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246A -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246A
KR20210096246A KR1020217020821A KR20217020821A KR20210096246A KR 20210096246 A KR20210096246 A KR 20210096246A KR 1020217020821 A KR1020217020821 A KR 1020217020821A KR 20217020821 A KR20217020821 A KR 20217020821A KR 20210096246 A KR20210096246 A KR 20210096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mode
terminal
switching
paging message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545B1 (ko
Inventor
다제 장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04B7/0877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switching off a diversity branch, e.g. to sav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2월 28일에 중국에서 출원한 특허출원번호가 No. 201811629002.1 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5 세대 이동 통신 기술 (Fifth-generation, 5G) 시스템은 단말이 특정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2.6GHz, 3.5GHz 또는 4.8GHz)에서 작동될 때 반드시 4 개의 수신 안테나를 지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시나리오에서 수신 안테나가 2 개이면 기본적으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향 링크 정보가 작은 데이터 패킷인 경우, 2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하면, 서비스 품질 (Quality of Service, QoS) 요구 등과 같은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단말이 여전히 4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이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게 되어 전력 절약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6G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을 지원하는 단말에는 다수의 안테나 패널 (Panel)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을 선택하여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기지국은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매체 접근 제어 (Media Access Control, MAC)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이 4 개 수신 안테나 (4Rx라 약칭) 또는 2 개 수신 안테나 (2Rx라 약칭)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을 통한 이러한 구성은 기지국 시그널링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기에 불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통해 단말의 수신 안테나를 구성함으써 기지국 시그널링이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은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은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측면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측면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측면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의 수신 모드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됨으로써,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
아래의 선택적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다양한 장점 및 이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도면은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않된다. 모든 첨부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첨부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3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4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5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6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7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8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9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10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11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12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제13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1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2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고 단지 일부분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용어 "~을 포함"은 비 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명시한 단계 또는 유닛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명시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다른 단계 또는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를 사용하여 연결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독으로 B를 포함하거나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하는 세가지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방안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인"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는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술은 5G 시스템 및 후속 진화 통신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LTE 진화(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다른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항상 상호 대체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CDMA2000 및 범용 지상 무선 접속(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에는 광대역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및 기타 CDMA 변형이 포함된다. TDMA 시스템은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ltra Mobile Broadband, UMB), 진화된 UTRA(Evolution-UTRA, E-UTRA),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및 기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의 일부분이다. LTE 및 고급 LTE(예를 들어, LTE-A)는 E-UTRA를 사용하는 새로운 UMTS 버전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라는 조직의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라는 조직의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상기 시스템 및 무선 기술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장치(10) 및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은 사용자 장비 (User Equipment, UE, 11)일 수 있으며, UE(11)는 네트워크 장치(10)와 통신(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장치 간의 연결은 무선 연결일 수 있으며, 다양한 장치 간의 연결 관계를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UE(11)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10)는 다수의 UE(11)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용 디지털 비서(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차량 탑재 장비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장치(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지국일 수 있고, 진화 노드 기지국 (evolved node base station, e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5G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어, 차세대 노드 기지국 (next generation node base station, gNB)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와 같은 장치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201: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201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의 구체적인 내용은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는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거나 또는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관련된 특정 이벤트일 수 있는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거나 또는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현재 수신 모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수신 모드는 단말이 일정한 수량의 수신 구성 요소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모드이며, 상기 수신 구성 요소는 수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포트, 수신 포트, 수신 채널, 수신 무선 주파수 채널 및 수신 안테나 패널 중의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의 수량은 2 개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는 제1 수신 모드 및 제2 수신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는 제1 수신 모드, 제2 수신 모드 및 제3 수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수신 모드 수량이 2 개 이상인 경우의 수신 모드 전환 방식과 단말의 수신 모드 수량이 2 개인 경우의 수신 모드 전환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에 따라 수신 모드의 전환을 자동으로 트리거하기 때문에, 기지국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초래되는 기지국 시그널링 증가 문제를 방지하며,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거나 또는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301: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계 302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303를 수행한다.
