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780A - 스마트 사물함 - Google Patents

스마트 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780A
KR20210105780A KR1020200020702A KR20200020702A KR20210105780A KR 20210105780 A KR20210105780 A KR 20210105780A KR 1020200020702 A KR1020200020702 A KR 1020200020702A KR 20200020702 A KR20200020702 A KR 20200020702A KR 20210105780 A KR20210105780 A KR 20210105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m
transparency
locker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204B1 (ko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2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47B87/0292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each casing having a cross-section with a closed periphe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서, 일 측이 개구되고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부, 본체부와 결합되어 본체부의 일 측을 개폐시키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는 필름부로 형성되는 도어부,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점유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부, 및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제어될 수 있도록 도어부에 형성된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사물함{SMART LOCKER}
본 발명은 스마트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함 내부에 대한 투시가 제어될 수 있는 스마트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사용자가 물건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설비로서, 가정을 비롯하여 지하철 역사, 놀이공원, 공항, 학교 등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장소에서 짐을 임시로 보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특정 위치에서 복수 개가 마련되어 있다.
사물함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복수 개의 사물함 중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사물함을 찾아야 하고, 이 경우 복수 개의 사물함을 일일히 직접 열어보며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사물함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며, 사물함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이용자의 번거로움은 가중된다.
또한, 통상적인 사물함은 개인의 소지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폐쇄 구조의 사물함은 개인 물품 및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다만,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없는 구조로 인해 테러 등과 같은 위협에 취약한 단점 또한 존재하며,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폐쇄 구조의 사물함은 내부 물체를 육안으로 전혀 확인할 수 없어 위험물을 신속하게 찾아내어 제거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이용자의 입장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사물함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개인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테러 등과 같은 보안 위협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스마트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은 일 측이 개구되고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 측을 개폐시키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는 필름부로 형성되는 도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점유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에 형성된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어부의 결합 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점유 상태 정보로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물체 인식 정보, 및 상기 잠금부의 잠금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미리 설정된 제1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미리 설정된 제2 투명도 이하의 값으로 조절하되, 상기 제2 투명도는 상기 제1 투명도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되,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물체의 점유 여부 판단 결과에 따른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 조절 동작 대비,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 조절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영상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의된 디스플레이 조건이 충족되면 설정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필름부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 또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은 사물함 유닛이 어레이로 복수 개 배치되는 사물함 어레이로서, 상기 사물함 유닛은, 일 측이 개구되고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 측을 개폐시키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는 필름부로 형성되는 도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점유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인, 사물함 어레이,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에 형성된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어 동작을 상기 복수 개의 사물함 유닛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중앙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각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는 필름부 각각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투사부를 통해, 상기 각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는 필름부 각각에 상이한 설정 영상을 각각 투사하는 제1 투사 동작과, 상기 각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는 각각의 필름부를 하나의 투사 영역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설정 영상을 상기 투사 영역에 투사하는 제2 투사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설정 영상에 연계하여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물함의 도어를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필름으로 형성하고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를 조절하여 사물함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제어하는 방식을 통해, 이용자의 입장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사물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개인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테러 등과 같은 보안 위협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의 기능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에서 도어부에 형성된 필름부의 투명도가 조절되는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의 기능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에서 투사부로부터 설정 영상이 투사되는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관리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의 기능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에서 도어부에 형성된 필름부의 투명도가 조절되는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은 본체부(100), 도어부(200), 전력 변환부(300), 센서부(400), 인터페이스부(5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름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20)가 