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964A -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964A
KR20210100964A KR1020200014984A KR20200014984A KR20210100964A KR 20210100964 A KR20210100964 A KR 20210100964A KR 1020200014984 A KR1020200014984 A KR 1020200014984A KR 20200014984 A KR20200014984 A KR 20200014984A KR 20210100964 A KR20210100964 A KR 20210100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unit
herpes zoster
voltage
multipl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영
Original Assignee
김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휘영 filed Critical 김휘영
Priority to KR102020001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964A/ko
Priority to US16/802,592 priority patent/US20210244955A1/en
Publication of KR2021010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2Detecting or monitoring se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rsing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는, 지정 전압을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하는 체배전압생성부, 체배한 제1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을 치료하는 제1 치료자극코일부, 체배된 제2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 후 통증을 치료하는 제2 치료자극코일부, 및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제2 치료자극코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Primates Herpes Zoster Treatment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대상포진의 치료와 대상포진 후 통증을 동시에 치료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경 손상이나 조직의 염증은 화학적, 해부학적 연결(coupling)이 되어, 1차 구심신경세포의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비정상적인 활성화, 혹은 재생과정 중 원심성 교감신경 섬유와 1차 구심신경세포와의 연결이 형성되는 현상 등에 의해서 교감신경계가 통증에 관여한다. 치료는 급성기 대상포진 치료는 피부병변의 치료, 통증의 조절과 함께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의 진행을 방지하며, 급성기 통증을 조절하고, 중추감작을 억제하여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의 진행을 막기 때문에 통증 조절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의 치료방법은 항바이러스제를 초기에 투여하나, 50시간 이내가 효과적이고, 투여시 함께 스테로이드를 염증반응과 신경 손상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구 투여도 하나, 동시에 투여하면 급성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을 억제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차단술은 교감신경계가 통증에 관여 못하고 급성 염증반응으로 인해 교감신경계 자극이 와서 신경세포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며, 실제 대상포진은 자연치유율이 좋으며, 확실하지 않은 신경차단술과 지속적인 통증은 신경계 감작을 일으켜서 만성 통증으로 진행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빠른 시일 내에 통증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5748호(2009.12.07)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923호(2005.01.26)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대상포진의 치료와 대상포진 후 통증을 동시에 치료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는, 지정 전압을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하는 체배전압생성부, 상기 체배한 제1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을 치료하는 제1 치료자극코일부, 상기 체배된 제2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 후 통증을 치료하는 제2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2 치료자극코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2 치료자극코일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에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제공하는 고전압 멀티플라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지정 전압에 의한 초기 전류를 보상하는 초기전류보상부, 상기 지정 전압을 고압으로 생성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코일 및 상기 초기전류보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ZCS(zero current switching)에 의한 공진 동작을 수행하는 ZCS 공진 인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ZCS 공진 인버터부의 동작시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유도되는 양단 전압이 상기 고전압 멀티플라이어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고전압 멀티플라이어로서 전파 콕크로프트-월턴 회로(fullwave Cockcroft Walton circuit)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방법은, 체배전압생성부가, 지정 전압을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하는 단계, 제1 치료자극코일부가, 상기 체배한 제1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을 치료하는 단계, 제2 치료자극코일부가, 상기 체배된 제2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 후 통증을 치료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2 치료자극코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2 치료자극코일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에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제공하는 고전압 멀티플라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체배하는 단계는, 초기전류보상부가, 상기 지정 전압에 의한 초기 전류를 보상하는 단계, 변압기가, 상기 지정 전압을 고압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ZCS 공진 인버터부가,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코일 및 상기 초기전류보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ZCS에 의한 공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ZCS 공진 인버터부의 동작시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유도되는 양단 전압이 상기 고전압 멀티플라이어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고전압 멀티플라이어로서 전파 콕크로프트-월턴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상포진과 관련된 운동장애회복과 대상포진 후 통증의 초기 관리를 위하고, 적극적인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구현, 접목을 시도한 결과 자기장을 신체에 가함으로써 근육, 신경 세포를 자극할 수 있는 수준의 유도전류(Eddy Currents)를 발생시켜 통증을 치료할 수 있으며, 잘 치료되지 않는 분야에서 효과적이며, 다양한 통증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혈류개선 효과가 있고, 생체 백혈구암세포(HumanLeukemic Cell)는 자기장에서 세포괴사가 일어나며, 치유를 촉진, 통증을 경감시키는 데 관여하며, 세포막을 통한 이온 등의 이동으로 식세포나 효소활성을 증가, 세포막의 탈분극과 막전위 변화, 성장인자 분비, 칼슘이온 전달, 연골세포 합성 등을 할 수 있다.
