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879A -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879A
KR20210100879A KR1020200014791A KR20200014791A KR20210100879A KR 20210100879 A KR20210100879 A KR 20210100879A KR 1020200014791 A KR1020200014791 A KR 1020200014791A KR 20200014791 A KR20200014791 A KR 20200014791A KR 20210100879 A KR20210100879 A KR 20210100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 strap
helmet
sensor module
hard ha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6310B1 (ko
Inventor
조주현
Original Assignee
(주) 세이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이프온 filed Critical (주) 세이프온
Priority to KR102020001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31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6Means for detecting that the user is wearing a helm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06Means for transporting or storing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턱 끈 센서 모듈은 안전모의 턱 끈에 결합되는 케이싱(11);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적어도 턱 끈의 연장 방향의 탐지가 가능한 탐지 센서(13); 및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된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A Sensor Module for a Chin Strap of a Safety Cap and a Method for Checking a Wearing Condition of the Safety Cap}
본 발명은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안전모의 턱 끈의 체결 여부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보호를 위하여 안전모의 착용이 의무화가 되어 강제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작업 과정에서 안전모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 안전 의식의 미비, 무의식적인 미착용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안전모 강제 착용 구역에서 안전모가 착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건설 현장과 같은 위험 작업의 경우 안전대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작업자 보호 수단의 착용이 의무화가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호 수단도 안전모와 같이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위험 영역에서 착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보호 수단의 착용 여부 또는 안전모의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1-0132182는 건설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착용되는 안전모를 추가로 변형 성형 가공하여 개별 식별용 표시 번호판을 안전모에 부착시킨 안전모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3-0062607은 시공 현장에서 착용하는 안전모에 대하여 개시한다. 위험 영역으로 안전 수단 또는 안전모의 착용이 의무화가 되어 있는 영역에서 안전 수단 또는 안전모의 착용 여부가 실시간으로 감시될 필요가 있다. 안전모의 착용은 턱 끈이 체결되어 머리에 고정된 상태가 될 필요가 있고, 안전모 착용의 확인을 위하여 턱 끈의 체결이 확인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작업 현장에서 실제로 안전모의 착용 상태가 턱 끈이 체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어렵다. 그리고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안전모 착용 상태에 따른 문제점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11-0132182(최영식, 2011.12.07. 공개) 개인식별용 표시번호 부착 안전모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13-0062607(현대중공업주식회사, 2013.06.13. 공개) 엘이디 표시패널을 구비한 안전모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모의 착용된 상태에서 턱 끈이 체결되어 안전모가 머리에 안전하게 고정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은 안전모의 턱 끈에 결합되는 케이싱;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적어도 턱 끈의 연장 방향의 가능한 탐지 센서; 및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된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고도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 수단은 안전모에 결합 가능한 착용 표시 모듈과 통신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탐지 센서에 의하여 안전모와 턱 끈의 상대적인 각도의 탐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은 안전모 및 턱 끈에 각각 설치된 센서 모듈에 의하여 안전모와 턱 끈의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 안전모와 턱 끈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 및 탐지된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턱 끈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전모 방향은 안전모에 설치된 방향 탐지 센서에 의하여 탐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은 턱 끈의 체결 여부가 외부에서 확인되도록 하여 안전모의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착용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모듈은 턱 끈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공지의 안전모에 간단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은 위험 작업 상황에서 안전모의 착용 상태가 확인되어 작업자의 안전이 실질적으로 보호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은 선택적으로 작업자의 작업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모듈과 함께 작동되는 착용 표시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턱 끈 센서 모듈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센서 모듈이 안전모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SM)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SM)은 안전모의 턱 끈에 결합되는 케이싱(11);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적어도 턱 끈의 연장 방향의 탐지가 가능한 탐지 센서(13); 및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된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턱 끈 센서 모듈(SM)은 안전모의 턱 끈(10)에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턱 끈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턱 끈(10)은 끈 또는 스트립 형상의 연장 부분(14); 연장 부분(14)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15); 연장 부분(14)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턱 