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631A - 접속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절전 신호 구성들 - Google Patents

접속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절전 신호 구성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631A
KR20210109631A KR1020217025023A KR20217025023A KR20210109631A KR 20210109631 A KR20210109631 A KR 20210109631A KR 1020217025023 A KR1020217025023 A KR 1020217025023A KR 20217025023 A KR20217025023 A KR 20217025023A KR 20210109631 A KR20210109631 A KR 20210109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gts
signal
active mod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099B1 (ko
Inventor
시나 말레키
강 조우
안드레스 레이알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21010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방법, 시스템 및 장치가 개시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다. 이 방법은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고-투-슬립(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TS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접속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절전 신호 구성들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o-to-sleep: GTS) 시그널링 및/또는 웨이크-업 시그널링(wake-up signaling: WUS)을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서의 5G 표준이라고도 지칭되는 뉴 라디오(NR)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및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와 같은 복수의 이용 사례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 각각은 상이한 기술적 요건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eMBB에 대한 일반적인 요건은 적당한 레이턴시 및 적당한 커버리지의 높은 데이터 레이트인 반면, URLLC 서비스는 낮은 레이턴시 및 높은 신뢰성 전송을 요구할 수 있지만, 어쩌면 적당한 데이터 레이트들을 요구할 수도 있다.
낮은 레이턴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존의 해결책들 중 하나는 더 짧은 전송 시간 간격들이다. 3GPP NR에서는, 슬롯에서의 전송에 더하여, 미니-슬롯 전송이 또한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도록 허용된다. (유형 B 스케줄링이라고 하는 NR 용어에서의) 미니-슬롯은 (3GPP Rel-15에서) 업링크(UL)에서의 1개 내지 14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및 다운링크(DL)에서의 2개, 4개 또는 7개의 심볼 중 임의의 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NR에서의 라디오 리소스의 예이다. 슬롯 및 미니-슬롯의 개념들은 미니-슬롯이 eMBB, URLLC, 또는 다른 서비스들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특정 서비스에 특정적이지 않다는 점에 유의한다.
물리적 채널들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은 상위 계층들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운반하는 리소스 요소들의 세트에 대응한다. 다운링크 물리적 채널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DSCH는 유니캐스트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고 또한 RAR(Random Access Response), 특정 시스템 정보 블록들, 및 페이징 정보의 전송에 이용되는 주요 물리적 채널이다.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에서 나머지 시스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될 수 있는 기본 시스템 정보를 운반한다. PDCCH는 PDSCH의 수신을 위해 요구될 수 있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주로 스케줄링 결정들의 전송, 및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들에 이용된다.
업링크 물리적 채널은 상위 계층들로부터 기원하는 정보를 운반하는 리소스 요소들의 세트에 대응한다. 업링크 물리적 채널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USCH는 PDSCH에 대한 업링크 대응물이다. PUCCH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확인응답들, 채널 상태 정보 보고들 등을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된다.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이용된다.
DL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1-0의 예시적인 내용들이 아래에 나타내진다.
특히, C-RNTI/CS_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순환 중복 검사(CRC)를 갖는 DCI 포맷 1_0의 예시적인 내용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DCI 포맷들에 대한 식별자 - 1 비트;
- 이 비트 필드의 값은 항상 DL DCI 포맷을 나타내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할당 -
Figure pct00001
비트;
-
Figure pct00002
는 무선 디바이스 특정 검색 공간에서 DCI 포맷 1_0이 모니터링되고 다음을 충족하는 경우 활성 DL 대역폭 부분의 크기이다:
-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상이한 DCI 크기들의 총 수는 셀에 대해 4개 이하이고,
-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C-RNTI를 갖는 상이한 DCI 크기들의 총 수는 셀에 대해 3개 이하이고;
그렇지 않다면,
Figure pct00003
는 ControlResourceSet(CORESET) 0의 크기이다.
- 시간 도메인 리소스 할당 - 3GPP TS 38.214의 하위 조항 5.1.2.1에서와 같이 3GPP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4 비트;
- 가상 리소스 블록(VRB) 대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 매핑 - 예를 들어, 3GPP TS 38.214에서의 표 7.3.1.1.2-33과 같은 3GPP에 따른 1 비트;
- 변조 및 코딩 방식(MCS) - 예를 들어, 3GPP TS 38.214의 하위 조항 5.1.3에서와 같이 3GPP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5 비트;
-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 - 1 비트;
- 중복 버전 - 예를 들어, 3GPP TS 38.214의 표 7.3.1.1.1-2에서와 같이 3GPP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2 비트;
- HARQ 프로세스 번호 - 4 비트;
-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 - 예를 들어, 3GPP TS 38.213의 하위 조항 9.1.3에서와 같이 3GPP에서 카운터 DAI로서 정의된 바와 같은 2 비트;
- 스케줄링된 PUCCH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TPC) 명령 - 3GPP TS 38.213의 하위 조항 7.2.1에서와 같이 3GPP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2 비트;
- PUCCH 리소스 표시자 - 예를 들어, 3GPP TS 38.213의 하위 조항 9.2.3에서와 같이 3GPP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3 비트;
- PDSCH 대 HARQ_feedback 타이밍 표시자 - 예를 들어, 3GPP TS 38.213의 하위 조항 9.2.3에서와 같이 3GPP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3 비트.
NR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는 다양한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모드들, 즉 RRC_IDLE, RRC_INACTIVE, 및 RRC_CONNECTED 모드에서 동작한다. RRC_CONNECTED 모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하나의 활동은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PDSCH/PUSCH 상의 잠재적으로 스케줄링된 데이터에 대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이 활동 동안, 무선 디바이스는 구성된 검색 공간에 따라 모든 PDCCH 기회들/시간-주파수(TF) 위치들/구성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블라인드 디코딩(BD)이라고도 불리는 디코딩 프로세스는, 그 셀 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그러나 또한, MCS-RNTI, CS-RNTI, 및 다양한 시스템 와이드 RNTI들과 같이 구성된다면 다른 RNTI들)를 이용하여 순환 중복 검사(CRC)를 체크하는 것에 기반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되고 PDCCH 채널 상에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명령들을 검색하는 것을 수반한다. 무선 디바이스가 K0 구성에 따라 동일한 슬롯에서 또는 다가오는 슬롯에서 PDSCH 상의 할당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DCI 명령을 발견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PDSCH를 디코딩하려고 시도한다. K0 = 0은 데이터가 동일한 슬롯에서 스케줄링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K0 > 0은 크로스-슬롯 스케줄링을 나타낸다. K0은 DCI 명령과 PDSCH 상의 할당된 데이터 사이의 (슬롯들에서의) 시간 오프셋일 수 있다.
접속된 불연속 수신(Connected-Discontinuous Reception)(C-DRX) 메커니즘은 트래픽이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되지 않을 때 그 시간의 상당히 큰 부분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저전력 모드에 두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성된 주기성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할당을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웨이크-업"한다. 무선 디바이스가 깨어 있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기간은 온-지속기간(On-Duration)이라고 불리고; 이는 본 명세서에서 '활성 모드 시간'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온-지속기간 동안 발견되는 임의의 DL/UL 할당의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PDCCH를 끊임없이 모니터링하는 시간 기간(비활동 타이머 실행) 동안 깨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가 이 시간 동안 어떠한 데이터도 할당받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불연속 동작으로 돌아가서, 온-지속기간들 동안 때때로 다시 웨이크-업한다. C-DRX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DRX 파라미터들은 RRC에 의해 구성되고, 왕복 시간(RTT) 관련, HARQ 관련 등을 포함하는 일부 다른 DRX 파라미터들이 있다. 비활동 타이머가 실행 중인 온 지속기간 및 지속 시간은 또한 일반적으로 활성 시간으로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용어들은 전형적으로 DRX 동작과 연관된다:
- 활성 시간: MAC 엔티티가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동안의 DRX 동작과 관련된 시간이다.
- DRX 사이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온 지속기간과 그에 뒤이은 가능한 비활동 기간의 주기적 반복을 지정한다.
- 비활동 타이머: 일반적으로, PDCCH가 MAC 엔티티에 대한 초기 UL, DL 또는 SL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표시하는 서브프레임/슬롯 이후의 연속적인 PDCCH-서브프레임(들)/슬롯들의 수를 지칭한다.
- MAC 엔티티는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이고, 구성된 셀 그룹, 예를 들어, 마스터 셀 그룹 및 보조 셀 그룹마다 하나의 MAC 엔티티가 있다.
DRX의 일 양태는 DRX 기능이 RRC에 의해 구성된다는 것이며, 이는 전형적으로 MAC 또는 물리적 계층보다 더 느린 스케일로 동작한다. 따라서, DRX 파라미터 설정들 등은, 특히 무선 디바이스가 트래픽 유형들의 혼합을 갖는 경우, RRC 구성을 통해 매우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없다.
