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918A - 단말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918A
KR20210109918A KR1020200025141A KR20200025141A KR20210109918A KR 20210109918 A KR20210109918 A KR 20210109918A KR 1020200025141 A KR1020200025141 A KR 1020200025141A KR 20200025141 A KR20200025141 A KR 20200025141A KR 20210109918 A KR20210109918 A KR 20210109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al number
inventory management
information
termi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관
윤정국
장강서
Original Assignee
한국버스방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버스방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버스방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918A/ko
Publication of KR2021010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본 출원은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저장부, 서버통신부 및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서버 및 단말표시부, 단말통신부 및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비히클용 단말을 포함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교체 가능한 N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N개의 모듈 중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1 코드를 표시하고,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재고정보를 K번째로 갱신하고,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N개의 모듈 중 다른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2 코드를 표시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말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INVENTORY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INVENTORY INFORMATION OF TERMINALS, AND METHOD THEREOF}
실시 예는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시리얼넘버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휴먼 에러(human error)를 최소화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단말제품을 판매, 대여 또는 운용하고, 고장 시에 교체/수리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자에게 있어서 특정 부품이 어떤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지 기록하고,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며, 부품의 재고를 파악하는 것은 비용 손실 및 시간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부품의 기본 정보 및 설치 정보, 재고 및 그 외 부품의 이력을 관리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은 시간 낭비 및 비용을 축소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나, 많은 수의 제품을 동시에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부품 단위로 정보를 통합하고 관리하는 것은 까다로운 일일 수 있다.
더욱이, 현재 부품 및 제품의 정보는 길고 복잡한 시리얼넘버로 통합되어 있고 각 부품은 제조사, 운영 관리자, 설치자, 수리자 등 여러 공간에 위치한 다수의 사람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운영 관리자가 시리얼넘버를 정확하게 입력하였다고 해도 외부의 제3자가 시리얼넘버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 하는 경우, 재고 관리 시스템 전체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각 부품의 정보를 담고 있는 시리얼넘버를 입력하고 관리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실시 예는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코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시리얼넘버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에 관한 발명이며, 시스템이 다수의 코드를 입력 받는 상황에서 코드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확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먼 에러(human error)를 최소화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리얼 넘버와 연관된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저장부, 외부기기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서버 및 제공장소에 설치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 상기 서버 또는 외부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비히클용 단말을 포함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교체 가능한 N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N은 자연수임-, 상기 N개의 모듈 중 하나는 상기 단말표시부, 상기 단말통신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N개의 모듈 중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1 코드를 표시하고,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재고정보를 K번째로 갱신하고-상기 K는 자연수임-,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N개의 모듈 중 다른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2 코드를 표시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단말은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코드를 표시하고,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는 서버로 전달되며, 서버는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가 유효할 때 다음 시리얼 넘버를 수신함으로써, 작업자가 고도의 주의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복수의 시리얼 넘버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의 재고 정보를 구조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의 시리얼넘버를 구조화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재고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리얼 넘버와 연관된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저장부, 외부기기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서버 및 제공장소에 설치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 상기 서버 또는 외부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비히클용 단말;을 포함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교체 가능한 N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N은 자연수임 -, 상기 N개의 모듈 중 하나는 상기 단말표시부, 상기 단말통신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N개의 모듈 중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1 코드를 표시하고,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재고정보를 K번째로 갱신하고-상기 K는 자연수임-,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N개의 모듈 중 다른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2 코드를 표시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N이 상기 K와 같을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제2 코드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N이 상기K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N이 상기 K보다 클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제2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제1 코드는 상기 별도의 기기의 광학센서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제2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가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재고 관리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서버의 요청은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리얼 넘버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저장부, 외부기기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N개의 시리얼 넘버 중 하나인 제1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고 -상기 N은 자연수임-, 상기 제1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재고정보를 K번째로 갱신하고-상기 K는 자연수임-, 상기 N개의 시리얼 넘버 중 다른 하나인 제2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는 재고 관리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N이 상기 K와 같을 때,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N이 상기K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N이 상기 K보다 클 때, 상기 제2 시리얼 넘버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드는 상기 별도의 기기의 광학센서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제2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시리얼 넘버와 상기 제1 시리얼 넘버가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제2 시리얼 넘버의 전달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코드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 서버 또는 외부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비히클용 단말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교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중 하나는 상기 단말표시부, 상기 단말통신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표시부는 제1 시점에 상기 모듈 중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1 코드를 표시하고, 제2 시점에 상기 모듈 중 다른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2 코드를 표시하며, 상기 단말통신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서버로부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가 유효하다는 판단 결과를 수신하는 비히클용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판단 결과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정보 시스템을 설명한다.
단말에 포함된 각 부품의 정보 등을 시스템으로 관리하면, 고장 난 부품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부품의 정보(제조사, 구입날짜 등) 또는 재고 등을 파악하기 쉽고, 수리 후 부품의 고장 이력을 기록해두기 용이하다. 또한 특정 부품에 반복적으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리를 대비하여 미리 재고를 확보하거나, 제조사를 교체하는 등의 조치를 미리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서, 일반적으로 단말제품에 고장이 발생하면 단말 전체를 수거해야 하고 수거된 제품에서 고장 부품 외의 나머지 부품은 그대로 사용되므로, 반복적으로 수리를 거치게 되면 하나의 단말 안에 포함된 부품 간의 수명의 차이가 커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재고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면 아직 고장은 나지 않았지만 수명이 끝날 것으로 예상되는 부품을 미리 파악할 수 있고, 다른 부품의 수리 시에 미리 교체하여 추가적인 고장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 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재고 관리 시스템의 재고 정보를 설명한다.
재고 관리 시스템은 제공장소에 제공되는 단말에 포함되는 부품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은 제공장소에 설치되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에 동영상 광고를 제공하는 단말의 제공장소는 버스일 수 있다. 여기서 '설치'란 단말이 제공장소에 제공되어 실제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부품은 제공장소의 단말에 장착될 수 있다. 부품은 모듈화 되지 않고 단말에 장착될 수 있다. 부품은 모듈화될 수 있다. 부품은 모듈화 되어 단말에 장착될 수 있다. 모듈은 제공장소에 설치된 단말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을 조립한 것일 수 있다. 재고 관리 시스템은 단말 설치정보, 모듈 재고정보 또는 부품 재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 재고정보 또는 모듈 재고정보는 시리얼넘버를 통해 연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의 재고 정보를 구조화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의 시리얼넘버를 구조화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재고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재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부품 재고정보(1100), 모듈 재고정보(1200) 및 단말 설치정보(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 재고정보(1100)는 부품 시리얼넘버(1101)를 포함하는 부품 기본정보(1110) 및 부품 변동정보(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재고정보(1200)는 모듈 시리얼넘버(1201)를 포함하는 모듈 기본정보(1210) 및 모듈 변동정보(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단말 설치정보(1300)는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관될 수 있고, 모듈 재고정보(1200)는 부품 재고정보(1100)와 연관될 수 있다. 여기서, 부품 중 모듈화된 부품은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결될 수 있다. 부품 중 모듈화 되지 않은 부품은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모듈 중 설치된 모듈은 단말 설치정보(1300)와 연결될 수 있다. 모듈 중 설치되지 않은 모듈은 단말 설치정보(130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부품 중 단말에 장착된 부품은 단말 설치정보(1300)와 연결될 수 있다. 부품 중 단말에 장착되지 않은 모듈은 단말 설치정보(130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품 재고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부품 재고정보(1100)는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 대상일 수 있다. 부품 재고정보(1100)는 관리자가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을 통해 관리하고자 하는 것일 수 있다.
