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727A -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 Google Patents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727A
KR20210101727A KR1020200016022A KR20200016022A KR20210101727A KR 20210101727 A KR20210101727 A KR 20210101727A KR 1020200016022 A KR1020200016022 A KR 1020200016022A KR 20200016022 A KR20200016022 A KR 20200016022A KR 20210101727 A KR20210101727 A KR 2021010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nium
strawberries
fertilization
strawberry
strawberry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506B1 (ko
Inventor
김윤정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아미노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미노피아 filed Critical (주)아미노피아
Priority to KR102020001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5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ertilizer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EDTA, 수산화물, 산화셀레늄, 및 ATCA를 포함하여 제조된 유기셀레늄 용액을 포함하는 딸기 재배 영양제를 이용한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재배된 딸기를 이용한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함으로써 셀레늄의 함량이 높은 딸기를 재배할 수 있고 딸기 내 항산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생리활성물질 및 셀레늄의 함량이 우수한 딸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헬스 식품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가공식품으로서의 개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Selenium-containing strawberry cultivation method and processed foods comprising strawberries grown through its}
본 발명은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EDTA, 수산화물, 산화셀레늄, 및 ATCA를 포함하여 제조된 유기셀레늄 용액을 포함하는 딸기 재배 영양제를 이용한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재배된 딸기를 이용한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다양한 산업화로 인해 생활수준이 향상됨과 동시에 식습관의 변화 및 환경의 오염에 의해 비만, 고혈얌, 고지혈증, 당뇨, 암과 같은 여러 질병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건강개선용 식품과 유익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연구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쉽게 섭취할 수 있으며, 기존의 품질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유효한 기능을 보유한 개발 식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52748호'는 인체에 독성이 없고 흡수율이 높은 유기 게르마늄을 이용하여 항산화, 노폐물 분해, 면역기능 향상, 근이 영양증 치료, 항암 등의 효과가 있는 게르마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딸기를 재배하기 위한 기술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게르마늄 함유 조성물에 의한 딸기의 성장 정도만을 확인하였을 뿐, 딸기 내 게르마늄의 함량이 향상되었다거나 딸기를 섭취함으로써 게르마늄이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실시예나 개시 내용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체내 여러 작용에 필수적인 미량 무기질 중 하나인 셀레늄은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신체조직의 노화와 변성을 막아주고 심혈관 질환과 갑상선 기능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셀레늄이 부족할 경우, 면역기능 저하, 근육통, 심근 퇴화, 췌장 기능의 퇴화 등의 신체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며, 특히 셀레늄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무기질이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 필수적으로 섭취해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보다 쉽게 셀레늄을 섭취할 수 있으면서, 다른 생리활성물질도 함께 섭취하기 위하여 셀레늄을 함유하는 딸기를 재배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으로 재배된 딸기를 활용한 가공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KR 10-2004-0052748 A KR 10-2014-0028485 A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기킬레이트 형태로 제작된 유기셀레늄 용액을 포함한 딸기 재배 영양제를 이용하여 셀레늄 및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높아진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으로 제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diaminetetracetic acid, EDTA), 수산화물(hydroxide), 산화셀레늄(Selenium oxide, SeO2) 및 아세틸티오프롤린(acetylthioproline, ATCA)를 포함하는 유기셀레늄 용액을 이용하여 딸기 재배 영양제를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딸기 재배 영양제의 시비량 또는 시비횟수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시비량 또는 시비횟수가 설정된 딸기 재배 영양제를 딸기에 시비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3 단계는 엽면 시비, 토양 시비, 및 관주 시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딸기 재배 영양제를 시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으로 제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함으로써 셀레늄의 함량이 높은 딸기를 재배할 수 있고 딸기 내 항산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생리활성물질 및 셀레늄의 함량이 우수한 딸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헬스 