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096A -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 Google Patents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096A
KR20210100096A KR1020217016895A KR20217016895A KR20210100096A KR 20210100096 A KR20210100096 A KR 20210100096A KR 1020217016895 A KR1020217016895 A KR 1020217016895A KR 20217016895 A KR20217016895 A KR 20217016895A KR 20210100096 A KR20210100096 A KR 2021010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omopolymer
polyethylene
ethylene
polyethylene hom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추안 왕
Original Assignee
노바 케미컬즈 (인터내셔널) 소시에테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 케미컬즈 (인터내셔널) 소시에테 아노님 filed Critical 노바 케미컬즈 (인터내셔널) 소시에테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1010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6Solidify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5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placed in s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1Multistage polymeris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 change in reactor conditions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2Low molecular weight, e.g. <100,000 D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4Crystallisation a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0.930 내지 0.975 g/㎤의 밀도 d1, 0.01 내지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1, 및 2.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0.945 내지 0.980 g/㎤의 밀도 d2, 적어도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2, 및 2.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다. 핵형성이 될 수 있는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75,000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4.0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고, 성형 응용예, 예컨대, 예를 들어, 압축 성형 마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필름 또는 마개(closure)에 사용될 때 우수한 차단 특성을 제공하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기술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핵형성(nucleation)이 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각각 상이한 용융 지수 I2를 갖도록 단일 부위 중합 촉매에 의해 제조된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성분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비교적 낮은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 단독중합체(또는 더 적은 수의 단쇄 분지를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 둘 모두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성분이 상기 에틸렌 단독중합체 성분(또는 더 적은 수의 단쇄 분지를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보다 분자량이 더 큰 경우, 결과적으로 수득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높은 수준의 환경 저항성을 요구하는 최종 용도의 응용예에 유용하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809,154호 참조). 이러한 최종 용도의 응용예로는, 예를 들어, 전(all)-폴리에틸렌 병마개와 같은 성형 물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WO 2016/135590 및 미국 특허 번호 9,758,653; 9,074,082; 9,475,927; 9,783,663; 9,783,664; 8,962,755; 9,221,966; 9,371,442 및 8,022,143 참조). 또한, 선택된 성분들이 상대적으로 낮고 상대적으로 높은 분자량을 갖는 2종의 에틸렌 단독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이봉형(bimodal) 분자량 분포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는 이러한 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 필름의 형성에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7,737,220 및 9,587,093,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8/0118749, 2009/0029182 및 2011/0143155 참조).
[발명의 요약]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성분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신규 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보고한다. 핵형성(nucleation)이 될 수 있는 상기 신규 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다양한 최종 용도의 응용예에서와 같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신규 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중합체 조성물에서 중합체 블렌드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1) 밀도 d1이 0.930 내지 0.975 g/㎤, 용융 지수 I2 1이 0.01 내지 10 g/10min, 및 분자량 분포 Mw/Mn이 2.5 미만인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2) 밀도 d2가 0.945 내지 0.980 g/㎤, 용융 지수 I2 2가 적어도 1.0 g/10min, 및 분자량 분포 Mw/Mn이 2.5 미만인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75,000이고 분자량 분포 Mw/Mn이 4.0 미만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핵형성제(nucleating agent) 또는 핵형성제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디카복실산 화합물의 염인 상기 핵형성제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20 내지 4000 ppm의 상기 핵형성제 또는 상기 핵형성제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는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물품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는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압축 성형 물품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는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개(closure)(예를 들어, 병마개)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는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1) 밀도 d1이 0.930 내지 0.975 g/㎤, 용융 지수 I2 1이 0.01 내지 10 g/10min, 및 분자량 분포 Mw/Mn이 2.5 미만인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2) 밀도 d2가 0.945 내지 0.980 g/㎤, 용융 지수 I2 2가 적어도 1.0 g/10min, 및 분자량 분포 Mw/Mn이 2.5 미만인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75,000이고 분자량 분포 Mw/Mn이 4.0 미만이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에서 용액 중합 조건 하에 에틸렌과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부위 중합 촉매 시스템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1) 밀도가 0.945 내지 0.975 g/㎤, 용융 지수 I2 1이 0.01 내지 10 g/10min, 및 분자량 분포 Mw/Mn이 3.0 미만인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2) 밀도가 0.950 내지 0.980 g/㎤, 용융 지수 I2 2가 적어도 1.0 g/10min, 및 분자량 분포 Mw/Mn이 3.0 미만인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75,000이고 분자량 분포 Mw/Mn이 4.0 미만인 것이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에서 용액 중합 조건 하에 에틸렌과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부위 중합 촉매 시스템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는 직렬로 형성된 제1 반응기 및 제2 반응기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이 (1) 밀도가 0.945 내지 0.975 g/㎤, 용융 지수 I2 1이 0.01 내지 10 g/10min, 및 분자량 분포 Mw/Mn이 2.5 미만인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2) 밀도가 0.950 내지 0.980 g/㎤, 용융 지수 I2 2가 적어도 1.0 g/10min, 및 분자량 분포 Mw/Mn이 2.5 미만인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75,000이고 분자량 분포 Mw/Mn이 4.5 미만인 것이다.
도 1은 본원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4) 및 2개의 비교용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5 및 6)에 대한 굴절률 검출을 이용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프(GPC)를 나타낸다.
도 2는 본원에 따른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압축 성형 필름의 산소 투과율(oxygen transmission rate, OTR) 대 상기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4*)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을 보여준다. 도 2는 또한 비교용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5 및 6)로부터 제조된 압축 성형 필름의 산소 투과율(OTR) 대 비교용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5 및 6)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을 보여준다.
도 3은 본원에 따른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압축 성형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 대 상기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4*)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을 보여준다. 도 3은 또한 비교용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5 및 6)로부터 제조된 압축 성형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WVTR) 대 상기 비교용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5 및 6)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을 보여준다.
도 4는 본원에 따른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마개의 산소 투과율(OTR) 대 상기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4*)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을 보여준다. 도 4는 또한 비교용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5 및 6)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마개의 산소 투과율(OTR) 대 상기 비교용 핵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실시예 5 및 6)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을 보여준다.
용어 "에틸렌 단독중합체(homopolymer)" 또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언급된 중합체가 중합성 올레핀으로서 에틸렌만이 의도적으로 첨가된 중합 공정의 생성물임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용어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은 언급된 중합체가 중합성 올레핀으로서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가 의도적으로 첨가된 중합 공정의 생성물임을 의미한다.
용어 "단봉형(unimodal)"은 GPC-곡선에서 명백한 유의적인 피크 또는 최대치가 단 하나일 것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에 정의된다. 단봉형 프로파일은 넓은 단봉형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용어 "단봉형"은 ASTM D6474-99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분자량 분포 곡선에서 단일 최대치의 존재를 의미한다. 이에 반해, 용어 "이봉형(bimodal)"은 더 높은 분자량 또는 더 낮는 분자량의 성분을 나타내는 제2 피크 또는 숄더(shoulder)가 GPC-곡선에서 명백하게 있음을 의미한다(즉, 분자량 분포 곡선에서 2개의 최대치가 있는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어 "이봉형(bimodal)"은 ASTM D6474-99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분자량 분포 곡선에서 2개의 최대치의 존재를 의미한다. 용어 "다봉형(multi-modal)"은 ASTM D6474-99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분자량 분포 곡선에서 2개 이상의 최대치의 존재를 의미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중합체 조성물은 1 중량% 내지 100 중량%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2가지 성분, 즉, (1)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2) 상기 제1 단독중합체와 다른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오로지 2가지 중합체 성분, 즉, (1)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2) 상기 제1 단독중합체와 다른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만을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핵형성제(nucleating agent)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이하에 더 상세하게 정의된다.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단일 부위 중합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액상(solution phase) 중합 공정에서 단일 부위 중합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액상 중합 공정에 의도적으로 첨가된 단량체로서 에틸렌만을 중합시키는 단일 부위 중합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은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 미만이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융 지수 I2 1이 ≤20.0 g/10min, ≤15.0 g/10min, 또는 ≤10.0 g/10min인 것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융 지수 I2 1이 0.01 내지 15.0 g/10min인 것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의해 포괄되는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은 0.01 내지 10.0 g/10min, 또는 0.01 내지 7.5 g/10min, 또는 0.01 내지 5.0 g/10min, 또는 0.1 내지 15.0 g/10min, 또는 0.1 내지 10.0 g/10min, 또는 0.1 내지 5.0 g/10min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융 유동 비율(melt flow ratio) I21/I2가 25 미만, 또는 23 미만, 또는 20 미만인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40,000 내지 250,000 g/mol인 것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의해 포괄되는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50,000 내지 200,000 g/mol, 또는 50,000 내지 175,000 g/mol, 또는 50,000 내지 150,000 g/mol, 또는 40,000 내지 125,000 g/mol, 또는 50,000 내지 125,000 g/mol인 것이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분자량 분포 Mw/Mn이 ≤3.0, 또는 <3.0, 또는 ≤2.7, 또는 <2.7, 또는 ≤2.5, 또는 <2.5, 또는 ≤2.3, 또는 <2.3, 또는 ≤2.1, 또는 <2.1 또는 약 2인 것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분자량 분포 Mw/Mn 이 1.7 내지 3.0인 것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의해 포괄되는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분자량 분포 Mw/Mn 이 1.8 내지 2.7, 또는 1.8 내지 2.5, 또는 1.8 내지 2.3, 또는 1.9 내지 2.1인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단독중합체의 밀도 d1은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2 미만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밀도 d1이 0.930 내지 0.985 g/㎤인 것이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의해 포괄되는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밀도 d1이 0.930 내지 0.980 g/㎤, 또는 0.930 내지 0.975 g/㎤, 또는 0.935 내지 0.980 g/㎤, 또는 0.940 내지 0.980 g/㎤, 또는 0.943 내지 0.980 g/㎤, 또는 0.943 내지 0.975 g/㎤, 또는 0.943 내지 0.970 g/㎤, 또는 0.943 내지 0.965 g/㎤, 또는 0.945 내지 0.980 g/㎤, 또는 0.945 내지 0.975 g/㎤, 또는 0.945 내지 0.970 g/㎤, 또는 0.945 내지 0.965 g/㎤, 또는 0.946 내지 0.965 g/㎤, 또는 0.940 내지 0.962 g/㎤, 또는 0.940 내지 0.960 g/㎤, 또는 0.943 내지 0.962 g/㎤인 것이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중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중량 퍼센트(wt%)(즉,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중량 퍼센트)는 약 5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의해 포괄되는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중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중량 퍼센트(wt%)는 약 5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70 중량%, 또는 약 5 중량% 내지 약 60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1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또는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일 수 있다.