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485A -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485A
KR20210096485A KR1020200010012A KR20200010012A KR20210096485A KR 20210096485 A KR20210096485 A KR 20210096485A KR 1020200010012 A KR1020200010012 A KR 1020200010012A KR 20200010012 A KR20200010012 A KR 20200010012A KR 20210096485 A KR20210096485 A KR 20210096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pulse
air conditioner
communication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6485A/ko
Publication of KR2021009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선, 실내기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에 통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실외기와 상기 통신부 간의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실외기에 포함된 압축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율이 변화되면 상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기를 연결하는 통신선이 환경적 영향으로 인하여 통신 불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자가 복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 불능의 원인을 감지하고, 통신 불량 시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 간에 연결된 통신선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실외기 및 실내기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고 있다.
한편, 실외기는 실외에 위치하는 특성에 의하여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게 된다. 또한, 실외기의 통신단자와 그에 연결되는 통신선도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며, 그로 인하여 통신 불능이 흔하게 유발된다.
예컨대, 통신선은 햇빛에 의한 손상, 빗물 등 다습 환경에 노출, 물리적인 꺽임 등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로 인하여 통신 불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신선의 파손 등이 발생하여 통신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의 통신 불능과, 다습 환경에 의한 것으로 통신선 자체의 교체는 필요 없이 환경 정리만으로 복구가 가능한 통신 에러를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불량에 대한 유지보수 처리 시, 대부분의 상황에서 통신선을 교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지보수의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 12348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통신 신호를 조절함으로써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통신선이 환경적 영향으로 인하여 통신 불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자가 복구가 가능한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통신 신호의 조절에 따른 통신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통신선 자체의 교체가 필요한 통신 불능과, 통신선의 교체 없이 통신선 주변 환경의 정비로 원상복구가 가능한 통신 불능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통신선 자체의 교체가 필요한 통신 불능 또는 통신선의 교체 없이 통신선 주변 환경의 정비로 원상복구가 가능한 통신 불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지보수가 필요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시하고 또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선, 실내기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에 통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실외기와 상기 통신부 간의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실외기에 포함된 압축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율이 변화되면 상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통신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통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여부를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율이 정상값 미만인 경우, 통신선 불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나 상기 제2 통신율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통신선의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나 상기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지 않으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반복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을 초과하면,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 및 상기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하는 통신율 측정부 및 상기 제1 통신율을 기초로 상기 통신선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통신율을 기초로 상기 통신선의 통신 에러를 감지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펄스폭 변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나 상기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펄스폭 변조부를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통신율 측정부는,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킨 후 상기 제2 통신율을 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재 측정된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지 않으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재 증가시키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의 범위 내를 만족하며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을 만족하면,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미만이면,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선, 실내기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에 통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실외기와 상기 통신부 간의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실외기에 포함된 압축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통신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통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여부를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나 상기 제2 통신율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통신선의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실내기 및 실외기와 실내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선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간의 통신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율이 변화되면,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간 송수신 되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간의 통신율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율이 정상 범위이고 상기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압축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통신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하는 단계는,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의 범위 내를 만족하며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을 만족하면,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증가시킨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상기 최대값을 초과하면,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통신 신호를 조절함으로써 실외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통신선이 환경적 영향으로 인하여 통신 불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자가 복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 신호의 조절에 따른 통신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통신선 자체의 교체가 필요한 통신 불능과, 통신선의 교체 없이 통신선 주변 환경의 정비로 원상복구가 가능한 통신 불능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선 자체의 교체가 필요한 통신 불능 또는 통신선의 교체 없이 통신선 주변 환경의 정비로 원상복구가 가능한 통신 불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지보수가 필요한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시하고 또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와 실내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노멀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에서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증가시킨 경우에서 도 6과 동일한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노멀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에서 파장이 보다 긴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를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과 동일한 노이즈 환경에서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증가시킨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과 동일한 노이즈 환경에서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2차적으로 증가시킨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계 S113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계 S122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 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는 실내기(10), 실내기(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20), 실내기(10)와 실외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선(30), 그리고 실내기(10) 및 실외기(2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00)는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 조화기, 덕트형 공기 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실외기(20)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10)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0)는 제어부(미도시) 또는 실내기(10)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10)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20)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 된다.
