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152B1 - 삽입물을 갖는 그립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삽입물을 갖는 그립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152B1
KR102569152B1 KR1020217006343A KR20217006343A KR102569152B1 KR 102569152 B1 KR102569152 B1 KR 102569152B1 KR 1020217006343 A KR1020217006343 A KR 1020217006343A KR 20217006343 A KR20217006343 A KR 20217006343A KR 102569152 B1 KR102569152 B1 KR 102569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gripping portion
strap
hand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973A (ko
Inventor
마이클 에스. 파커
Original Assignee
파워 그립스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 그립스 유에스에이, 인크. filed Critical 파워 그립스 유에스에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12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2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inne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1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2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양손에 착용할 수도 있는 그립 보조 장치는 리프팅 바가 부상을 입기 쉬운 손바닥 중앙의 취약성 부위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삽입물을 포함하는 파지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삽입물을 갖는 그립 보조 장치
본 발명은 근력 훈련 및 역도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분야에 사용하기 위한 그립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력 훈련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널리 실시되는 활동이 되었다. 그 자체로 스포츠가 되는 것 외에도, 근력 훈련은 축구, 농구, 및 야구와 같은 다른 스포츠의 컨디셔닝 및 근력 강화 운동으로도 활용된다. 또한, 테니스 선수와 같이 민첩성에 의존하는 운동 선수도 근력 훈련의 혜택을 받는다.
스포츠에서는 참가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장비가 활용된다. 근력 훈련과 관련하여서도 신체의 모든 관절이 극심한 힘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보호 장비가 필요하다. 특히, 손목 관절은 근력 훈련 과정에서 훈련자의 손이 웨이트 바를 사용할 때마다 이러한 극심한 힘을 받게 된다.
역도 운동 중에는 손바닥을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것은, 특히, 역도 운동 중에 역도 선수가, 예를 들어, 벤치 프레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몸으로부터 웨이트를 밀어내고 있는 때에 적용된다. 도 1은 손의 골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선으로 나타내어진 뼈는 제 1 중수골(608), 제 2 중수골(606), 제 3 중수골(604), 제 4 중수골(602), 및 제 5 중수골(600)로 구성된 중수골을 형성한다. 손목 부근의 음영 처리된 부분은 손목뼈(614)이다. 선(612, 610)은 각각, 깊은 손바닥 아치와 깊지 않은 손바닥 아치의 대략적인 치수를 보여준다. 손바닥 골격은 손허리 뼈(600 내지 608)로 구성된 중수골에 의해 형성된다. 중수골은 지골 또는 손가락 뼈와 팔뚝과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손목뼈(614)의 사이에 위치한 손 골격의 중간 부분이다. 중수골은 단단한 말단 손목뼈 열이 고정되는 횡방향 아치를 형성한다. 엄지 손가락(608)과 새끼 손가락(600)의 말초 중수골은 오목한 부분이 깊어지도록 하나로 모아짐에 따라 손바닥 홈이 형성하는 컵 형상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들 뼈 위의 손바닥의 형상은 주로, 깊은 손바닥 아치(612)와 깊지 않은 손바닥 아치(610)를 형성하는 요골 동맥 및 척골 동맥에 의해 형성된다. 깊지 않은 손바닥 아치(610)의 정점이 중수골의 대략 중앙에 도달하는 반면, 깊은 손바닥 아치(612)의 정점은 중수골 위로 손목뼈(614)와 지골 사이의 약 1/4 지점에 도달한다. 특히, 척골 신경뿐만 아니라 요골 신경 및 정중 신경은 손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을 받는다. 이들 신경에 많은 압력을 가하는 운동은 역도 선수를 손목 터널 증후군 및 가이온(Guyon) 관 증후군과 같은 부상 및 증후군에 취약하게 만든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사람의 손이 선도로 제공된다.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200),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202), 및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204)의 대략적인 위치가 손 위에 표시되어 있다. 이들 지방 패드는 손바닥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피하 지방 축적물이다.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200)는 엄지 손가락의 아래에 위치하며 거의 손목까지 아래로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thumb fat pa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대로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204)는 함께 손가락 아래 손바닥의 상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중수골(600, 602, 604, 606)(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의 상부를 대략적으로 덮고 있는 일련의 더 작은 지방 패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metacarpal fat pad serie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대로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202)는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204)와 새끼 손가락 또는 약지 아래에 위치하며,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200)와 같이 거의 손목까지 아래로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pinky fat pa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대로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패드(200, 202, 204)는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취약성 부위(206)를 둘러싸고 있다. 취약성 부위(206)는 패드(200, 202, 204)와 같은 지방 축적물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손바닥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보호되는 부위이다. 도 1 및 도 2를 비교하면, 이러한 취약성 부위(206)가 깊은 손바닥 아치와 깊지 않은 손바닥 아치에 대응하는 선(610, 612)의 내부에 형성되는 부위와 대략 일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취약성 부위(area of vulnerability)"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0, 202, 204)의 사이에 전술한 바대로 위치하며, 선(610, 612)의 내부에 형성되는 부위에 대략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역도, 특히, 밀기 운동 중 부상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 이와 같이 손바닥의 상대적으로 덜 보호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자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813,950 호에는, 역도 선수의 손바닥을 덮는 가요성 파지 부분이 점착성의 미끄럼 방지 재료로 형성되어, 역도 선수가 웨이트 바를 잡고 있지 않을 때에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재봉된, 그립 보조 장치의 신규 개발품이 설명되어 있다. 이 그립 보조 장치는 역도 선수의 손목으로부터 손가락 끝까지 연장되어 손의 기부를 덮으며 손목을 지지하는 깔때기 형상으로 디자인된 손목 스트랩에 연결되는 파지 부분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 5,813,950 호에 설명된 그립 보조 장치 발명의 특징 및 장점으로는, 착용자가 장치를 착용한 손의 손가락 끝을 사용하여 파지 스트랩을 리프팅 바 주위에 쉽게 감쌀 수 있도록 파지 스트랩이 손의 전방에 자유 직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술한 발명의 파지 부분은 밀기 운동과 당김 운동 모두에 사용될 수 있으며 마찰로부터 손바닥을 보호한다. 본 발명자가 발견한 바에 따르면, 미국 특허 제 5,813,950 호에 설명된 그립 보조 장치는 정형 외과 재활 및 건강 관련 용례에 대해 의료 분야에서 가치가 큰 용례를 제공한다. 이러한 용례에 있어서도, 임의의 밀기 동작용으로 추가 보호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5,771,901 호에는 손바닥에 맞도록 제작된 플레이트이며 지지 가장자리를 구비한 손용의 아치형 지지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발명은, 손바닥을 지지할 수 있긴 하지만, 근력 훈련 중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는 손이나 손목의 어느 다른 부분을 보호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근력 훈련 중에 바람직한 바와 같은 임의의 그립 보조를 제공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러한 지지대는 손에 따라 다르므로, 각각의 손에 대해 하나씩 구입해야만 한다.
미국 특허 제 4,374,439 호에는 손을 감싸도록 구성된 가요성 몸체 및 제자리 유지용 손목 스트랩 및 손바닥에 위치하는 패드가 내부에 끼워지는 주머니를 포함하는 볼링 선수용 손목 지지대가 개시되어 있다. 패드가 손바닥과 볼링 공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채워 공과의 더 우수한 접촉을 제공하여 공을 더 잘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패드는 약간의 탄성을 지닌 발포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패드의 형상은 패드의 가장 두꺼운 부분인 둥근 모서리에서 만나는 2 개의 비교적 직선형의 가장자리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패드의 이 부분이 손 뒤꿈치 기부에 맞추어진다. 최소 치수로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패드의 아치형 가장자리가 직선형 가장자리 중 하나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손목 지지대의 사용 시에 손바닥에 있는 손가락 기부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아치형 가장자리의 타단부로부터 손의 측면에 인접한 짧은 직선형 가장자리가 위치하여, 엄지 손가락 기부 부근에서 연장되는 다른 직선형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이 발명은, 볼링에는 도움이 될 수 있긴 하지만, 역도에 사용하기 위한 손바닥 지지대를 제공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특히, 패드의 가요성 특성이 압력 변화에 따라 조정되어, 바의 그립 변경을 어렵게 만든다. 더욱이, 윤곽선이 손바닥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손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볼링 선수가 한 손만 사용하는 볼링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역도에서는 사용자가 어느 손에 어떤 그립을 사용할지를 다시 결정하여야 하며 두 사람이 한 쌍을 사용하지 못하게 할 필요가 있다.
