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749A -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749A
KR20210096749A KR1020200010178A KR20200010178A KR20210096749A KR 20210096749 A KR20210096749 A KR 20210096749A KR 1020200010178 A KR1020200010178 A KR 1020200010178A KR 20200010178 A KR20200010178 A KR 20200010178A KR 20210096749 A KR20210096749 A KR 20210096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y
information
user
content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240B1 (ko
Inventor
고민규
Original Assignee
고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민규 filed Critical 고민규
Priority to KR102020001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2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1Content authoring involving branching, e.g. to different story end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20/20Ensembl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기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
본 발명은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제작을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제공한 스토리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스토리 및 컨텐츠 제작 툴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스토리(story)와 텔링(telling)의 합성어로, 이야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복수의 인물이 서로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행위들의 집합을 말한다.
스토리텔링의 창작을 지원하는 기존의 서비스는 이러한 이야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캐릭터 생성, 플롯 구축, 스토리 설계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데, 각 과정에 따라 커뮤니티 구성, 스테이지 구축 및 세계관의 확장과 변형이 가능하도록 순환적인 구조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오늘날 우리 일상생활에서 스토리텔링은 여러 가지로 유익하고 설득력 있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인류가 등장한 이래 스토리텔링은 인간끼리의 의사소통에 있어 늘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스토리텔링은 매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발현되고 하는데, 영화, 비디오,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광고 등의 원천적인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스토리텔링은 현대 조직 사회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현재 미국에서는 교육, 비즈니스, 대인관계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때 이야기는 특정 부류를 타깃으로 하여야 효과가 크며 내용은 듣는 이의 흥미를 자극하며 새로운 것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새로운 이야기를 창작하는 것은 매우 고도의 인지적 과정과 종합적인 인간의 사고를 요구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아무 도움 없이 전문 창작가가 만들어 내는 수준의 스토리를 생성하는 것은 힘든 일이며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3612호 (2017.03.02.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5-0011651호 (2015.02.02. 공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시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기본 스토리로부터 주제, 스토리의 흐름 및 단어들을 파싱하여 스토리를 설계하고 스토리라인을 자동으로 추천함으로써 스토리텔링의 창작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인공의 시점에서 작성된 기본 스토리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하여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주인공의 시점에서 작성된 기본 스토리를 획득하고,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고,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고,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고,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고,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고,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의하여,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스마트 단말을 통해 미리 제작된 컨텐트 및 캐릭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애니메이션 또는 동작 컨텐트를 생성할 수 있어, 시간적, 비용적 면에서 효율적인 컨텐트를 제작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면 스토리제작 초기단계에서 캐릭터 설정과 캐릭터들간의 관계 설정만으로 그에 맞는 플롯 패턴을 추천받아 스토리텔링 작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유전적 속성과 환경적 모티베이션의 조합에 맞는 인물의 유형을 파악함에 따라 향후 캐릭터의 정보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쉽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추천된 기본 플롯 패턴을 참고로 하여, 플롯 에디터를 통해 기본 플롯 패턴 사이에 다른 플롯을 추가함으로써 스토리를 쉽게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의 캐릭터를 교육 컨텐츠, 동화 컨텐츠, 프로포즈 영상, 홍보 컨텐트 등에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생성한 캐릭터가 직접 움직이는 모습을 쉽게 구현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학습용 교육 컨텐트와 접목하여 온라인 학습, 교과서 수업 보조 도구로서 이용이 가능하므로,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수업 교재에 즉각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바 학습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일 개시에 따른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 컨텐트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리깅 캐릭터의 동작을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개시에 따른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기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를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통령을 주체로 특정한 날의 일정에 대하여 서술한 기본 스토리를 제공하는 경우,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에 부합하는 스토리 요소를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 요소는 스토리라인, 아웃라인, 시놉시스, 포트폴리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라인은 스토리 콘텐츠 형성 단계 전의 이야기 구성 및 전개, 설계도의 결과물 형태를 총칭하는 것이고, 아웃라인은 이야기 구성의 개요와 아이디어를 기획 및 기록한 결과물이며, 시놉시스는 이야기 구성의 전개 및 줄거리(처음, 중간, 끝)를 포함한 결과물을 말한다. 