일부 실시예들은 유리하게도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또는 웨이크-업 시그널링(WUS)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장치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GTS와 WUS의 요건들 간의 절충은 물론, 채널 조건들을 이용하는 3GPP 뉴 라디오(NR)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절전 신호 메커니즘들 및 그 기본 구성들을 제공한다. 특히, 이하의 실시예들이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 1: 온 지속기간 전의 GTS이다. GTS, 특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기반 GTS는 온 지속기간 전에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되고, 무선 디바이스는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또는 다수의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들을 스킵한다.
실시예 2a: 하나의 온 지속기간에 대한 공동 WUS 및 GTS이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의 온 지속기간 전에 WUS 또는 GTS를 전송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황이 변경되었다면, 예를 들어, (온 지속기간 전의 GTS의 경우에) 정보가 전달되어야 하거나 또는 (온 지속기간 전의 WUS의 경우에) 정보의 전달이 완료되면, 반대 신호가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실시예 2b: 복수의 온 지속기간들에 대한 공동 WUS 및 GTS이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는 온 지속기간 전에 장기 WUS 또는 GTS를 전송하기로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황이 변경되었다면, 예를 들어, (온 지속기간 전의 이전 GTS의 경우에) 정보가 전달되어야 하거나 또는 (온 지속기간 전의 이전 WUS의 경우에) 정보의 전달이 완료되면, 반대 신호가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실시예 3: WUS/GTS 리소스들이다. 본 개시내용은 특히 온 지속기간 전에 WUS 및 GTS에 대한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일부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
실시예 4: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는 WUS 또는 GTS 동작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기로 결정한다. 여기서, 본 개시내용은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가 어떻게 상이한 상황들에서 WUS와 GTS 사이의 고유 절충들을 이용하여 절전 및 네트워크 성능의 온전한 유지 둘 다를 위해 이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일부 예들 및 메커니즘들을 설명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고-투-슬립(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TS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고-투-슬립(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GTS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TS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동작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가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고-투-슬립(GTS) 신호를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GTS 신호는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활성 모드 밖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의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활성 모드 밖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의 할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활성 모드 밖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활성 모드 밖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를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고-투-슬립(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TS 신호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고-투-슬립(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GTS 신호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고-투-슬립(GTS) 신호를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TS 신호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고-투-슬립(GTS) 신호를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GTS 신호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들 및 이에 수반되는 이점들 및 특징들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3GPP NR에서의 라디오 리소스의 도면이다.
도 2는 3GPP에서의 C-DRX(Connected-DRX) 동작의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을 위한 GTS-DCI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설명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라,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를 경유하여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에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GTS-DCI 페이로드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 2a의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 2b의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C-DRX 동작과 같은 기존의 DRX 동작들은 RRC에 의해 구성된다. 기존의 3GPP 사양들에서,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네트워크(NW)는 전송이 종료된 후에 무선 디바이스를 다시 C-DRX 모드에 두기 위해 PDSCH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 제어 요소(CE) DRX-명령이라고 불리는 고-투-슬립(GTS) 신호를 제공할 가능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는 타이머의 만료가 야기하는 비활동 타이머가 만료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더 빠르게 슬립 모드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전이를 관리 및/또는 야기한다.
무선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는 향상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중요한 메트릭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LTE 필드 로그들로부터의 하나의 DRX 설정에 기반하여 LTE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데 상당한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트래픽 모델링을 갖는 유사한 DRX 설정이 이용되는 경우에 NR에서 그 상황이 유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무선 디바이스가 자신에게 전송된 PDCCH가 있는지를 식별하기 위해 그 구성된 검색 공간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동작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불필요한 PDCCH 모니터링을 감소시킬 수 있거나, 무선 디바이스가 필요할 때에만 슬립 또는 웨이크-업 상태로 되게 하는 기술들이 유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레이턴시를 증가시키고 처리량을 낮춤으로써 네트워크 노드에 추가적인 부담을 더하지 않으면서도 무선 디바이스 절전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C-DRX 사이클들의 온 지속기간 전후에 절전 메커니즘들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가 네트워크 성능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의 보장을 돕게 하면서 절전하기 위한 효율적인 메커니즘들을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들을 충족시키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돕는다. GTS를 프로비저닝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더 신뢰성 있게 슬립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추가적인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WUS 대 GTS 구성들의 적절한 선택은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절전 신호 검출 성능, 및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사이의 유리한 절충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예에서, GTS-DCI 메커니즘은, 어떠한 DL 또는 UL도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스케줄링되지 않거나, 온 지속기간의 나머지에 걸쳐 스케줄링되도록 계획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DRX 메커니즘의 온 지속기간 동안 무선 디바이스를 슬립 모드(비활성 모드라고도 지칭됨)에 두기 위해 제공된다. 도 3이 이러한 방식을 설명한다. 그 이점은 더미 PDCCH 모니터링 인스턴스들의 수를 줄임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에서 에너지 절약을 달성하는 것이다.
도 3의 시간도는 더미 PDCCH의 무선 디바이스 모니터링을 피하기 위해 GTS-DCI가 온 지속기간을 어떻게 방해하는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는 그 에너지의 일부를 절약하여 더 긴 수명을 이끌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실시예들은 주로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또는 웨이크-업 시그널링(WUS)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장치 구성요소들 및 처리 단계들의 조합들에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구성요소들은 도면들에서 종래의 심볼들로 적절한 곳에 표현되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의 이익을 갖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할 상세들로 개시내용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실시예들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특정 상세들만을 도시한다. 설명 전반에 걸쳐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상단" 및 "하단" 등과 같은 관계형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엔티티 또는 요소를 다른 엔티티 또는 요소와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엔티티들 또는 요소들 간의 임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필요로 하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들은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들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용어들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와 통신하는" 등의 결합 용어는 전기적 또는 데이터 통신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은, 예를 들어, 물리적 접촉, 유도, 전자기 복사, 라디오 시그널링, 적외선 시그널링 또는 광학 시그널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복수의 구성요소가 연동될 수 있고, 전기적 및 데이터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어 "결합된", "접속된" 등은, 반드시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접속을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BS), 라디오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 제어기(BSC),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g Node B(gNB), 진화된 Node B(eNB 또는 eNodeB), Node B, MSR BS 등의 다중-표준 라디오(MSR) 라디오 노드, 다중 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CE), 중계 노드, 중계를 제어하는 도너 노드(donor node), 라디오 액세스 포인트(AP), 전송 포인트들, 전송 노드들, RRU(Remote Radio Unit) RRH(Remote Radio Head),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ME(mobile management entity), SON(self-organizing network) 노드, 조정 노드, 포지셔닝 노드, MDT 노드 등), 외부 노드(예를 들어, 제3자 노드, 현재 네트워크 외부의 노드),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DAS)에서의 노드들, SAS(spectrum access system) 노드,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등 중에서 임의의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라디오 네트워크에 포함된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테스트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라디오 노드"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WD) 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등의 무선 디바이스(WD)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제한적인 용어들인 무선 디바이스(WD) 또는 사용자 장비(UE)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WD는, 무선 디바이스(WD) 등의, 라디오 신호들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WD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WD는 또한, 라디오 통신 디바이스, 타겟 디바이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WD, 기계형 WD 또는 M2M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이 가능한 WD, 저비용 및/또는 저복잡성 WD, WD가 장착된 센서, 태블릿, 모바일 단말기들, 스마트 폰, LEE(laptop embedded equipped),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들,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또는 협대역 IoT(NB-IOT)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인 용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된다. 이것은, 기지국, 라디오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제어기, RNC, 진화된 Node B(eNB), Node B, gNB, MCE(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중계 노드, 액세스 포인트, 라디오 액세스 포인트, RRU(Remote Radio Unit) RRH(Remote Radio Head)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그널링"은 (예컨대, RRC(Radio Resource Control) 등을 통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컨대, 물리적 제어 채널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하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암시적 또는 명시적일 수 있다. 시그널링은 추가로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일 수 있다. 시그널링은 또한 다른 노드에 직접 이루어질 수 있고 제3 노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예를 들어 시그널링 라디오 노드 및/또는 노드 배열(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은 특히 전송 리소스들로 WD를 구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리소스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리소스들은 상이한 메시지들로, 및/또는 상이한 계층들 또는 계층 조합들 상의 메시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리소스의 크기는 심볼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 및/또는 리소스 요소들 및/또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들(도메인에 의존함), 및/또는 그것이 운반할 수 있는 비트들의 수, 예를 들어 정보 또는 페이로드 비트들, 또는 비트들의 총 수로 표현될 수 있다. 리소스들의 세트, 및/또는 세트들의 리소스들은 동일한 캐리어 및/또는 대역폭 부분에 관련될 수 있고/있거나 동일한 슬롯에, 또는 이웃 슬롯들에 위치될 수 있다.