미국 특허 제 8,065,749 호에는 저자극성 접착제를 갖는 손 보호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직사각형 시트가 손가락이 미끄러져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를 갖는 상태로 반으로 접혀 있다. 이 발명품은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손을 파지 형태로 구부리는 경우 재료에 주름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의 기부에 절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발명품을 장갑 아래에 착용할 수 있으며, 손바닥 부분에 표면 흠집을 유발할 수도 있는 모든 활동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품의 경우, 저자극성 시트가 마찰로 인한 피부 병변으로부터 손 그리고 특히 손의 손바닥 부분을 보호하긴 하지만, 손의 취약한 부분을 내적 부상이나 손목 터널 증후군으로부터 보호하지는 못한다.
미국 특허 제 6,154,882 호에는 심한 충격이 가해지는 동안 손과 팔의 부상 위험과 충격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보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손가락 관절 보호구와 파지 요소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파지 요소가 손의 손바닥 부분에 위치하며, 이 발명에서는 여러 개의 디자인이 채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6,154,882 호의 파지 부분의 모든 디자인에는 낙상 시의 휨 가능하며 미끄럼 이동 가능한 움직임을 위해 층을 사용하는 재료가 포함된다. 모든 디자인이 충격이 가해지면 손이 파지 부분을 잡도록 되어 있다. 모든 파지 부분 디자인은 낙상, 즉, 스키 사고 시에 손이 파지 위치에 있으면 팔뚝, 손목, 손의 작은 뼈 또는 손가락의 부상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는 동일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은, 낙상으로 인한 극심한 충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긴 하지만, 밀기 동작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지는 못하며 근력 강화를 위한 정형 외과 치료의 보조하지도 않는다.
미국 특허 제 4,546,495 호에는 역도에서 프레스 사용 시에 사용하기 위해 손 뒤꿈치로부터 안쪽 손바닥을 향해 안쪽으로 연장되는 테이퍼형 웨지(wedge)를 포함하는 역도용 장갑 장비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의 웨지는 손이 바를 잡음에 따라 손에 의해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도록 다소 가요성이다. 웨지는 손 뒤꿈치로부터 손바닥을 향해 위쪽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기부를 포함한다. 기부의 양 단부 사이에서 웨지의 외부 둘레를 형성하는 둥근 가장자리가 연장된다. 웨지의 상단 또는 상부 부분은 대체로 매끄럽고 연속적인 오목한 영역이다. 웨지의 매끄럽고 연속적인 테이퍼형의 볼록한 바닥이 기부로부터 말단부를 향해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말단부는 기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웨지의 두께는 기부에서의 최대 값으로부터 말단부에서의 최소값으로 변한다. 오목한 상단과 볼록한 바닥은, 기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서로를 향해 테이퍼형이긴 하지만, 서로 다소 평행하며, 오목한 상단과 볼록한 바닥이 모두 말단부로 갈수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이 특허의 웨지는 역도용이긴 하지만 여전히 단점이 있다. 특히, 그 가요성 특성이 압력 변화에 따라 조정되어, 바의 그립을 어렵게 만든다. 더욱이, 손의 상대적으로 넓은 부위를 덮으며 윤곽선이 손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손에 따라 다르므로 각각의 손에 대해 하나씩 구입해야만 한다.
종래 기술에 어느 손에나 착용할 수도 있는 손용 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102,880 호에는, 손바닥을 따라 연장되는 가요성 기부를 구비하며 주머니의 내부에 보강 부재를 수용하고 오른손 또는 왼손과 같이 어느 손에나 착용할 수 있는 경량 손목 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손목 보호대는, 어떤 용도로는 유용하긴 하지만, 역도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특히, 손목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데, 역도 운동 중에는 손목을 전체 가동 범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손의 아주 작은 부분만 보호하므로, 역도 운동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는 손의 많은 부위가 위험에 노출된다. 또한, 손을 감싸며 손등 부위를 가로질러 서로 연결되는 2 개의 핸드 스트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손의 파지 동작이 부당하게 제한될 수도 있는 데, 역도에서는 그립이 제한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국 특허 제 5,620,399 호에는 손으로 물체를 단단히 파지하기 위한 파지 슬리브(sleeve)가 개시되어 있다. 파지 슬리브는 단단한 파지용 재료나 달라 붙는 재료로 형성된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플레이트가 연결 웹(web)에 의해 손목 밴드에 연결된다. 파지 슬리브를 손목 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걸 수 있어, 플레이트가 손바닥에 놓이게 된다. 이러판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그립 보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어느 손에나 착용할 수 있긴 하지만, 이 발명은 플레이트 자체를 초과하여서는 추가적인 손바닥 지지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좁은 웹만이 손의 기부를 덮고 있어, 손의 기부의 대부분이 노출되어 자극 및/또는 부상을 입기 쉽다.
마흐(Mah)의 미국 특허 제 5,581,809 호(이하 "마흐")에는 착용자의 손 상에 사용하기 위한, 손등 부분, 손바닥 부분, 및 손등 부분과 손바닥 부분의 사이로부터 말단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디지털 외피를 구비한 보호 장갑이 개시되어 있다. 이 보호 장갑은, 장갑의 손바닥 부분에 서로 간격을 두고 겹치지 않는 관계로 그리고 기단 디지털 주름, 말단 횡방향 손바닥 주름 및 종방향 손바닥 주름에 대해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겹치지 않는 관계로 위치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의가요성의 탄성 패드를 제공하여, 복수의 가요성의 탄성 패드가 손을 구부리면 가장자리 접촉 관계로 서로 인접하여 손의 중수골 영역을 덮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주름지지 않은 충격 흡수 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장갑은 손바닥의 특정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손바닥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장갑의 구체적인 교시에 따르면, 탄성 패드는 손바닥 주름 중 어느것과도 교차하지 않아야 하지만, 명확하게는 다양한 손바닥 주름의 주위에 위치하므로, 손을 구부리면 패드가 손바닥 주름으로 접힐 것이다.
마흐의 제 6 컬럼 43-45 행에 따르면, "탄성 패드(34, 46, 48, 50, 52)가 손바닥 부분(24)과 라이닝(64)의 사이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마흐의 패드 중 하나를 배치할 때마다, 패드 자체, 손바닥 부분, 및 라이닝의 3 개의 층이 존재한다. 이들 패드 중 몇몇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약성 부위(206)의 위에 배치된다. 마흐의 패드는 실질적으로 그 손바닥 부분을 덮으며, 손바닥 부분은 패드가 배치되는 적어도 3 개의 층을 포함한다.
마흐의 손목 패드(34)는 적어도 부드러운 U-자형의 삽입물이다. 이러한 완만한 U-자형 손목 패드의 상단은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204)의 부근 어디에도 배치되지 않는다. 마흐의 손목 패드(34)의 수정에 관한 교시에 따르면, 손목 패드의 상단이 위쪽으로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도달한다. 마흐에서 강조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선점은 ... 손의 주요 주름에 인접하지만 실질적으로 겹치지 않는 이격 관계로 위치하는 복수의 가요성 수단의 위치 설정과 구성에 있다". [마흐의 제 4 컬럼 9-19 행의 추가 강조점] 마흐에서 계속해서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패드가 명확하게 다양한 손바닥 주름 주위에 위치하므로, 손을 구부리면 패드가 손바닥 주름으로 접힐 것이다. [마흐의 제 4 컬럼 47 행-제 5 컬럼 20 행] 마흐의 손목 패드(34)가 손바닥 위로 충분히 멀리 연장되어 완막한 U-자형의 손목 패드의 상단이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의 상부에 배치되었으면, 손목 패드가 손의 여러 개의 주름과 겹쳐야 하지만, 마흐는 이에 대해서는 권장하지 않고 있다.
마흐의 초승달 형상의 탄성 손목 패드(34)가 장갑에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완만한 U-자형 삽입물의 상단이 중수골 지방 패드의 상부에 배치되었으면, 이후, 패드가 손바닥 주름과 겹치지 않는다는 마흐의 교시를 준수하기 위해, 패드의 연결 부분이 손목 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지 않아야 함에 유의한다. 선행 논의는 사용자의 손 크기에 관계없이 유효하다. 손은 모두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와 손목 부위 사이에 손바닥 주름을 가지며, 마흐는 항상 이러한 손바닥 주름이 겹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마흐에 장갑이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마흐의 손바닥 부분에는 가장자리가 없다. 마흐의 손바닥 부분이 손바닥 주위에서 위쪽으로 손가락 사이로 연장되기 때문에 마흐의 손바닥 부분까지 구조적으로 잘린 부분이나 가장자리가 없다. 또한, 마흐의 장갑이 사용자의 손을 전체적으로 감싸므로, 마흐의 장갑에는 이러한 가장자리가 없어, 마흐의 장갑은 손바닥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에 윤곽선을 포함할 수 없다.
