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512A -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512A
KR20210108512A KR1020200022537A KR20200022537A KR20210108512A KR 20210108512 A KR20210108512 A KR 20210108512A KR 1020200022537 A KR1020200022537 A KR 1020200022537A KR 20200022537 A KR20200022537 A KR 20200022537A KR 20210108512 A KR20210108512 A KR 2021010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medication
drug
proces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20002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512A/ko
Publication of KR2021010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관리모듈을 구비한 약국 내 단말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처리모듈과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에 구비된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제1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가로챈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환자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로 제공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출력된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를 터치한 후 입력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상기 터치된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수신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지정된 단말로 대화형 복약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약국 내 단말에서 지정된 환자의 약품조제를 위해 상기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탐지하여 수집하며, 상기 약국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상기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약품조제정보에 대응하는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지정된 단말로 대화형 복약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은 높을 수밖에 없으므로 관련 의료 시장은 그 수요와 규모가 계속 커지고 있으며 또한 의료산업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건강관리(헬스케어) 관련 사업의 규모와 수요 역시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사람들의 의료정보와 바이오 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는 2차 서비스 시장에서 관련 의료 정보 및 의약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경로와 높은 수준의 통제가 필요하여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들은 법을 통해서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환자들이 병원의 처방을 통해서 약국에서 제조 받은 의약 정보는 의료정보 가운데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복약기준이나 장기적으로 다른 치료나 처방시에도 이력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본인의 지속적인 건강관리에 매우 중요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약 정보를 정당한 본인 동의 하에 수집하려고 하는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오고 있으나, 여기에는 확산이 어려운 기술적 환경적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번째는 제조하는 약국에서 제조 의약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업무의 부담과, 매번 환자에게 동의를 구해야 하며 환자 역시 동의 및 정보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의 설치 등의 번거러움과 관리 업무가 늘어나게 된다.
두번째는 약국에서 사용하는 의약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해당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매우 많은 종류의 의약 관리 프로그램들간 연계 작업을 해야 하고 프로그램의 기능과 버전이 변경되면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상당히 많은 작업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의약 정보의 활용에 있어서도 결국 정보주체인 환자 본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들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정보의 안전한 공유와 이용에 제약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사정은 다양한 경로로 의료정보를 수집하고자 개발되고 있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장치들도 연계와 동의, 정보활용의 복잡성 문제는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이 개시된 바, 이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7622호(2016년03월24일 등록)는 모바일 출력 환경에서의 보안을 위한 프린트 관리 서버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개인정보와 키워드의 임계치 검출 여부에 따라 출력 수행여부 및 출력물의 내용 수정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은 특정 출력정보의 추출과 환자 동의를 위한 기술적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개인정보노출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6755호(2019년01월21일 공개)는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 및 가족 정보를 복약 지도 사이트에 등록하고, 처방전을 촬영하여 처방전 영상을 상기 복약 지도 사이트에 업-로드하면, 처방전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관련 내용을 저장하고 약제 정보를 제공하며,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복약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은 환자가 일일이 처방전을 영상으로 촬영해서 업로드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약국 내 단말에서 지정된 환자의 약품조제를 위해 상기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탐지하여 수집하며, 상기 약국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상기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약품조제정보에 대응하는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지정된 단말로 대화형 복약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관리모듈을 구비한 약국 내 단말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처리모듈과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에 구비된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제1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가로챈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환자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로 제공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출력된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를 터치한 후 입력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상기 터치된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수신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지정된 단말로 대화형 복약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대행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약품인쇄정보는, 환자 고유정보와 약품 포장지에 인쇄될 약품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 내에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구동된 경우, 상기 구동된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계된 설정 파일을 참조하거나 상기 단말의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a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제b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식별정보는,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와 연동하는 인쇄포트를 식별하는 포트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인쇄방식을 식별하는 방식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 또는 인쇄포트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식별하는 드라이버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장치가 USB 방식으로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장치가 시리얼포트 방식으로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장치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장치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정보처리모듈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수신된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N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를 터치 입력받고, 상기 터치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터치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정보처리모듈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지정된 관리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연계 저장한 후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시간 경과 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통해 지정된 회원DB를 조회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불가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가입 동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또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로 상기 제n 환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불가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제n 환자 고유정보와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상기 회원DB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약관리정보는, 지정된 복약 기간 중 복약관리를 위한 일시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에 대응하는 고유관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복약관리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를 근거로 제n 환자가 이용하는 지정된 단말을 통해 대화형 복약서비스가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형 복약서비스 요청 확인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연계된 복약관리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추출하여 상기 단말의 대화형 출력수단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단말의 대화형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질의정보에 매칭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추출하여 상기 단말의 대화형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유관리정보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 상기 제n 환자 무선단말의 앱을 식별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 푸시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 상기 제n 환자를 통해 중복되지 않게 등록된 환자계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화형 출력수단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대화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단말의 음성 출력 가능한 사운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대화형 입력수단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대화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단말의 음성 입력 가능한 사운드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대화창을 