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232A -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 Google Patents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232A
KR20210106232A KR1020200021154A KR20200021154A KR20210106232A KR 20210106232 A KR20210106232 A KR 20210106232A KR 1020200021154 A KR1020200021154 A KR 1020200021154A KR 20200021154 A KR20200021154 A KR 20200021154A KR 20210106232 A KR20210106232 A KR 2021010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grip member
finger
martial arts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filed Critical 김훈
Priority to KR102020002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232A/ko
Publication of KR2021010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3Protective gloves absorbing shock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가락 보호에 효과적인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손에 착용 시 손가락으로 감싸 안아 파지(把指)할 수 있는 그립 부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장갑 형태의 착용 본체와, 상기 착용 본체의 손바닥 부위에 부착된 그립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그립 부재가 선수들로 하여금 손가락을 말아 주먹을 쥐도록 유도하여 손가락이 삐는 등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킥복싱, 공수도, 쿵푸, 합기도 및 태권도 등과 같은 격투기를 연습(훈련)하거나 경기를 할 때 선수의 손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태권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Mixed Martial Arts Hand Gloves}
본 발명은 태권도 등과 같은 격투기를 연습(훈련)하거나 실제 경기를 할 때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에 관한 것이다. 특히, 손바닥 부위에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할 수 있는 그립(grip) 부재를 형성시킴으로써 손가락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에 관한 것이다.
킥복싱, 공수도, 쿵푸, 유도, 합기도 그리고 태권도 등과 같은 격투기는 손기술과 발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이다. 특히 손기술은 발기술보다 움직임이 자유롭고 빨라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방어하기에 유리하다.
위와 같은 태권도를 포함한 격투 운동은, 몸에는 도복이나 보호 장비를 착용하나, 손과 발에는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고 맨손과 맨발 상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손의 경우에는 손가락 등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인 맨손으로 연습 및 경기에 임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맨손의 경우 손의 움직임은 자유로울 수 있으나, 많은 부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손은 공격보다는 방어를 주로 많이 하게 되는 데, 특히 상대방의 발차기 공격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손목이나 손가락이 삐거나 타박상을 입는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부상은 선수의 연습량이 많은 큰 대회를 앞두고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정작 실제 대회에서는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거나 아예 출전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58065호(2004년 8월 5일 등록공고)는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장갑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용신안에서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관통하여 착용되어지되, 손가락의 끝마디와 손바닥은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손등 부위, 정권 부위 및 손날 부위에는 보호부를 덧대어 구성한 보호장갑을 제시하였다.
상기 실용신안에 제시된 보호장갑은 손가락 끝마디와 손바닥이 외부로 노출되고, 다섯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움직임이 자유롭고 맨손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경기 중 선수들은 자신의 손을 의식하지 못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실용신안에 제시된 보호장갑은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 없어 손가락의 부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태권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대련에 임하는 선수에게는 가능한 한 손가락을 손바닥에 최대한 밀착시켜야 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즉, 주먹을 가볍게 말아 쥔 상태로 경기에 임하는 것이 손가락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자세이다. 그러나 실제로 선수들은 경기 도중 상대방을 어떻게 공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상대방의 움직임에만 모든 주위를 기울일 뿐, 정작 자신의 손을 의식하지 못하고 손가락을 편 상태로 경기에 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손가락을 편 상태로 경기에 임하는 경우 주먹을 쥔 상태보다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상대방의 공격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을 삐거나 타박상을 입는 등의 부상 정도가 심하다. 실제적으로, 태권도를 훈련시키는 과정에서 선수들로 하여금 손가락을 말아쥐게끔 교육되고 있으나, 선수들은 이에 부응하지 못하며, 특히 실제 경기에 임하게 되면 전술한 이유로 손가락을 펴게 된다. 손가락의 부상은 다른 어느 부위의 부상보다 선수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준다.