표시는 일반적으로 그것이 나타내고/내거나 표시하는 정보를 명시적으로 및/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암시적 표시는, 예를 들어, 전송에 이용되는 위치 및/또는 리소스에 기반할 수 있다. 명시적 표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인덱스 또는 인덱스들, 및/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비트 패턴에 의한 파라미터화에 기반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어 시그널링은 이용되는 리소스 시퀀스에 기반하여 제어 시그널링 유형을 암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다운링크에서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단말기로의 전송에 관련될 수 있다. 업링크에서 전송하는 것은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의 전송에 관련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에서 전송하는 것은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로의 (직접) 전송과 관련될 수 있다. 업링크, 다운링크 및 사이드링크(예컨대, 사이드링크 전송 및 수신)는 통신 방향들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는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설명하는데, 예를 들어, 기지국들 또는 유사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예컨대, 무선 백홀 및/또는 중계 통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특히 기지국들 또는 유사한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종단되는 통신에 대해 설명하는데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백홀 및/또는 중계 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통신은 사이드링크 또는 업링크 통신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단말기 또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노드를 구성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 또는 노드에게 그 구성,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설정 및/또는 레지스터 엔트리 및/또는 동작 모드를 변경하라고 지시하고/하거나 이를 야기하게 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단말기 또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노드는, 예컨대, 단말기 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의 정보 또는 데이터에 따라, 자신을 구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 또는 노드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노드 또는 단말기 또는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은 다른 디바이스 또는 노드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 예컨대, 할당 데이터(이는 또한 구성 데이터일 수 있고/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음) 및/또는 스케줄링 데이터 및/또는 스케줄링 승인들을 무선 디바이스 또는 노드에 전송하는 것을 지칭하고/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를 구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GTS 및/또는 WUS를 표시하는 할당/구성 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스케줄링 데이터로 구성되고/되거나 스케줄링 데이터에 대해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된 및/또는 할당된 업링크 리소스들을 이용하고/하거나, 예를 들어 수신을 위해, 스케줄링된 및/또는 할당된 다운링크 리소스들을 이용하고/하거나 GTS 또는 WUS와 같은 모드/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업링크 리소스들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들은 할당 또는 구성 데이터로 스케줄링되고/되거나 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LTE 및/또는 뉴 라디오(NR)와 같은 하나의 특정 무선 시스템으로부터의 용어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것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전술한 시스템으로만 제한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한 없이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시스템들이 또한 본 개시내용 내에서 커버되는 사상들을 활용하는 것으로부터 혜택을 볼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들은 단일의 물리적 디바이스에 의한 수행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사실상, 여러 물리적 디바이스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흔히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 및 관련 분야와 관련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히 그렇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화된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또는 웨이크-업 시그널링(WUS)을 표시하는 것을 제공한다.
유사한 요소들이 유사한 참조 번호들에 의해 지칭되는 도면들을 다시 참조하면, 도 4에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12) 및 코어 네트워크(14)를 포함하는, LTE 및/또는 NR(5G) 등의 표준들을 지원할 수 있는 3GPP형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는, NB들, eNB들, gNB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등의, (집합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들(16)이라고 지칭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16a, 16b, 16c)를 포함하며, 각각은 (집합적으로 커버리지 영역들(18)이라고 지칭되는)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18a, 18b, 18c)을 정의한다.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6a, 16b, 16c)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2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14)에 접속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18a)에 위치한 제1 무선 디바이스(WD)(22a)는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c)에 무선으로 접속하거나,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c)에 의해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18b)에서의 제2 WD(22b)는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a)에 무선으로 접속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WD(22a, 22b)(집합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22)이라고 지칭됨)가 도시되어 있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 하나의 WD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거나 또는 단 하나의 WD가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 접속하고 있는 상황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편의를 위해 단지 2개의 WD(22) 및 3개의 네트워크 노드(16)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통신 시스템은 더 많은 WD들(22) 및 네트워크 노드들(16)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WD(22)가 동시 통신을 하고/하거나 하나보다 많은 네트워크 노드(16) 및 하나보다 많은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16)와 별도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WD(22)는 LTE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16), 및 NR을 지원하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16)와의 이중 접속성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WD(22)는 LTE/E-UTRAN에 대한 eNB 및 NR/NG-RAN에 대한 gNB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그 자체가 호스트 컴퓨터(24)에 접속될 수 있고, 이 호스트 컴퓨터(24)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 구현 서버, 분산형 서버 또는 서버 팜 내의 처리 리소스들로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 또는 제어 하에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과 호스트 컴퓨터(24) 사이의 접속들(26, 28)은, 코어 네트워크(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24)로 직접 연장되거나, 임의적인 중간 네트워크(3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30)는, 공중,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이거나 그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30)는, 있다면,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간 네트워크(30)는 2개 이상의 서브-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로서의 도 4의 통신 시스템은, 접속된 WD들(22a, 22b) 중 하나와 호스트 컴퓨터(24) 사이의 접속성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성은 OTT(over-the-top) 접속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 및 접속된 WD들(22a, 22b)은, 매개자들로서 액세스 네트워크(12), 코어 네트워크(14), 임의의 중간 네트워크(30) 및 가능한 추가 인프라스트럭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OTT 접속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접속은, OTT 접속이 통과하는 참여 통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들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는, 접속된 WD(22a)로 전달(예를 들어, 핸드오버)될 호스트 컴퓨터(24)로부터 기원하는 데이터와의 인입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대해 통보받지 않거나 통보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16)는, 호스트 컴퓨터(24)를 향해 WD(22a)로부터 기원하는 발신 업링크 통신의 미래의 라우팅을 알 필요가 없다.
네트워크 노드(16)는 무선 디바이스(22)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또는 웨이크-업 시그널링(WUS)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유닛(3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22)는 무선 디바이스(22)가 그 표시에 따라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동작 유닛(3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앞선 단락들에서 논의된 WD(22), 네트워크 노드(16) 및 호스트 컴퓨터(24)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구현들이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10)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통신 시스템(1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HW)(38)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24)는 저장 및/또는 처리 능력들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42)를 더 포함한다. 처리 회로(42)는 프로세서(44) 및 메모리(46)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처리 회로(42)는, 처리 및/또는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4)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46)에 액세스(예를 들어, 기입 및/또는 이로부터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4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이러한 방법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4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호스트 컴퓨터(24)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4)에 대응한다. 호스트 컴퓨터(2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프로그램적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4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48) 및/또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프로세서(44) 및/또는 처리 회로(42)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44) 및/또는 처리 회로(42)로 하여금 호스트 컴퓨터(24)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호스트 컴퓨터(24)와 연관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48)는 처리 회로(42)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48)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WD(22) 및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종단하는 OTT 접속(52)을 통해 접속되는 WD(22) 등의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OTT 접속(52)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및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어 및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의 처리 회로(42)는 호스트 컴퓨터(24)가 네트워크 노드(16)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22)를 관찰, 모니터링, 제어, 이들로 전송 및/또는 이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의 처리 회로(42)는 서비스 제공자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표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 처리, 결정, 전송, 전달, 중계 등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정보 유닛(54)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통신 시스템(10) 내에 제공되고 네트워크 노드가 호스트 컴퓨터(24) 및 WD(22)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58)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를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58)는, 통신 시스템(1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셋업하고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60)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18)에 위치한 WD(22)와의 적어도 무선 접속(64)을 셋업하고 유지하기 위한 라디오 인터페이스(62)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인터페이스(6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F 전송기, 하나 이상의 RF 수신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RF 트랜시버로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0)는 호스트 컴퓨터(24)로의 접속(66)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66)은 직접적이거나 통신 시스템(10)의 코어 네트워크(14) 및/또는 통신 시스템(10) 외부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30)를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의 하드웨어(58)는 처리 회로(68)를 더 포함한다. 처리 회로(68)는 프로세서(70) 및 메모리(7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처리 회로(68)는, 처리 및/또는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72)에 액세스(예를 들어, 기입 및/또는 이로부터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16)는, 예를 들어 메모리(72)에 내부적으로 저장되거나 외부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저장 어레이, 네트워크 저장 디바이스 등)에 저장된 소프트웨어(74)를 추가로 갖는다. 소프트웨어(74)는 처리 회로(6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처리 회로(68)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이러한 방법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네트워크 노드(16)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0)에 대응한다. 메모리(7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프로그램적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74)는, 프로세서(70) 및/또는 처리 회로(68)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70) 및/또는 처리 회로(68)로 하여금 네트워크 노드(16)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의 처리 회로(68)는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또는 웨이크-업 시그널링(WUS)을 무선 디바이스(22)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이미 언급된 WD(22)를 더 포함한다. WD(22)는, WD(22)가 현재 위치한 커버리지 영역(18)을 서빙하는 네트워크 노드(16)와의 무선 접속(64)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라디오 인터페이스(82)를 포함할 수 있는 하드웨어(80)를 가질 수 있다. 라디오 인터페이스(8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F 전송기, 하나 이상의 RF 수신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RF 트랜시버로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WD(22)의 하드웨어(80)는 처리 회로(84)를 더 포함한다. 처리 회로(84)는 프로세서(86) 및 메모리(8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처리 회로(84)는, 처리 및/또는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6)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88)에 액세스(예를 들어, 기입 및/또는 이로부터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WD(22)는, 예를 들어 WD(22)에서의 메모리(88)에 저장되거나 WD(22)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저장 어레이, 네트워크 저장 디바이스 등)에 저장된 소프트웨어(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90)는 처리 회로(84)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90)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호스트 컴퓨터(24)의 지원과 함께, WD(22)를 통해 인간 또는 비인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실행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WD(22) 및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종단하는 OTT 접속(52)을 통해 실행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과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접속(52)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 회로(8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이러한 방법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예를 들어 WD(22)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6)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WD(22)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6)에 대응한다. WD(2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프로그램적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8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90) 및/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프로세서(86) 및/또는 처리 회로(8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86) 및/또는 처리 회로(84)로 하여금 WD(22)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의 처리 회로(84)는 무선 디바이스(22)를 동작시키고/시키거나 무선 디바이스(22)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표시에 따라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된 동작 유닛(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6), WD(22), 및 호스트 컴퓨터(24)의 내부 동작들은 도 5에 도시된 것일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4의 것일 수 있다.