실내기(10)는 실외기(20)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공조 대상으로 냉온 또는 열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10)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기팬,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실내기(10) 및 실외기(2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실내기(10) 또는 실외기(20)에 포함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실내기(10) 또는 실외기(20)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선(30)은 실외기(20)와 실내기(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통신선(30)은 실외기(20)와 실내기(10)의 유선 통신을 위한 물리적인 연결을 제공한다. 통신선(30)의 일단은 실외기(20)의 통신단자와, 타단은 실내기(10)의 통신단자와 접촉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통신선(30)은 설치시 또는 운영시 꺽임이 발생하거나, 또는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의 환경적인 영향, 즉, 태양광 노출에 의한 손상, 습도에 빈번한 노출 등으로 통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는 통신선(30) 자체의 불량에 의해서도 통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선(30)에 의하여 발생하는 통신 불능은, 통신선 자체가 부식 또는 파손되어 통신선의 교체가 필요한 통신 불능과, 통신선 자체는 문제가 없으나 주변 환경 상 영향, 예컨대, 수분 침투 등으로 동작 시 통신선로의 임피던스가 변경되어 통신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통신선(30)에 의하여 유발되는 통신 불능을, 통신선 교체가 필요한 통신불능과, 통신선 주변 환경을 정비하여 복구가 가능한 통신 에러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상태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히 정보를 제공하고, 불필요한 과다 정비를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신선(30)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변경함으로써 통신선 주변 환경을 정비하여 복구가 가능한 통신 에러의 경우, 자가 복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외기와 실내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외기(2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a)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
실내기(10)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방, 난방 또는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a)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등 다양한 압축 방식이 적용 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5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변형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서는 실내기(10)와 실외기(20)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 한 개의 실외기와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공기 조화기(100)의 냉방운전을 기준으로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나, 난방운전, 제습운전 또는 송풍운전의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100)는, 압축기(102), 실외 팬(105a), 실내 팬(109a), 제어부(17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 조화기(100)는, 압축기 구동부(113), 실외 팬 구동부(153), 실내 팬 구동부(133), 절환 밸브(110), 팽창 밸브(106) 및 입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2), 실외 팬(105a), 실내 팬(109a)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한다.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여, 입력되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요구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공기 조화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실내기(21)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운전상태 및 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공기 조화기(100)의 실외기(20)와 실내기(10) 간의 통신불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130)는,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 불능 상태로서, 통신선의 교체가 필요합니다'와 같이, 통신선 교체에 대한 정비가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부(130)는,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 에러가 발생한 상태이나, 통신 제어로 자기 복구한 상태입니다'와 같이, 통신선 주변 환경에 의하여 발생한 통신 에러를 자가 복구한 것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부(130)는, '통신선 주변의 영향으로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 에러가 발생한 상태입니다. 통신선 주변의 환경에 대한 정비가 필요합니다'와 같이, 통신선 주변 환경에 의하여 통신 에러가 발생한 상황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공기 조화기(100)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공기 조화기(100)의 제어에 필요한 메모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메모리(140)는, 전압 갭 차이와 관련된 임계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통신선(30)을 통하여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실내기(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통신선(30)을 통하여 실외기(20)에 통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160)가 실내기가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60)는 실외기에 구비되거나, 또는 실내기 및 실외기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리모컨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사용자의 운전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제어신호를 기초로, 압축기(102), 실내팬(109a), 실외팬(105a) 등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통신부(160)는, 공기 조화기(100)의 상태 정보를 리모컨(미도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미도시)은, 공기 조화기(100)의 상태 정보를 리모컨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공기 조화기(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압축기(102), 실내팬(109a), 실외팬(105a)의 동작 제어를 위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압축기 구동부(113), 실외 팬 구동부(153), 실내 팬 구동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압축기 구동부(113), 실외 팬 구동부(153), 또는 실내 팬 구동부(133)에,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각각 해당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압축기 모터(102b), 실외팬 모터(105b), 실내팬 모터 (109b)는, 각각, 목표 회전 속도로 동작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냉/난방 절환밸브 또는 사방밸브(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팽창기구 또는 팽창 