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774A -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774A
KR20210096774A KR1020200010230A KR20200010230A KR20210096774A KR 20210096774 A KR20210096774 A KR 20210096774A KR 1020200010230 A KR1020200010230 A KR 1020200010230A KR 20200010230 A KR20200010230 A KR 20200010230A KR 20210096774 A KR20210096774 A KR 20210096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hampoo
customized
survey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843B1 (ko
Inventor
김홍성
Original Assignee
(주)나인빌리언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인빌리언앤코 filed Critical (주)나인빌리언앤코
Priority to KR102020001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8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모발 상태에 관한 설문조사 및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샴푸의 기능과 향기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기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맞춤형 샴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내용이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호도 및 현재 환경분석을 통해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맞춤형 샴푸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추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를 주문하여 사용한 이후, 상기 맞춤형 샴푸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만족도 조사에 대한 참여도 및 상기 맞춤형 샴푸에 대한 홍보 기여도를 수치화하여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SHAMPOOS CUSTOMIZED BY INDIVIDUAL AND PRODUCING METHOD OF THE SHAMPOOS}
본 발명은 각 사용자의 헤어 상태를 고려한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와 헤어 관리 이력 등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고, 해당 조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샴푸를 추천하여 개인마다 효율적인 헤어 케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샴푸는 두피를 청결하게 보호하고 두발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발용 제품이다. 이러한 샴푸는 세정 기능 이외에 모발의 부드러움과 매끄러움을 더하는 기능 및 모발 표면의 윤기 부여, 모발의 갈라짐 방지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달성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샴푸는 공장 안에서 일괄적으로 제작되는 대량 생산 방식으로 수요자들에게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일괄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샴푸는 특정한 기능을 가지는 하나의 완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시중에 판매되는 샴푸는 건성용, 지성용, 비듬방지용, 탈모방지용 등의 기능 중 일부의 기능이 발휘되는 하나의 완제품으로 출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중에 출시되는 샴푸의 예가 등록특허공보 제10-1540333호(선행문헌 1)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292017호(선행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먼저, 선행문헌 1에 개시된 탈모방지용 샴푸는 봉삼, 그라비올라 및 모링가를 섞은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천연 물질을 추출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작된다. 해당 방식으로 제작된 샴푸는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인체에 부작용 없이 탈모 예방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 2에 개시된 두피질환용 한방 샴푸는 민들레, 감국, 호두, 은행잎, 황토, 버드나무 등과 같은 자연의 한방 성분으로 제작된다. 즉, 상기 한방 샴푸의 유효성분이 두피에 존재하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천연 성분으로 제작된다는 점에서, 샴푸 고유의 세정 효과뿐만 아니라 한약재의 약리효과도 함께 발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시중에는 탈모나 두피질환 예방 등 일부 기능이 발휘되는 샴푸가 공장에서 대량 생산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각 공정을 검사하기 용이하고, 엄격한 품질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량 생산 방법은, 각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표준화, 규격화되어 제작되는 관계로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신의 모발 타입과 일치하는 기능의 샴푸가 출시되지 않은 경우, 소비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목적과는 다른 종류의 샴푸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현재 시중에 출시되는 샴푸는 각 개인마다 모발의 상태를 고려하는 과정 없이, 몇 가지 기능을 가지는 하나의 완제품으로만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모발 및 두피 상태에 최적화된 샴푸를 제공하지 못함은 물론이고, 향후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의 샴푸를 추가로 구입해야만 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540333호(2015.07.29. 