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128A - 이차 전지 팩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128A
KR20210108128A KR1020200022958A KR20200022958A KR20210108128A KR 20210108128 A KR20210108128 A KR 20210108128A KR 1020200022958 A KR1020200022958 A KR 1020200022958A KR 20200022958 A KR20200022958 A KR 20200022958A KR 20210108128 A KR20210108128 A KR 2021010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unit battery
line
secondary battery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
박건엽
이길석
김범주
김재호
정백기
김헌희
임지순
허은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128A/ko
Priority to US17/172,814 priority patent/US11843103B2/en
Publication of KR2021010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3Portable devices, e.g. mobile telephones, camera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batteries or cells of different types or different siz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9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arrangement of batteries or cells for different uses, e.g. for changing the number of batteries or for switching between series and parallel w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이차 전지 팩이 개시된다. 이차 전지 팩은, 내부에 셀모듈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다단으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위 전지팩들을 포함하는 전지 하우징과, 단위 전지팩들의 내부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며 단위 전지팩들 사이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연결 형성되는 냉각수 라인과, 단위 전지팩들의 사이에서 냉각수 라인을 서로간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팩{RECHARGEABLE BATTERY PACK}
본 발명은 냉각수 라인의 보호가 가능한 이차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전지이다. 소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이차 전지는 전기 자전거, 스쿠터,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및 지게차(fork lift)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된다.
이차 전지는 하나의 단위 전지셀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대용량 구현을 위하여 복수의 단위 전지셀들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한 이차 전지 팩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차 전지 팩은 복수의 단위 전지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탭을 사용하며, 일측의 탭에서 전류를 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 전지셀을 복수로 사용하는 경우, 이차 전지 팩은 고출력 대응을 위하여 충전 및 방전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구조, 및 충격 및 진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단위 전지셀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이차 전지 팩을 냉각하는 냉각 라인이 마련되며, 냉각 라인은 전지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냉각 라인이 전지 하우징의 외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파손 및 눌림에 의해 냉각수의 흐름이 방해되거나 누수가 발생되는 바,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라인을 전지팩의 내부에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이차 전지 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단으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위 전지팩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으로서.단위 전지팩들의 내부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며 단위 전지팩들 사이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연결 형성되는 냉각수 라인과, 단위 전지팩들의 사이에서 냉각수 라인을 서로간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냉각수 라인은, 단위 전지팩의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냉각수가 이동되는 제1 냉각 라인과, 제1 냉각 라인에 연결되며 단위 전지팩의 내부 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냉각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 라인과 제2 냉각 라인은 단위 전지팩의 내부에서 경사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는, 단위 전지팩의 하부에서 제1 냉각 라인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단위 전지팩의 상부에서 제1 연결부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는, 단위 전지팩의 하부면에서 제1 냉각수 라인 위치에 고정되는 제1 플랜지부와, 제1 플랜지부에 고정되며 일측은 제1 냉각수 라인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제1 플랜지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1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전지팩의 하부면에는 제1 플랜지부가 고정되는 위치에 제1 인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관의 외부에는 복수개의 제1 마찰 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단위 전지팩의 상부면에서 제1 냉각수 라인 위치에 고정되는 제2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에 고정되며 일측은 제1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은 제1 냉각수 라인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전지팩의 상부면에는 제2 플랜지부가 고정되는 위치에 제2 인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관의 외부에는 복수개의 제2 마찰 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는, 단위 전지팩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며 제1 냉각 라인이 형성된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1 홈부와, 단위 전지팩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며 제1 냉각 라인이 형성된 하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2 홈부와, 제1 홈부와 제2 홈부가 서로간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내부에 함께 도포되는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와 제2 홈부는 동일 형상일 수 있다.