도어부(200)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측이 개구되고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물함의 통상적인 구조에 따라 네 개의 측면과 한 개의 후면이 구비되고 측면 및 후면이 상기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부(200)는 본체부(100)의 상기 일 측을 개폐시키도록 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어부(200)는 본체부(100)의 어느 하나의 측면과 힌지 결합하여(도 1은 본체부(100)의 우측면에 결합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동함으로써 본체부(100)의 일 측에 대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부(2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는 필름부(210)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부(21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확보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능하며, 내부 공간에 대한 투시가 확보될 수 있는 범위에서 필름부(210)는 도어부(200)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성 위치가 도어부(200)의 특정 영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구비되는 도어부(200)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필름부(210)가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필름부(210)는 후술하는 전력 변환부(30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그 투명도가 조절되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PDLC 필름 대신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PDLC 필름은 AC 구동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투명도(광투과율 또는 광반사율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가 조절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700)의 제어 하에(디스플레이부(220)에 대한 제어부(700)의 제어 방식으로는 유무선 통신 등 주지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설정 영상을 외부(즉, 내부 공간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사물함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도어부(200)의 소정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어부(700)는 미리 정의된 디스플레이 조건이 충족되면 설정 영상(예: 광고 영상, 도 1에는 AD(Advertise)로 표시하였다)을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20)는 내부 공간에 대한 투시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예: 투명 LCD)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은 디스플레이부(220)가 도어부(200)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은 필름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20) 자체가 도어부(200)를 구성하고, 필름부(210)가 본체부(100)의 측면과 결합되는 구조를 예시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젤 타입의 프레임이 필름부(210)의 외곽에 구비되어 필름부(210)와 결합되고, 프레임이 본체부(100)의 측면과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본체부(100)와 도어부(200)의 결합 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잠금부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자물쇠 구조 또는 디지털 도어락(Door Lock)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잠금 해제된 상태의 도어부(200)를 개방시켜 소지품을 내부 공간에 넣은 후 잠금부를 통해 본체부(100)와 도어부(200)의 결합 상태를 잠금 상태로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스마트 사물함을 이용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300)는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AC 전압(AC 220V)을 강압하여 필름부(210)의 투명도 조절을 위한 AC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300)는 상용 AC 전압을 필름부(210)가 구동될 수 있는 범위의 전압 크기를 갖는 DC 전압(예: -50V, 0V, +50V)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예: SMPS 타입의 AC-DC 다운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재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전력 변환부(300)의 인버터를 제어하여, 인버터로부터 필름부(210)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또는 구동 전류)을 제어함으로써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점유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는 본 실시예의 스마트 사물함이 사용 중인지 여부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한 점유 상태 정보는 스마트 사물함의 사용 상태 정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부(400)는 상기한 점유 상태 정보로서,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물체 인식 정보, 및 잠금부의 잠금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는, 내부 공간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직접적인 방식으로 확인될 수도 있고, 또는 잠금부가 잠금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확인될 수도 있으므로, 센서부(400)는 내부 공간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물체 인식 정보를 획득한 후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도 있고, 잠금부의 잠금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부(400)는 중량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되어 내부 공간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물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자물쇠 구조의 잠금부의 기구적인 체결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또는 디지털 도어락 구조의 잠금부로부터 잠금 신호(Locking Signal)를 입력받는 소정 회로를 포함하도록 구현되어 잠금부의 잠금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전술한 필름부(210)(의 투명도), 디스플레이부(220), 전력 변환부(300) 및 센서부(400)를 연동하여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본체부(100)와 통합적으로 배치되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본체부(100)와 별도로 관제 센터에 마련되어 상기 각 구성(210, 220, 300, 400)을 연동하여 제어하는 관제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구성(210, 220, 300, 400)과 관제 서버 간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센서부(400)에 의해 획득된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제어될 수 있도록 도어부(200)에 형성된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지하철 역사, 놀이공원, 공항, 학교 등에 사용자를 위한 복수 개의 사물함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할 때, 사물함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복수 개의 사물함을 일일히 직접 열어보며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사물함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며, 이러한 불편의성은 내부 공간을 확인할 수 없는 사물함의 폐쇄 구조로부터 기인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부(200)에 형성된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사물함을 찾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사용자의 불편의성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제시한다. 참고로, 도 3에서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의 모서리를 점선으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사물함의 필름부(210)가 투명한 상태임을 나타내었고,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의 모서리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사물함의 필름부(210)가 불투명한 상태임을 나타내었다.
