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639A - 용량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용량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639A
KR20210099639A KR1020217021426A KR20217021426A KR20210099639A KR 20210099639 A KR20210099639 A KR 20210099639A KR 1020217021426 A KR1020217021426 A KR 1020217021426A KR 20217021426 A KR20217021426 A KR 20217021426A KR 20210099639 A KR20210099639 A KR 2021009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reducing
sliding member
reducing val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알. 워렌
에르네스토 호세 구티에레즈
다이치 쿠리하라
타카히로 에지마
와타루 타카하시
코헤이 후쿠도메
마사히로 하야마
요시히로 오가와
케이고 시라후지
Original Assignee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2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31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suc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4External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63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with an auxiliary valve, controlled by
    • F04B2027/1877Extern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시동시에 유체 토출 기능을 가지면서도 작동 효율이 우수한 용량 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용량 제어 밸브(V)는, 밸브 하우징(10), 메인 밸브 시트(10a)와 접촉 및 분리되는 메인 밸브(50)를 구성하여 솔레노이드(80)의 구동력에 의해 토출 포트(12)와 제어 포트(14) 사이의 연통을 개폐하는 밸브 요소(51), 주변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감압 밸브(53), 및 감압 요소(60)와 함께 감압 밸브(53)를 구성하는 감압 밸브 부재(52)를 포함한다. 밸브 요소(51) 및 감압 밸브 부재(52)에는 중간 연통 통로(55)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연통 통로(55)는 감압 밸브(53)의 개폐에 의해 제어 포트(14)와 흡입 포트(13) 사이를 연통한다. 감압 밸브 부재(52)에는 중간 연통 통로(55)와 연통하는 관통공(52d)이 형성되어 있고, 메인 밸브(50)의 개방에 의해 생성된 유체 유동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52)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여 관통공(52d)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부재(90)가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용량 제어 밸브
[0001]
본 발명은, 작동 유체의 용량 또는 압력을 가변 제어하기 위한 용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자동차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토출량을 압력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용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0002]
자동차 등의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는,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 사판, 사판에 연결된 압축 피스톤을 포함한다. 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용량 가변형 압축기는 피스톤의 스트로크량을 변화시켜 유체 토출량을 제어한다. 전자력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용량 제어 밸브를 사용하여,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실의 흡입 압력(Ps), 피스톤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실의 토출 압력(Pd), 사판을 수용하는 제어실의 제어 압력(Pc)을 이용하면서, 제어실 내의 압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사판의 경사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특허문헌1 참조).
[0003]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연속 구동중(이하, 단순히 “연속 구동중” 이라고 표기할 경우도 있음), 용량 제어 밸브는, 제어 컴퓨터에 의해 통전 제어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밸브 요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메인 밸브를 개폐하고, 토출실의 압력을 제어실로 공급함으로써 제어 압력(Pc)을 조정하는 노멀 제어를 행하고 있다.
[0004]
용량 제어 밸브의 노멀 제어중에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제어실의 압력이 적절히 제어된다. 회전축에 대한 사판의 경사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피스톤의 스트로크량을 변화시켜 토출실에 대한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여, 공조 시스템이 소망하는 냉각 능력을 갖도록 조정한다. 용량 가변형 압축기가 최대 용량으로 구동되면, 용량 제어 밸브의 메인 밸브가 폐쇄되어 제어실의 압력을 감소시켜,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화된다.
[0005]
또한, 용량 제어 밸브의 제어 포트와 흡입 포트 사이를 연통하는 보조 연통 통로를 형성하여, 시동시에,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제어실 내의 냉매를 제어 포트, 보조 연통 통로, 및 흡입 포트를 통해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흡입실로 토출시켜 시동시의 제어실의 압력을 신속하게 감소시켜서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0006]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보 제5167121호(7 페이지, 도 2)
[0007]
특허문헌 1에서는, 시동시에 유체 토출 기능이 우수하다. 그러나,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연속 구동 중, 보조 연통 통로가 포트들을 연결하기 때문에 냉매가 제어 포트로부터 흡입 포트로 흘러서 냉매 유동이 증가한다. 이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작동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0008]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동시에 유체 토출 기능을 가지면서도 작동 효율이 양호한 용량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9]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용량 제어 밸브는, 토출 포트, 흡입 포트 및 제어 포트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 메인 밸브 시트와 접촉 및 분리되는 메인 밸브를 구성하여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토출 포트와 상기 제어 포트 사이의 연통을 개폐하는 밸브 요소, 주변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감압 밸브(pressure-sensitive valve), 및 상기 밸브 요소로부터 감압실로 연장되고, 감압 요소와 함께 상기 감압 밸브를 구성하는 감압 밸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요소 및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는 중간 연통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연통 통로는 상기 감압 밸브의 개폐에 의해 상기 제어 포트와 상기 흡입 포트 사이를 연통하고,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는 상기 중간 연통 통로와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생성된 유체 유동에 의해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부재가 제공되어 있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시동시에 그리고 최대 통전 상태에서 메인 밸브가 폐쇄되고, 슬라이딩 부재가 개방되어 제어 포트와 흡입 포트를 연결하여, 제어 압력이 신속하게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밸브가 통전 상태로 제어되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가 폐쇄되어 제어 포트와 흡입 포트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여, 제어 포트로부터 흡입 포트로의 유체 유동이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용량 가변형 압축기는 시동시에 있어서의 액체 냉매의 토출 및 작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0010]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밸브를 향하는 수용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는 메인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생성되는 유체 유동에 의해 용이하게 작동한다.
