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113A - 마모 부재 및 마모 조립체 - Google Patents

마모 부재 및 마모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113A
KR20210104113A KR1020217022261A KR20217022261A KR20210104113A KR 20210104113 A KR20210104113 A KR 20210104113A KR 1020217022261 A KR1020217022261 A KR 1020217022261A KR 20217022261 A KR20217022261 A KR 20217022261A KR 20210104113 A KR20210104113 A KR 20210104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member
lateral
wear
lateral portion
def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레드 알. 아메즈
니콜라스 에이. 앨버즈
요셉 이. 덴젤
마이클 디. 크로위
Original Assignee
에스코 그룹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코 그룹 엘엘씨 filed Critical 에스코 그룹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10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8Teeth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 및 이러한 마모 부재를 복수로 포함하는 마모 조립체가 설명된다. 마모 부재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하고, 베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후방 개방 공동을 정의하는 몸체; 몸체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땅과 닿기 위해 전방 에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측방향 부분은, 상보적 형성부에 의해 정의된 개방 제거 경로로 인해 인접 마모 부재 사이에 장착된 마모 부재의 축 방향 삽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제2 측방향 형성부에 상보적 형성부를 정의한다. 상보적 형성부는 또한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마모 부재의 회전 이동에 저항한다.

Description

마모 부재 및 마모 조립체
본 개시의 분야는 굴토 작업 장비의 마모 부재에 관한 것이다.
굴착 작업 동안에, 교체 가능한 마모 부재는 굴착 버킷과 같은 굴토 작업 장비를 보호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 동안, 마모 부재는 연마 조건 및 무거운 하중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마모된다. 일단 닳으면, 마모 부재는 장비에서 제거되고 교체된다. 마모 부재를 사용하면, 립 또는 장비의 다른 부분과 같은 더 고가인 기본 장비를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할 필요성을 줄이기 때문에, 채굴 및 기타 굴토 작업에 대한 비용 효율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마모 부재 세트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수단(예를 들어, 로크 핀, 볼트, 또는 다른 로크 기구)에 의해 굴토 작업 장비에 고정된다. 치형부 세트 하나를 채굴 버킷의 립에 설치하여 버킷의 전방의 땅을 헤치고 버킷 립이 과도하게 마모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치형부가 균일하게 마모되는 경우, 전체 세트의 치형부는 사용 수명이 끝날 때에 동시 교체될 수 있다. 그러나, 굴토 작업 작동 중에, 마모 부재는 다양한 방향성 힘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축, 수직 및 측방향 하중 및 충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단일 치형부 또는 모든 치형부의 교체가 필요한 개별 치형부의 손상 또는 조기 마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비에 기계적으로 고정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마모 조립체는, 신뢰성, 안전성, 사용 용이성, 다목적성이고,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고/나타내거나 기계 가동 중지 시간이 거의 없이 쉽게 교체 가능하다.
제1 양태에 따라,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마모 부재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하고, 베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후방 개방 공동을 정의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땅과 닿기 위한 전방 에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2 측방향 형성부에 상보적 형성부를 정의해서 상기 상보적 형성부에 의해 정의된 상기 개방 제거 경로에 기인하여 인접 마모 부재 사이에 장착된 마모 부재의 축 방향 삽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고,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마모 부재의 회전 이동에 저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모 부재는 선택적으로, 몸체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굴착 버킷 상의 립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서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한 쌍의 후방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립 마운트를 추가 포함하여,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마모 부재의 회전 운동에 대한 추가 저항을 제공한다. 립 마운트는 또한, 인접한 마모 부재 사이의 갭을 감소시켜, 측방향 부분 내로 부스러기 또는 다른 입자가 유입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한 쌍의 후방 연장부 각각은, 립 플레이트와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구성된,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 상의 상보적 형성부는 오프셋 평면형 표면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평면형 표면은,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된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평면형 표면은 서로로부터 수직으로 오프셋되어, 하나의 평면형 표면이 다른 평면형 표면 바로 아래에서 활주한다.
