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360A -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 Google Patents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360A
KR20210095360A KR1020200009107A KR20200009107A KR20210095360A KR 20210095360 A KR20210095360 A KR 20210095360A KR 1020200009107 A KR1020200009107 A KR 1020200009107A KR 20200009107 A KR20200009107 A KR 20200009107A KR 20210095360 A KR20210095360 A KR 20210095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oating body
life jacket
inflatable life
automatic infl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678B1 (ko
Inventor
정해진
Original Assignee
(주)플러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러크 filed Critical (주)플러크
Priority to KR102020000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6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2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2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상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 가스 공급을 통한 팽창상태의 변화가 일어나 팽창 시 상기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를 착용한 사용자를 수상에 부유시킬 수 있는 부유체;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접힘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전방면이 상호 마주하도록 접힐 시 상기 부유체가 수축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접힘을 통해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축상태로 수납된 상기 부유체가 팽창 시 접힘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부유체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는, 내부에 가스 충진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가스 충진공간에 가스가 공급될 시 팽창하게 되는 팽창 몸체부와, 상기 팽창 몸체부의 외주면상에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날개면의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날개면의 하부 좌우측에 대칭된 한 쌍의 연결구멍이 구비되는 비팽창 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하부 좌우측에 대칭되도록 한 쌍을 이루어 마련되며 상기 비팽창 몸체에 구비된 한 쌍의 연결구멍 각각에 대응 삽입되어 상기 부유체를 상기 커버에 고정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AUTO EXPANSION TYPE LIFE VEST}
본 발명은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구명조끼는 바다, 하천, 호수 등과 같이 수난(水難)의 위험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체적으로 부유체 혹은 부유상태를 갖추고 있는 고정식 구명조끼와 인플레이터(Inflater)와 같은 팽창용 가스 주입 장치를 이용해 수압 혹은 물 유입 등을 감지해 특수한 상황에 한해 자동 팽창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가 있다.
특히,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의 경우, 인플레이터(Inflater)는 카트리지 내에 설치된 보빈(Bobbin)이 수분을 감지하여 물과 접촉하여 녹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수압을 감지할 경우 실린더에 구멍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저장된 이산화탄소 가스가 구명조끼의 내부 공간에 주입되어 팽창을 유발하고 부유성을 부여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의 불량을 줄이고 기능적 측면을 개선시키기 위한 많은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여 단순히 구명조끼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경우 부유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욱 빠르고 정확한 구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명 조끼에 별도의 기능성을 부가하거나, 자체적인 고유 기능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4483호의 "자동 팽창식 구명 조끼"(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의 경우, 많은 기능적 측면의 부가 혹은 개선을 이룬 제품을 생산하더라도 부유체와 해당 부유체를 감싸는 커버가 일측에서 고정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일체형 구조를 갖추고 있음에 따라 부유체한 한번 팽창하여 사용되고 나면 구명조끼 전체를 교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의 경우, 구명조끼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져 부유체가 팽창했을 시 부유체의 팽창과 관련되어 부유체에 연결되어진 각종 구성들의 주요부분이 외부 해양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기능성을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의 경우,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단순히 부유성과 관련된 기능의 개선에만 주목하여, 구명조끼의 착용 및 기능이 발현되는 해양환경을 고려하여 빠르게 안전사고의 위험요인으로부터 사용자를 구해내기 위한 기술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이에 대한 기술이 부가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적용됨에 많은 제약 혹은 맹점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4483호(2007.03.0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를 구성하는 부유체와 해당 부유체를 수용하는 커버가 상호 연결 또는 연결 해제가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부유체의 팽창을 통한 사용이 이루어지더라도 커버는 그대로 두고 부유체만을 교체하여 지속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명조끼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져 부유체가 팽창했을 시 주변 외부 해양환경 상의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부유성 제공과 관련한 주요 구성들을 보호하고, 구명조끼에 부가 설치된 구성들을 통해 물에 빠진 사용자의 구조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 해당 