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017A -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parking lot - Google Patents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parking l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017A
KR20210110017A KR1020200025397A KR20200025397A KR20210110017A KR 20210110017 A KR20210110017 A KR 20210110017A KR 1020200025397 A KR1020200025397 A KR 1020200025397A KR 20200025397 A KR20200025397 A KR 20200025397A KR 20210110017 A KR20210110017 A KR 2021011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public parking
management system
safety management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2535B1 (en
Inventor
장현실
Original Assignee
장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실 filed Critical 장현실
Priority to KR102020002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535B1/en
Publication of KR2021011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5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F23/006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06K2209/15

Abstract

Disclosed is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 public parking lot which has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ntry of a vehicle into a public parking lot when a flooding disaster occurs.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 public parking lot comprises: a frame consisting of a pair of vertical members erected on both sides of an entrance road of a public parking lot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members to each other; a housing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an entry barrier boom installed on the housing, installed to be wound on and unwound from a winding bar connected to a barrier boom operation motor, and having a warning phrase notifying entry prohibition and written on one surface thereof; a water level gaug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public parking lot to measure the water level of flooding in the public parking lot or in the vicinity of the public parking lot; a warning means installed on the frame to notify an entering vehicle of a disaster occurrence when the risk of a flooding disaster for the public parking lot is present; and a control unit lowering the entry barrier boom to control vehicle entry and operating the warning means to warn of a flooding disaster situation if a measurement value of the water level gauge becomes high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to be determined as a flooding state.

Description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parking lot}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parking lot}

본 발명은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수 재해의 발생 시 하천주변이나 주택단지 등의 공영주차장에 대한 차량 진입을 통제하여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event damage by controlling vehicle entry into public parking lots, such as around rivers or housing complexes, in the event of a flood disaster. .

일반적으로 하천주변이나 주택단지 등의 공영주차장은 다수의 차량이 집중적으로 주차하는 공간상의 특성상 침수나 화재 등과 같은 재난 발생시 신속히 대처를 하지 않으면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In general, public parking lots near rivers or housing complexes can lead to large-scale disasters if a large number of vehicles are not parked intensive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looding or fire if not promptly dealt with.

대안으로, 특허문헌 1은 하천주차장에 설치된 수위감지장치 및 주차관리서버와 보험회사서버를 구비하여, 하천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을 인식하고 하천주차장이 집중호우에 의해 침범될 위기에 처했을때 각 보험회사가 차량소유주에게 먼저 연락을 하고, 연락이 안되거나 차주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보험회사가 차량견인회사에 연락하여 차량을 대피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하천주차장의 차량 침수 예방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Alternatively,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installed in a river parking lot, a parking management server, and an insurance company server to recognize a vehicle using the river parking lot and each insurance when the river parking lot is in danger of being invaded by heavy rain. The company contacts the vehicle owner first, and if the contact is not possible or the owner is far away, the insurance company contacts the tow company and evacuates the vehicle. .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하천의 범람 등으로 인한 침수 재난의 발생 시 해당 하천주차장으로 새로운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통제하는 시설은 갖추어져 있지 않은 취약점이 있다.However, Patent Document 1 has a weakness in that there is no facilit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ntry of new vehicles into the corresponding river parking lot when a flood disaster occurs due to river overflow.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4766호(2005.04.15)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34766 (April 15, 20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침수 재난의 발생 시 공영주차장 내부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having a structure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entry of vehicles into the public parking lot when a flood disaster occurs.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영주차장 주변의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침수 재난 발생을 알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having a structure that can notify the occurrence of a flood disaster with respect to a mobile terminal around the public parking lo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영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차단막의 승강 이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 시스템을 구비한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having a limit switch system that can accurately control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barri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ublic parking lo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단막을 팽팽하게 당겨서 차단막이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경고문구에 대한 시인성을 높이면서도 차량 추돌시 차량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구조를 가진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 public parking lot having a safety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barrier from being blown by the wind by pulling the barrier taut,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warning message and minimize vehicle damage in case of a vehicle collision. is to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영주차장 입구 도로의 양편에 입설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에 설치되고 차단막 작동모터에 연결된 권취봉에 감기고 풀릴 수 있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가 표기된 진입차단막; 상기 공영주차장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 또는 상기 공영주차장 주변의 침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에 대한 침수 재난 위험 시 진입하는 차량에 재난 발생을 알리는 경고수단; 및 상기 수위계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이 되어 침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진입차단막을 하강시켜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고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켜서 침수 재난상황을 경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made of a pair of vertical membe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road of a public parking lot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members to each other; an enclosur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an entrance barrier tha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wound and unwound on a winding rod connected to the blocking operation motor, and on one side of which is marked with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at the vehicle is prohibited from entering; a water level meter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public parking lot to measure the level of flooding around the public parking lot or the public parking lot; Warning means installed in the frame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o an entering vehicle when there is a risk of flooding in the public parking lot; And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gauge exceeds the set value and is determined to be submerg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ntry of the vehicle by lowering the entrance barrier and operates the warning means to warn of a flood disaster situation;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including; provide the system.