공고)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292017호(2013.08.0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 및 헤어 관리 이력을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을 추천하고, 상기 제품을 사용한 이후에 만족도 조사 참여도 또는 제품 홍보 기여도에 따라 단계별로 보상을 부여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모발 상태에 관한 설문조사 및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샴푸의 기능과 향기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기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맞춤형 샴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내용이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호도 및 현재 환경분석을 통해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맞춤형 샴푸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추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를 주문하여 사용한 이후, 상기 맞춤형 샴푸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만족도 조사에 대한 참여도 및 상기 맞춤형 샴푸에 대한 홍보 기여도를 수치화하여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설문조사 방식으로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를 조사하여 개별적인 맞춤형 샴푸의 제작이 이루어지므로, 향후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자신의 헤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필요로 하는 기능과 원하는 향기를 추천받아서 나만의 맞춤형 샴푸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개인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한 맞춤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사용 만족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 및 헤어 관리 이력 등을 고려하여 서버에서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샴푸를 추천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맞춤형 헤어 케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맞춤형 샴푸를 이용한 이후에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 참여도 또는 제품에 대한 홍보 기여도 등을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단계별 보상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상기 맞춤형 샴푸에 대한 사용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피드백이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서버에서 상기 맞춤형 샴푸를 추천한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가 다량의 데이터로 쌓일 수 있으므로, 향후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맞춤형 샴푸에 대한 정보가 더욱 정확하고 면밀한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세트의 맞춤형 샴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맞춤형 샴푸를 주문하여 사용한 후 이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는 전체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상기 맞춤형 샴푸를 제작하기 전에 사용자 설문 모드가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상기 설문 모드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샴푸를 추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가 맞춤형 샴푸를 사용한 후 만족도 조사 참여도 또는 제품 홍보 기여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상이 지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상기 맞춤형 샴푸의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모드가 표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상기 맞춤형 샴푸의 추천과 관련된 매개변수를 연산하는 서버가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세트의 맞춤형 샴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형 샴푸(100)는, 세 가지 향으로 구분되는 베이스 샴푸(10), 상기 베이스 샴푸(10)와 섞이는 재료로 제작되고 일곱 가지 기능으로 구분되는 애드온 앰플(20) 및 상기 베이스 샴푸와 애드온 앰플이 골고루 섞인 제형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가압 펌프(3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세 가지의 베이스 샴푸 중 자신이 선호하는 하나의 베이스 샴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샴푸(10)는 '플로레트(Fleurette)'라는 명칭의 장미 향을 발산하는 제품일 수도 있고, '라번(Lavern)'이라는 명칭의 우디 향을 발산하는 제품일 수도 있으며, '이네스(Ines)'라는 명칭의 연꽃 잎 향을 발산하는 제품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세 가지의 향기 중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하나의 향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샴푸(10)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애드온 앰플(20)은 상기 베이스 샴푸(10)에 섞이는 물질로 제작되는 제품으로써, 총 일곱 가지 종류로 구성된다. 이러한 일곱 가지의 앰플 각각은 서로 다른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애드온 앰플은 탈모를 방지하기 위한 모근 강화의 기능을 하고, 제2 애드온 앰플은 사용자가 볼륨 시술을 받은 경우 해당 볼륨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제3 애드온 앰플은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보습 기능을 하고, 제4 애드온 앰플은 사용자의 두피에 미세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헤어의 청결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제5 애드온 앰플은 사용자가 펌 시술을 받은 경우 해당 펌으로 형성되는 헤어 컬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제6 애드온 앰플은 사용자가 염색 시술을 받은 경우 염색된 헤어의 색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제7 애드온 앰플은 사용자의 모발이 지성인 경우 두피의 유분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총 7개의 앰플 중, 사용자는 자신의 헤어 상태 및 관리 이력을 고려하여 현재 본인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세 가지의 앰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버(60)에서는 사용자의 모발 상태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앰플을 추천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향기를 가지는 하나의 베이스 샴푸(11)와, 자신의 헤어 유형을 고려한 세 가지의 애드온 앰플(21, 22, 23)을 선택하여 한 세트의 맞춤형 샴푸(100)를 주문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로즈 향을 발산하고 탈모방지 효과와 보습 효과와 펌 컬 유지 효과가 발휘되는 제품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장미 향의 베이스 샴푸(11), 모근 강화 기능을 보유한 제1 애드온 앰플(21), 수분증발 방지 기능을 보유한 제3 애드온 앰플(22) 및 펌 컬 유지 기능을 보유한 제5 애드온 앰플(23)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베이스 샴푸와 세 개의 애드온 앰플 및 상기 가압 펌프(30)를 포함하는 맞춤형 샴푸(100)를 주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제작된 상기 한 세트의 맞춤형 샴푸(100)가 배송되면,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 샴푸(11)의 뚜껑을 열어서 상기 세 가지의 애드온 앰플(21, 22, 23)을 모두 섞는다. 