[0011]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수용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요소의 왕복동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유체는 메인 밸브의 개방에 의해 토출 포트로부터 제어 포트를 향해 용이하게 흐른다.
[0012]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수용면의 이면측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메인 밸브측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를 간단한 구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0013]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바람직하게는 개폐 단부 부분의 메인 밸브측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와 감압 밸브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고, 공간의 내부와 감압실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기 쉽지 않아서, 슬라이딩 부재가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0014]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가 소정 거리 이상으로 슬라이딩할 때까지 관통공이 폐쇄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가 진동 등의 외란에 의해 약간 슬라이딩해도 관통공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량 제어 밸브는 외란에 강하고 제어 정확도가 뛰어나다.
[0015]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밸브 요소와 상기 감압 밸브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별체이고, 상기 밸브 요소에는 바람직하게는 밸브 요소측으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간단한 구조로 제한할 수 있다.
[0016]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 중 하나이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큰 유로 단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0017]
[도 1]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용량 제어 밸브가 조입된 사판 용량 가변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의 관통공이 폐쇄되고 메인 밸브가 개방되는 비통전 상태의 제 1 실시형태의 용량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의 관통공이 폐쇄되고 메인 밸브가 개방되는 비통전 상태의 제 1 실시형태의 용량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도 2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의 관통공이 개방되고 메인 밸브가 폐쇄되는 통전 상태의 제 1 실시형태의 용량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의 관통공이 개방되고 메인 밸브가 폐쇄되는 통전 상태의 제 1 실시형태의 용량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도 4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의 관통공이 폐쇄되고 메인 밸브가 개방되는 비통전 상태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용량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0018]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제어 밸브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0019]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용량 제어 밸브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2의 정면측으로부터 보아 좌우측을 용량 제어 밸브의 좌우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0020]
본 발명의 용량 제어 밸브(V)는, 자동차 등의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 조입되고, 냉매인 작동 유체(이하, 단순히 「유체」라고 표기함)의 압력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토출량을 제어하여 공조 시스템을 소망하는 냉각 능력을 갖도록 조정하고 있다.
[0021]
먼저,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 가변형 압축기(M)는, 토출실(2), 흡입실(3), 제어실(4), 및 복수의 실린더(4a)를 구비하는 케이싱(1)을 갖고 있다. 또한,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는, 제어실(4)과 흡입실(3)을 직접 연결하는 도시되지 않은 연통 통로가 제공되어 있다. 이 연통 통로에는, 흡입실(3)과 제어실(4) 사이의 압력 평형을 조정하기 위한 고정 오리피스가 제공되어 있다.
[0022]
또한, 용량 가변형 압축기(M)는, 케이싱(1)의 외부에 설치되는 도시되지 않은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5), 제어실(4) 내에 있어서 회전축(5)에 대하여 힌지 기구(8)에 의해 편심 상태로 연결되는 사판(6), 및 사판(6)에 연결되고 각각의 실린더(4a) 내에 있어서 왕복동이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복수의 피스톤(7)을 구비한다. 전자력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용량 제어 밸브(V)를 사용하여, 용량 가변형 압축기(M)는,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실(3)의 흡입 압력(Ps), 피스톤(7)에 의해 가압된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실(2)의 토출 압력(Pd), 사판(6)을 수용한 제어실(4)의 제어 압력(Pc)을 이용하면서, 제어실(4) 내의 압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사판(6)의 경사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피스톤(7)의 스트로크량을 변화시켜 유체의 토출량을 제어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은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 조입된 용량 제어 밸브(V)를 나타내지 않는다.
[0023]
구체적으로는, 제어실(4)의 제어 압력(Pc)이 높을수록, 회전축(5)에 대한 사판(6)의 경사 각도가 작아져, 피스톤(7)의 스트로크량이 감소한다.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에서, 사판(6)은 회전축(5)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수직 위치로부터 약간 기울어진 위치)이 된다. 이때, 피스톤(7)은 최소 스트로크량을 가지며, 피스톤(7)이 실린더(4a) 내의 유체에 최소 압력을 가하여, 토출실(2)로의 유체의 토출량이 감소되어, 공조 시스템의 냉각 능력이 최소가 된다. 한편, 제어실(4)의 제어 압력(Pc)이 낮을수록, 회전축(5)에 대한 사판(6)의 경사 각도가 커져, 피스톤(7)의 스트로크량이 증가한다. 일정 수준 이하의 압력에서, 사판(6)은 회전축(5)에 대해서 최대 경사 각도가 된다. 이때, 피스톤(7)은 최대 스트로크량을 가지며, 피스톤(7)이 실린더(4a) 내의 유체에 최대 압력을 가하여, 토출실(2)로의 유체의 토출량이 증가되어, 공조 시스템의 냉각 능력이 최대가 된다.