끈(10)이 체결되도록 하는 제1 체결 유닛(16a); 및 턱 끈(10)을 안전모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16b)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턱 끈 센서 모듈(SM)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11); 케이싱(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속 유닛(12a, 12b);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된 탐지 센서(13); 및 탐지 센서(13)을 작동시키면서 탐지 센서(13)에서 탐지된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은 박스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면서 밀폐 구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케이싱 몸체와 케이싱 몸체를 밀폐시키는 덮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속 유닛(12a, 12b)은 케이싱(11)의 앞쪽 또는 뒤쪽에 형성될 수 있고, 연장 부분(14)은 하나의 결속 유닛(12a)으로부터 다른 결속 유닛(12b)을 관통하면서 케이싱(11)의 아래쪽 부분의 바깥쪽 면에 접촉될 수 있다. 결속 유닛(12a, 12b)은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연장 부분(14)의 다양한 위치 또는 턱 끈(10)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연장 부분(14)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 부위(141)가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체결 유닛(16b)에 의하여 하나의 턱 끈(10)이 안전모에 결합될 수 있고,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치된 탐지 센서(13)에 의하여 턱 끈(10)의 연장 방향, 턱 끈(10)의 흔들림 또는 이와 유사한 턱 끈(10)의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두 개의 턱 끈(10)이 각각 제2 체결 유닛(16b)에 의하여 안전모의 서로 다른 측면에 고정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턱 끈(10)은 제1 체결 유닛(16a)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턱 끈(10)의 상태가 탐지 센서(13)에 의하여 탐지되어 통신 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거나, 적절한 표시 수단에 의하여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 탐지 센서(13)는 예를 들어 턱 끈(10)의 방향을 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턱 끈(10)의 회전을 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탐지 센서(13)는 고도 센서 또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탐지 센서(13)에 의하여 턱 끈(10)의 방향 또는 턱 끈(10)의 흔들림 또는 회전이 탐지될 수 있다. 탐지 센서(13)에 의하여 탐지된 턱 끈(10)의 탐지 정보가 처리 프로세서에 의하여 전송 가능한 신호로 처리될 수 있다. 탐지 센서(13)는 통신 수단,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탐지 신호의 처리를 위한 다양한 전자 부품과 함께 전자 기판에 배치되거나, 전자 칩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탐지 센서(13) 또는 통신 수단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통신 수단은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 칩이 될 수 있고, 탐지 센서 모듈(SM)은 작동을 위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 센서 모듈은 동전 배터리,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 또는 다른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탐지 센서 모듈은 안전모에 결합되는 착용 표시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전기적 또는 전자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 표시 모듈과 함께 작동되어 서로 다른 턱 끈(10)이 체결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모듈과 함께 작동되는 착용 표시 모듈(2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착용 표시 모듈(20)은 안전모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안전모는 낙하되는 물체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거나, 충돌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보호구가 될 수 있다. 착용 표시 모듈(20)은 외부에서 확인되는 표시 수단을 가지면서 전력 공급 수단 및 안전 수단과 통신 가능한 수단을 가진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에 결합되고, 안전모에 체결 가능한 결합 수단(28)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 표시 몸체(21); 표시 몸체(21)의 적어도 한쪽 면을 형성하는 표시 창(22); 표시 몸체(21)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체결 유닛(23); 표시 몸체(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엘이디 모듈과 같은 표시 작동 유닛(25); 및 표시 작동 유닛(25)을 비롯한 작동을 위한 다양한 부품 또는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보호를 위한 보호 유닛(27)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몸체(21)의 안쪽 면은 안전모의 외부 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이 될 수 있고, 바깥쪽 면은 표시 창(22)을 형성하는 표시 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쪽 면은 체결 모듈(20)에 결합되는 결합 면이 될 수 있다. 표시 몸체(21)는 전체적으로 안전모의 외부 둘레 면에 대응되는 곡선 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표시 몸체(21)의 안쪽 면은 안전모의 외부 둘레 면에 밀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작동 유닛(25)은 PCB 기판 및 그에 결합된 다수 개의 엘이디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엘이디 소자는 안전 수단의 착용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작동 유닛(25)에서 발생된 광은 표시 창(2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외부에서 쉽게 인지될 수 있다. 표시 창(22)은 다양한 색상의 엘이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반투명 내지 투명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표시 몸체(2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아래쪽 면으로부터 내부로 체결 홀 구조의 체결 유닛(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면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터리와 같은 전원의 충전을 위한 충전 커넥터(24)가 형성될 수 있고, 충전 커넥터(24)는 예를 들어 USB 충전 커넥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몸체(21)는 바닥 면과 위쪽 부분이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표시 작동 유닛(23)은 바닥 면으로부터 내부로 돌출되는 체결 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닥 면에 한쪽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PCB 기판 구조의 표시 작동 유닛(25)이 표시 몸체(21)의 수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작동 유닛(25)에 다수 개의 엘이디 소자가 배치되어 안전 수단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시 작동 유닛(25)에 엘이디 소자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저항, 커패시터, 소자 컨트롤러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종류의 전기 소자 또는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수단(25)에 안전 수단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 칩 및 통신 신호의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안전 수단은 예를 들어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착용하여 안전대에 착용하는 안전 후크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판 형상을 가지면서 표시 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표시 작동 유닛(25)의 위쪽 부분에 예를 들어 플렉시블 2차 전지와 같은 전원(26)이 결합될 수 있다. 