부가적으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차량번호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 the frame, a license plate number detector for recognizing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ublic parking lo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제어부는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정해진 영역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침수 경고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flood warning message to a us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frame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상기 경고수단은 경광등 및 사이렌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rning means may include a warning light and a siren.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권취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과 일체로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이 형성된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로 이루어진 너트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봉의 양편에 배치되어 상기 리미트 가이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 제2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 및 스크류봉이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너트 어셈블리가 상기 받침 브라켓 위에서 직선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권취봉 및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강이 정지되고,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상승이 정지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rew ro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nding ro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and has a spiral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nut assembly comprising a nut member screwed to the screw rod and a pair of limit guide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nut member; Support bracke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rod to support the limit guide from the bottom; and a first limit swit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and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at which the entry barrier is maximally lowered, and a second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at which the entry barrier is maximally raised. and a sensing unit having a second limit switch disposed thereon, and as the winding rod and the screw rod rotate integrally, the nut assembly linearly slides on the support bracket, and interlocks with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and the screw rod Thus, when the limit guid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imit switch, the lowering of the entry blocking film is stopped, and when the limit guid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imit switch, the rising of the entrance blocking film can be stopped.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는 각각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측면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되고,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 중에서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air of limit guides is composed of a rod-shaped rod and is assembled by being screwed to the side of the nut member, any one of the pair of limit guides in contact with the first limit switch and the second limit switch is the other on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is relatively long compared to

상기 스크류봉의 1회전 시 상기 너트 어셈블리는 10~15mm 만큼 직선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ut assembly moves linearly by 10 to 15 mm during one rotation of the screw rod.

상기 스크류봉은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에 동축으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은 가이드 베어링에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다.The screw rod may be coaxially screwed to an end of the winding rod, and the end of the winding rod may be supported by being fitted in a guide bearing.

바람직하게,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파이프 형상의 관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부 가장자리단에 배치되어 상기 진입차단막을 수직으로 당기도록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부재의 상기 관형체는 상기 진입차단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을 구비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a weight member made of a pipe-shaped tubular body filled with sand inside and disposed at the lower edge of the entry barrier film to apply a load to vertically pull the entry barrier film; including, the tube of the weight member The shape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entry barrier and a circular pipe having cap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body.

부가적으로, 상기 진입차단막의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된 지탱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go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ntry barrier membran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지탱봉은 속이 찬 카본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bar is preferably made of a solid carbon round bar.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unit composed of a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a mobile phone or a central control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to remotely control it.

상기 이동레일의 하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이동레일의 내측에서 왕복이동되도록 레일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함체의 구동을 위해, 상기 레일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기 함체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함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권취되어 상기 함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A rail slide groove is formed by being cut to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rail so that the moving roller reciprocates inside the moving rail, and for driving the housing, the housing is driven so that the housing is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rail slide groove. A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motor to rotate and a wire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to move the housing left and righ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주차장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상황을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하는 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ic sign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frame to display a fire or vehicle accident situation occurring inside the parking lot to guide the prohibition of the vehicle from entering; may include.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하는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frame, the lane use control traffic light (LCS) for indicating the prohibition of vehicles entering each lane in the event of a disaster; may include.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LED 스트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D string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 of the frame to indicat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rtical member; may include.

또한, 주차장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나 차량사고를 감지하여 원격으로 중앙통제실로 전송하는 주차장CCTV;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lot CCTV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parking lot to detect a fire or a vehicle accident and remotely transmit it to the central control room;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공영주차장의 침수 시 수위 또는 주변 안개를 감지하여 진입차단막을 자동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주차장 진입 차량에 대한 통제가 신속하게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First, by automatically lowering the entrance barrier by sensing the water level or surrounding fog when the public parking lot is flooded, control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can be quickly and automatically performed.

둘째, 진입차단막 주변에 배치된 레이저 센서에서 차량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 접근 시에는 진입차단막의 하강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진입차단막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colliding with the entrance barrier by detecting whether a vehicle is approaching from a laser sensor disposed around the entrance barrier and automatically stopping the descent of the barrier when approaching the vehicle.

셋째, 스크류봉의 1회전 시 너트 어셈블리가 육안 확인이 용이하게 10mm 이상의 충분한 거리로 직선 이동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단막 작동모터의 회전을 회전량 수위계로 감지하는 기존 기술에 비해, 차단막이 권취봉에 최대로 감기는 상태에 대응하는 지점과 최대로 풀린 상태에 대응하는 지점에 쉽게 리미트스위치를 셋팅할 수 있다.Third, a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imit switch system that operates the limit switch by moving the nut assembly in a straight line by a sufficient distance of 10mm or more for easy visual confirmation during one rotation of the screw rod, the existing technology that detects the rotation of the blocking film operating motor with a rotational level meter In contrast, the limit switch can be easily set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shield is maximally wound on the winding rod and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shield is maximally unwound.

넷째, 스크류봉을 권취봉에 나사결합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교체나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다양한 규격의 스크류 피치를 가진 스크류봉들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Fourth, since the screw rod can be easily assembled by screwing it to the winding rod, replacement or maintenance is convenient, and screw rods with screw pitches of various specifications can be easily applied.

다섯째, 차단막의 최대 상승 위치와 최대 하강 위치에 각각 대응하게 리미트스위치를 두 개씩 겹쳐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리미트스위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차단막 구동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Fifth, since two limit switches can be overlapped to correspond to the maximum rising position and the maximum falling position of the blocking film,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blocking film driving accident due to a malfunction of the limit switch.

여섯째, 차단막의 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웨이트 부재에 의해 차단막이 팽팽하게 당겨져서 차단막이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 진입금지 경고문구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Sixth, the blocking membrane is pulled taut by the weight member disposed at the lower edge of the blocking membrane, thereby preventing the blocking membrane from being blown by the wind and increasing visibility of the vehicle entry prohibition warning message.

일곱째, 차단막의 하단에 대한 차량 추돌시 웨이트 부재가 파손되더라도 모래에 의해 차량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차단막을 권취봉에 권취하면서도 차단막이 바람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venth, even if the weight member is damaged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the lower end of the barrier, damage to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by sand, and the barrier fil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by the wind while the barrier film is wound on the winding rod.