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단일 부위 중합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액상 중합 공정에서 단일 부위 중합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액상 중합 공정에 의도적으로 첨가된 단량체로서 에틸렌만을 중합시키는 단일 부위 중합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 대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의 비율은 1.1 내지 500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 대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의 비율은 1.5 내지 500, 또는 1.5 내지 250, 또는 1.5 내지 200, 또는 1.5 내지 150, 또는 1.5 내지 100일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융 지수 I2 2가 적어도 1.0 g/10min, 또는 적어도 5.0 g/10min, 또는 적어도 10 g/10min인 것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융 지수 I2 2가 1.0 내지 500 g/10min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의해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1.0 내지 250 g/10min, 또는 1.0 내지 100 g/10min, 또는 5 내지 250 g/10min, 또는 5.0 내지 100 g/10min, 또는 10.0 내지 250 g/10min, 또는 10.0 내지 100 g/10min, 또는 5.0 내지 75 g/10min, 또는 5.0 내지 50 g/10min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용융 유동 비율 I21/I2가 25 미만, 또는 23 미만, 또는 20 미만인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75,000 g/mol, 또는 ≤60,000 g/mol, 또는 ≤50,000 g/mol, 또는 ≤45,000 g/mol, 또는 ≤40,000 g/mol인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2,500 내지 75,000 g/mol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2,500 내지 60,000 g/mol, 또는 5,000 내지 50,000 g/mol, 또는 2,500 내지 50,000 g/mol, 또는 5,000 내지 45,000 g/mol, 또는 2,500 내지 45,000 g/mol, 또는 5,000 내지 40,000 g/mol, 또는 2,500 내지 40,000 g/mol이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분자량 분포 Mw/Mn이 ≤3.0, 또는 <3.0, 또는 ≤2.7, 또는 <2.7, 또는 ≤2.5, 또는 <2.5, 또는 ≤2.3, 또는 <2.3, 또는 ≤2.1, 또는 <2.1, 또는 약 2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분자량 분포 Mw/Mn이 1.7 내지 3.0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분자량 분포 Mw/Mn이 1.8 내지 2.7, 또는 1.8 내지 2.5, 또는 1.8 내지 2.3, 또는 1.9 내지 2.1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단독중합체의 밀도 d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1보다 크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1보다 0.030 g/㎤ 미만으로 더 크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1보다 0.025 g/㎤ 미만으로 더 크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1보다 0.020 g/㎤ 미만으로 더 크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1보다 0.015 g/㎤ 미만으로 더 크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1보다 0.010 g/㎤ 미만으로 더 크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밀도 d2가 0.930 내지 0.985 g/㎤인 것이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밀도 d2가 0.935 내지 0.985 g/㎤, 또는 0.940 내지 0.985 g/㎤, 또는 0.945 내지 0.985 g/㎤, 또는 0.945 내지 0.980 g/㎤, 또는 0.947 내지 0.985 g/㎤, 또는 0.947 내지 0.980 g/㎤, 또는 0.950 내지 0.985 g/㎤, 또는 0.950 내지 0.980 g/㎤, 또는 0.945 내지 0.975 g/㎤, 또는 0.947 내지 0.975 g/㎤, 또는 0.950 내지 0.975 g/㎤, 또는 0.945 내지 0.970 g/㎤, 또는 0.947 내지 0.970 g/㎤, 또는 0.950 내지 0.970 g/㎤, 또는 0.945 내지 0.965 g/㎤, 또는 0.947 내지 0.965 g/㎤, 또는 0.950 내지 0.965 g/㎤인 것이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중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중량 퍼센트(wt%)(즉,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중량 퍼센트)는 약 95 중량% 내지 약 5중량%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중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중량 퍼센트(wt%)는 약 90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90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또는 약 90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또는 약 9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9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8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또는 약 8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인 것이다.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각각 본원에 정의된 것)를 포함할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분석에서 단봉형 프로파일(즉, 단봉형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ASTM D6474-99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프에서 단봉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100,000 g/mol, 또는 ≤75,000 g/mol, 또는 <70,000 g/mol, 또는 ≤65,000 g/mol, 또는 <65,000 g/mol 또는 ≤60,000 g/mol, 또는 <60,000 g/mol인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10,00 내지 75,000 g/mol이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15,000 내지 75,000 g/mol, 또는 15,000 내지 70,000 g/mol, 또는 20,000 내지 75,000 g/mol, 또는 25,000 내지 75,000 g/mol, 또는 30,000 내지 75,000 g/mol, 또는 25,000 내지 70,000 g/mol, 25,000 내지 65,000 g/mol, 또는 25,000 내지 60,000 g/mol, 또는 30,000 내지 75,000 g/mol, 또는 30,000 내지 70,000 g/mol, 또는 30,000 내지 65,000 g/mol, 또는 35,000 내지 75,000 g/mol, 또는 35,000 내지 70,000 g/mol, 또는 35,000 내지 65,000 g/mol인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Mn이 ≤60,000 g/mol, 또는 ≤50,000 g/mol, 또는 <50,000 g/mol, 또는 ≤45,000 g/mol, 또는 <45,000 g/mol, 또는 ≤40,000 g/mol, 또는 <40,000 g/mol, 또는 ≤35,000 g/mol, 또는 <35,000 g/mol, 또는 ≤30,000 g/mol, 또는 <30,000 g/mol인 것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Mn이 5,000 내지 60,000 g/mol인 것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수평균 분자량 Mn이 10,000 내지 55,000 g/mol, 또는 10,000 내지 50,000 g/mol, 또는 15,000 내지 50,000 g/mol, 또는 15,000 내지 45,000 g/mol, 또는 15,000 내지 40,000 g/mol, 또는 15,000 내지 35,000 g/mol, 또는 15,000 내지 30,000 g/mol, 또는 20,000 내지 50,000 g/mol, 또는 20,000 내지 45,000 g/mol, 또는 20,000 내지 40,000 g/mol, 또는 20,000 내지 35,000 g/mol, 또는 20,000 내지 30,000 g/mol인 것이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 Mw/Mn이 ≤5.5 또는 <5.5, 또는 ≤5.0 또는 <5.0, 또는 ≤4.5, 또는 <4.5, 또는 ≤4.0, 또는 <4.0, 또는 ≤3.5, 또는 <3.5, 또는 ≤3.0, 또는 <3.0, 또는 ≤2.5, 또는 <2.5인 것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 Mw/Mn이 1.7 내지 5.5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분자량 분포 Mw/Mn이 1.8 내지 5.0, 또는 1.8 내지 4.5, 또는 1.8 내지 4.0, 또는 1.8 내지 3.5, 또는 1.8 내지 3.0, 또는 1.8 내지 2.5, 또는 1.9 내지 5.0, 또는 1.9 내지 4.5, 또는 1.9 내지 4.0, 또는 1.9 내지 3.5, 또는 1.9 내지 3.0, 또는 1.9 내지 2.5, 또는 1.8 내지 2.3, 또는 1.9 내지 2.3인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밀도가 0.943 내지 0.987 g/㎤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밀도가 0.945 내지 0.985 g/㎤, 또는 0.947 내지 0.985 g/㎤, 또는 0.950 내지 0.985 g/㎤, 또는 0.953 내지 0.985 g/㎤, 또는 0.955 내지 0.985 g/㎤, 또는 0.945 내지 0.980 g/㎤, 또는 0.947 내지 0.980 g/㎤, 또는 0.950 내지 0.980 g/㎤, 또는 0.951 내지 0.980 g/㎤, 또는 0.953 내지 0.980 g/㎤, 또는 0.955 내지 0.980 g/㎤, 또는 0.945 내지 0.975 g/㎤, 또는 0.947 내지 0.975 g/㎤, 또는 0.950 내지 0.975 g/㎤, 또는 0.951 내지 0.975 g/㎤, 또는 0.953 내지 0.975 g/㎤, 또는 0.955 내지 0.975 g/㎤, 또는 0.945 내지 0.970 g/㎤, 또는 0.947 내지 0.970 g/㎤, 또는 0.950 내지 0.970 g/㎤, 또는 0.951 내지 0.970 g/㎤, 또는 0.953 내지 0.970 g/㎤, 또는 0.955 내지 0.970 g/㎤, 또는 0.945 내지 0.965 g/㎤, 또는 0.947 내지 0.965 g/㎤, 또는 0.950 내지 0.965 g/㎤, 또는 0.951 내지 0.965 g/㎤, 또는 0.953 내지 0.965 g/㎤, 또는 0.955 내지 0.965 g/㎤이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0.949 g/㎤, 또는 >0.949 g/㎤, 또는 ≥0.950 g/㎤, 또는 >0.950 g/㎤, 또는 ≥0.953 g/㎤, 또는 >0.953 g/㎤, 또는 ≥0.955 g/㎤, 또는 >0.955 g/㎤, 또는 ≥0.960 g/㎤, 또는 >0.960 g/㎤의 밀도를 갖는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적어도 1.0 g/10min(≥1.0 g/10min), 또는 적어도 3.0 g/10min(≥3.0 g/10min), 또는 적어도 5.0 g/10min(≥5.0g/10min), 또는 적어도 7.5 g/10min(≥7.5g/10min) 또는 적어도 10 g/10min(≥10.0g/10min), 또는 3.0 g/10min 초과(>3.0 g/10min), 또는 5.0 g/10min 초과(>5.0 g/10min), 또는 7.5 g/10min 초과(>7.5 g/10min), 또는 10.0 g/10min 초과(>10.0 g/10min)의 용융 지수 I2를 갖는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1.0 내지 250 g/10min의 용융 지수 I2를 갖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지수 I2는 1.0 내지 200 g/10min, 또는 1.0 내지 150 g/10min, 또는 1 내지 100 g/10min, 또는 1 내지 50 g/10min, 또는 10.0 내지 200 g/10min, 또는 10.0 내지 150 g/10min, 또는 10.0 내지 100 g/10min, 또는 10.0 내지 50 g/10min, 또는 7.5 내지 200 g/10min, 또는 7.5 내지 150 g/10min, 또는 7.5 내지 100 g/10min, 또는 7.5 내지 50 g/10min, 또는 5.0 내지 200 g/10min, 또는 5.0 내지 150 g/10min, 또는 5.0 내지 100 g/10min, 또는 5.0 내지 75 g/10min, 또는 5.0 내지 50 g/10min, 또는 5.0 내지 40 g/10min, 또는 3.0 내지 100 g/10min, 또는 3.0 내지 75 g/10min, 또는 3.0 내지 50 g/10min, 또는 3.0 내지 40 g/10min, 또는 5.0 내지 40 g/10min일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적어도 150 g/10min(≥150 g/10min), 또는 적어도 175 g/10min(≥175 g/10min), 또는 적어도 200 g/10min(≥200 g/10min), 200 g/10min 초과(>200 g/10min), 적어도 225 g/10min(≥225 g/10min 이상), 225g/10min 초과(>225 g/10min), 또는 적어도 250 g/10min(≥250 g/10min) 또는 250 g/10min 초과(>250 g/10min)의 고하중 용융 지수 I21을 갖는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175 내지 1200 g/10min의 고하중 용융 지수 I21을 갖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고하중 용융 지수 I21은 175 내지 1000 g/10min, 또는 175 내지 750 g/10min, 200 내지 1000 g/10min, 또는 200 내지 750 g/10min, 또는 225 내지 1000 g/10min, 또는 225 내지 750 g/10min, 또는 250 내지 1000 g/10min, 또는 250 내지 750 g/10min일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용융 유동 비율, I21/I2가 ≤50, 또는 <50, 또는 ≤45, 또는 <40, 또는 ≤35, 또는 <35, 또는 ≤30, 또는 <30, 또는 ≤25, 또는 <25인 것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12 내지 50의 용융 유동 비율 I21/I2를 가지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용융 유동 비율, I21/I2가 14 내지 45, 또는 14 내지 42, 또는 16 내지 40, 또는 16 내지 38, 또는 16 내지 36, 또는 16 내지 34, 또는 16 내지 32, 또는 14 내지 30, 또는 14 내지 28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Log10 [I6/I2]/Log10[6.48/2.16]으로서 정의되는 응력 지수가 1.40 이하인 것이다. 본원의 추가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응력 지수 Log10[I6/I2]/Log10[6.48/2.16]이 1.38 미만, 또는 1.36 미만, 또는 1.34 미만, 또는 1.32 미만, 또는 1.30 미만, 또는 1.28 미만인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약 105s-1(240℃)에서의 전단 점도가 약 10 Pa·s 미만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약 105s-1(240℃)에서의 전단 점도가 약 3 내지 약 12 Pa·s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함되는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약 105s-1(240℃)에서의 전단 점도가 약 5 내지 약 12 Pa·s, 또는 약 6 내지 약 12 Pa·s, 또는 약 6 내지 약 10 Pa·s인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240℃에서의 전단 점도 비율(shear viscosity ratio) SVR(100,100000)은 약 5 내지 약 7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240℃에서의 전단 점도 비율 SVR(100,100000)은 약 10 내지 약 60, 또는 약 15 내지 약 50, 또는 약 10 내지 약 50, 또는 약 10 내지 약 55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헥산 추출성물질 값(hexane extractable value)이 ≤5.5 중량%, 또는 4.5 중량% 미만, 또는 3.5 중량% 미만, 또는 2.5 중량% 미만, 또는 2.0 중량% 미만, 또는 1.5 중량% 미만, 또는 1.0 중량% 미만, 또는 0.5 중량% 미만인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 물품[또는 플라크(plaque)]은 ASTM D1693(조건 B 하에 50℃ 및 100% IGEPAL에서)에 따라 측정 시, 100%에서 환경응력균열내성(environment stress crack resistance) ESCR Condition B가 50 시간 미만, 또는 40 시간 미만, 또는 30 시간 미만, 또는 20 시간 미만, 또는 15 시간 미만인 것이다.
