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482A - 감압시트 - Google Patents

감압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482A
KR20210110482A KR1020200025622A KR20200025622A KR20210110482A KR 20210110482 A KR20210110482 A KR 20210110482A KR 1020200025622 A KR1020200025622 A KR 1020200025622A KR 20200025622 A KR20200025622 A KR 20200025622A KR 20210110482 A KR20210110482 A KR 20210110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k
sheet
sensitive sheet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862B1 (ko
Inventor
정기열
박재용
Original Assignee
정기열
박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열, 박재용 filed Critical 정기열
Priority to KR102020002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8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124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using pressure to make a masked colour visible, e.g. to make a coloured support visible, to create an opaque or transparent pattern, or to form colour by uniting colour-form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가압물 및 피가압물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 분포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감압시트는, 일면에 잉크가 도포된 잉크시트, 잉크가 도포된 잉크시트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지, 및 표시지의 내면에 형성되는 경화된 핫멜트층을 포함하고, 감압시트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압력 분포에 의해서 핫멜트층으로 잉크가 부분적으로 전이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압시트 {PRESSURE INDICATION SHEET}
본 발명은 압력의 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감압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감압시트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5216호는 세트로 제공되는 감압시트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 감압시트는 상면에 잉크가 도포 된 감압지 및 그 상부에 배치되며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필름을 하나의 세트로 제공하고 있다. 상기 감압시트는 외부 압력의 강도가 투명필름에 표시되도록 하며, 압력이 표시된 투명필름을 앨범 등에 붙여서 오래기간 보호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투명필름에 표시된 잉크는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우며, 반드시 유색 배경을 뒤에 받쳐야 표시된 압력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잉크가 표시된 투명필름에서 접착제가 외부로 그냥 노출되기 때문에, 투명필름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없으며, 반드시 다른 보존지나 다른 평면에 해당 투명필름을 붙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감압시트 자체가 가압물(또는 지그)에 의한 압력이 피가압물에 의도적으로 분포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감압시트로 압력 분포를 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압물을 수정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감압시트 방식으로는 좌우 이미지 결과가 바뀌게 되어 가압물을 수정하는 경우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경지를 하나의 세트로 제공하며, 잉크의 표시와 함께 압력 분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감압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표시지 등에 점착력을 부여하지 않아 투명필름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며, 다른 물품에 부착할 필요가 없는 감압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그(JIG) 등의 가압물을 용이하게 수정함에 있어서 그 사용이 편리한 감압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탄성을 가지는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상황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한 표면 질감을 적용할 수 있는 감압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 양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감압시트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물 및 피가압물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 분포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감압시트는, 일면에 잉크가 도포된 잉크시트, 잉크가 도포된 잉크시트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지, 및 표시지의 내면에 형성되는 경화된 핫멜트층을 포함하고, 감압시트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압력 분포에 의해서 핫멜트층으로 잉크가 부분적으로 전이될 수 있다.
잉크가 전이되기 이전 및 이후에 핫멜트층은 경화된 상태를 유지하여, 핫멜트층은 기본적으로 감압시트를 다른 물품에 점착시킬 수 있는 점착력을 제공하지 않을 용도로 제공된다.
다만, 가압물 및 피가압물 사이에서 감압시트가 국부적으로 가압될 때, 가압물에 의해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해당 영역만 주변에 비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고, 해당 영역에서 핫멜트층은 상변화를 일으키거나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부분적으로 잉크가 확산 또는 전이되기 쉬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핫멜트층은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잉크를 표시하기 이후와 같이 평소에는 점착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잉크 표시 이후에 접착제와 같이 점착력을 유지하면 표시지 단독으로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점착력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은 잉크의 전이가 일어날 정도의 점착력을 의미할 수 있다. 핫멜트층은 열에 따라 점착력을 가질 수 있는데, 주변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아주 미비하게 점착력을 가질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시트의 타면에 배치되어 잉크가 전이된 핫멜트층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보호표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호표지는 잉크시트를 표시지로부터 분리한 후, 잉크 표시된 면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보호표지는 핫멜트층과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며, 수시로 열어 개방할 수 있고, 수시로 열어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반드시 투명일 필요는 없다.
