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875A -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875A
KR20210106875A KR1020200156392A KR20200156392A KR20210106875A KR 20210106875 A KR20210106875 A KR 20210106875A KR 1020200156392 A KR1020200156392 A KR 1020200156392A KR 20200156392 A KR20200156392 A KR 20200156392A KR 20210106875 A KR20210106875 A KR 20210106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ervice
user terminal
periodic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391B1 (ko
Inventor
김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왓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왓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왓섭
Priority to PCT/KR2021/00215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67416A1/ko
Publication of KR2021010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875A/ko
Priority to KR1020220046223A priority patent/KR102465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따른 각각의 결제서버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내역을 연동하여 가져오는 수집단계; 수집된 상기 결제내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정기결제 내역을 판별하는 추출단계;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기초로, 목록화, 시각화, 그래프화, 알림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기 결제내역의 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관리, 지출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SERVICES BASED ON RECURRING PAYMENT}
본 발명은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지불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내역과 이에 따른 서비스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게 효율적인 정기결제 구독, 변경 및 해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기결제 방식으로 요금(사용료)이 과금되는 서비스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이용해왔던, 도시가스 요금, 아파트 관리비, 통신료, 교육료, 렌탈비 및 신문(잡지) 구독료 등에서부터, 최근 수요가 급증하는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과 소비 형태의 구독서비스까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연평균 17.6%로 성장하며 올해에만 약 600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는 구독서비스는,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멜론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부터 Office 365, AWS 등의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꽃, 샐러드, 양말, 세탁, 자동차, 김치 등 정기배송 서비스까지 다양화되어 공급됨에 따라, 소비자들이 이를 구독하고자 하는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평균 약 5만원 정도를 구독서비스에 지출 중이며, 딜로이트 글로벌은 미국 성인의 50%가 5개 이상, 상위 20%는 10개 이상의 구독서비스를 구독 중인 것으로 발표했다. 즉, 불과 몇 년 전 Forbes의 '구독경제는 수백 년 넘은 소유 개념을 해체하며 새로운 경제생활을 만들고 있다.'라는 보도가 현실이 된 것이다.
하지만, 폭발적으로 성장한 구독서비스로 인해 그 동안 잘 인지되지 않던 정기 결제방식으로 지출이 이뤄지는 서비스에 대한, 여려 불편함과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내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2018년도 정기 결제관련 민원은 총 85만건으로 전년 대비 43%나 급증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고 한다.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결제 수단의 다양화와 해지의 어려움이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먼저, 현대인은 계좌이체, 체크카드, 신용카드, 휴대폰 소액결제, 네이버 페이 등의 간편페이까지 다양한 결제 수단을 통해 소비를 한다. 하지만 결제 수단의 다양화로 인해 모든 결제 내역에 대하여 별개적으로 일일이 다 확인하기 전까지, 전체 정기결제 내역을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는 전세계적으로 비슷한 상황이며, 미국 워터스톤 컨설팅에 따르면 정기결제 이용자의 84%는 자신의 결제일 조차 모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결제서비스를 이용하는 절차는 손쉽고 간편해지는 반면, 이를 해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제절차와 다르게 상당히 복잡하며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심지어 정기결제 서비스 판매자들은 소비자에게 특별한 고지 없이 자동으로 과금 하는 등의'다크넛지'를 악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기인하여 상위 정기결제 민원 중 40만 건이 해지에 대한 민원이기도 하다. 즉, 최근 들어 구독서비스가 소비자들에게 주목 받아 다양해지며 관련 소비가 활발해지고 있지만, 구독서비스 사용자들의 지출은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사용자 자신이 어떤 것을 구독하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 자신이 의사와 상관없이 원하지 않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정기 결제하고 있는 경우, 구독 중인 서비스들에 대한 구독 연장 및 해지에 대한 소비 결정을 원하는 시점에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여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현재에도 사용자의 지출을 관리하는 형태의 지출관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해당 서비스는 단순히 사용자의 결제 역을 최신 순서로 우선적으로 보여주고, 그 하단에 과거의 결제 내역을 시간 및 날짜 순으로 보여주는 것에 한정되기 때문에, 수많은 결제 내역 중 어떤 것이 정기결제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특히, 정기결제의 특성상 사용자가 결제수단 별로, 몇 달치의 지출 내역을 모아서 일일이 확인하지 않으면, 어떤 소비가 정기결제인지 찾아내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때, 정기결제 방식으로 매달 결제되는 정기구독 서비스의 결제 금액이 매달 차이(예를 들면, 통신비, 관리비 등)가 있을 수 있고, 주말이나 공휴일이 포함될 경우, 정기결제 일자가 변경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단순히 1회성 지출로 소비되는 여타 다른 서비스와 분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결제 수단을 통해 정기적으로 지출되는 결제내역을 정확하게 판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통합적인 관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5924호(공보일자: 2019.06.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다양한 결제수단에 의해 정기적으로 지불되는 결제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결제내역을 지능화된 알고리즘으로 추출하여 통합적으로 정기결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기결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출관리, 결제관리, 구독관리, 재구독 관리, 유사 서비스 관리를 포함하는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주기 동안 정기결제를 휴식하거나 정기결제 수단(예를 들면, 신용카드사 변경)을 변경할 수 있는 변경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정기결제를 해지할 수 있도록 해당 서비스별 다양한 해지 경로 또는 화면상에 해지 내비게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해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기결제 내역과 전체 지출내역(입금내역 포함)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지출 패턴을 분석하고 유사그룹과의 비교정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따른 각각의 결제서버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내역을 연동하여 가져오는 수집단계; 수집된 상기 결제내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정기결제 내역을 판별하는 추출단계;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기초로, 목록화, 시각화, 그래프화, 알림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기 결제내역의 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관리, 지출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따른 각각의 결제서버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내역을 연동하여 가져오는 결제내역 수집부; 수집된 상기 결제내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정기 결제내역을 판별하여 추출하는 정기결제 추출부; 추출된 상기 정기 결제내역을 기초로, 목록화, 시각화, 그래프화, 알림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통합관리부; 생성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기 결제내역의 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관리, 지출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기결제 구독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기결제에 대한 정기결제 휴식, 결제수단 변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기결제 변경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기결제에 대한 해지 경로, 해지 내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기결제 해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결제수단에 의해 정기적으로 지불되는 결제내역을 서버 리스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별도의 반복적인 연동절차가 필요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집된 결제내역을 'True' 와 'False' 논리제어가 아닌 연속적인 집합의 논리연산을 통해 지능화된 알고리즘으로 추출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향상된 통합적으로 정기결제 관리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특성화된 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 관리, 지출관리를 포함하는 구독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기결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희망하는 주기 동안 정기결제 휴식하거나 정기결제 수단(예를 들면, 신용카드사 변경)을 변경할 수 있는 변경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지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정기결제를 해지할 수 있도록 해당 서비스별 다양한 해지 경로 또는 사용자 단말 화면상에 해지 내비게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해지서비스를 제공하여, 복잡한 해지절차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다른 정기적인 신규 소비(정기결제)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정기결제 내역과 전체 지출내역(입금내역 포함)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지출 패턴을 분석하고 유사 그룹(나이, 성별, 소득 등)과의 비교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체계적인 소비와 경제 관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결제내역을 수집하기 위한 서버리스 기술의 구성을 간략하고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정기결제 내역을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중에서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중에서 해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방법 중에서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구독관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알림기능을 포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추천관리를 포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추천관리를 포함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결제관리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결제관리의 기록 스크롤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결제관리의 기록 캘린더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의 앱스토어 해지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의 통화 해지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의 웹을 통한 해지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의 앱을 통한 해지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변경서비스 중 정기결제 휴식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변경서비스 중 결제수단 변경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구독관리 중 상품 검색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결제관리 중 정기결제 내역을 유사 카테고리 