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404A - 외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404A
KR20210107404A KR1020200022359A KR20200022359A KR20210107404A KR 20210107404 A KR20210107404 A KR 20210107404A KR 1020200022359 A KR1020200022359 A KR 1020200022359A KR 20200022359 A KR20200022359 A KR 20200022359A KR 20210107404 A KR20210107404 A KR 20210107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cylinder
bevel ge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제
남궁기철
정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404A/ko
Priority to PCT/KR2021/002175 priority patent/WO2021172824A1/ko
Publication of KR2021010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개구를 통해 키보드가 전자 장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키보드가 전자 장치 내부로 수납될 때, 개구를 닫고 있던 도어가 회전하면서 개구가 열리는 동작과 열린 개구를 통해 키보드가 전자 장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이 하나의 컴팩트한 메커니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를 배출하는 장치는 반경 차이를 가지는 실린더들을 포함하고, 이들의 작용으로 키보드는 전동으로 전자 장치에서 소정의 길이 만큼 빠져나온 후 정지할 수 있다. 모터의 구동으로 키보드는 전자 장치에서 일부만 빠져나올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키보드를 뽑음으로써 키보드는 최종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분리될 수 있다. 모터를 통해 전동으로 키보드를 전자 장치에서 배출할 때, 키보드 전체가 한번에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어 키보드에 예상치 못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portable device capable of housing an external device}
본 개시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장치(예: 키보드)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프로세서 및 메모리 분야의 기술 발전에 따라,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 수행되던 기능들 대부분이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태블릿은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이나 높은 퍼포먼스가 요구되는 영상 편집 등의 작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미디어 컨텐츠를 소비하는데 휴대용 기기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태블릿 기기의 화면 크기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노트북을 제조하는 업체들은 물리적 키보드를 없애고 그 자리에 디스플레이를 배치하여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급하고 있다.
휴대용 장치에서 대화면이 요구되는 것과 별도로, 물리적인 키보드에 대한 수요도 여전히 존재한다. 휴대용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 키보드가 제공되기 때문에 키 입력은 가능하지만 가상 키보드가 물리 키보드의 기능을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가상 키보드는 키 입력에 대한 직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고, 단축키 기능을 물리 키보드와 같은 수준으로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조업자들은 휴대용 장치용 키보드를 출시하고 있다. 종래 휴대용 장치를 위한 키보드는 휴대용 장치와 별도로 휴대를 요구하기 때문에, 키보드를 휴대용 장치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두개의 장치를 모두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정 휴대용 장치에 특화된 키보드로서 휴대용 장치에 결합될 수 있는 키보드들도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키보드들은 기본적으로 휴대용 장치 바깥에 부착되기 때문에 휴대용 장치의 외관을 훼손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휴대용 장치로부터 분리되기 쉽다. 또 무선 연결을 지원하는 키보드의 경우 별도의 전원 공급이 요구되기 때문에 휴대용 장치와 별도로 키보드를 충전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휴대용 장치의 활용성을 높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키보드를 수납하거나 다시 뺄 수 있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별도로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는 키보드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개시의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일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수납 공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브라켓의 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가 결합된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게 상기 브라켓의 슬롯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가 결합된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움직이는 동안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의 맞물림은 유지됨,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1 실린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제3 기어가 결합된 제3 샤프트,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샤프트와 동력 전달 요소, 제5 기어, 제4 기어를 통해 연결된 제4 샤프트, 상기 제4 샤프트로부터 연장된 도어 암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 상기 도어 암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4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제2 샤프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제3 기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제1 실린더의 외주면은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의 외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일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수납 공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가 결합되고,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게 상기 브라켓의 슬롯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가 결합된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1 실린더, 회전 축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일치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캠 면을 포함하는 캠 파트, 외주면에 돌기를 포함하는 실린더 파트, 및 원뿔대 파트를 포함하는 제3 샤프트,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파트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스토퍼, 상기 접촉면은 상기 실린더 파트의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3 샤프트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성됨,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샤프트의 축 방향 이동에 따라 일단이 상기 제3 샤프트의 상기 원뿔대 파트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레버,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파트의 외주면이 상기 스토퍼의 접촉면과 접촉하는 동안,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3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원뿔대 파트의 외주면은 상기 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열고, 상기 제1 실린더의 외주면은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의 외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별도로 물리 키보드를 휴대할 필요 없이, 휴대용 장치만을 휴대함으로써 물리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장치가 키보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별도의 충전 포트를 통해 키보드를 충전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수납될 수 있는 키보드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 있는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 있는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