단계 302: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단말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에 따라 수신 모드의 전환을 자동으로 트리거하기 때문에, 기지국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초래되는 기지국 시그널링 증가 문제를 방지하며,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거나 또는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302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303: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2 개이고 제2 수량은 4 개 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수량은 4 개이고 제2 수량은 2 개 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수량 및 제2 수량의 구체적인 수량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단말의 수신 모드는 제1 수신 모드 및 제2 수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2 개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제2 수신 모드는 4 개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단말의 현재 수신 모드는 제1 수신 모드이며, 도 3의 흐름에 따라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한다. 또는, 제1 수신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수신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수신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수신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상기 예에서, 제1 수신 모드에서 4 개의 수신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신 모드에서 2 개의 수신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4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401: 단말이 CDRX onduration timer 내에서 물리적 하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하도록 웨이크업 신호(Wake Up Signal, WUS)에 의해 지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WUS에 의해 단말이 onduration timer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단계 402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403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제1 수신 모드를 통해 WUS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WUS는 연결 상태의 불연속 수신(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듀레이션 타이머(onduration timer) 이전 또는 onduration timer 내에 위치하고, WUS는 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PDCCH와 관련되며, 상기 WUS에 의해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할지 여부가 지시된다.
단계 4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404를 수행한다.
단계 4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405를 수행한다.
단계 404: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404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4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단말이 CDRX 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PDCCH를 모니티링하도록 지시하는 WUS가 단말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또는,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CDRX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지시된 경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제1 수량은 제2 수량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2 개 일 수 있고, 제2 수량은 4 개 일 수 있지만,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즉: WUS는 CDRX의 onduration timer 이전 또는 onduration timer 내에 위치하며, 단말은 WUS를 검출하고, WUS는 단말이 CDRX onduration timer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WUS 검출 결과에 따라, 단말은 onduration timer의 PDCCH 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onduration timer의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CDRX에서, 단말은 2Rx(2 개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WUS를 수신하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단말이 CDRX onduration timer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적응형 안테나의 스위칭(예를 들어, 4RX로 스위칭)이 트리거되며; 그렇지 않으면, 스위칭(예를 들어, 4Rx로 스위칭되지 않음)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4Rx (4 개의 수신 안테나)로 전환된 후, 4Rx의 관련 정보를 차세대 노드(next generation Node B, gNB)에 보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5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501: 단말의 연결 상태에서 불연속 수신-비 활성화 타이머 (CDRX-Inactivity timer)의 시작 여부 및 단말이 제1 수신 모드에서 작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CDRX-Inactivity timer가 시작되면, 단계 502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503를 수행한다.
단계 5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504를 수행한다.
단계 5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505를 수행한다.
단계 504: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504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5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단말의 CDRX-Inactivity timer가 시작되지 않으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제1 수량은 제2 수량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2 개 일 수 있고, 제2 수량은 4 개 일 수 있지만,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도 5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CDRX의 onduration timer 동안 PDCCH를 모니터링하며,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면, CDRX-Inactivity timer를 시작하고 PDCCH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은 onduration timer가 만료된 후,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오프 (OFF)로 진입한다.
예시적으로, onduration timer 동안에 있고 CDRX-Inactivity timer가 시작되지 않으면, 단말은 2Rx에서 작동되는데, 예를 들어, 2Rx를 통해 PDCCH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수신하며; CDRX-Inactivity timer가 시작되면,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예를 들어, 4RX로 스위칭)이 트리거되며; 그렇지 않으면, 스위칭(예를 들어, 4Rx로 스위칭되지 않음)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4Rx로 전환된 후, 4Rx의 관련 정보를 gNB에 보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6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601: 단말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대상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및 단말이 제1 수신 모드에서 작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 시간 내에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계 602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603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대상 PDCCH의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또는 구성된 스케줄링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onfigured Scheduling RNTI,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정 시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소정 시간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단계 6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604를 수행한다.
단계 6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605를 수행한다.
단계 604: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604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6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단말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대상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제1 수량이 제2 수량보다 크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4 개이고 제2 수량은 2 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도 6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활성화(active) 된 일부분 대역폭(Bandwidth Part, BWP)에서 단말에 의해 일정한 타이머(timer) 동안에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은 기본(default) 하향 링크 BWP로 전환된다.
