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514A -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 Google Patents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514A
KR20210107514A KR1020200091816A KR20200091816A KR20210107514A KR 20210107514 A KR20210107514 A KR 20210107514A KR 1020200091816 A KR1020200091816 A KR 1020200091816A KR 20200091816 A KR20200091816 A KR 20200091816A KR 20210107514 A KR20210107514 A KR 20210107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er
rack gear
unit
housing
lif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경석
Original Assignee
장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석 filed Critical 장경석
Priority to KR102020009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514A/en
Publication of KR2021010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5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lift apparatus for fry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lift apparatus (100) for fryers comprises: an elevation unit (110) elevating with respect to an oil tank provided in a fryer (200); a driving unit (120) elevating the lifting unit (110); a housing (130) in which the lifting unit (110) and the driving unit (120) are installed; and a coupling unit (14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The coupling unit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yer (200) to fix the housing (130) to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Accordingly, the lift apparatus (10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fryers (200) at a low cost.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Removable lift device for fryer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튀김기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저비용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lifter for a f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lifter for a fryer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conventional fryer,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easily at low cost, and works stably and efficiently is about

일반적으로, 튀김기는 튀김재료를 고온의 기름에 넣고 튀겨서 익히는 장치이다. 튀김기는 기름을 담을 수 있는 일정체적의 유조를 구비한다.In general, a fryer is a device for frying frying materials in high temperature oil. The fryer has an oil tank of a certain volume that can contain oil.

튀김조리는 튀김기의 유조에 기름을 부어 가열하고 가열된 기름에 튀김재료를 넣어 튀긴 후에 튀김망으로 건져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Tempura cooking can be performed by pouring oil into the oil tank of the fryer, heating it, putting the frying material in the heated oil, frying it, and then pulling it out with a frying net.

이 때에, 조리자가 직접 튀김재료를 튀기거나 튀김망을 사용해야만 한다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타이밍을 놓쳐 튀김조리를 실패할 수 있다. 또한, 기름의 온도가 높아 화상 등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기화된 기름 흡입으로 인해 조리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ook has to fry the ingredients for frying or use a frying net, it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the timing may be missed and frying may fail. In addition, the high temperature of the oil may cause an accident such as burns, and may harm the health of the cook due to inhalation of the vaporized oil.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튀김재료를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는 튀김기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related to a fryer capable of automatically cooking frying materials has been developed.

국내등록특허 제10-1626499호의 '튀김장치'는 조리유가 수용되는 유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조리유를 가열하는 히터부 및 식품이 수용되고, 유조에 투입되어, 가열된 조리유에 의한 식품 조리시 식품의 기립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튀김망부를 포함하고, 상기 튀김망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승강부에 의해 상기 유조로 투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ying devic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26499 includes a housing provided with an oil tank in which cooking oil is accommodated, a heater unit for heating the cooking oil contained in the housing, and food are accommodated, put into the oil tank, and heated. It includes a frying net portion for maintaining an erected state of the food when cooking food by oil, wherein the frying ne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r withdrawal into the oil tank by the lift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하지만, 종래의 선행기술은 튀김기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튀김기용 리프트장치를 개시하지 않는다.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lift device for a fryer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fryer.

또한, 종래의 리프트장치는 구성 및 동작이 복잡하고 제작이 까다롭고 소음 발생이 심하고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ift apparatus has problems in tha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complicated, manufacturing is difficult, noise is severe, and malfunctions occur frequentl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튀김기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저비용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a detachable fryer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conventional fryer,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easily at low cost, and operates stably and efficient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튀김기(200)에 구비된 유조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부(110); 상기 승강부(11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120); 상기 승강부(110) 및 상기 구동부(120)가 설치되는 하우징(130); 및 상기 하우징(130)에 구비되는 결합부(140);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ing unit 110 for elevating with respect to the oil tank provided in the fryer 200; a driving unit 120 for elevating the lifting unit 110; a housing 130 in which the lifting unit 110 and the driving unit 120 are installed; and a coupling part 14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provides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100 comprising a.

상기 결합부(140)는 튀김기(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30)을 튀김기(200)의 일면에 고정시킨다.The coupling unit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yer 200 to fix the housing 130 to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는 걸림구조를 가진다.The coupling portion 140 has a locking structure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30 and is bent downward.

상기 결합부(140)가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지점에는 하우징(130)을 상기 튀김기(20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144)가 구비된다.A spacer 144 for separating the housing 130 from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is provided at a protrusion point at which the coupling unit 140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30 .

상기 하우징(130)의 상단에는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110)는 상기 관통공(132)을 관통하여 배치된다.A through hole 13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 and the lifting unit 110 is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32 .

