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106A -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106A
KR20210103106A KR1020200017434A KR20200017434A KR20210103106A KR 20210103106 A KR20210103106 A KR 20210103106A KR 1020200017434 A KR1020200017434 A KR 1020200017434A KR 20200017434 A KR20200017434 A KR 20200017434A KR 20210103106 A KR20210103106 A KR 20210103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needle
suture
surgical
methods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009B1 (ko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디퓨처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61B2017/0053Loading magazines or sutures into apply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19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by means of a suture-receiving lateral eyelet machined in the needle
    • A61B2017/06023Multiple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28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by means of a cylindrical longitudinal blind bore machined at the suture-receiving end of the needle, e.g. opposite to needle tip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을 고정함에 있어서, 바늘의 3면을 압착하되, 방착 장치를 이용하여 의료용 바늘과 봉합사과 맞닿는 경계부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압착을 수행하여, 수술용 바늘의 겉면이 거칠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피부를 뚫고 들어가거나, 나올 때, 저항을 최소화하는 고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압착장치를 이용한 제작 방법으로,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지 않을 수 있으며, 동시에 3면을 압착하는 방법으로,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METHOD FOR FIX SUTURES AND SUGICAL NEEDLES}
본 발명은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장치를 통해 수술용 바늘의 3면을 압착하여,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을 고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비흡수성 봉합사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생 흡수성 봉합사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생 흡수성 봉합사는 환자로부터 봉합사를 제거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보다 편리한 봉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봉합사를 삽입바늘에 담아서 사용하는 사상과 설계가 1990년대 부터 개시되어 왔다 또한, 2000년대 이후로 다양한 봉합사의 개발과 더불어 봉합사를 활용한 조직 거상술(擧上術)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를 밑바탕으로 봉합사는 단순한 봉합을 넘어서 보다 다양한 용도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계기로 상기에 기술한 봉합사를 삽입바늘과 같은 담지체(擔持體)에 담지시켜 사용하는 방법은 봉합사를 활용한 조직 거상술과 같은 분야에 있어서는 사용자에게 여러모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이때, 봉합사의 체내 삽입은 주사침의 내부에 봉합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내장시켜 주사침의 체내 삽입과 동시에 봉합사가 체내에 삽입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봉합사를 주사침에 고정하지 않은 설계의 발명들은 제품의 생산과정(특히, 멸균을 위한 감압과 승압의 반복과정이나 포장과정), 그리고 제품의 운반, 보관, 조작, 사용 등의 과정에서 주사침의 중공 내부로 삽입해 놓은 봉합사가 주사침에서 분리되거나 설정된 봉합사 삽입 위치상의 변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을 고정하는 방법은, 수술용 바늘의 일 단에 봉합사를 삽입하고, 수술용 바늘과 봉합사의 경계 부위를 복수 회 두드려서 압착하는 방식이 존재 하였으며, 도 1은 경계 부위를 복수 회 두드려서 수술용 바늘과 봉합사를 고정 시키는 방법을 통해 제조된 수술용 바늘과 봉합사의 일례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경우, 복수 회 두드려서 수술용 바늘의 일 단을 압착하는 방식으로, 복수 회 두드리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람이 직접 바늘을 돌려가며 두드릴 부위를 조정해 주어야 하므로, 균일성 있는 패턴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각 제품들이 일관되지 못한 품질을 갖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수술용 바늘의 일 단에 봉합사를 삽입하되, 수술용 바늘에 삽입되는 봉합사의 일 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술용 바늘의 일 단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되므로,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의 발생이 봉합사를 시술자가 설계한 위치까지 삽입하기 어렵게 하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을 고정함에 있어서, 바늘의 3면을 압착하되, 실과 맞닿는 경계부위에서 약간 이격된 위치에서 압착을 수행하여, 수술용 바늘의 겉면이 거칠지 않도록 하여, 저항을 최소화 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압착장치는 봉합사가 압착되지 않도록 여분의 공간을 두도록 설계되어 있어 봉합사의 훼손없이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을 고정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압착장치를 통한 수술용 바늘에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a) 수술용 바늘의 일단에 형성된 홈 또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술용 바늘의 내측에 봉합사가 삽입되어 준비되는 단계; (b) 압착장치의 압착부에 상기 봉합사가 삽입된 수술용 바늘이 배치되는 단계; 및 (c) 상기 압착장치의 압착부를 가동하여 상기 수술용 바늘을 소정 깊이만큼 압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장치의 압착부는, 상기 수술용 바늘의 3면을 압착하도록 형성된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술용 바늘은, 일 단에 장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봉합사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압착부는, 3개의 피스로 구성된 압착 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각 피스의 단면은 360°를 균등하게 분할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각 피스의 내측에는 소정의 크기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의 상기 수술용 바늘과 맞닿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각 피스의 내측 단면이 상기 수술용 바늘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360°로 구성될 때, 상기 각 피스의 내측 단면의 중앙에 형성되되, 120° 간격을 갖도록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의 