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634A -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634A
KR20210099634A KR1020217021242A KR20217021242A KR20210099634A KR 20210099634 A KR20210099634 A KR 20210099634A KR 1020217021242 A KR1020217021242 A KR 1020217021242A KR 20217021242 A KR20217021242 A KR 20217021242A KR 20210099634 A KR20210099634 A KR 20210099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insert
preform
mol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328B1 (ko
Inventor
데렉 로버트슨 맥레디
Original Assignee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1Modular mould systems [MMS], i.e. moulds built up by stacking mould elements, e.g. plates, blocks,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6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29C45/2675Mounting of exchangeable moul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2Moulds having several axially spaced mould cavities, i.e. for making several separ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8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코어 플레이트(210), 공동 플레이트(410) 및 코어 플레이트(210)와 공동 플레이트(410) 사이에 장착된 다수의 몰드 스택(MS)을 포함하는 프리폼 몰드(100). 각각의 몰드 스택(MS)은 코어 플레이트(210)에 장착되는 코어 인서트(250), 공동 플레이트(410)에 장착되는 공동 인서트(440), 및 코어 인서트(250)와 공동 인서트(440) 사이에 장착되는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를 포함한다. 코어 인서트(250)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측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체결구에 의해 코어 플레이트(210)에 장착된다. 몰드(100)가 조립될 때, 코어 인서트(250)는 그것이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조건으로 체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코어 인서트(250)가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정착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250)를 고정함으로써 코어 인서트(250)를 정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몰딩 장치 및 연관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본 발명은 몰드 스택, 몰드 조립체, 몰드, 몰딩 프리폼 및 다른 물품, 예를 들면 튜브형 물품을 위한 몰딩 시스템, 및 연관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몰딩은 몰딩된 물품이 몰딩 시스템,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시스템 또는 압축 몰딩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몰딩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프로세스이다. 다양한 몰딩된 물품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프리폼을 포함하는 그러한 몰딩 프로세스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프리폼은 차후에 용기, 예를 들면 음료 용기, 보틀, 캔 등으로 블로잉될 수 있다.
예시와 같이, 프리폼의 사출 성형은 균질한 용융된 상태로 PET 재료(또는 그러한 물질을 위한 다른 적절한 몰딩 재료)를 가열하고, 압력 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형 공동 피스 및 수형 코어 피스에 의해 규정된 몰딩 공동 내로 그와 같이-용융된 재료를 사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암형 공동 피스는 공동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수형 코어 피스는 몰드의 코어 플레이트에 장착된다. 공동 플레이트 및 코어 플레이트는 함께 압박되고 클램프력에 의해 함께 홀딩되고, 클램프력은 사출된 재료의 압력에 대해 함께 공동 및 코어 피스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몰딩 공동은 물품이 몰딩되어 몰딩된 물품의 최종 콜드-상태 형상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와 같이 사출된 재료는 그 후 몰딩 공동으로부터 그와 같이-형성된 몰딩된 물품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한 온도까지 냉각된다. 냉각될 경우, 몰딩된 물품은 몰딩 공동의 내측에서 수축되고, 그와 같이, 공동 및 코어 플레이트가 이격되도록 압박될 때, 몰딩된 물품은 코어 피스와 결합되어 유지되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코어 플레이트를 공동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압박함으로써, 몰딩된 물품은 코어 피스로부터 그것을 배출해냄으로써 디몰딩될 수 있다. 코어 절반부로부터 몰딩된 물품을 제거하는 것을 지원하는 배출 구조는 공지되어 있다. 배출 구조의 예는 스트립퍼 플레이트, 스트립퍼 링 및 목부 링, 배출기 핀 등을 포함한다.
음료 용기로 차후에 블로잉될 수 있는 프리폼을 몰딩하는 것을 다룰 때, 대처할 필요가 있는 하나의 고려사항은 소위 "목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그리고 예로서, 목부 영역은 최종 제품(즉 음료로 채워지고 가게에 운송된 음료 용기)이 어떠한 방식으로든 변조(tamper)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i) 폐쇄 조립체(예를 들면 보틀 캡)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한 맞물림 특징부, 예를 들어 나사산(또는 다른 적절한 구조), 및 (ii) 예를 들면, 폐쇄 조립체와 협력하는 도난 방지(anti-pilferage) 조립체를 포함한다. 목부 영역은 예를 들어 몰딩 시스템의 부품(예를 들면 지지 선반 등)과 협력하도록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부가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목부 영역은 공동 및 코어 절반부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없다. 전통적으로, 분할된 몰드 인서트(때때로 "목부 링" 으로서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지칭됨)는 목부 영역을 형성하도록 사용되어 왔다.
몰딩 기계 내에 배열될 수 있는(사용 시에) 전형적인 몰딩 인서트 스택 조립체는 몰드 공동 인서트, 게이트 인서트 및 코어 인서트와 함께, 몰딩 공동을 규정하는 분할된 몰드 인서트 쌍을 포함한다. 몰딩 재료는 몰딩된 물품을 형성하도록 게이트 인서트에서 리셉터클 또는 포트를 통해 몰딩 재료의 소스로부터 몰딩 공동 내로 사출될 수 있다. 몰딩된 물품의 목부 영역의 형성 및 그로부터 몰딩된 물품의 차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분할된 몰드 인서트 쌍은 슬라이드 쌍의 인접한 슬라이드 상에 장착되는 상보적인 분할된 몰드 인서트의 쌍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쌍은 스트립퍼 플레이트의 상단 표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스트립퍼 플레이트는 몰드가 개방 구성으로 배열될 때 공동 인서트 및 코어 인서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와 같이, 슬라이드 쌍, 및 그 위에 장착된 상보적인 분할된 몰드 인서트는 몰딩 공동으로부터 몰딩된 물품의 해제를 위해 캠 배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공지된 수단을 통해 측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분할된 몰드 인서트 쌍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중 하나는 몰딩된 물품을 코어 인서트로부터 "슬라이딩" 함으로써, 몰딩된 물품을 코어 인서트로부터 배출해내는 것을 지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품, 특히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튜브형 물품, 예를 들어 프리폼을 몰딩하기 위한 몰드의 스택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대안적인 배열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한다. 본 발명은, 특히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몰드 스택, 몰드, 몰드 조립체, 몰딩 시스템 및 연관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튜브형 물품, 예를 들어 프리폼의 경우에, 물품은 폐쇄된 단부에서 베이스 부분, 개방된 단부에서 목부 피니시 및 그 사이에 본체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목부 피니시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방사상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목부 피니시는 맞물림 특징부, 예를 들어 나사산 또는 스냅 끼워맞춤 피니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폼 및/또는 목부 피니시는 공지된 프리폼 설계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지된 몰드 스택, 몰드 및 몰딩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상술된 특징은 본원의 개시와 양립하는 한 본 발명에 따른 몰드 스택, 몰드 및 몰딩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폭넓은 제1 양태에 따르면, 몰드, 예를 들면 프리폼 몰드에 통합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가 제공되고, 조립체는 코어 플레이트, 및 체결 수단에 의해 그리고/또는 조립된 몰드에 조립체가 통합될 때 코어 플레이트에 장착된 다수의 코어 인서트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은 코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코어 플레이트의 전방측으로의 액세스 없이 그리고/또는 조립된 몰드에 조립체가 통합될 때,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체결 수단은,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정착된 조건 및/또는 정렬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몰드, 예를 들면 프리폼 몰드에 통합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를 제공하고, 조립체는 코어 플레이트, 및 체결 수단에 의해 코어 플레이트에 장착된 다수의 코어 인서트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은 조립된 몰드에 조립체가 통합될 때,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그리고/또는 정렬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는 코어 플레이트의 전방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는 상기 슬라이딩 인터페이스 또는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코어 플레이트의 전방 표면과 협력할 수 있는 장착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체결 수단은 코어 인서트 중 적어도 일부의 전방으로의 액세스 없이 작동 가능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코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으로부터 작동 가능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의 후방측 상에 존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형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형 구멍은, 코어 플레이트에서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되거나 코어 인서트의 나사산형 구멍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릴 수 있는 각각의 나사산형 체결구를 수용할 수 있다.
코어 인서트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장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단부, 및/또는 예를 들면 프리폼과 같은 부품의 내부 표면을 몰딩하기 위해 몰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인서트는, 예를 들면 체결구와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기 위해 장착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형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는, 예를 들면 조립된 몰드 내에서 코어 인서트가 통합될 때,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정착된 그리고/또는 정렬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코어 인서트(예를 들면 프리폼 코어 인서트)를 제공하고, 코어 인서트는 장착 표면을 포함하는 제1 단부, 및 부품, 예를 들면 프리폼의 내부 표면을 몰딩하기 위한 몰딩 표면을 포함하는 제2 단부를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코어 인서트는, 코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코어 플레이트의 전방측으로의 액세스 없이 그리고/또는 조립된 몰드 내에 코어 인서트가 통합될 때, 코어 인서트가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조건으로 작동 가능한 체결구와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기 위한 장착 표면에서의 하나 이상의 나사산형 구멍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나사산형 구멍은 베이스의 주변 부분 둘레에서 동등하게 이격된 다수의 나사산형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의 외부 치수(들)는 인접한 코어들 사이의 피치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구는 코어 인서트를, 예를 들면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몰드의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정착된 조건 또는 정렬된 조건으로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양태는 코어 인서트(예를 들면 프리폼 코어 인서트)를 제공하고, 코어 인서트는 장착 표면을 포함하는 제1 단부, 및 부품, 예를 들면 프리폼의 내부 표면을 몰딩하기 위한 몰딩 표면을 포함하는 제2 단부를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코어 인서트는, 조립된 몰드 내에 코어 인서트가 통합될 때, 코어 인서트를, 예를 들면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몰드의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그리고/또는 정렬된 조건으로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한 체결구와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기 위한 장착 표면에서의 하나 이상의 나사산형 구멍을 포함한다.
코어 인서트는 프리폼의 상단 시일링 표면의 부품을 획정(describe)할 수 있는 몰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인서트는 몰딩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인서트는 테이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는 환형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는 사용 시에 분할된 몰드 인서트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와 맞물려, 예를 들면 그 사이에 분할선을 획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형 지지 표면은 사용 시에 분할된 몰드 인서트의 마주보는 표면과 맞물리고/맞물리거나 그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코어 인서트(예를 들면 프리폼 코어 인서트)를 제공하고, 코어 인서트는 프리폼의 상단 시일링 표면의 부품을 획정하는 몰딩 표면, 예를 들면 몰딩 표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되는 테이퍼, 및 예를 들면 테이퍼로부터 방사상으로 직접적으로 연장되는 환형 지지 표면을 포함하고, 테이퍼는 사용 시에 분할된 몰드 인서트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와 맞물려 그 사이에 분할선을 획정하도록 구성되고, 환형 지지 표면은 분할된 몰드 인서트의 마주보는 표면과 맞물리고 그를 지지한다.
환형 지지 표면은 프리폼 코어 인서트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일 수 있다. 테이퍼는 수형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 지지 표면은 원뿔형일 수 있는 리세스, 예를 들면 얕은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는 사용 시에 테이퍼 및 환형 지지 표면과 맞물리는 분할된 몰드 쌍의 분리를 저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리세스는 45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도 이하일 수 있는 각도로 함몰될 수 있다. 리세스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도 이하, 예를 들면 약 5도의 각도로 함몰될 수 있다. 리세스는 테이퍼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는 9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도 이상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도 이상의 끼인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끼인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60도 이상, 예를 들면 약 170도이다.
베이스는 원통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장착 표면은 코어 인서트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의 말단부에 존재하거나 말단부를 제공할 수 있다. 장착 표면은 임의의 돌출부를 갖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에 있을 때, 이로써 코어 인서트가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것 등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베이스는 장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있거나 상기 코어 플레이트 또는 코어 플레이트의 시트 내에 수용되거나 수용 가능할 수 있는 스피곳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 예를 들면 그 장착 표면은 코어 냉각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수단, 예를 들면 나사산형 구멍은 개구와 베이스의 주변부 사이에 동등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 예를 들면 그 장착 표면은, 개구를 둘러쌀 수 있고 차단 표면을 그 사이에 규정할 수 있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 예를 들면 그 장착 표면은,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의 전방 표면에 대한 시일링을 위해 개구를 둘러싸는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 예를 들면 그 장착 표면은 O-링 시일을 포함할 수 있는 시일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둘러싸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시일 및/또는 그루브는 차단 표면 상에 또는 차단 표면 내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는 일차 코어 인서트 및/또는 코어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코어 인서트에서의 사용을 위한 일차 코어 인서트를 제공한다. 일차 코어 인서트는 코어 플레이트에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코어 인서트는 프리폼의 내부 표면을 몰딩하기 위한 몰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코어 인서트는 베이스와 몰딩 표면 사이에 인터페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고/있거나 드래프트 또는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코어 인서트에서의 사용을 위한 코어 링을 제공한다. 코어 링은 원통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는 플랜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링은, 예를 들면 사용 시에 분할된 몰드 인서트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와 맞물리기 위한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링 테이퍼는 원추대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코어 링 테이퍼는 수형 테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링, 예를 들면 그 플랜지 및/또는 테이퍼는, 사용 시에 일차 코어 인서트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코어 링 테이퍼 및/또는 플랜지는, 사용 시에 일차 코어 인서트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코어 링은, 예를 들면 사용 시에 일차 코어 인서트의 인터페이스 부분과 맞물리기 위한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링 플랜지는, 사용 시에 일차 코어 인서트의 베이스로의 연장부를 포함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코어 링 플랜지는, 사용 시에 상기 일차 코어 인서트 또는 일차 코어 인서트의 베이스와 당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는 벤트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인서트가 2-부분 코어 인서트를 포함하는 경우,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일차 코어 인서트와 코어 링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될 수 있다.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일차 코어 인서트 및/또는 코어 링에 의해 획정되거나 부분적으로 획정될 수 있다.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일차 코어 인서트의 인터페이스 부분 및/또는 코어 링의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에 의해 획정되거나 부분적으로 획정될 수 있다.
코어 링은 인터페이스 부분에 프레스-끼워맞춤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일차 코어 인서트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차 코어 인서트의 인터페이스 부분은 사용 시에 예를 들면 상기 벤트 통로 또는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도록 상기 코어 링 또는 코어 링의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과 협력할 수 있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링의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은 사용 시에 예를 들면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도록 일차 코어 인서트의 인터페이스 부분과 협력할 수 있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링은 상기 벤트 통로 또는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는 구멍 또는 드릴링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 또는 드릴링은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으로부터 코어 링 테이퍼까지 연장될 수 있다.
벤트 통로 또는 추가의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코어 링 테이퍼, 예를 들면 그 테이퍼 표면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수형 테이퍼는 벤트 통로 또는 추가의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는, 예를 들면 그 외부 표면에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냉각제 디버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코어 냉각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제 디버터 또는 각각의 냉각제 디버터는 코어 플레이트의 각각의 시트에 수용될 수 있다. 코어 냉각 튜브 또는 각각의 코어 냉각 튜브는 각각의 코어 인서트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몰드, 예를 들면 프리폼 몰드를 위한 코어 인서트 조립체를 제공하고, 조립체는,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코어 인서트, 및 코어 냉각 튜브 및/또는 냉각제 디버터를 포함한다.