이온 활성화는 혈류개선뿐 아니라 심부, 깊숙이 침투하여 신경 및 근육, 골격조직을 자극하여 질환을 치료하는 것과 통증원인을 제거하고, 산성체액을 알칼리성 체액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세혈관은 혈액만 관류시키는 것이 아니라 닫혀있다가 동작하며, 혈액은 동정맥 문합을 통해 순환되며 조직에서 요구하는 대사에 따라 모세혈관 상에서 선택적 관류를 하며, 역할은 소동맥이나 모세혈관의 수축, 이완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수축, 이완의 정도는 조직에서 혈관의 대사활동과 혈관 평활근의 교감신경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이러한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소동맥과 모세혈관의 수축과 이완을 직접적으로 발생시키고 또한 척수를 통해 뇌로 전달된 교감신호가 다시 피부 교감신경 혈관 수축 및 확장 섬유의 활동성에 영향을 주어 모세혈관 및 혈관에 혈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보조적인 화면처리 기능의 옵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셀폰으로 치료, 통신, 제어, 관련자와 연락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는 전압부(101 ~ 105), 음향출력부(106), 제어부(107), 센서부(혹은 센싱부)(108), 센서구동부(혹은 센서모듈)(110, 112 ~ 115), 통신부(116, 117),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8 ~ 121), 체배전압생성부(혹은 고전압생성부)(122 ~ 124, 126, 135), 메모리부(130 ~ 132), 치료자극코일부(128, 129, 133, 134 ~ 136), 이미지신호처리부(135 ~ 137)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메모리부(130 ~ 132)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가 구성되거나, 센서구동부(혹은 센서모듈)(110, 112 ~ 115)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107)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압부(101 ~ 105)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사용하기 위한 전압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전압부(101 ~ 105)는 상용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아답터(101), 내장형 충전기(102), 휴대용으로 사용될 때 사용하는 전원용 배터리(103),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담당하는 충전포트(104)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담당하는 전압모니터 기능을 수행하는 전압모니터링부(105)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음향출력부(106)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의 동작과 관련되는 다양한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하며, 핵심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부(107)는 CPU, M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08)는 근전도(EMG) 측정을 위한 EMG 센서 및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옵션 형태로 근전도 측정 센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구동부(110, 112 ~ 115)는 트라이액 구동부(110), IGBT부(112), 각종 센서의 구동을 위한 센서구동부(113), SCR 구동부(114) 및 구동제어 유닛(115)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통신부(116, 117)는 제1 통신부(116) 및 제2 통신부(1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통신부(116)는 유선통신포트로서, 그리고 제2 통신부(117)는 무선통신포트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8 ~ 121)는 디스플레이 뷰(혹은 디스플레이부)(118), 전원버튼(119), 센서버튼(120), 동작/정지버튼(121)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8 ~ 121)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8 ~ 121)는 뇌신경 자극장치 즉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창(125) 및 디스플레이 창(125)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 뷰(118) 및 디스플레이 창(125)은 터치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체배전압생성부(122 ~ 124, 126, 135)는 교류에서 들어오는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검출부(122), 전압조절 콘트롤러(123), 영전압스위칭(ZCS: zero current switching) 공진 인버터(Resonant inverter)(124), 전파 콕크로프트-월턴 회로(fullwave Cockcroft Walton circuit)(126)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전파 콕크로프트-월턴 회로(126)는 전압체배기(혹은 주파수체배기)에 해당한다. 전압체배기는 고압 발생을 목적으로 하며, 동작원리는 차지펌프 회로와 유사하다. 전파 콕크로프트-월턴 회로(126)는 대상포진 치료를 위한 저주파와 대상포진 후 통증 치료를 위한 고주파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저주파와 고주파는 상대적인 개념이라 볼 수 있으며, 다만 기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준 주파수보다 작으면 저주파, 높으면 고주파로 정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대적이라는 것은 체배기로 2개의 주파수를 갖는 고압을 출력한다고 가정할 때, 높은 쪽은 고주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메모리부(130 ~ 132)는 실시간 클럭생성부(130), 데이터메모리영역(부)(131) 및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를 구동하는 프로그램메모리(부)(132)를 포함한다. 