예시적으로, RRC가 활성화 상태이고 단말이 4Rx에서 작동되는 경우, active BWP에서 단말에 의해 일정한 timer 동안에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이 default 하향 링크 BWP로 전환되는 동시에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이 트리거되어 단말이 더욱 작은 안테나 수량(예를 들어, 단말은 2Rx로 전환되며, 단말이 active BWP에서 작동되는 경우 4Rx로 작동된다고 가정하면)으로 전환되며; 그렇지 않으면, 4Rx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7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701: 단말이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및 단말이 제1 수신 모드에서 작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과 관련되면, 단계 702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703를 수행한다.
단계 7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704를 수행한다.
단계 7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705를 수행한다.
단계 704: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704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7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단말에 의해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또는, 단말에 의해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었지만,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과 관련이 없으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제1 수량이 제2 수량보다 작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2 개이고 제2 수량은 4 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과 관련이 있음은 다음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페이징 메시지의 PDCCH 또는 물리적 하향 링크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 중에 상기 단말의 식별자(ID) 관련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지진 및 쓰나미 경보 시스템(Earthquake Tsunami Warning System, ETWS)이 지시되며,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상용 모바일 경보 시스템(Commercial Mobile Alert System, CMAS)이 지시되는 등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없음은 다음 사항 중 적어도 하나도 포함하지 않으며, 즉:
페이징 메시지의 PDCCH 또는 PDS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 중에 상기 단말 ID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 정보의 업데이트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ETWS가 지시되며,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CMAS가 지시되는 등 사항 중 적어도 하나도 포함하지 않는다.
도 7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즉: RRC 유휴 모드 또는 활성 모드(RRC idle/active mode)에서, 단말의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 업데이트 또는 하향 링크 데이터를 지시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예시적으로, 단말은 2Rx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시스템이 단말을 페이징하면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예를 들어, 4Rx로 스위칭)이 트리거되고, 후속 정보를 수신하며; 그렇지 않으면, 2Rx가 유지된다.
예시적으로, 단말은 2Rx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며, 시스템이 단말을 페이징하고, 상기 페이징 이유가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아닌 경우,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예를 들어, 4Rx로 스위칭)이 트리거되며; 그렇지 않으면, 2Rx가 유지된다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8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801: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WUS에 의해 지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단계 802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803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1 수신 모드를 통해 WUS를 수신하고, WUS는 페이징 기회 (Paging Occasion, PO) 이전에 위치하며, 상기 WUS는 상기 페이징 기회와 관련되고, 상기 WUS에 의해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할지 여부가 지시된다.
단계 8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804를 수행한다.
단계 8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805를 수행한다.
단계 804: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804 이후에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8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는 WUS가 단말에 의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또는,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지시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제1 수량이 제2 수량보다 작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2 개이고 제2 수량은 4 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도 8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즉: RRC idle/active mode에서, 단말은 페이징 기회(Paging Occasion, PO) 이전에 위치하는 WUS를 정기적(예를 들어, 각 페이징주기(paging cycle))으로 모니터링하며, WUS에 의해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할지 여부가 지시된다.
예시적으로, 단말은 2Rx를 통해 PO 이전의 WUS를 수신하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이 트리거되어 4Rx로 전환되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며; 그렇지 않으면, 4Rx로 전환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9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901: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을 획득하며, WUS이 페이징 기회 이전에 위치하고 단말이 상기 제1 수신 모드로 작동되면, WUS가 페이징 기회와 관련되고, 상기 WUS에 의해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할지 여부가 지시된다.
단계 902: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WUS에 의해 지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WUS에 의해 지시되고, 단말이 제1 수신 모드를 통해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되면, 단계 903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904를 수행한다.
단계 9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905를 수행한다.
단계 904: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906를 수행한다.
단계 9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905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906: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지시되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또는,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지만,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없으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는 WUS가 단말에 의해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제1 수량이 제2 수량보다 작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2 개이고 제2 수량은 4 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과 관련이 있음은 다음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페이징 메시지의 PDCCH 또는 PDS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상기 단말 ID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ETWS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CMAS가 지시되는 등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없음은 다음 사항 중 적어도 하나도 포함하지 않으며, 즉:
페이징 메시지의 PDCCH 또는 PDS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 중에 상기 단말 ID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 정보의 업데이트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ETWS가 지시되며,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CMAS가 지시되는 등 사항 중 적어도 하나도 포함하지 않는다.
