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281A -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281A
KR20210103281A KR1020200017843A KR20200017843A KR20210103281A KR 20210103281 A KR20210103281 A KR 20210103281A KR 1020200017843 A KR1020200017843 A KR 1020200017843A KR 20200017843 A KR20200017843 A KR 20200017843A KR 20210103281 A KR20210103281 A KR 20210103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hing
vortex
coupled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393B1 (ko
Inventor
강동엽
Original Assignee
(주)태광물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광물탱크 filed Critical (주)태광물탱크
Priority to KR102020001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39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application of a pressure effect produced by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means of an impeller in the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9Insulation arrangements, e.g. for sound damping or heat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2Pressurised cleaning liquid delivered by a pum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6Agitation of cleaning liquid by impeller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여 유입된 식기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Vortex Generator of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여 유입된 식기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붙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 헹굼, 건조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가사노동을 줄이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보급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식기세척기의 세척방식은 크게 샤워식과 초음파식으로 나눠지며, 가정에서는 샤워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샤워식 방식은 세제가 녹아 있는 온수를 오염된 식기에 강하게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방식으로, 프로펠러로 뿜는 방법과 파이프에 많은 구멍을 내어 물을 뿜으면서 회전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이에 따른 종래기술로 "식기 세척기용 상부 회전 분사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오염된 식기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식기 세척기 세척조의 내부 상판에 고정된 고정브라켓; 양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고, 세척수 공급관의 상단부와 연통되며, 상기 세척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하측으로 유도하는 제 1 연결부재; 중앙부에 원형 형상의 연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이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재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회동하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분사하는 회전 분사체; 및 상기 회전 분사체의 하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 분사체를 상하 방향으로 고정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납부에 장착된 오염된 식기에 세척수를 골고루 분사시킴으로써 오염물을 제거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브라켓이 회전하면서 측면으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식기를 세척한다.
하지만, 식기는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이우러져,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에 고정된 브라켓에서 회전하면서 분사하여도, 식기에 균일하게 분사되지 않고 사각영영이 존재하여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9-0001182(2009.02.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수의 와류를 통해 식기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방향을 조절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세척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수의 공급방향에 따라 와류가 발생하여 식기에 와류가 충돌하여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기 사이에 고르게 와류를 형성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된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순환시켜 세척수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기의 높이에 맞춰 세척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세척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과 하단을 구획하며, 상부면에 식기가 안착되는 메쉬망이 설치되고,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단에서 세척수를 공급 및 배출하며,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키는 분사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세척조의 외부에 배치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세척조의 하부로 삽입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펌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세척조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펌프의 압력에 의해 세척조에 공급된 세척수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서 상기 배수관에서 세척수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통해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공급관의 타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제1돌출돌기가 형성되어 세척수를 배출하는 공급부재와, 상기 배수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외면을 향해 절곡된 "ㄱ" 형상을 가지며, 절곡부분에 제2돌출돌기가 형성된 절곡바, 상기 제2돌출돌기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돌출돌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을 통해 상기 공급부재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부재는, 상기 세척조의 하단에서 측면을 향해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세척수가 배출되는 내측 끝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공급되는 세척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유도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거름망과, 상기 배수관의 타측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상단이 삽입되고,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세척조에 체결되며, 하부면에 삽입부가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삽입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가 포함되되,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배수구의 직경에 맞춰 반호형상을 가지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의 내부에 다수개 형성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의 타측면에는 상기 이물질제거부로 유입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에는 이물질이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망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관, 상기 배수관, 상기 배수구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에는 상호 결합부분에서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에 따르면, 세척수의 와류를 통해 식기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방향을 조절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세척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식기의 사각없이 전체면적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의 와류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제 등의 화악약품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의 공급방향에 따라 와류가 발생하여 식기에 와류가 충돌하여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기와 식기 사이에 고르게 와류를 형성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된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순환시켜 세척수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기의 높이에 맞춰 세척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세척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 및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공급관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 및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공급관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수를 분사하면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여 유입된 식기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식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세척수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10) 및 분사장치(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조(10)는 상단과 하단을 구획하며, 상부면에 식기가 안착되는 메쉬망(11)이 설치되고, 세척수가 저장된다.
상기 분사장치(20)는 상기 세척조(10)의 하단에서 세척수를 공급 및 배출하며,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분사장치(20)에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세척조(10)에 충분히 저장된다.
이 후, 식기를 상기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10)에 담근 후 상기 분사장치(20)에 의해 발생된 와류를 통해 식기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세척수는 식기가 잠길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10)에 공급한 후 와류 발생을 위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만큼 외부로 배출하여 일정한 수위를 항시 유지한다.
