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658A - Polarizer - Google Patents

Polar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658A
KR20210100658A KR1020217020303A KR20217020303A KR20210100658A KR 20210100658 A KR20210100658 A KR 20210100658A KR 1020217020303 A KR1020217020303 A KR 1020217020303A KR 20217020303 A KR20217020303 A KR 20217020303A KR 20210100658 A KR20210100658 A KR 20210100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resin film
polarizer
film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키 사와
요시히토 혼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6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01L27/32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평면시에 있어서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갖거나, 및/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편광판으로서, 저온과 고온 조건하에 반복하여 노출되는 냉열 충격 시험(히트 쇼크 시험)에 있어서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와, 그 한쪽 면에 마련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의 폭 2 mm당의 수축력이 0.7 N 이하이며,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23℃에서의 탄성률은 3000 N/㎡ 이하이며, 편광판은, 평면시에 있어서,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갖거나 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편광판.
[Problem]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on the outer edge and/or a through hole in the plane in a planar view, cracking occurs in a cold/heat shock test (heat shock test) repeatedly exposed under low-temperature and high-temperature conditions To provide this suppressed polarizing plate.
[Solution] A polarizer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a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wherein the shrinkage force per 2 mm of width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is 0.7 N or less, and the first thermoplastic The elastic modulus at 23 degreeC of a resin film is 3000 N/m<2> or less, In planar view, a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recessed part in an outer edge part, or has a through-hole in plane.

Description

편광판Polarizer

본 발명은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디자인성이 다양화되고 있다. 그 트렌드의 영향을 받아, 편광판에도 다양한 형상에 대응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sig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diversify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end, it is calculated|required that a polarizing plate also respond|corresponds to various shapes.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7-18201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7-182017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갖거나, 및/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편광판은, 오목형부 및 관통 구멍의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A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concave part in an outer edge part, and/or has a through-hole in surface may generate|occur|produce a crack in the periphery of a recessed part and a through-hole.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시에 있어서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갖거나, 및/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편광판으로서, 저온과 고온 조건하에 반복하여 노출되는 냉열 충격 시험(히트 쇼크 시험)에 있어서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on the outer edge portion in a planar view and/or a through hole in the surface, in a cold-heat shock test (heat shock test) repeatedly exposed under low-temperature and high-temperature conditions. It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occurrence of cracks is suppressed.

본 발명은, 이하의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MEANS TO SOLVE THE PROBLEM This invention provide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llowing polarizing plat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polarizing plate.

[1]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와, 그 한쪽 면에 마련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1] A polarizer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의 폭 2 mm당의 수축력이 0.7 N 이하이며, The polarizer has a contraction force per 2 mm in width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0.7 N or less,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23℃에서의 탄성률은 3000 N/㎡ 이하이며, The elastic modulus at 23° C. o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is 3000 N/m 2 or less,

상기 편광판은, 평면시에 있어서,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갖거나 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편광판. The said polarizing plate has a concave part in an outer edge part, or a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through-hole in a plane in planar view.

[2]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아크릴계 수지 필름 또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COP) 수지 필름인 [1]에 기재된 편광판. [2]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is an acrylic resin film or a cyclic polyolefin-based (COP) resin film.

[3] 상기 편광자의 다른쪽 면에 마련된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더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편광판. [3]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4]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층 구비 편광판. [4] The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ve layer which has the polarizing plate in any one of [1]-[3], and the adhesive layer provided in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side of the said polarizing plate.

[5]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편광판을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하기 위한 것인 [4]에 기재된 점착제 구비 편광판. [5] The polarizing plate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ccording to [4],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to an image display element.

[6]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7]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7]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comprising:

편광자를 준비하는 공정이며, 제1 어닐링 공정을 포함하는 준비 공정과, It is a process of preparing a polarizer, A preparation process including a 1st annealing process;

편광자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제2 어닐링 공정과, a second annealing process;

편광판의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마련하거나 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는 이형 가공 공정A mold release processing step of providing a concave portion on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ing plate or providing a through hole in the surface

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시에 있어서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갖거나, 및/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편광판으로서, 저온과 고온 조건하에 반복하여 노출되는 냉열 충격 시험(히트 쇼크 시험)에 있어서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cave portion on the outer edge portion in a planar view and/or having a through hole in the surface, cracked in a cold-heat shock test (heat shock test) repeatedly exposed under low-temperature and high-temperature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occurrence of is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편광판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오목형부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편광판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관통 구멍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오목형부의 깊이 방향과 연신 방향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편광판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실시예에서 제작한 편광판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olarizing plate which concerns on one aspect of this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cave por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hrough hol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stretching direc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polarizing plate which concerns on one aspect of this invention.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er.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larizing plate produced in Examples.

<편광판> <Polarizer>

본 발명에 관한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와, 그 한쪽 면에 마련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다. 편광판은, 평면시에 있어서,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갖거나, 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가지며, 외연부에 상기 오목부를 가짐과 더불어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고 있고, 이들을 모두 갖는 편광판이어도 좋다. 외연부의 오목형부 및 면내의 관통 구멍을 합쳐서, 이하, 이형부(異形部)라고 총칭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면시(平面視)란, 층의 두께 방향에서 보는 것을 의미한다. The polarizing plat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containing the polarizer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and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provided in the one surface. A polarizing plate may have a concave part in a planar view WHEREIN: A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concave part in an outer edge part, or has a through-hole in plane, has the said recessed part in an outer edge part, has a through-hole in a plane, and has all these. The concave portion of the outer edge portion and the in-plane through hole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eformed portion hereinafter in some cases. In this specification, planar view means seeing from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layer.

편광판은, 평면시에 있어서 사각형 또는 라운딩된 사각형일 수 있다. 라운딩된 사각형이란, 사각형의 모서리부 중 하나 이상이 곡선으로 되어 있는 형상을 말하며, 즉 사각형의 모서리부 중 하나 이상이 라운딩된 형상이며, 사각형이란, 4개의 모서리가 모두 라운딩되지 않은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각형이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편광판이 라운딩된 사각형인 경우, 편광판이 갖는 4개의 모서리 중 하나 이상이 라운딩되어 있어도 좋다. The polarizing plate may be a quadrangle or a rounded quadrangle in plan view. A rounded rectangle refers to a shap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rectangle is curved, that is,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rectangle is a rounded shape, and a rectangle refers to a shape in which all four corners are not rounded. do.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quadrangle shall mean a rectangle or a square.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a rounded rectangle, one or more of the four corners of the polarizing plate may be rounded.

라운딩 부분의 곡률 반경은 예컨대 1 mm 이상 10 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8 mm 이하이다.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unding portion may be, for example, 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and preferably 2 mm or more and 8 mm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관한 편광판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외연부에 오목형부(11 및 12)를 갖는 라운딩된 사각형 편광판(10)이다. 편광판(10)은 사각형이 갖는 4개의 모서리 중 3개가 라운딩되어 있다.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unded rectangular polarizing plate 10 having concave portions 11 and 12 on the outer edge, as shown in FIG. 1 . In the polarizing plate 10, three of the four corners of the quadrangle are rounded.

오목형부(11)는, 평면시에 있어서 외연부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파인 형상이며, 그 오목부의 깊이는 예컨대 0.1 mm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이다. 한편, 그 오목부의 깊이는 통상 7 mm 이하이다. The concave portion 11 has a shape that is concave toward the inside from the outer edge in a plan view, and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 example, 0.1 mm or more, preferably 0.5 mm or more, more preferably 1 mm or more. . On the other hand, the depth of the recess is usually 7 mm or less.

오목형부(11)를 구성하는 외측 모서리 부분(13)은 직각일 수 있고, 직각이 아니어도 좋다. The outer edge portion 13 constituting the concave portion 11 may or may not be at right angles.

또한, 외측 모서리 부분(13)은 라운딩되어 있어도 좋고, 라운딩되지 않아도 좋다. 외측 모서리 부분(13)이 라운딩된 경우, 곡률 반경은 예컨대 0.1 mm 이상 10 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5 mm 이하이다. In addition, the outer edge part 13 may be round, and may not be round. When the outer edge portion 13 is rounded, the radius of curvature may be, for example, 0.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and preferably 0.5 mm or more and 5 mm or less.

오목형부(11)를 구성하는 내측 모서리 부분(14)은 직각일 수 있고, 직각이 아니어도 좋다. The inner edge portion 14 constituting the concave portion 11 may or may not be at right angles.

또한, 내측 모서리 부분(14)은 라운딩되어 있어도 좋고, 라운딩되지 않아도 좋다. 외측 모서리 부분(14)이 라운딩된 경우, 곡률 반경은 예컨대 0.1 mm 이상 1 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5 mm 이하이다.In addition, the inner edge part 14 may be round, and may not be round. When the outer edge portion 14 is rounded, the radius of curvature may be, for example, 0.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and preferably 0.5 mm or more and 5 mm or less.

오목형부(12)는, 평면시에 있어서 U자형의 오목형부 형상이고, 그 오목부의 깊이는 예컨대 0.5 mm 이상 10 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8 mm 이하이다. The concave portion 12 has a U-shaped concave portion shape in plan view, and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 example, 0.5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and preferably 1 mm or more and 8 mm or less.

오목형부(12)를 구성하는 내측 모서리 부분(15)은, 곡률 반경이 예컨대 0.5 mm 이상 15 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10 mm 이하이다. The inner edge portion 15 constituting the concave portion 12 may have, for example, a radius of curvature of 0.5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and preferably 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오목형부(1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2의 (a)∼(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shape as shown in FIGS. 2A to 2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양태에 관한 편광판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면내에 관통 구멍(21)을 갖는 라운딩된 사각형 편광판(20)이다. 편광판(20)은, 사각형이 갖는 4개의 모서리 중 4개가 라운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unded rectangular polarizing plate 20 having a through hole 21 in the plane in plan view. In the polarizing plate 20, four of the four corners of the quadrangle are rounded.

관통 구멍(21)은, 도 3에 있어서 원형의 관통 구멍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타원형, 사각형, 라운딩된 사각형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상 등일 수 있다.Although the through hole 21 is shown as a circular through hole in FIG. 3,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t may be an ellipse, a rectangle, a rounded rectangle, or a combination shape etc. these.

관통 구멍(21)의 반경은 예컨대 0.5 mm 이상 30 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10 mm 이하이다. The radius of the through hole 21 may be, for example, 0.5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and preferably 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관통 구멍(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도 4의 (a)∼(d)에 도시하는 형상일 수 있다. 관통 구멍(21)의 수는 1개이어도 좋고, 2개 이상이어도 좋다.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shape shown in FIGS. 4A to 4D . One may be sufficient as the number of the through-holes 21, and two or more may be sufficient as it.

