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424A -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424A
KR20210102424A KR1020217022430A KR20217022430A KR20210102424A KR 20210102424 A KR20210102424 A KR 20210102424A KR 1020217022430 A KR1020217022430 A KR 1020217022430A KR 20217022430 A KR20217022430 A KR 20217022430A KR 20210102424 A KR20210102424 A KR 20210102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arget
access scheme
target uplink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159B1 (ko
Inventor
쭈오민 우
옌안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04W72/1284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허가 스펙트럼은 국가와 지역에서 구분한 무선 전기 장치 통신을 위한 스펙트럼으로서, 해당 스펙트럼은 공유 스펙트럼으로 간주될 수 있는 바, 즉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 중의 통신 장치는 국가 또는 지역에서 해당 스펙트럼 상에 설정한 법규 요구를 만족시키기만 하면, 해당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고, 정부에 전용 스펙트럼 허가를 요청할 필요가 없다.
비허가 스펙트럼에 대하여 종래 기술 중에 서로 다른 전송 상황 항에서 응용되는 채널 접속 방안을 규정하였다. 서로 다른 전송 상황 항에서 응용되는 채널 접속 방안이 서로 다르고, 서로 다른 신호 또는 채널이 응용하는 채널 접속 방안도 서로 다르다. 하지만, 통신 장치가 어떠한 채널 접속 방안을 사용하는지 여전히 명확하지 않고, 어떻게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이의 사용된 채널 접속 방안을 명확할 것인가 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되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에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에는,
기지국이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에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결정 유닛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에는,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송신 유닛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와 기억 장치가 포함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을 실행한다.
제6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을 실행한다.
제7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칩은,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칩에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해당 칩이 설치된 장치가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제8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9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0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기술 방안을 통하여 기지국이 단말 장치로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로 하여금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지시한 목표 채널 접속 방안에 의하여 비허가 스펙트럼 상의 신호 탐지를 진행하게 하여, 비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공평성을 확보하였다.
여기에서 설명된 도면은 본 출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부에 속하며,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이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에 대한 불합리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구조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지국이 COT를 개시한 후 UE가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의 흐름 도면 1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의 흐름 도면 2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응용 실시예 1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응용 실시예 2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응용 실시예 3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의 구조 구성 도면1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의 구조 구성 도면2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장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향상된 롱텀 에볼루션(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NR 시스템의 향상된 시스템, 비허가 주파수 대역폭 상의 LTE(LTE-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LTE-U) 시스템, 비허가 주파수 대역폭 상의 NR(NR-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NR-U)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차세대 통신 시스템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말하면, 전통적인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연결 수량은 많지 않고, 또한 구현하기 쉽지만,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전통적인 통신을 지원할 뿐 아니라, 또한 예를 들면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통신, 사물(Machine to Machine, M2M) 통신, 기계식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및 차량간(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등을 지원하게 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네트워크 장치(110)가 포함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110)는 단말 장치(120)(또는 통신 장치, 단말이라 칭함)와 통신을 진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10)는 특정된 지리 구역을 위하여 통신 커버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커버 구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한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 교환국,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집선기, 교환기,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110)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1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말 장치”에는 예를 들면 공공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등 유선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장치; 및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예를 들면 DVB-H 네트워크 등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 등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장치; 및 다른 단말 장치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 단말”, “무선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이라 불린다. 이동 단말의 예시에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 셀룰러 무선 전기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통합시킨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무선 전기 전화, 무선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Web 브라우저, 메모, 달력 및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PDA; 및 일반적인 태블릿 및 핸드핼드 수신기 또는 무선 전기 전화 송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타 전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접속 단말,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120) 사이에서는 단말 직접 연결(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라 칭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와 두 개의 단말 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나,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각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는 기타 수량의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실체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시스템에서 통신 기능이 구비된 장치를 통신 장치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 장치에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110)와 단말 장치(120)가 포함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110)와 단말 장치(120)는 상기 구체적인 장치일 수 있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통신 장치에는 또한 통신 시스템(100) 중의 기타 장치,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실체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통상적으로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한 기술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 바, 아래 관련 기술과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임의의 결합은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비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진행하는 각 통신 시스템이 해당 스펙트럼 상에서 유효하게 공존하도록 하게 하기 위하여, 어떠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비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면 반드시 만족해야 하는 법규 요구 사항을 규정하였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는 “말하기 전에 듣기”(listen-before-talk, LBT) 원칙을 따르는 바, 즉 통신 장치가 비허가 스펙트럼의 채널 상에서 신호 송신을 진행하기 전, 우선 채널 모니터링을 진행해야 하여, 단지 채널 모니터링 결과가 채널 아이들일 때만이, 해당 통신 장치는 비로소 신호 송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만일 통신 장치가 비허가 스펙트럼의 채널 상에서의 채널 모니터링 결과가 채널 비지이면, 해당 통신 장치는 신호 송신을 진행할 수 없다. 공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1회의 전송에서, 통신 장치가 비허가 스펙트럼의 채널을 사용하여 신호 전송을 진행하는 시간 길이는 최대 채널 점용 시간(Maximum Channel Occupation Time, MCOT)을 초과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가 LBT를 진행할 때 다음과 같은 4가지 유형의 채널 접속 방안이 존재할 수 있고, 여기에서 LBT의 광대역폭은 20MHz일 수 있고, 또는 20MH의 정수 배일 수 있다.
- Category 1(Cat-1 LBT): 전환 간격(switching gap)이 끝난 후 즉시 전송한다.
o 단지 하나의 채널 전용 시간(Channel Occupancy Time,COT)내에 적용한다.
o 수신으로부터 송신로까지의 전환 간격이 16μs를 초과하지 않다.
- Category 2(Cat-2 LBT):단일 간격 탐지, 또한 무작위로 롤백이 없는 LBT로 칭한다.
o 단일 탐지 시간 내에 채널이 아이들이면 신호 송신을 진행할 수 있고, 채널이 점용되면 신호 송신을 진행할 수 없다.
- Category 3(Cat-3 LBT):고정 경합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CWS)를 기반으로 한 무작위로 롤백의 LBT
o 통신 장치가 CWS를 CWp로 결정한다.
■ CWp가 고정적 값이다.
o 통신 장치가 CWp 값에 의하여 난수 N을 생성한다.
o 통신 장치가 비허가 스펙트럼 상에서 채널 탐지를 진행하고, 또한 N 개 간격이 모두 채널 탐지에 성공한 후 신호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 Category 4(Cat-4 LBT):가변적 CWS를 기반으로 한 무작위로 롤백의 LBT
o 통신 장치가 CWS를 CWp로 결정한다.