본원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다중 반응기 시스템에서 중합에 의한 동일계내(in-situ) 블렌딩 및 물리적 블렌딩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블렌딩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개의 예비성형된(preformed) 중합체를 용융 혼합함으로써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와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혼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적어도 2회의 연속 중합 단계에서 제조되는 공정이 바람직하지만, 본원에서는 직렬 또는 병렬의 이중(dual) 반응기 공정이 모두 고려된다. 기체 상(phase), 슬러리 상 또는 용액 상 반응기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용액 상 반응기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혼합 촉매 단일 반응기 시스템 또한 본원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이중 반응기 용액 중합 공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6,372,864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60247373A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되며, 이 문헌들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사용된 촉매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로펜타디에닐 리간드를 갖는 4족 금속을 기반으로 하는 소위 단일 부위 촉매일 것이다. 메탈로센, 제약된(constrained) 기하구조 촉매 및 포스핀이민 촉매를 포함하는 상기 촉매의 예는 전형적으로 메틸알루미녹산, 보란 또는 이온성 보레이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활성화제와 조합하여 사용되며, 이는 미국 특허 제3,645,992호; 제5,324,800호; 제5,064,802호; 제5,055,438호; 제6,689,847호; 제6,114,481호 및 제6,063,879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단일 부위 촉매는 본 기술분야에도 잘 알려진 전통적인 지글러-나타(Ziegler-Natta) 또는 필립스(Phillips) 촉매와 구별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일 부위 촉매는 분자량 분포(Mw/Mn)가 약 3.0 미만, 또는 일부 경우에는 약 2.5 미만인 에틸렌 단독중합체를 생성한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분자량 분포(Mw/Mn)가 약 3.0 미만, 또는 약 2.7 미만 또는 약 2.5 미만인 에틸렌 단독중합체를 제공하는 단일 부위 촉매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를 각각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는 포스핀이민 리간드를 갖는 것을 추가 특징으로 하는 3족, 4족 또는 5족 금속의 유기금속 착물(complex)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착물은 올레핀 중합에 대해 활성인 경우, 일반적으로 포스핀이민(중합) 촉매로 알려져 있다. 포스핀이민 촉매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6,342,463호; 제6,235,672호; 제6,372,864호; 제6,984,695호; 제6,063,879호; 제6,777,509호 및 제6,277,931호에서 찾아볼 수 있고,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메탈로센 촉매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4,808,561호; 제4,701,432호; 제4,937,301호; 제5,324,800호; 제5,633,394호; 제4,935,397호; 제6,002,033호 및 제6,489,413호에서 찾아볼 수 있고, 이 문헌들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제약된 기하구조 촉매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5,057,475호; 제5,096,867호; 제5,064,802호; 제5,132,380호; 제5,703,187호 및 제6,034,021호에서 찾아볼 수 있고, 이들 모두는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장쇄 분지화(long chain branching, LCB)를 생성하지 않는 단일 부위 촉매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NMR에 의해 검출되는 헥실(C6) 분지는 본원의 장쇄 분지의 정의에서 제외된다.
임의의 단일 이론에 의해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장쇄 분지화는 낮은 전단 속도에서 점도를 증가시켜, 압축 성형 공정 동안과 같은, 캡 및 마개 제조 동안 사이클 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쇄 분지화는 13C NMR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고, Randall in Rev. Macromol. Chem. Phys. C29(2 and 3), p.285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1000개의 탄소 원자 당 0.3개 미만의 장쇄 분지를 함유할 것이다.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1000개의 탄소 원자 당 0.01개 미만의 장쇄 분지를 함유할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상기와 같이 정의된 것)은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에서 용액 상 중합 조건 하에 중합 촉매와 중합성 단량체로서 에틸렌만을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된다(용액 상 중합 조건의 일 예에 대해, 예컨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6,372,864호; 제6,984,695호; 및 미국 출원 공개 번호 제2006/0247373A1호를 참조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에서 용액 중합 조건 하에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부위 중합 촉매 시스템(적어도 하나의 단일 부위 촉매 및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제를 포함함)을 중합성 단량체로서 에틸렌과만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단일 부위 촉매 및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4족 단일 부위 촉매 시스템은 에틸렌의 중합에 의해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용액상 이중 반응기 시스템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포스핀이민 촉매 및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4족 포스핀이민 촉매 시스템은 용액상 이중 반응기 시스템에서 에틸렌의 중합에 의해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용액상 이중 반응기 시스템은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용액상 반응기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중합 공정은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부위 중합 촉매 시스템(적어도 하나의 단일 부위 촉매와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제를 포함함)을 에틸렌과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에서 용액 중합 조건 하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중합 공정은 직렬로 형성된 제1 반응기 및 제2 반응기에서 용액 중합 조건 하에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부위 중합 촉매 시스템을 에틸렌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제조는 전형적으로 압출 또는 배합(compounding) 단계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단계는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외에 추가 중합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 성분은 동일계에서 제조된 중합체, 또는 압출 또는 배합 단계 동안 상기 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는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첨가제는 압출 또는 배합 단계 동안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적합한 공지된 방법들을 명백히 알수 있을 것이다. 첨가제는 있는 그대로 첨가되거나, 또는 별도의 중합체 성분(즉, 본원에 기재된 제1 또는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아닌 것)의 일부로서 첨가되거나, 또는 마스터배취(masterbatch)의 일부로서 첨가될 수 있다(선택적으로 압출 또는 배합 단계 동안). 적합한 첨가제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니트론(nitrone), 제산제(antacid), UV 광안정제, UV 흡수제, 금속 불활성화제, 염료, 충진제 및 강화제, 나노-스케일 유기 또는 무기 물질, 정전기방지제, 칼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에루카미드 또는 베헨아미드와 같은 슬립(slip) 첨가제, 및 핵형성제(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 핵형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핵화제(nucleator), 안료 또는 기타 화학물질을 포함함)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상기 첨가제는 전형적으로 20 중량%(wt%)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하나 이상의 핵형성제(들)는 일반적으로 분말 또는 펠릿 형태인 중합체의 혼합물을,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안정제, 안료, 대전방지제, UV 안정제 및 충진제( filler)와 같은 추가 첨가제를 함유하는 농축물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핵형성제와 반죽(kneading)함으로써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 도입될 수 있다. 이것은 중합체에 의해 웨팅(wetting)되거나 흡수되고 상기 중합체에 불용성이며 상기 중합체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의 물질일 수 있고, 가능한 한 미세 형태(1 내지 10pm)로서 상기 중합체 용융물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어야 한다. 폴리올레핀에 대해 핵형성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은 지방족 일염기성(monobasic) 또는 이염기성(dibasic) 산 또는 아릴알킬 산의 염, 예컨대, 숙신산나트륨, 알루미늄 페닐아세테이트; 및 방향족 또는 지환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루미늄 염, 예컨대 β-나프토산나트륨, 또는 벤조산나트륨을 포함한다.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핵형성제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디벤질리덴 소르비탈 에스테르(예컨대, Milliken Chemical에서 상표명 MILLAD® 3988 하에 판매되는 제품 및 Ciba Specialty Chemicals에서 IRGACLEAR® 하에 판매되는 제품)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핵형성제의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5,981,636호에 개시된 환형 유기 구조(및 이의 염, 예를 들어, 디소듐 비사이클로[2.2.1] 헵텐 디카복실레이트, disodium bicyclo [2.2.1] heptene dicarboxylate); 미국 특허 제5,981,636호에 개시된 구조의 포화 형태(미국 특허 제6,465,551호에 개시된 것; Zhao 등, Milliken에 양도됨); 미국 특허 제6,599,971호(Dotson 등, Milliken에 양도됨)에 개시된 헥사하이드로프탈산(hexahydrophthalic acid) 구조[또는 "HHPA" 구조]를 갖는 특정 사이클릭 디카복실산의 염; 및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미국 특허 제5,342,868호에 개시된 것 및 Asahi Denka Kogyo에 의해 상표명 NA-11 및 NA-21로 판매되는 것, 및 환형 디카복실레이트 및 이의 염, 예컨대, 미국 특허 제6,599,971호에 개시된 HHPA 구조의 2가 금속 또는 준금속 염(특히, 칼슘 염) 등을 포함한다. 명확성을 위해, 상기 HHPA 구조는 일반적으로 고리에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고리 구조 및 이 고리 구조의 인접 원자에 치환체인 2개의 카복실산 기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에 있는 다른 4개의 탄소 원자는 미국 특허 제6,599,9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다. 일 예는 1,2-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 칼슘 염(CAS 등록 번호 491589-22-1)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핵형성제의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는 WO2015042561, WO2015042563, WO2015042562 및 WO2011050042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핵형성제 중 다수는 핵형성되는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과 혼합되기에 어려울 수 있으며,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아연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분산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핵형성제는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 잘 분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핵형성제의 양은 비교적 소량인, 중량 기준(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백만부당 100 내지 4000부이며,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핵형성제가 잘 분산되도록 주의를 약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핵형성제는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 미분된 형태(50 마이크론 미만, 특히 10 마이크론 미만)로 첨가된다. 이러한 유형의 "물리적 블렌드"(즉, 고체 형태의 수지와 핵형성제의 혼합물)는 일부 구현예에서는 핵화제의 "마스터배취"를 사용하는 것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여기서, 용어 "마스터배취(masterbatch)"는 먼저 첨가제, 이 경우에 핵화제를 소량의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과 1차 용융 혼합하고, 그 다음 이 "마스터배취"를 나머지 부피의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과 용융 혼합하는 관행을 의미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핵형성제와 같은 첨가제는 "마스터배취"에 의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고, 여기서 용어 "마스터배취"는 먼저 첨가제(예를 들어, 핵화제)를 소량의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과 1차 용융 혼합하고, 그 다음 이 "마스터배취"를 나머지 부피의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과 용융 혼합하는 관행을 의미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핵형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20 내지 4000 ppm[즉, 상기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중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백만부 당 부(part per million)]의 핵형성제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디카복실산 화합물의 염인 핵형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디카복실산 화합물은 본원에서 2개의 카복실(-COOH) 작용기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로서 정의된다. 그래서, 디카복실산 화합물의 염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양이온성 상대 양이온, 바람직하게는 금속 양이온, 및 2개의 음이온성 카복실레이트(-COO-) 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성형 물품의 형성에 사용된다. 이러한 물품은 압축 성형, 연속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blow)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은, 예를 들어, 병, 용기, 파우치, 알약 병(pill bottle), 부속품(fitment), 약제병 등을 위한 힌지형(hinged version) 및 테더형(tethered version)을 포함하는 캡, 스크류 캡, 및 마개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병, 파우치 등에 대한 부속품의 형성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유연성 포장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필름, 예를 들어, 블로운(blown) 필름, 캐스트(cast) 필름 및 적층 또는 압출 필름 또는 압출 코팅, 뿐만 아니라 스트레치(stretch) 필름의 형성에 사용된다. 중합체로부터 상기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압출 코팅 필름 층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다층 층 필름 또는 필름 구조의 일부인 하나 이상의 필름 층의 형성에 사용된다. 이러한 다층 필름 또는 필름 구조를 제조하는 공정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병, 용기 등을 충진하기 위한 임의의 고온 충진 공정(또는 무균 충진 공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디자인 및 치수(dimension)를 갖는 임의의 마개의 형성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병, 용기, 파우치 등을 위한 마개 형성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연속 압축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병 마개가 고려된다. 이러한 마개는, 예를 들어, 병, 용기, 파우치 등을 위한 캡, 힌지형 캡, 스크류 캡, 힌지형 스크류 캡, 스냅-탑(snap-top) 캡, 힌지형 스냅-탑 캡, 및 선택적으로 힌지형 마개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파우치, 용기 등을 위한 부속품의 형성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성형 물품의 형성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연속 압축 성형 및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물품이 고려된다. 이러한 물품은, 예를 들어, 병을 위한 캡, 스크류 캡 및 마개를 포함한다.