선택적으로, 평면형 표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폭을 갖고 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은, 마모 부재 내로의 흙 또는 다른 물질의 유입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전방 에지는 실질적으로 갭이 없거나, 대안적으로 갭이 전혀 없는 연속 에지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전방 에지는 톱니형 에지, 또는 인접한 치형부 사이에서와 같이, 이를 따라 이격된 갭을 정의한 에지를 정의할 수 있다. 톱니형 에지는 굴토 작업 장비에 더 나은 땅의 침투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마모 부재는, 제2 측방향 부분 아래에 위치하고 상부 표면을 정의한 제3 측방향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및 제3 측방향 부분은 그 사이에 삽입 갭을 정의하며, 제1 측방향 부분은, 제1 측방향 부분의 상보적 형성부에 의해 정의된 삽입 부분과 상보적 형성부에 대한 제1 측방향 부분의 대향 측면 상의 하부 표면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마모 부재 하나의 삽입부를, 인접한 마모 부재의 삽입 갭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측방향 부분은 제2 측방향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폭으로 연장되지만, 제2 측방향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일부만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제3 측방향 부분은 전방 에지보다 마모 부재의 후방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제3 측방향 부분의 상부 표면과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의 상보적 형성부는, 모두 평면형 표면이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의 상보적 형성부는, 이격되나 (예를 들어, 평면에 평행한 선으로부터 10도 이하로 이탈함으로써) 평면에 대해 일반적으로 정렬되거나 (예를 들어, 평면에 평행한 선으로부터 5도 이하로 이탈함으로써) 가깝게 정렬되거나 (예를 들어, 평면에 평행한 선으로부터 대략 2도 이하로 이탈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평행한 표면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1 측방향 부분(예를 들어, 상부 표면)의 체결 형성부는, 제1 측방향 부분의 높이가 몸체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경우에 감소하도록 몸체로부터 작은 각도(5도 미만)로 경사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측방향 부분의 체결 형성부(예, 하부 표면)는, 제2 측방향 부분의 높이가 몸체로부터 연장될 때 증가하도록, 몸체로부터 유사하게 작은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라,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마모 부재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하고, 베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후방 개방 공동을 정의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땅과 닿기 위한 전방 에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결합 표면; 상기 길이 방향 축에 횡방향인 제2 측방향 부분으로부터 직립하고 상기 몸체를 향해 상기 전방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몸체에 대향하는 내부면을 정의하고 상기 몸체를 향해 땅을 가이드하도록 이에 경사가 진다.
선택적으로, 마모 부재는, 몸체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굴착 버킷 상의 립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서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한 쌍의 후방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립 마운트를 추가 포함하여,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마모 부재의 회전 운동에 대한 추가 저항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한 쌍의 후방 연장부 각각은, 립 플레이트와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구성된,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방향 부분은 몸체의 좌측에 있고, 결합 표면은 제1 측방향 부분의 하부 표면 상에 정의되고, 마모 부재는, 제1 측방향 부분 아래에 위치한 제3 측방향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부 표면을 정의하며, 제1 및 제3 측방향 부분은 그 사이에 삽입 갭을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방향 부분은 몸체의 우측에 있고, 결합 표면은,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이동에 의해 삽입 갭 내로 삽입하기 위해 제1 측방향 부분의 상부 표면 상에 정의된다.
제3 양태에 따라,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마모 조립체는, 굴착 버킷 상에 장착하기 위한 립 플레이트; 상기 립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며 각각 이로부터 돌출하는 베이스를 정의하는 제1, 제2, 및 제3 어댑터; 각각 해당하는 어댑터에 고정된 베이스를 갖는 제1, 제2, 및 제3 마모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마모 부재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하고, 각각의 마모 부재는, 상기 몸체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땅과 닿기 위한 전방 에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2 측방향 형성부에 상보적 형성부를 정의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마모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마모 부재와 상기 제2 및 제3 마모 부재 상의 상보적 형성부에 의해 정의된 개방 제거 경로로 기인한, 상기 제1 및 제3 마모 부재 사이의 갭 사이에 삽입될 수 있거나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마모 부재는, 제2 측방향 부분 아래에 위치하고 상부 표면을 정의한 제3 측방향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및 제3 측방향 부분은 그 사이에 삽입 갭을 정의하며, 제1 측방향 부분은, 제1 측방향 부분의 상보적 형성부에 의해 정의된 삽입 부분과 상보적 형성부에 대한 제1 측방향 부분의 대향 측면 상의 하부 표면을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3 측방향 부분은 제2 측방향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폭으로 연장되지만, 제2 측방향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일부만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제3 측방향 부분은 전방 에지보다 마모 부재의 후방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제4 양태에 따라,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전방 에지를 정의하기 위해 전술한 구성 중 어느 하나를 갖는, 복수의 마모 부재(예컨대, 치형부)를 포함하는 버킷이 제공된다.
제5 양태에 따라,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전방 에지를 정의하기 위해 전술한 구성 중 어느 하나를 갖는 마모 부재를 갖는, 마모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버킷이 제공된다.