따라서, 어느 손에나 착용할 수도 있으며, 손바닥 보호 기능을 포함하며, 역도 운동 중에 영향을 받는 손 부분을 적절하게 보호하며, 손의 파지 동작을 부당하게 제한하지 않는 그립 보조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정형 외과 재활 분야에서 촉진되는 임의의 밀기 운동에서 손의 취약성 부위를 보호하는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 삽입물을 구비한 그립 보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는 손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파지 부분 및 해제 가능한 손목 패스너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 8,581,950 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 12/660,856 호에 개시된 본 발명자와 관련된 발명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적어도 당업자라면 이들 개시 각각에서 논의되었지만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지 않는 일부 양태 또는 세부 사항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할 수도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는 의도한 바대로 착용하면 적어도 손의 손바닥을 덮는 파지 부분 및 파지 부분에 부착된 손목 부분을 포함한다. 손목 부분은 사용자의 손목 주위에 손목 부분을 체결하기 위한 스트랩 및 체결 수단을 포함하여, 손목 부분에 부착된 파지 부분이 사용자의 손에 맞대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파지 부분은 적어도 2 개의 절반부 또는 층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대칭 선을 따라 접혀 있는 편평한 단일 재료 조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파지 부분이 하나 이상의 삽입물이 2 개의 절반부의 사이에 포함될 수도 있는 곳을 제외하고 서로 동일 평면이 되도록 서로 부착되는 2 개의 별개의 재료 조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은 상측의 손가락 단부, 손가락 단부 반대측의 손목 단부, 손목 부분의 스트랩을 부착하기 위한 손목 단부 부근의 부착 가장자리, 및 손가락 단부와 부착 가장자리 사이의 제 1 및 제 2 측면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은 또한, 2 개의 절반부의 사이에 삽입된 아치형 지지 구조체인 삽입물을 포함하며, 삽입물은 간극을 포함한다. 삽입물은, 2 개의 절반부의 사이에 배치되면, 파지 부분이 간극을 제외하고 모든 곳에서 3 개의 층을 가지도록 하며, 간극에서는 파지 부분이 여전히 2 개의 층만을 가질 것이다. 간극이 삽입물의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그립 보조 장치를 착용하면 사용자 손의 취약성 부위를 덮을 것이다. 삽입물이 사용자 손의 취약성 부위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있으며 그립 보조 장치 착용 시에 그립 보조 장치 착용 시에 삽입물이 사용자 손의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및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배치되도록 간극이 위치되는 한, 삽입물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중간에 있는 간극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위치되는 한, 이러한 형상은, 예를 들어, 둥글거나 직사각형의 도넛 형상일 수도 있다. 삽입물이 또한, 그 사이에 간극이 있는 평행한 스트립 형태의 2 개의 삽입물일 수도 있으며, 스트립은 그립 보조 장치 착용 시에 취약성 부위의 위와 아래 중 어느 한 곳에 또는 취약성 영역의 어느 일 측면에 마련된다. 당업자라면 취약성 부위 위에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삽입물이 취할 수도 있는 다수의 형상 및 구성이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그러나, 2 개의 절반부의 사이에 배치된 삽입물이 U-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U-자형 삽입물은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및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U-자형 삽입물의 2 개의 측면 사이의 간극은, 상기 그립 보조 장치를 의도한 바대로 손의 손바닥 부분의 위에 착용하면,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에 근접하며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로부터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및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를 향해 연장되는 취약성 부위를 덮는다. U-자형 삽입물의 추가적인 지지에 의해, 임의의 밀기 동작 중의 추가 압력이 수용되어, 취약성 부위가 밀어지고 있는 바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취약성 부위 상의 스트레스 및 부상이 방지되며 비제한적인 순환이 촉진된다.
U-자형 삽입물은 파지 부분의 제 1 측면 부근의 제 1 U-측면, 파지 부분의 제 2 측면 부근의 제 2 U-측면, 및 제 1 및 제 2 U-측면을 연결하며 파지 부분의 손목 단부 부근에 있는 연결 부분을 구비한다. U-자형 삽입물이 배치되는 경우, 파지 부분은 U-자형 삽입물과 2 개의 절반부의 적어도 3 개의 층을 구비한다. 제 1 U-측면과 제 2 U-측면의 사이에는 파지 부분이 2 개의 층, 즉, 2 개의 절반부만 갖는 간극이 존재한다. U-자형 삽입물이 파지 부분의 내부에 위치되어, 그립 보조 장치를 착용하면, U-자형 삽입물이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및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간극은 취약성 부위를 덥는다. U-자형 삽입물의 추가적인 지지에 의해 역도 운동 중에 추가 압력이 수용되어, 취약성 부위가 리프팅 바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어, 취약성 부위에 대한 스트레스 및 부상이 방지된다. U-자형 삽입물이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 및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를 구축 및 지지하므로, 손의 손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취약성 부위에 도달하지 않는다.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 삽입물을 구비한 그립 보조 장치는 치료 재활에 적합하다. 파지 부분이 미끄럼 방지 재료로 형성되며 단부 부품이 2 개의 재료 절반부 사이의 파지 부분의 손가락 단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지 부분의 제 1 및 제 2 부착 가장자리는, 손목 부분의 제 1 및 제 2 스트랩이 손목 패스너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 주위에 고정되면, 제 1 및 제 2 스트랩과 파지 부분이 손목과 손의 기부 주위에 깔때기 형상의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는 각도로 형성되며, 여기서, 인클로저는 기단부에서보다 말단부에서 크기가 더 큰 개구를 구비한다. 손목 부분의 제 1 및 제 2 스트랩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여기서, "실질적으로(substantially)"는 모서리가 완전한 직각이 아니라 둥글게 형성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그립 보조 장치의 스트랩을 손목 주위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스트랩의 단부 상의 링 및 제 2 스트랩 상의 후크 및 루프형 패스너 섹션을 포함하여, 제 2 스트랩이 제 1 스트랩의 후크를 통해 체결된 다음 후크 및 루프형 패스너 섹션을 통해 그 자체에 체결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은 자체적으로 지지되며 사용자가 착용한 바로 그 손으로 파지 부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가락의 전방에서 연장되는 상태로 남아 있도록 강성을 갖는다.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은 그 자체가 바의 주위에 쉽게 감길 수 있도록 하며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섹션을 형성하는 2 개의 절반부가 함께 스티칭되어 고정되도록 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이다.
청구되고 있는 그립 보조 장치의 U-자형의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 구조체는 임의의 밀기 동작에서 사용자 손바닥의 취약성 부위를 보호하여, 부상 및 손목 터널 증후군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사용자가 더 이상 부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상체 근육을 강화하여야 하는 정형 외과 치료에 유용하다. 의사들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동의한 바와 같이, 이러한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 삽입물은 손목과 손의 부상에서 회복 중인 환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U-자형의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대는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 및 중수골 지방 패드를 구축하여 손바닥의 취약한 부위를 보호하는 견고한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대는 정중 신경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순환을 촉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립 보조 장치는 대칭형이므로 어느 손에나 착용 가능하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로에 대해 동일 평면에서 부착되는 절반부 또는 층이 각각, 제 2 대칭 선을 갖는다. 그립 보조 장치를 어느 손에나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이 제 2 대칭 선이다. 제 1 및 제 2 측면은 양측에서의 엄지 손가락의 이동성을 허용하기 위한 거울상 윤곽선을 포함한다.