[002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 가변형 압축기(M)에 조입되는 용량 제어 밸브(V)는, 솔레노이드(80)의 일부를 구성하는 코일(86)을 통과하는 전류를 조정하고, 용량 제어 밸브(V)에 있어서의 메인 밸브(50) 및 서브 밸브(54)의 개폐 제어를 행하고, 주변 유체 압력에 따라 감압 밸브(53)의 개폐 제어를 행하고, 제어실(4)에 유입되거나 제어실(4)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제어함으로써, 제어실(4) 내의 제어 압력(Pc)을 가변 제어하고 있다.
[0025]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인 밸브(50)는, 밸브 요소로서의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밸브 하우징(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경측으로 돌출하는 단면시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의 환형 돌출부(10c)에 형성된 메인 밸브 시트(10a)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축방향 좌측 단부(51a)가 메인 밸브 시트(10a)에 접촉, 분리된다. 서브 밸브(54)는 고정 코어(82)의 개방 단부면(축방향 좌측 단부면)에 형성된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서브 밸브 시트(82a)로 구성된다. 축방향 우측의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스텝(51b)은 서브 밸브 시트(82a)와 접촉, 분리된다. 감압 밸브(53)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축방향 좌측 단부에 형성된 감압 밸브 시트(52a) 및 감압 요소(60)의 어댑터(70)로 구성된다. 어댑터(70)의 축방향 우측 단부(70a)는 감압 밸브 시트(52a)와 접촉, 분리된다.
[0026]
이어서, 용량 제어 밸브(V)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 제어 밸브(V)는,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밸브 하우징(10), 밸브 하우징(10) 내에 축방향 왕복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감압 밸브 부재(52), 주변 유체 압력에 따라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감압 밸브 부재(52)에 축방향 우측으로의 편향력을 인가하는 감압 요소(60), 밸브 하우징(10)에 연결되어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감압 밸브 부재(52)에 구동력을 가하는 솔레노이드(80), 및 메인 밸브(50)의 개방에 의해 생성된 유체 유동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52)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제공된 슬라이딩 부재(9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90)는 흡입 압력(Ps) 하의 서브 밸브 체스트(30)와 제어 압력(Pc) 하의 감압실(40) 사이의 유로를 그의 왕복동에 의해 개폐하고, 따라서 감압 밸브 부재(52)와 함께 CS 밸브를 구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0027]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80)는 축방향 좌측으로 개방되는 개구(81a)를 갖는 케이싱(81), 좌측으로부터 케이싱(81)의 개구(81a)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케이싱(81)의 내경측에 고정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의 고정 코어(82), 고정 코어(82)의 내경측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왕복동할 수 있고 그 축방향 좌측 단부 부분에서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에 연결 및 고정되는 구동 로드(83), 구동 로드(83)의 축방향 우측 단부 부분에 고정된 가동 코어(84), 고정 코어(82)와 가동 코어(84) 사이에 제공되고 가동 코어(84)를 축방향 우측으로 편향시키는 코일 스프링(85), 및 보빈을 통해 고정 코어(82)의 외부에 감겨진 여자 코일(86)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0028]
케이싱(81)에는 축방향 좌측 단부의 지름방향 중심으로부터 축방향 우측으로 리세스가공된 오목부(81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1b)에는, 밸브 하우징(10)의 축방향 우측 단부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0029]
고정 코어(82)는, 철이나 규소강 등의 자성 재료인 강체로 형성되고, 구동 로드(83)가 삽입되는 삽입공(82c)이 형성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부분(82b), 및 원통형 부분(82b)의 축방향 좌측 단부 부분의 외주면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플랜지(82d)를 구비하고 있고, 원통형 부분(82b)의 축방향 좌측 단부의 지름방향 중심으로부터 축방향 우측으로 리세스가공된 오목부(82e)가 형성되어 있다.
[00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0)은 구획 조정 부재(11)가 그 축방향 좌측 단부 부분에 압입되어 있는 바닥있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이다. 밸브 하우징(10)에서,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감압 밸브 부재(52)는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 하우징(10)의 내주면의 일부에는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외주면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소경 안내면(10b)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 조정 부재(11)는 밸브 하우징(10)에서의 축방향 배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감압 요소(60)의 편향력을 조정할 수 있다.