통해 대화 형식으로 출력되거나 상기 단말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음성 출력 가능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DB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복약 관련 질의를 학습한 인공지능알고리즘에 상기 질의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질의의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의의도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복수의 질의의도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저장한 DB로부터 상기 질의의도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복수의 복약 관련 질의와 응답을 매칭 저장한 저장한 DB로부터 상기 질의정보에 가장 매칭되는 응답정보를 추출하는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와 상기 추출된 응답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시설에서 생성되는 의료 및 의약정보를 간편하게 환자 동의를 받아 수집하며 이를 빅데이터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직접 처방정보를 등록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복약관리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약국 내 단말에서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약국 내 단말과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환자의 무선단말로 대화형 복약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환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약국 내 단말(125)에서 지정된 환자의 약품조제를 위해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탐지하여 수집하며, 상기 약국에 구비되며 상기 약국 내 단말(125)과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145)를 통해 상기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상기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면,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복약관리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지정된 단말로 대화형 복약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의약관리모듈(130)과, 정보처리모듈(135)를 구비하며 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100)와 통신하는 약국 내 단말(125)과, 상기 약국 내 단말(100)과 직접 또는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약품인쇄정보를 제공받는 인쇄장치(140)와, 상기 약국 내 단말(100)과 직접 또는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장치(145)와, 상기 약국 내 단말(100)로부터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기능과,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는 기능과, 상기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앱(155)이 설치된 상기 환자의 무선단말(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쇄장치(140)는 상기 약국 내 단말(100)에 환자의 처방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약국 내 단말(100)로부터 약품인쇄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약품 포장지를 인쇄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수신된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N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가 터치 입력되고, 상기 터치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가 터치 입력되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약국 내 단말(125)과, 인쇄장치(140)와,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약국 내에서 직접 또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약국 내 단말(125)은 의약관리모듈(130)과 정보처리모듈(13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은 의료시설에서 진료한 진료정보와, 환자에게 처방한 처방전 정보 및 환자에게 복약을 처방한 복약정보 등 의료시설에서 환자에게 처방한 진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은 병원에서 환자에게 처방한 처방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처방전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 조제를 위해 상기 처방전 정보에 대응하는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인쇄장치(14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약품인쇄정보는 환자 고유정보와 약품 포장지에 인쇄될 약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140)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경우,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대행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125) 내에서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이 구동된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계된 설정 파일을 참조하거나 상기 단말(125)의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140)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기 불가하다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설정 파일의 지정된 일부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될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기 가능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식별정보는,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와 연동하는 인쇄포트를 식별하는 포트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인쇄방식을 식별하는 방식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 또는 인쇄포트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식별하는 드라이버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USB 방식으로 단말(125)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시리얼포트 방식으로 단말(124)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방식은 무선랜 방식이나 유선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가로챈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환자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145)로 제공하고,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145)를 통해 출력된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를 터치한 후 입력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상기 터치된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단말(125) 내의 지정된 관리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연계 저장한 후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유효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환자의 서비스 가입 상태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면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를 통해 수신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하고,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이 확인되면,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은 각종 이동통신단말, 각종 휴대폰,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 내에 구비된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무선단말(15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앱(155)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에 다운로드 설치된 앱(155)은 설치 후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150)과 앱(155)의 조합(또는 상기 앱(155)을 설치한 환자 무선단말(150), 또는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에 설치된 앱(155))을 고유한 매체로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UUID 등)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서버를 통해 할당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과 앱(155)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의 앱(155)은 상기 무선단말(100)을 고유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등)를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의 앱(155)은 상기 앱(155)를 설치한 환자 무선단말(150)의 환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고유ID(또는 회원ID), 성명, 생년월일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가입 확인부(105)와, 정보 저장부(110)와, 정보 처리부(115)와, 정보 제공부(1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1의 실시예는 편의상 상기 운영서버(100)를 하나의 서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 또는 서버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축된 서버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로부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통해 지정된 회원DB를 조회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이 불가하다면,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가입 동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이 불가한 경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이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되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 상기 제n 환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는 상기 운영서버(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한 경우,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제n 환자 고유정보와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상기 회원DB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를 통해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가 연계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되면,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160)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약관리정보는 지정된 복약 기간 중 복약관리를 위한 일시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에 대응하는 고유관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복약관리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를 근거로 제n 환자가 이용하는 지정된 단말을 통해 대화형 복약서비스가 요청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대화형 복약서비스 요청 확인 시,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연계된 복약관리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단말의 대화형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질의정보에 매칭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n 환자의 지정된 단말은, 제n 환자의 유선단말, 무선단말, AI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는 인공지능을 통해 대화형으로 먼저 알려주는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는 인공지능을 통해 환자의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알려주는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관리정보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 상기 제n 환자 무선단말의 앱을 식별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 