파지 부분이 미끄럼 방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의 재료 절반부 사이에서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의 손가락 단부에 단부 부품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의 제 1 및 제 2 부착 가장자리는, 손목 부분의 제 1 및 제 2 스트랩이 손목 패스너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을 중심으로 고정되면, 제 1 및 제 2 스트랩과 파지 부분이 손목과 손 기부 주위에 깔때기 형상의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인클로저는 기단부에서보다 말단부에서 크기가 더 큰 개구를 구비한다. 손목 부분의 제 1 및 제 2 스트랩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는 모서리가 완벽한 직각이 아니라 둥글게 형성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스트랩을 손목 주위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스트랩의 단부 상의 링 및 제 2 스트랩 상의 후크 및 루프형 패스너의 섹션을 포함하여, 제 2 스트랩이 제 1 스트랩의 후크를 통해 체결된 다음 후크 및 루프형 패스너 섹션을 통해 자체에 체결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은 파지 부분이 자체적으로 지지되며 장치를 착용한 바로 그 손으로 파지 부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가락 전방에서 연장되는 상태로 남아 있도록 강성을 갖는다. 더욱이,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이 파지 부분을 착용한 손의 손가락 끝만을 사용하여 리프팅 바 주위를 쉽게 감쌀 수 있도록 충분히 가요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섹션을 형성하는 재료의 2 개의 절반부가 함께 스티칭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칭은 U-자형 삽입물을 제자리에 유지하여 간극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그립 보조 장치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파지 부분은 역도용 장갑에 통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손목 부분은 제거되며 사용자의 손바닥과 각각의 손가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과 치수를 갖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장갑으로 대체된다. 다른 모든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지 부분은 의도한 바대로 착용되면 적어도 손의 손바닥을 덮으며, 2 개의 재료 층과 이들 층 사이에 배치된 삽입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바닥을 덮는 장갑 재료는 파지 부분의 제 1 층을 형성하며, 삽입물은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및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층의 위에 위치되며, 그립 보조 장치를 착용하면 파지 부분의 외부 층을 형성하는 별도의 재료 층에 의해 장갑 재료에 고정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지 부분이 2 개의 별개의 층을 포함하며, 이들 층이 그 사이의 원하는 위치에 삽입물이 있는 상태로 함께 고정된다. 이러한 파지 부분이 사용자의 손바닥을 덮는 장갑 재료에 고정된다.
그립 보조 장치는 손목과 손을 지지함으로써 역도 선수의 그립을 강화하도록 설계된다. 가요성 파지 부분이 손의 손바닥을 덮어 보호한다. 파지 부분은 종종, 반으로 접힌 한 조각의 대칭형 재료로 형성된다. 손목 스트랩이 파지 재료의 기부에 연결되어 손목 지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파지 부분은 또한, 파지 재료의 2 개의 절반부의 사이에 삽입된 아치형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파지 부분의 2 개의 절반부의 사이에 배치된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 삽입물이 U-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 삽입물은 사용자 손바닥의 취약한 부위를 추가로 보호한다.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 삽입물은 임의의 밀기 동작 중에 추가 압력을 수용하여, 무게가 고르게 분산되며 사용자 손바닥의 취약성 부위가 밀고 있는 바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취약성 부위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상이 방지된다. U-자형의 아치형 지지 삽입물은 일반적으로 물리 치료의 치료 용례용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아치형 지지 삽입물이 그립 보조 장치에 사용되어, 부상이나 손목 터널 증후군 발생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정형 외과적 재활에서 촉진되는 밀기 동작에 적용 가능하다. 손바닥의 취약성 부위를 직접 압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밀기 동작은 손목 터널 증후군의 발병에 기여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 압력이 가해지면 정중 신경의 압박과 혈류 감소가 초래된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U-자형의 아치형 지지 삽입물은 엄지 손가락과 새끼 손가락의 바로 아래에 있는 굴곡근과 외전근의 밀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손의 측면을 강화함으로써, U-자형 삽입물이 아치형 지지대의 역할을 하며 손바닥의 취약성 부위에 직접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비제한적인 혈액 순환과 정중 신경 보호가 야기된다.
정형 외과적 재활의 경우 사용자의 상체 근력을 키우기 위해 웨이트 바가 종종 사용된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의 U-자형 삽입물은 균형을 맞추며 손 전체에 걸쳐 중량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사용자가 기존의 꽉 쥔 주먹에 비해 손을 자연스럽게 펼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독특한 아치형 지지대를 생성한다. 펼쳐진 손의 비파지 위치에서는 웨이트 바가 손 상에서 더 낮은 위치에 손목에 더 가깝게 놓이게 된다. 이러한 손의 위치는 팔뚝 뼈 위에 웨이트 바를 올려서 웨이트를 더 쉽게 밀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힘의 전달을 개선한다. U-자형의 아치형 지지대의 독특한 디자인은 사용자의 손바닥 측면을 강화하여 공간을 생성하며 웨이트 바의 압력을 취약성 부위로부터 멀리 보내어 정중 신경을 보호한다. U-자형의 아치형 지지대 삽입물의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대는 연약한 손목 터널 부위 위에서 웨이트 바를 운반하는 동시에 정중 신경을 보호하며 손으로의 비제한적인 혈액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브리지형 구조체(Bridge like structure)"가 된다.
바람직한 장갑은 손가락이 절반만 있는 디자인의 역도용 장갑이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기성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장갑이 작업용으로 사용하거나 추운 날씨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손가락이 전부 있는 디자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손바닥의 취약성 부위를 보호하여 손목 터널 증후군으로부터 보호하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아치형 지지 구조체를 갖는 그립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임의의 밀기 동작을 수행하는 때에 사용자 손바닥의 중수골 부위를 추가로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척골, 요골, 및 정중 신경을 보호하며 이에 의해 임의의 밀기 동작을 수행하는 때에 사용자의 손목으로부터 손가락 끝까지 순환을 촉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양태가 배타적인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을 아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을 함께 읽음으로써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사람의 손의 골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손의 지방 패드의 대략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사람 손의 선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그립 보조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U-자형 삽입물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펼친 상태의 파지 부분의 도면이다.
도 5는 손 위에 겹쳐진 파지 부분의 도면이다.
도 6은 파지 부분의 스티칭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그립 보조 장치의 깔때기형 개구를 나타내는 등각도이다.
도 8a는 사람의 손이, 바와 사용자의 손 사이에 본 발명의 그립 보조 장치가 있는 상태로, 바를 느슨하게 잡고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사람의 손이, 사용자의 손과 본 발명의 그립 보조 장치의 사이에 바가 있는 상태로, 바를 느슨하게 잡고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그립 보조 장치의 손가락 단부가 손을 향해 바의 주위에 감겨 있는 상태의 사람 손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그립 보조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사람 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파지 부분이 사람 손에 착용된 역도 장갑에 통합된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1a는 2 개의 재료 층을 그 사이에 삽입물이 배치된 상태로 함께 접착함으로써 형성된 파지 부분의 조립도이다.
도 11b는 2 개의 재료 층을 그 사이에 삽입물이 배치된 상태로 함께 접착함으로써 형성된 파지 부분의 비조립 분해도이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며, 본 발명자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라고 믿는 바를 구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10)는 파지 부분(12), 손목 부분(28), 및 손목 패스너(3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가 바람직한 실시예이긴 하지만, 도시된 모든 특징부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된다.
파지 부분(12)은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손가락으로부터 손목 관절 아래까지 사람의 손을 덮는 치수로 형성된다. 파지 부분(12)은, 그립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손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리프팅 바 주위를 쉽게 감쌀 수 있을만큼 가요성이긴 하지만, 자체 지지 기능을 갖추며, 그립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손으로 조작하지 않으면 손바닥과 손가락의 전방에서 연장되는 상태로 남아 있도록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파지 부분(12)은 손가락 단부(18), 손목 단부(70), 제 1 부착 가장자리(72), 제 2 부착 가장자리(74), 제 1 측면(76), 및 제 2 측면(78)을 포함한다. 손가락 단부(18), 제 1 측면(76), 및 제 2 측면(78)은, 이들이 파지 부분(12)의 가장자리임을 나타내는, 제 1, 제 2, 및 제 3 파지 부분 가장자리(706, 708, 710)로도 표시되며, 즉, 가장자리(706, 708, 710)는 파지 부분(12)이 이들 가장자리(706, 708, 710)보다 추가로 연장되지 않으며 이들 가장자리(706, 708, 710)에서 다른 구조물에 연결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장갑은 그 특성상 손 주위를 완전히 감싸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장갑도 이러한 가장자리를 포함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손가락 단부(18) 및 손목 단부(70)는 각각, 파지 부분(12)의 상단 및 하단에 서로 대향하게 위치한다. 손목 단부(70)는 제 1 스트랩(30)을 향한 일 측면 상의 제 1 손목 단부 플랭크(500) 및 제 2 스트랩(31)을 향한 타측면 상의 제 2 손목 단부 플랭크(502)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손목 단부 플랭크(500, 502)가 손목 단부(70)의 양측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플랭크(Flank)"는 이 문맥에서 "측면(side)"의 동의어로서 사용되지만, 스스로 사전 편집자의 역할을 하는 본 발명자는 본 명세서의 다른 문맥에서 사용되는 "측면"이라는 단어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 "플랭크"를 사용하기로 선택하였다. 제 1 및 제 2 부착 가장자리(72, 74)는 손목 단부(70)의 제 1 및 제 2 손목 단부 플랭크(500, 50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측면(76, 78)은 손가락 단부(18)와 제 1 및 제 2 부착 가장자리(72, 74)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 1 및 제 2 측면(76, 78)은 각각,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수용하는 윤곽선(16)을 포함한다. 오목한 윤곽선(16)은 제 1 및 제 2 측면(76, 78)의 축소부(702), 축소부(702)와 손가락 단부(18) 사이의 제 1 확장부(700), 및 축소부(702)와 손목 단부(70) 사이의 제 2 확장부(704)를 초래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부착 가장자리(72, 74)는 제 1 및 제 2 스트랩(30, 31)이 파지 부분(12)로부터 연장되는 곳이다.