실시간 클럭은 가령 데이터 처리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메모리(132)는 내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설정된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치료자극코일부(128, 129, 133, 134 ~ 136)는 저주파와 고주파의 자기펄스를 출력하기 위한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제2 치료자극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번호 128은 도면번호 126에서 나온 전압을 충전, 도면번호 129는 전력반도체를 방전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면번호 133은 대상포진 치료용 치료자극 코일부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자극코일부(128, 129, 133, 134 ~ 136)는 정류된 전압을 충전하는 충전부(136),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는 방전부(135) 및 대상포진후 치료자극부 코일부(134)를 포함한다. 대상포진 치료용 치료자극 코일부는 저주파 전압을, 그리고 대상포진후 치료자극부 코일부(134)는 고주파 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대상포진은 VZV(varicella zoster virus)의 재활성화로 생기는 질환이며, 감각신경에 따라 증식, 이동 발현과 신경근 통과띠 모양의 수포성 병변이 보이며, 감염은 감각뉴런에 잠복하며, 흉추 척추신경, 제5 뇌신경, 제7 뇌신경분포 부위의 신경절(ganglia)을 따라 피부발진 전에 소양감, 작열감 등을 유발한다. 고감도 CCD 카메라로 검출하여 실시간 컬러영상으로 피부에 흡수된 피부의 생체정보를 가지는 형광을 관찰하면 가시광선(400~700nm) 영역 중 파란색(400nm) 파장을 조사하면, 피부의 구성 성분인 콜라겐, 플라빈, 엘라스틴 등도 형광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광노화(Photo-Aging), 색소침착(Pigmentation), 여드름(P-Acne), 피부 균질성 평가(Evenness), 피부질환 진단, 대상포진, 노화 측정이 가능하고 멜라닌에 의한 색소 침착 등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대상포진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발생하며, 극심한 통증과 여러가지 운동장애가 동반되며, 급성기에 이질통(allodynia)이 있는 환자증가, 대상포진 발생 후 신경차단을 받은 기간이 길수록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가능성이 높고, 심부 작열통(burning pain), 간헐적인 전격통, 난자통, 이질통 등이 동반되며,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발생한 후근절(dorsal root ganglion, DRG)과 말초신경에는 만성 염증세포들이 발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기펄스로 근육, 신경세포, 모세혈관 내의 이온 활성화를 통한 혈류개선과 산성체액을 알칼리성 체액으로 전환시키며, 교감신경도 자극하여 소동맥과 모세혈관의 수축과 이완을 발생시키고 척수를 통해 뇌로 전달된 교감신호가 다시 피부 교감신경 혈관 수축 및 확장 섬유의 활동성에 영향을 주어 모세혈관 및 혈관에 혈액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은 세포괴사를 줄이고, 세포막을 통한 이온 등의 이동으로 식세포나 효소활성을 증가, 세포막의 탈분극과 막전위 변화, 성장인자 분비, 칼슘이온 전달, 연골세포 합성 등이 용이하며, 나아가 통증치료가 가능하며, 원루프 즉 제1 치료코일은 대상포진(herpes zoster)의 병변과 투루프 즉 제2 치료코일은 PHN(post-herpetic neuralgia)의 병변에 동시에 대상포진과 통증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방안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극에 필요한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와 강한 자계를 형성시키는 코일(coil)을 구성하며, 자극 코일에 짧고 강한 전류를 주입하면 펄스형의 자계가 형성되고, 시변자계는 인체조직 내에 와전류를 유발시켜 신경을 자극하는 원리로 자극강도를 유발시켜 수 테슬라(tesla) 정도의 자계를 수백 ㎲ 폭의 펄스로 발생, 구성은 뇌신경자극장치의 치료자극 코일의 탈부착이 가능, 병변부분에 이상을 알려주는 LED를 부가한 EMG 센서와 피부와 병변에 따른 통증치료를 위해 치료펄스를 자극하기 위한 펄스장치의 제어, 전원장치의 성능과 용량에 따라 추가적으로 자극코일을 더 교체 및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EMG 센서모듈은 에너지 하베스트(energy harvester)와 EMG 프론트엔드(Front End(analog))로 옵션으로 구성, 휴대 및 이동 편의를 위해 가볍고 작게 구성, 셀폰으로 연동하여 몸 상태에 따른 모니터링과 병원과의 연계를 통해 증세가 심각할 때 바로 처리할 수 있는 대상포진 및 통증 치료기에 해당된다.
요약하면, 수두가 완쾌 후 후근절(dorsal root ganglion), 뇌신경절에 잠복 후 재발하며, 잠복 바이러스는 가끔 활동을 하지만 세포성 면역(cell mediated immunity)에 의해 억제, 세포성 면역이 감소되면 신경절에서 증식하여 신경세포(neuron)를 파괴하고 발진과 물집을 형성하면서 통증을 유발한다. 이에 옵션으로 고감도 컬러카메라를 진단 목적으로 부가하면, 피부 내부에서 피부생체 정보를 가지는 형광관찰, 가시광선(400~700nm) 영역 중 파란색(400nm) 파장을 조사하면, 대상포진, 여드름균(P.acne) 건선 등에 내재된 포르피린(Porphyrin) 성분에 빛이 흡수, 형광을 발생시키며, 검출 및 영상을 기록, 분석하여 자기자극 펄스를 병변에 가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는 자기펄스를 인체에 가하면 근육, 신경세포, 모세혈관 내의 이온 활성화를 통한 혈류개선과 산성체액을 알칼리성 체액으로 전환, 교감신경도 자극되어 소동맥과 모세혈관의 수축과 이환을 발생시키고 척수를 통해 뇌로 전달된 교감신호가 피부 교감신경 혈관수축 및 확장 섬유의 활동성에 영향을 주어 모세혈관 및 혈관에 혈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세포괴사를 줄일 수 있고, 세포막을 통한 이온 등의 이동으로 식세포나 효소활성을 증가, 세포막의 탈분극과 막전위 변화, 성장인자 분비, 칼슘이온 전달, 연골세포 합성 등이 용이하고, 나아가 통증치료가 가능하며, 대상포진(예: 원 루프, 제1 루프) 치료코일은 대상포진의 병변과 포진 후 통증(예: 2루프, 제2 루프) 치료코일은 PHN(post-herpetic neuralgia)의 병변에 동시에 대상포진과 통증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보조적인 화면처리 기능의 옵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의 성능을 진단기기 즉 도 1의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의 기능으로도 추가할 수 있다.