기능이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는, 사용자 상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에 있어서, 가스 공급을 통한 팽창상태의 변화가 일어나 팽창 시 상기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를 착용한 사용자를 수상에 부유시킬 수 있는 부유체;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접힘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전방면이 상호 마주하도록 접힐 시 상기 부유체가 수축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접힘을 통해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축상태로 수납된 상기 부유체가 팽창 시 접힘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부유체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는, 내부에 가스 충진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가스 충진공간에 가스가 공급될 시 팽창하게 되는 팽창 몸체부와, 상기 팽창 몸체부의 외주면상에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날개면의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날개면의 하부 좌우측에 대칭된 한 쌍의 연결구멍이 구비되는 비팽창 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하부 좌우측에 대칭되도록 한 쌍을 이루어 마련되며 상기 비팽창 몸체에 구비된 한 쌍의 연결구멍 각각에 대응 삽입되어 상기 부유체를 상기 커버에 고정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후단이 상기 커버의 하부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대칭되어 고정 결합된 연결선의 선단에 토글(Toogle)형 구조체가 고정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의 토글형 구조체는 상기 비팽창 몸체에 구비된 상기 연결구멍에 삽입된 후 위상 조절을 통해 상기 연결구멍 주변에 영역에 걸림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부유체가 상기 커버에 고정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토글형 구조체는 상기 비팽창 몸체에 구비된 상기 연결구멍에 삽입된 후 위상 조절을 통해 다시 상기 연결구멍으로부터 삽입 해제되어 상기 부유체가 상기 커버로부터 교체를 위해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커버는,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상기 커버의 좌우 측면 중 일측면의 테두리 상에 수 형태의 벨크로 부재가 구비된 제1벨크로부와,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상기 커버의 좌우 측면 중 타측면의 테두리 상에 상기 제1벨크로부에 대응되어 접힘 상태 시 상호 부착 결합 가능한 암 형태의 벨크로 부재가 구비된 제2벨크로부와, 상기 커버의 접힘 상태 기준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호각 부재와, 상기 커버의 접힘 상태 기준 내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테두리 상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띠 형태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 각각과 상기 커버의 접힘 상태 기준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공간에는 상기 부유체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에 고정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부유체는, 상기 팽창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수압 이상의 수압을 감지하거나 물 접촉에 의해 수분을 감지할 시 상기 팽창 몸체부의 가스 충진공간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부와, 관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이 상기 팽창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관 내부로 에어 주입 시 상기 팽창 몸체부의 가스 충진공간에 에에가 공급 가능하며, 타단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가 설치되는 에어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유체는, 상기 인플레이터부가 상기 팽창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된 부위 및 상기 에어 주입부가 상기 팽창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된 부위의 상측을 덮어 각각의 연결 부위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호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호 커버부 각각의 상면 상에는 소정의 영역에 걸쳐 반사판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는, 상기 팽창 몸체부의 가스 충진공간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충진공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모듈, 상기 팽창 몸체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압력감지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압력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기 설정된 주파수대의 전파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신호발신모듈 및 상기 압력감지모듈 및 신호발신모듈의 동작전원을 축전하고 있는 배터리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를 구성하는 부유체와 해당 부유체를 수용하는 커버가 연결구멍과 연결부를 통해 상호 연결 또는 연결 해제가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부유체의 팽창을 통한 사용이 이루어지더라도 커버는 그대로 두고 부유체만을 교체하여 지속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커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통해 해당 고정부와 커버 내측면 사이 공간을 통해 부유체가 삽입되어 고정 연결되어 커버 내 부유체의 수용형태가 연결부와 연결구멍 간 연결에 의한 고정 연결력에 더해져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셋째, 부유체의 내부 가스 충진공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내부가 상호 연통되어 있는 인플레이터부와 에어 주입부의 연결부위를 보호 커버부를 통해 직접적으로 막아 부유체의 팽창으로 인해 부유체가 외부에 해양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외부 요인에 의해 인플레이터부와 에어 주입부의 부유체상 연결부위가 손상되어 부유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넷째, 반사판 및 위치 알림부를 통해 사용자가 물에 빠지더라도 반사판을 통해 빛이 반사되어 비춰지고, 위치 알림부가 지속적으로 특정 주파수를 반복 송출함에 따라 구조를 수행하는 이들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구조를 진행할 수 있다.