어느 손에나 착용할 수도 있는 실시예에서, 파지 부분(12)이 제 2 대칭 선(14)을 포함한다. 제 2 대칭 선(14)은 파지 부분(12)을 바라 봤을 때 쉽게 알 수 있는 구조체가 아니라, 오히려 파지 부분(12)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다. 파지 부분(12)이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바람직한 그립 보조 장치(10)를 어느 손에나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파지 부분(12)의 평면을 통한 대칭을 포함하여 제 2 대칭 선(14)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대칭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되긴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 2 대칭 선(second line of symmetry)"은 제 2 대칭 선(14)을 따라 파지 부분(12)을 접었을 경우 명백히 알 수 있는 대칭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파지 부분(12)의 "제 1" 특징부가 우측에 표시되며 파지 부분(12)의 "제 2" 특징부가 좌측에 표시되긴 하지만, 파지 부분(12)이 대칭형이며 파지 부분(12)의 모든 "제 1" 및 "제 2" 특징부가 제 2 대칭 선(14)을 가로질러 서로 거울상이기 때문에, 이러한 명명은 임의적이다.
파지 부분(12)은 도 3b에 상세히 도시된 U-자형 삽입물(80)을 포함한다. U-자형 삽입물(80)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상의 삽입물이긴 하지만, 그립 보조 장치(10)의 착용자의 취약성 부위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될 간극(104)을 포함하는 한 어느 삽입물이나 본 발명에 충분한 것으로 이해된다. U-자형 삽입물(80)이 파지 부분(12)의 절반부(71, 73)(도 4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됨)의 사이에 배치된다. U-자형 삽입물(80)은 제 1 및 제 2 U-측면(82, 90)을 포함하며, 이들 측면은 각각 외부 U-측면(84, 92), 내부 U-측면(86, 94), 및 U-상단(88, 96)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U-측면(82, 90)은, 파지 부분(12)의 손목 단부(70) 부근의 손목 단부 측면(100) 및 간극(104) 부근의 간극 측면(102)을 구비한, 연결 부분(98)에 의해 연결된다. 손목 단부 측면(100)이 제 1 및 제 2 U-측면(82, 90)의 외부 U-측면(84, 92)을 연결한다. 간극 측면(102)이 제 1 및 제 2 U-측면(82, 90)의 내부 U-측면(86, 94)을 연결한다. 간극(104)은 제 1 및 제 2 U-측면(82, 90)과 연결 부분(98) 사이의 공간이다. 제 1 및 제 2 외부 U-측면(84, 92)의 윤곽선이 파지 부분(12)의 제 1 및 제 2 측면(76, 78)의 오목한 윤곽선(16)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U-측면(82, 90)과 연결 부분(98)이 U-자형 삽입물(80)을 형성하여, U-자형 삽입물(80)이 절반부(71, 73)의 사이에 배치되면, 파지 부분(12)이 제 1 및 제 2 U-측면(82, 90)과 연결 부분(98)에서 3 개의 재료 층을 포함한다. 간극(104)에서는, 파지 부분(12)이 2 개의 재료 층, 즉, 절반부(71, 73)만을 포함한다.
파지 부분(12)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덮는 파지 부분(12)의 단부인 손가락 단부(18)를 포함한다. 단부 부품(20)이 바람직한 파지 부분(12)의 손가락 단부(18)에 배치된다. 단부 부품(20)은, 바람직하게는, 뻣뻣하지만 가요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이다. 단부 부품(20)이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단부 부품(20) 주위를 스티칭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자리에 고정함으로써 파지 부분(12)의 층들 사이에서 제자리에 유지됨으로써 파지 부분(12)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정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단부 부품(20)이 파지 부분(12)에 일체로 성형된다.
그립 보조 장치(10)의 사용 시에, 손목 부분(28)이 사용자의 손목 주위를 고정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감싼다. 손목 부분(28)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직사각형 형상인, 제 1 및 제 2 스트랩(30, 31)을 포함한다. 제 1 스트랩(30)은 자유 단부(34) 및 파지 부분(12)의 제 1 부착 가장자리(72)에 부착되는 부착 단부(32)를 구비한다. 제 2 스트랩(31)은 자유 단부(35) 및 파지 부분(12)의 제 2 부착 가장자리(74)에 부착되는 부착 단부(33)를 구비한다. 스트랩 부착 단부(32, 33)가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부착 가장자리(72, 74)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부착 가장자리(72, 74)에서 파지 부분(12)의 절반부(71, 73)의 사이에 스트랩 부착 단부(32, 33)를 삽입하고 스트랩 부착 단부(32, 33)를 스티칭 및/또는 아교 접착 또는 기타 접착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부착 가장자리(72, 74)에 부착될 수도 있다.
스트랩(30, 31)은, 바람직하게는 약 120°의 각도(A)로 파지 부분(12)에 부착된다. 그러나, 각도(A)가 사용자의 손에 따라 120°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각도(A)는 사용자의 손에 가장 잘 맞도록 그리고 어느 손에나 편안하게 맞는 것을 보장하도록 맞춤화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트랩(30, 31)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파지 부분(12)의 대칭으로 인해, 스트랩(30, 31)이 부착 가장자리(72, 74)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트랩(30, 31)은 사용자의 편안함을 위해 완충 패드(38)를 포함한다. 완충 패드(38)는, 바람직하게는, 저마찰 직물로 덮인 발포 고무로 형성된다. 이것은 발포 고무를 덮고 있는 직물에 의해 스트랩(30, 31)이 완충 패드(38) 위로 미끄러질 수 있어 스트랩이 발포 고무에 파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트랩(30, 31)은 또한, 사용자의 손목 둘레에 손목 부분(28)을 체결하기 위한 손목 패스너(36)를 포함한다. 손목 패스너(36)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제 1 스트랩(30)의 스트랩 자유 단부(34)에 링(44)을 포함하는 제 1 섹션(42)을 포함한다. 손목 패스너(36)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링(44)을 통해 삽입되어 손목 부분(28)을 고정할 수도 있는 제 2 스트랩(31) 상의 제 2 섹션(46)을 포함한다. 제 2 섹션(46)은, 바람직하게는, 루프형 패스너의 제 1 길이부(48)와 후크형 패스너의 제 2 길이부(50)를 포함하여, 제 2 섹션(46)이 배치된 제 2 스트랩(31)이 링(44)을 통해 삽입되면, 제 1 길이부(48)와 제 2 길이부(50)가 결합되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면, 접히기 이전의 바람직한 파지 부분(12)이 도시되어 있다. 파지 부분(12)은, 바람직하게는, 점착성의 끈적끈적한 표면을 제공하여 파지 부분(12)이 사용 중에 사용자의 손바닥 주위에서 미끄러지는 대신 사용자의 손바닥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클로로 부틸 고무와 같은 미끄럼 방지 재료(40)로 형성된다. 재료(40)는 제 1의 편평한 재료면(504) 및 제 2의 편평한 재료면을 포함하며, 제 2의 편평한 재료면은 측면(504)의 반대쪽 측면이며 따라서 관찰자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재료 조각(40)은 재료(40)를 접었을 때 적어도 외측을 향하는 면이 미끄럼 방지면이다. 즉, 접혀 자체적으로 동일 평면으로 맞대어지는 재료(40)의 면은 미끄럼 방지 재료일 수도 아닐 수도 있지만, 외측을 향하며 사용자의 손 및/또는 바(66)(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와 접촉하는 면은 미끄럼 방지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부분(12)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의 미끄럼 방지 재료로 이루어진 2 개의 층(71, 73)을 함께 접착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한 조각의 미끄럼 방지 재료(40)를 제 1 대칭 선(41)에서 접은 다음 2 개의 절반부(71, 73)를 함께 스티칭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1의 편평한 재료면(504)이 제 1 대칭 선(41)을 따라 접히면, 2 개의 층(71, 73)이 외측을 향하며 제 2의 편평한 재료면은 그 자체를 향하여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외측을 향하는 제 1의 편평한 재료면(504)이, 바람직하게는, 미끄럼 방지면이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는, 재료가 적어도 미끄럼 방지 파지 부분(12)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우레탄, 성형 고무 등과 같은 성형 가능한 재료이다. 제 1 대칭 선(41)을 따라 접히면, 파지 부분(12)이 자체 지지 기능을 갖추며 그립 보조 장치(10)를 착용한 사람의 손에 의해 파지 부분(12)이 조작될 수 있도록 손바닥 및 손가락의 전방에서 연장되는 상태로 남아 있도록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강성에도 불구하고, 파지 부분(12)은 손가락 끝만을 사용하여 리프팅 바(66)의 주위를 쉽게 감쌀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면, 손 위에 중첩된 파지 부분(12)이 도시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해, 도 5에는 손목 부분(28)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U-자형 삽입물(80)이 절반부(71, 73)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되긴 하지만, 파지 부분(12)의 내부에서의 그 위치를 나타내도록 윤곽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5를 비교하면, 파지 부분(12)이 의도한대로 손바닥 위에 배치되면, 다음이 사실이 확인될 것임이 분명하다: 제 1 및 제 2 U-상단(88, 96)의 적어도 일부가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204)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배치되며, 제 1 U-측면(82)의 적어도 일부가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202)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배치되며, 제 2 U-측면(90)의 적어도 일부가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200)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배치되며, 연결 부분(98)의 적어도 일부가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202) 및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200) 모두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지만, U-자형 삽입물(80)을 포함하는 파지 부분(12)이 제 2 대칭 선(14)을 따라 대칭형이기 때문에, 엄지 손가락 또는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200, 20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제 1 U-측면(82)인지 제 2 U-측면(90)인지 여부는 임의적이다. 