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838A -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838A
KR20190053838A KR1020197003753A KR20197003753A KR20190053838A KR 20190053838 A KR20190053838 A KR 20190053838A KR 1020197003753 A KR1020197003753 A KR 1020197003753A KR 20197003753 A KR20197003753 A KR 20197003753A KR 20190053838 A KR20190053838 A KR 20190053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wrapper
heat source
generating article
form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063B1 (ko
Inventor
알렉산드레 말가트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5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5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comprising as heat source a carbon fuel or an oxidized or thermally degraded carbonaceous fuel, e.g. carbohydrates,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2Cigarettes with integrated combustible heat sources, e.g. with carbonaceous hea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Cosme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에어로졸 형성 재료(24)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담배 함유 래퍼(26)로서, 래퍼는 래퍼의 총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담배 함유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위치한 가연성 열원(4); 및 래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열 전도 요소(3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

Description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본 발명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가연성 열원, 가연성 열원의 하류에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가연성 열원의 적어도 후방 부분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적어도 전방 부분을 외접하는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열 전도 요소는 변동 또는 교번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가능한 서셉터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담배 재료가 연소되기보다는 가열되는 다수의 흡연 물품이 당분야에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열식' 흡연 물품의 하나의 목표는 종래의 궐련에서 담배의 연소와 열분해 열화(degradation)로 인해 생성된 유형의 공지의 유해한 연기 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열식 흡연 물품에서, 에어로졸은, 예를 들어 화학적, 전기적, 또는 가연성 열원과 같은 열원으로부터 열원의 내부, 그 주위 또는 그 하류에 위치할 수 있는 담배 재료를 포함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열 전달에 의해 발생된다.
가열식 흡연 물품의 하나의 공지된 유형에서, 가연성 탄소질 열원으로부터 이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하류에 위치하는 담배 재료를 포함하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열 전달에 의해서 에어로졸이 발생된다. 사용 시, 휘발성 화합물이 가연성 탄소질 열원으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열 전달에 의해서 담배 재료로부터 방출되고 흡연 물품을 통해서 흡인된 공기에 비말 동반된다(entrained). 방출된 화합물은 냉각되면서 응축되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흡연 물품에 있어서, 가연성 탄소질 열원으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전도성 열 전달을 제공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적어도 후방 부분 및 가열식 흡연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적어도 전방 부분의 주위에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WO-A2-2009/022232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 이 가연성 열원의 하류에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후방 부분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인접하는 전방 부분을 둘러싸고 이들과 직접 접촉하는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사용 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연소 동안에 생성된 열은,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하류 단부와 열 전도 요소와의 접경을 통한 전도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전방 부분 주위로 전달된다.
가열식 흡연 물품의 다른 공지된 유형에서, 서셉터로부터 담배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열 전달에 의해서 에어로졸이 발생된다. 사용 시, 물리적으로 분리된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공급원에 의해 생성된 교번 전자기장에 의한 서셉터 내에서 와전류가 유도된다. 저항 손실(줄(Joule) 가열)로 인하여 서셉터 내에서 열이 생성된다. 열은 또한, 서셉터가 자성일 경우 히스테리시스 손실로 인하여 서셉터 내에서 생성될 수 있다. 휘발성 화합물이 서셉터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열 전달에 의해서 담배 재료로부터 방출되고 흡연 물품을 통해서 흡인된 공기에 비말 동반된다. 방출된 화합물은 냉각되면서 응축되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담배 재료가 연소되기보다는 가열되는 가열식 흡연 물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에서 도달된 온도는 감각적으로 허용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담배 재료의 가열이 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주위로의 전도성 열 전달에 의해 발생하는 가열식 흡연 물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서 도달되는 온도는 담배 재료로부터 초기 퍼프 동안에 허용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하기에 충분히 높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의 에어로졸 전달의 일관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로서,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래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전도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주위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래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한다.
래퍼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와 간접 접촉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간접 접촉'은 두 개의 구성요소의 표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도록, 두 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된 하나 이상의 중간 물질을 통한 두 구성요소간의 접촉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래퍼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와 직접 접촉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직접 접촉'은 두 개의 구성요소의 표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도록, 어떠한 중간 물질도 없는 두 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접촉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로서,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지 않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해 얻어지는 것보다, 퍼프마다 더욱 일정한 에어로졸 전달을 야기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로서,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지 않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비교하여 최초 및 최종 퍼프에 있어서 에어로졸 전달의 증가를 야기한다.
최초 퍼프의 에어로졸 전달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감각적으로 허용 가능한 에어로졸이 생성되게 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사용을 사용자가 개시한 후에 요구되는 시간 소요를 감소시킨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것은, 또한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로서, 래퍼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지 않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최초 악취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로서,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지 않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최초 '탄(burnt)' 악취 또는 '오프노트(off-notes)' 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로서,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이상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다.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적어도 약 8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적어도 약 1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진다.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적어도 약 12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8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또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2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로서,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30 중량% 이하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다.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25 중량% 이하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래퍼의 총 중량의 약 8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0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또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2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20 중량% 이하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진다.
