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402A -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402A
KR20210104402A KR1020200019083A KR20200019083A KR20210104402A KR 20210104402 A KR20210104402 A KR 20210104402A KR 1020200019083 A KR1020200019083 A KR 1020200019083A KR 20200019083 A KR20200019083 A KR 20200019083A KR 20210104402 A KR20210104402 A KR 20210104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combustible
aerosol
wick
generat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082B1 (ko
Inventor
정은미
기성종
김영중
박인수
이존태
정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1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82B1/ko
Priority to EP21735837.3A priority patent/EP3895558A4/en
Priority to CN202180001803.7A priority patent/CN114269180B/zh
Priority to JP2021539563A priority patent/JP7359511B2/ja
Priority to US17/421,124 priority patent/US20220322736A1/en
Priority to PCT/KR2021/000112 priority patent/WO2021167240A1/ko
Publication of KR2021010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2Cigarettes with integrated combustible heat sources, e.g. with carbonaceous hea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10L11/04Manufacture of firelighters consisting of combusti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2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 H or O, e.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atoms or metal organic complexes
    • C10L2200/0204Metals or alloys
    • C10L2200/0213Group II metals: Be, Mg, Ca, Sr, Ba, Ra, Zn, Cd, H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2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 H or O, e.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atoms or metal organic complexes
    • C10L2200/0254Oxyge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06Firelighters or wicks, as additive to a solid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70/00Specifically adapted fuels
    • C10L2270/08Specifically adapted fuels for small applications, such as tools, lamp oil, wel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에 관한다.

Description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SYSTEM COMPRISING COMPOSITE HEAT SOURCE}
본 개시는,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연성 열원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에어로졸 형성 기질로 열을 전달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가연성 열원이 착화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질로 열을 전달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있어서,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질 및 담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부분; 냉각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부분; 및 필터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되며, 상기 복합 열원은, 가연성 열원 및 상기 가연성 열원에 삽입되는 가연성 심지(wick)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wire)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연소되는 경우, 상기 가연성 심지의 연소 속도는 상기 가연성 열원의 연소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연소되는 경우, 상기 가연성 심지는 제거되고 상기 가연성 열원의 내부에 기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을 둘러싸는 제 1 래퍼(wrap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상기 가연성 열원의 중심부에 동축(coaxial)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연성 심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마그네슘 리본(magnesium ribbon)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기 제 1 부분이 점화되어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wire)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의 연소 속도는 상기 가연성 열원의 연소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제거되고, 상기 가연성 열원의 내부에 기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위한 복합 열원으로서, 상기 복합 열원은, 가연성 열원; 및 상기 가연성 열원에 삽입되는 가연성 심지(wick);를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심지는,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wire)인, 복합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열원이 연소되는 경우, 상기 가연성 심지의 연소 속도는 상기 가연성 열원의 연소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상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 전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유추될 수 있는 사항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열원에 의하여 발생된 열이 에어로졸 형성 기질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구성으로부터 유추가능한 효과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가연성 열원이 착화되어 연소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이 착화되어 연소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이 어느 정도 연소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는 A 및 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의 일 면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여,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고 배치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연소되는 경우 연소가 진행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제 1 부분(110), 제 1 부분(11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질 및 담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부분(120), 냉각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부분(130), 및 필터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분(140)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제 1 래퍼(150) 및 제 2 래퍼(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부분(110), 제 2 부분(120), 제 3 부분(130), 및 제 4 부분(14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제 1 부분(110)에 배치되는 복합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은, 제 2 부분(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열에 의하여 제 2 부분(120)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제 3 부분(130) 및 제 4 부분(14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제 1 부분(110)은 복합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은 가연성 열원 및 가연성 심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연성 열원은, 탄소로 구성된 열원일 수 있다. 가연성 심지는,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복합 열원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포함될 수 있고, 복합 열원에 의한 열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에 전달되어,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다.
