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951A - 표면 특성이 개선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특성이 개선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951A
KR20210102951A KR1020217021731A KR20217021731A KR20210102951A KR 20210102951 A KR20210102951 A KR 20210102951A KR 1020217021731 A KR1020217021731 A KR 1020217021731A KR 20217021731 A KR20217021731 A KR 20217021731A KR 20210102951 A KR20210102951 A KR 2021010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propylene composition
weight
propylene
biaxially ori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924B1 (ko
Inventor
디트리히 글로저
헤르만 브라운
안토니오스 기사스
다비드 트란치다
프란시스쿠스 제이콥스
볼프람 슈타들바우어
Original Assignee
보레알리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레알리스 아게 filed Critical 보레알리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10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08K5/08Qui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14Organic dielectrics
    • H01G4/18Organic dielectrics of synthetic material, e.g. derivatives of cellul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6Capac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6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coating or encapsulating of electronic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4Crystallisation a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10Peculiar tactic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표면 특성을 갖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OPP) 필름 및 상기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층을 포함하는 절연 필름을 포함하는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커패시터의 절연 필름 층으로서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BOPP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중합체성 α-핵화제 또는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한다. BOPP 필름은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결정되는 기계적 결함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평면 필름으로 압출하는 단계와 평면 필름을 기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동시에 배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 특성이 개선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본 발명은 표면 특성이 개선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OPP) 필름 및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층을 포함하는 절연 필름을 포함하는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커패시터의 절연 필름 층으로서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많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체인에는 전기장 응력 하에서 배향되는 종류의 극성 그룹이 전혀 없기 때문에 필름 커패시터 분야에서 선택되는 재료이다. 다양한 유형의 전기 장비에는 인버터가 포함되어 있고 그에 따라 크기가 작고 정전 용량이 향상된 커패시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장의 이러한 요구로 인해, 더 얇고 기계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이 모두 개선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커패시터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패시터 필름은 고온과 같은 극한 조건을 견뎌야 하며, 높은 유전 파괴 전계 강도(dielectric breakdown field strength)를 가져야 한다. 또한, 커패시터 필름은 높은 강성 및 높은 작동 온도와 같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된다. 용접, 전기차, 기차, 오븐, 풍력 발전기, 태양광 패널 등과 같은 전력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많은 커패시터 필름 등급은 고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HIPP; high isotactic polypropylene) 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균형잡힌 수축 및 최적화된 표면 거칠기 외에도, 높은 이소택틱성과 관련된 주요 이점은 높은 결정도, 높은 용융 시작 온도 및 높은 피크 용융 온도와 관련된 최종 필름의 높은 내열성이다. 고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커패시터 필름 등급도 있는데, 그 기초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장쇄 분지형 폴리프로필렌을 추가로 포함한다.
유전 파괴는 절연체에 적용된 전기장이 절연체의 유전 파괴 전계 강도를 초과하고 전류 스파크가 재료를 뚫고 단락을 유발할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물리적 공정으로서의 유전 파괴 현상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절연체의 구조(모폴로지)와 유전 강도 간의 상관관계도 잘 확립되어 있지 않다. 주된 이유는 파괴 이벤트가 나노 및 현미경 규모의 여러 분해 과정의 최종 결과라는 사실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확률적 거동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온도, 습도, 전극 금속, 전극 형상(모양, 면적), 전압 상승률, DC 또는 AC 전압, 표면 거칠기 및 시편 두께와 같은 수많은 요인이 최종 파괴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주어진 테스트 또는 파괴 프로세스의 주어진 진행 단계에 대한 여러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에 따라, 보이드 내 부분 방전, 핫스팟 형성에 의한 열 파괴 및 전기기계적 파괴와 같은 여러 상이한 메커니즘에 의해 파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중 하나 또는 모두가 하나의 측정 세션에서 발생할 수 있다.
EP 2 995 641 A1은 커패시터 필름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가공성 및 내열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특히 이로 제조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장쇄 분지형 폴리프로필렌, 및 β-핵화제를 포함한다.
WO 2017/064224 A1은 커패시터용으로 적합한 개선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개시하며, 기초가 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프로필렌의 고 이소택틱 단일중합체 및 중합체성 α-핵화제를 포함한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BOPP) 필름의 표면 특성과 커패시터 필름으로서 BOPP 필름의 적용에 대한 학술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 Fujiyama M. et al.,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988, 36, 995-1009, about BOPP surface structure by light microscopy.
- Nie H.Y., Walzak M.J., McIntyre N.S, Journal of Material Engineering and Performance, 2004, 13, 451-460 about BOPP surface structure by atomic force microscopy.
- Tamura S. et al.,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2012, 124, 2725-2735, about BOPP surface crazing process in sequential mode.
- Nash J.L.,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1988, 28, 826-870 about use of BOPP in thin film capacitors.
- Ho J., Low T.R., Boggs S., IEEE Electrical Insulation Magazine, 2010, 26, 20-26, about use of BOPP in thin film capacitors.
따라서, 커패시터에 적합한 개선된 표면 특성을 가진 필름을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전히 개선된 표면 특성 및/또는 높은 처리량(throughput)을 허용하는, 커패시터용으로 적합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신규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이 해결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고,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고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개선된 표면 특성, 즉 기계적 결함(mechanical failure) 부위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9중량%의, 이소택틱 펜타드 분획의 함량이 93 내지 98%이고 용융 유속 MFR2가 0.4 내지 10g/10분인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및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01 내지 1중량%의 중합체성 α-핵화제, 또는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99중량%의, 분지 지수(branching index) g'가 0.9 이하인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기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연속 공정으로 동시에 연신되며,
상기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본 설명에 따라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해 결정된 기계적 결함 부위를 포함하지 않고, 이에 의해 성분 (i) 및 성분 (ii) 또는 (iii)의 합이 100중량%까지 첨가된다.
이에 따라, 성분 (i) 및 성분 (ii) 또는 (iii)이 본 발명의 의미에서 100중량%까지 첨가되는 것은 성분 (i) 및 성분 (ii) 또는 (iii)의 양이 상기 성분 또는 조성물의 100중량%까지 첨가되도록 주어진 범위에서 선택됨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IEC 60243-1 및 -2 전극 설계(a)와 여기에 사용된 수정된 변형(b)을 보여준다.
도 2는 2-파라미터 와이블 확률 플롯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파괴 분포를 보여준다.
통상적인 BOPP 필름 생산(순차용 "SEQ")에서, 1차 주조 시트는 2단계 연신 공정으로 2축 연신되는데, 첫째 가열된 롤 세트를 사용하여 기계 방향(MD)으로 1차 시트를 일축 연신하고, 그 후 이 이미 배향된 시트를 오븐에 설치된 텐터 프레임을 통해 가로 방향(TD)으로 두번째 연신한다. 방금 설명한 공정은 일반적으로 "텐터 프레임 공정(tender frame process)"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설명된 바와 같이, 순차적 프로세스 모드("SEQ")를 암묵적으로 지칭한다. MD 연신(drawing) 중 다소 높은 국부 변형률을 감안할 때, 불충분한 열 활성화와 결합된다면 MD 연신 단계는 균열(crazing)에 의한 형태학적 손상을 초래한다(도면들 참조). 이에 의해 생성된 종래 기술에서의 표면 특성은 일반적으로 "분화구(craters)"또는 "돌출부(protrusions)", 즉 분화구 테두리와 유사한 원형 또는 타원 형태로 BOPP 필름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작은 밴드의 폴리프로필렌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주사 전자 현미경(SEM)에 의한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림의 바닥에 기계적 결함 부위가 존재한다는 것, 즉 BOPP 필름 내로 1㎛와 같은 수백 나노미터를 관통하는 열풍(crazes)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도면들 참조).
BOPP 필름의 표면 특성은 커패시터 필름(의 일부)으로 사용하기 위한 필름의 적합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믿어지는데, 즉 표면의 불규칙성이 전기적 파괴를 자극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논의된 분화구 또는 돌출부의 림의 기저부에서의 열풍(crazes)은 잠재적인 유전 결함 부위인 것처럼 보인다.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i)"는 이하에서 프로필렌의 고 이소택틱 단일중합체로도 간단히 언급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라는 표현은 실질적으로, 즉 적어도 99.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8중량%의 프로필렌 단위로 구성된 폴리프로필렌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단위만이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서 검출될 수 있다. 공단량체 함량은 아래 설명된 바와 같이 13C NMR 분광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는 선형 폴리프로필렌인 것으로 인식된다.