식품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가공식품으로서의 개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비교예에 따라 제배된 딸기의 셀레늄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비교예에 따라 제배된 딸기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비교예에 따라 제배된 딸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비교예에 따라 제배된 딸기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기셀레늄 용액을 포함하여 형성한 딸기 재배 영양제를 이용한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한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diaminetetracetic acid, EDTA), 수산화물(hydroxide), 산화셀레늄(Selenium oxide, SeO2) 및 아세틸티오프롤린(acetylthioproline, ATCA)를 포함하는 유기셀레늄 용액을 이용하여 딸기 재배 영양제를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딸기 재배 영양제의 시비량 또는 시비횟수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시비량 또는 시비횟수가 설정된 딸기 재배 영양제를 딸기에 시비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제 1 단계에서 형성되는 딸기 재배 영양제는 유기셀레늄 즉, 킬레이트화 셀레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diaminetetracetic acid, EDTA), 수산화물(hydroxide), 산화셀레늄(Selenium oxide, SeO2) 및 아세틸티오프롤린(acetylthioproline, ATCA) 외에 복합아미노산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합아미노산은 비료공정규격 부산동물질액(질소 6%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딸기 재배 영양제는 정제수 23 내지 48 중량%, EDTA 5 내지 16 중량%, 수산화물 3 내지 11 중량%, 산화셀레늄 1 내지 5 중량%, 복합아미노산 23 내지 48 중량%, 및 ATCA 3 내지 11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30 내지 41 중량%, EDTA 8 내지 13 중량%, 수산화물 5 내지 9 중량%, 산화셀레늄 3 내지 5 중량%, 복합아미노산 30 내지 41 중량%, 및 ATCA 5 내지 9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딸기 재배 영양제의 pH는 3 내지 6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H 4 내지 5일 수 있고, Bx(당도 측정 단위)는 20 내지 5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일 수 있고, 밀도는 0.5 내지 1.5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딸기 제배 영양제는 셀레늄을 유기킬레이트 형태로 제조한 유기 셀레늄을 포함할 수 잇으며, 이는 무기 형태보다 30% 이상 높은 셀레늄의 흡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제품으로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으며, 딸기의 재배 시 500 내지 5000 배 희석한 본 발명의 영양제를 관주 또는 엽면시비와 같은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제 2 단계에서 딸기 재배 영양제의 시비량 또는 시비횟수는 7일에서 15일 간격으로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액을 물에 500 - 5000배 희석하여 500평 - 2,000평에 500 L를 월 1 내지 8회 시비, 살포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1000배 희석하여 500평에 500 L를 월 2 내지 4회 시비,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제 2 단계에서는 엽면 시비, 토양 시비, 및 관주 시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딸기 재배 영양제를 시비할 수 있다. 엽면 시비는 7일에서 15일 간격으로 500 - 1,000배 영양제 희석액을 월 1 내지 4회 살포할 수 있으며 토양 시비 및 관주 시비는 200평당 영양제 희석액을 1 - 2 L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으로 제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가공식품은 딸기를 포함하거나 이용하여 제조하고 가공하는 품의 종류라면 어떤 것이든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딸기를 포함하여 건강 유지 또는 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바이오헬스 식품일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헬스 식품은 딸기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공된 건강기능식품이나 일반 가공식품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딸기잼, 딸기를 함유한 요거트, 딸기로 제조한 효소 식품, 및 딸기 동결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이용한 가공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식품에 포함하는 딸기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 설명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유기셀레늄 용액 제조
정제수 70 g에 EDTA(ethylendiaminetetraacetic acid) 20 g을 투입하여 교반한 다음, EDTA 용액에 KOH 15 g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2시간 이상 교반하여 1차 반응 진행하였다. 1차 반응의 완료 후 반응물은 맑은 용액의 상태로 약간의 발열 반응이 발생하게되며, 맑아진 용액에 SeO2(Selenium oxide) 7.5 g을 서서히 투입하여 12시간 이상 반응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수용액 상태의 유기킬레이트 셀레늄(킬레이트화 셀레늄)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2 - 딸기 재배 영양제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유기셀레늄 용액에 복합아미노산액((주)아미노피아의 동물성아미노산 원액) 70 g을 투입하였으며, 효력 증진제로 ATCA 15 g을 서서히 투입한 뒤, 2시간 이상 반응하여 제제화하여 최종적으로 딸기 재배를 위한 영양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킬레이트화 셀레늄을 포함하는 영양제를 이용한 딸기 재배 (관주 시비, 엽면 시비)
EDTA-Se 농도를 5.6%로 맞춰 제조한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영양제를 물에 1000배 희석하여 시비 용액을 형성한 다음, 이를 주 1회씩 포기당 100 - 200cc씩 약 1달 동안 관주/엽면 시비하였다.
