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881A -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Food Service Cart and Food Service Cart Using Therefore - Google Patents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Food Service Cart and Food Service Cart Using Theref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881A
KR20210099881A KR1020200013776A KR20200013776A KR20210099881A KR 20210099881 A KR20210099881 A KR 20210099881A KR 1020200013776 A KR1020200013776 A KR 1020200013776A KR 20200013776 A KR20200013776 A KR 20200013776A KR 20210099881 A KR20210099881 A KR 20210099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lay
input terminal
power inpu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1317B1 (en
Inventor
최진욱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제이 filed Critical (주)엔에스제이
Priority to KR102020001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317B1/en
Publication of KR2021009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2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being switching conver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47B2031/02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being dockable to a stationary refrigeration and hea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a food distribution cart and a food distribution cart using the same. The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a food distribution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wer control unit which is provided in a food distribution cart, and is connected to a first power input terminal to supply power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istribution cart; and a second power control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food distribution cart,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supply power input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istribution cart. When power is connected to bot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power is supplied to the food distribution cart through one of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Description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식카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Food Service Cart and Food Service Cart Using Therefore}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Food Service Cart and Food Service Cart Using Therefore

본 발명은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식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식카에 이중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전원 충돌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배식카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식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power supply collision prevention device for a food delivery car and a food delivery ca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a power collision that may occur when dual power is input to the food delivery car, and to supply power to the food delivery car through this It relates to a double power collision avoidance device for a delivery car that can be easily supplied, and a delivery car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는 입원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음식을 공급하고 있는데, 특히 병실이 많은 종합병원에서는 많은 식판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식판을 운반차에 외부로 노출되게 적층하여 병실마다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hospitals supply suitable foo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inpatients. In particular, in general hospitals with many hospital rooms, in order to transport a large number of plates, the plates are stack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a transport vehicle and supplied to each ward.

그러나, 환자에게 제공되는 음식에 있어 밥이나 국은 따뜻해야 하고 차게 먹어야 제맛이 나는 반찬은 차게 제공되어야 할 것인데, 종래의 운반차에 의한 식판의 공급방식으로는 운반과정에서 더운 음식은 식어버리게 되고, 특히 음식이 쉽게 상하는 여름철에는 음식에 따라 많은 병실을 거치는 운반과정에서 맛이 상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되어 환자에게 맛있고 위생적인 음식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food provided to the patient, rice or soup should be warm and side dishes that taste best when eaten cold should be served cold. , especially in the summer, when food is easily spoiled, there is a problem that delicious and hygienic food cannot be provided to patients because the taste is often spoiled during transportation through many hospital rooms depending on the food.

이를 개선하기 위해, 냉,온 기능을 갖춘 배식카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일 예로 실용공고 제1996-0010141호, 공개특허 제2003-0061339호, 공개특허 제2009-0084020호, 공개실용 제2009-0009510호, 등록특허 제1070707호 등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food delivery cars with cold and hot functions have begun to appear, and for example, Utility Publication No. 1996-0010141, Patent Publication No. 2003-0061339, Patent Publication No. 2009-0084020, Publication No. 2009- A number of 0009510 and registered patent No. 1070707 have been disclosed.

이러한 냉 기능 또는 온 기능을 갖춘 배식카는 전원을 공급받아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며, 배식카를 보관하는 장소 등에서 배식카에 전원을 연결하여 충전 등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배식카를 보관하는 장소가 좁은 경우 배식카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원을 제공하는 단자 예를 들어, 콘센트 방향으로 배식카에 구비된 전원 입력 단자가 있어야 하고, 따라서 전원 입력 단자가 콘센트의 반대 방향에 있는 경우에는 배식카의 방향을 바꿔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배식카의 양쪽에 전원 입력 단자와 입력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배식카를 이동시키거나 방향 전환할 필요없이 콘센트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food tray car having such a cold function or an on function is provided with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receiving power, and charging is performed by connecting power to the food tray car at a place where the food tray is stored. However, if the place where the food cart is stored is narrow, in order to connect the power to the food tray, there must be a terminal providing power, for example, a power input terminal provided in the food tray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so that the power input terminal is opposite to the outle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you hav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elivery car if it is in the direction. In order to solve this situation, by providing a power input terminal and means for controlling the input power on both sides of the food delivery car,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by connecting to an outlet without the need to move or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od delivery car.