제6 양태에 따라, 에지에 마모 부재를 안착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에지에 안착된 제2 마모 부재에 인접하고 상기 에지에 안착된 제3 마모 부재에 인접하게 제1 마모 부재를 위치 설정해서, 상기 제1 마모 부재의 제1 측방향 부분이 상기 제2 마모 부재와 중첩하고 상기 제1 마모 부재의 제2 측방향 부분이 상기 제3 마모 부재와 중첩하여 상기 제1 마모 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에지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7 양태에 따라, 에지로부터 마모 조립체의 마모 부재를 제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마모 부재를 상기 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대향 측면 상의 제2 및 제3 마모 부재와 중첩하는 제1 마모 부재의 대향 측면 상의 측방향 부분을 갖는 립으로부터, 상기 립 상의 안착 위치로부터 제1 마모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8 양태에 따라,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마모 부재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하고, 베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후방 개방 공동을 정의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땅과 닿기 위한 전방 에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2 측방향 형성부에 상보적인 형성부를 정의해서 인접한 마모 부재 사이에 장착된 마모 부재의 삽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함); 및 상기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마모 부재의 회전 이동에 저항성을 제공하도록 굴착 버킷의 립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상기 몸체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상에 배치된 후방 연장 부분 한 쌍을 포함한 립 마운트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는, 인접한 마모 부재 사이의 갭을 밀폐하고/밀폐하거나 사용 중에 인가된 하중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중첩된 측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중첩 측방향 부분은, 인접한 중첩 마모 부재 없이 마모 부재를 제거시킬 수 있는 개방 제거 경로를 유지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는, 땅과 닿기 위한 전방부, 베이스를 수용하는 후방 개방 공동, 및 양 측면 상의 마모 부재와 중첩하는 측방향 부분을 갖는다. 마모 부재는, 간섭이 없는 인접한 중첩 장착 마모 부재 사이의 립에 설치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일 측면 상의 마모 부재는, 인접한 마모 부재의 측방향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한, 상부 및 하부 측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마모 부재는, 땅과 닿기 위한 전방 작동부,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장착부의 후방 공동 개구, 길이 방향 축,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부터 연장된 좌/우 엇갈린 날개(각각은 인접 마모 부재의 평면형 표면 상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형 표면을 가짐)를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마모 부재는, 인접 마모 부재의 날개를 수용한 개구를 형성하도록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날개를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장착부는, 립에 걸치고 지지하기 위한 후방 연장 부재를 공동의 각 측면 상에 포함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각각의 평면형 표면은 후방 부분으로부터 전방 작동부로 연장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버킷용 굴착 치형부는 장착 공동, 전방 에지 및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연장부를 포함하여, 인접한 치형부의 전방 에지를 따라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에지를 정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치형부의 측방향 연장부와 체결하되, 상기 치형부는 인접한 치형부의 제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버킷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버킷용 굴착 치형부는 장착 공동, 전방 에지, 립에 걸치기 위한 지주, 및 한 쌍의 날개(상기 날개는 공동에서 측방향 연장되어 인접 치형부 상의 상보적인 날개와 체결하고 이에 의해 인접하는 치형부의 전방 에지를 따라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에지를 정의함)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버킷용 굴착 치형부는 장착 공동, 전방 에지, 측방향 연장부(인접한 치형부의 전방 에지를 따라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에지를 정의하기 위해 인접한 치형부의 측방향 연장부와 결합함), 및 사용 중에 굴토 재료를 버킷 내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측방향 연장부의 대향하는 측면을 따르는 직립형 가이드를 포함한다. 가이드는, 선택적으로 내측 경사진 부분 및/또는 내측 곡선을 포함한다. 이러한 치형부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치형부 에지의 말단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구현예에서, 버킷용 굴착 치형부는 장착 공동, 전방 에지, 측방향 연장부(인접한 치형부의 전방 에지를 따라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에지를 정의하기 위해 인접한 치형부의 측방향 연장부와 중첩함), 및 상기 인접한 치형부의 측방향 연장부를 중첩시키기 위해 상기 측방향 연장부에 대향하는 날개를 포함한다. 날개는, 제거하는 힘을 최소화하고/최소화하거나 완전한 분리를 위한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된 치수 및/또는 후방 위치를 갖는다.
다른 구현예에서, 마모 조립체는, 인접하게 측방향 중첩 위치로 굴토 작업 장비의 에지에 고정된 제1, 제2 및 제3 마모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및 제3 마모 부재부터의 간섭 없이 (그리고 이로부터의 임의의 부품을 풀거나 제거할 필요 없이) 마모 조립체로부터 제1 및 제3 마모 부재에 인접한 제2 마모 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각의 마모 부재는, 에지에 걸치기 위한 후방 연장 안정화 부분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흙 이동 장비의 에지 상의 마모 조립체는, 에지에서 마모 부재 사이의 개방된 공간이 없는 연속적 에지를 형성한, 복수의 중첩 마모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마모 부재는 인접한 제2 마모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립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구현예의 다양한 특징은, 마모 부재를 굴토 작업 장비의 에지에 고정시키는 상이한 특징의 전부 또는 일부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특징은 본 발명의 다양한 개념에 대한 특정 아이디어의 예시적인 요약 관찰이며, 완전하거나 필수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개시된 구현예의 전술 내용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특정 구현예 및 첨부 도면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이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도시하고, 따라서 사실상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면, 이들 구현예는 추가의 특이성 및 상세 정보로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마모 어셈블리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모 어셈블리의 부분의 상부 사시도, 즉 마모 부재이다.
