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771A -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771A
KR20210110771A KR1020200025700A KR20200025700A KR20210110771A KR 20210110771 A KR20210110771 A KR 20210110771A KR 1020200025700 A KR1020200025700 A KR 1020200025700A KR 20200025700 A KR20200025700 A KR 20200025700A KR 20210110771 A KR20210110771 A KR 2021011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environment
adaptation
climate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705B1 (ko
Inventor
조한규
Original Assignee
조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규 filed Critical 조한규
Priority to KR102020002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7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각 기후환경을 대표하는 서로 다른 색들을 옷과 실내환경 및 손톱에 적용하고, 이를 상호 비교하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옷 색과 실내환경 색 및 손톱 색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프로세스를 진행시켜서, 기후 적응 성격유형별 색 선호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Description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 {omitted}
기후환경색의 선호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후 환경별 대표적인 색을 옷 색, 실내환경 색 및 손톱 색에 적용하여 그 선호도를 조사하는 정보처리 방법과 관련된다.
통상의 색 선호도 조사 방법들은, 인간의 색 인식에 관한 진화적 원인을 밝히지 않고, 색 인식의 근본 원인과 결과에 대한 배경 설명이 없이, 설문조사법의 형식으로 색을 보여주면서, 그 색을 인식한 내용을 확인하여, 이를 색 인식 결과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색을 수단으로 하는 정보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색을 수단으로 선택하는 당위성과 색의 인식에 관한 근본 원인을 설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내용을 기반으로, 조사 방법을 기획하여 진행해야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적용 방법의 기획이 가능하며, 그 조사 방법과 결과 및 해석과 판정의 신뢰성도 얻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막연한 수단으로, 인과관계도 없이 도출된 결과물을 나열하는 형식의 조사결과와 그에 대한 임의적 해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후환경색의 선호도를 조사하는 방법을 설정한 근거를 제시하고, 그 근거를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조사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렇게 근거가 제시된 기후환경색의 선호도에 관한 정보 조사 방법을 적용하여 확인된 결과를 인과관계로 해석하여 판정하고, 이를 기후적응 성격유형을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방법의 개발도 여전히 필요하다.
인간의 색 선호도를 조사하는 경우에, 보여주는 색 선정의 인과관계 설명도 없이, 단순히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색 그 자체만을 구분하여 보여주는, 통상의 방법을 적용하면, 조사 당위성과 결과 해석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간이 색을 인식하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근본 이유를 먼저 설명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조사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이렇게 고안된 방법으로 조사한 색 선호도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후적응 성격유형별 색 인식 차이 발생 원인에 근거하여, 인과관계로 해석하고 평가하여, 기후적응 성격유형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색의 선호도가 인간의 개별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는 원인을 찾아, 기후환경색의 선호도를 구분하는 기준을 정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이 문제는 미리 정의된, 인류 기후 적응론에 근거하여(별첨 1~10참조), 인류가 이동진화하면서 다양한 기후환경에 적응한 특성을, 그 해당 적응 기후환경의 대표적인 색을 인식하는 차이를 야기시키는 원인으로 보고, 이를 기후환경색 선호도 구분의 기준으로 삼아, 색 선호도의 차이를 설명하면 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색 선호도 조사를 위하여, 단순히 색 그 자체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적응한 진화 환경의 대표적인 색을 유추하여, 이를 일상의 환경에 대입할 수 있고, 또 일상의 생활에서 체험하는 실질적인 대상에 적용하여, 현실감 있게 조사방법에 활용될 수 있도록, 실내 환경에 적용하고, 밀착 환경인 옷에 적용하고, 진화 특성이 반영된 장기기능 특성과도 연계되는 손가락별 손톱에 적용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고안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인류가 이동 진화 과정에서 적응한 서로 다른 환경의 색에 따라 다를 수 있는, 색 선호도의 차이를 찾아내는데, 진화환경 인지적인 색감인식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색이 지배적인 서로 다른 기후 환경에 적응한, 성격유형별 색 선호도를 실내 환경, 옷, 손가락별 손톱 색에 적용하여 제시하고, 이를 대상으로 색 선호도를 조사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이렇게 조사되는 색 선호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기후적응 성격유형을 판단하는 방법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기후환경색의 선호도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라 초기 화면에서 온냉 환경 적응 특성과 기후환경 적응 특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라 온냉 환경 적응 특성을 온냉 환경의 색을 적용하여 조사하는, 정보 처리 방법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라 기후환경 적응 특성을, 기후환경의 색을 적용하여 조사하는, 정보 처리 방법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3에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3에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3에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2에서 색 적용 대상별로 더운 환경과 추운 환경에 적응한 특성 맞춤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들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4에서 Aw, Af, Dw, Df 기후 환경에 적응한 특성 맞춤 옷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4에서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옷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5에서 Aw, Af, Dw, Df 기후 환경에 적응한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5에서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6에서 Aw, Af, Dw, Df 기후 환경에 적응한 특성 맞춤 손톱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6에서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손톱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4에서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옷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경우, 2차의 재조사를 위하여 예외적인 사례들을 보여주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4에서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옷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경우, 3차의 재조사를 위하여 보여주는 도16의 제작을 위한 표준도이다.