별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지출관리를 월별로 분석하여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첨부된 구성도(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인접하거나 순서에 따라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열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본 발명에 있어서, “정기결제 서비스”란,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 또는 일정기간 동안의 사용금액을 정기적으로 결제하고 상품(서비스 포함)을 판매자(공급자)로부터 제공(배송)받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구독서비스, 변경서비스, 해지서비스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 사용자 단말(300), 결제 서버(400) 및 판매자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으로, 유선 및/또는 무선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무선랜(wireless LAN) 또는 이동통신망(mobile telecommunication)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통신망(100)은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0)을 통해 이후 설명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판매자 서버(300) 등과 같은 장치들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청되는 사용자 마다의 결제내역을 수집하고, 수집된 결제내역 중에서 정기적인 지출이 이루어지는 정기결제를 추출하여, 구독서비스(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관리, 지출관리), 변경서비스(정기결제 휴식, 결제수단 변경) 및 해지서비스(해지 경로, 해지 내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다양한 결제수단에 의해 정기적으로 지불되는 결제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결제내역을 지능화된 알고리즘으로 추출하여 통합적으로 정기결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기결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관리, 지출관리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독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주기 동안 정기결제 휴식하거나, 정기결제 수단(예를 들면, 신용카드사 변경)을 변경할 수 있는 변경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정기결제를 해지할 수 있도록 해당 서비스별 다양한 해지 경로 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상에 해지 내비게이션을 디스플레이 하는 해지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도 2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의 금융 결제내역을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 서버(400)로부터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으로 연동시키고, 제공된 금융 결제내역에서 정기적으로 지출되는 정기결제 내역 및 이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제1, 제2, 제n 사용자 단말,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후 로그인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관리, 지출관리), 변경서비스 (정기결제 휴식, 결제수단 변경) 및 해지서비스(해지 경로, 해지 내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상술된 구독서비스, 변경서비스 및 해지서비스 중 어느 하나이상을 제공받고, 이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는 전용 웹(Web) 및/또는 앱(App)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이동통신단말장치,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장치, 유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장치 등의 다양한 공지된 디지털 기기가 제한 없이 채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 단말장치(3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C),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을 구비하면서, 유/무선의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로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독서비스, 변경서비스 및 해지서비스 중 어느 하나이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표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수단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어 입력수단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서버(3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선택되는 결제수단[예를 들면, 신용카드, 은행계좌, 간편결제(스마트페이)]의 운영 서버(제1, 제2, 제n 결제서버, n은 자연수) 또는 상기 운영 서버와 연동되는 별도의 결제대행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제서버(300)는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과 결제 관련 제휴를 맺은 결제수단의 운영 서버로써, 이때, 결제서버(300)는 PG(Payment Gateway)와 같은 결제대행서비스 업체의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는데, 금융기관(카드사, 은행)과의 결제와 거래를 대행(가맹점 대행)해주는 업체로써, 대표적으로 신용카드 PG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신용카드로 대금을 결제하는 경우, 신용카드 PG를 통해 지급결제 절차가 수행되고, 신용카드 PG업자는 이후 해당 쇼핑몰과 VAN사업자 사이에서 거래 및 승인 정보를 중계하고 정산을 대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서버(500)는 사용자에게 정기적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업체의 운영 서버(제1, 제2, 제n 판매자 서버, n은 자연수)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자 서버(500)는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과 상품관련 제휴를 맺은 제휴사들의 서버로서, 산업 분야별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나 왓챠, 멜론 등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나 아파트 관리비나 정수 서비스 등 일상 생활에서 정기적으로 결제가 되는 서비스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되는 정기 결제 서비스 관련정보(예를 들면, 주문결제 정보)에 따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구독 처리하며, 처리 결과를 브라우징 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의 구성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결제내역 수집부(210), 정기결제 추출부(220), 통합관리부(230), 정기결제 구독부(240), 정기결제 변경부(250), 정기결제 해지부(260), 통신부(270), 데이터베이스(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내역 수집부(210), 정기결제 추출부(220), 통합관리부(230), 정기결제 구독부(240), 정기결제 변경부(250), 정기결제 해지부(260), 통신부(270), 데이터베이스(280) 및 제어부(29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다수의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판매자 서버(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와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내역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선택되는 결제수단에 따른 각각의 결제서버(400)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내역을 연동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결제내역 수집부(210)는, 정기적으로 지불되는 결제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별도의 반복적인 연동절차가 필요 없도록 하기 위하여, 코드를 활용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동적 자원 분배 방식의 서버리스(Serverless)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추출부(220), 수집된 상기 결제내역 중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하나 또는 다수의 정기 결제내역을 판별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정기결제 추출부(220)는 수집된 결제내역을 'True' 와 'False' 논리제어가 아닌 연속적인 집합의 논리연산을 통해 지능화된 알고리즘으로 추출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향상된 통합적으로 정기결제 관리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기결제 추출 알고리즘은 도 4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부(230)는, 추출된 상기 정기 결제내역을 기초로, 목록화, 시각화, 그래프화, 알림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후 설명되는 정기결제 구독부(240), 정기결제 변경부(250), 정기결제 해지부(26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록화 기능은, 상기 정기결제 내역과 서비스별 결제일 정보 안내는 물론 일별 세부 지출내역 및 월별 총 지출내역, 결제주기 정보, 지출된 누적금액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해당 사용자의 정기결제 및 이와 연관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화 기능 및 상기 그래프화 기능은, 상기와 같은 정기결제 내역 정보를 그래프화하거나, 다양한 UI로 구현하여 시각화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시각화된 그래프에는 월별, 일별 지출내역에 대한 비용이 누적된 금액으로 표시될 수 있고, 월별 지출금액을 대비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서비스를 해지할 수도 있으며 만기된 서비스에 대해서는 연장 신청하여 계속해서 구독할 수도 있다. 해당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결제 중인 정기결제 서비스의 소비 결정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상기 서비스별 지출내역 정보를 사용자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시각화된 그래프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해 결제 및 지출내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정보는, 사용자 마다의 정기결제 서비스 별로 발생되는 이벤트를 알림(일례로, 푸시 알림)으로 사용자 단말(300)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푸시 알림에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결제일 알림이나 만기예정인 서비스에 대한 연장 구독 알림, 해지 가능일 알림 및 유사서비스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특정 서비스에 대하여 해지하거나 계속 구독할 수 있으며 유사서비스를 구독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부(240)는, 생성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기 결제내역의 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관리, 지출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독서비스는 먼저 상기 결제관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해당 월별 또는 일자별 지출 세부내역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정기결제의 결제일자의 이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유사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독관리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조회한 정기결제 내역을 상기 조회일자를 기준으로, 결제일이 지난 서비스와 결제일이 지나지 않은 서비스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이미 해지 처리된 정기결제 내역을 기초로 재구독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천관리는, 이미 해지 처리된 정기결제를 기초로 이와 유사한 정기결제 상품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추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의 결제 패턴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에게 유사 상품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추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일정기간 지출금액과 결제 패턴을 기초로 이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정기결제 중인 상품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추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출관리는, 상기 결제내역 및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기초로, 월별 지출 관리, 전년도 월별 지출 관리, 계절에 따른 지출관리, 환경에 따른 지출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나이, 성별, 소비에 따른 지출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변경부(250)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상기 정기결제에 대한 정기결제 휴식, 결제수단 변경(예를 들면, 신용카드사 변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변경서비스는, 먼저 상기 정기결제의 휴식은,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서비스들 중에서, 일정 주기 동안 휴식을 신청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기결제 1주기(한달) 또는 다수의 주기 동안 정기 결제를 휴식(쉼)할 수 있다.
