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133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133A
KR20210108133A KR1020200022975A KR20200022975A KR20210108133A KR 20210108133 A KR20210108133 A KR 20210108133A KR 1020200022975 A KR1020200022975 A KR 1020200022975A KR 20200022975 A KR20200022975 A KR 20200022975A KR 20210108133 A KR20210108133 A KR 20210108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mmunication
filtration
guid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309B1 (ko
Inventor
현기탁
허종욱
어수한
이상철
황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309B1/ko
Priority to EP20920826.3A priority patent/EP4069048A1/en
Priority to CN202080097100.4A priority patent/CN115135212B/zh
Priority to PCT/KR2020/005345 priority patent/WO2021172655A1/en
Priority to AU2020432829A priority patent/AU2020432829B2/en
Priority to TW109113898A priority patent/TWI764136B/zh
Priority to US16/861,913 priority patent/US11419469B2/en
Publication of KR2021010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9Emptying means; Reusable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내부가 비어있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하우징 격벽; 상기 하우징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 관통홀; 상기 제2공간에 연통하는 상부면과 장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격벽 관통홀에 고정된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되 상기 바닥면의 제1영역에 위치된 제1연통부, 및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되 상기 제1영역과 구분된 제2영역에 형성된 제2연통부가 구비된 장착부; 상기 제1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흡기부; 상기 제2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기부;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연통부들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부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장착공간에 위치하는 컵 형상의 필터 바디; 상기 필터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1여과면; 및 상기 필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을 상기 제1영역이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영역이 위치된 공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제2연통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2여과면;을 포함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기 {Cleaning Appliance}
본 출원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실내를 청소하는 장치이다. 종래 청소기는 흡입부 및 배기부가 구비된 하우징, 흡입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배기부로 이동시키는 팬, 팬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와 상기 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분리부를 통과한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및 하우징에 구비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종래 청소기의 경우,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대부분은 상기 분리부를 거치면서 공기에서 분리된 뒤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저장되고, 상기 분리부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를 통과할 때 공기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이물질의 저장공간의 부피가 크면 클수록 청소기의 여과 용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여과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양이 많으면 여과부가 팬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유로 저항이 될 것이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부피보다 상기 여과부의 여과 용량이 청소기 전체의 여과 용량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본 출원은 제한된 부피를 가진 장착공간에 설치되는 필터의 여과 용량을 극대화 가능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필터의 청소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된 하우징;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결하는 격벽 관통홀에 구비된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되 상기 바닥면의 제1영역에 위치된 제1연통부;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되 상기 제1영역과 구분된 제2영역에 형성된 제2연통부가 구비된 장착부;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연통부들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부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팬; 상기 장착공간에 위치하는 컵 형상의 필터 바디; 상기 필터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1여과면; 및 상기 필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을 상기 제1영역이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영역이 위치된 공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제2연통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2여과면;을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2연통부는 제1연통홀, 제2연통홀, 및 제3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여과면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1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1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1챔버 형성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2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2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2챔버 형성부; 및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3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3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3챔버 형성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제1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가이드; 상기 제2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3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3가이드;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2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3연통홀은 상기 제3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내부가 비어있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하우징 격벽; 상기 하우징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 관통홀; 상기 제2공간에 연통하는 상부면과 장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격벽 관통홀에 고정된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되 상기 바닥면의 제1영역에 위치된 제1연통부, 및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되 상기 제1영역과 구분된 제2영역에 형성된 제2연통부가 구비된 장착부; 상기 제1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흡기부; 상기 제2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기부;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연통부들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부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부로 이동시키는 팬;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팬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여과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위치하는 컵 형상의 필터 바디; 상기 필터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1여과면; 및 상기 필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을 상기 제1영역이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영역이 위치된 공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제2연통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2여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바닥면의 중심이 포함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을 감싸는 링 형상의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부는 적어도 두 개의 연통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여과면은 상기 필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연통홀의 수와 동일한 수의 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챔버 형성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여과챔버들은 서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챔버 형성부는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각 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통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연통홀들은 상기 가이드에 의해 분리되는 두 개의 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부는 제1연통홀, 제2연통홀, 및 제3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여과면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1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1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1챔버 형성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2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2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2챔버 형성부; 및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3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3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3챔버 형성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제1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가이드; 상기 제2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3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3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2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3연통홀은 상기 제3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부는 제4연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여과면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4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4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4챔버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여과챔버는 상기 제1여과챔버, 상기 제2여과챔버, 및 상기 제3여과챔버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제1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가이드; 상기 제2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3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4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2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3연통홀은 상기 제3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4연통홀은 상기 제4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될 수있다.