먼저, 제어부(700)는 센서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미리 설정된 제1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센서부(400)로부터의 물체 인식 정보 또는 잠금부의 잠금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즉, 사물함이 현재 사용중인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내부 공간이 비었음을 쉽게 확인하여 해당 사물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미리 설정된 제1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조절하여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확보할 수 있다(도 3의 사물함 ①, ⑤, ⑥, ⑦). 여기서, 제1 투명도는 외부에서 내부 공간을 투시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에 해당하는 필름부(210)의 투명도로서, 구체적인 값은 필름부(210)(즉, PDLC 필름)의 사양 등 설계자의 설계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예: 적용된 PDLC 필름의 투명도 최대값).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센서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미리 설정된 제2 투명도 이하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센서부(400)로부터의 물체 인식 정보 또는 잠금부의 잠금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되면(즉, 사물함이 현재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의 소지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른 사용자가 해당 사물함은 현재 사용중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미리 설정된 제2 투명도 이하의 값으로 조절하여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차단할 수 있다(도 3의 사물함 ②, ③, ④, ⑧, ⑨). 여기서, 제2 투명도는 외부에서 내부 공간을 투시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정도에 해당하는 필름부(210)의 투명도로서, 구체적인 값은 필름부(210)(즉, PDLC 필름)의 사양 등 설계자의 설계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예: 적용된 PDLC 필름의 투명도 최소값). 따라서, 제2 투명도는 제1 투명도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도어부(200)에 형성된 필름부(210)의 투명도 조절을 통해, 사용자는 복수 개의 사물함을 직접 일일이 열어보지 않아도 외부에서 복수 개의 사물함을 스캐닝하는 정도의 수고를 통해 현재 사용중인 사물함과 사용중이지 않은 사물함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사물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물함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소지품이 외부로 노출될 위험이 제거되어 보다 안전하게 사물함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터페이스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500)는 관리자로부터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700)로 전달하는, 관리자 및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00)는 관리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본체부(100)에 통합적으로 배치된 프로세서(700)로 송신하는 관리자 단말(예: 관리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전용 단말 장치)로 구현되거나, 관제 센터에 설치되어 관리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관제 서버(700)로 송신하는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PC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500)는 전술한 '내부 공간에 대한 물체의 점유 여부 판단 결과에 따른 필름부(210)의 투명도 조절 동작'과 독립적으로 관리자가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강제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인터페이스부(5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내부 공간에 대한 물체의 점유 여부 판단 결과에 따른 필름부(210)의 투명도 조절 동작 대비, 인터페이스부(5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른 필름부(210)의 투명도 조절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설명하면, 사용자가 사물함을 사용중인 경우로서 해당 사물함의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차단된 경우라도, 상황에 따라서는(이를테면, 지하철 역사 또는 공항 등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위험물(예: 테러물) 수색을 위해 사물함 내부의 물건을 파악해야 하는 경우) 사물함의 내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 경우 관리자가 인터페이스부(500)로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700)는 인터페이스부(5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제1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조절함으로써 사물함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700)는 내부 공간에 대한 물체의 점유 여부 판단 결과 대비 인터페이스부(5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도어부(200)의 소정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부(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는 미리 정의된 디스플레이 조건이 충족되면 설정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한 설정 영상은 소정 업체의 광고 영상일 수 있으며, 즉 사물함을 물건 보관 수단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광고 수단으로도 활용함으로써 그 활용성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수익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디스플레이 조건은 다양한 실시예가 채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재 시각이 미리 정의된 시각과 일치하는 시간적인 조건, 도어부(200)가 폐쇄된 상태에 해당하는 상태 조건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의 기능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사물함에서 투사부(600)로부터 설정 영상이 투사되는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앞서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스마트 사물함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실시예의 스마트 사물함이 어레이(array)로 복수 개 배치된 경우(예: 지하철 역사, 놀이공원, 공항, 학교 등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장소에 마련된 복수 개의 사물함)를 전제하여, 각 스마트 사물함에 구비되는 필름부(210)로 영상을 투사하는 구성에 초점을 맞춘다. 이하에서 표기하는 제2 실시예의 사물함 유닛은 제1 실시예의 스마트 사물함과 구조 및 동작 측면에서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며, 다만 디스플레이부(220)는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지 않고 제어부(700)는 사물함 유닛과 별도로 구비되어 각 사물함 유닛을 통합적으로 중앙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700)로 구현되는 점에서 세부적인 구성 차이가 존재한다.
