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385A -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385A
KR20210109385A KR1020200024627A KR20200024627A KR20210109385A KR 20210109385 A KR20210109385 A KR 20210109385A KR 1020200024627 A KR1020200024627 A KR 1020200024627A KR 20200024627 A KR20200024627 A KR 20200024627A KR 20210109385 A KR20210109385 A KR 2021010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id card
mobile terminal
command
amou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김영철
이강희
정재우
유은영
최설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모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모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모넷
Priority to KR102020002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385A/ko
Publication of KR2021010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9Rechargeable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제1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PROVIDING SERVICE TO PREPAID CARD USING NFC}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선불 카드는 사용자가 일정한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해당 금액이 기록된 카드를 발급받아 카드 잔액 범위 내에서 수시로 소액의 물품이나 용역을 자유로이 구입할 수 있는 카드이다.
예를 들어, 선불 카드로는 IC(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 기억소자를 장착하여 대용량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전자식 신용카드로 메모리형 스마트카드,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 스마트카드 및 대화형 스마트카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선불 카드는, 교통 카드, 지하철 정기승차권, 전화 카드, 고속도로 카드, 도서 카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해진 단말기에서 선불형 교통 카드를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선불형 교통 카드를 충전할 때마다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까지 찾아가야 하는 부담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선불 카드를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NFC 를 통해 선불 카드로부터 읽기 동작을 수행하고, 선불 카드로 쓰기 동작을 수행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를 충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를 충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선불 카드를 충전하고,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의 충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선불 카드의 충전소 운영 비용 및 수수료를 절감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제1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모바일 단말기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NFC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상기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된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NFC 를 통해 선불 카드로부터 읽기 동작을 수행하고, 선불 카드로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를 충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선불 카드를 충전하고,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의 충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선불 카드의 충전소 운영 비용 및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선불 카드를 위치시키는 방법을 가이드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선불 카드에 소정 금액이 충전되는 동안 모바일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로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모바일 단말기의 근처에 위치한 선불 카드의 배치 및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로 충전 완료된 결과 및 선불 카드의 이력을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소정 금액의 충전을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에 기초하여, 선불 카드로 충전 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분실 카드로 소정 서비스를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선불 카드, 서버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선불 카드"는 사용자가 일정한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일정한 금액이 기록된 카드의 잔액 범위 내에서 수시로 소액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자유로이 구입할 수 있는 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불 카드는 교통 카드, 지하철 정기승차권, 전화 카드, 고속도로 카드, 도서 카드 등일 수 있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은 선불 카드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 금액을 충전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선불 카드의 결제 내역, 충전 내역, 환불 내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이용 가능한 캐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시는 선불 카드를 충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의 NFC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의 운영체제에서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의 운영체제는 iOS, 안드로이드와 같은 운영체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는 선불 카드 별로 에이전트 아이디(AID: Agent ID)의 정보, 및 선불 카드의 발생사에서 규정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명령어의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20)를 충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선불 카드(20)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20)의 충전을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20)가 모바일 단말기(10)의 뒷면에 위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의 뒷면에 선불 카드(20)를 위치시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20)를 식별하고, 선불 카드(20)의 충전 명령에 기초하여, 선불 카드(20)에 소정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감지된 선불 카드(20)의 식별 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는 선불 카드(2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관리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관리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기초하여, 선불 카드(20)로 명령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단계 S210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모바일 단말기(10)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3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다.