■ CWp가 가변적 값이다.
o 통신 장치는 CWp 값에 의하여 난수 N을 생성한다.
o 통신 장치는 비허가 스펙트럼 상에서 채널 탐지를 진행하고, 또한 N 개 간격이 모두 채널 탐지에 성공한 후 신호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Cat-3 LBT와 Cat-4 LBT는 전송 서비스의 우선순위 의하여 진일보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를 구분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MCOT는 LBT가 성공한 후 비허가 스펙트럼 사용을 허락하는 채널이 신호 전송을 진행하는 최대한 시간 길이를 가리키며, 서로 다른 채널 접속 우선순위 하에 서로 다른 MCOT가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MCOT는 신호 전송이 점용하는 시간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OT는 LBT가 성공한 후 비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채널이 신호 전송을 진행하는 시간 길이를 가리키며, 해당 시간 길이 내에 신호 점용 채널이 불연속적인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회 COT는 최대로 20ms를 초과할 수 없고, 또한, 해당 COT 내의 신호 전송이 점용한 시간 길이는 MCOT를 초과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의 채널 점용 시간(gNB-initiated COT)은 또한 기지국이 개시한 COT로 칭할 수 있고, 기지국이 LBT에 성공한 후 취득한 일 회의 채널 점용 시간을 가리킨다. 기지국의 채널 점용 시간 내에 다운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외에, 또한 일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황 하에서 UE가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UE의 채널 점용 시간(UE-initiated COT)은 또한 UE가 개시한 COT로 칭하고, UE가 LBT에 성공한 후 취득한 일 회 채널 점용 시간을 가리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전송 기회(DL burst)는 기지국이 진행한 한 그룹 다운링크 전송 (즉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다운링크 전송을 포함)을 가리키고, 해당 그룹 다운링크 전송은 연속적인 전송 (즉 다수 개의 다운링크 전송 간에 간격이 없음)이거나, 또는 해당 그룹 다운링크 전송 중에 간격이 존재하지만 간격이 16μs보다 작거나 같다. 만일 기지국이 진행한 두 개의 다운링크 전송 간의 간격은 16μs보다 크면, 해당 두 개의 다운링크 전송은 두 회의 다운링크 전송 기회에 속한다고 여긴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다운링크 전송은 하나의 PDSCH를 가리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기회(UL burst)는 하나의 UE가 진행한 한 그룹의 업링크 전송 (즉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업링크 전송을 포함)을 가리키고, 해당 그룹 업링크 전송은 연속적인 전송 (즉 다수 개의 업링크 전송 간에 간격이 없음)이거나, 또는 해당 그룹 업링크 전송 중에 간격이 존재하지만 간격이 16μs보다 작거나 같다. 만일 해당 UE가 진행한 두 개의 업링크 전송 간의 간격은 16μs보다 크면, 해당 두 개의 업링크 전송은 두 회의 업링크 전송 기회에 속한다고 여긴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업링크 전송은 하나의 PUSCH를 가리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전송 상황 하에서 이용되는 채널 접속 방안이 서로 다르고, 서로 다른 신호 또는 채널이 이용한 채널 접속 방안도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COT를 개시할 때, 표 1은 서로 다른 상황 하의 채널 접속 방안을 규정하였다.
Figure pct00001
<기지국의 채널 접속 방안>
서비스 중에 여러가지 우선순위의 데이터 멀티플렉싱 전송이 포함될 때, 채널 접속 우선순위는 해당 여러가지 우선순위 중 가장 낮은 우선순위의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이 COT를 개시한 후, 해당 COT 내의 자원을 UE가 업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의 COT 내에 발상한 업링크 전송 기회는, 만일 해당 업링크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다운링크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은 16μs보다 작거나 같으면, UE가 즉시 해당 업링크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만일 해당 기지국의 COT 내에, 해당 업링크 전송 기회 뒤에 다운링크 전송 기회가 없으면, UE가 전송하기 전 Cat-2 LBT를 진행할 수 있으며; 만일 해당 기지국의 COT 내에, 임의의 두 회의 인접된 전송 간의 간격은 25μs보다 작거나 같으면, UE가 Cat-2 LBT를 진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UE가 COT를 개시할 때, 표2는 서로 다른 상황 하의 채널 접속 방안을 규정하였다.
Figure pct00002
<UE의 채널 접속 방안>
상술한 기술 중에 서로 다른 전송 상황 하에서 이용되는 채널 접속 방안을 규정하였지만, UE에 말하면, 업링크 신호/채널 전송을 진행하기 전, 목표 업링크 자원이 어떠한 상황 항에 처하는지 명확하게 알 수 없고, 예를 들면, 하나의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하는지 등이다. 상술한 기술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와 COT 외에의 채널 접속 방안은 서로 다르고, 또한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처할 때, 간격의 크기는 서로 다르고, 채널 접속 방안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UE는 유효적으로 대응되는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할 수 없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의 흐름 도면 1로서, 본 실시예가 단말 장치 측에 이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에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단계 301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핸드폰,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 임의의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이 네트워크일 수 있고, 예를 들면 4G 기지국, 5G기지국, 향상된 5G 기지국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비허가 캐리어 상의 자원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업링크 제어 채널, 업링크 데이터 채널, 무작위 접속 채널, 탐지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응답(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Acknowledgement, HARQ-ACK)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CSI에는 랭크 지시(RI, Rank Indication),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및 채널 품질 지시(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등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업링크 제어 채널에는 적어도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포함되고,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는 적어도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포함되고, 무작위 접속 채널에는 적어도 물리 무작위 접속 채널(물리 무작위 접속 채널, PRACH)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술한 SR、CSI와 HARQ-ACK는 업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면 PUCCH) 또는 업링크 데이터 채널 (예를 들면 PUSCH)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PUSCH에 스케줄링한 PUSCH, 사전 구성된 PUSCH(Configured Grant-PUSCH, CG-PUSCH)와 단지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만 전송하는 데 이용되는 PUSCH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하기 두 가지 방법 중의 임의의 한 가지를 통하여 가지국이 송신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법 1: 상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의 고유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단말 장치의 고유한 RNTI를 통하여 스크램블링 코드를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여기에서 제1 지시 정보는 UE의 고유한 DCI를 통하여 UE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를 때,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 DCI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방법 2: 상기 단말 장치는 셀 공공의 RNTI, 또는 그룹 공공의 RNTI, 또는 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공공의 RNTI를 통하여 스크램블링 코드를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여기에서 제1 지시 정보는 공공의 DCI를 통하여 UE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셀 공공의 DCI를 통하여 UE로 송신된 것이고, 또한 그룹 공공의 DCI를 통하여 UE로 송신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각 COT 내의 제1 지시 정보가 같고, 또는, 단말 장치가 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UE는 같은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방법 2는 공공 신호를 통하여 제1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다수 개의 UE가 해당 공공 신호를 수신한 후 각자의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게 할 수 있어, UE의 고유한 DCI 중에 정보 비트를 새로 추가할 필요가 없고, UE의 고유한 DCI의 신호 오버헤드를 절약한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또한 간격 포맷 지시(Slot format indicator,SFI)정보를 통하여 UE로 송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한 PDCCH1을 수신하고, 해당 PDCCH1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PDCCH1은, 셀 RNTI(Cell RNTI, C-RNTI), 구성 스케줄링 RNTI(Configured Scheduling RNTI, CS-RNTI), 변조 코딩 방안 C-RNTI(Modulation and Coding Scheme C-RNTI, MCS-C-RNTI), 반지속 CSI-RNTI(Semi-Persistent CSI RNTI, SP-CSI-RNTI), 임시 C-RNTI(Temporary C-RNTI, TC-RNTI), 페이징 RNTI(Paging RNTI, P-RNTI), 시스템 정보 RNTI(System Information RNTI, SI-RNTI), 무작위 접속 RNTI(Random Access RNTI, RA-RNTI), 공공 제어 RNTI(Common Control RNTI, CC-RNTI), 그룹 RNTI(Group RNTI, G-RNTI), 간격 포맷 지시 RNTI(Slot Format Indication RNTI, SFI-RNTI), 중단 RNTI(Interruption RNTI, INT-RNTI), PUSCH 전력 제어 RNTI(Transmit Power Control-PUSCH-RNTI, TPC-PUSCH-RNTI), PUCCH 전력 제어 RNTI(Transmit Power Control-PUCCH-RNTI, TPC-PUCCH-RNTI), SRS 전력 제어 RNTI(Transmit Power Control-Sounding Reference Symbols-RNTI, TPC-SRS-RNTI), 사이드링크 RNTI(Sidelink RNTI, SL-RNTI) 중의 적어도 한 가지를 통하여 스크램블링 코드를 한 것이다.