또한 포트폴리오는 이야기 전체의 구성과 전개 과정 및 플롯별 핵심문장, 챕터별 주요 설정 정보까지 창작 또는 기록된 결과물을 말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아웃라인, 시놉시스, 포트폴리오 등을 포함하는 스토리라인을 자동으로 완성함으로써, 사용자나 창작자가 스토리텔링을 창작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애플리케이션,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텔링 창작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스토리텔링 창작용 앱을 다운로드 받아 스토리텔링 창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플랫폼에 자신의 아이디를 생성한 뒤 원하는 스토리라인을 생성하고 그 창작 결과물을 창작자 단말의 로컬 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컨텐츠 서비스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최종 컨텐츠는 창작자의 선택에 따라 열람 공개와 비공개, IP 라이선스 등록과 같은 열람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기본 스토리에서 확장된 스토리 요소들을 구성할 컨텐츠를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존의 빅데이터 이외에,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모든 컨텐츠를 이용하여 스토리 요소들을 구성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최초 스토리텔링을 포함하는 제 1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제 1 스토리를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획득함으로써, 제 1 스토리를 수정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다른 요소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최종 승인에 따라 제 2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아이디어 및 다른 사용자의 아이디어와 함께, 인공지능 모델을 통한 스토리의 확장 및 기본 포맷을 제공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블록 201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주인공의 시점에서 작성된 기본 스토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기본 스토리에 포함된 문장을 파싱하여, 소정의 횟수 이상으로 사용된 단어를 식별자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횟수는 절대값으로 기정해진 값이거나, 해당 문장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된 횟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자에 관련된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가 "공주"인 경우, 사용자는 공주에 관련되며, 기본 스토리에 연관된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을 추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기본 스토리를 확장하여 스토리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스토리 라인에 기초하여, 단어, 동의어, 유의어, 수식어 및 문장 구성에 대한 스토리 교육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즉, 같은 표현이라도 다른 언어, 상대적으로 어려운 단어 등을 추천하여 교육적인 목적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스토리 교육 정보를 수용하는 경우, 스토리 교육 정보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블록 202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복수개의 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기본 스토리로부터 확장가능한 스토리 정보를 도출하고, 확장가능한 스토리 정보 각각으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203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결정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스토리 요소가 결정된 후 그를 반영하여 후차적인 스토리 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스토리 요소가 '공주가 왕자를 구하는 판타지'를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스토리 요소로서 '7명의 난장이'가 선택되는 경우, 제 2 스토리 후보 요소로서 '7명의 난장이와 공주의 모험'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카드 뉴스, 웹툰, 기사, 포스팅, 소설 및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출판 형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토리의 출판 형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판 형식은 기 저장된 모든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수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공하는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출판 형식에 대한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임시적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포함된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수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프레임 및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블록 204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주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스토리 제작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요소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것을 주요 컨텐츠 요소, 다른 사용자 및 다른 플랫폼에서 획득한 것을 보조 컨텐츠 요소로 칭하도록 한다.
여기서, 주요 및 보조를 나누는 이유는 컨텐츠의 사용에 따른 리워드의 적립, 저작권의 관리를 위한 것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 등록 다른 사용자 및 컨텐츠 제공 서버들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보조 컨텐츠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들은, 기 협약된 서버, 무료 컨텐츠 제공 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주요 컨텐츠 요소를 보조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제 1 스토리를 구성하며, 보조 컨텐츠 요소를 주요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사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스토리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 1 스토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 재생 프로그램은 스토리를 입력하거나, 컨텐츠 요소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작중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미리 보기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스토리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에 포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에 포함된 컨텐츠를 선택된 추천 정보로 변경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등장 인물의 캐릭터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캐릭터에 리깅 요소들을 부여하여 리깅 캐릭터를 생성하고, 리깅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리깅 요소들의 동작경로, 동작범위, 동작시간, 동작각도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3차원 위치좌표에 기초하여 리깅 캐릭터가 시계열적으로 동작하는 동작 컨텐츠를 생성하고, 동작 컨텐츠를 제 1 스토리에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요소가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경우, 사용된 컨텐츠 요소에 대한 리워드를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는 포인트, 캐쉬백 등 컨텐츠 요소를 사용함에 따른 대가를 의미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공유된 스토리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스토리 공유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복수개의 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스토리 플롯에 기초하여, 스토리 플롯에 부합하는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205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해 제 1 스토리를 공유하거나, 기존의 다른 스토리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토리를 공유할 수 있다.
