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884A -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 Google Patents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884A
KR20210109884A KR1020200025049A KR20200025049A KR20210109884A KR 20210109884 A KR20210109884 A KR 20210109884A KR 1020200025049 A KR1020200025049 A KR 1020200025049A KR 20200025049 A KR20200025049 A KR 20200025049A KR 20210109884 A KR20210109884 A KR 20210109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er
product
manager
regis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250B1 (ko
Inventor
박필석
Original Assignee
(주)시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즐 filed Critical (주)시즐
Priority to KR102020002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2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884A/ko
Priority to KR1020220014035A priority patent/KR102466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은 (a) 서버가 제1 내지 제N(N은 2 이상의 정수)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에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내지 제N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가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 지시서에 대한 작업 내역 현황을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METHOD FOR MANAGING PRODUCT-WORKER CUSTOMIZED SMART FACTORY PLATFORM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다양한 제품의 생산 공정에 대응하여 작업자에게 작업을 효율적으로 지시함과 동시에 공장에서 다루되, 제품 생산과 연계되는 모든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출현함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공장에 배치된 기계 역시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공장을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라고 하는바, 하나의 제품이라 할지라도 자재부터 제품이 완성되기까지 복잡한 생산 공정을 거친다는 특수성 때문에 단순히 기계에 네트워크 기능만을 추가한다고 하여 스마트 팩토리가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공장에서 다루는 모든 유형의 오브젝트(Object)들 그리고 이들로부터 파생되는 유의미한 정보 모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종래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은 공장에 배치된 기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1차원적인 형태에 머무르고 있는바, 공장은 제조업을 영위하는 장소이며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배치되는 기계의 종류와 적용되는 생산 공정이 무수히 많다는 특수성 때문에 모든 공장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의 구축이 어려우며, 구축 비용 역시 상당한 금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완전 자동화 공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장에 배치된 기계에는 작업자가 할당되어 생산 공정을 수행하는바, 종래의 공장 관리자는 작업자에게 이메일로 작업을 지시하거나 유선 또는 종이 문서를 이용하여 작업을 지시하였으므로 작업 지시에 있어서 번거로움을 초래하였으며, 관리자 스스로가 작업을 지시하고자 하는 기계의 사용 여부 및 생산 공정까지 일일이 반영하여 작업 지시서를 작성하고 관리해야 했으므로 인력 소모까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장에서 다루는 모든 유형의 오브젝트들 그리고 이들로부터 파생되는 유의미한 정보 모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든 공장에 비교적 경제적인 비용으로 보편적인 적용이 가능하며 작업 지시서의 효율적인 작성 및 관리까지 가능한 새로운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7948호(2018.07.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장에서 다루는 모든 유형의 오브젝트들 그리고 이들로부터 파생되는 유의미한 정보 모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든 공장에 비교적 경제적인 비용으로 보편적인 적용이 가능한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작업 지시서의 효율적인 작성 및 관리까지 가능한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은 (a) 서버가 제1 내지 제N(N은 2 이상의 정수)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에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내지 제N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가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 지시서에 대한 작업 내역 현황을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제품 생산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a-2) 상기 제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a-3) 상기 금형을 장착할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a-4) 상기 자재, 금형 및 기계 중 하나 이상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가능한 주변 장치에 대한 제4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a-5)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를 포함하는 라인에 대한 제5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는, 상기 금형의 제조사, 제조 번호, 제조 스펙, 이름, 종류 및 번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는, 상기 기계의 이름, 종류, 번호, 하루 최대 생산량, 제조사, 제조사 번호, 제조사 상세 정보 및 사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라인에 대한 제5 기반 정보는, 상기 라인의 번호, 상세 정보, 상기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 번호 및 이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와 동일한 종류의 기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상기 작업자의 단말에 출력하며, 상기 제1 리스트는, 상기 라인과 상이한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와 상기 라인에 추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계를 구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리스트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 정보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기계와 생산 공정 상, 앞 또는 뒤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리스트를 상기 작업자의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작업자가 투입될 하나 이상의 라인 및 담당할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제1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2) 상기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카테고리, 제품 번호 및 제품명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2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3) 상기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의 생산 목표량에 대한 제3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4) 상기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의 작업 개시 날짜 및 작업 완료 날짜를 포함하는 작업 목표 기간에 대한 제4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5) 상기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선택 정보와 이를 공유할 공유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제5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b-6) 상기 제1 작업 정보 내지 제5 작업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첨부 파일을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 및 (c) 단계 사이에, (b´) 상기 등록한 작업 지시서를 상기 작업자의 단말에 작업 내역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 내역은, 작업 내역 현황이"대기"로 최초 설정되어 제1 색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의 작업 내역 현황은, 진행, 중지, 완료 및 공유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제2 색 내지 제5색 중 하나에 개별적으로 매칭시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재부터 라인에 이르기까지 제품 생산에 연계되는 모든 유의미한 정보 