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676A -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676A
KR20210106676A KR1020200021425A KR20200021425A KR20210106676A KR 20210106676 A KR20210106676 A KR 20210106676A KR 1020200021425 A KR1020200021425 A KR 1020200021425A KR 20200021425 A KR20200021425 A KR 20200021425A KR 20210106676 A KR20210106676 A KR 20210106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co
filter
zone
stirr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716B1 (ko
Inventor
박주완
Original Assignee
박주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완 filed Critical 박주완
Priority to KR102020002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7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01D33/23Construction of discs or component secto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4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3/807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약품과 처리장 내의 재이용수를 활용하여 방류수 내에 존재하는 대장균을 제거하고, 디스크 필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주어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를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높이까지 격벽을 통해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분리되는 약품 교반 탱크; 상기 제1 구역으로 투입되는 재이용수와 약품을 교반하는 교반 에어 임펠러;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약품 교반 탱크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친환경 약품과 혼합된 재이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며, 복수의 단위 필터로 이루어져 단위 필터별로 교체되는 교체 디스크 필터; 상기 약품 교반 탱크의 상부로 노출되는 교체 디스크 필터를 커버하고,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에 포함된 이물질을 세척하는 멀티 하우징; 및 상기 약품 교반 탱크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수위에 따라 상기 약품 교반 탱크와 연결되는 재이용수 배관과 약품 배관 각각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ESCHERICHIA COLI REMOVAL APPARATUS IN EFFLUET USING REUSE WATER AND ECO-FRIENDLY CHEMICAL}
본 발명은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 약품과 처리장 내의 재이용수를 활용하여 방류수 내에 존재하는 대장균을 제거하고, 디스크 필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주어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를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정화조 폐수나 각종 축산 폐수 또는 생활 하수 등과 같은 대장균, 고농도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오폐수, 방류수는 고농도의 질소 및 인이 포함되어 하천의 부영양화를 초래하여 하천의 오염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오폐수, 방류수는 포함된 각종 유기물질과 대장균 등의 유해 세균을 제거한 후에 방류되어야 하며, 유기물질과 대장균 등의 유해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로 하수 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재이용수는 하수를 처리하여 얻은 생활용수 또는 산업용수를 의미하며, 재이용수 생산 시스템은 하수로부터 생활용수 또는 산업용수를 얻기 위한 하수처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하수처리수를 하천에 방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수자원 개발에 대한 부하를 경감시켜야 될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하수처리수 재이용의 중요성이 점점 증가되고 있다.
그에 따라,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이 의무화되고 있고, 재이용수에 대한 수질권고기준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는 산업 시설에 대한 재이용수의 공급 등이 진행되고 있다.