도 5에서, OTT 접속(52)은, 임의의 중간 디바이스들 및 이들 디바이스들을 통한 메시지들의 정확한 라우팅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 없이 네트워크 노드(16)를 통한 호스트 컴퓨터(24)와 무선 디바이스(22) 사이의 통신을 예시하기 위해 추상적으로 도시되었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으며, 라우팅은, WD(22) 또는 호스트 컴퓨터(24)를 동작시키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양쪽 모두로부터 은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TT 접속(52)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추가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부하 균형 고려 또는 재구성에 기반하여)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들을 내릴 수 있다.
WD(22)와 네트워크 노드(16) 사이의 무선 접속(64)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른다.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은, 무선 접속(64)이 마지막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는 OTT 접속(52)을 이용하여 WD(22)에 제공되는 OTT 서비스들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더 정확하게, 이들 실시예들 중 일부의 교시들은,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또는 전력 소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감소된 사용자 대기 시간, 파일 크기에 대한 완화된 제한, 더 나은 응답성, 연장된 배터리 수명 등과 같은 이익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향상시키는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다른 인자들을 모니터링하는 목적을 위한 측정 절차가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들에서의 변동들에 응답하여, 호스트 컴퓨터(24)와 WD(22) 사이의 OTT 접속(52)을 재구성하기 위한 임의적인 네트워크 기능이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OTT 접속(52)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절차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24)의 소프트웨어(48)에서 또는 WD(22)의 소프트웨어(90)에서 또는 양쪽 모두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센서들(도시되지 않음)은 OTT 접속(52)이 통과하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또는 이와 연관하여 배치될 수 있고, 센서들은, 위에서 예시된 모니터링된 양들의 값들을 제공하거나, 소프트웨어(48, 90)가 모니터링된 양들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 양들의 값들을 제공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여할 수 있다. OTT 접속(52)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설정들, 바람직한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네트워크 노드(16)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 노드(16)에 알려지지 않거나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절차들 및 기능들 중 일부는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서 실시 중에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측정들은, 처리량, 전파 시간들, 레이턴시 등의 호스트 컴퓨터(24)의 측정들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 WD 시그널링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정들은, 전파 시간들, 에러들 등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소프트웨어(48, 90)가 OTT 접속(52)을 이용하여, 메시지들, 특히 빈 또는 '더미' 메시지들이 전송되게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42) 및 WD(22)로의 전송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또한 라디오 인터페이스(62)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6)가 구성되고/되거나 네트워크 노드(16)의 처리 회로(68)는 WD(22)로의 전송을 준비/개시/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WD(22)로부터의 전송의 수신을 준비/종결/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처리 회로(42) 및 WD(22)로부터 네트워크 노드(16)로의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40)에 대해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WD(22)는 네트워크 노드(16)로의 전송을 준비/개시/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의 전송의 수신을 준비/종결/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되거나 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라디오 인터페이스(82) 및/또는 처리 회로(84)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가 표시 유닛(32) 및 동작 유닛(34)과 같은 다양한 "유닛들"을 각각의 프로세서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 유닛들은 유닛의 일부가 처리 회로 내의 대응하는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즉, 유닛들은 하드웨어로 또는 처리 회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의 통신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24), 네트워크 노드(16) 및 WD(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제1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00). 제1 단계의 임의적인 하위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예를 들어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 등의,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02). 제2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WD(22)에 운반하는 전송을 개시한다(블록 S104). 임의적인 제3 단계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24)가 개시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WD(22)에 전송한다(블록 S106). 임의적인 제4 단계에서, WD(22)는,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실행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14)과 같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블록 S108).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4의 통신 시스템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24), 네트워크 노드(16) 및 WD(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제1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10). 임의적인 하위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예를 들어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 등의,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2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WD(22)에 운반하는 전송을 개시한다(블록 S112). 이 전송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6)를 통해 통과할 수 있다. 임의적인 제3 단계에서, WD(22)는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14).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4의 통신 시스템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24), 네트워크 노드(16) 및 WD(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임의적인 제1 단계에서, WD(22)는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16). 제1 단계의 임의적인 하위 단계에서, WD(22)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14)을 실행하고, 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14)은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제공되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18).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임의적인 제2 단계에서, WD(22)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20). 제2 단계의 임의적인 하위 단계에서, WD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14) 등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22).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14)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된 특정한 방식에 관계없이, WD(22)는, 임의적인 제3 하위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블록 S124). 이 방법의 제4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라 WD(2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26).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4의 통신 시스템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24), 네트워크 노드(16) 및 WD(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임의적인 제1 단계에서,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6)는 WD(22)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28). 임의적인 제2 단계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호스트 컴퓨터(24)로의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블록 S130). 제3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개시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32).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및/또는 기능은, 네트워크 노드(16)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예컨대 처리 회로(68) 내의 표시 유닛(32), 프로세서(70), 라디오 인터페이스(62)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예컨대 처리 회로(68), 프로세서(70) 및 라디오 인터페이스(6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22)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 웨이크-업 시그널링(WUS)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블록 S134), 여기서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22)의 적어도 하나의 온 지속기간과 연관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온 지속기간"은 무선 디바이스(22)가 적어도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의 전송들을 모니터링하는 지속기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무선 디바이스(22)의 데이터 트래픽 패턴,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 및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GTS 신호, WUS 시그널링, GT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WUS 시그널링의 결여, 및 WU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GTS 시그널링의 결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및/또는 기능은, 무선 디바이스(22)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예컨대, 처리 회로(84) 내의 동작 유닛(34), 프로세서(86), 라디오 인터페이스(82)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예를 들어 처리 회로(84), 프로세서(86) 및 라디오 인터페이스(82) 중 하나 이상을 통해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 웨이크-업 시그널링(WUS)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고(블록 S136),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22)의 적어도 하나의 온 지속기간과 연관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무선 디바이스(22)의 데이터 트래픽 패턴,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 및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GTS 신호, WUS 시그널링, GT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WUS 시그널링의 결여, 및 WU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GTS 시그널링의 결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무선 디바이스(22)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또는 웨이크-업 시그널링(WUS)을 표시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배열들이 일반적으로 설명되었고, 이러한 배열들, 기능들 및 프로세스들에 대한 상세들은 다음과 같이 제공되며, 이는 네트워크 노드(16), 무선 디바이스(22) 및/또는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또는 웨이크-업 시그널링(WUS)을 표시하는 것을 제공한다. 절전 신호 또는 절전의 시그널의 구성 및 모니터링에 관한 일부 실시예들이 제시된다. 절전 신호는 절전 이벤트,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WUS), 고-투-슬립(GTS), BWP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안테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표시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절전 신호"는 WUS 및/또는 GTS, 특히, PDCCH 기반 신호들, 즉 WUS-DCI 및 GTS-DCI에 대응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프레임워크:
무선 디바이스(22)가 일부 절전 신호 리소스들 및 절전 신호 모니터링 기회들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나리오가 제공된다. 특히, 이러한 리소스들 및/또는 기회들이 PDCCH 기반인 경우, 리소스들은 네트워크 노드(16) 및/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해 미리 구성된 일부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들)/검색 공간들(SS들)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2)가 DRX로 구성되는 경우들에서, 일부 절전 신호 모니터링 기회들은 온 지속기간 전에 또는 온 지속기간의 시작에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온 지속기간 전"의 개념은 또한 온 지속기간의 시작의 경우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기회들은 주기적인 또는 비주기적인 방식으로 모든 온 지속기간 전에, 또는 일부 온 지속기간들 전에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 기회들의 이러한 구성은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고, 더 빠른 적응이 필요한 경우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시그널링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전 신호는 WUS 또는 GTS를 포함할 수 있다. WUS는 그 검출 시에, 무선 디바이스(22)가 웨이크-업하거나(즉, 비활성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이하거나), 스케줄링 DCI들을 수신할 준비가 되거나, 그렇게 표시되어 있는 경우,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통해 데이터를 직접 수신 또는 전송하기 시작하는 신호이다.