한편, 선수들이 손가락 부상을 의식하여 손가락을 말아 쥐는 경우라 할지라도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샌드백을 타격하는 경우 손가락이 밀려 부상을 당하거나 위협적인 공격이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보호장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맨손과 같은 느낌을 가지게 할 수 있으나, 다섯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 없어 실제 경기 도중 선수들은 무의적으로 손가락을 펴게 됨에 따라 손가락의 부상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상기 보호장갑은 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의식적으로 손가락을 말아 쥔다 할지라도 타격 시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 필연적으로 형성된 빈 공간으로 손가락이 밀려 손가락이 삐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선수들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도 손가락을 말아 쥐도록 함으로써, 손가락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면서 맨손과 같이 손의 움직임이 자유로우면서도 통기성이 우수한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태권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격투용 손 보호장°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립 부재(100)가 형성되어 이에 의해 선수들은 연습(훈련) 및 경기 도중 손가락을 말아 주먹을 쥐게 되어 손가락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에 따른 착용 본체(200)를 가지는 경우 맨손과 같이 손의 움직임이 자유로우면서도 손 전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아울러, 도 8에 따른 착용 본체(200)를 가지는 경우 손의 움직임이 자유로움과 함께 손톱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태권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장갑로서, 손바닥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보인 보호장갑를 손등 쪽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의 착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1의 일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호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호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착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에 있어서,
손에 착용 시 파지(把指)할 수 있는 그립(grip) 부재가 형성된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손가락으로 감싸 안아 파지할 수 있는 그립 부재를 갖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때, 손에 착용 시 상기 그립 부재는 가능한 한 손바닥에 위치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상기 그립 부재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이면 이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발포체 또는 섬유체에 외피가 피복된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위와 같은 그립 부재와, 이 그립 부재를 손에 착용시킬 수 있는 착용 수단을 갖는다. 상기 착용 수단은 밴드 형태(바람직하게는 탄성밴드), 또는 고리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손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착용 본체이다. 상기 착용 본체는 손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것이든 관계없으며, 예를들어 복싱 종목에서 사용되는 글러브 형태, 또는 일반적인 장갑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착용 본체는, 손가락의 적어도 끝마디는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는 구조이거나, 또는 손가락 전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없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이 좋도록 손바닥은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는 구조가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상기 그립 부재가 선수들로 하여금 손가락을 말아 주먹을 쥐도록 유도하여 손가락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착'은 구성요소 상호간이 접착제, 열융착, 또는 재봉(sewing)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첨부된 도면에서의 점선은 구성요소 상호간이 재봉(sewing)에 의해 부착된 모습으로서, 이는 재봉선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보호장갑의 손바닥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보호장갑를 손등 쪽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착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일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보호장갑는 손에 착용 시 손가락으로 감싸 안아 파지할 수 있는 그립 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와 같은 그립 부재(100)와, 이 그립 부재(100)를 손에 착용시킬 수 있는 착용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용 수단은 밴드(510, 도 9 참조), 고리(520, 도 9 참조), 또는 밴드(510)와 고리(520)로 이루어진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손이 끼워질 수 있는 장갑 형태의 착용 본체(20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이 끼워질 수 있는 장갑 형태의 착용 본체(200)와, 이 착용 본체(200)에 부착된 그립 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 부재(100)는, 본 발명에 따라서 선수들로 하여금 주먹을 쥐게끔 유도하여 손가락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가능한 한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탄력성과 함께 고흡수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그립 부재(10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발포체, 섬유체, 천연고무 또는 인조고무로서의 연질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피(110)와, 이 외피(110)의 내부에 내장된 내장재(1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피(110)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1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기(115)는 그립 부재(100)에 표면감 및 넌슬립(non-slip)성을 부여할 수 있어 좋다. 상기 돌기(115)는 고무, 실리콘 또는 이들 유래의 합성수지 엘라스토머를 점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110)는 직물, 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내장재(120)는 흡수성을 갖는 것으로서 합성수지 발포체, 섬유체 등이 바람직하다. 이때, 합성수지 발포체는 합성수지를 발포 제조하여 폼(foam) 구조를 형성시킨 것으로서, 가능한 한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섬유체는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 가닥을 집합시킨 솜 집합체, 또는 합성섬유나 천연섬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천, 헝겊, 직물 등의 집합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집합체는 탄력성과 함께 흡수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 부재(10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이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의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파지가 자유로운 봉 형상이 좋다.