냉각제 디버터는 제1 및 제2 냉각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할 수 있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제 디버터는,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 시트의 로케이터와 맞물리기 위한 로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 채널은,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의 냉각 회로로부터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 채널은,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에 냉각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 부분에 대해,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또는 직각인 각도로 연장될 수 있는 유출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 채널은,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로부터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 채널은,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의 냉각 회로에 냉각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터는 사용 시에 코어 플레이트의 냉각 회로와 제1 냉각 채널의 유입구 부분을 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케이터는 사용 시에 디버터가 코어 플레이트 시트 내에 수용될 때 디버터의 제거를 저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케이터는 스냅 끼워맞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터 또는 스냅 끼워맞춤 커넥터는, 본체의 부품에 위치설정되고 그를 형성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터 또는 스냅 끼워맞춤 커넥터는 코어 플레이트의 냉각 회로 내에 수용 가능할 수 있다. 돌출부는 코어 플레이트의 냉각 회로 내에 수용 가능할 수 있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 돌출부는,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의 냉각 회로 내에서의 수용을 위한 제1 냉각 채널의 유입구 부분의 개구를 둘러쌀 수 있는 립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로케이터 또는 스냅 끼워맞춤 커넥터는,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 시트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 시에 냉각제 디버터의 외부 표면과 코어 플레이트 시트 사이에 획정될 수 있다. 본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냉각 채널의 유입구 부분은 방사상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 채널의 유출구 부분은 축방향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에서 리세스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제1 냉각 채널은 축방향 보어에 방사상 보어를 결합할 수 있는 만곡된 전이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제 디버터는,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 시트와 맞물리기 위한 그리고/또는 그 안에 제1 냉각 채널의 중앙 유출구 부분을 중앙에 두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 채널의 유출구 부분은 튜브형 또는 부분-튜브형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될 수 있다. 스페이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냉각 채널의 튜브형 또는 부분-튜브형 유출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둘러싸거나 그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부분-원주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페이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냉각 채널의 유출구 부분에 대해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는 날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판은 축방향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축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축방향 보어 또는 제1 냉각 채널의 유출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냉각제 디버터는, 예를 들면 그에 코어 냉각 튜브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나사산형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제1 냉각 채널의 축방향 보어 또는 유출구 부분의 나사산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커넥터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의 연결부, 예를 들어 바요넷, 압입 끼워맞춤 또는 스냅 끼워맞춤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냉각 튜브는,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의 냉각 회로로부터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냉각 튜브는,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의 내부 표면으로 냉각 유체를 지향시키기 위한 개방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냉각 튜브는 개방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는 유출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된 단부는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애퍼처는 유출구 부분을 통한 유동 면적보다 작을 수 있는 유동 면적을 획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프리폼 몰드를 위한 코어 냉각 튜브를 제공하고, 코어 냉각 튜브는 코어 플레이트의 냉각 회로로부터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 부분, 및 코어 인서트의 내부 표면으로 냉각 유체를 지향시키기 위한 개방된 단부를 갖는 유출구 부분을 포함하고, 개방된 단부는 유출구 부분을 통한 유동 면적보다 작은 유동 면적을 획정하는 애퍼처를 포함한다.
유출구 부분은, 예를 들면 개방된 단부를 향해 테이퍼링될 수 있다. 유출구 부분은, 예를 들면 애퍼처를 획정하도록 절두형일 수 있다. 유출구 부분은 애퍼처를 획정할 수 있는 절두형 원뿔 또는 돔을 포함하거나, 단부는 애퍼처를 획정할 수 있는 절두형 원뿔 또는 돔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단부는 코어 인서트의 원뿔형 또는 돔형 내부 표면으로 냉각 유체를 지향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단부는 원뿔형 또는 돔형 내부 표면 및/또는 원뿔형 또는 돔형 외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절두형 유출구 부분은 실질적으로 구형 또는 타원체일 수 있다. 애퍼처는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일 수 있다. 개방된 단부는 내부 표면,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의 원뿔형 또는 돔형 내부 표면에 가까운 형상을 갖고/갖거나 그에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코어 냉각 튜브는 냉각제 디버터와 일체형일 수 있다. 코어 냉각 튜브는 적층 가공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코어 냉각 튜브는 코어 냉각 튜브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예를 들면 다수의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들)는 사용 시에 코어 인서트 내에 코어 냉각 튜브를 중앙에 두기에 적절하거나 중앙에 두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코어 냉각 튜브의 개방된 단부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면 개방된 단부와 냉각제 디버터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 또는 각각의 스페이서 요소는 스페이서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 또는 베인 중 적어도 2개는, 예를 들면 코어 냉각 튜브를 따라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 또는 베인은 코어 냉각 튜브의 주변부 둘레에서 동등하게 이격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스페이서 요소 또는 베인은 하나 이상의 제1 스페이서 요소(들) 또는 베인(들) 및 하나 이상의 제2 스페이서 요소(들) 또는 베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 요소(들) 또는 베인(들)은 제1 축방향 위치에 존재할 수 있고/있거나 제2 스페이서 요소(들) 또는 베인(들)은 제1 축방향 위치와 상이할 수 있는 제2 축방향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다수의 동등하게 이격된 스페이서 요소(들) 또는 베인(들)은 교호하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들) 또는 베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냉각 튜브는, 코어 인서트의 내부 표면에서 전이부와 협력하는 형상을 갖고/갖거나 코어 인서트의 내부 표면에서 전이부와 협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확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를 들면 다수의 스페이서 요소(들) 또는 베인(들)은 확장된 부분에 존재하고/하거나 그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확장된 부분은 코어 냉각 튜브의 중간 위치에 그리고/또는 코어 냉각 튜브의 개방된 단부와 냉각제 디버터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몰드(예를 들면 프리폼 몰드)를 제공하고, 몰드는 코어 플레이트, 공동 플레이트, 및 코어 플레이트와 공동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된 다수의 몰드 스택을 포함하고, 각각의 몰드 스택은 체결 수단에 의해 코어 플레이트에 장착된 코어 인서트, 공동 플레이트에 장착된 공동 인서트, 및 코어 인서트와 공동 인서트 사이에 장착된 분할된 몰드 인서트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은 코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코어 플레이트의 전방측으로의 액세스 없이 그리고/또는 몰드가 조립될 때,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체결 수단은,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정착된 조건 및/또는 정렬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양태는 몰드(예를 들면 프리폼 몰드)를 제공하고, 몰드는 코어 플레이트, 공동 플레이트, 및 코어 플레이트와 공동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된 다수의 몰드 스택을 포함하고, 각각의 몰드 스택은 체결 수단에 의해 코어 플레이트에 장착된 코어 인서트, 공동 플레이트에 장착된 공동 인서트, 및 코어 인서트와 공동 인서트 사이에 장착된 분할된 몰드 인서트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은 몰드가 조립될 때,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그리고/또는 정렬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몰드는 사출 몰드, 예를 들면 프리폼 사출 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는 이전에 언급된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 코어 인서트 조립체, 코어 인서트, 일차 코어 인서트 및/또는 코어 링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는 공동 플레이트에 코어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의 적어도 하나는 공동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에 코어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몰드는 다수의 체결구 또는 체결구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그들 중 다수는 공동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에 코어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을 고정한다. 다수의 체결구는 공동 플레이트의 상응하는 주변 부분(들)에 코어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주변 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체결구는 코어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있거나 공동 플레이트와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몰드를 포함하는 몰딩 시스템을 제공한다. 몰딩 시스템은 용융물 분배기, 사출 성형 기계, 재료 공급 시스템 및 부품 제거 및/또는 사후 몰드 냉각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폭넓은 양태에 따르면, 몰드, 예를 들면 프리폼 몰드의 코어 플레이트에 다수의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코어 플레이트에 다수의 코어 인서트를 장착하는 단계; 및 코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코어 플레이트의 전방측으로의 액세스 없이 정착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 코어 플레이트에 다수의 코어 인서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다른 몰드 인서트에 대해 코어 인서트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정착된 조건 또는 정렬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폭넓은 양태에 따르면, 몰드, 예를 들면 프리폼 몰드의 코어 플레이트에 장착된 다수의 코어 인서트를 정렬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 코어 플레이트에 다수의 코어 인서트를 장착하는 단계, 다른 몰드 인서트에 대해 코어 인서트를 정렬하는 단계; 및 정착된 그리고/또는 정렬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어 인서트는, 예를 들면 그것이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에 있을 때 예를 들면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코어 인서트는 그것이 정착된 그리고/또는 정렬된 조건에 있을 때 코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고/하거나 다른 몰드 인서트와 정렬될 수 있다.
다른 몰드 인서트에 대해 코어 인서트를 정렬하는 단계는 코어 인서트와 다른 몰드 인서트를,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다른 몰드 인서트와 맞물리고/맞물리거나 접촉하는 폐쇄 구성으로 합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몰드 인서트에 대해 코어 인서트를 정렬하는 단계는 한 번 이상, 예를 들면 한 번 넘게 코어 인서트와 다른 몰드 인서트를 합치고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몰드 인서트에 대해 코어 인서트를 정렬하는 단계는 코어 인서트와 다른 몰드 인서트를 반복적으로 합치고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된 정렬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몰드 인서트가 폐쇄 구성인 상태에서,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가 다른 몰드 인서트와 맞물리고/맞물리거나 접촉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정착된 정렬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기 전에 폐쇄 구성으로 몰드 인서트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인서트와 다른 몰드 인서트를 폐쇄 구성으로 합치는 단계는 코어 인서트 및/또는 다른 인서트가 장착되는 코어 플레이트와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를 합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인서트는 공동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인서트와 다른 몰드 인서트를 폐쇄 구성으로 합치는 단계는, 예를 들면 다수의 공동 인서트가 장착되는 몰드의 공동 플레이트와 코어 플레이트를 합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된 정렬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코어 플레이트가 공동 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예를 들면 정착된 정렬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체결구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예를 들면 공동 플레이트에 대해 코어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플레이트(들)에 대해 코어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다른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 부분에서 나사산형 구멍과, 코어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플레이트(들)에 대해 코어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다른 플레이트(들) 또는 다른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공동 플레이트의 주변 부분에서 나사산형 구멍과, 코어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플레이트와 공동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플레이트, 예를 들면 그 사이의 스트립퍼 플레이트와 합쳐질 수 있다. 다른 몰드 인서트는 분할된 몰드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퍼 플레이트는 그에 장착된 다수의 분할된 몰드 인서트를 가질 수 있다. 코어 플레이트와 공동 플레이트는, 예를 들면 정착된 조건으로 공동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공동 인서트와, 다른 몰드 인서트에 대해 코어 인서트를 정렬하도록 합쳐질 수 있다.
분할된 몰드 인서트는,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와 공동 플레이트가 다른 몰드 인서트에 대해 코어 인서트를 정렬하도록 합쳐질 때 스트립퍼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또는 정착되게 장착될 수 있다. 분할된 몰드 인서트는, 예를 들면 코어 플레이트와 공동 플레이트가 다른 몰드 인서트에 대해 코어 인서트를 정렬하도록 합쳐질 때 스트립퍼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슬라이드에, 플로우팅 조건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분할된 몰드 인서트는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출원 번호 PCT/CA2018/050693에 설명된 종류의 리테이너 조립체에 의해 플로우팅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코어 인서트는 코어 플레이트의 전방측에 장착될 수 있다. 정착된 정렬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는 단계는 코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코어 플레이트의 전방측으로의 액세스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코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으로부터 체결 수단,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조이거나 그에 토크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코어 플레이트를 통해 또는 그 주위로 연장되고 코어 인서트와 맞물릴 수 있다. 체결 수단은 각각의 구멍을 통해 코어 플레이트를 통과해 안으로 연장되고/되거나 코어 인서트에서 각각의 나사산형 구멍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 예를 들어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시뮬레이션 수단과 사용하기 위한 삼차원 설계 또는 삼차원 적층 또는 절삭 가공 수단 또는 디바이스, 예를 들면 삼차원 프린터 또는 CNC 기계를 포함하고/하거나 설명하고/하거나 규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요소를 제공하고, 삼차원 설계는 상기 설명된 하나 이상의 몰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몰드 조립체 또는 몰드를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의 다양한 단계 및 특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물품을 몰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이전에 언급된 몰드 스택, 몰드, 몰드 조립체 또는 몰딩 시스템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임의의 이전에 언급된 몰드 스택, 몰드, 몰드 조립체 또는 몰딩 시스템의 임의의 특징의 사용과 관련되거나 사용을 포함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의문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은 본 발명의 임의의 양태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은 이전의 문단, 청구항 및/또는 다음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시된 다양한 양태, 실시형태, 예 및 대안예, 및 특히 개별적인 그 특징은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취해질 수 있도록 명백하게 의도된다. 즉, 모든 실시형태 및/또는 임의의 실시형태의 특징은 그러한 특징이 양립할 수 없다면 임의의 방식 및/또는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의문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용어 “할 수 있는(may)”, “및/또는”, “예를 들면”, “예를 들어” 및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임의의 유사한 용어는 그와 같이 설명된 임의의 특징이 존재할 필요가 없도록 비제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제로, 선택적인 특징의 임의의 조합은 이들이 명백하게 청구되든 그렇지 않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명백하게 구상된다. 본 출원인은 임의의 원래 제출된 청구항을 변경하거나 그에 따라 임의의 새로운 청구항을 제출할 권리(그러한 방식으로 원래는 청구되지 않지만 임의의 다른 청구항의 임의의 특징에 종속되고/되거나 그를 포함하도록, 임의의 원래 제출된 청구항을 보정할 권리를 포함함)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프리폼 몰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2는 용융물 분배기가 생략된 도 1의 프리폼 몰드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3은 하나의 코어가 생략되고 또 다른 코어 조립체가 분해되어 도시된 도 1 및 도 2의 프리폼 몰드 조립체의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4는 분해된 코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3의 영역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코어 플레이트에 코어 중 하나의 장착을 예시하는 도 3 및 도 4의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의 부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코어 조립체 중 하나 및 코어 조립체가 고정된 코어 플레이트의 인접한 부분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제1 측으로부터 도시된 도 6의 코어 조립체의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8은 제2 측으로부터 도시된 도 7의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9는 제1 측으로부터 도시된 대안적인 단일형(unitary)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10은 제2 측으로부터 도시된 도 9의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통한 중앙의 축방향 평면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제1 측으로부터 도시된 추가의 대안적인 단일형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13은 제2 측으로부터 도시된 도 12의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통한 중앙의 축방향 평면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제1 측으로부터 도시된 다른 추가의 대안적인 단일형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16은 제2 측으로부터 도시된 도 15의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17는 도 15 및 도 16의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를 통한 중앙의 축방향 평면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8은 도 1 및 도 2의 프리폼 몰드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2-부분 코어 인서트를 도시하고;
도 19는 분해도로 도 18의 2-부분 코어 인서트를 도시하고;
도 20은 중앙의 축방향 평면을 따라 도 18 및 도 19의 2-부분 코어 인서트를 통합하는 스택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1은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 및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1 및 도 2의 프리폼 몰드 조립체의 이동하는 부품을 도시하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이동하는 부품의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의 스트립퍼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도 23은 도 18의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의 슬라이드의 쌍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24는 3개의 목부 링 절반부 및 슬라이드에 목부 링 절반부를 고정하는 그의 연관된 보유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25는 슬라이드를 노출시키도록 목부 링 쌍이 생략된 도 21의 이동하는 절반부의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의 부품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26은 연결 바아가 생략되고 가이드 샤프트의 삽입을 예시하는 도 25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27은 도 1 및 도 2의 프리폼 몰드 조립체의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를 도시하고(공동 조립체 중 하나는 그로부터 제거됨);
도 28은 도 27의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의 공동 조립체 중 하나를 도시하고;
도 29는 게이트 인서트가 생략된 도 28의 공동 조립체의 공동 인서트를 도시하고;
도 30은 도 29의 공동 인서트의 세그먼트 A-A 내의 냉각 채널을 예시하고;
도 31은 도 28의 공동 조립체의 게이트 인서트를 도시하고;
도 32는 도 28의 공동 조립체의 보유 핀 중 하나를 도시하고;
도 33은 도 27의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의 공동 인서트의 열을 통한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4는 도 27의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의 공동 인서트의 행을 통한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5는 도 34의 부분 단면도의 바이패스 및 보유 핀 영역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36은 대안적인 바이패스 채널 구성을 예시하는 도 35와 유사한 도면을 도시하고;
도 37은 바이패스 채널이 보유 핀과 공동 인서트 사이에 획정되는 대안적인 보유 핀 구성을 예시하는 도 35 및 도 36과 유사한 도면을 도시하고;
도 38은 게이트 패드가 노즐 팁과 게이트 인서트 사이에 제공되는 대안적인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의 게이트 영역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9는 도 38의 게이트 패드 및 게이트 인서트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40은 하나의 몰드 스택을 예시하는 도 1의 몰드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용융물 분배기 및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 둘 모두는 생략되고;
도 41은 스트립퍼 플레이트와 코어 플레이트 사이의 갭을 예시하는 도 39의 구역(B)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42는 조립 중에 도 21에 예시된 이동하는 부품 상으로 하강한 도 27의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43은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의 공동에 대해 코어 및 목부 링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 절차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48개의 공동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폼 몰드 조립체(100)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몰드 조립체(100)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사출 성형 기계(도시 생략)의 이동반(moving platen)(도시 생략)에 장착하기 위한 제1 이동하는 부품(110) 및 고정반(stationary platen)(도시 생략)에 장착하기 위한 제2 고정 부품(120)을 포함한다. 제1 이동하는 부품(110)은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및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제2 고정 부품(120)은 핫 러너(hot runner)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용융물 분배기(500) 및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용융물 분배기(500)는 종래의 타입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일반적으로 ‘콜드 절반부(cold half)’(130)로서 지칭되는 도 2에 도시된 제품 특이적 조립체(130)에 관한 것이다. 콜드 절반부(130)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 및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4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보다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는 코어 플레이트(210), 캠 플레이트(220)의 쌍, 4개의 가이드 핀(230) 및 다수의 코어 조립체(240)를 포함한다. 코어 플레이트(210)는 몰드가 장착되는 사출 성형 기계(도시 생략)의 타이바(도시 생략)를 수용하기 위한 스캘럽형 코너(211)를 갖고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코어 플레이트(210)는 또한 그 두께를 통해 4개의 가이드 핀 구멍(212)을 포함하며, 이들은 수평으로 각각의 스캘럽형 코너(211)의 안쪽에 있고 가이드 핀(230)을 고정식으로 수용한다. 코어 플레이트(210)는 또한 배출기 핀(도시 생략)을 수용하기 위해, 그 두께를 통해 다수의 배출기 구멍(213)을 포함한다.
