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126A -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126A
KR20210110126A KR1020200041493A KR20200041493A KR20210110126A KR 20210110126 A KR20210110126 A KR 20210110126A KR 1020200041493 A KR1020200041493 A KR 1020200041493A KR 20200041493 A KR20200041493 A KR 20200041493A KR 20210110126 A KR20210110126 A KR 20210110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service
context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형
김정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US17/144,75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270624A1/en
Priority to CN202110218619.XA priority patent/CN113326446A/zh
Publication of KR2021011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의 맥락 정보을 이용하여 컨텐츠 생성시와 유사한 경험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서비스에 대한 활동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비스를 통해 게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단말에서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의 생성시와 유사한 환경이 형성되는 시점에 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XTUAL INFORMATION BASED SERVICE}
본 발명은 컨텐츠의 맥락 정보을 이용하여 컨텐츠 생성시와 유사한 경험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특정할 수 있는 주소나 명칭을 알고 있어야 텍스트 기반의 검색을 통해 목적지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게시물 등 컨텐츠를 열람하던 중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체험을 직접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게시물이나 항목에서 위치 정보를 직접 찾거나 검색해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입력해야 한다.
이는 곧 사용자가 SNS 등에서 좋아하는 풍경, 장소 등의 맥락 정보(contextual information)와 단절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컨텐츠를 직접 경험하고자 할 경우, 해당 위치와 장소 등의 부가 정보를 검색하고 별도로 입력하는 등의 수고를 더하지 않으면 디지털(Digital) 경험과 현실(Actual) 경험이 단절될 수밖에 없다.
예컨대, 사용자가 SNS 상에서 특정 시간대에만 볼 수 있는 풍경 사진을 보고, 해당 장소에서 풍경 사진과 같은 광경을 직접 육안으로 체험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해당 게시물의 제목이나 부가 입력된 텍스트를 통해 목적지를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지점을 목적지로 설정할 수는 있겠으나 불편한 검색 및 목적지 입력 과정을 거쳐야 하며, 목적지에 도착한다고 해도 도착 시점에 해당 컨텐츠와 유사한 체험이 가능할지 여부도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컨텐츠 기반으로 목적지를 설정함에 있어서 단순 길안내가 아닌 컨텐츠와 유사한 오프라인 경험을 도와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컨텐츠로부터 맥락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컨텐츠와 유사한 체험이 가능하도록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서비스에 대한 활동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비스를 통해 게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단말에서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의 생성시와 유사한 환경이 형성되는 시점에 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1 서비스에 대한 활동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비스를 통해 게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제1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제2 서버; 및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의 생성시와 유사한 환경이 형성되는 시점에 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보다 편리한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컨텐츠로부터 맥락 정보를 추출하여, 추천 경로는 물론 출발 시간까지 안내하므로, 안내를 따라 출발할 때 해당 컨텐츠와 유사한 체험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풍경 컨텐츠 관련 서비스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시설 컨텐츠 관련 서비스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의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컨텐츠와 유사한 체험을 직접 할 수 있도록 해당 컨텐츠의 체험 가능 장소에 대한 경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시스템)나 서비스 제공 방법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용어를 정의한다.