잉크가 도포된 면을 마주하는 핫멜트층의 내면에 이형지가 더 제공될 수 있으며, 잉크시트 또는 표시지는 감압시트의 고정된 일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여, 잉크 표시를 완료한 이후에 절취선을 경계로 잉크시트 또는 표시지를 감압시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핫멜트층은 탄성을 가지는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상황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한 표면 질감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감압시트는 잉크시트를 중심으로 상면에 표시지가 제공되고, 저면에 보호표지가 하나의 세트로 제공될 수가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뒤집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하나의 세트로 제공되는 감압시트는 일 모서리가 고정된(stapled) 상태로 제공될 수가 있으며, 그 크기 등은 가압물이나 피가압물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감압시트가 세트로 제공되는 경우, 잉크시트와 표시지는 서로 면접하게 되는데, 잉크시트의 잉크와 표시지의 핫멜트층이 미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형지가 제공될 수 있다.
잉크시트를 사용한 이후에는 표시지의 표시 기록만 남기기 위해 잉크시트나 표시지를 분리할 필요가 있으며, 일 예로 잉크시트 또는 표시지는 고정된 상기 일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해당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절취선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고, 표시지에 압력 정도가 표시된 이후에 잉크시트 또는 표시지를 감압시트로부터 분리하여 표시 기록된 표시지만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시트는 표시지에 핫멜트층을 형성한 하나의 세트로 제공하며, 표시지에 표현된 압력 분포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시트는 표시지 등에 점착력을 부여하지 않아 투명필름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며, 다른 물품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물론, 표면 보호를 위해서 개폐가 가능한 상태의 투명한 보호표지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압시트는 지그(JIG) 등의 가압물을 용이하게 수정함에 있어서 그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감압시트는 핫멜트층의 탄성을 가지는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상황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한 표면 질감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감압시트에 잉크 표시를 하고 나서 해당 표면에 원하는 표시나 문자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의 감압시트는 경화된 핫멜트층을 이용하기 때문에 주요 위치나 관련된 문자 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접착제가 있어 해당 표면에는 어떠한 기록도 할 수 없고, 투명필름에 표시하기 위해서라도 보존지나 다른 물품에 부착한 이후라야 문자 등의 기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압시트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양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감압시트를 이용하여 압력 및 그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제 감압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감압시트를 이용하여 압력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지그를 이용하여 감압시트에 가압하는 과정 및 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감압시트를 이용하여 압력 및 그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감압시트를 이용하여 압력 및 그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제 감압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4는 도 3의 감압시트를 이용하여 압력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압시트(100)는 잉크시트(110), 표시지(120), 핫멜트층(130) 및 보호표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시트(110)는 기존의 감압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대체 가능한 감압 용도의 용지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시트(110)의 주요 잉크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또는 압력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일 예로 잉크시트(110)의 잉크(112)는 적색 잉크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지(120)는 잉크시트(110)의 상부에 제공되고, 보호표지(140)의 잉크시트(11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표시지(120)의 저면에는 핫멜트층(130)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핫멜트층(130)은 잉크시트(110)의 잉크(112)와 접하도록(face) 바라보는 면에 제공될 수 있다.
핫멜트층(130)은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잉크(112)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으로 가해지는 압력의 강도를 표시한 이후에도 표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잉크(112)가 전이되기 이전 및 이후에 핫멜트층(130)은 경화된 상태를 유지할수 있다. 따라서, 핫멜트층(130)은 기본적으로 감압시트(100)를 다른 물품에 점착시킬 수 있는 점착력을 제공하지 않을 목적을 가지며, 이러한 관점에서 상술한 종래 기술과 구분될 수 있다.