도 16은 도4에서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옷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경우, 3차의 재조사를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예시도이다. 이 예시도는 도15의 표준도를 기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의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기후를 구분하는 용어들을 비롯하여 후술되는 용어들은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의 기능을 고려하고, 해당 분야 학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참조하여 선택되었다(사용된 용어와 이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들은 정보제출서에 제출된 별첨 자료들을 참조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기후적응 성격유형별 색 선호도 정보의 처리방법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시로 기술된다. 그 전에 먼저, 미리 정의된, 인류 기후 적응론에서 설명하는, 인류가 이동진화하면서 다양한 기후환경에 적응한 특성을, 기후환경색의 선호도와 연계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인 호모사피언스는 약 19.5만년 전에 동아프리카의 열대 사바나 기후(Aw기후)에 적응하며 진화하였다(참조 별첨9: 성격유형의 기원, 부크크). 그 기후 지역은 덥고도 건조하여 마신 물의 재활용이 생존에서 매우 중요하였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비뇨기능을 강화시켜야 했다. 그런데 그 동아프리카 지역은 열대 흑색토(Vertisol)가 널리 분포되어 있어서, 검정색이 지배적인 환경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비뇨기능은 검정색이 지배적인 기후환경에서 강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인류는 약 13.5~19.5만년 전, 열대 우림 기후(Af기후) 지역으로 이동하여 적응하였다. 이 기후 지역은 독충이나 독풀들이 많고, 먹거리들도 쉽게 부패하여, 생존을 위해서는 다른 기능보다도 해독기능을 더 강화시켜야 했다. 그런데 이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은 초록색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해독기능은 초록색이 지배적인 기후환경에서 강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인류는 약 4~4.5만년 전, 중앙 아시아의 냉대 건조 기후(Dw 기후) 지역으로 이동하여 적응하였다. 이 지역은 춥고도 건조하여 생태계가 열악하기 때문에, 먹거리 확보가 어려웠고, 불규칙적인 육식 위주의 먹거리로 생존해야 했으므로, 무엇보다도 상부소화기능을 발달시켜야 했다. 그런데 그 지역은 누런 황토가 널리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소화기능은 노란색이 지배적인 기후환경에서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인류는 2.5~4.5 만년 전, 북극 지역으로도 이동하여, 춥고도 습한 환경에 적응하였다. 이 지역은 매우 춥기 때문에 심혈관기능이 강화되는 한편, 찬 공기를 호흡하면서도 폐렴에 걸리지 않기 위하여, 호흡기능을 강화시켜야 했다. 또한 추위 극복을 위하여 동물성 기름을 잘 소화시켜 몸에 축적해야 했기 때문에, 대장 기능을 비롯한 하부소화기능도 강화시켜야 했다. 그런데 이 지역은 흰색이 지배적인 환경이기 때문에, 호흡기능과 하부소화기능은 흰색이 지배적인 기후환경에서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심혈관 기능은, 추운 기후환경에 적응하면 강화되고, 더운 기후환경에 적응하면 완화된다. 이 심혈관 기능이 완화되어 냉한 특성을 지닌 사람들은 차가운 느낌을 주는 푸른색 환경보다 따뜻한 느낌을 주는 붉은색 환경을 더 선호하고, 심혈관 기능이 강화되어 열이 많은 사람들은 더운 느낌을 주는 붉은색 환경보다 서늘한 느낌을 주는 푸른색 환경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참조: 성격유형의 특성, 부크크). 그러므로 붉은색은 냉한 사람들이 비교적 선호하는 따뜻한 기후환경을 상징하는 색으로, 푸른색은 열이 많은 사람들이 비교적 선호하는 서늘한 기후환경을 상징하는 색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류 기후환경 적응론으로 설명되는,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이론에서는 각 성격유형별로 타고난 기후환경 적응 특성이 설명되고 있다(참조: 성격유형의 기원, 부크크). 그 특성들 중에서 대표적인 특성만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w- 성격유형은 덥고 건조한 Aw기후(열대 사바나 기후)에 적응하면서, 비뇨기능이 강화되고, 이와 음의 상관관계(동일하게 건조하지만 온냉 환경 적응 차이로 발생)에 있는 상부소화기능은 상대적으로 완화된 특성을 타고나기 때문에(별첨 1 참조), 강화된 특성으로 타고나는 비뇨기능을 강화시켰던 환경색인 검정색을 꺼리고, 약한 상부소화기능이 강화된 환경색인 노란색을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그 이유는 강화된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쳐 장부 기능의 강약편차를 가중시킬 수도 있는 환경색은 피하려 하고, 약한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쳐 장부 기능 편차를 줄여줄 수도 있는 환경색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설명된다. 또한 Aw- 성격유형은 열대의 더운 환경에 적응한 냉한 특성을 타고나서, 추운 느낌을 주는 푸른색 환경보다 따뜻한 느낌을 주는 붉은색 환경을 더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그리고 Aw+ 성격유형은 Aw- 성격유형이 다시 추운 기후로 이동하여, 심혈관 기능이 강화된 특성을 타고나기 때문에(별첨 2 참조), 검정색 환경을 꺼리고 노란색 환경을 선호하는 것은 Aw- 성격유형과 같으나, 추운 환경에 적응한 몸이 따뜻한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Aw- 성격유형과 달리 더운 느낌의 붉은색 환경보다는 시원한 느낌의 푸른색 환경을 더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다음으로 Af- 성격유형은 덥고 습한 Af기후(열대 우림 기후)에 적응하면서, 해독기능이 강화되고, 이와 음의 상관관계(동일하게 습하지만 온냉 환경 적응 차이로 발생)에 있는 호흡기능은 상대적으로 완화된 특성을 타고나기 때문에(별첨 3 참조), 약한 호흡기능이 강화된 환경색인 흰색을 선호하고, 강화된 해독기능을 강화시킨 환경색인 초록색을 꺼리는 성향이 있다. 그 이유는 강화된 기능을 더 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쳐 장부 기능 강약편차를 가중시킬 수도 있는 환경색은 피하려 하고, 약한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쳐 장부 기능 편차를 줄여줄 수도 있는 환경색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Af- 성격유형은 열대의 더운 환경에 적응한 냉한 특성을 타고나서, 푸른색 환경보다 붉은색 환경을 더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그리고 Af+ 성격유형은 Af- 성격유형이 다시 추운 환경으로 이동하여, 심혈관 기능이 강화된 특성을 타고나기 때문에(별첨 4 참조), 초록색 환경을 꺼리고 흰색 환경을 선호하는 것은 Af- 성격유형과 같으나, 추운 환경에 적응한 특성을 타고나서, 몸이 따뜻한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Af- 성격유형과 달리 더운 느낌의 붉은색 환경보다는 시원한 느낌의 푸른색 환경을 더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다음으로 Dw+ 성격유형은 춥고 건조한 Dw기후(냉대 건조 기후)에 적응하면서 상부소화기능이 강화되고, 이와 음의 상관관계(동일하게 건조하지만 온냉 환경 적응 차이로 발생)에 있는 비뇨기능은 상대적으로 완화된 특성을 타고나기 때문에(별첨 5 참조), 약한 비뇨기능이 강화된 환경색인 검정색을 선호하고, 상부소화기능을 강화시킨 환경색인 노란색을 꺼리는 성향이 있다. 그 이유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화된 기능을 더 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쳐 장부 기능 강약편차를 가중시킬 수도 있는 환경색을 피하려 하고, 약한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쳐 장부 기능 편차를 줄여줄 수도 있는 환경색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한Dw+ 성격유형은 추운 환경에 적응한 따뜻한 특성을 타고나서, 더운 느낌의 붉은색 환경보다 시원한 느낌의 푸른색 환경을 더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그리고 Dw- 성격유형은 Dw+ 성격유형이 다시 더운 환경으로 이동하여 심혈관 기능이 완화된 특성을 타고나기 때문에(별첨 6 참조), 노란색 환경을 꺼리고 검정색 환경을 선호하는 것은 Dw+ 성격유형과 같으나, 더운 환경에 적응한 특성을 타고나서 몸이 냉한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Dw+ 성격유형과 달리 차가운 느낌의 푸른색 환경보다는 따뜻한 느낌의 붉은색 환경을 더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그 다음으로 Df+ 성격유형은 춥고 습한 Df기후(냉대 습윤 기후)에 적응하면서 호흡기능이 강화되고, 이와 음의 상관관계(동일하게 습하지만 온냉 환경 적응 차이로 발생)에 있는 해독기능은 상대적으로 완화된 특성을 타고나기 때문에(별첨 7 참조), 약한 해독기능이 강화된 환경색인 초록색을 선호하고, 강화된 호흡기능을 강화시킨 환경색인 흰색을 꺼리는 성향이 있다. 