컨텐츠의 체험 가능 장소라 함은, 컨텐츠 게시자가 특정 장소에서 촬영 장치로 촬영을 통해 생성한 동영상이나 사진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경우, 촬영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게시자가 식당에서 식사, 놀이 공원 이용, 상점 구매, 공연 관람 등 특정 시설을 이용하는 과정이나 그 전후의 상황에 대한 컨텐츠일 경우, 체험 가능 장소는 해당 시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음향,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적어도 위치의 특정은 가능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게시물일 수도 있고, 특정 업종에 대한 매장별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정보 중 특정 매장에 해당하는 항목일 수도 있으며, 포털 사이트의 특정 위치에 대한 평가 정보에 해당하는 항목일 수도 있고, 채팅 어플리케이션 등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 항목일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는 형태와 무관하게 적어도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이나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안내 목적지로 설정될 수 있는 위치를 도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보는 직접적인 위치 도출이 가능한 GPS 좌표 정보나,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통한 위치 도출이 가능한 상호 정보, 지명 정보, 전화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GPS 좌표 정보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사진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나 지도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상호 정보, 지명 정보, 전화 번호 등은 게시물에 포함된 텍스트나 태깅 정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게시 서버(100), 커넥티드 카 서비스 서버(200), 차량 단말(300, 예컨대, AVNT: Audio/Video/Navigation Terminal)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컨텐츠 게시 서버(100)는 사진, 영상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저장 및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열람이 가능하도록 게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진이나 영상과 같이 보여지는 정보 이외에, 해당 컨텐츠가 생성된 맥락 정보, 예컨대, 생성 위치, 생성 날짜 및 시간, 경로 등을 소정 형태로 보유할 수 있다. 맥락 정보의 보유 형태로는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의 헤더 등에 저장되는 메타 데이터(meta data)일 수도 있고, 태그(tag) 데이터 형태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게시 서버(100)는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나 특정 장소나 업장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는 서버, 포털 사이트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티드 카 서비스(Connected Car Service, 이하 편의상 "CCS"라 칭함) 서버(200)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계정과 차량, 즉, 차량 단말(300)을 인증을 통해 연동할 수 있다. 또한, CCS 서버(200)는 차량 단말(300)과의 통신을 통해 차량 단말(300)이 장착된 차량의 동작 관련 정보를 수신하거나, 해당 차량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나 데이터를 차량으로 전달할 수 있다. CCS 서버(200)는 차량 단말(300)과의 통신 외에, 사용자 단말(400) 등 사용자의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된 외부 장치와의 통신도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차량 단말(300)을 통해 로그인할 경우 사용자 계정을 SNS 등 서비스 게시 서버(100)와 연동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CCS 서버(200)는 서비스 게시 서버(100)가 제공하는 SNS 등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내역을 기반으로 서비스 게시 서버(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차량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S 서버(200)는 텔레매틱스 센터 또는 그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 단말(300)은 적어도 커넥티드 카 서비스 서버(200)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며, 데이터 교환은 시동이 켜진 상태는 물론 시동이 꺼진 상황이나 차량 내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도 소정 조건(예컨대, 시동이 꺼진 후 기 설정된 시간 경과 전까지)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단말(300)은 AVNT나 헤드유닛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 단말(300)의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고정형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400)은 컨텐츠 게시 서버(100)나 CCS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단말에도 한정되지 아니한다. 물론,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400)이 스마트 기기일 경우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Wi-Di, BT, ZigBee, NFC 등)을 통해 차량 단말(300)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300)은 통신부(310), 입출력부(320), 제어부(330) 및 메모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차량 내 구성 요소(예컨대, 다른 제어기)와 차량 네트워크 기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과, CSS 서버(200) 등 차량 외부 구성 요소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텔레매틱스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부(320)는 음향 입/출력 단자,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다이얼, 키버튼 등 정보를 입력받거나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통신부(310), 입출력부(320) 등의 차량 단말(300)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 단말(300)이 AVNT의 형태로 구현될 경우, 제어부(330)는 