예를 들어,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래퍼의 총 중량의 약 8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0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또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8 중량% 이하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18 중량%, 래퍼의 총 중량의 약 8 중량% 내지 약 18 중량%,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0 중량% 내지 약 18 중량% 또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2 중량% 내지 약 18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6 중량% 이하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16 중량%, 래퍼의 총 중량의 약 8 중량% 내지 약 16 중량%,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0 중량% 내지 약 16 중량% 또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12 중량% 내지 약 16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사용 시, 조밀하고 안정적인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작동 온도에서 열적 열화에 실질적으로 내성이 있는, 임의의 적합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dodecanedioate)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tetradecanedioate)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제는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한다.
보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래퍼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 주위에 감싸져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시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래퍼는 종이 래퍼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종이 래퍼'는 셀룰로오스 섬유로부터 형성된 래퍼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적합한 종이 래퍼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궐련 종이로서 사용되는 종이 래퍼 및 종래의 담배의 필터 플러그 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래퍼는 담배 미함유 래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래퍼는 담배 미함유 종이 래퍼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담배 미함유 래퍼'는 담배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래퍼를 설명하는 것이다.
래퍼는 담배 함유 래퍼일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최초 악취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퍼는 담배 함유 종이 래퍼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담배 함유 래퍼'는 담배 재료를 포함하는 래퍼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적합한 담배 함유 래퍼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재구성 담배 시트 재료 및 균질화 담배 시트 재료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열 전도 요소는 래퍼의 적어도 일부분과 간접 접촉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열 전도 요소는 래퍼의 적어도 일부분과 직접 접촉한다. 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전도성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열 전도 요소는 불연성이다.
열 전도 요소는 산소를 제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열 전도 요소는 열 전도 요소를 통한 산소의 통과를 억제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열 전도 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열 전도성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열 전도성 재료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 호일, 스틸 호일, 철 호일 및 구리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 및 금속 합금 호일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열 전도 요소는 변형된 일시적 평면원(MTPS: modified transient plane source)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했을 때에 23°C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미터 캘빈당 약 10 W (W/(m·K)) 내지 미터 캘빈당 약 500 W (W/(m·K)),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터 캘빈당 약 15 W (W/(m·K)) 내지 미터 캘빈당 약 400 W (W/(m·K))의 벌크 열전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열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열 전도 요소는 하나 이상의 금속, 하나 이상의 합금 또는 하나 이상의 금속과 하나 이상의 합금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열 전도 요소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한다.
열 전도 요소는 단일층의 열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열 전도 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열 전도층 또는 비-열 전도층과 조합하여 열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다중층 또는 적층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열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상기에서 나열된 열 전도성 재료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요소는 열 전도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 및 단열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층, 예컨대 종이를 포함하는 적층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열 전도 요소는 서셉터일 수 있다.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변동 또는 교번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가열할 시에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눈에 보일 수 있거나 보이지 않을 수 있으며, 증기(예를 들어, 실온에서 보통 액체 또는 고체인, 기체 상태에 있는 물질의 미립자) 뿐만 아니라 기체 및 응축된 증기의 액적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사용 시, 조밀하고 안정적인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작동 온도에서 열적 열화에 실질적으로 내성이 있는, 임의의 적합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dodecanedioate)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tetradecanedioate)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제는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한다.
보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 재료는 래퍼와 동일한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재료는 래퍼와 상이한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및 액체 구성요소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식물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 식물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담배 재료'는, 담배 잎, 담배 자루, 담배 줄기, 담배 가루, 팽화 담배, 재구성 담배 재료 및 균질화 담배 재료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담배를 포함하는 임의의 재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담배 재료는, 예를 들어, 분말, 과립, 펠릿(pellet), 슈레드(shred), 가닥, 스트립, 시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담배 재료는 균질화 담배 재료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균질화 담배 재료'는 미립자 담배를 응집시켜서 형성된 물질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주름진 균질화 담배 재료의 시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주름진 균질화 담배 재료의 시트를 포함하는 로드 및 담배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를 포함하며, 래퍼는 래퍼의 총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진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로드(rod)'는 실질적 원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전반적으로 원통형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시트(sheet)'는 그의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큰 폭 및 길이를 갖는 박층 요소(laminar element)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주름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엉켜 있거나, 접혀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압축되었거나 또는 수축되어 있는 시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텍스쳐 가공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텍스쳐 가공 시트'는 권축, 양각, 음각, 천공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형된 시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균질화 담배 재료의 텍스쳐 가공 시트를 사용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균질화 담배 재료 시트의 주름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형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복수의 이격된 요홈부, 돌출부, 천공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텍스쳐 가공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권축 시트'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지(ridge) 또는 물결주름(corrugation)을 갖는 시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조립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지 또는 물결주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또는 그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형성하기 위해, 균질화 담배 재료의 권축 시트의 주름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포함시키기 위한 균질화 담배 물질의 권축 시트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조립되었을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예각 또는 둔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지 또는 물결주름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5 mm 내지 약 20 mm의 길이, 예를 들면 약 6 mm 내지 약 15 mm의 길이 또는 약 7 mm 내지 약 12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약 5 mm 내지 약 9 mm의 직경, 예를 들면 약 7 mm 내지 약 8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원위', '상류', 및 '전방', 및 '근위', '하류' 및 '후방'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부분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사용 시, 사용자로의 전달을 위해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빠져나가는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는 또한 마우스 단부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를 흡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의 하류에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는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류 단부를 지칭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는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류 단부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부분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그들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서로의 상류 또는 하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길이 방향의' 및 '축 방향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길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부분의 최대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즉,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 사이 방향으로의 최대 치수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가로 방향'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즉,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직경'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가로 방향으로의 최대 치수를 나타낸다.