그 이유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화된 기능을 더 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쳐 장부 기능 강약편차를 가중시킬 수도 있는 환경색을 피하려 하고, 약한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쳐 장부 기능 편차를 줄여줄 수도 있는 환경색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Df+ 성격유형은 추운 기후에 적응한 따뜻한 특성을 타고나서, 더운 느낌의 붉은색 환경보다 시원한 느낌의 푸른색 환경을 더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그리고 Df- 성격유형은 Df+ 성격유형이 다시 더운 기후로 이동하여 심혈관 기능이 완화된 특성을 타고나기 때문에(별첨 8 참조), 흰색 환경을 꺼리고 초록색 환경을 선호하는 것은 Df+ 성격유형과 같으나, 더운 환경에 적응한 특성을 타고나서, 몸이 냉한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Df+ 성격유형과 달리 추운 느낌의 푸른색 환경보다는 따뜻한 느낌의 붉은색 환경을 더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미리 정의된 인류 기후 적응론을 기반으로,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별 기후환경색 선호도에 관한 정보의 처리방법을,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별 기후환경색 선호도 정보의 처리방법은 단말기와 네트워크 및 서버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같은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실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을 적용하지 않고, 오프라인 상에서 기후환경색을 보여줄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기후환경색들을 차례로 보여주면서 실행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들의 경우에, 적용하는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과 그 진행 절차는 동일하다. 다만 도1에서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같은 단말기(01)로 네트워크(02)를 통해, 서버 같은 정보처리 장치(03)에 접속하여 연동되는 절차가 표시되어 있는데, 오프라인 상에서 진행될 경우에는 이들 단말기를 통한 접속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절차는, 통상적으로 온라인에 접속되는 단계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세부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서버에서의 구체적인 정보처리 단계에 해당하는,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속 후 초기 화면에서 온냉환경 적응 특성 조사가 선택되면(5) 다음과 같은 절차가 이어진다. 온냉환경 적응 특성 조사가 시작되면(5), 자동적으로 색 적용 대상 선택(6)이 진행된다. 여기서는 첫째 옷 색 적용 선택(11), 둘째 실내환경색 적용 선택(21), 셋째 손톱 색 적용 선택(31)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구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는 통상 먼저 옷 색 적용(11)이 예비 선택된 상태로 표시되어 제시된다. 이는 선택되는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메뉴보다 색을 진하게 또는 메뉴 표시가 확대되게 표현해주는 방식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첫째 옷 색 적용 선택(11)이 진행되면 다음 단계에서는 더운 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12)과 추운 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14) 중에서, 선호하는 옷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몸이 찬 사람들이 선호하는 붉은 옷 색과, 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열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푸른 옷 색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11-1), 이들을 비교하면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는 옷이 아닌 옷의 색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므로, 하나의 특정 색 옷을 별도로 보여줄 필요는 없으며, 온냉의 느낌을 받는 색의 옷들을 함께 제시하고 전체적으로 옷 색들을 함께 비교하면서, 온냉의 옷 색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몸이 찬 사람들이 선호하는 붉은 옷 색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더운 환경 적응 성격유형으로 1차 판단(13)을 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2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여기서 1차 판단이란 기후 적응 성격유형을 옷 색 적용으로 판단한 것을 말한다. 그렇지만 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열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푸른 옷 색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추운 환경 적응 성격유형으로 1차 판단(15)을 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인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2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다음으로 1차 판단 후에, 또는 색 적용 대상 선택(6)에서 옷 색 적용 선택(11)을 진행하지 않고, 직접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21)의 단계가 선택되어 진행이 된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더운 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2)과 추운 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4) 중에서 선호하는 실내환경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몸이 찬 사람들이 선호하는 따뜻한 감을 주는 붉은색 위주의 실내 환경과, 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열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시원한 느낌을 주는 푸른색 위주의 실내환경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21-1)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그리고 여기서도 실내 구조는 찬차만별이고, 가구도 그 종류가 다양하므로, 획일적으로 실내환경의 구성을 규정할 필요가 없으며, 실내환경의 색감을 통하여 따뜻한 느낌과 시원한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실내환경 색을 보여주면 된다. 그 하나의 예시를 보여주는 것이 도면7의 21-1이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몸이 찬 사람들이 선호하는 붉은색 위주의 실내환경 색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더운 환경 적응 성격유형으로 2차 판단(23)을 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3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여기서 2차 판단이란 기후적응 성격유형을 실내환경 색으로 판단한 것을 말한다. 그렇지만 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열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푸른색 위주의 실내환경 색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추운 환경 적응 성격유형으로 2차 판단(15)을 한다. 그리고 그 판단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3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 다음으로 2차 판단 후에, 또는 색 적용 대상 선택(6)에서 직접 손톱 색 적용 선택(31)을 선택하여 진행되면, 다음 단계로 더운 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32)과 추운 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34) 중에서 선호하는 손톱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몸이 찬 사람들이 선호하는 따뜻한 감을 주는 붉은색 계통의 손톱 색과, 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열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시원한 느낌을 주는 푸른색 계통의 손톱 색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31-1), 이들을 비교하면서 선택하게 한다. 그리고 손톱의 색도 다양하게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색을 지정하여 손톱에 칠을 하는 것을 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청색도 진청색, 옅은 청색, 밝은 청색, 어두운 청색 등 채도와 명도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서는 따뜻하고 시원한 색감을 느끼도록 색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특정 색을 지정하지 않고 각 청색과 적색의 같은 계통 색을 채도와 명도에 따라 다르게 여러 색의 예시 조합으로 함께 보여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각 성격유형별로 심혈관 기능 강약 특성에 맞게, 색감을 통하여 따뜻한 느낌과 시원한 느낌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몸이 찬 사람들이 선호하는 붉은색 계통의 손톱 색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더운 환경 적응 성격유형으로 3차 판단(33)을 한다. 여기서 3차 판단이란 손톱 색으로 기후 적응 성격유형을 판단한 것을 말한다. 