즉, 제2 실시예의 사물함 유닛은 본체부(100), 필름부(210)가 형성된 도어부(200)(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부(210)는 도어부(200)의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및 센서부(400)를 포함하며, 사물함 어레이는 사물함 유닛이 어레이로 복수 개 배치된 구성으로 정의된다. 중앙 제어부(700)는 제1 실시예의 제어부(7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며, 즉 센서부(400)에 의해 획득된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제어될 수 있도록 도어부(200)에 형성된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제어부(700)는 상기한 제어 동작을 복수 개의 사물함 유닛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스마트 사물함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사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사부(600)는 중앙 제어부(7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어 각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는 필름부(210) 각각에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 있다. 투사부(600)는 사물함 어레이가 마련된 장소의 천장 등 각 필름부(210)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설치 위치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제어부(700)는 투사부(600)를 통해, 각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는 필름부(210) 각각에 상이한 설정 영상을 각각 투사하는 제1 투사 동작과, 각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는 각각의 필름부(210)를 하나의 투사 영역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설정 영상을 투사 영역에 투사하는 제2 투사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설정 영상은 소정 업체의 광고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제어부(700)는 상이한 설정 영상을 투사부(600)를 통해 각 필름부(210)에 각각 투사하는 제1 투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업체의 광고 영상이 각 필름부(210)에 각각 투사되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광고를 통한 수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에는 편의상 각 광고 영상이 상이함을 강조하기 위해 상이한 알파벳(A-I)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제어부(700)는 각 필름부(210)를 하나의 투사 영역으로 설정하고 하나의 설정 영상을 투사부(600)를 통해 상기 설정된 투사 영역에 투사하는 제2 투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물함 어레이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부(200) 측 외면이 하나의 투사 영역으로 설정됨에 따라, 하나의 광고 영상이 투사 영역에 투사되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물함 이용자 내지 인근의 보행자들에게 호기심과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다. 도 7에는 편의상 하나의 광고 영상이 투사됨을 강조하기 위해 하나의 알파벳(S)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중앙 제어부(700)는 광고 영상이 아닌 소정의 인테리어를 나타내는 영상을 필름부(210)에 투사함으로써 해당 장소에서의 인테리어로 활용하는 실시예가 고려될 수도 있다.
위 과정에서, 중앙 제어부(700)는 필름부(210)로 투사되는 설정 영상에 연계하여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필름부(210)로 투사되는 설정 영상은 관리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어, 필름부(210)로 투사되는 설정 영상은 고정된 영상이 아닌 상황 및 시점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으며, 어느 특정의 영상을 필름부(210)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필름부(210)의 특정 투명도가 전제되어야 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중앙 제어부(700)는 필름부(210)로 현재 투사되는 저장 영상에 연계하여 필름부(21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름부(210)로 투사되는 설정 영상 및 필름부(210)의 투명도 간의 관계 정보는 중앙 제어부(700)에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물함의 도어를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필름으로 형성하고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를 조절하여 사물함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를 제어하는 방식을 통해, 이용자의 입장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사물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개인 물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테러 등과 같은 보안 위협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200: 도어부
210: 필름부
220: 디스플레이부
300: 전력 변환부
400: 센서부
500: 인터페이스부
600: 투사부
700: 제어부, 중앙 제어부

Claims (10)

  1. 일 측이 개구되고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 측을 개폐시키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는 필름부로 형성되는 도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점유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에 형성된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어부의 결합 상태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점유 상태 정보로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물체 인식 정보, 및 상기 잠금부의 잠금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미리 설정된 제1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미리 설정된 제2 투명도 이하의 값으로 조절하되, 상기 제2 투명도는 상기 제1 투명도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되,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물체의 점유 여부 판단 결과에 따른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 조절 동작 대비,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 조절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6. 제1항에 있어서,
    영상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의된 디스플레이 조건이 충족되면 설정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 또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8. 사물함 유닛이 어레이로 복수 개 배치되는 사물함 어레이로서, 상기 사물함 유닛은, 일 측이 개구되고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 측을 개폐시키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는 필름부로 형성되는 도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점유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인, 사물함 어레이;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점유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물체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투시가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에 형성된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어 동작을 상기 복수 개의 사물함 유닛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각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는 필름부 각각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투사부를 통해, 상기 각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는 필름부 각각에 상이한 설정 영상을 각각 투사하는 제1 투사 동작과, 상기 각 사물함 유닛에 포함되는 각각의 필름부를 하나의 투사 영역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설정 영상을 상기 투사 영역에 투사하는 제2 투사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설정 영상에 연계하여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사물함.