냉각 채널(214a, 214b)의 네트워크는 코어 플레이트(210) 내에 포함되고, 이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 면(CRF)에서 다수의 냉각 채널 시트(215) 내에 제공된다(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음). 냉각 채널 시트(215)는 6개의 세로 열 및 8개의 가로 행의 어레이로 배열된다. 각각의 시트(215)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두께를 통해 연장되고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 면(CRR) 상에 카운터보링된 3개의 코어 장착 구멍(216)에 의해 둘러싸인다. 커플링 볼트(217)의 어레이는 후방 면(CRR) 상에 또한 카운터보링된 코어 플레이트(210)의 구멍 내에도 삽입된다. 캠 플레이트(220) 중 하나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 면(CRF)의 중앙 하부 영역에 볼트 결합되고 그 상부 표면 상에서 캠 슬롯(221)의 쌍을 포함한다. 다른 캠 플레이트(220)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 면(CRF)의 중앙 상부 영역에 볼트 결합되고 그 하부 표면 상에서 캠 슬롯(221)의 유사한 쌍을 포함한다. 캠 플레이트(220) 둘 모두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배향만 다르다. 각각의 캠 플레이트(220)의 캠 슬롯(221)은 전방 면(CRF)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고 캠 플레이트(220)의 자유 단부를 향해 수렴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명백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코어 조립체(240)는 중공형 코어 인서트(250) 및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260, 2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260, 270)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냉각 채널 시트(215) 중 하나에 수용되는 냉각제 디버터(260), 및 냉각제 디버터(26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공형 코어 인서트(250) 내에 수용되는 코어 냉각 튜브(270)를 포함한다.
각각의 코어 인서트(25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베이스(251) 및 테이퍼(253)에 의해 베이스(251)에 결합되는 몰딩 부분(252)을 포함한다. 몰딩 부분(252)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프리폼의 내부 표면을 몰딩하기 위한 외부 몰딩 표면(252a), 프리폼의 목부와 본체 영역 사이의 전이부 영역을 몰딩하기 위한 테이퍼상 전이부 영역(252b), 및 프리폼의 상단 시일링 표면의 부품을 몰딩하기 위한 상단 시일링 표면 부분(TSS)을 갖는다. 코어 테이퍼(253)는 상단 시일링 표면 부분(TSS)으로부터 베이스(251)의 전방 표면(251a)까지 연장되고, 소위 ‘공동-로크(cavity-lock)’ 설계로서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스택 구성을 위한 단일 수형 테이퍼(253)를 포함한다. 그러나, 코어 인서트(250)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소위 ‘코어-로크(core-lock)’ 설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코어 인서트(250)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장착 표면(254) 및 장착 표면(254)으로부터 연장되는 3개의 나사산형 블라인드 구멍(255)을 포함한다. 코어 인서트(250)는 따라서 후방으로부터 장착되거나, 후방 장착형이고, 이로써 볼트(218)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 면(CRR)으로부터 코어 장착 구멍(216) 내로 삽입되고 코어 인서트(250)의 나사산형 구멍(255)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린다. 이는 도 5에 예시된다. 이러한 후방 장착은 코어 인서트(250)가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으로부터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와 같이, 전방 장착형 볼트(218)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구비한 플랜지를 갖는 종래의 코어 인서트가 그렇듯, 코어 인서트(250) 사이의 피치는 볼트(218)로의 액세스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감소될 수 있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장착 표면(254)과 조합된 이러한 후방 장착은 또한, 코어 인서트(250)가 플로우팅 방식으로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 면(CRF)에 느슨하게 장착되고, 몰드(100) 또는 콜드 절반부(130)가 완전히 조립된 후에, 그에 대해 고정식으로 정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볼트(218)를 느슨하게 조임으로써, 그와 코어 장착 구멍(216)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코어 인서트(250)의 장착 표면(254)과 전방 면(CRF) 사이의 어느 정도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한다. 장착 표면(254)은 코어 인서트(250)의 말단부를 획정하고 임의의 돌출부를 갖지 않으며, 이로써 코어 인서트(250)가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조립된 조건에서 몰드(100) 또는 콜드 절반부(130)에 있어서, 볼트(218)는 여전히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 면(CRR)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고 따라서 코어 인서트(250)를 코어 플레이트(210)에 고정식으로 정착시키도록 토크 인가될 수 있다.
그러나, 코어 인서트(250)에는 장착 표면(254)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피곳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도 구상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스피곳(도시 생략)은 코어 플레이트(210)에서의 시트(215)보다 작을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사이에서 일부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예에서, 스피곳은 코어 플레이트(210)에서의 시트(2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지금부터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코어 인서트(250)는 장착 표면(254)으로부터 몰딩 부분(252)의 자유 단부에 인접한 반구형 또는 돔형의 폐쇄된 단부로 연장되는 중앙 보어(250a)를 포함한다. 중앙 보어(250a)는 외부 몰딩 표면(252a)의 테이퍼상 전이부 영역(252b)에 상응하는 테이퍼상 중간 영역(250b)을 포함한다. 그와 같이, 중앙 보어(250a)와 외부 몰딩 표면(252a) 사이의 벽 두께는 전체 몰딩 부분(252)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장착 표면(254)은 또한, 중앙 보어(250a)를 둘러싸고 차단 표면(257)을 그 사이에 규정하는 얕은 리세스(256)를 포함한다. 차단 표면(257)은 또한 O-링(259)이 중앙 보어(250a)와 코어 플레이트(2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시일링하기 위해 수용되는, 리세스(256)와 중앙 보어(250a) 사이의 O-링 그루브(258)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각각의 냉각제 디버터(26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축방향 블라인드 보어(261), 축방향 보어(261)에 직교하는 방사상 보어(262), 및 축방향 보어(261)에 평행한 주변 리세스(263)를 포함한다. 축방향 보어(261)는 디버터(260)의 상부 표면(264)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하부 표면(265)에 인접하여 종결된다. 축방향 보어(261)는 상부 표면(264)으로부터 연장되는 확장된 부분(261a)을 포함하고, 코어 냉각 튜브(270)를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도록 그 길이의 일부를 따라 나사산형이다. 방사상 보어(262)는 축방향 보어(261)의 블라인드 단부로부터 주변 리세스(263)에 대해 디버터(260)의 반대측 상의 원주 표면(266)으로 연장된다. 축방향 보어(261) 및 방사상 보어(262)는 냉각제 디버터(260)의 제1 냉각 채널(261, 262)을 함께 제공한다.
주변 리세스(263)는 상부 표면(264)으로부터 하부 표면(265)을 향해 디버터(260)의 원주 중 대략 절반의 둘레에서 연장되고, 축방향 보어(261)의 반대측 상에서 종결되며, 그에 따라 원주 표면(266)은 디버터(260)의 하부 단부의 주변부 전체 주위로 연장된다. 주변 리세스(263)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 면(CRF)에서 획정되는 유입구 및 냉각 채널 시트(215)에서 마주보는 냉각 채널(214b)의 개구에 상응하는 유출구를 구비한, 냉각제 디버터(260)의 제2 냉각 채널을 획정하도록 냉각 채널 시트(215)의 마주보는 표면과 협력한다.
각각의 냉각제 디버터(260)는 또한 방사상 보어(262)의 개구의 주변부 둘레에서 원주 표면(266)으로부터 돌출된 보유 립(267)의 형태의 로케이터를 포함한다. 냉각제 디버터(260)는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보유 립(267)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와 같이, 냉각 채널 시트(215) 내에서 디버터(260)의 깊이 및 배향 둘 모두가, 마주보는 냉각 채널(214a)과 방사상 보어(262)가 정렬되도록 할 때까지, 냉각 채널 시트(215) 내로의 디버터(260)의 삽입은 보유 립(267)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킨다. 방사상 보어(262)와 냉각 채널(214a) 사이의 정렬 시에, 보유 립(267)은 냉각 채널(214a) 내로 스냅 결합되고 그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그 결과로서, 보유 립(267)은 스냅 끼워맞춤 커넥터를 제공하고, 둘 모두는 방사상 보어(262) 및 냉각 채널(214a)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하는 위치설정 수단으로서 그리고 냉각 채널 시트(215) 내에서 디버터(260)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배향에서, 주변 리세스(263)는 냉각 채널 시트(215)의 반대측 상에서 냉각 채널(214b)과 정렬된다. 보유 립(267)은 편리하고 바람직한 구성이지만, 그것은 냉각 채널 시트(215)의 마주보는 표면에서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로 교체될 수 있다.
각각의 코어 냉각 튜브(270)는 제1, 제2 및 제3 튜브형 세그먼트(271, 272, 273)를 포함한다. 제1 튜브형 세그먼트(271)는 제1 외부 직경을 갖고, 제2 튜브형 세그먼트(272)는 제1 외부 직경보다 큰 제2 외부 직경을 갖고, 제3 튜브형 세그먼트(273)는 제1 및 제2 외부 직경 사이의 제3 외부 직경을 갖는다. 제2 튜브형 세그먼트(272)는 또한 3개의 직경 사이에 전이부를 제공하는 테이퍼링된 단부(272a, 272b)를 포함한다. 제2 및 제3 세그먼트(272, 273)의 외부 표면은 코어 냉각 튜브(270)가 수용되는 코어 인서트(250)의 중앙 보어(250a)의 프로파일에 폭넓게 상응하고, 이는 냉각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코어 냉각 튜브(270)의 외부 표면과 중앙 보어(250a) 사이의 사전결정된 유동 면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1 튜브형 세그먼트(271)는, 냉각제 디버터(260) 중 하나의 확장된 축방향 보어 부분(261a) 내에 수용되고 그 확장된 축방향 보어 부분(261a)의 암나사산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는 수나사산형 하부 단부(271a)를 포함한다. 제2 튜브형 세그먼트(272)의 내부 직경은 제1 튜브형 세그먼트(271)의 그것보다 크고, 그의 상부 단부는 제2 튜브형 세그먼트(272)에 수용된다. 제2 및 제3 튜브형 세그먼트(272, 273)의 내부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3 튜브형 세그먼트(273)는 그 하부 단부에서 제2 튜브형 세그먼트(272)에 고정되고, 4개의 뾰족한 치형부(273a)를 포함하는 톱날형-치형 프로파일을 갖는 상부 자유 단부를 포함한다. 제3 튜브형 세그먼트(273)는 또한, 치형부(273a)로부터 이격되지만 그에 인접하고 치형부(273a)의 각각의 쌍 사이에 정렬되는 그 중간 부분에서 스페이싱 베인(273b)을 포함한다.
치형부(273a)는 유동하는 유체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코어 냉각 튜브(270)의 임의의 의도치 않은 전방 이동이 코어 냉각 튜브(270)와 코어 인서트(250)의 중앙 보어(250a)의 내부 돔형 단부 사이의 유동을 차단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스페이싱 베인(273b)은 코어 냉각 튜브(270)가 또한 코어 인서트(250) 내에 중앙에 위치설정되도록 보장한다. 이들 스페이싱 베인(273b)은 코어 인서트(250)의 중앙 보어(250a)의 마주보는 표면에 맞닿도록 맞물림으로써 코어 냉각 튜브(270)의 방사상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은 중앙 보어(250a) 내에서 코어 냉각 튜브(270)의 위치를 유지하고, 이로써 냉각 유체의 유동 프로파일이 실질적으로 그를 따라 고르게 분배되도록 보장한다.
냉각 채널(214a, 214b)로부터의 냉각 유체의 유동 방향은 도 6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입구 냉각 채널(214a)로부터 제1 냉각 채널(261, 262)의 유입구 부분으로서 작용하는, 냉각제 디버터(260)의 방사상 보어(262) 내로의 냉각 유체 유동은, 그 후 유출구 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축방향 보어(261) 위로 그리고 밖으로 유동한다. 냉각 유체는 그 후 코어 인서트(250)의 중앙 보어(250a)의 돔형 단부의 중앙에 충격을 가하도록 코어 냉각 튜브(270)를 통해 그리고 그 밖으로 유동한다. 그 후 코어 인서트(250)의 돔형 단부에 의해, 유동은 우산과 같은 방식으로, 코어 냉각 튜브(270)의 외부 표면과 중앙 보어(250a) 사이의 환형 갭으로 역전된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면 냉각 유체 유동은 반대쪽 방향으로 관통 유동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코어 냉각 튜브(270)의 외부 표면은 몰딩 부분(252) 내에 코어 인서트(250)의 중앙 보어(250a)의 프로파일에 폭넓게 상응하고, 이로써 코어 냉각 튜브(270) 내에서의 유동 면적보다 적은 사전결정된 환형 유동 면적을 제공한다. 그와 같이, 냉각 유체는 몰딩 부분(252)과 냉각 유체 사이의 열 전달을 증가시키기 위해 난류를 생성하도록 이러한 환형 유동 면적을 따라 스로틀링된다. 냉각 유체는 그 후 냉각제 디버터(260)의 주변 리세스(263) 내로 그리고 냉각 채널 시트(215)의 반대측 상에서 냉각 채널(214b) 밖으로 유동된다. 그와 같이, 주변 리세스(263)는 냉각 유체가 냉각 채널(214a, 214b)의 네트워크로 다시 흐르기 위한 유출구로서 작용한다.
냉각제 디버터(260)는 예를 들어 몰딩 또는 적층 가공에 의해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상이한 보다 강성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 재료로부터 냉각제 디버터(26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보유 립(267)이 인서트(탄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탄성 재료로 냉각제 디버터(260)의 본체를 오버몰딩함으로써 형성됨)로서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코어 냉각 튜브(270)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되고, 튜브형 세그먼트(271, 272, 273) 및 스페이싱 베인(273b)은 함께 브레이징된다. 그러나, 대신, 코어 냉각 튜브(270)는 예를 들어 적층 가공 기법에 의해 단일형 본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코어 냉각 튜브(270)는 금속성 또는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있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설명된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260, 270)와 유사한 대안적인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1260, 1270)를 예시하고, 여기서 유사한 특징은 앞에 ‘1’이 추가되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받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코어 냉각 튜브(1270)는, 그 중에서도, 제1, 제2 및 제3 튜브형 세그먼트(1271, 1272, 1273) 및 냉각제 디버터(1260)가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에 있어 상이하다. 코어 냉각 튜브(1270)의 제3 튜브형 세그먼트(1273)는 또한 상기 설명된 코어 냉각 튜브(270)의 톱날형-치형 단부 대신에 절두형 돔(1273a)에 의해 획정된 개방된 단부(1273a)를 포함한다.
톱날형-치형 단부의 제공은 이러한 예에서 필수적이지 않은데, 왜냐하면 코어 냉각 튜브(1270) 및 냉각제 디버터(1260)가 이러한 예에서는 일체형이고 분리의 위험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절두형 돔(1273a)은 제3 튜브형 세그먼트(1273)에서의 보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애퍼처(A)를 포함하고, 이로써 제3 튜브형 세그먼트(1273)를 통한 유동 면적보다 작은 유동 면적을 획정한다. 그 결과로서, 코어 냉각 튜브(1270)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 유체는 그것이 애퍼처(A)를 통해 외부로 유동할 때 가속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유동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역전되기 전에, 유동이 코어 인서트(250)의 중앙 보어(250a)의 돔형 단부의 중앙의 영역을 직접적으로 향하게 하는 데 중점을 둔다. 가속되고 지향된 유동을 제공하는 유동 면적의 이러한 감소는 냉각 성능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대조적으로, 상기 설명된 코어 냉각 튜브(270)에서 치형부(273a)는 제3 튜브형 세그먼트(273)를 통한 유동 면적에 비해 유동 면적의 효율적인 증가를 제공한다. 실제로, 제3 튜브형 세그먼트(273)로부터 냉각제 유체의 유동 중 일부는 치형부(273a) 사이의 공간을 통해 나가고 코어 냉각 튜브(270)의 외부 표면과 코어 인서트(250)의 중앙 보어(250a) 사이의 환형 갭을 통해 역전된 유동과 비말동반(entrain)되고, 이로써 코어 인서트(250)의 중앙 보어(250a)의 돔형 단부를 회피한다.