그렇지만 추운 환경 적응 특성을 지닌 열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푸른색 계통의 손톱 색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추운 환경 적응 성격유형으로 3차 판단(35)을 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1~3차 판단을 종합(7)한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온냉 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별이 완료(36)되어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에 1차, 2차, 3차 판단을 종합한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77), 다시 색 적용 대상 선택(6)의 단계로 이동하여 1~3차 판단의 절차를 재차 실행시킨다. 그런데 1~3차 판단에서 첫째 옷 색 적용 선택(11)이나, 둘째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21)이나, 셋째 손톱 색 적용 선택(31) 중에서, 적용 색 선호도가 분명하지 않아서 선택 판단하기 망설여지거나 어려웠던 색 적용 선택의 판단이 있었다면, 재차 반복 실행할 때(77)에, 색 적용 대상 선택(6)의 단계에서, 직접 그 해당 색 적용 선택의 메뉴로 이동하여, 해당 판단만을 다시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재차 실시한 경우에도 1~3차 판단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셋 중에서 두 개의 판단이 일치하는 경우를 종합 결과로 처리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 1차와 2차의 판단이 일치하고 3차의 판단이 다른 경우에는, 일치한 1~2차 판단을 종합 결과로 보고 온냉 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별이 완료된다(36). 그런데 1차와 2차의 판단이 다른 경우에는 또 다시 한번 반복하여 색 적용 대상 선택(6)의 단계로 이동하여, 1~3차 판단의 절차를 다시 실행시킬 수 있다.
온냉 환경 적응 특성 조사가 완료되면, 또는 초기 화면에서 직접 기후환경 적응 특성 조사가 선택되면(8) 다음과 같은 절차가 이어진다. 기후환경 적응 특성 조사(8)가 시작되면, 자동적으로 색 적용 대상 선택(9)이 진행된다. 여기서는 첫째 옷 색 적용 선택(51), 둘째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 셋째 손톱 색 적용 선택(71)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구성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도 통상 먼저 옷 색 적용(51)이 예비 선택된 상태로 표시하여 제시된다. 이는 선택되는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메뉴보다 색을 진하게 또는 메뉴 표시가 확대되게 표현해주는 방식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먼저 옷 색 적용 선택(51)이 진행되면, 자동적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의 단계로 이어진다.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의 단계에서는 A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1),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6),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1),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6) 중에서, 가장 선호하는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A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1-1),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6-1),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1-1),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6-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여기서도 옷의 색에서 느끼는 색감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므로, 하나의 특정 옷을 별도로 보여줄 필요는 없다. 다수의 옷을 함께 제시하고, 전체적으로 같은 계통 색의 옷들을 묶음으로 함께 보면서, 유사한 색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A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1)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다음으로 A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2)과 A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4) 중에서 선호하는 옷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A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2-1)과 A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4-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A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2)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w- 성격유형으로 판단(103)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여기서 1차 판단이란 기후적응 성격유형을 옷 색 적용으로 판단한 것을 말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A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4)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w+ 성격유형으로 판단(105)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런데 만약에 A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2)과 A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4)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6)으로 진행이 된다.
다음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의 단계에서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6)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A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7)과 A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9) 중에서 선호하는 옷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A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7-1)과 A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9-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A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7)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f- 성격유형으로 판단(108)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A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9)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f+ 성격유형으로 판단(110)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런데 만약에 A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7)과 A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09)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1)으로 진행이 된다.
다음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의 단계에서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1)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다음으로 D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2)과 D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4) 중에서, 선호하는 옷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D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2-1)과 D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4-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D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2)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w+ 성격유형으로 판단(113)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D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4)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w- 성격유형으로 판단(115)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런데 만약에 D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2)과 Dw-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4)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6)으로 진행이 된다.
