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965A - Unmanned robot for pest control to removing fog - Google Patents

Unmanned robot for pest control to removing fo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965A
KR20210101965A KR1020200016596A KR20200016596A KR20210101965A KR 20210101965 A KR20210101965 A KR 20210101965A KR 1020200016596 A KR1020200016596 A KR 1020200016596A KR 20200016596 A KR20200016596 A KR 20200016596A KR 20210101965 A KR20210101965 A KR 20210101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ntrol robot
fog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철웅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솔로몬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솔로몬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솔로몬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965A/en
Publication of KR2021010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01M7/0057Mounting of the spraybooms with active regulation of the boom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Robo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control robot capable of overcoming fog. The control robot includes: a loc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robot;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robot to detect robot's surroundings;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robot; a power unit that is provided with a battery in the robot to provide driving power; and a spraying uni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bot.

Description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UNMANNED ROBOT FOR PEST CONTROL TO REMOVING FOG}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UNMANNED ROBOT FOR PEST CONTROL TO REMOVING FOG}

본 발명은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방제 로봇에 센서를 장착하여 무인 운영이 가능하며, 안개 제거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configured to be capable of unmanned operation by mounting a sensor on the control robot and capable of removing fog.

최근 들어, 인간의 일을 대체할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됨에 따라 농업 분야에서도 사람의 손을 거쳤던 작업들이 로봇에 의해 작업되도록 변화되고 있다. 특히, 농작물을 병충해로부터 예방하거나 구제하는 작업인 방제작업 또한 무인 방제기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Recently, as robots that can replace human work have been developed, even in the agricultural field, tasks that have been performed by human hands are being changed to be performed by robots. In particular, pest control, which is an operation to prevent or relieve crops from pests and diseases, is also being replaced by unmanned control devices.

이러한 무인 방제기는 종래에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살균제 및 살충제를 초미립자 형태로 변환해서 전파하는 방식으로 방제하는 고정형 무인 방제기가 사용되었으나, 고정형 무인 방제기의 경우 가까운 곳은 강한 방제로 인해 작물이 고사하고 먼 거리의 작물은 방제가 되지 않는 부작용이 있었다.Conventionally, such unmanned control systems are fix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use a fixed type unmanned control system that converts fungicides and pesticides into ultra-fine particles and propagates them. Street crops had uncontrolled side effects.

이에 따라, 리모콘 등으로 제어할 수 있는 주행형 방제기가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나, 주행형 방제기의 경우 이동하면서 방제를 하므로 균일하게 방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은 있는 반면, 작업자가 육안으로 방제기를 관찰하면서 제어해야 하므로 방제기 제어시에 작업자가 다른 업무를 볼 수 없고, 방제시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방제기의 파손의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a running-type pesticide that can be controlled with a remote control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However, in the case of a running-type pesticide, it has the advantage of uniformly controlling the pesticide while moving, while the operator observes the pesticide with the naked ey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cannot see other tasks when controlling the pesticide, and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pesticide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operator during the control.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하면서 방제를 균일하게 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하지 않아도 스스로 방제를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g-overcoming type unmanned control robot that can uniformly control while moving, and can safely perform control on its own without a user's visual observa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방제로봇은 상기 로봇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부; 상기 로봇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 주변을 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로봇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부 및 상기 로봇의 상면에 장착된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positio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robot to detect the robot's surrounding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robot; It may include a power unit provided with a battery to the robot to provide driving power and an injection uni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bot.

또한, 상기 위치부는, 상기 방제 로봇에 구비되어 위치 신호를 송수신하는 UWB 태그 및 시설 내에 설치되어 위치 신호를 송수신하는 UWB 앵커를 포함하여, 상기 방제 로봇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unit, including a UWB tag provided in the control robot to transmit and receive a location signal and a UWB anchor installed in the facility to transmit and receive a location signal,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grasps the location of the control robot.

또한, 상기 위치부는, UWB 타겟을 구비한 이동유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inducer having a UWB target.

또한, 상기 센서부는, 주행 중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방제 로봇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조사하는 레이저 센서; 기울기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 전면 및 후면에 장착된 범퍼센서 및 상기 방제 로봇의 전면 및 후면에 장착된 평판형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laser sensor mounted on the control robot to detect an obstacle while driving and irradiating infrared rays; a gyro sensor that measures the inclination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It may include a bumper sensor mounted on the low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and a flat-panel contact sensor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ntrol robot.

또한, 상기 방제 로봇은, 상기 방제 로봇의 전면 및 후면에 장착되어 안개 및 습기를 제거하고,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유동팬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robot may include a flow fan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ntrol robot to remove fog and moisture, and to enable temperature control.

또한, 상기 전력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며, 상기 시설 내에 설치된 충전스테이지를 탐색하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가 소정의 전력량에 도달 시 상기 적외선센서를 가동하여 상기 충전스테이지가 탐색되면, 상기 충전스테이지에 거치되어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unit, interlocking with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charging stage installed in the facility, when the battery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by operating the infrared sensor to detect the charging stage, It may be mounted on the charging stage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또한, 상기 분사부는, 약액이 채워져서 보관되는 약액통 및 상기 약액을 분사하기 위해 구비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상방, 측방,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주행 폭과 분사범위에 맞추어 분사장치의 회동방향을 조절하는 분사봉 및 상기 분사봉 끝단에 형성되어,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unit includes a chemical container filled with and stored chemical liquid and an injection device provided to spray the chemical liquid, wherein the injection device is formed to be rotatable upward, sideways, forward and rearward, traveling width It may include a spraying rod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praying device according to the spraying range and a spraying nozzle formed at the tip of the spraying rod, through which the chemical is sprayed.

