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423A -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423A
KR20210099423A KR1020200013277A KR20200013277A KR20210099423A KR 20210099423 A KR20210099423 A KR 20210099423A KR 1020200013277 A KR1020200013277 A KR 1020200013277A KR 20200013277 A KR20200013277 A KR 20200013277A KR 20210099423 A KR20210099423 A KR 20210099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s
pressure
water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883B1 (ko
Inventor
지병식
정기헌
서승구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20001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8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는, 세척 대상 배관에 분출되는 가스가 포집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중심 구조체 및 상기 중심 구조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받침 구조체를 포함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주변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받침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고, 가스를 상기 중심부에 공급하는 복수의 가스 공급부, 상기 중심 구조체 내의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 상기 중심 구조체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1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는 제1 가스이동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중심 구조체의 가스 배출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는, 고압의 가스를 반복적으로 배관에 제공하기 유용하기 때문에 배관 내부에 고압의 가스가 반복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세척 대상 배관의 내부의 이물질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가스 특히 산소가 세척 대상 배관 내부를 빠른 속도로 유동함으로써 강한 세척력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WATER PIPE CLEANING APPARATUS AND WATER PIPE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강한 압력의 가스를 주입하여 배관 내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유체의 난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배관 내에 증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의 설치에 따라 많은 가정 및 건물에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생활의 편리를 가져다 주었으나, 상수도관의 노후화에 따라 상수도 내관에 이물질이 생성되어 수질의 악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상수도 내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은 내부 코팅된 아스팔트 박리, 배관 매설시 유입된 모래, 절단부, 곡관, 이음관에 결절(녹)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노후된 관의 교체를 실시하기에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교체가 곤란하거나, 교체에 고비용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전국 광역상수도의 상수도관의 약 25% 이상이 20년 이상 사용되어 노후화된 관에 해당하여, 이러한 노후된 관의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정수장에서 깨끗한 물을 생산하더라도 노후된 관을 통과하면서 수질이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수돗물에 대한 불신 또한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수도관의 내부를 세척하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으로는 피그세척 또는 공기세척 등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방법으로는 비용이 적게 드는 경우 세척 효율이 낮거나, 세척 효율이 좋은 방법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들거나, 또는 배관의 구경 및 길이의 제한,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수도 배관 세척 장치는 오랜 시간 고압의 가스 압력을 유지하지 못함으로써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722078 B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고압 가스가 복수의 가스이동부로부터 중심부로 공급되면서 중심부의 가스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될 때 배관 내부로 소정 압력 이상의 가스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높은 압력의 가스를 배관에 분사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배관 내부로 분사된 가스가 배관 내부의 유체와 혼합되어 배관 내부를 유동함으로써 배관 내벽면에 부착된 관내 물질을 제거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는, 세척 대상 배관에 분출되는 가스가 포집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중심 구조체 및 상기 중심 구조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받침 구조체를 포함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주변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받침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고, 가스를 상기 중심부에 공급하는 복수의 가스 공급부, 상기 중심 구조체 내의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 상기 중심 구조체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1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는 제1 가스이동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중심 구조체의 가스 배출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에서, 상기 가스공급부로부터 세척 대상 배관 내부로 분사된 가스는 세척 대상 배관 반경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유체 유동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에서, 상기 제1 가스이동부는, 상기 제1 통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물이 상기 중심 구조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체크밸브 및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는 공압 밸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는, 상기 가스 공급부 각각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 공급부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측정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스 공급부에서 상기 중심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제2 통로 및 상기 제2 통로의 경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제2 가스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에서, 상기 제2 가스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통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 공급부에서 상기 중심 구조체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복수의 압력 조절 밸브 및 상기 복수의 제2 통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 구조체에서 상기 가스 공급부로의 가스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상기 제1 가스 