상기 결제수단 변경은,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서비스의 결제수단을 다른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서비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하의 도면을 참조한 방법 설명에서 구체화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부(260)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해지 경로 또는 해지 내비게이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상기 해지서비스에서, 먼저 상기 해지 경로는, 사용자 단말(300)이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서비스들 중에서, 해지가 요청된 서비스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지 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지가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지 방법은 앱 스토어에서 해지하는 방법과 통화로 해지하는 방법과 앱에서 해지하는 방법 및 웹에서 해지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지 내비게이션은, 사용자 단말(300)이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서비스들 중에서, 해지가 요청된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의 일정영역에 해지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해지 경로를 제공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서비스에 대하여 해지 요청이 되면, 해지 요청된 서비스에 대하여 해지 처리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해지 처리과정은 해당 서비스가 제휴된 업체에 대해서는 API 연동 방식으로 해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해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지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방식은, 사용자 단말(300)의 해지관련 화면상에 해지 내비게이션을 디스플레이 하여, 진행 단계별로 해지를 안내해 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복잡한 해지절차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다른 정기적인 신규 소비(정기결제)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70)는,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와 사용자 단말(300), 결제 서버(400) 및/또는 판매자 서버(500)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80)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각각의 이름, 주민번호, 나이, 성별, 지출내역, 연락처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일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80)는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80)는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8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280)에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90)는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 관련된 일련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결제내역 수집부(210), 정기결제 추출부(220), 통합관리부(230), 정기결제 구독부(240), 정기결제 변경부(250), 정기결제 해지부(260), 통신부(270) 및 데이터베이스(280)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9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결제내역 수집부(210), 정기결제 추출부(220), 통합관리부(230), 정기결제 구독부(240), 정기결제 변경부(250), 정기결제 해지부(260), 통신부(270) 및 데이터베이스(28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결제내역 수집 및 정기결제 추출을 제공하는 과정(방법) 및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결제내역 수집 및 정기결제 추출 과정
종래의 로드밸런싱 방식 아키텍쳐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하, 병목, 장애발생과 같은 기술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AWS Lambda', 'DynamoDB'와 같은 서버리스(Serverless) 기술을 채택하여, 서버리스 방식 백엔드 아키텍쳐를 구현함으로써, 이론상 트래픽 확장에 제한이 없는 하루에 약 10조 개 이상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고, 초당 약 2,000만 개 이상의 피크 요청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금융 결제내역(입출금 내역)을 스크래핑 할 때,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하여도 별도의 서버 증설 없이도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리스 컴퓨팅을 사용하면 AWS(Amazon Web Services)에서 용량 프로비저닝, 패칭 등의 인프라 관리 작업을 처리해주기 때문에, 코드를 작성에 집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안정성 때문에 정기결제 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앱(App)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결제내역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결제내역을 앱에서 업데이트 하지 않고도 결제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결제내역을 수집하기 위한 서버리스 기술의 구성을 간략하고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의 결제내역을 수집하기 위한 서버리스 기술의 구성은, API Gateway, Lambda, DynamoDB, Cloud Watch, S3를 포함하며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API Gateway는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비즈니스 로직에게 전달하고 결과 값을 반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Lambda는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DynamoDB는 상기 Lambda를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나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Cloud Watch는 매일 12시 알람 등을 보내기 위해 상기 Lambda를 스케쥴에 맞춰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S3는 비교적 용량이 큰 미디어 및 바이너리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소스들은 모두 서버리스이므로 서버를 프로비저닝 하거나 패치를 적용하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관리 운영할 필요도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버리스 방식 백엔드 아키텍쳐의 각 블록 중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AWS Lambda'는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코드를 실행하고 자동으로 기본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DynamoDB'는 키 값과 문서 데이터 모델을 지원하는 NoSQL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해를 돕기 위해 동작 일 예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정기결제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을 하고 프로필 이미지를 변경한다고 가정하면, 로그인을 진행하기 위해 모바일어플리케이션에서 핸드폰 번호를 입력받고 로그인 버튼을 입력한다. 그 이후 모바일어플리케이션에서 API Gateway 를 호출해 Lambda의 Login 함수를 호출하게 된다.
이어서, Lambda는 사용자의 핸드폰번호가 가입이 되어있는지 DynamoDB를 쿼리하여 확인하고,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일 경우 사용자가 가입시 등록한 핸드폰 번호를 DynamoDB 를 통해 가져오고, 외부 SMS 전송 서비스를 https 프로토콜로 호출하여 사용자에게 인증코드를 보낼 수 있다.
이어서, DynamoDB에 사용자에게 보낸 인증번호를 저장해 놓으면, 작업이 완료됐음을 API Gateway 를 통해 모바일어플리케이션에 응답하고, 응답을 받은 모바일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인증번호를 입력하기를 대기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사용중인 핸드폰으로 인증코드를 수신하여 모바일어플리케이션에 인증번호를 입력하고, 모바일어플리케이션은 API Gateway 를 호출해 Lambda의 인증번호를 검수하는 함수 VerifyLogin을 호출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인증번호가 이미 DynamoDB에 저장해둔 것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한 뒤, API Gateway를 통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응답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로그인이 성공했다는 응답을 받고 어플리케이션 홈 화면에 진입하면, 프로필 화면에 들어가 원하는 프로필 이미지를 갤러리에서 선택하고 변경 버튼을 누르면, 사진 파일이 Base64형태로 변환되어 API Gateway를 통해 Lambda에 전달되고, Lambda 는 이를 S3에 업로드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연동한 금융사의 정기결제서비스A가 결제 3일전이라고 가정한다면, 매일 12시에 알람 로직 (NotifyServices) 을 호출하게 설정된 CloudWatch 가 작동하여 Lambda 의 NotifyServices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이어서, Lambda 에서 DynamoDB를 쿼리하여 사용자별로 결제 예정일이 3일 후인 서비스 목록을 추출하고, 추출된 서비스 목록을 사용자별로 반복적으로 푸시 알람을 통해 공지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수신된 푸시알람을 클릭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버리스 방식 백엔드 아키텍쳐의 다른 블록구성과 다른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기초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서 정기결제 내역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정기결제 추출 알고리즘은 실제 결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다양한 케이스의 결제 건에 대해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통신비 결제 내역의 경우, 매월 마다 결제 금액이 다를 수 있고, 동시에 연체가 이루어져 결제의 주기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예상하기 어려운 케이스가 상당수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결제의 정기성(주기성) 또는 결제 금액의 연속성 등만으로는 정기 결제 내역을 완벽히 판별하여 추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예외 케이스들을 분류하여 Rule-based AI 기술 중 하나인 퍼지 논리를 구성하여, 정기 결제를 높은 정확도로 추출할 수 있는 지능형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정기결제 내역을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래프(ㄱ)은 결제금액의 연속성을 도시한 그래프인데, 일 예로 A는 햄버거 상품, B는 콘텐츠 상품, C는 보험상품일 수 있으며, 이때 콘텐츠 상품인 B의 결제금액이 가장 일정한 연속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래프(ㄴ)은 결제내역의 주기성을 도시한 그래프인데, 일 예로 A는 햄버거 상품, B는 콘텐츠 상품, C는 보험상품일 수 있으며, 이때 콘텐츠 상품인 B의 결제내역은 주기성이 0.5이고, 보험상품인 C의 결제내역은 주기성이 1로 가장 높은 주기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지능형 알고리즘은, 단순히 'True' 와 'False'의 논리를 제어되어 정답을 도출해내는 방식이 아니며, 0과 1사이의 연속적인 값을 집합으로 정의하고, 논리 연산을 통해 특정 결제 데이터가 정기 결제인지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래프(ㄱ)와 그래프(ㄴ)를 'AND(*) 연산 과정'을 수행할 경우, 그래프(ㄷ-1)와 같이 가장 좁은 범위의 정기결제만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도는 향상되지만, 반면에 정기결제 이지만 누락되는 사례가 발생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그래프(ㄱ)와 그래프(ㄴ)를 'OR(+) 연산 과정'을 수행할 경우, 그래프(ㄷ-2)와 같이 'AND(*) 