본원에 사용된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라는 표현은 실질적으로, 즉 적어도 99.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8중량%의 프로필렌 단위로 구성된 폴리프로필렌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단위만이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에서 검출될 수 있다. 공단량체 함량은 아래 설명된 바와 같이 13C NMR 분광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는 선형 폴리프로필렌인 것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주사 전자 현미경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기계적 결함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데, 이는, 하기 '정의/측정 방법'에 설명된 바와 같이 SEM에 의해 관찰시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샘플에서 검출가능한 기계적 결함이 없음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정의/측정 방법'에 설명된 대로 추가 SEM 샘플이 준비된 바와 같이, SEM에 의해 관찰시 10×9.2 - 60×55.2㎛2의 면적에 각각 해당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냉각 롤 측 및/또는 에어 나이프 측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샘플의 1개,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 및/또는 4개의 이미지에서 감지가능한 기계적 결함이 없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기계적 결함 부위는 특히 예를 들어, 필름의 분화구 및/또는 돌출부와 같은 표면 특성의 림의 기저부 또는 가장자리의 열풍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열풍은 예를 들어 특히 1㎛와 같은 수백 나노미터로 필름 내로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은 예를 들어 2 내지 5, 바람직하게는 > 2 내지 < 5㎛, 바람직하게는 > 2 내지 4.5㎛ 또는 3 내지 5㎛,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High isotactic homopolymer of propylene)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주 구성성분이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90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9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99.9중량%, 특히 99 내지 99.9중량%의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를 포함한다.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는 용융 유속 MFR2가 0.4 내지 10g/10 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g/10분이다. MFR이 너무 낮으면 가공성이 떨어지고, 반면에 MFR이 너무 높으면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고온에서 처짐(sagging)이 발생한다.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는 93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94 내지 98%, 예를 들어 95 내지 98%의 이소택틱 펜타드 분획(mmmm-분획)의 함량을 갖는다. 이소택틱 펜타드 분획(isotactic pentad fraction)의 함량은 모든 펜타드에서 mmmm-pentads의 백분율로 계산된다. 이소택틱 펜타드 분획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필름의 최종 결정도가 다소 낮아지고 필름의 인장 특성과 모듈러스가 감소하게 된다. 반면에, 이소택틱 펜타드 분획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기계 방향 및/또는 가로 방향으로 필름 배향 중에 빈번한 필름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는 바람직하게는 3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ppm 이하, 특히 15ppm 이하, 및 10ppm 이하와 같은 회분(ash) 함량을 갖는다. 회분 함량이 너무 높으면 특히 회분에 금속 잔류물이 포함된 경우 필름의 유전 특성에 해로울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커패시터를 만드는데 사용할 수 없다.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의 회분 함량은 일반적으로 1ppm 이상이다.
본 발명의 필름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예를 들어,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를 제조하는데 특히 효과적인 방법은 EP-A-2543684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삼염화 티타늄을 포함하는 고체성분에 기초한 촉매는 알루미늄 알킬, 유기 에테르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함께 사용된다.
본 중합은 슬러리에서 편리하게 수행된다. 이러한 공정에서, 촉매, 수소 및 프로필렌 단량체는 4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알칸을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희석제에서 접촉된다. 여기서 "본질적으로 포함하는"은 희석제가 적어도 9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중량%의 이러한 알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본 중합은 전형적으로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의 온도 및 1 내지 50 bar,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bar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공정은 하나 이상의 세척 단계를 포함한다. 세척은 일반적으로 중합체 슬러리를 탄화수소 희석제와 하나 이상의 단계로 접촉시켜 수행된다. 접촉 단계 후, 예를 들어 원심 분리에 의해 과잉 희석제는 전형적으로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슬러리는 적어도 두 단계로 탄화수소 희석제와 접촉된다. 세척이 다중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탄화수소 희석제에 추가로 알코올 또는 에테르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합체로부터 촉매 성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매우 낮은 회분 함량을 갖는 중합체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합체성 α- 핵화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하나의 선택적 구현예에서,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포함한다. 중합체성 α-핵화제 (ii)는 하기 화학식의 비닐 화합물 중합체이다:
CH2=CH-CHR6R7,
여기서, R6 및 R7은 함께 5원 또는 6원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거나,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α-핵화제 (ii)는 화학식 CH2=CH-CHR6R7의 비닐 화합물의 단일중합체이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0.0000001 내지 1중량%(또는 0.001ppm 내지 10,000ppm), 바람직하게는 0.000001 내지 0.01중량%(또는 0.01ppm 내지 1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001 내지 0.005중량%(또는 0.01ppm 내지 50ppm)의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포함한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1 내지 0.001중량%(또는 0.01ppm 내지 10pp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000001 내지 0.0005중량%(또는 0.01ppm 내지 5ppm)의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포함한다.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촉매를 화학식 CH2=CH-CHR6R7의 비닐 화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중합 촉매를 예비중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R6 및 R7은 함께 5원 또는 6원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거나,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그 다음 프로필렌은 이러한 예비중합된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된다.
예비중합에서, 촉매는 고체 촉매 성분의 그램 당 최대 5g의 예비중합체, 바람직하게는 고체 촉매 성분의 그램 당 0.1 내지 4g의 예비중합체를 함유하도록 예비중합된다. 이어서, 촉매는 중합 조건에서 화학식 CH2=CH-CHR6R7의 비닐 화합물과 접촉되며, 여기서 R6 및 R7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R6 및 R7은 둘 다 메틸기이고 비닐 화합물은 따라서, 3-메틸-1-부텐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R6 및 R7은 포화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닐 화합물은 비닐시클로헥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촉매는 고체 촉매 성분 그램 당 폴리(비닐시클로헥산)과 같은 중합된 비닐 화합물 0.5 내지 2g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α-핵화제는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3-메틸-1-부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EP-A-607703, EP-A-1028984, EP-A-1028985 및 EP-A-1030878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성 α-핵화제는 프로필렌의 중합체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예비중합은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범위 내의 온도에서 불활성 희석제로 슬러리에서 수행된다. 압력은 중요하지 않으며 대기압에서 50bar까지 선택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미반응 비닐 화합물의 양이 반응 혼합물의 2000ppm 미만 또는 1000ppm 미만과 같은 미리 결정된 한계 미만이 되도록 선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합 촉매를 예비중합한 후, 프로필렌은 이러한 예비중합된 촉매의 존재 하에 중합되어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하나의 가능한 방법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이러한 예비중합된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을 단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다. 따라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는 중합체성 α-핵화제 (ii)에 의해 핵형성된다. 이어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ppm의 중합체성 α-핵화제 (ii),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시클로헥산)을 포함한다. 중합 공정 및 촉매는 적절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에 의해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가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함유하는 촉매 상에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비닐 화합물로 예비중합되지 않은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을 단일중합함으로써 생성되고, 이에 의해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를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는 압출 단계 전 또는 압출 단계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을 단일중합하거나 프로필렌과 공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생성된 추가 중합체, 즉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와 결합되며, 이 촉매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비닐 화합물로 예비중합된 것이다.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하나의 대안적 예에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및 중합체성 α-핵화제 (ii)에 추가하여,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9.99%의,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이외의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즉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이외의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를 포함한다.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양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중량% 이상일 것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전형적으로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위한 담체 중합체로 존재한다.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0pp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ppm, 예를 들어 1 내지 100ppm의 중합체성 α-핵화제 (ii),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시클로헥산)을 포함한다.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양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99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99중량%, 특히 0.2 내지 0.99중량%이다.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프로필렌의 임의의 단일-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과 비교적 유사하다. 따라서,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특성이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의 특성과 실질적으로 다른 경우,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양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9의 분지 지수 g를 갖는다. 이에 의해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장쇄 분지가 없다. 특히,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장쇄 분지를 검출가능한 양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방법에 따르면,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화학식 CH2=CH-CHR6R7의 비닐 화합물로 예비중합된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을 단일중합함으로써 생성되며, 여기서 R6 및 R7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비닐 화합물이 비닐시클로헥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중합체성 α-핵화제 (ii)에 의해 핵형성된다.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0ppm의 중합체성 α-핵화제 (ii),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시클로헥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적합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 공정 및 촉매는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이에 의해,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함유하는 촉매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마그네슘, 티타늄, 염소를 함유하는 고체성분을 포함하는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 및 프탈레이트, 말레에이트 또는 시트라코네이트와 같은 내부 공여체의 존재 하, 및 트리에틸 알루미늄과 같은 알루미늄 알킬의 존재 하, 및 외부 공여체, 예컨대 실리콘 에테르, 예를 들어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의 존재 하에, 프로필렌을 단일중합하거나,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파-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며, 여기에서, 상기 촉매는 소량의 화학식 CH2=CH-CHR6R7의 비닐 화합물, 예컨대 비닐시클로헥산으로 예배중합된 것이다.
