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196A - 멀티 밴드 송신기 - Google Patents

멀티 밴드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196A
KR20210108196A KR1020200023103A KR20200023103A KR20210108196A KR 20210108196 A KR20210108196 A KR 20210108196A KR 1020200023103 A KR1020200023103 A KR 1020200023103A KR 20200023103 A KR20200023103 A KR 20200023103A KR 20210108196 A KR20210108196 A KR 20210108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ignal
band
analog
signal
conve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선
심준형
문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102020002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196A/ko
Priority to JP2022549634A priority patent/JP7446452B2/ja
Priority to PCT/KR2021/001771 priority patent/WO2021172796A1/ko
Priority to CN202180014605.4A priority patent/CN115104261A/zh
Priority to EP21761276.1A priority patent/EP4113850A4/en
Publication of KR2021010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196A/ko
Priority to US17/895,034 priority patent/US2022041682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providing a predistortion of the signal in the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rrection in the receiver, e.g. for improving the signal/noise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2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linearisation using pre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33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linearisation using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멀티 밴드 송신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로서, 제1밴드 신호를 전치 왜곡(pre-distortion)하는 제1DPD(digital pre-distortion)와, 상기 제1밴드 신호에 불연속하는 제2밴드 신호를 전치 왜곡하는 제2DPD를 포함하는 전치 왜곡부; 상기 전치 왜곡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전치 왜곡된 제2밴드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제1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제1PA(power amplifier)와,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제2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제2PA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제1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1DPD에 피드백하고, 상기 증폭된 제2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2DPD에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치 왜곡부는, 상기 피드백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피드백된 제2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전치 왜곡을 수행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밴드 송신기{MULTI BAND TRANSMITTE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들에 대한 전치 왜곡,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증폭 등을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기는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 영역 또는 지역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2G, 3G, 4G, 5G NR 등과 같이 다양한 대역의 신호들(멀티 밴드 신호)이 이용되고 있고, 이에 발맞추어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송신기(멀티 밴드 송신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멀티 밴드 송신기에 대한 일 예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FA(frequency allocation)1과 FA2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 할당된 대역의 신호들(멀티 밴드 신호)을 나타낸다. FA1과 FA2는 같은 사업자에게 할당된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이거나, 다른 사업자들 각각에게 할당된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먼저, 멀티 밴드 신호는 수치 제어 발진기(numerically controlled oscillator, NCO1, NCO2) 및 가산기를 통해 합성되어 전치 왜곡기(digital pre-distortion, DPD)로 입력된다.
DPD에 입력된 멀티 밴드 신호는 DPD에 의해 왜곡되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에 입력되고, DAC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멀티 밴드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up-converter, 미도시)를 통해 RF(ratio frequency)로 주파수 변환되고, PA에서 증폭되어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된다. Isolator는 안테나로부터 유입되는 역방향 신호가 PA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PA의 파손 방지 또는 상호-변조(inter-modulation)를 방지한다.
PA는 비선형 소자이므로 입력이 증가하는 경우에 증폭된 출력에 비선형 구간이 발생하는 비선형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 비선형 구간이 송신기의 출력에 이용되며, 비선형 구간을 출력에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송신기는 물론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치 왜곡(pre-distortion) 기법이 활용된다.
PA에서 증폭된 멀티 밴드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down-converter, 미도시)를 통해 기저대역(baseband) 신호로 주파수 변환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를 통해 DPD로 피드백된다.
