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041A - 근력운동장치 - Google Patents

근력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041A
KR20210108041A KR1020200022734A KR20200022734A KR20210108041A KR 20210108041 A KR20210108041 A KR 20210108041A KR 1020200022734 A KR1020200022734 A KR 1020200022734A KR 20200022734 A KR20200022734 A KR 20200022734A KR 20210108041 A KR20210108041 A KR 2021010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drive shaft
pair
rollers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836B1 (ko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제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제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제스트
Priority to KR102020002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8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운동장치이다. 본 발명의 근력운동장치는 제1회전관성체(26)의 관성력을 활용하여 벨트(25)가 구동축(24)에 감아지고 풀어지도록 하여 운동하는 것이다. 즉, 벨트(25)를 당겨 구동축(24)에서 풀어질 때와, 벨트(25)를 놓아 벨트(25)가 구동축(24)에 감아질 때, 발생하는 회전관성체의 관성력과 운동부하를 활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중앙롤러쌍(38)과 단부롤러쌍(40)을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력운동장치{Weight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근력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성회전체의 관성력을 이용하여 등속, 가속, 감속에 따른 운동부하를 달리하여 운동할 수 있는 근력운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근력운동장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근력운동장치는 운동자가 원하는 근육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운동저항을 주어서 근력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를 사용하여 운동저항을 주는 방식이다. 그리고, 관성회전체를 이용하여 운동저항을 주는 방식도 있다. 그 외에도 탄성이 있는 밴드를 사용하거나, 공기마찰을 이용하거나, 물과의 마찰을 이용하거나,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운동저항을 주는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근력운동장치에서 무게추를 사용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당길때에만 운동이 될 수 있어 단조롭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고, 탄성이 있는 밴드는 당길수록 힘이 더 필요하여, 초보자는 운동조절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프링을 사용하는 운동기구의 경우 특히 초보자가 운동부하를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관성회전체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일방향으로만 관성회전체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근육운동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것이어서, 근육이 수축하는 방향과 늘어나는 양방향으로의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관성회전체를 사용하여 운동하는 경우에는 운동부하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기는 하지만, 보다 넓은 범위에서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것은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24294호 미국특허 US 0128768 미국특허 US 997499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49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944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관성체와 구동밸트를 사용하여 근육이 늘어나는 방향과 수축하는 양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밸트가 걸어감아지는 롤러쌍을 여러 위치에 두어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부하의 범위를 보다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외면에 감겨지고 풀어지는 벨트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가 풀어지고 감겨지는 동작을 위한 관성력과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제1관성회전체와,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 양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감겨진 벨트의 타단부가 통과하며 상기 벨트의 이동동작을 안내하는 중앙롤러쌍과,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롤러쌍을 통과하여 나온 벨트를 선택적으로 걸어감아 이동을 안내하는 단부롤러쌍을 포함한다.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는 각각 레그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레그부는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중앙롤러쌍과 단부롤러쌍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중앙롤러쌍을 구성하는 롤러들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단부롤러쌍을 구성하는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서 상기 레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바닥판이 안착된다.