이를 통해 식기는 세척수에 잠긴 상태에서 와류에 의해 사각영역 없이 전체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조(10) 및 상기 분사장치(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세척조(10)는 다수개의 식기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10)의 중간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상기 메쉬망(1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부(12)는 상기 메쉬망(11)의 측단이 안착된 후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쉬망(11)은 식기에서 떨어진 이물질이 상기 세척조(10)의 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메쉬망(11)에 포집되어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조(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안착부(12)의 위치에 맞춰 상단과 하단을 구획하며, 상단에는 식기가 보관되고 하단에서 세척수가 공급하여 식기가 잠길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조(10)에는 개별적으로 식기를 배치하거나, 별도의 식기보관대를 통해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세척조(10)는 식기가 잠길 수 있는 수위에 맞춰 상기 분사장치(20)에서 세척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세척조(10)의 내부에는 배치된 식기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71)와, 공급된 세척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72)를 통해 식기의 높이와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제어부(70)를 통해 상기 분사장치를 제어하여 세척수가 식기에 잠길 수 있는 수위에 맞춰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사장치(20)는 상기 세척조(10)의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한 후 와류를 발생시켜 세척수에 잠긴 식기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장치(20)는 상기 세척조(10)의 하부에서 공급됨에 따라 식기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간섭받지 않고 상기 세척조(10) 내부로 자유롭게 공급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장치(20)는, 펌프(21), 공급관(22), 배수관(23) 및 와류발생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21)는 상기 세척조(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공급관(22)은 상기 펌프(21)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세척조(10)의 하부로 삽입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기 배수관(23)은 상기 펌프(21)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세척조(10)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펌프(21)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세척조(10)에 공급된 세척수를 흡입하여 배출한다.
상기 와류발생부(24)는 상기 세척조(10)의 내부에서 상기 배수관(23)에서 세척수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공급관(22)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통해 상기 세척조(10)의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공급관(22)은 상기 펌프(21)의 압력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공급하며, 상기 배수관(23)을 통해 배출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공급이 가능하다.
즉, 상기 공급관(22)은 상기 세척조(10)에 안착된 식기의 높이에 맞춰 일정량의 세척수를 외부에서 공급하여 저장한 후 상기 세척조(10)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켜 공급한다.
이때, 상기 펌프(21)의 압력에 의해 고압으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3)은 상기 세척조(10)에서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펌프(21)의 압력에 의해 흡입하여 상기 공급관(22)으로 유입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21), 상기 공급관(22), 상기 배수관(23)이 연결되는 지점에는 3방향 밸브 또는 2방향 밸브를 설치하여 세척수의 공급 및 순환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와류발생부(24)는 상기 세척조(1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공급부재(25), 회전날개(26), 절곡바(27) 및 가이드바(28)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재(25)는 상기 공급관(22)의 타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제1돌출돌기(25b)가 형성되어 세척수를 배출한다.
사기 회전날개(26)는 상기 배수관(23)의 타단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절곡바(27)는 상기 회전날개(26)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외면을 향해 절곡된 "ㄱ" 형상을 가지며, 절곡부분에 제2돌출돌기(27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28)는 상기 제2돌출돌기(27a)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돌출돌기(25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날개(26)의 회전을 통해 상기 공급부재(25)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28)의 양측단에는 상기 제1돌출돌기(25b) 및 상기 제2돌출돌기(27a)가 연결되는 연결홈(28a)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홈(28a)은 상기 회전날개(26)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공급부재(25)로 전달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출돌기(25b) 및 상기 제2돌출돌기(27a)를 연결하되, 상기 제1돌출돌기(25b) 및 상기 제2돌출돌기(27a)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홈 또는 장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돌출돌기(25b) 및 상기 제2돌출돌기(27a)는 상기 가이드바(28)의 연결위치에 따라 상기 공급부재(25)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부재(25)는 상기 공급관(22)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척조(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3)을 통해 세척수의 흡입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26)가 회전하면, 상기 절곡바(27) 및 상기 가이드바(28)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공급부재(25)를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급부재(25)는 상기 회전날개(26)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10)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조(10) 내에 저장된 세척수는 상기 공급부재(25)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재(25)는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10)의 측면으로 공급하여 원활하게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세척조(10)의 하단에서 측면을 향해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재(25)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통해 와류가 형성되도록 원활하게 공급되며, 상기 세척조(10) 내에서 강력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배출되는 내측 끝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공급되는 세척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유도핀(2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류유도핀(25a)은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굴곡이 형성되어 고압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와류유도핀(25a)을 통해 와류가 형성되면서 상기 세척조(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세척조(10)에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공급부재(25)에서 고압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되, 상기 공급부재(25)는 상기 회전날개(26)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조(10) 내에 안착된 식기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향으로 와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2)은 상기 세척조(10)의 외측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공급관(22)의 결합된 상기 공급부재(25)에서 세척수가 측면으로 공급함에 따라 상기 공급부재(25)의 상부에 위치한 세척수에서는 강한 와류가 생성되지 않게 되어 다수개의 식기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22)은 상기 세척조(10)의 식기가 상대적으로 배치되지 않은 외측에 위치하여 식기에 강력한 와류가 발생되는 세척수가 충돌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급관(22)은 상기 세척조(10)에 하나 이상 배치된다.