하지만, 종래 양 단자를 통해 전원을 동시에 입력받는 경우에는 이중 전원 입력으로 인하여 전원이 충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식카에 구비된 전원 제어 장치 등에 부담을 주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However, when power is simultaneously received through both terminals in the prior art, power may collide due to double power input, and thus, there is a case that a burden or a problem occurs in the power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food delivery ca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식카에 이중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전원 충돌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배식카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식카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a power collision that may occur when dual power is input to a food delivery car, and through this, a double power collision prevention device for a food delivery car and a food distribution us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supply power to the food delivery car provide a c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는 배식카에 구비되고, 제1 전원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에 공급하는 제1 전원 제어부; 및 상기 배식카에 구비되고, 제2 전원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에 공급하는 제2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 모두에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제어부와 상기 제2 전원 제어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배식카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evice for preventing a collision of double power for a food tray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method that is provided in the food tray car, is connected to a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supplies power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tray car 1 power control unit; and a second power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food distribution car, connected to a second power input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input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istribution car, wherein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When power is connected to all of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s, power is supplied to the delivery car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상기 제1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릴레이; 상기 제1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릴레이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전자 접촉기(magnetic contactor); 및 상기 제1 전자 접촉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하는 제1 전자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릴레이;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릴레이 스위치와 접점이 다른 제2 릴레이 스위치; 상기 제2 릴레이에 의해 제어되는 제3 릴레이 스위치; 상기 제2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3 릴레이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전자 접촉기; 및 상기 제2 전자 접촉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하는 제2 전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relay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 first magnetic contac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lay and connected in series with a first relay switch controlled by the first relay; and a first electronic switch controlled by the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configured to supply power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elivery car, wherein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is parallel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a second relay connected; a second relay switch controlled by the first relay and having a contact poi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relay switch; a third relay switch controlled by the second relay; a second magnetic contac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relay switch and the third relay switch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elay; and a second electronic switch controlled by the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configured to supply power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elivery car.

상기 제1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1 전자 접촉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 전자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할 수 있다.When power is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power is not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supplies power to the first relay and turns on the first relay switch to turn on the first power supply. By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the power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by turning on the first electronic switch may be supplied to the food delivery car.

상기 제2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3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제2 릴레이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제2 전자 접촉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할 수 있다.When power is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and power is not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relay to turn on the third relay switch and turn on the third relay switch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first relay so that the second relay switch is maintained in an on state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thereby turning on the second electronic switch to turn on the power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It can be supplied by catering truck.

상기 제1전원 입력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함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제1 전자 접촉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 전자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3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상기 제2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배식카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When power is input to bot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turns on the first relay switch by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relay and turns on the second relay switch By turning off and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the first electronic switch is turned on to supply the power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elivery car,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relay This is supplied to turn on the third relay switch,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by the first relay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thereby keeping the second electronic switch in the off state.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food delivery c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는 상술한 어느 한 항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king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dual power source collision avoidance device of any one of the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식카에 이중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전원 충돌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배식카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ower collision that may occur when dual power is input to the food distribution car, and thus,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power to the food distribution ca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식카에 이중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전원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냉장 기능, 온장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a power collision that may occur when dual power is input to the food delivery car,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power for charging a battery, a refrigeration function, a warming function,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원이 공급되는 배식카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에 대한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1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에서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에서 제1 전원 입력 단자와 제2 전원 입력 단자 모두에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tribution car to which dual power is su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of a dual power source collision avoid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in FIG. 2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power is connected to a second power input terminal in FIG. 2 .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power is connected to bot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in FIG. 2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식카에 이중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전원 충돌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배식카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dual power source collision prevention device that can prevent a power collision that may occur when dual power is input to the food tray, and can easily supply power to the food tray. do.