상기 구동축에 일단부가 연결된 벨트의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걸고, 상기 중앙롤러쌍을 통과하여 나온 부분에 운동용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벨트를 당기고 놓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축이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축에는 제2관성회전체가 구비되어 관성력과 운동부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사이에는 연결기어가 더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력이 상기 종동기어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아에는 상기 구동축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모듈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벨트보빈과 상기 연결바아 사이에 상기 감지모듈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근력운동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관성회전체를 벨트가 감겨지고 풀어지는 구동축을 사용하여 회전시켜서, 관성회전체의 관성력을 활용하여 운동부하를 얻도록 되어 있는데, 중앙롤러쌍을 통해 벨트를 상부로 인출하여 중앙롤러쌍의 안내에 의해 벨트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벨트를 당기고 놓는 동작을 활용하여 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중앙에 있는 중앙롤러쌍과 단부쪽에 있는 단부롤러쌍을 동시에 사용하여 벨트의 연장방향을 바닥판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거나 약간 경사지게 되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을 종동축의 회전에 사용하여 상기 종동축에 설치된 제2회전관성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관성체와 제2회전관성체를 모두 운동부하제공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넓은 범위의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서는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연결기어를 두고, 상기 연결기어를 레버 등에 의해 위치이동시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의 동력전달을 보다 쉽게 단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운동부하의 조절이 보다 쉽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근력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바닥판을 제거하고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바닥판을 제거하고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구동축, 종동축, 제1 및 제2 관성회전체 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과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단부롤러쌍을 활용하여 운동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10)이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강도가 좋은 합성수지로 프레임(10)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제1단부(11)와 제2단부(11')가 있어서 전체 장치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바아(18)에 의해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의 연결을 위해 상기 연결바아(10) 외에 추가의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는 그 구성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장치에 설치되었을 때, 거의 좌우 대칭으로 된다.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에는 다수개의 레그부(12)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각각 제1단부(11)와 제2단부(11')에 3개씩의 레그부(12)가 있다. 즉, 제1단부(11)의 양단과 중앙에 각각 레그부(12)가 있고, 제2단부(11')의 양단과 중앙에 각각 레그부(12)가 있다. 상기 레그부(12)의 바닥에는 레그지지판(13)이 있다. 상기 레그지지판(13)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레그지지판(13)에는 탄성이 있는 재질의 지지구가 저면에 설치하거나, 이동의 편의를 위해 캐스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레그부(12) 사이를 연결부(14)가 서로 연결한다. 상기 레그부(12)와 연결부(14)는 하나의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레그부(12)와 연결부(14) 등을 용접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4)의 상단에는 지지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닥판(36)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는 상기 연결부(14)의 상단에 외측방향으로 직교하게 있다. 상기 레그부(12), 연결부(14), 지지부(16) 등에서는 강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다. 상기 통공에 의해 프레임(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를 연결하도록 연결바아(18)가 있다.(도 3 및 도 6 참고) 상기 연결바아(18)에는 벨트보빈(20)이 설치된다. 상기 벨트보빈(20)은 아래에서 설명될 벨트(25)가 감아지는 부분이다. 상기 벨트보빈(20)은 상기 연결바아(18) 상에 설치되는데, 이들 사이에 감지모듈(22)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22)은 일종의 센서로서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모듈(22)은 벨트(25)의 장력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양단이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에 지지되게 구동축(24)이 있다. 상기 구동축(24)의 양단은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에 설치된 베어링(2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축(24)은 상기 벨트보빈(20)을 관통한다. 상기 벨트보빈(20)에 대해 상기 구동축(24)은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벨트보빈(20)은 상기 연결바아(18), 즉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24)은 상기 벨트보빈(20)을 관통하고 별도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구동축(24)에는 벨트(25)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벨트(25)의 일단부는 상기 벨트보빈(20) 내에 위치하는 구동축(24)의 부분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벨트(25)의 단부가 상기 구동축(24)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슬롯에 위치되어 구동축(24)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동축(24)의 중심을 통과하는 슬롯에 벨트(25)의 단부가 위치되어 고정되면, 상기 구동축(24)의 외면에 상기 벨트(25)가 감아지고 풀어짐에 따라 상기 구동축(24)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벨트(25)가 상기 구동축(24)에 양방향으로 감겨지고 풀어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벨트(25)의 도면상 상단부는 구부러져 있는데, 이 부분에는 별도의 핸들(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된다. 상기 핸들을 사용자가 양손으로 잡고 벨트(25)를 당기고 놓는 동작을 한다.
상기 구동축(24)의 일단부에는 제1관성회전체(26)가 설치된다. 상기 제1관성회전체(26)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원판형상이다. 상기 제1관성회전체(26)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단부(11)의 외면과 마주보게 위치된다. 상기 제1관성회전체(26)는 상기 구동축(24)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제1관성회전체(26)는 상기 구동축(24)의 일단부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관성회전체(26)를 다수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운동부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제1관성회전체(26)를 사용하더라도 벨트(25)를 당기는 속도를 조절함에 의해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지만, 추가의 운동부하가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제1관성회전체(26)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제1관성회전체(26)의 상단부는 도 1이나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관성회전체(26)의 상단부는 사용자가 필요시에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는 상기 벨트(25)를 운동초기에 원하는 만큼 상기 구동축(24)에 감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축(24)에는 구동기어(28)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28)는 상기 구동축(24)과 일체로 회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관성회전체(26)와 상기 제1단부(11)의 외면 사이에 상기 구동기어(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28)와 맞물려서 종동기어(30)가 있다. 상기 종동기어(30)는 상기 구동기어(28)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종동기어(30)는 종동축(32)에 설치된다.