열 전도 요소는 래퍼의 전체 길이를 실질적으로 따라서 래퍼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열 전도 요소는 래퍼 길이의 일부만을 따라서 래퍼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구현예에서, 열 전도 요소는 서셉터일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변동 또는 교번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려서, 사용 시, 인덕터에 의해 생성된 변동 또는 교번 전자기장이 서셉터 내에서 와전류를 유도하여, 서셉터로 하여금 저항 손실(줄(Joule) 가열) 내지는, 서셉터가 자성일 경우, 히스테리시스 손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결과로 가열되도록 한다. 서셉터 내에서 발생된 열은 전도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주위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열 전도 요소가 서셉터인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변동 또는 교번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또한 제공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열 전도 요소는 열원으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주위로 전도에 의해 열을 전달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가연성 열원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가연성 탄소질 열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탄소질'은 탄소를 포함하는 가연성 열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연성 열원은 고체 가연성 열원이다.
유리하게는, 열 전도 요소는 가연성 열원의 적어도 후방 부분 및 래퍼의 적어도 전방 부분을 둘러싸며 이들과 접촉한다.
유리하게는, 열 전도 요소는 가연성 열원의 적어도 후방 부분 및 래퍼의 적어도 전방 부분 주위에 있고 이들과 직접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열 전도 요소는 가연성 열원과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에 열적 연결을 제공한다. 이는, 유리하게는 가연성 열원으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적합한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하여 허용 가능한 에어로졸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연성 열원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에 위치하거나 그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연성 열원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가연성 열원은 약 7 mm 내지 약 17 mm의 길이, 예를 들면 약 7 mm 내지 약 15 mm의 길이 또는 약 7 mm 내지 약 13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연성 열원은 약 5 mm 내지 약 9 mm의 직경, 예를 들면 약 7 mm 내지 약 8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가연성 열원의 전방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캡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사용 전에 가연성 열원의 전방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제거 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캡'은 가연성 열원의 전방 부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단부에 있는 보호성 덮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의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에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를 포함함으로써, 유리하게는 가연성 열원의 점화 및 연소 동안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노출되는 온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사용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연소 또는 열적 열화를 회피하거나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에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를 포함함으로써,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보관 및 사용 동안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구성성분이 가연성 열원으로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불연성'은 가연성 열원의 연소 및 발화 동안에 그에 의해 도달된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불연성인 배리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가연성 열원의 전방 단부면은 가연성 열원의 상류 단부에 있다. 가연성 열원의 상류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로부터 가장 먼 가연성 열원의 단부이다.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은 가연성 열원의 전방 단부면에 대향한다.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은 가연성 열원의 하류 단부에 있다.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하류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가연성 열원의 단부이다.
배리어는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와 접경(abut)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리어는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배리어는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에 부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된다.
