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332A -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332A
KR20210100332A KR1020200014175A KR20200014175A KR20210100332A KR 20210100332 A KR20210100332 A KR 20210100332A KR 1020200014175 A KR1020200014175 A KR 1020200014175A KR 20200014175 A KR20200014175 A KR 20200014175A KR 20210100332 A KR20210100332 A KR 20210100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olding area
folding
dispose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범
박용민
이인석
이원규
김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200014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332A/ko
Priority to US17/796,893 priority patent/US20230054670A1/en
Priority to EP21750973.6A priority patent/EP4102491A4/en
Priority to PCT/KR2021/095023 priority patent/WO2021158094A1/ko
Priority to AU2021217315A priority patent/AU2021217315B2/en
Publication of KR2021010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2Colour filters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폴딩 영역,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일측의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타측의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이격된 상부 편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부분 슬리밍된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크고 평면 표시 소자가 갖는 슬리밍을 하지 않은 원래의 두께인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 간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 간 제2 이격 거리보다 크다.

Description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PATIALLY CURVED OR FOLDABLE DISPLAY DEVICE AM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조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로서, 근래에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상의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곡면형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곡면형 표시 장치는 영상을 관람하는 면을 휘어 마치 관람자가 공간에 위치한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몰입감을 제공하는데, 통상의 곡면형 표시 장치는 평판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제작 후 디스플레이 패널을 휘어 제작할 수 있다.
곡면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최초 제작시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설계하여 제작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생산된 표시 장치에 대해 두께가 얇아지도록 식각 또는 연마 등의 과정(이하 "슬리밍"으로 지칭)을 거친 후 휘어 제작할 수도 있다. 슬리밍을 위한 식각 공정은 식각액에 의한 전도성 패턴, 및 회로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킹 부재들을 배치하고 식각액을 식각 대상 부재들에 분사 또는 흘림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곡면형 표시 장치가 활성화되면서 단순히 곡면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 곡면과 평면의 다양한 배치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고자 하는 영역에서 두께가 얇고 쉽게 접힐 수 있는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를 두께가 얇고 쉽게 접힐 수 있는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최근에 곡면표시 장치가 활성화되면서 단순히 곡면만이 아닌 더욱 다양한 표시장치의 구현을 위해 평면구간이 혼재된 접는 또는 꺽는 형태의 표시장치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기존의 곡면형 표시 장치는 표시 전 영역이 곡면을 구성 할 수 있도록 표시영역 전체가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고 있어 특정 곡률반경을 갖는 전체적인 곡면구성이 용이 하도록 되어 있으나 부분곡면 또는 접는 형태의 표시장치 즉 평면, 곡면(작은 곡면반경), 평면 등 복합 영역이 존재할 경우 별도의 장치 또는 부재가 각 구간에 추가되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제작시간,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접히는 영역에만 필요한 매우 작은 곡률반경을 위한 아주 얇은 두께를 구태어 전 표시영역에 적용함으로 슬리밍이 어려워져 수율 하락 및 그에 따른 비용증가가 발생함으로 이를 해결하여 용이하게 복합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폴딩 영역,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일측의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타측의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이격된 상부 편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부분 슬리밍된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크고 평면 표시 소자가 갖는 슬리밍을 하지 않은 원래의 두께인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 간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 간 제2 이격 거리보다 크다.
상기 제1 폴딩 영역은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은 직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만입된 상부 만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상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만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보강 충진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의 표면은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유기 물질, 무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무기 물질의 복합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과 상기 제2 기판의 굴절률 차이는 0.3 이내이고,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가시 광선 파장 범위에 대해 광 투과도가 7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이격된 하부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제1 기판상기 제1 기판은 부분 슬리밍된 제3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제1 기판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3 두께보다 크고 평면 표시 소자가 갖는 슬리밍을 하지 않은 원래의 두께인 제4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1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 간 제3 이격 거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 간 제4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을 향해 만입된 하부 만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는 상기 하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상기 하부 만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보강 충진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폴딩 영역과 이격된 제3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3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폴딩 영역과 이격된 제2 폴딩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2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만입된 상부 만입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2 폴딩 영역의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상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2 폴딩 영역의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상부 만입 홈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을 향해 만입된 하부 만입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2 폴딩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하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제2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2 폴딩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하부 만입 홈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폴딩 영역,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일측의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타측의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이격된 상부 편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은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은 직선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부분 슬리밍된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크고 평면 표시 소자가 갖는 슬리밍을 하지 않은 원래의 두께인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만입된 상부 만입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이격된 하부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은 부분 슬리밍된 제3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3 두께보다 크고 평면 표시 소자가 갖는 슬리밍을 하지 않은 원래의 두께인 제4 두께를 갖되, 상기 하부 편광 부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제2 영역이 정의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상의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의 하부 편광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상의 상부 편광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 편광 부재, 및 상기 상부 편광 부재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하부 편광 부재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의 일면 상에 각각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각 편광 부재, 및 상기 보호 필름의 노출된 측면을 테이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서 노출된 일면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보다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2 기판보다 돌출된 부분에 구동 연결 필름이 부착되며, 상기 하부 편광 부재와 상기 상부 편광 부재의 커팅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 필름 부착 단계 사이에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의 실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편광 부재와 상기 각 기판 사이에 정전기 방지 도전층이 더 배치되며, 상기 각 편광 부재, 및 상기 보호 필름의 테이핑한 후, 상기 정전기 방지 도전층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을 커팅하고, 노출된 상기 정전기 방지 도전층의 노출된 측면을 테이핑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만입 홈에 제1 보강 충진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만입 홈에 제2 보강 충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 및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 상과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및 상기 제2 보강 충진 패턴 상에 각각 편광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식각 후, 상기 각 편광 부재, 및 상기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각각 편광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폴딩 영역,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일측의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타측의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이격된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부분 슬리밍된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크고 평면 표시 소자가 갖는 슬리밍을 하지 않은 원래의 두께인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기능성 필름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기능성 필름 간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기능성 필름 간 제2 이격 거리보다 크다.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표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봉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은 편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딩 영역은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은 직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만입된 상부 만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기능성 필름은 상기 상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만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기능성 필름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보강 충진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의 표면은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과 상기 제2 기판의 굴절률 차이는 0.3이내고,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가시 광선 파장 범위에 대해 광 투과도가 7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두께가 얇고 폴딩 영역에서 잘 접힐 수 있다.
또, 폴딩 영역에서 보강 충진 패턴을 더 배치함으로써 두께가 얇아 물리적 손상에 취약한 기판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기판으로부터 발광된 광들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 도 17, 도 19, 및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평면도들이다.