본 발명자에 의하면, 크랙은, 편광판이 전술한 바와 같은 이형부를 가질 때에, 그 이형부 주변에 발생하기 쉬운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서의 크랙은, 고온 환경하에 노출된 후에 관찰될 수 있다. 크랙이 관찰될 수 있는 조건 및 관찰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 있어서 설명하는 조건 및 방법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 when a polarizing plate has the above-mentioned mold-shaped part, it was discovered that it is easy to generate|occur|produce around the mold-shaped part. Crack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served after exposure to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The conditions and observation methods under which cracks can be observed are the conditions and methods described in the Examples column to be described later.

크랙의 발생 원리는 다음과 같이 추정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판이 고온 환경하에 노출된 경우, 편광자는 연신축을 따라, 즉 흡수축을 따라 수축되는 한편,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수축되기 어렵기 때문에, 편광자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사이에 왜곡이 생기게 된다. 편광판이 이형부를 갖고 있는 경우, 그 이형부 근방에서는 편광자는 이형부의 형상을 따르더라도 수축이 발생하고, 이형부를 갖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편광자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 사이의 왜곡은 증가하기 때문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추정된다. 크랙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탄성률이 낮을수록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Although the generation principle of a crack is estimated as follow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exposed to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the polarizer contracts along the stretching axis, that is, along the absorption axis, while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is difficult to contract, thereby causing distortion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When the polarizing plate has a release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release portion, shrinkage occurs even if the polarizer follows the shape of the release portion, and the distortion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ncrease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olarizer does not have the release portion, so cracks occur. assumed to be easy to do. As for the crack,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 crack to become easy to generate|occur|produce, so that the elasticity modulus of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is low.

편광판에 대한 편광자의 연신축(흡수축)의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편광판이 평면시에 있어서 장방형인 경우, 장변 방향에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또는 단변 방향에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또는 장변 방향(또는 단변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45±5도인 방향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2도인 방향일 수 있다. The direction of the stretching axis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rectangular in plan view, it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side direction, or it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ort side direction, , or an angle formed with the long side direction (or the short side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of 45 ± 5 degrees, preferably a direction of 45 ± 2 degrees.

또한, 본 발명자에 의하면, 크랙은, 이형부와 편광판의 무게중심의 최단 거리가 예컨대 40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mm 이상일 때에 이형부 주변에 생기기 쉬운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이형부가 마련되는 위치가 무게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이형부 근방에서의 편광자의 수축량이 커지는 한편,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이형부가 마련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이형부 근방에 있어서도 수축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이형부가 마련되는 위치가 무게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편광자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 사이의 왜곡이 증가하고,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s, it was found that cracks tend to occur around the mold part whe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ld part and the polarizing plate is, for example, 40 mm or more, preferably 50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60 mm or more. . This means that as the position where the mold part is provided is farther from the center of gravity, the amount of shrinkage of the polarizer in the vicinity of the mold part increases, while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hardly shrinks even in the vicinity of the mold part regardless of the position where the part is provided. tends to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distortion between a polarizer and a thermoplastic resin film increases, and a crack becomes easy to generate|occur|produce, so that the position where a mold release part is provided is farther from a center of gravity.

편광판의 무게중심은, 예컨대 편광판이 사각형인 경우, 대각선의 교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편광판이 라운딩된 사각형인 경우나 오목형 부분에 의해 모서리가 없어지는 경우, 라운딩 부분을 모서리 부분과 치환하여 대각선을 구성한 경우의 교점으로 할 수 있다.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olarizing plate may be defined as an intersection point of diagonal lines, for example, when the polarizing plate has a quadrangular shape. In the case where the polarizing plate is a rounded quadrangle, or when the corner is lost due to the concave portion, the intersection point may be used as an intersection when the rounded portion is substituted with the corner portion to form a diagonal line.

또한, 크랙은, 이형부가, 편광판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면적 20% 상당 직경을 초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형부 주변에 생기기 쉬운 것이 발견되었다. 이형부가 마련되는 위치가 무게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이형부 근방에서의 편광자의 수축량은 커지는 한편,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이형부가 마련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이형부 근방에 있어서도 수축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이형부가 마련되는 위치가 무게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편광자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 사이의 왜곡이 증가하고,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Moreover, it was discovered that a crack is easy to generate|occur|produce in the periphery of a mold release part, when a mold release part is located in the area|region exceeding 20% of area equivalent diameter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a polarizing plate. As the position where the release part is provided is farther from the center of gravity, the amount of shrinkage of the polarizer in the vicinity of the release part increases, while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tends to be difficult to shrink even in the vicinity of the release part regardless of the position where the release part is provided. there is.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distortion between a polarizer and a thermoplastic resin film increases, and a crack becomes easy to generate|occur|produce, so that the position where a mold release part is provided is farther from a center of gravity.

무게중심으로부터 면적 20% 상당 직경이란, 평면시에 있어서, 편광판 상에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겹쳤을 때에, 그 원형의 면적이 편광판 전체 면적의 20%에 상당하는 원의 반경을 의미한다.The diameter equivalent to 20% of the area from the center of gravity means a radius of a circle whose area corresponds to 20% of the total area of the polarizing plate when a circle centered on the center of gravity is superposed on the polarizing plate in plan view .

편광판은, 편광판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면적 30% 상당 직경을 초과하는 영역에 이형부를 가질 수 있고, 혹은 40% 상당 직경을 초과하는 영역에 이형부를 가질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may have a release portion in a region exceeding a diameter equivalent to 30% of an area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olarizing plate, or may have a release portion in a region exceeding a diameter equivalent to 40% of the polarizing plate.

또한, 본 발명자는, 편광판의 외연부의 오목형부의 깊이 방향과 흡수축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는 것도 발견했다. 이러한 편광판으로는, 예컨대, 도 5에 도시하는 오목형부(41)가 마련된 평면시 형상이 라운딩된 장방형인 편광판이고, 오목형부(41)를 단변(42) 상에 가지며, 오목형부(41)가 단변(42)의 중심점(43)을 포함하고, 또한 오목형부(41)의 깊이 방향이 흡수축 방향인 편광판 등을 들 수 있다. Moreover, this inventor also discovered that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 crack to generate|occur|produce easily, when the depth direction of the recessed part of the outer edge part of a polarizing plate and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correspond. As such a polarizing plate, for example, it is a rectangular polarizing plate with a rounded planar view shape provided with the concave part 41 shown in FIG. 5, has the concave part 41 on the short side 42, and the concave part 41 is and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central point 43 of the short side 42 and the depth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41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편광판의 두께는, 통상 5 μm 이상 200 μm 이하로 할 수 있고, 150 μm 이하이어도 좋고, 120 μm 이하이어도 좋다. The thickness of a polarizing plate can be 5 micrometers or more and 200 micrometers or less normally, 150 micrometers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120 micrometers or less may be sufficient as it.

편광판은, 편광자와 그 한쪽 면에 마련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하는 편광판(100)은, 편광자(101)와 편광자(101)의 한쪽 면에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을 구비한다. 또한, 편광판(100)은, 편광자(101)의 다른쪽 면에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과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을 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라고도 한다. A polarizing plate is equipped with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provided in the polarizer and the one surface. The polarizing plate 100 shown in FIG. 6 is equipped with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on the polarizer 101 and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0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01 . Hereinafter,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are also referred to as a thermoplastic resin film.

[편광자][Polarizer]

편광자(101)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이며, 예컨대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편광자일 수 있다. 이러한 편광자는 후술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101)는, 흡수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편광을 흡수하고, 흡수축에 직교하는(투과축과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흡수형의 편광자일 수 있다. 편광자(101)는, 그 한쪽 면에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을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으로 접합하여 편광판(100)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The polarizer 101 is a polarizer includ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may be, for example, a polarizer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Such a polarizer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mentioned later. The polarizer 101 may be an absorption type polarizer having a property of absorb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n oscillation plane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and transmit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n oscillatio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 The polarizer 101 can be used as the polarizing plate 100 by bonding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to one surface thereof with an adhesive, an adhesive, or the like.

편광자(101)의 흡수축 방향의 폭 2 mm당의 수축력(이하, 단순히 「수축력」이라고도 함)은 0.7 N 이하이다. 편광자(101)의 수축력이 0.7 N 이하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편광판(100)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23℃에서의 탄성률이 3000 N/㎡ 이하이며, 이형부를 갖고 있더라도, 이 이형부의 주변에 있어서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편광자(101)의 수축력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 있어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The contracting force per 2 mm in width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101 (hereinafter also simply referred to as "contraction force") is 0.7 N or less. Since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polarizer 101 is 0.7 N or less, in the polarizing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odulus at 23° C. o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is 3000 N/m 2 or less, and even if it has a mold release part, the periphery of this mold part tends to be less prone to cracking.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polarizer 101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asuring method demonstrated in the column of the Example mentioned later.

편광자(101)의 수축력은, 빛빠짐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65 N 이하이며, 0.6 N 이하이다. 한편, 편광자(101)의 수축력은 통상 0.1 N 이상이다. 편광자(101)의 수축력을 0.7 N 이하로 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후술하는 가교 공정에서의 붕산 농도의 조절이나 어닐링 처리의 실시 등을 들 수 있다.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polarizer 101 is preferably 0.65 N or less, and 0.6 N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light leakage. On the other hand,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polarizer 101 is usually 0.1 N or more. As a method of making the contraction force of the polarizer 101 into 0.7 N or less, adjustment of the boric acid concentration in the bridge|crosslinking process mentioned later, implementation of an annealing process,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편광자(101)의 두께는 통상 20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8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편광자(101)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은 편광판(100)의 박막화에 유리하다. 편광자(101)의 두께는 통상 1 ㎛ 이상이며, 예컨대 5 ㎛ 이상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01 is normally 20 micrometers or less, Preferably it is 18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5 micrometers or less.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01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100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01 is usually 1 μm or more, and may be, for example, 5 μm or more.

편광자(101)의 두께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선정, 연신 배율의 조절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01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by selection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djustment of a draw ratio, or the like.