도 9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즉: RRC idle/active mode에서, 단말은 페이징 기회(Paging Occasion, PO) 이전에 위치하는 WUS를 정기적(예를 들어, 각 페이징주기(paging cycle))으로 모니터링하며, WUS에 의해 단말이 해당 paging을 모니터링할지 여부가 지시된다.
예시적으로, 단말은 2Rx을 통해 PO 이전의 WUS를 수신하며, WUS에 의해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단말은 2Rx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이 상기 단말을 페이징하도록 지시되면,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이 트리거되어 4Rx로 전환되어 후속 정보를 수신하며; 그렇지 않으면, 2Rx가 유지된다.
예시적으로, 단말은 2Rx를 통해 PO 이전의 WUS를 수신하며, WUS에 의해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단말은 2Rx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이 상기 단말을 페이징하고 페이징 이유가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아닌 경우,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이 트리거되어 4Rx로 전환되어 후속 정보를 수신하며; 그렇지 않으면, 2Rx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0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1001: 단말이 기본 하향 링크 대역폭 (default Downlink BWP)에 대한 타이머의 타임 아웃 여부, 단말이 제1 수신 모드에서 작동되는지 여부 및 단말이 RRC 연결 (RRC connected)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면, 단계 1002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1003를 수행한다.
단계 10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004를 수행한다.
단계 10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005를 수행한다.
단계 1004: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1004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10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default Downlink BWP에 대한 단말의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지 않으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제1 수량이 제2 수량보다 크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4 개이고 제2 수량은 2 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예시적으로, 단말이 RRC 연결(RRC connected) 상태이고 4Rx로 구성된 경우, 타이머 (timer) 동안에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이 트리거되어 2Rx로 전환되며; 그렇지 않으면, 4Rx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을 자동으로 트리거함으로써,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1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1101: 단말이 RRC 연결 상태에서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진입 여부 및 단말이 RRC 연결 상태에서 제1 수신 모드를 구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단말이 RRC 연결 상태에서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면, 단계 1102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1103을 수행한다.
단계 11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104를 수행한다.
단계 11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105를 수행한다.
단계 1104: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1104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11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제1 수량이 제2 수량보다 크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4 개이고 제2 수량은 2 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예시적으로, 단말이 RRC connected 상태이고 4Rx로 구성된 경우, 유휴(idle) 상태 또는 비활성(inactive) 상태로 진입하면,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이 트리거되어 2Rx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2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1201: 단말이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RRC연결 상태로 진입 여부 및 단말이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제1 수신 모드를 구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진입하면, 단계 1202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1203을 수행한다.
단계 12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204를 수행한다.
단계 12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205를 수행한다.
단계 1204: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1204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12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제1 수량이 제2 수량보다 작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2 개이고 제2 수량은 4 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예시적으로, 단말이 idle 상태 또는 inactive 상태이고 2Rx에서 작동되는 경우, RRC connected 상태에 진입하면,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이 트리거되어 4Rx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3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1301: 단말이 대상 신호에 대한 측정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 및 단말이 제1 수신 모드에서 작동되는지 여부 또는 단말이 제1 수신 모드를 구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측정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단계 1302을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1303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상 신호는 동기 신호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또는 CSI 기준 신호(CSI Reference Signal, CSI-RS)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량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 또는 신호 대 간섭·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지정된다.
단계 13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304를 수행하며; 단계 13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305를 수행한다.