이동부의 상기 제1 밸브를 잠그고, 상기 제1 측정부의 압력이 다시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었을 때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말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부에 흐르는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세척 대상 배관의 구간을 결정하는 제1 단계, 수도 배관 세척 장치의 중심부를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외주면에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의 관로 압력을 측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에 유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구간 양단에 연결된 밸브를 차단하는 제4 단계, 상기 측정된 관로 압력의 2배 내지 5배의 압력인 일정 압력이 상기 중심부에 형성되도록 상기 중심부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가스공급부에서 상기 중심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5 단계, 상기 중심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 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 대상 배관 타측에 형성된 배출부에서 배출밸브를 개방하는 제6 단계, 상기 제6 단계가 진행되는 중에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공급하는 가스의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 향하는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중심부의 가스 압력을 일정 압력 이상으로 다시 형성시킨 후에,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 가스를 다시 공급하는 가스 압력 조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7 단계, 상기 제7 단계에서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인지 판단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이 아닌 경우 상기 제6 단계 및 상기 제7 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중심부를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에 유체가 유동할 만큼 충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세척 대상 배관 일단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부에 유체를 충진시키는 유체 충진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관로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세척이 예정되어 있는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유입되는 미상의 물의 경로를 찾아 차단하고, 다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관로 압력을 측정하여 일정 압력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4 단계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는, 고압의 가스를 반복적으로 배관에 제공하기 유용하기 때문에 배관 내부에 고압의 가스가 반복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세척 대상 배관의 내부의 이물질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가스 특히 산소가 세척 대상 배관 내부를 빠른 속도로 유동함으로써 강한 세척력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약품을 사용하여 배관 내부를 세척하는 것과 비교할 때, 유체에 다른 화학적 첨가를 하지 않으므로 세척된 유체가 배출되면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도 배관 내부에 잔류 약품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구성 및 가동하는 데에 많은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척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수도 배관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적인 관내 물질 제거 및 노후된 수도 배관의 수명을 연장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의 순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의 사용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는, 세척 대상 배관(P)에 분출되는 가스가 포집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중심 구조체(11) 및 상기 중심 구조체(11)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받침 구조체(12)를 포함하는 중심부(10), 상기 중심부(10)의 주변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받침 구조체(12)에 의해 지지되고, 가스를 상기 중심부(10)에 공급하는 복수의 가스 공급부(20), 상기 중심 구조체(11) 내의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30), 상기 중심 구조체(11)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1 통로(41) 및 상기 제1 통로(41)를 개폐하는 제1 밸브(42)를 포함하는 제1 가스이동부(40) 및 상기 제1 측정부(30)에서 측정된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밸브(42)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중심 구조체(11)의 가스 배출을 조절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에서, 상기 가스공급부(20)로부터 세척 대상 배관(P) 내부로 분사된 가스는 세척 대상 배관(P) 반경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유체 유동을 일으킨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의 중심부(10)에서 배출된 가스가 제1 가스이동부(40)를 따라서 세척 대상 배관(P)에 분사되어, 세척 대상 배관(P) 내부의 길이 방향 및 반경 반향으로 가스 및 유체가 진행하면서 관내 이물질(P')을 세척하고, 세척 대상 배관(P) 말단의 배출부(80)를 통해 가스, 유체 및 분리된 관내 이물질(P'')이 배출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관내 물질(P')이 배관에 존재함에 따라 유체의 공급 신뢰성 하락, 및 수질 악화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관내 이물질(P')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배관 내에 형성될 수 있는 관내 물질(P')로는 결절, 미세녹입자, 라이닝조각, 미세역청계, 녹-역청 혼합, 역청계입자 등이 포함된다. 이 때, 배관(P)은 중공형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관의 내부를 통해 유체, 특히 수돗물이 유동할 수 있는 수도 배관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의 배관 또는 세척 대상 배관은 일반적으로 수도 배관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는 중심부(10), 가스공급부(20), 제1 측정부(30), 제1 가스이동부(40), 제2 측정부(50),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중심부(10)는 세척 대상 배관(P)에 가스를 분출하기 전에 가스가 배치되는 곳이다. 중심부(10)는 중심 구조체(11)와 받침 구조체(11)를 포함한다. 중심 구조체(11)는 세척 대상 배관(P)에 분출되는 가스가 포집되는 공간을 형성시킨다. 중심 구조체(11)는 일정 형상을 갖는 용기 또는 일정 형상을 갖는 호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받침 구조체(12)는 중심 구조체(11)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받침 구조체(1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가스 공급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스공급부(20)는 중심부(10)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된다. 도 2를 보면 가스공급부(20)는 5개로 형성되어, 5개의 가스공급부(20)에서 중심부(10)로 가스가 분출된다. 가스공급부(20)는 중심부(10)의 중심 구조체(11)를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가스공급부(20)는 받침 구조체(12)에 의해 지지되어, 중심부(10)에서 세척 대상 배관(P)으로 가스를 분출할 때의 충격을 견디게 된다.