연산 과정'범위의 보다 넓은 범위의 정기결제를 추출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단순 조건부 판단으로는 추출해 낼 수 없는 정기 결제내역을 추출해 낼 수 있는데, 이를 기반으로 Deep learning 기술을 통해 정기 결제 내역 추출뿐 아니라 사용자가 다음달에 결제할 내역 및 금액을 예상해서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는 과정 및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단계(S100)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회원가입 요청 시, 회원가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회원으로 가입시킬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는 주소 및 인적 사항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과정은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 단말기나 컴퓨터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로그인 한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선택되는 결제수단에 따른 각각의 결제서버(400)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내역을 수집하는 단계(S200)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되는 사용자의 결제내역은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구독중인 서비스의 지출내역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어서, 수집된 상기 결제내역 중에서, 사용자 단말(300)이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하나 또는 다수의 구독 서비스 결제내역을 판별하여 추출하는 단계(S300)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구독중인 전체 서비스 지출내역에서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항목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추출된 상기 정기 결제내역을 기초로, 지출관리, 결제관리, 구독관리, 재구독 관리, 유사 서비스 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단계(S400)를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구독서비스(S400)를 기초로 정기결제를 변경하는 단계를 진행할 경우(YES, 'B'과정), 본 발명에 의한 정기결제 변경서비스(S500)를 거쳐 해지서비스(S600)를 진행할 수 있으며, 구독서비스(S400)를 기초로 정기결제를 변경하는 단계를 진행하지 않을 경우(NO, 'A'과정), 본 발명에 의한 정기결제 해지서비스(S600)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중에서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독서비스 단계(S400)는, 추출된 상기 정기 결제내역을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관리 과정(S410), 구독관리 과정(S420), 추천 관리 과정(S430), 지출관리 과정(S4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독서비스의 각 과정은 상세한 설명은 상술된 도 2를 참조한 정기결제 구독부(240)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설명은, 실제 앱 구동 화면을 예시로 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중에서 해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지서비스 단계(S600)는, 추출된 상기 정기 결제내역을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기결제에 대한 해지 경로 제공과정(S610), 해지 내비게이션 제공 과정(S6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해지 경로 제공과정(S610)은, 앱 스토어 해지(S611), 통화 해지(S612), 웹 해지(S613), 앱 해지(S6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해지가 될 수 있는데, 각 경로마다의 해지 방법은 별도의 공지 내용이나 팝업 메시지로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해지 내비게이션 제공 과정(S620)은,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상에 해당 서비스에 맞는 해지 방법을 안내해 주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는 해당 내비게이션 화면에 따라 해지 절차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해지서비스의 각 과정은 상세한 설명은 상술된 도 2를 참조한 정기결제 해지부(260)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설명은, 실제 앱 구동 화면을 예시로 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중에서 변경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경서비스 단계(S500)는, 추출된 상기 정기 결제내역을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기결제에 대한 정기결제 휴식과정(S510), 결제수단 변경 과정(S5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의한 해지서비스(S600)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서비스의 각 과정은 상세한 설명은 상술된 도 2를 참조한 정기결제 변경부(250)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방법의 일 예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 로그인하여 구독서비스 중 일부 과정을 수행하고, 이어서 특정 서비스에 대하여 해지서비스를 수행한 후, 다시 재구독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를 하나의 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방법(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활용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방법 중에서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를 제공받기 위하여,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에 사전에 가입이 완료된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단계(S10)을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로그인 한 사용자가 선택한 신용카드, 은행계좌, 간편결제 등의 결제수단에 따른 각각의 결제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내역을 수집하는 단계(S11)를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수집된 상기 결제내역 중에서,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하나 또는 다수의 서비스 결제내역을 판별하여 추출하는 단계(S12)를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추출된 상기 정기 결제내역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지출내역을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 단계(S13)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정기결제 지출내역은 해당 월의 일자별 지출 세부내역이 표시된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해당 월의 일자별 지출 세부내역은 누적된 금액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한 정기결제 지출내역은 월 단위별 총 지출내역의 추이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즉, 정기결제 서비스의 지출내역을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해당 사용자는 해당 정보를 제공받는 시점(날짜)을 기준으로 이미 결제가 완료된 서비스와 결제를 해야 할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받는 시점 이후 결제를 해야 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결제를 할지 말지를 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지출내역을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 단계(S13)는 월별로 정기결제 된 돈이 얼만큼 지출되었는지를 시각화하여 보여주고, 월별로 총액이 얼마 인지와 월 세부내역을 보여줌으로써 월 총 지출내역의 추이를 알 수 있게 된다. 즉, 수집된 정보에 대한 지출내역 리스트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래프와 지출내역 리스트를 함께 제시하여 보여줄 수 있으며, 앞으로 얼마가 더 결제될 예정인지의 정보와, 구체적인 증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10월에 총 결제된 금액은 84만원이고 전월 대비 얼마 증가하였는지 또는 감소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기결제 서비스 지출내역을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해당 사용자는 자신의 정기결제 서비스 지출내역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정기결제 서비스 지출내역을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설명은, 실제 앱 구동 화면을 예시로 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기결제 서비스 지출내역이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만기일이 얼마 남지 않은 서비스에 대해서는 해당 사용자에게 연장 유무를 물어 연장을 요청한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연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정기결제 서비스 지출내역이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에 대한 해지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해지가 요청된 서비스를 해지 처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결제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구독 서비스별로 이벤트 푸시 알림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S14)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로 알림을 주는 이벤트 푸시 알림 메시지는 해당 사용자가 정기결제를 하고 있는 해당 서비스별 결제일 알림 정보와 해지 가능일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서비스가 내일 결제됩니다. 오늘까지 해지가 가능합니다.'와 같이 푸시 알림이 전달될 수 있다.
즉, 해당 서비스별로 푸시 알림을 수신은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터치해서 들어가면 해당 서비스가 내일 결제될 예정이고, 해지는 오늘까지 가능하고(해지 가능일), 현재까지 얼마를 지출하였으며, 결제주기는 어떻게 되고, 누적된 결제금액을 알려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사서비스를 보여주어 사용자가 비교 선택을 할 수 있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여 해지 버튼을 누르면 정말 해지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서버는 유사 서비스를 보여주고 동시에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해지할지 계속 사용할지를 판단을 내리게 해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정말 해당 서비스를 해지한다고 요청한 경우에는 사용자 고유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해지 처리하여 반영할 수 있으며, 해지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계속해서 사용자가 구독할 수 있도록 처리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정기결제하고 있는 서비스별로 각각 해지 가능일을 알려줌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서비스별로 각각 해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해지 여부 결정에 대한 유사 서비스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 정기결제는 해지가 가능하고 해지한 후에 대체재와 보완재 성격의 유사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넷플릭스(netflix)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넷플렉스 서비스를 취소하고 왓챠(watcha)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넷플릭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넷플렉스를 해지하고 저축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결제하는 모든 서비스 예를 들어, 웅진코웨이 정수기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웅진코웨이 정수기 서비스를 취소하고 쿠팡에서 정기 배송으로 생수를 주문해서 먹을 수 있다. 아니면 웅진코웨이 정수기 서비스를 취소하고 그 돈으로 저축하고 물을 끓여먹을 수도 있다.