상기 제2연통부는 제5연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여과면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5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5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5챔버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여과챔버는 상기 제1여과챔버, 상기 제2여과챔버, 상기 제3여과챔버, 및 상기 제4여과챔버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상기 제1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가이드; 상기 제2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3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3가이드; 상기 제4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4가이드; 및 상기 제5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5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2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3연통홀은 상기 제3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4연통홀은 상기 제4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5연통홀은 상기 제5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내부가 비어있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하우징 격벽; 상기 하우징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 관통홀; 장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격벽 관통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장착바디 및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부가 구비된 장착부; 상기 제1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흡기부; 상기 제2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기부;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연통부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부로 이동시키는 팬; 및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팬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상기 청소기는 상기 장착바디를 상기 하우징 격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바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체결부는 상기 장착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 및 상기 하우징 격벽에 구비되어 상기 격벽 관통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돌기 체결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제한된 부피를 가진 장착공간에 설치되는 필터의 여과 용량을 극대화 가능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필터의 청소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청소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청소기에 구비된 분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장착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도7,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은 여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하우징에서 장착부, 제1필터, 및 분리부를 인출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청소기(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청소기(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에 구비된 흡기부(11) 및 배기부(153), 상기 하우징(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부(11)에서 상기 배기부(153)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5), 상기 흡기부(1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팬(5)으로 안내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분리부(4),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에 구비된 핸들(6)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6)은 상기 하우징(1)의 원주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흡입부(11)가 위치된 지점과 대칭되는 지점(180도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제1공간, S1)과 하우징의 상부공간(제2공간, S2)으로 구분하는 하우징 격벽(19)이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 격벽(19)에는 상기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연통시키는 격벽 관통홀(S3)이 구비된다.
상기 흡기부(11)는 상기 하우징(1)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외기를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입시킨다. 상기 흡기부(11)는 상기 하우징(1)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흡기구(113), 상기 흡기구(113)에서 상기 하우징(1)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핸들에서 멀어지는 방향, Y축 방향)을 향해 연장된 흡기관(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 청소기는 상기 흡기관(11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연장관, 상기 연장관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이물질을 상기 연장관으로 이동시키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153)는 상기 하우징(1)의 상부면 또는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공간(S2) 내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하는데, 도 2는 상기 배기부(153)가 상기 하우징(1)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의 상부면에는 하우징 관통홀(14, 도 1 참고)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관통홀(14)은 상부커버(151)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팬(5)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제2필터(F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상부커버(151)를 상기 하우징 관통홀(14)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2필터(F2)를 하우징(1)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51)는 상기 하우징 관통홀(1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기부(153)는 상기 상부커버(151)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의 바닥면(배기부가 위치된 면과 반대방향에 위치된 제1하우징의 일면)에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우징 배출구(17, 도 1 참고)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 배출구(17)는 하부커버(18)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하부커버(18)는 상기 하우징(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격벽 관통홀(S3)에는 장착부(2)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2)는 후술할 제1필터(F1)가 장착되는 장착공간(211)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상기 장착부(2)는 상기 하우징 격벽(19)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격벽 관통홀(S3)에 위치하는 장착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장착바디(21)가 내부에 장착공간(211)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바디(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장착공간(211)과 상기 제2공간(S2)을 연통시키는 상부면 관통홀(213)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23)에는 상기 장착공간(211)을 상기 제1공간(S1)에 연통시키는 제1연통부(25) 및 제2연통부(26)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23)은 상기 바닥면의 중심이 포함된 제1영역(231) 및 상기 제1영역을 감싸는 링 형상의 제2영역(233)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제1연통부(25)는 상기 제1영역(231)에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부(233)는 상기 제2영역(233)에 구비된다.