도 8은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 및 구동부 사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가 전자 장치의 수납 공간에 일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서 제2 실린더 및 제2 실린더가 접촉하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단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에 수납된 키보드를 수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을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3과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11, 113)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 및 전자 장치(100)에 수납될 수 있는 키보드(10)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둘러싸고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일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111, 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제1 면,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 및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1, 113)상에 배치된 글래스 커버가 하우징(110)의 제1 면을 구성할 수 있다. 글래스 커버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메탈 프레임의 외측면이 하우징(110)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측면을 이루는 메탈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부분 또는 별도의 플레이트의 외측면이 하우징(110)의 제2 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1 하우징(110)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제2 하우징(110)을 포함하는 폴더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12)에 각각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하우징은 전자 장치(100)의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112) 중 하나, 또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12)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100)의 폼팩터(form factor)는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접힘이 없는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로 외부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10)나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100)에 삽입되는 외부 장치는 키보드(10)를 일 예시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와 키보드(10) 사이의 관계에 관한 설명은 전자 장치(100)와 배터리 따위의 다른 외부 장치 사이의 관계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메모리 모듈, 스토리지 모듈, 스타일러스 펜, 디지타이저, 태양광 모듈, 유선 충전 모듈, 또는 무선 충전 모듈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10)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키보드(10)를 수납할 수 있다. 키보드(10)가 하우징(110) 내부로 수납되거나, 하우징(110) 내부에서 빠져나올 수 있기 위해서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키보드(10)를 위한 통로가 필요하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측면에 배치된 개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개구(101)로부터 하우징(110) 내부로 연장된 수납 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 공간(102)은 키보드(10)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키보드(10)를 수납 공간(102)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전동 모터(예: 도 3의 모터(140))를 포함하며, 전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샤프트들(예: 도 3의 제1 샤프트(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키보드(10)와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컴포넌트(예: 도 3의 제1 실린더(162))를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10)와 접촉된 컴포넌트가 회전함에 따라 키보드(10)가 수납 공간(102)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12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3 내지 도 15에서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키보드(10) 수납 공간(102)의 측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가이드 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114)는 키보드(10)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4)는 키보드(10)가 수납 공간(102)에서 이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 가이드 부재(114)는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의 수납 공간(102) 내에 견고하게 배치되도록 도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키보드(10)를 위한 충전 단자(115)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단자(115)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납 공간(102)에 배치된 키보드(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 단자(115)는 전자 장치(100)의 수납 공간(102)을 향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충전 단자(115)는 키보드(10)의 일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자(11)에 접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와 무선 연결을 통해 통신하는 키보드(10)의 경우, 키보드(10)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10) 내부에 포함된 배터리에 대한 별도의 충전이 요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자체 배터리를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키보드(10)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만 충전하면 되고 키보드(10)를 별도로 충전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내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의 개구(101)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의 개구(101)에 근접했음을 감지하고, 모터를 구동하여 키보드(10)를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리드(reed) 스위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스위치(121)는 유리관 내부의 엇갈려 있는 두 끝단이 자기장에 의해 접촉되거나 떨어지는 원리를 이용한 스위치이다. 키보드(10)에 내장된 자성체(12)가 리드 스위치(121)에 근접함에 따라 리드 스위치(121)가 닫힐 수 있다. 리드 스위치(121)의 닫힘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모터를 구동하여 키보드(10)를 수납 공간(102)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10)가 하우징(110) 측면의 개구(101)에 가까이 갔을 때, 리드 스위치(121)가 닫히면서 구동부(120)의 모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구동부(12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부(120)에 동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구동부(12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30)은 홀이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30)의 홀이나 슬롯에는 샤프트가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130)의 슬롯에 설치된 샤프트는 슬롯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샤프트(150)는 브라켓(130)의 홀(131)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140)는 제1 샤프트(15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140)는 기어 결합을 통해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터(140)는 베벨 기어 쌍을 통해 제1 샤프트(15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140)는 베벨 기어 쌍을 통해 모터(140) 출력 축과 90도를 이루는 제1 샤프트(15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140)의 출력 샤프트(141)에 제1 베벨 기어(142)가 결합되고, 제1 베벨 기어(142)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151)가 제1 샤프트(1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140)와 제1 샤프트(150) 사이의 동력 전달 수단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두개의 스퍼 기어 사이의 맞물림을 통해 모터(140)의 동력이 제1 샤프트(15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140)의 회전 축과 제1 샤프트(150)의 회전 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샤프트(160)는 제1 샤프트(150)와 평행하게 브라켓(13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샤프트(160)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포함된 개구(101)를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샤프트(160)는 브라켓(130)의 슬롯(132) 