마개
용어 "캡" 및 "마개"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둘 다 용기, 병, 통, 파우치 등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적절한 형상의 개구(opening), 적절히 성형된 구멍(aperture), 개방 목형(open necked) 구조 등을 둘러싸거나, 밀봉하거나, 밀폐하거나 또는 덮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형상의 성형 물품을 함축한다.
마개는 원 피스(one piece)형 마개 또는 1개 초과의 피스를 포함하는 마개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마개의 형성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원 피스형 마개의 형성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부정개봉 방지 밴드(tamper evident band, TEB)를 갖는 마개의 형성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병, 용기, 파우치 등을 위한 마개의 형성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압축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병 마개가 고려된다. 이러한 마개는, 예를 들어, 병, 용기, 파우치 등을 위한 힌지형 캡, 힌지형 스크류 캡, 힌지형 스냅-탑 캡, 및 힌지형 마개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캡 부분, 테더(tether) 부분 및 보호지지(retaining) 수단 부분을 포함하는 병 마개 조립체의 형성에 사용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또는 캡)는 병, 용기, 파우치 등을 위한 스크류 캡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또는 캡)는 병, 용기, 파우치 등을 위한 스냅 마개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또는 캡)는 이 마개(또는 캡)의 레스트(rest)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 힌지를 포함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또는 캡)는 힌지형 마개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또는 캡)는 병, 용기, 파우치 등을 위한 힌지형 마개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또는 캡)는 레토르트(retort), 고온 충진, 무균 충진 및 저온 충진 응용예들을 위한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또는 캡)는 플라스틱 케첩 병 또는 식료품을 담는 유사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플립-탑 힌지 마개와 같은 플립-탑 힌지 마개이다.
마개가 힌지형 마개인 경우, 이것은 힌지형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바디(body)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바디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바디를 처음 성형된 위치로부터 구부러지게 하는 소위 "리빙 힌지(living hinge)"로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 얇은 구역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더 얇은 섹션 또는 섹션들은 연속적이거나 망형(web-like)으로서, 넓거나 좁을 수 있다.
유용한 마개(병, 용기 등을 위한)는 힌지형 마개이며 적어도 하나의 더 얇은 굽힘성 부분에 의해 서로 결합된 2개의 바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2개의 바디는 단일 가교 부분, 하나 초과의 가교 부분, 또는 망형 부분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디는 분배 구멍(hole)을 포함할 수 있고, 용기 개구(예를 들어, 병 개구)를 덮기 위해 용기 상에 스냅밀봉 또는 스크류밀봉될 수 있는 반면,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와 결착될 수 있는 뚜껑(lid) 상의 스냅(snap)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힌지형 캡 및 마개, 및 스크류 캡이 부분세트(subset)인 캡 및 마개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사출 성형 및 압축 성형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을 포함하는 마개(또는 캡)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성형 단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캡 및 마개(원 피스형 또는 다중 피스의 변형체 및 힌지형 변형체를 포함함)는 양호한 차단성, 뿐만 아니라 양호한 가공성을 갖는 전술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구현예의 마개 및 캡은 적절한 압력 하에 있는 액체(즉, 탄산음료 또는 적절히 가압된 음용 액체)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여 (예를 들어, 산소와 접촉으로 인해) 상할 수 있는 액체 또는 식품을 함유할 수 있는 병과 같은, 병, 용기 등을 밀봉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상기 마개 및 캡은 식수 또는 비탄산 음료(예를 들어, 주스)를 함유한 병을 밀봉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응용예는 식품을 함유한 병, 용기 및 파우치, 예컨대, 예를 들어, 케첩 병 등을 위한 캡 및 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 및 캡은 원 피스형 마개, 또는 마개와 라이너를 포함하는 2-피스형 마개일 수 있다.
상기 마개 및 캡은 또한 다층 디자인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마개 또는 캡은 적어도 2개의 층을 포함하고, 이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본원에 기재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된 것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마개는 연속 압축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마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마개는, 고온 충진 공정 및 몇몇 경우에는 무균 충진 공정과 같이, 승온에서 액체와 마개가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밀봉 공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마개일 수 있다. 이러한 마개 및 공정은, 예를 들어, 캐나다 특허 출원 번호 제2,914,353호; 제2,914,354호; 및 제 2,914,315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제조된 마개는 약 2.15 그램의 중량 및 다음과 같은 치수를 갖는 PCO 1881 CSD 마개이다: 마개 높이[탬퍼 링(Tamper Ring)을 포함하지 않음] = 약 10.7mm; 탬퍼 링이 있는 마개 높이 = 약 15.4mm; 4mm에서 외경 = 약 29.6mm; 나사산(thread) 직경 = 약 25.5mm; 범프 씰 직경 = 약 24.5mm; 범프 씰 두께 = 약 0.7mm; 올리브 중심까지의 범프 씰 높이(Bump seal height to center of olive) = 약 1.5mm; 보어 씰(Bore seal) 직경 = 약 22.5mm; 보어 씰 두께 = 약 0.9mm; 올리브 중심까지의 보어 높이 = 약 1.6mm; 상단 패널 두께 = 약 1.2mm; 탬퍼 밴드 언더컷 직경 = 약 26.3 mm; 나사산 깊이 = 약 1.1mm; 나사산 피치 = 약 2.5mm; 4mm에서 나사산 골(thread root) = 27.4mm.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는 약 2.15 그램의 중량 및 다음과 같은 치수를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마개 높이(탬퍼 링을 포함하지 않음) = 약 10.7mm; 탬퍼 링이 있는 마개 높이 = 약 15.4mm; 4mm에서 외경 = 약 29.6mm; 나사 직경 = 약 25.5mm; 범프 씰 직경 = 약 24.5mm; 범프 씰 두께 = 약 0.7mm; 올리브 중심까지의 범프 씰 높이 = 약 1.5mm; 보어 씰 직경 = 약 22.5mm; 보어 씰 두께 = 약 0.9mm; 올리브 중심까지의 보어 높이 = 약 1.6mm; 상단 패널 두께 = 약 1.2mm; 탬퍼 밴드 언더컷 직경 = 약 26.3mm; 나사산 깊이 = 약 1.1mm; 나사산 피치 = 약 2.5mm; 4mm에서 나사산 골 = 27.4mm.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는 약 2.15 그램의 중량 및 다음과 같은 치수를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연속 압축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마개 높이(탬퍼 링을 포함하지 않음) = 약 10.7mm ; 탬퍼 링이 있는 마개 높이 = 약 15.4mm; 4mm에서 외경 = 약 29.6mm; 나사산 직경 = 약 25.5mm; 범프 씰 직경 = 약 24.5mm; 범프 씰 두께 = 약 0.7mm; 올리브 중심까지의 범프 씰 높이 = 약 1.5mm; 보어 씰 직경 = 약 22.5mm; 보어 씰 두께 = 약 0.9mm; 올리브 중심까지의 보어 높이 = 약 1.6mm; 상단 패널 두께 = 약 1.2mm; 탬퍼 밴드 언더컷 직경 = 약 26.3mm; 나사산 깊이 = 약 1.1mm; 나사산 피치 = 약 2.5mm; 4mm에서 나사산 골 = 27.4mm.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마개는 ≤0.0035 ㎤/마개/일(day), 또는 ≤0.0032 ㎤/마개/일, 또는 ≤0.0030 ㎤/마개/일, 또는 ≤0.0028㎤/마개/일, ≤0.0026 ㎤/마개/일 또는 ≤0.0024 ㎤/마개/일의 산소 투과율 OTR을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는 ≤0.0035 ㎤/마개/일, 또는 ≤0.0032 ㎤/마개/일, 또는 ≤0.0030 ㎤/마개/일 또는 ≤0.0028 ㎤/마개/일, ≤0.0026 ㎤/마개/일 또는 ≤0.0024 ㎤/마개/일의 산소 투과율 OTR을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연속 압축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는 ≤0.0035 ㎤/마개/일, 또는 ≤0.0032 ㎤/마개/일, 또는 ≤0.0030 ㎤/마개/일 또는 ≤0.0028 ㎤/마개/일, ≤0.0026 ㎤/마개/일 또는 ≤0.0024 ㎤/마개/일의 산소 투과율 OTR을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마개는 0.0010 내지 0.0035 ㎤/마개/일의 산소 투과율 OTR로서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의해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하는 산소 투과율 OTR을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마개는 0.0011 내지 0.0032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35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32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30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28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26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25 ㎤/마개/일의 산소 투과율 OTR을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는 0.0010 내지 0.0035 ㎤/마개/일의 산소 투과율 OTR로서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의해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하는 산소 투과율 OTR을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연속 압축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마개는 0.0011 내지 0.0032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35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32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30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28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26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25 ㎤/마개/일의 산소 투과율 OTR을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연속 압축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마개는 0.0010 내지 0.0035 ㎤/마개/일의 산소 투과율 OTR로서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의해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하는 산소 투과율 OTR을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본원의 구현예들에서, 마개는 0.0011 내지 0.0032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35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32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30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28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26 ㎤/마개/일, 또는 0.0012 내지 0.0025 ㎤/마개/일의 산소 투과율 OTR을 갖는 PCO 1881 CSD 마개를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캐스트(및 적층) 필름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캐스트 필름 또는 적층 필름의 형성에 사용된다.