[편광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편광자(101)의 제조 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제조 방법은, 이하의 공정: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101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The manufacturing method shown in FIG. 7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물을 함유하는 처리액을 수용하는 팽윤조에 침지하는 팽윤 공정(S10)과, A swelling step (S10) of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a swelling tank containing a treatment liquid containing water;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처리액을 수용하는 염색조에 침지하여 염색하는 염색 공정(S20)과,A dyeing step (S20) of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a dyeing tank containing a treatment liquid containing a dichroic dye and dyeing;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를 함유하는 처리액을 수용하는 가교조에 침지하여 가교 처리하는 가교 공정(S30)과, A cross-linking step (S30) of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a cross-linking tank containing a treatment liquid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for cross-linking treatment;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세정조에 침지하는 세정 공정(S40)과, A washing step (S40) of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a washing tank;

건조 공정(S50)Drying process (S50)

을 포함할 수 있다.may include.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편광자 제조 공정의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 보다 구체적으로는 팽윤 공정(S10)의 전부터 가교 공정(S30)까지의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 처리된다(연신 공정).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in any one or more steps of the polarizer manufacturing process, more specifically, in any one or more steps from before the swelling process (S10) to the crosslinking process (S30) (stretching process).

제조 방법은, 상기한 것 이외의 다른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체예는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어닐링 공정(S60) 등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cess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nd a specific example thereof may be a first annealing process (S60)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7 .

본 발명에 관한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각종 처리 공정은, 편광자 제조 장치의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반송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필름 반송 경로는, 상기 각종 처리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설비(처리조나 노 등)를, 이들의 실시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The various treatment processes includ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by convey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hich is a raw film continuously along the film conveyance path|route of a polarizer manufacturing apparatus. The film conveyance path is equipped with the facilities (processing tank, a furnace, etc.) for implementing the said various processing process in these implementation order.

필름 반송 경로는, 상기 설비 외에, 가이드 롤이나 닙 롤 등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구축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롤은, 각 처리조의 앞뒤나 처리조 내에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처리조로의 필름의 도입·침지 및 처리조로부터의 인출을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처리조 내에 2 이상의 가이드 롤을 설치하고, 이들 가이드 롤을 따라 필름을 반송시킴으로써, 각 처리조에 필름을 침지시킬 수 있다.A film conveyance path|route can be constructed by arrange|positioning a guide roll, a nip roll, etc. at appropriate positions other than the said installation. For example, a guide roll can be arrange|positioned in the front and back of each processing tank, or in a processing tank, and can perform introduction and immersion of the film to a processing tank, and take-out from a processing tank by this. More specifically, a film can be immersed in each processing tank by providing two or more guide rolls in each processing tank, and conveying a film along these guide rolls.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약 8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9 몰%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로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As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which comprises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hich is a raw film, what saponified polyvinyl acetate-type resin can be used. As polyvinyl acetate-type resin, the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to this other than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is illustrated. Examples of the 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meth)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85 mol% or more, preferably about 90 mo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about 99 mol% or more.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 means at least one chosen from acryl and methacryl. The same applies to "(meth)acryloyl".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을 수 있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polyvinyl butyral, etc. modified with aldehydes may be used.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0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800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5000 이하이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평균 중합도가 100 미만이면 바람직한 편광 성능을 얻기가 어렵고, 10000을 넘으면 필름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00 or more and 10000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500 or more and 8000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2000 or more and 5000 or less.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can be calculated|required based on JISK6726 (1994). Whe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less than 100, it is difficult to obtain desirable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when it exceeds 10000, the film processability may be inferior.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 ㎛ 이상 50 ㎛ 이하 정도이고, 편광자의 두께를 15 ㎛ 이하로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for example, about 10 µm or more and 50 µm or less, and from the viewpoint of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to 15 µm or less, preferably 4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30 µm or less.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예컨대 장척의 미연신 또는 연신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롤(권회품)로서 준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자도 또한 장척물(長尺物)로서 얻을 수 있다. 이하, 각 공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hich is a raw film can be prepared, for example as a roll (wound article) of a long unstretched or stretched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n this case, the polarizer can also be obtained as a long article. Hereinafter, each process is demonstrated in detail.

(1) 팽윤 공정(S10)(1) swelling step (S10)

본 공정에서의 팽윤 처리는,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이물 제거, 가소제 제거, 이염색성(易染色性)의 부여, 필름의 가소화 등의 목적에서 필요에 따라서 실시되는 처리이며, 구체적으로는, 물을 함유하는 처리액을 수용하는 팽윤조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하나의 팽윤조에 침지되어도 좋고, 2 이상의 팽윤조에 순차적으로 침지되어도 좋다. 팽윤 처리전, 팽윤 처리시, 또는 팽윤 처리전 및 팽윤 처리시에, 필름에 대하여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해도 좋다. The swelling treatment in this step is a treatment carried out as need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hich is a raw film, removing a plasticizer, imparting dichromaticity, plasticizing the film, etc. Specifically, it may be a treatment in whi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immersed in a swelling tank containing a treatment liquid containing water. The said film may be immersed in one swelling tank, and may be immersed in two or more swelling tanks sequentially. Before a swelling process, at the time of a swelling process, or before a swelling process and at the time of a swelling process, you may perform a uniaxial stretching process with respect to a film.

팽윤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은, 물(예컨대 순수)일 수 있는 것 외에, 알콜류와 같은 수용성 유기 용매를 첨가한 수용액이어도 좋다.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swelling tank may be water (eg, pure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to which a water-soluble organic solvent such as alcohol is added.

필름을 침지할 때의 팽윤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통상 10℃ 이상 70℃ 이하 정도,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50℃ 이하 정도이고,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10초 이상 600초 이하 정도,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300초 이하 정도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swelling tank at the time of immersing a film is about 10 degreeC or more and 70 degrees C or less normally, Preferably it is about 15 degreeC or more and 50 degrees C or less, The immersion time of a film is 10 second or more and 600 second or less normally. degree, Preferably it is about 20 second or more and 300 second or less.

(2) 염색 공정(S20)(2) Dyeing process (S20)

본 공정에서의 염색 처리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킬 목적으로 행해지는 처리이며, 구체적으로는 2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처리액을 수용하는 염색조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하나의 염색조에 침지되어도 좋고, 2 이상의 염색조에 순차적으로 침지되어도 좋다. 2색성 색소의 염색성을 높이기 위해, 염색 공정에 제공되는 필름은, 적어도 어느 정도의 일축 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염색 처리전의 일축 연신 처리 대신에, 혹은 염색 처리전의 일축 연신 처리에 더하여, 염색 처리시에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해도 좋다.The dyeing treatment in this step is a treatment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dsorbing and orienting the dichroic dye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specifically, a polyvinyl alcohol-based dyeing tank containing a treatment solution containing the dichroic dye. It may be a treatment in which the resin film is immersed. The said film may be immersed in one dyeing tank, and may be immersed sequentially in two or more dyeing tanks. In order to improve the dyeability of a dichroic dye,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to a certain extent may be given to the film used for a dyeing process at least. Instead of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or in addition to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a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the time of the dyeing treatment.

2색성 색소는 요오드 또는 2색성 유기 염료일 수 있다. 2색성 유기 염료의 구체예는, 레드 BR, 레드 LR, 레드 R, 핑크 LB, 루빈 BL, 보르도 GS, 스카이블루 LG, 레몬옐로우, 블루 BR, 블루 2R, 네이비 RY, 그린 LG, 바이올렛 LB, 바이올렛 B, 블랙 H, 블랙 B, 블랙 GSP, 옐로우 3G, 옐로우 R, 오렌지 LR, 오렌지 3R, 스칼렛 GL, 스칼렛 KGL, 콩고레드, 브릴리언트 바이올렛 BK, 수프라블루 G, 수프라블루 GL, 수프라오렌지 GL, 다이렉트 스카이블루, 다이렉트 퍼스트 오렌지 S, 퍼스트 블랙을 포함한다. 2색성 색소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The dichroic dye may be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Specific examples of the dichroic organic dye include Red BR, Red LR, Red R, Pink LB, Rubin BL, Bordeaux GS, Sky Blue LG, Lemon Yellow, Blue BR, Blue 2R, Navy RY, Green LG, Violet LB, Violet. B, Black H, Black B, Black GSP, Yellow 3G, Yellow R, Orange LR, Orange 3R, Scarlet GL, Scarlet KGL, Congo Red, Brilliant Violet BK, Supra Blue G, Supra Blue GL, Super Orange GL, Direct Sky Blue , Direct First Orange S, and First Black. A dichroic dy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는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요오드화칼륨 대신에, 요오드화아연 등의 다른 요오드화물을 이용해도 좋고, 요오드화칼륨과 다른 요오드화물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붕산,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등을 공존시켜도 좋다. 붕산을 첨가하는 경우는, 요오드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후술하는 가교 처리와 구별된다. 상기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01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물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5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염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은 아연염을 함유할 수 있다. When using iodine as a dichroic dye,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can be used for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a dyeing tank. Instead of potassium iodide, other iodides, such as zinc iodide, may be used, and potassium iodide and another iodide may be used together. In addition, compounds other than iodide, such as boric acid,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etc. may be coexistent. When boric acid is added,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crosslinking process mentioned later at the point containing an iodine. Content of the iodine in the said aqueous solution is 0.01 mass part or more and 1 mass part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normally. Moreover, content of iodides, such as potassium iodide, is 0.5 mass part or more and 20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normally. As described above,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dyeing tank may contain a zinc salt.

필름을 침지할 때의 염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통상 10℃ 이상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35℃ 이하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30초 이상 60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60초 이상 300초 이하이다.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dyeing tank at the time of immersing a film is 10 degrees C or more and 45 degrees C or less normally, Preferably it is 10 degrees C or more and 40 degrees C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20 degrees C or more and 35 degrees C or less, immersion of a film Time is 30 second or more and 600 second or less normally, Preferably they are 60 second or more and 300 second or less.

2색성 색소로서 2색성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는 2색성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액에서의 2색성 유기 염료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1×10-4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10-3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이다. 염색조에는 염색조제 등을 공존시켜도 좋으며, 예컨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이나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2색성 유기 염료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염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예컨대 20℃ 이상 80℃,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70℃ 이하이고,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30초 이상 60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60초 이상 300초 이하이다. When using a dichroic organic dye as a dichroic dye,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organic dye can be used for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a dyeing tank. Content of the dichroic organic dye in the said aqueous solution is 1x10 -4 mass part or more and 10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normally, Preferably they are 1x10 -3 mass part or more and 1 mass part or less. The dyeing tank may be made to coexist with a dyeing aid, etc., for example, inorganic salts, such as sodium sulfate, surfactant, etc. may be contained. A dichroic organic dy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dyeing tank at the time of immersing the film is, for example, 20°C or more and 80°C, preferably 30°C or more and 70°C or less,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usually 30 seconds or more and 600 seconds or less, preferabl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60 seconds and less than or equal to 300 seconds.

