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594A - 2차 셀의 빔 실패 복구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2차 셀의 빔 실패 복구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594A
KR20210110594A KR1020217020163A KR20217020163A KR20210110594A KR 20210110594 A KR20210110594 A KR 20210110594A KR 1020217020163 A KR1020217020163 A KR 1020217020163A KR 20217020163 A KR20217020163 A KR 20217020163A KR 20210110594 A KR20210110594 A KR 2021011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referred beam
secondary cell
primary cel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란 베누고팔
정호 류
윌슨 마케쉬 프라빈 존
타오 루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36/085Reselecting an access point involving beams of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양태들은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셀 복구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 (UE) 에서, 2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1차 셀을 통해, 상기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셀을 통해 그리고 상기 선호되는 빔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2차 셀의 빔 실패 복구 메커니즘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에서는 2019년 12월 2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16/727,678호가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2019년 1월 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2/787,937호의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명시적으로 본원에 통합된다.
도입부
본 개시의 양태들은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셀 복구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이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등)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multiple-access)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몇가지 말하자면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롱 텀 에볼루션 (LTE) 시스템들, LTE 어드밴스드 (LTE-A) 시스템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들,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시스템들, 및 시간 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TD-SC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들 (BS들) 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들 (달리 사용자 장비들 (UE들) 로서 알려져 있음) 을 위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LTE 또는 LTE-A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의 세트는 e노드B (eNB) 를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예를 들어, 차세대, 무세대 (NR) 또는 5G 네트워크에서),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중앙 유닛들 (CU들) (예를 들어, 중앙 노드들 (CN들), 액세스 노드 제어기들 (ANC들) 등) 과 통신하는, 다수의 분산 유닛들 (DU들) (예를 들어, 에지 유닛들 (EU들), 에지 노드들 (EN들), 무선 헤드들 (RH들), 스마트 무선 헤드들 (SRH들), 송신 수신 포인트들 (TRP들) 등) 을 포함하며, 여기서 CU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DU들의 세트는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BS, 5G NB, 차세대 노드B (gNB 또는 gNodeB), 송신 수신 포인트 (TRP) 등으로 지칭됨) 를 정의할 수 있다. BS 또는 DU는 (예를 들어, BS 또는 DU 로부터 또는 UE 로의 송신들을 위한) 다운링크 채널들 및 (예를 들어, UE로부터 BS 또는 DU 로의 송신들을 위한) 업링크 채널들 상에서 UE들의 세트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지방, 국가, 지역 그리고 심지어 국제적 수준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었다. NR (예를 들어, 뉴 무선 또는 5G) 은 새로운 통신 표준의 예이다. NR 은 3GPP에 의해 발표된 LTE 모바일 표준에 대한 인핸스먼트들의 세트이다. NR은, 다운링크 (DL) 상에서 그리고 업링크 (UL) 상에서 사이클릭 프리픽스 (cyclic prefix; CP) 를 갖는 OFDMA 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낮추며,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스펙트럼의 사용을 이용하고, 다른 개방 표준들과 더 잘 통합함으로써 모바일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더 잘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NR은 빔포밍,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안테나 기술 및 반송파 집성을 지원한다.
하지만, 이동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NR 및 LTE 기술에서 추가 개선의 바램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개선들은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들 및 이들 기술들을 채용하는 전기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각각 여러 양태들을 갖고, 그들 중 단 하나만이 오로지 그의 바람직한 속성들의 원인이 되지는 않는다. 뒤따르는 청구항들에 의해 표현되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일부 특징들이 이제 간략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 논의를 고려한 후에, 그리고 특히 표제가 "상세한 설명"인 섹션을 읽은 후에, 어떻게 본 개시의 특징들이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들과 국들 사이에 향상된 통신을 포함하는 이점들을 제공하는지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 (UE) 에서, 2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1차 셀을 통해, 상기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셀을 통해 그리고 상기 선호되는 빔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사용자-장비 (UE) 에 의한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UE 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셀을 통한 UE 와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상기 선호되는 빔에 따라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 (UE) 에서, 2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1차 셀을 통해, 상기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에 커플링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트랜시버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상기 1차 셀을 통해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2차 셀을 통해 그리고 상기 선호되는 빔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UE에 의한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UE 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에 커플링되고 상기 2차 셀을 통한 상기 UE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선호되는 빔에 따라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UE 에서, 2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1차 셀을 통해, 상기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2차 셀을 통해 그리고 상기 선호되는 빔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사용자-장비 (UE) 에 의한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수단;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UE 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2차 셀을 통한 UE 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선호되는 빔에 따라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은, 장치로 하여금, UE에서, 2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게 하고; 1차 셀을 통해, 상기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게 하고;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송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2차 셀을 통해 그리고 상기 선호되는 빔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게 하도록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태들은, 장치로 하여금,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UE 에 의한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고;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UE 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2차 셀을 통한 UE 와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상기 선호되는 빔에 따라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게 하도록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이하에서 완전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 적시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어떤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하지만, 이들 특징들은 다양한 양태들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소수만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위에서 언급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도록,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보다 특정한 설명은 양태들을 참조로 이루질 수도 있으며, 그 양태들 중 일부가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다. 하지만,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특정 통상적인 양태들만을 예시할 뿐이고, 본 설명은 다른 동일 효과의 양태들을 허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텔레통신 시스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분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의 논리적 아키텍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분산형 RAN의 논리적 아키텍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 기지국 (BS) 및 사용자 장비 (UE) 의 설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기 위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뉴 무선 (NR)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포맷의 예를 나타낸다.
도 7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UE에 의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BS에 의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빔 복구 동작들을 예시하는 타이밍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들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가능한 경우, 도면들에 공통되는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표기하는데, 사용되었다. 하나의 양태에서 개시된 엘리먼트들은 특정 언급 없이도 다른 양태들에 대해 유익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1차 셀을 통한 2차 셀 복구를 위한 장치, 방법들, 프로세싱 시스템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2차 셀은 사용자 장비 (UE) 로의 다운링크 (DL) 송신들만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빔 실패 시, 1차 셀을 통해 셀 복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는 2차 셀의 빔 실패를 검출하기 위해 실패 검출 리소스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검출 시에, 1차 셀을 통해 기지국에 표시를 전송할 수도 있다. 1차 셀은 그후 2차 셀에 대한 빔포밍 동작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UE로부터 요청할 수 있다. UE는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1차 셀을 통해 기지국에 송신하고, UE로의 DL 통신을 위한 2차 셀의 활성화 및 재구성이 후속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청구항들에 기재된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의 일탈함없이 논의된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열에 있어서 변경들이 행해질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은 다양한 절차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하게 생략, 치환, 또는 부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 관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예들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제시된 임의의 수의 양태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 외에 또는 추가하여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여기에 개시된 본 개시의 임의의 양태는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에 의해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야 한다. "예시적" 이라는 용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의 역할을 하는 것" 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사용된다. "예시적" 으로서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양태는 반드시 다른 양태들보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여기에 기재된 기술들은 LTE,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 및 "시스템" 은 종종 상호대체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 (WCDMA) 및 기타 CDMA 변형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NR (예를 들어, 5G RA), 이볼브드 UTRA (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UMB),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T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및 E-UTRA는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의 일부이다.