모두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서로 연계되는 정보들의 등록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알림을 제공하므로 공장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의미한 정보 모두를 서버에 자체적으로 보관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므로 사용에 따라 정보가 누적될 수 있는바, 이를 빅데이터화하여 공장 운영에 반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인 등록에 있어서 다른 라인에 포함되는 기계를 구별하여 출력하며, 하나 이상의 기계를 선택하는 경우 생산 공정을 반영하여 앞 또는 뒤에 배치될 수 있는 다른 기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출력하는바, 공장에 배치된 기계가 많은 경우라 할지라도 손쉽게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재의 재고 관리와 금형, 기계 및 주변 장치의 주문, A/S까지 플랫폼 상에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한 불필요한 노동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공장에서 관리하는 보편적인 정보 및 일부 공장에서만 관리하는 특수 정보까지 모두 관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공장에 커스터마이징하여 손쉽게 도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버의 구축 비용만 일차적으로 부담하되, 개별적인 사항은 손쉽게 커스터마이징 가능 하므로 비교적 경제적인 비용으로 스마트 팩토리 도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 부여하는 작업 지시서의 손쉬운 등록과 작업 내역 현황의 등록이 용이해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 관리와 더불어 제품의 생산 관리에 효율성을 가져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서버가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의 대표적인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210 단계가 포함하는 구체적인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S220 단계가 포함하는 구체적인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서버(100)가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어느 한 구성이 수행하는 역할을 다른 구성이 함께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서버(100)는 프로세서(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 메모리(30), 스토리지(4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데이터 버스(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하우스 시스템 및 공간 임대형 시스템 등과 같은 유형의 물리적인 서버 또는 무형의 클라우드(Cloud) 서버 등과 같이 실질적인 구현 형태는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프로세서(10)는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e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형태의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서버(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며, 그 밖의 공지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그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0)는 각종 정보,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스토리지(4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을 로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메모리(30)의 하나로 RAM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더불어 다양한 저장 매체를 메모리(30)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토리지(4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 및 대용량 네트워크 정보(42)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4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41)은 메모리(30)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가 (a) 제1 내지 제N(N은 2 이상의 정수)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에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오퍼레이션, (b) 상기 제1 내지 제N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오퍼레이션 및 (c)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 지시서에 대한 작업 내역 현황을 수신하여 등록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간단하게 언급한 컴퓨터 프로그램(41)이 수행하는 오퍼레이션은 컴퓨터 프로그램(41)의 일 기능으로 볼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데이터 버스(50)는 이상 설명한 프로세서(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 메모리(30) 및 스토리지(40) 사이의 명령 및/또는 정보의 이동 경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서버(100)는 공장에 배치된 다양한 기계들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이들에게 송신한 정보 그리고 작업 지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모든 유의미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여 보관하거나 외부 정보베이스(미도시)에 전부 송신함으로써 별도로 저장하여 보관할 수도 있으며, 후자의 경우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거나 송신 주기를 설정하여 정기적인 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의 대표적인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어느 한 단계가 다른 단계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서버(100)를 편의상 서버(100)로 명명하되,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우선, 서버(100)가 제1 내지 제N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에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한다(S210).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을 적용하는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에 대한 개수일 수 있다.
한편, 기반 정보는 제1 내지 제N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에 연계되는 정보인바, 얘를 들어, 제품 생산이 이용되는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 제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 금형을 장착할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 자재, 금형 및 기계 중 하나 이상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가능한 주변 장치에 대한 제4 기반 정보 및 하나 이상의 기계를 포함하는 라인에 대한 제5 기반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제1 기반 정보 내지 제5 기반 정보는 상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나, 이상 설명한 제1 기반 정보 내지 제5 기반 정보를 기반 정보의 대표적인 예로 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도 3은 S210 단계가 포함하는 구체적인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인바, S210 단계는 제품 생산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10-1), 제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10-2), 금형을 장착할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10-3), 자재, 금형 및 기계 중 하나 이상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가능한 주변 장치에 대한 제4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10-4) 및 하나 이상의 기계를 포함하는 라인에 대한 제5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10-5)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을 적용하는 공장 자체의 대표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작업을 지시하는 권한을 부여 받은 일반 관리자일 수 있으며, 관리자로부터의 기반 정보 수신은 서버(100)와 연동된 컴퓨터, 스마트폰, PDP, PMP 등과 같이 네트워크 기능을 보유한 전자 기기인 관리자의 단말(미도시)에 관리자가 기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품 생산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는 자재의 이름, 종류, 수량, 당사 번호, 입고일, 제조사 및 제조 번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자재는 제품 생산에 이용되는 원자재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원자재를 가공한 중간 자재, 공자재까지 모두 포함할 수 있는바,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는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든 공장에서 관리하는 보편적인 정보이다.