각 피스가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값만큼 동시에 이동하면서 압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 값은, 상기 수술용 바늘의 외경 값과 상기 봉합사의 직경 값의 차이 값보다 큰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거리 값은, 상기 수술용 바늘의 압착된 3면이 맞닿지 않되, 상기 3면 간의 거리가 상기 봉합사의 외경 값보다 작은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가 압착되어, 상기 3개의 피스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직경은, 상기 수술용 바늘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압착부의 돌기가 상기 수술용 바늘의 외주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수술용 바늘과 상기 봉합사가 맞닿는 경계부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술용 바늘이 상기 봉합사가 맞닿는 경계부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수술용 바늘 방향으로 이격 된 위치가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압착장치는 상기 압착부와 연결된 거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착부에 상기 수술용 바늘이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에 상기 봉합사가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봉합사를 압착하지 않는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술용 바늘을 배치함에 있어서, 적절한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하는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봉합사와 상기 수술용 바늘의 경계와 상기 돌기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는 경우,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을 고정함에 있어서, 바늘의 3면을 압착하되, 방착 장치를 이용하여 의료용 바늘과 봉합사과 맞닿는 경계부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압착을 수행하여, 수술용 바늘의 겉면이 거칠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피부를 뚫고 들어가거나, 나올 때, 저항을 최소화하는 고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압착장치를 이용한 제작 방법으로,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지 않을 수 있으며, 동시에 3면을 압착하는 방법으로,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고정된,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에 의해 제작된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의 고정부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에 의해 제작된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의 단면도 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압착장치의 측면도 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의 압착장치의 압착부에 대한 단면도 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각 도면에서 표현된 구성요소들의 모양이나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200)는 몸체부와 몸체부 양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 되는 돌기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봉합사(200)를 제작 하기 위한 원사는 가소성 수지 이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PDO(Polydioxane) 재질의 경우 섭씨 106도의 온도가 녹는점으로 해당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변형이 일어나거나 인장력과 유지력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제작 시 사용되는 초음파는 3kHz 이하의 주파수로 원사의 녹는 점보다 낮은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도록 하되, 바람직하게 2.5k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변형이 가능한 정도의 열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초음파 발생부와 금형 베이스 사이에서 금형 베이스의 음각패턴과 대응하는 위치에 원사를 삽입하고, 초음파 발생부를 통해 원사를 가압하면서 원사에 초음파를 가하고, 초음파를 통해 음각패턴의 형상대로 생성된 봉합사(200)를 사출 할 수 있다.
봉합사(200)는 양 측으로 마주하는 복수의 돌기(미늘)를 갖도록 형성 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봉합사(200)는 체내에서 고정이 용이하게 가능할 수 있도록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술용 바늘(100)은, 일 단에 장변 길이 방향으로 봉합사(20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홈 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단에 형성된, 홈 또는 개구부를 통해 봉합사(200)가 삽입될 수 있다.
수술용 바늘(100)의 경우, 겉면이 매끄럽게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겉면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 피부를 뚫고 들어갈때와 뚫고 나올 때에 피부 등의 체내 조직과 저항이 발생되고, 이러한 저항에 의해 상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매끄럽게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바늘(100)의 일 단에 봉합사(200)가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 고정 방법은, 1회에 동시에 3면에서 압착하여 고정 시키는 방법으로, 수술용 바늘(100)의 겉면의 훼손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 고정 방법에 의해 제작된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의 고정부(210)에 대한 예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 고정 방법을 수행하는 압착장치(300)를 통해,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을 고정 시키는 경우, 수술용 바늘(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압착될 수 있다.
고정부(210)는 수술용 바늘(100)의 3면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고정부(210)의 형상이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압착장치(300)의 돌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 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 고정 방법에 의해 제작된 고정부(210)의 단면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하기 이전의 수술용 바늘(100)의 단면은 점선으로 표기하였고, 3면 압착이 수행되면, 외부 실선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고정부(210)의 크기 및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며, 압착장치(300)의 돌기를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 하지 않는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압착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 고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압착장치(300)에 대한 예시도 이다.