뉴 무선 (NR) 은 5G 기술 포럼 (5GTF) 과 함께 개발되고 있는 떠오르는 무선 통신 기술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 (LTE) 및 LTE-어드밴스드 (LTE-A) 는 E-UTRA 를 사용한 UMTS의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 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 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3GPP2)" 라는 이름의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여기에 설명된 기법들은, 전술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 그리고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명료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3G 및/또는 4G 무선 기술과 공통으로 연관된 용어를 사용하여 양태들이 설명될 수도 있지만, 본 개시의 양태들은 NR 기술들을 포함하는, 5G 및 그 이후와 같은, 다른 세대-기반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뉴 무선 (NR) 액세스 (예를 들어, 5G 기술) 는 넓은 대역폭 (예를 들어, 80MHz 이상) 을 목표로 하는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높은 캐리어 주파수 (예를 들어, 25 GHz 이상) 를 목표로 하는 밀리미터 파 (mmW), 비역 호환성 MTC 기술들을 목표로 하는 매시브 머신 타입 통신 MTC (mMTC), 및/또는 초 신뢰성 저 레이턴시 통신 (URLLC) 을 목표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레이턴시 및 신뢰성 요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또한 각각의 서비스 품질 (QoS)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이한 송신 시간 간격들 (TTI) 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들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공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
도 1 은 본 개시의 양태들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는 NR (New Radio) 또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내의 UE (120) 와 같은 사용자 장비 (UE)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내의 셀 (102a) 내의 BS (110a) 와 같은 서빙 기지국 (BS) 과 통신한다. UE (120) 는 BS (110a) 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다수의 송신 구성들 (예를 들어, 안테나 어레이들/패널들 및/또는 빔들) 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들에서, BS (110a) 는 2차 셀을 통해 UE (120) 로의 다운링크 (DL) 송신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차 셀은 사용자 장비 (UE) 로의 다운링크 (DL) 송신들만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빔 실패 시, 셀 복구는 SCell 복구 모듈을 사용하여 1차 셀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는 2차 셀의 빔 실패를 검출하기 위해 실패 검출 리소스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검출 시에, 1차 셀을 통해 기지국에 표시를 전송할 수도 있다. 1차 셀은 그후 2차 셀에 대한 빔포밍 동작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1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빔 트레이닝 모듈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 트레이닝 모듈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선호되는 빔을 결정한다. UE는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1차 셀을 통해 기지국에 송신하고, UE로의 DL 통신을 위한 2차 셀의 활성화 및 재구성이 후속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는 다수의 기지국들 (BS) (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BS는 사용자 장비들 (UE) 과 통신하는 국일 수 있다. 각각의 BS (110) 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이 커버리지 영역을 서비스하는 노드 B (NB) 및/또는 NB 서브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NR 시스템들에서, 용어 "셀" 및 차세대 NodeB (gNB 또는 gNodeB), NR BS, 5G NB, 액세스 포인트 (AP) 또는 송신 수신 포인트 (TRP) 는 상호교환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셀은 반드시 정지될 필요는 없으며, 셀의 지리적 영역은 모바일 BS의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들은 임의의 적절한 송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 물리적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백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에서 서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들 또는 네트워크 노드들 (도시되지 않음) 에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의 무선 네트워크들이 소정의 지리적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 (RAT) 을 지원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RAT는 또한 무선 기술, 무선 인터페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주파수는 또한 캐리어, 서브캐리어, 주파수 채널, 톤, 서브밴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주파수는 다른 RAT들의 무선 네트워크들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주어진 지리적 영역에서의 단일 RAT를 지원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NR 또는 5G RAT 네트워크들이 배포될 수 있다.
BS 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유형의 셀들을 위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은,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반경 수 킬로미터) 를 커버할 수도 있고, 서비스 가입으로 UE들에 의한 무제한적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피코 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고, 서비스 가입으로 UE들에 의한 무제한적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펨토 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가정) 을 커버할 수도 있고, 펨토 셀과 연관을 갖는 UE들 (예를 들어, 폐쇄 가입자 그룹 (CSG) 에 있는 UE들, 가정에 있는 사용자들을 위한 UE들 등) 에 의한 제한적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을 위한 BS 는 매크로 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피코 셀을 위한 BS 는 피코 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펨토 셀을 위한 BS 는 펨토 BS 또는 홈 BS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BS들 (110a, 110b 및 110c) 은 각각 매크로 셀들 (102a, 102b 및 102c) 에 대한 매크로 BS들일 수 있다. BS (110x) 는 피코 셀 (102x) 에 대한 피코 BS 일 수 있다. BS들 (110y 및 110z) 은 각각 펨토 셀들 (102y 및102z) 에 대한 펨토 BS들일 수 있다. BS는 하나 또는 다수의 (예를 들어, 3 개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는 또한 릴레이 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릴레이 국은, 업스트림 국 (예를 들어, BS 또는 UE) 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국 (예를 들어, UE 또는 BS) 으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전송하는 국이다. 릴레이 국은 또한, 다른 UE 들을 위한 송신들을 중계하는 UE 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릴레이국 (110r) 은 BS (110a) 와 UE (120r)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BS (110a) 및 UE (120r) 와 통신할 수 있다. 릴레이 국은 또한 릴레이 BS, 릴레이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는 상이한 유형의 BS들, 예를 들어 매크로 BS, 피코 BS, 펨토 BS, 릴레이들 등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들 상이한 유형의 BS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에서 상이한 송신 전력 레벨들,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 및 간섭에 대한 상이한 영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BS는 높은 송신 전력 레벨 (예를 들어, 20 와트) 을 가질 수 있는 반면, 피코 BS, 펨토 BS 및 릴레이들은 더 낮은 송신 전력 레벨 (예를 들어, 1 와트) 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는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동기식 동작에 대해, BS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이한 BS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적으로 대략 정렬될 수도 있다. 동기식 동작에 대해, BS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이한 BS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적으로 대략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 모두에 대해 이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130) 는 BS들의 세트에 커플링하여 이들 BS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130) 는 백홀 (backhaul) 을 통해 BS들 (11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BS들 (110) 은 또한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서로 (예를 들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UE들 (120) (예를 들어, 120x, 120y 등) 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전반에 걸쳐 산재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UE 는 정지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UE는 또한 이동국,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셀룰러 폰, 스마트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무선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태블릿 컴퓨터, 카메라, 게임 디바이스, 넷북, 스마트 북, 울트라 북, 기기, 의료 디바이스 또는 의료 장비, 생체 센서/디바이스, 착용가능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 워치, 스마트 의류, 스마트 안경, 스마트 손목 밴드, 스마트 쥬얼리 (예를 들어, 스마트 반지, 스마트 팔찌 등),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음악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위성 라디오 등), 차량 컴포넌트 또는 센서, 스마트 미터/센서, 산업 제조 장비,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부 UE들은 MTC (machine-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들 또는 eMTC (evolved MTC) 디바이스들로 간주될 수 있다. MTC 및 eMTC UE들은 예를 들어, 로봇들, 드론들, 원격 