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14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142A
KR20210106142A KR1020200020926A KR20200020926A KR20210106142A KR 20210106142 A KR20210106142 A KR 20210106142A KR 1020200020926 A KR1020200020926 A KR 1020200020926A KR 20200020926 A KR20200020926 A KR 20200020926A KR 20210106142 A KR20210106142 A KR 20210106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air
air conditioner
dispos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751B1 (ko
Inventor
장지현
이동활
박보희
서성호
박현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751B1/ko
Priority to US17/173,284 priority patent/US20210262691A1/en
Publication of KR20210106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32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27Natural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가 공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컨트롤 박스가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실내측 본체부와 실외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측 본체부의 경계에 배치되며, 컨트롤 박스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비가 오더라도 컨트롤 박스 및/또는 컨트롤 박스 내의 히트 싱크가 빗물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버터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 박수에 구비된 제어부품의 방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대상 공간의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키거나, 대상 공간에 대하여 가습 동작 또는 제습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공기조화기가 대상 공간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배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배관을 통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순환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분리형 공기조화기 및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공간에 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와, 실내기와 배관을 통하여 연결되며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실외기는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할 때,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할 때,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응축기와 증발기가 함께 설치된다. 응축기는 실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열교환하며, 증발기는 실내측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다.
선행기술문헌 1(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0240호)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공개한다. 선행기술문헌 1의 공기조화기는 컨트롤 박스의 메인 인쇄 회로 기판에 히트 싱크를 설치하되, 히트 싱크가 컨트롤 박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컨트롤 박스를 실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컨트롤 박스의 메인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 부품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여 부품이나 기판 등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의 경우, 방열을 위해 컨트롤 박스가 실외측에 되어 있다. 따라서, 비가 오는 경우에 히트 싱크 등이 빗물에 직접 노출될 수 있다. 히트 싱크가 빗물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 절연 성능 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0240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가 오더라도 컨트롤 박스 및/또는 컨트롤 박스 내의 히트 싱크가 빗물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버터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 박수에 구비된 제어부품의 방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컨트롤 박스가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실내측 본체부와 실외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측 본체부의 경계에 배치되며, 컨트롤 박스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증발팬을 포함하는 배리어 어셈블리, 배리어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된 증발기, 배리어 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고 쉬라우드 개구부가 형성된 쉬라우드, 응축기, 및 쉬라우드 개구부와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응축팬을 포함하고, 컨트롤 박스는 배리어 어셈블리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의 제1 측면은 케이스와 이격되며, 제1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컨트롤 박스의 후면에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컨트롤 박스가 메인 기판, 및 메인 기판에 실장된 히트 싱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히트 싱크가 배치된 영역을 커버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전방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한 공기를 토출하는 증발팬을 포함하는 배리어 어셈블리,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된 증발기,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의 후방에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쉬라우드 개구부가 형성된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응축기, 상기 쉬라우드 개구부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응축팬,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의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제1 측면은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제1 측면에는 공기를 상기 컨트롤 박스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면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기 위한 소자들이 실장된 메인 기판, 및 상기 메인 기판에 실장된 히트 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히트 싱크는 복수개의 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평판 각각은 상기 메인 기판에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메인 기판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 기판과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 커버,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와 결합하는 컨트롤 박스 케이스, 및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의 외관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는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의 후면의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배리어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제1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와 결합하는 리액터 베이스, 상기 리액터 베이스의 전방에서 상기 리액터 베이스와 결합하는 리액터, 및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와 결합하고, 상기 리액터를 커버하는 리액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실내 흡입부 및 상기 증발팬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컨트롤 박스는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설정 정보을 수신하고, 공기조화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면 패널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공기 배출부의 크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제1 측면 사이의 거리는 15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압축기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압축기는 상기 쉬라우드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면과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의 후면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비가 오더라도 컨트롤 박스 및/또는 컨트롤 박스 내의 히트 싱크가 빗물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인버터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 박스에 구비된 제어부품의 방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측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후측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실외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케이스의 내부에 응축기와 증발기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는 실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열교환할 수 있고, 증발기는 실내측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벽면(1)과 창문(2)이 구비되는 건물에 있어서, 벽면(1)에 형성된 구멍(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창문(2)이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된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가 케이스(200)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공기조화기(100)는 케이스(200)의 전면에서부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전방 또는 전면 등은 벽면(도 1의 1) 또는 창문(도 1의 2) 등을 기준으로 실내측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의 면을 지칭하고, 후방 또는 후면 등은 그 반대면, 즉 실외측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의 면을 지칭한다.