재이용수 생산 시스템은, 재이용수가 그 사용목적에 적합한 수질을 가질 수 있도록, 하수처리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수처리 공정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액분리 공정 및 소독 공정으로 이루어진 저급 수질의 재이용수 생산에 적합한 간단한 시스템에서부터, 물리, 화학, 생물학적 처리공정이 결합된 고급 수질의 재이용수 생산에 적합한 복잡한 시스템까지, 다양한 재이용수 생산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재이용수 생산 시스템에서 재이용수의 정화를 위해 약품을 투입하고, 이후 재이용수를 필터로 걸러주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일체화로 형성되는 필터의 특성상 필터의 일부분만 오염되더라도 필터를 교체해야 하므로 필터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때에 필터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재이용수의 활용에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205197호는 하수처리수를 응집조/응결조로 유입하는 유입단계와, 순환수펌프를 이용한 순간혼화를 거쳐 응집, 응결과정을 거치는 응집 및 응결 단계와, 오염물질을 1차처리하여 1차처리수조에 저장하는 1차처리단계와, 1차처리수를 여과장치 내로 공급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단계와, 오염물질이 제거된 2차처리수를 안전필터를 통해 보호하고, 2차처리수조를 통해 부하량을 조절하는 2차처리단계와,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함유된 농축수와 산 및 알칼리를 함유한 세정수를 제외한 최종 처리수를 분리하는 역삼투단계와, 역삼투단계에서 분리된 최종처리수를 수요처로 공급하는 수요처 공급단계로 구성되어, 역세수로 이용되어 지는 이물질 및 부유물질이 함유된 농축수 이외에도 산 및 알칼리가 함유된 세정수를 모두 역세수로 이용하여 하수처리함으로써 공업용수로 사용가능한 재이용수의 전체 회수율을 70% 이상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5197호(2012.11.2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친환경 약품과 처리장 내의 재이용수를 활용하여 방류수 내에 존재하는 대장균을 제거하고, 디스크 필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주어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를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디스크 필터를 구성하는 단위 필터별로 교체가 가능하고, 컬러 센서를 통해 단위 필터별 색상을 센싱하여 교체가 필요한 단위 필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디스크 필터의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시간 단위로 또는 오염 정도에 따라 디스크 필터를 회전시켜 디스크 필터의 특정 부분만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디스크 필터의 오염 정도에 따라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재사용이 가능한지 여부 등에 대한 디스크 필터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는 일정 높이까지 격벽을 통해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분리되는 약품 교반 탱크; 상기 제1 구역으로 투입되는 재이용수와 약품을 교반하는 교반 에어 임펠러;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약품 교반 탱크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친환경 약품과 혼합된 재이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며, 복수의 단위 필터로 이루어져 단위 필터별로 교체되는 교체 디스크 필터; 상기 약품 교반 탱크의 상부로 노출되는 교체 디스크 필터를 커버하고,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에 포함된 이물질을 세척하는 멀티 하우징; 및 상기 약품 교반 탱크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수위에 따라 상기 약품 교반 탱크와 연결되는 재이용수 배관과 약품 배관 각각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이용수 약품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멀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의 색상을 센싱하여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의 교체 여부를 체크하는 컬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가 분사될 때 점등되는 경고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는 모터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단위 필터의 크기에 대응하는 반경만큼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는 상기 컬러 센서에 의해 상기 단위 필터별로 색상이 센싱되고, 상기 색상에 따라 특정 단위 필터가 상기 약품 교반 탱크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모터를 통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 약품과 처리장 내의 재이용수를 활용하여 방류수 내에 존재하는 대장균을 제거하고, 디스크 필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주어 깨끗한 상태의 처리수를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디스크 필터를 구성하는 단위 필터별로 교체가 가능하고, 컬러 센서를 통해 단위 필터별 색상을 센싱하여 교체가 필요한 단위 필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디스크 필터의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정 시간 단위로 또는 오염 정도에 따라 디스크 필터를 회전시켜 디스크 필터의 특정 부분만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디스크 필터의 오염 정도에 따라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재사용이 가능한지 여부 등에 대한 디스크 필터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의 교체 디스크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의 교체 디스크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100)는 약품 교반 탱크(110), 교반 에어 임펠러(120), 교체 디스크 필터(130), 멀티 하우징(140), 수위 센서(150), 컬러 센서(160), 및 경고 램프(170)를 포함한다.