위와 같은 그립 부재(100)는 착용 본체(200)에 부착되어지되, 가능한 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손가락쪽으로 치우치게 부착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 부재(100)는 착용 본체(200)의 손바닥 부위와 손가락 부위의 경계선에 위치되어 부착되는 것이 좋다. 이때,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립 부재(100)는, 그 양쪽 말단은 착용 본체(200)에 부착되고 그 중앙 부분은 고정밴드(150)에 의해 착용 본체(200)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즉, 고정밴드(150)로 그립 부재(100)의 중앙 부분을 감싼 다음, 고정밴드(150)의 양 말단을 착용 본체(200)에 부착시켜 마감한다. 이와 같이 고정밴드(150)를 이용하여 중앙 부분을 고정하게 되면, 그립 부재(100)가 손바닥 쪽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물론 그립 부재(100)의 양쪽 말단뿐만 아니라 착용 본체(200)와 맞닿는 모든 면을 재봉, 접착 등의 방법으로 착용 본체(20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장갑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 부재(100)의 내측에 보조 그립 부재(100-1)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그립 부재(100-1)는 그립 부재(100)의 내측, 즉 손바닥 쪽에 위치되며, 이는 그립 부재(100)를 받쳐주어 그립 부재(100)가 손바닥 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립 부재(100)의 두께를 작게 하여도 충분한 그립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즉,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그립 부재(100)의 두께를 너무 크게 하는 경우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제품의 두께가 커질 수 있는 데, 위와 같이 보조 그립 부재(100-1)를 더 부착하는 경우 그림 부재(100)의 밀림 방지와 더불어 그립 부재(100)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보조 그립 부재(100-1)는 그립 부재(100)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 및 구조는 그립 부재(1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피(110-1)와, 이 외피(110-1)의 내부에 내장된 내장재(120-1)로 구성한 봉 형상을 갖게 하되, 상기 내장재(120-1)는 합성수지 발포제, 섬유체 등의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외피(110-1)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115-1)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착용 본체(200)는 그립 부재(100)를 손에 착용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손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이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장갑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장갑은 벙어리장갑 및 손가락장갑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용 본체(200)는 손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손가락은 물론 손등, 손날, 손등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손의 각 부위에 대응하는 손바닥 부위, 손가락 부위, 손등 부위, 손날 부위 및 손목 부위를 갖는 장갑형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착용 본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이 끼워지는 개구부(210)와,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다섯 개의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다섯 개의 손가락 착용부(220)를 갖는 장갑형태이다.
상기 착용 본체(200)는 손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도록 탄력성을 갖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어 탄력성의 직물 또는 부직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판덱스(Spandex) 등과 같이 탄력성을 가지는 섬유를 사용하여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형태를 갖도록 직조하여서 된 직물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가공한 부직물에 탄력성을 부여한 것이거나, 일반적인 손가락장갑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착용 본체(200)는 탄력성의 직물 또는 부직물이 한 겹으로 이루어거나, 또는 2겹 이상으로 적층된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착용 본체(200)는 땀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력이 높은 재질일수록 좋다. 그리고 통기성이 높은 재질일수록 좋다.