상기 하우징(130)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롤러(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150)의 롤러(152)는 상기 승강부(110)의 승강에 따라 회전한다.A first support part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including a roller 152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 and the roller 152 of the first support part 150 is provided. ) rotates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lifting unit 110 .

상기 제1지지부(150)는 복수 개의 롤러(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support part 1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152 .

상기 복수 개의 롤러(152)는 상기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rollers 152 are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

상기 승강부(110)는 일면에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모듈(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fting unit 110 includes a rack gear module 112 having a rack gea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랙기어모듈(112)과 맞물려 배치되는 피니언기어(122) 및 상기 피니언기어(1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120 includes a pinion gear 122 that is disposed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a motor 124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gear 122 .

상기 랙기어모듈(112)이 피니언기어(122)와 결합되는 결합지점(A)의 주변에는 랙기어모듈(112)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60)가 구비된다.A second support unit 160 for supporting the rack gear module 112 is provided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t which the rack gear module 112 is coupled to the pinion gear 122 .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상기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배치되는 롤러(1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160)의 롤러(162)는 상기 랙기어모듈(112)의 승강에 따라 회전한다.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ller 162 disposed opposite to the pinion gear 122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module 112 , and a roller 162 of the second support unit 160 . rotates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rack gear module 112 .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상기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상하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1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162)는 상기 랙기어모듈(112)의 승강에 따라 회전한다.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162 arranged vertically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inion gear 122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module 112 ,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162 . ) rotates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rack gear module 112 .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상기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브레킷(1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racket 164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ne surface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결합지점(A)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브레킷(1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racket 164 surrounding at least one sid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ound the coupling point (A).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결합지점(A)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과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상기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제3프레임(16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레킷(164)을 포함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160 is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nd the coupling point (A)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 It includes a bracket 164 comprising a third frame 168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one surface.

상기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은 상기 롤러(162)가 배치된 위치까지 연장형성되고, 상기 롤러(162)의 회전축은 상기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에 결합된다.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are formed to extend to a position where the roller 162 is disposed,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ller 162 is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 ) is bound 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우징(130)에 구비된 결합부(140)가 튀김기(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30)을 튀김기(200) 일면에 고정시킴으로써, 기존의 튀김기(200)에 리프트장치(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rt 14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yer 200 to fix the housing 130 to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so that the existing fryer ( 200), the lift device 100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low co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140)가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는 걸림구조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튀김기(200)에 리프트장치(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locking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140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30 and is bent downward, the lift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fryer 200 at low cost. can be installed easily wi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140)가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지점에는 하우징(130)을 튀김기(20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144)가 구비됨으로써, 튀김기(200)의 열이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r 144 that separates the housing 130 from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is provided at the protruding point at which the coupling part 140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30, By preventing the heat of the fryer 20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ryer lift device 100 ,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fryer lift device 1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1롤러(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부(150)가 하우징(130)의 상단에 구비됨으로써, 하우징(130)의 상단에서 승강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1롤러(152)의 회전에 의해 승강 시 흔들림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art 150 including the first roller 152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so that the housing 130 ) can be stably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unit 110 , and vibration or noise can be reduced during elevating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152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제1롤러(152)가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승강부(1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튀김재료의 중량에 의해 승강부(1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irst rollers 152 are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so that the lifting unit 11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and the weight of the frying material By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unit 110 from being inclined to one 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랙기어모듈(112)이 피니언기어(122)와 결합되는 결합지점(A)의 주변에 랙기어모듈(112)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60)가 구비됨으로써, 랙기어모듈(112)과 피니언기어(122)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결합지점(A)은 하우징(130) 상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결합지점(A) 주변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160)와 하우징(130) 상단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50)가 서로 멀리 떨어진 승강부(110)의 두 지점을 지지하여 승강부(11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아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for supporting the rack gear module 112 is provided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t which the rack gear module 112 is coupled to the pinion gear 122, Since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the pinion gear 122 can be stably coupled, the fryer lift device 100 can operate stably and efficiently. 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point (A) is inevitably far away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the second support unit 160 provided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nd the first support unit 15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are By supporting two points of the lifting unit 110 that are far away from each other, the lifting unit 110 does not shake or incline, so that the fryer lift device 100 can operate stab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160)가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배치되는 롤러(16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랙기어모듈(112)과 피니언기어(122)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승강 시 승강부(11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ncludes the pinion gear 122 and the roller 162 disposed opposite to the rack gear module 112, so that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Since the pinion gear 122 can be stably coupled and the lifting unit 110 does not swing or inc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lifting or lowering, the fryer lift device 100 can operate stab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160)가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상하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16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랙기어모듈(112)과 피니언기어(122)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승강 시 승강부(11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162 arranged vertically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inion gear 122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module 112, so that the rack Since the gear module 112 and the pinion gear 122 can be stably coupled and the lifting unit 110 does not swing or inc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lifting or lowering, the fryer lift device 100 can operate stably and efficiently.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160)는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모듈(112)의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브레킷(164)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승강 시 승강부(11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보다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ncludes a bracket 164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n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on which the rack gear is formed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 By including, the lifting unit 110 does not shake or inc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lifting, so that the fryer lift device 100 can operate more stab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160)는 상기 결합지점(A)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브레킷(164)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승강 시 승강부(11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보다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racket 164 surrounding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ound the coupling point A, so that when elevating or lowering the unit 160 . Since the part 110 is not shaken or til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lift device 100 for a fryer can operate more stab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160)는 결합지점(A)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과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모듈(112)의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제3프레임(16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레킷(164)을 포함함으로써, 승강 시 승강부(110)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승강부(11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보다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art 160 is a first frame 166 and a second frame 167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nd the coupling point ( By including a bracket 164 comprising a third frame 168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on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on which the rack gear is formed with reference to A), the lifting unit Since the lifting unit 110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place without being shaken or inclined in the front-rear and left-right directions, the lift device 100 for the fryer can operate more stab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은 제2롤러(162)가 배치된 위치까지 연장형성되고, 제2롤러(162)의 회전축은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에 결합됨으로써, 제2지지부(160)를 저비용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are formed to extend to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roller 162 is disposed,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ller 162 is the first frame ( 166) and by being coupled to the second frame 167, the second support unit 160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easily at low cost.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가 튀김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의 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achable lift device for a f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ryer.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firs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secon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substituting or adding the configuration of any one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other embodiments to each other or substitutes.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In the drawing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size or thickness may be exaggeratedly large or small,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s, consists of, etc.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That is,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and consist 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below"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as well as dispos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disclo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가 튀김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achable lift device for a f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ryer.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는 결합부(140)를 통해 튀김기(200)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1 to 2 , the detachable lift device 100 for a f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through the coupling unit 140 to be fixed.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의 승강부(11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승강부(110)의 일단에는 걸이부(18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걸이부(180)에는 튀김망(미도시됨)이 설치될 수 있다.The lifting unit 110 of the lift device 100 for a fryer can move up and down, and a hook 180 can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lifting unit 110, and a frying net (not shown) on the hook 180. This can be installed.