상기 베이스 샴푸(11)에 상기 애드온 앰플(21, 22, 23)들을 섞는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 샴푸(11)의 입구에 상기 가압 펌프(30)를 끼워서 설치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가압 펌프(30)를 활용하여 베이스 샴푸와 애드온 앰플이 섞인 개인 맞춤형 헤어 관리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필요로 하는 기능과 원하는 향기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개인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한 맞춤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사용 만족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도 2는, 상기 맞춤형 샴푸를 주문하여 사용한 후 이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는 전체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100)를 주문하기 위해 자신의 스마트 폰 등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나 주문 사이트에 접속 시, 서버(도 7의 도면부호 60)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 헤어 관리 이력 및 관리 습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S10). 사용자가 상기 설문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서버(60)에서는 현재 사용자의 모발 상태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설문조사의 구체적인 과정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맞춤형 샴푸를 제작하기 전에 사용자 설문 모드가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설문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100)를 자신이 직접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선물용으로 주문하는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9). 그 다음, 상기 서버(60)에서는 맞춤형 샴푸(100)를 이용할 예정인 실제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를 확인하는 절차가 진행된다(S11). 상기 성별 및 나이 등의 개인 정보는 실제 맞춤형 샴푸의 이용자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야 한다.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 및 헤어 고민에 대한 조사가 실시된다(S12). 예를 들어, 상기 헤어 상태 및 헤어 고민에 대한 설문조사는, 사용자의 두피 타입에 대한 조사, 모발 굵기에 대한 조사, 곱슬 정도에 대한 조사, 최근 헤어 시술 여부와 헤어 시술 종류에 대한 조사 및 모발 탄력 고민에 대한 조사 등의 다양한 조사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S12 단계의 설문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의 헤어 관리 습관에 관한 조사가 실시된다(S13). 상기 헤어 관리 습관에 대한 설문조사는, 사용자가 하루 중 머리 감는 시기에 관한 조사, 머리를 감는 횟수에 관한 조사, 환경에 대한 민감도 조사(미세먼지에 대한 두피의 민감도, 황사에 대한 두피의 민감도 등) 및 머리를 감는 물의 온도에 대한 조사 등의 다양한 조사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위의 설문이 완료되면, 서버(60)에서는 상기 맞춤형 샴푸(100)에서 발휘되었으면 하는 기능에 대한 조사가 실시된다(S14). 이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총 7가지의 애드온 앰플(20) 중 세 가지의 앰플을 선택하기 위한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S14단계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으로 세 가지 문항지를 선택할 수도 있고, 일부 문항지만 선택하거나 아무 것도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두 가지 이하의 문항지만 선택한 경우, 상기 서버(60)에서는 상기 S11 단계 및 S12 단계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애드온 앰플을 추천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어떠한 기능을 가지는 앰플이 좋을지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가 이미 진행한 상기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사용자의 헤어 상태와 헤어 관리 이력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보유한 애드온 앰플을 추천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향기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S15). 본 단계는 서로 다른 향기를 가지는 총 3가지의 베이스 샴푸(10) 중 하나의 베이스 샴푸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단계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상기 S10 단계인 사용자의 헤어 상태 및 헤어 관리 이력, 관리 습관 등에 관한 전체적인 설문조사가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서버(60)에서는 상기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재 모발 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맞춤형 샴푸의 유형을 분석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20).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일 예로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스마트 폰(도 7의 도면부호 2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상기 전자기기는 노트북, PDA, 단말기 등 메모리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면 그 종류의 제한은 없다.