상기 제1연통부(25)는 상기 바닥면(23)을 관통하는 하나의 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영역(231)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연통부(25)는 상기 제2영역(233)에 위치하는 하나의 홀 또는 다수의 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바디(21)는 바디 체결부(27)를 통해 상기 하우징 격벽(1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체결부(27)는 상기 장착바디(21)의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271), 및 상기 하우징 격벽(19)에 구비되어 상기 격벽 관통홀(S3)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돌기(27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돌기 체결홈(23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4)는 상기 장착바디(21)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하부커버(18)로 하우징 배출구(17)를 개방한 뒤 상기 분리부(4)를 상기 하우징 배출구(17)로 당기면, 상기 장착바디(21) 및 상기 제1필터(F1)는 상기 분리부(4)와 함께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팬(5)은 상기 제2공간(S2)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부(25), 제2연통부(26) 및 상부면 관통홀(213)을 통해 상기 제1공간(S1)의 공기를 상기 배기부(153)로 이동시키는 수단이고, 상기 분리부(4)는 상기 제1공간(S1)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1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두 연통부(25, 26)로 안내하는 유로이다.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상기 분리부(4)가 제공하는 유로를 따라 상기 팬(5)으로 이동하는 동안 원심력에 의해 공기에서 분리되는데, 그 구체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분리부(4)는 상기 제1공간(S1)을 제1분리챔버(41a)와 제2분리챔버(41b)로 구분하는 챔버형성부(41), 상기 제2분리챔버(41b) 내부의 공기를 상기 팬(5)으로 공급하는 싸이클론 형성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싸이클론 형성부(42)는 상기 팬(5)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챔버형성부(41)는 내부가 비어있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커버(18)에 접촉하는 분리챔버 바디(411), 상기 분리챔버 바디 내부에 형성된 제2분리챔버(41b)를 분리공간(418)과 저장공간(419)로 구분하는 분리챔버 격벽(41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챔버 바디(411)에는 상기 제1분리챔버(41a)와 분리공간(418)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41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부(11)를 통해 제1분리챔버(41a)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관통홀(413)을 통해 상기 분리공간(418)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8)에 접촉하는 상기 분리챔버 바디(411)의 바닥면에는 배출구(41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공간(419)에 저장된 이물질은 상기 하부커버(18)가 상기 하우징 배출구(17)를 개방한 때 상기 배출구(415)를 통해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싸이클론 형성부(42)는 일단은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분리챔버 격벽(417)을 관통하여 상기 저장공간(419)에 연통하는 유로바디(421), 일단은 상기 장착공간(2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로바디(421) 내부에 위치하는 배출관(424), 상기 유로바디(421)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입구(423), 상기 배출관(424)의 외측 원주면과 상기 유로바디의 내측 원주면 사이에 나선형 유로를 형성하는 기류형성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부(25) 및 상기 제2연통부(26)는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23)을 관통하는 연통홀들로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관(424)은 각각의 상기 연통홀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바디(421)는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23)에 고정되어 각각의 상기 연통홀들을 감싸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공간(419)에 위치하는 상기 유로바디(421)의 자유단(유로바디의 바닥면)에는 이물질 배출구(4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바디(421)는 상기 이물질 배출구(422)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419)에 연통한다. 상기 유로바디(421)는 자유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에 형성되는 기류의 세기를 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입구(423)는 상기 기류형성부(425)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팬(5)의 작동 시 상기 유입구(423)를 통해 유로바디(421)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기류형성부(425)를 거쳐 상기 배출관(424)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공기는 상기 유로바디(421) 내부에서 회전하는 유동(싸이클론 유동)을 하게 될 것이다.
상기 유로바디(421) 내부에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유로의 가장자리(유로바디의 원주면)으로 이동한 뒤 중력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419)으로 배출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싸이클론 형성부(42)는 상기 제1연통부(25)의 연통홀에 연결된 제1싸이클론 형성부, 상기 제2연통부(26)의 연통홀에 연결된 제2싸이클론 형성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싸이클론 형성부는 상기 제1연통부(25)를 구성하는 연통홀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2싸이클론 형성부는 상기 제2연통부(26)를 구성하는 연통홀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5)은 상기 하우징의 제2공간(S2)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부(25) 및 상기 제2연통부(26)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부(153)로 이동시킨다.