제 2 부분(120)은, 제 1 부분(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110)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부분(120)은 제 1 부분(110)에 비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사용하여 공기를 흡인할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들어오는 부분이 "상류"이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나가는 부분이 "하류"이다.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구성하는 부분 또는 세그먼트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제 2 부분(120)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 및 담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절단된 각초, 판상엽 각초, 담배잎, 팽화 담배, 및 니코틴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니코틴(nicotine)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질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120)은 글리세린에 함침된 판상엽 각초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110)의 복합 열원이 착화되면, 제 1 부분(110)에서 발생된 열이 제 2 부분(120)으로 전달되고, 글리세린에 함침된 판상엽 각초에서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전술한 바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는다.
제 3 부분(130)은, 제 1 부분(110) 및 제 2 부분(120)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키는 냉각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부분(130)은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냉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부분(130)은 순수한 폴리락트산(PLA)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제 3 부분(130)은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 3 부분(130)은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은, 제한 없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부분(130)은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필터 또는 지관 필터일 수 있다.
제 4 부분(140)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제 4 부분(14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4 부분(140)은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제 4 부분(140)은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제 4 부분(140)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 4 부분(140)은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 4 부분(14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제 4 부분(14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부분(110)은 약 8 내지 약 12 mm의 길이를 갖고, 제 2 부분(120)은 약 10 내지 약 14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전술한 바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제 1 래퍼(150) 및 제 2 래퍼(1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래퍼(150)는, 제 1 부분(110) 및 제 2 부분(120)을 둘러쌀 수 있다. 제 1 래퍼(150)는, 예를 들어, 열전도성 래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래퍼(150)는 알루미늄 박막일 수 있다. 제 1 부분(110)이 착화되어 연소되면, 제 1 부분(110)에서 발생된 열은 제 2 부분(120)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고, 또한, 제 1 부분(110)에서 발생된 열은 제 1 래퍼(150)를 통하여 제 2 부분(120)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제 1 래퍼(150)는,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500 W·m-1/K-1 의 열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제 2 래퍼(160)는, 제 1 부분(110), 제 2 부분(120), 제 3 부분(130), 및 제 4 부분(140)을 둘러쌀 수 있다. 제 2 래퍼(160)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권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00)은 제 1 부분(110)과 제 2 부분(120)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는, 제 1 부분(110)에서 발생되는 유해 가스가 제 2 부분(120), 제 3 부분(130), 또는 제 4 부분(140)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배리어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성분만을 에어로졸의 형태로 흡입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복합 열원(20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복합 열원(200)의 형태는 전술한 바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개시는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공지의 형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열원(200)은, 가연성 열원(210) 및 가연성 심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연성 열원(210)은, 예를 들어, 탄소(carbon)로 구성된 열원일 수 있다.
가연성 심지(220)는,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wire)일 수 있다.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는, 예를 들어, 에탄올이 함침된 실, 쓰레드(thread), 종이, 또는 나무 스틱 등일 수 있다. 고체 연료는, 예를 들어, 고체 메틸 알코올과 같은 착화 보조제일 수 있다. 금속 와이어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리본 등일 수 있다. 가연성 심지(220)는, 가연성 열원(210)에 비해 연소 속도가 빠를 수 있다. 또한, 가연성 심지(220)는 가연성 열원(210)의 착화 또는 연소를 보조할 수 있다. 가연성 심지(220)는 연소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가연성 심지(220)는, 가연성 열원(210)의 중심부에 삽입될 수 있다. 가연성 심지(220)가 가연성 열원(210)의 중심부에 삽입되기 위하여, 가연성 열원(210)의 중심부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연성 심지(220)는, 가연성 열원(210)의 중심부에 동축(coaxial)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연성 심지(220)는, 직경 d1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연성 심지(220)의 직경 d1은, 복합 열원(200) 전체 직경의 약 1/10 내지 약 1/2일 수 있다. 가연성 심지(220)의 직경 d1이 조절됨으로써, 복합 열원에 포함되는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의 중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가연성 심지(22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또는 복합 열원(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 d1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복합 열원(200)이 연소되는 경우, 가연성 심지(220)는 연소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복합 열원(200)의 중심부에 기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기류 통로를 통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가연성 열원(210)의 연소가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에 대하여, 도 1 및 도 2a의 전술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 2a와는 달리, 도 2b의 복합 열원(300)은 가연성 심지(320)의 직경에 따라 제 1 영역(S1) 및 제 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열원(300)은, 가연성 열원(310) 및 가연성 심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연성 심지(320)는 가연성 열원(310)의 중심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b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합 열원(300)은 제 1 영역(S1)과 제 2 영역(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영역(S1)과 제 2 영역(S2)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영역(S1)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 d2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제 2 영역(S2)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직경 d3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직경 d3는 직경 d2 이상일 수 있다.