튀김기(200)에는 기름을 담을 수 있는 유조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부(110)의 승강에 따라 걸이부(180)에 설치된 튀김망(미도시됨)은 유조에 투입되거나 빼내어질 수 있다.The fryer 200 may be provided with an oil tank capable of containing oil. The frying net (not shown) installed on the hook 180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elevator 110 may be put into or taken out of the oil tank.

이하,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lift device 100 for a fry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의 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는 승강부(110), 구동부(120), 하우징(130), 결합부(140), 제1지지부(150), 제2지지부(160) 및 제2결합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6 , the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100 includes a lifting unit 110 , a driving unit 120 , a housing 130 , a coupling unit 140 , a first support unit 150 , and a seco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portion 16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70).

[승강부][Elevato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더 참조하면, 승강부(110)는 하우징(130)에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고 구동부(120), 제1지지부(150) 및 제2지지부(16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110)는 랙기어모듈(112) 및 원통형모듈(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7 , the lifting unit 110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housing 130 , and may be coupled to the driving unit 120 , the first supporting unit 150 , and the second supporting unit 160 . In addition, the lift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ack gear module 112 and a cylindrical module 114 .

랙기어모듈(112)은 상하로 길이가 긴 기둥 형상에 해당할 수 있고 길이방향의 면이 서로 각지도록 형성된 다각기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랙기어모듈(112)은 길이가 긴 사각기둥 형상에 해당할 수 있다.The rack gear module 112 may correspond to a vertical column shape, and may correspond to a polygonal column in which longitudinal surfaces are angl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to 7 , the rack gear module 112 may have a long rectangular prism shape.

이와 같이, 랙기어모듈(112)의 길이방향의 면이 서로 각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승강부(11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랙기어모듈(112)과 피니언기어(122)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걸이부(180)에 설치되는 튀김망(미도시됨)이 잘못된 위치로 투입되거나 빼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ngitudinal surfaces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e formed to be angl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lifting unit 110 from rotating in place, and thus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the pinion gear 122 . can be stably bou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ying net (not shown) installed on the hook unit 180 coupled to one end of the lifting unit 110 from being put in or taken out in an incorrect position.

랙기어모듈(112)의 일면에는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랙기어모듈(112)은 일면에 형성된 랙기어가 구동부(120)의 피니언기어(122)와 맞물리도록 구동부(12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A rack gear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 The rack gear module 112 may be disposed around the driving unit 120 so that the rack gear formed on one surface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22 of the driving unit 120 .