케이스(200)는 전방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200)의 후면에는 공기의 흡입 및/또는 토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는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공기조화기의 설치 공간이 미리 배치되어있을 수도 있고, 공기조화기(100)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공기조화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0)의 전면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 흡입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0)의 상부에는 조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 배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 흡입부(11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공기조화기(100)의 본체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실내 배출부(114)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0)의 상부에는 인터페이스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개구부(116)를 통해 컨트롤 박스의 디스플레이가 노출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의 디스플레이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정보를 보여줄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한 작동 명령 및/또는 희망 온도 등이 입력될 수도 있다.
도 3은 전측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후측방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프론트 패널(110) 및 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베이스(122), 베이스(122) 상에 배치되며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실내 본체부, 및 베이스(122) 상에 배치되며 실외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공기조화기(100)의 프론트 패널(110)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케이스(도 2의 200)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122) 및 베이스(130)에 설치된 복수개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구성요소들은 실내 본체부와 실외 본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구성요소들은 배리어 어셈블리(136), 컨트롤 박스(140), 쉬라우드(166), 압축기(172), 및 응축기(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케이스(2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20)는 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 등을 위하여 케이스(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140)의 측면에는 공기 흡입부(141a)가 형성되고, 컨트롤 박스(140)의 후면에는 공기 배출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가 실내측 본체부와 실외측 본체부의 경계선에 설치되고, 컨트롤 박스(140)에 공기 흡입부(141a) 및 공기 배출부(141b)가 형성됨으로써 컨트롤 박스(140)로 빗물 등이 침투할 가능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컨트롤 박스(140) 내부로 실외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본체부(140)의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기능 및 배치는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프론트 패널(110) 및 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베이스(122), 증발기(132), 히터(134), 배리어 어셈블리(136), 컨트롤 박스(140), 컨트롤 박스 커버(158), 모터 브라켓(162), 응축팬 모터(164), 쉬라우드(166), 응축팬(168), 압축기(172), 복수개의 배관들(182, 184, 186), 응축기(190), 및 후면 그릴들(192, 19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110)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20)는 베이스(122),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실내측 본체부, 및 실외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측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리어 어셈블리(136) 및 컨트롤 박스(140)가 실외측 본체부와 실내측 본체부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 및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메인 기판이 실외측 본체부와 실내측 본체부의 경계를 형성하며,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 및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메인 기판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이 실내측 본체부를 구성하고,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 및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메인 기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이 실외측 본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증발기(132)는 프론트 패널(11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 흡입부(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132)를 통과하여 실내 배출부(114)로 배출될 수 있다. 응축기(190)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3 배관부(186)를 통해 증발기(132)로 유입될 수 있고, 증발기(132)를 통과한 냉매는 제1 배관부(182)를 통해 압축기(172)로 배출될 수 있다. 제3 배관부(186)는 응축기(190)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흡입부(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132)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32) 내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히터(134)는 증발기(13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34)는 실내 흡입부(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배리어 어셈블리(136)는 증발기(132)의 후방(보다 구체적으로는 증발기(132)의 후방에 배치된 히터(13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 어셈블리(136)는 실외측 본체부와 실내측 본체부를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실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즉,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136a)은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실내측 공기유로와 실외측 공기유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배리어 어셈블리(136)는 증발팬(136b) 및 증발팬 모터(136c)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팬(136b) 및 증발팬 모터(136c)는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136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팬 모터(136c)는 증발팬(136b)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증발팬(136b)은 전방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증발팬(136b)은 증발팬(136b)의 전방에 배치된 증발기(132) 및/또는 히터(134)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전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증발팬(136b)에 의해 배출된 공기는 실내 배출부(11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는 적어도 전면의 일부가 프론트 패널(11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40)는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40)는 케이스(도 2의 200)의 내측면과 일정한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도 2의 200)의 측면과 컨트롤 박스(14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15mm 이상일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는 증발팬 모터(136c), 응축팬 모터(164), 및 압축기(17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컨트롤 박스 커버(158)는 컨트롤 박스(140)의 상부에 배치되며, 컨트롤 박스(140)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모터 브라켓(162)은 응축팬 모터(164)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 브라켓(162)은 응축팬 모터(164)를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응축팬 모터(164)는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과 쉬라우드(16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응축팬 모터(164)는 응축팬 모터(164)의 모터축과 쉬라우드(166)의 쉬라우드 개구부(166a)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쉬라우드(166)는 배리어 어셈블리(136)와 응축기(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쉬라우드(166)는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방에 배리어 어셈블리(136)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쉬라우드(166)는 응축기(190)와 결합할 수 있다. 쉬라우드(166)는 응축팬(168)과 결합되어 응축팬(168)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쉬라우드(166)에는 응축팬(168)의 흡입측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쉬라우드 개구부(166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도 2의 20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쉬라우드 개구부(166a)를 통해 응축팬(168)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응축팬(168)은 쉬라우드(166)와 응축기(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응축기(190)의 전방의 공간 중 응축팬(168)은 쉬라우드(166)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팬(168)은 쉬라우드(166)와 결합될 수 있다. 응축팬(168)은 쉬라우드 개구부(166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응축기(190)로 배출할 수 있다. 응축팬(168)은 축류팬일 수 있다. 즉, 응축팬(168)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축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압축기(172)는 컨트롤 박스(140)의 후방과 쉬라우드(166)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72)는 컨트롤 박스(140) 및 쉬라우드(166)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72)의 일측에 기액분리기가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72)는 제1 배관부(182)를 통해 증발기(132)와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132)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제1 배관부(182)를 통해 압축기(172)로 유입된다. 압축기(172)는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제2 배관부(184)를 통해 응축기(190)로 배출할 수 있다.