종래의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는 하나의 가스공급부(20)를 활용하여 가스를 배관(P)으로 분출하였기 때문에, 가스공급부(20)의 가스가 분출됨에 따라 점점 가스 압력이 낮아져 높은 압력의 가스를 지속적으로 배관(P)에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경우 복수의 가스공급부(20)에서 중심부(10)에 가스를 제공하고 제어부(70)가 중심부(10)의 가스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배관(P)으로 가스를 분출하도록 함으로써, 배관(P)에 반복적으로 높은 압력의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중심부(10)와 가스공급부(20)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압축된 고압의 가스가 저장된다. 고압의 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중심부(10)와 가스공급부(20)는 압축 가스에 의한 내압에 견디도록 압력에 강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중심부(10)와 가스공급부(20)에 내장된 압축 가스는 압축 산소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압축 산소를 공급하여 배관을 세척하는 기술을 OPT(Oxygen Pipe flushing Technology)라 한다. 이와 같은 산소의 사용에 따라, 고압의 산소를 사용하여 세척함으로써 산소가 배관(P) 내부를 빠른 속도로 이동하므로, 단시간에 배관(P)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산소가 배관(P) 내부를 빠른 속도로 유동함으로써 강한 세척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측정부(30)는 중심 구조체(11) 내의 가스의 압력을 측정한다. 도 2를 보면, 제1 측정부(30)는 중심부(10)의 받침 구조체(12) 상단에 지지되어 형성된다. 제1 측정부(30)는 받침 구조체(12) 상단에서 중심 구조체(11) 방향으로 연장되어 중심 구조체(11) 내의 가스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제1 측정부(30)에서 측정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70)에 전달되게 된다.
제1 가스이동부(40)는 중심 구조체(11)에서 배관(P)으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된다. 제1 가스이동부(40)는 제1 통로(41)와 제1 밸브(42)를 포함한다. 제1 통로(41)는 중심 구조체(11)에서 배관(P)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통로이다. 제1 밸브(42)는 제1 통로(4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70)는 제1 측정부(30)로부터 중심 구조체(11) 내의 가스 압력에 대한 정보를 받는다. 제1 측정부(30)의 측정값이 중심 구조체(11) 내의 가스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낼 때, 제어부(70)는 제1 밸브(42)를 개방하여 배관(P)으로 가스가 분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1 밸브(42)가 개방되는 제1 측정부(30)의 가스 압력은 배관(P)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보통 10 내지 15kgf/cm2 의 압력이 형성될 때 제1 밸브(42)가 개방될 수 있다.
이렇게 배출된 고압의 가스는 배관(P)에서 세척 대상 배관(P) 반경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유체 유동을 일으킴으로써 가스가 배관(P) 내부를 빠르게 이동하면서 관내 이물질(P')을 제거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P)에서, 상기 제1 가스이동부(40)는, 상기 제1 통로(4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의 물이 상기 중심 구조체(1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체크밸브(43) 및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 측정 장치(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42)는 공압 밸브로 형성된다.
제1 가스이동부(40)는 제1 체크밸브(43)과 수압 측정 장치(44)를 더 포함한다. 도 4를 보면, 제1 체크밸브(43)는 제1 통로(4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체크밸브(43)는 배관(P)에 차있는 물이 중심 구조체(1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압 측정 장치(44)는 배관(P)의 수압을 측정한다. 수압 측정 장치(44)에서 일정 압력 이상의 수압이 측정되는 경우에는, 세척 대상 배관(P)에 의도치 않은 물 공급이 있다는 뜻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척 대상 배관(P)에 강한 압력의 가스를 분출하는 경우, 세척 대상 배관(P)으로 의도치 않게 물을 공급하는 배관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압 측정 장치(44)에서 일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측정되는 경우에는 배관 세척을 진행하지 않고 세척 대상 배관(P)으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작업을 선행한다.