아래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의 서로 다른 구현 방식을 결합시켜 각각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목표 업링크 채널이 PUCCH일 때, 해당 PUCCH 자원의 PUCCH1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목표 업링크 자원은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동적으로 지시하고, 같은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사용함과 아울러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지시할 수 있어,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블라인드 탐지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또한 단말 장치가 다수 개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야만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또한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데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만일 목표 업링크 자원은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PUCCH 자원이고, 또한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은 해당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 (즉 PDCCH1)를 통하여 지시된 것이면, 해당 다운링크 허가 중에 또한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만일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시간 도메인 위치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의 적어도 두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만일 다수 개의 다운링크 허가에 시간 도메인 위치가 같은 PUCCH 자원 (예를 들면 다수 개의 PUCCH1이 다수 개의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고, 또한 다수 개의 PDCCH1 중의 각 PDCCH1에 하나의 PDCCH 자원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또한 해당 다수 개의 PDCCH 자원의 시간 도메인 위치가 같음)이 포함되고, 또한 해당 다수 개의 다운링크 허가 중의 적어도 두 개의 다운링크 허가 중에 각각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면, UE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다수 개의 제1 지시 정보가 동일한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지시하였을 때, 해당 다수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어느 제1 지시 정보를 기준으로 할지를 규정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마지막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끝에서 두 번째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UE가 해당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마지막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제1 지시 정보가 뒤에 갈수록 기지국의 스케줄링 계획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다수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마지막 하나의 제1 지시 정보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UE가 해당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끝에서 두 번째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UE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할 때 처리 지연이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기 때문에, 해당 다수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끝에서 두 번째 제1 지시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UE로 충분한 처리 시간을 사전 예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제2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된 것이다.
여기에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은 PDSCH에 대응되는 HARQ-AC 정보를 전송하는 PUCCH 자원이고, 해당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는 PDCCH2이고, 해당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PUCCH 자원은 트리거 신호(즉 PDCCH1)를 통하여 지시될 수 있다면, 해당 트리거 신호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SR와 SRS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SR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업링크 허가(즉 PDCCH1) 중에 SR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될 때, 해당 업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SRS 및 CSI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또 예를 들면,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즉 PDCCH1) 중에 SRS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될 때, 해당 다운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SRS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또 예를 들면,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즉 PDCCH1) 중에 SR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될 때, 해당 다운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SR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CSI가 PUSCH를 전송되고,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업링크 허가 (즉 PDCCH1) 중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업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CSI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CSI가 PUCCH를 통하여 전송되고, PUC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PUCCH1 중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PUCCH1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CSI에 대응된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CSI가 PUCCH를 통하여 전송되고,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즉 PUCCH1) 중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다운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CSI에 대응된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운링크 허가 중에 또한 해당 CSI의 목표 PUCCH 자원을 전송하는 데 이용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비허가 캐리어 상의 PUCCH가 점용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비교적 많을 때, PUCCH 자원을 통하여 기지국이 트리거하여 송신한 CSI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응하게, 해당 트리거 신호는 기지국이 해당 UE를 스케줄링하여 PDSCH 수신을 진행하는 다운링크 허가를 통하여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이 비주기의 SR 또는 SRS 또는 CSI를 전송하는 자원이고, 또한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은 트리거 신호(DCI)를 통하여 지시된 것이면, 해당 트리거 신호(DCI) 중에 또한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지시 정보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목표 업링크 채널이 PUSCH일 때, 해당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업링크 허가 중에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목표 채널 접속 방안,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 크기,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은 플레이스 홀드 신호를 포함하는지,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의 시작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아래 제1 지시 정보에 상술한 정보가 포함될 때, UE가 어떻게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할지 또한 어떻게 업링크 전송을 진행할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확정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제1 지시 정보에 1비트가 포함되고, 해당 1비트는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또는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지 않는지 확정하는 데 이용된다.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지 않을 때, UE가 표 2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2)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제1 지시 정보에 1비트가 포함되고, 해당 1비트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1 LBT 또는 Cat-2 LBT로 지시한다. 이의 주요한 이유는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할 때, 후선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두 가지만 있기 때문에, 1비트를 사용하여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UE는 기타 정보에 의하여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에 속하는지 확정하고, 또한 해당 1비트에 의하여 구체적인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1 지시 정보에 1 비트가 포함되고, 해당 1 비트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4 LBT 이거나 Cat-4 LBT가 아닌 것을 지시한다. 또 예를 들면, 제1 지시 정보에 2 비트가 포함되고, 해당 2 비트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1 LBT, Cat-2 LBT, Cat-3 LBT 및 Cat-4 LBT 중 적어도 한 가지인 것을 지시한다.
3)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4 LBT일 때, Cat-4 LBT가 전송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의하여 나아가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를 구분하기 때문에,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Cat-4 하의 채널 접속 방안 우선순위를 지시할 수 있어, 예를 들면, 표 3 중의 p의 값을 지시하는 바, 표 3은 Cat-4 하에서 서로 다른 채널 우선순위에 대응된 채널 접속 파라미터의 하나의 예시이고, P 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Figure pct00003
4)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를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UE는 해당 종료 위치와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해당 종료 위치와 해당 시작 위치 간의 간격이 16μs보다 작거나 같을 때, UE는 채널 탐지를 하지 않고 즉시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 상에 전송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기지국의 COT 내에, 해당 종료 위치와 해당 시작 위치 간의 간격이 16μs보다 클 때, UE는 Cat-2 LBT에 성공한 후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에서 전송할 수 있다.
5)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 크기 또는 간격 크기의 속한 범위를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UE는 해당 간격 크기의 속한 범위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간격 크기가 16μs보다 작거나 같을 때,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1이다. 또 예를 들면, 간격 크기는 16μs보다 크고 또한 25μs보다 작거나 같을 때,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2이다. 예를 들면, 간격 크기는 25μs보다 클 때,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은 Cat-4이다.