도 18, 도 21, 및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 및 도 24의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31은 변형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기판으로부터 발광된 광들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장치이면, 장치의 주된 용도, 부가된 기능이나 명칭 등에 관계없이 표시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소형 게임기, 카지노에서 사용되는 슬롯 머신 등과 같은 대형 게임기, 전자 칠판, 전자책,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자동차 계기판,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외부 광고판, 전광판, 각종 의료 장치, 각종 검사 장치,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표시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 사물 인터넷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술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마주보는 2개의 장변(도면에서 표시면을 바라보았을 때 상변과 하변)과 마주보는 2개의 단변(도면에서 표시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변과 우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정상적인 표시 화면의 방향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이 가로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장변이 세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방향축이 정의된다. 제1 방향(DR1)은 표시 장치의 장변 연장 방향이고, 제1 방향(DR1)은 표시 장치의 단변의 연장 방향이며, 제3 방향(DR3)은 표시 장치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 일측은 표시 장치(1)의 우측 단변측을, 제1 방향(DR1) 타측은 표시 장치(1)의 좌측 단변측을, 제2 방향(DR2) 일측은 표시 장치(1)의 상측 장변측을, 제2 방향(DR2) 타측은 표시 장치(1)의 하측 장변측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상기한 방향축 정의는 상대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표시 장치(1)로는 액정 표시 장치(LCD)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1)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표시 장치(1)가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 영동 표시 장치(EP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무기 EL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및 전계 방출 표시 장치(FED)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표시 장치(1)는 제1 기판(10), 제1 기판(10)에 대향하는 제2 기판(20) 및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테두리에는 실링 부재(SEAL)가 배치되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을 결합하고 액정층(30)의 액정 분자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 중 어느 하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다른 하나는 컬러필터 기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판(10)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제2 기판(20)이 컬러필터 기판인 경우가 예시된다. 표시 방향은 제2 기판(20)의 상면 외측 방향이 될 수 있다.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0)보다 표시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판(20)은 상부 기판일 수 있고, 제1 기판(10)은 하부 기판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인 제1 기판(10)은 제2 기판(20)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0)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가 제2 기판(20)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기판(10)의 제2 기판(20) 대비 제2 방향(DR2) 일측에서 돌출된 단부는 외측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영역은 제2 기판(20)과 중첩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기판(10)이 제2 기판(20)으로부터 돌출되어 그에 비중첩하는 부위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각 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구동 연결 필름(TAB) 및 그에 연결된 구동 회로 기판(MB)을 포함할 수 있고, 이중 구동 연결 필름(TAB)이 제1 기판(10)의 상기 비중첩 부위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즉, 구동 연결 필름(TAB)은 제2 기판(20)과 비중첩할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TAB) 상에는 구동칩(IC)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은 각각 유리, 석영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 기판 및 그 위에 배치된 배선, 금속, 반도체층, 절연막, 컬러 필터, 블랙 매트릭스 등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들은 각각 제1 기판(10)의 절연 기판과 제2 기판(20)의 절연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구조물의 도시는 생략하고,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절연 기판의 형상만을 도시하였다. 이하에서, 제1 기판(10) 또는 제2 기판(20)의 배면 형상을 언급할 때, 해당 형상은 제1 기판(10)의 절연 기판의 배면 형상 또는 제2 기판(20)의 절연 기판의 배면 형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기판(10)이나 제2 기판(20)의 절연 기판 배면에 다른 추가적인 층이 배치되고, 해당 층이 식각이나 연마되어 돌출 또는 함몰된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기판(10)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즉 외측 영역(PR))에는 구동 연결 필름(TAB) 또는 연성 필름이 부착된다. 구동 연결 필름(TAB)은 제1 기판(10)과 구동 회로 기판(MB) 또는 메인 회로 보드 또는 메인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연결 필름(TAB)은 제1 기판(10)의 일면 상에 도전성 이방성 필름을 개재하여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연결 필름(TAB)이 납땜이나 초음파 접합 등을 통해 제1 기판(10)의 일면 상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구동 연결 필름(TAB)은 신호선을 포함하는 필름으로서, 플렉서블한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기판(FPC), 탭, 커넥트 필름 등일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TAB)의 일단에는 구동 회로 기판(MB)이 부착될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TAB)과 구동 회로 기판(MB)의 부착은 그 사이에 개재된 도전성 이방성 필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TAB)과 구동 회로 기판(MB)의 결합에 납땜이나 초음파 접합 등이 사용되는 경우 제2 도전성 이방성 필름은 생략 가능하다.
구동 회로 기판(MB)은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칩(IC)은 구동 회로 기판(M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구동 회로 기판(MB)과 이를 연결하는 구동 연결 필름(TAB)이 제1 기판(10)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에 배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구동 회로 기판(MB)과 구동 연결 필름(TAB)은 제1 기판(10)의 제2 방향(DR2) 타측 단부에 배치되거나, 제1 방향(DR1) 일측 또는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회로 기판(MB)과 구동 연결 필름(TAB)이 복수개 마련되고, 제1 기판(10)의 2 이상의 변에 인접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구동 회로 기판(MB)은 복수의 구동 연결 필름(TAB)에 의해 제1 기판(1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구동 회로 기판(MB)에 그보다 폭이 작은 복수의 구동 연결 필름(TAB)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이웃하는 구동 연결 필름(TAB)들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에는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NFA)이 정의될 수 있다. 