여덟째, 프레임에 설치된 전광판과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에 의해 공영주차장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침수사고, 낙석사고 등의 상황 정보를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할 수 있다.Eighth, it is possible to guide the prohibition of vehicle entry by displaying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fire, vehicle accident, flooding accident, and falling rock accident that occurred inside the public parking lot by the electric signboard installed on the frame and the lane use control signal (LC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부분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함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함체 내부에 설치된 권취봉에 결합된 차단막 작동모터,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권취봉,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와 리미트 스위치의 배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진입차단막이 상한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리미트 가이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진입차단막이 하한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리미트 가이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대응하는 진입차단막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부분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main part of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blocking film actuating motor, a screw rod, and a nut assembly coupled to the winding ro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in FIG. 5 .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ing rod, the screw rod, and the nut assembly in FIG. 6 .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crew rod and nut assembly and the limit switch in FIG. 6 .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limit guide in a state in which the entry barrier is located at the upper limit point in FIG.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limit guide in a state where the entry barrier is located at the lower limit point in FIG. 8 .
1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location of the entry barrier corresponding to FIGS. 9 and 10 .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main part of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of FIG. 12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주요 부분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FIG. 3 is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main part of the system,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영주차장 입구의 도로 양측에 입설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설치된 소정 형상의 함체(20)와, 함체(20)에 설치되고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가 표기된 진입차단막(30)과, 공영주차장의 침수를 감지하는 수위계와, 공영주차장에 대한 침수 재난 위험 시 재난 발생을 알리는 경고수단과, 진입차단막(30)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1 to 4,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d at the entrance of a public parking lot, and a box 20 of a predetermined shape installed in the frame 10 ), an entrance barrier 30 installed on the enclosure 20 and marked with a warning letter indicating that entry is prohibited, a water level gauge to detect flooding of the public parking lot, and a warning means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when there is a risk of flooding in the public parking lot; , and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ntry barrier 30 and the like.

프레임(10)은 재난위험이 있는 공영주차장의 입구에 배치된 주차장 차단기(1)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격되게 방 주변 도로의 양측에 입설되는 수직부재(11)와, 상기 수직부재(11)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부재(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레임(10)은 모듈화되어 이동식으로 현장에서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될 수 있다.The frame 10 is a vertical member 1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d around the room to be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king lot blocker 1 disposed at the entrance of a public parking lot with a risk of disaster, and the vertical member 11 It consists of a horizontal member (12)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In this way, the frame 10 is modularize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in a movable manner.

함체(20)는 내부에 진입차단막(30)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실질적인 사각관 형태로 구성된다.The enclosure 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square tube having a size that can accommodate the entry barrier 30 therein.

진입차단막(30)은 함체(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봉(35)에 감겨서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가 표기되어 있다.The entry barrier 30 is installed by being wound around a winding rod 35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0 , and a warning letter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prohibited from entering is marked on one surface.

경고수단(40)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차장의 재난 위험시 진입되는 차량에 대해 진입금지를 알린다. 경고수단(40)은 경광등 및 사이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rning means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 to notify the prohibition of entry for vehicles enter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risk of the parking lot. The warning means 40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rning light and a siren.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사고 진입차선의 차량만 집중적으로 통제되도록 직진형앰프와 스피커가 설치되고, 중앙통제실 측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재난상황을 통제하기 위한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다.A straight-through amplifier and speaker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10 so that only vehicles in the accident entry lane are intensively controlled, and a microphone for controlling a disaster situation through the speaker may be installed on the central control room side.

부가적으로, 프레임(10)에는 진입차단막(30)이 가동되기 이전에 워터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한 순환펌프 및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워터스크린 주변에는 워터스크린에 진입금지 문자정보를 투사하는 영사장치가 설치된다.Additionally, the frame 10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ump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for forming a water screen before the entry barrier 30 is operated. In this case, a projection device is installed around the water screen for projecting the entry-prohibited text information on the water screen.

수위계(101)는 공영주차장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정해진 개소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의 침수 수위를 측정한다. 공영주차장이 하천 주변에 설치된 경우 수위계(101)는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gauge 101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side or outside the public parking lot to measure the level of flooding in the public parking lot. When a public parking lot is installed around a river, the water level gauge 101 may be disposed to measure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수위계(101)의 측정값은 제어부(50)에 전달되어 수위가 정해진 수치 이상인 경우 진입차단막(30)의 자동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gauge 10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 so that the entrance barrier 30 automatically descends when the water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차량번호 감지기(102)는 소정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공영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제어부는 차량번호 감지기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번호의 주차장 이용정보를 차량관리 DB(104)에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license plate detector 102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number of a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the public parking lot by processing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predetermined camera. The control uni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number detector and stores and manages the parking lot us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number in the vehicle management DB 104 .

제어부(50)는 프레임(10)의 일측에서 경고수단(40), 진입차단막(30) 및 함체(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주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전원버튼과, 구동방식을 수동이나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동자동버튼과, 비상시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버튼과, 진입차단막(30)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차단막제어버튼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warning means 40 , the entry barrier 30 and the enclosure 20 from one side of the frame 10 . The control unit 50 moves the main power button for turning on/off the main power, a manual automatic button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driving method, an emergency stop button for stopping the operation in an emergency, and the entry barrier 30 up, down, left and right It includes a blocking film control button that makes

원격제어부(60)는 제어부(50)와 예컨대, 이더넷 통신규격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중앙통제실의 중앙통제기기(61) 및/또는 휴대폰(62)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The remote control unit 60 is composed of a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control unit 50 and, for example, the central control unit 61 and/or the mobile phone 62 of the central control room to remotely control by performing communication in the Ethernet communication standard. .