상기 팬(5)은 상기 제2공간(S2)에 구비되는 케이스(51),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57),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57)를 회전시키는 모터(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는 내부가 비어있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51)에는 케이스 흡입구(511) 및 케이스 배기구(513)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흡입구(511)는 상기 장착공간(211)에 삽입된 상기 케이스(51)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배기구(513)는 상기 배기부(153)를 향하는 상기 케이스(51)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54)는 상기 케이스(51)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부(515)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 배기구(513)는 상기 지지부(515)를 관통하는 지지부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57)는 상기 케이스 흡입구(511)와 상기 케이스 배기구(513)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541)은 상기 지지부(515)를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57)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54)는 실내에 구비된 전원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1)에 착탈 가능한 배터리(6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핸들(6)이 상기 하우징(1)의 후방면(흡기부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된 면)에서 상기 흡기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핸들바디(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핸들바디(61)에는 상기 배터리(65)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배터리 하우징(6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부(4)를 통해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의 여과를 위해, 본 발명은 여과부(F1, F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제1필터(F1)와 제2필터(F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여과부가 제1필터(F1)와 제2필터(F2)가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필터(F1)는 상기 케이스 흡입구(511)와 상기 장착바디 바닥면(23)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F2)는 상기 케이스 배기구(513)와 상기 배기부(153)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F1)와 제2필터(F2)는 동일한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크기의 이물질을 연과 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제2필터(F2)가 제1필터(F1)가 여과하는 이물질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4)에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임펠러(57)가 회전하면, 공기는 상기 흡기관(111) 및 흡기구(113)을 통해 제1분리챔버(41a)로 유입된다. 상기 흡기관(111)에는 상기 흡기구(113)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1분리챔버(41a)의 원주면 접선방향으로 유입되게 하는 하우징 가이드(11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분리챔버(41a)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분리챔버(41a)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될 것이다.
공기가 제1분리챔버(41a) 내부에서 회전하면, 공기 중의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제1분리챔버(41a)의 원주면으로 이동한 뒤 중력에 의해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된 하부커버(18)로 이동하고, 공기는 관통홀(413)을 통해 제2분리챔버(41b)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제2분리챔버(41b)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유입구(423)를 통해 유로바디(421)로 이동하고, 상기 유로바디(42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기류형성부(42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싸이클론 유동을 하게 될 것이다. 상기 유로바디(421) 내부에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유로바디(421)의 원주면으로 이동한 뒤 중력에 의해 저장공간(419)으로 배출되고, 공기는 상기 배출관(424), 제1연통홀(25), 제2연통홀(26), 상부면 관통홀(213), 케이스 흡입구(511), 케이스 배기구(513), 및 배기부(153)를 거쳐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저장공간(419)과 제1분리챔버(41a)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은 상기 하부커버(18)가 상기 하우징 배출구(17)를 개방한 때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청소기(100)는 상기 제1필터(F1)의 부피가 상기 장착공간(211)의 부피에 제한되기 때문에, 제1필터(F1)의 여과 용량은 장착공간(211)의 부피에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청소기(100)는 상기 제1필터(F1)가 제공하는 여과면들 중 장착바디의 바닥면(23)을 향하는 여과면(제1연통부와 제2연통부가 위치된 여과면)만이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제1필터(F1) 중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23)을 향하지 않는 여과면들은 이물질을 공기에서 분리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제1필터(F1)의 다른 여과면이 이물질의 여과가 가능한 상태라고 해도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23)을 향하는 여과면에 이물질이 많이 쌓인 경우라면, 상기 제1필터(F1)가 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도 5는 모든 여과면들이 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여과 용량을 극대화 가능한 제1필터(F1)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필터(F1)는 상기 장착공간(211)에 위치하는 컵 형상(상부면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의 필터 바디(81), 상기 필터 