DPD는 '입력된 멀티 밴드 신호'와 '피드백된 멀티 밴드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PA의 비선형 특성과 반대가 되도록 '입력된 멀티 밴드 신호'를 미리 왜곡시켜 출력함으로써, PA의 비선형 문제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한편, DPD는 '피드백된 멀티 밴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호 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 IMD) 성분을 파악하기 위해, '피드백된 멀티 밴드 신호' 대역폭의 3배 내지 5배 정도의 대역폭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멀티 밴드 신호들이 불연속적이면서 멀티 밴드 신호들 간의 대역폭이 증가(광대역 신호)할 경우에는 DPD가 신호 처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신호에 대한 처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는 DPD 뿐만 아니라 PA, Isolator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DPD가 처리해야 할 멀티 밴드 신호(FA1 및 FA2)가 서로 불연속적이며 FA1과 FA2 간의 대역폭이 400MHz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DPD 등은 최소 3배(1.2GHz)의 대역폭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 데, 이러한 큰 대역폭(광대역)에 대한 신호 처리는 현재 상용화된 DPD 등의 능력을 초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 밴드 신호들을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처리함으로써, 불연속적인 광대역 신호를 원활히 처리할 수 있는 송신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로서, 제1밴드 신호를 전치 왜곡(pre-distortion)하는 제1DPD(digital pre-distortion)와, 상기 제1밴드 신호에 불연속하는 제2밴드 신호를 전치 왜곡하는 제2DPD를 포함하는 전치 왜곡부; 상기 전치 왜곡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전치 왜곡된 제2밴드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제1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제1PA(power amplifier)와,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제2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제2PA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제1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1DPD에 피드백하고, 상기 증폭된 제2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2DPD에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치 왜곡부는, 상기 피드백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피드백된 제2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전치 왜곡을 수행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대역의 멀티 밴드 신호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대역의 멀티 밴드 신호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양화에 더욱 부합되는 송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송신기의 내부 구성을 감소시킬 수 있어, 송신기 자체의 사이즈 감소 및 제작의 용이성 또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멀티 밴드 송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송신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밴드 송신기에서 처리되는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송신기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송신기의 또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 밴드 송신기(300)는 광대역 신호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 밴드 송신기(300)는 전치 왜곡부(310), 변환부(320), 증폭부(330) 및 피드백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멀티 밴드 송신기(300)는 Isolator(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이에 더하여 주파수 변환기(up-converter 및 down-converter,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멀티 밴드 신호가 전치 왜곡부(310)로 입력될 수 있다. 멀티 밴드 신호는 둘 이상의 밴드 신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송신기(300)를 통해 처리되는 멀티 밴드 신호를 제1밴드 신호(FA1) 및 제2밴드 신호(FA2)로 가정하며, FA1 및 FA2는 서로 불연속하는 광대역 신호일 수 있다.
전치 왜곡부(310)는 멀티 밴드 신호를 전치 왜곡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전치 왜곡부(310)는 제1DPD(DPD1, 312) 및 제2DPD(DPD2, 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PD1(312)은 FA1을 전치 왜곡하고, DPD2(314)는 FA2를 전치 왜곡할 수 있다. DPD1(312) 및 DPD2(314)는 피드백부(350)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FA1 및 FA2를 전치 왜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치 왜곡부(310)는 FA1을 전치 왜곡하는 구성(DPD1)과, FA2를 전치 왜곡하는 구성(DPD2)을 별도의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치 왜곡부(310)는 서로 다른 경로(서로 다른 구성)를 통하여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FA1 및 FA2는 서로 다른 구성을 통해 전치 왜곡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FA1 및 FA2 간의 대역폭이 400MHz인 경우에(광대역), FA1에 대한 대역(좌측 300MHz)과 FA2에 대한 대역(우측 300MHz)은 서로 나뉘어 전치 왜곡될 수 있으며, 각각의 대역은 하나의 DPD로 처리할 수 있는 대역폭(300MHz)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에 대한 처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없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전치 왜곡된 멀티 밴드 신호는 변환부(320)로 입력된다. 변환부(320)는 전치 왜곡된 FA1을 아날로그로 변환하고, 전치 왜곡된 FA2를 아날로그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32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후술하도록 한다.
아날로그 변환된 FA1 및 아날로그 변환된 FA2가 증폭부(330)로 입력된다. 이 과정에서, 아날로그 변환된 FA1 및 아날로그 변환된 FA2는 주파수 변환기(미도시)를 통해 주파수가 RF로 상향 변환될 수 있다.
증폭부(330)는 멀티 밴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증폭부(330)는 제1PA(PA1, 332) 및 제2PA(PA2, 3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A1(332)은 아날로그 변환된(주파수 상향 변환된) FA1을 증폭하고, PA2(334)는 아날로그 변환된(주파수 상향 변환된) FA2를 증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폭부(330)는 FA1을 증폭하는 구성(PA1)과, FA2를 증폭하는 구성(PA2)을 별도의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증폭부(330)는 서로 다른 경로(서로 다른 구성)를 통하여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FA1 및 FA2는 서로 다른 구성을 통해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를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증폭된 멀티 밴드 신호는 Isolator(340)로 입력된다. Isolator(340)는 증폭된 멀티 밴드 신호가 안테나(ANT)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Isolator(340)는 역방향 신호가 멀티 밴드 송신기(300)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Isolator(340)는 서큘레이터(circulato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증폭된 멀티 밴드 신호는 피드백부(350)로 입력된다. 이 과정에서, 증폭된 멀티 밴드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미도시)를 통해 주파수가 베이스밴드로 하향 변환될 수 있다.