도면번호 201은 렌즈, 도면번호 202는 CCD-CMOS 센서, 도면번호 203은 CCD-CMOS 센서 신호처리부, 도면번호 204는 일반적인 조명 LED, 도면번호 205는 700-1, 100nm 파장의 근적외선 LED 구동장치, 도면번호 206은 카메라 인터페이스(Camera interface), 도면번호 207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도면번호 208은 위치보정의 기능을 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도면번호 209는 위치보정과 자세보정의 속도를 제어하는 가속도계(accelerometer), 도면번호 210은 AC 아답터(AC adapter), 도면번호 211은 무선전력 수신부(wireless power), 도면번호 212는 무선 관절경검사(wireless arthroscopy)의 배터리, 도면번호 213은 배터리 충전기(battery charger), 도면번호 214는 보조개념의 소형 데이터 송수신용 블루투스 트랜스미터(bluetooth transmitter), 도면번호 215는 LCD 제어회로, 도면번호 218은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도면번호 219는 보조개념의 소형 데이터 송수신용 블루투스 수신기(bluetooth receiver), 도면번호 220은 모니터(monitor), 도면번호 221은 셀폰(cell phone)으로 구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싱된 고화질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영상 데이터 전송방식은 초광대역통신(UWB) 기술이 사용되며, 고화질은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크면 한 번에 많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초광대역 주파수 영역대를 갖는 것이 UWB 통신이기 때문이다. 또한, 단순하게 카메라의 기능을 부가하여 피부표면으로 대상포진을 검진 및 판단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핵심으로 도면번호 301은 헤르페스바이러스(herpes virus)를 보여주며, 도면번호 302는 대상포진의 수두대상 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에 의한 질환으로 도면번호 304는 병변부위 피부분절을 지배하는 후근신경절로 바이러스가 면역력 저하, 물리적 손상, 악성종양 등의 유발 인자에 의해서 재활성되어 감각 신경절을 따라 급성통증과 수포성 발진이 발생하는 급성 피부질환을 보여준다.
도면번호 303은 치료펄스를 가하면 근육, 신경세포, 모세혈관 내의 이온 활성화를 통한 혈류 개선과 산성 체액을 알칼리성 체액으로 전환, 교감신경도 자극되어 소동맥과 모세혈관의 수축과 이환을 발생시키고 척수를 통해 뇌로 전달된 교감신호가 피부 교감신경 혈관수축 및 확장 섬유의 활동성에 영향을 주어 모세혈관 및 혈관에 혈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면번호 305는 치료코일, 도면번호 306은 치료펄스장치의 기능도, 도면번호 304는 자극코일로 방전을 하여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발현 정지와 통증 완화, 도면번호 307은 같은 3차 신경과 척수 신경절, 말초 지각신경, 후근, 후각의 급성염증, 세포침윤, 부종, 출혈의 염증과 중증시 신경절 괴사, 염증과 퇴행성 변성, 도면번호 308은 후근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유발인자에 의해 재활성되어 감각신경절을 따라 급성통증과 수포성 발진이 발생하는 급성피부 질환을 유발시키는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보여준다. 대상포진 바이러스(VZV)는 도면번호 309의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SV) 1, 2와 동일한 하위 패밀리에 있는 알파 헤르페스 바이러스이며, 게놈은 터미널롱(TRL)과 내부롱(IRL) 리피트로 구분된 도면번호 309의 고유한 롱(UL) 영역과 내부 단락(IRS)과 단락(TRS) 반복으로 한정된 고유한 단락(US) 영역으로 구성된 바이러스에 자극을 한다.
게놈은 비리온에서 선형이며 각 끝에 비쌍핵이 있으며, VZV 감염세포에서 말단쌍과 게놈은 순환하며, 게놈에는 5개의 반복 영역이 있고, 반복 영역 1(R1)은 오픈리딩 프레임(ORF) 11, R2는 ORF14(당단백 C), ORF22의 R3, ORF62와 바이러스 복제의 기원 사이의 R4, ORF 60과 61 사이의 R5에 위치에 자극한다.
도면번호 310에서 VZV 게놈(첫 번째 행)에는 터미널 긴(TRL), 터미널 단편 (TRS), 내부 단시(IRL) 및 내부 단락(IRS) 반복이 있는 독특한 긴(UL) 및 고유한 짧은 지역이 있고, VZV 유전자(두 번째 줄)와 HSV 유전자(세 번째 줄)는 숫자로 표시되며, 해당 바이러스에 동족체가 없는 VZV 또는 도면번호 307의 HSV 유전자는 원으로 표시, HSV 게놈은 UL 및 US 지역과 TRL, TRS, IRL 및 IRS 반복을 포함하여 자극한다.