그 다음, 프로필렌은 하나 이상의 중합 단계에서 예비중합된 촉매의 존재하에서 단일중합되거나 공중합된다. 프로필렌의 단일- 또는 공중합은 슬러리 중합 또는 기체 상 중합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중합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적절한 제조 방법은 특히 WO-A-99/24479, WO-A-00/68315, EP-A-1801157, EP-A-1801155 및 EP-A-1818365에 개시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는 0.1 내지 200ppm의 중합체성 α-핵화제 (ii),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ppm의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함유한다. 또한, 본 실시 양태에서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가 예를 들어 적어도 96중량%, 또는 적어도 97중량%, 또는 적어도 98중량%와 같은 높은 백분율의 차가운 자일렌 불용성 물질로, 지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함량의 이소택틱 물질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하나의 대안으로-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99중량%의 분지 지수 g'가 0.9 이하인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ii)를 포함한다.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의 분지 지수는 일반적으로 0.1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골격이 측쇄를 갖는 반면 비분지형 폴리프로필렌, 즉 선형 폴리프로필렌은 측쇄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선형 폴리프로필렌과 다른 분지형 폴리프로필렌을 지칭한다. 측쇄는 폴리프로필렌의 유변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선형 폴리프로필렌과 분지형 폴리프로필렌은 응력 하에서의 유동 거동으로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분지 지수 g'는 분지의 정도를 정의하고 중합체 분지의 양과 관련이 있다. 분지 지수 g'는
g'= [IV]br/[IV]lin
으로 정의되며, 여기서 g'는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의 분지 지수이고, [IV] br은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의 고유 점도이며, [IV]lin은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와 동일한 중량 평균 분자량(±10% 범위 내)을 갖는 선형 폴리프로필렌의 고유 점도이다. 따라서, 낮은 g' 값은 고 분지형 중합체의 지표이다. 즉, g' 값이 감소하면 폴리프로필렌의 분지는 증가한다. 이와 관련한 참조 문헌으로서, B.H. Zimm 및 W.H. Stockmeyer, J. Chem. Phys. 17,1301 (1949)를 참조한다. 분지 지수 g'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고유 점도는 DIN ISO 1628/1, 1999년 10월(135℃의 Decalin에서)에 따라 측정된다.
분지는 특정 촉매, 즉 특정 단일-사이트 촉매를 사용하거나 화학적 변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특정 촉매를 사용하여 얻은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의 제조에 대해서는 EP 1 892 264를 참조할 수 있다. 화학적 개질에 의해 수득된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에 대해서는 EP 0 879 830 Al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용융 강도가 높은 폴리프로필렌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화학적 개질에 의해 수득되므로 고 융점 폴리프로필렌(HMS-PP)이다. 따라서, 용어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및 "고 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HMS-PP)"은 본 발명에서 동의어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또한 장쇄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즉 고 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HMS-PP)은 우수한 스트레인(strain) 경화 효과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15.0cN 이상의 F30 용융 강도 및 200mm/s 이상의 v30 용융 연신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50.0cN,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5.0cN(예: 25.0 내지 40.0cN) 범위의 F30 용융 강도, 및 200 내지 300mm/s, 바람직하게는 215 내지 285mm/s, 더욱 바람직하게는 235 내지 275mm/s 범위의 v30 용융 연신성을 가진다. F30 용융 강도 및 v30 용융 연신성은 ISO 16790:2005에 따라 측정된다.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예를 들어 임의 수의 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변형되지 않은 프로필렌 중합체를 열분해 라디칼 형성제로 처리 및/또는 이온화 방사선 처리에 의해 생산될 수 있고, 이들 두 처리에 이어서 선택적으로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어 부타디엔, 이소프렌, 디메틸부타디엔, 디비닐벤젠 또는 트리비닐벤젠으로의 처리가 수반되거나 뒤따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이작용성 에틸렌계 불포화"는 예를 들어, 2개의 비방향족 이중 결합,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 또는 시클로펜타디엔에서와 같은 이중 결합의 존재를 의미한다. 자유 라디칼의 도움으로 중합될 수 있는 이러한 이작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만 사용된다. 2개의 이중 결합이 선형 폴리프로필렌의 중합체 사슬에 공유 결합하기 위해 각각 사용되기 때문에, 이작용성 불포화 단량체는 실제로 "불포화"가 아닌 화학적 결합 상태에 있다.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의 예는 특히 다음과 같다:
- polypropylenes modified by reaction with bismaleimido compounds in the melt (EP-A-0 574 801 and EP-A-0 574 804),
- polypropylenes modified by treatment with ionizing radiation (EP 0 190 889 A2),
- polypropylenes modified by treatment with peroxides in the solid phase (EP 0 384 431 A2) or in the melt (EP 0 142 724 A2),
- polypropylenes modified by treatment with bifunctional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under the action of ionizing radiation (EP A 0 678 527),
- polypropylenes modified by treatment with bifunctional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in the presence of peroxides in the melt (EP A 0 688 817 and EP A 0 450 342).
상기 목록에서,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가 바람직하며, 이는 과산화물 처리에 의해, 특히 그 후 이작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 처리에 의해 수득된다.
바람직한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선형 폴리프로필렌을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조건하에서 열분해 가능한 0.01 내지 3중량%의 유기 과산화물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가열 및 용융함으로써 수득된다.
더 바람직한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선형 폴리프로필렌을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조건하에서 열분해 가능한 0.01 내지 3중량%의 유기 과산화물 및 0.2 내지 3중량%의 이작용성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가열 및 용융하여 얻어진다.
이작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선형 폴리프로필렌/과산화물 혼합물을 가열하고 용융하기 전 또는 동안 언제든지 첨가할 수 있다. 이작용성 단량체는 과산화물과 혼합되기 전에 선형 폴리프로필렌에 첨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작용성 단량체는 여전히 고체인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흡수된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이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입자상 선형 프로필렌 중합체를 선형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준으로 0.05 내지 3중량%의, 폴리프로필렌(아실 퍼옥사이드, 알킬 퍼옥사이드, 퍼에스테르(peresters) 및/또는 퍼옥시카보네이트)의 용융 조건하에서 열분해 가능한 유기 과산화물과 혼합하여 제조된다. 과산화물은 선택적으로 불활성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혼합은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과산화물(들)과 혼합한 후 폴리프로필렌/과산화물 혼합물을 이작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들)와 접촉시킨다. 이작용성 단량체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일 수 있으며 순수 또는 희석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로 희석하거나 유기 용매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작용성 단량체는 2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미립자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실제 흡착 시간은 10 ~ 1000초이며, 60 ~ 600초가 바람직하다. 이는 전형적으로 선형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준으로 이작용성 단량체의 흡수량이 0.01 내지 10중량%, 각각 0.05 내지 2중량%이 되도록 한다.
그 후, 폴리프로필렌/과산화물/단량체 혼합물은 불활성 가스, 예를 들어, N2 및/또는 이작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분위기에서 수착 온도에서 210℃까지 가열되고 용융된다. 이로 인해 과산화물이 분해되고 프로필렌 중합체 사슬에서 이작용성 단량체와 반응하는 자유 라디칼이 생성된다.
미반응 단량체와 분해 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해 용융물을 280℃까지 가열하고 마지막으로 용융물을 펠릿화한다.
선형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또는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 및 이러한 단일중합체 및 공중 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낮은 회분 함량, 바람직하게는 회분 함량이 < 60ppm인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를 기반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ii)는 프로필렌의 고 이소택틱 단일중합체 (i)와 같이 프로필렌의 고 이소택틱 단일중합체를 기반으로 제조되며, 프로필렌의 고 이소택틱 단일중합체는 선형이다.
미립자 선형 프로필렌 중합체는 분말, 과립 또는 그릿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술된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연속 반응기, 혼합기, 혼련기(kneaders) 및 압출기에서 수행되는 연속 공정이다. 그러나, 개질된 프로필렌 중합체의 배치 생산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이작용성 단량체는 기체 상으로부터 선형 프로필렌 중합체에 의해 흡수된다.
이작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C4 내지 C10 디엔 및/또는 C7 내지 C10 디비닐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부타디엔, 이소프렌, 디메틸-부타디엔 또는 디비닐벤젠이다.