폴딩 영역은 제1 폴딩 영역(FA1), 및 제1 폴딩 영역(FA1)과 이격된 제2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1, FA2)은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폴딩 영역(FA1)의 제1 방향(DR1) 타측, 및 제1 방향(DR1) 일측에는 비폴딩 영역(NFA)이 각각 배치되고, 제2 폴딩 영역(FA2)의 제1 방향(DR1) 타측, 및 제1 방향(DR1) 일측에는 비폴딩 영역(NFA)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 일측 방향을 따라 비폴딩 영역(NFA), 제1 폴딩 영역(FA1), 비폴딩 영역(NFA), 제2 폴딩 영역(FA2), 및 비폴딩 영역(NFA)이 순차 배치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1, FA2)은 각각 표시 장치(1)의 제2 방향(DR2) 타측 단부로부터 제2 방향(DR2) 일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에서 폴딩 영역(FA1, FA2)을 제외한 영역은 비폴딩 영역(NF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연결 필름(TAB)에 의해 제1 기판(10)의 일단(제2 방향(DR2) 일측 단부)에 부착된 복수의 구동 회로 기판(MB)은 각각 제1 기판(10)의 폴딩 영역(FA1, FA2)에 의해 구분되는 비폴딩 영역(NFA)에 배치되고, 해당 구동 회로 기판(MB)과 연결된 복수의 구동 연결 필름(TAB)은 비폴딩 영역(NF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10)의 제1 폴딩 영역(FA1)의 제1 방향(DR1) 타측에 복수의 구동 연결 필름(TAB) 및 이들과 함께 연결된 구동 회로 기판(MB)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기판(10)의 제1 폴딩 영역(FA1)의 제1 방향(DR1) 일측(제2 폴딩 영역(FA2)의 제1 방향(DR1) 타측)에 복수의 구동 연결 필름(TAB) 및 이들과 함께 연결된 구동 회로 기판(MB)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폴딩 영역(FA2)의 제1 방향(DR1) 일측에 복수의 구동 연결 필름(TAB) 및 이들과 함께 연결된 구동 회로 기판(MB)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0)의 폴딩 영역(FA1, FA2)의 제2 방향(DR2) 일측 단부에는 구동 연결 필름(TAB)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은 폴딩 영역(FA1, FA2)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1, FA2)을 제외한 비폴딩 영역(NFA)은 폴딩되지 않고 비폴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폴딩 영역(FA1, FA2)에 구동 연결 필름(TAB) 및 이들과 함께 연결된 구동 회로 기판(MB)이 배치되지 않고 폴딩되지 않고 비폴딩 상태를 유지하는 비폴딩 영역(NFA)에 구동 연결 필름(TAB) 및 이들과 함께 연결된 구동 회로 기판(MB)이 배치됨으로써 폴딩 상태에서 구동 연결 필름(TAB) 및 이들과 함께 연결된 구동 회로 기판(MB)에 의해 스트레스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비폴딩 영역(NFA), 및 폴딩 영역(FA1, 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 및 폴딩 영역(FA1, FA2)에 걸쳐 배치된 편광 부재(POL)는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평면상 제2 기판(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의 평면상 크기는 제2 기판(20)의 평면상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제2 기판(20)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편광 부재(POL)의 단변들은 제2 기판(20)의 단변들과 대향하고, 그 내측에 위치하고 편광 부재(POL)의 장변들은 제2 기판(20)의 장변들과 대향하고 그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편광 부재(POL)와 중첩 배치된 영역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일 수 있고, 편광 부재(POL)와 중첩 배치되지 않는 영역은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폴딩 영역(FA1, FA2)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A1, FA2)은 소정의 곡률을 갖고 폴딩될 수 있다. 소정의 곡률을 갖고 폴딩된 폴딩 영역(FA1, FA2)의 측면 형상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폴딩 영역(FA1, FA2)과 구분되는 비폴딩 영역(NFA)은 폴딩되지 않을 수 있다. 폴딩되지 않는 비폴딩 영역(NFA)의 측면 형상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폴딩 영역(FA1, FA2)의 폭은 각 비폴딩 영역(NFA)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 비폴딩 영역(NFA)의 폭은 각 폴딩 영역(FA1, FA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폴딩 영역(FA1, FA2)의 폭은 각 비폴딩 영역(NFA)의 폭의 약 1/2이하, 또는 약 1/5이하, 또는 약 1/10이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폴딩되면, 제1 폴딩 영역(FA1)의 타측 비폴딩 영역(NFA), 및 제2 폴딩 영역(FA2)의 일측 비폴딩 영역(NFA)은 각각 제3 방향(DR3) 하부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제1 폴딩 영역(FA1)의 타측 비폴딩 영역(NFA)과 제1 폴딩 영역(FA1)의 일측 비폴딩 영역(NFA)은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제2 폴딩 영역(FA2)의 타측 비폴딩 영역(NFA)과 제2 폴딩 영역(FA2)의 일측 비폴딩 영역(NFA)은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제1 폴딩 영역(FA1)의 타측 비폴딩 영역(NFA)과 제2 폴딩 영역(FA2)의 일측 비폴딩 영역(NFA)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 폴딩 영역(FA1)은 제1 중심점(CP1)으로부터 곡률 반경인 제1 곡률 반경(R1)을 갖고, 제2 폴딩 영역(FA2)은 제2 중심점(CP2)으로부터 곡률 반경인 제2 곡률 반경(R2)을 가질 수 있다. 제1 곡률 반경(R1), 및 제2 곡률 반경(R2)은 각각 50mm이하일 수 있다. 제1 곡률 반경(R1)과 제2 곡률 반경(R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곡률 반경(R1)과 제2 곡률 반경(R2)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폴딩 영역(FA1)의 일측 및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들이 이루는 제1 각도(
Figure pat00001
1), 및 제2 폴딩 영역(FA2)의 일측 및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들이 이루는 제2 각도(
Figure pat00002
2)는 각각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Figure pat00003
1,
Figure pat00004
2)는 각각 135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딩 영역(FA1, FA2)의 일측 및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들이 이루는 각도(
Figure pat00005
1,
Figure pat00006
2)는 곡률 반경(R1, R2)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곡률 반경(R1, R2)이 클수록 각도(
Figure pat00007
1,
Figure pat00008
2)는 커지고, 곡률 반경(R1, R2)이 작을수록 각도(
Figure pat00009
1,
Figure pat00010
2)는 작아질 수 있다.
기판(10, 20)이 폴딩되기 위해서는 폴딩될 때 인가되는 벤딩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폴딩 영역(FA1, FA2)에서 기판(10, 20)의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폴딩 영역(FA1, FA2)에서 기판(10, 20)의 두께는 비폴딩 영역(NFA)에서 기판(10, 2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폴딩 영역(FA1, FA2)에서의 기판(10, 20)의 두께는 부분 슬리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에서의 기판(10, 20)은 폴딩 영역(FA1, FA2)에서 기판(10, 20)이 부분 슬리밍된 것과 다르게 슬리밍되지 않아 원래 기판(10, 20)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1, FA2)에서 제1 기판(10)은 제2 기판(20)을 향해 만입된 하부 만입 홈(H1)을 포함하고,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을 향해 만입된 상부 만입 홈(H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만입 홈(H1)과 상부 만입 홈(H2)의 폭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만입 홈(H1)과 상부 만입 홈(H2)의 폭은 상호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만입 홈(H1)의 폭은 상부 만입 홈(H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만입 홈(H1)의 폭은 상부 만입 홈(H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만입 홈(H1)과 상부 만입 홈(H2)은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즉, 만입 홈(H1, H2)들의 배치 관점에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은 두께 방향에서 대칭 구조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은 만입 홈 배치 관점에서 비대칭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만입 홈(H1)과 상부 만입 홈(H2)의 위치가 서로 두께 방향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만입 홈(H1)과 상부 만입 홈(H2)은 두께 방향에서 중첩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만입 홈(H2)은 두께 방향에서 인접한 하부 만입 홈(H1)들의 사이 공간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하부 만입 홈(H1)들의 사이 공간은 제1 기판(10)의 비폴딩 영역(NFA)에 위치하므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만입 홈(H2)은 제1 기판(10)의 비폴딩 영역(NFA)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부 만입 홈(H1)은 두께 방향에서 인접한 상부 만입 홈(H2)들의 사이 공간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상부 만입 홈(H2)들의 사이 공간은 제2 기판(20)의 비폴딩 영역(NFA)에 위치하므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만입 홈(H1)은 제2 기판(20)의 비폴딩 영역(NFA)에 위치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에서 제1 기판(10)의 일면으로부터 제2 기판(20)의 일면까지의 두께(t1)는 폴딩 영역(FA1, FA2)에서 제1 기판(10)의 일면으로부터 제2 기판(20)의 일면까지의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폴딩 영역(NFA)에서 제1 기판(10)의 일면으로부터 제2 기판(20)의 일면까지의 두께(t1)는 1mm일 수 있고, 폴딩 영역(FA1, FA2)에서 제1 기판(10)의 일면으로부터 제2 기판(20)의 일면까지의 두께(t2)는 0.2mm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폴딩 영역(NFA)에서 제2 기판(20)은 제3 두께(t3)를 갖고 폴딩 영역(FA1, FA2)에서 제2 기판(20)은 제4 두께(t4)를 갖고 비폴딩 영역(NFA)에서 제1 기판(10)은 제5 두께(t5)를 갖고 폴딩 영역(FA1, FA2)에서 제1 기판(10)은 제6 두께(t6)를 가질 수 있다.