블록 206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공유된 스토리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댓글 정보, 조회수 정보, 이탈 정보, 머무름 정보, 재방문 정보 및 스토리 공유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된 스토리에 제공할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207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스토리에 제 3 스토리를 결합할 것을 요청하는 다른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스토리 결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는 공유된 제 1 스토리를 열람한 어느 누구라도 해당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스토리 결합에 대한 승인을 획득함에 따라,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를 분석하여 결합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포인트는 두 개의 스토리가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포인트로서 두 개의 스토리의 내용에 기반한 문학적 포인트, 기능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기술적 포인트가 선택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결합 포인트를 기준으로,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를 재구성하고, 제 1 스토리에 적용가능한 수정 정보, 추가 정보 및 삭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스토리를 결합하면서 중복되는 내용, 상반되는 내용은 삭제하도록 삭제 정보로서 생성된다.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정 정보, 추가 정보 및 삭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4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4 스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 4 스토리에 포함된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의 등장인물의 중요도, 스토리 분량, 주제, 스토리 라인 및 컨텐츠의 양을 고려하여 제 4 스토리에 대한 소유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유권 비율에 기초하여, 제 4 스토리로 인하여 발생하는 리워드에 대한 적립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3a 및 도 3b에 보여지다시피, 사용자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동작 컨텐츠를 생성하고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다.
도 3a를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된 캐릭터, 이미지 또는 사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캐릭터를 프래임 별로 수정하고 리깅요소들을 이용하여 캐릭터에게 동작을 입힐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미지 또는 사운드를 프레임에 적용시킴으로서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생성된 영상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해 손쉽게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 인터넷 상 등에 영상 컨텐츠들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여 학생들이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됨으로서, 학습의 복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게 됨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메인 서버에 자신의 캐릭터를 전송하고, 메인 서버에서 리깅을 완성한 후 다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캐릭터를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캐릭터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리깅 캐릭터의 동작을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동작 컨텐츠를 복수의 동작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동작 프레임에서 특정한 프레임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동작 프레임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은 동작 프레임이 표시된 화면에 동작 수정 에디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동작 수정 에디터를 통해 동작 프레임이 수정되는 경우, 수정된 동작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동작 컨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정된 동작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수정이 되었는지 즉각적인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정된 동작 컨텐츠를 저장, 또는 서버,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가적인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인 컨텐츠는 동작이 부여된 캐릭터가 삽입되는 배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배경음악, 배경화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츠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화 컨텐츠를 선택하여 자신이 생성한 캐릭터가 동화속 주인동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학습 만화의 주인공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화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기 제작된 복수의 동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동화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택된 동화 컨텐츠에 등장하는 등장인물 중 하나로 리깅 캐릭터를 삽입하는 단계, 리깅 캐릭터가 삽입된 동화 컨텐츠를 이루는 복수의 동화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동화 프레임에 포함된 리깅 캐릭터의 동작을 수정할 수 있도록 동작 수정 에디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 수정 에디터를 통해 리깅 캐릭터의 동작이 수정되는 경우, 수정된 리깅 캐릭터와 동화 프레임을 저장하여 사용자 맞춤형 동화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리깅 요소는 리깅 요소는, 캐릭터의 계층적 뼈대 및 관절 구조를 기반으로, 관절의 위치, 관절의 움직임 방향, 넙스 표면(NURBS surface) 기반, 다각형 메시 기반의 근육 지오메트리의 버텍스, 근육 지오메트리의 컨트롤 포인트, 버텍스 기반의 스키닝 변형 요소 핸들, 더미 객체 및 구속 요소들을 포함하는 3차원 속성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리깅(Rigging)이란 주어진 캐릭터 모델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변형 장치(Deformers)와 관절 객체(Articulating objects)를 이용하여 셋업(Setup)하는 일련의 과정이며, 이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결과물을 캐릭터 리그(Character Rig)라 한다. 리깅 과정은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접한 관객의 몰입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고품질의 사실적인 움직임을 가진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만큼의 세심하고 정밀한 리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실사 영화에 포함되는 특수 효과로서의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 리깅은 3D 애니메이션과 해부학적 지식을 겸비한 전문가가 고도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과정에 속한다. 예를 들어, 영화 '나디아 연대기' 에 사용된 '아슬란(Aslan)'이라는 가상의 사자 캐릭터는 해부학 기반의 얼굴 리깅에 5개월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리깅 작업은 많은 스튜디오에서 캐릭터 작업에 중대한 병목 현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리깅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뼈대 생성 - 캐릭터 관절 움직임의 바탕이 되는 뼈대 구조를 디자인한다.