부품은 다수의 개별부품을 총칭하는 의미일 수 있다. 재고 관리 시스템(1000) 내에서 부품은 하나의 '부품명' 또는 '부품종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는 5개의 모니터 패널(A)을 주문하고, 제조사 또는 유통사로부터 모니터 패널(a,b,c,d,e)를 납품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부품은 모니터 패널(A)을, 개별부품은 각각의 모니터 (a,b,c,d,e)를 의미할 수 있다.
부품 재고정보(1100)는 각 개별부품의 재고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하나의 부품에 대해서 다수의 부품 재고정보(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 패널(A) 5개(a,b,c,d,e)가 입고되면,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는 모니터 패널(A)의 재고정보가 1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모니터 패널(a,b,c,d,e) 5개의 재고정보가 개별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 재고정보(1100)가 개별부품 단위로 생성되면,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는 부품 재고정보(1100)를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는 개별적인 상기 부품 재고정보(1100)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관리자는 구매한 특정 부품 중 현재 몇 개가 사용되고 있는지, 언제쯤 부품이 필요할지 미리 판단할 수 있고, 해당 부품이 부족하기 전에 주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부품의 불량률을 제조사 별로 파악하고, 불량률이 높은 부품을 제조하는 제조사를 교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 패널(A)를 10개는 제1 제조사에서, 10개는 제2 제조사에서 납품 받았으나, 제1 제조사의 부품은 불량품이 0개인 반면 제2 제조사 부품은 불량품이 3개라면, 관리자는 추후에 제2 제조사의 모니터 패널(A)를 구매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재고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가 부품 재고 정보(1100)를 제조사, 또는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빠르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부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부품 각각의 정보가 개별적으로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기록될 필요가 있다.
상기 부품 재고정보(1100)는 부품 시리얼넘버(1101)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 시리얼넘버(1101)는 각각의 부품 재고정보(1100)를 대표할 수 있다. 상기 부품 시리얼넘버(1101)는 상기 부품 재고정보(1100)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부품 시리얼넘버(1101)는 상기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부품 시리얼넘버(1101)는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는 부품 시리얼넘버(1101)를 통해 상기 부품 재고정보(1100)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부품 시리얼넘버(1101)는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 또는 관리자가 상기 부품 시리얼넘버(1101)를 임의로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부품 재고정보(1100)는 부품 기본정보(1110) 및 부품 변동정보(1120)을 포함할 수 있다.
부품 기본정보(1110)는 부품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등록되기 전부터 가지고 있던 상기 부품의 고유정보일 수 있다. 상기 부품 기본정보(1110)는 제조과정 또는 유통과정을 통해 설정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내에서 변동되지 않는 정보일 수 있다. 부품 기본정보(1110)는 부품 시리얼넘버(1101), 부품명(부품종류), 모델명, 유통사, 납품일자, 제조사 또는 제조일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부품 변동정보(1120)는 상기 부품이 입고되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등록된 이후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부품 변동정보(1120)는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내에서 변동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부품 변동정보(1120)는 상기 부품을 조립한 모듈이 제공장소의 단말에 장착되는 것을 통해 생성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상기 부품 변동정보(1120)는 제공장소의 단말에서 모듈이 분리되고 부품이 수리되는 것을 통해 생성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상기 부품 변동정보(1120)는 평균수명, 부품상태, 등급, 총 사용시간, 평균 수명비율, 설치이력, 수리이력, 모듈 관련 정보, 단말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모듈 관련 정보는 상기 부품 변동정보(112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부품은 모듈화 되지 않은 상태로 단말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품 변동정보(1120) 중 평균수명은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내에서 산출될 수도 있고,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평균 수명이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서 전달된 경우, 상기 평균 수명은 상기 부품 기본정보(1110)에 포함될 수 있다. 부품상태는 '예비', '사용 중', '수리 중', 또는 '폐기'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이 입고되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등록되면, 각 부품 재고정보(1100)의 부품상태는 '예비'로 표시될 수 있다. 등급은 A, B, C 또는 상, 중, 하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등급은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내에서 산출될 수도 있고, 관리자가 임의로 부여할 수도 있고,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등급이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서 전달된 경우, 상기 등급은 상기 부품 기본정보(1110)에 포함될 수 있다. 총 사용시간은 부품을 포함하는 단말이 설치되어 상기 부품이 사용된 총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부품이 장착된 단말이 사용되면 상기 총 사용시간은 증가할 수 있고, 부품이 장착된 단말이 사용되지 않거나, 부품이 수리 중이면 상기 총 사용시간이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평균 수명비율은 총 사용시간을 평균 수명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 밖에 설치이력은 부품을 포함하는 단말이 설치되어, 상기 부품이 사용된 이력을 기록한 것일 수 있고, 수리이력은 고장 난 부품이 수리된 이력을 기록한 것일 수 있다. 모듈 관련 정보는 해당 부품을 포함하는 모듈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고, 후술할 모듈 시리얼넘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관련 정보는 해당 부품을 포함하는 단말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부품 변동정보(1120)는 단말 시리얼넘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듈 재고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모듈 재고정보(1200)는 상기 부품을 조립하여 모듈화하고, 이를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등록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재고정보(1200)는 모듈이 포함하는 부품 재고정보(1100)를 연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재고정보(1200)는 모듈이 포함하는 부품 재고정보(1100)와 연동될 수 있다. 하나의 모듈 재고정보(1200)는 모듈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재고정보(1100)와 각각 연동될 수 있다. 모듈 재고정보(1200)가 생성되면, 모듈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변동정보(1120)는 모듈 관련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갱신될 수 있다. 부품은 모듈화 되지 않고 단말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변동정보(1120)는 단말 관련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갱신될 수 있다.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조립되는 부품에 따라 모듈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모듈종류는 부품종류에 따라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이 포함할 수 있는 부품종류는 A,B,C 총 3가지이고, A부품의 개별부품a1,a2,a3가 입고되고, B부품의 개별부품b1,b2,b3가 입고되고, C부품의 개별부품c1,c2,c3가 입고되었을 때, 제1 모듈이 a1,b2를 포함하고 제2 모듈이c1을 포함한다면, 이 두 개의 모듈은 다른 모듈종류일 수 있다. 만약, 제1 모듈이 a1, c2를 포함하고, 제2 모듈이 a3,c1을 포함한다면 이 두 개의 모듈은 같은 모듈종류일 수 있다.