전원(26)은 양쪽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병렬로 연결이 될 수 있고, 플렉시블 리튬 배터리, 견고한 형태의 배터리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원(26)은 충전 커넥터(24)에 연결되는 충전 수단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표시 창(22)이 표시 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고정 수단(F1, F2)에 의하여 표시 몸체(21)와 표시 창(22)이 견고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표시 몸체(21)에 충전 회로, 과충전 또는 과방전 보호회로와 같은 보호 유닛(27)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표시 모듈은 부착 모듈(28)에 결합되어 안전모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모듈(28)은 안전모에 결합되도록 끝 부분에 반-실린더 형상의 끼움 홈(282)이 형성된 결합 수단(281); 결합 수단(281)에 한쪽 부분이 결합되면서 체결 유닛(23)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결합 고정 판285); 및 결합 고정 판(285)에 한쪽 끝이 고정되면서 다른 끝이 탄성 유동이 가능한 잠금 유닛(283); 및 잠금 유닛(283)에 형성된 체결 훅(28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수단(281)은 안전모 캡의 아래쪽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안전모의 내부 면에 접촉되도록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접촉 고정 부분이 접촉 고정 부분의 한쪽 끝 부분으로부터 반원형으로 연장되어 안전모의 테두리가 탄성에 의하여 삽입되어 고정되는 반 실린더 형상의 끼움 홈(28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끼움 홈(282)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접촉 고정 부분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 고정 판(285)이 연장될 수 있다. 결합 고정 판(285)은 체결 유닛(2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위쪽 끝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판 형상의 잠금 유닛(283)이 연장될 수 있다. 잠금 유닛(283)의 위쪽 끝은 결합 고정 판(285)의 위쪽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된 위쪽 부분을 기준으로 탄성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잠금 유닛(283)의 탄성 유동을 위하여 결합 고정 판(285)의 외부 표면에 유동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유닛(283)의 외부 면에 걸림 돌기 형상의 체결 훅(284)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 훅(284)은 체결 유닛(23)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 홈에 결합되어 표시 모듈과 체결 모듈(28)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표시 모듈과 체결 모듈(28)은 다양한 구조로 서로 결합되고, 바람직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착용 표시 모듈에 안전모 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안전모 센서는 예를 들어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또는 고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모 센서에 의하여 안전모의 자세가 측정될 수 있고, 착용 센서 모듈(20)에 근거리 통신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턱 끈 센서 모듈은 착용 표시 모듈(2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턱 끈 센서 모듈은 탐지 센서에서 탐지된 정보를 착용 표시 모듈(20)로 직접 전송하거나, 전송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유선 통신으로 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착용 표시 모듈(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 표시 모듈(20)은 안전모의 착용 상태 및 턱 끈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여 표시 창(22)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착용 센서 모듈(20)에 설치된 통신 수단은 턱 끈 센서 모듈과 통신 가능한 근거리 통신 수단 및 외부 관리 수단과 통신 가능한 원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 센서 모듈(20)은 예를 들어 유선 통신에 의하여 턱 끈 센서 모듈과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턱 끈 센서 모듈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착용 센서 모듈(20)은 900 Mhz의 원거리 통신, 와이파이 통신, Lora 통신, Lte 통신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통신에 의하여 외부 관리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착용 표시 모듈(20)에 내장형 2차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고, 충전 회로 또는 USB 충전 방식과 같은 충전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턱 끈 센서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리튬 배터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선택적으로 착용 센서 모듈(20)에 의하여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있다. 턱 끈 센서 모듈은 착용 센서 모듈(20)과 함께 작동되어 안전모의 착용 상태 및 턱 끈의 체결 상태가 확인되어 표시되거나, 외부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턱 끈 센서 모듈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모의 상태를 탐지하는 안전모 센서 모듈과 턱 끈의 상태를 탐지하는 턱 끈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31)에 의하여 안전모의 자세 또는 상태와 턱 끈의 자세 또는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안전모 센서 모듈은 예를 들어 안전모의 뒤쪽에 결합될 수 있고, 도 2에서 설명된 센서 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안전모 센서 모듈에 의하여 안전모의 방향, 위치 또는 자세가 탐지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안전모 센서 모듈은 3축 또는 6축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고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턱 끈 센서 모듈에 의하여 턱 끈의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턱 끈의 연장 방향, 회전, 흔들림 또는 위치 변화가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안전모 센서 모듈과 턱 끈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31)에 의하여 탐지된 안전모 상태 정보 및 턱 끈 상태 정보가 관련 위치 탐지 모듈(32)로 전송될 수 있다. 