사용자의 헤어와 관련된 유형 분석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60)에서는 분석된 내용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베이스 샴푸 및 애드온 앰플을 추천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30). 상세한 추천 내용은, 향기에 따라 하나의 베이스 샴푸가 추천되고, 기능에 따라 세 가지의 애드온 앰플이 추천된다. 이러한 추천 과정에 대한 예가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설문 모드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샴푸를 추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의 헤어 상태 분석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이와 유사한 대조군을 서치하는 작업이 실시된다(S31). 상기 서버(60)에는 수많은 사람의 헤어 상태를 분석한 데이터가 다량으로 축적되어 있다. 이러한 수많은 데이터들 중에 현재 사용자의 헤어 상태와 가장 유사한 몇 가지의 대조군을 찾는 작업이 실시된다.
그 다음, 상기 서버(60)에서는 상기 대조군에 관한 여러 헤어 관리 프로그램을 시뮬레이션 방식으로 실행한다(S32). 즉, 사용자의 스마트 폰(200)에서는 상기 대조군에 맞춤형 샴푸를 사용 시 주기적인 헤어 상태 변화, 두피 상태 개선 과정 등에 관한 여러 데이터들을 시뮬레이션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맞춤형 샴푸의 유형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 효과를 사전에 체득할 수 있다.
상기 S32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맞춤형 샴푸(100)를 찾기 위해, 사용자의 선호도 및 환경 분석 결과를 추가로 반영한다(S33).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된 일 예로, 만약 탈모 유전이 있는 사용자는 머리 빠짐 방지에 많은 신경을 쓸수 밖에 없고, 이러한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되어 상기 서버(60)에서는 탈모 방지용 모근 강화 기능에 가중치를 두어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앰플이 추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경 분석 결과와 관련된 일 예로, 현재 무더운 여름 날씨인 경우에는 습기제거 기능에 가중치를 두어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앰플이 추천될 수도 있고, 춥고 건조한 겨울 날씨인 경우에는 보습 기능에 가중치를 두어서 적절한 앰플이 추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베이스 샴푸(10)와 애드온 앰플(20)을 선 순위부터 후 순위까지 차례로 추천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34).
상기 추천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추천된 제품 중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 결국, 제품을 이용하는 사람은 사용자 자신이므로, 본 단계에서는 상기 서버(60)의 추천 결과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이용할 예정인 상기 맞춤형 샴푸(100)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라 볼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샴푸(100)를 주문 시, 사용자에게 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정보 수집 절차가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각인 서비스란 포장용 박스 내의 편지봉투에 사용자의 이름(또는 별명)과 연락처를 새겨서 사용자에게 배송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각인 서비스를 통해 상기 맞춤형 샴푸(100)를 수신하는 사용자는 자신만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제품이라는 만족감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샴푸(100)를 이용한 이후,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에게 상기 맞춤형 샴푸(100)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S50). 상기 만족도 조사는 상기 맞춤형 샴푸(100)의 이용 기간을 예상하여 일정 기간 동안 다수 회 진행된다. 해당 만족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맞춤형 샴푸의 유형에 대한 정보 및 이에 대한 만족도 결과가 빅데이터 방식으로 쌓이게 된다.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 참여도에 따라 단계별 보상이 실시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60). 상기 단계별 보상이란, 사용자의 만족도 참여 횟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이 점점 더 크게 부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100)를 사용 시, 서버(60)에서는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 기간 및 횟수에 대한 산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60)에서는 샴푸의 첫 사용 후 한 달이라는 기간 동안 일주일에 한 번씩 총 4회의 만족도 조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만족도 조사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다수 회 만족도 조사를 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맞춤형 샴푸 이용에 따른 기간별 헤어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사용자가 1주차 만족도 조사에 참여하는 경우에 하나의 쿠폰 보상이 이루어진다면, 사용자가 2주차 만족도 