압착부(310)는, 3개의 피스(311)로 구성된 압착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피스(311)의 단면은 360°를 균등하게 분할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피스(311)의 내측에는 소정의 크기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는 수술용 바늘(100)과 맞닿는 부분이 될 수 있으며, 해당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수술용 바늘(100)의 고정부(210)가 날카로운 각이 지지 않고,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돌기는, 각 피스(311)의 내측 단면이 수술용 바늘(100)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360°로 구성될 때, 각 피스(311)의 내측 단면의 중앙에 형성되되, 120° 간격을 갖도록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부(210)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120° 간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 하지 않는다.
압착장치(300)의 압착부(310)가 수술용 바늘(100)을 압착한 상태에서, 3개의 피스(31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직경은, 수술용 바늘(100)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착장치(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3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압착부(310)와 연결된 거치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압착장치(300)에는 압착부(310)에 수술용 바늘(100)이 배치되고, 거치부에 봉합사(2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거치부는 봉합사(200)를 압착하지 않는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착장치(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바늘(100)이 적절한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구조물(32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압착장치(300)에 대한 측면도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이드 구조물(320)은, 수술용 바늘(100)의 봉합사(200)가 삽입되는 일 단과 반대 방향에 형성된 침부의 끝 부분이 위치하도록 하는 구조물(320)이 될 수 있으며, 가이드 구조물(320)을 통해, 수술용 바늘(100)의 고정부(210)가 형성되는 위치가 수술용 바늘(100)과 봉합사(200)의 경계 부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한 위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써, 압착장치(300)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의 경계가 압착부(310)의 돌기와 대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센서가 될 수 있으며, 고정부(210)를 형성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의 경계가 돌기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알림을 제공하여, 수술용 바늘(100)이 배치되는 위치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a 내지 도 6c 를 참조하여, 피스(311)의 형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피스(311)의 형상에 대한 예시도 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3면이 동시에 이동하여, 균일하게 압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피스(311)는 도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피스(311)의 단면은 360°를 균등하게 분할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피스(311)의 내측 단면이 수술용 바늘(100)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360°로 구성될 때, 돌기는 각 피스(311)의 내측 단면의 중앙에 형성되되, 120° 간격을 갖도록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를 균등하게 분할하는 구조가 아니더라도, 돌기는 각 피스(311)의 내측 단면의 중앙에 형성되되, 120° 간격을 갖도록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피스(311)의 형상에 대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 하지 않는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 고정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압착장치(300)를 통한 수술용 바늘(100)에 봉합사(200)와 수술용 바늘(100)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수술용 바늘(100)의 일단에 형성된 홈 또는 개구부를 통해 수술용 바늘(100)의 내측에 봉합사(200)가 삽입되어 고정할 수 있는 준비가 될 수 있다(S510).
이후, 압착 장치의 압착부(310)에 봉합사(200)가 삽입된 수술용 바늘(100)이 배치될 수 있다(S520).
봉합사(200)가 삽입된 수술용 바늘(100)이 배치됨에 있어서, 압착부(310)의 돌기가 수술용 바늘(100)의 외주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수술용 바늘(100)과 봉합사(200)가 맞닿는 경계부위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봉합사(200)가 삽입된 수술용 바늘(100)은, 가이드 구조물(320)을 통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210)가 형성되는 위치가 수술용 바늘(100)과 봉합사(200)가 맞닿는 경계부위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봉합사(200)가 삽입된 수술용 바늘(100)이 배치되면, 압착 장치의 압착부(310)를 가동하여 상기 수술용 바늘(100)을 소정 깊이만큼 압착할 수 있다(S530).