제1 홈부와 제2 홈부는 제1 냉각 라인을 중심으로 단위 전지팩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라인을 전지팩의 내부에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수 라인을 상하 방향의 제1 냉각 라인과 전지팩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냉각 라인을 구성하고, 제1 냉각 라인과 제2 냉각 라인을 경사 라인으로 연결하여 냉각수의 순환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단으로 적층된 단위 전지팩의 각각에 형성된 냉각 라인들을 연결부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냉각수의 외부 누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안정적인 실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 팩의 단위 전지팩들이 적층된 상태의 내부에 냉각수 라인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단위 전지팩들의 사이에 냉각수 라인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형성된 상태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단위 전지팩의 내부에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위 전지팩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연결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팩의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 팩의 단위 전지팩들이 적층된 상태의 내부에 냉각수 라인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팩(100)은, 내부에 복수의 셀모듈들이 삽입되는 수용 공간(11)이 형성되고 다단으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위 전지팩(10)들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으로서, 단위 전지팩(10)들의 내부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며 단위 전지팩(10)들 사이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연결 형성되는 냉각수 라인(30)과, 단위 전지팩(10)들의 사이에서 냉각수 라인(30)을 서로간에 연결하는 연결부(40)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 팩(100)은 직육면체 형상의 단위 전지팩(10)들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 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단위 전지팩(10)의 수용 공간(11)에는 복수의 셀모듈(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단위 전지팩(10)은 내부에 복수의 셀모듈을 수용한 상태로 커버부(13)로(또는 적층 결합되는 인접한 다은 단위 전지팩으로)밀폐될 수 있다. 단위 전지팩(10)의 측면에는 냉각수 입출력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셀모듈은,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단위 전지셀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셀모듈을 구성하는 단위 전지셀들은 버스바로 연결될 수 있고,또한 복수의 셀모듈들 간에도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위 전지셀들은 충전과 방전 작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통상의 원통형 이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전지팩(20)의 내부에는 냉각을 위한 냉각수 라인(30)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 라인(30)은, 단위 전지팩(10)들의 내부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며, 단위 전지팩(10)들 사이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즉, 냉각수 라인(30)은 다단으로 적층된 단위 전지팩(10)들의 사이에 서로간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냉각수 라인(30)은, 단위 전지팩(10)의 내부에서 높이 방향(적층 방향)으로 형성되어 냉각수가 이동되는 제1 냉각 라인(31)과, 제1 냉각 라인(31)에 연결되며 단위 전지팩(10)의 내부 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냉각 라인(32)과, 제1 냉각 라인(31)과 제2 냉각 라인(32)을 연결하는 경사 라인(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 라인(31)은 일측은 단위 전지팩(10)의 상부에 노출되고 타측은 단위 전지팩(10)의 내부 측면을 따라 긴 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냉각 라인(31)은 단위 전지팩(1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제1 냉각 라인(31)은 단위 전지팩(10)의 내부 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위 전지팩(10)의 측면에 이격된 위치에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냉각 라인(31)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단위 전지팩(10)의 내부를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냉각 라인(31)은 원형 단면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의 단면 형상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냉각 라인(31)은 단위 전지팩(10)의 내부에서 제2 냉각수 라인(30)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제2 냉각수 라인(30)으로 순환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냉각 라인(31)에는 제2 냉각수 라인(30)과 연결을 위한 경사 라인(33)이 연결될 수 있다.
경사 라인(33)은 일측은 제1 냉각 라인(31)에 연결되고 타측은 단위 전지팩(10)의 저면 위치에서 제2 냉각수 라인(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 라인(33)은 제1 냉각 라인(31)과 제2 냉각수 라인(30)의 사이를 일정 각도의 경사각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결하는 바, 제1 냉각 라인(31)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가 제2 냉각수 라인(30)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경사 라인(33)은 본 실시예에서 30도 내지 40도 각도 범위의 경사각으로 제1 냉각 라인(31)과 제2 냉각수 라인(3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경사 라인(33)은 냉각수량과 전지 하우징(20)의 크기에 대응하여 냉각수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적절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냉각수 라인(30)은 일측은 경사 라인(33)에 연결되고 타측은 단위 전지팩(10)의 저면의 내부를 따라 긴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냉각수 라인(30)은 셀모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1)의 저면의 내부를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되는 바,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 팩(100)의 구동 과정에서 과열이 발생되지 냉각수를 적절하게 순환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냉각 라인(31)과 경사 라인(33) 및 제2 냉각수 라인(30)을 따라 이동되는 냉각수는 다단으로 적층된 인접한 단위 전지팩(10)으로 연결부(4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단위 전지팩들의 사이에 냉각수 라인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형성된 상태를 요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0)는, 단위 전지팩(10)의 하부에서 제1 냉각 라인(31)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41)와, 단위 전지팩(10)의 상부에서 제1 연결부(41)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1)는, 단위 전지팩(10)의 하부면에서 제1 냉각 라인(31) 위치에 고정되는 제1 플랜지부(411)와, 제1 플랜지부(411)에 고정되며 일측은 제1 냉각 라인(31)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제1 플랜지부(411)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1 연결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411)는 제1 냉각 라인(31)이 형성된 위치의 단위 전지팩(10)의 하부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단위 전지팩(10)의 하부면에는 제1 플랜지부(411)가 고정되는 위치에 제1 인입부(42)가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랜지부(411)에는 