6)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확정하는 데 이용되고, 또한,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 전송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확정하는 데 이용되어, 두 번 인접된 전송 간의 간격이 사전 설정 값 예를 들면 16μs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의 주요한 이유는 기지국이 개시한 COT 내에, 두 번 인접된 전송 간의 간격이 16μs보다 작거나 같을 때, UE는 채널 탐지 (또한, Cat-1 LBT라고 함)를 하지 않고, 즉 업링크 자원 상에서 신호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 인접된 전송 간의 간격이 16μs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지국은 UE가 플레이스 홀드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7)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의 제1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데 및 목표 업링크 자원의 제2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데 중 적어도 한 데에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시작 위치와 제2 시작 위치가 서로 다를 때, 만일 제2 시작 위치가 제1 시작 위치보다 늦으면, 원래 제1 시작 위치와 제2 시작 위치 간에 맵핑되어야 하는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평쳐링 조작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제1 시작 위치와 제2 시작 위치가 서로 다를 때, 만일 제1시작 위치가 제2 시작 위치보다 늦으면, 제1 시작 위치와 제2 시작 위치 간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를 전송한다.
진일보로, 선택적으로, 플레이스 홀드 신호의 길이가 사전 설정되거나 기지국이 지시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플레이스 홀드 신호의 내용은 사전 설정되거나 기지국이 지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플레이스 홀드 신호는 목표 업링크 자원 상에서 전송된 첫 번째 부호의 순환 프리픽스 연장 부분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플레이스 홀드 신호는 파일럿 주파수 시퀀스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해당 파일럿 주파수 시퀀스는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같은 간격으로 맵핑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플레이스 홀드 신호는 SR 또는 SRS 또는 DMRS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규칙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만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실행하기 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재차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UE는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재차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의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는 처음에 표 2에 의하여 PUCCH를 전송하는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채널 접속 방안이 최고 채널 접속 우선순위의 Cat-4 LBT라고 결정하고, UE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이 개시한 COT 내에 속하고, 또한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와 사이의 간격이 16μs보다 작거나 같기 때문에, UE는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채널 접속 방안이 Cat-1 LBT라고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목표 업링크 자원의 위치, 예를 들면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위치하는지에 의하여,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고 또한 UE로 지시한다. 하지만, 기지국의 COT의 시작 위치는 채널 탐지 결과에 의하여 결정되어, 즉 COT의 위치는 동적인 것이기 때문에, 목표 업링크 자원 일부가 기지국의 COT 내에 위치하고, 일부가 기지국의 COT 외에 위치한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업링크 자원 중의 일부 자원이 기지국의 COT 외에 위치할 때,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하지 않다고 여길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업링크 자원 중의 일부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위치할 때,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한다고 여길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업링크 자원 상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 또는 채널의 우선순위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하는지 확정한다. 예를 들면,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 또는 채널의 우선순위가 높으면,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한다고 여길 수 있으며;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 또는 채널의 우선순위가 낮으면,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하지 않다고 여길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신호 또는 채널에 PUCCH, 단지 UCI만 포함된 PUSCH, SR, SRS, PRACH, HARQ-ACK 정보가 포함된 PUSCH 등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신호 또는 채널에 주기 SR, CSI, SRS 등 주기적으로 나타난 신호, 스케줄링한 PUSCH, CG-PUSCH 등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위치한 시간 도메인 자원의 비례에 의하여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하는지 확정한다. 예를 들면, 목표 업링크 자원 중 기지국의 COT 내에 위치한 시간 도메인 자원 일부와 목표 업링크 자원 중 기지국의 COT 외에 위치한 시간 도메인 자원 일부의 비례는, 사전 설정한 임계값 예를 들면 1보다 크거나 같을 때,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한다고 여길 수 있으며; 목표 업링크 자원 중 기지국의 COT 내에 위치한 시간 도메인 자원 일부와 목표 업링크 자원 중 기지국의 COT 외에 위치한 시간 도메인 자원 이부의 비례는, 1보다 작을 때,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하지 않다고 여길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업링크 자원 상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 또는 채널의 우선순위와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위치한 시간 도메인 자원의 비례에 의하여, 연합하게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하는지 확정한다. 예를 들면, 우선순위가 높은 신호 또는 채널에 있어서, 비교적 작은 값으로 한 임계값을 사전 설정하며; 우선순위가 낮은 신호 또는 채널에 있어서, 비교적 큰 값으로 한 임계값을 사전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업링크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 다수 개의 시간 도메인 유닛 (예를 들면 다수 개의 슬롯)을 포함할 때, 제1 지시 정보에 해당 다수 개의 시간 도메인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의 채널 접속 방안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제1 지시 정보에 해당 다수 개의 시간 도메인 유닛 중의 첫 번째 시간 도메인 유닛의 채널 접속 방안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제1 지시 정보에 해당 다수 개의 시간 도메인 유닛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유닛의 채널 접속 방안의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목표 업링크 자원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 다수 개의 주파수 도메인 유닛 (예를 들면, 주파수 도메인의 단위는 서브 대역폭이고, 여기에서, 서브 대역폭의 크기는, UE가 채널 탐지를 진행할 때의 대역폭 크기와 같고, 예를 들면, 20MHz 또는 20MHz의 정수배)을 포함할 때, 제1 지시 정보에 해당 다수 개의 주파수 도메인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도메인 유닛의 채널 접속 방안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제1 지시 정보에 해당 다수 개의 주파수 도메인 유닛 중의 첫 번째 주파수 도메인 유닛의 채널 접속 방안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제1 지시 정보에 해당 다수 개의 주파수 도메인 유닛 중의 각 주파수 도메인 유닛의 채널 접속 방안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또는, 제1 지시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접속 방안의 지시 정보는 해당 다수 개의 주파수 도메인 유닛의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바, 해당 다수 개의 주파수 도메인 유닛 중의 각 주파수 도메인 유닛의 채널 접속 방안은 모두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CSI 송신을 트리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를 통하여 비허가 캐리어 상의 CSI의 송신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CSI는 PUCCH 자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비허가 캐리어 상의 PUCCH가 점용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비교적 많을 때, PUCCH 자원을 통하여 기지국이 트리거 하여 송신한 CSI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응하게, 해당 트리거 신호 (즉 CSI의 송신 요청 정보)는 기지국이 해당 UE를 스케줄링하여 PDSCH 수신을 진행하는 다운링크 허가를 통하여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운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CSI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이 방안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SR 송신을 트리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 또한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업링크 허가를 통하여, 비허가 캐리어 상의 SR의 자원 지시 정보 및 SR의 송신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비허가 개리어 상의 NR-U 시스템에서, 주기적 SR 자원을 구성해야 하는 외에, 또한 추가로 일부 비주기적의 SR 자원을 지시해야 하여, UE의 SR 전송 기회를 증가시키고, 업링크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UE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 또는 업링크 허가를 통하여 해당 SR 자원을 지시하는 것 및 SR 송신을 트리거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여, UE가 PDCCH를 블라인드 탐지하는 횟수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운링크 허가 또는 해당 업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SR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이 방안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의 흐름 도면 2로서, 본 예시는 기지국 측에 적용되며, 설명해야 할 바로는, 기지국 측의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은, 전술 단말 장치 측의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의 기술을 참조할 수 있어, 구체적인 예를 생략하도록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에는,
기지국이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단계 401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4G 기지국, 5G기지국, 향상된 5G 기지국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핸드폰,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 임의의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비허가 캐리어 상의 자원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업링크 제어 채널, 업링크 데이터 채널, 무작위 접속 채널, SRS, DMRS, SR, CSI, HARQ-ACK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CSI에는 RI, PMI 및 CQI 등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업링크 제어 채널에는 적어도 PUCCH가 포함되고,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는 적어도 PUSCH가 포함되고, 무작위 접속 채널에는 적어도 PRACH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술한 SR、CSI와 HARQ-ACK는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면 PUCCH) 또는 업링크 데이터 채널 (예를 들면 PUSCH)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PUSCH에 스케줄링한 PUSCH, CG-PUSCH와 단지 UCI만 전송하는 PUSCH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하기 두 가지 방법 중의 임의의 한 가지를 통하여 가지국이 송신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법 1: 상기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고유한 RNTI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단말 장치의 고유한 RNTI를 통하여 스크램블링 코드를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여기에서 제1 지시 정보는 UE의 고유한 DCI를 통하여 UE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때, 제1 지시 정보를 포함된 DCI가 다를 수 있다.