제3 두께(t3)는 제4 두께(t4)보다 클 수 있고, 제5 두께(t5)는 제6 두께(t6)보다 클 수 있다.
제3 두께(t3)와 제5 두께(t5)는 동일할 수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제4 두께(t4)와 제6 두께(t6)는 동일할 수 있지만, 다른 수도 있다.
폴딩 영역(FA1, FA2)에서 두께가 얇아진 기판(10, 20)은 비폴딩 영역(NFA)에서보다 폴딩시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제1 기판(10)의 일면, 및 제2 기판(20)의 일면에 각각 편광 부재(POL)가 더 배치되지만 편광 부재(POL)는 두께가 실질적으로 영역에 구분없이 균일하기 때문에 여전히 폴딩 영역(FA1, FA2)에서 전반적인 두께가 비폴딩 영역(NFA)보다 작고 이로 인해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물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외부 충격에 취약한 폴딩 영역(FA1, FA2)의 강도 개선을 위해 폴딩 영역(FA1, FA2)의 기판(10, 20)의 일면 상에 각각 보강 충진 패턴(RM)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 충진 패턴(RM)은 만입 홈(H1, H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보강 충진 패턴(RM)은 유기 물질, 무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무기 물질의 복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 충진 패턴(RM)의 표면은 인접한 비폴딩 영역(NFA)의 기판(10, 20)의 일면과 동일선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보강 충진 패턴(RM)의 표면은 인접한 비폴딩 영역(NFA)의 기판(10, 20)의 일면과 동일선에 위치하고 그보다 돌출되거나 그보다 만입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보강 충진 패턴(RM)이 폴딩 영역(FA1, FA2)의 기판(10, 20)의 일면 상에 배치됨으로써 벤딩 스트레스 및/또는 외부 충격에 취약한 폴딩 영역(FA1, FA2)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보강 충진 패턴(RM)은 각 기판(10, 20)의 일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고(접할 수 있고), 나아가, 보강 충진 패턴(RM)은 각 만입 홈(H1, H2)의 기판(10, 20)의 모든 표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접할 수 있다).
기판(10, 20), 및 각 기판(10, 20) 상에 마련된 보강 충진 패턴(RM) 상에 각각 편광 부재(POL1, POL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10), 및 보강 충진 패턴(RM)의 일면 상 하부 편광 부재(POL1)가 배치되고, 제2 기판(20), 및 보강 충진 패턴(RM)의 일면 상에 상부 편광 부재(POL2)가 배치될 수 있다.
각 편광 부재(POL1, POL2)의 제1 방향(DR1) 일측면, 및 제1 방향(DR1) 타측면은 각각 기판(10, 20)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 및 제1 방향(DR1) 타측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각 편광 부재(POL1, POL2)는 실링 부재(SEAL)와 중첩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편광 부재(POL1, POL2)는 실링 부재(SEAL)와 부분적으로 중첩 배치될 수도 있다.
하부 편광 부재(POL)는 제1 투과축 및 그에 수직한 제1 흡수축을 갖는다. 상부 편광 부재(POL2)는 제2 투과축 및 그에 수직한 제2 흡수축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편광 부재(POL1)의 제1 투과축과 상부 편광 부재(POL2)의 제2 투과축은 수직이고, 하부 편광 부재(POL1)의 제1 흡수축과 상부 편광 부재(POL2)의 제2 흡수축은 수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투과축과 제2 투과축이 평행할 수도 있다.
하부 편광 부재(POL1)의 제1 투과축은 표시 장치(1)의 장변에 평행하고, 상부 편광 부재(POL2)의 제2 투과축은 표시 장치(1)의 단변에 평행하고 장변에 수직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기판(20)의 하부 상의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빛은 하부 편광 부재(POL1)를 통과하면서 제1 투과축에 평행한 제1 편광(p파) 성분만이 제1 기판(10) 측으로 입사되고, 제1 흡수축에 평행한 제2 편광(s파) 성분은 흡수된다. 제1 기판(10)에 입사된 제1 편광은 액정층(30)에 의해 위상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층(30)을 통과하는 빛은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액정층(30)에 인가되는 전계의 크기에 따라 조절됨)에 따라 위상 지연 정도가 제어된다. 위상 지연이 제어된 빛은 상부 편광 부재(POL2)에 이르러 제2 투과축에 해당하는 성분만이 출사된다. 예를 들어, 빛이 액정층(30)에 의해 위상이 변하지 않았으면(즉, 0° 또는 360°의 위상 지연), 해당 편광에 수직한 제2 투과축을 통과하지 못하고 모두 흡수되어 표시 장치(1)가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빛이 액정층(30)에 의해 180°의 위상 지연이 이루어진 경우, 편광의 방향이 바뀌어 제2 투과축에 평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모두 투과되어 표시 장치(1)가 화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액정층(30)에 의한 위상 지연값이 0°와 180° 사이 또는 180°와 360° 사이에 있는 중간값을 가질 경우, 일부의 빛만이 투과되어 표시 장치(1)가 그레이 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제1 투과축과 제2 투과축이 평행하다면, 위 예시된 경우에서 블랙과 화이트가 반대로 표시될 것이다.
편광 부재(POL1, POL2)는 편광층을 포함한다. 편광층은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외에, 아세트산 비닐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트산 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의 예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원액을 유연 성막하는 유연법, 캐스트법, 압출법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편광층은 요오드 등과 같은 이색성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은 일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연신 비율은 1.15배 내지 10배이거나, 5배 내지 6.5배일 수 있다. 이색성 염료는 편광층의 연신 방향을 따라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에 흡착될 수 있다. 편광층의 연신 방향은 흡수축이 되고, 그에 수직한 방향은 투과축이 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1, POL2)는 편광층의 일면에 배치된 제1 보호 기재, 편광층의 타면에 배치된 제2 보호 기재, 및 제2 보호 기재 상에 배치된 결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편광층의 일면은 표시 패널(200)의 외측을 향하는 면이고, 편광층의 타면은 그 반대면으로서 액정 패널(200)에 대향하는 면을 지칭한다.