한편, GTS는 그 검출 시에, 즉시 또는 GTS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명령들에 기반하여 무선 디바이스(22)가 슬립 상태로 되는(즉, 비활성 모드로 진입하는) 신호이며, 이는 어떠한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도 특정 시간 간격 동안 수행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절전 신호들의 최대 수에 따라,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6)는 절전 신호 기회, 시간 또는 주파수 행에서의 몇몇 절전 모니터링 기회들에서 전송/시그널링하거나, 또는 이 둘의 조합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특정 모니터링 기회가 WUS에 대해 고려될 수 있고, 하나의 특정 모니터링 기회가 GTS, 또는 몇몇 WUS들 및 몇몇 GTS들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접근법에서, WUS(들) 및 GTS(들)는 동일한 모니터링 기회(들)를 공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WUS만을 검출하도록 미리 구성되고, 수신된 WUS의 결여는 GTS를 암시 및/또는 표시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22)는 GTS만을 검출하도록 미리 구성되고, 수신된 GTS의 결여는 WUS를 암시 및/또는 표시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프레임워크의 일부 특정 예들이 아래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GTS는 GTS 시그널링 및/또는 GTS/GTS 시그널링의 표시를 지칭할 수 있는 반면, WUS는 WUS 시그널링 및/또는 WUS/WUS 시그널링의 표시를 지칭할 수 있다.
예 1: 온 지속기간 전의 GTS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절전 신호는 GTS,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무선 디바이스(22)의 온 지속기간 전에(즉, 무선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 또는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송신 및/또는 전송 및/또는 시그널링되는 PDCCH 기반 GTS이다.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한 GTS의 검출 후에, 무선 디바이스(22)는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을 스킵할 수 있으며, 즉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동안 계속 슬립 모드에 있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무선 디바이스(22)는 C-DRX 구성에 의해 스케줄링되거나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동안 계속 슬립/비활성 모드에 있는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가 활성 모드로 전이한 후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비활성 모드로 다시 전이하기 전에 그 온 지속기간 동안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모드로의 불필요한 전이들이 피해질 수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추가적인 절전으로 이어진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6)는, 예컨대 처리 회로(68)를 통해, N개의(복수의)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을 스킵하도록 무선 디바이스(2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RRC/MAC CE 메커니즘들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16) 및/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현재 GTS에서) DCI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 및/또는 네트워크는, 예컨대 처리 회로(68)를 통해 (예를 들어, RRC를 통해) 미리 구성된 패턴, 또는 (예를 들어, MAC CE 또는 DCI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된) 동적 패턴을 갖는 M개의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중 N개를 스킵하도록 무선 디바이스(22)를 구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특히 DCI 기반 GTS(GTS-DCI로 표시됨)에 관하여, GTS는, 다른 것들/데이터/정보 중에서, 무선 디바이스(22)가 얼마나 오래 그리고/또는 지속기간 동안 슬립해야 하는지, 슬립 패턴(예를 들어, 어느 온 지속기간들이 스킵되어야 하는지), GTS 및 가능하게는 WUS 구성들의 무시, 또는 제1 예상된 PDSCH에 대한 직접 표시를 포함할 수 있는 추가적인 명령들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GTS-DCI 페이로드는 이것이 GTS-DCI임을 표시하는 비트 또는 비트 필드(12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남아 있는 GTS-DCI 페이로드의 나머지 또는 일부분(1203으로 표시됨)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명령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DCI 자체는 현재의 DCI 포맷들, 예를 들어, 0-1에 포함되거나 새로운 DCI로서 설계될 수 있다.
WUS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GTS의 경우에, GTS 신호를 선택하는데 관련될 수 있는 2개의 인자는 누락된 검출 및 오경보율들이다. GTS 신호의 누락된 검출은 무선 디바이스(22)가 슬립 상태였을 수 있는(즉, 슬립 모드 또는 절전 모드 또는 비활성 모드에 있었을 수 있는) 지속기간 동안 무선 디바이스(22)가 깨어있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부 전력을 낭비할 수 있다. 오경보는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6)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PDSCH를 스케줄링할 것으로 예상하거나 계획하는 동안 무선 디바이스(22)가 슬립 상태(즉, 슬립 모드 및/또는 절전 모드 또는 비활성 모드)가 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WUS의 경우와 반대로, 오경보가 네트워크 노드(16) 및/또는 네트워크에서의 리소스들의 낭비 및 더 추가적인 레이턴시로 이어지기 때문에, 낮은 오경보율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절전하기 위해 낮은 누락 검출과 더불어 매우 낮은 오경보율을 전달하도록 GTS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예 1에 대한 실시예들의 요약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다. 도 15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S138에서, WD(22)는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한다. GTS 신호는 WD가 비활성 모드 또는 절전 모드에 있을 때 수신된다. 따라서, GTS 신호는 다가오는 활성 시간 모드, 또는 온 지속기간 전에 수신된다. GTS 신호는 다가오는 활성 모드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WD에 표시한다. 즉, GTS 신호는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온 지속기간 동안 그 활성 모드 밖에 머무르도록 WD(22)에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GTS 신호는 일부 예들에서 PDCCH를 통해, 예를 들어 DCI에서 수신될 수 있다. 도 16은 네트워크 노드(16)에서 수행되는 대응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단계(14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WD가 비활성 모드 또는 절전 모드에 있을 때 GTS 신호를 WD(22)에 표시한다. 즉, GTS 신호는 다가오는 활성 시간 모드, 또는 온 지속기간 전에 WD(22)에 표시된다. GTS 신호는 WD가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동안 그 비활성 모드에 머무를 것임을 표시한다.
예 2: 하나 이상의 온 지속기간에 대한 공동 WUS 및 GTS 메커니즘
예 2a에서, 공동 WUS 및 GTS 메커니즘이 고려되고, 여기서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6)는 온 지속기간 전에 WUS를 전송하고(스케줄링 PDCCH를 모니터링하고), 그 후 온 지속기간 동안 온 지속기간을 끊기 위해 GTS를 전송하고, 이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에서 절전하거나, 또는 그 반대(GTS는 디바이스가 스케줄링 PDCCH를 모니터링하게 하지 않고, WUS들만을 모니터링하게 함)를 하기로 판정/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예 2a를 도시한다. 즉, 무선 디바이스는 비활성(또는 슬립, 또는 저전력) 모드에 있을 때 WUS(1301)를 수신하고, 활성 모드에 있을 때 GTS 신호(1303)를 수신한다. 이 예에서, WUS 및 GTS 신호는 단일의 온 지속기간, 즉 단일의 활성 모드 시간 동안 전송된다. 즉, WUS는 디바이스가 그 활성 모드로 전이하게 하기 위해 온 지속기간/활성 모드 시간(1305) 전에 수신되고, GTS는 무선 디바이스가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다시 전이하게 하기 위해 온 지속기간/활성 모드 시간 동안 수신된다.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 및/또는 네트워크는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에 무선 디바이스(22)를 스케줄링할 계획을 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16)는 무선 디바이스(22)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WUS를, 예컨대, 처리 회로(68)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60) 및/또는 라디오 인터페이스(62)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정보의 전달이 완료되고, 예를 들어, UE DL 버퍼는 물론 그 BSR도 비어 있을 때, 네트워크 노드(16)는 GTS 신호를 전송하여 무선 디바이스(22)를 슬립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GTS-DCI 또는 MAC CE DRX 명령 또는 그 확장(특히 추가적인 명령들이 필요한 경우)이 GTS로서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6)는 이 GTS를 이용하여 현재의 WUS/GTS 구성들을 무시하거나 이들을 그대로 둘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예컨대 처리 회로(68)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60) 및/또는 라디오 인터페이스(62)를 통해, 미리 정의된 또는 동적 패턴(즉, 기준)에 따라 N개의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또는 M개의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중 N개 동안 무선 디바이스(22)를 웨이크-업하고, 이어서 어떤 것도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해 스케줄링되지 않거나 스케줄링되도록 계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 디바이스(22)를 슬립 상태로 두기 위해 GTS를 이용하며, 즉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기반하여 GTS를 이용할 수 있다. GTS가 이들 온 지속기간들 중 임의의 것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16)는 현재의 WUS/GTS 구성을 무시할 수 있거나, 무선 디바이스(22)가 현재의 구성의 끝까지 슬립 상태에 있게 할 수 있거나, 현재의 온 지속기간을 단지 스킵할 수 있고, 이어서 다시, 웨이크-업 패턴이 그 나머지 동안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재)구성들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에 의해 미리 구성되거나, GTS-DCI에 명확하게 포함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와 반대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16)가 무선 디바이스(22)의 버퍼가 비어 있다는 표시(즉, 적어도 하나의 기준)를 통지 및/또는 결정 및/또는 수신할 때이며, 네트워크 노드(16)는 이벤트를 스킵하기 위해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활성 모드 시간 전에 GTS를 전송할 수 있다(즉, 디바이스가 온 지속기간/활성 모드 시간 동안 그 비활성 또는 절전 모드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중요한 정보가 무선 디바이스(22)로의 전송을 위해 나타나는 경우에, 네트워크 노드(16)는 무선 디바이스(22)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WUS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22)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다른 동적 수단, 예컨대, 일부 WUS 기회들에서 WUS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라는 GTS-DCI에서의 명령을 통해 미리 구성되어야만 한다. 네트워크 노드(16)가 WUS, 예컨대, WUS-DCI를 전송하기로 판정/결정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노드(16)는 이것을 이용하여 현재의 WUS/GTS를 변경한다. 요약하면, 이 대안의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전에 GTS를 수신하고 이어서 활성 모드 시간/온 지속기간 동안 WUS를 수신하며, WUS는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활성 모드 시간 동안 그 비활성 모드로부터 그 활성 모드로 전이하게 한다.