[0031]
밸브 하우징(10)에는,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축방향 좌측 단부(51a)측이 배치된 메인 밸브 체스트(20),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배압측(축방향 우측)에 형성된 서브 밸브 체스트(30), 및 메인 밸브 체스트(20)에 대해 서브 밸브 체스트(30)의 반대 위치에 형성된 감압실(40)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 밸브 체스트(30)는 배압측의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외주면, 고정 코어(82)의 오목부(82e) 및 개방 단부면(축방향 좌측 단부면), 및 안내면(10b)의 축방향 우측의 밸브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0032]
밸브 하우징(10)에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토출실(2)과 메인 밸브 체스트(20)를 연결하기 위한 토출 포트 역할을 하는 Pd 포트(12),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흡입실(3)과 서브 밸브 체스트(30)를 연결하기 위한 흡입 포트 역할을 하는 Ps 포트(13), 및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제어실(4)과 감압실(40)을 연결하기 위한 제어 포트 역할을 하는 Pc 포트(14)가 형성되어 있다.
[003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 요소(60)는 코일 스프링(62)이 내장된 벨로우즈 코어(61), 및 벨로우즈 코어(61)의 축방향 우측 단부 부분에 형성된 어댑터(70)로 주로 구성된다. 벨로우즈 코어(61)의 축방향 좌측 단부는 구획 조정 부재(11)에 고정되어 있다.
[0034]
감압 요소(60)는 감압실(40)에 배치되고, 주변 유체 압력으로서 작용하는 서브 밸브 체스트(30)의 흡입 압력(Ps)에 따라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감압 밸브 부재(52)에 축방향 우측 편향력 및 어댑터(70)를 축방향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편향력의 합력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며, 그럼으로써 어댑터(70)의 축방향 우측 단부(70a)가 감압 밸브 부재(52)의 감압 밸브 시트(52a)에 착좌되도록 한다. 중간 연통 통로(55)의 흡입 압력(Ps)이 높을 때, 감압 요소(60)는 주변 유체 압력 하에서 수축하여, 어댑터(70)의 축방향 우측 단부(70a)를 감압 밸브 부재(52)의 감압 밸브 시트(52a)로부터 분리하도록 작동하며, 그에 따라 감압 밸브(53)가 개방되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서브 밸브 체스트(30)의 흡입 압력(Ps)이 높을 때, 제어 압력(Pc)은 중간 연통 통로(55) 및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복수의 관통공(51c)을 통해 서브 밸브 체스트(30)로 신속하게 방출될 수 있다.
[0035]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서브 밸브 요소(51)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축방향 좌측 단부에는 별체인 감압 밸브 부재(52)가 연결 및 고정되고, 그 축방향 우측 단부에는 구동 로드(83)가 연결 및 고정된다. 이들은 일체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감압 밸브 부재(52)에서, 이들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연통 통로(55)는 중공 구멍들이 연결됨으로써 형성된다. 중간 연통 통로(55)는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축방향 우측 단부 부분에서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공(51c)을 통해 서브 밸브 체스트(30)와 연통한다.
[0036]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 밸브 부재(52)는, 편향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코일 스프링(91)이 외부적으로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에 연결 및 고정된 소경 장착 부분(52b), 장착 부분(52b)의 축방향 좌측에서 장착 부분(52b)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고, 후술하는 슬라이딩 부재(90)의 개폐 단부 부분(90d)에 의해 개폐되고 중간 연통 통로(55)와 연통하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된 복수의 관통공(52d)을 구비한 슬라이딩 접촉 부분(52c), 및 슬라이딩 접촉 부분(52c)의 축방향 좌측에서 슬라이딩 접촉 부분(52c)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고, 어댑터(70)의 축방향 우측 단부(70a)와 접촉 및 분리되는 감압 밸브 시트(52a)가 형성된 맞닿음 부분(52e)을 가지고, 단차형 원통 형상 및 측면시 실질적으로 배터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 부분(52e)에는 지름방향으로 관통연장되고 감압실(40)과 중간 연통 통로(55)를 연결하는 보조 연통공(52f)이 제공된다. 보조 연통공(52f)은 Pc-Ps 연통 통로(도 3 및 도 5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됨)를 형성하며, 그럼으로써 흡입실(3)과 제어실(4) 사이의 압력 균형을 조정하기 위한 고정 오리피스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감압실(40) 내의 제어 압력(Pc)은 중간 연통 통로(55)로 유입된다. 그러므로, 보조 연통공(52f)의 유로 단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중간 연통 통로(55)가 일반적으로 흡입 압력(Ps) 하에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보조 연통공(52f)이 반드시 제공될 필요는 없다.
[0037]
코일 스프링(91)의 축방향 좌측 단부는 축방향 좌측 단부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 부분(52b)의 측면(52g)에 맞닿고, 코일 스프링(91)의 축방향 우측 단부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장착 부분(52b)과 슬라이딩 접촉 부분(52c)에 외부적으로 끼워맞춰진 슬라이딩 부재(90)의 내면(후술하는 환형 표면(90f))에 맞닿아, 슬라이딩 부재(90)를 축방향 우측(메인 밸브(50)측)으로 편향시킨다. 코일 스프링(91)은 압축 스프링이고, 그 외주는 슬라이딩 부재(90)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약간 거리를 두고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91)의 외주는 슬라이딩 부재(90)의 내주면에 의해 안내될 수도 있고, 코일 스프링(91)의 내주는 감압 밸브 부재(52)(장착 부분(52b))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약간 거리를 두고 있을 수도 있다.