(3) 가교 공정(S30)(3) Crosslinking step (S30)

염색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로 처리하는 가교 처리는, 가교에 의한 내수화나 색상 조정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처리이며, 구체적으로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 염색 공정후의 필름을 침지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The crosslinking treatment of treat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crosslinking agent after the dyeing step is a treatment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water resistance or color adjustment by crosslinking, specifically, in a treatment solution contained in a crosslinking tank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after the dyeing step It may be a treatment in which the film is immersed.

상기 필름은, 하나의 가교조에 침지되어도 좋고, 2 이상의 가교조에 순차적으로 침지되어도 좋다. 가교 처리시에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해도 좋다.The said film may be immersed in one crosslinking tank, and may be immersed in two or more crosslinking tanks sequentially. You may perform a uniaxial stretching process at the time of a crosslinking process.

가교제로는, 붕산,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고, 붕산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2종 이상의 가교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서의 붕산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이며, 편광자의 수축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다. As a crosslinking agent, a boric acid, a glyoxal, glutaraldehyde, etc. are mentioned, A boric acid is used preferably. Two or more types of crosslinking agents can also be used together. Content of boric acid in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a crosslinking tank is 0.1 mass part or more and 15 mass parts or less normally per 100 mass parts of water, From a viewpoint of the contractile force of a polarizer, Preferably they are 1 mass part or more and 10 mass parts or less.

2색성 색소가 요오드인 경우,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은, 붕산에 더하여 요오드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서의 요오드화물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12 질량부 이하이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염화지르코늄,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황산나트륨 등을 가교조에 공존시켜도 좋다.When the dichroic dye is an iod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a crosslinking tank contains iodide in addition to boric acid. Content of the iodide in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a crosslinking tank is 0.1 mass part or more and 15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normally, Preferably they are 5 mass parts or more and 12 mass parts or less. Potassium iodide, zinc iodide, etc. are mentioned as an iodide. Further, a compound other than iodide, such as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zirconium chloride, sodium thiosulfate, potassium sulfite, sodium sulfate and the like, may coexist in the crosslinking tank.

필름을 침지할 때의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 85℃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70℃ 이하이고,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10초 이상 60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300초 이하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rosslinking tank at the time of immersing a film is 50 degrees C or more and 85 degrees C or less normally, Preferably it is 50 degrees C or more and 70 degrees C or less, The immersion time of a film is 10 seconds or more and 600 seconds or less normally, Preferably it is Usually 20 seconds or more and 300 seconds or less.

가교 공정(S30)에서는, 가교조는 2조 이상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각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조성 및 온도는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목적에 따른 가교제 및 요오드화물 등의 농도나 온도를 갖고 있어도 좋다. 가교에 의한 내수화를 위한 가교 처리 및 색상 조정(보색)을 위한 가교 처리를, 각각 복수의 공정(예컨대 복수의 조)에서 행해도 좋다. In a crosslinking process (S30), two or more sets of crosslinking tanks may be sufficient. In this case, the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each crosslinking tank may be same or different.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rosslinking tank may have the density|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a crosslinking agent, iodide, etc.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You may perform the bridge|crosslinking process for the waterproofing by bridge|crosslinking, and the bridge|crosslinking process for hue adjustment (complementary color), respectively in a plurality of steps (for example, a plurality of tanks).

일반적으로, 가교에 의한 내수화를 위한 가교 처리 및 색상 조정(보색)을 위한 가교 처리 양쪽을 실시하는 경우, 색상 조정(보색)을 위한 가교 처리를 실시하는 조(보색조)가 후단에 배치된다. 보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예컨대 10℃ 이상 5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 이하이다. 보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서의 가교제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당, 예컨대 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이다. 보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서의 요오드화물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당, 예컨대 3 질량부 이상 30 질량부 이하이다.In general, when both crosslinking treatment for waterproofing by crosslinking and crosslinking treatment for color adjustment (complementary color) are performed, a tone (complementary color tone) for performing crosslinking treatment for color adjustment (complementary color) is disposed at the rear end .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omplementary color tone is, for example, 10°C or more and 55°C or less, and preferably 20°C or more and 50°C or less.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omplementary color tone is, for example, 1 mass part or more and 5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The content of iodide in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complementary color tone is, for example, 3 parts by mass or more and 30 parts by mass or less per 100 parts by mass of water.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팽윤 공정(S10)의 전부터 가교 공정(S30)까지의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 처리된다(연신 공정, 도 1). 2색성 색소의 염색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염색 공정에 제공되는 필름은, 적어도 어느 정도의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염색 처리전의 일축 연신 처리 대신에, 혹은 염색 처리전의 일축 연신 처리에 더하여, 염색 처리시에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in manufacturing the polarizer,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in any one or two or more steps from before the swelling process (S10) to the crosslinking process (S30) (stretching process, FIG. 1 ) ).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dyeability of the dichroic dye, the film provided for the dyeing process is preferably a film subjected to at least some degree of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or instead of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or uniaxial stretching before the dyeing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t the time of the dyeing treatment.

일축 연신 처리는, 공중에서 연신을 하는 건식 연신, 조 내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의 어느 것이어도 좋으며, 이들 양쪽을 행해도 좋다. 일축 연신 처리는, 2개의 닙 롤 사이에 주속차(周速差)를 붙여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 열롤 연신, 텐터 연신 등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롤간 연신을 포함한다. 원단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연신 배율(2 이상의 단계에서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누적 연신 배율)은 3배 이상 8배 이하 정도이다. 양호한 편광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배 이상이 된다.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may be either dry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the air or wet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a tank, or both of thes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may be inter-roll stretching, hot-roll stretching, tenter stretching, etc. in which a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with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between two nip rolls, but preferably inter-roll stretching is included. The draw ratio on the basis of the raw film (when the stretching treatment is performed in two or more stages, these cumulative draw ratios) is about 3 times or more and 8 times or less. In order to provide good polarization properties,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4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5 times or more.

가교 공정(S30)을 거침으로써, 얻어지는 편광자에는 붕소 성분이 포함된다. 이 붕소 성분의 함유량이 적을수록 수축력은 작게 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붕소 성분의 함유량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가교조의 처리액에서의 붕산 함유량을 낮추거나, 가교조에서의 침지 시간을 짧게 하면 된다.A boron component is contained in the polarizer obtained by passing through a bridge|crosslinking process (S30). There exists a tendency for shrinkage force to be made small, so that there is little content of this boron component. In order to reduce content of a boron component,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lower|hang the boric acid content in the processing liquid of a crosslinking tank, or to shorten the immersion time in a crosslinking tank.

(4) 세정 공정(S40)(4) cleaning process (S40)

본 공정에서의 세정 처리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부착된 여분의 가교제나 2색성 색소 등의 약제를 제거할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실시되는 처리이며, 물을 함유하는 세정액을 이용하여 가교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세정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세정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세정액)에 가교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하나의 세정조에 침지되어도 좋고, 2 이상의 세정조에 순차적으로 침지되어도 좋다. 혹은 세정 처리는, 가교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대하여 세정액을 샤워로서 분무하는 처리이어도 좋고, 상기 침지와 분무를 조합해도 좋다. The washing treatment in this step is a treatment carried out as need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a chemical such as an excess crosslinking agent or a dichroic dye adhering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is a crosslinking step using a washing solution containing water. It is a process of washing|clean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later. Specifically, it may be a treatment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process is immersed in the treatment liquid (wash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tank. The said film may be immersed in one washing tank, and may be immersed in two or more washing tanks sequentially. Alternatively, the washing treatment may be a treatment of spraying a washing liquid as a shower on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step, or a combination of the immersion and spraying.

세정액은, 물(예컨대 순수)일 수 있는 것 외에, 알콜류와 같은 수용성 유기 용매를 첨가한 수용액이어도 좋다. 세정액의 온도는 예컨대 5℃ 이상 40℃ 이하 정도일 수 있다. The washing liquid may be water (eg, pure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to which a water-soluble organic solvent such as alcohol is added. The temperature of the cleaning solution may be, for example, about 5°C or higher and 40°C or lower.

세정 공정(S40)은 임의의 공정이며 생략되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세정 공정(S40)을 행한 후의 필름에 대하여 건조 공정(S50)을 행한다.The washing process (S40) is an arbitrary process and may be omitted, Preferably, the drying process (S50)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lm after performing the washing|cleaning process (S40).

(5) 건조 공정(S50)(5) Drying process (S50)

건조 공정(S50)은, 세정 공정(S40)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건조시키기 위한 존이다. 세정 공정(S40)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계속해서 반송시키면서, 건조 공정(S50)에 상기 필름을 도입함으로써 건조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광자가 얻어진다. A drying process (S50) is a zone for dry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after a washing|cleaning process (S40). A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introduce|transducing the said film into a drying process (S50), continuing convey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after a washing|cleaning process (S40), and a polarizer is obtained by this.

건조 처리는 필름의 건조 수단(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건조 수단의 적합한 일례는 건조로이다. 건조로는 바람직하게는 노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건조로는, 예컨대 열풍의 공급 등에 의해 노 내부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열풍 오븐이다. 또한 건조 수단에 의한 건조 처리는, 볼록 곡면을 갖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가열체에 세정 공정(S40)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밀착시키는 처리나,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을 가열하는 처리이어도 좋다.A dry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rying means (heating means) of a film. A suitable example of a drying means is a drying furnace. The drying furnace is preferably one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furnace. The drying furnace is, for example, a hot air oven capable of rai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furnace by supplying hot ai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drying treatment by the drying means may be a treatment of adher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washing step (S40) to one or two or more heating elements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or a treatment of heating the film using a heater. .

상기 가열체로는, 열원(예컨대 온수 등의 열매체나 적외선 히터)을 내부에 구비하여, 표면 온도를 높일 수 있는 롤(예컨대 열롤을 겸한 가이드 롤)을 들 수 있다. 상기 히터로는 적외선 히터, 할로겐 히터, 패널 히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heating element include a roll (eg, a guide roll also serving as a heating roller) having a heat source (eg, a heating medium such as hot water or an infrared heater) therein to increase the surface temperature. Examples of the heater include an infrared heater, a halogen heater, and a panel heater.

건조 처리의 온도(예컨대 건조로의 노 내부 온도, 열롤의 표면 온도 등)는, 통상 3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30초 이상 600초 이하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for example, furnace internal temperature of a drying furnace, the surface temperature of a hot roll, etc.) of a drying process is 30 degreeC or more and 100 degrees C or less normally. Although the drying time in particular is not restrict|limited, For example, it is 30 second or more and 600 second or less.