단계 1304: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1304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13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이 대상 신호에 대한 측정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제1 수량이 제2 수량보다 작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2 개이고 제2 수량은 4 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예시적으로, 기지국이 2Rx를 구성하거나 또는 단말이 2Rx에서 작동되는 경우, 단말이 대상 신호 (예를 들어, SSB 또는 CSI-RS)에 대한 측정량 (예를 들어, RSRP, RSRQ 또는 SINR)이 예컨대 RSRP, RSRQ 또는 SINR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것과 같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면,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 (예를 들어, 4Rx로 스위칭)이 트리거되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2Rx가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4Rx로 전환된 후, 4Rx의 관련 정보를 gNB에 보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4는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의 전환 방법이며,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1401: 단말에 의해 NR 비면허 (NR unlicensed, NRU) 시스템의 초기 신호 (initial signal)가 검출되는지 여부 및 단말이 제1 수신 모드에서 작동되거나 또는 단말이 제1 수신 모드를 구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초기 신호가 검출되면, 단계 1402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1403를 수행한다.
단계 1402: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404를 수행한다.
단계 1403: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단계 1405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1404 이후에 단말은 네트워크측에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기지국)에 단말이 제2 수신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린다.
단계 1405: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에 의해 NRU시스템의 initial signal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로 유지하며,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제1 수량이 제2 수량보다 작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은 2 개이고 제2 수량은 4 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제1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와 동일하지만, 구체적인 수신 구성 요소가 서로 다른데,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첫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두번째 안테나 패널에 대응된다.
예시적으로, NR 비면허(NR unlicensed, NRU)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2Rx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말이 2Rx에서 작동되며, 단말에 의해 initial signal가 검출되면, 적응형 안테나 스위칭이 트리거되어 4Rx로 전환된다. 단말에 의해 initial signal가 검출되지 않으면, 2Rx가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4Rx로 전환된 후, 4Rx의 관련 정보를 gNB에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여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고,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의 전환이 자동으로 트리거되기 때문에, 기지국 시그널링을 절약하는 동시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단말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을 제공하며, 단말에 의해 기술적 문제가 해결되는 원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과 유사하기 때문에, 상기 단말의 구현 방법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1500)은,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처리 모듈(150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처리 모듈(1501)은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이 수신한 웨이크업 신호(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연결 상태의 불연속 수신(CDRX) 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물리적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CDRX 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CDRX 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는 WUS가 단말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상기 WUS는 상기 제1 수신 모드에 의해 수신되며, 상기 WUS는 상기 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PDCCH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의 연결 상태에서 불연속 수신-비 활성화 타이머(CDRX-Inactivity timer)가 시작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의 CDRX-Inactivity timer가 시작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이 소정 시간 내에 대상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대상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대상 PDCCH의 CRC는 C-RNTI 또는 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었지만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없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는 WUS가 단말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상기 WUS는 페이징 기회 이전에 위치하고, 상기 WUS는 상기 페이징 기회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가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고, 수신된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되는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는 WUS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지만 수신된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없는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상기 WUS는 페이징 기회 이전에 위치하고, 상기 WUS는 상기 페이징 기회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있음은 다음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즉: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PDCCH 또는 PDS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상기 단말 ID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ETWS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CMAS가 지시되는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없음은 다음 사항 중 적어도 하나도 포함하지 않으며, 즉: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PDCCH 또는 PDS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상기 단말 ID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ETWS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CMAS가 지시되는 사항 중 적어도 하나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default Downlink BWP에 대한 단말의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default Downlink BWP에 대한 단말의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이 RRC연결 상태에서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며;
또는,
상기 단말이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RRC연결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이 대상 신호에 대한 측정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이 대상 신호에 대한 측정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으며;
상기 측정량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 (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 (RSRQ) 및 신호 대 간섭·잡음비 (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NR 비면허(NRU) 시스템의 초기 신호(initial signal)가 검출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501)은 또한 상기 단말에 의해 NRU 시스템의 initial signal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단말(1500)은 또한 네트워크측에 상기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상기 수신 구성 요소는 수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포트, 수신 포트, 수신 채널, 수신 무선 주파수 채널 또는 수신 안테나 패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상기 방법 실시예를 수행 가능하며, 그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상기 방법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6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1), 메모리(1602),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603)를 포함한다. 단말(1600)의 각 구성 요소는 버스 시스템(1605)을 통해 연결된다. 버스 시스템(1605)은 이들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및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스 시스템(1605)에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가 포함된다. 다만,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6에서는 각 버스를 버스 시스템(1605)으로 통합하여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603)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키보드 또는 클릭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16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 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에 따르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에스디램(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싱크-링크 디램(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RA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1602)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602)에는 실행 가능한 모듈 또는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서브 세트, 또는 이들의 확장 세트, 운영체제(16021)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022)과 같은 구성 요소가 저장된다.