캐스트 필름은 편평한 다이(die)로부터, 선택적으로, 진공 박스(vacuum box) 및/또는 에어-나이프(air-knife)를 구비한, 냉각 롤 또는 닙형(nipped) 롤 상으로 압출된다. 상기 필름은 단일 다이 또는 다중 다이를 통해 다양한 압출에 의해 수득된 단층 또는 공압출된 다층 필름일 수 있다. 생성된 필름은 그대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필름 또는 기재에, 예를 들어, 기재 상에 열적, 접착 적층 또는 직접 압출에 의해 적층시킬 수 있다. 생성된 필름 및 적층체는 엠보싱, 스트레칭, 열성형과 같은 다른 성형 작업으로 처리될 수 있다. 코로나와 같은 표면 처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캐스트 필름 압출 공정에서 박막 필름은 슬릿(slit)을 통해 냉각되고 고 연마된 터닝 롤(turning roll) 상으로 압출되고, 여기서 일 면으로부터 퀀칭된다. 롤러의 속도는 인발 비율(draw ratio) 및 최종 필름 두께를 제어한다. 그 다음, 상기 필름은 다른 면을 냉각하기 위해 제2 롤러로 이송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필름은 롤러 시스템을 통과하여 롤 상에 권선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박막 필름이 2개 이상의 슬릿을 통해 냉각되고 고 연마된 터닝 롤 상으로 공압출되고, 이 공압출된 필름은 일 면으로부터 퀀칭(quenching)된다. 상기 롤러의 속도는 인발 비율 및 최종 공압출된 필름 두께를 제어한다. 상기 공압출된 필름은 그 다음 다른 면을 냉각하기 위해 제2 롤러로 이송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필름은 롤러 시스템을 통과하여 롤 상에 권선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스트 필름 생성물은 다층 구조 내 하나 이상의 층으로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캐스트 필름 및 적층체는 다양한 목적, 예를 들어, 식품 포장용(건조 식품, 신선 식품, 냉동 식품, 액체, 가공 식품, 분말, 과립), 세제, 치약, 수건의 포장용, 라벨 및 이형 라이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또한 일체화 및 산업용 포장, 특히 스트레치 필름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또한 위생 및 의료 응용예, 예를 들어, 기저귀, 성인용 요실금 제품, 여성용 위생 제품, 장루 백(ostomy bags) 에 사용되는 통기성 및 비통기성 필름에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캐스트 필름은 또한 테이프 및 인조 잔디 응용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120 ㎤/100in2/일, 또는 ≤110 ㎤/100in2/일, 또는 ≤90㎤/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압축 성형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120 ㎤/100in2/일, 또는 ≤110 ㎤/100in2/일 또는 ≤90 ㎤/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캐스트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120 ㎤/100in2/일, 또는 ≤110 ㎤/100in2/일, 또는 ≤90㎤/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적층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120 ㎤/100in2/일, 또는 ≤110㎤/100in2/일, 또는 ≤90 ㎤/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50 내지 120 ㎤/100in2/일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50 내지 110 ㎤/100in2/일, 또는 50 내지 100 ㎤/100in2/일, 또는 50 내지 95 ㎤/100in2/일 또는 50 내지 90 ㎤/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압축 성형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50 내지 120 ㎤/100in2/일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압축 성형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50 내지 110 ㎤/100in2/일, 또는 50 내지 100 ㎤/100in2/일, 또는 50 내지 95 ㎤/100in2/일 또는 50 내지 90 ㎤/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캐스트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50 내지 120 ㎤/100in2/일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캐스트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50 내지 110 ㎤/100in2/일, 또는 50 내지 100 ㎤/100in2/일, 또는 50 내지 95 ㎤/100in2/일 또는 50 내지 90 ㎤/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적층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50 내지 120 ㎤/100in2/일이며,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적층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산소 투과율 OTR이 50 내지 110 ㎤/100in2/일, 또는 50 내지 100 ㎤/100in2/일, 또는 50 내지 95 ㎤/100in2/일 또는 50 내지 90 ㎤/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이 ≤0.300 g/100in2/일, 또는 ≤0.280 g/100in2/일, 또는 ≤0.260 g/100in2/일이고, 또는 ≤0.240 g/100in2/일 또는 ≤0.220 g/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압축 성형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이 ≤0.300 g/100in2/일, 또는 ≤0.280 g/100in2/일, 또는 ≤0.260 g/100in2/일이고, 또는 ≤0.240 g/100in2/일 또는 ≤0.220 g/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캐스트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이 ≤0.300 g/100in2/일, 또는 ≤0.280 g/100in2/일, 또는 ≤0.260 g/100in2/일이고, 또는 ≤0.240 g/100in2/일 또는 ≤0.220 g/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적층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이 ≤0.300 g/100in2/일, 또는 ≤0.280 g/100in2/일, 또는 ≤0.260 g/100in2/일이고, 또는 ≤0.240 g/100in2/일 또는 ≤0.220 g/100in2/일이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이 0.100 내지 0.300 ㎤/100in2/일이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필름 또는 필름 층은 0.10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25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25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25 ㎤/100in2/일의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을 갖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압축 성형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이 0.100 내지 0.300 ㎤/100in2/일이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압축 성형 필름 또는 필름 층은 0.10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25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25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25 ㎤/100in2/일의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을 갖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캐스트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이 0.100 내지 0.300 ㎤/100in2/일이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캐스트 필름 또는 필름 층은 0.10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25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25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25 ㎤/100in2/일의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을 갖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적층 필름 또는 필름 층은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이 0.100 내지 0.300 ㎤/100in2/일이고, 이 범위 내의 임의의 더 좁은 범위들 및 이 범위들에 포괄된 임의의 값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구현예에서, 적층 필름 또는 필름 층은 0.10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00 내지 0.225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10 내지 0.225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8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6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5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4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30 ㎤/100in2/일, 또는 0.120 내지 0.225 ㎤/100in2/일의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 WVTR을 갖는다.
본원의 추가 비제한적인 세부 사항은 이하 실시예에 제공된다. 실시예는 본원의 선택된 구현예를 예시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서, 제시된 실시예가 제시된 청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전반적인 중합체 특성분석 방법
시험 전에, 각 시편은 23±2℃ 및 50±10% 상대습도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컨디셔닝되었으며, 23±2℃ 및 50±10% 상대습도에서 후속 시험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용어 "ASTM 조건"은 23±2℃ 및 50±10% 상대습도에서 유지되는 실험실을 의미하고; 시험할 시편은 시험 전에 이 실험실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컨디셔닝되었다. ASTM은 미국 재료 시험 협회(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를 의미한다.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밀도(g/㎤)는 ASTM D792-13(2013년 11월 1일)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용융 지수는 ASTM D1238(2013년 8월 1일)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용융 지수 I2, I6, I10 및 I21은 각각 2.16kg, 6.48kg, 10kg 및 21.6kg의 중량을 사용하여 190℃에서 측정하였다. 여기서, 용어 "응력 지수" 또는 이의 두문자어 "S.Ex"는 다음 관계식에 의해 정의된다: S.Ex. = log(I6/I2)/log(6480/2160); 여기서 I6 및 I2는 각각 6.48kg 및 2.16kg 하중을 사용하여 190℃에서 측정된 용융 유속이다.
Mn, Mw 및 Mz(g/mol)는 범용 보정(예컨대, ASTM-D6474-99)을 사용하여 시차 굴절률(DRI) 검출을 이용하여 고온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하였다. GPC 데이터는 140℃에서 이동상으로서 1,2,4-트리클로로벤젠을 사용하여 상표명 "Waters 150c"로 판매되는 기기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이 용매에 중합체를 용해시켜 샘플을 제조하였고 여과없이 시험되었다.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Mn")에 대해 2.9% 및 중량평균 분자량("Mw")에 대해 5.0%의 상대적 표준편차를 갖는 폴리에틸렌 당량으로서 표현된다. 분자량 분포(MW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는 중량평균 분자량을 수평균 분자량으로 나눈 값 MW/Mn이다. z-평균 분자량 분포는 Mz/Mn이다. 상기 중합체를 1,2,4-트리클로로벤젠(TCB)에서 가열하고 오븐에서 150℃에서 4시간 동안 휠(wheel)에서 회전시켜 중합체 샘플 용액(1 내지 2 mg/mL)을 제조하였다. 산화 분해로부터 중합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 2,6-디-tert-부틸-4-메틸페놀(BHT)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했다. BHT 농도는 250 ppm이었다. 샘플 용액은 농도 검출기로서 시차 굴절률(DRI)을 이용하여 1.0 mL/분 유속의 이동상으로서 TCB를 사용하는 4개의 SHODEX® 컬럼(HT803, HT804, HT805 및 HT806)이 장착된 PL220 고온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서 140℃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산화적 분해로부터 상기 컬럼을 보호하기 위해 BHT를 250 ppm의 농도로 상기 이동상에 첨가하였다. 상기 샘플 주입 부피는 200 mL였다. 미처리(raw) 데이터를 CIRRUS® GPC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였다. 상기 컬럼을 좁은 분포의 폴리스티렌 표준물질로 보정하였다. 폴리스티렌 분자량은 ASTM 표준 시험 방법 D6474에 설명된 바와 같이, Mark-Houwink 방정식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분자량으로 변환되었다.
1차(primary) 용융 피크(℃), 용용 열(J/g) 및 결정도(%)는 다음과 같이 시차 주사 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기기는 먼저 인듐으로 보정했고; 보정 후 중합체 시편은 0℃에서 평형시킨 뒤, 온도를 10℃/min의 가열 속도로 200℃까지 증가시켰고; 그 용융물을 그 다음 200℃에서 5분 동안 등온으로 유지시켰고; 이어서 상기 용융물을 10 ℃/분의 냉각 속도로 0℃로 냉각시키고 0℃에서 5분 동안 유지시켰고; 그 다음, 상기 시편을 10℃/min의 가열 속도로 200℃까지 가열했다. DSC Tm, 용용 열 및 결정도는 2차 가열 사이클로부터 보고된다.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에서 불포화는 ASTM D3124-98에 따라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에 의해 결정하였다.
헥산 추출성물질은 ASTM D5227에 따라 결정하였다.
전단 점도는 Kayeness WinKARS Capillary Rheometer(모델 #D5052M-115)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낮은 전단 속도에서의 전단 점도를 위해, 다이 직경이 0.06 인치이고 L/D 비율이 20이고 입구 각도가 180°인 다이를 사용했다. 높은 전단 속도에서의 전단 점도를 위해, 다이 직경이 0.012 인치이고 L/D 비율이 20인 다이를 사용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로서, 전단 점도 비율(Shear Viscosity Ratio)은 240℃에서 η100100000으로서 정의된다. 가공성 지표(Processability indicator)는 100/η100000으로서 정의된다. η100은 전단 속도 100s-1에서의 용융 전단 점도이고 η100000은 240℃에서 측정된 전단 속도 100000s-1에서의 용융 전단 점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가공성 지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가공성 지표 = 100/η(105 s-1, 240℃); 여기서 η는 240℃에서 105 s-1으로 측정되는 전단 점도이다.
동적 기계적 분석은 25 mm 직경의 원추(cone) 및 평판 기하형상을 사용하여 190℃에서 질소 대기 하에 압축 성형 샘플에 대해 레오미터, 즉, Rheometrics Dynamic Spectrometer(RDS-II) 또는 Rheometrics SR5 또는 ATS Stresstech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진동 전단 실험은 0.05 내지 100 rad/s의 주파수에서 변형률(strain)의 선형 점탄성 범위(10% 변형률) 내에서 수행하였다. 저장 탄성률(G'), 손실 탄성률(G"), 복소 탄성률(complex modulus)(G*) 및 복소 점도(complex viscosity)(η*)의 값은 주파수의 함수로서 수득하였다. 이와 동일한 유변학적 데이터는 또한 질소 대기 하에 190℃에서 25 mm 직경의 평행판 기하형상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도 있다. 제로 전단 점도는 Ellis 모델, 즉, η(ω) = η0/(1+τ/τ1/2)α-1을 사용하여 추정하며, 여기서 η0은 제로(zero) 전단 점도이고, τ1/2은 η=η0/2에서의 전단 응력의 값이고, α는 조정가능한 파라미터 중 하나이다. Cox-Merz 규칙이 본원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SHI(1,100) 값은 WO 2006/048253 및 WO 2006/048254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계산한다.
DRI는 "다우 유변학 지수(dow rheology index)"이며, 방정식 DRI = [365000( T 00)-1]/10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T 0은 폴리에틸렌의 특징적인 이완 시간이고, η0은 이 물질의 제로 전단 점도이다. DRI는 미국 특허 제6,114,48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유변학적 곡선의 최소 제곱 적합(least squares fit)(동적 복소 점도 대 적용된 주파수, 예를 들어 0.01 내지 100 rads/s)에 의해 다음 일반화된 Cross 방정식, 즉, η(ω)=η0/[1+(ωτ0)n]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상기 식에서 n은 물질의 멱법칙 지수(power law index)이고, η(ω) 및 ω는 각각 측정된 복소 점도 및 적용된 주파수 데이터이다. DRI를 결정할 때, 사용된 제로 전단 점도 η0은 Cross 모델보다는 Ellis 모델을 가지고 추정했다.