밸브(1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선(30)에 의하여 통신 불능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 불능이 통신선의 불량에 의한 것인지 또는 통신선 주변 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통신 에러인지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선 주변 환경에 의하여 통신 에러가 발생한 경우, 통신 신호를 조절하여 이를 자가 복구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70)는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실외기(20)와 실외기(10) 간의 통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통신부가 실내기에 구비된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통신부(160)와 실외기(20) 간의 통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실외기(20)와 실내기(20) 간에 기 설정된 측정 신호를 반복하여 송수신하여 통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압축기(102)의 동작 여부에 따라 통신율의 변화가 발생하면, 이러한 변화를 이용하여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압축기(102)가 유휴 상태인 경우에도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는, 제어부(170)는 통신선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환경적 영향에 의하여 통신이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수준이 아니고, 통신선의 교체와 같이 근본적으로 정비가 필요한 상황에 해당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압축기(102)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을 측정하고, 제1 통신율을 이용하여 통신선의 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압축기(102)가 유휴 상태에서 제1 통신율이 정상값 미만이면, 제어부(170)는 통신선 불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상값은 사전에 설정된 통신율로서, 95%, 99% 등과 같이, 정상 상태에서의 통신 성공율이다.
제어부(170)는 이와 같이 통신선 불량으로 결정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하거나, 리모컨을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축기(102)가 유휴 상태인 경우에는 통신이 가능하다가, 압축기(102)가 구동 중에는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압축기(102)가 유휴 상태인 경우에는 통신선에 임피던스 변화가 적거나 없으나 압축기(102)가 구동 중에는 통신선에 임피던스 변화가 크게 일어나는 경우에 해당되며, 이는 통신선 주변의 환경적 영향, 예컨대, 높은 습도 환경에서 발생한다. 즉, 통신선의 절연 성능이 취약하여 압축기(102)의 구동시 발생하는 노이즈가 통신선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로 인하여 통신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통신신호에 영향이 미치게 되어 통신율이 낮아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축기(102)가 유휴 상태인 경우에는 통신이 가능하다가, 압축기(102)가 구동 중에는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통신선 자체의 문제는 아니고 통신선 주변 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통신 에러의 문제로 판단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70)는 압축기(102)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을 측정하고, 압축기(102)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나 제2 통신율은 임계값 미만이면, 통신선의 통신 에러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임계값은 제어부(170)에 의하여 통신 신호를 변경하여도 통신이 자가복구 되지 못할 통신율에 해당된다. 즉,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자가 복구가 어려운 상태이므로, 제어부(170)는 자가 복구에 대한 시도를 수행하지 않고 통신 에러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와 같이 통신선 주변 환경에 의하여 발생하는 통신 에러로 결정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하거나, 리모컨을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압축기(102)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고 압축기(102)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은 임계값 이상이면, 통신선의 주변환경에 의한 통신 에러의 상황이지만 통신 신호를 변경하여 자가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압축기(102)의 동작 여부에 따라 통신율이 변화되면,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여 자가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압축기(102)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이 정상값 이상이고, 압축기(102)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2 통신율과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값을 기준으로 통신 신호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지며, 기준값은 임계값보다 큰 값이 된다.
예컨대, 제2 통신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통신 신호에 대하여 변경 없이도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 해당되며, 따라서, 제어부(170)는 통신 신호에 대한 변경 없이 통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제2 통신율이 임계값은 초과하나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70)는 통신 신호에 대한 변경, 즉,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통신 에러에 대한 자가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킨 후에 제2 통신율을 재 산출하고, 재 산출된 제2 통신율이 여전히 기준값 미만인 경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다시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증가된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펄스폭 최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즉, 증가된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을 초과하면, 자가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제어부(170)는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5를 더 참조하여 제어부(1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그림 (a)는 노말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를 예시하는 것이고, 그림 (b) 내지 그림 (d)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는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 즉, 1 또는 0으로 표현되는 펄스의 한 주기를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노멀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로 통신 시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증가시키도록 예컨대, 그림 (b)와 같이 3배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노멀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에서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는 예이고, 도 7은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증가시킨 경우에서 도 6과 동일한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는 예이다.