[0038]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90)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장착 부분(52b)에 외부적으로 끼워맞춰진 소경의 제 1 원통형 부분(90a), 직경이 확장되면서 제 1 원통형 부분(90a)의 축방향 좌측 단부로부터 축방향 좌측으로 연장되는 테이퍼형 부분(90b), 및 테이퍼형 부분(90b)의 축방향 좌측에서 제 1 원통형 부분(90a)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고 메인 밸브(50)에 대향하는 축방향 좌측 단부측에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단부 부분(90d)이 형성된 제 2 원통형 부분(90c)을 가지고, 단차형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을 갖는다. 슬라이딩 부재(90)의 테이퍼형 부분(90b)의 외주는 축방향 우측을(메인 밸브(50)쪽을) 향하고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슬라이딩 부재(90)의 왕복동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수용면(90e)을 구성한다. 수용면(90e)은 일 예로서 측면시 선형 경사로 설명했지만, 수용면(90e)은 측면시 곡선형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0039]
슬라이딩 부재(90)는, 제 2 원통형 부분(90c)의 내경이 제 1 원통형 부분(90a)의 내경보다 크고, 제 1 원통형 부분(90a)의 내주면의 축방향 좌측 단부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테이퍼형 부분(90b)(수용면(90e))의 축방향 중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축방향 위치에서 연속되도록 직각으로 교차하는 환형면(90f)이 형성된 단차형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내측을 갖는다. 즉, 환형면(90f)은 수용면(90e)의 이면(내주측)에 형성된다. 제 1 원통형 부분(90a)의 내주면과 감압 밸브 부재(52)의 장착 부분(52b)의 외주면, 및 제 2 원통형 부분(90c)의 내주면과 감압 밸브 부재(52)의 슬라이딩 접촉 부분(52c)의 외주면은 서로 약간의 거리를 두고 지름방향으로 배열되어 그들 사이에 미세한 갭을 형성함에 유의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90)는 감압 밸브 부재(52)에 대해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상대 이동할 수 있다.
[0040]
슬라이딩 부재(90)에는, 그 축방향 우측 단부, 즉 제 1 원통형 부분(90a)의 축방향 우측 단부에,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이 개폐 단부 부분(90d)에 의해 개방될 때에(도 4 및 도 5 참조)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축방향 좌측 단부면에서 스토퍼(51d)와 맞닿는 단부면 부분(90g)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축방향 좌측 단부, 즉 제 2 원통형 부분(90c)의 축방향 좌측 단부에,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이 개폐 단부 부분(90d)에 의해 폐쇄될 때에(도 2 및 도 3 참조) 축방향 좌측 단부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슬라이딩 접촉 부분(52c)의 측면(52h)에 맞닿을 수 있는 단부면(90h)이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서, 개폐 단부 부분(90d)에 의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의 개방시 및 폐쇄시의 슬라이딩 부재(90)의 축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0041]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은 슬라이딩 접촉 부분(52c)의 축방향 좌측 단부(측면(52h))의 축방향 우측에 형성됨에 유의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90)(개폐 단부 부분(90d))의 축방향 좌측 단부에서의 단부면(90h)이 감압 밸브 부재(52)의 측면(52h)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관통공(52d)의 축방향 좌측 개구 에지의 축방향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개폐 단부 부분(90d)은 관통공(52d)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관통공(52d)상에 지름방향으로 배치된다.
[0042]
다음으로, 작동, 주로 슬라이딩 부재(90)에 의한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에 대한 개폐 기구의 작동을 시동시 및 노멀 제어 동안의 순서로 설명한다.
[0043]
먼저, 시동시의 작동을 설명한다. 용량 가변형 압축기(M)가 장기간 사용되지 않고 방치된 후, 토출 압력(Pd), 제어 압력(Pc) 및 흡입 압력(Ps)은 실질적으로 평형 상태에 있다. 비통전 상태의 용량 제어 밸브(V)에 있어서, 가동 코어(84)는 솔레노이드(80)의 일부를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85)의 편향력에 의해 축방향 우측으로 압압되어서, 구동 로드(83), 메인-서브 밸브 요소(51), 및 감압 밸브 부재(52)가 축방향 우측으로 이동하고,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축방향 우측의 스텝(51b)이 고정 코어(82)의 서브 밸브 시트(82a)에 착좌되어, 서브 밸브(54)가 폐쇄되고,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의 축방향 좌측 단부(51a)가 밸브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메인 밸브 시트(10a)로부터 분리되어, 메인 밸브(50)가 개방된다. 이때, 슬라이딩 부재(90)는 축방향 우측에 위치하여,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이 개방된다.