제 2 영역(S2)의 직경 d3가 직경 d2 이상이기 때문에, 도 2b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300)은, 도 2a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200)에 비하여 더 많은 중량의 가연성 심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b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300)의 연소가 촉진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열원(300)이 착화되어 연소되는 경우, 가연성 심지(320)의 연소 속도는 가연성 열원(310)의 연소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또한, 가연성 심지(320)는 착화 및 연소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2b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연성 심지(320)는 제거되고, 가연성 열원(310)의 중심부에 기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 통로는 제 1 영역(S1)에서 제 2 영역(S2)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더욱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가연성 열원(310)이 외부 공기와 맞닿는 표면적이 더욱 증가하여, 가연성 열원(310)의 연소가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도 3a는, 가연성 열원이 착화되어 연소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가연성 심지를 포함하지 않는 가연성 열원은, 착화되는 경우 가연성 열원의 말단 부분이 주로 연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연성 열원이 연소되는 부분이 국소적이기 때문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다른 부분으로 열 전달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없다. 또한, 연소되면서 기류 통로 또한 형성되지 않는다.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400)이 착화되어 연소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3b의 복합 열원(400)은, 도 2a의 복합 열원(200)일 수 있다.
복합 열원(400)은, 가연성 열원(410) 및 가연성 심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열원(400)이 착화되어 어느 정도 연소된 이후에, 가연성 열원(410) 및 가연성 심지(42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연소되어 제거될 수 있다. 가연성 심지(420)의 연소 속도가 가연성 열원(410)의 연소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가연성 열원(410)의 중심부쪽 연소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더 깊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합 열원(400)은, 가연성 열원이 연소된 영역(411), 가연성 열원이 연소되지 않은 영역(413), 가연성 열원이 과열된 영역(430), 가연성 심지가 연소된 영역(421), 및 가연성 심지가 연소되지 않은 영역(423)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연성 심지가 연소된 영역(421)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가연성 열원(410)이 외부 공기와 맞닿는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연성 열원(410)의 연소가 촉진될 수 있다.
도 3c는,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열원(500)이 어느 정도 연소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3c의 복합 열원(500)은, 도 3a의 복합 열원(200)일 수 있다.