제1 연결관(413)이 상하로 돌출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관(413)은 일측은 제1 냉각 라인(31)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고 타측은 제1 플랜지부(411)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관(413)의 외표면에는 제1 마찰 돌부(412)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마찰 돌부(412)는 제1 연결관(413)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바, 제1 냉각 라인(31)의 내부에 제1 연결관(413)의 삽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압입 작용이 발생되어 안정적인 삽입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관(413)은 인접한 단위 전지팩(10)의 상부에 설치된 제2 연결부(43)의 제2 연결관(43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3)는, 단위 전지팩(10)의 상부에서 제1 냉각 라인(31) 위치에 고정되는 제2 플랜지부(431)와, 제2 플랜지부(431)에 고정되며 일측은 제1 연결관(413)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은 제1 냉각 라인(3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연결관(4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431)는 제1 냉각 라인(31)이 형성된 위치의 단위 전지팩(10)의 상부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단위 전지팩(10)의 상부면에는 제2 플랜지부(431)가 고정되는 위치에 제2 인입부(44)가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입부(44)는 제1 인입부(42)와 동일 또는 유사 형상의 동일 또는 유사 깊이로 단위 전지팩(1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입부(42)와 제2 인입부(44)는 서로간에 연통된 상태에서 단위 전지팩(10)들의 사이에 제1 연결관(413)과 제2 연결관(433)이 연결되는 연결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연결관(433)은 일측은 제2 플랜지부(431)의 상부로 돌출되어 연결 공간의 위치에서 제1 연결관(413)의 내부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관(433)의 타측은 제1 냉각 라인(31)의 내부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관(433)의 외표면에는 제2 마찰 돌부(432)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마찰 돌부(432)는 제2 연결관(433)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바, 제1 냉각 라인(31)의 내부에 제2 연결관(433)의 삽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압입 작용이 발생되어 안정적인 삽입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마찰 돌부(432)는 제2 연결관(433)이 제1 연결관(413)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압입 작용이 발생되어 안정적인 삽입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 팩(100)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각각의 단위 전지 팩(10)에는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 팩(100)의 다단으로 적층된 단위 전지팩(10)들의 서로간을 연결 터미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팩(100)은,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라인(30)을 전지 하우징(20)의 내부에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아울러, 냉각수 라인(30)을 상하 방향의 제1 냉각 라인(31)과 제1 냉각 라인(31)에 경사 라인(33)으로 연결되는 제2 냉각 라인(32)을 구성하여 냉각수의 순환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단위 전지팩의 내부에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위 전지팩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연결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팩의 연결부(140)는, 단위 전지팩(1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며, 제1 냉각 라인(31)이 형성된 부분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1 홈부(141)와, 단위 전지팩(10)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며 제1 냉각 라인(31)이 형성된 부분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2 홈부(142)와, 제1 홈부(141)와 제2 홈부(142)가 서로간에 연통된 상태에서 제1 홈부(141)와 제2 홈부(142)의 내부에 함께 도포되는 결합제(143)를 포함한다.
제1 홈부(141)는 단위 전지팩(10)에서 제1 냉각 라인(31)이 외부로 노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단위 전지팩(10)의 상부 표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41)는 단위 전지팩(10)의 표면 내부로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인입된 상태로, 제1 냉각 라인(31)이 노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42)는 단위 전지팩(10)에서 제1 냉각 라인(31)이 외부로 노출된 위치를 중심으로 단위 전지팩(10)의 하부 표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홈부(141)와 제2 홈부(142)는 동일 형상의 동일 크기로 단위 전지팩(10)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전지팩(10)들이 적층되어 각 단위 전지팩(10)들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제1 홈부(141)와 제2 홈부(142)는 서로간에 연통되어 충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 공간에는 결합제(143)가 도포될 수 있다.
결합제(1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홈부(141)와 제2 홈부(142)가 연통되어 형성된 충진 공간의 내부에 도포되는 바, 단위 전지팩(10)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실링 및 결합 작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단위 전지팩(10)들이 적층되어 제1 냉각 라인(31)들이 서로간에 연결된 상태의 실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냉각수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결합제(143)는 실리콘 또는 액체 상태로 도포되어 상온에서 경화되는 소정의 접착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팩의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팩(300)은, 단위 전지팩(10)이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크기로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실시예의 이차 전지 팩(300)은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크기로 다단으로 적층되어 수용 공간(11)이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수용 공간(11)의 내부에 셀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공간(11) 상이한 크기로 전지 하우징(10)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실시예의 이차 전지 팩(300)은 상방향으로 크기가 감소된 다단 적층 타입으로 형성되는 바, 설치 자유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3 실시예의 이차 전지 팩(300)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각각의 이차 전지 팩들에는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 팩(300)의 다단으로 적층된 서로간을 연결 터미널에 의해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단위 전지팩 11...수용 공간
12...냉각수 입출력부 30...냉각수 라인
31...제1 냉각 라인 32...제2 냉각 라인
33...경사 라인 40, 140...연결부
41...제1 연결부 411..제1 플랜지부
412..제1 마찰 돌부 413..제1 연결관
42...제1 인입부 43...제2 연결부
431..제2 플랜지부 433..제2 연결관
44...제2 인입부 141..제1 홈부
142..제2 홈부 143...결합제

Claims (13)

  1. 다단으로 적층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위 전지팩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으로서.