[0044]
용량 가변형 압축기(M)를 시동하고 용량 제어 밸브(V)를 통전 상태로 만들면, 메인 밸브(50)가 폐쇄되고 서브 밸브(54)가 개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90)는 축방향 우측에 위치하므로, 제어실(4)로부터 감압실(40)(Pc 포트(14)), 관통공(52d), 중간 연통 통로(55), 및 서브 밸브 체스트(30)(Ps 포트(13))를 통해 흡입실(3)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다. 제어실(4) 내의 액화 유체는 단시간에 토출되어 시동시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90)가 관통공(52d)을 개방할 때에, 감압실(40)은 관통공(52d) 및 보조 연통공(52f)을 통해 중간 연통 통로(55)와 연통하여, 유체 유동이 허용된다(도 5에 실선 화살표 및 점선 화살표로 표시됨).
[0045]
다음으로, 노멀 제어 중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노멀 제어중, 용량 제어 밸브(V)에 의한 듀티 제어 하에서, 메인 밸브(50)의 개방도 및 개방 시간이 조정되어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유량이 제어된다. 이 때, 슬라이딩 부재(90)는 메인 밸브(50)의 개방에 의해 생성된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유동을 수용면(90e)에서 수용하여(도 3에 실선 화살표로 표시됨), 슬라이딩 부재(90)를 축방향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힘(도 3에 흰색 화살표로 표시 됨)이 슬라이딩 부재(90)에 작용한다. 슬라이딩 부재(90)가 코일 스프링(91)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축방향 좌측으로 이동하여, 개폐 단부 부분(90d)에 의해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이 폐쇄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노멀 제어 중에 관통공(52d)이 폐쇄되기 때문에, 제어실(4)로부터 감압실(40)(Pc 포트(14)), 관통공(52d), 중간 연통 통로(55), 및 서브 밸브 체스트(30)(Ps 포트(13))를 통한 흡입실(3)로의 유로가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어실(4)로부터 흡입실(3)로의 냉매 유동이 감소하여,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작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0046]
용량 가변형 압축기(M)가 최대 용량으로 구동될 때, 용량 제어 밸브(V)를 최대-듀티 통전 상태로 함으로써, 메인 밸브(50)가 폐쇄되고, 슬라이딩 부재(90)가 축방향 우측으로 이동하여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이 개방되어 제어실(4)(Pc 포트(14))과 흡입실(3)(Ps 포트(13)) 사이가 연통된다. 따라서, 제어 압력(Pc)을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제어실(4)의 실린더(4a) 내의 피스톤(7)이 급격하게 변할 수 있게 하며, 그럼으로써 최대 용량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 효율을 향상시킨다.
[0047]
용량 제어 밸브(V)에 의한 듀티 제어 하에서, 메인 밸브(50)의 개방도 및 개방 시간이 조정되어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유량이 제어되고,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90)의 축방향 좌측으로의 이동이 조정되어,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의 개방도를 슬라이딩 부재(90)의 개폐 단부 부분(90d)에 의해 조정할 수 수 있다. 따라서, 제어실(4)(Pc 포트(14))로부터 흡입실(3)(Ps 포트(13))로의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0048]
비통전 상태의 용량 제어 밸브(V)에 있어서, 축방향 우측을(메인 밸브(50) 쪽을) 향하는 슬라이딩 부재(90)의 수용면(90e)이 메인 밸브(50)의 개방에 의해 생성되는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의 유동을 수용하여, 슬라이딩 부재(90)를 축방향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슬라이딩 부재(90)에 용이하게 작용되게 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90)는 용이하게 작동한다.
[0049]
비통전 상태의 용량 제어 밸브(V)에 있어서,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와 슬라이딩 부재(90)의 왕복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슬라이딩 부재(90)의 수용면(90e)은 메인 밸브(50)의 개방에 의해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 유동의 생성을 용이하게 한다.
[0050]
밸브 하우징(10)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90)는 메인 밸브(50)의 일부를 구성하는 메인 밸브 시트(10a)가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10c)의 내주면을 따라 근접하게 배치된 테이퍼형 부분(90b) 및 제 1 원통형 부분(90a)의 외주면을 가지며, 따라서 메인 밸브 체스트(20)와 감압실(40) 사이에 비교적 좁은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메인 밸브(50)의 개방에 의해, Pd 포트(12)로부터 Pc 포트(14)로의 유체 유동이 한층 더 용이하게 생성된다.
[0051]
슬라이딩 부재(90)를 축방향 우측으로(메인 밸브(50)쪽으로) 편향시키는 코일 스프링(91)이 슬라이딩 부재(90)의 수용면(90e)의 이면(내주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90)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축방향으로 왕복동될 수 있다.
[0052]
단부면(90h)이 감압 밸브 부재(52)의 측면(52h)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슬라이딩 부재(90)가 축방향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슬라이딩할 때까지 슬라이딩 부재(90)는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을 개폐 단부 부분(90d)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 등의 외란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90)가 약간 슬라이딩해도, 감압 밸브 부재(52)의 관통공(52d)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량 제어 밸브(V)는 외란에 강하고, 제어 정확도가 우수하다.
[0053]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와 감압 밸브 부재(52)는 별체이고,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에는 슬라이딩 부재(90)의 축방향 우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1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90)의 축방향 이동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한할 수 있다.