도 2를 보면, 제1 밸브(42)에는 추가적인 호스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제1 밸브(42)는 공압 밸브로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제1 밸브(42)는 호스를 통해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개방되어 순간적으로 가스를 배관(P)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는, 상기 가스 공급부(20) 각각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 공급부(20)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측정부(50) 및 상기 가스 공급부(20)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스 공급부(20)에서 상기 중심부(10)로 가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제2 통로(61) 및 상기 제2 통로(61)의 경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제2 밸브(62)를 포함하는 제2 가스이동부(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에서, 상기 제2 가스이동부(60)는, 상기 복수의 제2 통로(61)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 공급부(20)에서 상기 중심 구조체(11)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복수의 압력 조절 밸브(63) 및 상기 복수의 제2 통로(6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 구조체(11)에서 상기 가스 공급부(20)로의 가스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밸브(64)를 더 포함한다.
배관 세척 장치(1)는 가스 공급부(20)에서 중심부(10)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에 제2 가스이동부(60)를 포함한다. 도 3을 보면, 제2 가스이동부(60)는 가스공급부(2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통로(61) 및 제2 통로(61)의 경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제2 밸브(62)를 포함한다. 즉, 제2 가스이동부(60)는 가스공급부(20)에서 중심부(10)로의 경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보면, 제2 가스이동부(60)는 압력 조절 밸브(63)과 제2 체크밸브(64)를 더 포함한다. 압력 조절 밸브(63)는 가스 공급부(20)에서 중심 구조체(11)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스 공급부(20)는 일반적으로 산소통이 사용되는데, 그에 따라 가스가 고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심부(10)에 충격을 가하지 않으면서 적정한 수준의 압력을 갖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제2 가스이동부(60)에서 가스의 감압이 필요하며, 압력 조절 밸브(63)에서 가스의 감압을 실행하게 된다. 제2 체크밸브(64)는 제2 통로(61) 상에 형성되어 중심 구조체(11)에서 가스 공급부(20)로의 가스 역류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의 사용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제1 측정부(30)의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상기 제1 가스 이동부(40)의 상기 제1 밸브(42)를 잠그고, 상기 제1 측정부(30)의 압력이 다시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었을 때 상기 제1 밸브(42)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의 말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 대상 배관(P) 내부에 흐르는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부(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70)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하자면, 제1 측정부(30)에서 측정된 중심 구조체(11) 내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제1 밸브(42)를 잠그고, 다시 중심 구조체(11)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었을 때 제1 밸브(42)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는 일정 압력 이상의 가스를 반보적으로 배관(P)에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배관(P)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를 배관에 연결할 때 발생하는 유체, 가스, 관내 이물질 등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관(P)의 말단에 결합되는 배출부(80)가 구비된다. 이 때, 배관(P)의 말단부란 취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배관(P)의 가장 마지막 부분일 수도 있고, 또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배관(P)의 반경 부분에 가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퇴수되는 가지관일 수 있다. 배출부(80)에는 배출관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배출밸브를 더 형성함으로써, 배관(P)을 통해 유동하는 산소, 유체 및 분리된 관내 물질(P'')이 배출관(410)을 통해 유출되는 유출량 및 유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10)의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중심부(10)의 내부에는 공간분리구조체(13)와 여닫이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분리구조체(13)는 중심부(10) 내부의 공간을 분리한다. 