하기 과산화물들이 위에서 설명한 공정에 적합하다:
- 아실 퍼옥사이드, 예를 들어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4-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3-메톡시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메틸벤조일 퍼옥사이드;
- 알킬 퍼옥사이드, 예를 들어 알릴 tert-부틸퍼옥사이드, 2,2-디(tert-부틸퍼옥시)부탄, 디-tert-아밀 퍼옥사이드, l,1-비스(tert-부틸퍼옥시)-3,3,5 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부틸-4,4-비스(ter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디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 tert-아밀 퍼옥사이드, 디메틸아미노메틸 tert-아밀 퍼옥사이드, 디에틸아미노메틸 tert-부틸 퍼옥사이드, 디메틸아미노메틸 tert-부틸 퍼옥사이드, 1,1-디(tert-아밀퍼옥시) 시클로헥산, tert-아밀 퍼옥사이드, tert-부틸 쿠밀 퍼옥사이드, 메틸 이소부틸 케톤 퍼옥사이드, 2,2-디(4,4-디(tert-부틸퍼옥시)시클로 헥실)프로판, tert-부틸퍼옥사이드 및 1-하이드록시부틸 n-부틸 퍼옥사이드;
- 퍼에스테르 및 퍼옥시카보네이트, 예컨대 tert-부틸 퍼옥시아세테이트, tert-부틸 퍼옥시디에틸아세테이트, 쿠밀 퍼아세테이트, 쿠밀 퍼프로피오네이트, 시클로헥실 퍼아세테이트, 디-tert-부틸 퍼라디페이트, 디-tert-부틸 퍼라젤레이트, 디-tert-부틸퍼글루타레이트, 디-tert-부틸 퍼프탈레이트, 디-tert-부틸 퍼세바케이트, 4-니트로쿠밀 퍼프로피오네이트, 1-페닐에틸 퍼벤조에이트, 페닐에틸 니트로퍼벤조에이트, tert-부틸 바이시클로[2.2.1]헵탄 퍼카르복실레이트, tert-부틸 4-카보메톡시 퍼부티레이트, tert-아밀 퍼옥시 2-에틸헥실 카보네이트, ter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ert-부틸시클로부탄 퍼카르복실레이트, 1,4-디(tert-부틸퍼옥시카보)시클로헥산, 1,1-디(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디(ter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tert-부틸시클로헥실 퍼옥시카르복실레이트, tert-부틸 시클로펜틸퍼카르복실레이트, tert-부틸시클로프로판퍼카르복실레이트, tert-부틸 디메틸퍼신나메이트, tert-부틸 2-(2,2-디페닐비닐)퍼벤조에이트, ter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er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ert-부틸 4-메톡시퍼벤조에이트,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tert-부틸 퍼나프 토에이트, tert-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 2-에틸헥실 카보네이트, tert-부틸 퍼톨루에이트, tert-부틸 1-페닐시클로프로필 퍼카르복실레이트, tert-부틸 2-프로필퍼펜텐-2-오에이트, tert-부틸 1-메틸시클로프로필 퍼카르복실레이트, tert-부틸 4-니트로페닐 퍼아세테이트, tert-부틸니트로페닐 퍼옥시카 바메이트, tert-부틸 N-숙신이미도 퍼카르복실레이트, tert-부틸 퍼크로토네이트, tert-부틸 퍼말레산, tert-부틸 퍼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퍼옥토에이트, tert-부틸 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tert-부틸 퍼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퍼프로피오네이트;
및 이들 과산화물의 혼합물.
특히 바람직한 것은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er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ert-부틸 퍼옥시디에틸아세테이트, 1,4-디(tert-부틸퍼옥시카보)시클로헥산, tert-부틸 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1,1-디(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메틸 이소부틸 케톤 퍼옥사이드, 2,2-디(4,4-디(tert-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 l,1-디(ter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tert-부틸 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ert-아밀 퍼옥시 2-에틸 헥실 카보네이트, 2,2-디(tert-부틸퍼옥시)부탄, tert-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 카 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 2-에틸헥실 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 아세테이트, tert-부틸퍼옥시 벤조에이트, 디-tert-아밀 퍼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들 과산화물은 이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은 중합체-사슬-길이-감소 분해와 원하는 장쇄 분지 사이에 타협하는 것으로 그 작용 방식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β- 핵화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i) 및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ii)에 추가하여-하나의 대안으로-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0.00001중량%의 β-핵화제
를 포함한다.
β-핵화제 (iii)의 양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0.0000001중량%이다.
용어 "β-핵화제"는 육각형 또는 유사 육각 변형으로 프로필렌 중합체의 결정화를 유도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핵화제를 지칭한다. 이러한 핵화제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유형의 β-핵화제는 다음과 같다:
C5-C8-시클로알킬 모노아민 또는 C6-C12-방향족 모노아민 및 C5-C8-지방족, C5-C8-지환족 또는 C6-C12-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의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유형 디아미드 화합물, 예를 들어
N,N '-디-C5-C8-시클로알킬-2,6-나프탈렌 디카르복사미드 화합물, 예컨대
N,N '-디시클로헥실-2,6-나프탈렌 디카르복사미드 및
N,N '-디시클로옥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사미드,
N,N'-디-C5-C8-시클로알킬-4,4-비페닐 디카르복사미드 화합물, 예컨대
N,N '-디시클로헥실-4,4-비페닐 디카르복사미드 및
N,N '-디시클로펜틸-4,4-비페닐 디카르복사미드,
N,N '-디-C5-C8-시클로알킬-테레프탈아미드 화합물, 예컨대
N,N '-디시클로헥실 테레프탈아미드 및 N,N '-디시클로펜틸 테레프탈아미드,
N,N '-디-C5-C8-시클로알킬-1,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사미드 화합물, 예컨대
N,N '-디시클로헥실-1,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사미드 및
N,N '-디시클로헥실-1,4-시클로펜탄 디카르복사미드,
C5-C8-시클로알킬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C6-C12-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및 C5-C8-지환족 또는 C6-C12-방향족 디아민으로부터의 디아민 유도체 유형 디아미드 화합물, 예를 들어
N,N '-C6-C12-아릴렌-비스-벤즈아미드 화합물, 예를 들어,
N,N '-p-페닐렌-비스-벤즈아미드 및 N,N '-1,5-나프탈렌-비스-벤즈아미드,
N,N '-C5-C8-시클로알킬-비스-벤즈아미드 화합물, 예컨대
N,N '-1,4-시클로펜탄-비스-벤즈아미드 및 N,N '-1,4-시클로헥산-비스-벤즈아미드,
N,N '-p-C6-C12-아릴렌-비스-C5-C8-시클로알킬 카르복사미드 화합물, 예컨대
N,N '-1,5-나프탈렌-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복사미드 및
N,N '-1,4-페닐렌-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복스아미드, 및
N,N '-C5-C8-시클로알킬-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예를 들어,
N,N '-1,4-시클로펜탄-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복스아미드 및
N,N '-1,4-시클로헥산-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복사미드,
C5-C8-알킬, C5-C8-시클로알킬- 또는 C6-C12-아릴아미노산, C5-C8-알킬-, C5-C8-시클로알킬- 또는 C6-C12-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및 C5-C8-알킬-, C5-C8-시클로알킬- 또는 C6-C12-방향족 모노-아민의 아미드화 반응으로부터의 아미노산 유도체 유형 디아미드 화합물, 예를 들어
N-페닐-5-(N-벤조일아미노)펜탄 아미드 및
N-시클로헥실-4-(N-시클로헥실-카보닐아미노)벤즈아미드.
추가로 적합한 β-핵화제는 다음과 같다:
퀴나크리돈 유형 화합물, 예를 들어,
5,12-디히드로-퀴노[2,3-b]아크리딘-7,14-디온(즉, 퀴나크리돈), 디메틸퀴나크리돈 및 디메톡시퀴나크리돈,
퀴나크리돈 퀴논 유형 화합물, 예를 들어,
퀴노[2,3-b]아크리딘-6,7,13,14(5H,12H)-테트론(즉, 퀴나크리돈 퀴논), 및 디메톡시퀴나크리돈 퀴논 및 디히드로퀴나크리돈 유형 화합물, 예를 들어, 5,6,12,13-테트라히드로퀴노[2,3-b]아크리딘-7,14-디온(즉, 디히드로퀴나크리돈), 디메톡시디히드로퀴나크리돈 및 디벤조디히드로퀴나크리돈.
또 다른 적합한 β-핵화제는 주기율표 IIa족 금속의 디카르복실산 염, 예를 들어 피멜산 칼슘염 및 수베르산 칼슘염; 및 주기율표 IIa족의 금속염 및 디카르 복실산의 혼합물.
또 다른 적합한 β-핵화제는 주기율표 IIa족의 금속염 및 하기 화학식의 이미도산이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x = 0 내지 4; R = H,-COOH, C1-C12-알킬, C5-C8-시클로알킬 또는 C6-C12-아릴, 및 Y = C1-C12-알킬, C5-C8-시클로알킬 또는 C6-C12-아릴-치환된 2가 C6-C12-방향족 잔기, 예를 들어,
프탈로일글리신, 헥사히드로프탈로일글리신, N-프탈로일알라닌, 프탈이미도아세테이트 및/또는 N-4-메틸프탈로일글리신의 칼슘 염.
바람직한 β-핵화제는 N,N '-디시클로헥실-2,6-나프탈렌 디카르복사미드, EP 177961 및 EP 682066에 기술된 β-핵화제의 임의의 하나 또는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β-핵화제는
5,12-디히드로-퀴노[2,3-b]아크리딘-7,14-디온(CAS 1047-16-1)(즉, 퀴나크리돈), 퀴노[2,3-b]아크리딘-6,7,13,14(5H,12H)-테트론(CAS 1503-48-6)(즉, 퀴나크리돈 퀴논), 5,6,12,13-테트라히드로퀴노[2,3-b]아크리딘-7,14-디온(CAS 5862-38-4)(즉, 디히드로퀴나크리돈), N,N '-디시클로헥실-2,6-나프탈렌 디카르복사미드 (CAS 153250-52-3) 및 주기율표의 IIa족 금속을 갖는 7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의 염, 바람직하게는 칼슘 피멜레이트(CAS 19455-79-9)이다.