다만, 복합 열원(500)이 어느 정도 연소되면, 가연성 심지는 모두 연소되어 기류 통로(5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열원(500)은 가연성 열원(510) 및 기류 통로(5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기류 통로(520)가 형성됨으로써, 가연성 열원(510)이 외부 공기와 맞닿는 표면적이 증가됨으로써, 가연성 열원(510)의 연소가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 4 부분(미도시)를 통해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경우, 외부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 유입되는 것이 더 용이해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 1 부분이 점화되어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대하여, 제 1 측면에 대한 전술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위한 복합 열원으로서, 복합 열원은 가연성 열원, 및 가연성 열원에 삽입되는 가연성 심지를 포함하고, 가연성 심지는,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인, 복합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대하여,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 대한 전술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로졸 발생 물품
110: 제 1 부분
120: 제 2 부분
130: 제 3 부분
140: 제 4 부분
150: 제 1 래퍼(wrapper)
160: 제 2 래퍼
200, 300, 400, 500: 복합 열원
210, 310, 410, 510: 가연성 열원
220, 320, 420, 520: 가연성 심지
S1: 제 1 영역
S2: 제 2 영역

Claims (14)

  1.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있어서,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질 및 담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부분;
    냉각 물질을 포함하는 제 3 부분; 및
    필터 물질을 포함하는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상기 제 3 부분, 및 상기 제 4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되며,
    상기 복합 열원은, 가연성 열원 및 상기 가연성 열원에 삽입되는 가연성 심지(wick)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wire)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연소되는 경우, 상기 가연성 심지의 연소 속도는 상기 가연성 열원의 연소 속도보다 빠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연소되는 경우, 상기 가연성 심지는 제거되고 상기 가연성 열원의 내부에 기류 통로가 형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을 둘러싸는 제 1 래퍼(wrapper)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상기 가연성 열원의 중심부에 동축(coaxial)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연성 심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마그네슘 리본(magnesium ribbon)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9.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기 제 1 부분이 점화되어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wire)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의 연소 속도는 상기 가연성 열원의 연소 속도보다 빠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심지는 제거되고, 상기 가연성 열원의 내부에 기류 통로가 형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3.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위한 복합 열원으로서,
    상기 복합 열원은,
    가연성 열원; 및
    상기 가연성 열원에 삽입되는 가연성 심지(wick);를 포함하고,
    상기 가연성 심지는, 알코올이 침지된 연소체, 고체 연료, 또는 금속 와이어(wire)인, 복합 열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열원이 연소되는 경우, 상기 가연성 심지의 연소 속도는 상기 가연성 열원의 연소 속도보다 빠른, 복합 열원.
KR1020200019083A 2020-02-17 2020-02-17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KR102487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83A KR102487082B1 (ko) 2020-02-17 2020-02-17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EP21735837.3A EP3895558A4 (en) 2020-02-17 2021-01-06 AEROSOL GENERATION ARTICLE AND SYSTEM WITH A COMPOSITE HEAT SOURCE
CN202180001803.7A CN114269180B (zh) 2020-02-17 2021-01-06 复合热源、气溶胶生成物品和气溶胶生成系统
JP2021539563A JP7359511B2 (ja) 2020-02-17 2021-01-06 複合熱源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物品及びシステム
US17/421,124 US20220322736A1 (en) 2020-02-17 2021-01-06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system comprising composite heat source
PCT/KR2021/000112 WO2021167240A1 (ko) 2020-02-17 2021-01-06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83A KR102487082B1 (ko) 2020-02-17 2020-02-17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02A true KR20210104402A (ko) 2021-08-25
KR102487082B1 KR102487082B1 (ko) 2023-01-10

Family

ID=7705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83A KR102487082B1 (ko) 2020-02-17 2020-02-17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22736A1 (ko)
EP (1) EP3895558A4 (ko)
JP (1) JP7359511B2 (ko)
KR (1) KR102487082B1 (ko)
CN (1) CN114269180B (ko)
WO (1) WO20211672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026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기류홀이 형성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678A (ja) * 2003-01-08 2004-07-29 Hitoshi Okubo 節煙の為のフィルター付シガレット用喫煙具
KR20140093659A (ko) * 2011-11-15 2014-07-2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후면에 배리어 코팅을 가진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140130130A (ko) * 2012-02-24 2014-11-0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다층의 가연성 열원