같은 부품종류를 포함하는 하나의 모듈종류는 다수개가 조립될 수 있다. 위의 경우와 같이 부품종류가 A,B,C이고, 각각 3개의 개별부품이 입고되었을 때, 관리자는 A,B,C를 포함하는 모듈을 3개 조립할 수 있다. 이 때, A,B,C를 포함하는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의 수는 총 27개일 수 있다.
모듈종류는 부품의 수에 따라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경우와 같이 부품종류가 A,B,C 일 때, 모듈은 A를 1개 포함할 수도 있고, 2개 포함할 수도 있다. A를 1개 포함하는 모듈종류와 센서를 2개 포함하는 모듈 종류는 다른 모듈종류일 수 있다. 또한, 모듈이 A와 B를 포함할 때, A와 B를 각각 1개씩 포함하는 모듈과 각각 2개씩 포함하는 모듈은 다른 모듈종류일 수 있다.
다른 모듈종류가 2개 이상 조립되는 경우, 각각의 모듈종류는 모두 다른 부품종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부품종류를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위의 경우와 같이 부품종류가 A,B,C이고, 각각 3개의 개별부품이 입고되었을 때, 제1 모듈이 a1,b2를 포함하고 제2 모듈이 b3,c1을 포함한다면, 이는 같은 부품종류인 B를 포함하더라도 다른 모듈종류일 수 있다. 즉, 두 개의 모듈을 비교할 때, 적어도 하나의 부품종류가 다르면, 두 모듈은 다른 모듈종류일 수 있다.
다른 모듈종류가 2개 이상 조립되는 경우, 각각의 모듈은 기능이 비슷한 부품종류가 그룹핑(grouping)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장착되어야 하는 다수의 부품종류(A,B,C,D,E)가 있고, 각 부품종류가 제1 모듈 또는 제2 모듈에 장착된다고 할 때, 제1 모듈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부품종류(A,B)로 구성되고, 제2 모듈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이미지나 영상을 처리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부품종류(C,D,E)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종류를 중복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듈은 A,B,C를 포함하고, 제2 모듈은 C,D,E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모듈종류가 2개 이상 조립되는 경우, 각각의 모듈은 교체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부품을 그룹핑한 것일 수도 있다. 관리자는 수명이 다른 부품들을 각각 다른 모듈에 배치함으로써 부품 재고 관리를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부품의 수명은 부품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테면 모니터 패널의 수명은 정보처리가 필요한 제어부의 수명보다 훨씬 길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수명은 총 사용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A부품종류와 B 부품종류가 같은 모듈에 조립될 때, 새로 입고된 a1(A)는 새로 입고된 부품 b1(B)과 수리된 부품 b2(B) 중에서 b1(B)와 함께 조립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이렇게 수명이 비슷한 몇 가지 부품들을 하나의 모듈에 배치하면, 단말 전체를 교체하는 대신에 수명이 짧은 부품을 포함하는 모듈만 교체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모듈 재고정보(1200)는 모듈 시리얼넘버(12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각각의 모듈 재고정보(1200)를 대표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상기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상기 부품 재고정보(1100)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는 모듈 시리얼넘버(1201)를 통해 상기 모듈 재고정보(1200)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모듈을 등록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모듈이 포함하는 부품 시리얼넘버(1101)를 연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모듈이 포함하는 부품 시리얼넘버(1101)와 연동될 수 있다. 하나의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모듈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시리얼넘버(1101)와 각각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의해 임의로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모듈에 포함된 부품 중 하나의 부품 시리얼넘버(1101)를 모듈 시리얼넘버(1201)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관리자가 별도로 입력할 수도 있다.
제공장소에 설치된 단말에 장착된 모듈이 수리를 위해 단말에서 분리되면, 모듈은 다시 부품단위로 해체되고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는 재고 관리 시스템 내에서 소멸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에 따라, 상기 모듈 재고정보(1200)는 재고 관리 시스템 내에서 소멸될 수 있다. 모듈에 장착된 부품이 사용된 이력은 각 부품의 부품 재고정보(1100)의 부품 변동정보(1120)에 기록될 수 있다.
제공장소에서 분리된 모듈이 포함하고 있던 부품의 부품 변동정보(1120)는 상기 모듈 시리얼넘버(1201)를 소멸시킴으로써 갱신될 수 있다. 상기 부품 변동정보(1120)의 부품상태는 '사용 중'에서 '예비', '수리 중' 또는 '폐기' 로 변경될 수 있고, 총 사용시간 또는 평균 수명비는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부품 변동정보(1120)의 설치이력 또는 수리이력은 제공장소에 설치된 단말에 장착되었던 모듈의 부품이 사용된 기록 또는 단말에서 분리된 모듈의 부품이 수리된 기록을 추가하여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 변동정보(1120)의 단말 관련 정보도 함께 갱신되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모듈 재고정보(1200)는 모듈 기본정보(1210) 및 모듈 변동정보(122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기본정보(1210)는 모듈이 조립되고, 이를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등록할 때 생성되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재고정보(1200)가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 내에서 소멸하기 전까지 변동되지 않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모듈 기본정보(1210)는 모듈 시리얼넘버(1211), 모듈 조립일자 및 부품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모듈 기본정보(1210) 중 부품 관련 정보는 모듈에 장착된 각각의 부품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고, 모듈의 재고정보(1200)와 연동된 부품의 재고정보(1100)를 표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부품 관련 정보는 전술한 부품 시리얼넘버(1101)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변동정보(1220)는 모듈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등록된 이후 생성되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변동정보(1220)는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내에서 변동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모듈 변동정보(1220)는 제공장소의 단말에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통해 생성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변동정보(1220)는 제공장소의 단말에서 모듈이 분리되는 것을 통해 소멸될 수 있고, 몇몇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모듈 변동정보(1220)는 제공장소의 단말에서 모듈이 분리되는 것을 통해 갱신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 변동정보(1220)는 모듈상태 또는 단말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모듈 변동정보(1220)의 모듈상태는 '예비' 또는 '사용 중'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모듈이 제공장소의 단말에 장착되면 '사용 중'으로 표시될 수 있고, 모듈이 제공장소의 단말에 장착되지 않으면 '예비'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변동정보(1220)의 단말 관련 정보는 해당 모듈이 장착된 단말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듈 변동정보(1220)은 후술할 단말 시리얼넘버를 포함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서 모듈 재고정보(1200)는 부품 재고정보(1100)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모듈에 포함된 부품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하여, 재고 관리 시스템(1000) 또는 관리자는 모듈 재고정보(1200)가 부품 재고정보(1100)와 함께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 설치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 설치정보(1300)는 제공장소에 단말이 설치된 것을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이 확인하는 것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설치'란 작업자가 제공장소에 모듈을 장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설치'란 작업자가 제공장소에 부품을 장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모듈 또는 부품이 제공장소에 장착되었음을 확인하고, 단말 설치정보(1300)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설치정보(1300)는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이 모듈의 장착을 인식하고,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 받음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단말에 필요한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이 제공 장소에 장착된 것을 확인하고, 작업자가 제공장소의 정보 -제공 장소가 버스인 경우, 차량번호 및 버스노선 등이 포함될 수 있음-를 추가적으로 입력하면 단말 설치정보(1300)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는 단말 시리얼넘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는 단말 시리얼넘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설치정보(1300)의 단말 시리얼넘버는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는 모듈 관련정보, 부품 관련정보, 설치일자, 제공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의 모듈 관련정보는 단말에 장착된 모듈의 모듈 재고정보(1200)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는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 재고정보(1200)를 연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는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의 부품 관련정보는 단말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재고정보(1100)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는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동된 부품 재고정보(1100)와 연동될 수 있다. 하나의 단말 설치정보(1300)는 단말에 장착된 모듈의 모듈 재고정보(1200)와 각각 연동될 수 있다. 하나의 단말 설치정보(1300)는 상기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동된 부품 재고정보(1100)와 각각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는 단말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시리얼넘버(1101) 또는 단말에 장착된 모듈의 모듈 시리얼넘버(1201)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는 부품 시리얼넘버(1101)를 통해 부품 재고정보(1100)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설치정보(1300)는 모듈 시리얼넘버(1201)를 통해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동될 수 있다.