배리어를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에 부착하거나 고정하는 적합한 방법은 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스프레이 코팅; 증기 증착; 디핑(dipping); 물질 전달(material transfer)(예를 들면, 브러싱(brushing) 또는 접착(gluing)); 정전기 증착; 프레싱 가공;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의 배리어는 낮은 열전도율 또는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리어는 변형된 일시적 평면원(MTPS: modified transient plane source)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했을 때 23℃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미터 캘빈당 약 0.1 W(W/(m·K)) 내지 미터 캘빈당 약 200 W(W/(m·K))의 벌크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의 배리어의 두께는, 양호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리어는 약 10 미크론 내지 약 500 미크론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의 배리어는 가연성 열원의 발화 및 연소 동안에 그에 의해 달성된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열적으로 안정적이고 불연성인 하나 이상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벤토나이트 및 카올리나이트와 같은 점토; 유리; 미네랄; 세라믹 재료; 수지; 금속;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배리어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호일의 배리어는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에 접착에 의해 또는 그것을 가연성 열원에 프레싱 가공하는 것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배리어는 절단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기계 가공되어 알루미늄 호일이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전체를 커버하여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알루미늄 호일은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의 전체를 커버하여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비-블라인드'는 가연성 열원의 전방 단부면에서 후방 단부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을 포함하는 가연성 열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기류 채널'은 공기가 사용자의 흡입을 위해 흡인될 수 있는 가연성 열원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채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비-블라인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비-블라인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전방 단부면에서 후방 단부면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은 사용자에 의한 흡인을 위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해 공기가 흡인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류 경로의 부분을 형성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은 전도 및 강제 대류에 의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 그리고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에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를 포함하는 경우, 배리어는 가연성 열원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후방 단부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을 통해 들어가는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해 하류로 흡인되게 해야 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과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 사이에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과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 사이에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를 포함함으로써, 유리하게는 흡인된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을 통과하면서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발화 및 연소 동안에 형성된 연소 및 분해 생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흡인된 공기로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과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 사이에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를 포함함으로써,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퍼핑하는 동안에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연소의 활성화를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퍼핑하는 동안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온도 급등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과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 사이의 배리어는 낮은 열전도율 또는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과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 사이의 배리어의 두께는 양호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과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 사이의 배리어는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발화 및 연소 동안에 그에 의해 달성된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열적으로 안정적이고 불연성인 하나 이상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점토; 산화철, 알루미나, 티타니아,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및 세리아와 같은 금속 산화물; 제올라이트; 인산 지르코늄; 및 다른 세라믹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과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 사이의 배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 내로 삽입된 라이너(liner)를 포함할 수 있다.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과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 사이의 배리어는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적어도 하나의 기류 채널의 내부 표면에 배리어를 부착하거나 고정하는 적합한 방법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US-A-5,040,551 및 WO-A2-2009/074870에 기재된 방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블라인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블라인드'는 가연성 열원의 전방 단부면에서 후방 단부면까지 연장되는 임의의 기류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가연성 열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블라인드'는 또한 가연성 열원의 전방 단부면에서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기류 채널을 포함하는 가연성 열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배리어 사이의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는 하나 이상의 기류 채널을 통해 가연성 열원의 길이를 따라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열 전달은 주로 전도에 의해 일어나며, 강제 대류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가열되는 것은 최소화되거나 감소된다. 이는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주류 에어로졸의 조성물에 대해 사용자의 퍼핑 체제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의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위치하는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하는 하나 이상의 기류 경로를 따라 흡인된 공기는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따라서 어떠한 기류 채널도 통과하지 않는다.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통하는 임의의 기류 채널의 부재로 인해,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퍼핑하는 동안에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연소 활성화가 실질적으로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이는 사용자가 퍼핑하는 동안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온도 급등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한다.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연소 활성화를 방지하거나 억제시키고, 그래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과도한 온도 증가를 방지하거나 억제시킴으로써, 유리하게는 강렬한 퍼핑 체제 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연소 또는 열분해가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주류 에어로졸의 조성에 대해 사용자의 퍼핑 체제가 미치는 영향이 유리하게 최소화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것은 또한, 유리하게는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발화 및 연소 동안에 형성된 연소 및 분해 생성물 및 다른 재료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사용 동안에 그를 통해 흡인된 공기로 진입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한 하나 이상의 기류 경로로 공기를 흡인하기 위해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의 하류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한 하나 이상의 기류 경로로 공기를 흡인하기 위해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의 하류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둘레 주위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사용자가 퍼핑하는 동안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둘레 주위의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로 찬 공기가 흡인된다. 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온도를 유리하게 감소시키며, 그래서 사용자가 퍼핑하는 동안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온도 급등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찬 공기'는 사용자가 퍼핑할 때 가연성 열원에 의해 실질적으로 가열되지 않은 주변 공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온도 급등을 방지하거나 억제함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둘레 주위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격한 퍼핑 체제 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연소 또는 열분해를 회피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또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둘레 주위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주류 에어로졸의 조성에 대해 사용자의 퍼핑 체제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의 비-블라인드 가연성 열원 또는 사용자에 의한 흡입에 대해 공기가 흡인되지 않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폐쇄되거나 차단된 통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의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가연성 열원의 길이를 일부만 따라 가연성 열원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폐쇄된 통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의 가연성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폐쇄된 공기 통로를 포함함으로써, 가연성 열원이 공기로부터의 산소에 노출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유리하게는 가연성 열원의 발화 및 지속적인 연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가연성 탄소질 열원을 포함하는 경우, 가연성 탄소질 열원은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적어도 약 35 건중량%의 탄소 함량, 예를 들면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적어도 약 40 건중량%의 탄소 함량 또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적어도 약 45 건중량%의 탄소 함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은 가연성 탄소계 열원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탄소계'는 주로 탄소로 구성된 가연성 탄소질 열원, 즉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적어도 약 50 건중량%의 탄소 함량을 갖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가연성 탄소질 열원은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적어도 약 60 건중량% 또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적어도 약 70 건중량% 또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적어도 약 80 건중량%의 탄소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가연성 탄소질 열원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탄소 함유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결합제(binder)가 하나 이상의 탄소 함유 재료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은 하나 이상의 유기 결합제, 하나 이상의 무기 결합제 또는 하나 이상의 유기 결합제와 하나 이상의 무기 결합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연성 탄소질 열원은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첨가제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응고를 촉진하는 첨가제(예를 들면, 소결 보조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점화를 촉진하는 첨가제(예를 들면, 과염소산염, 염소산염, 질산염, 과산화물, 과망간산염, 지르코늄 및 그들의 조합과 같은 산화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연소를 촉진하는 첨가제(예를 들면, 구연산 칼륨과 같은, 칼륨 및 칼륨염); 및 가연성 탄소질 열원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스의 분해를 촉진하는 첨가제(예를 들면, CuO, Fe2O3 및 Al2O3과 같은 촉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은 적어도 하나의 점화 보조제(ignition aid)를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은 WO-A1-2012/16407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발화 보조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을 생산하는 적합한 공정은 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프레싱 가공 공정 및 압출 가공 공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열 전도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의 주위에 하나 이상의 추가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에 있는, 전달 요소, 또는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접경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달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전달 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열 전달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의 냉각을 허용한다. 전달 요소의 포함은 또한,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가 전달 요소 길이의 적합한 선택을 통해 원하는 값으로, 예를 들어 통상적인 궐련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로 조정되게 한다.