또한, 보완재 성격의 유사 서비스는 다른 분야의 산업을 포함하여 예를 들어, 정기결제를 하고 있는 구독 서비스, 금융상품, 렌탈, 멤버십 등 모든 서비스 간에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결제일 정보와 결제 주기정보와 누적 지출내역 정보와 해지 가능일 정보와 유사 서비스 정보를 제공(S15)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구독 서비스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기결제 구독 서비스에 대한 해지 가능일 이전에 해지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S16)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해지가 요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해지가 요청된 서비스를 해지 처리(S17)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해지 처리를 요청한 사용자가 해지 처리된 정기결제 구독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를 선택(S18)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 서비스에 대한 구독 요청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S19)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유사 서비스에 대한 구독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구독 요청된 유사 서비스를 구독 처리(S20)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해지 처리 단계(S17)에서 해지 처리된 서비스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로부터 재구독 요청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S21)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해지 처리된 서비스에 대하여 재구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의 도 10과 같은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서버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해지 처리된 서비스에 대하여 재구독 요청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재구독 요청된 서비스를 재구독 처리(S22)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구독 서비스가 오늘을 기준일로 하여, 결제일이 지난 서비스와, 결제일이 지나지 않은 서비스를 구분하는 단계(S23)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23 단계에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는 해당 사용자가 정기결제 중인 모든 서비스에 대하여 수집해 온 정보를 기록해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특히,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기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때, 사용자가 오늘을 기준으로 결제하기로 결심한 서비스 내역과 결제를 결심해야 할 서비스 내역으로 구분해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미 결제일이 지난 서비스들은 사용자가 가만히 놔두면 계속 사용하는 것이고, 오늘을 기준으로 결제일이 다가오는 서비스들은 사용자가 결제를 할지 말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사용자가 결제를 결심해야 할 서비스에 대해서 해지가 요청되면 해지할 수 있으며, 해지한 서비스에 대하여 재구독이 요청되면 해당 서비스에 대하여 재구독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사용자의 최신 결제내역에 대하여 어디에 얼마를 지출하였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결제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하여 각각 오늘을 기준으로, 해지하거나 해지한 서비스를 재구독하거나 만기가 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연장 신청 구독 등 쉽게 소비 결심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S23 단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록 기능 부분에 대한 설명은, 예시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해당 정보를 조회한 시점(날짜)을 기준일로 하여, 구분된 결제일이 지난 서비스와, 결제일이 지나지 않은 서비스를 디스플레이(S24) 할 수 있다. 이때,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구독 서비스별 오늘 기준 결제일이 지나지 않은 서비스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해지가 요청된 경우에는 요청된 서비스를 해지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관리 시스템(200)은 해지 처리된 서비스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재구독이 요청되면 재구독이 요청된 해당 서비스를 재구독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정기결제 서비스 지출비용에 대해서 사용자가 시각화된 그래프를 통해서 직관적으로 인지시켜서 관리해 주고, 개별 서비스에 따라서 선택을 할 수 있게 해주며, 손쉽게 소비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손쉬운 소비결정을 위해 해지와 구독이 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서비스에 대한 해지와 구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제공하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의 메인 화면 상에서 '1번'으로 표시된 부분은 서비스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일례로 아래에서 위로 오버레이 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구독서비스, 생활지출을 추가할 수 있다.
이어서, 메인 화면 상에서 '2번'으로 표시된 부분은 메인 알림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오버레이 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메인 화면 상에서 '3번'으로 표시된 부분은 이번 달 결제 예정 금액과 상태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메인 화면 상에서 '4번'으로 표시된 부분은 오늘 날짜를 기준으로 결제 혹은 만기가 임박한 항목들이 '1주기'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뒤로 갈수로 불투명도가 cos(x)를 그리며 0의 값에 다가갈 수 있고, 동일 날짜에 결제되는 항목이 있을 시 두 아이콘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가로 스크롤이 가능하고 포커스 된 항목만 이름과 함께 표시되며 스냅(snap)이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메인 화면 상에서 '5번'으로 표시된 부분은, 이번 달의 지출 추이를 보여주는 통계자료로, 지출량 그래프, 당월 총 지출액, 전월 대비 변화량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당월 총 지출액은 해당 월에 모든 지출액의 합산액으로 원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전월 대비 변화량은 전월에 대비하여 지출액의 증가/감소 금액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메인 화면 상에서 '6번'으로 표시된 부분은, 이번 달의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결제된 서비스와 결제 전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일에 맞춰 결제된 서비스는 온점으로 표시될 수 있고, 결제 전 서비스는 결제일에 빈 점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x축은 일자로 현재일에 빨간색 실선이 위치할 수 있으며, 현재일을 기준으로 과거는 파란색 실선으로, 미래에는 파란색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프를 터치하면 월 단위의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 화면 상에서 정기결제 지출 추이를 한 눈에 보고 소비의 지속 혹은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달 정기결제 지출 추이, 월별 정기결제 지출 추이, 전월 대비 증감액, 현재일 기준 소비하기로 결정한 서비스, 현재일 기준 소비 결정을 해야 할 서비스 현황, 사용자 취향에 맞춤화된 검증된 서비스 추천, 구독 중인 서비스 내역이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화면 상에서 '1번'으로 표시된 부분은 리스트에서 월이 바뀔 경우 레이블을 통해서 구분될 수 있고, 스크롤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만기 예정인 서비스의 경우 만기 예정일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스크롤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은, 결제일이 2달 이상 남은 서비스의 경우에도 결제 예정일이 표시될 수 있으며, 구독 중인 서비스가 무조건 1회 등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스크롤 화면 상에서 '4번' 부분은 리스트 최하단에는 기록에서 더 보기 버튼이 표시될 수 있으며, 버튼을 터치 시 기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구독관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알림 서비스 화면 상에서 '1번' 부분을 터치하면 메인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서비스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페이지 타이틀이 표시될 수 있다. 위로 스와이프 시 작은 타이틀로서 중앙에 표시될 수 있고 구분선이 표시될 수 있으며, 스크롤이 최상단에 도달하며 자연스럽게 변화될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서비스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은, 알람이 표시된 날짜가 표시될 수 있다. 결제/만기일이 3일 이내일 경우 붉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최근 표시된 알림의 경우 배경이 어둡게 표시될 수 있다. 알림 탭에 한 번 이상 들어왔을 경우 이를 해제할 수 있고, 확인된 알림의 경우 글자색이 연하게 처리될 수 있다. 하단 문구는 결제 금액과 함께 아래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해지 가능일자 3일 전 : 3일 뒤까지 해지가 가능합니다.
해지 가능일자 2일 전 : 모래까지 해지가 가능합니다.
해지 가능일자 1일 전 : 내일까지 해지가 가능합니다.
해지 가능일자 당일 : 오늘까지 해지가 가능합니다."
이어서, 알림 서비스 화면 상에서 '4번' 부분에서와 같이 결제 전 항목의 경우 서비스 아이콘, 이름, 결제 금액과 해지 가능 일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 시에는 알림 세부 메뉴로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서비스 화면 상에서 '5번' 부분에서와 같이 결제 후 항목의 경우, 알림 세부 내용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하단에는 해지 가능 일자 대신 다음 지출일이 표시될 수 있다.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알림기능 제공하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알림기능을 포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화면 상에서 '1번'으로 표시된 부분은 상단 툴 바가 기본 사이즈로 표시되어 생겨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탭 이름이 '오늘'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스크롤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큐레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큐레이션의 형태 및 크기는 변화할 수 있으나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스크롤이 가능하고 각 항목에 대해서 스냅(snap)이 적용될 수 있으며, 터치 시 해당 큐레이션의 서비스 안내가 우측에서 오버레이 되며 나타날 수 있다.
이어서, 스크롤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은, 앞으로 결제될 서비스들을 1주기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1주기는 구독 중인 모든 서비스가 해당 리스트에 무조건 1회 표시되도록 했을 때의 표시량을 뜻할 수 있다.
이어서, 스크롤 화면 상에서 '4번' 부분은, 서비스 결제일이 mm.dd(월. 일)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예외적으로 서비스 결제일의 하루 전에는 '내일 결제됩니다!'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스크롤 화면 상에서 '5번' 부분은, 동일한 일자에 결제되는 항목이 2개 이상 있을 경우, 최상단의 항목만 일자가 표기되며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고, 마지막 항목만 구분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스크롤 화면 상에서 '6번' 부분은, 프로모션이 적용되어 가격변동이 있는 항목의 경우 적용 전 가격과 적용 후 가격이 병기될 수 있다.