응축기(190)는 쉬라우드(166)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90)는 쉬라우드(166)의 후방에서 쉬라우드(166)와 결합될 수 있다. 응축팬(168)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응축기(19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압축기(172)로부터 배출된 냉매는 제2 배관부(184)를 통해 응축기(190)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기(190)는 유입된 냉매를 응축하여 제3 배관부(186)를 통해 증발기(132)로 배출할 수 있다.
후면 그릴들(192, 194)은 응축기(190)의 후방에, 응축기(19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후면 그릴들(192, 194)은 응축기(190)를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컨트롤박스(1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컨트롤 박스(140)는 배리어(141), 리액터 커버(148), 제1 파워 커버(149), 및 디스플레이 커버(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140)는 적어도 일부가 전면 패널(도 2 및 도 3의 11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박스(140)의 리액터 커버(148), 제1 파워 커버(149), 및 디스플레이 커버(151)는 전면 패널(도 2 및 도 3의 11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의 배리어(141)는 전면 패널(도 2 및 도 3의 110)의 후단부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40)의 배리어(141)의 측면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부(14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컨트롤 박스(1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컨트롤 박스(140)는 배리어(141), 컨트롤 박스 케이스(142), 메인 기판(143), 히트 싱크(144), 컨트롤 박스 커버(145), 리액터 베이스(146), 리액터(147), 리액터 커버(148), 제1 파워 커버(149), 제2 파워 커버(150), 디스플레이 커버(151)와 디스플레이 기판(152)과 통신 모듈(153)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서브 커버(154), 서브 기판(155), 서포터(156), 및 트랜스포머(157)를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141)는 컨트롤 박스(140)의 외관의 제1 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며, 컨트롤 박스(140) 내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배리어(14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141)는 컨트롤 박스 케이스(142)의 후방에 배치되고, 컨트롤 박스 커버(145)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9141)는 컨트롤 박스 케이스(142)의 후면 및 제1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배리어(141)에는 공기를 컨트롤 박스(14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부(141a) 및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부(141b)의 크기는 공기 흡입부(141a)보다 클 수 있다. 공기 배출부(141b)는 배리어(141)의 제1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 흡입부(141a)는 제1 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은 컨트롤 박스(14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면은 컨트롤 박스(140)의 제1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의 제1 측면은 케이스(도 2의 2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또한, 배리어(141)의 공기 흡입부(141a) 및 공기 배출부(141b)는 히트 싱크가 위치하는 영역을 커버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케이스(142)는 배리어(141)에 결합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케이스(142)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컨트롤 박스 케이스(14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컨트롤 박스 케이스(142)는 컨트롤 박스 커버(145)와 결합하여 메인 기판(143)을 지지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케이스(142)는 컨트롤 박스 케이스(142)의 후면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획부(142a)를 포함한다. 제1 영역은 제2 영역의 하부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에는 메인 기판(143) 상에 실장된 히트 싱크가 위치할 수 있고, 제2 영역에는 메인 기판(143) 상에 실장된 소자들이 위치할 수 있다.
메인 기판(143)은 컨트롤 박스 커버(145)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기판(143)에는 증발팬 모터(도 5의 136c), 응축팬 모터(도 5의 164), 및 압축기(도 5의 172) 등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자들 및 히트 싱크(144)가 실장될 수 있다. 메인 기판(143)은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향하는 제1 기판면과, 제1 기판면의 반대면인 제2 기판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자들 및 히트 싱크는 제2 기판면에 실장될 수 있다.