추가적으로 그리고 중요하게는, 간극(104)의 적어도 일부가 취약성 부위(206)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된다. U-자형 삽입물(80)의 다양한 부분의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손의 지방이 더 많은 부분, 즉,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200),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202), 및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204)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보장된다. U-자형 삽입물(80)에 의해 강화된 부위로 둘러싸인 간극(104)은 바(66)가 취약성 부위(206)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손의 이러한 비보호 비완충 부분 상의 압력을 제거하여 부상을 방지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스티칭(106)이 도시되어 있다. 스티칭(106)은 절반부(71, 73)를 서로 안전하게 부착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다. 아교 접착 또는 기타 접착제와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부착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파지 부분(12)이 단일 성형 조각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부착이 필요하지 않다. 도 6에서, 파지 부분(12)의 둘레를 제외하고, 실선은 스티칭 라인(106)을 나타낸다. 점선은 제 2 대칭 선(14), 단부 부품(20)의 위치, U-자형 삽입물(80)의 위치, 및 제 1 및 제 2 스트랩(30, 31)을 나타낸다. 스티칭(106)은 적어도 제 1 외부 섹션(108), 제 2 외부 섹션(110), 제 1 내부 섹션(112), 제 2 내부 섹션(114), 제 1 상부 섹션(116), 제 2 상부 섹션(118), 및 간극 형성 섹션(12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외부 섹션(108, 110)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파지 부분(12)의 손목 단부(70) 부근에서 만나며, 스트랩(30, 31)을 제 1 및 제 2 부착 가장자리(72, 74)에 고정하기 위해 추가 스티칭이 포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외부 섹션(108, 110)이 파지 부분(12)의 제 1 및 제 2 측면(76, 78)의 오목한 윤곽선(16)을 따라, 위로 손가락 단부(18)를 향해 그리고 아래로 제 1 및 제 2 부착 가장자리(72, 74) 및 손목 단부(70)를 향해 연장된다. 제 1 외부 섹션(108)은 파지 부분(12)의 제 1 측면(76)과 U-자형 삽입물(80)의 제 1 외부 U-측면(84)의 사이에 있다. 따라서, 제 1 외부 섹션(108)은 제 1 및 제 2 절반부(71, 73)만을 통해 스티칭된다. 제 2 외부 섹션(110)은 파지 부분(12)의 제 2 측면(78)과 U-자형 삽입물(80)의 제 2 외부 U-측면(92)의 사이에 있다. 따라서, 제 2 외부 섹션(110)은 제 1 및 제 2 절반부(71, 73)만을 통해 스티칭된다. 제 1 내부 섹션(112)은 U-자형 삽입물(80)의 제 1 외부 U-측면(84)의 내측에 있다. 따라서, 제 1 내부 섹션(112)은 제 1 및 제 2 절반부(71, 73)뿐만 아니라 U-자형 삽입물(80)을 통해 스티칭된다. 제 2 내부 섹션(114)은 U-자형 삽입물(80)의 제 2 외부 U-측면(92)의 내측에 있다. 따라서, 제 2 내부 섹션(114)은 제 1 및 제 2 절반부(71, 73)뿐만 아니라 U-자형 삽입물(80)을 통해 스티칭된다. 제 1 및 제 2 상부 섹션(116, 118)은 각각, 제 1 및 제 2 U-상단(88, 96)의 상부 바로 위에서 스티칭되며, 따라서, 제 1 및 제 2 절반부(71, 73)만을 통해 스티칭된다. 마지막으로, 간극 형성 섹션(120)은 간극(104)의 바로 내부에서 제 1 내부 U-측면(86), 간극 측면(102), 및 제 2 내부 U-측면(94)을 따르므로, 간극 형성 섹션(120)도 제 1 및 제 2 절반부(71, 73)를 통해서만 스티칭된다. 특히, 제 1 및 제 2 내부 섹션(112, 114)은 U-자형 삽입물(80)뿐만 아니라 절반부(71, 73)를 통과하지만 다른 모든 섹션은 절반부(71, 73)만을 통과하는 상태의 스티칭 섹션(108 내지 120)의 조합은 U-자형 삽입물(80)을 제자리에 유지하며, 절반부(71, 73)를 서로 맞대어 고정적으로 유지하며, 간극(104)을 명확하게 형성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 스트랩(30, 31)이 각도(A)(도 3a에 도시됨)로 파지 부분(12)에 부착되기 때문에, 스트랩이 서로 부착되면 깔때기형 개구(60)를 형성한다. 깔때기형 개구(60)는 근력 훈련 중에 확고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목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깔때기형 개구(60)는 사용자 손의 기부 주위에 위치되는 말단부(62) 및 사용자 손목 주위에 위치되는 기단부(64)를 구비한다. 말단부(62)가 기단부(64)보다 크기 때문에, 손 기부의 피부 마찰이 방지된다. 더욱이, 깔때기형 개구(60)의 특성상, 그립 보조 장치(10)가 사용자의 손목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 손의 혈액 순환이 제한되는 것이 방지된다. 파지 장치가 당김 운동 중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손의 기부 주위에 깔때기형 개구(6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밀기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깔때기형 개구(60)가 사용자의 손목 주위에 위치되어 손목을 지지하도록 조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그립 보조 장치(10)를 이용하여 바를 느슨하게 잡고 있는 사람의 손의 정면도가 제공된다. 도 8a에서는, 파지 부분(12)이 바(66)와 사용자의 손(68)의 사이에 있다. 도 8b에서는, 바(66)가 파지 부분(12)과 사용자의 손(68)의 사이에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립 보조 장치(10)를 자신에게 가장 편안한 방식으로 맞춰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도 8a에 도시된 사용 상태는 벤치 프레스 또는 체스트 프레스와 같은 밀기 운동에 더 편안할 수도 있다. 도 8b에 도시된 사용 상태는 턱걸이 또는 랫 풀다운과 같은 당김 운동에 더 편안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도 8b로부터 진행된 사용 상태가 제공된다. 도 9b에는, 손(68)을 향해 바(66) 주위에 파지 부분(12)의 손가락 단부(18)를 감고 있는 사람의 손(68)의 측면도가 제공된다. 도 9b에는, 도 9a에 도시된 위치 이후 바(66) 주위에서 파지 부분(12)을 파지하고 있는 사람의 손(68)의 사시도가 제공된다. 파지 부분(12)이 바(66)와 손(68)의 사이에 있는 상태로 도 9a에 도시된 사용 상태에서 시작하여 유사한 사용 상태로 진행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파지 부분(12)을 도 8a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손(68)의 반대 방향으로 감는 방식으로, 또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68)을 향해 감는 방식으로 바(66)를 파지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면, 파지 부분(12)이 역도용 장갑(300)에 통합된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다른 실시예의 손목 부분이 제거되어 사용자의 손바닥과 각각의 손가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과 치수로 형성된 가요성 재료로 제작된 장갑(300)으로 대체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장갑은
도 10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바닥을 덮는 장갑 재료(302)가 파지 부분(12)의 제 1 층을 형성하며, 삽입물(80)이 파지 부분(12)의 내부에서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윤곽선이 도시되어 있으며, 장갑 재료(302)의 상기 층 상에 위치되어 외부 층(43)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10을 비교하여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갑(300)을 착용하면, 파지 부분(12)이 손바닥 위에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U-상단(88, 96)의 적어도 일부가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204)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배치되며, 제 1 U-측면(82)의 적어도 일부가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202)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2 U-측면(90)의 적어도 일부가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200)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결 부분(98)의 적어도 일부가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202) 및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200)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간극(104)의 적어도 일부가 취약성 부위(206)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된다. U-자형 삽입물(80)의 다양한 부분의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손의 지방이 더 많은 부분, 즉,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200),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202), 및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204)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보장된다. U-자형 삽입물(80)에 의해 강화된 부위로 둘러싸인 간극(104)은 바(66)가 취약성 부위(206)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손의 이러한 비보호 비완충 부분 상의 압력을 제거하여 부상을 방지한다.