실시예 4 -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엽면 시비)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딸기 재배 영양제를 물에 500배 희석하여 시비 용액을 형성한 다음, 이를 2주에 1회씩 포기당 100cc씩 약 3달 동안 엽면 시비하였다.
비교예 1 - 이산화셀레늄을 이용한 딸기 재배
Se 농도를 1%로 맞춘 이산화셀레늄을 물에 1000배 희석하여 시비 용액을 형성한 다음, 이를 주 1회씩 포기당 100cc씩 약 1달 동안 관주/엽면 시비하였다.
비교예 2 - 무처리군 딸기 재배
상기 실시예 4 및 하기 비교예 3과 달리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딸기를 동일한 기간 동안 재배하였다.
비교예 3 - 종래 셀레늄 비료를 이용한 딸기 재배 (토양 시비)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셀레늄 비료(○○셀레늄)를 물에 500배 희석하여 시비 용액을 형성한 다음, 이를 2주에 1회씩 포기당 100cc씩 약 3달 동안 토양 시비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 셀레늄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재배된 딸기의 셀레늄 함량은 국가공인인증기간인 피켐코리아에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2 - 생리활성물질 분석
실험예 2-1 - 항산화(DPPH)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재배된 딸기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10%의 농도로 딸기를 첨가한 후(2mg/20ml) homogenizer로 입자를 작게 갈아 24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딸기의 침지(추출) 이후 Whatman 100mm Dia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용액만을 필터링하였으며, 이를 96well plate에 40 ㎕ 분주한 후 DPPH 200 ㎕를 분주하여 피펫팅하였다. 딸기 샘플의 양성 대조군과 음성 대조군으로 각각 0.05% BHT와 dH2O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96well plate에 분주하였으며, 528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2-2 - 총 폴리페놀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재배된 딸기의 총 폴리페놀을 측정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10%의 농도로 딸기를 첨가한 후(2mg/20ml) homogenizer로 입자를 작게 갈아 24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딸기의 침지(추출) 이후 Whatman 100mm Dia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용액만을 필터링하였다. 이후 Tannic acid를 50% Methanol에 0.1% 농도로 녹여 standard를 제작하였으며, 96well plate에 각각의 샘플 20 ㎕와 20% phenol reagent 100 ㎕를 넣고 피펫팅하여 5분간 암반응 시켰다. 암반응 후 7.5% Na2CO3 80㎕를 각각의 well에 넣고 피펫팅하였으며, 76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총 폴리페놀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3 - 총 플라보노이드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재배된 딸기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측정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10%의 농도로 딸기를 첨가한 후(2mg/20ml) homogenizer로 입자를 작게 갈아 24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딸기의 침지(추출) 이후 Whatman 100mm Dia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용액만을 필터링하였다. 이후 Quercetin을 99% Ethanol에 0.1% 농도로 녹여 standard를 제작하였으며, 96well plate에 각각의 샘플 20 ㎕와 10%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200 ㎕ 및 4% NaOH 20 ㎕를 넣고 피펫팅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42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총 플라보노이드를 측정하였다.