방법 2: 상기 기지국이 셀 공공의 RNTI, 또는 그룹 공공의 RNTI, 또는 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자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바, 여기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공공의 RNTI를 통하여 스크램블링 코드를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여기에서 제1 지시 정보는 공공의 DCI를 통하여 UE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셀 공공의 DCI를 통하여 UE로 송신된 것이고, 또한 그룹 공공의 DCI를 통하여 UE로 송신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각 COT 내의 제1 지시 정보가 같고, 또는, 단말 장치가 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UE가 같은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할 수 있다.
방법 2는 공공 신호를 통하여 제1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다수 개의 UE가 해당 공공 신호를 수신한 후 각자의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게 할 수 있어, UE의 고유한 DCI 중에 정보 비트를 새로 추가할 필요가 없고, UE의 고유한 DCI의 신호 오버헤드를 절약한다.
선택적으로, 제1 지시 정보는 또한 SFI 정보를 통하여 UE로 송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이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PDCCH1은, 셀 RNTI(Cell RNTI, C-RNTI), 구성 스케줄링 RNTI(Configured Scheduling RNTI, CS-RNTI), 변조 코딩 방안 C-RNTI(Modulation and Coding Scheme C-RNTI, MCS-C-RNTI), 반지속 CSI-RNTI(Semi-Persistent CSI RNTI, SP-CSI-RNTI), 임시 C-RNTI(Temporary C-RNTI, TC-RNTI), 페이징 RNTI(Paging RNTI, P-RNTI), 시스템 정보 RNTI(System Information RNTI, SI-RNTI), 무작위 접속 RNTI(Random Access RNTI, RA-RNTI), 공공 제어 RNTI(Common Control RNTI, CC-RNTI), 그룹 RNTI(Group RNTI, G-RNTI), 슬롯 포맷 지시 RNTI(Slot Format Indication RNTI, SFI-RNTI), 중단 RNTI(Interruption RNTI, INT-RNTI), PUSCH 전력 제어 RNTI(Transmit Power Control-PUSCH-RNTI, TPC-PUSCH-RNTI), PUCCH 전력 제어 RNTI(Transmit Power Control-PUCCH-RNTI, TPC-PUCCH-RNTI), SRS 전력 제어 RNTI(Transmit Power Control-Sounding Reference Symbols-RNTI, TPC-SRS-RNTI), 사이드링크 RNTI(Sidelink RNTI, SL-RNTI) 중의 적어도 한 가지 RNTI를 통하여 스크램블링 코드를 한 것이다.
아래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의 서로 다른 구현 방식을 결합시켜 각각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목표 업링크 자원은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동적으로 지시되고, 같은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사용함과 아울러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지시할 수 있어,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블라인드 탐지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또한 단말 장치가 다수 개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야만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또한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데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만일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시간 도메인 위치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었고,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의 적어도 두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마지막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끝에서 두 번째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제2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SR와 SRS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SR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 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CSI가 PUCCH를 통하여 전송되고, PUC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PUCCH1 중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PUCCH1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CSI에 대응된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CSI가 PUCCH를 통하여 전송되고,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 (즉 PUCCH1) 중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다운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해당 CSI에 대응된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운링크 허가 중에 또한 해당 CSI를 전송하는 목표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비허가 캐리어 상의 PUCCH가 점용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비교적 많을 때, PUCCH 자원을 통하여 기지국이 트리거하여 송신한 CSI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응하게, 해당 트리거 신호는 기지국이 해당 UE를 스케줄링하여 PDSCH 수신을 진행하는 다운링크 허가를 통하여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일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이 비주기의 SR 또는 SRS 또는 CSI를 전송하는 자원이고, 또한 해당 목표 업링크 자원은 트리거 신호(DCI)를 통하여 지시된 것이면, 해당 트리거 신호(DCI) 중에 또한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지시 정보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목표 업링크 채널이 PUSCH일 때, 해당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업링크 허가 중에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목표 채널 접속 방안,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 크기,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의 시작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CSI 송신을 트리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에는,
기지국이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 중에 비허가 캐리어 상의 CSI의 송신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CSI는 PUCCH 자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비허가 캐리어 상의 PUCCH가 점용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이 비교적 많을 때, PUCCH 자원을 통하여 기지국이 트리거하여 송신한 CSI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응하게, 해당 트리거 신호 (즉 CSI의 송신 요청 정보)는 기지국이 해당 UE를 스케줄링하여 PDSCH 수신을 진행하는 다운링크 허가를 통하여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운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CSI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이 방안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SR 송신을 트리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에는,
기지국이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 중에 또는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업링크 허가 중에 비허가 캐리어 상의 SR의 자원 지시 정보 및 SR의 송신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비허가 개리어 상의 NR-U 시스템에서, 주기적 SR 자원을 구성해야 하는 외에, 또한 추가로 일부 비주기적의 SR 자원을 지시해야 하여, UE의 SR 전송 기회를 증가시키고, 업링크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UE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허가 또는 업링크 허가를 통하여 해당 SR 자원을 지시하는 것 및 SR 송신을 트리거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하여, UE가 PDCCH를 블라인드 탐지하는 횟수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운링크 허가 또는 해당 업링크 허가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SR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이 방안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아래 구체적인 응용 실시예를 결합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응용 실시예 1
비허가 개리어 상에서, 기지국은 UE가 PDSCH 수신을 진행하도록 스케줄링할 때, 다운링크 허가 중에서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PUCCH 자원을 지시하고, 또한 다운링크 허가 중에서 해당 PUCCH 자원에 대응되는 채널 접속 방안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시간 유닛 n 상에서 하나의 PDSCH를 전송하고, 해당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 중에 HARQ-timing 지시 정보 (예를 들면, PDCCH 중의 PDSCH-to-HARQ-timing-indicator 정보 도메인)가 포함되고, 해당 HARQ-timing 지시 정보는 PDCCH 자원의 시간 도메인 위치가 시간 유닛 n+6이라고 지시한다. 해당 DCI 중에 또한 채널 접속 방안 지시 정보, 예를 들면 Cat-2 LBT가 포함된다. UE는 해당 DCI를 수신한 후, 시간 유닛 n+6 상의 PUCCH 자원이 시작하기 전에 Cat-2 LBT를 진행하고, 또한 LBT에 성공한 후에 PUCCH 전송을 진행한다.