즉, 상기 공급관(22)은 상기 세척조(10)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군대에 배치하여 동시에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강력한 와류를 다수개 발생시켜 식기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공급관(22)은 중앙부분이 분기되어 상기 세척조(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급부재(25)는 상기 공급관(22)의 분기된 위치에 맞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돌출돌기(27a)에 다수개의 상기 가이드바(28)의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다수개의 상기 공급부재(25)에 위치한 각각의 상기 제1돌출돌기(25b)에 결합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상기 공급관(22)이 형성되어도, 상기 회전날개(26)를 통해 발생한 회전력을 전달하여 다수개의 상기 공급부재(25)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3)에 형성되어 상기 메쉬망(11)을 통과한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2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물질을 용이하게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거름망(30), 배수구(40), 이물질제거부(50)가 형성된다.
상기 거름망(30)은 상기 배수관(23)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상기 거름망(30)은 상기 메쉬망(11) 보다 작은 메쉬 또는 천, 종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쉬망(11)을 통과한 이물질이 상기 거름망(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수구(40)는 상기 배수관(23)의 타측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세척조(10)의 내부로 상단이 삽입되고,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세척조(10)에 체결되며, 하부면에 삽입부(4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23)에 상기 배수구(40)가 형성된 경우, 상기 회전날개(26)는 상기 배수관(23) 또는 상기 배수구(40) 중 끝단에 위치하도록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50)는 상기 삽입부(4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제거부(50)는 상기 배수구(40)의 직경에 맞춰 반호형상을 가지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상기 삽입부(41)에 체결되는 물받이부(51)와, 상기 물받이부(51)의 내부에 다수개 형성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판(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물받이부(51)는 상호 결합되며, 세척수가 누출되지 않는 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물받이부(51)는 상호 맞닿는 일면이 끼움, 접착 등을 통해 고정하고 별도의 마감처리를 통해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주면에는 테이핑, 탄성부재 등을 통해 상기 물받이부(51)를 가압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거름망(30)은 상기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내며,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원뿔모양으로 형성하여, 이물질이 세척수에 의해 상기 이물질제거부(50)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40)는 상기 배수관(23)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40)의 하단면에는 상기 이물질제거부(50)로 세척수가 유입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5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부(50)는 상기 물받이부(51)가 반호형상의 한쌍이 상기 배수관(23)을 감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40)의 하단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물받이부(51)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상기 유도판(52)을 통해 세척수를 유도하며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포집한다.
이러한 상기 물받이부(51)는 상기 배수구(40)에 결합되는 외부면과 상기 배수관(23)에 결합되는 내부면이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구(40) 및 상기 배수관(23)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판(52)은 상기 물받이부(51)의 외주면의 내측면과, 내주면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되, 하부를 향해 경사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세척수는 상기 유도판(52)에 의해 이동하면서 세척수는 상기 물받이부(51)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3)의 타측면에는 상기 이물질제거부(50)로 유입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공(23a)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23a)에는 이물질이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망(23b)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부(51)는 내측면에는 상기 배출공(23a)과 동일한 위치에 통공을 형성하여 세척수가 상기 배수관(23)으로 유입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이물질제거부(50)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유도판(52)을 통해 이물질은 상기 물받이부(51)에 포집하고, 세척수는 상기 배수관(23)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2), 상기 배수관(23), 상기 배수구(40)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50)에는 상호 결합부분에서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부재(60)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패킹부재(60)는 O링, 테이핑 등을 통해 각 결합관계에서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메쉬망(11)이 설치된 상기 세척조(10)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장치(20)가 설치된다.
이 후, 상기 메쉬망(11)의 상단에는 식기를 수납한다.