또한, 상기 분사봉은, 식물생장을 도와주는 LED 램프 및 자외선 살균이 가능한 자외선램프를 포함하고, 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은, 이동하면서 방제할 수 있어 재배작물에 고루 균일하게 방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rod may include an LED lamp that helps plant growth and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capable of ultraviolet sterilization, and at least one of them may be installed.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can control while moving, so it has the effect of uniformly controlling cultivated crop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은, 자율주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하는 직접 관찰이 불필요하여 작업 중에도 사용자가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nomous, direct observation by the user is unnecessary,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other tasks while working,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은, 이동하면서 방제할 수 있어 재배작물에 고루 균일하게 방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while moving, so that it can control cultivated crops uniform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은, 자율주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하는 직접 관찰이 불필요하여 작업 중에도 사용자가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nomous, direct observation by the user is unnecessary,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other tasks while working,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there is

또한, 방제 시에 발생하는 안개를 유동팬으로 제거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fog generated during control with a flow fa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trolled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모습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모습을 도시한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위치부 예시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레일식 탈착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영도이며, (b)는 레일식 탈착부를 이용한 고정 및 배터리 탈착 작동을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분사봉을 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회동부의 구성 예시도.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분사봉의 움직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분사관경 조절장치를 통한 분사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시스템 구성도.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후면 하우징의 움직임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location of the fog-overcoming type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projection view from the front of the rail-type detachable part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projection view from the side of the fixing and battery detachment operation using the rail-type detachable part .
6 (a) and (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otating part provided to rotate the spray rod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to (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pray rod of the fog-overcoming type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to (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praying method through a spray pipe diameter control device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a), (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rear housing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meaning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ing"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1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모습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모습을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위치부 예시도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레일식 탈착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영도이며, (b)는 레일식 탈착부를 이용한 고정 및 배터리 탈착 작동을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분사봉을 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회동부의 구성 예시도들이고,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분사봉의 움직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분사관경 조절장치를 통한 분사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후면 하우징의 움직임을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location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rojection view from the front of the rail-type detachable part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projection view from the side of the fixing and battery detachment operation using the rail-type detachable part, 6 (a) and (b) are exemplary views of the configuration of a rotating part provided to rotate the spray rod of the fog overcoming type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 to (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spray rod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praying method through a pipe diameter control device, and FIG. 9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 (a) and (b) are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rear housing of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1)은 농업 시설을 자율 주행하며 약액 분사하여 방제 작업을 수행하는 방제로봇으로서, 위치부(10), 센서부(20), 제어부(30), 전력부(40) 및 분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robot that autonomously drives an agricultural facility and sprays a chemical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and a position unit 10 ), a sensor unit 20 , a control unit 30 , a power unit 40 , and an injection unit 50 .

위치부(10)는, 방제 로봇(1)의 위치를 UWB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UWB 태그(11) 및 UWB 앵커(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unit 1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ntrol robot 1 in real time using UWB wireless technology, and may include a UWB tag 11 and a UWB anchor 12 .

여기서, UWB(Ultra-Wideband) 무선 기술이란, 무선 반송파를 사용하지 않고 기저대역에서 수 GHz 이상의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이나 레이더 등에 응용되고 있는 새로운 무선 기술로서, 기존의 무선 시스템의 잡읍과 같은 매우 낮은 스펙트럼 전력 밀도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통신 시스템과 상호 간섭 영향 없이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는 무선 기술이다. Here, UWB (Ultra-Wideband) wireless technology is a new wireless technology that is applied to communications and radar using a very wide frequency band of several GHz or more in baseband without using a wireless carrier. By using the same very low spectral power density, it is a wireless technology that can share frequencies with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s without mutual interference.

UWB 태그(11)는 방제 로봇(1)에 구비되어 위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시설 내에 설치된 UWB 앵커(12)가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UWB 태그(11)를 구비한 방제 로봇(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The UWB tag 11 is provided in the control robot 1 to transmit and receive location signals, and the UWB anchor 12 installed in the facility receives the location signal and the location of the control robot 1 equipped with the UWB tag 11 can figure out

UWB 앵커(12)는 시설 내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UWB 태그(11)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UWB 태그(11)를 구비한 방제 로봇(1)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UWB anchors 12 are installed in the facility, receive a position signal from the UWB tag 11,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ntrol robot 1 equipped with the UWB tag 11, and transmit the pos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 can be sent to

이 때, UWB 앵커(12)는 시설 내에 40 내지 60 m 간격으로 중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방제 로봇(1)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UWB anchor 12 is most preferably installed in a facility to be overlapped at intervals of 40 to 60 m 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robot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의 위치부(10)는 이동유입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location unit 10 of the fog overcoming type unmanned control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inlet unit 13 .