전달 요소는 약 7 mm 내지 약 50 mm의 길이, 예를 들어 약 10 mm 내지 약 45 mm의 길이 또는 약 15 mm 내지 약 3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전달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하는 전체 길이,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와 길이에 따라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달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형 관형 중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예에서, 사용 시,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 흡인된 공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마우스피스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해 하류로 통과할 때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형 관형 중공체를 통과한다.
전달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의 열전달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의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열적으로 안정적인 하나 이상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형 관형 중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종이, 판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세라믹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에 에어로졸 냉각 요소 또는 열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금속 호일, 중합체 물질, 및 실질적으로 비다공성 종이 또는 판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 주름진 시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및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주름진 시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폴리락트산(PLA) 또는 Mater-Bi® 등급(시판 중인 전분계 코폴리에스테르 과)과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주름진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에 전달 요소를 그리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에 에어로졸 냉각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달 요소의 하류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에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단부에 위치된다.
마우스피스는 바람직하게는 여과 효율이 낮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과 효율이 매우 낮다. 마우스피스는 단일 세그먼트 또는 구성요소 마우스피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우스피스는 다수 세그먼트 또는 다수 구성요소 마우스피스일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적합한 공지된 여과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여과 재료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종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마우스피스는 흡수제, 흡착제, 향미제, 및 다른 에어로졸 개질제 및 첨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에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마우스피스, 전달 요소 및 에어로졸 냉각 요소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개질제(aerosol-modifying agent)'는 사용 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특성을 개질시키는 임의의 제제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적합한 에어로졸 개질제는 향미제와 물체감각제(chemesthetic agent)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물체감각제'는, 사용 시, 미각 수용기 세포 또는 후각 수용기 세포를 통한 지각 이외의 수단에 의하거나, 또는 이에 추가하여 사용자의 구강 또는 후각으로 지각되는 임의의 제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체감각제를 지각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삼차 신경(trigeminal nerve), 설인 신경(glossopharyngeal nerve), 미주 신경(vagus nerve),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통한 "삼차 신경 반응(trigeminal response)"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물체감각제는 뜨겁거나, 맵거나, 차갑거나, 진정하는 감각으로서 지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에 향미제 및 물체감각제 둘 모두인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마우스피스, 전달 요소 및 에어로졸 냉각 요소 중 하나 이상은 냉각 물체감각 효과를 제공하는 멘톨 또는 다른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열 전도 요소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외접하는 외부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에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예를 들면, 전달 요소, 냉각 요소, 또는 마우스피스 등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래퍼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하류의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모두를 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외부 래퍼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가연성 열원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래퍼는 바람직하게는 가연성 열원의 적어도 후방 부분을 외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된 외부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궐련 종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공지된 방법 및 기계류를 사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의심할 여지를 없애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하여 상술한 특징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길이 방향 횡단면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2는 (a) 에어로졸 형성제(글리세린)의 양의 그래프 및 (b)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두 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해 퍼프당 전달되는 니코틴의 양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전방 단부면(6) 및 대향 후방 단부면(8)을 갖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4), 에어로졸 형성 기재(10), 전달 요소(12), 에어로졸 냉각 요소(14), 스페이서 요소(16) 및 마우스피스(18)를 접경하는 동축 정렬로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10), 전달 요소(12), 에어로졸 냉각 요소(14), 스페이서 요소(16) 및 마우스피스(18) 및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4)의 후방 부분은, 예를 들어 궐련 종이와 같은 시트 재료의 외부 래퍼(20)로 래핑된다.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은 블라인드 탄소질 가연성 열원이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호일의 디스크 형태로 된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22)가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의 후방 단부면(8)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10) 사이에 제공된다. 배리어(22)는 알루미늄 호일의 디스크를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의 후방 단부면(8) 상에 가압되어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의 후방 단부면(8)에 적용되며,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의 후방 단부면(8)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와 접경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의 후방 단부면(8)에 적용된 배리어(22)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는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24) 및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24)의 주위에 있고 그와 직접 접촉하는 래퍼(26)를 포함한다.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24)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과 같은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한다. 래퍼(26)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과 같은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하며, 래퍼의 총중량의 약 8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진다.