약품 교반 탱크(110)는 재이용수 배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재이용수와 약품 배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약품을 교반 및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내부에서 재이용수와 약품이 교반되면 이물질이 제거된 후 재이용수 및 약품 혼합 배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약품 교반 탱크(110)는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격벽(111)을 통해 제1 구역(112)과 제2 구역(113)으로 분리되고, 제1 구역(112)에서 재이용수와 약품이 투입되고, 제2 구역(113)에서 친환경 약품과 교반된 재이용수가 이물질이 걸러져 외부로 투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약품 교반 탱크(110)는 친환경을 위해 고밀도 압축 목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가 플라스틱으로 캡슐화된 후 고밀도 압축 목재로 이중화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교반 에어 임펠러(120)는 약품 교반 탱크(110)의 제1 구역(112)에 구비되고, 제1 구역(112)으로 투입되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교반할 수 있다. 교반 에어 임펠러(120)는 제1 모터(M1)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콤프레셔(C)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교반 에어 임펠러(120)는 수평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제1 에어노즐(121)과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제2 에어노즐(122)로 이루어져 제1 모터(M1)에 의해 회전하면서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교반할 수 있다. 교반 에어 임펠러(120)는 제1 에어노즐(121)과 제2 에어노즐(122)을 이용한 2차 교반 작업을 통해 약품 교반 탱크(110)의 내부 구석에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에어노즐(121)과 제2 에어노즐(122)은 콤프레셔(C)에 의해 에어의 분사 시간, 분사 강도, 분사 양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반 에어 임펠러(120)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중앙 제어반(CU)에 의해 제1 모터(M1)의 속도가 조절되어 회전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중앙 제어반(CU)은 멀티 하우징(140)의 에어노즐(141), 엘이디(142), 제1 모터(M1), 제2 모터(M2), 수위 센서(150), 컬러센서(160), 경고 램프(170), 약품의 혼합 농도 등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약품 교반 탱크(110)의 제2 구역(113)에 구비되고, 연결 배관(40)을 통해 제1 구역(112)에서 제2 구역(113)으로 흐르는 재이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제2 구역(113)에서 약품 교반 탱크(1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일부분이 약품 교반 탱크(110)의 상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이 약품 교반 탱크(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약품 교반 탱크(110)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멀티 하우징(1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재이용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걸러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체 디스크 필터(130)가 두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멀티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에어노즐(141)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이물질이 탈거되어 세척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외형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31), 베이스 프레임(131)에 탈부착되는 복수의 단위 필터(132), 및 베이스 프레임(131)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133)으로 이루어져, 단위 필터별로 교체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1)은 각각의 단위 필터(132)가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제2 모터(M2)에 의해 회전하여 재이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단위 필터(132)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단위 필터(132)는 베이스 프레임(131)으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있어 재이용수가 관통하여 흐르도록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단위 필터(132)가 6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베이스 프레임(13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개수와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단위 필터(132)는 약품 교반 탱크(110)의 상부로 노출되었을 때, 즉 멀티 하우징(140) 내에 위치하면 사용자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단위 필터(132)는 재이용수의 필터 과정에서 오염된 정도에 따라 각각 교체될 수 있고, 제2 모터(M2)에 의해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중공(133)은 회전축(A2)이 끼워져 연결되는 부분으로, 회전축(A2)을 통해 제2 모터(M2)와 연결되어 제2 모터(M2)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31)이 회전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제2 모터(M2)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단위 필터(132)의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단위 필터(132)의 크기에 대응하는 반경만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특정 단위 필터(132)만 재이용수와 맞닿아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교체가 필요한 단위 필터(132)를 멀티 하우징(140) 방향으로 회전시켜 노출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단위 필터(132)별로 컬러 센서(160)에 의해 색상이 센싱되고, 센싱되는 색상에 따라 제2 모터(M2)에 의해 회전하여 교체가 필요한 단위 필터(132)를 멀티 하우징(140) 방향으로 노출시키고, 깨끗한 단위 필터(132)를 재이용수와 맞닿는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컬러 센서(160)에 의해 센싱되는 특정 단위 필터(132)의 색상이 다양하게 검출되면 많이 오염된 것으로 판별되어 특정 단위 필터(132)를 멀티 하우징(140) 방향으로 노출시키고, 컬러 센서(160)에 의해 센싱되는 특정 단위 필터(132)의 색상이 적게 검출되면 적게 오염된 것으로 판별되어 특정 단위 필터(132)를 재이용수와 맞닿는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색상의 다양한 정도는 복수의 단위 필터(132) 각각에서 센싱되는 색상의 개수를 비교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교체 디스크 필터(13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회전축(A2)에 의해 회전하고 재이용수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도 채택 가능하다.
