 디스펜서.
  20.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교환 가능한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식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품 저장고,
    디스펜싱 노즐; 및
    상기 제품 저장고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노즐로 식품을 운반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이 상기 구동 유닛에 결합될 때,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제품 이송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시스템.
KR1020210027251A 2020-03-04 2021-03-02 제거 가능한 모듈을 구비한 식품 디스펜서 KR202101122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85142P 2020-03-04 2020-03-04
US62/985,142 2020-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244A true KR20210112244A (ko) 2021-09-14

Family

ID=7752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251A KR20210112244A (ko) 2020-03-04 2021-03-02 제거 가능한 모듈을 구비한 식품 디스펜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10112244A (ko)
CN (1) CN113353874A (ko)
CA (1) CA3111184A1 (ko)
TW (2) TWM629682U (ko)
WO (1) WO20211785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84604B (de) * 1967-11-20 1970-09-25 Apaw Sa Maschine zur Erzeugung von Schlagobers
JPS53109986A (en) * 1977-03-07 1978-09-26 Sharp Kk Whipped cream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decorting apparatus
DE3521982C1 (de) * 1985-06-20 1986-05-22 Josef 7580 Bühl Kümmerling Geraetekopf fuer eine Maschine zum Aufschlagen schaumiger Massen,insbesondere Schlagsahne
AT387901B (de) * 1987-04-15 1989-04-10 Kirchler Manfre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schlagobers
CH672057A5 (ko) * 1987-06-22 1989-10-31 Gianfranco Passoni
DE19718351C2 (de) * 1997-05-02 1999-05-12 Vaihing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chlagsahne
DE602007009214D1 (de) * 2007-07-19 2010-10-28 Nestec Ltd Vorrichtung zur Abgabe einer Flüssigkeit
DE102013104339A1 (de) * 2013-04-29 2014-10-30 Melitta Professional Coffee Solutions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Milchprodukten, insbesondere Milchschaum
EP3000365A1 (de) * 2014-09-24 2016-03-30 Qbo Coffee GmbH Milchschäumer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619781U (zh) 2021-11-21
WO2021178554A1 (en) 2021-09-10
TWM629682U (zh) 2022-07-21
CN113353874A (zh) 2021-09-07
CA3111184A1 (en) 2021-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3100B2 (en) Mixing nozzle
EP3231290B1 (en) Method for making ice cream
US8973786B2 (en) Beverage dispenser with on-demand refrigeration
US8006866B2 (en) Ratio control in postmix dispenser
US20210274965A1 (en) Food product dispenser with removable module
JP5355624B2 (ja) 液体及び希釈剤により混合物を形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装置
ES2400918T3 (es) Dispensador de alimentos con bomba para dispensar a partir de una pluralidad de fuentes suministradoras
EP1968881B1 (en) Mixing nozzle
US20100036528A1 (en) Data input system in postmix dispenser
EP2017219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US8424719B2 (en) Flowmeter assembly
US20060175355A1 (en) Beverage dispenser
CN113710096A (zh) 冷冻甜品机
EP1217900B1 (en) Frozen carbonate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KR20210112244A (ko) 제거 가능한 모듈을 구비한 식품 디스펜서
KR102581665B1 (ko) 온도 제어를 갖춘 식품 분배기
EP0464341A1 (en) Whipped cream mak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