또한, 랙기어모듈(112)의 상단은 원통형모듈(114)과 결합될 수 있고, 랙기어모듈(112)은 후술할 제2지지부(160)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end of the rack gear module 112 may be coupled to the cylindrical module 114 , and the rack gear module 112 may be coupled to a second support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랙기어모듈(112)은 피니언기어(12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승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랙기어모듈(112)과 결합된 원통형모듈(114)을 승강시켜 승강부(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걸이부(180, 도 1 및 도 2)에 설치되는 튀김망(미도시됨)을 튀김기(200)에 구비된 유조에 투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The rack gear module 112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122 , and accordingly, the cylindrical module 114 coupled with the rack gear module 112 is raised and lowered to raise and lower one end of the lifting unit 110 . A frying net (not shown) installed on the hook unit 180 ( FIGS. 1 and 2 ) coupled to the .

원통형모듈(114)은 상하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에 해당할 수 있고 원통형모듈(114)의 상부는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모듈(114)의 일단은 랙기어모듈(112)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하방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모듈(114)은 후술할 제1지지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원통형모듈(114)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cylindrical module 114 may correspond 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vertical length,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module 114 may be bent forward. One end of the cylindrical module 11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ack gear module 112 , and the other end may be bent downward. In addition, the cylindrical module 114 may be coupled to a first support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cylindrical module 114 may have a hollow formed therein.

이와 같이, 원통형모듈(114)이 원통형상에 해당함으로써, 승강부(110)의 승강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므로 승강부(110) 또는 하우징(130) 등이 손상되지 않아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ylindrical module 114 corresponds to a cylindrical shape, the lifting unit 110 is smoothly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lifting unit 110 or the housing 130 is not damaged. can be improved and noise can be reduced.

또한, 원통형모듈(114)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됨으로써, 자중이 감소하여 승강시 소비되는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ylindrical module 114 has a hollow inside, its own weight is reduced, so that energy consumed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can be reduced.

[구동부][drive part]

구동부(120)는 하우징(130) 내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랙기어모듈(112)과 맞물려 배치되는 피니언기어(122, 도 5) 및 피니언기어(1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20 may be installed by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30 . The driving unit 120 may include a pinion gear 122 ( FIG. 5 ) disposed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a motor 124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gear 122 .

구동부(120)는 피니언기어(12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랙기어모듈(112)을 승강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120 may raise and lower the rack gear module 112 by rotating the pinion gear 122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하우징][housing]

하우징(130) 내측에는 승강부(110) 및 구동부(120)가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130) 외측에는 결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The lifting unit 110 and the driving unit 1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30 , and the coupling unit 14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130 .

하우징(130)의 상단에는 승강부(110)가 관통하는 관통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0)의 상단내측에는 제1지지부(150)가 구비될 수 있고 내측에 제2지지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A through hole 132 through which the lifting unit 110 passes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1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30 .

[결합부][joint par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더 참조하면, 결합부(140)는 하우징(13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결합부(140)는 하우징(1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140)는 하우징(13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8 , the coupling part 140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30 .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coupling unit 1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30 . The coupling part 140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housing 130 and be bent downward.

또한, 결합부(140)는 하우징(130)의 전면과 결합되는 결합면(142), 결합면(14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절곡형성되고 튀김기(200)와 결합되는 돌출부 및 돌출지점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140 is formed with a coupling surface 142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30, bent downward by protruding forward from the coupling surface 142, and coupled to the fryer 200 and at the protrusion poi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pacer 144 provided.

스페이서(144)는 돌출부의 돌출지점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면(142) 및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pacers 144 may be formed at the protrusion point of the protrusion and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142 and the protrusion.

결합부(140)는 튀김기(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30)을 튀김기(200) 일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스페이서(144)는 하우징(130)을 튀김기(20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스페이서(1440)에 의해, 하우징(130) 전면은 튀김기(200) 일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The coupling unit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yer 200 to fix the housing 130 to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 At this time, the spacer 144 may separate the housing 130 from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 That is, by the spacer 1440, the housing 130 front surface may not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ryer 200 one surface.

이와 같이, 하우징(130)에 구비된 결합부(140)가 튀김기(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30)을 튀김기(200) 일면에 고정시킴으로써, 기존의 튀김기(200)에 리프트장치(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upling unit 14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yer 200 to fix the housing 130 to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thereby providing a lift device to the existing fryer 200 ( 100) can be easily installed at low cost.

또한, 결합부(140)가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는 걸림구조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튀김기(200)에 리프트장치(100)를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portion 140 has a locking structure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30 and is bent downward, the lift device 10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fryer 200 at low cost. .