교차 주파수(crossover frequency)는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 곡선이 서로 교차하는 주파수인 한편, G'@ G"= 500Pa는 손실 탄성률(G")이 500Pa일 때의 저장 탄성률이다.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플라크는 다음 ASTM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50℃, 100% IGEPAL에서 조건 B에서의 벤트 스트립Bent Strip) 환경 응력 균열 내성(ESCR), ASTM D1693; 노치드 Izod 충격 특성, ASTM D256; 굴곡 특성, ASTM D 790; 인장 특성, ASTM D 638; Vicat 연화점, ASTM D 1525; 열 변형 온도, ASTM D 648.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예는 제1 반응기의 내용물이 제2 반응기로 유입되는 이중 반응기 용액 중합 공정에서 제조하였다. 이러한 직렬 "이중 반응기" 공정은 "동일계내(in-situ)" 폴리에틸렌 블렌드(즉,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를 생성한다. 특히, 직렬 반응기 구성이 사용되는 경우, 제1 반응기에 존재하는 미반응 에틸렌 단량체는 추가 중합을 위해 하류의 제2 반응기로 유입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제1 반응기 또는 제2 반응기로 공급되는 공단량체는 없으며, 각 반응기에서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형성된다. 각 반응기는 성분들이 잘 혼합되는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하게 교반된다. 제1 반응기의 부피는 12 리터였고, 제2 반응기의 부피는 22 리터였다. 이것은 파일럿 플랜트 규모이다. 제1 반응기는 10500 내지 35000 kPa의 압력에서 작동되었고 제2 반응기는 상기 제1 반응기에서 상기 제2 반응기로 연속적인 유동을 촉진하기 위해 더 낮은 압력에서 작동시켰다. 사용된 용매는 메틸펜탄이었다. 이 공정은 연속 공급 스트림을 사용하여 작동된다. 이중 반응기 용액 공정 실험에 사용된 촉매는 포스핀이민 리간드[(tert- 부틸)3P=N], 사이클로펜타디에나이드 리간드(Cp) 및 2개의 활성화가능한 리간드(클로라이드 리간드; 주석: "활성화가능한 리간드"는, 예를 들어, 활성 금속 중심을 생성하도록 공촉매 또는 활성화제를 사용한 친전자 추출에 의해 제거된다)를 갖는 티타늄 착물인 포스핀이민 촉매이었다. 붕소 기반의 공촉매(Ph3CB(C6F5)4)는 티타늄 착물 대비 대략 화학량론적 양으로 사용되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메틸알루미녹산(MAO)은 약 40:1의 Al:Ti에서 스캐빈저로서 포함되었다. 또한, MAO 내의 유리(free) 트리메틸알루미늄을 스캐빈지하기 위해 2,6-디-tert-부틸하이드록시-4-에틸벤젠을 약 0.5:1의 Al:OH 비율로 첨가하였다. 본원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중합 조건은 표 1에 제공된다.
본 발명인 실시예 1 내지 4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이중 반응기 용액 공정에서 단일 부위 포스핀이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각각 , 4.0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 및 약 65,000 g/mol 미만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및 10 g/10min 초과의 용융 지수 I2를 갖는다.
실시예 1 내지 4(이하 참조)와 동일한 방식 및 동일한 양으로 HPN20E(Milliken Chemical에서 구입할 수 있음)에 의해 핵형성된, 비교용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실시예 5 및 6은 미국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08/0118749호 및 제2015/0203671호에 개략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포스핀이민 촉매를 사용하여 이중 반응기 용액 중합 공정에서 제조했으며, 상기 두 문헌은 그 전체가 본원에 포함된다.
실시예 5 및 6의 비교용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각각 10 g/10min 미만의 용융 지수 I2, 4.0 초과의 분자량 분포 Mw/Mn, 및 약 65,000 g/mol 초과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를 갖는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GPC 분석에서 단봉형 분자량 분포 또는 프로파일을 갖는 반면, 비교 실시예 5 및 6은 GPC 분석에서 이봉형 분자량 분포 또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비핵형성(non-nucleated) 및 핵형성된(nucleated) 본 발명 및 비교용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특성은 표 2에 제공된다. 이 표에 "*" 기호로 표시된 상기 핵형성된 본 발명의 수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했다. Milliken Chemical의 HYPERFORM® HPN-20E 핵형성제의 4%(중량 기준) 마스터배취를 먼저 제조했다. 이 마스터배취는 또한 Kisuma Chemicals의 DHT-4V(알루미늄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하이드록사이드) 1%(중량 기준)를 함유했다. 상기 기본 수지와 상기 핵형성제 마스터배취를 L/D가 32:1인 Coperion ZSK 26 공회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블렌딩하여 1200 ppm(parts per million)의 HYPERFORM HPN-20E 핵형성제가 존재하는(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수득했다. 압출기에 수중 펠릿화기 및 Gala 스핀 드라이어를 장착했다. 원하는 핵형성제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중량측정 공급기(feeder)를 사용하여 상기 재료를 압출기에 동시공급하였다. 이 블렌드는 200 rpm의 스크류 속도를 사용하여 15 내지 20 kg/시간의 생산량 속도 및 225 내지 230℃의 용융 온도에서 배합되었다.
본 발명 및 비교용 단독중합체 조성물 각각에 존재하는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에 대해 계산된 특성은 표 3에 제공된다 (이러한 특성을 계산하는 방법은 이하의 "중합 반응기 모델링" 참조).
비핵형성 및 핵형성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및 비교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압착 플라크의 특성은 표 4에 제공된다.
중합 반응기 모델링
공단량체 함량이 매우 낮은 다성분(또는 이봉형 수지)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경우, 예컨대, 미국 특허 제8,022,143호에서 수행된 바와 같은 GPC-FTIR 데이터의 수학적 디컨볼루션에 의한 각 중합체 성분의 단쇄 분지화(및 이후 다른 정보를 조합함에 의한 폴리에틸렌 수지 밀도)는 쉽게 추정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대신에, 본원에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Mw, Mn, Mz, Mw/Mn은, 단 상기 제1 및 제2 중합체 성분인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각각의 탄소 1000 개당 단쇄 분지화(SCB/1000C)를, 공급물에 공단량체가 없기 때문에 0으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미국 특허 제9,074,082호에 상세하게 기술된 중합 반응기 모델링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중합 반응기 모델 또는 시뮬레이션은 실제 파일럿 규모의 실행 조건에 사용된 입력 조건을 사용했다 [관련 반응기 모델링 방법에 대한 참고 문헌: A. Hamielec, J. MacGregor, and A. Penlidis in Comprehensive Polymer Science and Supplements, volume 3, Chapter 2, page 17, Elsevier, 1996 및 "Copolymerization of Olefins in a Series in Continuous Stirred-Tank Slurry-Reactors using Heterogeneous Ziegler-Natta and Metallocene Catalysts. I. General Dynamic Mathemacial Model" by J.B.P Soares and A.E Flamielec in Polymer Reaction Engineering, 4(2&3), p153, 1996].
모델에 각 반응기로 가는 여러 반응성 종(species) (예를 들어, 촉매, 에틸렌과 같은 단량체, 수소 및 용매)의 유량, 온도(각 반응기에서) 및 에틸렌의 전환율(각 반응기에서)을 입력하고, 직렬로 연결된 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CSTR)에 대해 말단 동역학 모델(terminal kinetic model)을 사용하여 중합체(각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 즉,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특성을 계산한다. 상기 "말단 동역학 모델"은 활성 촉매 부위가 위치한 중합체 사슬 내의 단량체(예를 들어, 에틸렌) 단위에 의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Copolymerization" by A. Hamielec, J. MacGregor 및 A. Penlidis in "Comprehensive Polymer Science and Supplements, volume 3, Chapter 2, page 17, Elsevier, 1996 참조). 상기 모델에서, 상기 단독중합체 사슬은, 활성 촉매 중심에 삽입되는 단량체 단위의 통계가 유효하고 전파(propagation) 이외의 경로에서 소비되는 단량체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가 되도록 적당히 큰 분자량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장쇄(long chain)" 근사법(approximation)으로 알려져 있다.
중합을 위한 말단 동역학 모델은 활성화, 개시, 전파, 사슬 전달 및 비활성화 경로에 대한 반응 속도 방정식을 포함한다. 이 모델은 위에서 확인된 반응성 종을 포함하는 반응 유체에 대한 정상-상태 보존 방정식(예를 들어, 총 질량 수지 및 열 수지)을 푼다.
주어진 수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일반 CSTR에 대한 총 질량 수지(balance)는 다음 식에 의해 제공된다:
(1)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유입구 스트림 및 배출구 스트림을 나타내는 지수 i를 갖는 개별 스트림의 질량 유속을 나타낸다.
방정식 (1)은 개별 종과 반응을 나타내기 위해 추가 확장될 수 있다:
(2)
Figure pct00003
여기서, M i 는 유체 유입물 또는 배출물(i)의 평균 몰 중량, x ij 는 스트림 i에 있는 종 j의 질량 분율, ρ mix 는 반응기 혼합물의 몰 밀도, V는 반응기 부피, R j 는 종 j의 반응 속도로서, kmol/m3s의 단위를 갖는다.
단열 반응기에 대한 총 열 수지를 풀고, 다음 식에 의해 제공된다:
(3)
Figure pct00004
여기서,
Figure pct00005
는 스트림 i(입구 또는 출구)의 질량 유속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6
는 기준 상태 대비 스트림 i의 엔탈피의 차이이고, q Rx 는 반응(들)에 의해 방출된 열이고, V는 반응기 부피이며,
Figure pct00007
는 작업 유입량(즉, 교반기),
Figure pct00008
는 열 유입량/손실량이다.
각 반응기에 유입되는 촉매 농도는, 실험적으로 결정된 에틸렌 전환율 및 반응기 온도 값을 맞추어 상기 동역학 모델 방정식(예를 들어, 전파 속도, 열수지 및 질량수지)을 풀 수 있도록 조정된다.
각 반응기에 유입되는 H2 농도는 마찬가지로 두 반응기에 걸쳐서 제조된 중합체의 계산된 분자량 분포(및 이에 따라 각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분자량)가 실험적으로 관찰된 것과 일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단독중합 반응을 위한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 DPN)는 사슬 전달/종결 반응 속도에 대한 사슬 전파 반응 속도의 비율로서 제공된다:
(4)
Figure pct00009
여기서,
Figure pct00010
은 단량체 1의 전파 속도 상수이고,
Figure pct00011
은 반응기 내의 단량체 1(에틸렌)의 몰 농도이며,
Figure pct00012
은 단량체로 사슬을 전달하기 위한 종결 속도 상수이며,
Figure pct00013
은 단량체 1로 사슬을 종료시키기 위한 자발적 사슬 종결의 속도 상수이고,
Figure pct00014
은 단량체 1로 종료되는 사슬에 있어서 수소에 의한 사슬 종결의 속도 상수이다.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Mn)은 중합도 및 단량체 단위의 분자량으로부터 수득된다. 각 반응기에서 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으로부터, 단일 부위 촉매의 Flory 분포를 가정하면, 각 반응기에서 형성된 중합체에 대한 분자량 분포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5)
Figure pct00015
여기서,
Figure pct00016
이고,
Figure pct00017
은 사슬 길이 n을 갖는 중합체의 중량 분율이다.
Flory 분포는 다음 식을 적용함으로써 일반 로그 스케일의 GPC 트레이스(trace)로 변환될 수 있다:
(6)
Figure pct00018
여기서,
Figure pct00019
는 사슬 길이 n을 갖는 중합체의 미분 중량 분율이며(n = MW/28로서, 여기서 28은 C2H4 단위에 상응하는 중합체 분절의 분자량임), DPN은 방정식 (4)에 따라 계산된 중합도이다. Flory 모델에서, 각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Mw 및 Mz는 다음과 같다: Mw = 2 x Mn 및 Mz = 1.5 x Mw.
두 반응기에 걸친 전체 분자량 분포는 단순히 각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의 합으로서, 여기서 각 Flory 분포는 각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중량 분율에 의해 곱해진다:
(7)
Figure pct00020
여기서,
Figure pct00021
는 전체 분자량 분포 함수이고,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는 각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중량 분율이고,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는 각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평균 사슬 길이이다(즉,
Figure pct00026
). 각 반응기에서 제조된 물질의 중량 분율은 각 반응기로 투입된 단량체의 질량 유동을 알고 각 반응기에서의 단량체의 전환율을 알면 결정된다.