대상포진 바이러스(VZV)와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SV)에 대한 대상포진 및 포진 후 통증치료장치로 실제 대상포진 환자에서 도면번호 312는 왼쪽 옆구리와 꼬리뼈 부위에 수포가 발생하였고, 두 군데 병변 모두에서 VZV DNA를 보여주며, 도면번호 311은 오른쪽 귀 뒤와 인두, 후두에 수포가 발생하여 수포와 환자의 침에서 VZV DNA를 검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안에 앞서 연구 실험한 방식으로 도면번호 401은 기동전류보상회로 방식을 도입하여, 직류전원전압과 스위칭 주파수 조건의 단상 인버터에서 출력 고조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 PWM 인버터의 전력 회로를 도면번호 402의 하프 브리지 방식의 전력회로를 적절히 변형함으로써 출력전압이 제로(zero)와 정(正)의 직류전원전압과 부(負)의 직류 전원전압뿐 아니라 正의 직류전압의 절반과 負의 직류전압의 절반이 나타나는 도면번호 403의 새로운 기동전력 방식을 포함한 인버터 전력회로를 제안하고 있다. 이 방식은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를 요구시 제어모드의 변화로 일정 전류모드로 출력전압을 제어하고, 정격전류 이하의 증가하는 주파수는 부하에서 스위칭 전원장치에 대한 멀티플라이어(multipler) 스택의 구동으로 전압강하, 리플을 축소할 수가 있고, 리플을 줄이기 위해 전파전압 더블러(doubler)를 구현하며, 효과적으로 초당 사이클을 충전의 수를 두 배로 함으로써 전압강하 및 리플요소를 잘라낸다. 특히, 도면번호 402는 전류 공진형 하프 브리지 인버터와 콕크로프트-월턴 회로를 고전압 DC-DC 컨버터에 도입하여, 하프 브리지 직렬공진 인버터로 구동되는 2 단계 배전압 승수가 되며,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고, 스텝업 2차 변압기의 권선 턴수가 적기 때문에 변압기 스테이지에서 크기가 작고 기생 용량이 작아 효율적이다.
정리하면, 도면번호 403은 초기 전류 보상(start current compensation) 회로(부), 도면번호 404는 고주파 승압 변압기 및 도면번호 405는 콕크로프트-월턴 회로를 사용하는 고전압 멀티플라이어로 구성된다. ZCS 시리즈 공진 인버터는 IGBT를 끌 때 발생하는 테일링 전류에 의한 손실은 줄고, 2개의 IGBT, 누설 인덕터, 블로킹 커패시터 및 충전 커패시터로 구성되며, 스위칭 손실은 원칙적으로 0이며, S1, S2, C1 및 C2를 통한 전류가 사인파로 강요되고 스위치 장치는 제로전류에서 켜지거나 꺼지기 때문에 높은 반복 속도 작동에 적합하며, 도면번호 406은 블로킹 다이오드 역할을 하며, 도면번호 407은 고주파용 방전용 전력소자인 SCR이며, 도면번호 408은 저주파방전용 전력소자인 SCR이다. 도면번호 409는 2-LOOP 타입의 동물대상포진 및 통증치료기의 치료코일, 도면번호 410은 1-LOOP 타입의 동물대상포진 및 통증치료기의 치료코일, 도면번호 411은 자기장(magnetic field), 도면번호 412는 코일 전류(coil current), 도면번호 413은 자극코일(stimulation coil), 도면번호 414는 유도전류(induces current), 도면번호 415는 자극점(stimulation point)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번호 416 ~ 421은 내부적인 회로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번호 422는 변압기의 1차를 통해 흐르는 전류와 충전 커패시터의 전압을 보여주며, 전류 파형은 정현파와 유사하고 ZCS 작동을 보여주며, ZCS 작동 덕분에 스위칭 손실이 상당히 완화되고, 8.3kHz의 작동 주파수와 230V의 입력 전압에서 시스템 시동 프로세스를 보여주며, 방전 소성 전압은 약 17.8kV이고, 이 전압은 장치의 전극 사이에서 약 12.7kV이며, 약 5.7ms 또는 47.5 주기가 발사 전압에 도달하며, 도면번호 424는 확대한 파형을 나타내고 있고, 소프트 스위칭 기술의 적용은 스위칭 손실을 감소시킬뿐 만 아니라 전도성 전자기 간섭(EMI) 레벨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EMI의 관점에서 스위칭 스트레스도 필수적이다. 도면번호 425, 426은 IGBT의 구동전압 파형과 전류 파형, 도면번호 427과 도면번호 428에서 변압기 1차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루프 치료코일은 대상포진의 병변과 투루프 치료코일은 PHN의 병변에 동시에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방안을 제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은 셀폰으로 치료, 통신, 제어, 관련자와 연락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CCD-CMOS 센서(507), 피부, 근전도 센서와 블루투스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대상포진과 통증 치료 등의 응급상황에 대처, 셀폰을 통해 신속한 치료 수행능력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이나 동물 환자(501)로 본 방식은 경제, 신체, 심리적 부담을 줄이고, 센서에 보내어진 축적된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데이터베이스(502)로 보내고, 이로 인해 환자 상담, 치료 가능하며 치료, 시설과 연계를 통한 전문 서비스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센서와 셀폰으로 치료와 위치 등을 추적해 데이터베이스(502)를 사용하여 생체정보, 데이터를 셀폰(504)과 센서를 통해 수집하고 유무선 장치를 통해 의료시설에 전송하므로 의사, 