만일 다수 개의 다운링크 허가는 시간 도메인 위치가 같은 PUCCH 자원을 지시하였고, 또한 해당 다수 개의 다운링크 허가 중의 적어도 두 개의 다운링크 허가 중에 각 해당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면, UE는 해당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허가 개리어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 내에서 UE로 다섯 개의 PDSCH를 전송하였는 바, 해당 다섯 개의 PDSCH는 각각 시간 유닛 n, n+1, n+3, n+4, n+5 상에 위치하고, 해당 다섯 개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다섯 개의 PDCCH 중에 포함된 HARQ-timing 지시 정보는 각각 6, 5, 3, 2, 1이고, UE는 해당 HARQ-timing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PDCCH 자원이 시간 유닛 n+6 상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수 있고, 해당 목표 PDCCH 자원이 해당 다섯 개의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PDCCH 자원이다. 해당 다섯 개의 PDCCH 중에 포함된 채널 접속 방안 지시 정보는 각각 Cat-2 LBT, Cat-2 LBT, Cat-1 LBT, Cat-1 LBT, Cat-1 LBT이다. UE는 해당 다섯 개의 PDCCH 를 수신한 후, 해당 다섯 개의 PDCCH 중의 마지막 하나의 PDCCH (즉 시간 유닛 n+5 상의 PDCCH 또는 시간 유닛 n+5 상의 PDSCH에 대응되는 PDCCH) 중에 포함된 채널 접속 방안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1 LBT라고 결정하기 때문에, UE는 시간 유닛 n+6 상의 PUCCH 자원 상에서 PUCCH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UE는 해당 다섯 개의 PDCCH를 수신한 후, 해당 다섯 개의 PDCCH 중의 끝에서 두 번째 PDCCH (즉 시간 유닛 n+4 상의 PDCCH 또는 시간 유닛 n+4 상의 PDSCH에 대응되는 PDCCH) 중에 포함된 채널 접속 방안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1 LBT라고 결정하기 때문에, UE는 시간 유닛 n+6 상의 PUCCH 자원 상에서 PUCCH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응용 실시예 2
비허가 주파수 대역 상에서, 새로운 상태를 도입하기 때문에, PDCCH 중의 HARQ-timing 지시 정보에 두 가지 상황이 포함되는 바, 즉 첫 번째는 해당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피드백에 이용되는 PUCCH 자원의 시간 도메인 위치를 지시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해당 PDCCH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가 일시적으로 피드백하지 않다고 지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두 번째 상황에 있어서, 차후 또한 기타 지시 정보가 필요하여, 예를 들면 트리거 신호(DCI)가 해당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의 PUCCH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트리거 신호(DCI)는 UE의 고유한 DCI (예를 들면 해당 UE의 다른 하나의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DCI)일 수 있고, 또한 공공 DCI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이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해당 트리거 신호 DCI 중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허가 캐리어에서, 기지국은 UE로 다섯 개의 PDSCH를 전송하는 바, 해당 다섯 개의 PDSCH는 각각 시간 유닛 n, n+1, n+3, n+4, n+5 상에 위치하며, 여기에서, 시간 유닛 n+5 상에 위치한 PDSCH에 있어서, 이의 대응되는 PDCCH 중에 포함된 HARQ-timing 지시 정보의 개념은 일시적으로 피드백하지 않다는 것이다 (구별을 표시하기 위해, 도면 중 "Later"로 예시한다). 시간 유닛 n+5 뒤의 하나의 시간 유닛 상에서, UE는 트리거 신호(DCI)를 수신하는바, 해당 트리거 신호(DCI) 중에 목표 PUCCH 자원의 지시 정보와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여기에서, 해당 목표 PUCCH 자원은 시간 유닛 n+5 상의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고, 제1 지시 정보는 목표 PUCCH 자원에 대응되는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도면 중에 Cat-2 LBT라고 한다. UE는 해당 트리거 신호(DCI)를 수신한 후, 해당 트리거 신호(DCI) 중에 포함된 채널 접속 방안 지시 정보에 의하여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2 LBT라고 결정하기 때문에, UE는 목표 PUCCH 자원이 시작하기 전에 Cat-2 LBT를 진행하고, 또한 LBT에 성공한 후 PUCCH 전송을 진행한다.
응용 실시예 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허가 개리어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 내에 각각 UE1과 UE2로 두 개의 PDSCH를 전송한다. UE1의 두 개의 PDSCH는 각각 시간 유닛 n와 n+1 상에 위치하고, 해당 두 개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두 개의 PDCCH 중에 포함된 HARQ-timing 지시 정보는 각각 6과 5이고, UE1는 해당 HARQ-timing 지시 정보에 의하여 UE1의 목표 PDCCH 자원이 시간 유닛 n+6 상에 위치한다고 확정할 수 있고, UE1의 목표 PDCCH 자원은 해당 두 개의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PDCCH 자원이다. UE2의 두 개의 PDSCH 는 각각 시간 유닛 n+3와 n+4 상에 위치하고, 해당 두 개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두 개의 PDCCH 중에 포함된 HARQ-timing 지시 정보는 각각 3과 2이고, UE2는 해당 HARQ-timing 지시 정보에 의하여 UE2의 목표 PDCCH 자원도 시간 유닛 n+6 상에 위치한다고 확정할 수 있고, UE2의 목표 PDCCH 자원은 해당 두 개의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PDCCH 자원이다. 여기에서, UE1의 목표 PUCCH 자원과 UE2의 목표 PUCCH 자원은 주파수 분할 또는 코드 분할을 통하여 구분될 수 있다.
기지국이 시간 유닛 n+5 상에서 공공 DCI를 전송하는 바, 해당 공공 DCI에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시간 유닛 n+6 상의 PUCCH 자원에 대응되는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제1 지시 정보는 채널 접속 방안이 Cat-1 LBT라고 지시하고, UE1과 UE2는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시간 유닛 n+6 상에서 각자의 목표 PUCCH 자원을 통하여 PUCCH 전송을 진행한다.