이동유입부(13)는 UWB 타겟(미도시)를 구비하여 UWB 타겟을 통해 이동 신호를 제어부(30)로 송신하고, 제어부(30)를 통해 이동 신호를 수신한 방제 로봇(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유입부(13)를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The movement inlet unit 13 includes a UWB target (not shown) and transmits a movement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 through the UWB target, and the control robot 1 receiving the movement signal through the control unit 30 operates at regular intervals. It can be made to move along the moving inlet 13 while maintaining the.

이에 따라, 이동유입부(13)는 방제 로봇(1)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며 방제 작업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ving inlet 13 can perform the control operation while moving the control robot 1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more safely.

센서부(20)는 방제 로봇(1)에 설치되어, 방제 로봇(1)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주변 탐지, 장애물 및 위험을 인식 하기 위한 것으로, 레이저 센서(21), 자이로 센서(22), 범퍼 센서(23) 및 평판형 접촉 센서(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 is installed in the control robot 1 and is for detecting surrounding areas, recognizing obstacles and dangers so that the control robot 1 can safely travel, a laser sensor 21, a gyro sensor 22, It may include a bumper sensor 23 and a flat-panel contact sensor 24 .

레이저 센서(21)는 방제 로봇(1)에 장착되어 레이저을 조사함으로써, 주행 중 주변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센서(21)는 장애물 정보를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레이저 센서(21)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카메라 중 한 개로 대체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aser sensor 21 is mounted on the control robot 1 and irradiates a laser to detect obstacles in the vicinity while driving. Also, the laser sensor 21 may transmit obstacl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0 . In this case, the laser sensor 21 may be replaced with one of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an infrared camer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는, 방제 로봇(1)이 주변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방제 로봇(1)에 설치된 레이저 센서(21)로부터 주변 물체가 탐지되면, 레이저 센서(21)는 장애물 정보를 제어부(30)로 전송하고, 제어부(30)는 바퀴가 방향을 바꾸도록 모터(미도시)를 제어하는 회피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제 로봇(1)은 보다 안전하게 방제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This is to enable the control robot 1 to avoid surrounding obstacles. That is, when a surrounding object is detected from the laser sensor 21 installed in the control robot 1 , the laser sensor 21 transmits obstacl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0 , and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moto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wheel. Avoidance control (not shown) can be executed. Through this, the control robot 1 can execute the control operation more safely.

자이로 센서(22)는 방제 로봇(1)에 장착되어, 기울기를 측정하여 기울기 정보를 제어부(30)로 전달하고, 비정형 환경에서도 스스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방제 로봇(1)이 고르지 못한 비정형 환경에서도 스스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자이로 센서(22)는 3축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피치(pitch), 롤(roll), 요(yaw) 각(angle)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30)가 각 각(angle)의 변화량에 대하여 각속도를 보정하도록 함으로써, 방제 로봇(1)의 흔들림(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gyro sensor 22 is mounted on the control robot 1, measures the inclination, transmits the inclin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0, and can maintain its own balance even in an atypical environment. This is for the control robot 1 to maintain its own balance even in an uneven and atypical environment. At this time, the gyro sensor 22 is formed to sense three axes, an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 detect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itch, roll, and yaw angles. By correcting the angular velocity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change in , the shaking (vibration) of the control robot 1 can be alleviated.

범퍼 센서(23)는 방제 로봇(1)의 전, 후면의 하부에 장착되어, 장애물과 부딪힐 경우, 방제 로봇(1)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bumper sensor 23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control robot 1 , and when it collides with an obstacle,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impact of the control robot 1 .

또한, 범퍼 센서(23)는 장애물에 부딪힐 때 반대 방향으로 반전 주행이 되어,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umper sensor 23 collides with an obstacle, the reverse travel is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by enabling safer driving.

평판형 접촉 센서(24)는 방제 로봇(1)의 전, 후면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방제 시에 분무로 인해 발생되는 안개를 걷으며 접촉 시 장애물을 인지할 수 있다. The flat-panel contact sensor 24 is formed in a flat-panel shape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ntrol robot 1, so that it can recognize obstacles in contact while walking through the mist generated by spraying during control.

또한, 평판형 접촉 센서(24)는 장애물을 인지할 때, 장애물 정보를 제어부(30)로 전송하고, 장애물을 인지하지 않은 반대쪽의 센서와 모터만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at-panel contact sensor 24 recognizes an obstacle, the obstacl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 , and only the opposite sensor and motor that do not recognize the obstacle may be driven.

이에 따라, 장애물이 있는 쪽의 센서와 모터는 구동하지 않아, 방제 로봇(1)의 주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or and the motor on the side of the obstacle are not driven, and the accuracy of the running of the control robot 1 can be improved.

또한, 평판형 접촉 센서(24)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평판형 접촉 센서(24)는 상황에 따라 길이 조절을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t-type contact sensor 24 may be adjustable in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ly, the flat-panel contact sensor 24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by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situation.

제어부(30)는 센서부(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방제 로봇(1)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20 to control the control robot 1 .

또한, 제어부(30)는 센서부(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80)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3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20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80 .

또한, 제어부(30)는 위치부(10)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방제 로봇(1)의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부(10)로부터 이동 신호를 수신하여 방제 로봇(1)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a position signal from the position unit 10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ntrol robot 1 , and receives a movement signal from the position unit 1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ontrol robot 1 . can

또한, 제어부(30)는 단말기(80)로부터 이동 신호를 수신하여, 방제 로봇(1)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may receive a movement signal from the terminal 8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ontrol robot 1 .