멀티미디어 재생, 차량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네비게이션 기능 등의 제공을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30)는 컨텐츠 관리부(331)를 포함하여 컨텐츠의 획득, 출력, 경로 정보 출력 등의 컨텐츠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31)는 임베디드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30)를 통해 구동되는 운영체제의 일 기능이나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340)는 제어부(330)의 연산을 위한 입/출력 데이터의 임시 저장 기능은 물론, 운영 체제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데이터,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300)의 제어부(330) 또는 컨텐츠 관리부(331)는 CSS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소정 형태(예컨대, 개인 폴더의 아카이브 형태 등)로 메모리(340)에 저장하고, 기 설정된 출력 조건이 만족될 때 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출력 조건은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 조작을 통해 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 경우, 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관련된 위치에 일정 거리 내로 접근한 경우, 사용자가 구독 중인 SNS 등에서 새로 포스팅된 컨텐츠가 CSS 서버(200)로부터 획득된 경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맥락 정보를 기반 서비스 제공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는 컨텐츠 게시 서버(100)가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계정 연동이 수행될 수 있다(S301). 여기서 계정 연동은, 사용자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위한 계정에 컨텐츠 게시 서버(100)에 등록된 SNS 계정이 연동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계정 연동은 커넥티드 카 서비스와 SNS 서비스 간의 통합 계정을 생성하는 의미가 될 수도 있으나,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위한 계정에 컨텐츠 게시 서버(100)에서 특정 계정이 활동한 내역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형태로 족하다. 결국, 계정 연동이 완료되면, CSS 서버(200)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위한 계정을 통해 해당 계정에 연동된 SNS 계정의 해당 SNS 서비스 활동 내역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게시 서버(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활동 내역을 획득한다고 함은 사용자가 열람한 컨텐츠, 즐겨찾기나 좋아요 등 선호도를 설정한 컨텐츠, 직접 게시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선호 컨텐츠 설정 등 SNS 활동을 할 수 있다(S302). 도 3에서 본 단계(S302)는 계정 연동(S301) 이후 단계로 도시되나, 계정 연동(S301) 이전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차량 단말(300)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CCS 서버(200)로 게시 컨텐츠 기반 기능의 활성화를 통지할 수 있다(S303). 본 단계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커넥티드 카 서비스 계정에 본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대체될 수도 있고, 차량 단말(300)에 서비스 사용이 디폴트로 설정된 경우 계정 연동이 확인되면 자동으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CSS 서버(200)는 게시 컨텐츠 기반 기능이 요청되는 등 사용자의 해당 서비스 사용 의사가 확인된 경우, 컨텐츠 게시 서버(100)에 계정 연동을 통해 획득된 권한을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게시 컨텐츠 정보 등 SNS 서비스 활동 내역을 조회하고, 이를 기반으로 컨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4). 이때, 획득되는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 컨텐츠로 직접 설정한 컨텐츠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활동 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 컨텐츠일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는 게시물을 구성하는 이미지, 동영상이나 그들의 썸네일, 컨텐츠의 맥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의 조회/획득(S304)은 컨텐츠 게시 서버(100)의 실시간 업데이트 알림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고, 소정 주기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SS 서버(200)는 획득한 컨텐츠 정보를 차량 단말(300)로 전송하며(S305), 차량 단말(300)은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메모리(340) 등에 저장할 수 있다(S306). 이후 차량 단말(300)은 기 설정된 컨텐츠 출력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307).
출력된 컨텐츠 정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 명령을 받은 컨텐츠 정보가 있을 경우(S308), 차량 단말(300)은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CCS 서버(200)로 통지할 수 있다(S309). 이때, 차량 단말(300)은 CCS 서버(200)가 후술할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CCS 서버(200)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위치에 사용자가 도착했을 때 해당 컨텐츠의 작성자가 한 체험과 유사한 환경이 될 수 있도록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10). 이때, 경로 정보는 해당 컨텐츠와 유사한 체험이 가능한 시점이나 시간대에 사용자가 도착할 수 있는 출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한 경로 정보의 생성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CCS 서버(200)가 생성한 경로 정보는 차량 단말(300)로 전달되며(S311), 차량 단말은 전달받은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312). 이때, 제공되는 서비스는 출발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표시 기능, 컨텐츠 생성 당시의 환경 정보 표시 기능, 해당 경로에 대한 길안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순서도는 도 3의 S310 내지 S311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맥락 정보 기반 경로 정보 생성을 위해 CSS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맥락 정보를 컨텐츠 게시 서버(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401). 