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540A - 경사진 구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경사진 구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540A
KR20210097540A KR1020200011362A KR20200011362A KR20210097540A KR 20210097540 A KR20210097540 A KR 20210097540A KR 1020200011362 A KR1020200011362 A KR 1020200011362A KR 20200011362 A KR20200011362 A KR 20200011362A KR 20210097540 A KR20210097540 A KR 2021009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lower plate
moisture
pla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식
정재홍
김동현
김병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1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540A/ko
Publication of KR2021009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91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Cleaning battery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모듈들, 상면에 상기 전지모듈들이 탑재되는 절연판, 상기 절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판, 및 상기 복수의 전지모듈들을 덮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전지팩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한쪽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팩에 대한 것으로서, 전지팩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을 전지팩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진 구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전지팩 {Battery Pack Comprising Bottem Plate Formed with Inclined Structure}
본원 발명은 경사진 구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전지팩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전지팩 내부에 생성된 수분을 전지팩 밖으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판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기모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전기모터에 전력을 제공하여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고전압 고출력의 전지팩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지팩은 전지팩 케이스 내에 장착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들, 및 상기 배터리 모듈들을 구성하는 단위전지의 작동을 제어하는 BMS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팩은 차량의 고성능화 및 주행 거리의 증가에 따라 대형화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기밀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동절기 시 결로 현상에 의해 전지팩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는 경우, 기밀구조에 의해 수분 배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는 전지팩 내부에서 발생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지팩 내부에 다수의 센서와 배수구를 장착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센서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정한 배수구에 배치된 센서가 고장인 경우에는 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전지팩 전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배터리 케이스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위감지센서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수위정보를 전달받아서 기준값과 비교하는 BMS, 및 상기 BMS의 판단결과를 차량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는 고전압 배터리팩의 수분 배출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수분에 대한 수위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수분을 쉽고 편리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으며, 배터리팩 내부에서 발생한 수분이 곳곳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쉽게 모아서 배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전지팩 내부에서 생성된 수분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전지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9104호 (2012.06.08)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지팩 하부판의 내측면에 경사진 형태를 구비함으로써 전지팩 내부에서 발생한 수분을 상기 하부판의 경사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수분이 모이는 위치를 설정하고, 수분이 모인 위치에 배수구를 구비함으로써 전지팩 내부의 수분을 쉽고 정확하게 배출하기 위한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복수의 전지모듈들, 상면에 상기 전지모듈들이 탑재되는 절연판, 상기 절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판, 및 상기 복수의 전지모듈들을 덮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전지팩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한쪽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판에는 수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절연판은 두께가 일정한 판상형으로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판은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경사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판의 경사는 상기 하부판에서 유로를 제외한 상면의 경사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판의 경사는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유로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프레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돌출된 라인들이 수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판에는 상기 전지모듈에서 배출된 수분을 하부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에는 모아진 수분을 전지팩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에는 수분량을 센싱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지모듈들과 상기 절연판 사이에는 냉각판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전지팩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전지팩 하부판의 특정한 부분으로 모이는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전지팩 내부의 수분이 모이는 부분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을 전지팩 외부로 쉽게 배출하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가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전지팩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의 내부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 배수구에 밸브가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 배수구에 밸브가 구비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절연판 및 하부판이 적층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및 상기 측면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의 내부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팩의 가장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판(110), 하부판(110)의 상면에 위치하면서 금속 소재의 하부판과 전지모듈(14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절연판(120), 절연판(120)의 상면으로서 전지모듈(140)이 배치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냉각판(130), 냉각판(130)의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지모듈(140), 및 복수의 전지모듈(140)을 덮으면서 하부판(110)과 결합하여 전지팩을 밀봉하는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전기자동차용으로 사용 가능한 고전압 및 고용량의 대형 전지팩으로서, 전체적으로 32개의 전지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지모듈들의 개수는 3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소망하는 용량 및 출력에 따라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전기자동차용 고전압 전지팩의 경우, 기온이 낮은 동절기 사용시 전지팩의 외부와 내부 간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전지팩 내부에 수분이 생성되기 쉽고, 전지팩 내부에 있는 수분은 전지팩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빠르게 배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지팩 내부에서 생성된 수분이 전지팩 하부판의 일측으로 모이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부판(110)은 전지팩 내부의 수분을 전지팩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는 3개의 배수가 형성되어 있으나, 배수구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판의 상면(116)에는 수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로(111)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111)는 하부판의 상면보다 돌출된 라인들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돌출된 라인의 끝단이 배수구를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전지팩의 하면인 하부판(110)으로 이동된 수분이 배수구(112)로 집중될 수 있다.
유로(111)의 형성 방법은, 하부판의 일측면에 돌출된 형태의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면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프레싱 가공을 이용하여 돌출된 형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싱 ㄱ가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부판의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하부판의 측면도를 보면, 하부판(110)은 배수구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배수구에서의 두께가 가장 작고, 전체적으로 경사 각도는 일정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판까지 흘러내린 수분은 하부판의 경사면을 따라서 배수구로 집중될 수 있다.
유로(111)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게 형성되는 바, 배수구 방향으로 갈수록 유로의 높이가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판에는 전지모듈을 하부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마운팅지지부(113)가 형성되어 있는 바, 절연판과 냉각판을 관통하는 나사 또는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하부판과 전지모듈을 연결함으로써 전지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부판의 배수구 근처에는 수분량을 센싱하는 센서(114)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2개의 센서(114)가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센서는 메인 센서이고, 다른 하나의 센서는 예비용 센서일 수 있다. 즉, 정상 상태에서는 메인 센서만 기능을 하고, 상기 메인 센서가 고장나면 예비용 센서가 작동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센서와 예비용 센서는 배수구들 주변에 배치하면서 배수구 주변의 수분량에 따라 수분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메인 센서와 예비용 센서 각각은 3개의 배수구 전체와 연결되서 한 개의 배수구 근처에서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면 해당 배수구 또는 전체 배수구를 개방하여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 배수구에 밸브가 구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수구(212) 주변에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센서(214)가 배치되어 있고, 센서(214)에서 측정된 수분량에 따라 배수구(212)를 개폐하는 밸브(260)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260)는 센서(214)가 감지한 수분량에 따라 배수구를 개방한 후 다시 배수구(212)를 닫을 수 있다. 밸브(260)의 형태는 배수구(212)의 개폐가 가능한 형태라면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배수구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때 상기 배수구의 열림과 닫힘이 반복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도 5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판 배수구에 밸브가 구비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수구의 하부에 밸브(360)가 결합된 배수관(301)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360)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배수관(301)의 끝에 밸브(360)가 부착되어 있으며 밸브(360)의 일측은 배수관(301)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밸브의 나머지 부분은 배수관(301)과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이다.
배수관(301)에 수분(302)이 누적되면 밸브를 누르는 수압이 증가하게 되는 바, 누적된 수분(302)의 양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수압에 의해 밸브(360)의 일부가 배수관에서 떨어지면서 배수구가 개방된다. 이와 같은 배수에 의해 배수관 내부에 있는 수분량이 줄어들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배수구를 닫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절연판 및 하부판이 적층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및 상기 측면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절연판(120)은 하부판(110)의 상면에 배치되면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하부판과 전지모듈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절연판(120)은 판상형으로서 두께가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절연판(120)은 하부판(110)의 유로(111)와 접하도록 유로의 위에 배치하고 있으며, 절연판(120)과 하부판(110)은 유로(111)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유로(111)의 높이는 배수구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바, 절연판(120)과 하부판(110)의 간격은 배수구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가까워진다.
즉, 절연판(120)의 경사는 하부판(110)에 형성된 유로(111)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며, 절연판(120)의 경사는 하부판(110)에서 유로를 제외한 상면의 경사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절연판 상에 있는 수분이 배수구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절연판(120)에는 전지모듈에서 배출된 수분을 하부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119)이 형성되어 있는 바, 절연판 상에 형성된 수분은 홀(119)을 따라 하부판으로 이동하여 배수구쪽으로 모이게 된다. 홀(119)의 개수 및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지모듈에 형성된 수분을 배수구쪽으로 빠르게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을 고려할 때, 전지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전지모듈마다 2개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지팩의 내부와 외부 간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분으로 인해 전지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지팩 내부에서 생긴 수분을 전지팩 외부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10, 210: 하부판
111, 211: 유로
112, 212: 배수구
113: 마운팅지지부
114, 214: 센서
116, 216: 하부판의 상면
119: 홀
120: 절연판
130: 냉각판
140: 전지모듈
150: 하우징
260: 밸브
301: 배수관
302: 수분