이러한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는 후술할 제2 기반 정보 내지 제5 기반 정보 중 하나 이상과 연동되는 정보인바, 자재를 이용하여 금형이 장착된 기계가 포함된 라인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각각의 기반 정보가 서로에게 유기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등록한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는 자재 정보 리스트로 출력될 수 있으며, 자재 정보 리스트 상에서 등록한 제1 기반 정보를 수정할 수 있고, 자재 정보 리스트는 등록한 제1 기반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자재에 대한 입고 신청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는바, 자재의 수량이 얼마 남지 않아 추가적인 입고가 필요한 경우 입고 신청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재의 제조사에게 실시간 알림이 송신되어 입고 신청자, 입고 신청일 및 입고 예정일을 포함하는 입고 스케쥴까지 등록될 수 있는바, 자재 수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자재가 부족하여 제품 생산에 차질을 미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 생산 스케쥴을 관리함에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자재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알림을 송신하거나 서버(100)가 자체적으로 입고 신청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바, 후자의 경우 입고 신청 내역을 관리자에게 송신하게 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입고 신청 내역을 확인하게 하여, 입고 신청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100)에 의한 자동 입고 신청은 관리자가 설정한 기 정해진 수량에 대하여 입고 신청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원칙일 것이나,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재고를 유지해야 하는 최소 수량과 현재 자재의 수량의 차이를 산정하여 차이에 해당하는 수량만큼만 입고 신청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는 금형의 제조사, 제조 번호, 제조 스펙, 이름, 종류 및 번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는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이 금형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제품일 경우에만 관리하는 특수 정보이다.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의 경우, 금형은 외부 업체로부터 제공 받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에 따라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하기에 금형을 제조하는 제조사에 대한 정보, 제조 번호 및 제조 스펙 중 하니 이상이 요구된다.
이러한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는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와 금형을 장착할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바, 자재를 이용하여 금형을 장착할 기계로 제품을 생산하는 수량에 대응하여 금형의 수명이 감소하며, 이들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와 금형을 장착할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를 함께 모니터링하면 금형의 수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등록한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는 금형 정보 리스트로 출력될 수 있으며, 금형 정보 리스트 상에서 등록한 제2 기반 정보를 수정할 수 있고, 금형 정보 리스트는 등록한 제2 기반 정보뿐만 아니라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에 따른 자재의 수량 및 금형을 장착한 기계를 통해 생산한 제품 수량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이를 반영한 금형의 잔존 수명에 대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금형의 잔존 수명이 기 설정된 수명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알림을 송신하거나 서버(100)가 금형 제조사에게 자체적으로 새로운 금형 주문 신청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바, 후자의 경우 주문 신청 내역을 관리자에게 송신하게 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주문 신청 내역을 확인하게 하여, 주문 신청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 중 금형의 이름, 종류 및 번호는 금형의 제조사에서 부여한 이름, 종류 및 번호를 그대로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으나, 제조사가 부여한 것이기에 작업자 입장에서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을 적용한 공장의 현황에 맞도록 관리자가 자체적인 이름, 종류 및 번호를 부여하여 등록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금형을 장착할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는 기계의 이름, 종류, 번호, 제조사, 하루 최대 생산량, 제조사 번호, 제조사 상세 정보 및 사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는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든 공장에서 관리하는 보편적인 정보이다.
가내 수공업 형식의 공장을 제외하고, 제조업을 영위하는 공장의 경우 제품 생산에 이용하는 기계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바, 기계 자체가 매우 고가임과 동시에 제품 생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 관리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 중 기계의 이름, 종류 및 번호는 기계의 제조사에 부여한 이름, 종류 및 번호를 그대로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으나, 제조사가 부여한 것이기에 작업자 입장에서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을 적용한 공장의 현황에 맞도록 관리자가 자체적인 이름, 종류 및 번호를 부여하여 등록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 중 기계의 제조사 번호 및 제조사 상세 정보는 기계의 A/S 또는 교체에 연관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제조사에서 부여한 제조사 번호 및 제조사 상세 정보를 그대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등록한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는 기계 정보 리스트로 출력될 수 있으며, 기계 정보 리스트 상에서 등록한 제3 기반 정보를 수정할 수 있고, 기계 정보 리스트는 등록한 제3 기반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기계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 및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제품을 생산하는 기계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최근의 기계들은 기술 발전에 의해 사용 가능한 시간이 이전보다 길어진 것이 일반적이긴 하나, 제조업을 영위하는 공장들의 경우 작업자들이 교대 근무를 서며 밤낮 없이 기계를 구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바, 사용 시간이 누적될수록 기계의 잔존 수명은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기계의 잔존 수명이 만료된 이후에 새로운 기계를 주문하는 경우, 기계 제작, 배송 및 배치에 필요한 시간 동안 제품 생산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 정보 리스트가 기계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그 취지에 따라 기계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정보는 기계의 구동 시간과 실시간으로 연동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고, 이 경우 기계는 네트워크 기능을 보유함으로써 서버(100)와 연동되어 있음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기계의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기계의 사용 가능한 시간이 10,000시간이라고 한다면,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를 최초로 등록할 시 기계 정보 리스트에는 기계의 구동 시간이 0으로 출력되며, 이후 기계를 구동한 시간에 대응하여 구동 시간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서버(100)는 기계의 구동 시간이 사용 가능한 시간 대비 소정 시간 이상이 된 경우,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알림을 송신하거나 서버(100)가 기계 제조사에게 자체적으로 새로운 기계 주문 신청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바, 후자의 경우 주문 신청 내역을 관리자에게 송신하게 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주문 신청 내역을 확인하게 하여, 주문 신청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 매뉴얼에 맞춰 사용한다면 고장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자 별로 사용 매뉴얼에 맞춰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누적된다면 기계 자체가 고장이 나버려 제품 생산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 정보 리스트가 기계의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그 취지에 따라 기계의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는 서버(100)와 실시간으로 연동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고, 이 경우 역시 기계는 네트워크 기능을 보유함으로써 서버(100)와 연동되어 있음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계의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는 기계의 구동 상태 또는 휴지 상태 등의 모든 상황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오류(Error)에 대한 정보, 기계가 포함하는 부품의 잔존 수명에 따른 교체의 필요성에 대한 정보, 장시간 구동하여 휴지 상태 진입이 요구되는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정보를 나태는 코드의 형태로 서버(100)에 송신될 수 있다.