조사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쿠폰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총 세 개의 쿠폰을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3주차 만족도 조사에서는 세 개의 쿠폰을 부여하고, 4주차 만족도 조사에서는 네 개의 쿠폰을 부여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 횟수가 늘어날수록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쿠폰 개수도 단계별로 늘어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 참여도가 기간이 지날수록 점점 낮아지기 때문에, 만족도 조사 참여 횟수가 늘어날수록 이에 대응하는 보상 규모도 커지도록 설정하여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 및 자발적인 피드백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S60 단계에서 설명하는 단계별 보상에 관한 내용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사용자가 맞춤형 샴푸를 사용한 후 만족도 조사 참여도 또는 제품 홍보 기여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상이 지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써, 이전에 설명한 다른 과정과는 달리, 이미 사용자에게 지급된 보상으로 실제 물품을 구매하는 방식에 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맞춤형 샴푸 주문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보상 모드를 실행한다(S81). 이에 따라, 스마트 폰(200)의 화면에는 현재까지 사용자에게 지급된 보상내역에 관한 내용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맞춤형 샴푸(100)를 주문하여 사용한 이후, 서버(60)에서는 상기 맞춤형 샴푸(100)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 참여도 및 제품에 대한 홍보 기여도를 수치화하여 해당 수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쿠폰 등의 방식으로 보상을 실시한다. 이러한 보상 내역은 사용자가 상기 보상 모드를 실행 시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보상 모드 실행 시 현재까지 지급된 보상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보상 내역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검색할 수 있다(S82).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쿠폰을 확인한 후에, 검색 창 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검색하면, 본 어플리케이션과 제휴된 물품 구입 페이지로 화면이 전환된다(S83). 상기 물품 구입 페이지에서는 보유 쿠폰이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을 구입하는 데에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4). 만약, 보유 쿠폰이 충분하다면, 사용자는 해당 물품의 구매를 실시하고(S85), 잔여 보상 내역을 확인하는 절차가 진행된다(S86).
그러나,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쿠폰 가치가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구입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다면, 서버(60)에서는 현재 시점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기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7). 만약, 현재 시점이 만족도 조사가 진행되는 기간 내에 속한다면, 먼저 고객은 추가 만족도 조사에 대한 응모를 실시한다(S88a). 그 다음,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물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추가로 진행되어야 하는 만족도 조사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S88b). 즉, 고객이 추가 만족도 조사에 응모하면, 원하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추가로 진행하여야 할 만족도 조사 횟수에 관한 정보가 스마트 폰(200)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정해진 기간에 추가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다만, 현재 시기가 상기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기간이 아니라면,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한 제품의 홍보를 진행할 것을 추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한 제품에 대한 홍보 진행 횟수를 산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S89a). 상기 제품의 홍보 방식은 블로그나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사이트를 활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자신이 제품 홍보를 진행한 내용을 서버(60)에 등록하는 절차를 실시한다(S89b). 사용자가 상기 서버(60)에 등록하는 내용은, 일 예로 홍보를 진행한 URL주소일 수도 있고, SNS 화면 캡쳐본, 제품 홍보 영상 등의 예도 가능하다.
그 다음, 상기 서버(60)에서는 추천된 맞춤형 샴푸(100)에 대해 사용자가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다(S70). 만약, 사용자가 추천된 맞춤형 샴푸(100)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의 모발 상태에 관한 재 분석을 실시하고, 사용자가 초기에 주문한 맞춤형 샴푸(100)를 전부 사용하는 기간을 예상하여 해당 기간이 도과되는 과정이 진행된다(S71).