KR1020200020702A 2020-02-19 2020-02-19 스마트 사물함 KR10233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02A KR102336204B1 (ko) 2020-02-19 2020-02-19 스마트 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02A KR102336204B1 (ko) 2020-02-19 2020-02-19 스마트 사물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780A true KR20210105780A (ko) 2021-08-27
KR102336204B1 KR102336204B1 (ko) 2021-12-08

Family

ID=7750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702A KR102336204B1 (ko) 2020-02-19 2020-02-19 스마트 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1693A1 (en) * 2022-10-11 2024-04-18 Bear Robotics, Inc. Mobile robot with controllable fil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3051A (ja) * 1995-03-28 1996-10-18 Daikoku Denki Co Ltd ロッカー
JP2003125904A (ja) * 2001-10-24 2003-05-07 Denso Corp 表示機能付きショーケース
KR101071982B1 (ko) * 2011-04-08 2011-10-10 (주)퍼니테크 신발 보관함
KR20160146054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엘디미디어플러스 클럽 내 락커를 활용한 광고 시스템
KR20190095994A (ko) * 2018-02-08 2019-08-19 김충희 스마트윈도우를 구비한 진열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3051A (ja) * 1995-03-28 1996-10-18 Daikoku Denki Co Ltd ロッカー
JP2003125904A (ja) * 2001-10-24 2003-05-07 Denso Corp 表示機能付きショーケース
KR101071982B1 (ko) * 2011-04-08 2011-10-10 (주)퍼니테크 신발 보관함
KR20160146054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엘디미디어플러스 클럽 내 락커를 활용한 광고 시스템
KR20190095994A (ko) * 2018-02-08 2019-08-19 김충희 스마트윈도우를 구비한 진열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1693A1 (en) * 2022-10-11 2024-04-18 Bear Robotics, Inc. Mobile robot with controllabl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204B1 (ko)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669B2 (en) Device for collecting personal data from user
US11537749B2 (en) Privacy protection in mobile robot
US20160110533A1 (en) Enrollment kiosk including biometric enrollment and verification, face recognition and fingerprint matching systems
US11403567B2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2915425A (zh) 保密显示方法和装置
US97533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n transparent screen
CN101625716A (zh) 一种在电脑上防止偷窥的方法以及具有所述方法的电脑
US201701996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08108558A1 (en) Interactive digital multimedia information mirror device
KR102336204B1 (ko) 스마트 사물함
US20190130316A1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90130688A1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6325519A (zh) 基于眼睛检测的终端屏幕控制装置和方法
US20210240020A1 (en) Display devices with rotatable light emitting diodes
US11015379B2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ntrance control
US11238780B2 (en) Displays with movable privacy gates
US20190130729A1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21209672A1 (en) An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access control system
RU200454U1 (ru) Уличный антивандальный домофон на основе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110090635A (ko) 도어락 장치 및 그것의 키 관리 방법
KR20160094056A (ko) 조명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200184047A1 (en) Authenticate a first and second user
US11092827B2 (en) Booth and apparatus
JP7486090B2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US11676437B1 (en) Smart access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