도 3은, 도 2의 마모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대향하는 측면에서 본, 도 2의 마모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마모 부재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마모 부재에 인접한 좌측 코너 마모 부재를 나타낸, 도 1의 마모 조립체의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마모 조립체의 중앙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마모 조립체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측면으로부터 도 1의 마모 조립체의 부분 단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으로부터 도 1의 마모 조립체의 부분 단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마모 조립체로부터의 좌측 코너 마모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마모 조립체로부터의 우측 코너 마모 부재의 상면도이다.
마모 부재는 장비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굴토 작업 장비에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버킷의 굴착 에지를 따라 고정된 마모 부재, 이들의 조립체, 및 이러한 에지 상에 마모 부재를 설치하고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마모 부재(10)를 포함한 마모 조립체(12)를 나타내며, 여기서 마모 조립체(12)는 굴토 작업 장비에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나타낸 예시에서, 마모 부재(10)는 포인트 또는 치형부이다. 마모 조립체(12)는, 치형부(10)가 부착된 프로파일형 립(9)을 포함한다. 프로파일형 립(9)은, 흙 이동 버킷(미도시)의 에지(미도시)에 부착된 립 플레이트(8), 및 립 플레이트(8)에 용접된 어댑터(8A)를 포함한다. 각각의 어댑터(8A) 는, 립 플레이트(8)를 지나 돌출하고 이로부터 연장된 노즈(8B)(도 8에서 가장 잘 보임)를 한정한다. 어댑터(8A)는, 대안적으로 Whisler(상표) 웨지 및 클램프와 같은 기계적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거나, 노즈(8B)는 립 플레이트(8)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립 플레이트(8)는 다양하게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선형 선단 표면을 갖는다. 프로파일형 립(9)은, 굴토 작업 장비의 작동(예, 굴착 작동) 동안에 전진 방향을 갖는다.
마모 조립체(12)의 치형부(10)는, 좁아진 전방 작업 에지(16)로 테이퍼가 지는 작업부(32)(도 2 및 도 3에서 가장 잘 보임), 및 립 플레이트(8)의 전방으로 연장된 노즈(8B)를 수용하는 후방 개방 공동(14)을 포함한 장착부(34)(도 2 및 도 3에서 가장 잘 보임)를 포함한다. 장착부(34)는, 공동(14)의 한 측면 또는 각각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후방 연장 지주(24, 26)를 포함한, 립 마운트를 포함한다. 본 구현예에서, 각각의 지주(24, 26)는 립 플레이트(8) (위 및 아래에) 걸치며, 이에 의해 치형부(10)에 대한 안정화를 제공하고 치형부(10)에 대한 회전력을 저지한다.
공동(14)은, 치형부(10)의 중심 몸체(28)를 형성하는 상단, 하단 및 측벽에 의해 정의된다. 치형부 몸체(28)는, (어댑터(8A)를 통해) 립(9)에 치형부(10)를 착탈식으로 고정시킨 잠금부(30)를 수용하는, 개구(28A)를 포함한다. 공동(14) 및 개구(28A)는, 치형부(10)의 특정 적용에 대해 요구되는 끼워맞춤, 안정화, 잠금 등에 적합한 다수의 상이한 형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공동(14), 구멍(28A) 및 구멍(28A) 내에 수용된 잠금부(30)가 미국 특허 제7,882,649호에 개시되고,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각각의 치형부(10)는, 굴토 작업 장비의 작업 동안에 립(9)의 전진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연장된 중심선에 의해 정의되는, 길이 방향 축(36)을 갖는다.
사용 동안에, 치형부(10)는 굴착 공정 동안에 흙 또는 다른 재료와 접촉하여 립(9)을 보호하고,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및/또는 버킷 안에 재료를 모은다. 립(9) 상에 설치되는 경우에, 치형부(10)의 전방 에지(16)는 전체적으로 정렬되어, 흙의 레벨링 또는 평탄화, 또는 매끄러운 벽 및/또는 바닥 구멍을 굴착, 또는 다른 굴착 작업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선형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에지를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치형부(10)를 이렇게 더 넓게 구성하면, 굴착 동안에 치형부(10)가 굽히거나 (즉, 일반적으로 축(36)에 대해) 회전하는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립 플레이트(8)의 양 측면 상의 전술한 지주(24, 26)는 이러한 회전에 저항하는 것을 보조한다. 치형부(10)는, 몸체(28)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 측방향 부분 또는 날개(18), 및 몸체(28)로부터 대향 측면 상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방향 부분 또는 날개(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방향 부분(18, 20)은 치형부(10)의 길이의 대부분에 대해 작동부(32)에서 장착부(34)로 연장하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이들은 갭을 갖거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날개(18, 20)는, 인접한 치형부(10) 상의 날개(각각 20, 18)와 중첩하여, 상당한 갭 없이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에지를 보장하고/보장하거나 축(36)을 중심으로 치형부가 회전하는 것에 역행해 지지한다. 측방향 부분(18, 20)은, 몸체(28)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예를 들어 단차식으로 두께가 감소한다. 각각의 측방향 부분(18, 20)은 에지(18A, 20A)를 정의하고, 이로부터 텅(18B, 20B)이 연장된다. 텅(18B, 20B)의 대향 표면은 서로 상보적인 형성부를 제공하여, 인접하는 치형부(10)로부터의 텅(18B, 20B)이 인접하는 치형부(10)의 대응하는 텅(20B, 18B)과 각각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첩하여 체결함으로써, 측방향 부분(18, 20)의 부분 중첩을 제공한다.