제1 보호 기재와 제2 보호 기재는 편광층을 두께 방향 양측으로부터 덮어 보호한다. 제1 보호 기재와 제2 보호 기재는 각각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메타)아크릴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보호 기재와 제2 보호 기재는 각각 폴리비닐 알코올 계열의 접착 수지층에 의해 편광층의 표면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층은 제2 보호 기재의 타면 상에 배치된다. 제2 보호 기재는 편광층과 제2 보호 기재 사이에 배치된다. 결합층을 통해 편광 부재(POL1, POL2)가 각 기판(10, 2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결합층은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 또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일 수 있다. 결합층의 구성 물질로는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며,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1, POL2)는 각각 비폴딩 영역(NFA), 및 폴딩 영역(FA1, 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편광 부재(POL1)와 제1 기판(10)의 사이에는 보강 충진 패턴(RM)이 배치되고, 상부 편광 부재(POL2)와 제2 기판(20)의 사이에는 보강 충진 패턴(RM)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1, POL2)가 비폴딩 영역(NFA), 및 폴딩 영역(FA1, FA2)에 걸쳐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A1, FA2), 및 비폴딩 영역(NFA)에 걸쳐 백라이트 유닛에서 생성된 광이 편광 부재(POL1, POL2)와 중첩하는 영역을 통해 모두 상부 편광 부재(POL2)의 상부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보강 충진 패턴(RM)은 백라이트 유닛에서 생성된 광이 상부 편광 부재(POL2)의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 경로에 배치되므로, 제2 기판(20)과 굴절률 차이가 작을수록 제2 기판(20)과 보강 충진 패턴(RM)의 계면에서 광이 굴절, 및 반사되는 경향이 적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 충진 패턴(RM)은 제2 기판(20)과 굴절률 차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강 충진 패턴(RM)과 제2 기판(20)의 굴절률 차이는 약 0.3이내일 수 있다.
보강 충진 패턴(RM)은 또한, 백라이트 유닛에서 생성된 광이 상부 편광 부재(POL2)의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 경로에 배치되므로 가시 광선 파장 범위에 대한 광 투과도가 좋은 것이 표시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강 충진 패턴(RM)의 가시 광선 파장 범위에 대한 광 투과도는 70%이상일 수 있다.
편광 부재(POL1, POL2)는 각각 폴딩 영역(FA1, FA2)에서 인접 기판(10, 20)과의 이격 거리가 비폴딩 영역(NFA)에서 인접 기판(10, 20)과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는 폴딩 영역(FA1, FA2)에서 각 기판(10, 20)은 만입 홈(H1, H2)을 가지며, 만입 홈(H1, H2)을 사이에 두고 편광 부재(POL1, POL2)와 각 기판(10, 20)이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폴딩 영역(FA1, FA2)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즉, 폴딩 영역(FA1, FA2)은 소정의 곡률을 갖고 폴딩될 수 있다. 소정의 곡률을 갖고 폴딩된 폴딩 영역(FA1, FA2)의 측면 형상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폴딩 영역(FA1, FA2)과 구분되는 비폴딩 영역(NFA)은 폴딩되지 않을 수 있다. 폴딩되지 않는 비폴딩 영역(NFA)의 측면 형상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되지 않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광(L1, L2, L3)은 서로 다른 루트로 상부 편광 부재(POL2) 상부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제1 광(L1)은 제1 기판(10), 제2 기판(20), 및 상부 편광 부재(POL2)를 차례로 통과하고, 제2 광(L2) 및 제3 광(L3)은 제1 기판(10), 보강 충진 패턴(RM), 및 상부 편광 부재(POL2)를 차례로 통과한다. 제2 광(L2)은 제1 기판(1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제1 기판(10), 보강 충진 패턴(RM), 및 상부 편광 부재(POL2)를 통과하는 반면, 제3 광(L3)은 제1 기판(10)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제1 기판(10), 보강 충진 패턴(RM), 및 상부 편광 부재(POL2)를 통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 충진 패턴(RM)은 백라이트 유닛에서 생성된 광이 상부 편광 부재(POL2)의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충진 패턴(RM)이 배치된 영역(폴딩 영역(FA1, FA2))에서도 표시 영역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충진 패턴(RM)은 제2 기판(20)과 굴절률 차이가 약 0.3이내고, 가시 광선 파장 범위에 대한 광 투과도가 70%이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제1 폴딩 영역(FA1)의 일측 및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들이 이루는 제1 각도(
Figure pat00011
1), 및 제2 폴딩 영역(FA2)의 일측 및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들이 이루는 제2 각도(
Figure pat00012
2)가 각각 90도보다 작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제1 폴딩 영역(FA1)의 일측 및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들이 이루는 제1 각도(
Figure pat00013
1), 및 제2 폴딩 영역(FA2)의 일측 및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들이 이루는 제2 각도(
Figure pat00014
2)가 각각 90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경우 폴딩 영역(FA1, FA2)에서는 폴딩 영역(FA1, FA2) 사이의 비폴딩 영역(NFA) 및 제1 폴딩 영역(FA1)의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 또는 폴딩 영역(FA1, FA2) 사이의 비폴딩 영역(NFA) 및 제2 폴딩 영역(FA2)의 일측의 비폴딩 영역(NFA)에서 각각 출사된 광이 서로 간섭하게 되어 화면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화면 왜곡을 개선하기 위해 폴딩 영역(FA1, FA2)에서 각 기판(10, 20)의 만입 홈(H1, H2)에 배치된 보강 충진 패턴(RM_1)이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즉, 제1 폴딩 영역(FA1)의 일측 및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들이 이루는 제1 각도(
Figure pat00015
1), 및 제2 폴딩 영역(FA2)의 일측 및 타측의 비폴딩 영역(NFA)들이 이루는 제2 각도(
Figure pat00016
2)가 각각 90도보다 작은 본 실시예에서 보강 충진 패턴(RM_1)은 광 흡수 물질, 또는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충진 패턴(RM_1)은 표시 장치의 블랙 매트릭스로 이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폴딩 영역이 제1 폴딩 영역(FA)만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폴딩 영역이 제1 폴딩 영역(FA)만 포함할 수 있다.
이외 설명은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는 폴딩 영역이 제3 폴딩 영역(FA3)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는 폴딩 영역이 제3 폴딩 영역(FA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폴딩 영역(FA3)은 비폴딩 영역(NFA)을 사이에 두고 제1 폴딩 영역(FA1)의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외 설명은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는 각 편광 부재(POL_1: POL1_1, POL2_1)가 폴딩 영역(FA1, FA2)에는 배치되지 않고 비폴딩 영역(NFA)에만 배치되며, 보강 충진 패턴(RM)이 생략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는 각 편광 부재(POL_1: POL1_1, POL2_1)가 폴딩 영역(FA1, FA2)에는 배치되지 않고 비폴딩 영역(NFA)에만 배치되며, 보강 충진 패턴(RM)이 생략될 수 있다.