부가적으로, 프레임(10)의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전방에는 레이저 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센서(100)는 레이저빔이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차량(1)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 접근 시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진입차단막(30)의 하강을 자동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이 진입차단막(3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레이저 센서(100)는 도로의 일편에 배치되어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광모듈(100a)과 도로의 타편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빔을 수신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모듈(100b)로 구성된다. 대안으로, 레이저 센서(100)는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레이저빔의 경로에 진입한 차량(1)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도록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laser sensor 10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fram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aser sensor 100 is installed so that the laser beam crosses the road, detects whether the vehicle 1 approaches,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o automatically lower the entry barrier 30 By stopping, the vehicle 1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entry barrier 30 . The laser sensor 100 includes a light emitting module 100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ad to generate a laser beam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100b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ad to receive the laser beam and output a detection signal. Alternatively, the laser sensor 100 may be configured in an integrated form with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o irradiate a laser beam to cross the road and receive light reflected by the vehicle 1 entering the path of the laser beam. hav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는 권취봉(35)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35)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크류봉(70)과, 스크류봉(70)에 끼워져서 직선 운동을 하는 너트 어셈블리(80)와, 너트 어셈블리(80)와 접촉 가능한 제1 리미트스위치(84) 및 제2 리미트스위치(85)를 구비한 감지부(83)를 포함한다.5 and 6, the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nding rod 35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35. Screw rod 70 And, a sensing unit having a nut assembly 80 that is inserted into the screw rod 70 for linear motion, and a first limit switch 84 and a second limit switch 85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nut assembly 80 ( 83).

권취봉(35)의 일단에는 차단막 작동모터(38)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스크류봉(70) 및 너트 어셈블리(80)가 조립된다. 권취봉(35)의 양 끝부분은 베어링 커버판(36)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베어링(37)에 끼워져서 지지된다.One end of the winding rod 35 is connected to a blocking film actuating motor 38 , and a screw rod 70 and a nut assembly 80 are assemb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rod 35 . Both ends of the winding rod 35 are supported by being fitted in the guide bearing 37 fixed to the bearing cover plate 36 .

스크류봉(70)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도 8의 71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에는 권취봉(35)의 일단에 고정된 제1 연결부재(33)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체결볼트(72)가 마련되어 있다. 체결볼트(72)의 직경은 스크류봉(70)의 직경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screw rod 70 has a spiral groove (refer to 71 in FIG. 8)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thereof is screw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3 fixed to one end of the winding rod 35. A fastening bolt 72 capable of this is provided.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bolt 7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crew rod 70 .

스크류봉(70)에 형성된 나선형 홈(71)의 피치는 스크류봉(70)의 1회전 시 너트 어셈블리(80)를 상기 스크류봉(70)을 따라서 10~15mm 만큼 직선 이동시키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tch of the spiral grooves 71 formed in the screw rod 70 is preferably form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nut assembly 80 is linearly moved by 10 to 15 mm along the screw rod 70 during one rotation of the screw rod 70 . do.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33)는 권취봉(35)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제1 원반(33a)과 상기 제1 원반(33a)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봉(35)을 캡핑하는 제2 원반(33b)으로 구성된다. 스크류봉(70)의 체결볼트(72)가 연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33c)는 제2 원반(33b)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권취봉(35)의 타단에는 제2 연결부재(34)가 고정되어 차단막 작동모터(38)와 연결된다. 제2 연결부재(34)는 제1 연결부재(33)와 마찬가지로 권취봉(35)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제1 원반(34a)과 상기 제1 원반(34a)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봉(35)을 캡핑하는 제2 원반(34b)으로 구성된다. 다만, 제2 연결부재(34)에는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는 키홈(34c)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k 33a which is inserted and welded into the winding rod 35 and the first disk 33a to form the winding rod 35 . It is composed of a second disk (33b) to cap. The female screw portion 33c to which the fastening bolt 72 of the screw rod 70 can be connected is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disk 33b to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wall. A second connecting member 34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rod 35 and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film operation motor 38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4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k 34a and the first disk 34a which is inserted into and welded to the inside of the winding rod 35 lik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3 and the winding rod 35 is separated from the first disk 34a. ) is composed of a second disk (34b) that caps. However,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4 has a key groove 34c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blocking film actuating motor 38 is formed.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81)와, 너트부재(81)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는 각각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81)에 측면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된다. 제1 리미트스위치(84) 및 제2 리미트스위치(85)는 받침 브라켓(39)의 측면에 배치되므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 중에서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The nut assembly 80 includes a nut member 81 screwed to the screw rod 70 and a pair of limit guides 82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nut member 81 . A pair of limit guides 82 are each composed of a rod-shaped rod and are assembled by screw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nut member 81 . Since the first limit switch 84 and the second limit switch 85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39, the first limit switch and the second limit switch 85 of the pair of limit guides 82 are in contact with It is preferable that one has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other.