이때, 식기는 상기 메쉬망(11)에 직접적으로 수납하거나, 별도의 상기 식기보관함에 수납 후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10)에 식기가 수납되면 상기 분사장치(20)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장치(20)는 상기 펌프(21)에 의해 펌핑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통해 식기가 잠길 수 있는 수위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세척조(10)에는 상기 높이측정센서(71) 및 상기 수위측정센서(72)를 통해 식기의 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맞춰 세척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세척조(10)에 일정수위의 세척수가 공급되면, 상기 분사장치(20)는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여 저장된 세척수에 와류를 형성한다.
즉, 상기 펌프(21)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 또는 상기 배수관(23)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공급관(22)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한다.
이때, 상기 세척조(10)의 수위에 맞춰 외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하고, 일정수위를 유지하면 상기 배수관(23)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공급관(22)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펌프(21), 상기 공급관(22) 및 상기 배수관(23)에는 세척수의 유입방향을 조절하는 밸브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2)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는 상기 공급부재(25)를 통해 상기 세척조(10)의 측방향으로 공급되되, 상기 와류유도핀(25a)에 의해 와류를 형성되어 긴 거리를 강력하게 분사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재(25)는 상기 배수관(23)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날개(26)를 통해 회전하여 상기 세척조(10) 내부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이를 통해 상기 세척조(10) 내부에서는 상기 공급관(22)과 상기 배수관(23)에 의해 세척수를 공급 및 배출하여 항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며, 상기 세척조(10)에 저장된 세척수에 와류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한 세척수의 와류는 식기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며, 제거된 이물질은 상기 메쉬망(11)에 안착되어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식기는 상기 세척조(10) 내에서 세척수에 잠긴 상태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식기의 사각부분 없이 전체에 붙은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10) 내에서 발생되는 와류는 상기 공급부재(25)의 회전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방생시켜, 다수개의 식기를 수납된 상태에서 세척수가 막힘없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조(10)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에 따라 세척수에서 발생하는 와류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배수관(23)을 분기시켜, 상기 세척조(10) 내부에서 다수군대에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군대에서 동시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세척조(10) 내에 와류를 형성함에 따라 수납된 식기에 의해 세척수의 와류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식기와 식기 사이까지 고르게 와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세척수의 와류 및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메쉬망(11)을 통과한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제거부(50)에 포집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23)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거름망(30)이 설치되며, 상기 거름망(30)을 통해 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제거부(50)로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부(50)는 상기 배수구(40)의 하단에 설치되며, 배수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은 상기 유도판(52)을 통해 유도하여 포집하고, 세척수는 배출공을 통해 상기 배수관(23)으로 배출한다.
또한, 식기의 세척이 다 이루어지면, 상기 배출구(13)를 통해 상기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를 배수한 뒤 상기 세척조(10) 내부의 이물질 제거 및 세척하여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물질제거부(5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세척수는 상기 배수관(23)을 통해 배출된 후 상기 펌프(21)에서 펌핑되어 고압으로 상기 배수관(23)을 통해 공급시켜 세척수를 순환시킨다.
이를 통해 많은양의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으며, 상기 세척조(10)에 저장된 세척수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관(22), 상기 배수관(23), 상기 배수구(40)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50)에는 세척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패킹부재(60)를 통해 마감처리가 이루이루어져 사용 중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세척조(10)에 수납된 식기는 별도의 세제 없이 세척수의 와류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된 이물질은 별도로 포집하여 배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메쉬망(11)에 포집된 이물질과 상기 이물질제거부(50)에 포집된 이물질을 통해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메쉬망(11)과 상기 이물질제거부(50)를 상기 세척조에서 탈거하여 편리하게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제거된 세척수는 상기 펌프(21)를 통해 상기 세척조(10)로 순환시켜, 세척수를 절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10)의 상부에는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식기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조(1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식기는 행굼, 건조, 수분제거 등을 위해 별도의 장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세척조(10) 내에 헹굼, 건조 수분제거 등을 위한 장치를 마련하여 식기의 행굼, 건조 및 수분제거 등의 후속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세척조 11: 메쉬망 12: 안착부
13: 배출구
20: 분사장치 21: 펌프 22: 공급관
23: 배수관 23a: 배출공
23b: 차단망 24: 와류발생부
25: 공급부재 25a: 와류유도핀
25b: 제1돌출돌기 26: 회전날개
27: 절곡바 27a: 제2돌출돌기
28: 가이드바 28a: 연결홈
30: 거름망
40: 배수구 41: 삽입부
50: 이물질제거부 51: 물받이부 52: 유도판
60: 패킹부재
70: 제어부 71: 높이측정센서 72: 수위측정센서

Claims (6)

  1. 상단과 하단을 구획하며, 상부면에 식기가 안착되는 메쉬망(11)이 설치되고,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조(10);
    상기 세척조(10)의 하단에서 세척수를 공급 및 배출하며,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키는 분사장치(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장치(20)는,