이하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파지 부분(12)이 역도용 장갑(300)에 통합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파지 부분(12)은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의 미끄럼 방지 재료로 이루어진 2 개의 층(71, 73)을 그 사이에 삽입물(80)이 배치되는 상태로 함께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층(73)이 더 넓은 재료 시트로 제조되어 삽입물(80) 위를 감싸 내부 층(7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단 이렇게 고정되면, 파지 부분(12)이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서 장갑 재료(302)에 부착된다. 도 10 및 도 11a에 U-자형 삽입물(80)이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삽입물 형상이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체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기술적 이용 가능성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산업 분야에서 개발될 수 있는 내장형의 아치형 지지 삽입물을 구비한 그립 보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그립 보조 장치가 제조되는 방식 및 그 사용 방식이 위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바람직한 버전을 참조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다른 버전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설명 및 청구 범위의 정신과 범위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 바람직한 버전의 설명으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8)

  1. 역도용 그립 보조 장치로서,
    상기 그립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으로부터 손목 관절 아래까지 사용자 손의 손바닥을 덮는 치수로 형성되며, 상기 손은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 및 이들 사이의 취약성 부위(area of vulnerability)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 보조 장치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편평한 재료로 이루어진 제 1 절반부와 제 2 절반부를 서로 부착하여 상기 제 1 절반부와 상기 제 2 절반부가 동일 평면이 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는 파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 부분은,
    손가락 단부;
    제 1 손목 단부 플랭크(wrist end flank) 및 제 2 손목 단부 플랭크를 포함하는, 상기 손가락 단부의 반대측의 손목 단부;
    상기 손목 단부의 상기 제 1 손목 단부 플랭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부착 가장자리;
    상기 손목 단부의 상기 제 2 손목 단부 플랭크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부착 가장자리;
    상기 제 1 부착 가장자리 및 상기 제 2 부착 가장자리와 상기 손가락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으로서, 각각 상기 제 1 부착 가장자리 및 상기 제 2 부착 가장자리에 근접한 오목한 윤곽선을 포함하여, 상기 그립 보조 장치를 의도한 바대로 손바닥 위에 착용하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인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
    간극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절반부와 상기 제 2 절반부 사이에 배치된 U-자형 삽입물
    을 포함하며,
    상기 U-자형 삽입물이 상기 제 1 절반부와 상기 제 2 절반부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파지 부분은, 상기 삽입물의 상기 간극이 상기 제 1 절반부와 상기 제 2 절반부 사이에 배치되는 곳을 제외하고는, 상기 파지 부분의 모든 위치에서 상기 제 1 절반부, 상기 삽입물, 및 상기 제 2 절반부를 포함하는 3 개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 부분은, 상기 삽입물의 상기 간극이 상기 제 1 절반부와 상기 제 2 절반부 사이에 배치되는 곳에서는, 상기 제 1 절반부 및 상기 제 2 절반부를 포함하는 2 개의 층만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 보조 장치를 의도한 바대로 손바닥 위에 착용하면, 상기 간극은,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에 근접하며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로부터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및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를 향해 연장되는 취약성 부위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U-자형 삽입물은,
    제 1 외부 U-측면, 이 제 1 외부 U-측면의 반대측의 제 1 내부 U-측면, 및 상기 제 1 외부 U-측면과 상기 제 1 내부 U-측면을 연결하는 제 1 U-상단을 포함하는 제 1 U-측면;
    제 2 외부 U-측면, 이 제 2 외부 U-측면의 반대측의 제 2 내부 U-측면, 및 상기 제 2 외부 U-측면과 상기 제 2 내부 U-측면을 연결하는 제 2 U-상단을 포함하는 제 2 U-측면;
    상기 제 1 U-측면과 상기 제 2 U-측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U-측면의 상기 제 1 외부 U-측면 및 상기 제 2 U-측면의 상기 제 2 외부 U-측면과 교차하는 손목 단부 측면, 상기 제 1 U-측면의 상기 제 1 내부 U-측면 및 상기 제 2 U-측면의 상기 제 2 내부 U-측면과 교차하는 간극 측면, 및 상기 제 1 U-측면과 상기 제 2 U-측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포함하는 연결 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 보조 장치를 의도한 바대로 손바닥 위에 착용하면, 상기 연결 부분의 상기 손목 단부 측면이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손목 단부에 근접하며, 상기 제 1 외부 U-측면이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제 1 측면의 상기 윤곽선을 따르며, 상기 제 2 외부 U-측면이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제 2 측면의 상기 윤곽선을 따르며, 상기 제 1 U-상단 및 상기 제 2 U-상단의 적어도 일부가 중수골 지방 패드 시리즈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U-측면 및 상기 제 2 U-측면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U-측면 및 상기 제 2 U-측면 중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새끼 손가락 지방 패드 및 엄지 손가락 지방 패드의 적어도 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그립 보조 장치는,
    제 1 스트랩 및 제 2 스트랩을 포함하는 손목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스트랩 및 상기 제 2 스트랩 각각은 부착 단부 및 자유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트랩의 상기 부착 단부가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제 1 부착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2 스트랩의 상기 부착 단부가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제 2 부착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것인 손목 부분;
    상기 제 1 스트랩 및 상기 제 2 스트랩에 부착된 해제 가능한 손목 패스너(wrist fastener)로서, 상기 그립 보조 장치가 사용자의 손목 주위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스트랩을 상기 제 2 스트랩에 체결하기 위한 치수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손목 패스너
    를 포함하는 것인 그립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편평한 재료는 제 1의 편평한 재료면 및 제 2의 편평한 재료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의 편평한 재료면 및 상기 제 2의 편평한 재료면 중 적어도 하나는 미끄럼 방지면인 것인 그립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손가락 단부에서 상기 제 1 절반부와 상기 제 2 절반부 사이에 배치되는 단부 부품(end piece)
    을 추가로 포함하는 그립 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반부와 상기 제 2 절반부를 서로 맞대어 유지하며 상기 제 1 절반부와 상기 제 2 절반부 사이에서 상기 U-자형 삽입물을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한 스티칭(stitching)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티칭은 적어도,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U-자형 삽입물의 상기 제 1 U-측면의 상기 제 1 외부 U-측면 사이의 제 1 외부 섹션으로서,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제 1 측면의 상기 윤곽선을 따르며 상기 제 1 절반부 및 상기 제 2 절반부만을 통해 스티칭되는 것인 제 1 외부 섹션;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제 2 측면과 상기 U-자형 삽입물의 상기 제 2 U-측면의 상기 제 2 외부 U-측면 사이의 제 2 외부 섹션으로서,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제 2 측면의 상기 윤곽선을 따르며 상기 제 1 절반부 및 상기 제 2 절반부만을 통해 스티칭되는 것인 제 2 외부 섹션;
    상기 제 1 외부 섹션에 평행한 제 1 내부 섹션으로서, 상기 제 1 내부 섹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U-자형 삽입물의 상기 제 1 U-측면의 상기 제 1 외부 U-측면, 상기 제 1 절반부, 및 상기 제 2 절반부를 통해 스티칭되는 것인 상기 제 1 내부 섹션;
    상기 제 2 외부 섹션에 평행한 제 2 내부 섹션으로서, 상기 제 2 내부 섹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U-자형 삽입물의 상기 제 2 U-측면의 상기 제 2 외부 U-측면, 상기 제 1 절반부, 및 상기 제 2 절반부를 통해 스티칭되는 것인 제 2 내부 섹션;