다만, 가압물(ex. JIG) 및 피가압물(ex. product) 사이에서 감압시트(100)가 국부적으로 가압될 때, 가압물에 의해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해당 영역만 주변에 비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고, 해당 영역에서 핫멜트층(130)은 일시적으로 상변화를 일으키거나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부분적으로 접하고 있는 잉크(112)가 확산 또는 전이되기 쉬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핫멜트층(130)은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잉크(112)를 표시하기 이후에는 점착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 표시 이후에 필름으로 바로 덮어 보호할 필요가 없으며, 외부 공기와 접하여도 그 자체만으로 유효한 보존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감압시트(100)에 잉크 표시를 하고 나서 해당 표면에 원하는 표시나 문자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잉크 표시 이후의 경화된 핫멜트층(130) 상에도 주요 위치나 관련된 문자 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잉크로 표시된 면에서 접착제가 노출되기 때문에 해당 표면에서는 어떠한 기록도 할 수 없고, 그 배면에 표시를 하고자 하여도 투명필름에 보존지나 다른 물품을 부착한 이후라야 문자 등의 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핫멜트층(130)은 탄성을 가지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가공 조건에 따라 해당 표면을 다양한 표면 질감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핫멜트층(130)의 표면에 바로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감압시트(100)에서 잉크시트(110), 표시지(120) 및 보호표지(140)가 하나의 세트로 제공될 수가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모서리가 고정된(stapled) 상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물론,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크기에 따라 감압시트(100)의 크기 및 모양은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잉크(112) 역시 단층이 아닌 복수의 층 및 다양한 잉크로 제공될 수가 있다.
감압시트(100)가 하나의 묶음으로 제공되는 경우, 잉크시트(110)의 일면과 표시지(120)의 내면이 서로 면접하게 되는데, 잉크시트(110)의 잉크(112)와 표시지(120)의 핫멜트층(130)이 미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핫멜트층(130)의 아래 표면으로 이형지(13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잉크시트(110), 표시지(120) 및 보호표지(140)는 좌측 일 모서리가 묶음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표시지(120)의 저면에는 핫멜트층(130)과 이형지(132)가 차례로 제공된다. 그리고, 감압시트(100)의 사용을 위해 이형지(132)를 제거하고, 이형지(132)가 제거된 표시지(120)를 덮고, 해당 감압시트를 피가압물 상에 올려 놓거나 부착시킬 수 있다(a).
가압물 등을 이용하여 이형지(132)가 제거된 가압시트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압력은 그 위치에 따라 다양한 세기 또는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압력은 동시에 또는 일정 시차를 두고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압력의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해당 부분에서는 잉크(112)가 핫멜트층(130)으로 부분적으로 전이될 수 있고, 전이된 잉크에 따라 핫멜트층(130)에도 색, 농도, 면적, 침투 깊이 등을 달리하는 다양한 표시 기록(15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물의 목적 표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표시했다고 판단되면, 잉크시트(110)를 감압시트(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c). 본 실시예에서 잉크시트(110)의 좌측 모서리를 따라 절취선(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선(114)을 따라 고정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잉크시트(110)를 분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절취선을 표시지에 형성하고, 표시지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잉크시트(110)를 분리한 이후로, 보호표지(140)으로 표시 기록(150)이 표현된 핫멜트층(130)의 상면을 덮어 차단할 수 있다(d). 다만, 이때의 핫멜트층(130)은 다시 경화된 상태로서 다른 물품을 부착할 수 있을 정도의 점착력을 제공하지 않으며, 보호표지(140)를 수시로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투명필름이 접착제에 의해서 강하게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투명필름 밀착에 의한 영구 보존과는 다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감압시트에서는 표시 기록이 있는 표면으로부터 투명필름을 분리하기가 어렵고, 투명필름을 붙이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투명필름을 기포 없이 붙이는 과정도 매우 불편할 수가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보호표지(140)는 표시 기록(150)을 단순히 덮어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만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피가압물 상에 감압시트(100)가 올려진 상황을 고려할 수 있으며, 감압시트(100)의 상면으로 표시지(120)가 최상층에 위치할 수 있다(①). 가압물에 의해서 J-자 형상으로 가압된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표시지(120)의 상면으로 가압영역(122)이 형성될 수 있다(②). 참고로, 사진에서는 펜을 이용하여 가압된 상황을 가정하였지만, 다른 경우에서는 가압영역(122)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압력 표시를 완료한 후에, 표시지(120)를 열어 젖히면, 표시지(120)의 내면으로 핫멜트층(130)이 보이고, 핫멜트층(130)에 표시 기록(150)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③). 그리고, 잉크시트(110)를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감압시트(100)로부터 분리한다.