히트 싱크(144)는 메인 기판(143)에 실장될 수 있다. 히트 싱크(144)는 메인 기판(143)에 실장된 소자들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할 수 있다. 히트 싱크(14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플레이트들 각각은 기판에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144)의 측면에 공기 흡입부(141a)가 위치할 수 있고, 히트 싱크(144)의 후면에 공기 배출부(141b)가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커버(145)는 메인 기판(143)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박스 커버(145)는 메인 기판(142)의 상기 제2 기판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 커버(145)의 후면에 메인 기판(143)이 결합될 수 있다.
리액터 베이스(146)는 컨트롤 박스 커버(145)와 결합할 수 있다. 리액터 베이스(146)는 컨트롤 박스 커버(145)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액터 베이스(146)는 리액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리액터(147)는 리액터 베이스(146)에 결합될 수 있다. 리액터(147)는 리액터 베이스(146)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액터 커버(148)는 리액터 베이서(146)와 결합하여 리액터(147)를 커버할 수 있다. 리액터 커버(148)는 후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워 커버(150)는 컨트롤 박스 커버(145)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파워 커버(149)는 제2 파워 커버(150)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파워 커버(149) 및 제2 파워 커버(150)는 전원이 공급되는 단자를 커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51)는 컨트롤 박스(140)의 전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커버(151)는 전면 패널(도 2 및 도 3의 110)의 인터페이스 개구부(11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판(152)은 디스플레이 커버(15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판(152)에는 공기조화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소자들 및 사용자의 명령이나 설정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시작 명령 및 운전 종료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설정 정보는 희망 온도에 대한 정보 및/또는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3)은 디스플레이 기판(152) 상에 실장될 수도 있고, 별도로 디스플레이 커버(151)와 결합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53)은 외부의 통신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53)은 와이파이 장치일 수 있다.
서브 커버(154)는 컨트롤 박스 커버(145)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서브 커버(154)는 서브 기판(155)을 지지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서브 기판(155)은 서브 커버(154)에 결합될 수 있다. 서브 기판(155)에는 메인 기판(143)에 실장된 소자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보조하거나, 또는 메인 기판(143)에 실장된 소자들이 수행하는 기능 이외에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서포터(156)는 컨트롤 박스 커버(145)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156)는 디스플레이 커버(151)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157)는 메인 기판(143)에 실장될 수도 있고, 컨트롤 박스 커버(145) 등 별도의 위치에 실장될 수도 있다. 트랜스포머(157)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필요한 전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컨트롤 박스(1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에서, L1은 메인 기판(도 7의 143)이 배치된 위치를 나타내며, 공기조화기(100)의 본체부(120)는 L1을 기준으로 실내측 본체부와 실외측 본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00)의 본체부(120)는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실내측 본체부와 실외 공기가 유동하는 실외측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140)는 실외측 본체부와 실내측 본체부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박스(140)의 메인 기판(도 7의 143)을 기준으로 실외측 본체부와 실내측 본체부가 구분될 수 있다. 즉, 컨트롤 박스(140)의 메인 기판(도 7의 143)의 후방으로는 실외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실외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화살표는 실외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컨트롤 박스(14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컨트롤 박스(140)를 후측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140)의 제1 측면에는 컨트롤 박스(14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공기 흡입부(14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컨트롤 박스(140)의 후면에는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공기 배출부(14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컨트롤 박스(140)의 제1 측면은 케이스(도 2의 200)와 마주하는 측면이다.
도 10은 도 2의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의 후측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컨트롤 박스(140)는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140)의 후면(즉, 컨트롤 박스(140)의 배리어(도 6 내지 9의 141)과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다르게, 컨트롤 박스(140)의 후면과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이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136a)을 기준으로, 실내측 본체부와 실외측 본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136a)의 전방은 증발팬(136b)의 동작에 따라 실내 공기가 유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기는 전면 패널(110)의 실내 흡입구(112)로 흡입되고, 증발기(도 5의 132) 및/또는 히터(도 5의 134)를 통과한 후 증발팬(136b)로 흡입되고, 증발팬(136b)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전면 패널(110)의 실내 배출부(114)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면(136a)의 후방은 응축팬(168)의 동작에 따라 실외 공기가 유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기는 응축기(190)와 케이스(200)의 사이를 통해 케이스(200)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유입된 공기는 케이스(200) 내부의 공기조화기의 본체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외측 본체부)를 거쳐 쉬라우드(166)의 쉬라우드 개구부(도 5의 166a)를 통해 응축팬(도 5의 168)으로 흡입된다. 또한, 응축팬(도 5의 168)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응축기(190)를 거쳐 실외로 배출된다.