도 6에서 실선은 노멀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를, 점선은 노이즈를 의미한다. 도 6 그림 (a)와 같이 노멀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 시, 노이즈가 발생하면, 그림 (b)와 같이 통신 신호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식별번호 601과 같은 노이즈 성분에 의하여 0의 값으로 전송되는 통신신호의 일 부분이 1로서 인지되게 됨으로써, 통신율이 낮아지게 된다.
반면, 제어부(170)에 의하여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경우,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 도 7의 예에서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3배 증가시킨 예가 도시되고 있다.
즉,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증가시키면, 도 7의 그림 (a)와 같이, 도 6에서와 동일한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통신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즉, 식별번호 701 및 702와 같이, 노이즈가 통신 신호의 0에 해당하는 부분에 발생하더라도, 1펄스에서의 노이즈의 영향값이 낮으므로 통신 신호에서 0은 0으로서 인식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6과 비교 시, 도 7과 같이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증가시키게 되면 통신율은 향상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의 구동 시 통신율이 낮아지는 경우, 이러한 노이즈는 압축기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이므로, 따라서 노이즈 또한 파장이 다양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노이즈는 압축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에 영향을 받을 것이므로, 대부분의 경우 노이즈는 짧은 파장을 가지나, 압축기 구동부가 저속으로 동작하는 경우 노이즈는 상대적으로 긴 파장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므로, 그와 같은 경우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도 8은 노멀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에서 파장이 보다 긴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하는 예이고, 도 9는 도 8과 동일한 노이즈 환경에서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증가시킨 경우를 도시하는 예이고, 도 10은 도 8과 동일한 노이즈 환경에서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2차적으로 증가시킨 경우를 도시하는 예이다.
도 8에서 실선은 노멀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를, 점선은 노이즈를 의미한다. 도 8 그림 (a)와 같이 노멀 상태에서의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 시, 노이즈가 발생하면, 그림 (b)와 같이 통신 신호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식별번호 801 및 802과 같은 노이즈 성분에 의하여 0의 값으로 전송되는 통신신호의 일 부분이 1로서 인지되게 됨으로써, 통신율이 낮아지게 된다.
도 9는 제어부(170)에 의하여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3배 증가시킨 예가 도시되고 있다.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증가킨 경우에도, 도 9의 그림 (a)와 같이, 통신율에 여전히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즉, 식별번호 901 및 902와 같이, 노이즈가 통신 신호의 0에 해당하는 부분에 발생하면 1로서 오인식 되며 통신율이 낮아진다. 이는, 노이즈의 파장이 1차적으로 증가된 단위 펄스의 1펄스에 대하여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증가시켰음에도 압축기 동작시의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2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8과 동일한 노이즈 환경에서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2차적으로 증가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2차적으로 노멀 상태의 5배로 증가시킨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10의 그림 (a)와 같이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2차적으로 증가시키면, 도 8에서와 동일한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통신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즉, 식별번호 1001 및 1002와 같이, 노이즈가 통신 신호의 0에 해당하는 부분에 발생하더라도, 1펄스에서의 노이즈의 영향값이 낮으므로 통신 신호에서 0은 0으로서 인식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8 및 도 9의 예와 비교 시, 도 10와 같이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증가시킴으로써 통신율이 증가되게 된다.