각 편광 부재(POL1_1, POL2_1)는 각 비폴딩 영역(NF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각 편광 부재(POL1_1, POL2_1)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은 각각 인접한 비폴딩 영역(NFA)의 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폴딩 영역(FA1, FA2)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6, 도 17, 도 19, 및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평면도들이다. 도 18, 도 21, 및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우선,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기판(10a), 제2 기판(20a), 및 편광 부재(POLa)를 준비한다(S10). 제1 기판(10a), 및 제2 기판(20a)은 각각 도 1에서 상술한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과 만입 홈(H1, H2)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편광 부재(POLa)를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기판(10a)의 일면, 및 제2 기판(20a)의 일면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편광 부재(POLa)는 폴딩 영역(도 1의 'FA1', 'FA2'), 및 비폴딩 영역(도 1의 'NF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a)는 폴딩 영역(도 1의 'FA1', 'FA2' 참조)에서 커팅되고 이후 기판(10a, 20a)의 슬리밍 후에 박리된다는 점에서 도 1에서 상술된 편광 부재(POL)와 다른 부재일 수 있다.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1 기판(10a)의 일면, 및 제2 기판(20a)의 일면에 각각 배치된 편광 부재(POLa)를 폴딩 영역(도 1의 'FA1', 'FA2' 참조)에서 커팅하여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편광 부재(POLb)를 형성한다(S20). 인접한 편광 부재(POLb)의 이격된 공간에서 기판(10a, 20a)의 일면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기판(10a)의 일면, 및 제2 기판(20a)의 일면에 각각 배치된 편광 부재(POLa)에 대해 상술한 커팅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도 15,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기판(10a)의 외측 영역 상에 실링 부재(40)를 형성한다. 실링 부재(40)는 제1 기판(10a)의 외측 영역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구동 연결 필름(TAB), 및 구동 회로 기판(MB)의 전체를 덮어 보호할 수 있다. 본 공정을 통해 이후 식각 공정에서 식각액에 의해 구동 연결 필름(TAB), 및 구동 회로 기판(MB)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리밍의 예시로 식각 공정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15,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a)의 일면, 및 제2 기판(20a)의 일면에 각각 배치된 편광 부재(POLb)의 일면 상에 각각 보호 필름(FL)을 형성한다(S30). 보호 필름(FL)은 인접한 편광 부재(POLb)의 이격된 공간에서 일면이 노출된 기판(10a, 20a)과 중첩 배치되고 덮을 수 있다.
이어서, 도 15,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보호 필름(FL)의 폴딩 영역(도 1의 'FA1', 'FA2' 참조)을 커팅(REMOVAL)한다(S40). 커팅되어 노출된 보호 필름(FL)의 내측면은 커팅되어 노출된 편광 부재(POLb)의 내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커팅된 보호 필름(FL)의 해당 영역에서 기판(10a, 20a)의 일면은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이후, 도 15, 및 도 21을 참조하면, 각각 노출된 편광 부재(POL1b, POL2b), 및 보호 필름(FL)의 측면을 마스킹한다(S50). 마스킹 부재로는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테이프(TP)가 이용될 수 있다. 마스킹 부재로 테이프(TP)가 이용될 경우, 마스킹 단계는 테이핑 단계로 지칭될 수 있다.
테이프(TP)는 기판(10a, 20a)의 일면의 일 부분, 편광 부재(POL1b, POL2b)의 노출된 내측면, 및 보호 필름(FL)의 노출된 내측면을 차례로 테이핑하고 일부 보호 필름(FL)의 일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TP)에 의해 보호 필름(FL)의 일면, 기판(10a, 20a)의 일면의 다른 부분은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의 폴딩 영역(FA1, FA2)을 제외한 나머지 비폴딩 영역(NFA)을 마스킹한다.
이어서, 도 15, 및 도 22를 참조하면, 기판(10a, 20a)의 폴딩 영역(FA1, FA2)을 식각(ETCHING)한다(S60).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도 3의 만입 홈(H1, H2)을 갖는 기판(10, 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편광 부재(POLb), 및 보호 필름(FL)을 박리한다.
이어서, 도 15,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20)의 식각 영역(또는 만입 홈(H1, H2))에 각각 상술된 충진 보강 패턴(RM)을 형성한다.
이어서, 편광 부재를 비폴딩 영역(NFA), 및 폴딩 영역(FA)에 걸쳐 전면에 배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OLb)와 기판(10a, 20a)의 사이에 정전기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도전층이 더 배치되는 경우, 각각 노출된 편광 부재(POL1b, POL2b), 및 보호 필름(FL)의 측면을 마스킹 후에 상기 도전층을 박리하고 다시 노출된 도전층의 측면을 마스킹하는 공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식각 대신에 연마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연마 공정이 수행되는 실시예에서 상술된 실링 부재 배치, 및 테이핑이 생략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곡면형 표시 장치는 전체 표시 영역이 곡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표시 영역 전체가 일정한 두께를 유지(비표시 영역보다 작은 두께)하고 있어 특정 곡률 반경(하나의 곡률 반경, 또는 복수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존의 곡면형 표시 장치(전체 표시 영역이 곡면 구성하는 표시 장치)에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부분 곡면과 평면 혼재)을 적용할 경우 얇아진 두께가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평면 구간에 평면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나 부재가 더 추가되어야한다. 이는 제조 공정의 번잡함과 제조 공정 시간을 늘려 비용 추가의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체 표시 영역의 슬리밍 공정이 수행됨으로써 슬리밍 공정 시간 및 재료의 소모가 상당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부분 곡면과 평면 횬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경우, 접히는 영역(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이 적용되는 영역)에만 부분 슬리밍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존의 곡면형 표시 장치에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을 적용하기 위한 예시된 평면 유지용 장치나 부재 배치 및 전체 표시 영역의 슬리밍을 생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라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제1 기판(10)이 표시 기판을 포함하고, 제2 기판(20)이 봉지 기판을 포함하고, 제1 기판(10) 상에 발광 소자(ED)가 배치되고, 액정층(30)이 생략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액정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제1 기판(10)이 표시 기판을 포함하고, 제2 기판(20)이 봉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기판은 유리, 또는 석영 등의 리지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봉지 기판은 표시 기판과 마찬가지로, 유리, 또는 석영 등의 리지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CL)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CL)은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도전층(CL)들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배치된 게이트 도전층,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이 배치된 소스/드레인 도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도전층(CL)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도전층(CL)은 발광 소자(ED)의 제1 전극(또는 애노드 전극)이 배치된 애노드 도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 상의 도전층(CL) 상에 발광 소자(ED)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복수개일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비폴딩 영역(NFA), 및 폴딩 영역(FA1, FA2)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자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자발광 소자는 마이크로 LED, 및 나노 LED 등의 무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 소자(ED)들은 발광하는 광의 파장 범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발광 소자(ED)들은 적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 및 청색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적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 및 청색 발광 소자는 각각 적색광(La), 녹색광(Lb), 및 청색광(Lc)을 발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ED)들은 흰색광을 발광하는 흰색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적색광(La), 녹색광(Lb), 및 청색광(Lc)으로 갈수록 파장 범위는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제2 기판(20)은 복수의 발광 소자(ED)를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발광 소자(ED)는 제2 기판(20), 제1 기판(10), 및 실링 부재(SEAL)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가 적용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ED)는 애노드 전극(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 유기층, 및 캐소드 전극(유기 발광 소자의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상기 유기 발광층 이외에도 정공 주입/수송층, 및 전자 주입/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수송층은 차례로 애노드 전극(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과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적층되고, 상기 전자 주입/수송층은 차례로 상기 유기 발광층과 캐소드 전극(유기 발광 소자의 제2 전극)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저분자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저분자 유기 물질이 유기 발광층으로 적용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고분자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전자 주입/수송층, 및 상기 정공 주입층이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애노드 전극(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과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정공 수송층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예시된 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정공 주입층, 및 상기 전자 주입/수송층이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하부 편광 부재(POL1)가 생략되고 제2 기판(20)의 일면 상의 상부 편광 부재(POL2)가 기능성 필름(FCF)으로 대체되었다. 