이어서, 스크롤 화면 상에서 '7번' 부분은 서비스 리스트에서 좌측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빠른 해지가 표시될 수 있고, '해지'를 탭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해지서비스를 오버레이 할 수 있다.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추천관리 제공하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추천관리를 포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해당 화면은 각 알림의 자세한 내용을 보여줄 수 있으며, 서비스의 푸시 알림을 터치했을 시에도 해당 화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먼저, 알림 세부 서비스 화면 상에서 '1번' 부분을 터치하면 메인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세부 서비스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서비스, 서비스명, 최종 결제금액, 결제일이 텍스트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세부 서비스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은, 서비스의 해지가 가능한 최종 기간이 표시될 수 있으며, 10월 00월까지, 내일까지, 오늘까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본 결제 금액과 누적 결제 금액은 해당 서비스의 결제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결제 주기는 주기, 결제일이 표시될 수 있으며, 매월 dd일, 혹은 30일과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세부 서비스 화면 상에서 '4번' 부분은, 해당 서비스를 대체 가능한 서비스가 추천될 수 있다. 위로 스와이프 시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더 보기 버튼을 눌러도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다. 각 서비스는 아이콘과 서비스 이름, 그리고 프로모션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터치시 해당 서비스 정보를 보여주는 페이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세부 서비스 화면 상에서 '5번' 부분은, 서비스 해지 안내가 오버레이 될 수 있으며, '6번' 부분은 사용자가 알림을 확인한 것으로 처리하고 메인 화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추천관리를 포함하는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세부 서비스 스크롤 화면에서는 사용자에게 임박한 서비스를 알려줄 수 있으며, 정기결제 중인 서비스를 연장, 해지, 서비스 대체 등의 방법으로 소비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알림 세부 서비스 스크롤 화면 상에서 '1번' 부분을 터치하면 메인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세부 서비스 스크롤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페이지 타이틀이 표시될 수 있고 작은 타이틀로서 중앙에 표시될 수 있으며, 평소에는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고 스크롤시 구분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세부 서비스 스크롤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은, 유사 서비스를 보여줄 수 있으며, 특정 유사 서비스 터치시 해당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소개하는 메뉴로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알림 세부 서비스 스크롤 화면 상에서 '4번' 부분은, 항상 리스트 마지막 요소로서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탐색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더 찾아볼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알림 기능은 사용자에게 결제 임박한 서비스를 알려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알림을 통해 정기결제 중인 서비스를 연장, 해지, 서비스 대체 등의 방법으로 소비 결정권을 간편하게 행사할 수 있다.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결제관리 제공하기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결제관리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용 중인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소비 결정 여부가 시각화에 핵심 기준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정보 제공화면 상에서 '1번' 부분은, 서비스 추가가 아래에서 위로 오버레이 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구독서비스, 생활지출이 추가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정보 제공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전술한 알림 기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오버레이 되어 나타날 수 있고, '3번' 부분은 구독보고서로 페이지가 전환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정보 제공화면 상에서 '4번' 부분에서는 바로 다음 결제 항목이 표시될 수 있으며, 아래로 스크롤 하면 배경의 불투명도가 0이 되고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표시된 서비스를 터치 시 해당 항목의 서비스 구독 페이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정보 제공화면 상에서 '5번' 부분은 해당 서비스 항목의 결제 상태가 표시될 수 있고, 결제 예정, 만기 예정, 결제 완료됨 세가지 상태가 있으며, 하단의 날짜는 '결제 예정: 결제일, 만기 예정: 만기일 >>> p.00, 결제 완료됨: 결제된 날짜'와 같이 표기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정보 제공화면 상에서 '6번' 부분은, 오늘을 기준으로 오늘 아래의 서비스들은 사용자가 소비하기로 결정한 결제가 완료된 서비스 항목이 표시될 수 있으며 위에서 최근 순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정보 제공화면 상에서 '7번' 부분은 각 기준일의 월 단위가 변경될 때, 월 표시로 구분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정보 제공화면 상에서 '8번' 부분은 페이지의 하단에 탭 바(Tap Bar)에 부착된 형태로 월 이동이 가능한 캘린더가 배치될 수 있다. 배경은 Background Blur가 적용될 수 있고, 터치하여 이동, 가로 스와이프를 통해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한 번에 7개의 월이 표시되도록 스냅(Snap)을 사용할 수 있고, 위로 스와이프 시 확장된 캘린더가 오버레이 될 수 있으며, '9번' 부분에서 선택된 달은 배경색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결제관리의 기록 스크롤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스크롤 화면 상에서 '1번' 부분은, 아래로 스와이프(swipe) 시 한 주기의 결제 예정 항목이 표시될 수 있으며, 배경 박스의 불투명도가 0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스크롤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오늘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오늘을 기준으로 결제 예정 항목과 결제된 항목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스크롤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은, 페이지 타이틀이 표시될 수 있고 위로 스와이프 시 작은 타이틀로서 중앙에 표시될 수 있으며 구분선이 표시될 수 있다. 스크롤이 최상단에 도달하며 자연스럽게 변화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스크롤 화면 상에서 '4번' 부분은 만기일이 있는 1회성 결제의 경우 만기일의 날짜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결제관리의 기록 캘린더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캘린더 화면 상에서 '1번' 부분은, 페이지 하단에서 캘린더가 확장될 수 있고 배경이 어둡게 조정될 수 있다. 탭 바(Tap Bar)는 페이지 하단으로 이동되어 사라질 수 있고 아래로 스와이프하여 나갈 수 있으며 배경을 탭하여도 돌아갈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캘린더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현재 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좌, 우의 화살표를 터치하여 이전 달, 다음 달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월 정보를 터치 시 날짜 선택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월 정보를 터치 시 월 영역(배경)이 확장되고 불투명도가 0으로 수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날짜정보는 애니메이션 중간지점에서 불투명도가 0에 도달할 수 있고 이후에 날짜 선택기가 월 영역(배경)의 크기에 맞추어 확대되며 불투명도가 100으로 증가할 수 있다. 캘린더는 해당 애니메이션의 역재생 버전으로, 캘린더 영역 배경의 불투명도가 0에서 100으로 증가하며 크기가 줄어들고, 캘린더 자체는 애니메이션 중간지점에서 불투명도가 0에 도달할 수 있다. 이후 캘린더로 보기 레이블의 불투명도가 100이 될 수 있으며, 다음에 이 화면에 진입 시 설정을 기억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캘린더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은 해당 일에 결제되는 서비스가 있을 시, 날짜 아래에 푸른색 점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개수와 무관하게 하나만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캘린더 화면 상에서 '4번' 부분은 해당 일에 만기되는 서비스의 경우도, 위와 같이 회색 점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캘린더 화면 상에서 '5번' 부분은 현재 날짜의 경우 동일하게 푸른색 배경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오늘의 경우 선택되어 있지 않을 경우 회색 배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캘린더 화면 상에서 '6번' 부분은 스크러버(Scrubber)를 통해서 특정 날짜를 지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특정 날짜에 결제되는 정보가 없을 시에는, 해당 날짜 이후 가장 가까운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기록 캘린더 화면 상에서 '7번' 부분은 전술한 화면처럼 캘린더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결제관리 과정은 지금까지의 소비 내역과 미래의 예상 소비를 기록하여, 사용자가 소비를 결정한 서비스와 소비 결정을 할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기결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무의식 소비를 유발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능동적인 소비 주체로서 정기결제 중인 서비스에 대해 소비를 결정하고, 소비 결정한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음으로써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소비의 통찰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 제공하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관리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구독 중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변경, 해지할 수 있다.