다음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의 단계에서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6)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다음으로 D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7)과 D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9) 중에서 선호하는 옷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D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7-1)과 D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9-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D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7)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f+ 성격유형으로 판단(118)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D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119)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f- 성격유형으로 판단(120)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런데 만약에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옷 색 선택들이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121), 2차의 재조사로 다시 한번,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의 단계로 이동하여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의 과정들이 차례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A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2-1) 대신에 Aw- 특성 맞춤 예외 옷 색 묶음(102-2)을, A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4-1) 대신에 Aw+ 특성 맞춤 예외 옷 색 묶음(104-2)을, A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7-1) 대신에 Af- 특성 맞춤 예외 옷 색 묶음(107-2)을, A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9-1) 대신에 Af+ 특성 맞춤 예외 옷 색 묶음(109-2)을, D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2-1) 대신에 Dw+ 특성 맞춤 예외 옷 색 묶음(112-2)을, D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4-1) 대신에 Dw- 특성 맞춤 예외 옷 색 묶음(114-2)을, D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7-1) 대신에 Df+ 특성 맞춤 예외 옷 색 묶음(117-2)을 그리고 D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9-1) 대신에 Df- 특성 맞춤 예외 옷 색 묶음(119-2)을 화면에 보여줄 수 있다. 왜냐하면 특정 장기에 탈이 난 예외의 경우에는 해당 장기와 관련된 색의 선호도 인식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 해당 장기가 위치한 인체부위에 그 장기의 기능을 강화시킨 기후환경색을 적용하는 것이 색 선호도 조사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약하게 탈이 난 경우에는 해당 장기가 위치한 인체 부위에만 그리고 심하게 탈이 난 경우에는 그 주변 부위에도 그 장기의 기능을 강화시킨 기후환경색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탈이 난 장기의 기능을 강화시킨 기후환경색을 적용하더라도, 해당 성격유형이 가장 약하게 타고나는 장기가 위치한 부위는, 그 장기를 강화시킨 기후환경색을 그대로 유지시켜준다. 그렇지만 심하게 탈이 난 경우에는, 이에 상관 없이, 그 탈이 난 장기 기능을 강화시킨 기후환경색을 윗몸 전체적인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4에서 각 예외 옷 색들은, 102-2와 104-2의 경우 우측부터 좌측으로 간(초록 부위, 약하게 탈이 난 경우), 간(심하게 탈이 난 경우), 위, 폐가 탈이 난 경우에 적용되는 해당 성격유형 맞춤 예외 옷 색들이 배치되는 순서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2-2, 114-2, 117-2, 119-2의 경우에는 우측부터 좌측으로 간, 위(노랑 부위, 약하게 탈이 난 경우), 위(심하게 탈이 난 경우), 폐가 탈이 난 경우에 적용되는 해당 성격유형 맞춤 예외 옷 색들이 배치되는 순서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7-2와 109-2의 경우 우측부터 좌측으로 간(약하게 탈이 난 경우), 간(심하게 탈이 난 경우), 위(약하게 탈이 난 경우), 위(심하게 탈이 난 경우), 폐가 탈이 난 경우에 적용되는 해당 성격유형 맞춤 예외 옷 색들이 배치되는 순서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있다(해당되는 부호의 설명 참조).
그런데 만약에, 2차의 재조사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의 단계로 이동하여,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의 과정들이 다시 한번 차례로 진행되었는데도, 해당 성격유형별 맞춤 옷색 선택들이 만족스럽게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또 다시 한번 3차의 재조사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의 단계로 이동하여,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의 과정들이 차례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A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2-1) 대신에 Aw- 특성 맞춤 긍정부정 옷 색 묶음(102-3)을, A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4-1) 대신에 Aw+ 특성 맞춤 긍정부정 옷 색 묶음(104-3)을, A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7-1) 대신에 Af- 특성 맞춤 긍정부정 옷 색 묶음(107-3)을, A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09-1) 대신에 Af+ 특성 맞춤 긍정부정 옷 색 묶음(109-3)을, D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2-1) 대신에 Dw+ 특성 맞춤 긍정부정 옷 색 묶음(112-3)을, Dw-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4-1) 대신에 Dw- 특성 맞춤 긍정부정 옷 색 묶음(114-3)을, D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7-1) 대신에 Df+ 특성 맞춤 긍정부정 옷 색 묶음(117-3)을 그리고 Df- 특성 맞춤 옷 색 묶음(119-1) 대신에 Df- 특성 맞춤 긍정부정 옷 색 묶음(119-3)을 화면에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우측에 표현된 그림은, 각 성격유형별로 타고난 기능이 완화된 장기와 관련된 인체 부위에 인류 이동 진화 과정에서 그 장기의 기능을 강화시킨 기후환경색을 적용하고, 타고난 기능이 강화된 장기와 관련된 인체 부위에는 진화 과정에서 그 장기의 기능이 완화된 기후환경색을 적용하는, 긍정의 색이 표현된 그림이다. 그리고 좌측에 표현된 그림은 각 성격유형별로 타고난 기능이 완화된 장기와 관련된 인체 부위에, 인류 이동 진화 과정에서 그 장기의 기능을 완화시킨 기후환경색을 적용하고, 타고난 기능이 강화된 장기와 관련된 인체 부위에, 진화 과정에서 그 장기의 기능이 강화된 기후환경색을 적용하는, 부정의 색이 표현된 그림이다. 이렇게 각 성격유형별로 그 기능이 강화되거나 완화된 장기 기능 관련 인체 부위에 적용되는 색은, 도15에서 해당 장기 관련 인체 부위별로 표현된 긍정(130의 우측 그림)과 부정(130의 좌측 그림)의 기후환경 표준색을 기준으로, 각 성격유형별 장기기능의 강약 특성에 맞게 선별적으로 배치되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각 성격유형 특성 맞춤 긍정부정 옷 색 묶음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긍정의 옷색이 우측에, 자신이 싫어하는 부정의 옷색이 좌측에 있는 경우에, 해당 성격유형 특성 맞춤 옷색 선택(예)을,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을 하지 않는(아니오)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판단 후에, 또는 기후환경 적응 특성 조사(8)의 색 적용 대상 선택(9)에서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을 선별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62)의 단계로 진행된다.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62)의 단계에서는, A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1),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6),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1),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6) 중에서, 가장 선호하는 실내환경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A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01-1),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06-1),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11-1),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16-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여기서도 실내 구조는 찬차만별이고 가구는 그 종류가 다양하므로 획일적으로 실내환경을 규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전체 실내환경의 색에서 느끼는 색감의 차이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므로, 유사한 색으로 구성된 다수의 실내환경 구성요소들을 함께 묶어서 전체적으로 유사한 색 계통의 실내환경을 보면서, 해당 기후환경을 연상시키는 색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A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1)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다음으로 A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2)과 A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4) 중에서 선호하는 실내환경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A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02-1)과 A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04-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A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2)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w- 성격유형으로 판단(203)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7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여기서 2차 판단이란 기후적응 성격유형을 실내환경 색 적용으로 판단한 것을 말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A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4)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w+ 성격유형으로 판단(205)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7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런데 만약에 A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2)과 A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4)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6)으로 진행이 된다.