피드백부(350)는 증폭된(주파수 하향 변환된) FA1을 디지털로 변환하고, 증폭된(주파수 하향 변환된) FA2를 디지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부(350)는 디지털로 변환된 FA1을 DPD1(312)로 피드백하고, 디지털로 변환된 FA2를 DPD2(314)로 피드백할 수 있다. 전치 왜곡부(310)는 피드백된 FA1 및 피드백된 FA2를 이용하여 입력된 FA1 및 입력된 FA2를 전치 왜곡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변환부(320)와 피드백부(350)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멀티 밴드 신호 각각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실시예 1은 변환부(320)에 대한 실시예와 피드백부(350)에 대한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 1-1: 변환부(320)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부(320)는 제1DAC(DAC1, 522) 및 제2DAC(DAC2, 5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PD1(312)은 전치 왜곡된 FA1을 DAC1(522)로 전송할 수 있으며, DPD2(314)는 전치 왜곡된 FA2를 DAC2(524)로 전송할 수 있다.
DAC1(522)은 DPD1(312)에서 전치 왜곡된 FA1을 아날로그로 변환하고, DAC2(524)는 DPD2(314)에서 전치 왜곡된 FA2를 아날로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FA1 및 FA2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아날로그로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환부(320)는 FA1을 변환하는 구성(DAC1)과, FA2를 변환하는 구성(DAC2)을 별도의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변환부(320)는 서로 다른 경로(서로 다른 구성)를 통하여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FA1 및 FA2는 서로 다른 구성을 통해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를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DAC1(522)은 아날로그 변환된 FA1을 PA1(332)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DAC2(524)는 아날로그 변환된 FA2를 PA2(334)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 2-2: 피드백부(350)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드백부(350)는 제1ADC(ADC1, 554) 및 제2ADC(ADC2, 5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A1(332)에서 증폭된 FA1은 ADC1(554)로 입력되며, PA2(334)에서 증폭된 FA2는 ADC2(552)로 입력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주파수 변환기(미도시)를 통해, 증폭된 FA1의 주파수가 베이스밴드로 하향 변환될 수 있으며, 증폭된 FA2의 주파수도 베이스밴드로 하향 변환될 수 있다.
ADC1(554)은 증폭된(주파수 하향 변환된) FA1을 디지털로 변환하고, ADC2(552)는 증폭된(주파수 하향 변환된) FA2를 디지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ADC1(554)은 디지털 변환된 FA1을 DPD1(312)로 피드백할 수 있으며, ADC2(552)는 디지털 변환된 FA2를 DPD2(314)로 피드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부(350)는 FA1을 변환하여 피드백하는 구성(ADC1)과, FA2를 변환하여 피드백하는 구성(ADC2)을 별도의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피드백부(350)는 서로 다른 경로(서로 다른 구성)를 통하여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FA1 및 FA2는 서로 다른 구성을 통해 변환 및 피드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를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변환부(320)와 피드백부(350)의 내부 구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고성능 DAC 및 ADC(광대역 DAC 및 광대역 ADC)는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하나의 경로를 통해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변환부(320)와, 하나의 경로를 통해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피드백부(350)를 제안한다. 하나의 경로를 통해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하면, 멀티 밴드 송신기(300) 자체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제작의 용이성 또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는 변환부(320)에 대한 실시예와 피드백부(350)에 대한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 2-1: 변환부(320)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부(320)는 믹서(mixer)(621, 622, 623), DAC(624) 및 필터부(626, 6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믹서(621, 622, 623)는 DPD1(312)에서 전치 왜곡된 FA1과 DPD2(314)에서 전치 왜곡된 FA2를 결합 또는 합성하여 결합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믹서(621, 622, 623)는 FA1 및 FA2를 결합함으로써, 아날로그 변환을 위한 하나의 경로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믹서(621, 622, 623)는 제1업컨버전부(NCO1, 621), 제2업컨버전부(NCO2, 622) 및, 가산기(6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CO1(621)은 전치 왜곡된 FA1의 주파수를 업컨버전(up-conversion)하고, NCO2(622)는 전치 왜곡된 FA2의 주파수를 업컨버전할 수 있다. 가산기(623)는 업컨버전된 FA1 및 업컨버전된 FA2를 가산하여 결합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DAC(624)는 믹서(621, 622, 623)로부터 출력되는 결합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변환부(320)는 광대역 멀티 밴드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하나의 광대역 DAC(624)를 이용하여, 멀티 밴드 신호(FA1 및 FA2)를 변환할 수 있다.