아울러, 기계의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가 서버(100)에 송신되는 경우와 동시에 관리자 또는 기계의 제조사에게도 이에 대한 알림을 송신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고장의 종류에 따라 관리자가 자체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코드의 종류에 따라 구별하여 자체적인 조치가 가능한 고장은 관리자에게, 자체적인 조치가 불가능한 고장은 기계의 제조사에게 알림을 송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후자의 경우 자체적인 조치가 가능한 고장에 대한 알림이 관리자에게만 송신되기에 기계의 제조사는 해당 고장이 발생한 사실 자체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는바, 모든 알림을 수신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한다는 것을 제외하더라도, 자신이 기계를 판매한 고객의 고장 여부를 포함하는 기계 사용 내역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기 설정된 기간을 주기로 하여 자체적인 조치가 가능한 고장에 대한 알림을 포함한 기계에 대한 모든 사용 내역을 로그 정보로 하여 기계의 제조사에게 송신할 수 있는바, 서버(100)가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자체적인 조치가 불가능한 고장은 기계의 제조사에게 알림이 송신되기에 기계의 제조사는 A/S 방문 일자를 서버(100)에 송신하고, 서버(100)는 이를 기계 정보 리스트에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일자에 관리자가 자리를 비워 A/S 방문이 어려운 경우 A/S 방문 일자 변경 요청까지 기계 정보 리스트 상에서 한번에 수행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즉, 관리자가 서버(100)에 입력한 A/S 방문 요청 일자가 기계의 제조사에게 송신되며, 해당 일자에 방문이 어려운 경우 기계의 제조사가 A/S 방문 일자 변경 요청을 서버(100)에 송신하여 기계 정보 리스트 에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자재, 금형 및 기계 중 하나 이상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가능한 주변 장치에 대한 제4 기반 정보는 주변 장치의 이름, 종류, 번호, 제조사, 제조사 번호, 제조사 상세 정보 및 사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주변 장치에 대한 제4 기반 정보는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든 공장에서 관리하는 보편적인 정보이다.
주변 장치에 대한 제4 기반 정보는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에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주변 장치는 자재, 금형 및 기계 중 하나 이상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가능한 장치이기에 그 차제로서 네트워크 기능을 보유해야 하며, 자재, 금형 및 기계 역시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한편, 기계의 경우 다양한 부품들이 집합체이기에 네트워크 기능을 보유하는 것이 어색하지 않으나 자재와 금형의 경우 이와 같은 것이 일반적이지 않기에 네트워크 기능을 어떻게 보유하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
자재의 경우 개별적인 자재의 크기가 네트워크 모듈을 부착할 수 없을 수도 있으며, 비용의 측면에서 개별적인 자재 하나하나마다 네트워크 모듈을 부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므로, 동일한 종류의 자재를 복수 개 포함하는 자재 집합체의 단위에 대하여 네트워크 모듈을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자재를 100,000개 주문하여 입고한다면 100,000개라는 A 자재 집합체에 1개의 네트워크 모듈을 부착하는 것이며, 네트워크 모듈의 부착 위치는 A 자재 집합체의 포장 용기 또는 팔레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자재 집합체에 네트워크 모듈이 부착된다면 자재 집합체의 현재 위치, 입고 여부, 출고 여부 등에 대한 관리 정보가 서버(100)에 송신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와 함께 자재에 대한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금형의 경우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에 따라 네트워크 모듈을 부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금형 자체의 단가가 비교적 높은 편이기에 네트워크 모듈을 부착하는 것이 비용의 측면에서 큰 부담은 아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모듈을 부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금형이라면 기계와 장착되는 영역 및 제품을 찍어내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네트워크 모듈을 부착할 수 있을 것이며, 네트워크 모듈을 부착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금형이라면 태그(Tag) 형태의 네트워크 모듈을 실, 고무줄, 전선 등과 같은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금형 외부에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맞물려 제품이 생산되는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이 하나의 세트로 볼 수 있으며, 네트워크 모듈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에 개별적으로 또는 부착 또는 연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기계에 장착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은 선에서 통합하여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금형에 네트워크 모듈이 부착된다면 금형의 현재 위치, 사용 여부 등에 대한 관리 정보가 서버(100)에 송신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와 함께 금형에 대한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네트워크 모듈은 공장이라는 장소 자체가 실내에 해당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GPS 모듈보다는 RFID 모듈, 와이파이 모듈, 지그비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과 같이 크기가 작음과 동시에 실내 공간에서 다른 오브젝트의 영향을 적게 받는 모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시 주변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주변 장치는 자재, 금형 및 기계 중 하나 이상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가능함과 동시에 이를 보조하는 장치로서, 기계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면 독립된 기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되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하며, 자재, 금형 및 기계에 설치된 네트워크 모듈과 동일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모듈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기계를 포함하는 라인에 대한 제5 기반 정보는 라인의 번호, 상세 정보, 상기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 번호 및 이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라인에 대한 제5 기반 정보는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이 하나 이상의 기계를 거쳐 완성되는 제품일 경우에만 관리하는 특수 정보이다.