전체 분자량 분포(또는 각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의 모멘트는 방정식 8a, 8b 및 8c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Flory 모델은 위에서 추정되지만, 이하 일반식이 다른 모델 분포에도 적용된다):
(8a)
Figure pct00027
(8b)
Figure pct00028
(8c)
Figure pct00029
각 반응기에서 수득된 중합체에 있어서, 전술한 동역학 모델로부터 수득되는 주요 수지 파라미터는 분자량 Mn, Mw 및 Mz, 분자량 분포 Mw/Mn, 및 Mz/Mw 분지 빈도(이 경우에는 0)이다. 현재 이 정보를 가지고, 성분(또는 조성물) 밀도 모델 및 성분(또는 조성물) 용융 지수 I2 모델을 실험적으로 결정된 이하 방정식에 따라 사용하여,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각각의 밀도 및 용융 지수 I2를 계산하였다:
밀도:
Figure pct00030
여기서, BF는 분지 빈도(특히, 여기서 단독중합체에 대해 적절한 경우, BF=0임에 유의함)이고,
Figure pct00031
이다.
용융 지수, I2 (MI):
Figure pct00032
이와 같이, 상기 모델들을 사용하여 반응기 1 및 2 각각에서 형성된 폴리에틸렌 조성물 성분(즉,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분지 빈도, 중량 분율(또는 중량 퍼센트), 용융 지수 및 밀도를 추정하였다.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표 2 - 계속]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표 4 - 계속]
Figure pct00038
압축 성형 필름의 제조 방법
Wabash MPI의 실험실 규모 압축 성형 프레스 Wabash G304를 사용하여 본 발명 및 비교용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압축 성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요한 치수와 두께의 금속 프레임에 측정된 양의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펠릿)를 채우고 두 개의 연마된 금속판 사이에 적층시켰다. 사용된 중합체의 측정 양은 원하는 필름 두께를 얻기에 충분했다. 폴리에스테르 시트(Mylar)를 금속 지지판 위에 사용하여 금속판에 수지가 달라 붙지 않도록 했다. 수지가 담긴 이 어셈블리를 압축 프레스에 로드하고 5분 동안 저압(예를 들어, 제곱피트 당 2톤 또는 4400lbs) 하에 200℃에서 예열했다. 가압판을 닫고 다시 5분 동안 고압(예를 들어, 제곱피트 당 28톤 또는 61670lbs)을 가했다. 그 후, 상기 프레스를 분당 약 15℃의 속도로 약 45℃까지 냉각시켰다. 이 사이클이 완료되면, 프레임 어셈블리를 꺼내어 분해하고 필름(또는 플라크)을 프레임에서 분리했다. 후속 시험은 상기 압축 성형이 수행된 후 최소 48 시간 후에 수행하였다.
마스킹(masking) 방법을 사용한 압축 성형 필름의 산소 투과율(OTR) 결정
압축 성형 필름의 산소 투과율(OTR)은 ASTM F1249-90 버전을 사용하여,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있는 MOCON Inc에서 제조한 OX-TRAN® 2/20 기기를 사용하여 시험했다. 기기에는 2개의 시험 셀(A 및 B)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필름 샘플은 2회 반복으로 분석했다. 보고된 OTR 결과는 이 두 시험 셀(A 및 B)의 결과에 대한 평균이다. 시험은 23℃의 온도와 0%의 상대 습도에서 수행된다. 전형적으로, OTR 시험에 사용된 필름 샘플 면적은 100 cm2였다. 그러나, 제한된 양의 샘플이 있는 필름의 차단(barrier) 시험을 위해, 시험 면적을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 호일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 마스크를 사용하면 시험 면적이 5 cm2로 축소되었다. 호일 마스크는 샘플이 부착되는 일 면에 접착제를 가졌다. 누출 없는 밀봉이 되도록 두 번째 호일을 첫 번째 호일에 부착시켰다. 사용된 캐리어 가스는 질소 가스 밸런스 중 2% 수소 가스이며, 시험 가스는 초고순도 산소였다. 상기 압축 성형 필름의 OTR은 압축 성형 공정에서 얻은 해당 필름 두께에서 시험했다. 그러나, 다른 샘플을 비교하기 위해 최종 OTR 값(단위, ㎤/100in2/일)은 1 mil의 필름 두께 값으로 정규화했다.
마스킹 방법을 사용한 압축 성형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WVTR) 결정
압축 성형 필름의 수증기 투과율(WVTR)은 ASTM D3985 버전을 사용하여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있는 MOCON Inc에서 제조한 PERMATRAN® 3/34 기기를 사용하여 시험했다. 기기에는 2개의 시험 셀(A 및 B)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필름 샘플은 2회 반복으로 분석했다. 보고된 WVTR 결과는 이 두 시험 셀(A 및 B) 결과의 평균이다. 시험은 37.8℃의 온도와 100%의 상대 습도에서 수행된다. 전형적으로, WVTR 시험에 사용된 필름 샘플 면적은 50 cm2이었다. 그러나, 제한된 양의 샘플이 있는 필름의 차단 시험을 위해 알루미늄 호일 마스크를 사용하여 시험 면적을 축소시켰다. 마스크를 사용하면 시험 면적이 5 cm2로 축소되었다. 이 호일 마스크는 샘플이 부착된 일 면에 접착제가 있다. 누출 없는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두 번째 호일을 첫 번째 호일에 부착시켰다. 사용된 캐리어 가스는 초고순도 질소 가스였고 시험 가스는 100% 상대 습도의 수증기이다. 상기 압축 성형 필름의 WVTR은 압축 성형 공정에서 얻은 해당 필름 두께에서 시험했다. 그러나, 다른 샘플을 비교하기 위해 최종 WVTR 값(단위 g/100in2/일)은 1 mil의 필름 두께 값으로 정규화했다.
비교예 및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조성물로 제조된 압축 필름의 차단 특성(OTR 및 WVTR)은 표 5에 제공한다.
Figure pct00039
[표 5-계속]
Figure pct00040
표 5와 도 2 및 3의 데이터에서 볼 수 있듯이, 핵형성된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실시예 1* 내지 4*)은 유사하게 핵형성된 비교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실시예 5 및 6)과 비슷한 OTR 및 WVTR 값을 가졌지만, 본 발명의 수지가 더 높은 용융 지수(즉, 더 낮은 분자량) 및 더 낮은 밀도를 가졌다. 더 높은 용융 지수는 가공성과 생산 라인 시간에 도움이 되므로 캐스트 필름 생산에 유용하다.
사출 성형에 의한 마개 제조 방법
핵형성된 버전의 본 발명의 단독중합체 조성물 및 비교용 수지를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마개로 만들었다. 본원에서 마개를 제조하기 위해 Sumitomo 사출 성형기 및 2.15g PCO(plastic closure only-플라스틱 마개만) 1881 탄산 청량 음료(CSD) 마개 주형을 사용했다. 28 mm 스크류 직경을 갖는 Sumitomo 사출 성형기(모델 SE75EV C250M)를 사용했다. 4-캐비티(cavity) CSD 마개 주형은 Z-moulds(오스트리아)에서 제조된 것이었다. 2.15-그램 PCO 1881 CSD 마개 디자인은 Universal Closures Ltd.(영국)에서 개발되었다. 마개 제조 동안, 4가지 마개 파라미터인, 캡 상단 직경, 보어 씰 직경, 탬퍼 밴드 직경 및 전체 캡 높이를 측정하고 품질 관리 사양 내에 있도록 했다.
국제 음료 기술 협회(International Society of Beverage Technologies, ISBT) 자발적 표준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마개 치수를 결정했다. 사용된 시험은 주형 캐비티의 선택 및 해당 특정 캐비티로부터 제조된 최소 5개의 마개에 대한 측정을 포함한다. 제조일로부터 최소 1주일이 경과된 마개에서 최소 14회의 치수 측정을 수득했다. 마개 치수 측정은 Vision Engineering, Swift Duo 이중 광학 및 비디오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측정은 10배 배율을 사용하고 METLOGIX® M 비디오 측정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METLOGIX M3: Digital Comparator Field of View Software, 사용 설명서 참조).
마개를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했고, 사출 성형 가공 조건은 표 6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41
사출 성형 마개의 산소 투과율(OTR)
마개를 통한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기 위해 ASTM D3985(전기량 센서를 사용한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를 통한 산소 가스 투과율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를 다음과 같이 조정했다.
먼저 마개의 부정개봉 방지 밴드를 제거했다. 다음으로, 상기 마개의 하단 가장자리를 사포로 가볍게 조면화하고(에폭시에 대한 접착 향상을 위해), 그 다음 상기 마개를 시험판에 에폭시화 처리(DEVCON® 2부 에폭시 사용)하여 N2 도입을 위한 배출구 튜브(스윕 가스용) 및 유입구 튜브를 덮었다. 이 에폭시를 밤새 건조시켰다. 마개 내부로 튀어 나온 상기 두 개의 가스 튜브 중 하나는 마개 내부로 흐르는 유입 질소 가스를 운반하는 반면(질소 공급 라인), 다른 하나는 마개 내부에서 배출되는 스윕 가스(예를 들어, 마개 주변 대기로부터의 투과물 및 질소)를 검출기로 운반한다. 대기에 존재하는 임의의 산소가 마개 벽을 투과하는 경우, 스윕 가스로서 마개 내부에서 빠져 나가는 N2 내의 성분으로서 상기 산소가 검출된다. 평판/마개/튜빙 장치는 시험판이 23℃의 온도로 제어되는 환경 챔버에 배치되어 있는 OX-TRAN 저 범위 기기(PERMATRAN-C® 모델 2/21 MD)에 연결된다. 투과성을 나란히 비교하기 위해 불투과성 알루미늄 호일(마개와 나란히)을 사용하여 대기 산소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 측정도 수행한다. 상기 마개의 산소 투과성은 ㎤/마개/일 단위의 평균 산소 투과율로 기록된다.
모두 핵형성된 비교용 및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로 제조 된 사출 성형 마개의 산소 차단 특성은 표 7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42
표 7 및 도 4의 데이터에서 볼 수 있듯이, 핵형성된 본 발명의 수지로 제조된 마개는 유사하게 핵형성된 비교용 수지로 제조된 마개와 비교할만한 OTR 값을 가졌지만, 본 발명의 수지가 더 높은 용융 지수(즉, 더 낮은 분자량) 및 낮은 밀도를 가졌다. 더 높은 용융 지수는 특히 사출 성형 마개 생산 동안 생산 라인 사이클 시간에 도움을 주므로, 캡 및 마개 생산에 유용하다. 또한, 실시예 4*(본 발명)는 밀도가 0.968g/㎤인 실시예 6(비교용)보다 더 낮은 밀도 0.9628g/㎤을 가졌지만,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마개의 산소 차단 특성은 실시예 6으로부터 제조된 마개와 최소한 동등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보다 더 나쁜 가스 차단 특성(즉, 더 높은 값)을 가질 것이라고 예상할 것이기 때문에 놀라운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저밀도, 고 용융 지수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의 사용은, 예를 들어, 병, 용기 또는 등의 캡 또는 마개, 또는 파우치 등의 부속품에 우수한 차단 특성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는 물품의 제조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가져 병 마개와 같은 성형 물품 또는 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43)

  1.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로서:
    (1) 0.930 내지 0.975 g/㎤의 밀도 d1, 0.01 내지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1, 및 2.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homopolymer) 10 내지 90 중량%, 및
    (2) 0.945 내지 0.980 g/㎤의 밀도 d2, 적어도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2, 및 2.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10 중량%;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75,000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및 4.0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0.1 내지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1를 갖는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1 내지 100 g/10min의 용융 지수 I2 2를 갖는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10 내지 100 g/10min의 용융 지수 I2 2를 갖는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에 대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의 비율이 1.5 내지 500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에 대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의 비율이 1.5 내지 150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2가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1보다 큰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2가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1보다 0.030 g/㎤ 미만으로 더 큰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2가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밀도 d1보다 0.015 g/㎤ 미만으로 더 큰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0.945 내지 0.965 g/㎤의 밀도 d1을 갖는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0.950 내지 0.975 g/㎤의 밀도 d2를 갖는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가 단일 부위 촉매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0.950 내지 0.975 g/㎤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0.951 내지 0.965 g/㎤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200 초과의 고하중 용융 지수 I21을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3 g/10min의 용융 지수 I2를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5 내지 50 g/10min의 용융 지수 I2를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3.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3.0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크로마토그래프에서 일봉형(unimodal) 프로파일을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조성물이 70,000 미만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를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2. 제1항에 있어서, ≤65,000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를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3. 제1항에 있어서, 35,000 미만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4. 제1항에 있어서, 40 미만의 용융 유동 비율 I21/I2를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5. 제1항에 있어서, 2 중량% 미만의 헥산 추출성물질 값을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6. 제1항에 있어서, 핵형성제(nucleating ag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핵형성제가 디카복실산 화합물의 염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와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합산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4000 ppm의 상기 핵형성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물품.