따라서 여닫이부(14)가 폐쇄되었을 때 공간분리구조체(13)에 의해 중심부(10)의 공간이 두 공간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공간 분리를 하는 이유는, 가스 공급부(20)의 가스 압력이 낮아져 효율적으로 중심부(10)의 가스 압력을 상승시키지 못할 경우에 중심부(10)의 내부 공간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가스 압력 상승을 용이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제어부(70)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측정부(30)의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으로 떨어진 후 제1 밸브(42)가 폐쇄되고, 다시 제1 밸브(42)가 개방되기 위한 압력으로 중심 구조체(11) 내부 압력이 증가되었을 때 제1 밸브(42)가 개방되게 된다. 이때, 제1 밸브(42)가 폐쇄되고 개방되는 시간 간격은, 가스 공급부(20)의 가스 압력이 점차 감소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 공급부(20)를 교체하기 전에 제1 밸브(42)의 개폐 주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중심 구조체(11) 내부의 압력을 보다 빠르게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공간분리구조체(13)의 여닫이부(14)가 닫힘으로써 중심 구조체(11) 내부의 부피를 감소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중심부(10)의 내부 압력 증가 속도를 증가시킨다. 즉, 가스공급부(20)의 가스 압력이 낮아진 상황에서도 단시간에 중심부(10)의 압력을 높혀 고압의 가스를 배관(P)에 공급할 수 있다. 여닫이부(14)는 여닫히는 판이 가운데 배치되고 상하로 틀이 배치되어 폐쇄 상태에서 상하 판에 의하여 밀폐성이 증가하여 공간분리구조체(13) 내외부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여닫이부(14)에는 제어부(70)의 신호를 받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70)에서 원격으로 개폐 여부를 컨트롤하게 된다. 여닫이부(14)의 형상은 중심부(10) 내부 공간에서 공간분리구조체(13)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면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세척 대상 배관(1)의 구간을 결정하는 제1 단계(S10), 수도 배관 세척 장치(1)의 중심부(10)를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의 외주면에 연결하는 제 2 단계(S20), 상기 세척 대상 배관(P) 내의 관로 압력을 측정하는 제3 단계(S30), 상기 세척 대상 배관(P) 내에 유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의 구간 양단에 연결된 밸브를 차단하는 제4 단계(S40), 상기 측정된 관로 압력의 2배 내지 5배의 압력인 일정 압력이 상기 중심부(10)에 형성되도록 상기 중심부(10)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가스공급부(20)에서 상기 중심부(10)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5 단계(S50), 상기 중심부(10)의 가스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중심부(10)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으로 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 대상 배관(P) 타측에 형성된 배출부(80)에서 배출밸브를 개방하는 제6 단계(S60), 상기 제6 단계가 진행되는 중에 상기 중심부(10)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에 공급하는 가스의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중심부(10)에서 상기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으로 향하는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중심부(10)의 가스 압력을 일정 압력 이상으로 다시 형성시킨 후에, 상기 중심부(10)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으로 가스를 다시 공급하는 가스 압력 조정 단계(S75)를 포함한다.
도 5를 보면, 먼저 세척하고자 하는 세척 대상 배관(P)의 구간을 결정(S10)한다. 세척 대상 배관(P)의 구간은 유체가 최초로 공급되는 장소와 유체를 공급받아 사용하고자 하는 유체사용지 사이의 구간이 될 수 있다. 배관(P)은 유체의 최초 공급 장소와 유체사용지까지 단일 배관으로 이어져 있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단위 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배관에는 유체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배관에 연결된 밸브가 형성되어 있어 배관의 조사 또는 세척을 수행하기 위해 유체 흐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후, 세척 대상 배관(P)의 외주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를 연결(S30)한다. 압축 산소를 공급하는 중심부(10)는 제1 가스이동부(40)를 통해 세척 대상 배관에 접속되어 산소를 공급하도록 준비된다.
또한, 세척 대상 배관(P) 내의 관로 압력을 측정(S30)한다. 세척 대상 배관(P)은 관 내부로 유체가 흐르는 수도배관일 수 있다. 세척 대상 배관(P)의 측정된 관로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이후 산소를 세척 대상 배관(P)에 분사할 때 관로 압력을 기준으로 하여 관로 압력보다 더 높은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측정하는 관로 압력은 유체가 배관(P)을 통해 정상적으로 유체사용지에 공급되고 있을 때의 압력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관로 압력을 측정하는 제3 단계(S30)가 완료되면, 세척 대상 배관(P)의 구간 양단에 연결된 밸브를 차단(S40)하여 세척 대상 배관에 유체가 충진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세척 대상 배관(P)에 연결된 밸브를 차단하여 유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도 공급에 따른 유동이 발생하지 않고 산소 공급시에 산소 공급에 따른 유동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출부(80)에는 포집망을 연결한다. 배출부(80)에 연결된 포집망은 세척 과정에서 배관(P)으로부터 분리된 관내 이물질(P'')을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리된 관내 이물질(P'')은 포집망으로부터 제거된 후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어 배출관(410)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으므로 환경친화적인 이점이 있다.