공동 내로 도입된 용융된 플라스틱이 몰딩 프로세스 중에 그것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코어 인서트(250)의 단부 영역이 가장 높은 온도에 노출된다는 것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그와 같이, 이러한 예에 따른 코어 냉각 튜브(1270)에 의해 제공된 코어 인서트(250)의 이러한 영역을 향해 지향된 유동 및 유동 면적의 감소는 특히 유리하다.
냉각제 디버터(1260)는 축방향 보어(1261)와 방사상 보어(1262) 사이에 완만하게 만곡된 튜브형 전이부 부분(1263)을 갖는 제1 튜브형 세그먼트(1271)의 연속부이다. 또한 냉각제 디버터(1260)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냉각 채널 시트(215) 내에서 그를 중앙에 두고 3개의 스페이서 날개판(1266)을 포함한다. 방사상 보어(1262) 및 축방향 보어(1261)에 그를 결합하는 만곡된 전이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튜브형 전이부 부분(1263)에 의해 형성되고, 이로써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냉각제 디버터(260)의 얕은 리세스(263)에 비해, 냉각제 디버터(1260) 주위의 유동 면적을 최대화시킨다. 이는 리세스(263)에 의해 생성된 유동 제한을 경감하고, 이로써 냉각 유체가 코어 인서트(250)로부터 냉각 채널(214a, 214b)의 네트워크로 다시 이동할 때 압력 강하를 감소시킨다.
보유 립(1267)은 상기 설명된 보유 립(267)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튜브형 전이부 부분(1263)의 테이퍼링된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일체형 구조는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플라스틱 재료는 보유 립(1267)이 냉각 채널 시트(215) 내로의 냉각제 디버터(1260)의 삽입 시에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냉각 채널(214a) 내에 스냅 결합되고 그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탄성적이다. 그러나, 코어 냉각 튜브(1270)는 또한 냉각 유체의 압력 하에서 그 형상을 보유하기에 충분히 강성인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코어 냉각 튜브(1270)의 임의의 변형의 효과를 경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제2 튜브형 세그먼트(1272)는 그 주변부 둘레에서 동등하게 이격된 3개의 스페이싱 베인(1272c)을 포함하고 제3 튜브형 세그먼트(1273)는 그 주변부 둘레에서 동등하게 이격된 6개의 스페이싱 베인(1273b)을 포함하고, 다른 모든 스페이싱 베인(1273b)은 인접한 스페이싱 베인(1273b)에 대해 축방향으로 엇갈려 있다. 물론, 일체형 구조의 상이한 부품이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어, 이로써 필요로 하는 부가적인 강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각제 디버터(2260) 및 코어 냉각 튜브(2270)가 심리스 단일형 일체식 구조(seamless unitary monolithic structure)를 제공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및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적층 가공 프로세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부터 도 12 내지 도 14를 살펴보면, 바로 위에 설명된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1260, 1270)와 유사한 추가의 대안적인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2260, 2270)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유사한 특징은 앞에 ‘1’이 붙는 대신에 ‘2’가 붙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받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코어 냉각 튜브(2270)는, 제3 튜브형 세그먼트(2273)의 주변부 둘레에서 고르게 분배되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3개의 스페이싱 베인(2273b)만을 제3 튜브형 세그먼트(2273)가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뿐만 아니라, 냉각제 디버터(2260)는 첫 번째 예에 따른 코어 냉각 튜브(270)의 원주 표면(266)과 유사한 외부 표면을 갖는 부분-원주 벽(2268)을 포함하지만, 보유 립은 도시 생략된다. 이러한 부분-원주 벽(2268)은 축방향 보어(2261)를 규정하는, 냉각제 디버터(2260)의 메인 본체로부터 이격되고, 코어 플레이트(210)의 냉각 채널 시트(215)의 마주보는 표면과 협력하여 마주보는 냉각 채널(214a)과 방사상 보어(2262) 사이에 실질적으로 시일링된 연결부를 제공한다. 보유 립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지 않지만, 당업자는 그러한 보유 립이 본 예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냉각제 디버터(2260)는 또한 부분-원주 벽(2268)의 반대측 상에서 스페이서 날개판(2266)을 포함한다. 그와 같이, 스페이서 날개판(2266) 및 부분-원주 벽(2268)은 함께 코어 플레이트(210)의 냉각 채널 시트(215) 내에서 냉각제 디버터(2260)를 중앙에 둔다. 뿐만 아니라, 냉각제 디버터(2260)의 바닥에는, 하부 표면에 노치(2265a)를 갖는 위치설정 스피곳(2265)이 제공된다. 위치설정 스피곳(2265)은 도 6에 도시된 코어 플레이트(210)의 냉각 채널 시트(215)의 변형예의 베이스에서 위치설정 리세스(도시 생략)에 수용된다. 위치설정 리세스(도시 생략)는 또한 마주보는 냉각 채널(214a)과 방사상 보어(2262) 사이의 배향 정렬을 보장하도록 노치(2265a)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노치(2265a)는 이러한 예에서 보유 수단을 제공하지 않지만, 그것은 위치설정 수단 및 보유 수단 둘 모두를 제공하도록 위치설정 리세스(도시 생략)에서, 마주보는 함몰부와 맞물리는 방사상 돌출부로 교체될 수 있다.
튜브형 전이부 부분(2263)은 방사상 보어(2262)로의 유입구 둘레에서 부분-원주 벽(2268)에 결합된다. 그와 같이, 이러한 예에 따른 냉각제 디버터(2260)는 두 번째 예에 따른 냉각제 디버터(1260)에 비해 코어 플레이트(210)의 냉각 채널 시트(215)에서 코어 냉각 튜브(2270)를 보다 강성으로 고정하면서, 튜브형 전이부 부분(2263) 주위의 유동 면적 감소를 최소화시킨다. 그와 같이, 이러한 배열은 실질적으로 두 번째 예에 따른 냉각제 디버터(1260)와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이점들을 유지하고, 즉 냉각 유체가 코어 인서트(250)로부터 냉각 채널(214a, 214b)의 네트워크로 다시 이동할 때 압력 강하를 감소시킨다.
도 15 내지 도 17은 바로 위에 설명된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2260, 2270)와 유사한 추가의 대안적인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3260, 3270)를 추가로 예시하고, 여기서 유사한 특징은 앞에 ‘2’가 붙는 대신에 ‘3’이 붙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받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코어 냉각 튜브 조립체(3260, 3270)는 냉각제 디버터(3260)의 부분-원주 벽(3268)이 그 주변부 둘레에서 웨브(3264a, 3264b)에 의해 축방향 보어(3261)를 규정하는 메인 본체에 결합된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분-원주 벽(3268)의 상부 에지는 환형 웨브(3264a)에 의해 메인 본체에 결합되고 부분-원주 벽(3268)의 축방향측 에지는 각각의 축방향 웨브(3264b)에 의해 메인 본체에 결합된다. 이는 부분-원주 벽(3268)과 메인 본체와 및 웨브(3264a, 3264b) 사이에 공동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은 코어 플레이트(210)의 냉각 채널 시트(215)와 코어 냉각 튜브(3270) 사이의 맞물림의 강성을 추가로 개선시킨다. 그러나, 튜브형 전이부 부분(3263) 주위에서 생성된 유동 면적 감소는, 두 번째 및 세 번째 예에 따른 코어 냉각 튜브(1270, 2270)에 비해, 냉각 유체가 코어 인서트(250)로부터 냉각 채널(214a, 214b)의 네트워크로 다시 이동할 때 압력 강하를 증가시킨다. 세 번째 예에 따른 코어 냉각 튜브(2270)에서와 같이, 보유 립은 이러한 예에서 통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2-부분 코어 인서트(1250)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되고, 이는 이전에 언급된 코어 인서트(250) 대신에 프리폼 몰드 조립체(100)에서 사용될 수 있다. 2-부분 코어 인서트(1250)는 상기 설명된 코어 인서트(250)와 유사하고, 여기서 유사한 특징은 앞에 ‘1’이 추가되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받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2-부분 코어 인서트(1250)는 그것이 일차 코어 인서트(1250a) 및 코어 링(1250b)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기 설명된 코어 인서트(250)와 상이하다.
이러한 예에서, 일차 코어 인서트(1250a)의 베이스(1251)의 최전방 부분은 전방 면(1251a), 및 전방 표면(1251a)으로부터 돌출된 인터페이스 부분(1251b)을 제공하도록 리세스 형성된다. 코어 링(1250b)은 상기 설명된 코어 인서트(250)의 전방 표면(251a)에 상응하는 전방 표면(1251a’)을 갖는 베이스 부분(1251’) 또는 플랜지(1251’)를 포함한다. 코어 링(1250b)은 또한 상기 설명된 코어 인서트(250)의 수형 테이퍼(253)에 상응하는 수형 테이퍼(1253) 및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1251b’)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부분(1251b)은 프레스-끼워맞춤 조건으로 그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1251b’)과 접촉하도록 코어 링(1250b)에 의해 수용된다.
도 20에 보다 명백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코어 링(1250b)의 제공은 일차 코어 인서트(1250a)와 코어 링(1250b) 사이에서 프리폼 공동의 목부 개구의 내부 코너로부터 벤팅 경로를 제공한다. 이는 2-부분 코어 인서트(1250)와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 또는 목부 링(350) 사이의 분할선이 상단 시일링 표면으로부터 목부 개구의 외부 코너까지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그리고 그의 중요성에 대한 이유는 당업자에게는 직접적으로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코어 링(1250b)은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1251b’)으로부터 수형 테이퍼(1253)의 외부 표면을 통해 규정되는 컬렉터 그루브(CG)로 연장되는 벤트 통로(CRV)의 쌍을 포함한다. 작동 시에, 벤트 통로를 통한 공기 벤팅은 목부 링(350)을 통해 정합 면에 규정된 하부 벤트 통로(LNRV)와 정렬된 컬렉터 그루브(CG)에 의해 지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 링(350)은 그 정합 면 상에 규정된 상부 벤트 통로(UNRV)를 추가로 포함한다.
지금부터 도 21을 살펴보면, 몰드 조립체(100)의 이동하는 부품(110)이 분리되어 도시되고,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400)는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의 특징을 노출시키도록 생략된다.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는 스트립퍼 플레이트(310),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6개의 슬라이드 쌍(320), 스트립퍼 플레이트(310) 및 4개의 연결 바아(340)를 따라 슬라이드 쌍(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및 하부 가이드 조립체(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몰드 스택은 그와의 이동을 위해 슬라이드(320) 상에 장착되고 쌍으로 배열된 다수의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 또는 목부 링(350)을 포함한다.
도 22에 보다 명백하게 도시된 스트립퍼 플레이트(310)는, 몰드가 장착되는 사출 성형 기계(도시 생략)의 타이바(도시 생략)를 수용하기 위해 코어 플레이트(210)의 스캘럽형 코너(211)와 정렬되는 스캘럽형 코너(311)를 갖고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스트립퍼 플레이트(310)는 또한 그 두께를 통해 연관된 구멍(도시 생략)(코어 플레이트(210)의 가이드 핀(230)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스캘럽형 코너(311)의 수평으로 안쪽에 있음)을 갖는 4개의 가이드 핀 부싱(312)을 포함한다. 스트립퍼 플레이트(310)는 또한 그 두께를 통해 다수의 코어 인서트 구멍(313)을 포함하고, 상부 및 하부 캠 플레이트 구멍(314), 및 베어링 표면을 제공하는 10개의 마모 또는 베어링 플레이트(315), 이하에서는 베어링 플레이트(315)를 포함하고, 베어링 표면을 따라 그리고 베어링 표면에 대해 슬라이드(320)는 스트립퍼 플레이트(310)를 따라 이동한다.
각각의 가이드 핀 부싱(312)은 중공형 실린더의 형태이고 4개의 볼트(312a)에 의해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에 볼트 결합된다. 각각의 가이드 핀 부싱(312)은 또한 일반적인 방식으로 그 내부 표면 상으로 그리스를 도입하기 위한 그리스 니플(312b)을 포함한다. 가이드 핀 부싱(312)의 내경은 그리스 니플(312b)을 통해 도입된 그리스가 수용되는 가이드 핀(230)과 가이드 핀 부싱(312) 사이에 작은 갭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가이드 핀(230)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와 코어 플레이트(210) 사이의 이동 중에 스트립퍼 플레이트(310)를 지지하도록 가이드 핀 부싱(312)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한다.
코어 인서트 구멍(313)은 6개의 세로 열 및 4개의 가로 행의 어레이로 배열되고 각각은 코어 인서트(250) 중 하나의 베이스(25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스트립퍼 플레이트(310)가 가이드 핀(230)을 따라 코어 플레이트(210)를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각각의 코어 인서트 구멍(313)은 그것과 코어 인서트 베이스(251)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제공하여 그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캠 플레이트 구멍(314)은 장박형(obround)의 형상이고 캠 플레이트(2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스트립퍼 플레이트(310)가 가이드 핀(230)을 따라 코어 플레이트(210)를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각각의 캠 플레이트 구멍(314)은 그것과 캠 플레이트(220)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제공하여 그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나사산형 가이드 브래킷 장착 구멍(330a)의 쌍은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의 상단 및 바닥 둘 모두에서 코어 인서트 구멍(313)의 각각의 열 사이에 포함된다. 가이드 브래킷 다월(330b)의 쌍은 또한 가이드 브래킷 장착 구멍(330a)의 각각의 쌍 사이에 포함된다.
또한 마모 플레이트(315)로서 지칭될 수 있는 베어링 플레이트(315)는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된다. 각각의 베어링 플레이트(315)는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그 두께를 통해 2개의 구멍(316) 및 4 부분-원형 컷-아웃(317a, 317b)을 포함한다. 베어링 플레이트 구멍(316)의 피치 간격은 각각의 세로 열을 따라 코어 인서트 구멍(313)의 피치 간격에 상응한다. 부분-원형 컷-아웃(317a) 중 2개는 베어링 플레이트(315)의 짧은 에지의 중앙에 존재하고 각각의 부분-원형 컷-아웃(317a)의 피치 간격 및 그 인접한 베어링 플레이트 구멍(316)은 또한 각각의 세로 열을 따라 코어 인서트 구멍(313)의 피치 간격에 상응한다. 다른 2 부분-원형 컷-아웃(317b)은 베어링 플레이트(315)의 긴 에지의 중앙에 존재한다. 그와 같이, 베어링 플레이트(315)는 중앙의 종방향 축에 대해 대칭이다.
베어링 플레이트(315)는 세로 열 중 하나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되고, 베어링 플레이트 구멍(316) 및 부분-원형 컷-아웃(317a)은 코어 인서트 구멍(313)과 정렬된다. 3개의 베어링 플레이트(315)는 코어 인서트 구멍(313)의 두 개의 중앙 열 각각을 따라 장착되는 한편, 단일의 베어링 플레이트(315)는 4개의 최외부 열의 수직 중앙에 장착된다. 본 개시에 따른 몰드에서, 베어링 플레이트(315)는 비용 감소를 위해 그들의 수를 최소화하면서, 배출 중에 슬라이드 쌍(320)을 위한 균형잡힌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결정된다. 이는 아래에 논의되는 몰드 조립체(100)의 전체적 설계에 기인하는 부하 경로에 의해 가능해진다.
도 23에 보다 명백하게 도시된 각각의 슬라이드 쌍(320)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된 제1 및 제2 슬라이드(320a, 320b)를 포함한다. 각각의 슬라이드(320a, 320b)는 그 측 중 하나를 따라 다수의 반원형 컷-아웃(321) 및 그 단부(323a, 323b) 각각에서 그리고 하나의 측으로부터 다른 측까지 관통하여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322)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거나 거의-정사각형인 횡단면을 갖는 바아의 형태이다. 가이드 부싱(322a)은 가이드 구멍(322) 각각에 수용되고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그 안에 보유되지만, 다른 배열도 구상된다. 한가운데의 슬라이드(320a, 320b)는 또한 각각의 단부(323a, 323b)에서 캠 종동부(324)(도 25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각각의 캠 종동부(324)는 캠 플레이트(220) 중 하나의 캠 슬롯(221) 중 하나 내에서의 수용을 위해 슬라이드 단부(323a, 323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의 형태이다.