필터부(626, 628)는 아날로그 변환된 결합신호로부터, 아날로그 변환된 FA1 및 아날로그 변환된 FA2 각각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부(626, 628)는 제1필터부(626) 및 제2필터부(6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필터부(626)는 아날로그 변환된 결합신호로부터 아날로그 변환된 FA1을 필터링 또는 분리하고, 제2필터부(626)는 아날로그 변환된 결합신호로부터 아날로그 변환된 FA2를 필터링 또는 분리할 수 있다.
필터링된 FA1은 PA1(332)으로 입력되어 증폭되며, 필터링된 FA2는 PA2(334)로 입력되어 증폭될 수 있다.
실시예 2-1: 피드백부(350)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드백부(350)는 디지털 변환부(652, 654), 제3다운컨버터부(NCO3, 658) 및, 제4다운컨버터부(NCO4, 6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변환부(652, 654)는 PA1(332)에서 증폭된 FA1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PA2(334)에서 증폭된 FA2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변환부(652, 654)는 증폭된 FA1 및 증폭된 FA2 중에서 어느 하나를 디지털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변환부(652, 654)는 멀티 밴드 신호의 디지털 변환을 위한 하나의 경로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변환부(652, 654)는 스위치(S/W, 652) 및 ADC(6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652)는 증폭된 FA1 및 증폭된 FA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ADC(654)는 스위치(652)에서 선택된 신호(증폭된 FA1 또는 증폭된 FA2)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NCO3(658)은 디지털 변환된 FA1의 주파수를 다운컨버전(down-conversion)하여 DPD1(312)로 피드백할 수 있다. NCO4(656)은 디지털 변환된 FA2의 주파수를 다운컨버전하여 DPD2(314)로 피드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멀티 밴드 송신기 310: 전치 왜곡부
330: 증폭부 340: Isolator
623: 가산기 626, 628: 필터부

Claims (7)

  1. 멀티 밴드 신호를 송신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로서,
    제1밴드 신호를 전치 왜곡(pre-distortion)하는 제1DPD(digital pre-distortion)와, 상기 제1밴드 신호에 불연속하는 제2밴드 신호를 전치 왜곡하는 제2DPD를 포함하는 전치 왜곡부;
    상기 전치 왜곡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전치 왜곡된 제2밴드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제1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제1PA(power amplifier)와,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제2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제2PA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제1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1DPD에 피드백하고, 상기 증폭된 제2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2DPD에 피드백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치 왜곡부는,
    상기 피드백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피드백된 제2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전치 왜곡을 수행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전치 왜곡된 제1밴드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제1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상기 전치 왜곡된 제2밴드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제2DAC를 포함하는, 다중 밴드 송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전치 왜곡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전치 왜곡된 제2밴드 신호를 결합하여 결합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상기 결합신호를 아날로그 변환하는 DAC; 및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결합신호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아날로그 변환된 제2밴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는,
    상기 전치 왜곡된 제1밴드 신호의 주파수를 업컨버전(up-conversion)하는 제1업컨버전부;
    상기 전치 왜곡된 제2밴드 신호의 주파수를 업컨버전하는 제2업컨버전부; 및
    상기 업컨버전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업컨버전된 제2밴드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결합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증폭된 제1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1DPD에 피드백하는 제1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및
    상기 증폭된 제2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2DPD에 피드백하는 제2ADC를 포함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증폭된 제1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거나, 상기 증폭된 제2밴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부;
    상기 디지털 변환된 제1밴드 신호의 주파수를 다운컨버전(down-conversion)하여, 상기 제1DPD에 피드백하는 제3다운컨버전부; 및
    상기 디지털 변환된 제2밴드 신호의 주파수를 다운컨버전하여, 상기 제2DPD에 피드백하는 제4다운컨버전부를 포함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부는,
    상기 증폭된 제1밴드 신호 및 상기 증폭된 제2밴드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서 선택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ADC를 포함하는, 멀티 밴드 송신기.