  30.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압축 성형 물품.
  31.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개(closure).
  32.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33.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캐스트(cast) 필름.
  34.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로서:
    (1) 0.930 내지 0.975 g/㎤의 밀도 d1, 0.01 내지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1, 및 2.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2) 0.945 내지 0.980 g/㎤의 밀도 d2, 적어도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2, 및 2.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10 중량%;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75,000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및 4.0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가지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에서 용액 중합 조건 하에 에틸렌을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부위 중합 촉매 시스템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35.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에서 용액 중합 조건 하에 에틸렌을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부위 중합 촉매 시스템과 접촉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이 하기를 포함하는 것이고:
    (1) 0.945 내지 0.975 g/㎤의 밀도, 0.01 내지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1, 및 3.0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2) 0.950 내지 0.980 g/㎤의 밀도, 적어도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2, 및 3.0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10 중량%;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75,000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및 4.0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것인,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중합 반응기가 직렬로 형성된 제1 반응기 및 제2 반응기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7.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하며:
    (1) 0.945 내지 0.975 g/㎤의 밀도, 0.01 내지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1, 및 2.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 10 내지 90 중량%, 및
    (2) 0.950 내지 0.980 g/㎤의 밀도, 적어도 1.0 g/10min의 용융 지수 I2 2, 및 2.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10 중량%;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2는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용융 지수 I2 1보다 크며,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은 ≤75,000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및 4.5 미만의 분자량 분포 Mw/Mn을 갖는 것인,
    중합체 조성물.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이 핵형성제(nucleating ag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중합체 조성물.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핵형성제가 디카복실산 화합물의 염인, 중합체 조성물.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이 상기 제1 에틸렌 단독중합체와 상기 제2 에틸렌 단독중합체의 합산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4000 ppm의 상기 핵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중합체 조성물.
  41. 제26항에 있어서, PCO 1881 CSD 마개(closure)로 제조된 경우, 0.003 ㎤/마개/일(day) 미만의 산소 투과율(oxygen transmission rate, OTR)을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42. 제26항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100 ㎤/100in2/일의 정규화된 OTR을 갖는, 필름.
  43. 제26항의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0.300 g/100in2/일의 정규화된 수증기 투과율(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을 갖는, 필름.
KR1020217016895A 2018-12-03 2019-11-28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KR20210100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3026098 2018-12-03
CA3026098A CA3026098A1 (en) 2018-12-03 2018-12-03 Narrow polyethylene homopolymer compositions having good barrier properties
PCT/IB2019/060295 WO2020115622A1 (en) 2018-12-03 2019-11-28 Ethylene homopolymer having good barrier proper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096A true KR20210100096A (ko) 2021-08-13

Family

ID=6883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895A KR20210100096A (ko) 2018-12-03 2019-11-28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958961B2 (ko)
EP (1) EP3891189A1 (ko)
JP (1) JP7446302B2 (ko)
KR (1) KR20210100096A (ko)
CN (1) CN113166282A (ko)
BR (1) BR112021010487A2 (ko)
CA (1) CA3026098A1 (ko)
MX (1) MX2021005827A (ko)
WO (1) WO2020115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119038A1 (es) * 2019-06-11 2021-11-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Tapas o cierres moldeados por inyección y métodos de estos
US20240109987A1 (en) * 2021-10-25 2024-04-04 Lg Chem, Ltd.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Film Comprising the Same
CN117494400B (zh) * 2023-10-18 2024-04-19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计算空气动力研究所 强对流条件下低温平板干模态结霜相似因素获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49081A (en) 1967-03-02 1970-08-11 Du Pont Of Canada Limited PRODUCTION OF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S OF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US5324800A (en) 1983-06-06 1994-06-28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and catalyst for polyolefin density and molecular weight control
US4808561A (en) 1985-06-21 1989-02-28 Exxon Chemical Patents Inc. Supported polymerization catalyst
US4701432A (en) 1985-11-15 1987-10-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Supported polymerization catalyst
US5055438A (en) * 1989-09-13 1991-10-08 Exxon Chemical Patents, Inc.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s
US4937301A (en) 1987-12-17 1990-06-26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thod for preparing a supported metallocene-alumoxane catalyst for gas phase polymerization
US4935397A (en) 1988-09-28 1990-06-19 Exxon Chemical Patents Inc. Supported metallocene-alumoxane catalyst for high pressure polymerization of olefins and a method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NZ235032A (en) 1989-08-31 1993-04-28 Dow Chemical Co Constrained geometry complexes of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comprising a substituted cyclopentadiene ligand; use as olefin polymerisation catalyst component
US5057475A (en) 1989-09-13 1991-10-15 Exxon Chemical Patents Inc. Mono-Cp heteroatom containing group IVB transition metal complexes with MAO: supported catalyst for olefin polymerization
US5064802A (en) 1989-09-14 1991-11-12 The Dow Chemical Company Metal complex compounds
PL166690B1 (pl) 1990-06-04 1995-06-30 Exxon Chemical Patents Inc Sposób wytwarzania polimerów olefin PL
JP3046428B2 (ja) 1991-12-05 2000-05-29 旭電化工業株式会社 結晶性合成樹脂組成物
US6002033A (en) 1995-11-22 1999-12-14 Fina Research, S.A. Bridged metallocenes for use in catalyst systems
CA2244999C (en) 1996-03-05 2007-03-27 The Dow Chemical Company Rheology-modified polyolefins
US6759499B1 (en) 1996-07-16 2004-07-0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Olefin polymerization process with alkyl-substituted metallocenes
DE69717645T2 (de) 1996-07-22 2003-09-2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Verbrückte nicht-aromatische anionische dienylgruppen enthaltende metallkomplexe und darauf basierte polymerisatonskatalysatoren
US5981636A (en) 1996-12-27 1999-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difying agents for polyolefins
CA2206944C (en) 1997-05-30 2006-08-29 Douglas W. Stephan High temperature solution polymerization process
CA2215444C (en) 1997-09-15 2005-08-02 Stephen John Brown Catalyst having a ketimide ligand
CA2245375C (en) 1998-08-19 2006-08-15 Nova Chemicals Ltd. Dual reactor polyethylene process using a phosphinimine catalyst
CA2247703C (en) 1998-09-22 2007-04-17 Nova Chemicals Ltd. Dual reactor ethylene polymerization process
CA2278042C (en) 1999-07-19 2008-12-16 Nova Chemicals Corporation Mixed phosphinimine catalyst
EP1146077B1 (en) 2000-04-13 2006-06-07 Borealis Technology Oy HDPE polymer composition
CA2430197C (en) 2000-12-04 2008-02-12 Univation Technologies, Llc Polymerization process
US6465551B1 (en) 2001-03-24 2002-10-15 Milliken & Company Bicyclo[2.2.1]heptane dicarboxylate salts as polyolefin nucleators
US6599971B2 (en) 2001-03-29 2003-07-29 Milliken & Company Metals salts of hexahydrophthalic acid as nucleating additives for crystalline thermoplastics
CA2347410C (en) 2001-05-11 2009-09-08 Nova Chemicals Corpor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process catalyzed by a phosphinimine catalyst
CA2411183C (en) 2002-11-05 2011-06-14 Nova Chemicals Corporation Heterogeneous/homogeneous copolymer
CA2479704C (en) * 2004-08-31 2013-08-13 Nova Chemicals Corporation High density homopolymer blends
PL1655338T3 (pl) 2004-11-03 2007-07-31 Borealis Tech Oy Wielomodalna kompozycja polietylenowa do wytwarzania wtryskiwanych opakowań do transportowania
ES2277186T3 (es) 2004-11-03 2007-07-01 Borealis Technology Oy Composicion de polietileno multimodal para tapas moldeadas por inyeccion y dispositivos de cierre.
US20060247373A1 (en) 2005-04-28 2006-11-02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Dual reactor polyethylene resins for electronic packaging-films, tapes, bags and pouches
CA2568454C (en) 2006-11-17 2014-01-28 Nova Chemicals Corporation Barrier film for food packaging
CA2594472A1 (en) 2007-07-23 2009-01-23 Nova Chemicals Corporation Multilayer barrier film
CA2629576C (en) 2008-04-21 2016-01-05 Nova Chemicals Corporation Closures for bottles
JP5620130B2 (ja) 2009-03-19 2014-11-0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高純度薬品容器用ポリエチレン、その製造方法、及び高純度薬品容器
CN102575060A (zh) 2009-10-21 2012-07-11 美利肯公司 热塑性聚合物组合物
CA2688092C (en) 2009-12-10 2016-07-12 Nova Chemicals Corporation Multilayer film structure
US9371442B2 (en) 2011-09-19 2016-06-21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Polyethylene compositions and closures made from them
CA2752407C (en) 2011-09-19 2018-12-04 Nova Chemicals Corporation Polyethylene compositions and closures for bottles
CA2798854C (en) 2012-12-14 2020-02-18 Nova Chemicals Corporation Polyethylene compositions having high dimensional stability and excellent processability for caps and closures
US9475927B2 (en) 2012-12-14 2016-10-25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Polyethylene compositions having high dimensional stability and excellent processability for caps and closures
US9783663B2 (en) 2012-12-14 2017-10-10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Polyethylene compositions having high dimensional stability and excellent processability for caps and closures
US9200142B2 (en) 2013-09-23 2015-12-01 Milliken & Company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US9200144B2 (en) 2013-09-23 2015-12-01 Milliken & Company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US9193845B2 (en) 2013-09-23 2015-11-24 Milliken & Company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US9206293B2 (en) 2014-01-31 2015-12-08 Fina Technology, Inc. Polyethyene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CA2868640C (en) 2014-10-21 2021-10-26 Nova Chemicals Corpor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process
WO2016135590A1 (en) 2015-02-24 2016-09-01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Bottle cap
US9758653B2 (en) 2015-08-19 2017-09-12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Polyethylene compositions, process and closures
CA2914315C (en) 2015-12-09 2023-04-25 Nova Chemicals Corp. Hot fill process with closures made from high density unimodal polyethylene
CA2914354C (en) 2015-12-10 2022-11-08 Nova Chemicals Corp. Hot fill process with closures made frm bimodal polyethylene compositions
CA2914353C (en) 2015-12-10 2023-01-24 Nova Chemicals Corp. Hot fill process with closures made from 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US9783664B1 (en) 2016-06-01 2017-10-10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Hinged component comprising polyethylene composition
CA2942493C (en) 2016-09-20 2023-08-01 Nova Chemicals Corporation Nucleated polyethylene blends and their use in molded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1005827A (es) 2021-07-15
JP7446302B2 (ja) 2024-03-08
CA3026098A1 (en) 2020-06-03
EP3891189A1 (en) 2021-10-13
US20220056248A1 (en) 2022-02-24
BR112021010487A2 (pt) 2021-08-24
US11958961B2 (en) 2024-04-16
CN113166282A (zh) 2021-07-23
WO2020115622A1 (en) 2020-06-11
JP2022510000A (ja)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7853B1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process and closures
EP3464456B1 (en) Hinged component comprising polyethylene composition
US20220106466A1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and Articles With Good Barrier Properties
US9783663B2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having high dimensional stability and excellent processability for caps and closures
KR20210100096A (ko)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US11149137B2 (en) Poly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with barrier properties
EP3898828B1 (en) Poly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s and their barrier properties
KR20210099571A (ko)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갖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WO2021144615A1 (en) Poly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with barrier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