보다 더 바람직한 β-핵화제는 5,12-디히드로-퀴노[2,3-b]아크리딘-7,14-디온(CAS 1047-16-1), 퀴노[2,3-b]아크리딘-6,7,13,14(5H,12H)-테트론(CAS 1503-48-6), 및 5,6,12,13-테트라히드로퀴노[2,3-b]아크리딘-7,14-디온(CAS 5862-38-4)이며, BASF에서 Cinquasia Gold YT-923-D로 판매된다.
이러한 β-핵화제는 매우 높은 활성이 특징이다. Cinquasia Gold YT-923-D는 활성이 매우 높고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β-핵화제로서 선호된다.
통상적인 첨가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iv)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첨가제 (iv)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통상적인 첨가제 (iv)는 바람직하게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산 제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는 93 내지 98%의 이소택틱성(isotacticity)을 갖는다. 특히 95 내지 98%의 이소택틱성을 갖는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가 필름 제조에 사용될 때, 이 중합체는 90 내지 94%의 이소택틱성을 갖는 통상적인 프로필렌 단일중합체보다 분해되기 더 쉽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안정화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산화제 및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장애 페놀 그룹에서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 또는 황을 함유하지 않는 장애 페놀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산화제 및 안정화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상표명 Irganox 1330, Anox 330, Ethanox 330 및 Kinox-30으로 판매됨), 펜타에리트리틸-tetrakis(3-(3',5'-di-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상표명 Irganox 1010, Anox 20, Ethanox 310TF 및 Kinox-10로 판매됨), 옥타데실 3-(3',5'-di-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상표명 Irganox 1076, Anox PP 18 및 Kinox-16로 판매됨), 부틸히드록시톨루엔 (상표명 Ionol CP 및 Vulkanox BHT로 판매됨), 1,3,5-tris(3',5'-di-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상표명 Irganox 3114, Anox IC-14, Ethanox 314 및 Kinox-34로 판매됨) ), 및 2,5,7,8-테트라메틸-2(4',8',12'-트리메틸트리데실)크로만-6-올(상품명 Irganox E 210 및 알파-토코페롤로 판매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다.
항산화제 및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0 내지 8000ppm의 총량으로 존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항산화제 및 안정화제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0 내지 7000pp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6000ppm, 특히 1500 내지 6000ppm의 총량으로 존재한다.
특히, 항산화제 및 안정화제는 트리스(2,4-di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와 같은 2차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인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러한 화합물은 최종 커패시터에서 소산(dissipation)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산 제거제는 일반적으로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유기산 염이다. 이는 중합체에서 산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및 아연 산화물이 있다. 산 제거제는 전형적으로 50ppm 내지 2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ppm 내지 1000ppm의 양으로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90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93 내지 9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9중량%, 특히 99 내지 99.9중량%의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를 포함한다.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에 추가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하나의 대안으로- 0.0000001 내지 1중량%의 중합체성 α-핵화제 (ii) 및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 (iv)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이 대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i) 이외의 프로필렌 단일-또는 공중합체 (iii)을 최대 9.99중량%로 포함한다.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 단일-또는 공중합체 (iii)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0pp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ppm, 특히 1 내지 50ppm의 양으로 중합체성 α-핵화제를 포함한다.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 특히 0.1 내지 1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대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선형 폴리프로필렌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및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은 장쇄 분지를 함유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장쇄 분지를 함유하는 추가 중합체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첨가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이 대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및 중합체 α-핵화제 (ii)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중합체성 α-핵화제 ( ii), 및 통상적인 첨가제 (iv)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중합체성 α-핵화제 (ii),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 및 통상적인 첨가제 (iv)로 구성되고, 각각의 경우 그 양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특히, 이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95 내지 99.9중량%의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0ppm의 양으로 함유하는 0.1 내지 5중량%의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 및 0.05 내지 0.8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 (iv)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들로 이루어진다.
이 대안의 보다 더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98.2 내지 99.8중량%의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중합체성 α-핵화제 (ii)를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0ppm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ppm의 양으로 함유하는 0.1 내지 1중량%의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 및 0.1 내지 0.8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 (iv)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들로 이루어진다.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에 추가하여,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하나의 대안으로- 0.9 이하의 분지 지수 g'를 갖는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ii) 0.1 내지 9.99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 (iv)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이 대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최대 0.00001중량%의 β-핵화제 (iii)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대안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및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ii)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ii), 및 통상적인 첨가제 (iv)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ii), β-핵화제 (iii), 및 통상적인 첨가제 (iv)로 구성되며, 각각의 경우 그 함량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g/10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g/10분의 용융 유속 MFR2를 갖는다.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BOPP ) 필름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해 결정된 기계적 결함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기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된다. 추가로, 이 필름은 또한, 필름이 금속화된 경우 금속 층과 같은 추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은 필름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10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함유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은 95 내지 10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함유하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중량%, 예컨대 99 내지 10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 층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은 추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은 예를 들어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를 포함하는 또 다른 층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필름은 또한, 금속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필름이 커패시터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경우 금속 층이 존재한다.
최종 추가 중합체 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층과 함께 공압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공압출된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적층되어 필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필름은 또한, 금속 층을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 층을 함유한다. 금속 층은 전기 제련 진공 증착, 이온 빔 진공 증착, 스퍼터링 또는 이온 도금과 같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식으로 필름 표면에 증착될 수있다. 이러한 금속 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0Å(0.01㎛)에서 5000Å(0.5㎛)이다.
BOPP 필름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0.5 내지 10㎛ 또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예컨대 1 내지 3㎛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필름을 기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동시에 배향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필름을 기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동시에 배향하여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수득하는 공정은 연속 공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BOPP 필름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커패시터
본 발명은 상기에서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층을 포함하는 절연 필름을 포함하는 커패시터에 관한 추가 양태에 따른 것이다.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연속 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9중량%의, 이소택틱 펜타드 분획의 함량이 93 내지 98%이고 용융 유속 MFR2가 0.4 내지 10g/10분인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및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01 내지 1중량%의 중합체성 α-핵화제, 또는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99중량%의, 분지 지수(branching index) g'가 0.9 이하인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평면 필름으로 압출하는 단계,
(C) 평면 필름을 기계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동시에 연속 공정으로 배향하여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는 단계, 및
(D)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회수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에 추가하여,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01 내지 1중량%의 중합체성 α-핵화제, 및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9.99중량%의,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i) 이외의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또는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99중량%의, 분지 지수(branching index) g'가 0.9 이하인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및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0.00001중량%의 β-핵화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iv)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이의 (선택적) 성분들, 즉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중합체 α-핵화제 (ii),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iii) 및 통상적인 첨가제 (iv); 또는 고 이소택틱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ii), β-핵화제 (iii) 및 통상적인 첨가제 (iv)와 관련해서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본 발명의 상기 제공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기 위해 평면 필름을 기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동시에 배향하는 단계는 연속 공정으로 수행되며, 바람직하게는, 20 kg/h 내지 900 kg/h의 처리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 25 kg/h 내지 500 kg/h의 처리량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공정은 적절하게 실행될 때 중단없이 제품 제품을 생산하고/하거나 배치로 제품을 생산하지 않는 임의의 공정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미에서 연속 공정은 특히 배치 공정과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이에 따른 배치 공정의 예는 특히 Bruckner Karo IV laboratory 스트레쳐로 수행되는 공정일 수 있음).
본 발명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해 결정된 기계적 결함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나의 적합한 방법에 따르면, 평면 다이를 통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압출하여 무-배향 필름을 얻고, 압출물을 수거하고 회전 냉각 롤로 냉각시켜 필름이 고형화한다.
냉각 롤은 무-배향 필름을 오븐에 설치된 텐터 프레임(tenter frame)으로 지속적으로 운반한다. 텐터 프레임은 리니어 모터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클립이 기계 방향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레일로 구현된다. 오븐 입구에서 출구까지 두 개의 레일은 예열, 연신(draw) 및 이완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평행하고 발산하며 약간 수렴하는 상호 배열을 가진다. 무-배향 캐스트 필름의 이축 연신은 텐터의 예열 구역으로 무-배향 캐스트 필름을 공급하여 실행되는데, 그 입구에서 클램프가 양쪽에서 무-배향 캐스트 필름을 잡는다. 클램프의 이동 방향은 압출, 즉 기계 방향(MD)이며 MD의 클립-클립 간 거리는 예열 영역 내에서 일정하다. 연신 영역의 레일-레일 간 거리는 무-배향 캐스트 필름의 가로 방향(TD) 연신을 달성하기 위해 예열 영역에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동시에, TD로 배향되는 동안, MD에서 클립-클립 간 거리가 증가하여 방향이 지정되지 않은 캐스트 필름의 MD 연신이 수행된다. MD 대 TD 연신 비율은 6.0 대 6.0 또는 6.5 대 6.5 등이 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6.5 대 6.2 내지 6.5 대 8.5이다. 바람직하게는, TD 또는 MD의 연신 비는 예를 들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 8.0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물은 먼저 다이를 통해 냉각 롤로 압출된다. 냉각 롤 표면 온도는 10 ~ 100℃, 바람직하게는 20 ~ 98℃로 유지된다. 시트의 두께는 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이다.