[0054]
복수의 관통공(52d)이 감압 밸브 부재(52)에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어실(4)(Pc 포트(14))로부터 흡입실(3)(Ps 포트(13))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큰 유로 단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관통공(52d)이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90)의 스트로크를 단축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0055]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용량 제어 밸브에 대해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중복 설명없이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문자가 부여된다.
[0056]
제 2 실시형태의 용량 제어 밸브(V)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감압 밸브 부재(152)는, 코일 스프링(91)이 외부적으로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에 연결 및 고정된 소경 장착 부분(152b), 장착 부분(152b)의 축방향 좌측에서 장착 부분(152b)보다 큰 직경을 갖고서 형성되고, 슬라이딩 부재(190)의 개폐 단부 부분(190d)에 의해 개폐되고 중간 연통 통로(55)와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공(152d)을 구비한 슬라이딩 접촉 부분(152c), 및 슬라이딩 접촉 부분(152c)의 축방향 좌측에서 슬라이딩 접촉 부분(152c)보다 큰 직경을 갖고서 형성되고, 어댑터(70)의 축방향 우측 단부(70a)와 접촉 및 분리되는 감압 밸브 시트(152a)가 형성된 맞닿음 부분(152e)을 가지고, 단차형 원통 형상 및 측면시 실질적으로 배터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0057]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90)에는 제 2 원통형 부분(190c)의 축방향 우측 단부 부분에, 구체적으로는 감압 밸브 부재(152)의 관통공(152d)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단부 부분(190d)의 축방향 우측(메인 밸브(50)측)의 위치에, 지름방향으로 관통연장되는 통기공(192)이 제공된다. 통기공(192)은 슬라이딩 부재(190)와 감압 밸브 부재(15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공간에 코일 스프링(91)이 배치됨)과 감압실(40) 사이를 연통한다.
[0058]
이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190)와 감압 밸브 부재(15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유체가 슬라이딩 부재(190)의 왕복동에 의해 통기공(192)을 통해 감압실(40) 안팎으로 유동하게 되고(도 6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됨), 따라서 공간의 내부와 감압실(40)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는 경향이 적어, 슬라이딩 부재(190)에 대한 압력차의 영향(밸브-폐쇄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줄어들고,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190)는 원활하게 왕복동할 수 있게 된다.
[0059]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도면에 의해 설명했지만, 그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어떠한 변경 및 추가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0060]
예를 들어, 이들 실시형태는 슬라이딩 부재를 감압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왕복동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슬라이딩 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슬라이딩하면서 감압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왕복동하는 것일 수 있다.
[0061]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와 감압 밸브 부재(52)가 별체로 형성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대안적으로, 둘은 하나의 본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0062]
슬라이딩 부재의 수용면은 메인-서브 밸브 요소(51)와 슬라이딩 부재의 왕복동 방향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0063]
슬라이딩 부재는 어댑터(70)에 의해 왕복동 가능하게 안내될 수도 있다.
[0064]
고정 오리피스 및 용량 가변형 압축기(M)의 흡입실(3)과 제어실(4)을 직접 연결하는 연통 통로가 반드시 제공될 필요는 없다.
[0065]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서브 밸브가 반드시 제공될 필요는 없다. 메인-서브 밸브 요소의 축방향 우측에 있는 스텝은 축방향 부하를 받기 위한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기만 하면 되며, 반드시 밀봉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다.
[0066]
서브 밸브 체스트(30)는 솔레노이드(80)와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감압실(40)은 솔레노이드(80)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0067]
코일 스프링(91)은 압축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인장 스프링일 수도 있고, 코일 형상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0068]
감압 요소(60)는 내부에 코일 스프링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0069]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실시형태의 통기공(192)이 제공될 수도 있다.
[0070]
1 케이싱
2 토출실
3 흡입실
4 제어실
10 밸브 하우징
10a 메인 밸브 시트
10c 환형 돌출부
11 구획 조정 부재
12 Pd 포트(토출 포트)
13 Ps 포트(흡입 포트)
14 Pc 포트(제어 포트)
20 메인 밸브 체스트
30 서브 밸브 체스트
40 감압실
50 메인 밸브
51 메인-서브 밸브 요소(밸브 요소)
51c 관통공
51d 스토퍼
52 감압 밸브 부재
52a 감압 밸브 시트
52b 장착 부분
52c 슬라이딩 접촉 부분
52d 관통공
52e 맞닿음 부분
52f 보조 연통공
52g, 52h 측면
53 감압 밸브
54 서브 밸브
55 중간 연통 통로
60 감압 요소
61 벨로우즈 코어
62 코일 스프링
70 어댑터
80 솔레노이드
82 고정 코어
82a 서브 밸브 시트
90 슬라이딩 부재
90a 제 1 원통형 부분
90b 테이퍼형 부분
90c 제 2 원통형 부분
90d 개폐 단부 부분
90e 수용면
90f 환형면
90g, 90h 단부면
91 코일 스프링(편향 부재)
152 감압 밸브 부재
190 슬라이딩 부재
192 통기공
Pc 제어 압력
Pd 토출 압력
Ps 흡입 압력
V 용량 제어 밸브

Claims (8)

  1. 토출 포트, 흡입 포트 및 제어 포트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
    메인 밸브 시트와 접촉 및 분리되는 메인 밸브를 구성하여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토출 포트와 상기 제어 포트 사이의 연통을 개폐하는 밸브 요소,
    주변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감압 밸브, 및
    상기 밸브 요소로부터 감압실로 연장되고, 감압 요소와 함께 상기 감압 밸브를 구성하는 감압 밸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요소 및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는 중간 연통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연통 통로는 상기 감압 밸브의 개폐에 의해 상기 제어 포트와 상기 흡입 포트 사이를 연통하고,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는 상기 중간 연통 통로와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생성된 유체 유동에 의해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메인 밸브를 향하는 수용면이 형성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면은 상기 밸브 요소의 왕복동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용량 제어 밸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면의 이면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메인 밸브 쪽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개폐 단부 부분의 메인 밸브 측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요소와 상기 감압 밸브 부재는 별체이고, 상기 밸브 요소에는 바람직하게는 밸브 요소측으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용량 제어 밸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감압 밸브 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들 중 하나인 용량 제어 밸브.