컨트롤 박스(140)가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측면에 배치되고, 배리어 어셈블리(136)의 후방에 쉬라우드(166) 및 응축팬이 배치되므로, 컨트롤 박스(140)의 후면을 통해서도 공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00)와 응축기(19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컨트롤 박스(140)와 압축기(172) 사이의 공간을 지나 쉬라우드 개구부(166a)로 유입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의 후면으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므로, 컨트롤 박스(140)의 공기 배출부(141b)의 압력은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압력보다 낮아질 수 있고, 따라서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공기가 공기 배출부(14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4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컨트롤 박스(140)의 제1 측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141a)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00)와 응축기(19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컨트롤 박스(140)와 케이스(200) 사이의 공간을 지나 공기 흡입부(141a)로 유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공기조화기 200 : 케이스
110 : 프론트패널 112 : 실내 흡입부
114 : 실내 배출부 120 : 본체부
122 : 베이스 132 : 증발기
134 : 히터 136 : 배리어 어셈블리
140 : 컨트롤 박스 158 : 컨트롤 박스 커버
162 : 모터 브라켓 164 : 응축팬 모터
166 ; 쉬라우드 168 : 응축팬
172 ; 압축기 190 : 응축기

Claims (14)

  1.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전방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한 공기를 토출하는 증발팬을 포함하는 배리어 어셈블리;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된 증발기;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의 후방에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쉬라우드 개구부가 형성된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응축기;
    상기 쉬라우드 개구부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응축팬;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의 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제1 측면은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제1 측면에는 공기를 상기 컨트롤 박스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면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기 위한 소자들이 실장된 메인 기판; 및
    상기 메인 기판에 실장된 히트 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복수개의 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평판 각각은 상기 메인 기판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메인 기판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 기판과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 커버;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의 후방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와 결합하는 컨트롤 박스 케이스; 및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의 외관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배리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는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의 후면의 공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배리어의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는 부분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배출부가 형성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제1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와 결합하는 리액터 베이스;
    상기 리액터 베이스의 전방에서 상기 리액터 베이스와 결합하는 리액터; 및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의 전방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 커버와 결합하고, 상기 리액터를 커버하는 리액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실내 흡입부 및 상기 증발팬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설정 정보을 수신하고, 공기조화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면 패널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의 크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의 크기보다 큰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컨트롤 박스의 제1 측면 사이의 거리는 15mm 이상인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쉬라우드의 측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의 후면과 상기 배리어 어셈블리의 후면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00020926A 2020-02-20 2020-02-20 공기조화기 KR102366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26A KR102366751B1 (ko) 2020-02-20 2020-02-20 공기조화기
US17/173,284 US20210262691A1 (en) 2020-02-20 2021-02-1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26A KR102366751B1 (ko) 2020-02-20 2020-02-2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42A true KR20210106142A (ko) 2021-08-30
KR102366751B1 KR102366751B1 (ko) 2022-02-23

Family

ID=7736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26A KR102366751B1 (ko) 2020-02-20 2020-02-2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262691A1 (ko)
KR (1) KR102366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93204A (zh) * 2022-04-20 2022-12-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窗式空调器
CN115264630A (zh) * 2022-06-21 2022-11-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箱体散热结构及空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133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90010240A (ko)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6229A1 (en) * 2010-04-30 2011-11-03 M&A Technology, Inc. Stackable modular personal computer array
KR102477875B1 (ko) * 2017-07-03 202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133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90010240A (ko) 2017-07-21 201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2691A1 (en) 2021-08-26
KR102366751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87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366751B1 (ko) 공기조화기
CN105864918A (zh) 散热单元及包含该散热单元的空气调节器的室外机
WO2016103441A1 (ja) 室外機
KR10112331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2019032141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9200046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9299974A (ja) 空気調和機
US7658085B2 (en) Monolithic air conditioner
KR102436120B1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CN114206079A (zh) 散热器安装结构及窗式空调器
JP2018207074A (ja) 発熱機器を備えた装置
CN220793296U (zh) 窗式空调器
JP7086269B2 (ja) 室内機
KR100579572B1 (ko) 공기조화기
JP2001324174A (ja) 冷凍機ユニット
CN213901280U (zh) 空调室外机
EP3795919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device and air-conditioning device
WO2021054464A1 (ja) 冷凍装置の室外機
KR20030084358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20090075002A (ko) 버스용 냉방장치
KR100591329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9990007263U (ko) 창문형 에어콘의 증발기커버 고정장치
CN107003018B (zh) 室外机
JP4807483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