디바이스들, 센서들, 미터들, 모니터들, 위치 태그들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BS,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원격 디바이스) 또는 일부 다른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예를 들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와이드 영역 네트워크) 에의 접속성 (connectivity) 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UE들은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들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협대역 IoT (NB-IoT)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특정 무선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LTE) 은 다운링크 상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및 업링크 상의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SC-FDM) 을 이용한다. OFDM 및 SC-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K)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하며, 이 서브캐리어들은 일반적으로 톤들, 빈들 등으로도 지칭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으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그리고 SC-FDM 으로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인접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은 고정될 수도 있고, 서브캐리어들의 전체 수 (K) 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들의 간격은 15 kHz 일 수 있고 최소 리소스 할당 ("리소스 블록" (RB) 으로 불림) 은 12 개의 서브캐리어들 (또는 180 kHz) 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칭 고속 푸리에 송신 (FFT) 크기는 각각 1.25, 2.5, 5, 10 또는 20 MHz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128, 256, 512, 1024 또는 2048과 동일할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서브밴드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는 1.8 MHz (즉, 6 개의 리소스 블록들) 를 커버할 수 있고, 1.25, 2.5, 5, 10 또는 20 MHz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 개의 서브밴드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들의 양태들은 LTE 기술들과 연관될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양태들은 NR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NR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상에서 CP를 갖는 OFDM을 이용할 수 있고 TDD를 사용한 반이중 동작에 대한 지원을 포함할 수 있다. 빔포밍이 지원될 수도 있으며 빔 방향이 동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리코딩을 갖는 MIMO 송신들이 또한 지원될 수도 있다. DL 에서의 MIMO 구성들은 UE 당 8개의 스트림 및 2개의 스트림에 이르기까지의 다층 DL 송신들과 함께, 8개의 송신 안테나들에 이르기까지 지원할 수도 있다. UE 당 2개 스트림들에 이르기까지 다층 송신들이 지원될 수도 있다. 다수의 셀들의 집성은 8개의 서빙 셀들에 이르기까지 지원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가 스케줄링될 수 있다. 스케줄링 엔티티 (예를 들어, BS) 는 서비스 영역 또는 셀 내의 일부 또는 모든 디바이스들 및 장비 사이의 통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스케줄링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종속 엔티티들에 대한 리소스들의 스케줄링, 할당, 재구성 및 해제를 담당할 수 있다. 즉, 스케줄링된 통신을 위해, 종속 엔티티는 스케줄링 엔티티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이용한다. 기지국들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 있는 유일한 엔티티들이 아니다. 일부 예들에서, UE는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종속 엔티티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 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고, 다른 UE들은 무선 통신을 위해 UE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는 피어 투 피어 (P2P) 네트워크 및/또는 메시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메시 네트워크 예에서, UE들은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는 것에 더하여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이중 화살표가 있는 실선은 UE와 서빙 BS 사이의 원하는 송신들을 나타내며, 이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에서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BS이다. 이중 화살표를 갖는 미세 파선은 UE 와 BS 사이의 간섭 송신들을 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에서 구현될 수 있는 분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200) 의 예시적인 논리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5G 액세스 노드 (206) 는 액세스 노드 제어기 (ANC) (20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ANC (202) 는 분산형 RAN (200) 의 중앙 유닛 (CU) 일 수 있다. NG-CN (Next Generation Core Network) (204) 에 대한 백홀 인터페이스는 ANC (202) 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인접한 차세대 액세스 노드 (NG-AN들) (210) 에 대한 백홀 인터페이스는 ANC (202) 에서 종료될 수 있다. ANC (202) 는 하나 이상의 TRP들 (208) (예를 들어, 셀들, BS들, gNB들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TRP들 (208) 은 분산 유닛 (DU) 일 수 있다. TRP들 (208) 은 단일 ANC (예를 들어, ANC (202)) 또는 하나 초과의 ANC (도시되지 않음) 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 공유, RaaS (radio as a service) 및 서비스 특정 AND 배치들을 위해, TRP들은 하나 초과의 ANC에 접속될 수도 있다. TRP들 (208) 은 각각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TRP들 (208) 은 개별적으로 (예를 들어, 동적 선택) 또는 공동으로 (예를 들어, 공동 송신) UE에 트래픽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산형 RAN (200) 의 논리적 아키텍처는 상이한 배치 유형들에 걸쳐 프론트홀링 솔루션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논리 아키텍처는 송신 네트워크 능력들 (예를 들어, 대역폭, 레이턴시 및/또는 지터) 에 기초할 수도 있다.
분산형 RAN (200) 의 논리적 아키텍처는 특징 및/또는 컴포넌트를 LTE와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액세스 노드 (NG-AN) (210) 는 NR과의 이중 연결을 지원할 수 있고 LTE 및 NR에 대한 공통 프론트홀을 공유할 수 있다.
분산형 RAN (200) 의 논리적 아키텍처는 예를 들어 TRP 내에서 및/또는 ANC (202) 를 통해 TRP들에 걸쳐서 TRP들 (208) 간의 그리고 그 사이의 협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RP 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논리적 기능들은 분산형 RAN (200) 의 논리적 아키텍처에서 동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PDCP) 계층,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 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및 물리 (PHY) 계층들은 DU (예를 들어, TRP (208)) 또는 CU (예를 들어, ANC (202)) 에 적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분산형 RAN (300) 의 예시적인 물리적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중앙 집중형 코어 네트워크 유닛 (C-CU) (302) 은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을 호스팅할 수도 있다. C-CU (302) 는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최대 용량을 처리하기 위해 C-CU (302) 기능이 (예를 들어, 고급 무선 서비스 (AWS) 로) 오프로드될 수 있다.
중앙 집중형 RAN 유닛 (C-RU) (304) 은 하나 이상의 ANC 기능들을 호스팅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C-RU (304) 는 코어 네트워크 기능을 로컬로 호스팅할 수 있다. C-RU (304) 는 분산 배치를 가질 수 있다. C-RU (304) 는 네트워크 에지에 근접할 수 있다.
DU (306) 는 하나 이상의 TRP들 (에지 노드 (EN), 에지 유닛 (EU), 무선 헤드 (RH), 스마트 무선 헤드 (SRH) 등) 을 호스팅할 수 있다. DU는 무선 주파수 (RF) 기능으로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 (110) 및 UE (120) 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를 도시하며, 이는 본 개시의 양태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120) 의 안테나들 (452), 프로세서들 (466, 458, 464) 및/또는 제어기/프로세서 (480) 및/또는 BS (110) 의 안테나들 (434), 프로세서들 (420, 430, 438) 및/또는 제어기/프로세서 (440) 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기술 및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BS (110) 에서, 송신 프로세서 (420) 는 데이터 소스 (412) 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 (440) 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정보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 (PCFICH), 물리 하이브리드 ARQ 지시자 채널 (PHI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그룹 공통 PDCCH (GC PDC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등을 위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 (420) 는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정보들을 각각 얻기 위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 (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볼 맵) 할 수 있다. 프로세서 (420) 는 또한, 예를 들어, 신호 1 차 동기화 신호 (PSS), 2 차 동기화 신호 (SSS) 및 셀 특정 간섭 신호 (CRS) 를 위한 레퍼런스 심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TX)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프로세서 (430) 는, 적용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 (예를 들어, 프리코딩) 을 수행할 수도 있고, 변조기 (MOD) 들 (432a 내지 432t) 에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 (432) 는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 프로세싱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 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변조기들 (432a 내지 432t) 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 (434a 내지 434t) 을 통해 각각 송신될 수도 있다.