각각의 슬라이드(320a, 320b)는, 또한 그 전방 면에서, 제1 단부(323a)에서의 제1 쌍의 연결 바아 장착 구멍(325a), 제2 단부(323b)에 인접하지만 그로부터 이격된 제2 쌍의 연결 바아 장착 구멍(325b), 일련의 목부 링 장착 구멍(326) 및 일련의 냉각 채널 포트(327)를 포함한다. 목부 링 장착 구멍(326) 중 하나는 반원형 컷-아웃(321) 각각의 사이에 위치설정되고 추가의 목부 링 장착 구멍(326)은 슬라이드(320a, 320b)의 단부(323a, 323b)에 인접하게 반원형 컷-아웃(321) 각각의 외부측에 위치설정된다. 사용 시에, 목부 링(350)은 목부 링 장착 구멍(326)에 의해 슬라이드(320a, 320b)에 장착되고, 그에 따라 냉각 채널 포트(327)는 목부 링(350)의 마주보는 표면 상에서 냉각 채널 포트(도시 생략)와 정렬된다. 각각의 냉각 채널 포트(327)는 목부 링(350)에 대한 시일링을 위한 O-링(327a)(도 26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냉각 채널 포트(327)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냉각 유체의 소스에 연결되는 냉각 채널(도시 생략)의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이러한 예에서, 목부 링(350)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 본 출원인의 동시 계류중인 출원 번호 PCT/CA2018/050693에 설명된 종류의 리테이너 조립체에 의해 플로우팅 방식으로 슬라이드(320a, 320b)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2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목부 링(350)은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의 쌍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목부 링 절반부(350a)는 하나의 슬라이드(320a)에서 서로 인접하게 종방향으로 위치결정되고, 상응하는 다수의 목부 링 절반부(350b)는 대향하는 슬라이드(320b) 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종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각각의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는 일반적으로 종래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2개의 리테이너 메커니즘(351)을 갖는 슬라이드(320a, 320b)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리테이너 메커니즘(351)은 볼트(352) 및 인서트 부재(353)의 형태의 리테이너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볼트(352)는 헤드 부분(352a) 및 나사산형 샤프트 부분(352b)을 갖는다. 각각의 인서트 부재(353)는 상부 환형 플랜지 부분(353a), 플랜지 부분(353a)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본체 부분(353b), 및 플랜지 부분(353a) 및 본체 부분(353b)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개구를 갖는다. 볼트(352)는 인서트 부재(353)의 원통형 개구 내에 수용되고 목부 링 장착 구멍(326)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려, 볼트(352)와 슬라이드(320a, 320b)의 마주보는 표면 사이에 인서트 부재(353)를 보유한다. 이는 인서트 부재(353)의 플랜지 부분(353a)과 슬라이드(320a, 320b)의 마주보는 표면 사이에 고정 간격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는 반-원통형 중앙 개구(354)를 갖고, 그에 따라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의 쌍이 사출 성형 시스템의 작동 중에 합쳐질 때,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의 개구(354)를 제공하는 내향 표면은 몰딩될 프리폼의 목부 영역을 위한 프로파일을 규정한다. 각각의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는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의 각각의 종방향측에서 리테이너 메커니즘(351)의 쌍에 의해, 상응하는 슬라이드(320a, 320b)에 홀딩된다. 각각의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는 일반적으로 궁형인 상부 반고리 부분(355a) 및 플랜지 부분(355b)을 포함한다. 반고리 부분(355a)은 테이퍼링된 측 표면(355c)을 갖고 플랜지 부분(355b)은 하부 표면(355d) 및 내부 테이퍼 표면(355e)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는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일반적으로 단차형인 반-원통형 측면 애퍼처(356)의 쌍을 갖는다. 각각의 애퍼처(356)는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의 플랜지 부분(355b)을 완전히 통과하는 진로를 갖는다.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의 쌍이 슬라이드(320a, 320b) 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종방향으로 위치결정될 때, 원통형 개구는 2개의 인접한 마주보는 애퍼처(356)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는 리테이너 메커니즘(351)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마주보는 애퍼처(356)에서 단차부에 의해 획정되는 리세스형 플랫폼을 포함한다. 이러한 리세스형 플랫폼의 깊이는 특히 인서트 부재(353)의 353a의 플랜지 부분을 위치결정하도록 제공되고, 그에 따라 갭은 플랜지 부분(353a)의 하부 표면과 리세스형 플랫폼의 상향의 마주보는 반대쪽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갭은 예로써 0.01 내지 0.03 mm의 범위일 수 있다.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가 슬라이드에 장착될 때, O-링(327a)에 의해 플랜지 부분(355b)에 가해지는 압력은 슬라이드(320a, 320b)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그를 압박한다. 플랜지 부분(353a)의 하부 표면과, 단차형 측면 애퍼처(356)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형 플랫폼의 상향의 마주보는 반대쪽 표면 사이의 이전에 언급된 갭은 약간의(예를 들면 0.01 내지 0.03 mm의) 갭이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와 슬라이드(320a, 320b)의 전방 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갭은 슬라이드(320a, 320b)에 대해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의 어느 정도의 슬라이딩, 또는 플로우팅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냉각 채널 포트(327)와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의 마주보는 냉각 채널 포트(도시 생략) 사이에서 시일링된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도록 O-링(327a)의 충분한 압축을 가한다.
그와 같이,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는 몰드 절반부가 합쳐질 때, 그들의 각각의 슬라이드(320a, 320b)에 대한 어느 정도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목부 링 절반부(350a, 350b)의 쌍이 재위치결정되는 것을 허용하고, 이로써 나머지 몰드 스택과의 적절한 정렬을 지원한다. 그러나, 플로우팅하지 않는 전통적인 목부 링(도시 생략)이 사용되는 것도 구상될 수 있고, 이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5 및 도 26은 가이드 조립체(330) 중 하나 및 한 쌍의 연결 바아(340)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쌍(320)과 스트립퍼 플레이트(310) 사이의 상호연결을 예시한다. 가이드 조립체(330)는, 둥근 횡단면을 갖고 7개의 가이드 브래킷(332)에 의해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에 고정되는 가이드 샤프트(331)를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 조립체(330)는 상부 스캘럽형 코너(311) 및 가이드 핀 부싱(312) 바로 아래에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의 상부 영역에 걸쳐 장착된다. 하부 가이드 조립체(330)는 하부 스캘럽형 코너(311) 및 가이드 핀 부싱(312) 바로 위에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의 하부 영역에 걸쳐 유사하게 장착된다.
상부 및 하부 가이드 조립체(330) 각각은 각각의 슬라이드 쌍(320) 사이에 장착된 가이드 브래킷(332) 및 각각의 스캘럽형 코너(311)에 인접하게 장착된 단부 가이드 브래킷(332)을 포함한다. 가이드 브래킷(332)은 제위치에 가이드 샤프트(331)를 정착시킨다. 각각의 가이드 브래킷(332)은 베이스(333), 클램프 부재(334) 및 베이스(333), 및 클램프 부재(334) 각각에서 개별적인 볼트 구멍(336) 내에 수용되는 볼트(335)의 쌍을 포함한다. 도 2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 조립체(330)는 가이드 브래킷 다월(330b)에 의해 제위치에 홀딩된 가이드 브래킷 베이스(333)를 갖는 슬라이드(320a, 320b)의 일단부(323a, 323b)에서 가이드 부싱(322a)을 통해 가이드 샤프트(331)를 삽입함으로써 조립된다. 가이드 브래킷 클램프 부재(334)는 그 후 가이드 샤프트(331) 위에 위치되고 볼트(335)는 가이드 브래킷 베이스(333) 및 클램프 부재(334) 각각에서 볼트 구멍(336) 내에 삽입된다. 볼트(335)는,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에 가이드 브래킷 클램프 부재(334)를 고정하고 가이드 브래킷 클램프 부재(334)와 베이스(333) 사이에서 가이드 샤프트(331)를 클램핑하도록 가이드 브래킷 장착 구멍(330a)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린다. 그 결과로서, 슬라이드(320a, 320b)는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의 베어링 플레이트(315)에 맞닿도록 보유되고, 그에 따라 그것은 가이드 샤프트(331) 및 베어링 플레이트(315)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서 연결 바아(340)는 정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세장형이고, 각각은 그 길이를 따라 이격된 여섯 쌍의 볼트 구멍(341)을 갖는다. 볼트(342)는 각각의 볼트 구멍(341)에 수용되고 각각의 슬라이드 쌍(320)의 슬라이드(320a, 320b) 중 하나에 연결 바아(340)를 고정하지만, 하나의 볼트(342)만 도 25에서 볼트 구멍(341)의 각각의 쌍으로 예시된다. 연결 바아(340) 중 하나는 각각의 슬라이드 쌍(320)의 제1 슬라이드(320a)에 연결되고 연결 바아(340) 중 다른 것은 각각의 슬라이드 쌍(320)의 제2 측(320b)에 연결된다. 그와 같이, 제1 슬라이드(320a) 중 하나의 슬라이딩 이동은 모든 제1 슬라이드(320a)가 그와 함께 움직이게 한다. 유사하게는, 제2 슬라이드(320b) 중 하나의 슬라이딩 이동은 모든 제2 슬라이드(320b)가 그와 함께 움직이게 한다.
사용 시에, 코어 플레이트(210)로부터 멀리 스트립퍼 플레이트(31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캠 종동부(324)가 캠 슬롯(221)을 따라 이동하게 하고, 이는 캠 종동부(324)를 지니는 슬라이드(320a, 320b)가 서로를 향해 가이드 샤프트(331) 및 베어링 플레이트(315)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슬라이드 쌍(320) 각각은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하여(가이드 샤프트(331) 및 베어링 플레이트(315)를 따라 슬라이딩함), 목부 링을 개방하고, 그리하여 일반적인 방식으로 코어로부터 프리폼을 배출한다. 유사하게는, 코어 플레이트(210)를 향해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의 후향 이동은 캠 종동부(324)가 캠 슬롯(221)을 따라 역방향 경로를 따르게 하고, 이로써 목부 링을 폐쇄한다.
지금부터 도 27을 살펴보면,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400)는 공동 플레이트(410), 4개의 가이드 핀 부싱(420) 및 다수의 공동 조립체(430)를 포함한다. 공동 플레이트(410)는 전방 면(CVF), 후방 면(CVR) 및 스캘럽형 코너(411)를 갖고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스캘럽형 코너(411)는, 몰드가 장착되는 사출 성형 기계(도시 생략)의 타이바(도시 생략)를 수용하기 위해 몰드(100)가 조립된 조건에 있을 때 코어 및 스트립퍼 플레이트(210, 310)의 스캘럽형 코너(211, 311)와 정렬된다. 공동 플레이트(410)는 그 두께를 통해 가이드 핀 구멍(도시 생략)(가이드 핀 부싱(420)과 정렬되고 코어 플레이트(210)의 가이드 핀(230)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스캘럽형 코너(411)의 수평으로 안쪽에 있음)을 포함한다.
공동 플레이트(410)는 또한 그 두께를 통해 다수의 시트(412), 시트(412)와 연통하는 냉각 채널(413a, 413b, 413c)의 네트워크, 및 그 두께를 통해 상부 및 하부 캠 플레이트 구멍(414)을 포함한다. 시트(412)는 코어 인서트(250)와 매칭되도록 배열된 6개의 세로 열 및 8개의 가로 행의 어레이로 배열된다. 각각의 시트(412)는 4개의 나사산형 공동 장착 구멍(415)에 의해 둘러싸이고, 여기서 공동 인서트(430) 중 하나는 각각의 시트(412)에 수용되고, 공동 장착 구멍(415)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는 볼트(416)에 의해 공동 플레이트(410)에 고정된다. 캠 플레이트 구멍(414)은 장박형의 형상이고 캠 플레이트(2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몰드(100)가 폐쇄될 때, 각각의 캠 플레이트 구멍(414)은 그것과 캠 플레이트(220)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제공하여 그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크기설정된다. 공동 플레이트(410)는 또한 코어 플레이트(210)에 공동 플레이트(410)를 고정하도록 이전에 언급된 커플링 볼트(217)를 수용하기 위한 커플링 볼트 구멍(417)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이는 아래에 추가로 설명된다.
각각의 가이드 핀 부싱(420)은 중공형 실린더의 형태이고 4개의 볼트(421)에 의해 공동 플레이트(410)에 볼트 결합된다. 각각의 가이드 핀 부싱(420)은 또한 일반적인 방식으로 그 내부 표면 상으로 그리스를 도입하기 위한 그리스 니플(422)을 포함한다. 가이드 핀 부싱(420)의 내경은 그리스 니플(422)을 통해 도입된 그리스가 수용되는 가이드 핀(230)과 가이드 핀 부싱(420) 사이에 작은 갭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가이드 핀(230)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작동 중에 코어와 공동 플레이트(210, 410)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하도록 가이드 핀 부싱(420)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한다.
도 28 내지 도 35에 보다 명백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동 조립체(430)는 공동 인서트(440), 게이트 인서트(450) 및 보유 핀(460)의 쌍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공동 인서트(440) 및 게이트 인서트(450)는 별개의 구성요소이지만, 다른 변형예에서 그들은 단일의 단일형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공동 인서트(440)는 실질적으로 장박형인 횡단면을 제공하도록 평평한 측면(442)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본체(441)를 포함한다. 공동 인서트(440)는 또한 본체(441)의 일단부에서 장착 면(441a)으로부터 돌출된 스피곳(443), 장착 면(441a)으로부터 본체(441)의 반대쪽 단부에서의 전방 면(441b)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장박형인 횡단면의 외부 코너에 인접한 4개의 축방향 장착 구멍(444), 및 냉각 채널(445)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스피곳(443)은 게이트 인서트(450)를 수용하기 위한 단차형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를 가지며 중공형이다. 또한 공동 인서트(440)의 본체(441)는 중공형이고 전방 면(441b)으로부터 몰딩 표면(448)까지 연장되는 암형 테이퍼(447)를 포함한다. 본체(441)는 그로부터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까지 연장되는 몰딩 표면(448)에 테이퍼(447)를 결합하는 환형의 단차부(447a)를 포함한다.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는 스피곳(443)의 단부 면(443a)으로부터 제1 내부 견부(443b)까지 연장되는 제1 부분(446a)(원통형임), 및 제1 내부 견부(443b)로부터 제2 내부 견부(443c)까지 연장되는, 제1 부분(446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부분(446b)(또한 원통형임)을 포함한다. 제1 내부 견부(443b)는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1 부분(446a)으로부터 그 제2 부분(446b)까지 전이부를 제공하는 한편, 제2 견부(443c)는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2 부분(446b)으로부터 본체(441)의 몰딩 표면(448)까지 전이부를 제공한다.
스피곳(443)은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1 부분(446a)으로부터 스피곳(443)의 외부 원주 표면까지 연장되는 나사산형 방사상 구멍(449)의 쌍을 포함한다. 방사상 구멍(449)의 축은 평평한 측면(442)에 평행하고 그의 베이스는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1 내부 견부(443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다. 스피곳(443)은 또한 O-링 시일(도시 생략)을 수용하기 위한 방사상 구멍(449) 아래에 그 외부 원주 표면에서 원주 그루브(443d)를 포함한다.
냉각 채널(445)의 네트워크는 2개의 별개의 회로에 각각 유체 연결되는 냉각제 유입구(445a) 및 냉각제 유출구(445b)를 포함한다. 회로 중 하나는 도 30의 개략도로 예시되고, 이는 도 29에서 라인 A-A에 의해 나타내어진 공동 인서트(440)의 절반부에 상응한다. 다른 회로(도 30에서 도시 생략)는 도 30에 도시된 것과 미러대칭이고 냉각제 유입구(445a) 및 유출구(445b) 둘 모두는 두 회로 모두에 유체 연결된다. 각각의 회로는 제1 축방향 채널(445c)의 쌍, 횡방향 또는 교차 채널(445d)의 쌍 및 제2 축방향 채널(445e)의 쌍을 포함한다. 냉각제 유입구(445a)는 단부 면(443a)으로부터 제1 내부 견부(443b)까지 연장되는 스피곳(443)을 통해 축방향 슬롯(445a)에 의해 획정된다. 냉각제 유출구(445b)는 또한 냉각제 유입구(445a)의 그것과 유사하지만 그 반대측에 존재하는 스피곳(443)을 통해 축방향 슬롯(445b)에 의해 획정된다. 냉각제 유입구(445a), 냉각제 유출구(445b) 및 방사상 구멍(449)은 스피곳(443)의 주변부 둘레에서 동등하게 이격되고, 그에 따라 방사상 구멍(449)은 냉각제 유입구(445a)와 냉각제 유출구(445b) 사이에 존재한다. 냉각제 유입구(445a) 및 냉각제 유출구(445b) 각각을 통한 유동 경로는 방사상 구멍(449)의 축과 직교한다.