세척 대상 배관(P) 구간 양단에 연결된 밸브를 차단하여 그 내부로 유체가 충진되고, 배출부(80)에 포집망이 연결되면, 제3 단계(S30)에서 측정된 관로 압력의 2배 내지 5배에 해당하는 압력을 중심부(10) 가지도록 가스공급부(20)로부터 중심부(10)에 가스가 공급(S50)되도록 한다.
이후, 중심부(10)로부터 배관(P)에 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유체가 배출부(80)를 통해 배출(S60)되도록 한다. 세척 대상 배관에 분사된 산소는 유체에 기포(B)를발생시키며, 이와 같이 유체에 발생된 산소의 기포(B)는 세척 대상 배관(P) 내의 유체에 대해 배관의 반경 방향 및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 유동을 발생시킨다. 산소의 기포(B)에 의해 발생한 유체 유동은 세척 대상 배관(P) 내부의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유속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발생한 유체 유동은 세척 대상 배관(P) 내부에 흡착된 관내 이물질(P')에 힘을 가하여 관내 이물질(P')이 세척 대상 배관(P) 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분리된 관내 이물질(P'')은 유체 및 산소 기포(B)와 함께 유동하며, 배출부(80)에 형성된 포집망에 포집되어 처리된다.
이때, 중심부(10) 세척 대상 배관(P)에 공급하는 가스의 압력이 소정 압력 미만인지 체크(S70)한다. 소정 압력 이상인 경우 이후의 8단계(S80)를 진행하나, 소정 압력 미만인 경우 가스 압력 조정 단계(S75)를 시행한다. 가스 압력 조정 단계(S75)는 위의 제어부(70)에 대한 언급에서 설명하였다. 즉, 제1 측정부(30)에서 측정된 중심부(10) 내부 공간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70)는 제1 밸브(42)를 닫아 다시 중심부(10)의 내부 공간 압력이 높아질 때까지 기다린 후, 제1 밸브(42)를 개방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제2 측정부(50)에서 측정된 가스 공급부(20)의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으로 측정될 때, 예를 들어 가스 공급부(20)의 압력이 최초에 장치(1) 작동 시작시의 압력보다 1/3로 형성되었을 때, 여닫이부(14)를 닫아 공간분리구조체(13)에 가스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중심부(10)의 내부 공간 압력을 빠르게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배출부(80)로 배출되는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7 단계(S80), 상기 제7 단계(S80)에서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인지 판단하는 비교 단계(S90) 및 상기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이 아닌 경우 상기 제6 단계 및 상기 제7 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중심부를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는 제8 단계(S1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제6 단계(S60)는, 상기 세척 대상 배관(P) 내에 유체가 유동할 만큼 충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세척 대상 배관(P) 일단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부에 유체를 충진시키는 유체 충진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배출부(80)를 통해 배출된 유체에 대하여,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S80)한다. 유체의 탁도 및 유체의 염소 농도는 유체의 수질을 판단하는 지표로서의 역할을 한다. 유체의 탁도는 빛의 통과에 대한 저항도이며, 부유물질의 양이 많을수록 탁도가 높아진다. 또한, 유체의 염소 농도는 유체 내에 남아있는 염소의 농도를 측정하며, 유체 내에 잔류하는 염소의 양이 높을 경우 음용수 등으로 사용하기 부적절하다. 따라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세척 대상 배관(P) 내부의 수질이 개선되었는지 판단한다.