전문가, 보호자들도 참여, 상호협력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업로드, 피드백 응답, 질환 연구와 환자 관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장소,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모니터링 영역을 제공하며, 위치설정,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503)에 접근, 지역을 벗어날 경우 데이터베이스(502)에 저장된 정보를 서버(503)에 등록된 보호자의 셀폰(504)으로 병변 상태와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CCD-CMOS 센서(507), 피부, 근전도 센서 등을 장착하여 도면번호 505의 블루투스를 감지하고 응급상황에 맞는 액티비티(Activity)로 바꾸며 GPS, 음성 인식기능을 셀폰에 추가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모니터링을 추가할 수가 있다. 도면번호 508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의 질병추적, 진단시, 긴급치료를 위해 병변 이상발생시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여 외부 전문기관과 회원관리 모니터, 셀폰(504)에서 서버(503)로 ID와 패스워드를 입력시 데이터베이스(502)에 회원정보를 저장하고 Urlparse를 사용하여 외부기관 홈페이지에 접속되고, 전화번호 접속기술을 이용하여 보호자, 의료시설과 연결 정보를 전송이 가능한 치료코일(506)을 통한 동물 대상포진 및 통증치료기와 셀폰(504)과 통신방식을 나타낸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동작환경은 CCD-CMOS 센서(602), 피부, 근전도센서(604) 등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601)를 연동하였고, MSP430, AVR계열의 사용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Tmega 128을 이용하였고, 7개의 포트(A-G), G 포트를 제외 8비트 사용가능, (G포트는 5 비트) ATmega128의 신호를 받아 오픈소스인 broadcast와 URL을 사용, 홈페이지를 링크, ACT_CALL을 사용하여 참기 어려운 긴급상황에는 응급 전화를 거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하며, 동작 원리는 피부, 행동에 이상이 있을 때와 동작이 없으면 LED를 점등하며, 셀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센서(609)로 위험 감지되면 인식 후, 점등, 도면번호 603의 블루투스를 통해 셀폰 어플리케이션으로 도면번호 608의 경고 신호, 센서 등이 감지되면 관련자에게 알리고 웹, 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 동작으로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블루투스는 센서의 데이터가 USART I/O 레지스터에 도착하면 수신 인터럽트가 호출되며 수신 메시지 RX에 저장, 셀폰과 송, 수신, 센서 모듈의 받은 신호가 ATmega128에 입력되며 입력 값에 셀폰, 센서, 원격 제어의 출력을 제어 받은 신호들이 디지털 신호변환 후 수신 RX 포트에 저장 분석된 후 출력 값이 저장된다.
Vcc(603)에 5V와 30 ~ 50mA 인가하고 ATmega128 연결, 송/수신용으로 7, 8번 핀을 사용, Status는 On/Off 핀이며, RX에 마이크로프로세서의 TX를 연결하면 센서 모듈의 받은 아날로그가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 1바이트 문자가 전송된 후, RX의 ADC값을 읽어 센서, 도면번호 610의 이상감지면 경광등이 알람코드와 블루투스와 송수신은 USART I/O 레지스터를 통해 1바이트 송신, 인터럽트를 사용, RX에 메시지 형태로 저장, 도면번호 611의 코드는 센서 이상이 감지된 후 송수신, 센서 모듈은 Atmega128에 저장된 소스코드에서 타이머를 불러 지정된 시간(Test time: 5 Min)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 후 셀폰으로 응급코드를 전송, 셀폰으로 도면번호 612는 응급 알림코드를 넘기며, 어플리케이션은 도면번호 613은 센서 이상을 알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면번호 605 및 607의 동물 대상포진 및 통증 치료기를 동작한 후 치료 후 정지하게 한다. 블루투스의 신호를 받으면 화면 구성하는 실행 단위인 Activity로 전환, 인터페이스 구현, 서버소켓을 생성, 연결 요청이 감지되면 블루투스 검색이 실행 연결된 페어링의 유무를 확인 후 핵심인 클라이언트와 연결, 소켓 생성, 소켓을 통해 송수신, 소켓생성이 실패하면, 리스닝 소켓을 닫고 쓰레드를 강제 종료시킨다. 다음으로 Input, Output 스트림을 설정, UUID 프로토콜을 이용, 블루투스와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코드로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 설계에서 Activity 구성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Java와 Xml을 사용 개발, 셀폰의 OS는 안드로이드를 사용, 어플리케이션 제작방법은 Eclipse와 JDK를 이용, 버전은 2.3.3 gingerbread를 설치, 개발환경은 Jetty 서버와 Elasticsearch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며 DB베이스는 검색 엔진으로 Elastic Search와 안드로이드 내장 데이터베이스 SQLite 를 사용하였다.