관련 위치 탐지 모듈(32)에 의하여 안전모의 자세, 턱 끈의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안전모에 대한 턱 끈의 상대적인 위치가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모의 자세에 대한 턱 끈의 연장 방향의 각도 또는 턱 끈의 방향의 변화가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관련 위치 정보가 안전모 및 턱 끈 착용 판단 모듈(33)로 전송될 수 있다. 안전모 및 턱 끈 착용 판단 모듈(33)은 안전모의 상태 정보, 턱 끈의 상태 정보 및 관련 위치 정보로부터 안전모의 착용 여부, 턱 끈의 체결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을 통하여 착용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착용 상태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관리자의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모의 착용 여부 및 턱 끈의 체결 여부가 판단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센서 모듈이 안전모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가)를 참조하면, 안전모(41)가 착용되어 턱 끈(10)이 체결된 상태에서 안전모(41)와 턱 끈(10)은 서로 고정된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턱 끈(10)은 안전모(41)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이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턱 끈(10)에 턱 끈 센서 모듈(SM)이 결합될 수 있다. 착용 표시 모듈(20)이 안전모(41)의 뒤쪽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안전모(41)가 착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좌우 또는 전후로 안전모(41)가 기울어질 수 있다. 안전모(41)가 착용되고, 턱 끈(10)이 체결된 상태라면, 안전모 방향(SD)와 턱 끈 방향(CD)는 안전모(41)의 경사와 관계없이 일정 각도 범위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측 방향(X축 방향)에 대한 안전모 방향(SD)와 턱 끈 방향(CD)의 상대 각도(AG)가 45 내지 85로 설정되고, 편차 범위가 5 내지 1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Y축 방향)에 대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위치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안전모(41)의 방향에 관계없이 안전모 방향(SD)과 턱 끈 방향(CD)을 편차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모(41)가 착용되고, 턱 끈(10)이 정상적으로 체결된 상태라면 작업자의 자세가 다양하게 변화되어도 안전모 방향(SD)과 턱 끈 방향(CD)이 편차 범위에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탐지되면 정상 착용으로 판단되어 착용 표시 모듈에 정상 착용 색상이 표시되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정상 착용 상태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턱 끈(10)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턱 끈 센서 모듈(SM)에 의하여 미체결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모(41)가 착용되고, 턱 끈(10)이 착용되지 않은 상태라면 턱 끈(1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턱 끈 센서 모듈(SM)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방향(SD)과 턱 끈 방향(CD)이 미리 설정된 상대 각도(AG)를 벗어나고 이에 의하여 턱 끈(10)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이 탐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자가 자세를 변경하면, 턱 끈(10)의 연장 방향에 자주 변할 수 있고, 턱 끈 센서 모듈(SM)에 의하여 이와 같은 변화가 탐지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방향(SD)과 턱 끈 방향(CD)의 상대 각도(AG)가 자주 변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가 탐지되면 턱 끈(10)이 착용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 표시 모듈(20)이 예를 들어 붉은 색으로 표시되면서 이와 같은 미착용 상태가 무선 통신으로 관리자의 전자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안전모(41)의 미착용 상태는 안전모(41)의 센서 모듈에 의하여 탐지되고, 그에 따라 표시가 되고, 관련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안전모(41)가 착용되지 않는 상태 또는 턱 끈(10)이 체결되지 않는 상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탐지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은 안전모의 착용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P61); 턱 끈 위치 또는 연장 방향이 탐지되는 단계(P62); 안전모와 턱 끈의 상대 위치가 확인되는 단계(P63); 안전모 방향과 턱 끈 방향이 미리 설정된 상대 각도로 유지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P64); 및 판단 결과에 따라 발광 수단에 의하여 표시되거나, 통신 수단에 의하여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단계(P65)를 포함한다. 안전모의 자세가 탐지되면서(P61), 착용 센서 모듈에 의하여 안전모의 착용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안전모가 착용된 상태라면, 턱 끈 센서 모듈에 의하여 턱 끈의 자세 또는 방향이 탐지될 수 있다(P62). 이와 같이 안전모 방향과 턱 끈 방향의 탐지에 따라 상대 위치 또는 상대 각도가 확인되고(P63), 이에 기초하여 미리 안전모 방향과 턱 끈 방향이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에 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P64). 만약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에 있다면(P63), 위치 탐지가 계속될 수 있다(P63). 이에 비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다면(NO), 미착용 경보가 발생되거나 또는 관련 정보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안전모의 착용 여부가 확인되면서 이와 동시에 턱 끈의 체결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턱 끈 11: 케이싱
12a, 12b; 결속 유닛 13; 탐지 센서
20: 착용 표시 모듈 21: 표시 몸체
22: 표시 창 23: 체결 유닛
25: 표시 작동 유닛 41: 안전모

Claims (6)

  1. 안전모의 턱 끈에 결합되는 케이싱(11);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적어도 턱 끈의 연장 방향의 탐지가 가능한 탐지 센서(13); 및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탐지 센서(13)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고도센서를 포함하는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 수단은 안전모에 결합 가능한 착용 표시 모듈(20)과 통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턱 끈 방지 센서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탐지 센서(13)에 의하여 안전모와 턱 끈의 상대적인 각도의 탐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턱 끈 방지 센서 모듈.