측방향 부분(18, 20)은,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평행하고 선형 선단 에지에 수직인 주변부 또는 에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지만, 대안적으로 비평행 및/또는 비선형 측면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측방향 부분(18, 2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기울기를 갖는 일반적으로 평면형 표면을 포함한다. 제1 측방향 부분(18)의 상부 표면은, 몸체(28)로부터 하향 경사(2도)를 갖는 반면에 제2 측방향 부분(20)의 하부 표면은 몸체(28)로부터 유사하지만 상향 경사(2도)를 갖는다.
측방향 부분(18, 20)은 엇갈린 위치(또는 수직 오프셋)에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측방향 부분(20)은, 길이 방향 축(36) 위의 평면 상에서 연장될 수 있고, 대향하는 측방향 부분(18)은 길이 방향 축(36) 아래의 평면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치형부(10)는, 날개(20)로부터 이격되고 몸체(28) 아래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선택적인 추가(제3)의 측방향 연장 부분 또는 날개(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측방향 부분(22)은, 제한된 거리만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상부 측방향 부분(20)보다 좁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충격 받은 흙의 미세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거하는 힘을 감소시키고 완전한 분리를 위한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바람직하지만,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날개(22)는 축(36)을 중심으로 치형부를 회전시키는 것에 대한 추가 저항을 제공할 수 있고, 즉 상부 및 하부 측방향 부분(20, 22)은 인접한 치형부(10)의 측방향 부분(18)(삽입 부분)을 수용하는 개구(삽입 갭)를 형성하여, 노즈(8B)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부터 치형부(10)를 안정화시킨다. 다른 중첩부 또는 추가 중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조립체(12)용 선형 선단 에지가 나타나 있지만, 다른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조립체(12)의 선단 에지는, 길이 방향 축(36)에 대해 각진 연속적인 선형 선단 에지, 만곡된 에지, 엇갈린 에지, 또는 측방향 부분이 인접한 마모 부재 측방향 부분과 중첩하는 각도로 만나는 선형 에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18, 20)은, 인접한 치형부(10)의 대응하는 평면형 면 상에 있는 길이 방향 축(36)을 통해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형 면(18B, 20B)을 각각 포함하지만, 비평행 표면이 가능하다. 일부 마모 부재(또는 코너 치형부)(40, 44)는 코너 부재로서 제공된다.
특히, 좌측 코너 치형부(40)는 제1 측방향 부분(18)만을 포함하고, 우측 코너 치형부(44)는 제2 측방향 부분(20)만을 포함한다.
각각의 코너 치형부(40, 44)는, 원하는 경우에 양쪽 측방향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코너 치형부(40, 44)는, 치형부(10) 상에 포함된 측방향 연장부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코너 치형부(40)는 지주(26) 및 날개(18)를 포함하고, 코너 치형부(44)는 지주(24) 및 날개(20, 22)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치형부(10)는 말단에 사용될 수 있고, 내측 치형부뿐만 아니라 코너 치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코너 치형부의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텅(18B)은 날개(18)의 바닥면의 연속적인 연장부인 반면에, 텅(20B)은 날개(20)의 상단 표면의 연속적인 연장부이다. 그러나, 상이한 구성이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텅(20B)은 바닥을 따라 있고, 텅(18B)은 상단을 따라 있고, 텅(18B 20B) 모두는 상단 표면을 따라 있거나 바닥 표면(이 경우 인접하는 치형부는 반대 구성을 가짐)을 따라 있거나, 텅 및 홈 배열을 갖는 것(예를 들어, 날개(18)는 중앙 배향을 가질 수 있고, 날개(20)는 두 개의 이격된 측방향 연장부에 의해 인접한 텅(18B)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일 수 있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좌측 코너 치형부(40)(특히 도 1 및 도 11 참조)는, 후방 공동(14)과 잠금 개구(28A)를 갖는 몸체(28), 립 플레이트(8)에 걸치기 위한 후방 연장 지주(26), 작업 에지(16) 및 측방향 부분(18)과 유사한, 측방향 부분(18)을 포함한다. 마모 조립체(12)의 코너 치형부(40, 44)는, 일반적으로 내측 치형부(10)에 비해 증가된 마모를 경험하며, 노출된 사각형 모서리는 둥글게 될 수 있다. 좌측 코너 부재(40)는, 에지 벽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 면(42A)을 갖는 두꺼운 외부 에지 또는 직립 아암(42)을 포함한다. 에지 벽은, 선택적으로 안쪽으로 만곡되고/만곡되거나 내측으로 경사가 져서 작업 에지(1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면(42A)의 내측 곡선은, 모은 재료를 버킷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 에지의 수평 두께가 증가할 수 있으며, 작동 중에 모은 재료를 립(9)의 중심을 향해 가이드하도록 외부 에지가 후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분기될 수 있다. 마모 부재 외부 에지(또는 아암)(42)의 증가된 두께는 조립체(12)의 높은 마모 영역에 추가 재료를 제공하고, 코너 마모 부재(40)의 수명을 증가시키고/증가시키거나 사용 중에 흙 재료를 버킷 내로 가이드한다.