라인에 대한 제5 기반 정보는 앞서 설명한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에 대한 등록이 선행되어야 등록할 수 있는바, 라인 자체에 하나 이상의 기계가 필요하며, 라인의 등록이라 함은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등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라인 등록을 위해 서버(100)가 관리자로부터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기계가 해당 라인에 포함되며, 이러한 과정을 해당 라인에 대하여 복수 회 반복하는 경우 복수 개의 기계를 포함하는 라인이 등록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나의 라인을 등록하면서 복수 개의 기계를 동시에 선택하여 라인을 등록할 수도 있는바, 라인에 포함되는 기계의 배치 순서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는 기계의 배치 순서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서버(100)가 해당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생산 공정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생산 공정에 대응하여 기계의 배치 순서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공장에 배치된 기계들의 종류가 많거나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가 많은 경우 그리고 제품이 복잡한 생산 공정을 거쳐야 하는 경우 관리자가 개별적인 라인을 하나하나 등록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서버(100)는 이에 대한 보안책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서버(100)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와 동일한 종류의 기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작업자의 단말에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리스트는 해당 라인과 상이한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와 해당 라인에 추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계를 구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프레스 기계 1"을 선택하여 서버(100)가 이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리스트에는 기 등록된 "프레스 기계 2 내지 프레스 기계 5"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프레스 기계 2 및 프레스 기계 4가 다른 라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레스 기계 2 및 프레스 기계 4와 프레스 기계 3 및 프레스 기계 5가 구별하여 출력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별하여 출력되는 것은 시각적인 구별 사항에 관한 것인바, 제1 리스트 상에서 프레스 기계 2 및 프레스 기계 4와 프레스 기계 3 및 프레스 기계 5의 색상을 달리하여 출력하거나 프레스 기계 2 및 프레스 기계 4를 출력하기는 하되, 관리자가 선택 자체를 못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프레스 기계 2 및 프레스 기계 4 자체를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자가 라인에 포함시킬 기계를 선택함에 있어 혼동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며, 기계의 구동과 라인 관리를 손쉽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제1 리스트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선택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서버(100)는 선택 정보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기계와 생산 공정 상, 앞 또는 뒤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리스트가 작업자의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품이 복잡한 생산 공정을 거쳐야 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프레스 기계 1"을 선택하여 서버(100)가 이를 수신한 경우, 생산 공정 상에서 프레스 기계 1 앞 또는 뒤에 배치될 수 있는 "피더 1", "피더 2"가 제2 리스트에 포함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리스트는 제1 리스트가 출력된 이후 관리자로부터 기계를 선택 받은 경우에만 출력되는 것이므로 제2 리스트에 포함된 기계는 다른 라인에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전혀 없는 기계라고 볼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제품이 복잡한 생산 공정을 거치는 경우라 할지라도 손쉽게 라인을 등록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S210 단계가 포함하는 구체적인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S210-1 단계 내지 S210-5 단계는 하나 이상의 단계가 S210 단계에 포함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기반 정보 내지 제5 기반 정보는 유기적으로 관계에 있는 정보들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모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제1 기반 정보 내지 제5 기반 정보와 더불어 제품명, 제품 번호, 제품이 속하는 카테고리 등을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할 수도 있는바, 제품 정보는 제1 기반 정보 내지 제5 기반 정보 중 하나 이상이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기반 정보 내지 제5 기반 정보 중 일부 정보만 적용되는 공장의 경우 기반 정보에 대한 손쉬운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바, 개별적인 공장 상황에 최적화된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을 구출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했다면, 서버(100)가 제1 내지 제N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한다(S220).