응용 실시예 4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위치할 때, 채널 접속 방안에 Cat-1 LBT와 Cat-2 LBT가 포함되며;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위치하지 않을 때, 채널 접속 방안에 Cat-2 LBT와 Cat-4 LBT가 포함되는 바, Cat-2 LBT는 단지 특정한 상황 하에서 나타날 수 있기만 하며, Cat-4 LBT에는 여러가지 채널 접속 방안 유선순위가 포함된다. 상술 특징에 의하여, 제1 지시 정보에 포함된 정보 비트의 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시 정보에는 3비트가 포함되는 바, 1비트는 목표 업링크 자원이 기지국의 COT 내에 속하는지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목표 업링크 자원이 COT에 속하지 않을 때, 채널 접속 방안은 Cat-4이고, 제1 지시 정보에 포함된 남은 2비트는 Cat-4 LBT 하의 채널 접속 우선순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의 COT에 속할 때, 제1 지시 정보에 포함된 남은 2 비트 중의 1비트는 현재의 채널 접속 방식이 Cat-1 LBT 또는 Cat-2 LBT라고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지시 정보에 포함된 남은 2비트 중의 다른 1비트는 사전 예약될 수 있거나, 또는,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 예를 들면, 제1 지시 정보에 3비트가 포함되는 바, 1비트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이 Cat-4 LBT인지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은 Cat-4일 때, 제1 지시 정보에 포함된 남은 2 비트는 Cat-4 LBT 하의 채널 접속 우선순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은 Cat-4가 아닐 때, 제1 지시 정보에 포함된 남은 2비트 중의 1비트는 현재의 채널 접속 방식이 Cat-1 LBT 또는 Cat-2 LBT라고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지시 정보에 포함된 남은 2 비트 중의 다른 1비트는 사전 예약될 수 있거나, 또는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한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의 구조 구성 도면 1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에는,
기지국이 송신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801);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바,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결정 유닛(802)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업링크 제어 채널, 업링크 데이터 채널, 무작위 접속 채널, SRS, DMRS, SR, CSI, HARQ-ACK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수신 유닛(801)은,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또한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결정 유닛 802는, 만일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시간 도메인 위치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었고,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면,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결정 유닛(802)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마지막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끝에서 두 번째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바, 상기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제2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SR와 SRS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SR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CSU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2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수신 유닛(801)은, 단말 장치의 고유한 RNTI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수신 유닛(801)은, 셀 공공의 RNTI, 또는 그룹의 공공의 RNTI, 또는 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결정 유닛(802)은, 제1 규칙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상기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실행하기 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재차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목표 채널 접속 방안,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 크기,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의 시작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비허가 캐리어 상의 자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의 관련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음을 당업계 기술자들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의 구조 구성 도면 2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에는,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송신 유닛(901)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업링크 제어 채널, 업링크 데이터 채널, 무작위 접속 채널, SRS, DMRS, SR, CSI, HARQ-ACK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유닛(901)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또한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바, 상기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제2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SR와 SRS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SR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유닛(901)은, 단말 장치의 고유한 RNTI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유닛(901)은, 셀 공공의 RNTI, 또는 그룹의 공공의 RNTI, 또는 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목표 채널 접속 방안,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 크기,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의 시작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비허가 캐리어 상의 자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의 관련 설명은 당업계 기술자들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장치(6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해당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일 수 있거나, 또한 기지국일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통신 장치(600)에는 프로세서(6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6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600)에는 또한 기억장치(62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610)는 기억장치(6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억장치(620)는 독립적인 프로세서(610)의 한 단독의 소자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600)에는 또한 송수신기(630)가 포함될 수 있고, 프로세서(610)는 해당 송수신기(630)가 기타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기타 장치가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송수신기(630)에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기(630)에는 나아가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고, 안테나의 수량은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장치(6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장치(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장치(6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장치(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칩(700)에는 프로세서(7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700)에는 또한 기억장치(72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억장치(720)는 독립적인 프로세서(710)의 한 단독의 소자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7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이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9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900)에는 단말 장치(910)와 네트워크 장치(920)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해당 단말 장치(910)는 상기 방법 중의 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해당 네트워크 장치(920)는 상기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실행하여 완성한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서가 기억장치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기억장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중에서, 비휘발성 기억장치는 읽기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M, Programmable 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PROM, Erasable 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하여, 많은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 램(SRAM, Static RAM), 동적 램(DRAM, Dynamic RAM), 동기화 동적 램(SDRAM, Synchronous 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DR SDRAM, Double Data Rate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SDRAM, Enhanced 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LDRAM, Synchlink DRAM)과 직접 램버스 램(DR RAM, Direct Rambus RAM)이다. 주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과 방법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억장치는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만 한 것이며,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또한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인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의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하거나 토론한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은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한 컴퓨터 설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76)

  1.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업링크 제어 채널, 업링크 데이터 채널, 무작위 접속 채널, 탐지 참조 신호(SRS), 복조 참조 신호(DMRS), 스케줄링 요청(SR), 채널 상태 정보(CSI),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응답(HARQ-ACK)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는 또한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만일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시간 도메인 위치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었고,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의 적어도 두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마지막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끝에서 두 번째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제2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SR와 SRS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SR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의 고유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아이디(RNTI)를 통하여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는 셀 공공의 RNTI, 또는 그룹 공공의 RNTI, 또는 채널 점용 시간(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규칙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실행하기 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재차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목표 채널 접속 방안,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 크기,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의 시작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비허가 캐리어 상의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19.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기지국이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업링크 제어 채널, 업링크 데이터 채널, 무작위 접속 채널, 정보탐지 참조 신호(SRS), 복조 참조 신호(DMRS), 스케줄링 요청(SR), 채널 상태 정보(CSI),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응답(HARQ-ACK)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기지국이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는 또한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제2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SR와 SRS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SR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30. 제19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의 고유한 RNTI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31. 제19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기지국이 셀 공공의 RNTI, 또는 그룹의 공공의 RNTI, 또는 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32. 제1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목표 채널 접속 방안,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 크기,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의 시작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33. 제1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비허가 캐리어 상의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34.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기간으로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결정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업링크 제어 채널, 업링크 데이터 채널, 무작위 접속 채널, 탐지 참조 신호(SRS), 복조 참조 신호(DMRS), 스케줄링 요청(SR), 채널 상태 정보(CSI),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응답(HARQ-ACK)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기지국이 송신하는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는 또한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만일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시간 도메인 위치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었고,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의 적어도 두 개의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 중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면,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마지막 하나의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지시 정보 중의 끝에서 두 번째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바, 상기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제2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SR와 SRS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SR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4.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7. 제3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단말 장치의 고유한 RNTI를 통하여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8. 제3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셀 공공의 RNTI, 또는 그룹의 공공의 RNTI, 또는 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이 송신하는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49. 제34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또한 제1 규칙을 기반으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실행하기 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재차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0. 제34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목표 채널 접속 방안,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 크기,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의 시작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1. 제34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비허가 개리어 상의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2.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목표 업링크 자원에 대응되는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송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업링크 제어 채널, 업링크 데이터 채널, 무작위 접속 채널, 탐지 참조 신호(SRS), 복조 참조 신호(DMRS), 스케줄링 요청(SR), 채널 상태 정보(CSI),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 응답(HARQ-ACK)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는 또한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제어 채널은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바, 상기 제2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은 제2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 및 목표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는 SR와 SRS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SR 및 SRS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또는,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6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CSI 송신을 요청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채널에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에 CSI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상기 제2 업링크 제어 채널의 목표 업링크 자원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63. 제52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단말 장치의 고유한 RNTI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64. 제52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셀 공공의 RNTI, 또는 그룹의 공공의 RNTI, 또는 COT 공공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65. 제5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목표 업링크 자원은 기지국이 개시한 COT에 속하는지,
    목표 채널 접속 방안,
    목표 채널 접속 방안의 우선순위,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이 소재하는 전송 기회의 시작 위치와 요전번 전송 기회의 종료 위치 간의 간격 크기,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에 플레이스 홀드 신호가 포함되는지,
    목표 업링크 신호 및 목표 업링크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의 시작 위치,
    목표 업링크 자원의 시작 위치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66. 제52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업링크 자원은 비허가 개리어 상의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장치.