전력부(40)는 모터(미도시) 등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배터리는 내장되어 외부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ower unit 40 may provide driving power to drive a motor (not shown). For this purpose, a battery 41 may be provided, and the battery may be built-in so that it can be charged from the outside.

이때, 모터는 제어부(30)와 연동되어 제어부(3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모터는 어느 특정한 모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DC 모터 또는 BLDC 모터 등과 같은 다양한 모터들로 적용될 수 있다. 모터를 BLDC 모터로 구비 시에는 내구성이 높고, 소음이 적은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motor may be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30 to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30 . In addition, the motor is not limited to any specific motor,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motors such as a DC motor or a BLDC motor. When the motor is provided as a BLDC motor, it has advantages of high durability and low noise.

한편, 모터는 CW/CCW, PWM 회로 등을 형성하여 제어부(30)에 의해 양방향 회전 및 속도제어가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tor may form a CW/CCW, PWM circuit, and the like so that the control unit 30 can control the rotation and speed in both directions.

배터리(41)는 모터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The battery 41 may apply power to the motor.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41)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레일(410)과, 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420)와, 이동체(420)의 고정과 배터리(41)의 탈착을 위한 가이드부(430)로 구성되는 레일식 탈착부(400)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배터리 교체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 5 , the battery 41 is formed in a 'C' shape and i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rail 410 , the movable body 420 moving along the rail 410 , and the movable body 420 is fixed. It is mounted on the rail-type detachable part 400 composed of a guide part 430 for de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battery 41 and slides while moving, so that battery replacement can be easily performed.

구체적으로, 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420)에는 결합구(421)가 마련되고, 배터리(41)의 하단에는 결합구(421)에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440)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결합구(421)는 하단에 탄성스프링(422)이 연결되고, 탄성스프링(422)의 타단부에는 고정체(4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체(423)는 이동체(420)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양측 레일(410) 사이로 이동체(420) 하단에는 소정의 평 길이를 형성하되 복수의 고정홈(431a)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는 고정부(431)와, 고정부(431)에서 연장길이를 형성하되 점차 높아지는 경사부(432)와, 경사부(432)에서 연장되되 소정의 평 길이를 형성하는 탈착부(433)를 포함하는 가이드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a coupling part 421 is provided on the movable body 420 moving along the rail 410 , and a coupling part 440 that can be couple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art 42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41 . can protrude.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421 has an elastic spring 422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reof, and a fixed body 423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pring 422 , and the fixed body 423 is the movable body 420 under the lower end. can be protruded into In addition, a predetermined flat length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body 420 between the rails 410 on both sides, and a fixing part 431 for form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431a at regular intervals, and an extension length from the fixing part 431 A guide part 430 including an inclined part 432 which is formed but gradually increasing, and a detachable part 433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art 432 and forming a predetermined flat length may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한 이동체(420)의 고정과 배터리(41)의 탈착 방식을 살펴보면, 배터리(41)가 결합된 이동체(420)는 레일(410)을 따라 이동할 때에, 결합구(421)의 하측으로 마련되는 탄성스프링(422)과 고정체(423)가 가이드부(430)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는데, 고정체(423)가 높이가 낮은 고정부(431)로 위치 될 때에는 자중에 의해 고정부(431)까지 닿도록 형성되어 이동되며, 고정홈(431a)에 도달할 때에는 고정체(423)가 고정홈(431a)에 인입되어 이동체(42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배터리(41)의 탈착을 위해 탈착부(433)로 이동시키면 고정체(423)는 경사부(432)를 따라 점차 상승하며 결합구(421)를 상방으로 밀어내고, 최대 높이인 탈착부(433)에 도달하였을 때는 결합구(421)가 이동체(420) 상단으로 돌출되어 배터리(41)를 상방으로 밀어내며, 결합부위인 결합구(421)와 결합부(440)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배터리(41)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Looking at the fixing method of the mobile body 420 and the detachment of the battery 41 throug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body 420 to which the battery 41 is coupled moves along the rail 410, the The elastic spring 422 and the fixing body 423 provided on the lower side move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part 430. When the fixing body 423 is positioned as the low fixing part 431, it is lifted by its own weight. It is formed and moved to reach the top 431 , and when it reaches the fixing groove 431a , the fixing body 423 is drawn into the fixing groove 431a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420 . Thereafter, when moving to the detachable part 433 for detachment of the battery 41, the fixed body 423 gradually rises along the inclined part 432 and pushes the coupler 421 upward, and the detachable part having the maximum height. When reaching 433, the coupler 421 protrudes to the top of the movable body 420 and pushes the battery 41 upward, and the coupler 421 and the coupler 440, which are the engaging part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battery 41 can be removed.

이러한 레일식 탈착부(400)는, 배터리(41)가 고정부(431) 길이에 위치할 때에는 이동체(420)가 탈착부(433)까지 위치까지 자진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이탈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탈착 시에는 일정 힘만 작용하여 작업자 측으로 당기면 상방으로 자동 돌출되어 탈착이 쉽도록 형성되고, 이동시에는 슬라이딩 작동되므로 이동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The rail-type detachable part 400 is not easily detached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mobile body 420 to move to the position up to the detachable part 433 when the battery 41 is located at the fixed part 431 length. , during detachment, only a certain force acts and when pulled toward the operator, it automatically protrudes upward to facilitate detachment.