다음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62)의 단계에서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6)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A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7)과 A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9) 중에서 선호하는 실내환경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A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07-1)과 A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09-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A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7)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f- 성격유형으로 판단(208)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7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A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9)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f+ 성격유형으로 판단(210)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7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런데 만약에 A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7)과 A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09)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1)으로 진행이 된다.
다음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62)의 단계에서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1)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D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2)과 D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4) 중에서 선호하는 실내환경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D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12-1)과 D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14-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D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2)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w+ 성격유형으로 판단(213)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7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D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4)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w- 성격유형으로 판단(215)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7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런데 만약에 D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2)과 Dw-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4)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6)으로 진행이 된다.
다음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62)의 단계에서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6)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D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7)과 D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9) 중에서, 선호하는 실내환경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D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17-1)과 D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219-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여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D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7)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f+ 성격유형으로 판단(218)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7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D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219)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f- 성격유형으로 판단(220)하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리고 그 판단 결과를 보여준 후에 다음 단계의 손톱 색 적용 선택(71)으로 절차가 진행된다. 그런데 만약에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들이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221), 다시 한번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62)의 단계로 이동하여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의 과정들이 차례로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2차 판단 후에, 또는 기후환경 적응 특성 조사(8)의 색 적용 대상 선택(9)에서 손톱 색 적용 선택(71)을 선별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72)의 단계로 진행된다.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72)의 단계에서는, A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1),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6),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1),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6) 중에서, 가장 선호하는 손톱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12와 같이, A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노란 손톱 색,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하얀 손톱 색,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검정 손톱 색,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초록 손톱 색을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의 손톱 색을 선택하게 한다. 여기서도 손톱의 색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색을 지정하여 손톱에 칠을 하는 것을 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노란색도 진노랑, 옅은 노랑, 밝은 노랑, 어두운 노랑 등 채도와 명도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특정 색을 지정할 필요는 없으며, 같은 계통의 색을 채도와 명도에 따라 다르게 여러 색의 예시를 조합하여 함께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A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1)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다음으로 A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2)과 A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4) 중에서 선호하는 손톱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Aw- 특성 맞춤 손톱 색 묶음(302-1)과 Aw+ 특성 맞춤 손톱 색 묶음(304-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A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2)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w- 성격유형으로 판단(303)한다. 그리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여기서 3차 판단이란 기후 적응 성격유형을 손톱 색 적용으로 판단한 것을 말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A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4)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w+ 성격유형으로 판단(305)한다. 그리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런데 만약에 A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2)과 A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4)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6)으로 진행이 된다.
다음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72)의 단계에서, A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6)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A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7)과 A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9) 중에서, 선호하는 손톱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Af- 특성 맞춤 손톱 색 묶음(307-1)과 Af+ 특성 맞춤 손톱 색 묶음(309-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A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7)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f- 성격유형으로 판단(308)한다. 그리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A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9)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Af+ 성격유형으로 판단(310)한다. 그리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런데 만약에 A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7)과 A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09)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1)으로 진행이 된다.
다음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72)의 단계에서 Dw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1)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D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2)과 D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4) 중에서, 선호하는 손톱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Dw+ 특성 맞춤 손톱 색 묶음(312-1)과 Dw- 특성 맞춤 손톱 색 묶음(314-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D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2)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w+ 성격유형으로 판단(313)한다. 그리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D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4)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w- 성격유형으로 판단(315)한다. 그리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런데 만약에 D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2)과 Dw-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4)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6)으로 진행이 된다.