우측 코너 치형부(44)(특히 도 1 및 도 12 참조)는, 후방 개방 공동(14), 립 플레이트(8)를 걸치기 위한 후방 연장 지주(24), 내면(46A)과의 마모에 저항하기 위해 두꺼워진 에지 또는 직립 가이드(46)(바람직하게는 코너 부재(40) 상의 에지(또는 아암)(46)의 미러 이미지)를 포함한다. 우측 코너 부재(44)는, 이전에 설명된 치형부(10)와 유사한 하부 측방향 부분(22)을 갖는, 상부 측방향 부분(20)을 에지 상에 포함할 수 있다.
흙 재료와 닿는 작업 에지(16)는, 치형부(10, 40, 44)의 지지면에 힘을 생성한다. 측방향 부분(18, 20)에 의해 제공된 치형부(10, 40, 44)의 추가 폭은, 작동 중에 치형부(10, 40, 44)에 강한 토크 힘을 생성한다. 버킷의 굴착 에지에 치형부(10, 40, 44)를 조립하는 경우에, 각각의 치형부(10)의 측방향 부분(18, 20)은 인접한 치형부(10)의 측방향 부분(20, 18)과 각각 중첩한다. 측방향 부분(18)은, 인접한 치형부(10)의 측방향 부분(20, 22) 사이의 갭 내에 수용되어, 인접한 측방향 부분(20, 22)에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후방 연장된 지주(24, 26)는 립 플레이트(8) 상에 있다. 노즈(8B) 상에 있는 공동(14) 내의 베어링 표면뿐만 아니라 치형부(10)의 측면 및 치형부(10)의 후방에서의 이들 베어링 표면은, 치형부(10)를 안정화시키고, 굴착 작업에 의해 발생된 토크, 수직 및/또는 축 방향 힘에 저항한다.
날개(18, 20, 22) 및 지주(24, 26)뿐만 아니라, 가능한 경우에 치형부(10, 40, 44)의 다른 부분은, 사용 및/또는 연속 에지 형성 동안에 마주칠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굴착력에 저항하는 지지를 위해, 서로 및/또는 립 플레이트(8)와 상호 체결된다. 치형부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중첩부(18, 20, 22, 24, 26)에 대해 개방 제거 경로를 형성하여, 인접한 치형부와 독립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해서 각각의 치형부(10, 40, 44)의 개별적인 치환을 허용한다. 통상적으로, 연속 에지를 형성하는 치형부는, 치형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인접 치형부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해 중첩되었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날개(18)는 인접한 치형부 상에서 중첩하는 날개(20, 22)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날개(20, 22)는 중첩하는 날개(18)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인접한 치형부는 또한, 립 플레이트(8)를 걸치는 지주(24, 26)의 전방 이동을 차단하지 않는다. 나타낸 구현예에서, 각각의 치형부(10, 40, 44)에 대한 제거 경로는 선형 경로를 따르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제거 경로는 비선형 경로를 가질 수 있고, 일례로서 제거 경로는 만곡될 수 있다.