잉크시트(110)를 분리한 후, 보호표지(140)를 덮어 뒤집으면, 표시지(120)의 내면으로 J-자 형상의 표시 기록(150)이 뒤집어진 상태로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호표지(140)는 핫멜트층(130)에 접착되지 않고, 단순히 덮어 보관한다(④).
도 5 내지 도 7은 지그를 이용하여 감압시트에 가압하는 과정 및 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압시트(100)가 피가압물(미도시)의 표면에 올려져 있다고 가정하고, 가압물(50)에는 JIG 글자 형상의 돌출부(60)가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A)는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B)는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가압물(50)에 의해서 감압시트(100) 상에 돌출부(60)에 대응하는 가압영역(122)이 표시지(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③, ④와 같이, 표시지(120)를 뒤집어 핫멜트층(130) 및 표시 기록(150)이 보이도록 한 경우, 가압영역(122)의 형상이 좌우 대칭으로 뒤집어져 보인다.
감압시트(100)는 이는 가압물(50)에 의한 압력 분포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압력 분포에 따라 가압물(50)의 돌출부(60)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를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시트를 이용하여, 압력 분포를 측정하고, 가압물(50)의 수정을 위해 돌출부(60)가 보이도록 가압물(50)을 뒤집은 상태를 가정할 수 있다.
상부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압시트에서 표시 기록(150)이 좌우 대칭으로 뒤집혀 있기 때문에, 돌출부(60)를 보는 방향과 동일하게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를 바꿔 고려할 필요 없이 문제가 있는 영역을 바로 찾을 수가 있다.
반면에, 하부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감압시트에서 투명필름(20)에 표시 기록(23)이 바로 보일 수 있으며, 투명필름(20)을 뒤집을 필요가 없다. 하지만, 돌출부(60) 상태를 보기 위해서 가압물(50)을 뒤집게 되면, 돌출부(60)의 형상과 감압시트의 표시 기록(23)이 좌우로 뒤집혀 문제가 있는 영역을 바로 찾을 수가 없다. 만약 종래 기술에 따른 감압시트를 뒤집으면 저면에는 보존지가 있어서 내용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감압시트를 이용하여 압력 및 그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압시트(101)는 투명필름 없이 잉크시트(110) 및 표시지(120)만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잉크시트(110)는 주요 잉크면이 위를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잉크(112)는 적색 잉크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지(120)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잉크시트(110)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고, 표시지(120)의 상면에는 핫멜트층(130) 및 이형지(13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이형지(132)를 제거한 후(a), 바로 대상의 목적 표면에 감압시트(101)를 올려 놓고 압력을 표시할 수 있다(b). 해당 부분에서는 잉크(112)가 압력의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핫멜트층(130)으로 전이될 수 있고, 전이된 잉크는 핫멜트층(130)에서 색, 농도, 면적, 침투 깊이 등을 달리하여 표시 기록(150)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 기록을 완료한 후, 사용자는 절취선(114)을 따라 잉크시트(110)를 바로 제거할 수 있다(c). 본 실시예에서 투명필름을 들어올리거나 다시 덮을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압력 표시를 완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화된 핫멜트층(130)을 이용함으로써 투명필름 없이도 표시 기록(150)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 핫멜트층(130)의 탄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핫멜트층(1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 표면에 다양한 질감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핫멜트층(130)은 잉크시트(110)를 제거한 이후에 끈적임이 없거나 있어도 거의 제공하지 않으며, 그 자체만으로도 잉크에 대한 보존력을 가진다. 따라서, 투명 보호표지 없이도 표시지만으로 보존 및 사용이 가능하며, 매번 보호표지를 덮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극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1 : 감압시트 110 : 잉크시트
120 : 표시지 130 : 핫멜트층
132 : 이형지 140 : 보호표지

Claims (7)

  1. 가압물 및 피가압물 사이에 개재되어 압력 분포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감압시트에 있어서,
    일면에 잉크가 도포된 잉크시트;
    상기 잉크가 도포된 상기 잉크시트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지; 및
    상기 표시지의 내면에 형성되는 경화된 핫멜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시트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압력 분포에 의해서 상기 핫멜트층으로 상기 잉크가 부분적으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가 전이되기 이전 및 이후에 상기 핫멜트층은 경화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핫멜트층은 상기 감압시트를 다른 물품에 점착시킬 수 있는 점착력을 제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물 및 상기 피가압물 사이에서 상기 감압시트가 국부적으로 가압될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핫멜트층은 부분적으로 상기 잉크가 확산 또는 전이되기 쉬운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층은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가 도포된 면을 마주하는 상기 핫멜트층의 내면에 이형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시트 또는 상기 표시지는 상기 감압시트의 고정된 일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며, 상기 절취선을 경계로 상기 감압시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시트의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잉크가 전이된 상기 핫멜트층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보호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표지는 상기 핫멜트층과 점착력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시트.