이상의 예에서, 제어부(170)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1차적으로 3배, 2차적으로 5배 증가시키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증가는, 상술한 배수가 아닌 증가값으로도 설정이 가능하며, 그 외에도 차등적으로 설정 가능한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증가시키게 되면, 데이터를 통신할 때 통신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단위 펄스의 펄스폭 증가에 대하여 최대값을 설정하고, 해당 범위 내에서만 펄스폭을 증가시도록 제어한다. 만약, 단위 펄스의 펄스폭의 최대값으로서 펄스폭을 설정하여도 통신율이 기준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가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에 해당되므로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구동 제어부(171), 통신율 산출부(172), 통신 제어부(173) 및 펄스폭 변조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71)는 압축기 구동부(113)에 대하여 구동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71)는 실외 팬 구동부(153) 또는 실내 팬 구동부(133)에 대해서도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71)는 통신 제어부(173)에 압축기가 유휴 상태인지 또는 구동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압축기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율 산출부(172)는 실외기와 실내기 간,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외기와 통신부 간)의 통신율을 산정할 수 있다.
통신율 산출부(172)는 실외기(20)와 실내기(20) 간에 기 설정된 측정 신호를 반복하여 송수신하여 통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 신호는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송수신되고, 다시 실내기에서 실외기로 송수신된다. 통신율 산출부(172)는 이와 같이 실외기와 실내기 간에 측정 신호를 복수회 송수신하도록 하고, 복수 회 중 정확하게 송수신 된 횟수를 카운트하여 통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 신호를 256회 송수신하였고, 그 중 128회만 정확하게 송수신되었다면, 제어부(170)는 통신율을 50%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율 산출부(172)는 압축기 상태 정보를 제공받고,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검출된 통신율을 제1 통신율로서,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 검출된 통신율을 제2 통신율로서 측정하여 통신 제어부(173)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3)는 제1 통신율 또는 제2 통신율을 기초로 통신선에 대한 통신불능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부(173)는 제1 통신율을 기초로 통신선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고, 제2 통신율을 기초로 통신선의 통신 에러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통신 제어부(173)는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검출된 제1 통신율이 정상값 미만이면, 통신선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3)는 제1 통신율이 정상값 이상이면,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 검출된 제2 통신율을 기초로 통신 에러로 판정하거나 자가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3)는 제1 통신율이 정상값 이상이나, 제2 통신율이 임계값 미만이면, 통신 에러로 판정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3)는 통신선 불량으로 판정되거나, 통신 에러로 판정되면, 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에 에러 표시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3)는 제1 통신율이 정상값 이상이고, 제2 통신율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2 통신율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3)는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이면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하도록 펄스폭 변조부(174)를 제어할 수 있다.
펄스폭 변조부(174)는 통신 제어부(173)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펄스폭 변조부(174)는 통신 제어부(173)로부터 조절할 펄스폭에 대한 정보(예컨대, 도 8 내지 도 10의 예에서는, 3배 또는 5배)를 제공받고, 그에 따라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펄스폭 변조부(174)에 의하여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증가되면, 통신 제어부(173)는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킨 후의 제2 통신율을 재 측정하여 이를 통신 제어부(173)는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3)는 재 측정된 제2 통신율이 여전히 기준값 미만이면,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재 증가시키도록 펄스폭 변조부(174)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3)는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한 결과, 제2 통신율이 기준값 이상을 만족하면,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3)는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 이하의 범위에서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증가된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173)는 더 이상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지 않고,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증가된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의 범위 이하이며, 여전히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이면 통신 제어부(173)는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공기 조화기에서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통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을 측정하고(S1110),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할 수 있다(S1120).
제어부(170)는 압축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통신율이 변화되면,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간 송수신 되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켜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1130).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계 S113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2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즉, 제1 통신율이 정상값 미만이면(S1210, 아니오), 통신선 불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30).
제어부(170)는 제1 통신율이 정상 범위이면(S1210, 예),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 검출된 제2 통신율의 값에 따라, 통신 에러로 판정하거나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를 조절하여 자가 복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20).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계 S122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3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제1 통신율이 정상값 이상이면,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 검출된 제2 통신율을 기초로 통신 에러로 판정하거나 자가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통신율이 정상값 이상이나(S1210, 예), 제2 통신율이 임계값 미만이면(S1310, 예),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S1351).