다음으로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72)의 단계에서, Df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6)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D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7)과 D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9) 중에서, 선호하는 손톱 색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Df+ 특성 맞춤 손톱 색 묶음(317-1)과 Df- 특성 맞춤 손톱 색 묶음(319-1)을 동시에 하나의 화면에 보여주고, 이들을 비교하면서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이 중에서 D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7)을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f+ 성격유형으로 판단(318)한다. 그리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렇지만 이 중에서 D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319)을 더 선호하여 선별한 경우에는 Df- 성격유형으로 판단(320)한다. 그리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의 단계가 여기서 완료된다. 그런데 만약에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들이 모두 선별되지 않은 경우에는(321), 다시 한번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72)의 단계로 이동하여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의 과정들이 차례로 진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기후환경 적응 특성 조사로, 성격유형의1~3차 판단을 종합한 결과(10)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별이 완료(74)되어 종료된다. 그러나 만약에 1차, 2차, 3차 판단을 종합한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100), 다시 색 적용 대상 선택(9)의 단계로 이동하여, 1~3차 판단의 절차를 재차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런데 처음의 1~3차 판단에서 첫째 옷 색 적용 선택(51)이나, 둘째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이나, 셋째 손톱 색 적용 선택(71) 중에서 적용 색 선호도가 분명하지 않아서, 선택 판단하기 망설여지거나 어려웠던 색 적용 선택 판단이 있었다면, 재차 반복 실행할 때에(100), 색 적용 대상 선택(9)의 단계에서 직접 그 해당 색 적용 선택 메뉴로 이동하여, 해당 판단만을 선택적으로 다시 한번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재차 실시한 경우에도 1~3차 판단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셋 중에서 두 개의 판단이 일치하는 경우를 종합한 결과로 처리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 1차와 2차의 판단이 일치하고 3차의 판단이 다른 경우에는 일치한 1~2차 판단을 종합 판단 결과로 보고,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별이 완료된다(74). 그런데 1차와 2차의 판단이 다른 경우에는 다시 한번 반복하여 색 적용 대상 선택(9)의 단계로 이동하여 1~3차 판단의 절차를 또 다시 한번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설명한 기후환경색 선택 조사에서는 가장 선호하는 색을 선택하도록 유도 하였으나, 선호하는 색 대신에 역으로 가장 싫어하는 색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장 싫어하는 색을 선택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은 가장 선호하는 색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5: 온냉 환경 적응 특성 조사 시작(5)의 메뉴는 기후환경 적응 특성 조사 시작(8)의 메뉴와 함께 독립적으로 첫 화면에 보여준다.
7: 1~3차 온냉 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단 종합에서 1차, 2차, 3차 온냉 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단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온냉 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별 완료(36)가 되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그러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77)에는 색 적용 대상 선택(6) 단계로 이동하여 다시 한번 1~3차 온냉 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단의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만약에 이렇게 재차 실시한 1~3차 판단 결과도 역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수의, 즉 3차 중 2개의, 판단이 일치한 경우를 온냉 환경 적응 특성의 판단 기준으로 삼는다. 그렇지만 사용자는 또 다시 한번 더 1~3차 온냉 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단의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도 있다. 왜냐하면 선택이 망설여지던 경우에도 프로세스가 반복될수록 좀 더 분명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온냉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단의 프로세스를 종료할지 다시 진행시킬지 여부는 사용자가 결정하는 것이며, 여기서는 프로세스가 다시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이다.
8: 기후환경 적응 특성 조사 시작의 메뉴는 온냉 환경 적응 특성 조사 시작(5)의 메뉴와 함께 초기 하면에 각각 독립적인 메뉴로 보여준다.
52: 도3에서의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이 실행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도4에서 확인할 수 있다.
53: 도4에서의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의 단계는 도3에서의 판단(53)과 동일한 단계이다.
62: 도3에서의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62)이 실행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도5에서 확인할 수 있다.
63: 도5에서의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의 단계는 도3에서의 판단(63)과 같은 단계이다.
72: 도3에서의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72)이 실행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도6에서 확인할 수 있다.
73: 도6에서의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의 단계는 도3에서의 판단(73)과 같은 단계이다.
100: 도3의 1~3차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단 종합(10)의 단계에서 1차, 2차, 3차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단 결과가 일치하면,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별이 완료(74)되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그러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100)에는 도3의 색 적용 대상 선택(9)의 단계로 이동하여 다시 한번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단의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102-2: 그림에서 우측부터 약하게 간(해독)기능이 탈이 난 경우, 심하게 간(해독)기능이 탈이 난 경우, 약하게 위(상부소화)기능이 탈이 난 경우, 폐와 대장(호흡 및 하부소화)기능에 탈인 난 경우에 해당한다. 104-2의 표현도 102-2와 동일하게 설명된다.
112-2: 그림에서 우측부터 간(해독)기능이 탈이 난 경우, 약하게 위(상부소화)기능이 탈이 난 경우, 심하게 위(상부소화)기능이 탈이 난 경우, 폐와 대장(호흡 및 하부소화)기능에 탈인 난 경우에 해당한다. 이하 114-2, 117-2, 119-2의 표현도 성격유형별로 112-2와 동일하게 설명된다.
107-2: 그림에서 우측부터 약하게 간(해독)기능이 탈이 난 경우, 심하게 간(해독)기능이 탈이 난 경우, 약하게 위(상부소화)기능이 탈이 난 경우, 심하게 위(상부소화)기능이 탈이 난 경우, 폐와 대장(호흡 및 하부소화)기능에 탈인 난 경우에 해당한다. 109-2의 표현도 107-2와 동일하게 설명된다.
102-3: 그림에서 우측의 그림은 각 인체 부위별로, Aw- 성격유형이 완화된 특성으로 타고난 장기 관련 인체 부위에는 해당 장기 기능이 강화된 기후환경의 색을, 그리고 강화된 특성으로 타고난 장기 관련 인체 부위에는 해당 장기 기능이 완화된 기후환경색을 적용한, 긍정의 색들이 적용된 그림이다. 반면에 좌측의 그림은 Aw- 성격유형이 완화된 특성으로 타고난 장기 관련 인체 부위에 해당 장기 기능이 완화된 기후환경의 색을, 그리고 강화된 특성으로 타고난 장기 관련 인체 부위에 해당 장기 기능이 강화된 기후환경색을 적용한, 부정의 색이 적용된 그림이다. 이하 104-3(Aw+), 107-3(Af-), 109-3(Af+), 112-3(Dw+), 114-3(Dw-), 117-3(Df+), 119-3(Df-)의 표현도 각 성격유형별로 102-3(Aw-)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현되었다.