예 2a에 대한 실시예들의 요약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다. 도 17은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다. 단계(S142)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비활성 모드 또는 절전 모드에 있을 때 WUS의 표시를 수신한다. 따라서, WUS의 표시는 활성 모드 시간 전에, 즉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전에 수신된다. WUS는 그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S144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디바이스가 그 활성 모드에 있을 때 PDCCH를 통해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한다. 즉, GTS 신호는 활성 모드 시간 또는 온 지속기간 동안 수신된다. GTS 신호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그 활성 모드로부터 비활성 또는 절전 모드로 전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22)에 표시한다. GTS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디바이스(22)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로부터 전이한다. WUS 및/또는 GTS 신호는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 또는 네트워크(NW)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방법의 단계들이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S146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무선 디바이스가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에 WUS를 표시한다. 따라서, WUS는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전에 무선 디바이스(22)에 표시된다. WUS는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22)에 표시한다. 단계(S148)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무선 디바이스(22)에 PDCCH를 통해 GTS 신호를 표시한다. 따라서, GTS 신호는 디바이스가 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22)에 표시된다. GTS 신호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무선 디바이스(22)에 표시한다.
다른 예 2b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예컨대 처리 회로(68)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60) 및/또는 라디오 인터페이스(62)를 통해, 미리 정의된 또는 동적 패턴(즉, GTS를 이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N개의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또는 M개의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중 N개 동안 GTS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22)를 슬립 상태로 둘 수 있고, 이어서 어떤 것이 스케줄링되거나 스케줄링되도록 계획될 것(즉, WUS를 이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예상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22)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WUS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무선 디바이스(22)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다른 동적 수단, 예컨대, 일부 WUS 기회들에서 WUS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라는 GTS-DCI에서의 명령을 통해 미리 구성될 수 있다. GTS를 검출한 후에, 무선 디바이스(22)는 WUS에 대해서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수신된 WUS의 부재는 GTS 명령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즉, 수신된 WUS의 부재는 GTS 명령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무선 디바이스(22)에 표시하거나, 또는 달리 말하면 WUS 시그널링의 결여는 GTS 시그널링을 표시한다. 대칭적으로, WUS를 검출한 후에, 무선 디바이스(22)는 스케줄링 PDCCH 또는 GTS를 모니터링할 것이다. 수신된 GTS의 부재는 스케줄링 PDCCH를 계속 모니터링하라는 표시이거나, 또는 달리 말하면 GTS 시그널링의 결여는 WUS 시그널링을 표시한다. 도 14는 예 2b를 도시한다. WUS는 1401로 도시되어 있고, GTS 신호는 1403으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온 지속기간들, 또는 활성 모드 시간들은 일반적으로 1405로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이전의 예와 같이, WUS, 예컨대, WUS-DCI는 현재의 온 지속기간 동안만, 또는 남아 있는 온 지속기간들 모두 또는 이들 중 일부 동안 무선 디바이스(22)를 웨이크-업하는데, 또는 심지어 현재의 WUS/GTS 구성들을 무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구성들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에 의해 미리 구성되거나 WUS-DCI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WUS는 모든 또는 다수의 PDCCH 모니터링 기회들 전에 전송되고, GTS 신호는 현재의 수신/전송이 종료될 때 전송된다. 이것은 더 '적극적인' 접근법이다.
특정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해, 네트워크 노드(16)는, 예컨대 처리 회로(68)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60) 및/또는 라디오 인터페이스(62)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22)의 오는 데이터 트래픽 패턴에 따라 GTS 및 WUS 신호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즉, 데이터 트래픽 패턴은 GTS 및/또는 WUS의 이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수신/전송이 종료된 후에, GTS는 다음 PDCCH에 대한 시간 간격이 (무선 디바이스(22)의 웨이크-업 램프-업 및 고-투-슬립 램프-다운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임계치보다 길 때 전송될 수 있다. 이것은 짧은 기간에 너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슬립과 웨이크-업 사이의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한 추가적인 전환을 피할 수 있다.
예 3: WUS/GTS 리소스들
네트워크 노드(16)는 WUS/GTS에 대한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몇 가지 방식들을 갖는다. PDCCH 기반 WUS/GTS에 대한 이하의 WUS/GTS 리소스들, 즉 WUS-DCI 및 GTS-DCI가 설명된다. 그러나, 유사한 절차들이 다른 유형들의 WUS/GTS, 예를 들어 시퀀스 기반 WUS/GTS들에 적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WUS 및 GTS 신호들에 대한 별개의 CORESET들/검색 공간들(SS들)을 정의할 수 있다. 리소스들은 WUS 및 GTS, 예를 들어, WUS-CORESET/SS 또는 GTS-CORESET/SS에 추가로 특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DCI가 특정 GTS-CORESET들/SS들에 속하는 경우, DCI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GTS-DCI로서 고려되고, DCI가 WUS-CORESET들/SS들에 속하는 경우, DCI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WUS-DCI로서 고려된다. 이러한 CORESET들/SS들은 정상 PDCCH 모니터링을 위한 것들과 동일하거나 WUS/GTS의 특정 목적을 위해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들(16)은, 예컨대 처리 회로(68)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60) 및/또는 라디오 인터페이스(62)를 통해, 동일한 CORESET들/SS들에서 모니터링될 WUS 및 GTS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WUS 또는 GTS에 대해 전송되는 DCI는 서로 상이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22)는 DCI들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 또는 비트 필드는 이것이 WUS 또는 GTS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C-RNTI의 특정 기능은 이것이 WUS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는 반면, 그 역은 GTS를 표시할 수 있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둘 다에 대해 동일한 전송 신호를 이용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22)는 가장 최근의 이전에 수신된 신호 - 토글 기능에 기반하여 수신된 신호가 WUS 또는 GTS인지를 결정한다.
예 3의 실시예들은 예 1, 예 2a, 예 2b 및 예 4의 실시예들과 쉽게 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WUS 및/또는 GTS 신호는 예 3의 실시예들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들에서 예 1, 예 2a, 예 2b 및 예 4의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디바이스(22)는 예 1, 예 2a, 예 2b 및 예 4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된 WUS 및/또는 GTS에 대해 예 3의 실시예들에 따라 할당된 리소스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 3에 대한 실시예들의 요약이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 19에 도시된다. 단계(S15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의 할당을 수신한다.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네트워크 노드(16) 또는 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로부터 할당될 수 있다. CORESET는 활성 모드 밖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22)는 디바이스(22)가 절전 신호의 표시에 대해 활성 모드 밖, 즉 디바이스가 비활성 또는 절전 모드에 있을 때를 모니터링할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 CORESET의 할당을 수신한다. 절전 신호는 GTS 신호 또는 WUS일 수 있다. 할당을 수신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절전 신호에 대한 연관된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한다.
도 20은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의 단계들의 대응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S152)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무선 디바이스(22)가 활성 모드 밖(즉, 디바이스가 비활성 또는 절전 모드에 있을 때)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할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한다. 절전 신호는 GTS 신호 또는 WUS일 수 있다.