전술한 유체의 탁도 및 유체의 염소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러한 수치를 기초로 하여 유체의 탁도 및 유체의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인지 판단(S90)한다. 이러한 기준 범위는 사용자가 의도하고자 하는 수질 개선의 지표일 수 있다.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유체의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제6 단계(S60) 및 제7단계(S70)를 반복한다. 세척 대상 배관(P)의 내부에 관내 이물질(P')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포집망에 분리된 관내 이물질(P'')이 수거되고,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유체의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중심부(10)를 배관(P)으로부터 분리하고 배관(P)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S100)한다.
또한, 배관(P)의 세척 과정에 있어서 충진된 유체가 배출부(80)를 통해 배출되어 배관(P)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만큼 충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세척 대상 배관(P) 일단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세척 대상 배관 내부에 유체를 충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충진 단계는 세척 대상 배관(P)의 세척 과정 중 배관(P) 세척을 위한 유체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어느 시점에서든 실시할 수 있으며, 세척 대상 배관(P) 구간에 유체가 다시 충진되면 다시 배관 세척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에 따라서 배관(P)의 관내 물질(P')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체사용지에 수질이 개선된 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피그 장치를 이용한 세척 방법 또는 약품을 이용한 세척 방법에 비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산소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B)에 의해서만 관내 세척을 수행하기 때문에 약품에 따른 독성 물질이 추가적으로 잔류할 가능성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의 관로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세척이 예정되어 있는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에 유입되는 미상의 물의 경로를 찾아 차단하고, 다시 상기 세척 대상 배관(P)의 관로 압력을 측정하여 일정 압력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4 단계를 진행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척 대상 배관(P) 양단을 제외한 곳에서 물의 유입이 있는 경우, 수도 배관 세척 장치(1)를 작동시킬 시에 세척 대상 배관(P)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배관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작동을 시작하기 전에 세척 대상 배관(P)에 물의 유입이 지속되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세척 대상 배관(P)의 관로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된다면, 미상의 물의 유입이 있다고 판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미상의 물의 경로를 찾아 차단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수도 배관 세척 장치 P : 세척 대상 배관
P' : 관내 이물질 P'' : 분리된 관내 이물질
B : 기포 10 : 중심부
11 : 중심 구조체 12 : 받침 구조체
20 : 가스 공급부 30 : 제1 측정부
40 : 제1 가스이동부 41 : 제1 통로
42 : 제1 밸브 43 : 제1 체크밸브
44 : 수압 측정 장치 50 : 제2 측정부
60 : 제2 가스이동부 61 : 제2 통로
62 : 제2 밸브 63 : 압력 조절 밸브
64 : 제2 체크밸브 70 : 제어부
80 : 배출부 90 : 제3 측정부

Claims (11)

  1. 세척 대상 배관에 분출되는 가스가 포집되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중심 구조체 및 상기 중심 구조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받침 구조체를 포함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주변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받침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고, 가스를 상기 중심부에 공급하는 복수의 가스 공급부;
    상기 중심 구조체 내의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측정부;
    상기 중심 구조체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1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는 제1 가스이동부; 및
    상기 제1 측정부에서 측정된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중심 구조체의 가스 배출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로부터 세척 대상 배관 내부로 분사된 가스는 세척 대상 배관 반경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유체 유동을 일으키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이동부는,
    상기 제1 통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물이 상기 중심 구조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체크밸브; 및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는 공압 밸브로 형성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 각각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 공급부 각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측정부; 및
    상기 가스 공급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스 공급부에서 상기 중심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복수의 제2 통로 및 상기 제2 통로의 경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제2 가스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2 통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 공급부에서 상기 중심 구조체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복수의 압력 조절 밸브; 및
    상기 복수의 제2 통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 구조체에서 상기 가스 공급부로의 가스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상기 제1 가스 이동부의 상기 제1 밸브를 잠그고, 상기 제1 측정부의 압력이 다시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었을 때 상기 제1 밸브를 개방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말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부에 흐르는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