상기 착용 본체(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다섯 개의 손가락 착용부(220)를 가지는 데, 이때 손가락의 적어도 끝마디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은 개봉되어질 수 있다. 이때, 가능한 한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은 그 끝마디와 가운데마디가 노출될 수 있도록 손가락 착용부(220)의 길이가 설정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위와 같이 손가락이 노출되게 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이 찢어지거나 풀어지지 않도록 상기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에는 천 등을 덧대어 부착하거나 오버로크(over-lock)를 처리하여 마감부(225)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225)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위와 같은 상기 착용 본체(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바닥이 노출되는 손바닥 노출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가락 노출부(230)의 테두리가 찢어지거나 풀어지지 않도록 상기 테두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235)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부(235)는 상기 손가락 착용부(220)의 마감부(225)와 같이 천등을 덧대어 부착하거나 오버로크(over-lock)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이 손바닥 노출부(230)가 형성된 경우, 착용 본체(200)의 손바닥 부위에는 신축성의 조임밴드(24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조임밴드(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의 폭 방향으로 하여 손바닥 노출부(230)의 테두리, 즉 마감부(235)에 그 양 말단이 부착된다. 이러한 조임밴드(240)는 착용 본체(200)를 손바닥의 폭 방향으로 수축시켜 손과 착용 본체(200)를 양호하게 밀착시킨다. 그리고 손과 착용 본체(200)는 손바닥 노출부(230)로 인하여 그 밀착성이 감소할 수 있는 데, 상기 조임밴드(240)는 이를 보충한다.
아울러, 상기 착용 본체(200)는 그 손목 부위가 손목에 양호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그 손목 부위에는 별도의 탄성체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목 부위의 말단에 신축성의 탄성밴드를 부착하거나, 또는 손목 부위의 말단을 접어서 여기에 형성된 공간에 1개 이상의 고무줄을 삽입한 다음 재봉(sewing)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 본체(200)의 손목 부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착탈(着脫)이 가능한 체결수단(250)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목 부위의 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 노출부(230)에서부터 연장하여 개봉되어 있는 것이 좋다. 즉, 개구부(210)가 자유롭게 벌어지도록 손목 부위는 개봉부(215)를 갖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이 손목 부위가 손바닥 노출부(230)에서부터 연장된 개봉부(215)를 가지면서 체결수단(250)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개봉부(215)에 의해 손의 출입이 자유로우며, 체결수단(250)의 체결에 의해 손목 부위는 손목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상기 체결수단(250)으로는 재접착 테이프, 또는 후크-루프 시스템(Hook & Loop System, 고리와 고리를 연결시키는 구조)이 적용되거나, 통상적으로 '칙칙이'라고 불리는 벨크로(Velcro)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력도 우수하고 착탈(着脫)이 간편한 벨크로(Velcro)가 좋다. 도 1에서는 체결수단(250)으로서 벨크로(Velcro)를 예시하였다.
한편, 위와 같은 착용 본체(200)에는 그 표면에 보호커버(30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손등 부위, 손날 부위 및 손목 부위에는 각 부위에 대응하는 손등 보호커버(320), 손날 보호커버(340) 및 손목 보호커버(36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등 보호커버(320)는 손의 접힘이 편하도록 제1 손등 보호커버(321)와 제2 손등 보호커버(322)로 나누어져 분리되는 것이 좋다. 또한, 손가락 부위에도 이에 대응하는 손가락 보호커버가 부착되는 것이 좋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에 대응하는 엄지 보호커버(385)는 별도로 분리된 구조로 부착되는 것이 좋으며,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에 대응하는 검지 보호커버(381), 중지 보호커버(382), 약지 보호커버(383) 및 새끼 보호커버(384)는 제1 손등 보호커버(321)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구조로 부착되어지되, 그 사이에는 재봉선(S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아울러, 제2 손등 보호커버(322)는 손목보호커버(360)와 일체로 연장된 구조로 부착되어지되, 그 사이에는 재봉선(S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보호커버(300)는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이나, 천 그리고 합성수지제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벼우면서도 약간의 쿠션(cushion) 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시트가 사용된다. 아울러, 보호커버(300)는 가죽, 천 및 합성수지제 시트가 단독 또는 2이상이 혼합 사용되어, 한 겹 또는 2겹 이상으로 된 것을 포함한다. 