상기 종동축(32)은 상기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제1단부(11)와 제2단부(11')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에는 베어링(32')이 설치되어 상기 종동축(32)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종동기어(30)는 상기 제1단부(11)의 외면과 마주보게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종동기어(30)와 구동기어(28)의 사이에 별도의 연결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종동기어(30)와 구동기어(28) 사이의 동력전달을 연결하고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운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종동기어(30)와 구동기어(28) 사이를 연결하면 상기 종동축(32)에 설치된 아래에서 설명될 제2관성회전체(34)가 제공하는 운동부하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종동축(32)의 일단부, 즉 상기 종동기어(30)가 설치된 반대쪽 단부에는 제2관성회전체(34)가 설치된다. 상기 제2관성회전체(34)는 상기 제1회전관성체(26)과 같은 원판형상이다. 상기 종동축(32)의 일단부에는 다수개의 제2회전관성체(34)를 설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제2회전관성체(34)가 설치되어 있는데, 추가의 제2회전관성체(34)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운동부하의 추가를 위함이다.
상기 프레임(10) 상에는 바닥판(36)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36)은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의 지지부(16) 상에 안착된다. 상기 바닥판(36)의 양단부가 양측의 상기 지지부(16) 상에 위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바닥판(36) 상에는 사용자가 위치된다.
상기 프레임(10)에서 상기 레그부(12)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롤러쌍(38,40)들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에 해당되는 레그부(12)의 위치에는 중앙롤러쌍(38)이 위치된다. 상기 제1단부(11)와 제2단부(11')의 단부에 해당되는 레그부(12)의 위치에는 단부롤러쌍(40)이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중앙롤러쌍(38)의 사이를 통해서는 벨트(25)가 통과한다. 상기 롤러쌍(38,40)들은 벨트(25)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벨트(25)가 주변의 부품과 마찰되지 않고 롤러쌍(38,40)들과 접촉하여 벨트(25)의 이동에 따른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롤러쌍(38)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단부롤러쌍(40) 사이의 간격이 더 크게 되어 있다. 이는 상기 단부롤러쌍(40) 사이로는 운동형태를 달리하기 위한 설정을 위해 벨트(25)를 사용자가 통과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벨트(25)의 일단부가 위의 실시례에서와 같이 구동축(24)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 형태가 아닌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걸어지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0)의 제1단부(11)와 제2단부(11')를 연결하는 연결바아(18)와 같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둘 수 있다. 도면에서는 연결부재도 프레임(10)의 일부이므로 프레임(10)으로 표시했다.
상기 벨트(25)의 일단부가 구동축(24)에 감기고 풀리도록 연결되고, 벨트(25)의 타단부가 프레임(10)의 연결부재에 걸어지도록 한 상태로 벨트(25)에 손잡이(42)를 설치하여 운동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손잡이(4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고, 여기에 도르레(43)를 두어 벨트(25)가 걸어감아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잡이(42)를 당기고 놓는 과정에서 벨트(25)와의 상대적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손잡이(42) 대신에 손목이나 발목 등 신체의 일부에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손잡이(42)를 포함하여 운동용 연결부재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벨트(25)의 타단부에는 후크(45)가 있다. 상기 후크(45)는 벨트(25)의 타단부를 프레임(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연결부재에 걸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근력운동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등에 도시된, 실시례의 근력운동장치는 상기 벨트(25)가 상기 구동축(24)에 일정 정도 감겨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벨트(25)를 당기면 벨트(25)가 구동축(24)에서 풀려 나오면서 구동축(24)을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축(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관성회전체(26)가 회전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운동부하가 제공된다.