상기 운영체제(16021)는 다양한 기본 서비스를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 계층, 코어 라이브러리 계층, 드라이버 계층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022)에는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02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16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 특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02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다음 단계가 구현된다. 즉: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메모리(16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 특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602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호출하여 상기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가 유사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에서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자에 의해 숙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를 프로세서에 연결함으로써, 프로세서를 통해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을 수 있고 해당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물론,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 부분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SIC는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개별 구성 요소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예에서, 본 발명에 설명된 기능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때, 이러한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구현 방식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구현 방식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기반으로 실시된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하드웨어 실시예, 단지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며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한 저장 매체(디스크 저장 장치, CD-ROM, 광학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비(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프로세스 및/또는 단계의 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사용자 장비 프로세서에 제공됨으로써 기계가 생성되고, 이러한 명령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될 때,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장치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을 위한 처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또는 그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가 특정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드되어, 컴퓨터,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가 수행되게 함으로써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컴퓨터,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에 명시된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및 동등한 기술 범위에 속할 경우,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 및 변형도 포함한다.

Claims (19)

  1. 수신 모드 전환 방법으로서, 단말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연결 상태의 불연속 수신(CDRX) 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물리적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CDRX 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CDRX 듀레이션 타이머 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는 WUS가 단말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연결 상태에서 불연속 수신-비 활성화 타이머 (CDRX-Inactivity timer)가 시작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CDRX-Inactivity timer가 시작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소정 시간 내에 대상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대상 PDCCH에 의해 전달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PDCCH의 순환 중복 검사(CRC)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 또는 구성된 스케줄링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S-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었지만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없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는 WUS가 단말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고, 수신된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되는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지시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는 WUS가 단말에 의해 수신되지 않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된 WUS에 의해 상기 단말이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지시되지만 수신된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없는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있음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PDCCH 또는 PDS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상기 단말의 식별자 ID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지진 및 쓰나미 경보 시스템(ETWS)이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상용 모바일 경보시스템(CMAS)이 지시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단말과 관련이 없음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PDCCH 또는 PDS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상기 단말 ID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ETWS가 지시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의해 CMAS가 지시되는 것 중 임의의 하나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기본 하향 링크 대역폭 부분 (default Downlink BWP)에 대한 단말의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는,
    default Downlink BWP에 대한 단말의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RRC연결 상태에서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이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RRC연결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대상 신호에 대한 측정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대상 신호에 대한 측정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량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 (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 (RSRQ) 및 신호 대 간섭·잡음비 (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NR 비면허 (NRU) 시스템의 초기 신호 (initial signal)가 검출되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NRU시스템의 initial signal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 모드 전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조정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수신 모드를 제1 수신 모드에서 제2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에 상기 제2 수신 모드의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드는 제1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수신 모드는 제2 수량을 갖는 상기 단말의 수신 구성 요소에 대응되며;