UE (120) 에서, 안테나들 (452a 내지 452r) 은 기지국 (110) 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각각 트랜시버들 (454a 내지 454r) 의 복조기들 (DEMOD) 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 (454) 는 입력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전 및 디지털화) 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는 또한,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한) 입력 샘플들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MIMO 검출기 (456) 는 모든 복조기들 (454a 내지 454r) 로부터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수신된 심볼들에 대한 MIMO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 (458) 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 (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하고, UE (120) 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 (460) 에 제공하며,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 (48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업링크에서, UE (120) 에서, 송신 프로세서 (464) 는 데이터 소스 (462) 로부터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 (480) 로부터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세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 (464) 는 또한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예를 들어,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SRS) 에 대한) 레퍼런스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 (464) 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한 경우 TX MIMO 프로세서 (466) 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또한 (예를 들어, SC-FDM 등을 위한) 트랜시버들 내의 복조기들 (454a 내지 454r)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기지국 (110) 으로 송신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프로세서 (464) 는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의 셀 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빔 트레이닝 모듈을 갖는다. BS (110) 에서, UE (120) 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 (434) 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 (432)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 가능한 경우 MIMO 검출기 (436) 에 의해 검출되고, 그리고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 프로세서 (438) 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 (438) 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 (439) 에 그리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 (440) 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 (440 및 480) 은 각각 BS (110) 및 UE (120) 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도 있다. BS (110) 에서의 프로세서 (4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에 대한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440) 는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로의 DL 통신을 위한 2차 셀의 복구를 보조할 수 있는 2차 셀 복구 모듈을 갖는다. 메모리들 (442 및 482) 은 각각 BS (110) 및 UE (120) 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스케줄러 (444) 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 들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기 위한 예들을 나타낸 도면 (500) 이다. 예시된 통신 프로토콜 스택들은 5G 시스템 (예를 들어, 업링크 기반 이동성을 지원하는 시스템) 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면 (500) 은 RRC 계층 (510), PDCP 계층 (515), RLC 계층 (520), MAC 계층 (525) 및 PHY 계층 (530) 을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예시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프로토콜 스택의 계층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 프로세서 또는 ASIC의 일부, 통신 링크에 의해 연결된 비-병치 디바이스들의 일부,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병치 및 비-병치 구현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AN들, CU들 및/또는 DU들) 또는 UE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 1 옵션 (505-a) 은 프로토콜 스택의 분할 구현을 도시하며, 여기서 프로토콜 스택의 구현은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2의 ANC (202)) 와 분산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2의 DU (208)) 사이에서 분할된다. 제 1 옵션 (505-a) 에서, RRC 계층 (510) 및 PDCP 계층 (515) 은 중앙 유닛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RLC 계층 (520), MAC 계층 (525) 및 PHY 계층 (530) 은 DU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CU 및 DU는 병치되거나 비-병치될 수 있다. 제 1 옵션 (505-a) 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또는 피코 셀 배치에서 유용할 수 있다.
제 2 옵션 (505-b) 은 프로토콜 스택이 단일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프로토콜 스택의 통합된 구현을 도시한다. 제 2 옵션에서, RRC 계층 (510), PDCP 계층 (515), RLC 계층 (520), MAC 계층 (525) 및 PHY 계층 (530) 은 각각 AN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 2 옵션 (505-b) 은 예를 들어 펨토 셀 배치에 유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가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는지에 관계없이, UE는 505-c (예를 들어, RRC 계층 (510), PDCP 계층 (515), RLC 계층 (520), MAC 계층 (525) 및 PHY 계층 (5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할 수 있다.
LTE에서, 기본 송신 시간 간격 (TTI) 또는 패킷 지속기간은 1 ms 서브프레임이다. NR에서, 서브프레임은 여전히 1 ms이지만, 기본 TTI는 슬롯이라고 한다. 서브프레임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가변 개수의 슬롯 (예를 들어, 1, 2, 4, 8, 16, ...개의 슬롯들) 을 포함한다. NR RB는 12 개의 연속 주파수 서브캐리어들이다. NR은 15 KHz의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원할 수 있고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 kHz, 60 kHz, 120 kHz, 240 kHz 등이다. 심볼 및 슬롯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스케일링된다. CP 길이는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존한다.
도 6은 NR에 대한 프레임 포맷 (600) 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각각에 대한 송신 타임라인은 무선 프레임들의 단위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예를 들어, 10 ms) 을 가질 수 있고, 0 내지 9의 인덱스를 갖는 각각의 1 ms의 10 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가변 개수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가변 개수의 심볼 주기들 (예를 들어, 7 또는 14 개의 심볼들) 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의 심볼 주기들에는 인덱스가 할당될 수 있다. 서브-슬롯 구조로 지칭될 수 있는 미니-슬롯은 슬롯 미만 (예를 들어, 2, 3 또는 4 개의 심볼들) 의 지속기간을 갖는 송신 시간 간격을 지칭한다.
슬롯 내의 각각의 심볼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링크 방향 (예를 들어, DL, UL 또는 가요성) 을 나타낼 수 있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링크 방향은 동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링크 방향들은 슬롯 포맷에 기초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DL/UL 데이터 그리고 DL/UL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NR에서, 동기화 신호 (SS) 블록이 송신된다. SS 블록은 PSS, SSS 및 2 개의 심볼 PBCH를 포함한다. SS 블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들 0-3과 같은 고정된 슬롯 위치에서 송신될 수 있다. PSS 및 SSS 는 셀 탐색 및 포착을 위해 UE들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PSS는 하프-프레임 타이밍을 제공할 수 있고, SS는 CP 길이 및 프레임 타이밍을 제공할 수 있다. PSS 및 SSS는 셀 아이덴티티를 제공할 수 있다. PBCH는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 무선 프레임 내의 타이밍 정보, SS 버스트 세트 주기성, 시스템 프레임 번호 등과 같은 일부 기본 시스템 정보를 운반한다. SS 블록들은 빔 스위핑을 지원하기 위해 SS 버스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 (RMSI), 시스템 정보 블록 (SIB), 다른 시스템 정보 (OSI) 와 같은 추가 시스템 정보는 특정 서브프레임들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SS 블록은, 예를 들어, mmW 에 대해 64개까지의 상이한 빔 방향들로, 64개까지 송신될 수 있다. SS 블록의 64개까지의 송신들은 SS 버스트 세트로서 지칭된다. SS 버스트 세트에서의 SS 블록들은 동일한 주파수 영역에서 송신되는 한편, 상이한 SS 버스트 세트들에서의 SS 블록들은 상이한 주파수 위치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2개 이상의 종속 엔티티 (예컨대, UE) 들이 사이드링크 신호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이드 링크 통신들의 현실 세계 애플리케이션들은 공공 안전, 근접 서비스, UE-대-네트워크 릴레잉, V2V (Vehicle-to-Vehicle) 통신, IoE (Internet of Everything) 통신, IoT 통신, 미션 크리티컬 메쉬 및/또는 다양한 다른 적합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이드링크 신호는, 스케쥴링 엔티티가 스케줄링 및/또는 제어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지만, 스케쥴링 엔티티 (예컨대, UE 또는 BS) 를 통해 그 통신을 중계하지 않고 하나의 종속 엔티티 (예를 들어, UE1) 로부터 다른 종속 엔티티 (예를 들어 UE2) 로 전달되는 신호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통상적으로 비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달리) 사이드링크 신호들은 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통신될 수도 있다.