즉,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다는 의미는 사용자 모발 상태 분석 및 이에 따른 제품 추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므로, 상기 서버(60)에서는 사용자의 모발 상태를 다시 분석한다. 그 후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샴푸를 거의 사용할 시기인 상기 기 설정된 샴푸 사용 기간이 도달하면, 다시 상기 S30 단계로 돌아가서 사용자 모발 상태에게 맞는 적절한 제품을 찾아서 고객에게 추천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이와 달리, 상기 S70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100)에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서버(60)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제품 사용 기간이 도과되는 과정이 진행된다(S80). 상기 기 설정된 제품 사용 기간이 도과되면, 상기 서버(60)에서는 기존 제품을 재추천하는 과정이 실시되고, 이에 따라 고객의 제품 재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S90).
다만, 전술한 사용자의 샴푸(제품) 사용 기간의 도달 여부 보다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다 중요한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고객 반응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을 경우 보다 적합한 맞춤형 샴푸에 대한 재추천이나 이렇게 추천된 샴푸를 제공하기 위한 재조합 맞춤형 샴푸를 다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맞춤형 샴푸(100)와 관련된 다양한 모드를 실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상기 맞춤형 샴푸의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모드가 표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맞춤형 샴푸의 추천과 관련된 매개변수를 연산하는 서버가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자신만의 맞춤형 샴푸(100)를 주문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상기 스마트 폰(200)의 화면(210)에는 세 가지의 모드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면(210)에는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 헤어 관리 이력 및 관리 습관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는 설문 모드(211), 사용자에게 적절한 베이스 샴푸와 애드온 앰플을 추천하기 위한 추천 모드(212) 및 만족도 조사 참여도와 제품 홍보 기여도를 수치화하여 사용자에게 쿠폰을 지급하는 보상 모드(213)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설문 모드를 선택 시 도 2의 S10 내지 S20 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추천 모드를 선택 시 도 2의 S30 내지 S50 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보상 모드를 선택 시 도 2의 S60 내지 S90 단계가 진행된다. 이 밖에, 상기 S10 내지 S90 단계가 한꺼번에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 폰의 화면(210)에 통합 모드가 추가로 표시되는 예도 가능하다. 즉, 상기 통합 모드란 사용자의 헤어 상태 분석, 사용자의 모발 상태를 고려한 적절한 제품 추천, 추천에 따른 사용자의 제품 주문, 제품 사용에 따른 만족도 조사 및 제품 홍보에 따른 보상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장 기간에 걸쳐서 모두 진행되는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통합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제품의 전체적인 이용 흐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추천 모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애드온 앰플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서버(60)로부터 연산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서버(60)에서 연산되는 정보는 스마트 폰(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폰(200)을 통해 자신의 헤어 유형을 파악하여 적절한 맞춤형 샴푸(100)를 추천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60)는 상기 대조군으로써 수많은 타인의 헤어 상태 분석과 관련된 데이터가 축적되는 데이터 저장부(51), 과거 자신의 헤어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52) 및 현재 사용자 주변의 환경정보를 취득하는 환경 분석부(53)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52)는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 및 헤어 관리 습관에 대한 조사 결과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장치이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51), 메모리부(52) 및 환경 분석부(53)에서 저장 및 분석되는 데이터는 상기 서버(60) 내의 제어부(5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사용자의 헤어 상태 변화, 두피 상태 개선 과정 등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 폰(20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맞춤형 샴푸(100)와 관련된 가공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50)에서 추천하는 맞춤형 샴푸(100)에 관한 정보 역시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 대한 분석으로, 사용자와 비슷한 대조군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비슷한 현재 헤어 상태 및 헤어 관리 습관을 가진 군, 사용자와 비슷한 나이 또는 성별을 가진 군, 사용자와 비슷한 두피 상태 개선 과정을 가지는 군, 사용자와 비슷한 취향을 가진 군 등 사용자와 비슷한 대조군에 대한 그 동안 축척된 빅데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하여 보다 적합한 추천 맞춤형 샴퓨 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자신에게 적합한 샴푸를 추천받고, 추천된 맞춤형 샴푸 중 자신이 원하는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제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고, 현재 자신의 헤어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헤어 관리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베이스 샴푸