또한, 결합부(140)가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지점에는 하우징(130)을 튀김기(20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144)가 구비됨으로써, 튀김기(200)의 열이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a spacer 144 for separating the housing 130 from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is provided at the protruding point at which the coupling portion 140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30 , so that the heat of the fryer 20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lift device 100 for the fryer by preventing i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ift device 100 for the fryer.

또한, 스페이서(144)는 하우징(130)의 전면과 결합되는 결합면(142) 및 결합면(14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결합됨으로써, 결합부(140)가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의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r 144 is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142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30 and the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coupling surface 142 , so that the coupling part 140 is a fryer lift device 100 .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the weight of the chair.

[제1지지부][First support part]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a firs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더 참조하면, 제1지지부(150)는 한 개 이상의 제1롤러(152) 및 지지프레임(1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9 and 10 , the first support part 150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rollers 152 and a support frame 154 .

제1롤러(152)는 하우징(130)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13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롤러(152)는 하우징(130)의 상단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oller 15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 Specifically, the first roller 152 may be dispos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

또한, 복수 개의 제1롤러(152)는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rollers 152 may be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

제1롤러(152)는 승강부(110)와 접촉할 수 있고 승강부(110)의 승강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roller 152 may be in contact with the lifting unit 110 and may rotate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unit 110 .

지지프레임(154)은 하우징(130)의 상단 및 제1롤러(152)와 결합되어 제1롤러(152)를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5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and the first roller 152 to support the first roller 152 .

이와 같이,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1롤러(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부(150)가 하우징(130)의 상단에 구비됨으로써, 하우징(130)의 상단에서 승강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1롤러(152)의 회전에 의해 승강 시 흔들림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pport part 150 including the first roller 152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is raised and lowered. The part 11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shaking or noise can be reduced when lifting and lowering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152 .

또한, 복수 개의 제1롤러(152)가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승강부(1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튀김재료의 중량에 의해 승강부(1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first rollers 152 are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the lifting unit 11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and the lifting unit 110 by the weight of the frying material. )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to one side.

[제2지지부][Second support part]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secon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더 참조하면, 제2지지부(160)는 랙기어모듈(112)이 피니언기어(122)와 결합되는 결합지점(A)의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160)는 한 개 이상의 제2롤러(162) 및 브레킷(1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1 and 12 , the second support part 160 may be provided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t which the rack gear module 112 is coupled to the pinion gear 122 . Also, the second support unit 160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 rollers 162 and a bracket 164 .

제2롤러(162)는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roller 162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pinion gear 122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module 112 .

또한, 복수 개의 제2롤러(162)는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상하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한 개의 제2롤러(162)는 피니언기어(12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한 개의 제2롤러(162)는 피니언기어(122)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rollers 162 may be vertically aligned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pinion gear 122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module 112 . At this time, one second roller 162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pinion gear 122 , and the other second roller 162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pinion gear 122 .

제2롤러(162)는 랙기어모듈(112)과 접촉할 수 있고 랙기어모듈(112)의 승강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roller 162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may rotate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rack gear module 112 .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3 to 1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5를 더 참조하면, 브레킷(164)은 제1브레킷부(164a) 및 제2브레킷부(16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1브레킷부(164a) 및 제2브레킷부(164b)가 결합(도 15)한 형상에 해당할 수 있다.13 to 15 , the bracket 164 may include a first bracket part 164a and a second bracket part 164b, and a first bracket part 164a and a second bracket part (164b) may correspond to a combined shape (FIG. 15).

브레킷(164)은 결합지점(A, 도 11)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과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모듈(112)의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제3프레임(16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racket 164 is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ound the coupling point (A, FIG. 11) and the rack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frame 168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n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on which the gear is formed.

여기에서, 랙기어모듈(112)의 양쪽 측면은 랙기어모듈(112)의 길이방향의 면들 중에서 랙기어가 형성된 일면 및 그 반대편의 면(제2롤러와 접촉하는 면)을 제외한 면들 전체 또는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Here, both sides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e all or part of the surfaces of the rack gear module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cept for the one surface on which the rack gear is formed and the opposite surface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ller). can mean

제1프레임(166) 및 제3프레임(168)은 제1브레킷부(164a)에 형성될 수 있고 제2프레임(167)은 제2브레킷부(164b)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166 and the third frame 168 may be formed on the first bracket portion 164a, and the second frame 167 may be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portion 164b.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은 제2롤러(162)가 배치된 위치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고 제2롤러(162)의 회전축은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에 형성된 홀(165a, 165b)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may be formed to extend to a position where the second roller 162 is disposed,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roller 162 is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 It may be coupled to the holes 165a and 165b formed in the 167 .