Claims (11)

  1. 복수의 전지모듈들;
    상면에 상기 전지모듈들이 탑재되는 절연판;
    상기 절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판; 및
    상기 복수의 전지모듈들을 덮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은 전지팩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한쪽으로 모아지도록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에는 수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은 두께가 일정한 판상형으로 이루어진 전지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은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경사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가 형성되는 전지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의 경사는 상기 하부판에서 유로를 제외한 상면의 경사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는 전지팩.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의 경사는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유로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전지팩.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프레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돌출된 라인들이 수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전지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에는 상기 전지모듈에서 배출된 수분을 하부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에는 모아진 수분을 전지팩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는 수분량을 센싱하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전지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모듈들과 상기 절연판 사이에는 냉각판이 더 추가되는 전지팩.
KR1020200011362A 2020-01-30 2020-01-30 경사진 구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097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362A KR20210097540A (ko) 2020-01-30 2020-01-30 경사진 구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전지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362A KR20210097540A (ko) 2020-01-30 2020-01-30 경사진 구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전지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540A true KR20210097540A (ko) 2021-08-09

Family

ID=7731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362A KR20210097540A (ko) 2020-01-30 2020-01-30 경사진 구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75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104A (ko)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팩의 수분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104A (ko)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팩의 수분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027B1 (ko) 배터리 팩
JP4821126B2 (ja) 燃料電池
KR100988399B1 (ko) 연료 전지를 탑재한 이동체
US8149567B2 (en) Capacitor module
US9337516B2 (e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e formation on a battery
KR20120059105A (ko) 고전압 배터리팩의 수분 배출장치
KR102181521B1 (ko) 벤팅 가스의 배기 구조가 개선된 셀 모듈 어셈블리
US20150107198A1 (en) Gas-liquid separator for vehicle-mounted fuel cell
KR20060063173A (ko) 이차 전지 모듈
US20140335388A1 (en) Battery pack
US20170307237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having waterproof function
KR10162428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560224B (zh) 电池模块
KR100974735B1 (ko) 연료전지용 응축수 배출장치
KR20210097540A (ko) 경사진 구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160051954A (ko) 배터리 팩
KR20120059104A (ko) 고전압 배터리팩의 수분 배출장치
KR20200042044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방전검사장치
JP200911084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311149A (ja) 燃料電池運転方法および燃料電池
CN112005428B (zh) 电源装置和电源装置的排出阀的开阀检测方法
CN213366706U (zh) 一种电池包
KR102286844B1 (ko) 정전용량형 수위센서의 수위 출력 방법
KR20140062622A (ko) 배터리 케이스
US20160181637A1 (en) Fuel cel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