이때, 보호커버(300)를 착용본체(200)에 부착함에 있어서 보호커버(300)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테두리 부분을 재봉 부착하여 착용 본체(200)의 탄력성이 저하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호커버(300)에는 통기성을 갖도록 군데군데 통기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위와 같은 보호커버(300)와 착용 본체(200)의 사이에는 큰 충격에도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재(400)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재(4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큰 충격에도 강하고 가벼우면서도 충격 흡수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완충재(400)는 솜, 부드러운 천, 압축 스펀지, 솜을 압축한 시트, 또는 천을 잘게 절단하여 시트 상으로 집합시킨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보호커버(300)에 통기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는 경우 이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완충재(400)에도 통기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보호장갑의 앞부분을 일부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손가락 착용부(220)의 측면(222), 즉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 부분은 착용 본체(200) 자체의 재질과는 다른 것으로서, 별개의 탄력성 재질을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착용 본체(200) 자체의 재질보다 좀 더 부드럽고 탄력성이 더 큰 재질(수축/이완 정도가 큰 것), 더욱 좋게는 흡수성도 더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측면(222)은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를 감싸는 손가락 착용부(220)의 일부분으로, 구체적으로 엄지와 검지, 검지와 중지, 중지와 약지, 그리고 약지와 새끼 손가락 사이에 있는 부분이다. 손가락 착용부(220)의 측면(222)을 위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손가락 착용부(220)는 손가락에 최대한 밀착되면서 손가락의 움직임이 더욱 자유로워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는 땀이 많이 발생하므로 위와 같은 각 손가락 착용부(220)의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22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기공(228)은 선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6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통기공(228)을 예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호장갑의 사시도이다.
상기 착용 본체(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손가락의 적어도 끝마디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되거나, 또는 손가락 전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없는 구조(도 1 참조)로 될 수 있는 데, 도 7 및 도 8은 손가락 전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없는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 본체(200)의 손가락 착용부(22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지도록 하되, 손가락이 외부로 노출될 수 없는 온장갑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착용 본체(200)를 온장갑의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손가락을 완전히 감싸줌에 따라 손가락 전체를 보호함은 물론 특히 손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또한 태권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태권도의 경우에는 경기 규칙 상 상대방의 도복을 잡을 수 없도록 되어 있는 데, 위와 같이 손가락 전체를 감싸도록 온장갑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선수들은 상대방의 도복을 잡기가 불편하여 경기 규칙에 부합되는 경기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에는 탈착수단(28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착수단(280)은 손가락을 펴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손가락 착용부(220)의 끝부분과 손바닥 부위를 부착시킨다. 상기 탈착수단(280)은 탈/부착이 자유자재로 가능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칙칙이'라고 불리는 벨크로(Velcro)가 유용하게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착용부(220)의 끝부분에 부착된 제1벨크로 부재(282)와, 상기 제1벨크로 부재(282)에 자유롭게 탈/부착되며 착용 본체(200)의 손바닥 부위에 부착된 제2벨크로 부재(28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벨크로 부재(28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부재(100)에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벨크로 부재(28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그립 부재(100-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탈착수단(280)은 선수가 주먹을 쥐는 경우 손가락이 펴지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하여 손가락의 부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아울러, 위와 같은 탈착수단(280)은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착용 본체(20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 본체(200)는 인위적으로 천공된 다수의 통기공(205)을 가질 수 있는 데, 이때 상기 통기공(20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손바닥 부위에는 천공되어 있는 것이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호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착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적어도 그립 