전달 요소(12)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바로 하류에 위치되며, 원통형 개방 단부의 중공형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튜브(28)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14)는 전달 요소(12)의 바로 하류에 위치되며,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과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의 주름진 시트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요소(16)는 에어로졸 냉각 요소(14)의 바로 하류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개방 단부형 중공형 종이 또는 판지 튜브를 포함한다.
마우스피스(18)는 스페이서 요소(16)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18)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근위 단부에 위치되며, 필터 플러그 랩(32) 내에 래핑된, 예를 들어 매우 낮은 여과 효율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와 같은 적합한 여과 재료(30)의 원통형 플러그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외부 래퍼(20)의 하류 단부 부분을 외접하는 티핑 페이퍼의 밴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블라인드 가연성 열원(4)의 후방 부분(4b)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전방 부분(10a)의 주위에 있고 이들과 직접 접촉하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적합한 열 전도성 재료의 열 전도 요소(34)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는 열 전도 요소(34)를 넘어서 하류로 연장된다. 즉, 열 전도 요소(34)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후방 부분 주위에 있지 않고 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열 전도 요소(34)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전체 길이의 주위에 있고, 이와 접촉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들(도시되지 않음)에서, 열 전도 요소(34) 위에 놓인 하나 이상의 추가 열 전도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둘레 주위에 하나 이상의 제1 공기 유입구(36)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 유입구(36)의 원주방향 배열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래퍼(26) 및 덧씌움 외부 래퍼(20)에 제공되어 찬 공기(도 1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됨)를 에어로졸 형성 기재(10) 내로 들어가게 한다.
사용 시, 사용자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을 점화한다. 일단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이 점화되면,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마우스피스(18)를 흡인한다.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8)를 흡인할 때, 찬 공기(도 1에 점선 화살표에 의해 도시됨)가 제1 공기 유입구(36)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10) 내로 흡인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전방 부분(10a) 주위는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의 후방 단부면(8) 및 배리어(22) 및 열 전도 요소(34)를 통하는 전도에 의해 가열된다.
전도에 의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10)의 가열 래퍼(26)으로부터 에어로졸 형성제를 방출시키며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24)로부터 에어로졸 형성제 그리고 다른 휘발성 및 반휘발성 화합물을 방출시킨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로부터 방출된 화합물은 공기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10)를 통해 흐르면서 제1 공기 유입구(36)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10) 내로 흡인된 공기에 비말 동반되는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흡인된 공기 및 비말 동반된 에어로졸(도 1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됨)은 전달 요소(12)의 원통형 개방 단부형 중공형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튜브(28), 에어로졸 냉각 요소(14) 및 스페이서 요소(16)를 통해 하류로 통과하고, 여기서 그들은 냉각되고 응축된다. 냉각된 흡인된 공기 및 비말 동반된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18)를 통해 하류를 통과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근위 단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의 후방 단부면(8) 상의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22)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통해 흡인된 공기로부터 가연성 탄소질 열원(4)을 격리시켜서, 사용 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통해 흡인된 공기가 가연성 탄소질 열원(4)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글리세린 및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를 둘러싸고 이와 직접 접촉하는 담배 함유 종이 래퍼를 포함하는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서, 담배 함유 종이 래퍼는 담배 함유 종이 래퍼의 총중량의 10 중량%의 글리세린 함량을 가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담배 함유 종이 래퍼의 전방 부분을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알루미늄 호일로 형성된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생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제1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글리세린 및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를 둘러싸고 이와 직접 접촉하는 담배 함유 종이 래퍼를 포함하는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담배 함유 종이 래퍼의 전방 부분을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알루미늄 호일로 형성된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생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제1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담배 함유 종이 래퍼는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제1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담배 함유 종이 래퍼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담배 함유 종이 래퍼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제2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글리세린 및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를 둘러싸고 이와 직접 접촉하는 필터 플러그 랩의 종이 래퍼를 포함하는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필터 플러그 랩의 종이 래퍼의 전방 부분을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알루미늄 호일로 형성된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또한 생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제1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제2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균질화 담배 재료의 주름진 권축 시트를 둘러싸고 이와 직접 접촉하는 래퍼의 유형의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라는 점에서만 상이하며; 제1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제2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가연성 탄소질 열원, 열 전도 요소, 전달 요소, 에어로졸 냉각 요소, 스페이서 요소 및 마우스피스 그리고 모든 다른 구성요소와 치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 제1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제2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한 퍼프당 (a) 글리세린(마이크로그램 단위) 및 (b) 니코틴 (마이크로그램 단위)의 양은, 캐나다 보건국(Health Canada) 흡연 체제 하의 퍼프 수의 함수로서 12 퍼프에 걸쳐 55 ml의 퍼프 용적, 2초의 퍼프 지속시간 및 30초의 퍼프 간격으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퍼프는 캠브리지 필터 패드 상에 포집된 후, 액체 용매로 추출된다. 얻어진 액체를 니코틴 전달을 결정하기 위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된다. 결과를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도 2(a) 퍼프별 글리세린 전달 프로파일; 및 도 2(b) 퍼프별 니코틴 전달 프로파일. 도 2(a) 및 도 2(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한 퍼프별 전달 프로파일이 오른편 컬럼에 도시되고, 제1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한 퍼프별 전달 프로파일이 중앙 컬럼에 도시되며 제2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한 퍼프별 전달 프로파일이 왼편 컬럼에 도시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담배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직접 접촉하는 래퍼 총중량의 1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담배 재료 및 담배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직접 접촉하는 래퍼로서, 래퍼 총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지 않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제1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제2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해 얻어지는 것보다 더욱 일정한 퍼프별 글리세린 및 니코틴 전달 프로파일을 야기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담배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직접 접촉하는 래퍼의 총중량의 1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것은, 전반적으로는, 제1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제2 비교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비교하여 최초 퍼프(퍼프 1 내지 3) 및 최종 퍼프(퍼프 9 내지 12)에서 니코틴 및 글리세린의 양 증가 그리고 중간 퍼프(퍼프 5 내지 7)에서의 니코틴 및 글리세린의 양 감소를 야기한다.