(6) 제1 어닐링 공정(S60)(6) first annealing process (S60)

편광자의 수축력을 낮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조 공정(S50)에서의 건조 온도를 높게 하거나 또는 길게 함으로써, 제1 어닐링 공정(S60)으로 할 수 있다. It can be set as the 1st annealing process (S60) by making the drying temperature in a drying process (S50) high or lengthening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shrinkage force of a polarizer low.

제1 어닐링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는 예컨대 8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가열 온도는 높은 쪽이 편광자를 저수축화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first annealing process may be, for example, 80°C or higher and 100°C or lower. As for the heating temperatur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 polarizer to become low-shrinkage with a higher one.

가열 시간은, 예컨대 30초 이상 600초 이하이다. 가열 시간은 긴 쪽이 편광자를 저수축화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The heating time is, for example, 30 seconds or more and 600 seconds or less. As for the heating tim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 long one to make a polarizer low-shrink easily.

가열은 예컨대 통상의 가열로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가열로의 예로는, 온도 제어 가능한 열풍 오븐이나 적외선 히터 등일 수 있다. Heating can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normal heating furnace. An example of the heating furnace may be a temperature-controllable hot air oven or an infrared heater.

이상의 공정을 거쳐,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olarizer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oriented to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uniaxially stretched can be obtained.

얻어진 편광자는, 예컨대 그대로 다음의 편광판 제작 공정(편광자의 한면 또는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에 반송할 수도 있다.The obtained polarizer can also be conveyed to the next polarizing plate preparation process (process of bond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to one side or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as it is, for example.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은 23℃에서의 탄성률(이하, 단순히 「탄성률」이라고도 함)이 3000 N/㎡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의 탄성률은 높은 쪽이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것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의 탄성률이 높은 경우, 편광자가 수축된 경우라 하더라도, 응력이 발생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의 탄성률이 3000 N/㎡ 이하인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자(101)의 수축률을 낮게 하는 것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률은 23℃에서의 값을 채용할 수 있다.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의 탄성률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 있어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의 탄성률은 통상 1000 N/㎡ 이상이며, 예컨대 1500 N/㎡ 이상일 수 있다.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has an elastic modulus at 23°C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elastic modulus”) of 3000 N/m 2 or less. Generally, the higher the elastic modulus of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the tendency for a crack to generate|occur|produce easily. It is estimated that this is because, when the elastic modulus of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is high, even if it is a case where the polarizer shrink|contracts, it is becaus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stress to be hard to generate|occur|produc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is 3000 N/m 2 or less, as described above, by lowering the shrinkage rate of the polarizer 101, the occurrence of cracks can be easily suppressed. can do. In this invention, the value in 23 degreeC is employable for an elastic modulus. The elastic modulus of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is calculated|required by the measuring method demonstrated in the column of the Example mentioned later.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is usually 1000 N/m 2 or more, for example, 1500 N/m 2 or more.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으로는, 예컨대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 프로필렌계 수지 등)나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투명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학 내광성 및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 또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COP) 수지 필름이다. 특히 고리형 폴리올레핀계(COP) 수지 필름은 탄성률이 낮기 때문에, 고리형 폴리올레핀계(COP) 수지 필름을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편광판은 유효한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필름은 탄성률이 낮기 때문에, 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은, 이형부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이 이러한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라 하더라도, 이형부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Examples o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include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chain polyolefin-based resins (polypropylene-based resins, etc.) and cyclic polyolefin-based resins (norbornene-based resins, etc.); A transparent resin film containing a (meth)acrylic-type resin like polymethyl methacrylate-type resin, etc. is mentioned. Especially, from a viewpoint of optical light resistance and dimensional stability, Preferably it is a (meth)acrylic-type resin film or a cyclic polyolefin-type (COP) resin film. In particular, since the cyclic polyolefin-based (COP) resin film has a low modulus of elasticity,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ends to be effective when the cyclic polyolefin-based (COP) resin film is used as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 In general, since a film composed of a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has a low modulus of elasticity,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is film tends to be prone to cracks around the mold release por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is a film made of such a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t tends to be difficult to generate cracks around the release portion.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의 두께는, 편광판(100)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 ㎛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is preferably thin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100, but if it is too thin, the strength decreases and the workability tends to be inferior. Therefore, preferably 5 µm or more and 150 µm or less , more preferably 5 µm or more and 100 µ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0 µm or more and 50 µm or less.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은 보호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과 후술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을 겸비하는 보호 필름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 수지 필름을 연신(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 등)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임의의 위상차값이 부여된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may function as a protective film. In addition, either or both of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and the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mentioned later may be a protective film which has optical functions like retardation film and a brightness improvement film. For example, by stretching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etc.) a transparent resin film made of the above material, 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or the like on the film, a retardation film to which an arbitrary retardation value is imparted can be obtained.

편광판(100)이 화상 표시 장치에 배치되는 경우, 편광판(100)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이 화상 표시 장치의 외측이 되도록 화상 표시 장치에 접합할 수 있다. When the polarizing plate 100 is dispos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100 can be bond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such that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is outside the image display device.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 및 후술하는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은 하드코트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쪽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코트층을 마련함으로써, 경도 및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는 한정되지 않으며,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to be described later may have a hard coat layer formed thereon. The hard-coat layer may be formed in one surface of a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may be formed in both surfaces. By providing a hard-coat layer, it can be set as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which improved hardness and scratch property. The hard coat layer is, for example, a cured layer of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Examples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include acrylic resins, silicone resins, polyester resins, urethane resins, amide resins, and epoxy resins. The hard-coat layer may contain the additive in order to improve intensity|strength. The additive is not limited, and inorganic fine particles, organic fine particles, or a mixture thereof may be mentioned.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필름과 동종이어도 좋고 이종이어도 좋다. 편광판(100)이,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이 배면측에 배치되도록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은, 탄성률이 3000 N/㎡ 이하이어도 좋고, 탄성률이 3000 N/㎡를 넘는 것이어도 좋다. The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may be the same type as the film illustrated in description of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or a different type may be sufficient as it. When the polarizing plate 100 is use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that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3000 N/m 2 or less, and the elastic modulus is A thing exceeding 3000 N/m<2> may be sufficient.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으로는,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을 포함하는 투명 수지 필름일 수 있다.As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a thermoplastic resin, for example, a polyolefin-based resin such as a chain polyolefin-based resin (polypropylene-based resin, etc.) or a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norbornene-based resin or the like); Cellulose ester-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or diacetyl cellulose;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meth)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based resins; Or it may be a transparent resin film including a mixture or copolymer thereof.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은, 보호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편광판(100)이 화상 표시 장치에 배치되는 경우, 편광판(100)은,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이 화상 표시 장치측이 되도록 화상 표시 장치에 접합할 수 있다.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may have a function as a protective film. When the polarizing plate 100 is arrange|position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polarizing plate 100 can be bond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so that the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may become an image display apparatus side.

[편광판의 그 밖의 구성 요소][Other components of the polarizer]

(1) 광학 기능성 필름(1) Optically functional film

편광판(100)은, 원하는 광학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편광자(101) 이외의 다른 광학 기능성 필름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적합한 일례는 위상차 필름이다.The polarizing plate 100 may include an optically functional film other than the polarizer 101 for imparting a desired optical function, and a suitable example thereof is a retardation film.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 및/또는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이 위상차 필름을 겸할 수도 있지만, 이들 필름과는 별도로 위상차 필름을 적층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위상차 필름은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통해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 및/또는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의 외면에 적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and/or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may also serve as a retardation film, a retardation film may be laminated separately from these films. In the latter case, the retardation film may be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and/or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위상차 필름으로는,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구성되는 복굴절성 필름; 디스코틱 액정 또는 네마틱 액정이 배향 고정된 필름; 기재 필름 상에 상기 액정층이 형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As retardation film, the birefringent film comprised from the stretched film of the thermoplastic resin which has translucency; a film in which a discotic liquid crystal or a nematic liquid crystal is aligned; Those in which the said liquid crystal layer was formed on the base film, etc. are mentioned.

기재 필름은 통상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이며, 열가소성 수지의 일례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이다. A base film is a film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normally, and an example of a thermoplastic resin is cellulose ester-type resin, such as triacetyl cellulose.

편광판(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광학 기능성 필름(광학 부재)의 예는, 집광판, 휘도 향상 필름, 반사층(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층(반투과 반사 필름), 광확산층(광확산 필름) 등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편광판이 액정 셀의 배면측(백라이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인 경우에 마련된다.Examples of other optically functional films (optical membe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olarizing plate 100 include a light collecting plate, a brightness enhancing film, a reflective layer (reflective film), a transflective layer (semitransmissive reflective film), a light diffusing layer (light diffusing film), etc. am. These are generally provided in the case where the polarizing plate is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back side (backligh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2) 점착제층(2) adhesive layer

편광판(100)은, 점착제층을 마련함으로써 점착층 구비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100 can be set as a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ve layer by providing an adhesive layer.

점착제층으로는, 편광판(100)을 액정 셀, 유기 EL 표시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소자, 또는 다른 광학 부재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도 6에 도시되는 구성의 편광판(100)에 있어서는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의 외면에 적층할 수 있다. As an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100 to image display elements,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element, or another optical member is mentioned. The said adhesive layer can be laminated|stac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in the polarizing plate 100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점착제층에 이용되는 점착제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나,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점착력, 신뢰성, 내후성, 내열성, 리워크성 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As an adhesive used for an adhesive layer, what uses (meth)acrylic-type resin, silicone-type resin, polyester-type resin, polyurethane-type resin, polyether-type resin, etc. as a base polymer can be used. Among these, a (meth)acrylic adhesive is preferable from viewpoints, such as transparency, adhesive force, reliabilit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rework property.

(메트)아크릴계 점착제에는, 메틸기나 에틸기나 n-, i- 또는 t-부틸기 등의 탄소수가 20 이하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이나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등의 작용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유리 전이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하가 되도록 배합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인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베이스 폴리머로서 유용하다. The (meth)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cludes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20 or less carbon atoms, such as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or an n-, i- or t-butyl group, (meth)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hydroxyethyl A (meth)acrylic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0 or more, obtained by blending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meth)acrylic monomer such 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referably 25° C. or less, more preferably 0° C. or less, is used as a base polymer useful.