받침 브라켓(39)은 스크류봉(70)의 양편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를 각각 하부에서 지지한다. 스크류봉(70)의 회전 시 너트부재(81) 및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에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나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는 받침 브라켓(39)의 상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회전이 억제되므로 받침 브라켓(39)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The support brackets 39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rod 70 to support a pair of limit guides 82 from the lower portion, respectively. When the screw rod 70 is rotated,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nut member 81 and the pair of limit guides 82, but the pair of limit guides 82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39 and rotate. Since this is suppressed, a linear sliding movement is per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racket (39).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83)는 받침 브라켓(39)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제2 리미트스위치(8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리미트스위치(84)는 진입차단막(30)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되고, 제2 리미트스위치(85)는 진입차단막(30)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다. 도 8에서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제2 리미트스위치(85)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8 , the sensing unit 83 includes a first limit switch 84 and a second limit switch 85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39 . Specifically, the first limit switch 84 is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at which the entry barrier 30 is maximally lowered, and the second limit switch 85 is the point at which the entry barrier 30 is maximally elevated. is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corresponding to . 8, the positions of the first limit switch 84 and the second limit switch 85 may be interchanged.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제2 리미트스위치(85)는 각각 두 개씩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로 겹쳐진 리미트스위치들(84,85) 중 어느 하나가 오동작을 하거나 파손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제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진입차단막(30)의 정지 오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imit switch 84 and the second limit switch 85 are arranged in an overlapping state, respectively, two by two.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any one of the limit switches (84, 85) overlapped with each other malfunctions or is damaged, the other one can function properly, so that the stop error accident of the entry barrier 30 can be prevented.

따라서, 차단막 작동모터(38)에 의해 권취봉(35)과 일체로 스크류봉(70)이 회전함에 따라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너트 어셈블리(80)의 리미트 가이드(82)는 제1 리미트스위치(84),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하여 진입차단막(30)을 정해진 지점에 정지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screw rod 70 rotates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35 by the blocking film actuating motor 38 , the nut assembly 80 linearly moves on the screw rod 70 , and The limit guide 8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limit switch 84 and the second limit switch 85 to stop the entry barrier 30 at a predetermined point.

웨이트 부재(31)는 진입차단막(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진입차단막(30)을 수직으로 당기도록 하중을 가한다. 웨이트 부재(31)는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파이프 형상의 관형체로 이루어진다. 웨이트 부재(31)의 관형체는 상기 진입차단막(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 몸체(31a)와 상기 원통형 몸체(31a)의 양단에 끼움결합되는 캡(31b)을 구비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웨이트 부재(31)는 차량과의 충돌시 캡(31b)이 분리되거나 원통형 몸체(31a)가 파손되어 모래를 배출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차량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한다.The weight member 31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entry blocking membrane 30 to apply a load to vertically pull the entry blocking membrane 30 . The weight member 31 is made of a pipe-shaped tubular body filled with sand therein. The tubular body of the weight member 31 includes a cylindrical body 31a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entry barrier 30 and a cap 31b fitted to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body 31a. It consists of one round pipe. The weight member 31 minimizes damage to the vehicle while absorbing the shock by discharging sand when the cab 31b is separated or the cylindrical body 31a is damaged upon collision with the vehicle.

진입차단막(30)의 하부 가장자리단에는 상기 진입차단막(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소정의 웨이트용 포켓이 마련되고, 웨이트 부재(31)는 상기 웨이트용 포켓에 종입되어 설치된다. 웨이트용 포켓은 진입차단막(30)의 하부 가장자리단을 둥글게 말아서 봉제처리함으로 형성된다.A predetermined weight pocket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try barrier film 30 is provided at the lower edge end of the entry barrier film 30 , and the weight member 31 is inserted into the weight pocket and installed. The weight pocket is formed by sewing the lower edge of the entry barrier film 30 in a round shape.

지탱봉(32)은 진입차단막(30)의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가로로 배치된다. 지탱봉(32)의 설치를 위해 진입차단막(30)에는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용 포켓에 비해 구경이 작은 지탱봉 포켓이 형성된다. 지탱봉(32)은 상기 지탱봉 포켓에 종입되어 상기 진입차단막(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The support rods 32 are arranged horizont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ile go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ntry barrier 30 .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bar 32, a plurality of support bar pocket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ile going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entry barrier membrane 30 and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weight pocket. The support rod 32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try barrier membrane 30 by entering the support rod pocket.

지탱봉(32)은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고인장성의 특성을 가진 속이 찬 카본 환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차단막(30)이 지탱봉(32)과 함께 권취봉(35)의 둘레에 쉽게 권취될 수 있도록 지탱봉(32)은 예컨대, 5mm 내외 정도의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bar 32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olid carbon round bar having high tensile properties while being light in weight. The support rod 32 preferably has a small diameter of, for example, about 5 mm so that the entry barrier film 30 can be easily wound around the winding rod 35 together with the support rod 32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는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주차장 내부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침수사고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경고수단(40)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진입차단막(30)을 하강시켜서 실시간으로 사고 상황을 알리는 동시에 차량의 주차장진입을 차단한다. 또한, 주차장 내부의 사고 상황은 주차장CCTV에 의해 감지되어 중앙통제실의 중앙통제기기(61) 및/또는 휴대폰(62)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전송된다.The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operate the warning means 40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a traffic accident, or a flood accident occurs inside the parking lot, and By lowering the entrance barrier 30, it notifies the accident situation in real time and blocks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parking lot. In addition, the accident situation inside the parking lot is detected by the parking lot CCTV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central control device 61 and/or the mobile phone 62 of the central control room.

진입차단막(30)은 최초 경고 발생 전에는 권취봉(35)에 최대로 권취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리미트(82)가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한 상태로 대기한다. 이때, 진입차단막(30)의 하단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A)에 위치한다.The entry barrier 30 is maximally wound on the winding rod 35 before the first warning occurs, and as shown in FIG. 9 , the screw limit 8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imit switch 85 and waits.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entry barrier 30 is located at the point (A) that has risen to the maximum as shown in FIG. 11 .

진입차단막(30)은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력에 의해 함체(20)의 내측에 설치된 권취봉(35)에서 서서히 풀리면서 하강하여 펼쳐져서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를 표시한다.The entry barrier 30 is unfolded while being slowly released from the winding rod 35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0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ocking film operating motor 38 to display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at the vehicle is prohibited from entering.