예 4: 온 지속기간 전에 GTS 또는 WUS를 전송하기로 하는 네트워크 노드(16)의 결정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가 온 지속기간 전에 WUS 또는 GTS를 전송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16)가 따를 수 있는 절차가 설명된다. 특히, 네트워크 노드(16)가 WUS의 결여 대신에 GTS를 전송하기 위한, 또는 그 반대로, GTS의 결여 대신에 WUS를 전송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이 설명된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예컨대 처리 회로(68)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60) 및/또는 라디오 인터페이스(62)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22)에 트래픽 패턴들(즉, 기준)이 주어지면, 덜 자주 전송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기로 결정한다. 무선 디바이스(22)가 자주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어떠한 데이터도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의 가끔의 GTS 전송은 절전 시그널링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16)의 리소스 이용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무선 디바이스(22)가 데이터를 드물게 수신하는 경우, WUS를 찾도록 무선 디바이스(2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WUS 또는 GTS 사이의 선택은 또한 네트워크 노드(16)의 부하(즉, 기준)에 기반할 수 있고, 예컨대, 리소스 제한이 없는 경우, 오경보 확률이 낮게 유지될 수 있는, PDCCH-GTS와 같은, 보다 강건한 GTS가 항상 선택될 수 있다. 리소스 부족이 있는 경우, WUS와 GTS 사이의 위의 선택이 행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예컨대 처리 회로(68) 및/또는 통신 인터페이스(60) 및/또는 라디오 인터페이스(62)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의 DL 버퍼가 비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무선 디바이스(22)가 업데이트된 CSI 측정(특히 비주기적 측정)을 전송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또는 네트워크 노드(16)가 일부 데이터가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 동안 또는 다수의 다가오는 온 지속기간들에 올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WUS를 전송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16)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의 데이터 전달의 패턴(즉, 기준)을 학습하기 위해 이전의 무선 디바이스(22)의 통계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통계에 기반하여, 일부 DL 데이터가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해 이용가능하게 될 확률이 임계치보다 크면, 네트워크 노드(16)는 WUS를 전송하고, 더 작으면, WUS를 전송하지 않는다.
GTS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의 DL 버퍼가 비어 있는(즉, 기준) 경우, 네트워크 노드(16)는 GTS를 전송하기로 결정하여, 무선 디바이스(22)가 다음 온 지속기간(들)에서 슬립 상태로 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노드(16)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2)의 이전의 데이터 전달 패턴 및 연관된 확률들에 기반하여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2)가, 예컨대 처리 회로(84)를 이용하여, WUS 및 GTS 둘 다를 동시에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16)가 WUS를 전송하기로 결정할 때, 네트워크 노드(16)는 또한 GTS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노드(16)가 GTS를 전송하기로 결정할 때, 네트워크 노드(16)는 또한 WUS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무선 디바이스(22)가 단일 기회에 WUS 및 GTS 둘 다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오정렬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가 GTS를 수신하고 이를 올바르게 검출하지만, WUS의 오경보도 트리거링할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22)가 슬립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깨어 있는 채로 있기 때문에 오정렬이 일어날 수 있다.
위의 오정렬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은,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획득되거나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보고되는 채널 측정들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노드(16)가 다수의 기회들 동안 GTS 또는 WUS만을 이용하고 이를 RRC 시그널링, MAC CE 또는 DCI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이며, 여기서 오정렬은 WUS 및/또는 GTS를 이용하기 위한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의 RRC 시그널링은 그 구성이 더 긴 기간에 걸쳐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더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채널 조건이 양호하고(즉, 채널의 하나 이상의 계산된 및/또는 측정된 메트릭이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임계치 및/또는 기준을 충족시키고), 따라서 WUS가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을 때, 네트워크 노드(16)는 WUS를 표시로서 이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에, WUS의 결여는 GTS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채널 조건들이 양호하지 않으면(즉, 임계치 및/또는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네트워크 노드(16)는 낮은 오경보 및 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6)에 대한 더 적은 위험을 제공할 수 있는 GTS를 이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오정렬에 대한 다른 해결책은, 특히 네트워크 노드(16)가 각각의 기회를 WUS 또는 GTS에 특정하게 하지 않고 무선 디바이스(22)가 둘 다를 모니터링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GTS와 WUS 표시 사이의 충돌의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22)가 깨어 있는 채로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공동 WUS/GTS의 가능성은 에러 또는 오정렬의 경우에 다른 레벨의 강건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실수로 무선 디바이스(22)가 슬립 상태로 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16)는 HARQ ACK/NACK를 수신하지 않고 이에 따라 WUS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22)를 깨우려고 시도하자마자 이것을 알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네트워크 노드(16)가 네트워크 성능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의 보장을 돕게 하면서 절전하기 위한 효율적인 메커니즘들을 무선 디바이스(22)에 제공한다. GTS를 프로비저닝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22)가 더 신뢰성 있게 슬립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추가적인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WUS 대 GTS 구성들의 적절한 선택은 무선 디바이스(22)의 절전, 절전 신호 검출 성능, 및 네트워크 노드(16)의 리소스 이용 사이의 유리한 절충의 호출을 가능하게 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은 방법, 데이터 처리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또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은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회로" 또는 "모듈"로 지칭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태들 모두를 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프로세스, 단계, 동작 및/또는 기능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대응하는 모듈에 의해 수행되고/되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유형의 컴퓨터 이용가능한 저장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들, CD-ROM들, 전자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이에 의해 특수 목적 컴퓨터를 생성함),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기계를 생성하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 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가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 로딩되어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 상에서 수행되게 하여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한다.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동작들은 동작 예시들에서 언급된 순서를 벗어나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사실상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블록들은 관련된 기능들/동작들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도면들이 통신의 주요 방향을 보여주기 위해 통신 경로들 상에서 화살표들을 포함할지라도, 통신은 도시된 화살표들과 반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Java® 또는 C++과 같은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C"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종래의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작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 상에서, 또는 전체적으로 원격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접속은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행해질 수 있다.
위의 설명 및 도면들과 관련하여, 많은 상이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었다. 이들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과 하위 조합을 문자 그대로 설명하고 예시하는 것은 지나치게 반복적이고 혼란스럽게 만들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실시예들은 임의의 방식 및/또는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들 및 하위 조합들과, 이들을 제작하고 이용하는 방식 및 프로세스의 완전히 작성된 설명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임의의 이러한 조합 또는 하위 조합에 대한 청구항들을 뒷받침할 것이다.
앞선 설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어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 5th Generation
BB Baseband
BW Bandwidth
C-DRX/CDRX Connected mode DRX(즉, RRC_CONNECTED 상태에서의 DRX)
CRC Cyclic Redundancy Check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L Downlink
DRX Discontinuous Reception
gNB 5G/NR에서의 라디오 기지국
GTS Go to sleep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oT Internet of Things
LO Local Oscillator
LTE Long Term Evolution
MAC Medium Access Control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MTC massive MTC(유비쿼터스적으로 배치된 MTC 디바이스들이 있는 시나리오들을 지칭함)
ms millisecond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NB Narrowband
NB-IoT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R New Radio
NW Network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RF Radio Frequency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RC Radio Resource Control
RX Receiver/Reception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T/F Time/Frequency
TX Transmitter/Transmission
UE User Equipment
UL Uplink
WU Wake-up
WUG Wake-up Group
WUR Wake-up Radio/Wake-up Receiver
WUS Wake-up Signal/Wake-up Signaling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위의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위에서 반대로 언급하지 않는 한, 첨부 도면들 모두가 축척에 맞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위의 교시들에 비추어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아래에 제시된다.
실시예들:
실시예 A1. 무선 디바이스(WD)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 웨이크-업 시그널링(WUS)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온 지속기간과 연관됨 - 구성되고/되거나,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하거나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 웨이크-업 시그널링(WUS)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온 지속기간과 연관됨 - 구성된다.
실시예 A2. 실시예 A1의 네트워크 노드에 있어서,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 트래픽 패턴,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 및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 A3. 실시예 A1의 네트워크 노드에 있어서,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GTS 신호;
WUS 시그널링;
GT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WUS 시그널링의 결여; 및
WU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GTS 시그널링의 결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실시예 B1.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 웨이크-업 시그널링(WUS)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온 지속기간과 연관된다.
실시예 B2. 실시예 B1의 방법에 있어서,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 트래픽 패턴,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 및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 B3. 실시예 B1의 방법에 있어서,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GTS 신호;
WUS 시그널링;
GT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WUS 시그널링의 결여; 및
WU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GTS 시그널링의 결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실시예 C1.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WD)로서,
WD는,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 웨이크-업 시그널링(WUS)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따라 동작하도록 -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온 지속기간과 연관됨 - 구성되고/되거나,
라디오 인터페이스 및/또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 웨이크-업 시그널링(WUS)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따라 동작하도록 -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온 지속기간과 연관됨 - 구성된다.