한편, 이해가 쉽도록 탄성스프링(422)을 이용하여 고정 및 탈착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탄성스프링(422)은 실질적으로 스프링 하우징(미도시)에 내재되도록 형성되어 스프링 하우징(미도시)에 의해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체(423)의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fixing and detachment method has been described using the elastic spring 422 for easy understanding, the elastic spring 422 is substantially formed to be embedded in the spring housing (not shown) and is formed by the spring housing (not shown). can be maintained. Accordingly, the fixing force of the fixing body 423 can be exerted.

또한, 레일(410)의 경우에는 이동체(420)와의 접촉 시 구름마찰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볼(미도시)이 내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며, 볼(미도시)의 경우 일부분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ail 410, a plurality of balls (not shown) may protrude inward to form rolling friction upon contact with the movable body 420, and in the case of the ball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only a portion protrudes. .

또한, 전력부(40)는 제어부(30)와 연동되어, 시설 내에 설치된 충전스테이지(70)를 탐색하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sensor that interworks with the control unit 30 and searches the charging stage 70 installed in the facility.

여기서 충전스테이지(70)는 배터리(41)를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지로서, 방제 로봇(1)이 거치될 시, 무선으로 배터리(41)를 자동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스테이지(70)는 전자기를 유도하도록 형성되어 자기유도방식으로 방제 로봇(1)의 배터리(41)를 충전할 수 있다.Here, the charging stage 70 is a rechargeable battery capable of automatically charging the battery 41 , and when the control robot 1 is mounted, it may be formed to automatically charge the battery 41 wirelessly. At this time, the charging stage 70 may be formed to induce electromagnetic and charge the battery 41 of the control robot 1 in a magnetic induction method.

이를 위해, 방제 로봇(1)과 충전스테이지(70)는 자기유도방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각각 전자기 유도 코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robot 1 and the charging stage 70 each hav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so as to proceed with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또한, 충전스테이지(70)는 적외선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방제 로봇(1)의 적외선 센서와 소정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stage 70 may be provided with an infrared sensor (not shown)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using the infrared sensor of the control robot 1 and a predetermined frequency.

즉, 방제 로봇(1)은 적외선센서의 소정의 주파수로 충전스테이지(70)에 설치된 적외선센서와 신호를 주고 받아 충전스테이지(70)를 판별하며, 이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30)가 전달 받아 충전스테이지(70)로 이동시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robot 1 determines the charging stage 70 by exchanging a signal with the infrared sensor installed in the charging stage 70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of the infrared sensor, and the controller 30 receives the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and charging The battery may be charged by moving it to the stage 70 .

방제 로봇(1)은 구동 시에 항시 적외선센서를 통해 소정의 주파수를 발산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센서가 충전스테이지(70)의 적외선센서를 통해 충전스테이지(70)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robot 1 can always radiate a predetermined frequency through an infrared sensor when driven. At this time, the infrared sensor may detect the charging stage 70 through the infrared sensor of the charging stage (70).

더욱 자세하게는, 충전스테이지의 적외선센서가 방제 로봇(1)의 적외선센서로부터 발산된 소정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다시 방제 로봇(1)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발산하는 구조일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infrared sensor of the charging stag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frequency emitted from the infrared sensor of the control robot 1 is sensed and the predetermined frequency is radiated back to the control robot 1 .

아울러, 상기의 충전방식은 스마트 방제로봇에 더 포함되는 적외선센서(550)와 작업지에 충전스테이지(70)를 구성해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method can be implemented only when the infrared sensor 550 and the charging stage 70 that are further included in the smart control robot are configured on the worksheet.

분사부(50)는 방제 로봇(1)의 상단에 형성되어, 약액을 분사하는 것으로, 약액통(51), 분사봉(53), 분사노즐(54) 및 펌프(5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jection unit 5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trol robot 1 to inject a chemical solution, and may include a chemical solution container 51 , a spray rod 53 , a spray nozzle 54 , and a pump 55 . .

약액통(51)은 약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분사봉(53)은 약액통(51)과 연결되어 직선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고, 펌프(55)는 약액통(51)의 약물을 분사봉(53)로 펌핑하도록 방제 로봇(1)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분사부 배터리(미도시)는 펌프(55)의 구동을 위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drug container 51 may contain the drug, the injection rod 53 may be connected to the drug container 51 to form a straight length, and the pump 55 dispenses the drug of the drug container 51 . It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control robot 1 so as to pump with the rod 53 , and the injection unit battery (not shown) may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pump 55 .

여기서, 약물은 병충해를 막기 위한 방제액과, 재배 식물 또는 가축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물 또는 영양액 등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서, 방제액, 물 또는 영양액은 약액통(51)에 수용된 상태로 펌프(55) 작동 시 분사봉(53)의 길이를 따라 마련된 다수의 분사노즐(54)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으며, 다수의 분사노즐(54)의 경우 넓은 분사범위의 형성을 위해 일류체 분사노즐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류체 분사노즐로 구비되어도 무관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봉(53) 단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Here, the drug includes both a control solution for preventing pests and pests, and water or nutrient solution for supplying nutrients to cultivated plants or livestock, and the control solution, water or nutrient solution is pumped ( 55) During operation, it can be sprayed to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54 provided along the length of the spray rod 53, and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54, hydraulic spray nozzles to form a wide spray range can be provided wit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may be provided as a two-fluid jet nozzle, and may be provided only at the end of the jet rod 53 as shown in the drawing.