축방향 채널(445c, 445e)은, 스피곳(443) 및 본체(441) 둘레에서 동등하게 이격되고 스피곳(443)의 단부 면(443a)으로부터 교차 채널(445d)까지 연장되는 블라인드 드릴링에 의해 제공된다. 도 29에서 가장 명백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1 부분(446a)의 직경은 단부 면(443a)으로부터 제1 내부 견부(443b)까지 연장된 이들 드릴링 각각의 부분이 제1 부분(446a) 내로 개방되게 하는 직경이다. 각각의 회로의 교차 채널(445d)은 또한 원통형 본체(441)의 원주 표면(441c)으로부터 평평한 측면(442) 중 각각의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블라인드 드릴링에 의해 제공되고, 그에 따라 그들은 서로 직교하도록 연장된다. 교차 채널(445d)은 서로 그리고 축방향 채널(445c, 445e)의 각각의 쌍과 교차하여 제1 축방향 채널(445c)과 제2 축방향 채널(445e)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지금부터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게이트 인서트(450)는 제1 노즐 팁 수용 부분(451), 제2 몰딩 공동 부분(452), 및 제1 부분(451)을 제2 부분(452)에 결합하는 제3 게이트 부분(453)을 갖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이다. 제1 부분(451)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밸브-게이트형 사출 노즐(도시 생략)의 팁 및 연관된 팁 절연체(도시 생략)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그 단부 면(451b)으로부터 연장되는 리세스(451a)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부분(451)은, 그 외부 원주 표면에 있고 O-링 시일(도시 생략)을 수용하기 위한 단부 면(451b)으로부터 이격되는 원주 그루브(451c)를 포함한다.
제2 부분(452)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몰딩될 프리폼의 베이스의 외부 표면을 획정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그 단부 면(452b)으로부터 연장되는 돔-형상 몰딩 표면(452a)을 획정한다. 또한 제2 부분(452)은, 그 외부 원주 표면에 있고 O-링 시일(도시 생략)을 수용하기 위한 단부 면(452b)으로부터 이격되는 원주 그루브(452c)를 포함한다. 제3 부분(453)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제2 부분(452)의 몰딩 표면(452a)에 제1 부분(451)의 리세스(451a)를 결합하는 중앙 원통형 게이트(453a)를 획정한다.
제2 부분(452)의 직경은 제1 부분(451)의 그것보다 작고 제3 부분(453)의 직경은 제1 및 제2 부분(451, 452) 둘 모두의 그것보다 작다. 따라서 제3 부분(453)은 제1 및 제2 부분(451, 452) 사이에서 목부형 전이부를 제공하고, 이로써 그 사이에 원주 냉각 그루브(454)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제3 부분(453)은 또한 냉각 그루브(454)에서 리세스 형성된 원주 바이패스 그루브(455)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바이패스 그루브(455)는 냉각 그루브(454)보다 협소하고, 그에 따라 견부(454a)의 쌍은 냉각 그루브(454)의 베이스에서 획정된다. 그와 같이, 냉각 그루브(454)는 일차 그루브(454)를 제공하고 바이패스 그루브(455)는 일차 그루브(454)의 베이스에서 이차 그루브(455)를 제공한다.
지금부터 도 32을 참조하면, 각각의 보유 핀(460)은 수나사산형 부분(462) 및 플러그 부분(463)을 구비한 원통형 본체(461)를 포함한다. 나사산형 부분(462)은 드라이빙 공구, 예를 들면 헥스 키(hex key)(도시 생략)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육각형 리세스(465)를 구비한 구동 단부(464)를 포함한다. 플러그 부분(463)은 나사산형 부분(462)으로부터 연장되고 매끄러운 원주 표면(466) 및 평평한 단부(467)를 포함한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공동 플레이트(410)의 냉각 채널(413a, 413b, 413c)의 네트워크는, 공동 플레이트(410)에 걸쳐 시트(412)의 행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공급 채널(413a), 및 시트(412)의 각각의 열 사이에서 연장됨으로써 각각의 열에서 시트(412)를 직렬로 함께 결합하는 일련의 분지 채널(413b, 413c)을 포함한다. 도 33에서, 각각의 시트(412)의 좌측에 있는 분지 냉각 채널 세그먼트(413b)는 시트(412)로의 유입구(413b)를 제공하는 한편, 각각의 시트(412)의 우측에 있는 분지 냉각 채널 세그먼트(413c)는 유출구(413c)를 제공하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서, 유입구(413b) 및 유출구(413c)는 공동 플레이트(410)에서 동일한 깊이로 정렬되고 또한 그 반대편에 존재한다. 또한 유입구(413b) 및 유출구(413c)가 서로에 대해 각지게, 예를 들면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 구상된다.
공급 채널(413a)은 제1 직경(D1)을 갖고 유입구(413b) 및 유출구(413c)는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갖는다. 공동 플레이트(410)의 각각의 시트(412)는 제1 공동 인서트 수용 부분(412a), 제1 부분(412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게이트 인서트 수용 부분(412b), 및 그 사이에 전이부를 제공하는 단차부(412c)를 갖는 단차형 보어를 포함한다. 공동 플레이트(410)는 종래의 공동 플레이트(도시 생략)보다 실질적으로 얇은 전방 면(CVF)으로부터 후방 면(CVR)까지 획정되는 바와 같은 깊이(D), 또는 두께를 갖는다.
종래의 공동 인서트의 본체(도시 생략)는 그러한 종래의 공동 플레이트(도시 생략)에서의 보어 내에 거의 전체적으로 수용되고, 그에 따라 그들의 몰딩 표면의 대부분 또는 모두는 플레이트 내에 존재하며, 냉각 채널은 냉각 유체가 유동하는 구멍과 진로를 규정하는 각각의 본체의 외부 표면 둘레에서 형성된다. 대조적으로, 몰드(100)의 공동 플레이트(410)는 스피곳(443)만을 수용하고, 그에 따라 동일한 공동 플레이트(410)는 상이한 프리폼 설계를 몰딩하기 위해 상이한 공동 인서트(440)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공동 플레이트(410)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직경(D1)은 깊이(D)의 대략 절반이고 제2 직경(D2)은 깊이(D)의 대략 1/3이다. 이는 작동 시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공동 플레이트(410)를 제공하는 한편, 깊이(D)를 최소화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부 적용예에서, 냉각 채널(413a, 413b, 413c) 중 일부의 크기는 그 강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공동 플레이트(410)의 깊이(D)의 최대 75%일 수 있는 것이 구상된다. 그러나, 냉각 채널(413a, 413b, 413c)의 크기(D1, D2)는 공동 플레이트(410)의 깊이(D)의 최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구(413b) 및 유출구(413c)의 크기(D1, D2)는 공동 플레이트(410)의 깊이(D)의 적어도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 채널(413a, 413b, 413c)은 둥근 횡단면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해야 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이전에 언급된 크기(D1, D2)가 공동 플레이트(410)의 두께에 걸친 냉각 채널의 치수를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예에서 공동 인서트(440)의 몰딩 표면(448)은 공동 인서트(440)의 암형 테이퍼(447)와 본체(441)의 장착 면(441a)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위치설정된다. 그러나, 상술된 것은 모든 경우에 있어 본질적인 것은 아닌데, 왜냐하면 이러한 분할선의 위치는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깊이, 스피곳(443)의 길이, 공동 플레이트(410)의 두께뿐만 아니라 게이트 인서트(450)에 규정된 베이스 몰딩 부분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몰딩 표면(448)의 일부가 공동 플레이트 시트(41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몰딩 표면(448)의 최대 1/3,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가 공동 플레이트 시트(41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 구상된다.
도 28 및 도 3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인서트(450)는 공동 인서트(440)의 단차형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 내에 수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인서트(450)의 몰딩 공동 부분(452)은 그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원주 그루브(452c) 내에 수용되는 O-링(도시 생략)을 갖고,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2 부분(446b) 내에 수용된다. 몰딩 공동 부분(452)의 단부 면(452b)은 제2 견부(443c)와 당접하고, 그에 따라 돔-형상 몰딩 표면(452a)은 공동 인서트(440)의 몰딩 표면(448)의 연장부를 제공한다. 노즐 팁 수용 부분(451)의 하부는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1 부분(446a)의 상부 내에 수용되고, 원주 냉각 그루브(454)는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1 부분(446a)의 하부, 및 냉각제 유입구(445a) 및 냉각제 유출구(445b)의 베이스와 정렬된다. 냉각 채널(454b)은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1 부분(446a)의 하부의 마주보는 표면과 원주 냉각 그루브(454) 사이에 획정된다.
도 28, 도 34 및 도 3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유 핀(460)은 공동 인서트(440)의 스피곳(443)의 방사상 구멍(449) 중 하나 내에 수용된다. 나사산형 부분(462)은 방사상 구멍(449)의 나사산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고 플러그 부분(463)은 원주 냉각 그루브(454) 내로 스피곳(443)의 내향으로 연장되고 견부(454a)와 당접한다. 그와 같이, 원주 냉각 그루브(454)와 게이트 인서트 시트(446)의 제1 부분(446a) 사이에 획정되는 냉각 채널(454b)은 2개의 세그먼트 또는 절반부로 분할되고, 여기서 보유 핀(460)의 플러그 부분(463)은 디버터로서 작용한다. 도 35에 보다 명백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그루브(455)는 플러그 부분(463)의 평평한 단부(467)와 함께, 일부 유동이 냉각 채널(454b)의 2개의 절반부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바이패스 유동 채널 세그먼트(455a)를 획정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냉각 채널(454b)을 세분화하는 것 외에도, 보유 핀(460)은 또한 조립된 조건에서 공동 조립체(430)를 유지하도록 공동 인서트(440)의 스피곳(443) 내에서 게이트 인서트(450)를 보유한다.
공동 조립체(430)는 각각의 공동 조립체(430)의 게이트 인서트(450)의 스피곳(443) 및 돌출 부분을 공동 플레이트 시트(412) 중 하나 내로 삽입함으로써 공동 플레이트(410)에 의해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공동 인서트(440)의 스피곳(443)은 제1 공동 인서트 수용 부분(412a) 내에 수용되고 노즐 팁 수용 부분(451)의 상부는 제2 게이트 인서트 수용 부분(412b)에 수용된다. O-링(도시 생략)은 유입구(413b) 및 유출구(413c) 양쪽에서 공동 인서트 시트(412)와의 시일링된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원주 그루브(451c, 443d) 내에 수용된다. 도면에는 명백하게 도시되지 않지만, 게이트 인서트(450)의 노즐 팁 수용 부분(451)의 단부 면(451b)은 공동 플레이트(410)의 후방 면(CVR)에 대해 약간 리세스 형성된다.
공동 인서트(440)는 본체(441)의 평평한 측면(442)이 도 27 및 도 3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로 열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향된다. 이러한 배향에서, 스피곳(443)에서의 냉각제 유입구(445a) 및 유출구(445b)는 공동 플레이트(410)에서의 유입구(413b) 및 유출구(413c)와 정렬된다. 볼트(416)는 각각의 공동 인서트(440)의 본체(441)의 장착 구멍(444) 내에 삽입되고 공동 장착 구멍(415)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려 공동 인서트(440)를 공동 플레이트(410)에 고정시킨다. 볼트(416)에 토크를 인가하면, 공동 플레이트(410)의 전방 면(CVF)에 본체(441)의 장착 면(441a)이 맞닿게 된다. 볼트(416)에 토크를 인가하면, 공동 플레이트 시트(412)의 단차부(412c)에 각각의 스피곳(443)의 단부 면(443a)도 맞닿게 되고, 이로써 축방향 채널(445c, 445e)을 형성하는 드릴링, 및 유입구(445a) 및 유출구(445b)의 상부 단부를 폐쇄한다. 그 결과로서, 각각의 공동 인서트(440)의 냉각 채널(445)의 네트워크는 공동 플레이트(410)의 냉각 채널(413a, 413b, 413c)의 네트워크에 밀봉식으로 연결된다.
사용 시에, 냉각 유체는 각각의 세로 열에서 공급 채널(413a)로부터 시트(412)의 유입구(413b)를 통해 제1 공동 조립체(430)의 유입구(445a) 내로 유동한다. 냉각 유체의 대부분은 각각의 냉각 회로의 유입구(445a)로부터 제1 축방향 채널(445c) 내로, 교차 채널(445d)을 통해, 제2 축방향 채널(445e) 내로, 그리고 유출구(445b) 외부로, 그리고 시트(412)의 유출구(413c) 내로 유동한다. 그러나, 냉각 유체 중 일부는 또한, 공동 조립체(430)를 통해 보다 균형잡힌 유동을 제공하고 게이트(453a)를 둘러싸는 게이트 인서트(450)의 영역을 동시에 냉각하는 바이패스 채널 세그먼트(455a)를 통해 유동한다. 냉각 유체는 그 후 열에서 이웃하는 시트(412)의 유입구(413b) 내로 그리고 그 안에 수용된 공동 조립체(430)를 통과한다. 그러나, 이는 가능한 구현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냉각 채널(413a, 413b, 413c, 445)의 다른 구성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상된다.
실제로, 바이패스 채널 세그먼트(455a)의 구성은, 예를 들면 바이패스 그루브(455) 또는 보유 핀(46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수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히 구상된다. 도 36은 그러한 하나의 변형예를 예시하며, 여기서 각각의 바이패스 채널 세그먼트(1455a)가 게이트 인서트(450)의 몰딩 공동 부분(452)에 인접하게 놓이고, 그에 따라 하나의 견부(1454a)만 제공된다. 도 36의 배열에서 보유 핀(460)은 도 35의 그것에 상응한다. 도 37은 바이패스 채널 세그먼트(455a, 1455a)가 생략되고 보유 핀(2460)이 테이퍼링된 단부(2467)를 갖는 플러그 부분(2463)을 포함하는 또 다른 변형예를 예시한다. 테이퍼링된 단부(2467)는 이분된 바이패스 채널 세그먼트(2455a)를 제공하도록 원주 냉각 그루브(454)와 협력한다. 다른 배열도 구상되고,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테이퍼링된 단부(2467)에 의해 제공된 절취부는 핀을 통한 구멍 또는 일부 다른 배열로 교체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는 상기 설명된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400)와 유사한 대안적인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3400)를 예시하고, 여기서 유사한 특징은 앞에 ‘3’이 추가되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받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3400)는, 그 중에서도, 게이트 인서트(450)가 게이트 인서트(3450) 및 게이트 패드(3457)를 포함하는 2-부분 조립체로 교체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공동 플레이트(3410)의 각각의 시트(3412)는 제1 공동 인서트 수용 부분(3412a), 제1 부분(3412a)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게이트 인서트 수용 부분(3412b) 및 그 사이에 테이퍼링된 전이부(3412c)를 포함한다.
게이트 인서트(3450)는 이전의 예에서 공동 플레이트 시트(412)의 단차부(412c) 대신에 스피곳(3443)의 단부 면(3443a)과 당접하는 확장된 단부 부분(3456)을 제공하도록 보다 길고 단차형인, 제1 노즐 팁 수용 부분(451)을 대신하는 게이트 패드 수용 부분(3451)을 포함한다. 게이트 패드 수용 부분(3451)은 이러한 예에서 30 내지 40도, 대략 35도의 끼인 각도로 테이퍼링된, 게이트 패드(3457)를 수용하기 위한 원추대형 리세스(3456a)를 포함한다. 게이트(3453a)는 돔-형상 몰딩 표면(3452a)과 수용 부분(3451)을 결합한다. 확장된 단부 부분(3456)은 또한 조립된 조건으로 공동 플레이트(3410)의 시트(3412)의 테이퍼링된 전이부(3412c)에 인접하게 놓이는, 단차부에 인접한 립(3456b)을 포함한다. 원주 그루브(3451c)는 또한 O-링 시일(도시 생략)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된 단부 부분(3456)의 외부 원주 표면 상에 존재한다.
게이트 패드(3457)는 중공형이고 그 안에서 노즐 시트(3451a)를 획정한다. 게이트 패드(3457)는 제1 나사산형 단부(3457a), 제2 원추대형 유출구 단부(3457b), 제1 및 제2 단부(3457a, 3457b) 사이의 플랜지(3457c), 및 플랜지(3457c)와 제1 단부(3457a) 사이의 견부(3457d)를 포함한다. 플랜지(3457c) 및 견부(3457d) 둘 모두는 외향으로 돌출된다. 플랜지(3457c)는 사용 시에 설치 공구와 맞물리기 위해 이러한 예에서는 육각형이다. 게이트 패드 수용 부분(3451)의 리세스(3456a)와 같이, 유출구 단부(3457b)는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30 내지 40도, 대략 35도의 끼인 각도로 테이퍼링된다. 노즐 시트(3451a)는 유출구 단부(3457b)의 팁을 통해 애퍼처를 형성하는 중앙 원통형 게이트(3459)에서의 게이트 패드(3457)의 유출구 단부(3457b)에서 종결된다.