단계 S220에서, 모바일 단말기(10) 내에서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NFC 모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NFC 모드의 동작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서버로부터 제1 선불 카드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되는 제1 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관리 정보는, 제1 선불 카드로 소정 금액을 충전 또는 결제시키는 명령어,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을 조회하는 명령어,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는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리 정보는, 제1 선불 카드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의 정보, 또는 제1 선불 카드의 발급사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선불 카드가 모바일 단말기(10) 내에서 소정의 선불 카드를 식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인식 범위에 위치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의 배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의 정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 음성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에 기초하여,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읽기 동작은 제1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을 읽는 동작일 수 있다. 쓰기 동작은 제1 선불 카드에 소정 금액을 충전, 결제, 환불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이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제1 명령이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이 제1 선불 카드로 제2 금액을 결제하는 제2 명령이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2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제2 금액을 결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선불 카드에 충전된 금액에서 제2 금액이 차감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이 제1 선불 카드로 제3 금액을 환불하는 제3 명령이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3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제3 금액을 환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제1 선불 카드에서 결제된 제3 금액을 환불하는 제3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제3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제3 금액을 환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2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1 금액의 지급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1 금액이 지급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에 대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을 조회하는 명령 및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선불 카드의 잔액 또는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제1 선불 카드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카드로 확인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 및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설정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충전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이 소정 금액 미만이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보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캐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자동 충전을 실행하거나, 충전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식별된 제2 선불 카드가 분실 카드로 확인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2 선불 카드로 소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는 메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화면에는 NFC 모드가 모바일 단말기(10)에서 활성화 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정보(310),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캐시의 정보(320),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항목 정보(331, 332, 333, 334)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NFC 모드를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NFC 모드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수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NFC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NFC 모드는 ON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반면에, NFC 모드가 비활성화된 경우, NFC 모드는 OFF로 표시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항목에는, "충전하기" 항목(331), "사용내역" 항목(332), "조르기" 항목(333) 및 "쇼핑하기" 항목(334)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충전하기" 항목(331)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로 소정 금액을 충전하는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7의 이미지(710)에서 충전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사용내역" 항목(332)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식별된 선불 카드의 결제 내역, 충전 내역, 환불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이미지(720)에서 사용내역을 조회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조르기" 항목(333)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소정 금액의 지급을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서 "조르기"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쇼핑하기" 항목(334)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쇼핑 리스트를 표시하거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선불 카드를 위치시키는 방법을 가이드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선불 카드가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모바일 단말기(10)에 대해 미리 설정된 영역에 위치되어야 모바일 단말기(10)는 NFC를 통해 선불 카드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충전하기"를 선택하는 입력이 획득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를 위치시키는 방법을 가이드 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이미지(410)을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선불 카드가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휴대폰 뒷면에 선불 카드를 접촉해 주세요"라는 메시지(411)와 휴대폰 뒷면에서 선불 카드가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가이드 하는 이미지(412)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선불 카드가 모바일 단말기(10) 내에서 소정의 선불 카드를 식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인식 범위에 위치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가 미리 설정된 인식 범위에 배치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4의 이미지(420)을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20)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의 정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휴대폰 뒷면 중앙에 선불 카드를 정확하게 태깅해 주세요"라는 메시지(42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20)가 배치된 위치를 감지하여, 선불 카드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를 음성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선불 카드에 소정 금액이 충전되는 동안 모바일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에 소정 금액이 충전되는 동안 주의 사항을 가이드 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 충전 중입니다.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선불 카드를 접촉해 주세요"라는 메시지(511)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선불 카드가 충전되는 동안에, 선불 카드가 미리 설정된 인식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도 4의 이미지(420)를 표시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선불 카드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불 카드가 미리 설정된 인식 범위를 벗어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의 충전 동작을 중단하고, 선불 카드의 충전 명령을 취소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로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모바일 단말기의 근처에 위치한 선불 카드의 배치 및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이미지(610)는 모바일 단말기(10)의 뒷면의 미리 설정된 인식 범위 내에서 선불 카드(20)가 배치된 예시 도면이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의 뒷면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배치된 제1 선불 카드(20)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거리는, 모바일 단말기(10)의 뒷면에서 미리 설정된 수직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거리는 5cm 일 수 있다.
도 6의 이미지(620)는 모바일 단말기(10)의 뒷면의 미리 설정된 인식 범위 내에서 선불 카드(20)가 배치된 경우, 모바일 단말기(10)의 측면도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의 이미지(620)에서 선불 카드(20)가 모바일 단말기(10)의 뒷면에 접촉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선불 카드(20)가 미리 설정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20)에 대해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모바일 단말기(10)에서 NFC 모드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기(10)는 전자기장을 발산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선불 카드(20)는 전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선불 카드(20) 내의 NFC 칩은 전자기장에 의해 일시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20) 내의 NFC 칩 내에 유도된 전류에 기초하여, 선불 카드(20)에 남아있는 잔액의 정보를 읽는 읽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20)에 남아있는 잔액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20)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제1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명령에 기초하여 선불 카드(20)에 제1 금액을 충전하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로 충전 완료된 결과 및 선불 카드의 이력을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이미지(710)을 참고하면, 선불카드에서 충전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충전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충전된 금액의 정보(711),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 가능한 캐시의 잔액의 정보(712), 및 충전 후 선불 카드에서 사용 가능한 금액의 정보(713)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서, "사용내역"을 선택하는 입력이 획득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의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이미지(7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에서 결제된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 선불 카드로 환불된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 선불 카드로 충전된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결제 내역" 탭(721), "환불 내역" 탭(722), "충전 내역" 탭(723)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는 "결제 내역" 탭(721)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의 결제 내역이 조회된 결과(724)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이미지(720)을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선불 카드에서 결제된 이력을 최근 결제된 