브레킷(164)은 결합지점(A)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양측면과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모듈(112)의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킷(164)은 제2롤러(162)를 지지할 수 있다.The bracket 164 is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n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in which the rack gear is formed with respect to both sides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nd the coupling point A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 can support In addition, the bracket 164 may support the second roller 162 .

한편, 제2브레킷부(164b)는 하우징(13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에, 제2브레킷부(164b)의 제2프레임(167) 부분은 랙기어모듈(112)의 측면과 접촉하고 제2프레임(167)으로부터 피니언기어(122) 쪽으로 연장형성된 부분은 구동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브레킷부(164b)는 랙기어모듈(112)을 지지하는 동시에 구동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bracket part 164b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30 . At this time, the second frame 167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portion 164b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 and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frame 167 toward the pinion gear 122 is the driving unit 120 . ) can be combined with Accordingly, the second bracket unit 164b may support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the driving unit 120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이, 랙기어모듈(112)이 피니언기어(122)와 결합되는 결합지점(A)의 주변에 랙기어모듈(112)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60)가 구비됨으로써, 랙기어모듈(112)과 피니언기어(122)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upport unit 160 for supporting the rack gear module 112 is provided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t which the rack gear module 112 is coupled to the pinion gear 122 , so that the rack gear module 112 is provided. ) and the pinion gear 122 can be stably coupled, so that the fryer lift device 100 can operate stably and efficiently.

또한, 결합지점(A)은 하우징(130) 상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결합지점(A) 주변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160)와 하우징(130) 상단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50)가 서로 멀리 떨어진 승강부(110)의 두 지점을 지지하므로 승강부(11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아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oint (A) is bound to be far away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Therefore, since the second support part 160 provided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nd the first support part 150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support the two points of the lifting part 110 that are far away from each other, the lifting unit ( 110) is not shaken or tilted, so that the lift device 100 for a fryer can operate stably and efficiently.

또한, 제2지지부(160)가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배치되는 롤러(16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랙기어모듈(112)과 피니언기어(122)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승강 시 승강부(11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ller 162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inion gear 122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module 112, so that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the pinion gear 122 are Since it can be coupled stably and the lifting unit 110 does not shake or inc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lifting or lowering, the lift device 100 for the fryer can operate stably and efficiently.

또한, 제2지지부(160)가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상하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162)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랙기어모듈(112)과 피니언기어(122)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승강 시 승강부(11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162 arranged vertically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inion gear 122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module 112, so that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Since the pinion gear 122 can be stably coupled and the lifting unit 110 does not swing or inc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lifting or lowering, the fryer lift device 100 can operate stably and efficiently.

또한, 한 개의 제2롤러(162)는 피니언기어(122)보다 높게 배치되고 다른 한 개의 제2롤러(162)는 피니언기어(122)보다 낮게 배치됨으로써, 랙기어모듈(112)과 피니언기어(122)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승강 시 승강부(11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보다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econd roller 162 is disposed higher than the pinion gear 122 and the other second roller 162 is disposed lower than the pinion gear 122, so that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the pinion gear ( 122) can be coupled more stably and the lifting unit 110 does not shake or incline when elevating, so that the fryer lift device 100 can operate more stably and efficiently.

또한, 제2지지부(160)는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모듈(112)의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브레킷(164)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승강 시 승강부(11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보다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ncludes a bracket 164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n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on which the rack gear is formed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 thereby elevating and lowering the second support unit 160 . Since the lifting unit 110 does not shake or inc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ift device 100 for a fryer can operate more stably and efficiently.

또한, 제2지지부(160)는 상기 결합지점(A)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브레킷(164)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승강 시 승강부(11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보다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racket 164 surrounding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ound the coupling point A, so that the lifting unit 110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en lifting. Since it is not shaken or tilted in the direction, the lift device 100 for a fryer can operate more stably and efficiently.

또한, 제2지지부(160)는 결합지점(A)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과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모듈(112)의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제3프레임(16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레킷(164)을 포함함으로써, 승강 시 승강부(110)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승강부(11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보다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nd the rack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 By including a bracket 164 comprising a third frame 168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on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on which the gear is formed, the lifting unit 110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lifting. And since the lifting unit 110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place without shaking or til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ift device 100 for the fryer can operate more stably and efficiently.

또한,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은 제2롤러(162)가 배치된 위치까지 연장형성되고, 제2롤러(162)의 회전축은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에 결합됨으로써, 제2지지부(160)를 저비용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are formed to extend to a position where the second roller 162 is disposed,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roller 162 is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By being coupled to the 167, the second support 160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easily at low cost.