단말 설치정보(1300)는 제공장소에 설치된 설치일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설치정보(1300)는 제공된 제공장소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공 장소가 버스인 경우, 상기 제공 장소 정보는 차량 번호, 버스 노선, 버스 정류장, 버스 이동 경로 또는 승하차 탑승인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공 장소의 정보는 단말 설치정보(1300)가 생성되기 전부터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공장소의 정보는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 단말을 설치하는 설치자 또는 단말을 수리하는 수리자가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 입력한 것일 수도 있다.
단말 설치정보(1300)가 생성되면, 단말에 장착된 모듈의 모듈 변동정보(1220) 또는 모듈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변동정보(1120)는 변동될 수 있다. 단말에 장착된 모듈의 모듈 변동정보(1220)의 모듈상태는 '사용 중'일 수 있다. 단말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변동정보(1120)의 부품상태는 '사용 중'일 수 있다.
단말 설치정보(1300)가 생성되면, 단말에 장착된 모듈의 모듈 변동정보(1220) 또는 모듈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변동정보(1120)는 단말 관련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갱신될 수 있다. 부품 변동정보(1120)의 설치이력은 단말 설치정보(1300)를 통해 갱신될 수 있다. 부품 변동정보(1120)의 총 사용시간은 부품이 장착된 단말의 단말 설치정보(1300)가 생성되고 지속된 기간일 수 있다. 부품 변동정보(1120)의 단말 관련 정보는 단말 설치정보(1300)를 통해 갱신될 수 있다. 모듈 변동정보(1220)의 단말 관련 정보는 단말 설치정보(1300)를 통해 갱신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단말 설치정보(1300)가 단말 시리얼넘버를 포함하면, 단말 관련정보는 단말 시리얼넘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된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고장이 발생하면, 수리자와 같은 작업자에게 수리 요청이 전달될 수 있다. 수리자는 설치된 단말로부터 고장이 발생한 모듈을 해체할 수 있다.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변경되면, 단말 설치정보(1300)는 소멸할 수 있다. 변경된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의 단말 설치정보(1300)는 새로이 생성될 수 있다. 새로이 생성된 단말 설치정보(1300)는 단말에 현재 장착된 모듈의 모듈 시리얼넘버(1201)를 비롯한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새로이 생성된 단말 설치정보(1300)는 현재 단말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시리얼넘버(1101)를 비롯한 부품 재고정보(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단말에 새로이 장착된 모듈의 모듈 변동정보(1220) 또는 부품의 부품 변동정보(1120)는 갱신될 수 있다. 모듈 변동정보(1220)의 모듈 상태는 '사용 중'으로 변경될 수 있다. 부품 재고정보(1120)의 부품 상태는 '사용 중'으로 변경될 수 있다.
기존의 단말에서 해체된 모듈의 모듈 변동정보(1220) 또는 부품의 부품 변동정보(1120)는 갱신될 수 있다. 모듈 변동정보(1220)의 기존 단말 관련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 모듈 변동정보(1220)의 모듈 상태는 '예비'로 변경될 수 있다. 부품 변동정보(1120)의 기존 단말 관련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 부품 변동정보(1120)의 총 사용시간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부품 변동정보(1120)의 부품 상태는 '예비'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부품 변동정보(1120)의 부품 상태는 '수리'를 거쳐 '예비'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부품 변동정보(1120)의 부품 상태는 '수리'를 거쳐 '폐기'로 변경될 수 있다. 부품이 설치된 설치이력은 부품 변동정보(1120)의 설치이력을 통해 기록될 수 있다. 부품이 수리된 수리이력은 부품 변동정보(1120)의 수리이력을 통해 기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재고 관리 시스템은 비히클용 단말, 서버 및 작업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비히클용 단말은 전술한 '단말'일 수 있다. 비히클용 단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의 관리 대상일 수 있다.
작업자 기기는 전술한 '단말'과 구별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작업자는 비히클용 단말을 설치하는 설치자 또는 수리하는 수리자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서버(200), 비히클용 단말(100) 및 작업자 기기(300)을 포함한다.
비히클용 단말(100)은 버스, 택시 또는 지하철 과 같은 비히클(vehicle)에 장착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다.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비히클용 단말(100) 부품을 관리할 수 있다. 비히클용 단말(100)의 부품은 모듈화 되어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서 해체될 수 있다.
서버(200)는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재고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재고정보는 전술한 것과 같이, 부품 재고정보(1100), 모듈 재고정보(1200) 및 단말 설치정보(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재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저장된 재고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을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가 배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외부의 정보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통신을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휴대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폰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비히클용 단말(100), 서버(200) 및 작업자 기기(3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 중 2 개의 구성은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나머지 하나의 구성은 상기 2개의 구성 사이의 연결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2 개의 구성이 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나머지 하나의 구성은 통신을 통해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재고 관리 시스템의 비히클용 단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비히클용 단말(100)은 촬영부(111), 표시부(113), 신호변환부(115), 센서부(117), 위치정보수집부(119), 통신부(121), 제어부(123) 및 전원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1), 표시부(113), 신호변환부(115), 센서부(117), 위치정보수집부(119), 통신부(121), 제어부(123) 및 전원부(125)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의 부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비히클용 단말(100)은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외에도 더 많은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되는 모듈은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듈의 구성은 그 중 하나를 예시한 것으로, 모듈의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모듈(110)은 촬영부(111), 표시부(113), 신호변환부(115), 센서부(117) 및 위치정보수집부(119)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모듈(120)은 통신부(121), 제어부(123) 및 전원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모듈(110) 및 상기 제2 모듈(120)이 포함하는 부품들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영부(111)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의 외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11)는 광학센서를 통해 외부의 시각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11)는 카메라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11)의 카메라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표시부(113)는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13)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3)는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3)은 스피커와 같은 음성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호변환부(115)는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보드일 수 있다.