푸시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 상기 제n 환자를 통해 중복되지 않게 등록된 환자계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대화형 출력수단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대화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단말의 음성 출력 가능한 사운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형 입력수단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대화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단말의 음성 입력 가능한 사운드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대화창을 통해 대화 형식으로 출력되거나 상기 단말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음성 출력 가능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DB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복약 관련 질의를 학습한 인공지능알고리즘에 상기 질의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질의의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의의도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복수의 질의의도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저장한 DB로부터 상기 질의의도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복수의 복약 관련 질의와 응답을 매칭 저장한 저장한 DB로부터 상기 질의정보에 가장 매칭되는 응답정보를 추출하는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와 상기 추출된 응답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120)는 상기 정보 처리부(115)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연계된 복약관리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되거나, 상기 단말의 대화형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질의정보에 매칭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되면, 상기 생성 또는 추출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 또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상기 단말의 대화형 출력수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약국 내 단말에서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에서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치를 인쇄하는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의 구동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계된 설정 파일을 참조하거나 상기 단말(125)의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140)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를 확인한다(205).
여기서, 상기 인쇄식별정보는,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와 연동하는 인쇄포트를 식별하는 포트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인쇄방식을 식별하는 방식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 또는 인쇄포트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식별하는 드라이버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하는 인쇄장치(140)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한다(210).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어 획득한다(2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USB 방식으로 단말(125)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시리얼포트 방식으로 단말(124)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방식은 무선랜 방식이나 유선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대행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220).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약국 내 단말과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을 통해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이후,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에서 약국 내 터치스크린장치(145)와 연동하여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을 통해 약국 내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이후,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에서 상기 가로챈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환자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145)로 제공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305),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수신된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를 출력한다(310).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N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의 터치 입력이 확인되면(315), 상기 터치 입력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의 터치 입력을 확인한다(320).
이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제공한다(325).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에서 약국 내 터치스크린장치(145)와 연동하여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확인한 이후, 상기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상기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약국 내 터치스크린장치(145)를 통해 제n 환자 식별정보와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가 터치 입력된 이후, 상기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로부터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와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400).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와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단말(125) 내의 지정된 관리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한다(405).
그리고,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연계 저장한 후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여(410), 상기 유효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한다(415).
그리고,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한다(4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가 수신되면(425),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통해 지정된 회원DB를 조회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상태를 확인한다(430).
만약,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이 불가능하다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한다(43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가입 동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저장하고(440),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 상기 제n 환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제공한다(445).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환자의 무선단말로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가 확인된 이후,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에서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지정된 단말로 대화형 복약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가 확인된 이후,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이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500).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505).
상기와 같이 운영서버(100)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한다(51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조제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조제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한다(515).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에 대응하는 고유관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복약관리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고(520),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를 근거로 제n 환자가 이용하는 지정된 단말을 통해 대화형 복약서비스가 요청되는지 확인한다(525).
만약, 상기 대화형 복약서비스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연계된 복약관리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단말의 대화형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질의정보에 매칭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한다(530).
여기서, 상기 제n 환자의 지정된 단말은, 제n 환자의 유선단말, 무선단말, AI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는 인공지능을 통해 대화형으로 먼저 알려주는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는 인공지능을 통해 환자의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알려주는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관리정보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 상기 제n 환자 무선단말의 앱을 식별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 푸시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 상기 제n 환자를 통해 중복되지 않게 등록된 환자계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대화형 출력수단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대화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단말의 음성 출력 가능한 사운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형 입력수단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대화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단말의 음성 입력 가능한 사운드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대화창을 통해 대화 형식으로 출력되거나 상기 단말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음성 출력 가능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DB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복약 관련 질의를 학습한 인공지능알고리즘에 상기 질의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질의의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의의도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복수의 질의의도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저장한 DB로부터 상기 질의의도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복수의 복약 관련 질의와 응답을 매칭 저장한 저장한 DB로부터 상기 질의정보에 가장 매칭되는 응답정보를 추출하는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와 상기 추출된 응답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연계된 복약관리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되거나, 상기 단말의 대화형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질의정보에 매칭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생성 또는 추출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 또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상기 단말의 대화형 출력수단으로 제공한다(535).