상술한 소정의 구현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되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소정의 구현예 및 실시예가 전부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4)

  1.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담배 함유 래퍼로서, 래퍼 총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류에 있는 가연성 열원; 및
    래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 요소는 가연성 열원의 적어도 후방 부분 및 래퍼의 적어도 전방 부분을 둘러싸고 이들과 접촉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연성 열원의 후방 단부면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 사이에 불연성의 실질적으로 공기 불투과성인 배리어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열원은 블라인드 가연성 탄소질 열원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5.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에어로졸 형성 재료를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래퍼로서, 래퍼의 총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래퍼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이와 접촉하는 열 전도 요소로서, 상기 열 전도 요소는 서셉터인,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담배 함유 래퍼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래퍼의 총중량의 적어도 약 1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래퍼의 총중량의 약 20 중량% 이하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제는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 요소는 금속 호일 및 금속 합금 호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 요소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4.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제5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변동 또는 교번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0197003753A 2016-08-26 2017-08-23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102492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5881 2016-08-26
EP16185881.6 2016-08-26
PCT/EP2017/071240 WO2018037048A1 (en) 2016-08-26 2017-08-23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a heat-conducting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838A true KR20190053838A (ko) 2019-05-20
KR102492063B1 KR102492063B1 (ko) 2023-01-26

Family

ID=5685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753A KR102492063B1 (ko) 2016-08-26 2017-08-23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1202467B2 (ko)
EP (1) EP3503747B1 (ko)
JP (1) JP6953516B2 (ko)
KR (1) KR102492063B1 (ko)
CN (1) CN109496128B (ko)
AU (1) AU2017316515A1 (ko)
BR (1) BR112019001218B1 (ko)
CA (1) CA3028880A1 (ko)
IL (1) IL263472A (ko)
MX (1) MX2019001929A (ko)
PH (1) PH12018502543A1 (ko)
RU (1) RU2749237C2 (ko)
SG (1) SG11201900668QA (ko)
WO (1) WO2018037048A1 (ko)
ZA (1) ZA2018080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42A1 (ko) * 2022-09-13 2024-03-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스틱형 흡연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187057T3 (en) * 2015-12-31 2018-05-2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ITEMS INCLUDING A HEAT CONDUCTIVE ELEMENT AND A SURFACE TREATMENT
US20210037880A1 (en) * 2018-04-27 2021-02-11 Jt International S.A. Smoking Article, Smoking System And Method For Aerosol Generation
WO2020002165A1 (en) * 2018-06-27 2020-01-02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N108835707A (zh) * 2018-08-07 2018-11-20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磁感应加热卷烟及其制备方法
JP7453967B2 (ja) * 2018-10-08 2024-03-2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クローブ含有エアロゾル発生基体
CN113329644B (zh) * 2019-01-24 2023-03-24 音诺艾迪有限公司 凝胶气溶胶形成基质盒、电加热吸烟制品、装置和系统
GB201903264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US20220167668A1 (en) * 2019-03-11 2022-06-02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generation
US20220192249A1 (en) * 2019-04-08 2022-06-23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n aerosol-generating film
CN113993397B (zh) * 2019-05-24 2024-05-0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新颖的气溶胶生成基材
JP2022536454A (ja) * 2019-06-10 2022-08-1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物品用の安定したラッパー
JP2022537625A (ja) * 2019-06-21 2022-08-29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コンテナ内に配置される発泡体状エアロゾル発生材料を含む加熱非燃焼式スティック
KR102341841B1 (ko) * 2019-08-08 2021-12-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20220082017A (ko) * 2019-10-14 2022-06-1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조립체에 코팅을 도포하는 방법
BR112022008138A2 (pt) * 2019-11-29 2022-07-19 Philip Morris Products Sa Elemento de substrato gerador de aerossol com embalagens duplas de papel
GB201917917D0 (en) * 2019-12-06 2020-01-2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Tobacco composition
US20220400739A1 (en) * 2019-12-17 2022-12-22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of producing a combustible heat source comprising carbon and a binding agent
KR102477682B1 (ko) * 2020-03-09 2022-12-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CN111567876A (zh) * 2020-05-06 2020-08-25 李可夫 具备新型结构的气溶胶生成体