센서부(117)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의 주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상기 센서부(117)는 제공장소의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7)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센서, 미세먼지 센서 또는 대기질 모니터링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센서부(117)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주변에 위치한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7)는 비콘(beac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은 외부 기기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센서부(117)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주변의 특정 영역 내에 외부 기기가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7)는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외부 기기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정보수집부(119)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수집부(119)는 지피에스(GPS), 무선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기지국의 위치에 기반하여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이 교통수단에 제공되는 경우, 위치정보는 교통기관의 운행을 관리하는 시스템(BIS)으로 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통신부(121)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방식은 유선통신방식일 수 있다. 통신방식은 무선통신방식일 수 있다. 무선통신방식은 무선LAN통신, Lora, 블루투스, 지그비, RFID, NFC, IR방식 또는 RF방식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 기기는 상기 서버(200) 또는 상기 작업자 기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1)는 통신방식에 적합한 하위 통신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위 통신부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위 통신부품은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과 통신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과 가까이 위치할 수 있는 작업자 기기(300)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이 적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부(121)는 블루투스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상기 통신부(121)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상기 통신부(121)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1)는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1)는 통신을 통해 두 개 이상의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23)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3)는 다른 부품과 관련된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3)는 알고리즘에 따라 재고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3)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코드 생성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3)는 알고리즘에 따라 시리얼넘버를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전원부(125)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25)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의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히클용 단말(100)이 반드시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일부 구성이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히클용 단말(100)은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 또는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재고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서버(200)는 저장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재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재고정보는 부품 재고정보(1100), 모듈 재고정보(1200) 및 단말 설치정보(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고정보는 시리얼넘버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서 설정한 부품 재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비히클용 단말(100)의 부품의 모듈화에 따른 재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비히클용 단말(100)의 설치에 따른 재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갱신된 상기 재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서버(2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210)는 코드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서버(200)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상기 작업자 기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방식은 무선통신방식일 수 있다. 이는 비히클용 단말(100)에서 언급한 것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통신방식에 적합한 하위 통신부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통신을 통해 두 개 이상의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서버(2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230)는 코드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서버(200)가 반드시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서버(200)는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 또는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 (100)가 직접적으로 정보를 입력 받거나 출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서버(200)는 입력부 또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재고 관리 시스템의 작업자 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작업자 기기(300)는 저장부(310), 통신부(320), 제어부(330), 촬영부(340) 및 표시부(350)를 포함한다.
저장부(31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작업자 기기(300)의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관리자가 배포한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320)를 통해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상기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방식은 무선통신방식일 수 있다. 이는 비히클용 단말(100)에서 언급한 것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20)는 통신방식에 적합한 하위 통신부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상기 통신부(320)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상기 통신부(320)를 통해 외부기기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20)는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20)는 통신을 통해 두 개 이상의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상기 작업자 기기(3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촬영부(340)는 카메라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340)의 카메라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표시부(350)는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350)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50)는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350)은 스피커와 같은 음성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업자 기기(300)가 반드시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일부 구성이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기기(300)는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 또는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비히클용 단말(100)이 제공장소에 설치되는 과정 또는 교체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비히클용 단말(100)이 설치된 것을 작업자 기기(300)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비히클용 단말(100)은 설치자 또는 수리자와 같은 작업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비히클용 단말(100)은 제공장소에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제공 장소에 설치한 부품 또는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단말에 문자로 입력하였다. 그러나 시리얼넘버를 오기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았고, 작업자가 이를 현장에서 인지할 수 없었다. 더욱이, 비히클용 단말(100)이 다수의 부품 또는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현장에 있는 작업자가 순차적으로 부품 시리얼넘버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같은 시리얼넘버를 반복하여 입력하기도 했다. 이러한 오류는 주로 뒤늦게 발견되어 확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수리가 지연되어 경영상에 비효율화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코드를 통해 시리얼넘버를 이미지로 입력함으로써 위와 같은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비히클용 단말(100), 서버(200) 및 작업자 기기(300) 사이의 통신을 통해 잘못 입력된 코드 또는 시리얼넘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고도의 주의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정확한 시리얼넘버를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한다.
비히클용 단말(100)은 모듈이 모두 장착되고, 장착된 모듈이 연결되면 각 모듈의 시리얼넘버는 코드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상기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자 기기(300)을 통해 상기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작업자 기기(300)에 저장된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
코드에 포함된 시리얼넘버 정보는 서버(2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서버(200)에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 중 하나와 수신한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서버(200)가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실시 예에 따라 둘 중 하나만 판단할 수도 있고, 둘 모두를 판단할 수 있다.
위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설치된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시리얼넘버의 입력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비히클용 단말(100), 서버(200) 및 작업자 기기(300)을 포함한다.
제1 실시 예의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시리얼넘버가 변환된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300)은 표시된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와 저장된 시리얼넘버를 비교하여 대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는 각각의 코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모든 코드를 한꺼번에 표시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이 더 많은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또는 한번에 표시하는 것 외에 필요에 맞게 2개 또는 3개의 코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코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나, 2개 이상의 코드를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제1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재고 관리 방법(S1000)은 비히클용 단말(100)이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제1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1100); 상기 제1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하는 단계(S1200); 서버(200)에 저장된 모듈의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상기 제1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0); 및 비히클용 단말(100)이 제2 모듈(120)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제2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히클용 단말(100)은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제1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1100). 비히클용 단말(100)은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를 인코딩한 제1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비히클용 단말(100)의 상기 제1 모듈(110)은 제공 장소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제1 코드를 표시부(113)에 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상기 제1 모듈(110)이 포함하는 각 부품의 시리얼넘버를 표시부(11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코드의 형태는 바코드와 같은 1차원 코드 또는 QR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일 수 있다.