  67.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8.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69. 칩에 있어서,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장치가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70. 칩에 있어서,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장치가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7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72.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73.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4.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5.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6.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22430A 2019-01-11 2019-01-11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KR102547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71480 WO2020143057A1 (zh) 2019-01-11 2019-01-11 信道接入方案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424A true KR20210102424A (ko) 2021-08-19
KR102547159B1 KR102547159B1 (ko) 2023-06-22

Family

ID=7152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430A KR102547159B1 (ko) 2019-01-11 2019-01-11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737110B2 (ko)
EP (1) EP3893586B1 (ko)
JP (1) JP7191233B2 (ko)
KR (1) KR102547159B1 (ko)
CN (2) CN113518470B (ko)
BR (1) BR112021013508A2 (ko)
CA (1) CA3125661A1 (ko)
ES (1) ES2965287T3 (ko)
FI (1) FI3893586T3 (ko)
WO (1) WO2020143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2770B2 (en) * 2019-01-15 2022-06-14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 retransmission of a feedback in unlicensed spectrum
WO2020150940A1 (en) * 2019-01-23 2020-07-30 Qualcomm Incorporated Cqi reporting with pmi frequency domain units
US11582077B2 (en) * 2019-02-25 2023-02-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over multiple carriers in unlicensed spectrum
WO2020209340A1 (ja) * 2019-04-10 2020-10-1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US11523413B2 (en) * 2019-05-02 2022-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me domain resource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959939A1 (en) * 2019-06-19 2022-03-02 Apple Inc. Channel sensing for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signals in new radio (nr) systems operating in the unlicensed spectrum
US11985649B2 (en) * 2020-04-10 2024-05-14 Qualcomm Incorporated Modifications to uplink grant configurations
US11711849B2 (en) * 2020-05-22 2023-07-25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controlled sidelink off-loading over unlicensed carrier
US20230319819A1 (en) * 2020-07-17 2023-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ssion
WO2022233003A1 (en) * 2021-05-06 2022-11-10 Nokia Shanghai Bell Co., Ltd. Link adaptation with unlicensed channel access of configured grant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transmission
WO2023010230A1 (en) * 2021-07-31 2023-02-0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indication of channel occupancy time (cot) initiated by user equipment (ue) or network
CN116264493A (zh) * 2021-12-10 2023-06-1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6567683A (zh) * 2022-01-27 2023-08-0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信息采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333709B (zh) * 2022-06-21 2023-06-23 北京邮电大学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539A (ko) * 2014-08-18 2017-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면허 및 비면허 대역에 대한 통신
KR20180074689A (ko) * 2015-09-25 2018-07-03 지티이 코포레이션 Lbt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lbt 모드 전환 방법
KR20180120202A (ko) * 2016-03-25 2018-11-05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인가 대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124885A (ko) * 2016-03-24 2018-11-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사용자 장비에서 리슨 비포어 토크 절차들의 수행 및 업링크 트래픽 멀티플렉싱을 보조하기 위한 기술들
KR20220046516A (ko) * 2019-08-16 2022-04-14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Harq 코드북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7399B2 (en) * 2011-08-23 2014-09-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ast notification of relative radio-access technology priorities
CN108235439B (zh) * 2012-10-22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05940727B (zh) * 2014-02-04 2019-11-01 Lg电子株式会社 在wlan中基于功率节省模式的操作方法和设备
US9635686B2 (en) * 2014-11-11 2017-04-2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flow mobility in a network environment
US10285202B2 (en) * 2015-06-09 2019-05-07 Marvell World Trade Ltd. Channel access for simultaneous uplink transmissions by multiple communication devices
CN108702789B (zh) * 2016-02-05 2020-09-2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网络节点及其方法
CN107295648B (zh) * 2016-03-31 2020-03-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传输方法、ue、基站和系统
EP3453220B1 (en) * 2016-05-06 2021-09-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bt parameters for uplink in unlicensed spectrum
EP3823409B1 (en) * 2016-05-20 2023-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ing multiple subframes in unlicensed spectrum
CN107517502A (zh) * 2016-06-17 2017-1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接入方法、设备和系统
EP3512239A4 (en) 2016-09-09 2020-05-06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COMMUNICATION METHOD
CN109219151A (zh) * 2017-06-29 2019-01-15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JP2021510242A (ja) * 2017-11-13 2021-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方法及びデバイス
US10873423B2 (en) * 2018-02-15 2020-12-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on of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s in unlicensed spectrum
US11218996B2 (en) * 2018-04-06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PUCCH resource allocation before RRC setup
CN113196696A (zh) * 2018-09-28 2021-07-30 苹果公司 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资源确定以及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和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上的多个混合自动重传请求确认反馈和其他上行链路控制信息的复用
WO2020112861A1 (en) * 2018-11-28 2020-06-04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resource mapping fo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acknowledgement (pucch/ack) and autonomous uplink (aul) in new radio-unlicensed (nr-u)
WO2020144399A1 (en) * 2019-01-09 2020-07-16 Nokia Technologies Oy Uplink operation for listen before talk
CA3067546A1 (en) * 2019-01-10 2020-07-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ccess proced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539A (ko) * 2014-08-18 2017-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면허 및 비면허 대역에 대한 통신
KR20180074689A (ko) * 2015-09-25 2018-07-03 지티이 코포레이션 Lbt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및 lbt 모드 전환 방법
KR20180124885A (ko) * 2016-03-24 2018-11-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사용자 장비에서 리슨 비포어 토크 절차들의 수행 및 업링크 트래픽 멀티플렉싱을 보조하기 위한 기술들
KR20180120202A (ko) * 2016-03-25 2018-11-05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인가 대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046516A (ko) * 2019-08-16 2022-04-14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Harq 코드북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159B1 (ko) 2023-06-22
EP3893586A1 (en) 2021-10-13
CA3125661A1 (en) 2020-07-16
JP2022517198A (ja) 2022-03-07
JP7191233B2 (ja) 2022-12-16
EP3893586A4 (en) 2022-01-05
CN113518470A (zh) 2021-10-19
CN113039859A (zh) 2021-06-25
FI3893586T3 (fi) 2023-12-07
WO2020143057A1 (zh) 2020-07-16
CN113518470B (zh) 2023-03-24
US20210400705A1 (en) 2021-12-23
EP3893586B1 (en) 2023-09-13
US11737110B2 (en) 2023-08-22
BR112021013508A2 (pt) 2021-09-14
ES2965287T3 (es)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7159B1 (ko) 채널 접속 방안의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KR102387863B1 (ko) 비면허 스펙트럼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과 장치
EP3998828A1 (en) Data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7191248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WO20210626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hannel occupancy time on unlicensed spectrum
CN112655262B (zh) 资源分配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7293391B2 (ja) 通信方法、端末機器およびネットワーク機器
WO2020198983A1 (zh) 一种用于非授权频谱的无线通信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3711657B (zh) 传输上行控制信息的方法和终端设备
KR20210096663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N114208080B (zh) 竞争窗口大小的确定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
CN114337940B (zh) 一种harq码本确定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RU2773244C1 (ru)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лицензированного спектра
RU2777033C1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вяз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