KR1020200025622A 2020-02-28 2020-02-28 감압시트 KR10235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622A KR102352862B1 (ko) 2020-02-28 2020-02-28 감압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622A KR102352862B1 (ko) 2020-02-28 2020-02-28 감압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82A true KR20210110482A (ko) 2021-09-08
KR102352862B1 KR102352862B1 (ko) 2022-01-19

Family

ID=7778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622A KR102352862B1 (ko) 2020-02-28 2020-02-28 감압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85Y1 (ko) * 2022-03-19 2022-05-12 정기열 감압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272A (ja) * 2001-05-17 2002-11-27 Daiken Trade & Ind Co Ltd 木質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59232A (ja) * 2003-08-13 2005-03-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圧着葉書用紙
JP2006103112A (ja) * 2004-10-04 2006-04-20 Bando Chem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用マーキ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2481Y1 (ko) * 2012-02-24 2012-09-12 엄장수 클린룸용 먼지 제거 패드
KR20170012049A (ko) * 2015-07-23 2017-02-02 김재봉 감압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272A (ja) * 2001-05-17 2002-11-27 Daiken Trade & Ind Co Ltd 木質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59232A (ja) * 2003-08-13 2005-03-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圧着葉書用紙
JP2006103112A (ja) * 2004-10-04 2006-04-20 Bando Chem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用マーキ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2481Y1 (ko) * 2012-02-24 2012-09-12 엄장수 클린룸용 먼지 제거 패드
KR20170012049A (ko) * 2015-07-23 2017-02-02 김재봉 감압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85Y1 (ko) * 2022-03-19 2022-05-12 정기열 감압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862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2162A1 (en) Printable Cover Systems for Articles
US5103583A (en) Protected print label
KR102352862B1 (ko) 감압시트
KR101391037B1 (ko) 바코드, 문자, 이미지용 라벨 및 바코드, 문자, 이미지 형성방법
KR101785216B1 (ko) 감압시트
US6540073B1 (en) Sales packaging
JP2009078863A (ja) 容器識別装置
KR20090021078A (ko) 첩부시트
JP4737616B2 (ja) 鑑識用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625903U (zh) 感压纸
US2970043A (en) Transparent characters with spacing aid
US3767038A (en) Composite label and battery package
EP2407316B1 (en) Note pad containing carbonless color-developing material
JP2525117Y2 (ja) タイムインジケーター
JP2003280524A (ja) タグ及びタグ付き容器
US8555943B2 (en) Method for printing individual labels
KR101461420B1 (ko) 식음료 용기의 표식용 모듈
JPS6374680A (ja) プリンタ用o.h.pシ−ト
KR200495385Y1 (ko) 감압시트
US9038818B1 (en) Device and method for sanitary can packaging
JP2000272660A (ja) ゴルフボ−ル包装体
JPH042066Y2 (ko)
TWM586219U (zh) 感溫變色貼紙之結構
JPH0734446Y2 (ja) 表面にラミネート層を形成できるラベル
JP3047758U (ja) ジグソーパ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