시리얼넘버를 코드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의 제어부(123)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시리얼넘버를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시리얼넘버를 코드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200)의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비히클용 단말(100)은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코드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리얼넘버를 코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히클용 단말(100)은 서버(200)가 변환한 코드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시리얼넘버를 인코딩한 코드는 상기 서버(200)의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200)에 저장된 코드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작업자 단말(300)은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1200).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이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제1 코드를 표시부(113)에 표시하면, 작업자 기기(300)는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작업자 기기(300)는 촬영부(340), 즉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코드를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기기(300)의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작업자 기기(300)의 통신부(320)를 통해 상기 제1 코드에 포함된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자 기기(300)는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코드를 변환하여 상기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버(200)는 변환된 제1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코드에 포함된 시리얼넘버를 직접 디코딩하여 서버(2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코드를 서버(200)에 전달한 후 결과 값을 수신하여 시리얼넘버를 인식하고, 이 결과 값을 다시 서버(2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에서 언급되는 '시리얼넘버 정보'는 시리얼넘버 자체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코드를 변환한 정보일 수 있으며, 코드 자체의 정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작업자 기기(300)이 상기 제1 코드를 어떠한 형태로 변환하더라도 상기 제1 코드는 상기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 자체, 제1 코드 자체 또는 그 중간의 어떤 형태라고 하더라도 이를 모두 '제1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저장된 모듈의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상기 제1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0).
자세하게는, 상기 서버(200)의 통신부(220)는 제1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수신한 제1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가 상기 서버(2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된 시리얼넘버 중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수신한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작업자 기기(300)의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받은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모듈(110)은 설치된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 때, 제1 모듈(110)의 모듈 재고정보(1200)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모듈(110)이 포함하는 부품의 부품 재고정보(1100)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수신한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상기 작업자 기기(300)에 상기 제1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실시 예의 순서는 비히클용 단말(100)이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제1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1100)부터 다시 진행될 수 있다.
비히클용 단말(100)은 제2 모듈(120)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제2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1400). 이때,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 중 하나는 수신한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수신한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 기기(300)의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200)가 전달받은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는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제1 모듈(110)이 제공장소에 설치된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버(200)는 부품 재고정보(1100) 또는 모듈 재고정보(1200)를 갱신할 수 있다.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수신한 제1 모듈(110)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상기 작업자 기기(300)에 상기 제2 코드를 획득하거나 표시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가 서버(200)의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작업자 기기(300)에 '제2 코드 요청'을 보내면,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상기 요청을 직접 수신하거나 상기 작업자 기기(3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제2 모듈(120)의 시리얼넘버가 변환된 상기 제2 코드를 표시부(113)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전술한 단계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의 통신부(220)는 제2 코드에 대한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수신한 제2 모듈(120)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수신한 제2 모듈(120)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 기기(300)의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200)가 전달받은 제2 모듈(120)의 시리얼넘버는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제2 모듈(120)이 제공장소에 설치된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전술한 과정을 거쳐 상기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이 제공장소에 설치된 단말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서버(200)는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의 모듈 재고정보(1200)를 연결하여 단말 설치정보(13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모듈(110)의 모듈 재고정보(1200)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모듈(110)이 포함하는 부품의 부품 재고정보(1100)는 변경될 수 있다. 제2 모듈(120)의 모듈 재고정보(1200)는 변경될 수 있다. 제2 모듈(120)이 포함하는 부품의 부품 재고정보(1100)는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비히클용 단말(100)은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외에 더 많은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전술한 단계와 마찬가지로 추가 모듈에 대해 모듈 시리얼넘버를 수신 받고,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서버(200)는 단말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재고정보(1200)를 연결하여 단말 설치정보(13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모듈의 모듈 재고정보(1200)는 변경될 수 있다. 각 모듈이 포함하는 부품의 부품 재고정보(1100)는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 시리얼넘버의 유효성이 확인될 때, 단말 설치정보(13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설치정보(1300)는 하나의 모듈 재고정보(1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단말 설치정보(1300)는 단말에 장착된 모듈이 모두 확인되기 전에도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이 모든 모듈이 장착된 것을 확인하기 전에도 모듈 재고정보(1200) 또는 모듈에 장착된 부품의 부품 재고정보(1100)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언급된 것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비히클용 단말(100), 서버(200) 및 작업자 기기(300)을 포함한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N개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시리얼넘버가 변환된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는 코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작업자 단말(300)은 표시된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N)를 비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서버(200)가 단말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모든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예와 달리 각각의 모듈 시리얼넘버의 유효성을 바로 확인하지 않음으로써, 전체 프로세스의 소요시간 또는 데이터 처리량을 크게 축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재고 관리 방법(S2000)은 N 개수의 모듈이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은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2100);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하는 단계(S2200); 및 서버(200)가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N)를 비교하는 단계(S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상기 서버(200)가 수신 받는 정보의 순서, N은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된 모듈의 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된 모듈의 수(N)는 관리자를 통해 서버(200)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비히클용 단말(100)에 모듈이 장착되면, 비히클용 단말(100)이 모듈의 수(N)를 산출하여 통신부(121)를 통해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듈의 수(N)는 상기 서버(200)에 전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모듈의 수(N)는 비히클용 단말(100)이 첫번째 코드를 표시부(113)에 표시하기 전부터 상기 서버(2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200)가 비히클용 단말(100)로부터 모듈의 수인 N을 수신 받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전체적인 프로세스의 소요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N 개수의 모듈이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은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2100).
상기 K번째 모듈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S2100단계는 제1 실시예의 S1100단계를 참조한다. 제2 실시예의 S2100단계는 모듈의 수가 상이한 것 외에는 제1 실시예의 S1100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300)은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2200).
제2 실시예의 S2200단계는 제1 실시예의 S1200단계를 참조한다. 제2 실시예의 S2200단계는 모듈의 수가 상이한 것 외에는 제1 실시예의 S1200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서버(200)는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K)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N)를 비교할 수 있다(S2300).
자세하게는, 상기 서버(200)의 통신부(220)가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장착된 모듈의 수로 정의된 N이 K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N이 K보다 크다는 것은 단말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수보다 상기 서버(200)의 통신부(220)가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K는 서버(200)의 제어부(230)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K는 서버(200)의 제어부(230)가 단말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일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단말에 장착된 모듈 중 일부의 모듈 시리얼넘버를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단말에 장착된 모듈 중 수신하지 않은 모듈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상기 작업자 기기(300)에 상기 추가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제2 실시 예의 순서는 비히클용 단말(100)이 K+1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1번째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2100)부터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N이 K와 같다는 것은 단말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수와 상기 서버(200)의 통신부(220)가 수신한 정보의 수가 같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단말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버(200) 또는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N이 K보다 작다는 것은 장착된 모든 모듈의 수 보다 상기 서버(200)의 통신부(220)가 수신한 정보의 수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N이 K와 같을 때, 상기 서버(200) 또는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이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버(200) 또는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버(200) 또는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 때,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모든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연결하여 단말 설치정보(13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모듈의 모듈 재고정보(1200)는 변경될 수 있다. 각 모듈이 포함하는 부품의 부품 재고정보(1100)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언급된 것 외에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비히클용 단말(100), 서버(200) 및 작업자 기기(300)을 포함한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M개수의 모듈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시리얼넘버가 변환된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는 코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작업자 단말(300)은 표시된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수신한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를 통해 모듈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임의의 K번째 모듈의 모듈종류가 이미 수신한 K-1번째 까지의 모듈의 모듈종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종류의 수(M)를 비교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모든 모듈종류의 모듈에 대한 시리얼넘버 정보가 수신될 때,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기능에 필요한 모듈이 모두 장착되어야 기능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모듈A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모듈B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우, 모듈A와 모듈B가 단말에 장착될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는 (A, B)로 표현될 수 있다. 모듈A와 같은 부품종류로 모듈A1, 모듈A2가 조립될 수 있다. 모듈B와 같은 부품종류로 모듈B1, 모듈B2가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포함되는 모듈이 (A1, B1), (A1, B2), (A2, B1) 또는 (A2, B2)일 때, 단말은 정상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단말에 포함되는 모듈이 (A1, A2) 또는 (B1, B2)일 때, 단말은 정상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서버(200)는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통해 모듈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단말이 (A1, A2) 또는 (B1, B2)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버(200)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모든 모듈이 장착되었는지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재고 관리 방법(S3000)은 M 개수의 모듈종류가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이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3100);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하는 단계(S3200); K 번째 모듈의 모듈종류가 서버(200)가 K-1번째 까지 수신한 모듈의 모듈종류 중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300); 및 서버(200)가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K)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M)를 비교하는 단계(S3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상기 서버(200)가 수신 받는 정보의 순서, M은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된 모듈종류의 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에 장착된 모듈종류의 수(M)는 관리자를 통해 서버(200)에 입력될 수 있다. 모듈종류의 수(M)는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이 첫번째 코드를 표시부(113)에 표시하기 전부터 상기 서버(2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M 개수의 모듈종류가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은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3100). 작업자 단말(300)은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3200).