KR1020200023103A 2020-02-25 2020-02-25 멀티 밴드 송신기 KR20210108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03A KR20210108196A (ko) 2020-02-25 2020-02-25 멀티 밴드 송신기
JP2022549634A JP7446452B2 (ja) 2020-02-25 2021-02-10 マルチバンド送信機
PCT/KR2021/001771 WO2021172796A1 (ko) 2020-02-25 2021-02-10 멀티 밴드 송신기
CN202180014605.4A CN115104261A (zh) 2020-02-25 2021-02-10 多频带发射器
EP21761276.1A EP4113850A4 (en) 2020-02-25 2021-02-10 MULTI-BAND TRANSMITTER
US17/895,034 US20220416826A1 (en) 2020-02-25 2022-08-24 Multi-band trans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03A KR20210108196A (ko) 2020-02-25 2020-02-25 멀티 밴드 송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196A true KR20210108196A (ko) 2021-09-02

Family

ID=7749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103A KR20210108196A (ko) 2020-02-25 2020-02-25 멀티 밴드 송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16826A1 (ko)
EP (1) EP4113850A4 (ko)
JP (1) JP7446452B2 (ko)
KR (1) KR20210108196A (ko)
CN (1) CN115104261A (ko)
WO (1) WO20211727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3262A1 (en) * 2020-11-02 2022-05-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 radio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41317B (zh) * 2009-11-26 2011-12-28 北京北方烽火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预失真线性宽带射频功率放大器装置
US8351877B2 (en) * 2010-12-21 2013-01-08 Dali Systems Co. Ltfd. Multi-band wideband power amplifier digital predistorition system and method
KR102024485B1 (ko) * 2010-11-18 2019-09-2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프로그램 가능한 디지털 업 및 다운 변환을 사용하는 방법 및 주파수 가변 사전-왜곡된 송신기
US8576943B2 (en) * 2011-09-09 2013-11-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inearization for a single power amplifier in a multi-band transmitter
US8817859B2 (en) * 2011-10-14 2014-08-26 Fadhel Ghannouchi Digital multi-band predistortion linearizer with nonlinear subsampling algorithm in the feedback loop
WO2013118367A1 (ja) 2012-02-09 2013-08-15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機および送信方法
US8948301B2 (en) * 2013-05-24 2015-0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band radio-frequency digital predistortion
US9608676B2 (en) * 2013-07-12 2017-03-28 Analog Devices Global Digital pre-distortion systems in transmitters
CN106537862A (zh) * 2014-04-30 2017-03-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预失真系统和方法
WO2016151518A1 (en) * 2015-03-26 2016-09-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band predistortion using time-shared adaptation loop
CN104901638B (zh) * 2015-06-03 2018-01-09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多通道数字预失真dpd功放系统
CN106685868B (zh) * 2017-01-03 2020-09-08 电子科技大学 一种相邻多频带数字预失真系统与方法
CN109428610B (zh) * 2017-08-29 2020-10-16 华为技术有限公司 反馈电路单元、rof无线发射机及消除非线性失真的方法
KR102255390B1 (ko) 2018-08-24 2021-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배향막, 액정 배향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6452B2 (ja) 2024-03-08
CN115104261A (zh) 2022-09-23
EP4113850A4 (en) 2024-03-06
EP4113850A1 (en) 2023-01-04
WO2021172796A1 (ko) 2021-09-02
US20220416826A1 (en) 2022-12-29
JP2023515037A (ja)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0410B2 (en) Multi-band power amplifier digital predistortion system and method
CN101534133B (zh) 一种无线收发信机
US10623049B2 (en) Digital predistor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9130628B1 (en) Digital pre-distorter
CA282189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predistortion in a dual band transmitter
US88906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nd-limited adaptation for PA linearization
US8355682B2 (en) Radio transmitter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combined signal
JP5337249B2 (ja) 送信装置における雑音を抑圧するための技術
US20110235749A1 (en) Active antenna array having analogue transmitter linearisation and a method for predistortion of radio signals
EP2847867B1 (en) Radio communication transmitter apparatus and method
US20220416826A1 (en) Multi-band transmitter
CN101272155A (zh) 时分双工模式数字预失真功放装置
JP6705918B2 (ja) 無線機及び無線通信方法
US8750210B2 (en) Wireless long term evolution radio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KR20090097295A (ko) 디지털 전치왜곡 방식을 이용한 tdd 무선통신 시스템 및그 방법
EP2161841B1 (en) Predistortion of a radio frequency signal
US7439895B1 (en) Linear amplifier using digital feedforward
CN101316250A (zh) 多天线系统的数字预失真装置和方法
KR100548406B1 (ko) Gsm/td-scdma 이중모드 단말기의 송신장치
EP2333968B1 (en) Transmitter arrangement for fragmented spectrum RF signals
CN112953409A (zh) 一种适用于5g宽带mimo系统的dpd装置及方法
KR101436926B1 (ko) 전력증폭기용 동시 이중대역 디지털 전치왜곡 장치 및 그 방법
EP4315601A1 (en) Method and 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termodulaton component suppression in a transmitter system with digital predistortion and feedforward linearization
CN117941326A (zh) 一种频率预失真装置和频率预失真方法
CN114338312A (zh) 用于线性化传输信号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