KR20160103981A (ko) * 2013-12-30 2016-09-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절연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180122365A (ko) * 2016-02-24 2018-11-12 아아르. 제이. 레날드즈 토바코 캄파니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19291D0 (en) * 1988-08-12 1988-09-1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ing articles
US5240012A (en) * 1991-11-13 1993-08-31 Philip Morris Incorporated Carbon heat smoking article with reusable body
US6598607B2 (en) * 2001-10-24 2003-07-29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Non-combustible smoking device and fuel element
JP2008035742A (ja) * 2006-08-03 2008-02-21 British American Tobacco Pacific Corporation 揮発装置
US8991402B2 (en) * 2007-12-18 2015-03-31 Pax Labs, Inc. Aerosol devices and methods for inhaling a substance and uses thereof
US8469035B2 (en) * 2008-09-18 2013-06-2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fuel element for smoking article
EP2676559A1 (en) * 2012-06-21 2013-12-25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bustible heat source with a barrier
PT3220755T (pt) * 2014-11-21 2019-04-08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go para fumar compreendendo uma fonte de calor combustivel carbonosa inflamavel por fricção
PL3277110T3 (pl) * 2015-03-31 2019-11-29 Philip Morris Products Sa Wyrób do palenia ze środkiem chwytającym palne źródło ciepła
US10258085B2 (en) * 2015-05-14 2019-04-16 Westfield Limited (Ltd.) System and method for vaporizing fluids by combustion
MY195358A (en) * 2015-09-11 2023-01-16 Philip Morris Products Sa Multi-Segment Component for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A3006238A1 (en) * 2015-12-31 2017-07-06 Philip Morris Products S.A. Breakable aerosol generating article
JP6949043B2 (ja) * 2016-03-09 2021-10-1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物品
US11096415B2 (en) * 2016-05-31 2021-08-24 Philip Morris Products S.A. Heated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liquid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combustible heat generating element
US10674765B2 (en) * 2017-03-29 2020-06-09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improved atomiz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678A (ja) * 2003-01-08 2004-07-29 Hitoshi Okubo 節煙の為のフィルター付シガレット用喫煙具
KR20140093659A (ko) * 2011-11-15 2014-07-2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후면에 배리어 코팅을 가진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140130130A (ko) * 2012-02-24 2014-11-0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다층의 가연성 열원
KR20160103981A (ko) * 2013-12-30 2016-09-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절연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180122365A (ko) * 2016-02-24 2018-11-12 아아르. 제이. 레날드즈 토바코 캄파니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026A1 (ko) * 2021-12-20 2023-06-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기류홀이 형성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5385A (ja) 2022-05-13
CN114269180A (zh) 2022-04-01
WO2021167240A1 (ko) 2021-08-26
KR102487082B1 (ko) 2023-01-10
JP7359511B2 (ja) 2023-10-11
EP3895558A4 (en) 2022-03-02
CN114269180B (zh) 2023-11-24
EP3895558A1 (en) 2021-10-20
US20220322736A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1039C1 (ru) Выработка аэрозоля
RU2762661C1 (ru) Издели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нагревания кур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11246337B2 (en) Heated aerosol generating article with air-flow barrier
US11690399B2 (en) Retractable heat source for aerosol generating article
JP7261177B2 (ja) 繊維質フィルターセグメント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KR102431514B1 (ko) 흡연 물품
US11882869B2 (en) Cigarette with outer wrapper
RU2748568C1 (ru) Генерирование аэрозоля
TWI428094B (zh) 香煙物品
US20140076337A1 (en) Smoking Article
KR20180098544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홀더
KR20190053838A (ko)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BR112016009689B1 (pt) Coluna que compreende uma folha agrupada de material circunscrito por um invólucro, artigo gerador de aerossol aquecido e método de formação da coluna
JP2016538863A (ja) 熱拡散性ラップを備えた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物品
JP2017501687A (ja) 熱拡散性末端部を備えた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物品
WO2017115188A1 (en) Extinguisher for aerosol generating article
KR102487082B1 (ko) 복합 열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
KR102477682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EP4230063A1 (en) Smoking article comprising combustible heat source having airflow hole
EP4124248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combustible heat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