바디(8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부(25)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1여과면(83), 및 상기 필터 바디(81)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통부(26)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2여과면(8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여과면(85)은 상기 장착공간(211)을 상기 제1연통부(25)가 형성된 공간(제1영역이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연통부(26)가 형성된 공간(제2영역이 위치된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여과면(85)에는 상기 필터 바디(81)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211) 내부에 상기 제1연통부(25)와 제2연통부(26)를 형성하는 연통홀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여과챔버를 형성하는 다수의 챔버 형성부(851, 853, 855, 857, 859)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통부(26)가 제1연통홀(261), 제2연통홀(263), 및 제3연통홀(265)로 구비될 경우, 상기 챔버 형성부는 제1챔버 형성부(851), 제2챔버 형성부(853), 및 제3챔버 형성부(8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형성부(851), 상기 제2챔버 형성부(853), 및 상기 제3챔버 형성부(855)는 상기 제2여과면(필터 바디의 측면, 85)에서 상기 필터 바디(81)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형성부(851)는 상기 장착공간(211) 내부에 상기 제1연통홀(261)에만 연통하는 제1여과챔버(C1)를 형성하고, 상기 제2챔버 형성부(853)는 상기 장착공간(211) 내부에 상기 제2연통홀(263)에만 연통하는 제2여과챔버(C2)를 형성하며, 상기 제3챔버 형성부(855)는 상기 장착공간(211) 내부에 상기 제3연통홀(265)에만 연통하는 제3여과챔버(C3)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챔버 형성부들(851, 853, 855)은 상기 제1여과챔버(C1), 제2여과챔버(C2), 및 제3여과챔버(C3)가 서로 독립된 공간이 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통부(25)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1여과면(83)을 거친 뒤 상기 팬(5)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연통부의 제1연통홀(26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여과챔버(C1)를 거친 뒤 상기 팬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연통홀(263)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여과챔버(C2)를 거친 뒤 상기 팬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3연통홀(265)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3여과챔버(C3)를 거친 뒤 상기 팬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필터(F1)는 제1여과면(83) 및 제2여과면(85) 전체가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여과면(85)이 장착바디(2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면(제2여과면에 챔버 형성부들이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제1연통부(25) 및 제2연통부(26)로 유입된 공기는 제1여과면(83)만을 거친 뒤 상기 팬(5)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여과면(85)은 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상술한 제1필터(F1)는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필터(F1)는 제2여과면(85)의 표면적을 극대화 가능하므로, 제한된 부피를 가진 장착공간(211)에 위치하는 필터의 여과 용량을 극대화 가능하다.
도 7 (b)는 상기 제2연통부(26)가 제1연통홀(261), 제2연통홀(263), 제3연통홀(265), 및 제4연통홀(267)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챔버 형성부는 제1챔버 형성부(851), 제2챔버 형성부(853), 제3챔버 형성부(855), 및 제4챔버 형성부(857)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4챔버 형성부(857)는 상기 제2여과면(85)의 표면이 상기 필터 바디(81)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4연통홀(267)에만 연통하는 제4여과챔버(C4)를 형성한다. 상기 제4여과챔버(C4)는 상기 제1여과챔버(C1), 제2여과챔버(C2), 및 제3여과챔버(C3)와는 분리된 독립적 공간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7 (c)는 상기 제2연통부(26)가 제1연통홀(261), 제2연통홀(263), 제3연통홀(265), 제4연통홀(267), 및 제5연통홀(269)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챔버 형성부는 제1챔버 형성부(851), 제2챔버 형성부(853), 제3챔버 형성부(855), 제4챔버 형성부(857), 및 제5챔버 형성부(859)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5챔버 형성부(859)는 상기 제2여과면(85)의 표면이 상기 필터 바디(81)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5연통홀(269)에만 연통하는 제5여과챔버(C5)를 형성한다. 상기 제5여과챔버(C5)는 상기 제1여과챔버(C1), 제2여과챔버(C2), 제3여과챔버(C3), 및 제4여과챔버(C4)와 분리된 독립적 공간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상기 제2연통부(26)를 구성하는 연통홀들이 각각 두 개의 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로 구성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8 (a)는 상기 제2연통부의 제1연통홀(261), 제2연통홀(263), 및 제3연통홀(265)이 각각 두 개의 홀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 (b)는 제1연통홀(261), 제2연통홀(263), 제3연통홀(265), 및 제4연통홀(267)이 각각 두 개의 홀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8 (c)는 제1연통홀(261), 제2연통홀(263), 제3연통홀(265), 제4연통홀(267), 및 제5연통홀(269)이 각각 두 개의 홀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통홀(261)은 제1챔버 제1홀(261a) 및 제1챔버 제2홀(261b)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263)은 제2챔버 제1홀(263a) 및 제2챔버 제2홀(263b)로 구비되며, 상기 제3연통홀(265)은 제3챔버 제1홀(265a) 및 제3챔버 제2홀(265b)로 구비되며, 상기 제4연통홀(267)은 제4챔버 제1홀(267a) 및 제4챔버 제2홀(267b)로 구비되며, 상기 제5연통홀(269)은 제5챔버 제1홀(269a) 및 제5챔버 제2홀(269b)로 구비된다.