앞서 설명한 S210 단계가 제품 생산에 연계되는 정보에 관한 단계라면, 이하 설명할 S220 단계는 제품을 생산할 작업자에 연계되는 정보에 관한 단계이다.
도 4는 S220 단계가 포함하는 구체적인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인바, S220 단계는 작업자가 투입될 하나 이상의 라인 및 담당할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제1 작업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20-1),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카테고리, 제품 번호 및 제품명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2 작업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20-2),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의 생산 목표량에 대한 제3 작업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20-3),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의 작업 개시 날짜 및 작업 완료 날짜를 포함하는 작업 목표 기간에 대한 제4 작업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20-4),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선택 정보와 이를 공유할 공유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제5 작업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20-5) 및 제1 작업 정보 내지 제5 작업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첨부 파일을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S220-6)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업 정보는 작업자가 투입될 하나 이상의 라인 및 담당할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정보인바, 여기서 기계는 앞서 설명한 라인에 포함되어 등록된 기계를 의미하며, 제1 작업 정보를 통해 해당 라인 및 기계를 담당할 작업자 지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 1"에 "프레스 기계 1" 및 "프레스 기계 2"가 등록되어 있다면 제1 작업 정보는 "라인 1 / 프레스 기계 1" 또는 "라인 1 / 프레스 기계 2"일 수 있으며, 동일한 라인이 포함하는 기계의 경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이 일반적이기에 제1 작업 정보는 동일한 라인에 대하여 복수 개의 기계를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동일한 작업자에게 "라인 1 / 프레스 기계 1" 및 "라인 1 / 프레스 기계 2"를 제1 작업 정보로 동시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작업자가 한 종류의 기계에 대한 담당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서로 상이한 라인에 속하는 동일한 종류의 기계에 대해서도 제1 작업 정보로 동시에 등록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라인 1 / 프레스 기계 1" 및 "라인 2 / 프레스 기계 3"을 제1 작업 정보로 등록할 수도 있다.
제2 작업 정보는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카테고리, 제품 번호 및 제품명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바, 제2 작업 정보를 통해 관리자는 작업자에게 어떠한 제품의 생산을 지시하였는지 손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자신이 생산을 담당할 제품이 어떤 것인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제2 작업 정보와 관련하여 하나의 제품에 대한 생산 공정을 한 명의 작업자가 전부 담당하는 경우도 빈번한바, 예를 들어 제품 1을 생산하는 라인 1을 한 명의 작업자가 모두 담당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번거롭게 제1 작업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할 필요 없이, 제2 작업 정보만을 수신하여 등록하는 경우 제1 작업 정보가 자동으로 등록되게 함으로써 개별적인 공장 운영의 특성에 최적화된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의 구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제품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할 시 제품에 대한 카테고리, 제품 번호 및 제품명이 그루핑(Grouping)된 상태라면, 제2 작업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함에 있어, 이들 중 하나의 정보만을 수신한다 하여도 그루핑된 나머지 정보가 함께 등록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작업 정보는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의 생산 목표량에 대한 정보인바, 제3 작업 정보를 통해 생산량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제3 작업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제1 기반 정보 내지 제4 기반 정보가 활용될 수 있는바, 자재의 수량, 금형 및 기계의 수명, 주변 장치의 수명에 따라 생산 목표량을 달성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자로부터 제3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100)는 수신한 제3 작업 정보가 제1 기반 정보 내지 제4 기반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별도의 팝업창(Window)을 출력하여 생산 목표량을 수정하게 할 수 있으며, 팝업창 자체에서 자재 주문, 금형, 기계 및 주변 장치의 주문과 A/S 신청까지 모두 이루어지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자재 정보 리스트, 금형 정보 리스트, 기계 정보 리스트 및 주변 장치 리스트에서 제공하는 기능이었던바, 작업 지시서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해당 기능을 병행하여 제공함으로써 자재 정보 리스트, 금형 정보 리스트, 기계 정보 리스트 및 주변 장치 리스트를 별도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4 작업 정보는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의 작업 개시 날짜 및 작업 완료 날짜를 포함하는 작업 목표 기간에 대한 정보인바, 제4 작업 정보를 통해 생산 일정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제4 작업 정보의 수신은 관리자로부터 작업 개시 날짜 및 작업 완료 날짜를 개별적으로 입력 받거나,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달력을 출력하고 작업 개시 날짜 및 작업 완료 날짜를 선택 받을 수도 있는바, 이 경우 후술할 제5 작업 정보에서 설명할 작업자의 근무 일정, 예를 들어 예정된 반차, 연차, 휴가 등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제4 작업 정보를 등록함에 있어 제3 기반 정보가 활용될 수 있는바, 보다 구체적으로 하루 최대 생산량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스 기계 1"의 하루 최대 생산량이 "1,000개"이며, 제3 작업 정보가 "10,000개"인 경우, 제4 작업 정보인 작업 목표 기간을 7일로 입력한다면,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생산 목표량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작업 목표 기간을 변경하거나 생산 목표량을 변경하라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5 작업 정보는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선택 정보와 이를 공유할 공유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바, 제5 작업 정보를 통해 작업자의 근태 관리 및 작업 내역 공유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선택 정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이 적용된 공장에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에 대한 리스트가 출력되고, 이로부터 선택 받는 방식을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이를 공유할 공유자의 경우 작업자가 선택되면 