멀티 하우징(140)은 대략
Figure pat00001
형태로 형성되어 약품 교반 탱크(110)의 상부로 노출되는 교체 디스크 필터(130)의 상부에서 교체 디스크 필터(130)를 커버한다. 멀티 하우징(140)은 내부에 복수의 에어배관이 형성되고 각각의 에어배관에 복수의 에어노즐(141)이 형성되어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에어노즐(141)은 콤프레셔(C)에 의해 에어의 분사 시간, 분사 강도, 분사 양 등이 결정될 수 있으며, 에어를 분사하여 교체 디스크 필터(130)에 있는 이물질을 탈거시킬 수 있다. 에어배관과 에어노즐(141)의 개수는 멀티 하우징(140)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콤프레셔(C)는 외부에 샌드위치 패널이 설치되어 가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멀티 하우징(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오픈되어 있어 교체 디스크 필터(130)의 단위 필터(132)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멀티 하우징(140)의 오픈된 일면은 항상 오픈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오픈되도록 별도의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멀티 하우징(140)의 내부에는 컬러 센서(160)가 구비될 수 있고, 상부에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142)가 연결될 수 있다. 엘이디(142)는 컬러 센서(160)가 교체 디스크 필터(130)의 색상을 센싱할 때 발광하여 색상의 센싱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고, 단위 필터(132)의 교체시 시야를 확보하는데 보조할 수 있다.
수위 센서(150)는 약품 교반 탱크(11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수위에 따라 약품 교반 탱크(110)와 연결되는 재이용수 배관(10)과 약품 배관(20) 각각에 설치되는 밸브(11, 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수위 센서(150)는 약품 교반 탱크(11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보다 낮으면 재이용수 배관(10)에 설치되는 밸브(11)와 약품 배관(20)에 설치되는 밸브(21)를 개방하여 약품 교반 탱크(110) 내부로 재이용수와 약품이 유입되도록 하고, 약품 교반 탱크(110)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보다 높으면 재이용수 배관(10)에 설치되는 밸브(11)와 약품 배관(20)에 설치되는 밸브(21)를 폐쇄하여 약품 교반 탱크(110)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이용수 배관(10)에 설치되는 밸브(11)와 약품 배관(20)에 설치되는 밸브(21)는 전동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컬러 센서(160)는 멀티 하우징(140) 내부에 설치되고, 교체 디스크 필터(130)의 색상을 센싱하여 교체 디스크 필터(130)의 교체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컬러 센서(160)는 교체 디스크 필터(130)의 단위 필터(132)별로 컬러를 센싱하여 각각의 단위 필터(132)에 대한 교체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컬러 센서(160)는 단위 필터(132)의 색상이 다양하게 검출되면 많이 오염된 것으로 판별하여 단위 필터(132)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람 또는 경고 램프(170)를 통해 제공하고, 단위 필터(132)의 색상이 적게 검출되면 적게 오염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컬러 센서(16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필터(132) 각각에서 센싱되는 색상의 개수를 비교함에 따라 색상의 다양한 정도를 상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센서(160)는 물체가 방사 또는 반산하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색을 판별하는 검지기로써, 파장을 전압으로 바꾸어서 출력한 것을 처리하여 색을 판별할 수 있다.