편광판에 대한 점착제층의 형성은, 예컨대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에 점착제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점착제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편광판의 대상면에 직접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식이나, 이형 처리가 실시된 세퍼레이트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시트형으로 형성해 두고, 그것을 편광판의 대상면에 이착(移着)하는 방식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Form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polarizing plate is, for example, by dissolving or disper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toluene or ethyl acetate to prepare an adhesive solution, and directly coating this on the target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lease It can form by the system etc. which form an adhesive layer in sheet form on the separate film to which the process was given, and transfer it to the target surface of a polarizing plate.

점착제층의 두께는, 그 접착력 등에 따라서 결정되지만, 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40 ㎛ 이하이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an adhesive lay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dhesive force etc., the range of 1 micrometer or more and 50 micrometers or less is suitable, Preferably they are 2 micrometers or more and 40 micrometers or less.

편광판은 상기한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트 필름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separate film. The separator film may be a film containing a polyethylene-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based resin such as polypropylene, or a polyester-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Especially, the stretched film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preferable.

점착제층은, 필요에 따라서,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수지 비드, 금속 가루나 다른 무기 분말을 포함하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contain, if necessary, glass fibers, glass beads, resin beads, fillers containing metal powder or other inorganic powder, pigments, colorant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and the like.

대전 방지제로는, 예컨대 이온성 화합물, 도전성 미립자, 도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온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As an antistatic agent, although an ionic compound, electroconductive microparticles|fine-particles, a conductive polyme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n ionic compound is used preferably.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양이온 성분은 무기 양이온이어도 좋고 유기 양이온이어도 좋다. The cation component constituting the ionic compound may be an inorganic cation or an organic cation.

유기 양이온으로는, 피리디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술포늄 양이온, 포스포늄 양이온, 피페리디늄 양이온, 피롤리디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고, 무기 양이온으로는 리튬 이온, 칼륨 이온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organic cations include pyridinium cations, imidazolium cations, ammonium cations, sulfonium cations, phosphonium cations, piperidinium cations, pyrrolidinium cations, and the like, and inorganic cations include lithium ions, potassium ions, etc. can be heard

한편,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음이온 성분으로는, 무기 음이온이어도 좋고 유기 음이온이어도 좋지만,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한 이온성 화합물을 부여하므로,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이 바람직하다.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으로는,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PF6 -)],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CF3SO2)2N-] 음이온,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FSO2)2N-] 음이온 등을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ion component constituting the ionic compound may be either an inorganic anion or an organic anion, but an anion component containing a fluorine atom is preferable in order to provide an ionic compound excellent in antistatic performance. Examples of the anion component containing a fluorine atom include hexafluorophosphate anion [(PF 6 - )],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anion [(CF 3 SO 2 ) 2 N - ] anion, bis( and a fluorosulfonyl)imide anion [(FSO 2 ) 2 N ] anion.

(3) 프로텍트 필름(3) protection film

편광판(100)은, 그 표면(전형적으로는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02) 또는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화상 표시 소자나 다른 광학 부재에 편광판이 접합된 후, 그것이 갖는 점착제층마다 박리 제거된다.The polarizing plate 100 may include a protection film for protecting the surface (typically, the surface o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2 or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 After a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an image display element or another optical member, for example, a protection film peels and removes for every adhesive layer which it has.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점착제층에 관해서는 전술한 기술 내용이 인용된다. The protection film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base film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thereon. Regar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tent is cited.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다. The resin constituting the base film may be, for example, a polyethylene-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based resin such as polypropylene, a polyester-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ethylene naphthalate, or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 polycarbonate-based resin. . Preferably, it is polyester-type resin,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편광판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편광판(100)의 제조 방법은, 편광자를 준비하는 공정으로서, 제1 어닐링 공정을 포함하는 준비 공정과, 편광자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제2 어닐링 공정과, 편광판의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마련하거나 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는 이형 가공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형 가공 공정은, 편광판의 외연부에 오목형부 및 면내에 관통 구멍을 모두 마련하는 공정이어도 좋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100 is a process of preparing a polarizer, A preparation process including a 1st annealing process, A bonding process of bonding a polarizer and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 2nd annealing process, The outer edge of a polarizing plate It may include a mold release processing step of providing a concave portion in the portion or providing a through hole in the surface. In addition, the mold release processing process may be a process of providing both a recessed part and a through-hole in surface in the outer edge part of a polarizing plate.

편광판(100)이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조 방법은, 편광자(101)의 다른쪽 면에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을 접합하는 제2 접합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olarizing plate 100 further includes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 th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a second bonding step of bonding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01 . may include more.

[준비 공정][Preparation process]

준비 공정은 전술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관해 기재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준비 공정은 제1 어닐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paration process may include the process described abou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polariz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aration process may include a first annealing process.

[접합 공정][Joining process]

접합 공정에서는, 편광자(101)의 양면에 접착제를 통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각각 접합(적층)할 수 있다. 편광자(101)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에 이용하는 접착제로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 또는 이것에 가교제가 배합된 수용액,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의 수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편광자(101)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2개의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동종이어도 좋고 이종이어도 좋다. 예컨대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한쪽 면은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다른쪽 면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해도 좋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의 (메트)아크릴계 화합물과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혼합물이나, 양이온 중합성의 에폭시 화합물과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의 에폭시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하고, 개시제로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와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In a bonding process, a thermoplastic resin film can be respectively bonded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101 via an adhesive agent. As the adhesive used for bonding the polarizer 101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such as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an aqueous solution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r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a crosslinking agent is mixed therewith, and a water-based adhesive such as a urethane-based emulsion adhesive can be heard When bond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101, the same type or different types may be sufficient as the adhesive agent which forms two adhesive bond layers. For example, when bond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to both surfaces, one side may be bonded using a water-based adhesive agent, and the other side may be bonded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The ultraviolet curing adhesive may be a mixture of a radically polymerizable (meth)acrylic compound and a 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mixture of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epoxy compound a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or the like. Moreover,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epoxy compound and a radically polymerizable (meth)acrylic-type compound can be used together, a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also be used together as an initiator.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합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400 nm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활성 에너지선(자외선)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When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after bonding, an adhesive agent is hardened by irradiating an active energy ray. Although the light source of the active energy ra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 active energy ray (ultraviolet ray) having a light emission distribution at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is preferable, and specifically,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high pressure mercury lamp, a chemical lamp, a black light lamp , a microwave excited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etc. are preferably used.

편광자(101)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편광자(101)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에 앞서, 편광자(101) 및/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of the polarizer 101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prior to bonding the polarizer 101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the bonding surface of the polarizer 101 and/or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s corona treated, flame treated, You may perform surface treatment, such as a plasma treatment, an ultraviolet irradiation treatment, a primer application process, and a saponification process.

본 발명의 편광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층 필름인 편광자(101)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제작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9-98653호 공보에 기재된 바과 같은, 기재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작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은 박막의 편광자(편광자층)를 갖는 편광판을 얻는 데 유리하며, 예컨대 다음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the polarizing plate 100 of this invention can also be produced by bond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to the polarizer 101 which is a single-layer film as mention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For example, it can produce also by the method using a base film a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9-98653. The latter method is advantageous for obtain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thin polarizer (polarizer lay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he following process.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도공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적층 필름을 얻는 수지층 형성 공정, A resin layer forming step of coa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with a coating solu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then drying to for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to obtain a laminated film;

적층 필름을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얻는 연신 공정,a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a laminated film to obtain a stretched film;

연신 필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편광자층(편광자에 상당)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는 염색 공정,A dyeing step of obtaining a light-polarizing laminated film by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stretched film with a dichroic dye to form a polarizer layer (corresponding to a polarizer);

편광성 적층 필름의 편광자층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여 접합 필름을 얻는 제1 접합 공정, The 1st bonding process which bonds a thermoplastic resin film using an adhesive agent on the polarizer layer of a light-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obtains a bonding film,

접합 필름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 제거하여 한면 열가소성 수지 필름 구비 편광판을 얻는 박리 공정. A peeling process which peels and removes a base film from a bonding film, and obtains a polarizing plate with a single-sided thermoplastic resin film.

편광자(101)층(편광자)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한면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구비 편광판의 편광자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제2 접합 공정을 더 포함한다. In the case of laminat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101 layer (polarizer), a second bonding step of bonding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to the polariz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on one side using an adhesive is further performed. include

기재 필름을 이용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는 염색 공정(예컨대,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는 염색 공정 중의 가교 공정후 또는 세정 공정후)에 건조 공정을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편광성 적층 필름, 한면 열가소성 수지 필름 구비 편광판 및 제2 접합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양면 열가소성 수지 필름 구비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 또는 이들로부터 단리되는 편광자도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편광자이다. In the said method of using a base film, a drying process can be included in the dyeing process (for example, after the crosslinking process in the dyeing process of obtaining a light-polarizing laminated film, or after a washing process) of obtaining a light-polarizing laminated film. The polarizer contained in the said light-polarizing laminated film, the polarizing plate with a single-sided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the polarizing plate with a double-sided thermoplastic resin film obtained through the 2nd bonding process, or a polarizer isolated from these are also polarizers belonging to this invention.

[이형 가공 공정][Release processing process]

편광판(100)은, 장척의 편광판을 매엽형으로 잘라내어 매엽형 편광판을 얻고, 이 매엽형 편광판의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의 외연부에 오목형부 및 면내에 관통 구멍을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The polarizing plate 100 can be obtained by cutting a long polarizing plate into a single-wafer shape to obtain a single-leaf polarizing plate, and forming a concave portion on the outer edge of the single-leaf polarizing plate or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plane.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both a concave portion and a through hole in the surface on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ing plate.

매엽형 편광판의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형성하는 방법이나 면내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매엽형 편광판을, 오목형부를 갖는 외연부가 되도록 톰슨날을 이용하여 펀칭하는 방법이나, 매엽형 편광판의 단부면을 루터를 이용하여 절삭 가공하는 방법, 드릴 등의 회전 절삭 기구를 이용하여 천공 가공을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형 가공을 행할 때, 매엽형 편광판은 단독이어도 좋고, 복수매 겹쳐 쌓은 적층체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접합 공정후의 장척형의 편광판인지, 매엽형의 편광판인지, 또는 이것을 이형 가공한 후의 편광판에 어닐링 처리를 하는 제2 어닐링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As a specific example of a method of forming a concave portion on the outer edge of a single-wafer polarizing plate or a method of forming a through hole in a plane, for example, a method of punching a single-wafered polarizing plate into an outer edge having a concave portion using a Thompson blade; , a method of cutting the end surface of the single-wafer polarizing plate using a router, and a method of performing drilling by using a rotary cutting mechanism such as a drill. When performing a mold release process, independent single-wafer type polarizing plate may be sufficient as it, and it is good also as a laminated body which stacked several sheet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may include the 2nd annealing process of annealing to the long polarizing plate after a bonding process, whether it is a single-wafer polarizing plate, or the polarizing plate after mold-releasing this.