<결과 및 평가>
결과 1 - 딸기의 셀레늄 함량 조사 결과(킬레이트화 셀레늄, 이산화셀레늄)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관주, 엽면 시비를 통해 재배된 딸기와 상기 비교예 1에 따라 관주, 엽면 시비를 통해 재배된 딸기의 셀레늄 함량을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처리내용 시비방법 셀레늄함량(ppm)
EDTA-셀레늄 관주 24.71
엽면 23.56
이산화셀레늄 관주 19.77
엽면 18.10
그 결과, 관주 시비 및 엽면 시비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킬레이트화 셀레늄(유기셀레늄, EDTA-셀레늄)에서 이산화셀레늄에 비해 딸기 내 셀레늄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비 방법으로 비교해보았을 때 엽면 시비보다 관주 시비를 통해 재배된 딸기에서 조금 더 많은 양의 셀레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 2 - 딸기의 셀레늄 함량 조사 결과(킬레이트화 셀레늄, 기존 셀레늄 비료)
상기 실시예 4에 따라 엽면 시비를 통해 재배된 딸기와 상기 비교예 2에 따라 무처리군으로 재배된 딸기 및 상기 비교예 3에 따라 토경 재배를 통해 재배된 딸기의 셀레늄 함량을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단위 : mg/Kg (생물기준)
처리내용 1차 2차
딸기 과실 딸기 잎 딸기 과실 딸기 잎
무처리 0.001 0.008 0.001 0.007
토경 0.010 1.991 0.018 0.477
양액 0.050 3.920 0.158 3.908
그 결과, 아무런 처리하지 않은 딸기 과실(무처리)에서 셀레늄(Se) 함량은 1차 분석 시 0.001mg/Kg, 2차 분석에서 0.001mg/Kg, 딸기 잎에서 셀레늄(Se) 함량은 1차 분석 시 0.008mg/Kg, 2차 분석에서 0.007mg/Kg으로 나타났으며, 시중 판매중인 셀레늄 비료를 토경 처리한 딸기 과실에서 셀레늄(Se) 함량은 1차 분석 시 0.01mg/Kg, 2차 분석 시 0.018mg/Kg, 딸기 잎에서 셀레늄(Se) 함량은 1차 분석 시 1.991mg/Kg, 2차 분석 시 0.477mg/Kg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양액 처리한 딸기 과실에서 셀레늄(Se) 함량은 1차 분석 시 0.05mg/Kg, 2차 분석 시 0.158mg/Kg, 딸기 잎에서 셀레늄(Se) 함량은 1차 분석 시 3.920mg/Kg, 2차 분석 시 3.908mg/Kg으로 나타났다.
결과 3 - 딸기의 생리활성물질 분석
상기 실시예 4에 따라 엽면 시비를 통해 재배된 딸기와 상기 비교예 2에 따라 무처리군으로 재배된 딸기 및 상기 비교예 3에 따라 토경 재배를 통해 재배된 딸기의 셀레늄 함량을 상기 실험예 2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1차 분석 결과) 및 표 4(2차 분석 결과)에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력,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1차 분석 결과를 하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였다.