또한, 분사봉(53)은 상방, 측방,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주행 폭과 분사범위에 맞추어 회동시킬 수 있는데, 일례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봉(53)은 좌/우측으로 360˚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수직회전부(560)와, 수직회전부(56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하측으로 180˚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수평회전부(561)로 구성되는 회동부(56)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rod 53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upward, sideways, forward and rearward, and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width and the injection rang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3) is a rotation part consisting of a vertical rotation part 560 formed to rotate 360˚ to the left / right, and a horizontal rotation part 561 coupl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rotation part 560 to rotate 180˚ up / down It can be rotated by being coupled to (56).

또 다른 예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봉(53)은 측방에서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동모터(570)와, 회동모터(570)의 축심을 따라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회전기어(571)와, 회전기어(571)에 맞물려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회전하는 피동기어(572)에 축 결합되는 회전브라켓(573)과, 회전브라켓(573)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회전부(574)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부(574)의 회전작동에 따라 상방과 하방으로 회전하는 분사장치 결합부(575)를 포함하는 회동부(57)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ure 6, the injection rod 53 is coupled to rotate along the axis of the rotation motor 570, which is installed horizontally from the side, and the rotation motor 570, A rotational gear 571, a rotational bracket 573 axially coupled to a driven gear 572 that is engaged with the rotational gear 571 and rotates forward or backward, and a rotational part 574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al bracket 573 )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57 including the injector coupling unit 575 that rotates upward and down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unit 574 can be rotated.

그러나, 상기의 구조들은 예시적인 구조로서 상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회동부(56 및 57을 포함)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써 형성되어 분사봉(53)가 다양한 방법으로 상방, 측방,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above structures are exemplary structur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otating parts 56 and 57 are formed in various types of structures so that the injection rod 53 can be moved upwardly, laterally, forwardly and backwardly in various ways. It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의 구조를 형성하는 분사봉(53)은 넓은 폭을 형성하는 주행환경에서는 분사봉(53)를 좌/우측으로 회동시켜 넓게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주변에 벽(W)과 같은 것들로 인해 좁은 폭을 형성하는 주행환경에서는 전/후측으로 회동시켜 좁은 폭을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멀리 분사를 위하여 상방으로 회동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ure 7, the injection rod 53 forming the above structure can form a wide length by rotating the injection rod 53 left / right in a driving environment to form a wide width, and a wall ( In a driving environment that forms a narrow width due to things such as W), it can be formed to pass a narrow width by rotating it forward/rearward. In addition, it may be rotated upward for further injection.

또한, 분사봉(53)은 회동뿐만 아니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형식으로 구비되어 방제로봇(10)의 다양한 주행환경과 분사범위 등에 맞추어 회동과 길이조절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분사봉(53)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로 마련되는 분사노즐(54)은 각각 힌지 등으로 결합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분사위치와 범위 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rod 53 is provided in a multi-stage type so that not only rotation but also length adjustment is possible, so that rotation and length adjustment can be mixed and used according to the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and injection ranges of the control robot 10, and the injection rod 53 ) is provided along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54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etc. are formed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the injection position and range can be variously adjusted.

또한, 분사봉(53)은 실린더 등의 위치가변수단(미도시)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분사봉(53)의 결합 단부에는 실린더와 같은 위치가변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부(56, 57)가 마련될 때에는 실린더 등의 위치가변수단(미도시)은 회동부(56, 57)의 하단에 구비되어 분사봉(53)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jection rod 53 may be formed so that the position is variable by a position variable means (not shown) such as a cylinder. For example, a position variable end (not shown) such as a cylinder is provided at the coupling end of the injection rod 53 to change the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rotating parts (56, 57) are provided, a position variable end (not shown) such as a cylinder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parts (56, 57)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rod (53).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분사봉(53)의 타단부에는 분사봉(53)의 약물(L) 분사거리 조절이 가능한 분사관경 조절장치(58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관경 조절장치(580)는 복수의 이격되는 격벽(581)으로 인해 내부가 복수의 공간(581a)으로 구획되며, 방제 로봇(1)에 고정되는 조절장치 몸체(582)와, 구획된 복수의 공간마다 달리 관경을 형성하는 다수의 분사구(583)를 포함하며, 분사봉(53)은 고정된 분사관경 조절장치(580)의 각 내부 공간(581a)을 이동하며 분사를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8 , an injection tube diameter adjusting device 580 capable of adjusting the injection distance of the drug L of the injection rod 53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jection rod 53 . Specifically, the injection pipe diameter control device 58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581a due to the plurality of spaced apart partition walls 581, and the control device body 582 fixed to the control robot 1 and the part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583 that form a different diameter, and the injection rod 53 can perform injection while moving each internal space 581a of the fixed injection tube diameter adjusting device 580. have.