실시예 C2. 실시예 C1의 WD에 있어서,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 트래픽 패턴,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 및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 C3. 실시예 C1의 WD에 있어서,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GTS 신호;
WUS 시그널링;
GT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WUS 시그널링의 결여; 및
WU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GTS 시그널링의 결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실시예 D1. 무선 디바이스(WD)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고-투-슬립(GTS) 시그널링 및 웨이크-업 시그널링(WUS)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무선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온 지속기간과 연관된다.
실시예 D2. 실시예 D1의 방법에 있어서,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준은 무선 디바이스의 데이터 트래픽 패턴,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 및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 D3. 실시예 D1의 방법에 있어서, GTS 시그널링 및 WUS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GTS 신호;
WUS 시그널링;
GT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WUS 시그널링의 결여; 및
WUS 시그널링을 표시하는 GTS 시그널링의 결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Claims (66)

  1.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고-투-슬립(go-to-sleep: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TS 신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름으로써 상기 GTS 신호의 표시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된 구성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에서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상기 GTS 신호에 특정된 CORESET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다른 PDCCH 모니터링을 위해 공유되는, 방법.
  9.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고-투-슬립(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GTS 신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무선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름으로써 상기 GTS 신호의 표시에 따라 동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된 구성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에서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상기 GTS 신호에 특정된 CORESET인, 무선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다른 PDCCH 모니터링을 위해 공유되는, 무선 디바이스.
  17.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TS 신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상기 GTS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 상기 GTS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에서 상기 GTS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상기 GTS 신호에 특정된 CORESET인,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다른 PDCCH 모니터링을 위해 공유되는, 방법.
  24.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동작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신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GTS 신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에 머무르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노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상기 GTS 신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 상기 GTS 신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에서 상기 GTS 신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상기 GTS 신호에 특정된 CORESET인, 네트워크 노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다른 PDCCH 모니터링을 위해 공유되는, 네트워크 노드.
  31.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활성 모드 밖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의 할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절전 신호의 표시에 대해 상기 CORESET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신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 밖에 머무르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고-투-슬립(GTS) 신호인, 방법.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신호는 비활성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웨이크-업 신호(WUS)인, 방법.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상기 절전 신호에 특정된 CORESET인, 방법.
  36.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다른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PDCCH) 모니터링을 위해 공유되는, 방법.
  37.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활성 모드 밖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의 할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절전 신호의 표시에 대해 상기 CORESET를 모니터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신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에 활성 모드 밖에 머무르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고-투-슬립(GTS) 신호인, 무선 디바이스.
  40.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신호는 비활성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웨이크-업 신호(WUS)인, 무선 디바이스.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상기 절전 신호에 특정된 CORESET인, 무선 디바이스.
  42.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다른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PDCCH) 모니터링을 위해 공유되는, 무선 디바이스.
  43.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활성 모드 밖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신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 밖에 머무르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고-투-슬립(GTS) 신호인,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신호는 비활성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웨이크-업 신호(WUS)인, 방법.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상기 절전 신호에 특정된 CORESET인, 방법.
  47.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다른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PDCCH) 모니터링을 위해 공유되는, 방법.
  48.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활성 모드 밖의 절전 신호의 표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신호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다가오는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 밖에 머무르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고-투-슬립(GTS) 신호인, 네트워크 노드.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신호는 비활성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웨이크-업 신호(WUS)인, 네트워크 노드.
  51.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상기 절전 신호에 특정된 CORESET인, 네트워크 노드.
  52.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는 다른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PDCCH) 모니터링을 위해 공유되는, 네트워크 노드.
  53.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고-투-슬립(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TS 신호는 상기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모드 시간 동안 상기 활성 모드로부터 상기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5. 제53항 또는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6. 제53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모드 시간 전에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표시하는 웨이크-업 신호(WUS)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모드로부터 상기 활성 모드로 전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8.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고-투-슬립(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GTS 신호는 상기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무선 디바이스.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GTS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활성 모드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60. 제58항 또는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 상기 GTS 신호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61. 제58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활성 모드 시간 전에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게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표시하는 웨이크-업 신호(WUS)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WUS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비활성 모드로부터 상기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63.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GTS 신호는 상기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활성 모드 시간 전에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웨이크-업 신호(WUS)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WUS는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방법.
  65.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정의하는 접속된 불연속 수신(C-DRX) 모드로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의 C-DRX 구성에 의해 정의된 활성 모드 시간 동안 활성 모드에 있을 때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고-투-슬립(GTS) 신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GTS 신호는 상기 활성 모드 시간 동안 비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노드.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활성 모드 시간 전에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웨이크-업 신호(WUS)의 표시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WUS는 활성 모드로 전이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노드.
KR1020217025023A 2019-01-11 2020-01-13 접속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절전 신호 구성들 KR102662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91180P 2019-01-11 2019-01-11
US62/791,180 2019-01-11
PCT/EP2020/050729 WO2020144383A2 (en) 2019-01-11 2020-01-13 Power saving signal configurations for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631A true KR20210109631A (ko) 2021-09-06
KR102662099B1 KR102662099B1 (ko) 2024-05-03

Family

ID=6917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023A KR102662099B1 (ko) 2019-01-11 2020-01-13 접속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절전 신호 구성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78880A1 (ko)
EP (1) EP3909303A2 (ko)
JP (1) JP7445669B2 (ko)
KR (1) KR102662099B1 (ko)
CN (1) CN113508620A (ko)
WO (1) WO2020144383A2 (ko)
ZA (1) ZA2021048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9295A4 (en) * 2019-01-11 2022-11-30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PLANNING A POWER-SAVING STATE IN NEXT-GENERATION WIRELESS NETWORKS
US20220312316A1 (en) * 2021-03-25 2022-09-29 Media Tek Inc. Power Saving Method for Monitoring Data Channel
US20230033440A1 (en) * 2021-07-29 2023-02-02 Qualcomm Incorporated Wake up signal for multicast group notification
WO2023080827A1 (en) * 2021-11-03 2023-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during discontinous reception (drx)
US20230362819A1 (en) * 2022-05-04 2023-11-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burst communications
WO2024065499A1 (en) * 2022-09-29 2024-04-04 Apple Inc. Upper layer aspects of ul wakeup signal for cell wakeup in idle/inactive st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527A (ko) * 2012-04-05 2014-11-28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리지, 엘엘씨 페이징 구성정보의 수신을 위한 어드밴스드 웨이크업
KR20170141679A (ko) * 2015-04-03 2017-12-2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연장된 drx 사용을 위한 시스템 향상
US20180270756A1 (en) * 2017-03-17 2018-09-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ontrol channel monitoring using a wakeup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1242A1 (en) * 2012-01-26 2013-07-31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with additional wake up opportunities
WO2018174635A1 (ko) * 2017-03-2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EP3420779A1 (en) * 2017-05-05 2019-0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ake-up monitoring for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41876B2 (en) * 2017-05-15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 (WUS) and wake-up receiver (WUR) in a communication device
MX2021001900A (es) * 2018-08-17 2021-04-28 Idac Holdings Inc Señales de ahorro de energía en comunicación inalámbrica.
EP3627910A1 (en) * 2018-09-21 2020-03-2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power saving operation
US11564166B2 (en) * 2018-11-12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resource randomization and sha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527A (ko) * 2012-04-05 2014-11-28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리지, 엘엘씨 페이징 구성정보의 수신을 위한 어드밴스드 웨이크업
KR20170141679A (ko) * 2015-04-03 2017-12-2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연장된 drx 사용을 위한 시스템 향상
US20180270756A1 (en) * 2017-03-17 2018-09-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ontrol channel monitoring using a wakeup signa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13011* *
3GPP R2-170828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4383A3 (en) 2020-08-27
JP2022516944A (ja) 2022-03-03
CN113508620A (zh) 2021-10-15
WO2020144383A2 (en) 2020-07-16
KR102662099B1 (ko) 2024-05-03
EP3909303A2 (en) 2021-11-17
US20220078880A1 (en) 2022-03-10
JP7445669B2 (ja) 2024-03-07
ZA202104880B (en)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099B1 (ko) 접속된 불연속 수신을 위한 절전 신호 구성들
JP7312848B2 (ja) 物理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pdcch)ベースのウェイクアップ信号(wus)設定のための方法
US11647464B2 (en) Wake-up dci for wireless devices in connected mode
US20220086761A1 (en) Method for causing a wireless device to enter a sleep state based on a gts indication in a received dci
US20210400580A1 (en) Power-efficient configuration of time offset values
EP387490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ve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US20230104198A1 (en) Power saving pdcch monitoring techniques equipment
KR20220003593A (ko) 다운링크(dl) 반영구적 스케줄링을 갖는 복수의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피드백
US11963159B2 (en) Efficient BWP switching
EP3857986B1 (en) State transition processes for wireless device power savings
US20220070911A1 (en) Enhanced singl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multi-slot scheduling
US11849395B2 (en) Adapting wake up signal repetitions
WO2023003503A1 (en) Network strategies for maximum bandwidth and maximum component carrier user assistance information ut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