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롯(132)은 적어도 제2 샤프트(160)의 직경보다 큰 너비(width)를 가지며, 제2 샤프트(160)는 슬롯(1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샤프트(160)는 슬롯(132)을 따라 축 방향(또는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샤프트(160)가 이동하는 경로는 슬롯(132)의 형태에 의해 결정되며 슬롯(132)은 예를 들어 호(arc)인 중심선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샤프트(160)는 제1 샤프트(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샤프트(150)는 기어 결합을 통해 제2 샤프트(16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기어(152)가 제1 샤프트(15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어(152)는 제1 샤프트(150)에 고정되어 제1 샤프트(1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152)는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2 기어(161)와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샤프트(160)가 설치된 슬롯(132)은, 제2 샤프트(160)가 슬롯(132)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제1 기어(152)와 제2 기어(161)의 맞물림이 항상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132)의 중심선은 제1 샤프트(150)가 설치된 홀의 중심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호(circular arc)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샤프트(160)가 슬롯(132)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제1 샤프트(150)로 전달되는 동력은 항상 제2 샤프트(16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제2 샤프트(160)에 결합된 제1 실린더(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162)는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실린더(162)는 제2 샤프트(160)에 고정되며 제2 샤프트(160)와 같은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은 수납 공간(102)에 일부 삽입된 키보드(10)의 외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제1 실린더(162)가 회전하면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과 키보드(10)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키보드(10)가 수납 공간(102)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실린더(162)와 키보드(10)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은 마찰 계수가 높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은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샤프트(160)는 제1 실린더(162)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샤프트(160)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은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제2 샤프트(160)와 평행하게 브라켓(130)에 설치된 제3 샤프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샤프트(170)는 제2 샤프트(160)로부터 모터(140)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샤프트(160)와 제3 샤프트(170) 사이의 동력 전달은 기어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샤프트(170)에 제3 기어(171)가 결합되고, 제3 기어(171)는 제2 샤프트(160)에 결합된 제2 기어(161)와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기어(171)와 제3 샤프트(17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샤프트(170)의 회전 축은 브라켓(1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샤프트(160)가 슬롯(132)을 따라 이동하면 제2 샤프트(160)와 제3 샤프트(170)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제2 샤프트(160)의 이동에 따라 제2 샤프트(160)에 결합된 제2 기어(161)와 제3 샤프트(170)에 결합된 제3 기어(171)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샤프트(160)의 이동에 따라 모터(140)의 동력이 제3 샤프트(170)까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샤프트(160)가 슬롯(132)의 제1 지점(예: 도 7의 제1 지점(P1))에 위치했을 때 제2 기어(161)는 제3 기어(171)와 맞물리고, 모터(140)의 동력은 제3 샤프트(170)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샤프트(160)가 슬롯(132)의 제2 지점(예: 도 7의 제2 지점(P2))에 위치했을 때 제2 기어(161)와 제3 기어(171)와 맞물림이 해제되고 모터(140)의 동력은 제3 샤프트(17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제3 샤프트(170)와 평행하게 브라켓(130)에 설치된 제4 샤프트(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샤프트(190)는 제3 샤프트(1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샤프트(170)로부터 제4 샤프트(190)로 동력은 다양한 동력 전달 요소(예: 제3 기어(171), 제5 기어(181), 벨트, 및/또는 체인)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제3 기어(171)와 평행하게 브라켓(130)에 설치된 제4 기어(1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기어(191)는 제3 기어(17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기어(171)로부터 제4 기어(191)로 동력은 제5 기어(181)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제3 샤프트(170)와 평행하게 브라켓(130)에 설치된 제5 샤프트(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샤프트(180)는 제3 샤프트(170)로부터 동력 전달 요소(예: 제3 기어(171) 및/또는 제5 기어(181))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5 샤프트(180)에 제5 기어(181)가 결합되고, 제5 기어(181)는 제3 샤프트(170)에 결합된 제3 기어(171)와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5 기어(181)와 제5 샤프트(18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4 샤프트(190)는 제5 샤프트(180)를 통해서 제3 샤프트(170)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4 샤프트(190)에 제4 기어(191)가 결합되고, 제4 기어(191)는 제5 샤프트(180)에 결합된 제5 기어(181)와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기어(191)와 제4 샤프트(19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제3 샤프트(170)와 제4 샤프트(190) 사이의 동력 전달은 다양한 동력 전달 요소(예: 제5 샤프트(180), 제5 기어(181), 벨트, 및/또는 체인)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샤프트(170)의 일부 외주면 및 제4 샤프트(190)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는 벨트 또는 체인이 제3 샤프트(170)와 제4 샤프트(19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20)의 구성요소들은 제2 샤프트(160)의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샤프트(160)의 일측에 위치한 제2 샤프트(160)에서 제4 샤프트(190)에 이르는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제2 샤프트(160)의 타측에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샤프트(160)의 일측을 지지하는 슬롯(132)과 타측을 지지하는 슬롯(132)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멘션(dimension)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모터(140) 및 제1 샤프트(150)는 제2 샤프트(160)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개구(101)를 개폐하는 도어(200)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하우징(110)의 개구(101)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0)의 회전에 따라 개구(101)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도어(200)는 개구(101)와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0)는 개구(101)의 높이/폭과 대응하는 높이/폭을 가질 수 있다. 도어(200)가 개구(101)를 막으면 수납 공간(102)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도어(200)는 개구(101)를 막고 있을 수 있다. 도어(200)가 개구(101)를 열어 하우징(110) 내의 수납 공간(102)이 전자 장치(100) 외부로 노출되면 키보드(10)가 수납 공간(10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어(200)가 닫힌 상태라 함은 도어(200)가 개구(101)를 막아 수납 공간(102)이 전자 장치(100)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또 본 개시에서 도어(200)가 열린 상태라 함은, 도어(200)가 개구(101)를 막지 않고 개구(101)를 통해 수납 공간(102)이 전자 장치(100)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0)는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개구(101)를 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0)는 제4 샤프트(19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0)는 제4 샤프트(190)의 일단에서 연장된 도어 암(arm)(192)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0)는 일단에서 연장된 로드(201, 202)를 포함할 수 있고, 로드(201, 202)를 통해 도어 암(192)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0)의 일단에서 연장된 로드(201, 202)는 브라켓(130)의 슬롯(1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어(200)의 일단에서 두개의 로드(201, 202)가 연장될 수 있다. 