제3 실시예의 S3100단계 및 S3200단계는 제2 실시예의 S2100단계 및 S2200를 참조한다. 제3 실시예의 비히클용 단말(100)은 M개의 모듈종류의 수를 포함하고, 제2 실시예의 비히클용 단말(100)은 N개의 모듈의 수를 포함한다. 이것 외에는 제3 실시예의 S3100단계 및 S3200단계는 제2 실시예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서버(200)는 K 번째 모듈의 모듈종류가 서버(200)가 K-1번째까지 수신한 모듈의 모듈종류 중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0).
자세하게는, 서버(200)의 통신부(220)는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를 통해 모듈 재고정보(1200)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를 통해 모듈과 연동된 부품 재고정보(1100)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모듈의 모듈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K-1번째까지의 모듈의 모듈종류 중 하나와 K번째 모듈의 모듈종류가 대응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K-1번째까지의 모듈의 모듈종류 중 하나와 K번째 모듈의 모듈종류가 대응되면, 비히클용 단말(100)은 동일한 모듈종류를 중복하여 포함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K번째 모듈은 작업자의 실수로 비히클용 단말(100)에 잘못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부(320)를 통해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작업자 기기(300)로 오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통신부(320)를 통해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작업자 기기(300)로 K번째 코드를 다시 획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제3 실시 예의 순서는 비히클용 단말(100)이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3100)부터 다시 진행될 수 있다.
K-1번째까지의 모듈의 모듈종류 중 하나와 K번째 모듈의 모듈종류가 대응되지 않으면, 비히클용 단말(100)은 상이한 모듈종류를 포함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상기 K번째 모듈이 제공장소에 설치된 단말에 장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K번째 모듈의 모듈 재고정보(1200)를 갱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또한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K)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M)를 비교할 수 있다(S3400).
제3 실시예의 S34100단계는 제2 실시예의 S2300단계를 참조한다. M은 모듈종류의 수이고, N은 모듈의 수인 것 외에는, 제3 실시예의 S3400단계는 제2 실시예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언급된 것 외에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는 제2 실시예를 기초로 제1 실시예의 서버(200)의 판단과정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단말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각각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유효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의 소요시간 또는 데이터 처리량을 크게 축소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재고 관리 방법(S2000)은 N 개수의 모듈이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이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4100);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하는 단계(S4200); 서버(200)가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K)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N)를 비교하는 단계(S4300); 및 서버(200)에 저장된 모듈의 시리얼넘버와 서버(200)가 수신한 K 개수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각각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400); 를 포함할 수 있다.
N 개수의 모듈이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은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4100). 작업자 단말(300)은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4200). 서버(200)는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K)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N)를 비교할 수 있다(S4300). 서버(200)는 저장된 모듈의 시리얼넘버와 N 개수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각각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400).
제4 실시예의 S4100 내지 S4300 단계는 제2 실시예의 S2100 내지 S2300 단계를 참조한다.
제4 실시예의 S4400 단계는 제1 실시예의 S1300 단계를 참조한다. 제4 실시예의 S4400 단계는 K개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가 대응되는지를 판단하나, 제1 실시예의 S1300 단계는 1개의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의 대응여부를 판단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외에는, 제4 실시예의 S4400단계는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서버(200)는 K개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와 모두 대응하면, 서버는(200)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 때, K은 N과 동일한 자연수일 수 있다.
이 때, 서버(200)는 K개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와 모두 대응하더라도, 서버(200)는 K개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각기 다른 모듈 시리얼넘버와 대응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200)는 중복된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200)가 중복된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되면, 서버는(200)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상기 작업자 기기(300)에 코드를 처음부터 다시 표시하거나 획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제4 실시 예의 순서는 비히클용 단말(100)이 첫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첫번째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부터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서버(200)는 N개의 시리얼넘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와 대응하지 않으면, 서버는(200)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자세한 과정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언급된 것 외에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5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는 제2 실시예를 기초로 제1 실시예의 서버(200)의 판단과정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는 제4 실시예의 서버(200)의 판단과정의 순서가 다른 것일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단말에 장착된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단말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재고 관리 방법(S5000)은 N 개수의 모듈이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이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5100);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하는 단계(S5200); 서버(200)에 저장된 모듈의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300); 및 서버(200)가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K)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N)를 비교하는 단계(S5400); 를 포함할 수 있다.
N 개수의 모듈이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은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5100). 작업자 단말(300)은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5200). 서버(200)는 저장된 모듈의 시리얼넘버 중 하나가 K번째의 시리얼넘버 정보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300). 서버(200)는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K)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N)를 비교할 수 있다(S5400).
제5 실시예의 S5100및 S5200 단계는 제2 실시예의 S2100 및 S2200 단계를 참조한다.
제5 실시예의 S5300 단계는 제1 실시예의 S1300 단계를 참조한다. 제5 실시예의 S5300 단계는 K번째 시리얼넘버 정보와 저장된 모듈 시리얼넘버가 대응되는지를 판단하나, 제1 실시예의 S1300 단계는 제1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의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외에는, 제5 실시예의 S5300단계는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S5400 단계는 제2 실시예의 S2300 단계를 참조한다.