이 때, 배식카는 배식카에 구비된 온도 조절 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 제어부와 제2 전원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전원 제어부는 제1 전원 입력 단자와 연결되고, 제2 전원 제어부는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원 입력 단자는 배식카의 어느 한 측면 예를 들어, 좌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전원 입력 단자는 배식카의 다른 한 측면 예를 들어, 우측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od distribution car may include a first power control unit and a second power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food distribution car, and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Here,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for example, on the left side of the distribution car,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for example, on the right side of the distribution car.

이러한 본 발명은 배식카에 구비된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를 통해 배식카에 구비된 두 개의 전원 연결 단자를 통해 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더라도, 배식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어, 온도 조절 장치에 전원을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tray, for example,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even if power is simultaneously supplied through the two power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in the food tray through the dual power collision prevention device provided in the food tray car. power can be safely supplied to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원이 공급되는 배식카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tribution car to which dual power is su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된 배식카(100)는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온도 조절 장치(1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 단자(110, 120)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식카(100)의 좌측 측면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식카(100)의 우측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배식카의 좌측 측면에 구비된 전원 입력 단자(이하, "제1 전원 입력 단자"라 칭함)(110)와 배식카의 우측 측면에 구비된 전원 입력 단자(이하, "제2 전원 입력 단자"라 칭함)(12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이중 전원의 충돌을 방지하여 온도 조절 장치(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전하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 , the catering car 100 to which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ower connection terminals 110 and 120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are shown in FIG. 1A . It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ood delivery car 100 as shown in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food delivery car 100 as shown in FIG. 1B .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input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ower input terminal") 11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elivery car and a power input terminal (hereinafter, "second power input terminal")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delivery car. Power input terminal" (referred to as "power input terminal") performs a function of safely providing power su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by preventing the collision of the dual power supplied by being connected to the 12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에 대한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2 is a circuit diagram of a dual power source collision avoid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는 제1 전원 제어부(200)와 제2 전원 제어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dual power coll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wer control unit 200 and a second power control unit 300 .

제1 전원 제어부(200)는 제1 전원 입력 단자(E, R)(110)와 연결되어 제1 전원 입력 단자(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배식카에 구비된 장치 즉, 배식카에 구비된 온도 조절 장치(thermostat)(130)에 공급한다.The first power control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s (E, R) 110 and provides power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110 to a device provided in the delivery car, that is, the delivery car. It is supplied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thermostat) (130).

제2 전원 제어부(300)는 제2 전원 입력 단자(S, T)(120)와 연결되어 제2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배식카에 구비된 온도 조절 장치(130)에 공급한다.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s (S, T) 120 and supplies power input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provided in the food delivery car.

여기서,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전원 입력 단자(110)와 제2 전원 입력 단자(120) 모두에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 제1 전원 제어부(200)와 제2 전원 제어부(30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2 전원 제어부(300)를 통해 온도 조절 장치(13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Here,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connected to bot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120 , one example of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200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300 . For example,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through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300 .

제1 전원 제어부(200)는 제1 전원 입력 단자(E, R)(110)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릴레이(RY1 릴레이)(250), 제2 릴레이(RY2 릴레이)(340)에 의해 제어되는 릴레이 스위치(RY2 스위치)(이하, "RY2-1 스위치"라 칭함)(230), RY1 릴레이(250)에 의해 제어되는 릴레이 스위치(RY1 스위치)(220), RY1 스위치(220) 및 RY2-1 스위치(230)와 직렬로 연결되고 RY1 릴레이(250)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전자 접촉기(MC1)(240)와 MC1(240)에 의해 제어되고 제1 전원 입력 단자(110)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원 공급 단자(U, V)(140)를 통해 온도 조절 장치(130)로 공급하는 제1 전자 스위치(MC1 스위치)(210)를 포함한다.The first power control unit 200 is controlled by a first relay (RY1 relay) 250 and a second relay (RY2 relay) 340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s (E, R) 110 . Relay switch (RY2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RY2-1 switch") 230, the relay switch (RY1 switch) controlled by the RY1 relay 250 (RY1 switch) 220, RY1 switch 220 and RY2- 1 is controlled by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MC1) 240 and MC1 240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witch 230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Y1 relay 250 and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110 and a first electronic switch (MC1 switch) 2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s (U, V) 140 .