하나의 로드(201)는 슬롯(132)을 통과하여 제4 샤프트(190)에서 연장된 도어 암(192)에 연결될 수 있다. 나머지 로드(202)의 단부는 슬롯(1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201, 202)는 슬롯(132)을 따라 이동하므로 도어(200)의 이동 경로는 슬롯(13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200)의 일단에서 하나의 로드(예: 로드(201))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201)와 나머지 로드(20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슬롯(132)을 통과하여 제4 샤프트(190)에서 연장된 도어 암(19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 있는 구동부(12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0)가 열린 상태에 있는 구동부(120)의 단면도이다 .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0)는 제4 샤프트(190)의 회전에 따라 열릴 수 있다.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기어(161)와 제3 기어(171)는 맞물려 있기 때문에 모터(140) 구동에 따라 제1 샤프트(150)가 회전하면 제4 샤프트(190)도 회전할 수 있다. 제4 샤프트(190)가 화살표 방향(A1)으로 회전하면 제4 샤프트(190)와 도어(200) 암을 통해 연결된 도어(20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 암(192)은 돌출부(193)(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193)는 도어 암(192)의 일부분에서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돌출부(193)의 단부(193a)는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4 샤프트(190)의 회전에 따라 도어(200)가 회전하면서 돌출부(193)의 단부(193a)는 화살표 방향(A2)으로 이동하고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돌출부(193)가 제2 샤프트(160)와 접촉한 후 도어(200)가 더 회전하면, 돌출부(193)는 제2 샤프트(160)를 슬롯(132)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샤프트(160)의 회전 축은 슬롯(132)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부(193)는 도어 암(192)의 일부분에서 일체로 형성 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200)가 열리면서 제2 기어(161)와 제3 기어(171)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200)가 열리면서 돌출부(193)가 제2 샤프트(160)를 밀면, 제2 샤프트(160)와 제3 샤프트(170) 사이의 기어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2 샤프트(160)의 중심은 도어(200)가 닫혔을 때 제1 지점(P1)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200)가 열리면 제2 샤프트(160)의 중심은 슬롯(132)을 따라 이동하여 제2 지점(P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샤프트(160)는 돌출부(193)에 의해 제3 샤프트(170)로부터 멀어지고, 그 결과 제2 기어(161)와 제3 기어(171)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기어(161)와 제3 기어(171) 사이의 맞물림은 유지되고, 도어(200)가 열린 상태에서 제2 기어(161)와 제3 기어(171) 사이의 맞물림은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샤프트(160)가 슬롯(132)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제1 기어(152)와 제2 기어(161) 사이의 맞물림은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롯(132)은 슬롯(132)의 중심선과 제1 샤프트(150)의 회전 축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40)가 동작하는 한, 제3 샤프트(170)와 제2 샤프트(160) 사이의 기어 결합 여부와 관계없이 제2 샤프트(160)는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열린 상태에서 제2 샤프트(160)에 결합된 제1 실린더(162)는 회전할 수 있고, 개구(101)를 통해 일부 삽입된 키보드(10)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면서 키보드(10)를 전자 장치(100)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개의 모터(140)를 통해 개구(101)를 여는 동작과 키보드(10)를 전자 장치(100) 내부로 수납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2 샤프트(160)의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은 키보드(10)의 외측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키보드(10)를 전자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키보드(10)와 제1 실린더(162) 사이의 마찰력이 약하면,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과 키보드(10)의 외측 표면 사이에 슬립이 생길 수 있고 그 결과 키보드(10)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키보드(10)와 제1 실린더(162) 사이에 일정 수준의 마찰력이 필요하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10) 및 구동부(120) 사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샤프트(150)와 제2 샤프트(160) 사이에 가이드 암(300)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암(300)은 제1 샤프트(150) 및 제2 샤프트(160)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암(300)의 제1 홀은 제1 샤프트(150)의 외주면에, 제2 홀은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샤프트(160)가 슬롯(132)을 따라 이동할 때, 가이드 암(300)이 제2 샤프트(160)의 이동 방향을 구속할 수 있다. 가이드 암(300)에 의해 제2 샤프트(160)는 제1 샤프트(150)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샤프트(160)는 제1 샤프트(15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의 회전 반경은 가이드 암(300)의 제1 홀과 제2 홀 사이의 중심거리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제2 샤프트(160)를 제2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성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제2 샤프트(160)는 제1 지점(P1)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200)가 열리면서 제2 샤프트(160)는 제1 방향(A1)으로 이동하여 제2 지점(P2)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제2 샤프트(160)에 제1 방향(A1)과 반대인 제2 방향(A2)으로 향하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400)의 일단(400b)은 브라켓(130)에, 타단(400a)은 제2 샤프트(16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400)의 타단은 가이드 암(300)을 통해 제2 샤프트(160)에 연결된다. 탄성 부재(400)의 일단(400b)은 브라켓(130)의 돌출부(134)에, 타단(400a)은 가이드 암(300)의 돌출부(301)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암(300)은 제2 샤프트(160)와 결합되므로, 탄성 부재(400)는 가이드 암(300)을 통해 제2 샤프트(16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키보드(10)와 제1 실린더(162) 사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개구(101)를 통해 키보드(10)가 수납 공간(102)을 향해 일부 수납되면,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은 키보드(10)의 마찰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샤프트(16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400)는 제2 샤프트(160)를 제2 방향(A2)으로 당길 수 있다. 탄성 부재(400)가 제2 샤프트(160)를 제2 방향(A2)으로 당기면, 제1 실린더(162)와 키보드(10) 사이에 발생하는 수직 항력의 크기가 커진다. 수직 항력의 크기가 세지면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과 키보드(10)의 마찰면 사이의 마찰력도 커진다.