KR102431771B1 (ko) * 2020-05-11 2022-08-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비연소형 궐련을 위한 래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46746B1 (ko) * 2020-06-15 2023-06-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36577A (ko) 2021-07-30 2024-03-20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담배잎 부분을 포함하는 포장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CN114532611A (zh) * 2022-03-25 2022-05-27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一种碳杯加热体及包含其的气溶胶生成制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175A (ja) * 1994-04-08 1996-11-26 フイリップ モーリス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喫煙物品の誘導加熱システム
JPH0928366A (ja) * 1995-07-24 1997-02-04 Japan Tobacco Inc シガレット
JP2009502194A (ja) * 2005-08-01 2009-01-29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喫煙物品
JP2010535530A (ja) * 2007-08-10 2010-11-2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蒸留ベースの喫煙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2168A (en) 1986-05-15 1988-03-2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employing heat conductive fingers
US5040551A (en) 1988-11-01 1991-08-20 Catalytica, Inc. Optimizing the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AU771807B2 (en) 1999-07-28 2004-04-01 Philip Morris Products Inc. Smoking article wrapper with improved filler
US20070157940A1 (en) * 2006-01-06 2007-07-1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s comprising inner wrapping strips
US9220301B2 (en) * 2006-03-16 2015-12-2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US7726320B2 (en) * 2006-10-18 2010-06-0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containing smoking article
EP2070682A1 (en) 2007-12-13 2009-06-17 Philip Morris Products S.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ylindrical article
US8839799B2 (en) 2010-05-06 2014-09-2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egmented smoking article with stitch-bonded substrate
KR101993887B1 (ko) 2011-05-31 2019-06-2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흡연 물품용 로드
UA112440C2 (uk) 2011-06-02 2016-09-12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Спалиме джерело тепла для курильного виробу
EP2757912B1 (en) 2011-09-20 2022-08-1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egmented smoking article with substrate cavity
TWI592101B (zh) * 2011-11-15 2017-07-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包含具有後端阻擋塗層之可燃熱源的菸品
TWI639391B (zh) * 2012-02-13 2018-11-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包括隔離可燃熱源之吸煙製品
TWI603682B (zh) 2012-05-31 2017-11-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氣溶膠產生物品之功能性桿
WO2015082652A1 (en) * 2013-12-05 2015-06-11 Philip Morris Products S.A. Non-tobacco nicotine-containing article
CN105407750B (zh) 2014-05-21 2018-06-26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多材料感受器的成烟制品
PT3220755T (pt) * 2014-11-21 2019-04-08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go para fumar compreendendo uma fonte de calor combustivel carbonosa inflamavel por fricçã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175A (ja) * 1994-04-08 1996-11-26 フイリップ モーリス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喫煙物品の誘導加熱システム
JPH0928366A (ja) * 1995-07-24 1997-02-04 Japan Tobacco Inc シガレット
JP2009502194A (ja) * 2005-08-01 2009-01-29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喫煙物品
JP2010535530A (ja) * 2007-08-10 2010-11-2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蒸留ベースの喫煙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42A1 (ko) * 2022-09-13 2024-03-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스틱형 흡연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9102197A (ru) 2020-09-28
IL263472A (en) 2019-01-31
PH12018502543A1 (en) 2019-09-30
AU2017316515A1 (en) 2018-12-20
EP3503747B1 (en) 2020-12-23
RU2749237C2 (ru) 2021-06-07
EP3503747A1 (en) 2019-07-03
BR112019001218B1 (pt) 2023-01-24
SG11201900668QA (en) 2019-02-27
US20190269169A1 (en) 2019-09-05
JP2019526251A (ja) 2019-09-19
KR102492063B1 (ko) 2023-01-26
CN109496128B (zh) 2022-02-22
MX2019001929A (es) 2019-08-05
US11202467B2 (en) 2021-12-21
WO2018037048A1 (en) 2018-03-01
BR112019001218A2 (pt) 2019-04-30
CA3028880A1 (en) 2018-03-01
CN109496128A (zh) 2019-03-19
JP6953516B2 (ja) 2021-10-27
ZA201808007B (en) 2019-08-28
RU2019102197A3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063B1 (ko)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102305797B1 (ko) 개선된 최외곽 래퍼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TWI428094B (zh) 香煙物品
KR20200101447A (ko) 바이메탈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555646B1 (ko) 발화 보조제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가연성 열원
KR20220116493A (ko) 발화 보조제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가연성 열원
US20230240355A1 (en) Reinforced heat source
RU2807049C2 (ru) Изделие,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 улучшенной наиболее удаленной от центра оберткой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