KR1020217021426A 2018-12-13 2019-11-20 용량 제어 밸브 KR20210099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19,570 US11053933B2 (en) 2018-12-13 2018-12-13 Displacement control valve
US16/219,570 2018-12-13
PCT/JP2019/045435 WO2020121764A1 (en) 2018-12-13 2019-11-20 Displacement control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639A true KR20210099639A (ko) 2021-08-12

Family

ID=7107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426A KR20210099639A (ko) 2018-12-13 2019-11-20 용량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53933B2 (ko)
EP (1) EP3894704B1 (ko)
JP (1) JP7066063B2 (ko)
KR (1) KR20210099639A (ko)
CN (1) CN113474553B8 (ko)
BR (1) BR112021011341A2 (ko)
WO (1) WO2020121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2484B1 (en) 2018-07-12 2023-10-11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CN115306669A (zh) 2018-07-12 2022-11-08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EP3822483B1 (en) 2018-07-12 2024-04-03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JP7191957B2 (ja) 2018-07-13 2022-12-19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CN112534136A (zh) 2018-08-08 2021-03-19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WO2020032089A1 (ja) 2018-08-08 2020-02-1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JP7286672B2 (ja) * 2018-11-07 2023-06-0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EP3892856B1 (en) 2018-12-04 2024-03-27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WO2020179597A1 (ja) 2019-03-01 2020-09-1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EP3951172A4 (en) 2019-04-03 2022-11-16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KR20210136128A (ko) 2019-04-03 2021-11-16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용량 제어 밸브
CN115427684A (zh) * 2020-04-23 2022-12-02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EP4160015A1 (en) * 2020-05-25 2023-04-05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US20230194007A1 (en) * 2020-05-25 2023-06-22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7121A (en) 1991-06-25 1992-12-01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oportional hydraulic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7512A (ja) * 2006-03-15 2007-09-27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弁
US8079827B2 (en) 2006-03-15 2011-12-20 Eagle Industry Co., Ltd. Displacement control valve
CN102667154B (zh) * 2009-11-24 2015-01-21 (学)斗源学院 用于变排量压缩机的排量控制阀
EP2549106B1 (en) * 2010-03-16 2019-10-16 Eagle Industry Co., Ltd. Volume control valve
JP5665722B2 (ja) * 2011-11-17 2015-02-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制御弁
JP6495634B2 (ja) * 2014-12-02 2019-04-03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US11873804B2 (en) * 2018-02-27 2024-01-16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7121A (en) 1991-06-25 1992-12-01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oportional hydraulic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53933B2 (en) 2021-07-06
CN113474553B (zh) 2023-05-26
BR112021011341A2 (pt) 2021-08-31
CN113474553B8 (zh) 2023-06-27
EP3894704A4 (en) 2022-07-06
EP3894704A1 (en) 2021-10-20
US20200191139A1 (en) 2020-06-18
CN113474553A (zh) 2021-10-01
JP2022510232A (ja) 2022-01-26
JP7066063B2 (ja) 2022-05-12
WO2020121764A1 (en) 2020-06-18
EP3894704B1 (en)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9639A (ko) 용량 제어 밸브
JP7139084B2 (ja) 容量制御弁
JP7191957B2 (ja) 容量制御弁
EP3835578A1 (en) Capacity control valve
JP7162995B2 (ja) 容量制御弁
JP7220962B2 (ja) 容量制御弁
KR102596905B1 (ko) 용량 제어 밸브
EP3822482A1 (en) Capacity control valve
EP3754191A1 (en) Capacity control valve
WO2021241477A1 (ja) 容量制御弁
EP3822483A1 (en) Capacity control valve
EP4141259A1 (en) Capacity control valve
JPWO2020032088A1 (ja) 容量制御弁
JP7358022B2 (ja) 容量制御弁
EP4160015A1 (en) Capacity control valve
KR102603184B1 (ko) 용량 제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