먼저,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관리 화면 상에서 '1번' 부분을 터치하면,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관리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특정 구독 서비스에 대한 해지 메뉴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관리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은 서비스 아이콘, 서비스명, 카테고리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관리 화면 상에서 '4번' 부분은 다음 결제일까지 남은 일자가 표시될 수 있다. 내일 결제의 경우 화면과 같이 '내일 결제됩니다!'와 같이 표시될 수 있고, 3일 이내 결제의 경우에는 'n일 뒤 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는 결제 날짜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관리 화면 상에서 '5번' 부분은 사용 중인 요금제가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 시 사용자가 요금제를 재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요금제는 베이직, 스탠다드, 프리미엄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직 요금제는 1명 동시 이용, HD 화질 서비스이고, 스탠다드 요금제는 2명 동시 이용, FHD 화질 서비스이며, 프리미엄 요금제는 4명 동시 이용, QHD 화질 서비스일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관리 화면 상에서 '6번' 부분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결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터치 시 상황에 따라 최초결제일, 결제 전 알림 정보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관리 화면 상에서 '7번' 부분은, 터치 시 수정 가능한 메모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관리 화면 상에서 '8번' 부분에서는,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해지 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구독서비스를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는 앱스토어에서 해지하기, 통화로 해지하기, 웹에서 해지하기, 앱에서 해지하기 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서비스 해지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해지 방법에 대하여서는, 아래의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의 앱스토어 해지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의 통화 해지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의 웹을 통한 해지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경로의 앱을 통한 해지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먼저, 도 25를 참조하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앱 스토어' 해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앱 스토어 해지 화면 상에서 '1번' 부분을 터치하면, 서비스-해지 메뉴로 돌아갈 수 있으며, 해지 후에도 1번 부분을 누르면 해지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앱 스토어 해지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앱 스토어를 통한 서비스 해지 방법을 간략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앱 스토어 해지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은 앱 스토어의 구독 서비스 해지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앱 스토어 해지 화면 상에서 '4번' 부분은, 해지 진행 과정 중 문제가 발생된 경우 예를 들어, contact@whatssub.co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앱 스토어 해지 화면 상에서 '5번' 부분은, 해당 해지 방법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앱 스토어 해지 화면 상에서 '6번' 부분은 해지 완료가 요청되어 수락되면 해지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서비스가 삭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을 참조하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통화'를 통한 해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통화 해지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통화 연결 후 안내에 따라 번호를 차례로 눌러서 통화 해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통화 해지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을 터치하면 해당 서비스의 해지 고객센터로 전화를 걸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번호 부분의 서비스는 앱스토어 해지 방법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27을 참조하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웹'을 통한 해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웹을 통한 해지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웹을 통한 해지 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통화 해지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을 터치하면 웹으로 해지하기 위한 페이지로 링크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번호 부분의 서비스는 앱스토어 해지 방법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도 28을 참조하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앱'을 통한 해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앱을 통한 해지 화면 상에서 '2번' 부분은 해당 앱의 해지 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통화 해지 화면 상에서 '3번' 부분을 터치하면, 해당 앱의 해지 화면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번호 부분의 서비스는 앱스토어 해지 방법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 내비게이션 제공하기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해지서비스 중 해지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상단(A)에는 해지방법을 안내하는 해지 내비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동일 화면의 하단(B)에는 해지하려는 해당 서비스의 웹 페이지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는 화면 상단(A)의 해지 내비게이션의 안내에 따라 화면 하단(B)의 해지 페이지에서 해지과정을 쉽고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화면 (ㄱ)에서와 같이 1단계 해지 과정인 해당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화면 상단(A)의 안내에 따라 화면 하단(B)에서 진행하고, 이어서 2단계 해지 과정인 해지 신청과정을 상단(A)의 안내에 따라 화면 하단(B)에서 완료할 수 있다.
정기결제 변경서비스 중 정기결제 휴식 제공하기
도 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변경서비스 중 정기결제 휴식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서비스에 대하여 해지기능을 선택하여 정기결제 구독서비스의 화면 상에서 '1번' 부분을 선택(터치)하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해지서비스 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때, 해지서비스에는 정기결제의 한 주기 또는 일정 주기 동안 휴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2번'과 같이 해지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해지하기'및 '휴식하기' 두 가지 중 하나를 다시 선택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주기 동안 정기결제 휴식할 수 있도록 정기 결제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에 해지 후 다시 재구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고, 판매자 입장에서 가입고객의 이탈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정기결제 변경서비스 중 결제수단 변경 제공하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변경서비스 중 결제수단 변경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다수의 신용카드에 대한 결제내역의 통계를 기초로 사용자가 소지하고는 있지만, 사용금액이 다른 신용카드에 비해 낮은 A사(社) 신용카드에 대하여, 일정한 혜택을 추천하여 정기결제 카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변경서비스 중 결제수단 변경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기결제하고 있는 B사 콘텐츠에 대하여 A사 신용카드로의 전환을 추천하기 위하여, 알림 기능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화면 상에서 '1번' 부분과 같이 이벤트 메시지 'B사 콘텐츠를 A사 신용카드 결제시 월 1,000원 절약'를 보낼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알림을 선택(터치, 클릭) 하면, 화면 상에서 '2번' 부분과 같이 전체 공지 사항을 보여주며, 상세한 혜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2를 참조하면, 도 31에서 화면 상에서 '2번'을 선택(터치, 클릭) 하면, B사 콘텐츠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어, 현재 해당 콘텐츠의 정기결제 신용카드 정보와 A사 신용카드로 전환했을 경우의 혜택사항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A사 신용카드로의 전환을 신청하면, B사 콘텐츠는 다음 결제시 A사 신용카드로 정기결제가 진행되고, 이때 사용자는 결제수단 변경에 따른 일정한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일정 주기는 한달을 기준으로 하며, 상기 결제수단을 전환하는 과정은 정기결제 신용카드를 일괄적으로 다른 신용카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상품 검색하기 및 카테고리 분류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구독관리 중 상품 검색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기존의 서비스 중심이 아닌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상품을 검색하여(또는 추천기능) 정기결제 서비스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면 상에서 '1번'과 같이 정기결제 구독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상의 '2번'과 같이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개별 상품을 상세하게 검색하고, 사용자가 제공받은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기결제를 신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결제관리 중 정기결제 내역을 유사 카테고리 별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결제관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유사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의 '1번'과 같이 일반 구독서비스 분류와, 화면 상의 '2번'과 같이 통신비, 보험 등과 같은 그룹을 서로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자신의 지출하고 있는 정기결제 내역 중 지출 성격이 유사한 내역을 확인하기 쉽고, 편리하게 구독, 변경, 해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 지출관리 제공하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중에서 지출관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기결제 구독서비스 지출관리를 월별로 분석하여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이러한 지출관리는 특정 사용자 단말(300)의 결제내역 및 정기결제 내역을 기초로, 월별 지출 관리, 전년도 월별 지출 관리, 계절에 따른 지출관리, 환경에 따른 지출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나이, 성별, 소비에 따른 지출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정기결제 내역과 전체 지출내역(입금내역 포함)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지출 패턴을 분석하고 유사 그룹(나이, 성별, 소득 등)과의 비교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체계적인 소비와 경제 관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와 같은 지출관리 기능은, 상대적 지출/수입 지표 열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와 비슷한 나이대의 사용자들의 통계치를 기반으로 현재 자신의 지출 및 수입이 상위 몇 %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의한 정기결제 관리 시스템과 연계된 앱 상에서 사용자들은 각 화면별 프로세스 > 연동하기 단계를 통해 자신의 금융 결제 기록을 연동시켜 DynamoDB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축적된 결제 기록 데이터들을 수집/가공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연령별 지출 및 수입 평균, 성별 지출 및 수입 평균과 같은 통계치를 추출해 낼 수 있는데, 이러한 알고리즘은 하루에 한번씩 Cloudwatch를 통해 자동으로 실행되어 데이터를 최신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집/가공 된 통계치 정보를 자신의 나이와 성별을 기준으로 열람할 수 있고, 지출 내역을 분석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지출의 계절성과 주기성 등의 외부 환경적 요소를 반영하여 분석과정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일 예로 8월 지출이 9월 지출보다 많은 경우, 그 이유가 8월에 휴가 가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라는 계절적인 원인에 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날씨가 따라 택시 탑승 빈도가 변동되고, 날씨가 좋을 때 외식 빈도가 높다는 경향을 분석 알고리즘에 반영하여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정기결제 서비스 관리 시스템
210: 결제내역 수집부
220: 정기결제 추출부
230: 통합관리부
240: 정기결제 구독부
250: 정기결제 변경부