[제2 어닐링 공정][Second annealing process]

제2 어닐링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는 예컨대 65℃ 이상 110℃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100℃ 이하이다. 가열 온도는 높은 쪽이 편광자를 저수축화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second annealing process may be, for example, 65°C or more and 110°C or less, and preferably 70°C or more and 100°C or less. As for the heating temperatur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 polarizer to become low-shrinkage with a higher one.

가열 시간은, 예컨대 3시간 이상 96시간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상 72시간 이하이다. 가열 시간은 긴 쪽이 편광자를 저수축화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The heating time may be, for example, 3 hours or more and 96 hours or less, and preferably 12 hours or more and 72 hours or less. As for the heating tim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 long one to make a polarizer low-shrink easily.

제2 어닐링 공정후,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03)측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메트)아크릴계 점착제, 스티렌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에폭시계 공중합체 점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After the second annealing step, a step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side may be performed.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meth)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styre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rub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uretha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polyes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 epoxy-based copolym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like can be used.

<화상 표시 장치> <Image display device>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화상 표시 소자로는, 예컨대 액정 표시 소자, 유기 EL 표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를 구축함에 있어서, 편광판은, 시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이용되어도 좋고, 백라이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이용되어도 좋고, 시인측 및 백라이트측 양쪽의 편광판에 이용되어도 좋다. A polarizing plate can be used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As an image display element used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element,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In construc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olarizing plate may be used for the polarizing plate arrange|positioned at the visual recognition side, may be used for the polarizing plate arrange|positioned at the backlight side, and may be used for the polarizing plate of both the visual recognition side and the backlight side.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 중 「%」 및 「부」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시험 및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the examples, "%" and "parts" are mass % and parts by mas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st and measurement were performed as follows.

[수축력의 측정][Measurement of contractile force]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10 cm×5 cm의 소편으로 잘라내고, 용제 600 mL에 침지시키고, 실온에서 30분간 초음파 처리를 행하여, 접합되어 있던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용해 제거했다. 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as cut into small pieces of 10 cm x 5 cm, immersed in 600 mL of a solvent, ultrasonicated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s and second thermoplastic resins were bonded. The film was dissolved and removed.

또,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모두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COP 필름)인 경우에는, 용제로서 시클로헥산을 이용하여 용해 제거했다. Moreover, when both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a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are the films (COP film) which consist of cyclic polyolefin resin, it melt|dissolved and removed using cyclohexane as a solvent.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모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TAC 필름)인 경우에는 용제로서 이염화메틸렌을 이용하여 용해 제거했다. When both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the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were the films (TAC film) which consist of a triacetyl cellulose-type resin, it melt|dissolved and removed using methylene dichloride as a solvent.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COP 필름이며,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TAC 필름인 경우나,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TAC 필름이며,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COP 필름인 경우에는, 용제로서 이염화메틸렌을 이용하여 TAC 필름의 용해 제거를 행한 후에, 용제로서 시클로헥산을 이용하여 COP 필름의 용해 제거를 행하여,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용해 제거했다. When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is a COP film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is a TAC film, or when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is a TAC film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is a COP film, methylene dichloride is used as a solvent After dissolving and removing the TAC film using the cyclohexane solvent, the COP film was dissolved and removed to dissolve and remove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제거된 편광 필름으로부터 흡수축 방향(연신 방향)을 장변으로 하는 폭 2 mm, 길이 10 mm의 MD 수축력 측정용 시료를 잘라냈다. 이 시료를 열기계 분석 장치(TMA)「TMA7100」((주)히타치하이테크사이엔스 제조)에 셋팅하고,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80℃에서 4시간 유지했을 때에 발생하는 장변 방향(흡수축 방향, MD)의 수축력을 측정했다.From the polarizing film from which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the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were removed, the sample for MD contraction force measurement of width 2mm which makes an absorption axis direction (stretching direction) a long side, and length 10mm was cut out. This sample is set in a thermomechanical analysis device (TMA) "TMA7100" (manufactured by Hitachi High-Tech Sciences, Ltd.), and the long side direction (absorption axis direction) that occurs when the sample is kept at 80°C for 4 hours while keeping the dimensions constant. , MD) were measured.

[탄성률의 측정][Measurement of modulus of elasticity]

각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장변 110 mm×단변 10 mm의 장방형의 소편을 수퍼커터를 이용하여 잘라냈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주)시마즈 제작소 제조 오토그래프 AG-Xplus 시험기〕의 상하 집게로, 집게의 간격이 5 cm가 되도록 상기 측정용 샘플의 장변 방향 양끝을 끼워, 23℃, 상대 습도 55%의 환경하, 인장 속도 4 mm/분으로 측정용 샘플을 측정용 샘플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고, 얻어지는 응력-변형 곡선에서의 20∼40 MPa 사이의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23℃, 상대 습도 55%에서의 인장 탄성률〔MPa〕을 산출했다. A rectangular small piece having a long side of 110 mm x a short side of 10 mm was cut out from each thermoplastic resin film using a super cutter. Next, with the upper and lower clamps of a tensile tester [Autograph AG-Xplus tester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the long sides of the sample for measurement were sandwich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clamps was 5 cm, 23 °C, 55% relative humidity Under the environment, the sample for measurement is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mple for measurement at a tensile rate of 4 mm/min, and from the slope of a straight line between 20 and 40 MPa in the obtained stress-strain curve, at 23° C. and 55% relative humidity The tensile modulus [MPa] of was calculated.

[열충격 시험][thermal shock test]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에탄올로 표면을 잘 닦은 무알칼리 유리(코닝 제조 이글 XG, 120×200×0.7 mm)의 상기 표면에 접합하고, 그 후, 50℃에서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행했다. 이것을 평가용 샘플로 했다.The polarizing plates obtained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ere bonded to the surface of an alkali-free glass (Eagle XG manufactured by Corning, 120 × 200 × 0.7 mm) which was well cleaned with ethanol, and then autoclaved at 50°C. did This was made into the sample for evaluation.

열충격 시험조에 평가용 샘플을 투입하고, -40℃ 및 85℃의 열자극을 각 30분의 사이클로 부여했다. 저온으로부터 고온으로의 열자극을 1 사이클로 하고, 각 샘플에 관해 50 사이클씩 합계 400 사이클의 시험을 행했다. A sample for evaluation was put into a thermal shock test tank, and thermal stimulation of -40°C and 85°C was applied in cycles of 30 minutes each. The thermal stimulation from low temperature to high temperature was made into 1 cycle, and the test of a total of 400 cycles was done 50 cycles at a time about each sample.

[크랙 평가][Crack Evaluation]

상기 열충격 시험에 있어서 50 사이클마다 평가용 샘플의 크랙의 발생 및 생장을 루페 또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했다. 특히, 이형부 주변에 관해서는 상세히 관찰했다. 크랙은, 그 발생 위치와 길이를 계측하여, 0.3 mm 이상의 크랙이 발생한 경우 열충격 시험을 중지했다. In the thermal shock test, the crack generation and growth of the evaluation sample were observed every 50 cycles using a loupe or an optical microscope. In particular, the periphery of the deformable part was observed in detail. For cracks, the occurrence position and length were measured, and when cracks of 0.3 mm or more occurred, the thermal shock test was stopped.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편광판은, 프로텍트 필름〔폴리에틸렌(PE) 필름〕/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하드코트층을 구비한 경사 연신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COP) 필름(ZD+HC 필름), 두께 13 μm, 탄성률 약 2500 MPa〕/편광자〔일축 연신 폴리비닐알콜(PVA) 필름〕/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COP 필름, 두께 13 μm, 탄성률 약 2000 MPa)의 구성을 가진다. The polarizing plate is a protective film [polyethylene (PE) film] /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diagonally stretched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COP) film (ZD+HC film) having a hard coat layer), a thickness of 13 μm, an elastic modulus of about 2500 MPa]/polarizer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 (PVA) film]/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COP film, thickness 13 µm, elastic modulus about 2000 MPa).

상기 편광판은, 1) 편광자의 제작 과정에 있어서, 건조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미리 수축력을 낮게 하는 원단 제작 공정(준비 공정), 2) 제작한 편광판을 시트 형상으로 잘라내고, 일부 샘플에 관해서는 어닐링 처리에 의해 저수축화를 행한 뒤에, (화상 표시 패널에 대한)점착제를 접합하는 가공·접합 공정(가공 공정), 3) 편광판 시트를 이형 형상으로 펀칭하고, 단부를 연마하는 가공 공정(이형 가공 공정)을 이 순으로 행함으로써 제조했다. The polarizing plate is 1)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er, by raising the drying temperature to lower the shrinkage force in advance (preparation process), 2) cutting the produced polarizing plate into a sheet shape, and annealing treatment for some samples After reducing the shrinkage by using a processing/bonding step (processing step) of bonding the adhesive (for the image display panel), 3) a processing step of punching the polarizing plate sheet into a mold release shape and grinding the end portion (release processing step) ) was prepared by performing in this order.

1. 원단 제작 공정1. Fabric making process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이며 두께 20 μm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30℃의 순수에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칼륨:물의 질량비가 0.02:2:100인 수용액에 28℃에서 침지하여 요오드 염색을 행했다(이하, 요오드 염색 공정이라고도 함). 요오드 염색 공정을 거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12:5:100인 수용액에 64℃에서 침지하여 붕산 처리를 행했다(이하, 붕산 처리 공정이라고도 함). 붕산 처리 공정을 거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7℃의 순수로 세정한 후 85℃에서 건조시켜, 폴리비닐알콜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편광자(연신후의 두께 8 μm)를 얻었다. 이 때, 요오드 염색 공정과 붕산 처리 공정에 있어서 연신을 행했다. 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2400, a saponification degree of 99.9 mol% or more and a thickness of 20 μm was immersed in pure water at 30° C. and iodine dyeing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iodine dyeing step). The polyvinyl alcohol film subjected to the iodine dyeing step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mass ratio of potassium iodide:boric acid:water of 12:5:100 at 64°C to perform boric acid treatm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boric acid treatment step). The polyvinyl alcohol film that had been subjected to the boric acid treatment process was washed with pure water at 7° C. and dried at 85° C. to obtain a polarizer (thickness 8 μm after stretching)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to polyvinyl alcohol. At this time, it extended|stretched in the iodine dyeing process and the boric acid treatment process.