이 때, RY1 스위치(22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RY1 릴레이(25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RY1 릴레이(250)에 의하여 온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으며, RY2-1 스위치(230)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RY2 릴레이(34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RY2 릴레이(340)에 의하여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MC1 스위치(21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MC1(24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MC1(240)에 의하여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Y1 switch 220 maintains the off state, an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RY1 relay 250, it may be switched to the on state by the RY1 relay 250, and the RY2-1 switch 230 is on. Maintaining the stat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RY2 relay 340 may be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by the RY2 relay 340 . In addition, the MC1 switch 210 may maintain an off state, an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C1 240 , the MC1 240 may be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제2 전원 제어부(300)는 제2 전원 입력 단자(S, T)(120)에 병렬로 연결되는 RY2 릴레이(340), RY2 릴레이(340)에 의해 제어되는 릴레이 스위치(RY2 스위치)(이하, "RY2-2 스위치"라 칭함)(320), RY2-2 스위치(320)와 직렬로 연결되고 RY2 릴레이(340)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전자 접촉기(MC2)(330)와 MC2(330)에 의해 제어되고 제2 전원 입력 단자(120)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원 공급 단자(U, V)(140)를 통해 온도 조절 장치(130)로 공급하는 제2 전자 스위치(MC2 스위치)(310)를 포함한다.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300 is a relay switch (RY2 switch) controlled by the RY2 relay 340, RY2 relay 340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s (S, T) 1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Y2-2 switch") 320, a second magnetic contactor (MC2) 330 and MC2 330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RY2-2 switch 320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Y2 relay 340 A second electronic switch (MC2 switch) 310 that is controlled by and supplies power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120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s (U, V) 140 . includes

이 때, RY2-2 스위치(32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RY2 릴레이(34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RY2 릴레이(340)에 의하여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으며, MC2 스위치(31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MC2(33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MC2(330)에 의하여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Y2-2 switch 320 maintains the off state, an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RY2 relay 340, it may be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by the RY2 relay 340, and the MC2 switch 310 ) maintains an off state, an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C2 330 , it may be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by the MC2 330 .

상술한 RY2-1 스위치(230)와 RY2-2 스위치(320)는 RY2 릴레이(340)에 의해 제어되며 접점이 다른 스위치를 의미한다. 즉, RY2-1 스위치(230)가 온 상태이면 RY2-2 스위치(320)는 자동적으로 오프 상태가 된다.The above-described RY2-1 switch 230 and RY2-2 switch 320 are controlled by the RY2 relay 340 and refer to switches having different contacts. That is, when the RY2-1 switch 230 is on, the RY2-2 switch 320 is automatically turned off.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전원 입력 단자(110)와 제2 전원 입력 단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단자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전원 입력 단자들을 통해 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에도 전원의 충돌없이 온도 조절 장치(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such,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120 , and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two power input terminals.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without collision of power even when the power is supplied at the same time. Such a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도 3은 도 2에서 제1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전원 입력 단자에만 전원이 연결되어 온도 조절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in FIG. 2 , and power is connected only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to explain the opera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 example diagram for this is show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전원 입력 단자(110)에 전원이 연결되면 RY1 릴레이(250)에 전원이 공급되어 RY1 릴레이(250)에 의해 RY1 스위치(22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되고, RY2 릴레이(34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RY2-1 스위치(230)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MC1(240)에 전원이 공급되어 MC1(240)에 의해 MC1 스위치(21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됨으로써, 제1 전원 입력 단자(1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 공급 단자(U, V)(140)를 통해 온도 조절 장치(130)로 공급된다.As shown in FIG. 3 ,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110 , power is supplied to the RY1 relay 250 , and the RY1 switch 220 is turned off by the RY1 relay 250 . Switched from the state to the on state, RY2-1 switch 230 maintains the on state becaus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RY2 relay 340. Accordingly, power is supplied to the MC1 240 and the MC1 switch 21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by the MC1 240 , so that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110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 U, V) is su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through (140).