260: 정기결제 해지부
270: 통신부
280: 데이터베이스
290: 제어부
300: 사용자 단말
400: 결제 서버
500: 판매자 서버

Claims (12)

  1. 통신망 상에서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따른 각각의 결제서버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내역을 연동하여 가져오는 수집단계;
    수집된 상기 결제내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정기결제 내역을 판별하는 추출단계;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기초로, 목록화, 시각화, 그래프화, 알림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기 결제내역의 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관리, 지출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코드를 활용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동적 자원 분배 방식의 서버리스를 통해 상기 결제내역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수집된 상기 결제내역을 결제금액의 연속성과 결제내역의 주기성을 기준으로, 0과 1사이의 연속적인 값의 집합으로 각각 변환하여 분류하는 과정;
    분류된 상기 결제금액의 연속성 데이터와 상기 결제내역의 주기성 데이터를 AND 또는 OR 논리 연산 중 어느 하나로 연산하는 과정
    을 수행하여 상기 결제내역이 정기 결제인지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서비스 단계에서,
    상기 결제관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해당 월별 또는 일자별 지출 세부내역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정기결제의 결제일자의 이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유사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서비스 단계에서,
    상기 구독관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조회한 정기결제 내역을 조회일자를 기준으로, 결제일이 지난 서비스와 결제일이 지나지 않은 서비스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미 해지 처리된 정기결제 내역을 기초로 재구독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서비스 단계에서,
    상기 추천관리는, 이미 해지 처리된 정기결제를 기초로 이와 유사한 정기결제 상품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과정; 해당 사용자 단말의 결제 패턴을 기초로 해당 사용자에게 유사 상품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추천하는 과정; 해당 사용자 단말의 일정기간 지출금액과 결제 패턴을 기초로 이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정기결제 중인 상품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과정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서비스 단계에서,
    상기 지출관리는, 상기 결제내역 및 상기 정기결제 내역을 기초로, 월별 지출 관리, 전년도 월별 지출 관리, 계절에 따른 지출관리, 환경에 따른 지출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 해당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나이, 성별, 소비에 따른 지출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관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서비스들 중에서, 만기 알림 구독 서비스에 대한 구독 요청 시, 기설정된 소정 기간만큼 연장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구독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정기결제에 대한 해지 경로, 해지 내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해지서비스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지서비스는,
    상기 해지 경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서비스들 중에서, 해지가 요청된 서비스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지 경로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해지가 요청된 서비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지 방법은 앱 스토어에서 해지하는 방법과 통화로 해지하는 방법과 앱에서 해지하는 방법 및 웹에서 해지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해지 내비게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서비스들 중에서, 해지가 요청된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의 일정영역에 해지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구독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정기결제에 대한 정기결제 휴식, 결제수단 변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변경서비스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서비스는,
    상기 정기결제의 휴식은,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서비스들 중에서, 일정 주기 동안 정기결제 휴식을 신청하는 과정;
    상기 결제수단 변경은,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구독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기결제 서비스의 결제수단을 다른 결제수단으로 전환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주기는 한달을 기준으로 하며, 상기 결제수단을 전환하는 과정은 정기결제 신용카드를 일괄적으로 다른 신용카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통신망 상에서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결제수단에 따른 각각의 결제서버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결제내역을 연동하여 가져오는 결제내역 수집부;
    수집된 상기 결제내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정기 결제내역을 판별하여 추출하는 정기결제 추출부;
    추출된 상기 정기 결제내역을 기초로, 목록화, 시각화, 그래프화, 알림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통합관리부;
    생성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기 결제내역의 결제관리, 구독관리, 추천관리, 지출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기결제 구독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기결제에 대한 정기결제 휴식, 결제수단 변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기결제 변경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기결제에 대한 해지 경로, 해지 내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기결제 해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0156392A 2020-02-21 2020-11-20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88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2153 WO2021167416A1 (ko) 2020-02-21 2021-02-19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20046223A KR102465893B1 (ko) 2020-11-20 2022-04-14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460 2020-02-21
KR20200021460 2020-02-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223A Division KR102465893B1 (ko) 2020-11-20 2022-04-14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875A true KR20210106875A (ko) 2021-08-31
KR102388391B1 KR102388391B1 (ko) 2022-04-19

Family

ID=7748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392A KR102388391B1 (ko) 2020-02-21 2020-11-20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3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89B1 (ko) * 2021-10-31 2022-10-24 주식회사 왓섭 정기 결제정보 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JP2023078844A (ja) * 2021-11-26 2023-06-07 三井住友カード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63097B1 (ko) * 2022-07-27 2023-08-04 주식회사 오리진뷰티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뷰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결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710B1 (ko) * 2016-10-04 2018-02-05 쿠팡 주식회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18389A (ko) * 2017-04-21 2018-10-31 김동영 구독 모델에 기반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65924A (ko)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턴온아이엔씨 정기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2150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레이니스트 금융정보를 이용한 금융생활패턴 분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710B1 (ko) * 2016-10-04 2018-02-05 쿠팡 주식회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18389A (ko) * 2017-04-21 2018-10-31 김동영 구독 모델에 기반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65924A (ko)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턴온아이엔씨 정기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2150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레이니스트 금융정보를 이용한 금융생활패턴 분석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89B1 (ko) * 2021-10-31 2022-10-24 주식회사 왓섭 정기 결제정보 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JP2023078844A (ja) * 2021-11-26 2023-06-07 三井住友カード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63097B1 (ko) * 2022-07-27 2023-08-04 주식회사 오리진뷰티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뷰티 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결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391B1 (ko)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391B1 (ko)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403659B2 (en) Method for populating member profiles
US201902051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operant operating interface and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as a service
US1125044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loyalty programs
AU2009280919B2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of determining matches between searchers and providers
US20080195429A1 (en) Sales representative workbench with account-based interface
JP2010522911A (ja) 広告を通じたクーポンの配信
JP5327113B2 (ja) 情報提供サーバ、及び、当該情報提供サーバ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KR101165062B1 (ko) 개인자산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6257998B2 (ja) 携帯端末活用取引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65893B1 (ko) 정기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00306034A1 (en) System & method for facilitating projected transactions
KR101681534B1 (ko)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지급결제수단 추천 시스템
CN107292511A (zh) 基于云计算和大数据技术的企业资源管理方法及系统
KR20040033988A (ko) 유,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예약/관리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haveesuk et al. Use of QR code technology in eastern Thailand: Entrepreneur perspective
CN101770467A (zh) 分析和排序可访问web的数据目标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7058685A1 (en) Transactional user interface
Nagu Managing customer relations through online banking
KR102202086B1 (ko) 지역 기반 사업자 및 소비자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8812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lligent operating interface and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as a service on a crypto secure social media and cross bridge service with continuous prosumer validation based on i-operant tags, i-bubble tags, demojis and demoticons
US12008595B2 (en) Method for populating member profiles
US20220391940A1 (en) Method For Populating Member Profiles
Pietrasik et al. Building Online Stores Using PHP
Dasgupta et al. Efficiency in Indian electricity distribution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