부재(100)와, 착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그립 부재(100)를 손에 착용시키는 상기 착용 수단은 도 9 및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은 밴드(510) 및/또는 고리(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그립 부재(100)와, 이 그립 부재(100)의 양측 말단에 부착된 밴드(510)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립 부재(100)와, 이 그립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연히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510)와 고리(520)를 모두 가지는 구성으로서 그립 부재(100)와, 이 그립 부재(100)의 양측 말단에 부착된 밴드(510) 및 상기 그립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연히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드(510)는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밴드가 바람직하며, 상기 고리(520)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이는 엄지를 제외한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에 모두 끼워질 수 있는 4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밴드(510)는 그립 부재(100)를 손바닥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고리(520)는 그립 부재(100)가 손의 내측, 즉 손목 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 부재(100)와, 이 그립 부재(100)를 손에 착용시키는 착용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착용 수단은 이상의 설명에서 예시한 착용 본체(200), 밴드(510), 고리(520) 외에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그립 부재(100)는 선수들로 하여금 손가락을 말아 주먹을 쥐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수들이 본 발명의 보호장갑를 착용하게 되면, 그 손바닥 부위에 그립 부재(100)가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간에 손가락으로 그립 부재(100)를 감싸 안아 주먹을 쥐게 된다. 이에 따라, 손은 주먹을 쥔 상태가 되며 손가락은 손바닥에 최대한 밀착된다. 또한, 위와 같이 손가락을 말아 쥘 때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데, 이때 상기 빈 공간에는 그립 부재(100)로 꽉 채워져 있음에 따라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샌드백 등을 타격하는 경우에 손가락의 밀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장갑를 착용하는 경우, 손가락은 손바닥에 최대한 밀착되고 주먹 안에는 그립 부재(100)로 꽉 채워져 있어 삐는 등의 손가락 부상이 방지된다. 또한, 주먹 안에는 그립 부재(100)로 꽉 채워져 있음에 따라 연습(훈련) 과정에서 선수의 펀치 파워를 향상시킬 수 있고, 주먹을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선수들은 부상에 대한 염려가 없고 주먹 안이 꽉 채워진 느낌을 받게되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갑는 킥복싱, 공수도, 쿵푸, 합기도 및 태권도 등의 격투기를 연습(훈련)하거나 경기를 할 때 선수의 손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태권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선수'는 본 발명의 보호장갑를 착용하는 자로서, 연습(훈련)자, 실제 경기에 임하는 선수, 그리고 공인된 선수 및 비공인된 선수를 포함한다.
100 : 그립 부재 100-1 : 보조 그립 부재
110, 110-1 : 외피 115, 115-1 : 돌기
120, 120-1 : 내장재 150 : 고정밴드
200 : 착용 본체 205, 228 : 통기공
210 : 개구부 220 : 손가락 착용부
225, 235 : 마감부 230 : 손바닥 노출부
240 : 조임밴드 250 : 체결수단
280 : 탈착수단 300 : 보호커버
320 : 손등 보호커버 340 : 손날 보호커버
360 : 손목 보호커버 381 : 검지 보호커버
382 : 중지 보호커버 383 : 약지 보호커버
384 : 새끼 보호커버 385 : 엄지 보호커버
400 : 완충재 510 : 밴드
520 : 고리 S1, S2 : 재봉선

Claims (22)

  1.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에 있어서,
    손에 착용 시 파지(把指)할 수 있는 그립 부재(1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갑는 그립 부재(100)와, 상기 그립 부재(100)의 양측 말단에 부착된 밴드(510)와, 상기 그립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정연히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5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갑는 통상적인 장갑 형태의 착용 본체(200)와, 상기 착용 본체(200)의 손바닥 부위에 부착된 그립 부재(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갑는 손이 끼워지는 개구부(210)와, 다섯 개의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다섯개의 손가락 착용부(220)를 가지는 장갑 형태의 착용 본체(200)와; 상기 착용 본체(200)에 부착된 그립 부재(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200)는 그립 부재(100)의 내측으로 보조 그립 부재(100-1)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200)는 손가락의 적어도 끝마디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이 개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장*.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200)는 손가락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온장갑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200)는 손바닥이 노출되는 손바닥 노출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200)는 그 손바닥 부위에 신축성의 조임밴드(24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200)는 그 손목 부위에 손바닥 노출부(230)에서부터 연장된 개봉부(215)가 형성되고,