순서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환불 내역" 탭(722)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의 환불 내역이 조회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충전 내역" 탭(723)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의 충전 내역이 조회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에 최근 사용 내역이 반영되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10)는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선불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은 후에, 선불 카드의 최근 사용 내역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서버로부터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불 카드의 최근 사용 내역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소정 금액의 충전을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는 선불 카드에 잔액이 부족한 경우, 선불 카드에 소정 금액을 충전하여야 선불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사용자에게 소정 금액을 지급받고, 지급받은 소정 금액을 선불 카드에 충전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항목에는 "조르기" 항목(333)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조르기" 항목(333)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에게 소정 금액의 지급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조르기" 항목(333)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조르기" 항목(801), "보낸 요청" 항목(802), "받은 요청" 항목(803)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조르기" 항목(801)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도 8의 이미지(8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의 잔액 정보, 요청 금액을 입력 받는 입력란(811), 제2 사용자의 연락처를 입력 받는 입력란(812), 제2 사용자에게 보낼 메시지를 입력 받는 입력란(813)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란(811), 입력란(812), 입력란(813) 각각에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사용자는 "조르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2 사용자에게 소정 금액의 지급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0)는 주소록 또는 최근 항목을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친구 찾기" 등의 항목을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계정으로 "조르기"를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에서 "받은 요청" 항목(803)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도 8의 이미지(8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는 받은 금액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받기"를 누름으로써, 제2 사용자가 보낸 10,000원을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금액을 보낸 제2 사용자에게 보낼 매시지를 입력 받는 입력란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제2 사용자에게 보낼 메시지를 입력하고, 보내기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제2 사용자의 계정 또는 제2 사용자의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에 기초하여, 선불 카드로 충전 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실행되고,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식별된 선불 카드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카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식별된 선불 카드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카드로 확인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 및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설정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충전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불 카드의 잔액이 2000원 미만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보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캐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자동 충전을 실행하거나, 충전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선불 카드 잔액 및 애플리케이션의 캐시에 대한 정보(9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소정 금액의 충전을 문의하는 정보(92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충전 후 선불 카드 잔액 및 충전 후 애플리케이션의 캐시에 대한 정보(930)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예"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의 AA 캐시 20,000포인트에서 10,000 포인트를 차감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AA 캐시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의 충전 과정을 도시하였으나, 모바일 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선불 카드에 10,000원을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식별된 선불 카드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카드로 확인되고,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이 미리 설정된 소정 금액 미만이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자동으로 선불 카드에 미리 설정된 자동 충전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서 분실 카드로 소정 서비스를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실행되고,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식별된 제2 선불 카드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카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식별된 제2 선불 카드가 분실 카드로 확인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2 선불 카드로 소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제2 선불 카드로 소정 금액을 충전하는 서비스, 제2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는 서비스, 제2 선불 카드로 소정 금액을 결제하는 서비스, 제2 선불 카드로 소정 금액을 환불 받는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식별된 제2 선불 카드가 분실 카드로 확인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접촉된 선불 카드는 분실 신고가 접수된 카드입니다"라는 메시지(10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제2 선불 카드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카드로 확인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2 선불 카드를 등록하도록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선불 카드, 서버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단계 S1101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선불 카드(20)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1102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모바일 단말기(10) 내에서 NFC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20)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20)의 제1 식별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104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20)의 제1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1 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105에서, 서버(30)는 제1 관리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106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제1 선불 카드(20)에 대한 소정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20)에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107에서, 선불 카드(20)에서는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금액을 충전, 결제, 환불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108에서, 모바일 단말기(10)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에 대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통신 장치(12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 메모리(1230) 및 프로세서(1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모바일 단말기(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통신 장치(12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 PC , 선불 카드, 스마트 카드 등일 수 있다. 통신 장치(121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2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드를 실행하는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210)는 NFC 모드를 활성화 시키고,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선불 카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1210)는 무선 랜(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WFD(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red La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3G, 4G, 및 5G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는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를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4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 및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30)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40)는 모바일 단말기(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4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40)는 메모리(1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2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2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40)는 메모리(12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40)는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240)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획득된 명령어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1240)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 내에서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4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NFC 모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NFC 모드의 동작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장치(1210)를 통해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 제1 선불 카드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되는 제1 관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관리 정보는, 제1 선불 카드로 소정 금액을 충전 또는 결제시키는 명령어,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을 조회하는 명령어,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는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리 정보는, 제1 선불 카드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의 정보, 또는 제1 선불 카드의 발급사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선불 카드가 모바일 단말기(10) 내에서 소정의 선불 카드를 식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인식 범위에 위치하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선불 카드의 배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는 제1 선불 카드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의 정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10) 내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제1 선불 카드가 배치되어야 할 위치 음성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에 기초하여,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읽기 동작은 제1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을 읽는 동작일 수 있다. 