얻어진 편광자에, 하드코트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두께 28 μm)을 수계 접착제를 통해,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두께 60 μm)을 물을 통해, 닙 롤로 접합했다. 얻어진 접합물의 장력을 400 N/m로 유지하면서 80℃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에,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디라미네이션하고,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두께 13 μm)을 에너지 경화형 접착제를 통해 접합하고, UV 광조사를 하는 것에 의해,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을 얻었다. 편광판 표면에 PET 기재에 점착제가 구비된 프로텍트 필름을 표면 처리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표면 처리된 표면에 PET 기재의 점착제면과 맞도록 접합했다. 프로텍트 필름 구비 편광판을 얻었다. To the obtained polarizer, the hard-coated cycloolefin-type resin film (28 micrometers in thickness) was bonded together with the water-system adhesive agent, and the cellulose-type resin film (60 micrometers in thickness) was bonded together with the nip roll through water. After drying at 80° C. for 2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resulting bonded product at 400 N/m, the cellulose-based resin film is delaminated, and the cycloolefin-based resin film (thickness of 13 μm) is bonded through an energy-curing adhesive, and UV By light-irradiating,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protective film on both surfaces was obtained. A protective film provided with an adhesive on a PET substrate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was bonded to the surface-treated surface of a surface-treated cycloolefin-based resin film to match the adhesive side of the PET substrate. A polarizing plate with a protection film was obtained.

2. 가공·접합 공정2. Machining and joining process

원단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한 장척의 편광판을 일정한 사이즈(250 mm×330 mm)로 잘라냈다. 편광판의 양측을 무진지(無塵紙)로 끼우고, 다시 그 외측으로부터 아크릴판으로 끼워 고정했다. 이것을 3셋트 준비하여, 각각 (1) 90℃, 건조, 48시간, (2) 온도 80℃, 건조 48시간, (3) 온도 22℃, 습도 55%에서 정치 또는 가열하여, 편광판 (1), (2), (3)을 얻었다. (2), (3)의 샘플은 가열후 하룻밤 정치했다. 편광판 (1), (2) 및 (3)에서의 편광자의 수축력은 각각, 0.59 N, 0.70 N 및 0.86 N이었다. The elongate polarizing plate produced in the fabric production process was cut out to a fixed size (250 mm x 330 mm).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were sandwiched with dust-free paper, and the polarizing plate was clamped with an acrylic plate from the outside again. Prepare 3 sets of these, (1) 90 ° C., drying, 48 hours, (2) temperature 80 ° C., drying 48 hours, (3) standing or heating at 22 ° C., humidity 55%, polarizing plate (1), (2) and (3) were obtained. The samples of (2) and (3) were left still overnight after heating. The contractile forces of the polarizers in the polarizing plates (1), (2) and (3) were 0.59 N, 0.70 N, and 0.86 N, respectively.

얻어진 편광판의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패널측 보호막)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여, (화상 표시 패널에 대한)점착제 필름을 접합했다. The corona-treated surface of the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panel side protective film)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performed, and the adhesive film (with respect to an image display panel) was bonded together.

3. 이형 가공3. Partial processing

완성된 편광판 시트(250×330 mm)를, 톰슨날을 이용하여 도 8에 도시하는 편광판(300)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이것을 대략 10 mm의 두께로 적층했다. 이 편광판 다발의 상하를 마찬가지로 톰슨날로 펀칭한 동일 형상의 PS(폴리스티렌) 시트 1장씩을 이용하여 사이에 끼우고, 단부로부터 300 ㎛를 루터에 의해 연마하여, 도 8에 도시하는 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라운딩 부분(302, 303, 304)의 곡률 반경은 각각 5.0 mm, 6.0 mm, 4.0 mm이고, 모서리 부분(305)은 직각이었다. 오목형부(301)는 폭 32.0 mm, 깊이 5.3 mm였다. 외측 라운딩부(306, 307), 내측 라운딩부(308, 309)의 곡률 반경은 각각 2.5 mm, 2.0 mm, 2.3 mm, 2.5 mm였다. 오목형부(310)는 폭 5.0 mm, 깊이 7.3 mm이고, 라운딩부(311)의 곡률 반경은 2.5 mm, 오목형부(301)와 편광판의 무게중심(312)과의 최단 거리(313)는 64.7 mm, 오목형부(310)와 편광판의 무게중심(312)과의 최단 거리(314)는 62.7 mm였다.The completed polarizing plate sheet (250 x 330 mm) was punched out in the shape of the polarizing plate 300 shown in FIG. 8 using a Thomson blade, and this was laminated|stacked to the thickness of about 10 m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is polarizing plate bundle were sandwiched using one PS (polystyrene) sheet of the same shape punched out with a Thomson blade similarly, and 300 µm from the end was polished with a router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the shape shown in FIG.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unding portions 302, 303 and 304 was 5.0 mm, 6.0 mm, and 4.0 mm, respectively, and the corner portion 305 was a right angle. The concave portion 301 had a width of 32.0 mm and a depth of 5.3 mm. The radii of curvature of the outer rounding portions 306 and 307 and the inner rounding portions 308 and 309 were 2.5 mm, 2.0 mm, 2.3 mm, and 2.5 mm, respectively. The concave portion 310 has a width of 5.0 mm and a depth of 7.3 mm,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unding portion 311 is 2.5 mm, and the shortest distance 313 between the concave portion 301 and the center of gravity 312 of the polarizing plate is 64.7 mm. , the shortest distance 314 between the concave portion 310 and the center of gravity 312 of the polarizing plate was 62.7 mm.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Examples 1 and 2, 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있어서 각각, 상기 편광판 (1), (2), (3)을 5장씩 이용하여 가열 시험을 행하고, 빛빠짐을 측정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 1, each of the polarizing plates (1), (2) and (3) was subjected to a heating test using 5 sheets each, and light leakage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은, 열충격 시험에 있어서 150 사이클 실시후에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As shown in Table 1, the polarizing plate by this invention did not generate|occur|produce a crack even after 150 cycle implementation in a thermal shock test.

10, 20, 40, 100, 300 : 편광판, 11, 12, 41, 301, 310 : 오목형부, 302, 303, 304, 305 : 모서리, 13, 306, 307 : 외측 모서리 부분, 14, 15, 308, 309, 311 : 내측 모서리 부분, 312 : 무게중심, 313, 314 : 최단 거리, 21 : 관통 구멍, 42 : 장변, 43 : 중점, 101 : 편광자, 102 :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03 :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 10, 20, 40, 100, 300: Polarizing plate, 11, 12, 41, 301, 310: Concave portion, 302, 303, 304, 305: Corner, 13, 306, 307: Outer corner portion, 14, 15, 308 , 309, 311: inner corner portion, 312: center of gravity, 313, 314: shortest distance, 21: through hole, 42: long side, 43: midpoint, 101: polarizer, 102: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03: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Claims (7)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와, 그 한쪽 면에 마련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의 폭 2 mm당의 수축력이 0.7 N 이하이며,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23℃에서의 탄성률은 3000 N/㎡ 이하이며,
상기 편광판은, 평면시에 있어서,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갖거나 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편광판.
A polarizer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The polarizer has a contraction force per 2 mm in width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0.7 N or less,
The elastic modulus at 23° C. of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is 3000 N/m 2 or less,
The said polarizing plate has a concave part in an outer edge part, or has a through-hole in a plane in planar view, The polariz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아크릴계 수지 필름 또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COP) 수지 필름인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is an acrylic resin film or a cyclic polyolefin-based (COP) resin fil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다른쪽 면에 마련된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과, 상기 편광판의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층 구비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on layer which has the polarizing plate in any one of Claims 1-3, and the adhesive layer provided in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side of the said polarizing pl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편광판을 화상 표시 소자에 접합하기 위한 것인 점착제 구비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with an adhesiv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to an image display elemen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ontaining the polarizing plate in any one of Claims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편광자를 준비하는 공정이며, 제1 어닐링 공정을 포함하는 준비 공정과,
편광자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제2 어닐링 공정과,
편광판의 외연부에 오목형부를 마련하거나 또는 면내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는 이형 가공 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in any one of Claims 1-3,
It is a process of preparing a polarizer, A preparation process including a 1st annealing process;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a second annealing process;
A mold release processing step of providing a concave portion on the outer edge of the polarizing plate or providing a through hole in the surface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217020303A 2018-12-11 2019-11-08 Polarizer KR2021010065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1427 2018-12-11
JP2018231427A JP2020101574A (en) 2018-12-11 2018-12-11 Polarizing plate
PCT/JP2019/043885 WO2020121702A1 (en) 2018-12-11 2019-11-08 Polari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658A true KR20210100658A (en) 2021-08-17

Family

ID=7107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303A KR20210100658A (en) 2018-12-11 2019-11-08 Polariz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0101574A (en)
KR (1) KR20210100658A (en)
CN (1) CN113242986B (en)
TW (1) TWI828816B (en)
WO (1) WO202012170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6669B2 (en) * 2019-10-17 2022-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Display device
CN116134502A (en) * 2020-07-29 2023-05-16 日东电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2024798A1 (en) * 2020-07-29 2022-02-03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said polarizing plate or said polarizing plate with phase difference layer
WO2022024796A1 (en) * 2020-07-29 2022-02-03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polarizing plate including said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22148128A (en) * 2021-03-24 2022-10-06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2017A (en) 2016-03-31 2017-10-05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133A (en) * 2000-06-19 2002-01-09 Nitto Denko Corp Polarizing element,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JP5930636B2 (en) * 2011-09-27 2016-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TWI762598B (en) * 2017-03-08 2022-05-0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2017A (en) 2016-03-31 2017-10-05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8816B (en) 2024-01-11
CN113242986A (en) 2021-08-10
WO2020121702A1 (en) 2020-06-18
CN113242986B (en) 2023-05-26
JP2020101574A (en) 2020-07-02
TW202031498A (en)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257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KR20210100658A (en) Polarizer
KR101949003B1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TWI704369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TWI443389B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er
TWI626100B (en) A method of making polarizer whose end face is processed
JP2018028662A (en) Polarizing film
JP638133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end-face processed polarizing plate
KR20090045032A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er
TWI707165B (en) Polarizing plate
KR20160037758A (en) Polarizing plate
KR102444055B1 (en)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JP2016191904A (en) Polarizing plate
KR20200099482A (en) Layered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397755B2 (en) Polarizer
JP7343372B2 (en) Polarizer
JP2020126275A (en) Polarizing plate
WO2021106341A1 (en) Polarizing plate
WO2022191246A1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7049604A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JP2022140346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066502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JP2020134734A (en) Optical laminate with substrat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and composite optical laminate
KR2017009384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