2. 관절 위치 - 뼈대 구조의 각 관절을 캐릭터 내의 적합한 곳에 위치시키고 회전하는 방향을 설정한다.
3. 변형 요소 생성 - 캐릭터의 미세한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한 각종 변형 요소(Deformers) 및 근육 모델(Muscles)을 디자인한다.
4. 스키닝(Skinning) - 앞서 생성한 뼈대와 변형 요소가 실제로 모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모델을 이루는 버텍스의 영향값(Vertex weights)들을 설정한다. 이는 주로 마야(Maya)혹은 3DS맥스(3dsMax)와 같은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서 마우스를 이용한 페인팅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행하여 진다.
5. 컨트롤러(Controllers) 생성 - 위에서 만들어진 뼈대 및 변형 장치들을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핸들(Handles)을 만든다. 이는 여러 종류의 더미 객체(Dummy objects)와 강제 요소들(Constraints), 혹은 역운동학적 요소(Inverse Kinematics)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진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200) 및 메모리(1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원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통상적으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그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거나, 통합된 형태의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200)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메모리(1200)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가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100)는 가이드 정보의 출력 여부 판단을 위한 특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 터치 스크린 모듈, 알림 모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은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프로세서(1100)는, 통상적으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다른 모듈 들의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0)는 데이터 학습부(110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전자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하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데이터 학습부(1101)가 구축한 모델 정보를 데이터 인식부(1102)로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인식부(1102)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데이터 학습부(1101)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 및 다른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방송 수신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기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주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 및 컨텐츠 제공 서버들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보조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상기 주요 컨텐츠 요소를 상기 보조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스토리를 구성하며, 상기 보조 컨텐츠 요소를 상기 주요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 승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복수개의 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기본 스토리로부터 확장가능한 스토리 정보를 도출하고, 확장가능한 스토리 정보 각각으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이고,
    상기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복수개의 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스토리 플롯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리 플롯에 부합하는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이고,
    상기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공유된 스토리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댓글 정보, 조회수 정보, 이탈 정보, 머무름 정보, 재방문 정보 및 스토리 공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된 스토리에 제공할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요소가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사용된 컨텐츠 요소에 대한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공유된 스토리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스토리 공유에 따른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기본 스토리에 포함된 문장을 파싱하여, 소정의 횟수 이상으로 사용된 단어를 식별자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관련된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기본 스토리를 확장하여 스토리 라인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 라인에 기초하여, 단어, 동의어, 유의어, 수식어 및 문장 구성에 대한 스토리 교육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가 스토리 교육 정보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스토리 교육 정보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스토리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토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토리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에 포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에 포함된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추천 정보로 변경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등장 인물의 캐릭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캐릭터에 리깅 요소들을 부여하여 리깅 캐릭터를 생성하고, 상기 리깅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상기 리깅 요소들의 동작경로, 동작범위, 동작시간, 동작각도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3차원 위치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리깅 캐릭터가 시계열적으로 동작하는 동작 컨텐트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 컨텐트를 상기 제 1 스토리에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리에 제 3 스토리를 결합할 것을 요청하는 다른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스토리 결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 결합에 대한 승인을 획득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를 분석하여 결합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합 포인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를 재구성하고, 상기 제 1 스토리에 적용가능한 수정 정보, 추가 정보 및 삭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수정 정보, 추가 정보 및 삭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4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4 스토리에 포함된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의 등장인물의 중요도, 스토리 분량, 주제, 스토리 라인 및 컨텐츠의 양을 고려하여 제 4 스토리에 대한 소유권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유권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 4 스토리로 인하여 발생하는 리워드에 대한 적립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카드 뉴스, 웹툰, 기사, 포스팅, 소설 및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출판 형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토리의 출판 형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출판 형식에 대한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임시적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및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포함된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수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 및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10. 