어플리케이션 구조는 블루투스를 통해 셀폰으로 신호가 보내진 후 실행되는 CCD 센서, 근전도기, 동작감지, GPS, 긴급 통화 등 5개의 서비스와 진단 및 관리 정보를 위한 도면번호 614는 8개의 Activity들로 구성하고, 앞 페이지에 Activity 구성이 있고, HostActivity에서 서버가 구현되고 UserManagement에서 로그인과 회원정보저장 메쏘드가 구현되며, 기존 서버인 Tomcat은 많은 세팅이 요구되어, 간단한 Jetty 내장서버와 Java 언어를 사용하였고,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응급 상황 어플리케이션이 실제 동작에서 Manifast.xml 파일에 해당 권한을 삽입 후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 셀폰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지 않게 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생성은 도면번호 701의 OnCreate 메쏘드를 사용 로그인 버튼과 회원 가입 버튼을 만들고 아이디, 패스워드, 나이, 주소, 주거 형태, 일상 생활, 생태 정보 등의 EditText를 만든 후 SetOnClicklistener 메쏘드를 사용하여 IID와 패스워드 정보의 중복을 체크하며, 도면번호 702의 DB 베이스 생성 및 테이블 구성하는 코드이며, User_info라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사용자 ID를 자동 증가시키며 Text 형의 Key값을 추가 후 Sqlite_test에서 테이블 값과 Key값을 받아오며, 도면번호 703은 사용자 입력을 받아서 생성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받아 업데이트하는 과정의 코드로서 Key값의 목록을 EditText에서 입력받아 스트링(String) 값으로 저장 후 DB 파일에 저장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구현 결과는 도면번호 704로 조기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생활과 건강 관리 정보를 관련자, 보호자와 수집하여 인지, 신경학, BPSD, 일상 생활 활동, 수행 능력 기능 등의 외부 평가 지표에 참고 할 수 있으며 외부 지침으로부터 정보를 지원받을 수 있고, 병변 진행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응급 상황발생시 안전하게 대처하며, 나아가 데이터 수집 및 진단 지원 기능 지원으로 구현된 화면에서 사용자 이름, 주거형태, 이름, 나이, 주거 지역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외부 의료 기관의 진료 기록 화면이 나타나며, 주간, 월간 별로 수집된 데이터는 진단 및 치료 관리에 사용될 데이터이며, 이 방식을 통해 대상포진과 포진 후 통증치료의 진단을 검증할 수 있다.
도면번호 705에서 구현된 화면은 일상 생활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나 수행 능력들을 가족이나 보호자가 정기적으로 화면에 입력하고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 정신, 식사, 배설, 입욕, 의복 착용, 청결 상태 등을 레벨(1~5)별로 평가할 수 있고, 식사 활동, 식사량, 속도, 자립도 등의 관찰 입력이 완료되면 외부 지표로 진단 평가를 다운받아 레벨 판정에 참조가 되며, 장, 단기 목표를 통해 치료, 약물치료, 교정지원, 시설 프로그램 지원 여부 등 대안 중재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도면번호 706의 연계 치료 지원의 화면은 관리지원 기능과 관찰에 의한 레벨 판정 결과에 따라 재가치료가 어려운 경우 가까운 동물병원이나 전문 의료원으로 환자 정보를 연결하여 원활한 치료를 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고, 행동 및 심리증상(BPSD)과 의사의 진단에 근거한 적절한 중재 및 연계 치료를 제시한다. 도면번호 707은 셀폰과 장치와의 통신으로 진단과 상황에 따라 치료를 설정하여 조기치료를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는 지정 전압을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한다(S800). 고압 생성을 위해 변압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체배를 위하여 전파 콕크로프트-월턴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체배전압생성은 차지펌프회로의 동작원리와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는 대상포진 치료와 대상포진 치료 후 통증 치료를 위하여 자극코일부를 이원화하여 구성한다. 이원화된 자극코일부는 서로 다르게 체배되는 고압을 각각 이용할 수 있으며, 체배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이원화된 자극코일부는 원루프 코일과 투루프 코일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의 제1 치료자극코일부는 체배한 제1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을 치료한다(S810).
반면,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의 제2 치료자극코일부는, 체배한 제2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 후 통증을 치료한다(S820).