    상기 제 1 절반부 및 상기 제 2 절반부를 통해서만 스티칭되는 제 1 상부 섹션 및 제 2 상부 섹션으로서, 상기 U-자형 삽입물의 상기 제 1 U-측면의 상기 제 1 U-상단 및 상기 제 2 U-측면의 제 2 U-상단 위쪽의 제 1 상부 섹션 및 제 2 상부 섹션;
    상기 U-자형 삽입물의 상기 연결 부분의 상기 간극 측면, 상기 제 1 U-측면의 상기 제 1 내부 U-측면, 및 상기 제 2 U-측면의 상기 제 2 내부 U-측면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절반부 및 상기 제 2 절반부를 통해서만 스티칭되는 간극 형성 섹션
    을 포함하는 것인 그립 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분의 상기 제 1 부착 가장자리 및 제 2 부착 가장자리 각각은, 상기 손목 부분의 상기 제 1 스트랩 및 상기 제 2 스트랩이 상기 손목 패스너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 주위에 고정되면, 상기 제 1 스트랩 및 제 2 스트랩과 상기 파지 부분이 손목 및 손의 기부 주위에 깔때기 형상의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는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인클로저는 기단부에서보다 말단부에서 크기가 더 큰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그립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부분의 상기 제 1 스트랩 및 상기 제 2 스트랩 각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인 것인 그립 보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분은, 상기 파지 부분이 자체 지지되게 하고 상기 그립 보조 장치를 착용한 사람의 손에 의해 상기 파지 부분이 조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손바닥 및 손가락의 전방에서 연장되는 상태로 있게 하는 강성을 가지며,
    상기 파지 부분은, 상기 그립 보조 장치를 착용한 사람의 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끝만을 사용하여 상기 파지 부분이 리프팅 바의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요성을 갖는 것인 그립 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은, 상기 파지 부분이, 상기 손가락 단부와 상기 손목 단부 사이의 축소부; 상기 축소부와 상기 손가락 단부 사이의 제 1 확장부; 상기 축소부와 상기 손목 단부 사이의 제 2 확장부를 포함하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그립 보조 장치.
KR1020217006343A 2018-08-02 2018-08-02 삽입물을 갖는 그립 보조 장치 KR102569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8/044901 WO2020027838A1 (en) 2018-08-02 2018-08-02 Grip assist apparatus with inse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973A KR20210120973A (ko) 2021-10-07
KR102569152B1 true KR102569152B1 (ko) 2023-08-21

Family

ID=6396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343A KR102569152B1 (ko) 2018-08-02 2018-08-02 삽입물을 갖는 그립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3829371A1 (ko)
JP (1) JP7090205B2 (ko)
KR (1) KR102569152B1 (ko)
CN (1) CN112601470A (ko)
AU (1) AU2018434907B2 (ko)
BR (1) BR112021001913A2 (ko)
CA (1) CA3107626A1 (ko)
PH (1) PH12021550179A1 (ko)
RU (1) RU2765078C1 (ko)
SG (1) SG11202100731XA (ko)
WO (1) WO2020027838A1 (ko)
ZA (1) ZA2021011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078B1 (ko) * 2022-01-06 2023-04-04 박영배 운동용 스트랩
KR102646054B1 (ko) * 2023-10-18 2024-03-11 주식회사 디엔에스그룹 마그네틱 파지 보조수단을 구비한 헬스 스트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6319A (en) 1969-12-29 1971-09-20 Gold Palm Enterprises Inc Bowling aid
US5581809A (en) 1995-09-26 1996-12-10 Mah; Jung Y. Protective glove
US20110214220A1 (en) 2010-03-05 2011-09-08 Parker Michael S Grip assist apparatus with palm arch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4439A (en) * 1981-01-05 1983-02-22 Bill Norman Wrist support with palm pad
US4546495A (en) 1984-09-24 1985-10-15 Castillo David D Glove apparatus for weightlifting presses
US5620399A (en) 1993-09-16 1997-04-15 Hofmann; Norbert Gripping sleeve for the firm grip of an object
SE511101C2 (sv) 1995-02-09 1999-08-02 Johan Ullman Handske med greppelement för reducering av skador vid snowboards- eller skateboardsåkning
US5813950A (en) 1996-01-29 1998-09-29 Parker; Michael S. Grip assist apparatus
US5771901A (en) * 1997-01-27 1998-06-30 O'brien; Virginia H. Ergonomic palmar support
US6098200A (en) * 1999-03-31 2000-08-08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Padded glove for protecting and positioning the hand of a wearer
US6102880A (en) 1999-09-29 2000-08-15 Mueller Sports Medicine, Inc. Wrist brace
CA2419330E (en) * 2001-01-26 2009-03-24 Louis Garneau Sports Inc. High breathability cyclist hand glove
US20030205232A1 (en) * 2001-06-01 2003-11-06 Spitzer A. Robert Pad for vibration dampening and carpel tunnel syndrome prevention
US20070150999A1 (en) * 2006-01-03 2007-07-05 Fulcrum Health Products, Llc Cycling glove
FR2913314B1 (fr) 2007-03-09 2009-05-08 Medical X Trem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la main
GB0807432D0 (en) * 2008-04-23 2008-05-28 Giddins Grey E B A protective device
CN102411280A (zh) 2010-09-20 2012-04-11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及其方法
CN102614649A (zh) * 2012-04-10 2012-08-01 苏州龙鑫手套有限公司 一种防护滑雪手套
RU146172U1 (ru) * 2014-03-18 2014-10-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изической культуры, спорта и здоровья имени П.Ф. Лесгафта,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Защитная перчатк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6319A (en) 1969-12-29 1971-09-20 Gold Palm Enterprises Inc Bowling aid
US5581809A (en) 1995-09-26 1996-12-10 Mah; Jung Y. Protective glove
US20110214220A1 (en) 2010-03-05 2011-09-08 Parker Michael S Grip assist apparatus with palm arch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01913A2 (pt) 2021-04-27
JP7090205B2 (ja) 2022-06-23
AU2018434907B2 (en) 2023-12-14
ZA202101188B (en) 2021-10-27
JP2021531903A (ja) 2021-11-25
PH12021550179A1 (en) 2022-02-14
CN112601470A (zh) 2021-04-02
KR20210120973A (ko) 2021-10-07
RU2765078C1 (ru) 2022-01-25
CA3107626A1 (en) 2020-02-06
EP3829371A1 (en) 2021-06-09
AU2018434907A1 (en) 2021-02-18
SG11202100731XA (en) 2021-02-25
WO2020027838A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393B2 (en) Grip assist apparatus with insert
US10376770B2 (en) X splint hand protection device
US5459883A (en) Ergonomic hand covering and grip enhancer
US5813950A (en) Grip assist apparatus
US20110214220A1 (en) Grip assist apparatus with palm arch support
KR20100002193A (ko) 일체형 손과 손목 지지대를 갖춘 역도용 글러브
US9630083B2 (en) Molded grip glove
US20080104737A1 (en) Protective Article
US20110113521A1 (en) Protective Glove System
JP2007037637A (ja) スポーツ用衝撃緩和具
US20120017350A1 (en) Overlapping Palm Glove
US20120023632A1 (en) Hand protecting device
KR102569152B1 (ko) 삽입물을 갖는 그립 보조 장치
US20090193560A1 (en) Hand protecting device
US11931284B2 (en) Multi-digit braces and methods of use
US20210129009A1 (en) Wearable protective equipment with selective padding placement and orientation
WO2016015622A1 (zh) 关节运动支撑护具
JP4956695B1 (ja) スポーツ用グローブ
JP2011518593A (ja) 保護用具
WO2020212675A1 (en) Glove for combat sports
US20150314189A1 (en) Fitted wrist protective glove
WO2019053493A1 (en) GOLF GLOVE COMPRISING AIR FLOW VENTS
US20100081981A1 (en) Wrist support
KR20090004295U (ko) 검도대련용 팔목보호대 일체형 손보호장갑
KR102114828B1 (ko) 격투기용 보호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