20: 애드온 앰플
50: 제어부
51: 데이터 저장부
52: 메모리부
53: 환경 분석부
60: 서버
100: 맞춤형 샴푸
200: 스마트 폰
210: 화면부
211: 설문 모드
212: 추천 모드
213: 보상 모드

Claims (15)

  1. 사용자의 현재 모발 상태에 관한 설문조사 및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샴푸의 기능과 향기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기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맞춤형 샴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내용이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호도 및 현재 환경분석을 통해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맞춤형 샴푸를 추천하는 단계;
    상기 추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를 주문하여 사용한 이후, 상기 맞춤형 샴푸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만족도 조사에 대한 참여도 및 상기 맞춤형 샴푸에 대한 홍보 기여도를 수치화하여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샴푸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향기의 종류에 기초하여 선별되는 하나의 베이스 샴푸 및 상기 맞춤형 샴푸에서 발휘되는 기능에 기초하여 선별되는 세 가지 종류의 애드온 앰플을 추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샴푸는 상기 향기의 종류에 따라 세 가지 중 하나의 베이스 샴푸가 선택되고,
    상기 애드온 앰플은 상기 기능의 종류에 따라 일곱 가지 중 세 가지의 애드온 앰플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를 주문하여 사용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하나의 베이스 샴푸에 상기 세 가지의 애드온 앰플을 섞어서 사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모발 상태에 관한 설문조사는,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를 확인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를 조사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헤어 관리 습관에 대해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에 관한 조사 내용은,
    건성 여부와 관련된 두피 타입에 관한 조사, 모발 굵기에 관한 조사, 곱슬인지 여부에 대한 조사 및 헤어 시술 수행 여부에 대한 조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헤어 관리 습관에 관한 조사 내용은,
    하루 중 머리를 감는 시기에 대한 조사, 미세먼지에 대한 민감 정도 관련 조사 및 머리 감는 물의 온도에 관한 조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온 앰플을 추천하는 단계는,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모발 상태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대조군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조군의 헤어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호도 및 환경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애드온 앰플 종류를 선 순위부터 후 순위까지 차례로 상기 전자기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헤어 상태 및 헤어 관리 습관에 대한 조사 결과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상기 대조군으로써 상기 서버를 통해 추출된 타인의 헤어 관리 프로그램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를 이용하는 현재 환경에 관한 정보가 환경 분석부에 저장되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 데이터 저장부 및 환경 분석부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하나의 베이스 샴푸와 세 개의 애드온 앰플로 이루어지는 맞춤형 샴푸를 추천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추천된 제품이 상기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가 진행된 이후에 사용자가 보상 모드에 접속하면,
    현재까지 지급된 보상 내역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물품의 종류에 기초하여 서버에서 제휴된 물품 구입 페이지로 자동 접속되는 단계; 및
    현재 지급된 보상 내역이 상기 물품을 구입하는 데에 충분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내역이 물품을 구입하는 데에 충분한 경우,
    사용자가 물품 구매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잔여 보상 내역이 산출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내역이 물품을 구입하는 데에 미 충분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추가로 수행되어야 하는 만족도 조사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또는 현재 보상 내역에 대응하는 다른 물품을 추천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맞춤형 샴푸를 주문하면,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맞춤형 샴푸를 포장 시 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성명, 연락처 및 사용자가 원하는 각인 이름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맞춤형 샴푸와 포장지에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각인 이름을 새기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도 조사는 일정한 기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만족도 조사의 참여 횟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보상 규모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샴푸의 제조 방법.
  15.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작되는 개인 맞춤형 샴푸.