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제1 실린더(162)가 키보드(10)를 수납 공간(102)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킬 때, 제1 실린더(162)와 키보드(10) 사이의 슬립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모터(140)의 구동만으로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에서 완전히 분리된다면, 키보드(10)에 예상치 못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공중에 들고 있는 상태에서 키보드(10)가 수납 공간(102)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면, 키보드(10)가 낙하하여 파손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140)가 구동되는 동안 키보드(10)의 일부만 수납 공간(102) 외부로 빠져나오고 나머지는 수납 공간(102) 내에 배치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일례가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의 수납 공간(102)에 일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서 제2 실린더(163) 및 제2 실린더(163)가 접촉하는 키보드(10)를 포함하는 단면(I-I)이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120)는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2 실린더(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실린더(163)는 제2 샤프트(1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린더(163)는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에 헐겁게 결합되어 제2 샤프트(16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제2 샤프트(160)가 회전할 때 제1 실린더(162)는 제2 샤프트(160)와 함께 회전하고, 제2 실린더(163)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실린더(163)의 외경(Φ2)은 제1 실린더(162)의 외경(Φ1)과 다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실린더(163)의 외경(Φ2)은 제1 실린더(162)의 외경(Φ1)보다 크다. 다만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실린더(163)의 외경(Φ2)은 제1 실린더(162)의 외경(Φ1)보다 작거나, 제1 실린더(162)의 외경(Φ1)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10)의 외측 표면은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때 제2 실린더(163)가 지나가는 경로를 따라 형성된 그루브(14)(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그루브(14)는 불균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그루브(14)는 다른 부분보다 얕은 깊이를 가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그루브(14)는 제1 부분(14a)에서 그루브(14)는 제1 깊이(d1)를 가지고, 제1 부분(14a)과 이웃하는 제2 영역에서 그루브(14)는 제1 깊이(d1) 보다 얕은 제2 깊이(d2)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14)의 바닥면은 제1 부분(14a)에서 제1 깊이(d1), 제2 부분(14b)에서 제2 깊이(d2)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의 수납 공간(102) 내/외부로 이동할 때, 제2 실린더(163)는 그루브(14)를 지나갈 수 있다(pass by). 제2 실린더(163)가 제1 부분(14a)을 지나갈 때는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은 키보드(10)의 마찰면(13)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실린더(163)의 외주면은 그루브(14)의 제1 부분(14a)의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경우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키보드(10)는 수납 공간(102) 내/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키보드(10)가 수납 공간(102) 내/외부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실린더(163)가 그루브(14)의 제2 부분(14b)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실린더(163)가 그루브(14)의 제2 부분(14b) 상에 위치할 때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은 키보드(10)의 마찰면(1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부분(14b)은 제1 부분(14a)보다 얕기 때문에 제2 실린더(163)가 제1 부분(14a)에서 제2 부분(14b)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루브(14)의 바닥면이 제2 실린더(163)를 화살표 방향(A1)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제2 실린더(163)가 화살표 방향(A1)으로 밀리면, 제2 실린더(163)에 결합된 제1 실린더(162)는 키보드(10)의 마찰면(1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제1 실린더(162)가 회전함에도 제1 실린더(162)는 키보드(10)를 이동시킬 수 없다. 제2 실린더(163)가 그루브(14)의 제2 부분(14b)을 지나갈 때 제2 실린더(163)는 그루브(14)의 바닥면과 접촉하지만, 제2 실린더(163)는 제2 샤프트(16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키보드(10)를 이동시킬 수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빠져나올 때, 처음에는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키보드(10)의 일부가 전자 장치(100)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키보드(10)의 일부가 빠져나오면, 모터(140)의 구동과 무관하게 키보드(10)는 더 이상 전자 장치(100)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이때는 사용자가 키보드(10)의 일부 빠져나온 부분을 잡고 수동으로 이동시켜야 키보드(10)가 완전히 전자 장치(100)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120)는 모터(140)가 구동되는 동안 키보드(10)를 일부만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10)를 전자 장치(100)에 수납할 때도 사용자가 키보드(10)의 일부를 수납 공간(102)에 삽입해야 나머지 부분이 전동으로 수납 공간(102)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키보드(10)가 수납 공간(102)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키보드(10)는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에 있다. 제1 실린더(162)는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모터(140)가 구동하지 않는 한 키보드(10)는 수납 공간(102)으로부터 배출될 수 없다. 장치의 사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터(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기타 소프트웨어의 오류에 따라 모터(140)가 구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키보드(10)를 빼낼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에 수납된 키보드(10)를 수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모터(140)의 출력 샤프트(500)에 결합된 제1 베벨 기어(600)와 제1 샤프트(150)에 결합된 제2 베벨 기어(151) 사이의 맞물림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140)의 출력 샤프트(500)는 내부에 공간(5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벨 기어(600)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파트(601)가 출력 샤프트(500)의 공간 내에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파트(601)는 출력 샤프트(5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1 베벨 기어(600)는 모터(14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파트(601)는 돌출부(602)를 포함하고 돌출부(602)는 출력 샤프트(500)의 슬롯(50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602)의 움직임은 슬롯(502)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제1 베벨 기어(600)는 출력 샤프트(500)의 슬롯(502)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700)가 제1 베벨 기어(600)와 출력 샤프트(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700)의 일측은 제1 베벨 기어(600)에 의해, 타측은 모터(140)의 출력 샤프트(500)의 단부(500a)에 의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제1 베벨 기어(600)가 출력 샤프트(500)에 대해 제1 방향(A1)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700)는 압축될 수 있다. 탄성 부재(700)의 복원력에 따라 제1 베벨 기어(600)에 제2 방향(A2)의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베벨 기어(600)의 돌출부(602)가 제1 지점(P1)에 있을 때 제1 베벨 기어(600)는 제2 베벨 기어(151)와 맞물린다. 제1 베벨 기어(600)에 제1 방향(A1)의 외력이 작용하여, 제1 베벨 기어(600)의 돌출부(602)가 제2 지점(P2)으로 이동하면, 제1 베벨 기어(600)와 제2 베벨 기어(151)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140)가 구동하지 않더라도 제1 샤프트(150) 및 제2 샤프트(16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샤프트(160)와 결합된 제1 실린더(162)와 접촉하고 있는 키보드(10)는 수납 공간(102)으로부터 비교적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제1 베벨 기어(600)에 작용하던 외력이 사라지면, 제1 베벨 기어(600)는 탄성 부재(700)에 의해 다시 제2 방향(A2)으로 이동하고 제2 베벨 기어(151)와 맞물릴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3과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구동부(800)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800)는 모터(140) 및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샤프트(150) 및 제2 샤프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50)는 베벨 기어 쌍을 통해 모터(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제2 샤프트(160)는 기어 쌍을 통해 제1 샤프트(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샤프트(160)는 그 외주면에 결합된 제1 실린더(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은 키보드(10)의 외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고, 제1 실린더(162)의 회전에 따라 키보드(10)가 전자 장치(100)의 수납 공간(102)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서 제2 샤프트(160)가 키보드(10)를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은 도 3 내지 도 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800)는 제1 샤프트(150)의 일단부에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811)는 제1 샤프트(150)의 중심 축으로부터 벗어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811)는 제1 샤프트(1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811)는 제1 샤프트(150)에 결합된 제1 기어(15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800)는 제3 샤프트(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샤프트(820)는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샤프트(820)의 회전 축은 제1 샤프트(150)의 회전 축과 일치할 수 있다. 