이때, 압착부(310)의 각 피스(311)가 중심을 향하는 방형으로 기 설정된 거리 값만큼 동시에 이동하면서 압착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거리 값은, 수술용 바늘(100)의 외경 값과 봉합사(200)의 직경 값의 차이 값보다 큰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술용 바늘(100)의 압착된 3면의 고정부(210)가 맞닿지 않되, 고정부(210)가 형성된 3면 간의 거리가 봉합사(200)의 외경 값보다 작은 값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술용 바늘
200: 봉합사 210: 고정부
300: 압착장치
310: 압착부 311: 피스
320: 가이드 구조물

Claims (14)

  1. 압착장치를 통한 수술용 바늘에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을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술용 바늘의 일단에 형성된 홈 또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술용 바늘의 내측에 봉합사가 삽입되어 준비되는 단계;
    (b) 압착장치의 압착부에 상기 봉합사가 삽입된 수술용 바늘이 배치되는 단계; 및
    (c) 상기 압착장치의 압착부를 가동하여 상기 수술용 바늘을 소정 깊이만큼 압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장치의 압착부는,
    상기 수술용 바늘의 3면을 압착하도록 형성된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바늘은,
    일 단에 장변 길이 방향으로 상기 봉합사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홈이 형성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3개의 피스로 구성된 압착 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각 피스의 단면은 360°를 균등하게 분할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각 피스의 내측에는 소정의 크기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상기 수술용 바늘과 맞닿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각 피스의 내측 단면이 상기 수술용 바늘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360°로 구성될 때, 상기 각 피스의 내측 단면의 중앙에 형성되되, 120° 간격을 갖도록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압착부의 각 피스가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값만큼 동시에 이동하면서 압착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값은,
    상기 수술용 바늘의 외경 값과 상기 봉합사의 직경 값의 차이 값보다 큰 값인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거리 값은,
    상기 수술용 바늘의 압착된 3면이 맞닿지 않되, 상기 3면 간의 거리가 상기 봉합사의 외경 값보다 작은 값인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가 압착되어, 상기 3개의 피스가 이루는 내부 공간의 직경은,
    상기 수술용 바늘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압착부의 돌기가 상기 수술용 바늘의 외주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수술용 바늘과 상기 봉합사가 맞닿는 경계부위 내에 위치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술용 바늘이 상기 봉합사가 맞닿는 경계부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수술용 바늘 방향으로 이격 된 위치가 압착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장치는 상기 압착부와 연결된 거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착부에 상기 수술용 바늘이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에 상기 봉합사가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봉합사를 압착하지 않는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장치는,
    상기 수술용 바늘을 배치함에 있어서, 적절한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하는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봉합사와 상기 수술용 바늘의 경계와 상기 돌기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는 경우, 경고 알림을 제공하는 것인,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KR1020200017434A 2020-02-13 2020-02-13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KR10238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34A KR102382009B1 (ko) 2020-02-13 2020-02-13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34A KR102382009B1 (ko) 2020-02-13 2020-02-13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106A true KR20210103106A (ko) 2021-08-23
KR102382009B1 KR102382009B1 (ko) 2022-04-04

Family

ID=7749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434A KR102382009B1 (ko) 2020-02-13 2020-02-13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0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0885A (en) * 1976-05-28 1977-12-06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of making a needled suture
JPH067359A (ja) * 1992-03-04 1994-01-18 American Cyanamid Co 医用縫合具、一度打ち型機構及び医用縫合具を形成するための前記型機構の仕様方法
US5487216A (en) * 1994-01-13 1996-01-30 Ethicon, Inc.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needle-suture assembly and packaging machine
US20080119876A1 (en) * 2006-11-17 2008-05-22 Price John J Apparatus and method for swaging need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0885A (en) * 1976-05-28 1977-12-06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of making a needled suture
JPH067359A (ja) * 1992-03-04 1994-01-18 American Cyanamid Co 医用縫合具、一度打ち型機構及び医用縫合具を形成するための前記型機構の仕様方法
US5487216A (en) * 1994-01-13 1996-01-30 Ethicon, Inc.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needle-suture assembly and packaging machine
US20080119876A1 (en) * 2006-11-17 2008-05-22 Price John J Apparatus and method for swaging need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09B1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9852C (en) Locally reversible barbed sutures
EP1531736B1 (en) Dynamic bioabsorbable fastener for use in wound closure
AU2020203009A1 (en)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5960207B (zh) 凹进外科紧固装置
RU2721650C1 (ru) Нить для лифтинг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228673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similar or dissimilar suture products
US11583271B2 (en) Medical thread based on ultrasonic production
KR102382009B1 (ko) 봉합사와 수술용 바늘 고정 방법
US11766254B2 (en) Medical three-dimensional thread making method and device using ultrasonic waves
US20120174380A1 (en) Apparatus for the Joining of Tissue Having Integral Penetrating End
KR101897793B1 (ko)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1312A (ko)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052356B1 (ko) 피부 리프팅 봉합사 삽입 캐뉼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1627B1 (ko) 필러 주입형 성형 보형물
KR20190031859A (ko) 리테이너를 갖는 생분해성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0489B1 (ko) 의료용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64640B1 (ko) 서로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하이브리드 의료용 실 제조 방법
KR20230125363A (ko)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이중 레이어 의료용 실 제조 방법
KR20230010131A (ko) 말단에 성형부를 갖는 리프팅 봉합사와 이를 이용한 봉합사 키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