진입차단막(30)의 하강 시 차단막 작동모터(38)에 의해 권취봉(35)과 스크류봉(70)은 일체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스크류봉(70)에 결합된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의 안쪽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너트 어셈블리(80)가 스크류봉(70)의 안쪽으로 진행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리미트(82)가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접촉한 순간에 차단막 작동모터(38)는 자동 정지된다. 이때, 진입차단막(30)의 하단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B)에 위치한다.When the entry barrier 30 is lowered, the winding rod 35 and the screw rod 70 are integrally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blocking operation motor 38 and the nut assembly 80 coupled to the screw rod 70 in conjunction with it. moves in a straight line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crew rod (70). As the nut assembly 80 proceeds to the inside of the screw rod 70 and the screw limit 8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limit switch 84 as shown in FIG. 10, the blocking film actuating motor 38 automatically stops do.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entry barrier 30 is located at the point (B) that is the most descended as shown in FIG. 11 .

진입차단막(30)은 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웨이트 부재(31)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져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것이 방지된다. 웨이트 부재(31)가 하강한 상태에서 차량이 웨이트 부재(31)와 충돌한 경우에는 웨이트 부재(31)의 캡(31b)이 분리되거나 원통형 몸체(31a)가 파손되어 모래가 배출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entry barrier 30 is pull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weight member 31 disposed on the lower edge to maintain a taut state and is prevented from being blown by the win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weight member 31 in a state in which the weight member 31 is lowered, the cap 31b of the weight member 31 is separated or the cylindrical body 31a is damaged and sand is discharged to the vehicle. damage can be minimized.

또한, 진입차단막(30)의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지탱봉(32)에 의해 진입차단막(30)은 바람에 의해 뒤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by the plurality of support rods 32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try blocking membrane 30, the entry blocking membrane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by the wind.

한편, 재난 복구가 종료되어 진입차단막(30)을 권취하는 제어를 하게 되면,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력에 의해 권취봉(35)이 서서히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입차단막(30)을 끌어 올리는 동작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disaster recovery is completed and the control to wind up the entrance barrier 30 is performed, the winding rod 35 is gradually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arrier operating motor 38 and the entrance barrier 30 is raised. will do

차단막 작동모터(38)에 의해 권취봉(35)과 스크류봉(70)은 일체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스크류봉(70)에 결합된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의 바깥쪽(끝부분쪽)으로 직선 이동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어셈블리(80)의 스크류 리미트(82)가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한 순간에 차단막 작동모터(38)는 자동 정지된다. 이때, 진입차단막(30)의 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A)에 위치한다.The winding rod 35 and the screw rod 70 integrally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blocking film actuating motor 38, and the nut assembly 80 coupled to the screw rod 70 in conjunction therewith is located outside the screw rod 70. move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end (toward the end). As shown in FIG. 9 , when the screw limit 82 of the nut assembly 8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limit switch 85 , the blocking film operating motor 38 is automatically stopped.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entry barrier 30 is located at the point (A) that has risen to the maximum as shown in FIG. 9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권취봉(35)의 회전에 연동하는 스크류봉(70) 및 너트 어셈블리(80)를 구비하여 차단막을 정위치에 자동 정지시키는 리미트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을 회전량 수위계로 감지하는 기존 기술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진입차단막(30)이 권취봉(35)에 최대로 감기는 지점과 최대로 풀린 지점에 대응하는 지점에 쉽게 리미트스위치들(84,85)을 셋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imit system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blocking film in place by providing a screw rod 70 and a nut assembly 80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35 to automatically stop the blocking film at the correct position. ) at a lower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that detects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amount with a water level meter, the limit switches 84 are easily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entry barrier 30 is maximally wound on the winding rod 35 and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maximally unwound point. ,85) has a remarkable effec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설치된 전광판(90),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 및 LED 스트링(92)을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2 and 13 , a public parking lot including an electric sign 90 installed on the frame 10 , a lane use control signal light (LCS) 91 and an LED string 92 . A safety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전광판(90)은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 또는 공영주차장 주변 하천 등의 침수 재난 시 진입되는 이를 알려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한다.The electric sign 9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12 of the frame 10 to notify the entry in case of a flood disaster such as a public parking lot or a river around the public parking lot, thereby indicating the prohibition of vehicle entry.

전광판(90)과 관련하여 제어부(50)에는 전광판(90)의 작동을 제어하는 VMS(정보표시판) 제어버튼(미도시)이 구비되고, 원격제어부(60)의 휴대폰(61)이나 중앙통제기기(62)는 원격으로 전광판(90)의 점등을 조절하는 VMS원격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된다.In relation to the electric sign 90, the control unit 50 is provided with a VMS (information display panel) control button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sign 90, and the mobile phone 61 or central control device of the remote controller 60 62 is provided with a VMS remote display unit (not shown)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electronic sign board 90 .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은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50)에는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의 작동을 제어하는 LCS제어버튼(미도시)이 구비되고, 원격제어부(60)의 중앙통제기기(61)나 휴대폰(62)에는 원격으로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의 점등을 조절하는 LCS원격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된다.The lane use control signal light (LCS) 91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12 of the frame 10 to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prohibited from entering each lane when a disaster occurs. In this regard, the control unit 50 is provided with an LCS control button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ne use control signal light (LCS) 91 , a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61 or the mobile phone 62 of the remote control unit 60 . ) is provided with an LCS remote display unit (not shown)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ne use control signal (LCS) 91 .