상기 벨트(25)가 구동축(24)에서 다 풀리고 나더라도 상기 제1관성회전체(26)가 계속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대방향으로 벨트(25)가 구동축(24)에 감겨지고, 벨트(25)가 구동축(24)에 감겨지기 시작하면 벨트(25)가 상기 중앙롤러쌍(38) 사이로 들어가면서 운동부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벨트(25)가 구동축(24)에 감겨져서 상기 중앙롤러쌍(38) 사이로 일정 이상 들어가면 사용자가 벨트(25)를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구동축 (24)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관성회전체(26)도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운동부하가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운동은 사용자가 상기 벨트(25)가 구동축(24)에서 다 풀어지도록 당겨낼 때까지 계속되고, 벨트(25)가 구동축(24)에서 다 풀어지고 나면 상기 제1관성회전체(26)의 회전관성에 의해 계속 같은 방향으로 구동축(24)이 회전하면서 구동축(24)에 다시 벨트(25)가 감겨지게 된다. 상기 벨트(25)가 감겨지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는 운동부하가 작용하게 되고, 벨트(25)가 일정 정도까지 구동축(24)에 감겨질 때까지 이러한 운동은 계속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25)가 상기 구동축(24)에 일정 정도까지 감겨지면 사용자가 다시 벨트(25)를 당기면서 운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는 벨트(25)를 당기면서 운동부하를 받고, 벨트(25)가 구동축(24)에 감기는 과정에서 반대방향의 운동부하를 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종동기어(30), 종동축(32), 제2관성회전체(34)등은 없을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축(24)에 있는 제1관성회전체(26)만을 사용하여 운동부하를 제공받는 것이다. 하지만, 보다 쉽게 그리고 보다 넓은 운동부하의 범위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위의 종동기어(30), 종동축(32), 제2관성회전체(34)등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관성회전체(34)까지도 사용하려면, 상기 구동기어(28)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기어(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구동기어(28)와 종동기어(30)가 직접 연결되어 있어, 제2관성회전체(34)까지도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구동기어(28)와 종동기어(30) 사이에 연결기어를 두어 상기 연결기어가 상기 구동기어(28) 및 종동기어(30)와 동시에 맞물리거나 분리되게 레버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구동기어(28)의 동력이 종동기어(30)로 전달되도록 하면 제2관성회전체(34)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근력운동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도 7에서 도 9에 잘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에는 상기 벨트(25)가 상기 중앙롤러쌍(38)을 통해서 상부로 연장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바닥판(36)에 선 상태에서 벨트(25)를 당기고 놓으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단부롤러쌍(40)에 벨트(25)가 걸어감아지도록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중앙롤러쌍(38) 사이로 나온 벨트(25)를 좌측 단부롤러쌍(40)의 사이로 들어가게 해서 좌측 단부롤러쌍(40)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있는 롤러를 둘러 감아서 다시 중앙쪽으로 연장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바닥판(36) 상에 앉아서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9에는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있는 단부롤러쌍(40)에 벨트(25)가 걸어감아지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서 중앙롤러쌍(38)의 사이로 나온 벨트(25)를 우측 단부롤러쌍(40) 사이로 들어가게 해서 우측 단부롤러쌍(40)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있는 롤러를 둘러 감아서 다시 중앙족으로 연장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벨트(25)의 타단부를 프레임(10)의 일측에 후크(45)를 사용하여 걸고, 상기 중앙롤러쌍(38)을 통과하여 나온 부분과 상기 후크(45) 사이 부분을 도르레(43)에 걸어감고 손잡이(42)를 당기고 놓는 방식으로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위에서도 설명되었듯이, 상기 구동기어(28), 종동기어(30), 종동축(32), 제2관성회전체(34)가 사용되지 않는 실시례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관성회전체(34)를 반드시 사용하지 않고 필요시에만 사용하도록 상기 구동기어(28)와 종동기어(30) 사이에 연결기어를 두고 상기 연결기어의 위치를 레버로 조작하여 구동기어(28)와 종동기어(30) 사이의 동력전달을 연결하고 분리해서 제2관성회전체(34)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10: 프레임 11: 제1단부
11': 제2단부 12: 레그부
13: 레그지지판 14: 연결부
16: 지지부 18: 연결바아
20: 벨트보빈 22: 감지모듈
24: 구동축 24': 베어링
25: 벨트 26: 제1관성회전체
28: 구동기어 30: 종동기어
32: 종동축 32': 베어링
34: 제2회전관성체 36: 바닥판
38: 중앙롤러쌍 40: 단부롤러쌍

Claims (8)

  1.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외면에 감겨지고 풀어지는 벨트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가 풀어지고 감겨지는 동작을 위한 관성력과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제1관성회전체와,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 양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에 감겨진 벨트의 타단부가 통과하며 상기 벨트의 이동동작을 안내하는 중앙롤러쌍과,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롤러쌍을 통과하여 나온 벨트를 선택적으로 걸어감아 이동을 안내하는 단부롤러쌍을 포함하는 근력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는 각각 레그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레그부는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중앙롤러쌍과 단부롤러쌍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근력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롤러쌍을 구성하는 롤러들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단부롤러쌍을 구성하는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되는 근력운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서 상기 레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바닥판이 안착되는 근력운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일단부가 연결된 벨트의 타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걸고, 상기 중앙롤러쌍을 통과하여 나온 부분에 운동용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벨트를 당기고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축이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축에는 제2관성회전체가 구비되어 관성력과 운동부하를 제공하는 근력운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사이에는 연결기어가 더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력이 상기 종동기어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근력운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아에는 상기 구동축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모듈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벨트보빈과 상기 연결바아 사이에 상기 감지모듈이 구비되는 근력운동장치.