여기서, 분사봉(53)이 분사를 수행할 때 위치되는 공간에 따라 분사구(583)의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분사봉(53)에서 분사되는 약물(L) 분사량은 동일하여도 분사거리는 달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은 직경에서는 멀리 분사될 수 있고, 큰 직경에서는 가까이 분사될 수 있다.Here, since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hole 583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ace in which the injection rod 53 is positioned when performing injection, the injection distance of the drug (L) injected from the injection rod 53 is the same, but the injection distance can be formed differently. have. Specifically, a small diameter can be sprayed farther, and a large diameter can be sprayed closer.

한편, 분사구(583)의 경우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절장치 몸체(582)의 측면은 도 8의 (a) 또는 도 8의 (b)와 같이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8의 (c)와 같이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방으로 분사봉(53)를 회동시켰을 때를 기준하면, 분사봉(53)가 높은 위치일수록 분사구(583)의 직경이 작고, 조절장치 몸체(582) 내 공간 면적이 작아 멀리 보낼 수 있고, 낮은 위치일수록 분사구(583)의 직경이 크고, 조절장치 몸체(582) 내 면적이 커 주변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jection hole 583,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direc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adjusting device body 582 is straight as shown in FIG. 8 (a) or 8 (b). It may be formed, but it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n upper-gwang-lower narrow as shown in FIG. 8(c). This is based on when the injection rod 53 is rotated upwards, the higher the injection rod 53 is,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 583, and the smaller the space area in the adjusting device body 582, the farther it can be sent. , because the lower the position,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 583, the larger the area within the control device body 582, so that it can be sent to the periphery.

이러한 분사관경 조절장치(580)를 통해 분사봉(53)의 위치를 조절하며 분사거리를 조절할 수가 있다.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jection distanc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rod 53 through the injection tube diameter control device 580.

또한, 분사봉(53)은 LED 램프 및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ion rod 53 may further include an LED lamp and an ultraviolet lamp.

LED 램프(미도시)는 식물 생장을 도와주는 램프로써, 분사봉(53)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자외선 램프(미도시)는 살균작용을 통해 해로운 균을 사멸시키며, 분사봉(53)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LED lamp (not shown) is a lamp that helps plant growth, and a plurality of LED lamps (not shown) can be mounted on the injection rod 53, and the ultraviolet lamp (not illustrated) kills harmful bacteria through sterilization, and the injection rod 53 A plurality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제 로봇(1)은 방제 로봇(1)의 전면 및 후면에 장착되어 안개를 제거해주는 유동팬(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low fan 60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ntrol robot 1 to remove fog.

유동팬(60)은 시설 내에 존재하는 안개 및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방제 로봇(1)의 전면 및 후면에 한 개 이상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low fan 60 is capable of removing fog and moisture existing in the facility, and one or more may b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ntrol robot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제 로봇(1)은 하우징(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control robot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61 .

하우징(61)은 유동팬(60)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방제 로봇(1)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하우징(61)에 유동팬(60)이 장착될 수 있다.The housing 61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ntrol robot 1 so that the flow fan 60 can move back and forth, and is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can be mounted

이에 따라, 기상 상황에 알맞은 하우징의 이동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유동팬(60)을 구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drive the flow fan 60 through the movement of the housing suitable for weather conditions.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 스마트 방제로봇
10: 위치부
11: UWB 태그
12: UWB 앵커
13: 이동유인부
20: 센서부
21: 레이저 센서
22: 자이로 센서
23: 범퍼 센서
24: 평판형 접촉 센서
30: 제어부
40: 전력부
41: 배터리
400: 레일식 탈착부
410: 레일
420: 이동체
421: 결합구
422: 탄성스프링
423: 고정체
430: 가이드부
431: 고정부
431a: 고정홈
432: 경사부
433: 탈착부
440: 결합부
50: 분사부
51: 약액통
53: 분사봉
54: 분사노즐
55: 펌프
56: 회동부
560: 수직회전부
561: 수평회전부
57: 회동부
570: 회동모터
571: 회전기어
572: 피동기어
573: 회전브라켓
574: 회전부
575: 분사장치 결합부
580: 분사관경 조절장치
581: 격벽
581a: 공간
582: 조절장치 몸체
583: 분사구
60: 유동팬
61: 하우징
70: 충전스테이지
80: 단말기
W : 벽
L : 약물
1: Smart control robot
10: position part
11: UWB tag
12: UWB anchor
13: Mobility man
20: sensor unit
21: laser sensor
22: gyro sensor
23: bumper sensor
24: flat-panel contact sensor
30: control unit
40: power unit
41: battery
400: rail type detachable part
410: rail
420: moving object
421: coupler
422: elastic spring
423: fixed body
430: guide unit
431: fixed part
431a: fixing groove
432: inclined part
433: detachable part
440: coupling part
50: injection unit
51: medicine container
53: injection rod
54: spray nozzle
55: pump
56: rotation unit
560: vertical rotation unit
561: horizontal rotation unit
57: rotation
570: rotation motor
571: rotation gear
572: driven gear
573: rotation bracket
574: rotating part
575: injector coupling unit
580: injection pipe diameter control device
581: bulkhead
581a: space
582: regulator body
583: nozzle
60: flow fan
61: housing
70: charging stage
80: terminal
W: wall
L: drug