상기 장착바디(21)에는 하나의 여과챔버에 구비된 두 개의 챔버 홀들을 서로 구분하는 가이드(281, 283, 285, 287, 28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 (a)는 상기 가이드가 상기 제1여과챔버(C1)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챔버 제1홀(261a)과 상기 제1챔버 제2홀(261b)를 분리하는 제1가이드(281), 상기 제2여과챔버(C2)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2챔버 제1홀(263a)과 상기 제2챔버 제2홀(263b)를 분리하는 제2가이드(283), 및 상기 제3여과챔버(C3)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3챔버 제1홀(265a)과 상기 제3챔버 제2홀(265b)를 분리하는 제3가이드(285)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b)는 상기 가이드가 제4여과챔버(C4)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4챔버 제1홀(267a)와 제4챔버 제2홀(267b)를 분리시키는 제4가이드(287)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 (c)는 상기 가이드가 제5여과챔버(C5)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5챔버 제1홀(269a)와 제5챔버 제2홀(269b)를 분리시키는 제5가이드(287)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의 실시예는 상기 제1연통부(25)가 하나의 연통홀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인데, 상기 제1연통부(25) 역시 여러 개의 연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제1필터(F1)는 각 챔버 형성부(851, 853, 855, 857, 859)가 필터 바디(81)의 중심을 향해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꼭지점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각 챔버 형성부가 반드시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제1필터(F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9 (a) 내지 도 9 (c)에 도시된 제1필터(F1)는 각 챔버 형성부(851, 853, 855, 857, 859)가 상기 필터 바디(81)의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휘어진 곡면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기 챔버 형성부(851, 853, 855, 857, 859)가 상기 필터 바디(81)의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휘어진 곡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착바디(21)에는 각 상기 챔버 형성부(851, 853, 855, 857, 859)에 의해 형성되는 각 여과챔버(C1 내지 C5)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가이드(281, 283, 285, 287, 289)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연통부를 구성하는 각 연통홀들(261, 263, 265, 267, 269)은 상기 가이드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챔버 홀들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구조의 청소기는 사용자가 분리부(4)를 상기 하우징(1)에서 분리할 때 제1필터(F1)가 상기 분리부(4)와 함께 하우징(1)에서 분리 가능하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하부커버(18)로 하우징 배출구(17)를 개방한 뒤 상기 분리부(4)를 상기 하우징 배출구(17)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장착바디(21) 및 상기 장착바디(21)에 안착된 제1필터(F1)는 상기 분리부(4)와 함께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4)는 상기 장착바디(2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장착바디(21)는 돌기(271)를 통해 상기 하우징 격벽(19)에 구비된 돌기 체결홈(27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장착바디(21) 및 제1필터(F1)가 하우징(1)에서 인출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필터(F1)를 장착바디(21)에서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의 청소기는 제1필터(F1)의 분리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출원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00: 청소기 1: 하우징 11: 흡기부
14: 하우징 관통홀 151: 상부커버 153: 배기부
17: 하우징 배출구 18: 하부커버 19: 하우징 격벽
2: 장착부 21: 장착바디 211: 장착공간
213: 상부면 관통홀 23: 바닥면 231: 제1영역
232: 제2영역 25: 제1연통부 26: 제2연통부
261: 제1연통홀 261a: 제1챔버 제2홀 261b: 제1챔버 제2홀
263: 제2연통홀 265: 제3연통홀 267: 제4연통홀
269: 제5연통홀 27: 바디 체결부 281: 제1가이드
283: 제2가이드 285: 제3가이드 287: 제4가이드
289: 제5가이드 4: 분리부 41: 챔버형성부
41a: 제1분리챔버 41b: 제2분리챔버 411: 분리챔버 바디
413: 관통홀 415: 배출구 417: 분리챔버 격벽
418: 분리공간 419: 저장공간 42: 싸이클론 형성부
421: 유로바디 422: 이물질 배출구 423: 유입구
424: 배출관 425: 기류형성부 5: 팬
6: 핸들 F1: 제1필터 81: 필터 바디
83: 제1여과면 85: 제2여과면 C1: 제1여과챔버
851: 제1챔버 형성부 C2: 제2여과챔버 853: 제2챔버 형성부
C3: 제3여과챔버 855: 제3챔버 형성부 C4: 제4여과챔버
857: 제4챔버 형성부 C5: 제5여과챔버 859: 제5챔버 형성부
F2: 제2필터

Claims (13)

  1. 내부가 비어있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하는 하우징 격벽;
    상기 하우징 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 관통홀;
    상기 제2공간에 연통하는 상부면과 장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격벽 관통홀에 고정된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되 상기 바닥면의 제1영역에 위치된 제1연통부, 및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연통하되 상기 제1영역과 구분된 제2영역에 형성된 제2연통부가 구비된 장착부;
    상기 제1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흡기부;
    상기 제2공간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배기부;