LED 스트링(92)은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수직으로 배치되어 주차장 주변 도로의 양편에 입설된 한 쌍의 수직부재(11)의 설치 위치를 표시 및 안내한다. 부가적으로, LED 스트링(92)은 진입차단막(30)의 일면에 표기되어 있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의 윤곽선을 따라 추가로 배열되어 야간에 경고문자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The LED string 92 is vertically arrang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 11 of the frame 10 to indicate and guid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a pair of vertical members 11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d around the parking lot. . Additionally, the LED string 92 is additionally arranged along the outline of the warning text indicating prohibition of vehicle entry marked on one surface of the entry barrier 30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warning text at nigh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는 주택가나 하천 주변에 위치한 공영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 내부나 주변에서 침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경고수단(40)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전광판(90)에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사고 상황을 알리는 동시에 진입차단막(30)을 자동으로 하강시켜서 차량의 주차장진입을 차단한다. 또한,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설치된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은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한다. 주차장 내부의 사고 상황은 주차장CCTV에 의해 감지되어 중앙통제실의 중앙통제기기(61) 및/또는 휴대폰(62)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전송된다.The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public parking lot located in a residential area or near a river, and a warning means 40 when a flood disaster occurs inside or around the public parking lot. In addition to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accident situation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sign board 90 to inform the accident situation in real time, and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lowers the entrance barrier 30 to block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parking lot. In addition, the lane use control signal light (LCS) 91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12 of the frame 10 displays the prohibition of vehicles from entering each lane when a disaster occurs. The accident situation inside the parking lot is detected by the parking lot CCTV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central control unit 61 and/or the mobile phone 62 of the central control room.

주차장 내부의 일측에 설치된 수위계(101)는 주차장의 침수 수위를 감지한 후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수위가 정해진 수치 이상인 경우 진입차단막(30)의 자동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water level gauge 10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parking lot and then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 to automatically lower the entrance barrier 30 when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진입차단막(30)이 하강하는 도중에 레이저 센서(100)는 진입차단막(30) 주변에 대한 차량(1)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 접근 시에는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진입차단막(30)의 하강을 자동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이 진입차단막(30)의 하단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While the entrance barrier 30 is descending, the laser sensor 100 detects whether the vehicle 1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barrier 30,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 when approaching the vehicle. By automatically stopping the descent of the vehicle ( 30 ), the vehicle ( 1 )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entry barrier ( 30 ).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 프레임 11: 수직부재
12: 수평부재 20: 함체
21: 이동레일 22: 이동롤러
23: 레일 슬라이드홈 24: 레일 구동부
25: 와이어 30: 진입차단막
31: 웨이트 부재 32: 지탱봉
33: 제1 연결부재 34: 제2 연결부재
35: 권취봉 36: 베어링 커버판
37: 가이드 베어링 38: 차단막 작동모터
39: 받침 브라켓 40: 경고수단
50: 제어부 60: 원격제어부
70: 스크류봉 71: 나선형 홈
72: 체결볼트 80: 너트 어셈블리
81: 너트부재 82: 리미트 가이드
84: 제1 리미트스위치 85: 제2 리미트스위치
90: 전광판 91: 차로이용규제신호등
92: LED 스트링 100: 레이저 센서
101: 수위계 102: 안개 센서
10: frame 11: vertical member
12: horizontal member 20: housing
21: moving rail 22: moving roller
23: rail slide groove 24: rail drive unit
25: wire 30: entry barrier
31: weight member 32: support bar
33: first connecting member 34: second connecting member
35: winding rod 36: bearing cover plate
37: guide bearing 38: barrier operation motor
39: support bracket 40: warning means
50: control unit 60: remote control unit
70: screw rod 71: spiral groove
72: fastening bolt 80: nut assembly
81: nut member 82: limit guide
84: first limit switch 85: second limit switch
90: electric sign 91: traffic light for traffic regulation
92: LED string 100: laser sensor
101: water level gauge 102: fog sensor

Claims (16)