UE는 (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전용 상태 등과 같은) 전용 리소스 세트를 사용하여 파일럿들을 송신하는 것과 연관된 구성 또는 공통 리소스 세트를 사용하여 파일럿들을 송신하는 것과 연관된 구성을 포함한 다양한 무선 리소스 구성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RRC 전용 상태에서 동작할 때, UE는 파일럿 신호를 네트워크로 송신하기 위한 전용 리소스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RRC 전용 상태에서 동작할 때, UE는 파일럿 신호를 네트워크로 송신하기 위한 전용 리소스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UE에 의해 송신된 파일럿 신호는 AN 또는 DU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들 또는 그 일부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각각의 수신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는 공통의 리소스 세트를 통해 송신된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 및 측정하고, 또한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가 UE에 대한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들의 모니터링 세트의 멤버인, UE들에 할당된 전용 리소스 세트를 통해 송신된 파일럿 신호들을 수신 및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들, 또는 수신 네트워크 액세스 디바이스(들)이 파일럿 신호들의 측정들을 송신하는 CU 중 하나 이상은, 측정을 사용하여 UE들에 대한 서빙 셀들을 식별하거나 하나 이상의 UE들에 대한 서빙 셀의 변경을 개시할 수 있다.
2차 셀 ( SCell ) 에 대한 예시적인 복구 메커니즘
5세대 (5G) 무선 기술들과 같은 특정 시스템들에서, 1차 셀 (PCell) (예를 들어, 주파수 범위 1 (FR1)) 및 2차 셀 (SCell) 은 사용자 장비 (UE) 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 (DL) -집중 트래픽을 갖는 시나리오와 같은 일부 경우들에서, SCell 은 순방향 링크 (DL) 만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은 빔 대응 가정을 갖는 SCell (주파수 범위 2 (FR2)) 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태들은 DL에 대해 사용되는 수신 빔이 업링크 (UL) 에 대한 빔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될 수도 있는 빔 상호성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호되는 DL 빔의 결정 시에, DL 빔은 또한 UL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DL 빔은 링크 사용 전에 활성일 수 있다. 따라서, 빔 실패 복구 절차는 UE에서 DL 빔들을 모니터링하고 빔 실패의 검출 시에 기지국 (BS) (예를 들어, gNB) 측에서 송신 구성 표시자 (TCI) -재구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S 는 SCell에 대한 채널 측정들을 (예를 들어, CSI-RS 를 통해) 트리거할 수도 있다.
채널 측정들은 BS 가 SCell DL 을 스케줄링해야 할 때, 또는 빔 실패 시에 트리거될 수도 있다. 그후, UE는 PCell을 통해 상위 n개의 빔 인덱스들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들 (RSRP들) 을 보고하며,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UE는 매체 액세스 제어 (MAC) - 제어 엘리먼트 (CE),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를 통해 빔 인덱스를 보고할 수 있다. UE 보고에 기초하여, BS는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 (700) 을 도시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동작들 (700) 은 UE (120) 와 같은 UE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들 (700) 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컨대, 도 4 의 제어기/프로세서 (480)) 상에서 실행되고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동작들 (700) 에 있어서 UE 에 의한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예컨대, 도 4 의 안테나들 (452)) 에 의해 인에이블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서, US 에 의한 신호들의 송신 및/또는 수신은 신호들을 획득 및/또는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컨대, 제어기/프로세서 (480)) 의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동작들 (700) 은, 블록 (702) 에서는, UE에서, 2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시작하고, 그리고 블록 (704) 에서는,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시작한다. 예를 들어, 블록 (704a) 에서, UE 는 계층 1 (예를 들어, 물리 (PHY) 계층) L1-이벤트를 검출할 수도 있다. L1 이벤트는 일반적으로 현재 활성 빔보다 더 나은 빔으로의 전환이 보장됨을 제안하는 임의의 이벤트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L1 측정은, 예를 들어, 현재 활성 빔과 연관된 열화된 신호 품질을 나타내는 L1 이벤트를 초래하는 기준 신호 (RS) 측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L1 이벤트는 L1 계층에 보고될 수 있고, 더 나은 빔으로의 전환이 보장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UE는 2차 셀에 대한 빔 실패를 검출함으로써 2차 셀에 대해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블록 (704b) 에서, UE 는 1차 셀을 통해, L1-이벤트의 검출의 표시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는 L1 이벤트의 표시를 송신한 이후에 수신될 수 있다.
블록 (706) 에서, UE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고, 블록 (708) 에서, 1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송신한다.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는 1차 셀로의 표시의 송신 전에 수신될 수 있다. 블록 (710) 에서, 데이터는 2차 셀 및 선호되는 빔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특정 양태들에서,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UE에서 최고 품질로 수신된 복수의 빔들 중 하나의 빔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8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 (800) 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동작들 (800) 은 기지국 (110) 과 같은 기지국 (예를 들어, gNB)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들 (800) 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컨대, 도 4 의 제어기/프로세서 (440)) 상에서 실행되고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동작들 (800) 에 있어서 BS 에 의한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예컨대, 도 4 의 안테나들 (434)) 에 의해 인에이블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서, BS 에 의한 신호들의 송신 및/또는 수신은 신호들을 획득 및/또는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컨대, 제어기/프로세서 (440)) 의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동작들 (800) 은, 블록 (802) 에서는,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UE에 의한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시작하고, 그리고 블록 (804) 에서는, 1차 셀을 통해 UE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함으로써 시작한다. 특정 양태들에서, 동작들 (800) 은 또한, 블록 (802a) 에서, 1차 셀을 통해 UE 로부터, L1-이벤트가 검출되었다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는 상기 L1-이벤트의 표시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송신된다. 블록 (806) 에서, 기지국은 UE와의 2차 셀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선호되는 빔에 따라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한다.