기능성 필름(FCF)의 배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편광 부재(POL2)의 배치와 동일한 바 기능성 필름(FCF)과 주변 구성 간의 결합 관계는 상술된 상부 편광 부재(POL2)와 주변 구성 간의 결합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기능성 필름(FCF)은 편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능성 필름(FCF)은 편광층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일 수 있다. 기능성 필름(FCF)은 편광층을 포함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의 기판(10, 20), 실링 부재(SEAL), 및 보강 충진 패턴(RM)에 대한 설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5는 도 23, 및 도 24의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인바(Invar) 합금을 포함하는 인바 지지 기판(IVM), 인바 지지 기판(IVM) 상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의 발광 소자층(EDL)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2, 및 도 23에 따른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인바 지지 기판(IVM)은 강철과 니켈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인바 지지 기판(IVM)은 표시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고, 발광 소자층(EDL)의 하부에서 발광 소자층(EDL)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방향으로 출광된 광 경로를 변환시켜 상부 방향으로 출광되도록 하는 반사 부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인바 지지 기판(IVM)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된 발광 소자층(EDL)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에 대해서는 도 23, 및 도 24에서 상술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광 소자층(EDL)에서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각각 광(L4, L5)이 출광될 수 있다. 제4 광(L4)은 발광 소자층(EDL)으로부터 제2 기판(20)을 향하는 상부 방향으로 출광되고, 제5 광(L5)은 발광 소자층(EDL)으로부터 인바 지지 기판(IVM)을 향하는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제5 광(L5)은 인바 지지 기판(IVM)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제2 기판(20)을 향하는 상부 방향으로 광 경로가 변환되어 출광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31은 변형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26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의 두께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고, 만입 홈(H1, H2)의 만입 깊이도 다양하게 변형가능함을 예시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제2 기판(20)의 제3 두께(t3)는 제1 기판(10)의 제5 두께(t5)보다 클 수 있다. 만입 홈(H1, H2)의 만입 깊이는 각 기판(10, 20)에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판(20)의 제4 두께(t4)는 제1 기판(10)의 제6 두께(t6)보다 클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제2 기판(20)의 제3 두께(t3)는 제1 기판(10)의 제5 두께(t5)보다 작을 수 있다. 만입 홈(H1, H2)의 만입 깊이는 각 기판(10, 20)에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판(20)의 제4 두께(t4)는 제1 기판(10)의 제6 두께(t6)보다 작을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따른 변형예들은 기판(10, 20)의 두께가 서로 상이함을 예시하고, 만입 홈(H1, H2)이 서로 동일한 수준의 만입 깊이를 가질 수 있음을 예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원래의 기판(10, 20) 자체 두께가 다르지만 만입 깊이가 동일한 수준으로 형성됨으로써 폴딩 영역(FA)에서 기판(10, 20)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기판(10, 20)이 더 큰 두께를 가지더라도 폴딩 영역(FA)에서 만입 홈(H1, H2)이 형성됨으로써 특정 영역에서 기판(10, 20)이 잘 휘도록 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제2 기판(20)의 제3 두께(t3)는 제1 기판(10)의 제5 두께(t5)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기판(20)의 제4 두께(t4)는 제1 기판(10)의 제6 두께(t6)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만입 홈(H2)의 만입 깊이는 하부 만입 홈(H1)의 만입 깊이보다 클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제2 기판(20)의 제3 두께(t3)는 제1 기판(10)의 제5 두께(t5)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기판(20)의 제4 두께(t4)는 제1 기판(10)의 제6 두께(t6)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만입 홈(H2)의 만입 깊이는 하부 만입 홈(H1)의 만입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따른 변형예들은 기판(10, 20)의 두께가 서로 동일함을 예시하고, 만입 홈(H1, H2)이 서로 다른 수준의 만입 깊이를 가질 수 있음을 예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원래의 기판(10, 20) 자체 두께가 서로 동일하지만, 만입 깊이가 다른 수준으로 형성됨으로써 특정 기판(10, 20)의 벤딩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0)의 하부 만입 홈(H1)의 만입 깊이가 큰 경우 제1 기판(10)의 벤딩 스트레스를 더 용이하게 줄일 수 있고, 반대로 제2 기판(20)의 상부 만입 홈(H2)의 만입 깊이가 큰 경우 제2 기판(20)의 벤딩 스트레스를 더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제2 기판(20)의 제3 두께(t3)는 제1 기판(10)의 제5 두께(t5)보다 클 수 있다. 상부 만입 홈(H2)의 만입 깊이는 하부 만입 홈(H1)의 만입 깊이보다 클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제2 기판(20)의 제3 두께(t3)는 제1 기판(10)의 제5 두께(t5)보다 작을 수 있다. 상부 만입 홈(H2)의 만입 깊이는 하부 만입 홈(H1)의 만입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에 따른 변형예들은 기판(10, 20)의 두께가 서로 상이함을 예시하고, 만입 홈(H1, H2)이 서로 다른 수준의 만입 깊이를 가질 수 있음을 예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원래의 기판(10, 20) 자체 두께가 서로 다르면 각 기판(10, 20)이 벤딩될 때 받는 스트레스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변형예들의 경우 두께가 상호 상이한 기판(10, 20)들의 만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한 스트레스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 제1 기판
20: 제2 기판
30: 액정층

Claims (35)

  1. 제1 폴딩 영역,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일측의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타측의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이격된 상부 편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부분 슬리밍된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크고 평면 표시 소자가 갖는 슬리밍을 하지 않은 원래의 두께인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 간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 간 제2 이격 거리보다 크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폴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비폴딩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 영역은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은 직선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폭은 상기 각 비폴딩 영역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만입된 상부 만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상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만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보강 충진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직접 접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의 표면은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유기 물질, 무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무기 물질의 복합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과 상기 제2 기판의 굴절률 차이는 0.3이내고,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가시 광선 파장 범위에 대해 광 투과도가 70%이상인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이격된 하부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은 부분 슬리밍된 제3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3 두께보다 크고 평면 표시 소자가 갖는 슬리밍을 하지 않은 원래의 두께인 제4 두께를 갖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1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 간 제3 이격 거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 간 제4 이격 거리보다 큰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을 향해 만입된 하부 만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는 상기 하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상기 하부 만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보강 충진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직접 접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두께는 상기 제2 기판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하부 만입 홈의 만입 깊이는 상기 상부 만입 홈의 만입 깊이보다 큰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두께와 상기 제2 기판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하부 만입 홈의 만입 깊이와 상기 상부 만입 홈의 만입 깊이는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두께는 상기 제2 기판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하부 만입 홈의 만입 깊이와 상기 상부 만입 홈의 만입 깊이는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폴딩 영역과 이격된 제3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3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폴딩 영역과 이격된 제2 폴딩 영역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2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만입된 상부 만입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2 폴딩 영역의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상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2 폴딩 영역의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상부 만입 홈에 더 배치된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을 향해 만입된 하부 만입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상기 하부 편광 부재는 상기 제2 폴딩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하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제2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2 폴딩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하부 만입 홈에 더 배치된 표시 장치.