이하에서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언급된 것 외에는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6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프로세스는 제5 실시예를 기초로 시리얼 넘버의 중복여부를 확인하는 서버(200)의 판단과정이 추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은 수신한 시리얼 넘버 간의 중복여부를 확인하고, 단말에 장착된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단말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듈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의 재고 관리 시스템(1000)의 재고 관리 방법(S6000)은 N 개수의 모듈이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이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6100);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하는 단계(S6200);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 넘버 정보가 서버가 K-1번째까지 수신한 시리얼 넘버 정보 중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300);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서버(200)에 저장된 모듈의 시리얼넘버 중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400); 및 서버(200)가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K)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N)를 비교하는 단계(S6500); 를 포함할 수 있다.
N 개수의 모듈이 장착된 비히클용 단말(100)은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6100). 작업자 단말(300)은 재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6200). 서버(200)는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 넘버 정보가 서버(200)가 K-1번째까지 수신한 시리얼 넘버 정보 중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00). 서버(200)는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서버(200)에 저장된 모듈의 시리얼넘버 중 하나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수신한 시리얼넘버 정보의 수(K)와 단말이 포함하는 모듈의 수(N)를 비교할 수 있다(S6500).
제6 실시예의 S6100단계 및 S6200 단계는 제5 실시예의 S5100단계 및 S5200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6 실시예의 S6300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K번째 코드의 시리얼 넘버 정보가 서버가 K-1번째까지 수신한 시리얼 넘버 정보 중 하나와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6300). 이를 통해, 상기 K번째 코드가 이미 수신한 코드와 중복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서버(200)가 수신한 K-1개의 시리얼 넘버 정보 중 하나와 K번째 시리얼 넘버 정보가 대응되면, 서버(200)는 동일한 시리얼넘버 정보를 중복하여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비히클용 단말(100)에 표시된 코드를 중복하여 획득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작업자 기기(300)의 오류로 동일한 시리얼 넘버 정보가 재송신된 것일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부(320)를 통해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작업자 기기(300)로 오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통신부(320)를 통해 비히클용 단말(100) 또는 작업자 기기(300)로 K번째 코드를 다시 획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제6 실시예의 순서는 비히클용 단말(100)이 K번째 모듈의 시리얼넘버를 변환한 K번째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S6100)부터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서버(200)가 수신한 K-1개의 시리얼 넘버 정보 중 하나와 K번째 시리얼 넘버 정보가 대응되지 않으면, 서버(200)는 단말에 장착된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하고(S6400), 단말에 장착된 모든 모듈의 시리얼넘버 정보를 수신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S6500).
제6 실시예의 S6400단계 및 S6500단계는 제5 실시예의 S5300단계 및 S5400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15)

  1. 시리얼 넘버와 연관된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저장부, 외부기기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서버; 및
    제공장소에 설치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 상기 서버 또는 외부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비히클용 단말;을 포함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교체 가능한 N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N개의 모듈 중 하나는 상기 단말표시부, 상기 단말통신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N은 자연수임-,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N개의 모듈 중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1 코드를 표시하고,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재고정보를 K번째로 갱신하고-상기 K는 자연수임-,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N개의 모듈 중 다른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2 코드를 표시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이 상기 K와 같을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제2 코드를 표시하지 않는
    재고 관리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N이 상기K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N이 상기 K보다 클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제2 코드를 표시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용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제1 코드는 상기 별도의 기기의 광학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재고 관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제2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가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상기 재고 관리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코드를 표시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 서버의 요청은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로 전달되는
    재고 관리 시스템.
  8. 시리얼 넘버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저장부; 외부기기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N개의 시리얼 넘버 중 하나인 제1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고 -상기 N은 자연수임-,
    상기 제1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1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재고정보를 K번째로 갱신하고-상기 K는 자연수임-,
    상기 N개의 시리얼 넘버 중 다른 하나인 제2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는
    재고 관리 서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N이 상기 K와 같을 때,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지 않는
    재고 관리 서버.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N이 상기K보다 큰지 판단하고,
    상기 N이 상기 K보다 클 때, 상기 제2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는
    재고 관리 서버.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리얼 넘버는 제1 코드로 코딩되어 상기 별도의 기기의 광학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재고 관리 서버.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제2 시리얼 넘버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시리얼 넘버와 상기 제1 시리얼 넘버가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재고 관리 서버.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리얼 넘버와 상기 재고 관리 서버가 저장한 시리얼 넘버 중 하나가 대응될 때, 상기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제2 시리얼 넘버의 전달을 요청하는
    재고 관리 서버.
  14. 제공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코드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 서버 또는 외부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비히클용 단말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용 단말은 교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중 하나는 상기 단말표시부, 상기 단말통신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표시부는 제1 시점에 상기 모듈 중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1 코드를 표시하고, 제2 시점에 상기 모듈 중 다른 하나의 시리얼 넘버를 코딩한 제2 코드를 표시하며,
    상기 단말통신부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서버로부터 제1 코드를 디코딩한 시리얼 넘버가 유효하다는 판단 결과를 수신하는
    비히클용 단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판단 결과는 별도의 기기를 통해 상기 비히클용 단말에 전달되는
    비히클용 단말.

KR1020200025141A 2020-02-28 2020-02-28 단말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KR20210109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41A KR20210109918A (ko) 2020-02-28 2020-02-28 단말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41A KR20210109918A (ko) 2020-02-28 2020-02-28 단말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18A true KR20210109918A (ko) 2021-09-07

Family

ID=7779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141A KR20210109918A (ko) 2020-02-28 2020-02-28 단말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9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28121A (ja) エレベータまたはエスカレータ設備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109986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switch cabinet
CN102354181B (zh) 基于现场总线的控制系统以及给总线设备编地址的方法
US20140039685A1 (en) Sens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CN110555115A (zh) 一种确定车辆维修方案的方法及装置
CN1938656A (zh) 用于需要维护的装置的管理方法和系统
CN101140467A (zh) 制造和测试通信系统
CN103443725A (zh) 伺服控制装置的异常诊断装置及异常诊断系统
US201501383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equipment field data to service centers
CN107945307A (zh) 一种铁路设备追踪管理系统
EP2718884A1 (en) Method for starting up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start-up apparatus, server and system
CN110490523A (zh) 备料清单的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1199290A (zh) 智能巡检管理系统
CN103176090A (zh) 影像量测机的硬件诊断系统及方法
KR20120004213A (ko) Pc-nc 기반의 산업기계용 통합정비시스템
CN112584579B (zh) 一种led路灯故障管理系统及方法
KR20210109918A (ko) 단말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WO2022056867A1 (zh) 生产管控系统及方法
JP2000214918A (ja) プラント保守支援システム
JP2003132167A (ja) 設備検修システム
CN109982284A (zh) 用于线路巡检的通讯系统及方法
US10991285B2 (en) Cloud-based remote diagnostics for smart signage
CN114282695A (zh) 一种故障维修方法、故障维修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38785A (ko) 철도차량 부품이력 및 상태진단 관리 분석 시스템
CN104698270A (zh) 一种自动校核型配电计量系统及其安装方法、运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