도 9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2차 셀 복구를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 (900) 을 예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UE (120) 는 SCell (924) 에 대한 DL 빔포밍 및 송신 구성 표시자 (TCI) 상태 활성화를 위해 PCell (922) 의 지원을 레버리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902) 에서, UE (120) 는 빔 실패를 검출하기 위해 SCell (924) 을 통해 DL에 대해 BS에 의해 구성된 실패 검출 리소스들을 모니터링한다. 빔 실패 (또는 임의의 L1 이벤트) 의 검출 시에, UE (120) 는 빔 실패를 표시하는 메시지 (904) (예를 들어, 빔 실패 복구 요청 (BFRQ)) 를 PCell (922) 을 통해 BS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후, BS는 빔 실패 표시의 수신시 L1-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S는 예시된 바와 같이, L1 보고를 요청하는 PDCCH 트리거 메시지 (906) 를 UE (12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후, UE (120) 는 SCell (924) 과 통신하기 위한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L1-보고 (908) 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선호되는 빔은 SCell (924) 을 통해 송신된 파일럿 신호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파일럿 신호들은 SCell (924) 을 통해 주기적으로 또는 PDCCH 트리거 메시지가 송신된 후에 송신될 수 있다. 그후, BS 는 SCell TCI 상태의 활성화/재구성을 확인하는 메시지 (910) 를 UE (12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블록 (912) 에서, SCell (924) 에 대한 DL 채널이 복구되어, SCell (924) 을 통한 UE 로의 DL 데이터 통신을 허용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은 PDCCH 트리거, 및 후보 빔 요청 및 활성화 확인 메시지들을 구별하기 위한 기법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UE (120) 로부터 SCell (924) 후보 빔들을 요청하는 PDCCH 트리거 메시지 (906) 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해 고유 시퀀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UE (120) 가 PDCCH 트리거 메시지 (906) 를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퀀스는 PDCCH 가 L1 보고의 보고를 트리거하고 있다는 것을 UE (120) 에 표시하며, 이는 SCell에 대한 선호되는 빔을 표시한다. 특정 양태들에서, UE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PDCCH 트리거 메시지 (906) 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정 양태들에서, PDCCH 트리거 메시지 (906) 가 BS에 의해 인코딩되고 UE (120) 에 의해 디코딩되는 탐색 공간은 PDCCH 가 L1 보고의 보고를 트리거하고 있다는 것을 UE에 표시한다.
특정 양태들에서, PDCCH 트리거 메시지 (906) 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에서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은 PDCCH 트리거 메시지 (906) 가 SCell에 대한 선호된 빔의 보고를 요청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PDCCH 트리거 메시지 (906) 를 송신한 후, BS는 PCell을 통해 UE로부터 SCell L1-보고의 수신을 대기한다.
특정 양태들에서, 새로운 TCI 상태의 활성화를 확인하는 메시지 (910) 는 SCell (924) 의 식별자 (또는 SCell과 연관된 임의의 미리 설정된 시퀀스) 로 스크램블링된 셀-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RNTI) 로 어드레싱된 PCell 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특정 양태들에서, UE (120) 는 메시지 (906) 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메시지 (910) 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빔 복구 제어 리소스 세트 (CORSET) (예를 들어, 고유한 또는 별개의 CORSET) 가 메시지 (910) 의 통신을 위해 PCell (922) 에 대해 할당될 수도 있다. 메시지 (910) 는 TCI 상태 활성화의 확인이 SCell (924) 에 대한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 PCell (922) 에서 고유한 MAC-CE 포맷을 갖는 MAC-CE일 수 있다.
도 10 은 도 7 에 예시된 동작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법들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기능식 (means-plus-function) 컴포넌트들에 대응함) 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디바이스 (10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1000) 는 트랜시버 (1008) 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시스템 (1002) 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1008) 는, 예를 들어, 상이한 송신 구성을 갖는 업링크 송신들을 송신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신호들과 같은, 안테나 (1010) 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 (1000) 에 대한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시스템 (1002) 은, 통신 디바이스 (1000) 에 의해 수신 및/또는 송신되는 프로세싱 신호를 포함한, 통신 디바이스 (1000) 를 위한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002) 은 버스 (1006) 를 통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012)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004) 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012) 는, 프로세서 (1004) 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 (1004) 로 하여금, 도 7 에 예시된 동작들, 또는 빔 복구를 위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예를 들어,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 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012) 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1015),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1017),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1019),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 (1021), 및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코드 (1023) 를 저장한다. 특정 양태들에서, 프로세서 (10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012) 에 저장된 코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갖는다. 프로세서 (1004) 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회로 (1014),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회로 (1016),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 (1018),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회로 (1020), 및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회로 (1022) 를 포함한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동작들과 같이 본원에 개시된 기술들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수단 플러스 기능 컴포넌트들에 대응함) 을 포함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 (1100) 를 도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1100) 는 트랜시버 (1108) 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시스템 (1102) 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1108) 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신호들, 예를 들어 수신 업링크 송신들과 같이, 안테나 (1110) 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 (1100) 에 대한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2) 은,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간섭 제어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1100) 에 의해 수신된 및/또는 송신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하여 통신 디바이스 (1100) 에 대한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102) 은 버스 (1106) 를 통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12)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104) 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12) 는 프로세서 (11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 (1104) 로 하여금 도 8에 도시된 동작들, 또는 업링크 송신을 위한 간섭 제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예를 들어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 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12) 는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 (1114),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1116), 및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기 위한 코드 (1118) 를 저장한다. 특정 양태들에서, 프로세서 (11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12) 에 저장된 코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갖는다. 프로세서 (1104) 는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회로 (1115),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회로 (1117), 및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기 위한 회로 (1119) 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양태들
제 1 양태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장비 (UE) 에서, 2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1차 셀을 통해, 상기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셀을 통해 그리고 상기 선호되는 빔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에서, 제 1 양태와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는 복수의 빔들과 연관되고, 선호되는 빔은 UE에서 최고 품질로 수신된 복수의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제 3 양태에서, 제 1 양태 및 제 2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또한,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2차 셀에 대해 수행될 것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1차 셀을 통해, 검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이라는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는 1차 셀로의 표시의 송신 후에 수신된다.
제 4 양태에서, 제 3 양태 및 제 1 및 제 2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또한,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이라는 표시의 송신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제 1 메시지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5 양태에서, 제 3 양태 및 제 1 및 제 2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의 검출은 2차 셀에 대한 빔 실패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6 양태에서, 제 1 내지 제 5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1 메시지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UE에 표시한다.
제 7 양태에서, 제 1 내지 제 6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1 메시지가 디코딩되는 탐색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UE에 표시한다.
제 8 양태에서, 제 1 내지 제 7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1 메시지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을 포함한다.
제 9 양태에서, 제 1 내지 제 8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1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UE에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갖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한다.
제 10 양태에서, 제 1 내지 제 9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또한 송신 구성 상태의 활성화를 확인하는 제 2 메시지를 1차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데이터는 송신 구성 상태에 따라 선호되는 빔을 통해 통신된다.
제 11 양태에서, 제 10 양태 및 제 1 내지 제 9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1차 셀을 통해 수신된 제 2 메시지는 2차 셀과 연관된 셀-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RNTI) 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포함한다.
제 12 양태에서, 제 10 양태 및 제 1 내지 제 9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2 메시지는 1차 셀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통해 수신된다.
제 13 양태에서, 제 10 양태 및 제 1 내지 제 9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또한 제 1 메시지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제 2 메시지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4 양태에서, 제 10 양태 및 제 1 내지 제 9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2 메시지는 송신 구성 상태의 확인을 표시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 (MAC) - 제어 엘리먼트 (CE) 를 포함한다.