본 단계는 도 3의 S304 단계에서 이미 맥락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해당 컨텐츠에 대한 맥락 정보가 획득되면, CCS 서버(200)는 컨텐츠의 종류를 고려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의 종류의 판단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차량 단말(300)을 통해 입력한 명령의 종류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인공지능(AI)이나 빅데이터 기반 컨텐츠 분석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풍경 컨텐츠인 경우(S402의 Yes), CCS 서버(200)는 촬영 시점의 촬영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3). 예를 들어, 풍경 사진은 계절, 태양 고도, 태양 방향(일출각, 일몰각 등), 날씨 등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CCS 서버(200)는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 위치를 판단하고, 해당 촬영 위치에서 촬영 시점의 지역 날씨와 태양 고도 및 태양 방향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CCS 서버(200)는 촬영 시점과 유사한 외부 환경이 형성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S404). 예를 들어, CCS 서버(200)는 해당 촬영 위치에서 컨텐츠가 생성된 시점과 태양 고도, 태양 방향, 날씨 등이 동일하거나 일정 범위 내로 유사한 환경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래 시점인 유사 환경 형성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CS 서버(200)는 태양 고도, 태양 방향, 날씨, 계절 등의 인자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가중치의 총합 점수가 높은 순으로 유사 환경 형성 시점을 정렬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사 환경 형성 시점이 판단되면, CCS 서버(200)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사 환경 형성 시점 각각 또는 그 이전에 컨텐츠 촬영 위치로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판단하고 출발 시간을 역산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5). 이때, 출발 시간은 유사 환경 형성 시점 각각에 대하여 유사 환경 형성 시점을 지나기 전에 컨텐츠 촬영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늦은 출발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풍경 컨텐츠가 아닌(S402의 No) 시설 컨텐츠인 경우(S406의 Yes), CCS 서버(200)는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관련 시설을 특정하고, 해당 시설의 운영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S407).
해당 시설의 운영 시간이 판단되면, CCS 서버(200)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운영 시간 또는 그 이전에 해당 시설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판단하고 및 출발 시간을 역산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8). 이때, 출발 시간은 하루 내에 운영 시간이 복수회차로 구분된 경우(예컨대, 극장의 상영 회차나 식당의 중식/석식 등), 회차별로 생성될 수 있으며, 시설이 식당인 경우 평균 식사 소요 시간이나 최종 주문 마감 시간 등이 고려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풍경이나 시설 컨텐츠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을 경우(S406의 No), 디폴트로 설정된 경로 탐색 로직(예컨대, 실시간 교통 정보 기반, 자동차 전용 도로 우선 기반, 최단 거리, 최단 시간 등)에 따라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위치로의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9).
경로 정보 생성이 완료되면, CCS 서버(200)는 생성된 경로 정보를 차량 단말(300)에 전달할 수 있다(S410).
한편, 상술한 과정에서 시설 위치나 촬영 위치가 차량 진입이 불가한 경우, CCS 서버(200)는 가장 가까운 차량 진입 가능위치나 주차장으로 경로 정보의 목적지가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서는 도보 경로를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추가 안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맥락 기반 서비스가 차량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로 스마트 태블릿(400A) 등을 통해 SNS 서비스 등 컨텐츠 게시 서버(100)가 제공하는 컨텐츠(510)에 선호여부를 설정하는 등 활동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SNS 서비스에 사용되는 계정은 커넥티드 카 서비스 어플레케이션(520) 등을 통해 커넥티드 카 서비스 계정에 연동될 수 있다.
이후 CSS 서버(200)가 차량 단말(300)에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면, 도 5의 (b)와 같이 출력 조건 만족 여부에 따라 차량 단말(300)의 디스플레이(321)를 통해 컨텐츠 정보가 썸네일(530)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썸네일(530)을 선택하는 등 특정 컨텐츠 정보를 선택할 경우, CSS 서버(200)는 해당 컨텐츠의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경로 정보는 차량 단말(300)로 전송되며, 디스플레이(321)를 통해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정보(540)가 소정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만약, 경로 상이나 경로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다른 컨텐츠와 관련된 지점이 있을 경우, 다른 컨텐츠에 대한 정보(550)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풍경 컨텐츠 관련 서비스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b)에서 특정 컨텐츠 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후속되는 과정일 수 있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300)의 디스플레이(321)에 표시되는 컨텐츠 정보 중 특정 컨텐츠 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610)와 함께 부가 메뉴(621, 622, 623)가 제공될 수 있다. 부가 메뉴는 풍경 체험(621), 시설 이용(622), 경로(6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가 풍경 체험(621)을 선택할 경우 CCS 서버(200)는 도 4의 S402 단계에서 Yes로 진입할 수 있다.