(공동(14) 내에 수용된) 어댑터(8A)의 노즈(8B) 상에 치형부가 안착되면, 잠금부(30)가 개구(28A)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잠금부(30)는, 원하는 경우에 해머리스 잠금부일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들 구현예는, 한 종류의 버킷에 대한 마모 조립체의 맥락에서 본원에서 설명된다. 이는 단지 개시된 주제의 한 예시일 뿐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모 부재는, 예를 들어 유압 굴착기, 로더, 케이블 삽, 페이스 삽 등에 사용되거나 다른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버킷을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버킷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단, 하단,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논의의 용이함을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고,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는 특정 구현예 및 그들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설명된 구현예는 단지 예시로서 제시되며 한정되지는 않는다. 설명된 특징, 구조, 특성 및 작동 방법은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원의 개시의 관점에서, 당업자는 다양한 구현예가 하나 이상의 특정 세부 사항 없이 또는 다른 방법, 구성 요소, 재료 등과 함께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구조, 재료, 또는 작동 방법은 구현예의 더 적절한 측면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본원의 임의의 한 부분에 개시된 주제는, 이러한 조합이 상호 배타적이지 않거나 작동 불가능하지 않는 한, 본원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의 주제와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개념의 많은 변형, 개선 및 수정이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근본적인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구현예의 세부 사항에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구현예에서, 측방향 부분(18, 20)은 위에서 설명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몸체(28)의 하부 또는 상부에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Claims (21)

  1.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로서, 상기 마모 부재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하고,
    베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후방 개방 공동을 정의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땅과 닿기 위한 전방 에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2 측방향 형성부에 상보적인 형성부를 정의하여, 상기 상보적 형성부에 의해 정의된 개방 제거 경로로 인해 인접한 마모 부재 사이에 장착된 마모 부재의 축 방향 삽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마모 부재의 회전 이동에 저항하는, 마모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굴착 버킷 상의 립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서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한 쌍의 후방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립 마운트를 추가 포함하여, 상기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마모 부재의 회전 운동에 대한 추가 저항을 제공하는, 마모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방 연장부 각각은, 상기 립 플레이트와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구성된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는, 마모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 상의 상보적 형성부는 오프셋 평면형 표면을 포함하는, 마모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표면은, 상기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된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마모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표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폭을 갖고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마모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에지는 실질적으로 갭이 없는 연속 에지를 제공하는, 마모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방향 부분 아래에 위치하고 상부 표면을 정의한 제3 측방향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측방향 부분은 그 사이에 삽입 갭을 정의하며,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의 상보적 형성부에 의해 정의된 삽입 부분과 상기 상보적 형성부에 대한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의 대향 측면 상의 하부 표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모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2 측방향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폭으로 연장되지만, 상기 제2 측방향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일부만 연장되는, 마모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전방 에지보다 상기 마모 부재의 후방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마모 부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방향 부분의 상부 표면과 상기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의 상보적 형성부는 모두 일반적으로 정렬된 평면형 표면인, 마모 부재.
  12.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로서, 상기 마모 부재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하고,
    베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후방 개방 공동을 정의한 몸체;
    상기 몸체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땅과 닿기 위한 전방 에지를 정의한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에 의해 정의된 결합 표면; 및
    상기 길이 방향 축에 횡방향으로 상기 제2 측방향 부분으로부터 직립하고 상기 전방 에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해 연장된 아암을 포함하되, 상기 아암은 상기 몸체에 대향하는 내부 면을 정의하고 상기 몸체를 향해 흙을 가이드하도록 이에 경사지는, 마모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굴착 버킷 상의 립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서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한 쌍의 후방 연장 부분을 포함하는, 립 마운트를 추가 포함하여, 상기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마모 부재의 회전 운동에 대한 추가 저항을 제공하는, 마모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방 연장부 각각은, 상기 립 플레이트와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구성된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는, 마모 부재.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몸체의 좌측에 있고, 상기 결합 표면은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의 하부 표면 상에 정의되고, 상기 마모 부재는, 상기 제1 측방향 부분 아래에 위치한 제3 측방향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부 표면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및 제3 측방향 부분은 그 사이에 삽입 갭을 정의하는, 마모 부재.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몸체의 우측에 있고, 상기 결합 표면은,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이동에 의해 삽입 갭 내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의 상부 표면 상에 정의되는, 마모 부재.
  17.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조립체로서, 상기 마모 조립체는,
    굴착 버킷 상에 장착하기 위한 립 플레이트;
    상기 립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고 각각은 이로부터 돌출한 베이스를 정의하는 제1, 제2 및 제3 어댑터; 및
    각각은 해당하는 어댑터에 고정된 베이스를 갖는 제1, 제2, 및 제3 마모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마모 부재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하고, 각각의 마모 부재는, 상기 몸체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땅과 닿기 위한 전방 에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2 측방향 형성부에 상보적 형성부를 정의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마모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마모 부재와 상기 제2 및 제3 마모 부재 상의 상보적 형성부에 의해 정의된 개방 제거 경로로 기인한, 상기 제1 및 제3 마모 부재 사이의 갭 사이에 삽입될 수 있거나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마모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마모 부재는, 상기 제2 측방향 부분 아래에 위치하고 상부 표면을 정의한 제3 측방향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측방향 부분은 그 사이에 삽입 갭을 정의하며,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의 상보적 형성부에 의해 정의된 삽입 부분과 상기 상보적 형성부에 대한 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의 대향 측면 상의 하부 표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모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2 측방향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방향 폭으로 연장되지만, 상기 제2 측방향 부분의 길이를 따라 일부만 연장되는, 마모 부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전방 에지보다 상기 마모 부재의 후방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마모 부재.