  8. 세척 대상 배관의 구간을 결정하는 제1 단계;
    수도 배관 세척 장치의 중심부를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외주면에 연결하는 제 2 단계;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의 관로 압력을 측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에 유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구간 양단에 연결된 밸브를 차단하는 제4 단계;
    상기 측정된 관로 압력의 2배 내지 5배의 압력인 일정 압력이 상기 중심부에 형성되도록 상기 중심부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가스공급부에서 상기 중심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5 단계;
    상기 중심부의 가스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 가스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 대상 배관 타측에 형성된 배출부에서 배출밸브를 개방하는 제6 단계;
    상기 제6 단계가 진행되는 중에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공급하는 가스의 압력이 일정 압력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 향하는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중심부의 가스 압력을 일정 압력 이상으로 다시 형성시킨 후에,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 가스를 다시 공급하는 가스 압력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7 단계;
    상기 제7 단계에서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인지 판단하는 비교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이 아닌 경우 상기 제6 단계 및 상기 제7 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측정된 유체의 탁도 및 염소 농도가 기준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중심부를 상기 세척 대상 배관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에 유체가 유동할 만큼 충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세척 대상 배관 일단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세척 대상 배관 내부에 유체를 충진시키는 유체 충진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관로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세척이 예정되어 있는 상기 세척 대상 배관에 유입되는 미상의 물의 경로를 찾아 차단하고, 다시 상기 세척 대상 배관의 관로 압력을 측정하여 일정 압력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4 단계를 진행하는, 수도 배관 세척 장치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KR1020200013277A 2020-02-04 2020-02-04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KR102340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77A KR102340883B1 (ko) 2020-02-04 2020-02-04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77A KR102340883B1 (ko) 2020-02-04 2020-02-04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423A true KR20210099423A (ko) 2021-08-12
KR102340883B1 KR102340883B1 (ko) 2021-12-20

Family

ID=7731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277A KR102340883B1 (ko) 2020-02-04 2020-02-04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420B1 (ko) * 2023-04-14 2024-01-30 이성수 외부 공기 유입 없이 초미세기포 생성이 가능한 수돗물용 초미세기포 생성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078B1 (ko) 2015-09-18 2017-03-31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수배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2160B1 (ko) * 2018-01-17 2018-07-25 한국수자원공사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KR20190141567A (ko) * 2018-12-21 2019-12-24 전연자 고압질소를 이용한 수도배관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도배관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078B1 (ko) 2015-09-18 2017-03-31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수배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2160B1 (ko) * 2018-01-17 2018-07-25 한국수자원공사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KR20190141567A (ko) * 2018-12-21 2019-12-24 전연자 고압질소를 이용한 수도배관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도배관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883B1 (ko)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0814B (zh) 排水管清洗方法和排水管清洗装置
KR101677195B1 (ko) 배관세척장치
KR102253395B1 (ko) 저압질소와 크린볼을 이용한 수도배관의 세척장치 및 방법
JP6232650B1 (ja) 管路洗浄装置および管路洗浄方法
KR102340883B1 (ko)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US20130025039A1 (en) Waste water unclogging system and method
CN101683576A (zh) 分离器和具有该分离器的流量计总成
CN107677586A (zh) 一种新型的土工织物淤堵实验仪
CN112225362A (zh) 一体化节水型全屋净水设备
JPH09151534A (ja) 下水管作業用循環排水装置
CN206625223U (zh) 钻孔灌注桩夹层及沉渣清除与补强装置
CN101730577B (zh) 净水装置的运行方法
JP2005180569A (ja) 止水プラグ及びバイパスシステム
CN102089483A (zh) 用于从管道分流流动的液体的方法和装置
KR101254066B1 (ko)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 장치
JP5230073B2 (ja) ろ過膜の膜損傷検知試験方法
KR102322434B1 (ko) 지중 매립관 세척 공법
US9234334B2 (en) Pressure tank
KR102521055B1 (ko) 상수도관 관로 내부 세척방법
KR102531294B1 (ko) 관로의 세척방법
RU154549U1 (ru) Система водоснабжения
CN208945957U (zh) 一种增压清洗设备
CA2685803C (en) Pressure tank
KR20110091095A (ko) 수질 원격감시 시스템용 여과장치
KR101169954B1 (ko) 자동 전처리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