121: 도4에서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이 완료된 경우에는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의 프로세스가 완료되며, 다음 단계인 도3의 실내환경 색 적용 선택(61)의 단계로 이동한다. 그러나 도4에서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53)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121)에는,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옷 색 선택(52) 단계로 이동하여 다시 한번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1차 판단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130: 도4에서 Aw-, Aw+, Af-, Af+, Dw+, Dw-, Df+, Df- 특성 맞춤 옷 색의 선택을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의 경우, 3차 재조사를 위하여 보여주는 그림들은, 이 표준 예시도를 기준으로 성격유형에 맞게 각 인체부위별로 색이 선택되었다. 여기서 우측의 그림은 각 인체 부위별로 관련 장기 기능이 인류 이동 진화 과정에서 강화된 기후환경의 색인 긍정의 표준색이 표현된 그림이며, 좌측의 그림은 각 인체 부위별로 관련 장기 기능이 진화과정에서 완화된 기후환경의 색인 부정의 표준색이 표현된 그림이다.
221: 도5에서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이 완료된 경우에는,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의 프로세스가 완료되며, 다음 단계인 도3의 손톱 색 적용 선택(71)의 단계로 이동한다. 그러나 도5에서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63)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221)에는,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실내환경 색 선택(62) 단계로 이동하여 다시 한번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302-1: 중앙에 표현된 손의 각 손톱에 서로 다르게 적용된 색들은, 엄지는 간(해독기능), 검지는 심장(심혈관 기능), 중지는 위(상부소화기능), 약지는 폐와 대장(호흡기능과 하부소화기능), 새끼손가락은 콩팥과 방광(비뇨기능)과 연계되어 있다는 이론이, 건강한 경우의 Aw- 성격유형 장기기능 강약 특성에 맞게, 적용된 것이다. 이하 304-1, 307-1, 309-1, 312-1, 314-1, 317-1, 319-1의 표현도 각 성격유형별로 동일하게 설명된다.
321: 도6에서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이 완료된 경우에는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의 프로세스가 완료되며, 다음 단계인 도3의 1~3차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판단 종합(10)의 단계로 이동한다. 그러나 도6에서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3차 판단(73)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321)에는, 기후환경 적응 특성 맞춤 손톱 색 선택(72) 단계로 이동하여 다시 한번 기후환경 적응 성격유형 2차 판단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열대 사바나 환경을 대표하는 색을 검정색으로,
    열대 우림 환경을 대표하는 색을 초록색으로,
    냉대 건조 환경을 대표하는 색을 노란색으로,
    냉대 습윤 환경을 대표하는 색을 흰색으로,
    더운 환경을 대표하는 색을 붉은색으로,
    추운 환경을 대표하는 색을 푸른색으로 구분하여,
    이 색들을 옷과 실내환경 및 손톱에 적용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옷 색과 실내환경 색 및 손톱 색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
KR1020200025700A 2020-03-01 2020-03-01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 KR10231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00A KR102314705B1 (ko) 2020-03-01 2020-03-01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00A KR102314705B1 (ko) 2020-03-01 2020-03-01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771A true KR20210110771A (ko) 2021-09-09
KR102314705B1 KR102314705B1 (ko) 2021-10-19

Family

ID=7779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00A KR102314705B1 (ko) 2020-03-01 2020-03-01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7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096Y1 (ko) * 2007-02-16 2008-05-23 (주) 에스엠티 기후 표시장치
KR100988593B1 (ko) * 2010-04-07 2010-10-18 주식회사 디자인경남 실외의 환경인자 측정값에 따른 색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색변환 광고판
KR20180036027A (ko) * 2016-09-30 2018-04-09 (주) 휴비 기상 조건에 대응하여 가변하는 감성 색상을 표출할 수 있는 조명부를 갖는 가정용 cctv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096Y1 (ko) * 2007-02-16 2008-05-23 (주) 에스엠티 기후 표시장치
KR100988593B1 (ko) * 2010-04-07 2010-10-18 주식회사 디자인경남 실외의 환경인자 측정값에 따른 색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색변환 광고판
KR20180036027A (ko) * 2016-09-30 2018-04-09 (주) 휴비 기상 조건에 대응하여 가변하는 감성 색상을 표출할 수 있는 조명부를 갖는 가정용 cc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705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21957B (zh) 美颜素材的推送方法及装置
Jozwik et al. Visual features as stepping stones toward semantics: Explaining object similarity in IT and perception with non-negative least squares
CN110198437B (zh) 图像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US90202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building a universal dress style learner
US10915744B2 (en) Method for evaluating fashion style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system therefor
WO2019100766A1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920490A (zh) 辅助化妆的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TWI718142B (zh) 顯示裝置及非暫時性電腦可讀媒體
KR101967814B1 (ko) 개인별 컬러 매칭 장치 및 방법
CN109508581A (zh) 身体信息分析装置及其腮红分析方法
US2020002724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314705B1 (ko) 기후환경색의 선호도 정보 처리 방법
CN111494946B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09621A (zh) 一种基于视觉的健身指导系统
Ríos-Sánchez et al. gb2sμMOD: A MUltiMODal biometric video database using visible and IR light
KR102005437B1 (ko) 증강현실 기반 아동용 컬러링북을 이용한 심리분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분석방법
CN111783062A (zh) 验证码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83551A (ko) 실시간 적응형 동영상 가상 의류 피팅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029971B2 (ja) カラーオペレーション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544441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直播中的肤色处理方法及装置
Wang et al. Cognitive processing about classroom-relevant contexts: Teachers' attention to and utilization of girls' body size, ethnicity, attractiveness, and facial affect.
KR102476884B1 (ko) 크리에이터 매칭 서비스를 통해 의류 정보를 추천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310714B1 (ko) 사용자 맞춤형 프로필 이미지 생성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Lim et al. Discovering Social and Aesthetic Categories of Avatars: A Bottom-Up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 Using Image Clustering.
JP7417887B2 (ja) 服装学習システム、服装評価システム、服装学習評価システム、電子ミラー、服装学習方法、服装評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