그 다음, 필름은 텐터 프레임으로 전달되고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연신된다. 텐터 오븐 온도는 160 내지 175℃ 사이의 온도로 설정된다.
이축 배향 필름은 맨드릴(mandrel)에 수거되며, 그 전에 양쪽에서 트리밍되어 클립이 필름을 고정하는 무-배향된 가장자리는 제거된다.
커패시터의 절연 필름 층으로서 BOPP 필름의 용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은 커패시터의 절연 필름 층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특히 양호한 표면 특성은, 특정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바람직하게는 연속 공정으로 수행되는 필름의 동시 배향의 결과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해 본원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정의/측정 방법
용어 및 결정 방법의 다음 정의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하기 실시예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상기 일반적인 설명에 적용된다.
용융 유속
용융 유속 MFR2는 2.16 kg의 하중 하 230℃에서, ISO 1133에 따라 결정되었다.
NMR 분광법에 의한 미세구조 정량화
정량적 핵자기 공명(NMR) 분광법을 사용하여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의 등장성 및 위치-규칙성을 정량화했다.
정량적 13C{1H} NMR 스펙트럼은 1H 및 13C에 대해 각각 400.15 및 100.62MHz에서 작동하는 Bruker Advance III 400 NMR 분광기를 사용하여 용액 상태로 기록되었다. 모든 스펙트럼은 모든 공압(pneumatics)에 대해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125℃에서 13C 최적화된 10mm 확장 온도 프로브헤드를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약 200mg의 물질(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을 1,2-테트라클로로에탄-d2(TCE-d2)에 용해시켰다. 균일한 용액을 보장하기 위해, 열 블록에서 초기 샘플을 준비한 후, NMR 튜브를 회전 오븐에서 최소 1시간 동안 추가로 가열했다. 자석에 삽입시, 튜브가 10Hz로 회전하였다. 이 설정은 주로 택티시티(tacticity) 분포 정량화에 필요한 고해상도를 위해 선택되었다(Busico, V., Cipullo, R., Prog. Polym. Sci. 26 (2001) 443; Busico, V.; Cipullo, R., Monaco, G., Vacatello, M., Segre, A.L., Macromolecules 30 (1997) 6251). 표준 단일-펄스 여기를 NOE 및 이중-수준 WALTZ 16 디커플링 스킴을 사용하여 채용하였다(Zhou, Z., Kuemmerle, R., Qiu, X., Redwine, D., Cong, R., Taha, A., Baugh, D. Winniford, 15 B., J. Mag. Reson. 187 (2007) 225; Busico, V., Carbonniere, P., Cipullo, R., Pellecchia, R., Severn, J., Talarico, G., Macromol. Rapid Commun. 2007, 28, 11289). 스펙트럼 당 총 8192(8k) 과도 전류(transients)가 획득되었다.
정량적 13C{1H} NMR 스펙트럼을 소유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공 및 통합하고, 적분하여 그 관련 정량적 특성을 결정하였다.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의 경우 모든 화학적 이동은 내부적으로 21.85ppm에서 메틸이소택틱 펜타드(mmmm)를 기준으로 한다.
위치 결함에 해당하는 특성 신호(Resconi, L., Cavallo, L., Fait, A., Piemontesi, F., Chem. Rev. 2000, 100, 1253; Wang, W-J., Zhu, S., Macromolecules 33 (2000), 1157; Cheng, H. N., Macromolecules 17 (1984), 1950) 또는 공-단량체가 관찰되었다.
택티시티 분포는 관심있는 스테레오 서열과 관련이 없는 부위에 대해 23.6-19.7ppm의 메틸 영역 통합을 통해 정량화되었다(Busico, V., Cipullo, R., Prog. Polym. Sci. 26 (2001) 443; Busico, V., Cipullo, R., Monaco, G., Vacatello, M., Segre, A.L., Macromolecules 30 (1997) 6251). 펜타드 이소택틱성은 이소택틱 펜타드(mmmm)의 분획을 의미한다.
용융 강도 및 용융 연신성 (Melt strength and melt extensibility)
본원에 설명된 시험은 ISO 16790:2005를 따른다.
변형 경화 거동(strain hardening behaviour)은 "Rheotens-Mastercurves and Drawability of Polymer Melts", M. H. Wagner, Polymer Engineering and Sience, Vol. 36, 925-935)" 논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중합체의 변형 경화 거동은 Rheotens 장치(product of Gottfert, Siemensstr.2, 74711 Buchen, Germany)에 의해 분석되며, 이는 정의된 가속도로 아래로 당김으로써 용융 스트랜드가 늘어나게 한다.
Rheotens 실험은 산업용 방적 및 압출 공정을 시뮬레이션한다. 원칙적으로 용융물은 둥근 다이를 통해 압착되거나 압출되고 그 결과 생성된 스트랜드는 분리된다. 압출물에 대한 응력은 용융 특성 및 측정 매개 변수(특히 출력과 운반 속도(haul-off speed) 사이의 비율, 실질적으로 확장 속도 측정)의 함수로 기록된다. 물질을 실험실 압출기 FLAAKE Polylab 시스템과 원통형 다이(L/D = 6.0/2.0 mm)가있는 기어 펌프로 압출하였다. F30 용융 강도 및 v30 용융 연신성을 측정하기 위해 압출기 출구(= 기어 펌프 입구)의 압력을 압출된 폴리머의 일부를 우회하여 30bar로 설정한다. F200 용융 강도 및 v200 용융 연신성을 측정하기 위해 압출기 출구 (= 기어 펌프 입구)의 압력을 압출된 폴리머의 일부를 우회하여 200bar로 설정한다. 기어 펌프는 5mm/s의 스트랜드 압출 속도로 사전 조정되었고 용융 온도는 200 ℃로 설정되었다. 다이와 Rheotens 휠 사이의 스핀라인 길이는 80mm였다. 실험 시작시, Rheotens 휠의 권취 속도를 압출된 폴리머 스트랜드의 속도(인장력 0)로 조정했다: 그런 다음, Rheotens 휠의 권취 속도를 중합체 필라멘트가 끊어질 때까지 천천히 증가시켜 실험을 시작했다. 휠 가속도는 거의 안정된 조건에서 인장력을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았다. 아래로 당겨지는 용융 스트랜드(2)의 가속도는 120mm/sec2였다. Rheotens는 PC 프로그램 EXTENS와 함께 작동되었다. 이는 인장력 및 인발 속도(drawdown speed) 측정 데이터를 표시 및 저장하는 실시간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이다. Rheotens 곡선(힘 vs pulley 회전 속도)의 끝점에서 중합체 스트랜드가 파열되는데, 이는 각각 F30 용융 강도 및 v30 용융 연신성 값 또는 F200 용융 강도 및 v200 용융 연신성 값으로 취해진다.
고유 점도
분지 지수 g'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고유 점도는 DIN ISO 1628/1, 1999년 10월(135℃의 Decalin에서)에 따라 측정된다.
다분산 지수, PI
동적 유변학 측정을 25mm 직경의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형상을 사용하여 200℃의 질소 대기 하에서 압축 성형된 샘플에서 Rheometrics RDA-II QC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진동 전단 실험은 ISO 6721-10에 따라 0.01 ~ 500 rad/s의 주파수에서 선형 점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수행하였다. 저장 계수(G'), 손실 계수(G"), 복소 계수(G*)(complex modulus) 및 복소 점도(η*)의 값은 주파수(ω)의 함수로 구했다.
제로 전단 점도(η0)는 복소 점도의 역수로 정의된 복소 유동성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따라서, 실제 및 가상 부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ω) = η'(ω)/[η'(ω)2 + η''(ω)2] 및
f''(ω) = η''(ω)/[η'(ω)2 + η''(ω)2]
η' = G''/ω 및 η'' = G'/ω
f'(ω) = G''(ω)*ω/[G'(ω)2 + G''(ω)2]
f''(ω) = G'(ω)*ω/[G'(ω)2 + G''(ω)2]
PI = 105/Gc는 G'(ω) 및 G''(ω)의 교차점으로부터 계산되며, G'(ωc) = G''(ωc) = Gc를 유지한다.
용융 온도 T m , 결정화 온도 T c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차 주사 열량계) 실험을 ISO 11357/1에 따라 인듐, 아연, 주석으로 보정된 TA Instruments Q2000 장치에서 실행하였다. 이 측정은 ISO 11357/3에 따라 -30 내지 225℃의 온도에서 10℃/min의 스캔 속도로 가열/냉각/가열 사이클로 5 ± 0.5mg 샘플에 대해 질소 대기(50mL min-1) 하에서 실행하였다. 용융(Tm) 및 결정화(Tc) 온도는 각각 냉각주기 및 두 번째 가열주기에서 흡열 및 발열의 피크로 취했다.