제3 샤프트(820)는 제1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샤프트(820)는 실린더 파트(8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82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기(822a)들이 실린더 파트(822)의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822a)는 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822a)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800)는 제3 샤프트(82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토퍼(830)는 제3 샤프트(820)의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스토퍼(830)는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접촉면(83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토퍼(830)의 접촉면(831)은 내측으로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831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830)의 접촉면(831)에 배치된 리세스(831a)는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에 배치된 돌기(822a)와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접촉면(831)이 실린더 파트(822)에 접촉되었을 때 실린더 파트(822)의 돌기(822a)가 스토퍼(830)의 리세스(831a)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이 돌기(822a)를 포함하고, 스토퍼(830)의 접촉면(831)이 돌기(822a)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831a)를 포함하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이 리세스를 포함하고, 스토퍼(830)의 접촉면(831)이 실린더 파트(822)의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스토퍼(830)와 브라켓 사이에 제1 탄성 부재(84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830)가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 탄성 부재(840)는 압축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스프링은 스토퍼(830)에 실린더의 외주면을 향하는 힘을 제공하고, 스토퍼(830)가 제3 샤프트(8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샤프트(820)는 원뿔대(truncated cone) 파트(8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원뿔대 파트(823)의 반경은 화살표 방향(A1)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뿔대 파트(823)의 일측은 원뿔대 파트(823)의 타측보다 큰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원뿔대 파트(823)의 반경은 화살표 방향(A1)으로 갈수록 일정하게 줄어들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 예에서 원뿔대 파트(823)의 반경은 화살표 방향으로 불균일하게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뿔대 파트(823)의 외주면은 중심 축을 기준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샤프트(820)는 캠 파트(8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3 샤프트(820)의 캠 파트(821)는 단부에 캠 면(82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 면(821a)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캠 면(821a)은 제1 샤프트(150)의 돌출부(811)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811)는 캠 면(821a)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제1 샤프트(150)의 돌출부(811)는 제3 샤프트(820)의 캠 면(821a)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돌출부(811)는 제3 샤프트(820)에 축 방향의 힘과 원주 방향의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제3 샤프트(820)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811)가 캠 면(821a)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캠 면(821a)을 축방향으로 밀어 제3 샤프트(820)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돌출부(811)는 캠 면(821a)의 특정 지점 또는 면적과 접촉한 상태에서 캠 면(821a)을 원주 방향으로 밀어 제3 샤프트(8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제3 샤프트(820)가 축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한 후 실린더 파트(822)는 스토퍼(830)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에 배치된 돌기(822a)가 스토퍼(830)의 접촉면(831)에 배치된 리세스(831a)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이다. 일 실시 예에서 캠 파트(821)는 제3 샤프트(820)가 스토퍼(830)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난 후에도 캠 면(821a)과 돌출부(811) 사이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샤프트(82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샤프트(150)의 돌출부(811)가 제3 샤프트(820)에 원주 방향을 힘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실린더 파트(822)가 스토퍼(830)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난 후에 제3 샤프트(820)는 제1 샤프트(1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샤프트(820)와 브라켓 사이에 제2 탄성 부재(850)가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이 스토퍼(830)의 접촉면(831)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2 탄성 부재(850)는 중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샤프트(150)의 회동에 따라 제2 탄성 부재(850)는 제3 샤프트(82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축한 제2 탄성 부재(850)는 제3 샤프트(8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140)가 구동을 멈추면, 제1 샤프트(150)의 돌출부(811)가 제3 샤프트(820)를 축 방향으로 미는 힘이 사라지고, 제2 탄성 부재(850)의 복원력에 의해 제3 샤프트(820)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제3 샤프트(820)가 원래 위치로 돌아가면, 실린더 파트(822)의 외주면이 다시 스토퍼(830)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구동부(800)는 도어(900)를 열 수 있는 레버(8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버(860)는 브라켓(8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레버(860)는 브라켓(810)의 돌출부(802)와 결합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고, 돌출부(8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레버(860)는 회전 중심 또는 회전 중심과 인접한 부분에서 제3 샤프트(820)를 향해 연장된 제1 암(861), 및 도어(900)의 로드를 향해 연장된 제2 암(86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암(861)(또는 레버(860)의 일단)은 제3 샤프트(820)의 원뿔대 파트(823)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3 샤프트(82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암(861)이 원뿔대 파트(823)의 외주면에 의해 밀리며,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레버(860)는 브라켓(801)에 고정된 회전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암(862)(또는 레버(860)의 타단)은 도어(900)에서 연장된 로드(90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샤프트(820)의 이동으로 유발된 레버(860)의 회전에 따라 도어(900)가 열릴 수 있다. 도어(900)가 열리면 전자 장치(100)의 수납 공간(102) 내로 키보드(10)가 삽입될 수 있다.