제 15 양태에서, 제 14 양태 및 제 1 내지 제 9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데이터는 MAC-CE가 수신된 후 송신 구성 상태에 따라 2차 셀을 통해 통신된다.
제 16 양태에서, 제 15 양태 및 제 1 내지 제 9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MAC-CE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여 미리 설정된 수의 슬롯들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신 구성 상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 17 양태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은,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사용자-장비 (UE) 에 의한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1차 셀을 통해 UE 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2차 셀을 통한 UE 와의 통신을 위해 선호되는 빔에 따라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8 양태에서, 제 17 양태와 조합하여, 방법은 또한, 1차 셀을 통해 UE 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는 표시의 수신에 응답하여 송신된다.
제 19 양태에서, 제 17 내지 제 18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는 단계는 송신 구성 상태의 활성화를 확인하는 제 2 메시지를 1차 셀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 2 메시지는 제 1 메시지의 송신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송신된다.
제 20 양태에서, 제 17 내지 제 19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1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이라는 표시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송신된다.
제 21 양태에서, 제 17 내지 제 20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1 메시지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UE에 표시한다.
제 22 양태에서, 제 17 내지 제 21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1 메시지가 인코딩되는 탐색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UE에 표시한다.
제 23 양태에서, 제 17 내지 제 22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1 메시지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을 포함한다.
제 24 양태에서, 제 17 내지 제 23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1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UE에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갖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한다.
제 25 양태에서, 제 17 내지 제 24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는 단계는 송신 구성 상태의 활성화를 확인하는 제 2 메시지를 1차 셀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6 양태에서, 제 25 양태 및 제 17 내지 제 24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1차 셀을 통해 송신되는 제 2 메시지는 2차 셀과 연관된 셀-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RNTI) 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포함한다.
제 27 양태에서, 제 25 양태 및 제 17 내지 제 24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2 메시지는 1차 셀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통해 송신된다.
제 28 양태에서, 제 25 양태 및 제 17 내지 제 24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 2 메시지는 송신 구성 상태의 확인을 표시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 (MAC) - 제어 엘리먼트 (CE) 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은 방법들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작용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서로 상호교환될 수도 있다. 즉,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으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수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점선들로 흐름도들에 예시된 동작들은 선택적인 특징들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를 나타내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한 그러한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로써,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하고 동일한 엘리먼트의 다수개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a-a, a-a-a, a-a-b, a-a-c, a-b-b, a-c-c, b-b, b-b-b, b-b-c, c-c, 및 c-c-c 또는 a, b, 및 c 의 임의의 다른 오더링) 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결정" 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작용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 은 산출, 계산, 처리, 도출, 조사, 룩업 (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룩업), 확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 (예를 들어, 정보 수신), 액세스 (예를 들어, 메모리의 데이터에서의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 은 해결, 선택, 선출, 확립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양태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손쉽게 분명해질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에 보여진 다양한 양태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청구항의 언어에 부합하는 전체 범위가 부여되어야 하고, 단수형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은, 특별히 그렇게 진술되지 않았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만"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명확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용어 "일부"는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거나 추후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물 전반에 걸쳐 기술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은 본원에 참조로서 명시적으로 포함되며 청구 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어느 것도 그러한 개시가 명시적으로 청구항들에 인용되는지에 상관없이 공중에 바쳐지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엘리먼트가 "수단"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인용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 엘리먼트가 "에 대한 단계"라는 문구를 이용하여 인정되어 있지 않는 한, 어떤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112 (f)의 규정에 따라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수단은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예시된 동작들이 존재하는 경우, 그 동작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가진 대응하는 상대 수단-플러스-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면, 일 예의 하드웨어 구성은 무선 노드에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할 수도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버스를 통해 프로세싱 시스템에 네트워크 어댑터를 접속시키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PHY 계층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도 1 참조) 의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 는 또한 버스에 접속될 수도 있다. 버스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범용 및/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 프로세서들,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회로부를 포함한다. 당업자들은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해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최선의 방법을 인정할 것이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것으로 지칭되든 간에, 명령들, 데이터,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과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실행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프로세싱 및 버스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도 있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은, 전부가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무선 노드와는 별개인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송신 라인, 및/또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캐리어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 또는 그 임의의 부분은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고, 이를 테면, 그 경우는 캐시 및/또는 일반 레지스터 파일들과 함께 있을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예들은 일 예로, RAM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판독 전용 메모리), PROM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레지스터들, 자기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저장 매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수록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러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간에, 그리고 다중 저장 매체들을 가로질러 분포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프로세서와 같은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저장 디바이스에 상주하거나 또는 다중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서 분포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소프트웨어 모듈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할 때 하드 드라이브로부터 RAM 으로 로딩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실행 동안, 프로세서는 액세스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명령들의 일부를 캐시로 로딩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캐시 라인들은 그 후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일반 레지스터 파일로 로딩될 수도 있다. 아래에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성을 참조할 때, 이러한 기능성은 그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 명령들을 실행할 때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 불린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IR),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매체의 정의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포함된다.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예를 들어, 유형의 매체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다른 양태들에 대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예를 들어, 신호)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정의 양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들을 저장 (및/또는 인코딩) 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은 도 7 및 8에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적용가능한 대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드 및/또는 다르게는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 또는 제공 시에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저장 수단 (예를 들어, RAM, ROM, 물리적 저장 매체, 이를 테면 콤팩트 디스크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 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상기 예시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상기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상세들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행해질 수도 있다.