또한, 브레킷(164)을 구성하는 제2브레킷부(164b)의 제2프레임(167) 부분은 랙기어모듈(112)의 측면과 접촉하고 제2프레임(167)으로부터 피니언기어(122) 쪽으로 연장형성된 부분은 구동부(120)와 결합함으로써, 제2브레킷부(164b)가 랙기어모듈(112)을 지지하는 동시에 구동부(120)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리프트장치(100)의 부품 개수를 감소시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를 저비용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rame 167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portion 164b constituting the bracket 164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from the second frame 167 to the pinion gear 122 side. By combining the extended portion with the driving unit 120, the second bracket unit 164b can support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the driving unit 120 at the same tim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of the lift device 100. The lift device 100 for a fryer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easily at low cost.

또한, 제2브레킷부(164b)가 랙기어모듈(112)과 구동부(120)를 함께 지지함으로써, 랙기어모듈(112)과 피니언기어(122)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가 안정적,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bracket unit 164b supports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the driving unit 120 together,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the pinion gear 122 can b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100) can work stably and efficiently.

[제2결합부][Second coupling part]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사시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더 참조하면, 제2결합부(170)는 하우징(13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결합부(170)는 하우징(1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부(170)는 하우징(13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16 , the second coupling part 170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30 .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second coupling part 170 may be provided under the housing 130 . The second coupling part 170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housing 130 and be bent downward.

제2결합부(170)의 일면은 하우징(130)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고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면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면은 튀김기(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7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30 , and a protruding surface protruding forward or a curved surface bent downwar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yer 200 .

이와 같이, 하우징(130)에 구비된 제2결합부(170)가 제1결합부(140)와 함께 튀김기(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30)을 튀김기(200) 일면에 고정시킴으로써, 기존의 튀김기(200)에 리프트장치(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7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yer 200 together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0 to fix the housing 130 to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 ,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install the lift device 100 in the conventional fryer 200 .

[제어부][control unit]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는 제어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제어부(미도시됨)는 구동부(120)와 연결될 수 있고 구동부(120)에 포함된 모터(124) 및 피니언기어(122)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미도시됨)의 제어에 의해, 피니언기어(12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부(110)는 상승할 수 있고 피니언기어(12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부(110)는 하강할 수 있다.A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20 and may control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motor 124 and the pinion gear 122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120 .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not shown), when the pinion gear 122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ifting unit 110 can rise, and when the pinion gear 122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lifting unit 110 . can descend.

또한, 제어부(미도시됨)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리시간을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조리시간이 경과하면 승강부(110)를 자동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receive and store the cooking time input from the user, and may automatically raise the elevator 110 when the stored cooking time elaps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
110: 삽입홈
112: 랙기어모듈 114: 원통형모듈
120: 구동부
122: 피니언기어 124: 모터
130: 하우징 132: 관통공
140: 결합부
142: 결합면 144: 스페이서
150: 제1지지부
152: 제1롤러 154: 지지프레임
160: 제2지지부
162: 제2롤러 164: 브레킷
165: 홀 166: 제1프레임
167: 제2프레임 168: 제3프레임
170: 제2결합부
200: 튀김기
100: a lift device for a detachable fryer
110: insertion groove
112: rack gear module 114: cylindrical module
120: driving unit
122: pinion gear 124: motor
130: housing 132: through hole
140: coupling part
142: coupling surface 144: spacer
150: first support
152: first roller 154: support frame
160: second support
162: second roller 164: bracket
165: hole 166: first frame
167: second frame 168: third frame
170: second coupling part
200: fryer

Claims (9)