    상기 수신 구성 요소는 수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포트, 수신 포트, 수신 채널, 수신 무선 주파수 채널 또는 수신 안테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단말로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단말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신 모드 전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0821A 2018-12-28 2019-11-28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 KR102488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629002.1A CN111182592B (zh) 2018-12-28 2018-12-28 接收模式切换的方法及终端
CN201811629002.1 2018-12-28
PCT/CN2019/121536 WO2020134832A1 (zh) 2018-12-28 2019-11-28 接收模式切换的方法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246A true KR20210096246A (ko) 2021-08-04
KR102488545B1 KR102488545B1 (ko) 2023-01-12

Family

ID=7062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821A KR102488545B1 (ko) 2018-12-28 2019-11-28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29555A1 (ko)
EP (1) EP3905776A4 (ko)
JP (1) JP2022515245A (ko)
KR (1) KR102488545B1 (ko)
CN (1) CN111182592B (ko)
AU (1) AU2019412231B2 (ko)
CA (1) CA3125219A1 (ko)
SG (1) SG11202107093VA (ko)
WO (1) WO20201348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6557A1 (en) * 2019-07-31 2022-08-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 methods for dci for v2x communication apparatu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77860A1 (en) * 2020-05-26 2021-12-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a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449624A (zh) * 2020-10-31 2022-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模式切换方法及相关装置
CN115209501A (zh) * 2022-05-26 2022-10-18 卡斯柯信号有限公司 一种基于5g和lte-v2x的自动切换方法及装置
CN116782177B (zh) * 2023-08-23 2024-01-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车载天线系统配置调整方法、装置、车辆、介质及芯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4799A1 (en) * 2017-05-04 2018-11-08 Convida Wireless, Llc Wake up signals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9405A (ja) * 2008-10-28 2010-05-13 Kyocera Corp 基地局装置、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535538B2 (ja) * 2009-07-07 2014-07-0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アンテナ制御方法
JP5221617B2 (ja) * 2010-09-24 2013-06-26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11922B2 (en) * 2011-04-18 2014-08-19 Apple Inc. LTE/1X dual-standby with single-chip radio
US8744502B2 (en) * 2011-08-12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to transceiver mapping of a multimode wireless device
US9408052B2 (en) * 2012-12-21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ower conservation in emergency broadcast message reception
US9337982B2 (en) * 2013-04-05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antenna management in LTE
CN107734615A (zh) * 2014-06-30 2018-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天线的控制方法和移动终端
US9521563B2 (en) * 2015-04-22 2016-12-13 Apple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multiple antennas in mobile devices having multiple SIMs
US20180262259A1 (en) * 2015-08-27 2018-09-13 Ntt Docomo, Inc. User apparatus, base station, signal reception method, and indication method
US11540320B2 (en) * 2016-01-15 2022-12-27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2638667B1 (ko) * 2016-06-17 202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904830B2 (en) * 2016-10-07 2021-0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nergy saving mechanisms for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75361B2 (en) * 2017-01-31 2020-02-25 Apple Inc. Fast switching between control channels dur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EP3603223A4 (en) * 2017-03-24 2021-01-13 Apple Inc. WAKE-UP SIGNAL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 AND NARROW-BAND INTERNET OF OBJECTS
US10841876B2 (en) * 2017-05-15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signal (WUS) and wake-up receiver (WUR) in a communication device
US10505803B2 (en) * 2017-06-15 2019-12-10 Mediatek Inc. Power-efficient operation for wider bandwidth
EP3711439B1 (en) * 2017-11-17 2023-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ments related to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4799A1 (en) * 2017-05-04 2018-11-08 Convida Wireless, Llc Wake up signals operatio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5204* *
3GPP R1-1812330* *
3GPP R1-1813183* *
3GPP R1-181362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6557A1 (en) * 2019-07-31 2022-08-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 methods for dci for v2x communication apparat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5245A (ja) 2022-02-17
AU2019412231A1 (en) 2021-07-29
US20210329555A1 (en) 2021-10-21
EP3905776A1 (en) 2021-11-03
SG11202107093VA (en) 2021-07-29
CA3125219A1 (en) 2020-07-02
CN111182592B (zh) 2021-09-14
WO2020134832A1 (zh) 2020-07-02
KR102488545B1 (ko) 2023-01-12
EP3905776A4 (en) 2022-03-02
CN111182592A (zh) 2020-05-19
AU2019412231B2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619B1 (ko) 에너지 절약 모드의 전환 방법, 에너지 절약 모드의 구성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2488545B1 (ko) 수신 모드 전환 방법 및 단말
CA3107510C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2415868B1 (ko)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CA3064965C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210109024A (ko) 파워 절약 신호의 전송 방법, 검측 방법 및 기기
KR20190095357A (ko) 불연속 수신 방법 및 장치
US11602007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20015127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WO2019233188A1 (zh) 节能信号发送的方法、节能信号接收的方法、基站及终端
US1181238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WO2014127545A1 (en) Dormant cell detection and report configuration
JP7280293B2 (ja) エネルギー効率の良いシステム運用を可能にする参照信号構成
RU2789851C2 (ru)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режима приема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2867048B (zh) 测量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20049580A (ko) 처리 방법 및 장비
CN114696983A (zh) 参考信号配置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