회분 함량
중합체의 회분 함량을 계량된 백금 도가니에서 중합체를 연소시켜 측정했다. 약 100g의 중합체를 도가니에 넣었다. 도가니는 분젠 버너 화염에서 가열되어 중합체가 천천히 연소되었다. 중합체가 완전히 연소된 후 도가니를 냉각하고 건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회분 함량은 잔류물의 중량을 중합체 샘플의 중량으로 나눈 값이다. 최소 두 번 측정을 하였고, 측정 간의 차이가 7ppm 이상이면 세 번째 측정을 하였다.
주사 전자 현미경 ( SEM )
FEI Quanta 200F 현미경을 사용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수행했다. 필름을 Polaron 스퍼터 코터를 2.2kV 및 플라즈마 내부 전류 5mA 미만으로 60초 동안 작동하여 Au/Pd로 스퍼터링하였다. BOPP 필름의 에어 나이프 및/또는 냉각 롤 측면 모두에서 최소 하나의 샘플을, 크기는 약 2×2cm2로 필름의 임의의 위치에서 잘라내어 다른 영역, 바람직하게는 1, 2, 3 및/또는 4개의 다른 영역에서 분석하여 결함을 조사였는데, 일반적으로 2kV 가속 전압, 2.5 스팟 크기로 설정하고, ETD 감지기를 사용한다. 1개, 바람직하게는 2개, 3개 또는 4개의 이미지를 수집하고 1024×943 픽셀2의 각 샘플에서 분석하되, 10×9.2 내지 60×55.2㎛2의 면적 크기에 해당하는 5000x 내지 30000x 범위의 배율로 분석했다.
2. 실시예
하기 물질 및 화합물들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iHPP - WO 2017/064224의 참고 실시예 1에 따라 생산된, 프로필렌의 고 이소택틱 단일중합체.
nPP - WO 2017/064224의 참고 실시예 3에 따라 생산된, 핵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HMS - WO 2017/064224의 참고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고 용융 강도 폴리프로필렌,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실시예에서 사용된 β-핵화제는 BASF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β-핵화제 Quinacridonequinone CGNA-7588이다.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BASF에서 Irganox 1010으로 판매함.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iHPP 99.5중량% 및 nPP 0.5중량%의 용융 블렌드이며, 이하에서는 iHPP/α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iHPP 98.9중량%, HMS 1.0중량% 및 β-핵화제 0.0001중량%(1ppm)의 용융 블렌드이며, 이하에서 iHPP-HMS/β로 지칭된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Briickner Maschinenbau GmbH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파일럿 스케일 이축 배향 라인을 사용하여 가공하였다. 필름을 35kg/h의 속도로 10m/분의 냉각 롤/필름 속도로 90℃에서 유지되는 냉각 롤 상으로 240㎛ 두께의 시트로 압출하였다. 이 필름은 Briickner Maschinenbau GmbH의 독점 기술인 LISIM® 기술을 적용한 텐터 프레임으로 10m/분의 속도로 공급되었다. 그 다음 필름을 텐터 프레임과 오븐을 통해 연속적으로, 즉 160-170℃로 유지되는 예열 구역을 통해 10m/분의 MD 속도로 운반한 다음, TD 및 MD 연신(draw)에 대해서는, 165-175℃로 유지되는 연신 구역을 통해 운반하였는데, 전자는 프레임의 TD 확장에 의해, 후자는 MD의 클립을 60m/min의 말단 MD 속도로 가속함으로써 운반하였다. 텐터의 이완 구역은 연신 구역과 동일한 온도로 유지하였다. MD 및 TD의 엔지니어링 연신 비율은 6.5 × 9.0이었다.
비교를 위해, BOPP 필름을 얻기 위한 순차적 배향도 적용하였는데, 이는 캐스트 필름 압출과 텐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MDO(기계 방향 배향) 장치를 포함하는 LISIM® 공정과 동일한 BOPP 라인에서 수행되었다. 필름을 35kg/h의 속도로 10m/min의 냉각 롤/필름 속도로 90℃에서 유지된 냉각 롤 상으로 240㎛ 두께의 시트로 압출하였다. 이 캐스트 필름을 12개의 롤로 구성된 MDO 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였고, 그 중 처음 6개는 필름을 예열하기 위해 95 내지 130℃로 가열하였고, 후속 2개는 연신을 위해 140℃로 유지하였으며, 마지막 4개는 어닐링을 위해 110-124℃ 사이로 유지하였다. MD 연신 단계는 8번째와 9번째 롤 사이에서 수행되었으며, 롤 9-12를 50m/min 속도로 실행하여 MDO 또는 MD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MDO 필름은 사전 가열을 위해 180-175℃, 연신(drawing)을 위해 175-165℃, 이완을 위해 165-170℃의 온도로 텐터 프레임 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었다. 텐터 작업에서 MD 클립 대 클립 거리는 일정했으며 MDO 필름은 텐터의 발산 연신 영역에서 TD로만 당겨졌다. MD 및 TD의 엔지니어링 연신 비율은 5.0 × 9.0이었다.
이하에서는, 수득된 BOPP 필름을 동시 배향에 대해 "SIM", 및 순차적 배향에 대해 "SEQ"로 지칭되는데, 즉 "SIM 6.5×9.0"의 경우 기계 방향으로 6.5의 연신 비율과 가로 방향의 9.0의 연신 비율을 지칭하는 것이다.
시험된 모든 BOPP 필름의 두께는 약 3.8㎛이었다. 이 두께는 두께가 다른(비-배향) 평면 필름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기계 방향(MD) 및 가로 방향(TD)을 변경하는 다른 연신 비율을 적용하여 원하는 두께가 3.8㎛인 BOPP 필름을 수득함으로써 얻었다.
표 1은 본원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일부 특성을 보여준다.
표 2는 BOPP 필름의 제조 공정 조건 및 수득한 필름의 두께를 보여준다.
표 1: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특성
Figure pct00002
PI 다분산 지수
DS 데칼린 가용액(decaline solubles)
BHT 부틸히드록시톨루엔
CaSt 칼슘 스테아레이트
표 2 : iHPP 기반 BOPP 필름의 공정 조건 및 두께
Figure pct00003
DR은 용융물의 연신 비율이다.
VMD , cast, Vinlet, Voutlet은 각각 캐스트 필름을 얻기 위한 기계 방향의 속도, BOPP 필름을 얻기 위한 입구 및 출구의 속도이다.
dcast 및 dBOPP는 각각 캐스트 필름과 BOPP 필름의 두께이다.
도 1은 기계 방향으로만 연신한(연신 비율 5.0) 2개의 서로 다른 필름 (위: iHPP/α; 아래: iHPP-HMS/β)의 에어 나이프 측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얻은 이미지를 세 가지 다른 배율로 보여준다.
도 2는 순차적 공정 모드(SEQ)와 동시적(SIM) 기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연신한 2개의 상이한 조성물에 기초한 4개의 상이한 필름의 에어 나이프 측면의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얻은 이미지를 각각 2개의 다른 배율로 보여준다(각 샘플에 대해 2개의 이미지). 4개 이미지 중 왼쪽 블록에 있는 필름은 iHPP/α를 기반으로 한 것이고, 4개 이미지 중 오른쪽 블록에 있는 필름은 iHPP-HMS/β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4개의 이미지의 각 블록에서 왼쪽 두 필름은 SEQ 5.0×9.0, 오른쪽 두 필름은 SIM 6.5×9.0이다.
이러한 이미지에서 명확하게 도출할 수 있는 것은 도 1에 표시된 것처럼 기계 방향으로만 연신하면 가장 높은 배율로 볼 수 있는 기계적 결함 부위를 특히 분화구(crater) 바닥에서 유발한다는 것이다.
도 2에서는 2개의 서로 다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대한 순차 공정 모드에 대한 동일한 내용을 보여준다. 실제로 분화구 또는 돌출부의 테두리 바닥에 있는 기계적 결함 부위를 다시 볼 수 있다. 그러나, 기계 방향과 가로 방향의 방향이 동시에 적용될 때, 분화구 또는 돌출부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 바닥에 기계적 결함 부위는 존재하지 않았다.

Claims (15)

  1.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속 공정 생산용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9중량%의, 이소택틱 펜타드 분획의 함량이 93 내지 98%이고 용융 유속 MFR2가 0.4 내지 10g/10분인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및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01 내지 1중량%의 중합체성 α-핵화제, 또는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99중량%의, 분지 지수(branching index) g'가 0.9 이하인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기계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연속 공정으로 동시에 연신되며,
    상기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본 설명에 따라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해 결정된 기계적 결함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에 추가하여,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01 내지 1중량%의 중합체성 α-핵화제, 및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9.99중량%의,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i) 이외의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또는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99중량%의, 분지 지수(branching index) g'가 0.9 이하인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및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0.00001중량%의 β-핵화제
    를 포함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iv)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30ppm 이하의 회분 함량을 갖고/갖거나
    TD 또는 MD 중 한 방향으로의 연신 비율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 8.0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α-핵화제가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3-메틸-1-부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β-핵화제는 5,12-디히드로-퀴노[2,3-b]아크리딘-7,14-디온, 퀴노[2,3-b]아크리딘-6,7,13,14(5H,12H)-테트론, 5,6,12,13-테트라히드로퀴노[2,3-b]아크리딘-7,14-디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적인 첨가제가 산화 방지제, 안정화제, 산 제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필름은 2 내지 5㎛, 바람직하게는 > 2 내지 < 5㎛, 바람직하게는 > 2 내지 4.5㎛ 또는 3 내지 5㎛,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의 두께를 가지고/가지거나,
    연속 공정의 처리량이 20 kg/h 내지 900 kg/h, 더욱 바람직하게는 > 25 kg/h 내지 500 kg/h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금속 층을 또한 포함하는,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층을 포함하는 절연 필름을 포함하는 커패시터.