해당 작업자와 연계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나 해당 작업자를 관리하는 중간 관리자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6 작업 정보는 제1 작업 정보 내지 제5 작업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첨부 파일에 대한 정보인바, 제6 작업 정보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 수행에 이바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를 구동시킴에 있어서 유의할 사항이나 제품의 사진, 생산 목표량을 급행으로 달성해야 하는 경우 이에 대한 사항을 기재한 문서 등을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 가능한 파일의 형식은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지금까지 도 4를 참조하여 S220 단계가 포함하는 구체적인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S220-1 단계 내지 S220-6 단계는 하나 이상의 단계가 S220 단계에 포함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작업 정보 내지 제6 기반 정보는 제품을 생산할 작업자에 연계되는 정보들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모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작업 지시서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했다면, 서버(100)가 작업자로부터 작업 지시서에 대한 작업 내역 현황을 수신하여 등록한다(S230).
작업자로부터 작업 지시서에 대한 작업 내역 현황을 수신하여 등록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등록된 작업 지시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바, 그에 따라 S220 단계 및 S230 단계 사이에 등록한 작업 지시서를 작업자의 단말(미도시)에 작업 내역으로 출력하는 단계(S22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단말(미도시)에 대한 사항은 관리자의 단말(미도시)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기에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작업자의 단말(미도시)에 출력한 작업 내역은 작업 지시서를 등록 시, 작업 내역 현황이 "대기"로 최초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작업 내역 현황으로서 "진행, 중지, 완료 및 공유"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UI(User Interface)적인 측면에서 글자만으로는 한눈에 식별하기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에 "대기"를 제1 색으로, "진행, 중지, 완료 및 공유"를 제2 색 내지 제5색 중 하나에 개별적으로 매칭시켜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재부터 라인에 이르기까지 제품 생산에 연계되는 모든 유의미한 정보 모두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서로 연계되는 정보들의 등록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알림을 제공하므로 공장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의미한 정보 모두를 서버(100)에 자체적으로 보관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보관하므로 사용에 따라 정보가 누적될 수 있는바, 이를 빅데이터화하여 공장 운영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라인 등록에 있어서 다른 라인에 포함되는 기계를 구별하여 출력하며, 하나 이상의 기계를 선택하는 경우 생산 공정을 반영하여 앞 또는 뒤에 배치될 수 있는 다른 기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출력하는바, 공장에 배치된 기계가 많은 경우라 할지라도 손쉽게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자재의 재고 관리와 금형, 기계 및 주변 장치의 주문, A/S까지 플랫폼 상에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한 불필요한 노동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공장에서 관리하는 보편적인 정보 및 일부 공장에서만 관리하는 특수 정보까지 모두 관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공장에 커스터마이징하여 손쉽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서버의 구축 비용만 일차적으로 부담하되, 개별적인 사항은 손쉽게 커스터마이징 가능 하므로 비교적 경제적인 비용으로 스마트 팩토리 도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 부여하는 작업 지시서의 손쉬운 등록과 작업 내역 현황의 등록이 용이해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 관리와 더불어 제품의 생산 관리에 효율성을 가져갈 수 있다.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에 적용되는 기술적 특징 모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서버(1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서버
10: 프로세서
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 메모리
40: 스토리지
41: 컴퓨터 프로그램
50: 데이터 버스

Claims (10)

  1. (a) 서버가 제1 내지 제N(N은 2 이상의 정수)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에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기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내지 제N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지시서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가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작업 지시서에 대한 작업 내역 현황을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제품 생산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자재에 대한 제1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a-2) 상기 제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a-3) 상기 금형을 장착할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a-4) 상기 자재, 금형 및 기계 중 하나 이상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 가능한 주변 장치에 대한 제4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a-5) 상기 하나 이상의 기계를 포함하는 라인에 대한 제5 기반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 대한 제2 기반 정보는,
    상기 금형의 제조사, 제조 번호, 제조 스펙, 이름, 종류 및 번호 중 하나 이상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에 대한 제3 기반 정보는,
    상기 기계의 이름, 종류, 번호, 하루 최대 생산량, 제조사, 제조사 번호, 제조사 상세 정보 및 사진 중 하나 이상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에 대한 제5 기반 정보는,
    상기 라인의 번호, 상세 정보, 상기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 번호 및 이름 중 하나 이상인,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기계의 종류와 동일한 종류의 기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를 상기 작업자의 단말에 출력하며,
    상기 제1 리스트는,