100 : 운영서버 105 : 가입 확인부
110 : 정보 저장부 115 : 정보 처리부
120 : 정보 제공부 125 : 약국 내 단말
130 : 의약관리모듈 135 : 정보처리모듈
140 : 인쇄장치 145 : 터치스크린장치
150 : 환자 무선단말 155 : 앱
160 : 정보관리서버

Claims (23)

  1. 의약관리모듈을 구비한 약국 내 단말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처리모듈과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에 구비된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제1 단계;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가로챈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환자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로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출력된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를 터치한 후 입력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상기 터치된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수신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제4 단계;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제6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지정된 단말로 대화형 복약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대행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인쇄정보는,
    환자 고유정보와 약품 포장지에 인쇄될 약품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내에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구동된 경우, 상기 구동된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계된 설정 파일을 참조하거나 상기 단말의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a 단계; 및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제b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식별정보는,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와 연동하는 인쇄포트를 식별하는 포트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인쇄방식을 식별하는 방식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 또는 인쇄포트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식별하는 드라이버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USB 방식으로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시리얼포트 방식으로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정보처리모듈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수신된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N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를 터치 입력받고, 상기 터치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터치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정보처리모듈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지정된 관리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연계 저장한 후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시간 경과 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통해 지정된 회원DB를 조회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불가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가입 동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또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로 상기 제n 환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불가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제n 환자 고유정보와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상기 회원DB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정보는,
    지정된 복약 기간 중 복약관리를 위한 일시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에 대응하는 고유관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복약관리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를 근거로 제n 환자가 이용하는 지정된 단말을 통해 대화형 복약서비스가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형 복약서비스 요청 확인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고유관리정보와 연계된 복약관리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추출하여 상기 단말의 대화형 출력수단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단말의 대화형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질의정보에 매칭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추출하여 상기 단말의 화형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관리정보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
    상기 제n 환자 무선단말의 앱을 식별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 푸시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
    상기 제n 환자를 통해 중복되지 않게 등록된 환자계정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출력수단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대화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단말의 음성 출력 가능한 사운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대화형 입력수단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대화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단말의 음성 입력 가능한 사운드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대화창을 통해 대화 형식으로 출력되거나 상기 단말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음성 출력 가능한 대화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DB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복약 관련 질의를 학습한 인공지능알고리즘에 상기 질의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질의의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질의의도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거나 복수의 질의의도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저장한 DB로부터 상기 질의의도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복수의 복약 관련 질의와 응답을 매칭 저장한 저장한 DB로부터 상기 질의정보에 가장 매칭되는 응답정보를 추출하는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와 상기 추출된 응답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질의정보에 대응하는 응답형 복약서비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22537A 2020-02-24 2020-02-24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8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537A KR20210108512A (ko) 2020-02-24 2020-02-24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537A KR20210108512A (ko) 2020-02-24 2020-02-24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12A true KR20210108512A (ko) 2021-09-03

Family

ID=7778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537A KR20210108512A (ko) 2020-02-24 2020-02-24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85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05823A1 (ko)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249664B1 (ko) 비대면 방식의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WO2014113817A2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EP2683994A2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KR100805642B1 (ko)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20180041925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7981A (ko) 정보입력장치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8512A (ko)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8513A (ko)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7978A (ko) 의약품 조제 탐지 기술을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8514A (ko) 정보입력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7980A (ko) 터치스크린장치를 이용한 대화형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EP1316892A1 (en) Member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individual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and system
KR20210108509A (ko)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8510A (ko)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8511A (ko) 정보입력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8516A (ko) 정보입력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10107977A (ko) 정보입력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방법
KR20210107974A (ko)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방법
KR20210107985A (ko) 의약품 인쇄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10107966A (ko) 터치스크린장치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7975A (ko)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방법
KR20210108515A (ko)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10107968A (ko) 터치스크린장치를 이용한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방법
KR20210107969A (ko) 정보입력장치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