경고 램프(170)는 콤프레셔(C)의 제어에 따라 멀티 하우징(140)의 에어노즐(141)을 통해 에어가 분사될 때 점등된다. 경고 램프(170)는 에어노즐(141)의 분사시 점등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교체 디스크 필터(130)의 교체가 블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110: 약품 교반 탱크
120: 교반 에어 임펠러
130: 교체 디스크 필터
140: 멀티 하우징
150: 수위 센서
160: 컬러 센서
170: 경고 램프
10: 재이용수 배관
20: 약품 배관
30: 재이용수 및 약품 혼합 배관
40: 연결 배관

Claims (5)

  1. 일정 높이까지 격벽을 통해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분리되는 약품 교반 탱크;
    상기 제1 구역으로 투입되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교반하는 교반 에어 임펠러;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약품 교반 탱크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구역으로 친환경 약품과 혼합된 재이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며, 복수의 단위 필터로 이루어져 단위 필터별로 교체되는 교체 디스크 필터;
    상기 약품 교반 탱크의 상부로 노출되는 교체 디스크 필터를 커버하고,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에 포함된 이물질을 세척하는 멀티 하우징; 및
    상기 약품 교반 탱크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수위에 따라 상기 약품 교반 탱크와 연결되는 재이용수 배관과 약품 배관 각각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의 색상을 센싱하여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의 교체 여부를 체크하는 컬러 센서를 더 포함하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가 분사될 때 점등되는 경고 램프를 더 포함하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는
    모터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단위 필터의 크기에 대응하는 반경만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디스크 필터는
    상기 컬러 센서에 의해 상기 단위 필터별로 색상이 센싱되고, 상기 색상에 따라 특정 단위 필터가 상기 약품 교반 탱크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KR1020200021425A 2020-02-21 2020-02-21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KR10235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425A KR102350716B1 (ko) 2020-02-21 2020-02-21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425A KR102350716B1 (ko) 2020-02-21 2020-02-21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676A true KR20210106676A (ko) 2021-08-31
KR102350716B1 KR102350716B1 (ko) 2022-01-13

Family

ID=7748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425A KR102350716B1 (ko) 2020-02-21 2020-02-21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5126A (zh) * 2022-07-07 2022-10-11 中建五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水务环保用污水收集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711Y1 (ko) * 2002-06-05 2002-08-22 지철권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1020238B1 (ko) * 2010-03-12 2011-03-08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나노 입자 공기 부상을 이용한 하ㆍ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05197B1 (ko) 2012-10-16 2012-11-27 주식회사 씨에텍 높은 회수율의 공업용수를 얻기 위한 재이용수 생산방법
JP2015523208A (ja) * 2012-07-30 2015-08-13 ヌオベ エナジー エス.アール.エル. プロセス水及び廃水を農業及び工業において再利用する為の、プロセス水及び廃水の連続精密ろ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711Y1 (ko) * 2002-06-05 2002-08-22 지철권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1020238B1 (ko) * 2010-03-12 2011-03-08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나노 입자 공기 부상을 이용한 하ㆍ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5523208A (ja) * 2012-07-30 2015-08-13 ヌオベ エナジー エス.アール.エル. プロセス水及び廃水を農業及び工業において再利用する為の、プロセス水及び廃水の連続精密ろ過装置
KR101205197B1 (ko) 2012-10-16 2012-11-27 주식회사 씨에텍 높은 회수율의 공업용수를 얻기 위한 재이용수 생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5126A (zh) * 2022-07-07 2022-10-11 中建五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水务环保用污水收集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716B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5912B2 (ja) 沈めた濾過膜で水を飲用可能にする装置
US20180312419A1 (en) Water reus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es
US20060226071A1 (en) Aerobic sewage system
US20120261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KR20120085441A (ko) 물놀이형 수경(水鏡)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KR102350716B1 (ko) 재이용수와 친환경 약품을 활용한 방류수 내의 대장균 제거 장치
EP3898532B1 (en)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textile industry
KR101570438B1 (ko) 필터 세정 기능을 갖는 증류수 자동공급 장치를 이용한 가공액 공급 시스템
US20030209477A1 (en) Transportabl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9422181B1 (en) Vehicle wash water reclaim system
KR20090095849A (ko) 자동역세장치를 갖는 오폐수정화처리 시스템
KR20200027296A (ko) 염도 및 온도 자동조정장치 일체형 염장수 순환, 여과시스템
US3408288A (en) Industrial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060005533A (ko)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2156126B1 (ko) 오폐수 수질감시용 전처리장치
KR100583377B1 (ko) 디스크 필터의 여재에 부착된 유기물 및 무기물 등의제거를 위한 약품세척장치
KR20150146477A (ko) 기포 발생기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431605B1 (ko) 난분해성 폐수처리 장치
KR101729314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산화폭기장치
KR102500344B1 (ko) 식물공장 및 재배기 전용 순환식 수경재배 양액 전처리 정화장치
KR102392387B1 (ko) 자동 정화 물감 물통
RU182587U1 (ru) Установка фотокаталит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воды
JP3752643B2 (ja) 用廃水および循環水の浄化装置
KR102512043B1 (ko) 오폐수처리시스템
KR20200056158A (ko) 가압버블을 이용한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