제어부(170)는 제1 통신율이 정상값 이상이고(S1210, 예), 제2 통신율이 임계값 이상이면(S1310, 아니오), 제2 통신율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즉,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이면(S1320, 예),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S1330).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증가한 후, 제어부(170)는 증가된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펄스폭 최대값과 비교할 수 있다(S1340).
증가된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 이하의 범위를 만족하면(S1340, 아니오), 제어부(170)는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킨 후의 제2 통신율을 재 측정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과정(S1320 내지 S1340)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한 결과, 제2 통신율이 기준값 이상을 만족하면(S1320, 아니오),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S1351).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공기 조화기
10 : 실내기
20 : 실외기
30 : 통신선
105a: 실외 팬 109a : 실내팬
153 : 실외 팬 구동부 133 : 실내 팬 구동부
102 : 압축기 113 : 압축기 구동부
110 : 절환밸브 106 : 팽창 밸브
120 : 입력부 130 : 표시부
140 : 메모리 160 : 통신부
170 : 제어부
171 : 구동 제어부 172 : 통신율 측정부
173 : 통신 제어부 174 : 펄스폭 변조부

Claims (20)

  1. 실외기와 실내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선;
    실내기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에 통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실외기와 상기 통신부 간의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실외기에 포함된 압축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율이 변화되면 상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통신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하는 공기 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통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율이 정상값 미만인 경우, 통신선 불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나 상기 제2 통신율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통신선의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나 상기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지 않으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반복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을 초과하면,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 및 상기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하는 통신율 측정부; 및
    상기 제1 통신율을 기초로 상기 통신선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통신율을 기초로 상기 통신선의 통신 에러를 감지하는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펄스폭 변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나 상기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펄스폭 변조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율 측정부는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킨 후 상기 제2 통신율을 재 측정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재 측정된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재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의 범위 내를 만족하며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을 만족하면,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미만이면,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4. 실외기와 실내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선;
    실내기에 구비되고, 상기 통신선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에 통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실외기와 상기 통신부 간의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실외기에 포함된 압축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통신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통신율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공기 조화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통신율은 정상값 이상이나 상기 제2 통신율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통신선의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7. 압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실내기 및 실외기와 실내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선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간의 통신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상기 통신율이 변화되면,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간 송수신 되는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 간의 통신율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유휴 상태에서의 제1 통신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제2 통신율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신호의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율이 정상 범위이고 상기 제2 통신율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압축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통신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선의 불량 또는 통신 에러를 감지하는 단계는,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펄스폭 최대값의 범위 내를 만족하며 상기 제2 통신율이 상기 기준값 이상을 만족하면, 증가된 상기 단위 펄스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증가시킨 상기 단위 펄스의 펄스폭이 상기 최대값을 초과하면, 통신 에러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200010012A 2020-01-28 2020-01-28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210096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012A KR20210096485A (ko) 2020-01-28 2020-01-28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012A KR20210096485A (ko) 2020-01-28 2020-01-28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85A true KR20210096485A (ko) 2021-08-05

Family

ID=7731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012A KR20210096485A (ko) 2020-01-28 2020-01-28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64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27B1 (ko) 2005-10-31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통신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27B1 (ko) 2005-10-31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통신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1118805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for enabling updated control data
US20190353374A1 (en) Air 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482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thermostat based on building configuration data
CN103631258A (zh) 一种控制器检测系统及方法
KR2013009051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242004A (ja) 空気調和機の運転チェック装置
US11754310B2 (en) Testing operation of an HVAC system
KR20210096485A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JP4300069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67330B1 (ko) 공기조화기
KR2014010509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WO2014188574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80079484A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275561B1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303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A2885449C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hvac system having tandem compressors
KR20090041604A (ko) 공기조화기
KR20210088345A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JP4415801B2 (ja) 空気調和機
KR20040002652A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상 운전 해제 방법
KR20010028950A (ko)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이상상태 판단방법
KR102167887B1 (ko)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리모컨
KR20000055135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