건물기준 Se
(mg/kg)
DPPH
(항산화력%)
Flavonoids
(g/Kg)
Polyphenol
(g/Kg)
무처리 0.011 52.8 0.78 1.34
토경 0.122 63.2
(1.19)
0.92
(1.18)
1.47
(1.09)
양액 1.314 74.3
(1.4)
1.08
(1.38)
1.86
(1.39)
1차 분석 결과 무처리구에서 셀레늄(Se) 함량은 0.011mg/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시중 판매중인 셀레늄 비료를 토경 처리한 딸기에서 셀레늄(Se) 함량은 0.122mg/K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양액 처리한 딸기에서 셀레늄(Se) 함량은 1.314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력을 측정할 수 있는 DPPH의 분석 결과 무처리구 딸기에서 52.8%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셀레늄 비료를 토경 처리한 딸기에서 63.2%,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양액 처리한 딸기에서 7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딸기의 생리활성 물질 중 하나인 Flavonoid의 분석 결과 무처리구 딸기에서 0.78g/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셀레늄 비료를 토경 처리한 딸기에서 0.92mg/Kg,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양액 처리한 딸기에서 1.08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딸기의 또 다른 생리활성 물질 중 하나인 Polyphenol의 분석 결과 무처리구 딸기에서 1.34mg/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셀레늄 비료를 토경 처리한 딸기에서 1.47mg/Kg,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양액 처리한 딸기에서 1.86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차 분석 결과, 딸기 내 셀레늄 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처리한 샘플에서 약 120배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생리활성물질 또한 1.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기준 Se
(mg/kg)
DPPH
항산화력
Flavonoids
(g/Kg)
Polyphenol
(g/Kg)
무처리 0.006 34.7 0.64 1.25
토경 0.159 51.7
(1.49)
1.40
(2.19)
1.23
(0.98)
양액 3.054 61.7
(1.78)
0.97
(1.52)
1.73
(1.38)
2차 분석 결과 무처리구 딸기에서 셀레늄(Se) 함량은 0.006mg/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셀레늄 비료를 토경 처리한 딸기에서 셀레늄(Se) 함량은 0.159mg/Kg,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양액 처리한 딸기에서 셀레늄(Se) 함량은 3.054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력을 측정할 수 있는 DPPH의 분석 결과 무처리구 딸기에서 34.7%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셀레늄 비료를 토경 처리한 딸기에서 51.7%, 실시예에 다른 영양제를 양액 처리한 딸기에서 6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딸기의 생리활성 물질 중 하나인 Flavonoid의 분석 결과 무처리구 딸기에서 0.64g/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셀레늄 비료를 토경 처리한 딸기에서 1.40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양액 처리한 딸기에서 0.97mg/Kg으로 나타났다.
딸기의 또 다른 생리활성 물질 중 하나인 Polyphenol의 분석 결과 무처리구 딸기에서 1.25mg/Kg으로 나타났으며, 셀레늄 사료를 토경 처리한 딸기에서 1.23mg/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양액 처리한 딸기에서는 1.73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차 분석 결과, 딸기 내 셀레늄 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실시예에 따른 영양제를 처리한 샘플에서 약 509배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생리활성물질 또한 1.8, 1.5, 및 1.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딸기 내 셀레늄 함량이 높을수록 다른 생리활성물질 역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재배 영양제의 경우 딸기 내 셀레늄 함량을 증가시켜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을 나타내는 바이오헬스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

Claims (3)

  1.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diaminetetracetic acid, EDTA), 수산화물(hydroxide), 산화셀레늄(Selenium oxide, SeO2) 및 아세틸티오프롤린(acetylthioproline, ATCA)를 포함하는 유기셀레늄 용액을 이용하여 딸기 재배 영양제를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딸기 재배 영양제의 시비량 또는 시비횟수를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시비량 또는 시비횟수가 설정된 딸기 재배 영양제를 딸기에 시비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엽면 시비, 토양 시비, 및 관주 시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딸기 재배 영양제를 시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3. 제 1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식품.