Claims (8)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부;
상기 로봇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 주변을 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로봇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부 및
상기 로봇의 상면에 장착된 분사부를 포함하는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
In the fog overcoming type unmanned control robot,
a posi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robot to detect the robot's surrounding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robot;
a power unit provided with a battery to the robot to provide driving power; and
A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including a spraying uni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b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부는,
상기 방제 로봇에 구비되어 위치 신호를 송수신하는 UWB 태그 및
시설 내에 설치되어 위치 신호를 송수신하는 UWB 앵커를 포함하여, 상기 방제 로봇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part,
A UWB tag provided in the control robot to transmit and receive a location signal, and
A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location of the control robot, including a UWB anchor installed in a facility to transmit and receive position signal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부는,
UWB 타겟을 구비한 이동유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ation part,
Fog 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inducer having a UWB targ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주행 중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방제 로봇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조사하는 레이저 센서;
기울기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 전면 및 후면에 장착된 범퍼센서 및
상기 방제 로봇의 전면 및 후면에 장착된 평판형 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a laser sensor mounted on the control robot to detect obstacles while driving and irradiating infrared rays;
a gyro sensor that measures the inclination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Bumper sensors mounted on the lower front and rear of the body, and
A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comprising a flat-panel contact sensor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ntrol rob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 로봇은,
상기 방제 로봇의 전면 및 후면에 장착되어 안개 및 습기를 제거하고,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유동팬을 포함하는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robot is
A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comprising a floating fan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ntrol robot to remove fog and moisture, and to enable temperature contro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며, 상기 시설 내에 설치된 충전스테이지를 탐색하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가 소정의 전력량에 도달 시 상기 적외선센서를 가동하여 상기 충전스테이지가 탐색되면, 상기 충전스테이지에 거치되어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unit,
Interlocking with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a charging stage installed in the facility,
When the battery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by operating the infrared sensor to detect the charging stage, the fog overcoming type unmanned control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the charging stage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약액이 채워져서 보관되는 약액통 및
상기 약액을 분사하기 위해 구비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장치는,
상방, 측방,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주행 폭과 분사범위에 맞추어 분사장치의 회동방향을 조절하는 분사봉 및
상기 분사봉 끝단에 형성되어,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spray unit,
A medicine container filled with chemical liquid and stored; and
Comprising a spraying device provided for spraying the chemical,
The injector is
A spray rod that is formed to be rotatable upward, lateral, front and rear, and adjust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praying device according to the running width and spray range, and
Formed at the tip of the spray rod, the fog overcoming type unmanned control robot comprising a spray nozzle to which the chemical is spray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봉은,
식물생장을 도와주는 LED 램프 및
자외선 살균이 가능한 자외선램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개 극복형 무인 방제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pray rod is
LED lamps that help plant growth and
A fog-overcoming unmanned control robot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V lamps capable of UV sterilization.
KR1020200016596A 2020-02-11 2020-02-11 Unmanned robot for pest control to removing fog KR202101019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96A KR20210101965A (en) 2020-02-11 2020-02-11 Unmanned robot for pest control to removing fo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596A KR20210101965A (en) 2020-02-11 2020-02-11 Unmanned robot for pest control to removing fo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65A true KR20210101965A (en) 2021-08-19

Family

ID=7749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596A KR20210101965A (en) 2020-02-11 2020-02-11 Unmanned robot for pest control to removing fo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96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1020A (en) * 2022-02-20 2022-04-12 佛山市深木牧环保科技有限公司 Mechanical arm of rob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1020A (en) * 2022-02-20 2022-04-12 佛山市深木牧环保科技有限公司 Mechanical arm of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196B1 (en) Smart pest control robot
ES2886865T3 (en)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and dispensing system
KR101661707B1 (en) Remote Controlled Sprayer
KR101312462B1 (en) The peopleless control system of insect pests
KR20180011933A (en) Unmanned automation spraying device
KR20210101965A (en) Unmanned robot for pest control to removing fog
CN203851682U (en) Crawler-type electric intelligent pesticide spraying car
KR101815827B1 (en) Pesticide spray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riving spraying pesticides on crops
KR102029714B1 (en) Automatic pest controller for greenhouse
CN210352841U (en) Self-propelled target pesticide application robot based on fruit tree recognition and positioning
CN208863429U (en) A kind of intelligent robot for greenhouse plant protection
KR102217817B1 (en) cooling apparatus for multipurpose
CN109213160B (en) Multi-wheel foot robot for field weeding and fertilizing operation
KR20200137301A (en) Vinyl house manless prevention of epidemic system
CN216561529U (en) Intelligent unmanned disinfection trolley based on slam
CN113934215A (en) Intelligent unmanned disinfection trolley based on slam
Chrysoulakis et al. Development and initial evaluation of a multi-purpose spraying robot prototype
CN212629653U (en) High-obstruction crop field walking robot
KR102667303B1 (en) Moving agrochemical spraying apparatus with wheel driving motors emerged in one side of wheels
KR20170027464A (en) Drug dispersion device using a heterologous prime mover
RU225653U1 (en) DEVICE FOR DIFFERENTIATED APPLICATION OF FUNGICIDES AND BIOLOGICAL PRODUCTS INTO AGRICULTURAL CROPS
KR20220103216A (en) Multipurpose Miniature Robot
KR20210119255A (en) Unmanned pest control appratus for greenhouse
KR20160003343U (en) Mist sprayer for long-distance with multi-rotative blower loaded tractor
CN218226625U (en) Light and small agricultural robot based on R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