그 결과, CCS 서버(200)로부터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도 6의 (b)와 같이 수신된 경로 정보(630)가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정보(630)는 촬영 시점의 촬영지 환경 정보와 촬영 시점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시점에 도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발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시설 컨텐츠 관련 서비스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도 도 5의 (b)에서 특정 컨텐츠 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후속되는 과정일 수 있다.
먼저, 도 7의 (a)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300)의 디스플레이(321)에 표시되는 컨텐츠 정보 중 특정 컨텐츠 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710)와 함께 부가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부가 메뉴 중 시설 이용(720)이 선택되면, 차량 단말(300)은 해당 컨텐츠가 시설 이용 목적으로 선택됨을 CCS 서버에 통지하고, CCS 서버(200)는 도 4의 S406 단계에서 Yes로 진입할 수 있다.
그 결과, CCS 서버(200)로부터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도 7의 (b)와 같이 수신된 경로 정보(730)가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정보(730)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시설의 운영 시간 정보와, 운영 시간별로 출발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일, 현재 출발해도 이용이 불가한 운영 시간대에 대해서는 도달이 불가함을 사용자에 알려줄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경로 정보의 출력 방법이나 형태, 부가 메뉴의 종류나 형태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단말(300)이 수행하는 기능은 운전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400)이나 또 다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대비 CCS 서버(200)가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로 대체되고, 차량 단말(300)은 네비게이션 단말(300')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점을 제외하면 전체적인 구성은 도 1과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는 CCS 서버(200)와 유사하게 컨텐츠 게시 서버(100)와 상이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해당 서버(200')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은 컨텐츠 게시 서버(100)에 등록된 SNS 계정과 연동될 수 있다. 또한, 계정 연동은 컨텐츠 기반 서비스와 SNS 서비스 간의 통합 계정을 생성하는 의미가 될 수도 있으나, 컨텐츠 기반 서비스를 위한 계정에 컨텐츠 게시 서버(100)에서 특정 계정이 활동한 내역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형태로 족함은 전술된 바와 같다.
한편,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는 네비게이션 단말(300')은 물론 사용자 단말(400) 등 사용자의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된 외부 장치와의 통신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게시 서버(100)가 제공하는 SNS 등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내역을 기반으로 서비스 게시 서버(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는 네비게이션 단말(300')에서 구동되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요청된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가지되,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경로 안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비게이션 단말(300')은 적어도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며, 적어도 디스플레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 단말(300)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비게이션 단말(300')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차량 단말(300) 대비 차량에 특화된 구성(예컨대, 유선 통신 모듈)을 제외하면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300')과 사용자 단말(400)은 동일한 기기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컨텐츠 게시 서버(100)에서 SNS 등을 이용함과 함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등의 구동을 통해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전달받아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즉, 게시 컨텐츠 기반 경로 안내 기능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또는 탐색 옵션)을 구성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유사 경험을 위한 경로 정보 또한 사용자 단말(400)로 수신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유사 경험을 위한 경로 안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단말(300)이나 텔레매틱스 센터 등이 게시 컨텐츠 기반 서비스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라도 네비게이션 단말(300')이나 사용자 단말(400)만 보유하고 있다면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a 또는 도 8b와 같은 시스템 구성 하에서 구체적인 서비스 제공 과정은, 커넥티드 카 서비스 서버(200)는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로, 차량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400)이나 네비게이션 단말(300')로 각각 대체된다면, 도 3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8a 및 도 8b와 같은 시스템 구성 하에서, 차량 단말(300)이 아닌 사용자가 보유 또는 소지한 단말(400 또는 300')을 통해 게시 컨텐츠 기반 기능이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에 요청될 때(즉, 도 3의 S303 단계에 대응), 또는 선택된 컨텐츠가 통지될 때(즉, 도 3의 S309 단계에 대응), 이동 수단의 타입 정보(예컨대, 자가용, 대중교통, 도보 등)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기반 서비스 서버(200')는 경로 정보를 생성(도 3의 S310 단계에 대응)할 때 이동 수단의 타입에 대응되도록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대중 교통 등을 통해 선택된 컨텐츠와 유사한 경험을 위한 출발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사용자의 제1 서비스에 대한 활동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비스를 통해 게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단말에서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의 생성시와 유사한 환경이 형성되는 시점에 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메신저 서비스 및 장소별 평가 정보 서비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게시물을 구성하는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맥락 정보는,