Claims (30)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 (UE) 에서, 2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1차 셀을 통해, 상기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셀을 통해 그리고 상기 선호되는 빔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는 복수의 빔들과 연관되고, 상기 선호되는 빔은 상기 UE에서 최고의 품질로 수신된 상기 복수의 빔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상기 2차 셀에 대해 수행될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셀을 통해,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이라는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1차 셀로의 표시의 송신 후에 수신되는,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이라는 상기 표시의 송신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인지 여부의 검출은, 상기 2차 셀에 대한 빔 실패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상기 UE에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디코딩되는 탐색 공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상기 UE에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상기 UE에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갖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 구성 상태의 활성화를 확인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1차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송신 구성 상태에 따라 상기 선호되는 빔을 통해 통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셀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2차 셀과 연관된 셀-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RNTI) 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1차 셀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상기 제 2 메시지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송신 구성 상태의 확인을 표시하는 MAC-CE (medium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MAC-CE가 수신된 후에 상기 송신 구성 상태에 따라 상기 2차 셀을 통해 통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MAC-CE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또는 미리 설정된 수의 슬롯들 이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기 송신 구성 상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7.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사용자-장비 (UE) 에 의한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UE 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셀을 통한 UE 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선호되는 빔에 따라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표시의 수신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구성 상태의 활성화를 확인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1차 셀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제 1 메시지의 송신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들이 수행될 것이라는 상기 표시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동안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상기 UE에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인코딩되는 탐색 공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상기 UE에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보고하도록 상기 UE에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갖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구성 상태의 활성화를 확인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1차 셀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셀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2차 셀과 연관된 셀-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RNTI) 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1차 셀의 제어 리소스 세트를 통해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송신 구성 상태의 확인을 표시하는 MAC-CE (medium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9.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 2차 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1차 셀을 통해, 상기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되는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랜시버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상기 1차 셀을 통해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2차 셀을 통해 그리고 상기 선호되는 빔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는:
    1차 셀을 통해, 2차 셀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의 사용자-장비 (UE) 에 의한 보고를 트리거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1차 셀을 통해 상기 UE 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빔을 표시하는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셀을 통한 상기 UE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선호되는 빔에 따라 송신 구성 상태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217020163A 2019-01-03 2019-12-27 2차 셀의 빔 실패 복구 메커니즘 KR20210110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87937P 2019-01-03 2019-01-03
US62/787,937 2019-01-03
US16/727,678 2019-12-26
US16/727,678 US11018750B2 (en) 2019-01-03 2019-12-26 Recovery mechanism for secondary cell
PCT/US2019/068744 WO2020142375A1 (en) 2019-01-03 2019-12-27 Beam failure recovery mechanism for secondary c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594A true KR20210110594A (ko) 2021-09-08

Family

ID=7140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163A KR20210110594A (ko) 2019-01-03 2019-12-27 2차 셀의 빔 실패 복구 메커니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11018750B2 (ko)
EP (1) EP3906729A1 (ko)
JP (1) JP2022516626A (ko)
KR (1) KR20210110594A (ko)
CN (1) CN113273253B (ko)
BR (1) BR112021012656A2 (ko)
SG (1) SG11202106962VA (ko)
WO (1) WO2020142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62177B1 (en) 2016-12-20 2023-04-1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1018750B2 (en) 2019-01-03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Recovery mechanism for secondary cell
US11240863B2 (en) 2019-01-11 2022-02-01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transmission configuration updating
KR20230050367A (ko) * 2020-09-15 2023-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보고 방법 및 장치
US11736341B2 (en) * 2021-02-05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indications between sidelink user equipment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20467A4 (en) * 2007-02-08 2015-02-11 Fujitsu Ltd BASIC STATION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ELL SELECTION COMMUNICATION METHOD
US8934395B2 (en) * 2008-10-24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network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396280B (zh) * 2009-04-09 2013-04-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演进基站及终端设备
US8548511B2 (en) * 2010-06-21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Energy saving mode with maintained number of advertised transmit antennas
US8837304B2 (en) * 2011-04-08 2014-09-16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multi-group communications
US20160242182A1 (en) * 2015-02-12 2016-08-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electing uplink transmit antenna in multiple connectivity wireless communications
US11356956B2 (en) 2015-06-20 2022-06-07 Ofinno, Llc Uplink power control in a wireless device
US10542545B2 (en) * 2017-02-06 2020-01-21 Mediatek Inc. Beam failure recovery mechanism for multi-beam operation
KR20190120373A (ko) 2017-03-09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80269956A1 (en) 2017-03-14 2018-09-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beam management
EP3603183A1 (en) * 2017-03-24 2020-0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0603894A (zh) 2017-05-03 2019-12-20 Idac控股公司 波束恢复机制
CN108810922B (zh) * 2017-05-03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终端、基站
CN108882327B (zh) * 2017-05-15 2020-06-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处理方法、辅基站失败处理方法及终端
WO2018237400A1 (en) * 2017-06-23 2018-12-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UNIFIED RLF DETECTION, MULTI-BEAM RLM AND BFR MECHANISMS WITH FULL DIVERSITY
CN111149306A (zh) 2017-08-09 2020-05-12 Idac控股公司 用于波束恢复和管理的方法和系统
US11291068B2 (en) * 2017-08-11 2022-03-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EP3711371B1 (en) * 2017-11-14 2022-07-27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network assisted transmission with multiple component carriers
KR102343136B1 (ko) * 2017-11-16 2021-12-27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대역폭 부분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리포트
US11212860B2 (en) * 2017-11-29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beam candidates for transmitting beam failure recovery signal
US11050478B2 (en) * 2017-12-19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port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JP7157513B2 (ja) 2017-12-27 2022-10-20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US11115892B2 (en) 2018-02-15 2021-09-07 Ofinno, Llc Beam failure information for radio configuration
PL3780852T3 (pl) * 2018-03-28 2023-07-2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Sposób przesyłania informacji i urządzenie do przesyłania informacji
EP4239905A3 (en) * 2018-03-30 2023-10-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CA3038779A1 (en) 2018-04-02 2019-10-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L3777288T3 (pl) 2018-04-13 2024-02-19 Nokia Technologies Oy Grupowanie komórek do zarządzania wiązką
WO2020026027A1 (en) * 2018-08-03 2020-02-06 Lenovo (Singapore) Pte. Ltd. Indicating radio capability changes in an inactive state
CA3060803A1 (en) * 2018-10-31 2020-04-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management for cel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018750B2 (en) 2019-01-03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Recovery mechanism for secondary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6729A1 (en) 2021-11-10
WO2020142375A1 (en) 2020-07-09
US11552694B2 (en) 2023-01-10
JP2022516626A (ja) 2022-03-01
SG11202106962VA (en) 2021-07-29
US20210351836A1 (en) 2021-11-11
US10992369B2 (en) 2021-04-27
US20200220609A1 (en) 2020-07-09
US20200220608A1 (en) 2020-07-09
CN113273253A (zh) 2021-08-17
US11018750B2 (en) 2021-05-25
CN113273253B (zh) 2024-05-14
BR112021012656A2 (pt) 2021-09-08
US20230122288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89888B (zh) 切换中的配置增强
EP3656171B1 (en) Beam indication during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ocedure
EP3527034B1 (en) Multi-stage channel reservation signal for directio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14142904B (zh) 用于移动性的同步信号传输
EP3711360B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reduce ue capability information message size
CN110999197B (zh) 在新无线电中复用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和同步信号
KR20210025045A (ko) Srs 리소스 구성 향상들
CN112088500A (zh) 对控制资源集(coreset)的信号通知
WO2020147120A1 (en) Early measurement reporting
CN111345001A (zh) 针对新无线电中的带宽部分的控制平面设计
KR102302648B1 (ko) 새로운 라디오에서의 동기화 신호들과 페이징 신호들의 멀티플렉싱
CN112292906A (zh) 集成接入和回程(iab)网络中随机接入信道(rach)资源中的冲突避免
EP3759989B1 (en) Power ramping for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eamble transmissions with beam switching
WO2021011133A1 (en) Considerations on beam failure detection and recovery with multiple transmitter receiver points
KR20210023897A (ko)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커버하기 위해 의사-코로케이션 (qcl) 시그널링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52694B2 (en) Recovery mechanism for secondary cell
CN110603761B (zh) 通过不同模式中的dmrs/pbch的定时指示
KR102337610B1 (ko) 보충 업링크 캐리어로의 효율적인 데이터 스케줄링
CN110506447B (zh) 基于可靠性和时延目标的调度请求复用
WO2019074695A1 (en) ADDITIONAL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S
WO2020243649A1 (en) Delayed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transmission
KR20200083493A (ko) 업링크 특정 백오프 표시자
WO2022216390A1 (en)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petition counting during dual active protocol stack (daps) handover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