  17. 제1 폴딩 영역,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일측의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타측의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상에 배치된 컬러 필터 기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이격된 상부 편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은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은 직선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상부 편광 부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폴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비폴딩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은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향해 만입된 상부 만입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액정층과 이격된 하부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제3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상기 제3 두께보다 큰 제4 두께를 갖되, 상기 하부 편광 부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는 표시 장치.
  20.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제2 영역이 정의된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상의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의 하부 편광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상의 상부 편광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 편광 부재, 및 상기 상부 편광 부재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하부 편광 부재의 일면과 상기 상부 편광 부재의 일면 상에 각각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각 편광 부재, 및 상기 보호 필름의 노출된 측면을 테이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에서 노출된 일면을 슬리밍하여 상기 제1 기판에 하부 만입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기판에 상부 만입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보다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2 기판보다 돌출된 부분에 구동 연결 필름이 부착되며, 상기 하부 편광 부재와 상기 상부 편광 부재의 커팅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 필름 부착 단계 사이에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의 실링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편광 부재와 상기 각 기판 사이에 정전기 방지 도전층이 더 배치되며, 상기 각 편광 부재, 및 상기 보호 필름의 테이핑한 후, 상기 정전기 방지 도전층의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을 커팅하고, 노출된 상기 정전기 방지 도전층의 노출된 측면을 테이핑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만입 홈에 제1 보강 충진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만입 홈에 제2 보강 충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 및 상기 제1 보강 충진 패턴 상과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및 상기 제2 보강 충진 패턴 상에 각각 편광 부재를 형성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5. 제1 폴딩 영역,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일측의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폴딩 영역의 타측의 제2 비폴딩 영역이 정의된 표시 장치로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이격된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부분 슬리밍된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두께보다 크고 평면 표시 소자가 갖는 슬리밍을 하지 않은 원래의 두께인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기능성 필름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기능성 필름 간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기능성 필름 간 제2 이격 거리보다 크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폴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 비폴딩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표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봉지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은 편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 영역은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각 비폴딩 영역은 직선 형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만입된 상부 만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기능성 필름은 상기 상부 만입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표시 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만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상기 기능성 필름의 사이에 배치된 보강 충진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충진 패턴은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직접 접하는 표시 장치.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충진 패턴의 표면은 상기 각 비폴딩 영역에서의 상기 제2 기판의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32.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충진 패턴은 유기 물질, 무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무기 물질의 복합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충진 패턴과 상기 제2 기판의 굴절률 차이는 0.3이내고, 상기 보강 충진 패턴은 가시 광선 파장 범위에 대해 광 투과도가 70%이상인 표시 장치.
  33.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충진 패턴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4.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은 인바(Invar)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로부터 제공된 광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35.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판은 유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014175A 2020-02-06 2020-02-06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0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75A KR20210100332A (ko) 2020-02-06 2020-02-06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7/796,893 US20230054670A1 (en) 2020-02-06 2021-01-20 Partially curved 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1750973.6A EP4102491A4 (en) 2020-02-06 2021-01-20 FOLDABLE OR PARTIALLY CURV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21/095023 WO2021158094A1 (ko) 2020-02-06 2021-01-20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U2021217315A AU2021217315B2 (en) 2020-02-06 2021-01-20 Partially curved 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75A KR20210100332A (ko) 2020-02-06 2020-02-06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32A true KR20210100332A (ko) 2021-08-17

Family

ID=7720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175A KR20210100332A (ko) 2020-02-06 2020-02-06 부분 곡면 또는 접는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54670A1 (ko)
EP (1) EP4102491A4 (ko)
KR (1) KR20210100332A (ko)
AU (1) AU2021217315B2 (ko)
WO (1) WO20211580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247A1 (ko) * 2021-09-17 2023-03-23 주식회사 토비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43246A1 (ko) * 2021-09-17 2023-03-23 주식회사 토비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4U (ja) * 1993-06-11 1995-01-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KR101268471B1 (ko) * 2011-12-20 2013-06-04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다중 영상 표시 장치
KR20150013987A (ko) * 2013-07-25 2015-02-06 주식회사 유플러스비젼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KR102138753B1 (ko) * 2013-11-22 2020-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장치
KR102391877B1 (ko) * 2015-09-16 2022-04-29 솔브레인 주식회사 곡면부를 갖는 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5926A (ko) * 2015-12-04 201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31944B1 (ko) * 2016-06-21 2018-04-04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
KR102510459B1 (ko) * 2017-12-12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247A1 (ko) * 2021-09-17 2023-03-23 주식회사 토비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43246A1 (ko) * 2021-09-17 2023-03-23 주식회사 토비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41466A (ko) *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토비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2491A1 (en) 2022-12-14
US20230054670A1 (en) 2023-02-23
AU2021217315B2 (en) 2024-01-04
EP4102491A4 (en) 2024-02-28
WO2021158094A1 (ko) 2021-08-12
AU2021217315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0517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6952941B (zh) 一种显示面板、制作方法及电子设备
KR102170023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이것의 제조 방법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2623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0515885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flexible display screen having substrate with a plurality of pins inserted in the through holes of lamination plate
KR2020000257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994050A (zh) 显示装置
AU2021217315B2 (en) Partially curved 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TW202127404A (zh) 顯示裝置
KR20220022501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200348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4004955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3281928A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TWI637302B (zh) 整合型觸控顯示器
TWI819534B (zh) 顯示裝置
KR101955991B1 (ko) 액정표시장치
JPH08122738A (ja) 入力機能付液晶表示素子
KR102111652B1 (ko) 표시 장치
US2021024003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220112876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024797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524456B1 (ko) 윈도우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KR20210006562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14478B1 (ko)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25056B1 (ko) 곡면 액정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