    상기 제1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연통부들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제2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부들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부로 이동시키는 팬;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팬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위치하는 컵 형상의 필터 바디; 상기 필터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바닥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1여과면; 및 상기 필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을 상기 제1영역이 위치된 공간과 상기 제2영역이 위치된 공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제2연통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제2여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바닥면의 중심이 포함된 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을 감싸는 링 형상의 영역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부는 적어도 두 개의 연통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여과면은 상기 필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연통홀의 수와 동일한 수의 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챔버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여과챔버들은 서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챔버 형성부는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각 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통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연통홀들은 상기 가이드에 의해 분리되는 두 개의 홀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부는 제1연통홀, 제2연통홀, 및 제3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여과면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1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1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1챔버 형성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2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2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2챔버 형성부; 및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3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3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3챔버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가이드;
    상기 제2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3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3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2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3연통홀은 상기 제3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부는 제4연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여과면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4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4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4챔버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여과챔버는 상기 제1여과챔버, 상기 제2여과챔버, 및 상기 제3여과챔버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가이드;
    상기 제2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3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3가이드; 및
    상기 제4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4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2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3연통홀은 상기 제3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4연통홀은 상기 제4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부는 제5연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여과면은 상기 제2여과면이 상기 필터 바디의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상기 제5연통홀에만 연통하는 제5여과챔버를 형성하는 제5챔버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1가이드;
    상기 제2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2가이드;
    상기 제3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3가이드;
    상기 제4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4가이드; 및
    상기 제5여과챔버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제5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통홀은 상기 제1가이드에 의해 구분되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홀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통홀은 상기 제2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3연통홀은 상기 제3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4연통홀은 상기 제4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며,
    상기 제5연통홀은 상기 제5가이드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200022975A 2020-02-25 2020-02-25 청소기 KR10230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975A KR102309309B1 (ko) 2020-02-25 2020-02-25 청소기
EP20920826.3A EP4069048A1 (en) 2020-02-25 2020-04-23 Cleaner
CN202080097100.4A CN115135212B (zh) 2020-02-25 2020-04-23 清洁器
PCT/KR2020/005345 WO2021172655A1 (en) 2020-02-25 2020-04-23 Cleaner
AU2020432829A AU2020432829B2 (en) 2020-02-25 2020-04-23 Cleaner
TW109113898A TWI764136B (zh) 2020-02-25 2020-04-24 吸塵器
US16/861,913 US11419469B2 (en) 2020-02-25 2020-04-29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975A KR102309309B1 (ko) 2020-02-25 2020-02-25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133A true KR20210108133A (ko) 2021-09-02
KR102309309B1 KR102309309B1 (ko) 2021-10-06

Family

ID=7736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975A KR102309309B1 (ko) 2020-02-25 2020-02-25 청소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19469B2 (ko)