    상기 단위 전지팩들의 내부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위 전지팩들 사이에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연결 형성되는 냉각수 라인; 및
    상기 단위 전지팩들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을 서로간에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라인은,
    상기 단위 전지팩의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냉각수가 이동되는 제1 냉각 라인; 및
    상기 제1 냉각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단위 전지팩의 내부 저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냉각 라인;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라인과 상기 제2 냉각 라인은 상기 단위 전지팩의 내부에서 경사 라인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위 전지팩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냉각 라인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단위 전지팩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연결부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단위 전지팩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 냉각수 라인 위치에 고정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플랜지부에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제1 냉각수 라인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1 연결관;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팩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 플랜지부가 고정되는 위치에 제1 홈부가 형성되는 이차 전지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의 외부에는 복수개의 제1 마찰 돌부가 돌출되는 이차 전지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단위 전지팩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 냉각수 라인 위치에 고정되는 제2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에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제1 연결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냉각수 라인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연결관;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팩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 플랜지부가 고정되는 위치에 제2 홈부가 형성되는 이차 전지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관의 외부에는 복수개의 제2 마찰 돌부가 돌출되는 이차 전지 팩.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위 전지팩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 라인이 형성된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1 홈부;
    상기 단위 전지팩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 라인이 형성된 하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2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서로간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내부에 함께 도포되는 결합제;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는 동일 형상인 이차 전지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제1 냉각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단위 전지팩의 표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팩.
KR1020200022958A 2020-02-25 2020-02-25 이차 전지 팩 KR20210108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958A KR20210108128A (ko) 2020-02-25 2020-02-25 이차 전지 팩
US17/172,814 US11843103B2 (en) 2020-02-25 2021-02-10 Rechargeable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958A KR20210108128A (ko) 2020-02-25 2020-02-25 이차 전지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128A true KR20210108128A (ko) 2021-09-02

Family

ID=7736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958A KR20210108128A (ko) 2020-02-25 2020-02-25 이차 전지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43103B2 (ko)
KR (1) KR202101081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8417A1 (en) * 2022-04-07 2023-10-11 CALB Co., Ltd. Liquid cooling system, battery casing and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0534B (zh) 2011-02-22 2016-01-20 株式会社Lg化学 具有提高的冷却效率的冷却构件和采用该冷却构件的电池模块
KR101579483B1 (ko) * 2014-02-25 201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KR101631458B1 (ko) 2014-08-29 2016-06-2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KR101734689B1 (ko) 2015-10-15 2017-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냉각 시스템
KR102411156B1 (ko) 2015-12-29 2022-06-21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적층형 모듈 하우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JP6683779B2 (ja) * 2018-08-31 2020-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の冷却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58417A1 (en) * 2022-04-07 2023-10-11 CALB Co., Ltd. Liquid cooling system, battery casing an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43103B2 (en) 2023-12-12
US20210265682A1 (en)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215B1 (ko) 전지 서브 모듈 캐리어, 전지 서브 모듈, 전지 시스템 및 자동차
US11637339B2 (en) Battery module
US20240030517A1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CN107799829B (zh) 电池组以及用于电池组的包封互连
KR10071775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958742B1 (ko) 배터리 모듈
JP2018533171A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US20230352759A1 (en) Fluid-cooled battery system
CN111373567A (zh) 电池组
KR20210151471A (ko) 이차 전지 팩
EP3671946B1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KR101416544B1 (ko) 이차전지 케이스
KR20210108128A (ko) 이차 전지 팩
KR101305229B1 (ko) 외장부재와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200044582A (ko)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10176040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746765B1 (ko)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EP3641011A1 (en) Battery module
KR20210108129A (ko) 이차 전지 팩
KR20170090263A (ko) 배터리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CN220400796U (zh) 包括连接部件的电池模块
KR102449201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30102739A (ko) 이차 전지 모듈, 이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240012297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16457985A (zh)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