  11. (A) (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0 내지 99.9중량%의, 이소택틱 펜타드 분획의 함량이 93 내지 98%이고 용융 유속 MFR2가 0.4 내지 10g/10분인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및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01 내지 1중량%의 중합체성 α-핵화제, 또는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99중량%의, 분지 지수(branching index) g'가 0.9 이하인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평면 필름으로 압출하는 단계,
    (C) 평면 필름을 기계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동시에 연속 공정으로 배향하여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는 단계, 및
    (D)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 공정으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i)에 추가하여,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01 내지 1중량%의 중합체성 α-핵화제, 및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9.99중량%의,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i) 이외의 프로필렌 단일- 또는 공중합체; 또는
    (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9.99중량%의, 분지 지수(branching index) g'가 0.9 이하인 분지형 프로필렌 중합체, 및
    (iii)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0.00001중량%의 β-핵화제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iv)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중량%의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 공정의 처리량이 20kg/h 내지 900kg/h, 더욱 바람직하게 > 25kg/h 내지 500kg/h이고/이거나 TD 또는 MD 중 한 방향으로의 연신 비율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 8.0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인,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해 결정된 기계적 결함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방법.
KR1020217021731A 2018-12-20 2019-12-20 표면 특성이 개선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2593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14699 2018-12-20
EP18214699.3 2018-12-20
PCT/EP2019/086505 WO2020127862A1 (en) 2018-12-20 2019-12-20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with improved surface proper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951A true KR20210102951A (ko) 2021-08-20
KR102593924B1 KR102593924B1 (ko) 2023-10-25

Family

ID=6475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731A KR102593924B1 (ko) 2018-12-20 2019-12-20 표면 특성이 개선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98237B1 (ko)
JP (1) JP7311604B2 (ko)
KR (1) KR102593924B1 (ko)
CN (1) CN113242793A (ko)
WO (1) WO2020127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6299B1 (en) 2021-05-03 2024-07-03 Borealis AG Thermally treat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CN114015151A (zh) * 2021-10-28 2022-02-08 安徽飞达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击穿电压的聚丙烯电容器膜
CN115194977B (zh) * 2022-07-18 2023-07-21 天津大学 一种电容器用长链支化聚丙烯薄膜高温击穿性能提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7460A (ja) * 2006-11-21 2008-06-05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ー用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それを用いてなる金属化フィルムおよびコンデンサー
KR20080096590A (ko) * 2006-02-17 2008-10-30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20140054348A (ko) * 2011-08-30 2014-05-08 보레알리스 아게 커패시터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80061328A (ko) * 2015-10-16 2018-06-07 보레알리스 아게 프로필렌 폴리머 조성물로 제조된 이축 연신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229A (ja) 1983-10-24 1985-05-21 Japan Styrene Paper Co Ltd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
AT381110B (de) 1984-10-11 1986-08-25 Danubia Petrochemie Polypropylen, kristalline copolymere desselben oder mischungen mit anderen polyolefinen mit ueberwiegendem polypropylenanteil mit hoher schlagzaehigkeit und spannungsrissbestaendigkeit und dessen verwendung
CA1280543C (en) 1985-01-31 1991-02-19 B. Joseph Scheve Polypropylene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 process for making it, and use thereof
US5047485A (en) 1989-02-21 1991-09-10 Himont Incorporated Process for making a propylene polymer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 and use thereof
IT1242305B (it) 1990-03-09 1994-03-04 Ausimont Srl Composizioni di polipropilene reticolato atte alla preparazione di materiali espansi
DE4219861A1 (de) 1992-06-17 1993-12-23 Basf Ag Mit Bismaleinimidoverbindungen teilvernetzte Olefinpolymerisate
DE4219863A1 (de) 1992-06-17 1993-12-23 Basf Ag Maleinsäurebisimidvernetzte, weiche Polyolefinmischungen
FI95387C (fi) 1992-12-29 1996-01-25 Borealis As Menetelmä -olefiinien polymeroimiseksi sekä esipolymeroitu katalyyttikompositio ja menetelmä tämän valmistamiseksi
JP3171422B2 (ja) 1994-04-20 2001-05-28 日本原子力研究所 改質ポリプロピレン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成形品
AT404252B (de) 1994-05-13 1998-10-27 Danubia Petrochem Polymere Verfahren zur erhöhung des anteiles der beta-modifikation in polypropylen
JPH0873546A (ja) 1994-06-23 1996-03-19 Basf Ag 不飽和エステルで部分的に架橋された合成樹脂材料
EP0745637A1 (de) * 1995-05-31 1996-12-04 Hoechst Aktiengesellschaft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mit hohem Flächenmodul
US6204348B1 (en) 1997-05-20 2001-03-20 Borealis Gmbh Modified polypropylenes of improved processability
FI974175A (fi) 1997-11-07 1999-05-08 Borealis As Menetelmä polypropeenin valmistamiseksi
FI980342A0 (fi) 1997-11-07 1998-02-13 Borealis As Polymerroer och -roerkopplingar
FI974177A0 (fi) 1997-11-07 1997-11-07 Borealis As Faergade polypropensammansaettningar
FI991057A0 (fi) 1999-05-07 1999-05-07 Borealis As Korkean jäykkyyden propeenipolymeerit ja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DE602005023757D1 (de) 2005-12-22 2010-11-04 Borealis Tech Oy Polypropylen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 Propylencopolymer
ATE451421T1 (de) 2005-12-22 2009-12-15 Borealis Tech Oy Polypropylen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 propylenhomopolymer
EP1818365A1 (en) 2006-02-14 2007-08-15 Borealis Technology Oy Polypropylene compositions
ES2558256T3 (es) * 2006-07-10 2016-02-02 Borealis Technology Oy Películas de polipropileno orientadas biaxialmente
EP1967547A1 (en) 2006-08-25 2008-09-10 Borealis Technology OY Extrusion coated substrate
ATE487593T1 (de) * 2006-08-31 2010-11-15 Treofan Germany Gmbh & Co Kg Biaxial orientierte elektroisolierfolie
EP2418237A1 (en) * 2010-08-12 2012-02-15 Borealis AG Easy tear polypropylene film without notch
EP2543684B1 (en) 2011-07-07 2016-12-21 Borealis AG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isotactic polypropylene
JP6120180B2 (ja) * 2012-03-28 2017-04-26 東レ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化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CN105143320B (zh) * 2013-03-15 2018-04-03 东丽株式会社 电容器用双轴取向聚丙烯膜、金属化膜及膜电容器
ES2771153T3 (es) * 2014-09-11 2020-07-06 Borealis Ag Composición de polipropileno para película de capacitor
EP3015504A1 (en) * 2014-10-27 2016-05-04 Borealis AG Heterophasic polypropylene with improved puncture respectively impact strength/stiffness balance
CN107406644A (zh) * 2015-03-31 2017-11-28 普瑞曼聚合物株式会社 膜电容器用聚丙烯、膜电容器用双轴拉伸膜、膜电容器以及这些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590A (ko) * 2006-02-17 2008-10-30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JP2008127460A (ja) * 2006-11-21 2008-06-05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ー用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それを用いてなる金属化フィルムおよびコンデンサー
KR20140054348A (ko) * 2011-08-30 2014-05-08 보레알리스 아게 커패시터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80061328A (ko) * 2015-10-16 2018-06-07 보레알리스 아게 프로필렌 폴리머 조성물로 제조된 이축 연신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98237A1 (en) 2021-10-27
JP7311604B2 (ja) 2023-07-19
EP3898237B1 (en) 2024-04-17
KR102593924B1 (ko) 2023-10-25
WO2020127862A1 (en) 2020-06-25
CN113242793A (zh) 2021-08-10
JP2022513838A (ja)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548B1 (ko) 캐패시터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US11851552B2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with improved breakdown strength
KR102593924B1 (ko) 표면 특성이 개선된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JP6592192B2 (ja) プロピレンポリマー組成物で作られた二軸配向フィルム
JP2015511640A (ja) 低灰分ポリプロピレンの製造方法
US20090149614A1 (en) Cable layer on polypropylene basis with high electrical breakdown strength
WO2020171163A1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金属膜積層フィルム、フィルムコンデンサ
EP4086299B1 (en) Thermally treated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JP2018524409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