KR1020200010230A 2020-01-29 2020-01-29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30A KR102387843B1 (ko) 2020-01-29 2020-01-29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30A KR102387843B1 (ko) 2020-01-29 2020-01-29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74A true KR20210096774A (ko) 2021-08-06
KR102387843B1 KR102387843B1 (ko) 2022-04-18

Family

ID=7731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230A KR102387843B1 (ko) 2020-01-29 2020-01-29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565A (ko) 2021-11-05 2023-05-12 김근태 멀티 샴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828A (ko) * 2003-03-25 2004-10-06 (주)에스지커뮤니케이션 광고 보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1343A (ko) * 2010-05-31 2011-12-07 (주)라이프앤진 개인별 맞춤형 두피 및 모발 관리 시스템
KR101292017B1 (ko) 2010-04-23 2013-08-01 김종란 두피질환용 한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샴푸의 제조방법
KR101540333B1 (ko) 2015-04-29 2015-07-29 황인순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샴푸
KR101583191B1 (ko) * 2015-07-27 2016-01-19 장정훈 헤어 케어 시스템
JP2019034112A (ja) * 2017-08-10 2019-03-07 株式会社ミラーロイド ミラ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35095A (ko) * 2018-05-28 2019-12-06 석윤정 디아이와이 키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828A (ko) * 2003-03-25 2004-10-06 (주)에스지커뮤니케이션 광고 보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92017B1 (ko) 2010-04-23 2013-08-01 김종란 두피질환용 한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샴푸의 제조방법
KR20110131343A (ko) * 2010-05-31 2011-12-07 (주)라이프앤진 개인별 맞춤형 두피 및 모발 관리 시스템
KR101540333B1 (ko) 2015-04-29 2015-07-29 황인순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샴푸
KR101583191B1 (ko) * 2015-07-27 2016-01-19 장정훈 헤어 케어 시스템
JP2019034112A (ja) * 2017-08-10 2019-03-07 株式会社ミラーロイド ミラ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35095A (ko) * 2018-05-28 2019-12-06 석윤정 디아이와이 키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565A (ko) 2021-11-05 2023-05-12 김근태 멀티 샴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843B1 (ko)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lson et al. Optimizing the online channel in professional sport to create trusting and loyal consumers: The role of the professional sports team brand and service quality
Weitz Introduction to special issue on competition in marketing
Seetharaman et al. Investigating household state dependence effects across categories
Bijmolt et al. Judgments of brand similarity
EP275890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hair condition and prescribing customized cosmetic treatment and/or product
KR102199441B1 (ko) 사용자 정보에 따라 선정된 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화장품을 평가하는 제품 추천 장치
Müller et al. To be or not to be price conscious—A segment‐based analysis of compromise effects in market‐like framings
JP4478479B2 (ja) 化粧品評価情報分析システム及び方法
Harmse Service quality in a landlord-small business relationship in shopping centres
KR102387843B1 (ko) 개인 맞춤형 샴푸 및 이의 제조 방법
Liu Modeling consumer adoption of the Internet as a shopping medium: An integrated perspective
Ekaputri et al.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impact toward repurchase intention
WO20010673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nd technical skill premium by using network
KR102199440B1 (ko) 사용자의 피부 특성에 매칭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제품 추천 장치
Paul III An exploratory examination of “SERVQUAL” versus “SERVPERF” for prosthetic dental specialists
US20210121123A1 (en) Determining external hair damage
Oetama et al. The Influence Of Brand Experience On Brand Loyalty Through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In Indomie Mie In Sampit
Albrecht et al. Value creation for luxury brands through brand extensions
Purnama Importanc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customer loyalty (Brangkal Offset of East Java, Indonesia)
Wu et al. Evaluating customer lifetime value for customer recommendation
KR102367220B1 (ko) 제품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aravanakumar et al. A study on female customer satisfaction on hair oil and beauty cream with special reference to Himalaya products in Coimbatore district
WO2024080341A1 (ja) 化粧品類情報システム
Porter User-centered design and marketing: Online customer value
KR102463748B1 (ko) 화장품 정보와 생체정보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