    상기 라인과 상이한 라인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와 상기 라인에 추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계를 구별하여 출력하는,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 정보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기계와 생산 공정 상, 앞 또는 뒤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리스트를 상기 작업자의 단말에 출력하는,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작업자가 투입될 하나 이상의 라인 및 담당할 하나 이상의 기계에 대한 제1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2) 상기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카테고리, 제품 번호 및 제품명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2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3) 상기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의 생산 목표량에 대한 제3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4) 상기 작업자가 생산을 담당할 하나 이상의 제품의 작업 개시 날짜 및 작업 완료 날짜를 포함하는 작업 목표 기간에 대한 제4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b-5) 상기 생산을 담당할 작업자에 대한 선택 정보와 이를 공유할 공유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제5 작업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b-6) 상기 제1 작업 정보 내지 제5 작업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첨부 파일을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c) 단계 사이에,
    (b´) 상기 등록한 작업 지시서를 상기 작업자의 단말에 작업 내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 내역은,
    작업 내역 현황이"대기"로 최초 설정되어 제1 색으로 출력하는,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작업 내역 현황은,
    진행, 중지, 완료 및 공유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제2 색 내지 제5색 중 하나에 개별적으로 매칭시켜 출력하는,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KR1020200025049A 2020-02-28 2020-02-28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KR10241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49A KR102410250B1 (ko) 2020-02-28 2020-02-28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KR1020220014035A KR102466301B1 (ko) 2020-02-28 2022-02-03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49A KR102410250B1 (ko) 2020-02-28 2020-02-28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035A Division KR102466301B1 (ko) 2020-02-28 2022-02-03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884A true KR20210109884A (ko) 2021-09-07
KR102410250B1 KR102410250B1 (ko) 2022-06-24

Family

ID=777974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049A KR102410250B1 (ko) 2020-02-28 2020-02-28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KR1020220014035A KR102466301B1 (ko) 2020-02-28 2022-02-03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035A KR102466301B1 (ko) 2020-02-28 2022-02-03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0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130B1 (ko) * 2023-01-13 2023-12-05 아이원소프트뱅크 주식회사 SaaS 기반의 채용 서비스 통합형 스마트 팩토리 운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2706A (ja) * 2012-05-23 2014-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トレーサビリティ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33847A (ko) * 2013-09-25 2015-04-02 (주) 디지털팩토리 실시간 공장상황을 반영한 디지털 팩토리 생산능력 관리 시스템
KR20180077948A (ko)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2706A (ja) * 2012-05-23 2014-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トレーサビリティ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33847A (ko) * 2013-09-25 2015-04-02 (주) 디지털팩토리 실시간 공장상황을 반영한 디지털 팩토리 생산능력 관리 시스템
KR20180077948A (ko)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위한 인터페이스 미들웨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130B1 (ko) * 2023-01-13 2023-12-05 아이원소프트뱅크 주식회사 SaaS 기반의 채용 서비스 통합형 스마트 팩토리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250B1 (ko) 2022-06-24
KR102466301B1 (ko) 2022-11-16
KR20220024242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9515B1 (en) Kanban control cycle system
US8040818B2 (en) Method for exchange of upkeep-relevant information with a computer-supported, upkeep system
US20050182497A1 (en) Manufacturing system, gateway device, and computer product
CN104376408A (zh) 一种涂料生产过程数据采集管理系统
AU2009321503A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ufacturing estimation production assembly and inventory management
JP6702180B2 (ja) 保全管理装置、保全管理方法、保全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582837B2 (en) Management system for gas cock opening and closing
KR102466301B1 (ko) 제품-작업자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운용 방법 및 운용 서버
JP2015088175A (ja) 木材プレカット工場用業務支援システム
US20030046192A1 (en)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N115860451A (zh) 一种流程运行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8260759B2 (en) Method for maintaining a production installation
JP5782467B2 (ja) 二次元コード読み込みによるlpガス業務の作業詳細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5133242A1 (ja) 遠隔サーバ
CN115176257A (zh) 作业机械的维护管理系统
JP5606613B1 (ja) 木材プレカット工場用業務支援システム
CA2875968C (en) Gas meter reading system and meter reading method
CN101008996A (zh) 订单数据管理系统及方法
US20070239288A1 (en) Power system and work flow thereof
WO2020121422A1 (ja) 管理指標算出システムおよび管理指標算出方法
US20230297084A1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Field Devices for an Industrial Plant
CN104597871A (zh) 酒库计量车控制终端、系统及其控制方法
US20090012641A1 (en) Method of real-time scheduling of processes at distributed manufacturing sites
KR20190101527A (ko) 커넥티드 팩토리를 위한 섬유산업 실시간 생산관리 방법
JP7362415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管理サーバ、設定端末、ゲートウェイ装置の制御方法、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設定端末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