조립된 조건에서, 게이트 패드(3457)의 나사산형 단부(3457a)는 용융물 분배기(3500)의 나사산형 구멍(3501) 내에 그리고 그와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려 수용되고, 그에 따라 노즐 팁(도시 생략)은 용융물 분배기(3500) 내로부터 노즐 시트(3451a)까지 연장된다. 용융물 분배기(3500)의 구멍(3501)은 견부(3457d)가 수용되는 나사산형 구멍(3501)의 단부에서, 확장된 포켓(3501a)을 갖고 단차형이다. 견부(3457d)는 환형이고 포켓(3501)과의 타이트한 끼워맞춤을 제공하여 용융물 분배기(3500)에 대해 게이트 패드(3457)의 정렬을 유지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용융물 분배기(3500)가 공동 플레이트(3410)에 장착될 때, 게이트 패드(3457)의 유출구 단부(3457b)는 게이트 인서트(3450)의 게이트 패드 수용 부분(3451) 내에 수용되고, 그의 게이트(3453a, 3459)는 용융된 재료의 수용을 위해 정렬된다. 이러한 분할된 게이트 인서트 배열은 노즐 팁(도시 생략)과 게이트 인서트(450) 사이의 오정렬로 인해 달리 발생할 수 있는 마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것은 또한 용융물 분배기(3500)를 냉각시킬 필요없이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3400)를 통합하는 콜드 절반부(도시 생략)로부터 용융물 분배기(3500)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써 몰드 교체(changeover)를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게이트 패드(3457)는 희생 구성요소가 되도록 구성되어, 게이트 인서트(3450)에서 마모를 감소시키고 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3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피곳(3443)과, 게이트 인서트(3450)와 플랜지(3457c)의 조합된 깊이는 공동 플레이트(3410)의 그것보다 약간 작고, 그 이유는 아래에 추가로 설명된다.
도 40 및 도 41은 도 2에 예시된 조립된 콜드 절반부(130)의 몰드 스택(MS) 중 하나를 통한 부분 단면도를 예시하고, 몰드 스택(MS)은 몰딩 구성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몰딩 구성에서, 프리폼의 상단 시일링 표면은 부분적으로 코어 인서트(250)의 상단 시일링 표면 부분(TSS)에 의해 그리고 부분적으로 목부 링(350)에 의해 획정된다. 각각의 몰드 스택(MS)의 구성요소는 서로 맞물리고 이는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동-로크’ 설계로서 지칭된다. 목부 링(350)의 내부 테이퍼 표면(355e)은 코어 인서트(250)의 테이퍼(253)를 둘러싸고 목부 링(350)의 플랜지 부분(355b)의 하부 표면(355d)은 코어 인서트(250)의 베이스(251)의 전방 표면(251a)과 당접한다. 이러한 예에서, 전방 표면(251a)은 목부 링(350)의 플랜지 부분(355b)의 일부와 맞물리는 환형 지지 표면(251a)을 제공한다. 목부 링(350)의 테이퍼링된 측 표면(355c)은 공동 인서트(440)의 암형 테이퍼(447) 내에 수용되고 목부 링(350)의 반고리 부분(355a)은 환형의 단차부(447a)와 당접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협소한 벤트를 규정하여 사출 중에 공기가 몰딩 공동을 탈출하는 것을 허용하고 추가로 몰딩 재료, 즉 플래시(flash)의 외부유동을 방지하도록 그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예에서 몰드 스택(MS)은 코어 플레이트(210) 및 공동 플레이트(410) 각각에 (용융물 분배기(500)를 통해) 인가된, 도 40에서 화살표로 예시된, 인가된 클램핑 부하(CL)가 몰드 스택을 통해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지향되도록 구성되는 스택 높이를 갖는다는 것이 종래의 몰드와 현저하게 다른 점 중 하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목부 링(350)과 코어 플레이트(210) 사이의 거리는 그 사이에 수용된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의 두께보다 크고, 이로써 클램핑 부하(CL)가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를 통해 지향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예에서, 이러한 차이는 스트립퍼 플레이트(310)와 코어 플레이트(210) 사이의 갭(G)에 의해 제공되는 클리어런스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배열이 바람직하지만, 또한 갭(G)이 일부 변형예에서 슬라이드(320)와 스트립퍼 플레이트(3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구상된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몰드 스택(MS)은 그를 통해 인가된 클램프 부하(CL)가 균형잡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공동 인서트(440), 즉 각각의 반고리 부분(355a)의 테이퍼링된 측 표면(355c) 및 방사상 단부 표면과 맞물리는 목부 링(350)의 부분은, 코어 인서트(250)의 환형 지지 표면(251a)과 맞물리는 플랜지 부분(355b)의 하부 표면(355d)의 부분 및 내부 테이퍼 표면(355e)의 그것과 유사한 돌출된 구역(클램프 부하(CL)의 방향을 따름)을 갖는다. 이러한 예에서, 몰드 스택(MS)은 클램핑 부하(CL)의 실질적으로 모두가 테이퍼링된 측 표면(355c) 및 각각의 반고리 부분(355a)의 방사상 단부 표면을 통해 전달되고, 목부 링(350)의 플랜지 부분(355b)과 공동 인서트(440)의 마주보는 표면 사이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클램핑 부하(CL)의 실질적으로 모두는 몰드 스택(MS)을 통과하여, 각각의 몰드 스택(MS)을 통해 별개의 부하 경로를 제공한다. 이는 몰드(100)에 걸친 클램핑 부하(CL)의 보다 고른 그리고 예상 가능한 분배를 보장한다. 몰드 스택(MS)을 통해 클램프 부하(CL)의 실질적으로 모두를 라우팅하는 것은 또한 종래의 프리폼 몰드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톤수의 블록(tonnage block)에 대한 필요성 및 스트립퍼 플레이트(310) 및 베어링 플레이트(315) 두께를 타이트하게 제어할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베어링 플레이트(315) 및 스트립퍼 플레이트(310)를 통해 부하 경로를 제거할 경우의 또 다른 결과는 베어링 플레이트(315)의 분배 및 구성이 덜 중요하다는 것인데, 그것이 몰드 조립체(100)에 걸쳐 고르게 클램프 부하를 분배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와 같이, 그의 수, 분배 및 제조 허용오차는 보다 덜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그리고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게이트 인서트(450)의 노즐 팁 수용 부분(451)의 단부 면(451b)은 공동 플레이트(410)의 후방 면(CVR)에 대해 약간 리세스 형성된다. 이는 클램핑 부하(CL)의 모두는 아니지만 대부분이 공동 플레이트(410)를 통해 전달되어, 게이트 인서트(450)를 통해 전달되는 임의의 부하를 방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대안적인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3400)의 경우에는, 공동 플레이트(3410)의 그것보다 약간 작은, 스피곳(3443)과, 게이트 인서트(3450)와 플랜지(3457)의 이전에 언급된 조합된 깊이에 의해, 유사한 효과가 달성된다.
그러나 톤수의 블록(도시 생략)이 몰드 스택(MS)을 과도한 클램핑 부하(CL)의 의도치 않은 인가로부터 보호하도록 코어 플레이트(210)와 공동 플레이트(410) 사이에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당업자는 또한 이러한 클리어런스(G)가 코어 플레이트(210)와 스트립퍼 플레이트(310) 사이에 제공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구성은 본원에 개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는 코어 인서트(250), 목부 링(350) 및 공동 인서트(450)를 치수설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그들은 몰드 슈의 다른 주변 구성요소 사이에서 작은 클리어런스를 가지며 접촉한다.
몰드(100)는 또한 몰드 스택(MS)이 과응력을 받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몰드(100)는 사전결정된 문턱값 클램핑 부하(CL)가 초과된다면, 클램핑 부하(CL)의 일부만 몰드 스택(MS)을 통해 지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예에서 사전결정된 클램핑 부하(CL)가 초과될 때 클램핑 부하(CL)의 일부가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를 통해 지향되도록 갭(G)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갭(G)은 일단 몰드 스택(MS)의 사전결정된 압축이 달성된다면, 갭(G)이 폐쇄되고 클램핑 부하(CL)의 일부가 목부 링(350)으로부터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를 통해 공동 플레이트(410)까지 지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몰드(100)는 사전결정된 클램핑 부하(CL)가 초과될 때 클램핑 부하(CL)의 일부가 지향되는 공동 플레이트(410)와 코어 플레이트(21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열, 또는 톤수의 블록(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몰드(100)는 몰드(100)의 몰드 스택(MS)을 정렬하는 신규한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몰드 스택(MS)을 정렬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i) 적절한 토크가 볼트(416)에 인가되는 것을 보장하여 공동 조립체(430)가 공동 플레이트(410)에 적절하게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상기 약술된 바와 같이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400)를 조립하는 단계;
ii) 상기 약술된 바와 같이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를 플로우팅 방식으로 슬라이드(320)에 장착되는 목부 링(350)과 조립하는 단계;
iii) 상기 약술된 바와 같이,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를 기재 상에서 직립 자세인 코어 플레이트(210)와 조립하고, 코어 인서트(250)가 플로우팅 방식으로 전방 면(CRF)에 느슨하게 장착되도록 볼트(218)가 단지 느슨하게 조여지는 것을 보장하는 단계;
iv)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그 후방 면(CRR)이 기재 상에 놓이는 단계;
v) 도 21에 도시된 이동하는 부품(110)을 형성하도록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상으로 스트립퍼 플레이트 조립체(300)를 하강시키는 단계;
vi) 공동 조립체(430)가 최하부에 존재하도록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400)를 회전시키는 단계;
vii) 이동하는 부품(110) 상으로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400)를 하강시키는 단계(도 42를 참조);
viii) 코어, 스트립퍼 및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200, 300, 400), 또는 콜드 절반부(130)를 함께 보유하도록 래치(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공동 플레이트(410)의 후방 면(CVR)이 기재에 놓이도록 콜드 절반부(130)를 회전시키고, 래치(도시 생략)를 제거하는 단계;
ix) 목부 링(350) 및 공동 인서트(450)에 대해 코어 인서트(250)를 정렬하기 위해, 적절한 리프팅 기어(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스트립퍼 및 공동 플레이트 조립체(300, 400)에 대해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를 리프팅하고 하강시키는 단계(도 43을 참조);
x) 공동 플레이트(410)의 커플링 볼트 구멍(417)과 맞물리도록 커플링 볼트(217)를 설치하고 그에 토크를 인가하고, 이로써 공동 플레이트(410)에 코어 플레이트(210)를 고정하고 폐쇄 구성으로 몰드 스택(MS)을 고정하여, 최내부 볼트(217)를 시작으로 작동하는(working out) 단계;
xi) 코어 인서트(250)가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고 목부 링(350) 및 공동 인서트(450)와 정렬되는 정착된 정렬 조건으로, 코어 플레이트(210)에 코어 인서트(250)를 고정하도록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측으로부터 볼트(218)에 토크를 인가하는 단계;
xii) 래치(도시 생략)를 재설치하고 직립 자세로 콜드 절반부(130)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xiii) 콜드 절반부(130)를 설치할 준비가 되도록 커플링 볼트(217)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서, 공동 인서트(440)는 제위치에 초기에 정착된 유일한 스택 구성요소이다. 목부 링(350)은 리테이너 메커니즘(351)으로 인해 플로우팅 방식으로 슬라이드(320)에 고정된다. 유사하게는, 코어 인서트(250)는 플로우팅 방식으로 초기에 장착된다. 그와 같이, 상기 단계 ix)에서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의 리프팅 및 하강은 정착된 공동 인서트(440)의 암형 테이퍼(447)가 반고리 부분(355a)의 테이퍼링된 측 표면(355c)과 맞물리게 하고, 이로써 공동 인서트(440)에 대해 목부 링(350)을 정렬시킨다. 뿐만 아니라, 목부 링(350)의 내부 테이퍼 표면(355e)은 코어 인서트(250)의 코어 테이퍼(253)와 맞물리고, 이로써 목부 링(350)에 대해 코어 인서트(250)를 정렬시킨다.
후방-장착형 볼트(218)는 코어 인서트(250, 1250)를 조립된 조건에서 몰드(100)와 그들의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정착시키는 간단한, 그러나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지만, 다른 배열도 구상된다. 예를 들면, 볼트(218)는 또 다른 체결 수단, 바람직하게는 코어 인서트(250, 1250)의 적어도 일부의 전방에 접근하지 않고 작동 가능한 체결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측으로부터 또는 그것이 조립된 조건에 있을 때 몰드(100)의 일부 다른 접근 가능한 영역(예를 들면 측면, 상단 또는 바닥)으로부터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표면(254)은 임의의 돌출부를 갖지 않지만, 코어 인서트(250)에는 코어 플레이트(210)에서의 시트(215)보다 작은 장착 표면(254)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피곳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그 사이의 일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실제로, 일부 예에서, 스피곳은 코어 플레이트(210)에서의 시트(2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플로우팅 목부 링(350)이 종래의 목부 링(350)으로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종래의 목부 링(도시 생략)은 슬라이드(320)에 느슨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것은 이전에 언급된 절차의 기간 동안 자유롭게 플로우팅할 수 있다. 목부 링 볼트는 그 후 몰드(100)가 기계(도시 생략)에 설치된 후에 제위치에 그것을 고정하도록 토크 인가될 수 있다. 다른 구성 및 접근법도 구상된다. 예를 들면, CA2741937에 약술된 절차가 채용될 수 있고, 여기서 공동 장착 구멍(444)은 종래의 목부 링(도시 생략)의 장착 구멍과 정렬되고 공동 장착 볼트(416) 중 일부는 정렬 절차 중에 생략된다. 이는, 커플링 볼트(217)가 이전에 언급된 정렬 절차의 단계 xiii에서 제거되기 전에, 공구(도시 생략)가 공동 장착 구멍(444)을 통해 삽입되어 목부 링 장착 볼트(도시 생략)에 토크를 인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몰딩 시스템(100)의 요소의 구성은, 특히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배타적이지는 않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코어 인서트(250)의 환형 지지 표면(251a)은 코어의 종방향 축에 직각이지만, 그것은 각지거나 테이퍼링될 수 있다. 환형 지지 표면(251a)이 각지거나 테이퍼링되어, 예를 들면 리세스, 예를 들면 원뿔형 리세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이는 클램핑 부하(CL) 하에서 목부 링들(350)에 내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그들이 사출 중에 용융된 플라스틱의 압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저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얕은 리세스일 수 있고, 예를 들면 10도보다 작게 각질 수 있다. 또한, 코어 인서트(250)의 폐쇄된 단부는 원뿔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코어 냉각 튜브(1270, 2270, 3270)의 형상은 그러한 상이한 형상에 가까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언급된 예의 구성 및/또는 사용에 대한 몇몇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상된다는 것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이전에 언급된 특징 및/또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것의 많은 조합이 종래 기술에 비해 명백한 이점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본원에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Claims (47)

  1. 프리폼 몰드(100)에 통합하기 위한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로서, 상기 조립체는 코어 플레이트(210), 및 체결 수단(218, 255, 1255)에 의해 코어 플레이트(210)에 장착되는 다수의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218, 255, 1255)은,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가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조건으로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를 고정하도록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측으로의 액세스 없이 작동 가능한,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 수단(218, 255, 1255)은, 코어 플레이트(210)에서 구멍(216)을 통해 연장되고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의 나사산형 구멍(255, 1255)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는 각각의 나사산형 체결구(218)를 수용하는, 각각의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의 후방측 상의 하나 이상의 나사산형 구멍(255, 1255)을 포함하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는 프리폼의 상단 시일링 표면의 부품을 획정(describe)하는 몰딩 표면(TSS), 몰딩 표면(TSS)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253) 및 테이퍼(253)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환형 지지 표면(251a)을 포함하고, 테이퍼(253)는 사용 시에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355c)와 맞물려 그 사이에 분할선을 획정하도록 구성되고, 환형 지지 표면(251a)은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마주보는 표면(355d)과 맞물리고 그를 지지하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4. 제3항에 있어서, 환형 지지 표면(251a)은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5. 제4항에 있어서, 테이퍼(253)는 수형 테이퍼(253)를 포함하고 환형 지지 표면(251a)은 테이퍼(253) 및 환형 지지 표면(251a)과 맞물리는 분할된 몰드 쌍(350)의 분리를 저해하기 위한 원뿔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6. 제5항에 있어서, 원뿔형 리세스는 20도 이하의 각도로 함몰되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7. 제5항에 있어서, 원뿔형 리세스는 10도 이하의 각도로 함몰되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리폼 코어 인서트(1250)는 일차 코어 인서트(1250a) 및 코어 링(1250b)을 포함하고, 일차 코어 인서트(1250a)는 코어 플레이트(210)에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1251), 프리폼의 내부 표면을 몰딩하기 위한 몰딩 표면(1252), 및 베이스(1251)와 몰딩 표면(1252) 사이의 인터페이스 부분(1251b)을 포함하고, 코어 링(1250b)은 인터페이스 부분(1251b)을 수용하고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355c)와 맞물리기 위한 테이퍼(1253)를 포함하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9. 제8항에 있어서, 코어 링(1250b)은 인터페이스 부분(1251b)에 프레스-끼워맞춤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일차 코어 인서트(1250a)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리폼 코어 인서트(1250)는 일차 코어 인서트(1250a)와 코어 링(1250b)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되는 벤트 통로를 포함하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수단(218, 255, 1255)은 조립된 몰드에 상기 조립체가 통합될 때,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가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정착된 조건으로,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를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장착 표면(254, 1254)은 각각의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의 단부에 존재하고 임의의 돌출부를 갖지 않고, 이로써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가 플로우팅 조건에 있을 때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가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코어 플레이트 조립체(200).