나아가,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는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제2 치료자극코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S830). 다시 말해, 대상포진의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제1 치료자극코일부를 선택하여 제1 전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로 치료를 수행하며, 대상포진 후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2 치료자극코일부를 선택하여 제2 전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버튼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음성인식과 같은 음성 명령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예: MPU, CPU)가 선택적으로 자기자극펄스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 이외에도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9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1 ~ 105: 전압부 106: 음향출력부
107: 제어부 108: 센서부(혹은 센싱부)
110, 112 ~ 115: 센서구동부 116, 117: 통신부
118 ~ 12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2 ~ 124, 126, 135: 체배전압생성부
130 ~ 132: 메모리부 128, 129, 133, 134 ~ 136: 치료자극코일부
135 ~ 137: 이미지신호처리부

Claims (12)

  1. 지정 전압을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하는 체배전압생성부;
    상기 체배한 제1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을 치료하는 제1 치료자극코일부;
    상기 체배된 제2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 후 통증을 치료하는 제2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2 치료자극코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2 치료자극코일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에 연동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제공하는 고전압 멀티플라이어를 포함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지정 전압에 의한 초기 전류를 보상하는 초기전류보상부;
    상기 지정 전압을 고압으로 생성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코일 및 상기 초기전류보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ZCS(zero current switching)에 의한 공진 동작을 수행하는 ZCS 공진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ZCS 공진 인버터부의 동작시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유도되는 양단 전압이 상기 고전압 멀티플라이어에 입력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고전압 멀티플라이어로서 전파 콕크로프트-월턴 회로(fullwave Cockcroft Walton circuit)를 사용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7. 체배전압생성부가, 지정 전압을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하는 단계;
    제1 치료자극코일부가, 상기 체배한 제1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을 치료하는 단계;
    제2 치료자극코일부가, 상기 체배된 제2 주파수의 고압에 의한 자기자극펄스를 출력하여 대상포진 후 통증을 치료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2 치료자극코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료자극코일부 및 상기 제2 치료자극코일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에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압으로 체배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제공하는 고전압 멀티플라이어를 사용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배하는 단계는,
    초기전류보상부가, 상기 지정 전압에 의한 초기 전류를 보상하는 단계;
    변압기가, 상기 지정 전압을 고압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ZCS 공진 인버터부가, 상기 변압기의 1차측 코일 및 상기 초기전류보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ZCS에 의한 공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ZCS 공진 인버터부의 동작시 상기 변압기의 2차측 코일에 유도되는 양단 전압이 상기 고전압 멀티플라이어에 입력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배전압생성부는, 상기 고전압 멀티플라이어로서 전파 콕크로프트-올튼 회로를 사용하는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014984A 2020-02-07 2020-02-07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100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84A KR20210100964A (ko) 2020-02-07 2020-02-07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6/802,592 US20210244955A1 (en) 2020-02-07 2020-02-27 Primates Herpes Zoster Treatment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84A KR20210100964A (ko) 2020-02-07 2020-02-07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64A true KR20210100964A (ko) 2021-08-18

Family

ID=7717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984A KR20210100964A (ko) 2020-02-07 2020-02-07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244955A1 (ko)
KR (1) KR2021010096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923Y1 (ko) 2004-11-03 2005-02-07 남영우 대상포진 치료용 침기구
KR20090125748A (ko) 2007-04-02 2009-12-07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대상포진 후 신경통 치료용 정제 및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치료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923Y1 (ko) 2004-11-03 2005-02-07 남영우 대상포진 치료용 침기구
KR20090125748A (ko) 2007-04-02 2009-12-07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대상포진 후 신경통 치료용 정제 및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치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4955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93437A1 (en) Portable transcutaneous magnetic stimulator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3655164B (zh) 支持多路输出的循证针灸经穴治疗与检测仪及其使用方法
CN102698370B (zh) 一种多功能的智能针灸诊疗仪及应用方法
US8968172B2 (en) Handheld cell excitation terminal capable of dynamic optimization of therapeutic effect and remote therapeutic system
JP5883010B2 (ja) 手持ち式励起端末および照射の動的最適化を提供するemfエミッタおよび治療効果および遠隔治療システム
US2021037004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tinnitus through stimulating multiple acupoints with multi-electrode electric pulse based on bluetooth control and acupoint stimula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5664357A (zh) 多参数可调经颅电刺激系统
US20220330821A1 (en) Medical Therapeutic Device
CN105920735A (zh) 身心康复反馈训练装置
CN102526888A (zh) 心血管疾病细胞激励治疗仪
WO2021208783A1 (zh) 一种远程可编程经穴电子治疗仪及医疗保健系统
CN205055200U (zh) 一种面瘫电针治疗仪
US202401701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patients with diseases associated with viruses
CN103893915A (zh) 一种生物自反馈的睡眠监护磁疗仪
KR20210100964A (ko) 영장류 대상포진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202446674U (zh) 一种生物反馈治疗仪
WO2017181951A1 (en) System and method applying electrical signal to treat pathogen and related disease
KR20210100963A (ko) 영장류근골격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ceutical for the Treatment of Herpes Zoster in Primates and Post-Zoster Neuralgia
CN205083765U (zh) 一种视力矫正仪
CN202942554U (zh) 一种有磁疗功能的腕式半导体激光治疗仪
CN206404181U (zh) 一种方便告警提示的安全电频脉冲治疗仪
EA044146B1 (ru) Медицинско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6381498U (zh) 一种多功能的电频脉冲治疗仪
KR20210100962A (ko) 영장류치매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