    상기 이미지나 상기 동영상의 촬영 위치 및 촬영 시점을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 위치에서 상기 촬영 시점의 환경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미래 시점 중 상기 생성시 환경 정보와 유사도가 일정 범위 이내인 환경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점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점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촬영 위치에 도달 가능한 출발 시간 및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계절, 태양 고도, 태양 방향,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가 시설과 관련된 컨텐츠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의 운영 시간을 고려하여 수행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1 계정이 커넥티드 카 서비스인 제2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계정에 연동된 경우, 상기 연동된 제2 계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활동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설정 여부를 고려하여 수행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1. 사용자의 제1 서비스에 대한 활동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서비스를 통해 게시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제1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제2 서버; 및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선택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의 생성시와 유사한 환경이 형성되는 시점에 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메신저 서비스 및 장소별 평가 정보 서비스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게시물을 구성하는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맥락 정보는,
    상기 이미지나 상기 동영상의 촬영 위치 및 촬영 시점을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맥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촬영 위치에서 상기 촬영 시점의 환경 정보를 판단하고, 미래 시점 중 상기 생성시 환경 정보와 유사도가 일정 범위 이내인 환경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을 판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점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점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촬영 위치에 도달 가능한 출발 시간 및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계절, 태양 고도, 태양 방향,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컨텐츠가 시설과 관련된 컨텐츠인 경우,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시설의 운영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1 계정이 커넥티드 카 서비스인 제2 서비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계정에 연동된 경우, 상기 연동된 제2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활동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설정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의 획득을 수행하는, 컨텐츠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41493A 2020-02-28 2020-04-06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10110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44,753 US20210270624A1 (en) 2020-02-28 2021-01-08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xtual-information-based service
CN202110218619.XA CN113326446A (zh) 2020-02-28 2021-02-26 提供基于内容上下文信息的服务的方法、系统和记录介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4759 2020-02-28
KR1020200024759 2020-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126A true KR20210110126A (ko) 2021-09-07

Family

ID=7779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493A KR20210110126A (ko) 2020-02-28 2020-04-06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01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857B1 (ko) 가상 세계
US92227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and display of personalized distance
US90269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enhanced mapping within a user interface
TWI467511B (zh) 用於生成個性化地圖的方法和系統
KR101213868B1 (ko) 가상 세계
JP5647141B2 (ja) 関心のあるオブジェクトを指定することにより動作を開始し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10238762A1 (en) Geo-coded comments in a messaging service
CN109474844B (zh) 视频信息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
CN111143679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数字化智慧旅游控制系统及方法
JP5984685B2 (ja) 表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69343B1 (ko) 여행 경로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804181A (zh) 导航查询
CN110388935B (zh) 获取地址
JP2017016388A (ja) 地域アルバム生成サーバ及びその生成方法
US20150242767A1 (en) Aerial view, web-based trip planning techniques using geotagged video and images syncd to a map
KR20150126289A (ko) 증강현실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메타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01911072A (zh) 在数据项集合中搜索的方法
CN111680238A (zh) 信息分享方法、装置和存储介质
TWI642002B (zh) 適地性空間物件可視範圍管理方法與系統
KR101850501B1 (ko) 역사 컨텐츠 제공 시스템
US2021027062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xtual-information-based service
KR20080040063A (ko) 맵 기반 동영상 분류 및 검색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US20220188348A1 (en) Content management device,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210110126A (ko) 맥락 정보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20140273993A1 (en) Rating su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