KR1020200016022A 2020-02-11 2020-02-11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KR102338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22A KR102338506B1 (ko) 2020-02-11 2020-02-11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22A KR102338506B1 (ko) 2020-02-11 2020-02-11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27A true KR20210101727A (ko) 2021-08-19
KR102338506B1 KR102338506B1 (ko) 2021-12-13

Family

ID=7749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022A KR102338506B1 (ko) 2020-02-11 2020-02-11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67A (ko) * 2021-06-02 2022-12-09 안지혜 동·식물용 셀레늄 영양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748A (ko) 2004-04-30 2004-06-23 김현채 게르마늄이 함유된 딸기의 재배, 및 효소의 제조방법
KR20040052747A (ko) * 2004-04-30 2004-06-23 김현채 셀레늄이 함유된 딸기의 재배, 및 효소의 제조방법
KR20050080374A (ko) * 2004-02-09 2005-08-12 (주)대 유 셀레늄 복합비료
KR100514165B1 (ko) * 2005-01-18 2005-09-13 남윤구 셀레늄과 칼슘 함량이 높은 엽과류의 재배방법
KR20120112278A (ko) * 2012-04-19 2012-10-11 (주)해림파메틱 N-Acetyl thiazolidine carboxy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영양제용 복합비료
KR20140028485A (ko) 2012-08-29 2014-03-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 꼭지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딸기 음료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374A (ko) * 2004-02-09 2005-08-12 (주)대 유 셀레늄 복합비료
KR20040052748A (ko) 2004-04-30 2004-06-23 김현채 게르마늄이 함유된 딸기의 재배, 및 효소의 제조방법
KR20040052747A (ko) * 2004-04-30 2004-06-23 김현채 셀레늄이 함유된 딸기의 재배, 및 효소의 제조방법
KR100514165B1 (ko) * 2005-01-18 2005-09-13 남윤구 셀레늄과 칼슘 함량이 높은 엽과류의 재배방법
KR20120112278A (ko) * 2012-04-19 2012-10-11 (주)해림파메틱 N-Acetyl thiazolidine carboxy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영양제용 복합비료
KR20140028485A (ko) 2012-08-29 2014-03-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 꼭지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딸기 음료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67A (ko) * 2021-06-02 2022-12-09 안지혜 동·식물용 셀레늄 영양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506B1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553B1 (ko) 복합 펩티드 셀레노프로테인 양액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AU2010212292B2 (en) The use of nickel in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EP3411343A1 (en) Semi-humic organic carbon material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60029283T2 (de) Selenchelatbildner enthaltendes Düngemittel
Luo et al. Urea transformation and the adaptability of three leafy vegetables to urea as a source of nitrogen in hydroponic culture
KR102338506B1 (ko) 셀레늄 함유 딸기 재배 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된 딸기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CN101774834B (zh) 植物营养剂
Piñero et al. Effects triggered by foliar selenium application on growth, enzyme activities, mineral nutrients and carbohydrates in lettuce under an aquaculture system
EP0726240A1 (en) Obtaining and use of diamines, polyamines and other complementary active elements from treated natural products
KR102617376B1 (ko) 동·식물용 셀레늄 영양제의 제조방법
KR101223009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액비의 제조방법
Baghour et al. Metabolism and efficiency in nitrogen utilization during senescence in pepper plants: Response to nitrogenous fertilization
KR20000053863A (ko) 게르마늄원석-목탄의 복합분에 의한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KR100443131B1 (ko) 셀레늄을 함유한 식물 재배용수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재배방법
Kleiber Effect of titanium application on lettuce growth under Mn stress
AU2021101630A4 (en) Selenium-enriched cultivation method for aloe vera
Swarnam et al.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Panchagavya on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KR100595670B1 (ko) 게르마늄 및 셀레늄 함유 양액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양액 및 그 양액을 이용한 기능성 과일·채소의 생산 방법
Fevria et al. Effect of ecoenzyme addition on vitamin C levels of spinach (Amaranthus sp.) cultivate hydroponically
KR102113394B1 (ko) 게르마늄수용액을 이용한 기능성 새싹인삼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기능성 새싹인삼
KR102355298B1 (ko) 토양활성제 및 그 제조방법
Shaibur et al. EFFECTS OF AERATION ON ARSENIC AND ITS SUBSEQUENT EFFECTS ON GROWTH AND MACROELEMENTS OF RICE
KR100278153B1 (ko) 칼륨을 주제로 한 알칼리성 생장촉진 및 발효제수용액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523759B1 (ko) 유기 셀레늄 함량이 높은 녹차의 생산방법 및 그것의 용도
CN113575329A (zh) 一种有机富硒大米的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