도 4는 도 2에서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2 전원 입력 단자에만 전원이 연결되어 온도 조절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p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in FIG. 2 , and power is connected only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explain the opera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 example diagram for this is show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제2 전원 입력 단자(120)에 전원이 연결되면 RY2 릴레이(340)에 전원이 공급되어 RY2 릴레이(340)에 의해 RY2-2 스위치(32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되고, 따라서, MC2(330)에 전원이 공급되어 MC2(330)에 의해 MC2 스위치(31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됨으로써, 제2 전원 입력 단자(1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 공급 단자(U, V)(140)를 통해 온도 조절 장치(130)로 공급된다.As shown in Figure 4,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120, power is supplied to the RY2 relay 340, and the RY2-2 switch 320 by the RY2 relay 34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thus, power is supplied to the MC2 330 and the MC2 switch 31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by the MC2 330, so that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120 Power supplied through the is su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s (U, V) (140).

이 때, RY2-1 스위치(230)는 RY2 릴레이(340)에 의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Y2-1 switch 230 may be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by the RY2 relay 340 .

도 5는 도 2에서 제1 전원 입력 단자와 제2 전원 입력 단자 모두에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전원 입력 단자와 제2 전원 입력 단자 모두에 전원이 연결되어 온도 조절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power is connected to bot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in FIG. 2, and power is supplied to bot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It is connected to show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전원 입력 단자(110)와 제2 전원 입력 단자(120) 모두에 전원이 연결되면 RY1 릴레이(250)에 전원이 공급되어 RY1 릴레이(250)에 의해 RY1 스위치(22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되지만, RY2 릴레이(340)에 전원이 공급되어 RY2 릴레이(340)에 의해 RY2-1 스위치(230)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기 때문에 MC1(24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MC1 스위치(210)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 전원 입력 단자(1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온도 조절 장치(130)로의 공급이 차단된다.5,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connected to bot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120, power is supplied to the RY1 relay 250 and the RY1 relay 250 ) by RY1 switch 22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but power is supplied to the RY2 relay 340 and the RY2-1 switch 230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by the RY2 relay 340 Becaus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MC1 240 , the MC1 switch 210 maintains an off state. Accordingly,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110 is blocked from being su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

반면, RY2 릴레이(340)에 전원이 공급되어 RY2 릴레이(340)에 의해 RY2-2 스위치(32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되고, 따라서 MC2(330)에 전원이 공급되어 MC2(330)에 의해 MC2 스위치(31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스위칭됨으로써, 제2 전원 입력 단자(1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 공급 단자(U, V)(140)를 통해 온도 조절 장치(130)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power is supplied to the RY2 relay 340 so that the RY2-2 switch 32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by the RY2 relay 340, and thus power is supplied to the MC2 330 to MC2 (330) By switching the MC2 switch 310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120 is suppli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30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s (U, V) 140 . is supplied with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는 배식카에 이중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전원 충돌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배식카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As such, the dual power source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 power collision that may occur when dual power is input to the food distribution car,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power to the food distribution car.

따라서, 본 발명은 배식카에 구비된 온도 조절 장치 등과 같이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장치에 전원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vide power to a device requiring power supply, such a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provided in a food delivery ca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6)