공영주차장 입구 도로의 양편에 입설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에 설치되고 차단막 작동모터에 연결된 권취봉에 감기고 풀릴 수 있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가 표기된 진입차단막;
상기 공영주차장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 또는 상기 공영주차장 주변의 침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공영주차장에 대한 침수 재난 위험 시 진입하는 차량에 재난 발생을 알리는 경고수단; 및
상기 수위계의 측정값이 설정치 이상이 되어 침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진입차단막을 하강시켜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고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켜서 침수 재난상황을 경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a frame made of a pair of vertical membe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road of a public parking lot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members;
an enclosur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an entrance barrier tha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wound and unwound on a winding rod connected to the blocking operation motor, and on one surface is marked with a warning message informing that the vehicle is prohibited from entering;
a water level meter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public parking lot to measure the level of flooding around the public parking lot or the public parking lot;
Warning means installed in the frame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to an entering vehicle when there is a risk of flooding in the public parking lot; and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gauge exceeds the set value and is determined to be submerg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ntry of the vehicle by lowering the entrance barrier and operates the warning means to warn of a flood disaster situa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공영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차량번호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a vehicle number detector installed on the frame to recognize the license plate of a vehicle entering the public parking lo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정해진 영역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침수 경고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to transmit a flood warning guidance message to a us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은 경광등 및 사이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arning means is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arning light and a sir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과 일체로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이 형성된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로 이루어진 너트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봉의 양편에 배치되어 상기 리미트 가이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 제2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 및 스크류봉이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너트 어셈블리가 상기 받침 브라켓 위에서 직선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권취봉 및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강이 정지되고,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상승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crew ro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nding rod,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winding rod, and having a spiral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nut assembly comprising a nut member screwed to the screw rod and a pair of limit guide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nut member;
Support bracke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crew rod to support the limit guide from the bottom; and
A first limit swit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and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at which the entry barrier is maximally lowered, and a second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at which the entry barrier is maximally raised. Including; a sensing unit having a second limit switch
As the winding rod and the screw rod rotate integrally, the nut assembly slides linearly on the support bracket,
When the limit guid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imit switch in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d and the screw rod, the lowering of the entry blocking membrane is stopped, and the limit guid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imit switch when the entry blocking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scent is stopp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는 각각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측면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되고,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 중에서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air of limit guides are each composed of a rod-shaped rod and are assembled by screw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nut member,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pair of limit guides in contact with the first limit switch and the second limit switch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의 1회전 시 상기 너트 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류봉을 따라서 10~15mm 만큼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crew rod is rotated once, the nut assembly is linearly moved by 10 to 15 mm along the screw r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은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에 용접된 연결부재에 동축으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은 가이드 베어링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crew rod is coaxially screwed to a connecting member welded to the end of the winding rod, and the end of the winding rod is fitted and supported in a guide bearing.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파이프 형상의 관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부 가장자리단에 배치되어 상기 진입차단막을 수직으로 당기도록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부재의 상기 관형체는 상기 진입차단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을 구비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weight member made of a pipe-shaped tubular body filled with sand inside and disposed at the lower edge of the entry barrier to apply a load to vertically pull the entry barrier;
The tubular body of the weight member comprises a cylindrical body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entry barrier and a circular pipe having cap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차단막의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된 지탱봉;을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rod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ile go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ntry barri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봉은 속이 찬 카본 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bar is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hollow carbon round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주차장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상황을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하는 전광판;을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an electric sign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frame to display a fire or vehicle accident situation occurring inside the parking lot to guide the prohibition of vehicl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하는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을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a lane use control traffic light (LC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frame to indicate that vehicles are prohibited from entering each lane in the event of a disa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LED 스트링;을 더 포함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LED string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member of the frame to indicat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rtical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영주차장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나 차량사고를 감지하여 원격으로 중앙통제실로 전송하는 주차장CCTV;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Parking lot CCTV installed inside the public parking lot to detect a fire or a vehicle accident and remotely transmit it to the central control room; Public parking lot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00025397A 2020-02-28 2020-02-28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parking lot KR102602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97A KR102602535B1 (en) 2020-02-28 2020-02-28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parking l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97A KR102602535B1 (en) 2020-02-28 2020-02-28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parking l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017A true KR20210110017A (en) 2021-09-07
KR102602535B1 KR102602535B1 (en) 2023-11-14

Family

ID=7779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397A KR102602535B1 (en) 2020-02-28 2020-02-28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parking l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5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8077A (en) * 2022-01-04 2022-04-15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Rail action state representation device and rail machi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767A (en) * 1995-03-07 1996-09-24 Yoshio Hirata Automatic lifting gear of blind
KR200370279Y1 (en) * 2004-09-23 2004-12-13 이수행 Barrier gate containing control system
KR20050034766A (en) 2003-10-07 2005-04-15 (주)벡텔시스 A system of preventing car from flooding in a parking zone by river using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1536248B1 (en) * 2014-09-29 2015-07-1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Tunnel entry blocking device of electric type
KR102057808B1 (en) * 2019-09-04 2020-01-22 문대원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riverfront parking lo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767A (en) * 1995-03-07 1996-09-24 Yoshio Hirata Automatic lifting gear of blind
KR20050034766A (en) 2003-10-07 2005-04-15 (주)벡텔시스 A system of preventing car from flooding in a parking zone by river using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0370279Y1 (en) * 2004-09-23 2004-12-13 이수행 Barrier gate containing control system
KR101536248B1 (en) * 2014-09-29 2015-07-1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Tunnel entry blocking device of electric type
KR102057808B1 (en) * 2019-09-04 2020-01-22 문대원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riverfront parking lo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8077A (en) * 2022-01-04 2022-04-15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Rail action state representation device and rail machine
CN114348077B (en) * 2022-01-04 2023-09-05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Breast-bar action state indicating device and breast-bar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535B1 (en)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784B1 (en) Automatic control type tunnel entrance blocking apparatus
KR101922509B1 (en) control system of device for blocking car entry to tunnel
US20190197892A1 (en) Flood warning system and process for detecting a level of water in a waterway
KR10084715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entrance of tunnel
US20140363229A1 (en) Vehicle barrier system with illuminating gate arm and method
KR102245778B1 (en) Smart tunnel entrance blocking apparatus
KR101899147B1 (en) Converse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KR102351784B1 (en) Height Adjustable Pole for CCTV
KR102126118B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Zigbee communication and height measurement
KR102148421B1 (en) VMS to Prevent Worker Accidents
US20180209108A1 (en) Automatic bollard security system with manual override
KR20210110017A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parking lot
KR10144858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entrance of tunnel
KR101447991B1 (en) Emergency road block device driver
KR200429332Y1 (en) Up and down structure of camera for closed-circuit television
KR102492493B1 (en) Vehicle entry blocking structure for flooded roads
KR102539862B1 (en) Tunnel entry blocking device
KR20100124369A (en) Electric controlled auto bollard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KR100811874B1 (en) automatic brake system of a railway crossing
KR102237142B1 (en) Signboard vehicle system with vehicle traffic indication function and rest facility
KR102355297B1 (en) Vehicle passing height limiter
KR20240052584A (en) Up and down type entrance blocking apparatus
KR20240014706A (en) Entrance blocking apparatus for vehicls
KR20230150687A (en) Entrance blocking apparatus for underground pass
KR102438651B1 (en) A device that blocks cars from entering in the event of a fire in a road tu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