모터(140)가 구동하는 한 제1 샤프트(150)의 돌출부(811)는 제3 샤프트(820)를 축 방향으로 밀고 있으므로 제3 샤프트(820)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레버(860)는 원뿔대 파트(823)의 외주면에 의해 밀린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900)는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50)가 회전하는 동안 제2 샤프트(160)도 회전하기 때문에 제2 샤프트(160)에 결합된 제1 실린더(162)도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실린더(162)의 외주면은 개구(101)를 통해 일부 삽입된 키보드(10)의 외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모터(140)의 구동에 따라 제1 실린더(162)가 회전하면 키보드(10)는 수납 공간(102)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레버(860)와 브라켓(801) 사이에 제3 탄성 부재(870)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탄성 부재(870)는 레버(860)의 회전에 따라 늘어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탄성 부재(870)의 일단은 브라켓(801)의 돌출부(803)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버(860)의 제2 암(862)에 연결된다. 레버(860)가 회전하면 제2 암(862)이 브라켓(801)의 돌출부(803)로부터 멀어지고, 제3 탄성 부재(870)는 늘어난다. 늘어난 제3 탄성 부재(870)는 레버(860)를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140)의 구동이 멈추면 제3 샤프트(820)의 원뿔대 파트(823)가 더 이상 레버(860)의 제2 암(862)에 힘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제3 탄성 부재(870)에 의해 도어(900)가 닫힐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800)는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800)는 제1 샤프트(150)와 제2 샤프트(160)에 연결된 가이드 암(300), 및 가이드 암(300)에 연결된 탄성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동부(800)는 제2 샤프트(16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실린더(1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구동부(800)는 모터(140)의 출력 샤프트(50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베벨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00)),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11)),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일부에 배치된 개구(예: 도 2의 개구(101))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수납 공간(예: 도 2의 수납 공간(102)),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예: 도 2의 구동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예: 도 3의 모터(140)), 브라켓(예: 도 3의 브라켓(130)),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브라켓의 홀(예: 도 3의 홀(131))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예: 도 3의 제1 기어(151))가 결합된 제1 샤프트(예: 도 3의 제1 샤프트(150)),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게 상기 브라켓의 슬롯(예: 도 3의 슬롯(132))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예: 도 3의 제2 기어(161))가 결합된 제2 샤프트(예: 도 3의 제2 샤프트(160)),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움직이는 동안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의 맞물림은 유지됨,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1 실린더(예: 도 3의 제1 실린더(162)),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제3 기어(예: 도 5의 제3 기어(171))가 결합된 제3 샤프트(예: 도 5의 제3 샤프트(170)),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샤프트와 동력 전달 요소(예: 도 5의 제3 기어(171), 제5 기어(181), 제4 기어(191))를 통해 연결된 제4 샤프트(예: 도 5의 제4 샤프트(190)), 상기 제4 샤프트로부터 연장된 도어 암(예: 도 4의 도어 암(192))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예: 도 5의 도어(200)), 상기 도어 암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4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돌출부(예: 도 6의 돌출부(19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제2 샤프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제3 기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제1 실린더의 외주면은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예: 키보드(10))의 외측 표면(예: 도 9의 마찰면(130))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예: 도 3의 출력 샤프트(141))에 결합된 제1 베벨 기어(예: 도 3의 제1 베벨 기어(142)),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예: 도 3의 제2 베벨 기어(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부재(예: 도 11의 탄성 부재(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베벨 기어의 모터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제2 베벨 기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가 상기 모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베벨 기어와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압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제5 기어(예: 도 5의 제5 기어(181))가 결합된 제5 샤프트(예: 도 5의 제5 샤프트(180)), 및 상기 제4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5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제4 기어(예: 도 5의 제4 기어(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다른 외경을 가지는 제2 실린더(예: 도 9의 제2 실린더(16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린더의 외주면이 상기 수납 공간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에 접촉하면,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소정의 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외부 장치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제2 탄성 부재(예: 도 8의 탄성 부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노출되고, 외부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예: 도 2의 충전 단자(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된 리드 스위치(예: 도 2의 리드 스위치(1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된 자성 부재에 의해 상기 리드 스위치가 닫힐 수 있고, 상기 리드 스위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일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수납 공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브라켓의 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가 결합된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게 상기 브라켓의 슬롯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가 결합된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다른 반경을 가진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는 상기 개구를 통해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의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 실린더의 외주면이 상기 외부 장치의 상기 제2 면에 접촉하면,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소정의 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외부 장치의 상기 제1 면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 제1 베벨 기어,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 및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베벨 기어의 모터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제2 베벨 기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가 상기 모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베벨 기어와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압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노출되고, 외부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일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수납 공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예: 도 12의 구동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브라켓(예: 도 12의 브라켓(801))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가 결합되고,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예: 도 12의 돌출부(811))를 포함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게 상기 브라켓의 슬롯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가 결합된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1 실린더, 회전 축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일치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캠 면(예: 도 14의 캠 면(821a))을 포함하는 캠 파트(예: 도 12의 캠 파트(821)), 외주면에 돌기(예: 도 14의 돌기(822a))를 포함하는 실린더 파트(예: 도 12의 실린더 파트(822)), 및 원뿔대 파트(예: 도 12의 원뿔대 파트(823))를 포함하는 제3 샤프트(예: 도 12의 제3 샤프트(820)),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파트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접촉면(예: 도 14의 접촉면(831))을 포함하는 스토퍼(예: 도 12의 스토퍼(830)), 상기 접촉면은 상기 실린더 파트의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예: 도 14의 리세스(831a))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3 샤프트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성됨,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샤프트의 축 방향 이동에 따라 일단(예: 도 15의 제1 암(861))이 상기 제3 샤프트의 상기 원뿔대 파트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레버(예: 도 13의 레버(860)),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예: 도 15의 제2 암(862))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예: 도 13의 도어(900))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파트의 외주면이 상기 스토퍼의 접촉면과 접촉하는 동안,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3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원뿔대 파트의 외주면은 상기 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열고, 상기 제1 실린더의 외주면은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의 외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 제1 베벨 기어,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베벨 기어의 모터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제2 베벨 기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가 상기 모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베벨 기어와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압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다른 외경을 가지는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린더의 외주면이 상기 수납 공간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에 접촉하면,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소정의 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외부 장치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된 리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된 자성 부재에 의해 상기 리드 스위치가 닫힐 수 있고, 상기 리드 스위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샤프트의 상기 캠 면은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단이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노출되고, 외부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일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수납 공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브라켓의 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가 결합된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게 상기 브라켓의 슬롯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가 결합된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움직이는 동안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의 맞물림은 유지됨,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1 실린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제3 기어가 결합된 제3 샤프트,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샤프트와 동력 전달 요소를 통해 연결된 제4 샤프트,