튀김기(200)에 구비된 유조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부(110);
상기 승강부(11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120);
상기 승강부(110) 및 상기 구동부(120)가 설치되는 하우징(130); 및
상기 하우징(130)에 구비되는 결합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40)는 튀김기(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30)을 튀김기(200)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
Elevating unit 110 for elevating with respect to the oil tank provided in the fryer (200);
a driving unit 120 for elevating the lifting unit 110;
a housing 130 in which the lifting unit 110 and the driving unit 120 are installed; and
Including; a coupling part 140 provided in the housing 130;
The coupling unit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yer 200 to fix the housing 130 to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는 걸림구조를 갖고,
상기 결합부(140)가 상기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지점에는 하우징(130)을 상기 튀김기(20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1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140 has a locking structure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30 and is bent downward,
Detachable,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r 144 for separating the housing 130 from one surface of the fryer 200 is provided at the protrusion point at which the coupling part 140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30 . A lift device 100 for a fr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0)의 상단에는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110)는 상기 관통공(132)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30)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롤러(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지지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150)의 롤러(152)는 상기 승강부(110)의 승강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
According to claim 1,
A through hole 132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The lifting unit 110 is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32,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portion 150 comprising a roller 152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The roller 152 of the first support unit 150 is a detachable lift device 100 for a f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unit 11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150)는 복수 개의 롤러(15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152)는 상기 관통공(132)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upport part 15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152,
The plurality of rollers (152) is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10)는 일면에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모듈(1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랙기어모듈(112)과 맞물려 배치되는 피니언기어(122) 및 상기 피니언기어(1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랙기어모듈(112)이 피니언기어(122)와 결합되는 결합지점(A)의 주변에는 랙기어모듈(112)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상기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배치되는 롤러(1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160)의 롤러(162)는 상기 랙기어모듈(112)의 승강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rack gear module 112 having a rack gear formed on one surface,
The driv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inion gear 122 disposed in mesh with the rack gear module 112 and a motor 124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gear 122,
A second support part 160 for supporting the rack gear module 112 is provided around the coupling point A at which the rack gear module 112 is coupled to the pinion gear 122,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ller 162 disposed opposite to the pinion gear 122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module 112,
The roller (162) of the second support (160) is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rack gear module (1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랙기어모듈(112)에 대해서 상기 피니언기어(122)와 반대편에 상하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16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162)는 상기 랙기어모듈(112)의 승강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162 arranged vertically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inion gear 122 with respect to the rack gear module 112,
The plurality of rollers (162) is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rack gear module (1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상기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브레킷(16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cket 164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ne surface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결합지점(A)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브레킷(16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upport unit 160 is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 10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160)는 상기 결합지점(A) 주변의 랙기어모듈(112)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과 결합지점(A)을 기준으로 상기 일면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제3프레임(16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레킷(164)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은 상기 롤러(162)가 배치된 위치까지 연장형성되고,
상기 롤러(162)의 회전축은 상기 제1프레임(166) 및 제2프레임(167)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튀김기용 리프트장치(100).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support part 160 is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surrounding both sides of the rack gear module 112 around the coupling point (A)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 Includes a bracket 164 comprising a third frame 168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one surface,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are formed to extend to the position where the roller 162 is disposed,
The rotating shaft of the roller (162) is a detachable fryer lift device (100),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irst frame (166) and the second frame (167).
KR1020200091816A 2020-02-24 2020-07-23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KR202101075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816A KR20210107514A (en) 2020-02-24 2020-07-23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45A KR102139320B1 (en) 2020-02-24 2020-02-24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KR1020200091816A KR20210107514A (en) 2020-02-24 2020-07-23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45A Division KR102139320B1 (en) 2020-02-24 2020-02-24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514A true KR20210107514A (en) 2021-09-01

Family

ID=718937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45A KR102139320B1 (en) 2020-02-24 2020-02-24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KR1020200091816A KR20210107514A (en) 2020-02-24 2020-07-23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45A KR102139320B1 (en) 2020-02-24 2020-02-24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39320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3702B2 (en) * 1998-03-24 2007-07-11 理研機器開発株式会社 Boiled and fried food equipment
JP4050530B2 (en) * 2002-03-05 2008-02-20 株式会社ハルモニア Auxiliary device for frying, frying device, and frying method
KR101286504B1 (en) * 2011-04-01 2013-07-16 주식회사 파세코 Fryer
KR101224681B1 (en) * 2012-07-06 2013-01-21 (주) 이상컨트롤 Lifting device for automatic fryer
KR101288282B1 (en) * 2012-12-28 2013-07-26 조혜수 Lift-type fry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320B1 (en)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5172B2 (en) Camera pan / tilt device
KR100984964B1 (en) Fryer
KR102243806B1 (en) Automatic grill equipment
JP2010104499A (en) Heating apparatus
KR20210107514A (en) Attachable and removable lift apparatus for fryer
CN203762146U (en) Automatic rotating lifting display type duck roasting stove
KR20120128027A (en) Moving up and down apparatus for hyperthermo-therapeutic apparatus
KR100572921B1 (en) Apparatus for roasting something with charcoal
KR20220082319A (en) Frying apparatus easy to injection and discharge of material
US3319562A (en) Portable grill equipment
CN206994207U (en) A kind of vertical oven
JP2010213967A (en) Elevating and lowering mechanism and water system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JP6497838B2 (en) Flyer
CN210399030U (en) Stove lifting mechanism
KR102111550B1 (en) Automatic rotating skewers
KR101062750B1 (en) Roasting device
JPH1118962A (en) Raising and lowering device for fryer
KR20130059720A (en) Fryer
CN205410935U (en) Overware in lateral part heating hamburg
CN210383607U (en) Automatic lifting hot pot
KR20120007809U (en) Machine for roasting meat using the rotation
CN218606215U (en) Lifting type multifunctional cheese maker
CN218009379U (en) Lifting chafing dish
CN215899478U (en) Cooking device
CN217696042U (en) Pot body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