KR1020200022734A 2020-02-25 2020-02-25 근력운동장치 KR10234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734A KR102340836B1 (ko) 2020-02-25 2020-02-25 근력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734A KR102340836B1 (ko) 2020-02-25 2020-02-25 근력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041A true KR20210108041A (ko) 2021-09-02
KR102340836B1 KR102340836B1 (ko) 2021-12-20

Family

ID=7779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734A KR102340836B1 (ko) 2020-02-25 2020-02-25 근력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8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768A (en) 1872-07-09 Improvement in beer and water coolers
KR200324294Y1 (ko) 2003-05-14 2003-08-25 김기범 복부와 하체 운동기구
US20110287910A1 (en) * 2010-05-21 2011-11-24 Holly Ladd Upper Body Exercise Apparatus for Stationary Bike
JP2011255139A (ja) * 2010-06-09 2011-12-22 Higashida Shoko Kk ワイヤロープの調整体、及び該調整体を用いた移動システム
KR101759441B1 (ko) 2016-06-02 2017-07-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관성을 이용한 근력운동장치 및 그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
US9974998B2 (en) 2016-03-30 2018-05-22 Larry D. Miller Trust Exercise device with elliptical stepping motion
KR101954967B1 (ko) 2017-11-14 2019-05-23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근력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768A (en) 1872-07-09 Improvement in beer and water coolers
KR200324294Y1 (ko) 2003-05-14 2003-08-25 김기범 복부와 하체 운동기구
US20110287910A1 (en) * 2010-05-21 2011-11-24 Holly Ladd Upper Body Exercise Apparatus for Stationary Bike
JP2011255139A (ja) * 2010-06-09 2011-12-22 Higashida Shoko Kk ワイヤロープの調整体、及び該調整体を用いた移動システム
US9974998B2 (en) 2016-03-30 2018-05-22 Larry D. Miller Trust Exercise device with elliptical stepping motion
KR101759441B1 (ko) 2016-06-02 2017-07-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관성을 이용한 근력운동장치 및 그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
KR101954967B1 (ko) 2017-11-14 2019-05-23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근력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836B1 (ko)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7239B1 (en) Vertical swim trainer
US8025608B2 (en) Continuous rope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6328677B1 (en) Simulated-kayak, upper-body aerobic exercise machine
US9254409B2 (en) Strength training apparatus with flywheel and related methods
US5195937A (en) Multi-exercise apparatus
US3851874A (en) Push-pull type exercising device
US6811520B2 (en) Magnetic control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with double cable sheave
US20150065305A1 (en) Recumbent step exerciser with self-centering mechanism
KR101375810B1 (ko) 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부하 제어 장치
CA2991929A1 (en) Strength training device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 clutch apparatus
EP2769753A1 (en) Total body exercise equipment
US20220184452A1 (en) Floor-based exercise machine configurations
JPWO2005097266A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759441B1 (ko) 회전관성을 이용한 근력운동장치 및 그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
TWM541876U (zh) 具多種運動模式與感測功能之划船模擬訓練器
JPH07227439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2340836B1 (ko) 근력운동장치
KR101954967B1 (ko) 근력운동장치
WO1992000780A1 (en) Exercising apparatus
KR101891723B1 (ko) 운동기구
US20220362620A1 (en) Rally fitness equipment
KR101851103B1 (ko) 저항력 조절이 가능한 운동기구
TWI604873B (zh) Boating simulation trainer with many sport modes and sensing functions
KR20190036397A (ko) 근력운동장치
TWM523487U (zh) 兼具藍芽與調整阻力功能之划船模擬訓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