프로세서;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기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고,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고,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KR1020200010178A 2020-01-29 2020-01-29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0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178A KR102304240B1 (ko) 2020-01-29 2020-01-29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178A KR102304240B1 (ko) 2020-01-29 2020-01-29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49A true KR20210096749A (ko) 2021-08-06
KR102304240B1 KR102304240B1 (ko) 2021-09-17

Family

ID=7731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178A KR102304240B1 (ko) 2020-01-29 2020-01-29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833B1 (ko) * 2021-12-17 2022-05-20 주식회사 이크림 인공 신경망 기반의 로그 라인을 이용한 시놉시스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616167B1 (ko) * 2023-06-22 2023-12-20 팜피 주식회사 사용자 문장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509B1 (ko) * 2021-12-14 2022-11-10 주식회사 뤼튼테크놀로지스 작문을 위한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40051604A (ko) 2022-10-13 2024-04-22 김동경 스토리용 신규 캐릭터 창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캐릭터 기반 스토리 창작 플랫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651A (ko)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케이티 스토리텔링 컨텐츠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87222A (ko) * 2015-01-13 2016-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의 시각적 내용 분석을 통해 포토 스토리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13612B1 (ko) 2015-09-22 2017-03-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스토리텔링 지원 시스템
KR20170066002A (ko) * 2015-12-04 2017-06-14 이현진 스토리-리텔링을 활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기
KR20180012166A (ko) * 2016-07-26 2018-02-05 주식회사 엘로이즈 3d 아바타 기반 화자 변경형 스토리텔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651A (ko)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케이티 스토리텔링 컨텐츠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87222A (ko) * 2015-01-13 2016-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의 시각적 내용 분석을 통해 포토 스토리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13612B1 (ko) 2015-09-22 2017-03-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스토리텔링 지원 시스템
KR20170066002A (ko) * 2015-12-04 2017-06-14 이현진 스토리-리텔링을 활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기
KR20180012166A (ko) * 2016-07-26 2018-02-05 주식회사 엘로이즈 3d 아바타 기반 화자 변경형 스토리텔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833B1 (ko) * 2021-12-17 2022-05-20 주식회사 이크림 인공 신경망 기반의 로그 라인을 이용한 시놉시스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616167B1 (ko) * 2023-06-22 2023-12-20 팜피 주식회사 사용자 문장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240B1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240B1 (ko)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9478059B2 (en) Animated audiovisual experiences driven by scripts
US20180260668A1 (en) Harmonizing composite images using deep learning
US2020020995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mpose a story for a user depending on an attribute of the user
JP6147776B2 (ja) 動画生成サーバ、動画生成プログラム、動画生成方法、動画生成システム
CN111596852A (zh) 内容编辑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终端设备
Matahari WebXR asset management in developing virtual reality learning media
US10939186B2 (en) Virtual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Percival HTML5 advertising
Antunes et al. Virtual simulations of ancient sites inhabited by autonomous characters: Lessons from the development of Easy-population
Farrimond et al. Using multimedia to present case studies for systems analysis
KR20180112751A (ko) 유무선 웹을 통한 아바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umanis Evaluating humanoid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s in mobile guide applications
JP2017118559A (ja) 動画生成サーバ、動画生成プログラム、動画生成方法、動画生成システム
DuRocher HTML & CSS QuickStart Guide: The Simplified Beginners Guide to Developing a Strong Coding Foundation, Building Responsive Websites, and Mastering the Fundamentals of Modern Web Design
Gris et al. Animation guidelines for believable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 gestures
Möller et al. Requirements engineering for software-enabled art: challenges and guidelines
Realinho et al. A Language for the End-user Development of Mobile Context-Aware Applications.
Yi et al. A Resume Generator with Augmented Reality Features
KR102333794B1 (ko) 3차원 반응형 웹 컨텐츠 생성 서버
Wells User Experience Design: An Introduction to Creating Interactive Digital Spaces
Perkins Flash Professional CS5 Bible
KR20090126450A (ko) 시나리오 기반 애니메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347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events platform
Chen Assessing the potential of mixed reality for landscape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