  12. 코어 플레이트(210), 공동 플레이트, 및 코어 플레이트와 공동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된 다수의 몰드 스택을 포함하는 프리폼 몰드(100)로서, 각각의 몰드 스택은 체결 수단(218, 255, 1255)에 의해 코어 플레이트(210)에 장착된 코어 인서트(250, 1250), 공동 플레이트에 장착된 공동 인서트, 및 코어 인서트와 공동 인서트 사이에 장착된 분할된 몰드 인서트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218, 255, 1255)은, 코어 인서트(250, 1250)가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250, 1250)를 고정하도록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측으로의 액세스 없이 작동 가능한, 프리폼 몰드(100).
  13. 제12항에 있어서, 체결 수단(218, 255, 1255)은 각각의 코어 인서트(250, 1250)의 후방측 상의 하나 이상의 나사산형 구멍(255, 1255), 및 코어 플레이트(210)에서 각각의 구멍(216)을 통해 연장되고 코어 인서트(250, 1250)의 나사산형 구멍(255, 1255)과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는 상응하는 나사산형 체결구(218)를 포함하는, 프리폼 몰드(100).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는 프리폼의 상단 시일링 표면의 부품을 획정하는 몰딩 표면(TSS), 몰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253) 및 테이퍼(253)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환형 지지 표면(251a)을 포함하고, 테이퍼(253)는 사용 시에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355c)와 맞물려 그 사이에 분할선을 획정하도록 구성되고, 환형 지지 표면(251a)은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마주보는 표면(355d)과 맞물리고 그를 지지하는, 프리폼 몰드(100).
  15. 제14항에 있어서, 환형 지지 표면은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프리폼 몰드(100).
  16. 제15항에 있어서, 테이퍼(253)는 수형 테이퍼(253)를 포함하고 환형 지지 표면(251a)은 테이퍼(253) 및 환형 지지 표면(251a)과 맞물리는 분할된 몰드 쌍(350)의 분리를 저해하기 위한 원뿔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프리폼 몰드(100).
  17. 제16항에 있어서, 원뿔형 리세스는 20도 이하의 각도로 함몰되는, 프리폼 몰드(100).
  18. 제16항에 있어서, 원뿔형 리세스는 10도 이하의 각도로 함몰되는, 프리폼 몰드(100).
  19.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코어 인서트(1250)는 일차 코어 인서트(1250a) 및 코어 링(1250b)을 포함하고, 일차 코어 인서트(1250a)는 코어 플레이트(210)에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1251), 프리폼의 내부 표면을 몰딩하기 위한 몰딩 표면(1252), 및 베이스(1251)와 몰딩 표면(1252) 사이의 인터페이스 부분(1251b)을 포함하고, 코어 링(1250b)은 인터페이스 부분(1251b)을 수용하고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355c)와 맞물리기 위한 테이퍼(1253)를 포함하는, 프리폼 몰드(100).
  20. 제19항에 있어서, 코어 링(1250b)은 인터페이스 부분(1251b)에 프레스-끼워맞춤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일차 코어 인서트(1250a)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프리폼 몰드(100).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코어 인서트(1250)는 일차 코어 인서트(1250a)와 코어 링(1250b)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되는 벤트 통로를 포함하는, 프리폼 몰드(100).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수단(218, 255, 1255)은 몰드가 조립될 때,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가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또는 플로우팅 조건으로부터 정착된 조건으로,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를 고정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장착 표면(254, 1254)은 각각의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의 단부에 존재하고 임의의 돌출부를 갖지 않고, 이로써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가 플로우팅 조건에 있을 때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가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프리폼 몰드(100).
  23. 장착 표면(254, 1254)을 포함하는 제1 단부 및 프리폼의 내부 표면을 몰딩하기 위한 몰딩 표면(252a, 1252)을 포함하는 제2 단부를 갖는 베이스(251, 1251)를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로서, 코어 인서트(250, 1250)는, 코어 인서트(250, 1250)가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이동 불가능한 정착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250, 1250)를 고정하도록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측으로의 액세스 없이 작동 가능한 체결구(218)와 나사산 결합식으로 맞물리기 위한 장착 표면(254, 1254)에서의 하나 이상의 나사산형 구멍(255, 1255)을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1250).
  24. 제23항에 있어서, 프리폼의 상단 시일링 표면의 부품을 획정하는 몰딩 표면(TSS), 몰딩 표면(TSS)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253) 및 테이퍼(253)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환형 지지 표면(251a)을 포함하고, 테이퍼(253)는 사용 시에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355c)와 맞물려 그 사이에 분할선을 획정하도록 구성되고, 환형 지지 표면(251a)은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마주보는 표면(355d)과 맞물리고 그를 지지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25. 제24항에 있어서, 환형 지지 표면(251a)은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26. 제25항에 있어서, 테이퍼(253)는 수형 테이퍼(253)를 포함하고 환형 지지 표면(251a)은 테이퍼(253) 및 환형 지지 표면(251a)과 맞물리는 분할된 몰드 쌍(350)의 분리를 저해하기 위한 원뿔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27. 제26항에 있어서, 원뿔형 리세스는 20도 이하의 각도로 함몰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28. 제26항에 있어서, 원뿔형 리세스는 10도 이하의 각도로 함몰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29. 제23항에 있어서, 일차 코어 인서트(1250a) 및 코어 링(1250b)을 포함하고, 일차 코어 인서트(1250a)는 베이스(1251), 몰딩 표면(1252) 및 베이스(1251)와 몰딩 표면(1252) 사이의 인터페이스 부분(1251b)을 포함하고, 코어 링(1250b)은 인터페이스 부분(1251b)을 수용하고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355c)와 맞물리기 위한 테이퍼(1253)를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1250).
  30. 제29항에 있어서, 코어 링(1250b)은 인터페이스 부분(1251b)에 프레스-끼워맞춤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일차 코어 인서트(1250a)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1250).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일차 코어 인서트(1250a)와 코어 링(1250b)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되는 벤트 통로를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1250).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 플레이트(210)의 시트 내에서의 수용을 위한 장착 표면(1254)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피곳을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1250).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리폼 코어 인서트(1250)에서의 사용을 위한 프리폼 코어 링(1250b)으로서, 코어 링(1250b)은 플랜지 부분(1251’), 플랜지 부분(1251’)으로부터 돌출된 수형 테이퍼(1253) 및 사용 시에 일차 코어 인서트(1250a)의 인터페이스 부분(1251b)과 맞물리기 위한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1251b’)을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링(1250b).
  34. 제33항에 있어서,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에 의해 획정되는, 프리폼 코어 링(1250b).
  35. 제34항에 있어서,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은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링(1250b).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수형 테이퍼에 의해 획정되는, 프리폼 코어 링(1250b).
  37. 제36항에 있어서, 수형 테이퍼는 벤트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링(1250b).
  38. 제33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인터페이스 표면으로부터 수형 테이퍼까지 연장되는 벤트 통로를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링(1250b).
  39. 프리폼의 상단 시일링 표면의 부품을 획정하는 몰딩 표면(TSS), 몰딩 표면(TSS)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253) 및 테이퍼(253)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환형 지지 표면(251a)을 포함하고, 테이퍼(253)는 사용 시에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쌍의 협력하는 테이퍼(355c)와 맞물려 그 사이에 분할선을 획정하도록 구성되고, 환형 지지 표면(251a)은 분할된 몰드 인서트(350)의 마주보는 표면(355d)과 맞물리고 그를 지지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40. 제39항에 있어서, 환형 지지 표면(251a)은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테이퍼(253)는 수형 테이퍼(253)를 포함하고 환형 지지 표면(251a)은 테이퍼(253) 및 환형 지지 표면(251a)과 맞물리는 분할된 몰드 쌍(350)의 분리를 저해하기 위한 원뿔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42. 제41항에 있어서, 원뿔형 리세스는 20도 이하의 각도로 함몰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43. 제41항에 있어서, 원뿔형 리세스는 10도 이하의 각도로 함몰되는, 프리폼 코어 인서트(250).
  44. 프리폼 몰드(100)의 코어 플레이트(210)에 다수의 코어 인서트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코어 플레이트(210)에 다수의 코어 인서트(250, 1250)를 장착하는 단계; 및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측으로의 액세스 없이 정착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250, 1250)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코어 인서트(250, 1250)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정착된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250, 1250)를 고정하는 단계는 코어 플레이트(210)의 후방측으로부터 수행되는, 방법.
  46. 프리폼 몰드(100)의 코어 플레이트(210)에 장착되는 다수의 코어 인서트(250, 1250)를 정렬하는 방법으로서,
    코어 인서트(250, 1250)가 그 사이의 슬라이딩 인터페이스를 따라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플로우팅 조건으로 코어 플레이트(210)에 다수의 코어 인서트(250, 1250)를 장착하는 단계;
    다른 몰드 인서트(350, 430)에 대해 코어 인서트(250, 1250)를 정렬하는 단계; 및
    코어 인서트(250, 1250)가 코어 플레이트(210)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고 다른 몰드 인서트(350, 430)와 정렬되는 정착된 정렬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250, 1250)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다른 몰드 인서트(350, 430)에 대해 코어 인서트(250, 1250)를 정렬하는 단계는 코어 인서트(250, 1250)와 다른 몰드 인서트(350, 430)를 폐쇄 구성으로 합치고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정착된 정렬 조건으로 코어 인서트(250, 1250)를 고정하는 단계는 몰드 인서트(250, 1250, 350, 430)가 폐쇄 구성인 상태에서 수행되는, 방법.
KR1020217021242A 2018-12-11 2019-11-20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KR102487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78023P 2018-12-11 2018-12-11
US62/778,023 2018-12-11
US201962841284P 2019-05-01 2019-05-01
US62/841,284 2019-05-01
PCT/CA2019/051657 WO2020118412A1 (en) 2018-12-11 2019-11-20 Molds, mold assemblies and stack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634A true KR20210099634A (ko) 2021-08-12
KR102487328B1 KR102487328B1 (ko) 2023-01-13

Family

ID=7107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242A KR102487328B1 (ko) 2018-12-11 2019-11-20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32517A1 (ko)
EP (1) EP3894160A4 (ko)
KR (1) KR102487328B1 (ko)
CN (2) CN111300753B (ko)
CA (1) CA3120659A1 (ko)
WO (1) WO2020118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810B1 (ko) * 2018-12-11 2023-10-10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KR102487328B1 (ko) * 2018-12-11 2023-01-13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CN113001129B (zh) * 2021-03-11 2022-03-11 森骏卓越精密智造(深圳)有限公司 一种塑胶模具定模型芯的加工方法及塑胶模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1648A (zh) * 2010-08-10 2012-03-14 马斯特模具(2007)有限公司 用于注射模塑的快速更换模塑系统
KR101310478B1 (ko) * 2012-03-23 2013-09-24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제조용 사출 금형
CN106926417A (zh) * 2017-04-27 2017-07-07 广东星联精密机械有限公司 瓶胚注塑模具的分体式模芯结构、瓶坯注塑模具及注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4004C3 (de) * 1973-12-21 1979-03-29 Heidenreich & Harbeck Gmbh, 2000 Hambur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Vorformlingen aus plastifiziertem Kunststoff
US4556377A (en) * 1984-02-24 1985-12-0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Self-centering arrangement for coacting forming tools
ES2069567T3 (es) * 1988-12-05 1995-05-16 Mold Masters Ltd Aparato de moldeo por inyeccion dotado de insertos enfriados por liquido.
JP2556197Y2 (ja) 1992-05-15 1997-12-03 住友重機械プラスチックマシナリー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の自動調芯機構
CA2451119C (en) * 1997-04-16 2009-10-2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Partial crystal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amorphous plastic articles
US6398537B2 (en) * 1999-04-02 2002-06-04 Mold-Masters Limited Shuttle system for an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JP2002327873A (ja) * 2001-04-27 2002-11-15 Sekisui Chem Co Ltd 螺旋管受口部または差口部の成形装置及び、螺旋管受口部または差口部の成形方法
US6989124B2 (en) * 2003-01-24 2006-01-24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molded article from a mold
US7014445B2 (en) * 2003-08-04 2006-03-21 Eing Nan Rubber Co., Ltd. Injection-molding tool for a golf club grip
US20050236729A1 (en) 2004-04-23 2005-10-27 Arnott Robin A Method and apparatus for vibrating melt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ing active material elements
US7361009B2 (en) * 2005-10-20 2008-04-22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cavity insert for use in an injection mold
US7588439B2 (en) * 2007-07-20 2009-09-1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mpensating core for use with a molding system
US7628605B2 (en) * 2007-07-20 2009-12-0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stack
US7762802B2 (en) * 2008-02-21 2010-07-2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insert stack for use in an injection mold and a coupler thereof
CN201325148Y (zh) * 2008-11-14 2009-10-14 解冬正 一种瓶坯模具
CA2741937A1 (en) 2010-07-07 2012-01-0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insert alignment structure
US9004906B2 (en) * 2011-02-28 2015-04-14 Mold-Masters (2007) Limited Cavity insert film flow cooling
CA2899524C (en) * 2013-02-27 2016-10-2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stack having a floating cavity insert
CN204123597U (zh) * 2014-08-18 2015-01-28 西帕机械(杭州)有限公司 一种模芯与模芯环的固定结构
CN107249849B (zh) * 2015-03-20 2019-06-04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包括具有清洁构型的模具堆叠以及关闭高度调整机构的模制系统
EP3319777B1 (en) * 2015-07-08 2020-08-19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stack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CH712554A1 (de) * 2016-06-13 2017-12-15 Fostag Formenbau Ag Spritzgusswerkzeug mit justierbarer Kernzentrierungseinrichtung.
WO2018098564A1 (en) * 2016-12-02 2018-06-0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stack for a preform
KR102625744B1 (ko) * 2018-12-11 2024-01-18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KR102487328B1 (ko) * 2018-12-11 2023-01-13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WO2020118414A1 (en) * 2018-12-11 2020-06-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re coolant diverter and cooling tube for preform mol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1648A (zh) * 2010-08-10 2012-03-14 马斯特模具(2007)有限公司 用于注射模塑的快速更换模塑系统
KR101310478B1 (ko) * 2012-03-23 2013-09-24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제조용 사출 금형
CN106926417A (zh) * 2017-04-27 2017-07-07 广东星联精密机械有限公司 瓶胚注塑模具的分体式模芯结构、瓶坯注塑模具及注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32517A1 (en) 2022-02-03
CN213082167U (zh) 2021-04-30
EP3894160A4 (en) 2022-09-07
CA3120659A1 (en) 2020-06-18
WO2020118412A1 (en) 2020-06-18
CN111300753A (zh) 2020-06-19
KR102487328B1 (ko) 2023-01-13
CN111300753B (zh) 2022-07-29
EP3894160A1 (en)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9635A (ko)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KR102487328B1 (ko)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CN111300763B (zh) 模具、模具组件和堆叠部件
RU2365500C1 (ru) Разъемная вставка пресс-формы
CA2686504C (en) A compensating mold stack, a molding system incorporating same and a method of aligning the compensating mold stack
KR20100023899A (ko) 몰딩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보정 코어 및 보정 코어를 포함하는 몰딩 시스템
KR20210099636A (ko)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KR20100036266A (ko) 몰딩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보정 유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몰딩 시스템
US7370417B2 (en) Method of installing a mold gate insert in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O2021035336A1 (en) Molds, mold assemblies and stack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