쓰기 동작은 제1 선불 카드에 소정 금액을 충전, 결제, 환불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이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제1 명령이면, 애플리케이션은 제1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이 제1 선불 카드로 제2 금액을 결제하는 제2 명령이면, 애플리케이션은 제2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제2 금액을 결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선불 카드에 충전된 금액에서 제2 금액이 차감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이 제1 선불 카드로 제3 금액을 환불하는 제3 명령이면, 애플리케이션은 제3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제3 금액을 환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장치(121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제1 선불 카드에서 결제된 제3 금액을 환불하는 제3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제3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제3 금액을 환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를 통해 제2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1 금액의 지급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1 금액이 지급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를 제어하여,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에 대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를 통해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을 조회하는 명령 및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수신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선불 카드의 잔액 또는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의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제1 선불 카드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카드로 확인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 및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설정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충전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이 소정 금액 미만이면, 애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보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캐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제1 선불 카드로 자동 충전을 실행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20)를 통해 충전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식별된 제2 선불 카드가 분실 카드로 확인되면, 애플리케이션은 제2 선불 카드로 소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제1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NFC 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NFC 모드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되는 제1 관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정보는,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소정 금액을 충전 또는 결제시키는 명령어,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을 조회하는 명령어,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는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대한 정보;
    상기 제1 선불 카드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의 정보; 및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발급사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제2 금액을 결제하는 제2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제2 금액을 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금액의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잔액 및 상기 제2 금액의 결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선불 카드에서 결제된 제3 금액을 환불하는 제3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제3 금액을 환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단계는,
    제2 사용자의 계정으로 상기 제1 금액의 지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 상기 제1 금액이 지급되면,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을 조회하는 명령 및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잔액 또는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불 카드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카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설정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충전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충전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이 소정 금액 미만이면,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보유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캐시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자동 충전을 실행하거나, 충전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2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선불 카드가 분실 카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2 선불 카드로 소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선불 카드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소정의 선불 카드를 식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인식 범위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배치를 가이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모바일 단말기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NFC 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NFC 모드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명령이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제1 명령이면, 상기 제1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소정 명령이 제2 금액을 결제하는 제2 명령이면, 상기 제2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제2 금액을 결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명령이 제3 금액을 환불하는 제3 명령이면, 상기 제3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제3 금액을 환불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잔액을 조회하는 명령 및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을 조회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잔액 또는 상기 제1 선불 카드의 사용 내역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선불 카드가 제1 사용자의 계정으로 등록된 카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설정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충전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2 선불 카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선불 카드가 분실 카드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2 선불 카드로 소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19. NFC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선불 카드의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상기 NFC 모드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1 선불 카드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대한 소정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상기 소정 명령에 대응하는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소정 명령이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제1 명령이면, 상기 제1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에 상기 제1 금액을 충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소정 명령이 제2 금액을 결제하는 제2 명령이면, 상기 제2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제2 금액을 결제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소정 명령이 제3 금액을 환불하는 제3 명령이면, 상기 제3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선불 카드로 상기 제3 금액을 환불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200024627A 2020-02-27 2020-02-27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KR20210109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27A KR20210109385A (ko) 2020-02-27 2020-02-27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627A KR20210109385A (ko) 2020-02-27 2020-02-27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385A true KR20210109385A (ko) 2021-09-06

Family

ID=7778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627A KR20210109385A (ko) 2020-02-27 2020-02-27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3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0256B (zh) 在非接觸式銷售據點終端機的行動錢包偵測技術
US20090037326A1 (en) Virtual Card Selecto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111286A (ko) 결제 부가 서비스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2016504690A (ja) 決済方式の選択のための決済デバイス制御方法
CN109074573B (zh) 便携装置和便携装置的电子支付方法
KR20150107418A (ko) 전자 지갑을 활용한 결제 방법, 장치 그리고 시스템
KR20170118431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50129336A (ko) 주차 요금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CN105913274A (zh) 用于累积会员资格积分的方法和装置
KR101974458B1 (ko) 간편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1257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178473B1 (ko) Nfc 단말기를 이용한 안전 결제 제공방법, nfc 단말기, 및 rf 결제장치
KR20210109385A (ko) Nfc를 이용하여 선불 카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애플리케이션
KR101259993B1 (ko) 모바일 단말에서 쿠폰을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방법 및 장치
KR102342733B1 (ko) 스마트 카드 지갑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505977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개인 정보 질의 기반의 2차 인증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05965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 기반의 2차 인증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431302B1 (ko)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시스템, 대리결제 상황 추천 기반의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40097840A (ko) 분할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533853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2단계 위치 측위를 이용한 체크인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6506477B2 (ja) 電子決済システム、電子決済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情報記録媒体
KR20140081213A (ko)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보안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7412B1 (ko) 선불카드 내장형 보조배터리
KR20170040558A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모션 패턴을 이용한 2차 인증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30043087A (ko) 신용카드 결제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장치, 관리자 단말장치 및 승인 중계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