  21. 굴토 작업 장비용 마모 부재로서, 상기 마모 부재는 길이 방향 축을 정의하고, 베이스를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후방 개방 공동을 정의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땅과 닿기 위한 전방 에지를 정의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부분(상기 제1 측방향 부분은 상기 제2 측방향 형성부에 상보적인 형성부를 정의해서 인접한 마모 부재 사이에 장착된 마모 부재의 삽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함); 및 상기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마모 부재의 회전 이동에 저항성을 제공하도록 굴착 버킷의 립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상에 체결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상기 몸체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 상에 배치된 후방 연장 부분 한 쌍을 포함한 립 마운트를 포함하는, 마모 부재.
KR1020217022261A 2018-12-20 2019-12-17 마모 부재 및 마모 조립체 KR202101041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83057P 2018-12-20 2018-12-20
US62/783,057 2018-12-20
PCT/US2019/066954 WO2020131939A1 (en) 2018-12-20 2019-12-17 Wear member and wea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113A true KR20210104113A (ko) 2021-08-24

Family

ID=7109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261A KR20210104113A (ko) 2018-12-20 2019-12-17 마모 부재 및 마모 조립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661727B2 (ko)
EP (1) EP3899150A4 (ko)
JP (1) JP2022510968A (ko)
KR (1) KR20210104113A (ko)
CN (1) CN113242923B (ko)
AU (1) AU2019406813B9 (ko)
BR (1) BR112021010389A2 (ko)
CA (1) CA3122287A1 (ko)
CL (1) CL2021001485A1 (ko)
EA (1) EA202191734A1 (ko)
MX (1) MX2021007471A (ko)
WO (1) WO2020131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6439B2 (en) * 2021-05-27 2024-05-07 Caterpillar Inc. Overlapping cutting edge tip system
USD978923S1 (en) 2021-06-03 2023-02-21 Caterpillar Inc. Bucket shrou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5989A (en) * 1958-05-23 1960-12-27 Myrthan R Hibbard End bits for blades
US3685177A (en) * 1970-08-13 1972-08-22 Esco Corp Two piece cutting edge
US3851413A (en) * 1971-08-23 1974-12-03 Caterpillar Tractor Co Quick change cutting edge
US3864853A (en) 1973-04-27 1975-02-11 Caterpillar Tractor Co Quick disconnect cutting edge for earthworking implements
US5088214A (en) * 1991-01-17 1992-02-18 Esco Corporation Excavator wear edge
US5653048A (en) * 1995-11-06 1997-08-05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a digging edge of an excavator
JP2004124414A (ja) * 2002-09-30 2004-04-22 Echigo Shoji Kk ショベル機械用のバケットに付設されるツース盤及びショベル機械用のバケット
US6986216B2 (en) 2003-04-30 2006-01-17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the digging edge of an excavator
US7080470B2 (en) * 2003-04-30 2006-07-25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excavator digging edge
JP2012246735A (ja) * 2011-05-31 2012-12-13 Higuchi Seisakusho Co Ltd ショベル系掘削機用ツース部材及びそのバケット
NO334810B1 (no) * 2012-05-23 2014-06-02 Kverneland Group Operations Norway As Anordning ved feste for utskiftbar slitedel
US9273448B2 (en) * 2013-08-01 2016-03-01 Caterpillar Inc. Ground engaging tool assembly
US10196798B2 (en) 2016-05-13 2019-02-05 Caterpillar Inc. Tool adapter and shroud protector for a support assembly for ground engaging to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2191734A1 (ru) 2021-08-24
CN113242923A (zh) 2021-08-10
MX2021007471A (es) 2021-08-05
JP2022510968A (ja) 2022-01-28
AU2019406813B9 (en) 2024-03-28
CL2021001485A1 (es) 2021-12-17
CN113242923B (zh) 2023-11-21
BR112021010389A2 (pt) 2021-08-24
AU2019406813B2 (en) 2023-11-30
AU2019406813A1 (en) 2021-06-24
CA3122287A1 (en) 2020-06-25
EP3899150A4 (en) 2022-10-05
US11661727B2 (en) 2023-05-30
EP3899150A1 (en) 2021-10-27
US20200199854A1 (en) 2020-06-25
WO2020131939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6461B2 (en) Implement ground engaging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tapered retention channel
RU2598006C2 (ru) Узел зуба землеуборочного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с коронкой и адаптером
RU2597653C2 (ru) Узел зуба землеройного рабочего органа с коронкой и адаптером
US6751897B2 (en) Lip assembly
AU2017378397B2 (en) Implement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support rib
CN106029996A (zh) 吊斗铲唇部的唇罩
KR20210104113A (ko) 마모 부재 및 마모 조립체
US11613874B2 (en) Implement tip assembly having tip with wear indicator
EA044289B1 (ru) Изнашиваемый элемент и изнашиваемый узе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