    상기 세척조(10)의 외부에 배치된 펌프(21)와,
    상기 펌프(21)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세척조(10)의 하부로 삽입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22)과,
    상기 펌프(21)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세척조(10)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펌프(21)의 압력에 의해 상기 세척조(10)에 공급된 세척수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배수관(23)과,
    상기 세척조(10)의 내부에서 상기 배수관(23)에서 세척수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공급관(22)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통해 상기 세척조(10)의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24)는,
    상기 공급관(22)의 타측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제1돌출돌기(25b)가 형성되어 세척수를 배출하는 공급부재(25)와,
    상기 배수관(23)의 타단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26)와,
    상기 회전날개(26)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외면을 향해 절곡된 "ㄱ" 형상을 가지며, 절곡부분에 제2돌출돌기(27a)가 형성된 절곡바(27)와,
    상기 제2돌출돌기(27a)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돌출돌기(25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날개(26)의 회전을 통해 상기 공급부재(25)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바(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25)는,
    상기 세척조(10)의 하단에서 측면을 향해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세척수가 배출되는 내측 끝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공급되는 세척수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유도핀(25a)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3)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거름망(30)과,
    상기 배수관(23)의 타측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세척조(10)의 내부로 상단이 삽입되고,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세척조(10)에 체결되며, 하부면에 삽입부(41)가 형성된 배수구(40)와,
    상기 삽입부(4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50)가 포함되되,
    상기 이물질제거부(50)는,
    상기 배수구(40)의 직경에 맞춰 반호형상을 가지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는 물받이부(51)와,
    상기 물받이부(51)의 내부에 다수개 형성되어, 배출되는 세척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유도하는 다수개의 유도판(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3)의 타측면에는 상기 이물질제거부(50)로 유입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공(23a)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23a)에는 이물질이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망(23b)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2), 상기 배수관(23), 상기 배수구(40)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50)에는 상호 결합부분에서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부재(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KR1020200017843A 2020-02-13 2020-02-13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KR102388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843A KR102388393B1 (ko) 2020-02-13 2020-02-13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843A KR102388393B1 (ko) 2020-02-13 2020-02-13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281A true KR20210103281A (ko) 2021-08-23
KR102388393B1 KR102388393B1 (ko) 2022-04-19

Family

ID=7749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843A KR102388393B1 (ko) 2020-02-13 2020-02-13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3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833A (ko) * 2003-04-28 2004-11-16 주식회사 거송실업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60123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구조
KR20090001182U (ko) 2007-07-30 2009-02-04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용 상부 회전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833A (ko) * 2003-04-28 2004-11-16 주식회사 거송실업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60123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구조
KR20090001182U (ko) 2007-07-30 2009-02-04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용 상부 회전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393B1 (ko)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866B1 (ko) 수조식 세척기
CN105534451B (zh) 水槽式清洗机的洗涤方法
JPH07155279A (ja) 食器洗浄機の補助洗浄装置
KR102429096B1 (ko) 식기세척기와 그의 제어방법
KR20090006659A (ko) 세탁기
KR101941411B1 (ko) 복합 세정 구조를 갖는 식기 애벌 세척기
KR20100110547A (ko) 식기세척기
KR20090061479A (ko) 식기세척기
KR101978988B1 (ko) 개량된 순환와류 형성구조를 갖는 담금형 식기 세척장치
KR100733307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2388393B1 (ko)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KR100991817B1 (ko) 곡물 및 야채 복합형 세척기
KR20040095833A (ko)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53010A (ko) 슬러지 부상배출 초음파세척기
KR20060100616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JP7012938B2 (ja) 洗浄器
KR20190051774A (ko) 세정기
JP2009136419A (ja) 食器洗い機
JP3487695B2 (ja) 食器洗浄機内への洗浄剤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7205759B2 (ja) 洗浄器
KR20140100072A (ko) 식기세척기
KR102415085B1 (ko) 수세식 식판 세정장치,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판 헹굼 세정시스템
JP7288106B2 (ja) 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KR102006154B1 (ko) 수압식 식기세척기의 세척수를 이용한 애벌용 식기세척기
US11166615B2 (en) Dishwasher comprising a hydraulic arrangement for cleaning a fil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