    상기 제4 샤프트로부터 연장된 도어 암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
    상기 도어 암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4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제2 샤프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제3 기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제1 실린더의 외주면은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 제1 베벨 기어,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베벨 기어의 모터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제2 베벨 기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가 상기 모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베벨 기어와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압축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제5 기어가 결합된 제5 샤프트, 및
    상기 제4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5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제4 기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다른 외경을 가지는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린더의 외주면이 상기 수납 공간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에 접촉하면,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소정의 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외부 장치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노출되고, 외부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된 리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된 자성 부재에 의해 상기 리드 스위치가 닫힐 수 있고, 상기 리드 스위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일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수납 공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브라켓의 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가 결합된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게 상기 브라켓의 슬롯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가 결합된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다른 반경을 가진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는 상기 개구를 통해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의 제1 면 및 제2 면에 각각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 실린더의 외주면이 상기 외부 장치의 상기 제2 면에 접촉하면,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소정의 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외부 장치의 상기 제1 면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 제1 베벨 기어,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 및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베벨 기어의 모터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제2 베벨 기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가 상기 모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베벨 기어와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압축되는,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노출되고, 외부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의 일부를 통해 외부에서 시인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일부에 배치된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된 수납 공간;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제1 기어가 결합되고,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와 평행하게 상기 브라켓의 슬롯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가 결합된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1 실린더,
    회전 축이 상기 제1 샤프트와 일치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는 캠 면을 포함하는 캠 파트, 외주면에 돌기를 포함하는 실린더 파트, 및 원뿔대 파트를 포함하는 제3 샤프트,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파트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스토퍼, 상기 접촉면은 상기 실린더 파트의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3 샤프트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구성됨,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샤프트의 축 방향 이동에 따라 일단이 상기 제3 샤프트의 상기 원뿔대 파트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레버,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파트의 외주면이 상기 스토퍼의 접촉면과 접촉하는 동안, 상기 제1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샤프트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3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원뿔대 파트의 외주면은 상기 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열고,
    상기 제1 실린더의 외주면은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결합된 제1 베벨 기어, 및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베벨 기어의 모터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베벨 기어와 상기 제2 베벨 기어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가 상기 모터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베벨 기어와 맞물림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압축되는, 전자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다른 외경을 가지는 제2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린더의 외주면이 상기 수납 공간에 적어도 일부 삽입된 외부 장치에 접촉하면,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소정의 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외부 장치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는, 전자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된 리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개구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된 자성 부재에 의해 상기 리드 스위치가 닫힐 수 있고, 상기 리드 스위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전자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샤프트의 상기 캠 면은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전자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2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에 연결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샤프트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노출되고, 외부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022359A 2020-02-24 2020-02-24 외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KR20210107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59A KR20210107404A (ko) 2020-02-24 2020-02-24 외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PCT/KR2021/002175 WO2021172824A1 (ko) 2020-02-24 2021-02-22 외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359A KR20210107404A (ko) 2020-02-24 2020-02-24 외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04A true KR20210107404A (ko) 2021-09-01

Family

ID=7749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359A KR20210107404A (ko) 2020-02-24 2020-02-24 외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07404A (ko)
WO (1) WO20211728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228B1 (ko) * 1995-05-31 1999-01-15 배순훈 키보드 수납장치
KR100604193B1 (ko) * 2005-05-04 2006-07-28 주식회사 지.엠.코퍼레이션 컴퓨터의 키보드 수납장치
KR20080006600U (ko) * 2007-06-24 2008-12-30 아몬드 테크놀로지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가 슬라이드 로딩 형태로 본체내부에 탑재(搭載) 되는 구조
KR101672808B1 (ko) * 2010-06-22 2016-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컴퓨터 디바이스
US9740237B2 (en) * 2012-03-30 2017-08-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ssembly for removable display and input devices
CN109116938B (zh) * 2018-08-23 2021-03-30 熊文昕 一种多任务控制的计算机切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824A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3054B2 (ja) 電子機器
US9310848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a torque variable structure connecting housing components
TWI502322B (zh) 可攜式電子裝置
US2015009233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amage prevention features
US20100069117A1 (en) USB enabled mobile phone handset
JP3665235B2 (ja) コンピューター用拡張ユニットのロック装置
US7486503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tructure
TWI424307B (zh) 具可動式輸入裝置之電子產品
US20070072656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092044A (ko) 휴대용전자장치
WO2012108325A1 (ja) 携帯型電子機器
JP4667725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TW201349994A (zh) 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KR202000966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92906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22111656A1 (zh) 可拆卸的电子设备
KR20210107404A (ko) 외부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
US9372513B1 (en) Coupling element for hinged electronic device
JP5027421B2 (ja) 携帯電子機器の充電装置
US9383777B1 (en) Notebook computer with lid mounting for translational movement
WO2018209496A1 (zh) 卡托和电子装置
KR20070049099A (ko) 정보 처리 장치
CN111684389B (zh) 用于处理、发送和接收信息、声音和视频的便携式设备
TWM601511U (zh) 電子裝置
JP5200950B2 (ja) 電子機器のペン収納構造及び電子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