EP (1) EP4069048A1 (ko)
KR (1) KR102309309B1 (ko)
CN (1) CN115135212B (ko)
AU (1) AU2020432829B2 (ko)
TW (1) TWI764136B (ko)
WO (1) WO2021172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223040S (zh) * 2020-08-28 2023-01-1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真空吸塵器主體
USD1028400S1 (en) * 2022-01-02 2024-05-21 Suzhou Ash-Clean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Vacuum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5195A (zh) * 2013-07-16 2013-11-27 宁波锦隆电器有限公司 吸尘器集尘装置
CN106618374A (zh) * 2017-02-24 2017-05-1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手持吸尘器
KR20190127137A (ko) * 2018-05-03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90136645A (ko) * 2018-05-31 2019-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0987B1 (en) * 2003-01-10 2005-01-11 Eliu P. Gonzalez Air filtering apparatus
GB0819209D0 (en) * 2008-10-20 2008-11-26 Numatic Int Ltd Vacuum cleaning filter arrangement
CA2917900C (en) * 2009-03-13 2019-01-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110004519A (ko) 2009-07-08 2011-01-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팬모터유닛 및 진공청소기
DE102012000470A1 (de) * 2012-01-13 2013-07-18 Mann + Hummel Gmbh Luftfilterelement und Luftfilter
KR101622713B1 (ko) * 2014-09-24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1622716B1 (ko) * 2014-09-24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N204260668U (zh) * 2014-10-31 2015-04-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气尘分离装置及吸尘器
US11166607B2 (en) 2016-03-31 2021-11-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KR102560970B1 (ko) 2016-03-31 202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0638903B2 (en) 2016-03-31 2020-05-05 Lg Electronics Inc. Cleaner
KR101845044B1 (ko) * 2016-04-14 201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JP1579985S (ko) 2016-08-26 2017-06-26
US11229336B2 (en) 2017-02-24 2022-01-25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US10765985B2 (en) * 2017-08-28 2020-09-0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Air filter structure in general purpose engine
CN108030439A (zh) 2017-11-29 2018-05-15 上海亿力电器有限公司 手持充电吸尘器
CN107898384A (zh) * 2017-11-29 2018-04-13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尘气分离装置及具有其的吸尘器
GB2569569B (en) 2017-12-20 2021-04-21 Dyson Technology Ltd A filter assembly
GB2569591B (en) 2017-12-20 2020-07-15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KR102074288B1 (ko) 2018-05-31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102022098B1 (ko) 2018-06-2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102552903B1 (ko) * 2018-07-03 202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5195A (zh) * 2013-07-16 2013-11-27 宁波锦隆电器有限公司 吸尘器集尘装置
CN106618374A (zh) * 2017-02-24 2017-05-1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手持吸尘器
KR20190127137A (ko) * 2018-05-03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90136645A (ko) * 2018-05-31 2019-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35212B (zh) 2023-07-04
AU2020432829B2 (en) 2023-12-07
KR102309309B1 (ko) 2021-10-06
TW202131848A (zh) 2021-09-01
WO2021172655A1 (en) 2021-09-02
EP4069048A1 (en) 2022-10-12
TWI764136B (zh) 2022-05-11
CN115135212A (zh) 2022-09-30
US20210259492A1 (en) 2021-08-26
US11419469B2 (en) 2022-08-23
AU2020432829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973B2 (en)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US7691161B2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US7628833B2 (en) Multi-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2074288B1 (ko) 청소기
EP1726245A2 (en) Multi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US20060272299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02552903B1 (ko) 청소기
KR102073618B1 (ko) 청소기
GB2406531A (en) Cyclonic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JP2005185838A (ja) 電気掃除機用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EP1676514A2 (en) Vacuum cleaner
KR102309309B1 (ko) 청소기
US20060277872A1 (en) Vacuum cleaner
KR20190136625A (ko) 청소기
KR102344069B1 (ko) 청소기
EP1676518A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081942B1 (ko) 청소기
KR20210131296A (ko) 청소기
KR100556499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565581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200013030A (ko) 청소기
KR102124488B1 (ko) 청소기
KR20080066291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20070065636A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