  5. 안전모 및 턱 끈에 각각 설치된 센서 모듈에 의하여 안전모와 턱 끈의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
    안전모와 턱 끈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 및
    탐지된 상대적인 위치에 기초하여 턱 끈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전모의 방향은 안전모에 설치된 방향 탐지 센서에 의하여 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KR1020200014791A 2020-02-07 2020-02-07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KR10242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791A KR102426310B1 (ko) 2020-02-07 2020-02-07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791A KR102426310B1 (ko) 2020-02-07 2020-02-07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79A true KR20210100879A (ko) 2021-08-18
KR102426310B1 KR102426310B1 (ko) 2022-08-03

Family

ID=7746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791A KR102426310B1 (ko) 2020-02-07 2020-02-07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52A1 (ko) 2021-07-30 2023-0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습윤 접착력이 우수한 전극용 절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182A (ko) 2010-06-14 2011-12-07 최영식 개인식별용 표시번호 부착 안전모
KR20130062607A (ko) 2011-12-05 2013-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엘이디 표시패널을 구비한 안전모
KR102052548B1 (ko) * 2019-03-08 2019-12-06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061561B1 (ko) * 2019-08-29 2020-01-02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65976B1 (ko) * 2019-05-03 2020-01-14 (주)영신디엔씨 안전모 및 턱끈 정상착용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182A (ko) 2010-06-14 2011-12-07 최영식 개인식별용 표시번호 부착 안전모
KR20130062607A (ko) 2011-12-05 2013-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엘이디 표시패널을 구비한 안전모
KR102052548B1 (ko) * 2019-03-08 2019-12-06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065976B1 (ko) * 2019-05-03 2020-01-14 (주)영신디엔씨 안전모 및 턱끈 정상착용 관리장치
KR102061561B1 (ko) * 2019-08-29 2020-01-02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52A1 (ko) 2021-07-30 2023-0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습윤 접착력이 우수한 전극용 절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310B1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6456B (zh) 集成智能頭戴式設備
CA2648721C (en) Power cord mounted electronic module for portable lamp
US10200524B2 (en) Hand-held tool system
EP2016845A2 (en) Electronic module adapter for headgear
KR102061561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EP2774502A1 (en) Shoe comprising sensors
KR1024487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102426310B1 (ko)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US20090287425A1 (en) Safety clothing
WO2011057306A1 (en) Monitoring headgear and system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KR102458477B1 (ko) 충격감지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안전모
KR102317800B1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KR102582028B1 (ko) 안전모용 충격감지장치
US20200375295A1 (en) Helmet and sensor attachment structure
KR20210075237A (ko) 스마트 안전조끼
US20170230735A1 (en) Sensor Module with at Least One Interface
KR102426312B1 (ko) 근접 센서 방식의 턱 끈 착용 감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모
CN209732688U (zh) 安全帽撞击报警系统及撞击报警安全帽
IT201900007194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individuale indossabile e sistema per la gestione di dispositivi di protezione individuale indossabili.
CN214016220U (zh) 一种智能监管安全帽装置
KR101843880B1 (ko)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CN215195125U (zh) 一种安全带监控装置
KR20220015770A (ko) 지능형 안전 고리
CN114618094A (zh) 用于保障高空作业安全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