    자유롭게 착탈(着脫)이 가능한 체결수단(25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장*.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250)은 벨크로(Velcr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200)는 보호커버(300)로서 손등 보호커버(320), 손날 보호커버(340), 손목 보호커버(360), 검지 보호커버(381), 중지 보호커버(382), 약지 보호커버(383) 및 새끼 보호커버(384) 및 엄지 보호커버(385)가 각 부위에 대응하여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200)와 보호커버(300)의 사이에는 완충재(400)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착용부(220)의 사이에는 통기공(2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갑는 손가락 착용부(220)의 끝부분에 부착된 제1벨크로 부재(282)와, 상기 제1벨크로 부재(282)에 자유롭게 탈/부착되며 착용 본체(200)의 손바닥 부위에 부착된 제2벨크로 부재(284)로 구성된 탈착수단(2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1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갑는 손가락 착용부(220)의 끝부분에 부착된 제1벨크로 부재(282)와, 상기 제1벨크로 부재(282)에 자유롭게 탈/부착되며 그립 부재(100)에 형성된 제2벨크로 부재(284)로 구성된 탈착수단(2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1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200)는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손바닥 부위에 통기공(205)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1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100)는 착용 본체(200)의 손바닥 부위와 손가락 부위의 경계선에 위치되어 그 양쪽 말단이 착용 본체(200)에 부착되고 그 중앙 부분은 고정밴드(150)에 의해 착용 본체(20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장*.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재(100)는 외피(110)와, 이 외피(110)에 내장된 내장재(120)로 구성된 봉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110)의 표면에는 돌기(1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120)는 합성수지 발포체 또는 섬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2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그립 부재(100-1)는 외피(110-1)와, 이 외피(110-1)에 내장된 내장재(120-1)로 구성된 봉형상이고, 상기 외피(110-1)의 표면에는 돌기(1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립 부재(100)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KR1020200021154A 2020-02-20 2020-02-20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KR20210106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54A KR20210106232A (ko) 2020-02-20 2020-02-20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54A KR20210106232A (ko) 2020-02-20 2020-02-20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32A true KR20210106232A (ko) 2021-08-30

Family

ID=7750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54A KR20210106232A (ko) 2020-02-20 2020-02-20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62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01804A1 (en) Mixed martial arts equipment
US11064748B2 (en) Finger cots and sports sleeves
US4561122A (en) Protective glove for maximized tactilegnosis
US6832391B1 (en) Weight lifting glove
US6944974B2 (en) Shoe insert formed of reinforced elastomer for regulating and dampening vibration
US5781928A (en) Multi-purpose hand protector
US20090113592A1 (en) Shock absorber for sports
US20130198920A1 (en) Hand Wrap and Compression Sleeve
US20080104737A1 (en) Protective Article
US20120023632A1 (en) Hand protecting device
US20210052968A1 (en) High impact-resistive protective glove
US20090193560A1 (en) Hand protecting device
US6704936B1 (en) Boxing gloves incorporating multi-layer, anti-absorbent materials
US10368596B2 (en) First metacarpal sling for ball glove
JP2011518593A (ja) 保護用具
KR102569152B1 (ko) 삽입물을 갖는 그립 보조 장치
WO2020212675A1 (en) Glove for combat sports
US20190133221A1 (en) Golf glove with airflow vents
KR20210106232A (ko) 종합 격투기용 보호장갑
US20150314189A1 (en) Fitted wrist protective glove
KR100495613B1 (ko) 격투용 손 보호대
WO2006068381A1 (en) Hand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KR100714405B1 (ko) 격투용 손 보호대
KR200407674Y1 (ko) 격투용 손 보호대
JP6656714B1 (ja) 防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