배식카에 구비되고, 제1 전원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에 공급하는 제1 전원 제어부; 및
상기 배식카에 구비되고, 제2 전원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에 공급하는 제2 전원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 모두에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제어부와 상기 제2 전원 제어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배식카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
a first power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food distribution car, connected to a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input throug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istribution car; and
A second power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food distribution car and connected to a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supply power input through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istribution car
including,
When power is connected to both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power is supplied to the food distribution car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Dual power anti-colli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릴레이;
상기 제1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릴레이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전자 접촉기(magnetic contactor); 및
상기 제1 전자 접촉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하는 제1 전자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릴레이;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릴레이 스위치와 접점이 다른 제2 릴레이 스위치;
상기 제2 릴레이에 의해 제어되는 제3 릴레이 스위치;
상기 제2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3 릴레이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전자 접촉기; 및
상기 제2 전자 접촉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하는 제2 전자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a first relay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 first magnetic contac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lay and connected in series with a first relay switch controlled by the first relay; and
a first electronic switch controlled by the first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supplying power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elivery car)
including,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a second relay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a second relay switch controlled by the first relay and having a contact poi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relay switch;
a third relay switch controlled by the second relay;
a second magnetic contac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relay switch and the third relay switch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relay; and
A second electronic switch controlled by the second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supplying power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the food delivery car
Dual power collision avoidance device of the basik c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1 전자 접촉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 전자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When power is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no power is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relay to turn on the first relay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By supplying, the first electronic switch is turned on and the power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is supplied to the food distribution c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에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3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제2 릴레이 스위치를 온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제2 전자 접촉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When power is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and no power is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relay to turn on the third relay switch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relay By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by maintaining the second relay switch in an on state, the second electronic switch is turned on to supply power input to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 the delivery car. Dual power collision avoidance device for food truck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 입력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입력 단자에 함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1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제1 전자 접촉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 전자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1 전원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배식카로 공급하고,
상기 제2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2 릴레이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3 릴레이 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제1 릴레이에 의해 상기 제2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어 상기 제2 전자 접촉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2 전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배식카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카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power is input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power input terminal together,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relay to turn on the first relay switch and turn off the second relay switch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magnetic contactor, thereby turning on the first electronic switch to the first power input terminal supplying the power input to the food delivery car,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relay to turn on the third relay switch,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by the first relay to cut off power supply to the second magnetic contactor, thereby turning on the second electronic switch. Dual power collision prevention device of a food delivery c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food delivery ca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중 전원 충돌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식카.A food delivery car comprising the dual power source collision avoidance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5.
KR1020200013776A 2020-02-05 2020-02-05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Food Service Cart and Food Service Cart Using Therefore KR1023913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776A KR102391317B1 (en) 2020-02-05 2020-02-05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Food Service Cart and Food Service Cart Using Theref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776A KR102391317B1 (en) 2020-02-05 2020-02-05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Food Service Cart and Food Service Cart Using Theref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81A true KR20210099881A (en) 2021-08-13
KR102391317B1 KR102391317B1 (en) 2022-04-26

Family

ID=7731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776A KR102391317B1 (en) 2020-02-05 2020-02-05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Food Service Cart and Food Service Cart Using Theref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31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817A (en) * 1992-03-05 1993-10-20 나종성 Automatic Power Switching System and Automatic Power Switching Method
KR20140076934A (en) * 2012-12-13 2014-06-23 김도균 Power socket system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electric shock
KR101522998B1 (en) * 2013-12-17 2015-05-26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ower source switching apparatus
KR102023718B1 (en) * 2019-05-09 2019-09-20 키노톤코리아 주식회사 Network sequential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817A (en) * 1992-03-05 1993-10-20 나종성 Automatic Power Switching System and Automatic Power Switching Method
KR20140076934A (en) * 2012-12-13 2014-06-23 김도균 Power socket system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electric shock
KR101522998B1 (en) * 2013-12-17 2015-05-26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ower source switching apparatus
KR102023718B1 (en) * 2019-05-09 2019-09-20 키노톤코리아 주식회사 Network sequential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317B1 (en)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9443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uniform temperature in a refrigeration system
US20200262367A1 (en) Electrical assembly
US200900445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uniform temperature in a refrigeration system
KR102391317B1 (en) Dual Power Anti-Collision Apparatus of Food Service Cart and Food Service Cart Using Therefore
JP2005328859A (en) Temperature management device of cold/hot storage food delivery vehicle
JP2021129804A (en) Service unit for providing foods and drinks
EP109304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er in a cooker
US20030226657A1 (en) Food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heating food to a serving temperature
JPH0824145A (en) Meal supply system
KR20210152991A (en) Tray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cooling and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KR20220120827A (en) Tray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ime of cooling and heating
KR102251511B1 (en) Control system for self-driving hot and cool service car
KR102219642B1 (en) Wireless total monitoring system for self-driving food service car
JP4471517B2 (en) Heating control device for food cart
JP4471512B2 (en) Heating control device for food cart
JP2004065498A (en) Serving cart
JP4471518B2 (en) Heating control device for food cart
JP4703447B2 (en) Control system
JP2021126350A (en) Service unit for providing food and drink
KR102280331B1 (en) Self-driving food service car system
JP2004159790A (en) Food service cart
JPH052913B2 (en)
JP4471786B2 (en) Catering equipment
JPH03237591A (en) Cooling/heating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220120828A (en) Apparatus with cooling and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