다섯째,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시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 알림부의 동작 형태가 단순하고 최소 동작전원을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위치 알림 기능의 지속 제공이 가능한 시간의 수준이 극대화되고, 자체 전원을 이용해 기능해야하는 위치 알림 수단이 구조 전에 동작 전원을 모두 사용해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를 막을 수 있다.
여섯째, 부유조절유닛이 커버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 물에 빠졌을 시 주변 해양환경에 의해 일시적인 잠수가 필요한 경우, 물을 흡입하여 구명조끼 자체의 부유성을 조절함으로써 부유체가 제공하는 부유성이 잠수를 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크게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내 부유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내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는 사용자 상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 구명조끼로서, 커버(110); 부유체(120); 및 밸트 부재(130);를 포함한다.
커버(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접힘선(100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전방면이 상호 마주하도록 접힐 시 부유체(120)가 수축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하나의 외피로서, 접힘 상태의 유지를 위해 테두리 상에는 접힘선(100L)을 기준으로 암, 수 벨크로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져 접힌 상태의 커버(110)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축상태로 수납된 부유체(120)가 팽창할 시, 커버(110)의 접힘 상태는 해제되면서 팽창하는 부유체(12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부유체(120)는 물 접촉에 의한 수분 감지 또는 일정 수준의 이상의 수압 감지가 이루어진 경우 가스 공급을 통한 팽창상태의 변화가 일어나 팽창 시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를 수상에 부유시킬 수 있는 내피 구조체에 해당한다.
벨트 부재(130)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사용자가 착용 시 쉽게 벗겨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하도록 커버(110)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커버(110)에 구비되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의 고정수단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우선,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부유체(12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몸체부(121), 비팽창 몸체부(122), 인플레이터부(123), 수동 에어주입부(124), 보호 커버부(125) 및 반사판(126)을 포함한다.
여기서, 팽창 몸체부(121)는 내부에 가스 충진공간(121T)이 구비되어 해당 가스 충진공간(121T)에 가스가 공급될 시 팽창하게 되는 부유체(120)의 몸체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최초 커버(110) 내 수용될 시에는 가스가 충진되지 않은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비팽창 몸체부(12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몸체부(121)의 외주면상에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날개면의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별도의 개방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비팽창 몸체부(122)에 해당하는 날개면의 하부 좌측과 우측에는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의 연결구멍(122H)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상태 기준 비팽창 몸체부(122)의 좌측 아래 부분과 우측 아래 부분에는 상호 대칭되어 추후 설명될 커버(110)의 연결부(113)가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거나 회수되어 상호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개방된 연결구멍(122H)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인플레이터부(123)는 팽창 몸체부(121)의 일측(사용자가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상태 기준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수압 이상의 수압을 감지하거나 물 접촉에 의해 수분을 감지할 시 팽창 몸체부(121)의 가스 충진공간(121T)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충진장치에 해당한다.
여기서, 인플레이터부(123)는 안전핀과 수동당김장치(123H)가 연결되며 팽창 몸체부(12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진 인플레이터 몸체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내부에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가 저장된 실린더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보빈 혹은 수압감지센서가 내장된 카트리지가 설치되며, 카트리지의 아래에는 자동 팽창 여부를 확인하기 확인핀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부(123)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질 경우 감지되는 물이 카트리지 내 보빈의 충진재를 녹여 발생하는 구조적 변형 또는 수압을 감지하여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구조적 변형을 통해 실린더 내 저장된 가스가 배출되어 팽창 몸체부(121) 내 가스 충진공간(121T)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졌음에도 인플레이터부(123)의 카트리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수동당김장치(123H)를 당겨 수동으로 실린더 내 저장된 가스가 배출되어 팽창 몸체부(121) 내 가스 충진공간(121T)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동 에어주입부(124)는 관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이 팽창 몸체부(121)의 타측(사용자가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상태 기준 우측 또는 좌측)에 연결되어 관 내부로 에어 주입 시 팽창 몸체부(121)의 가스 충진공간(121T)에 에에가 공급 가능하도록 마련된 예비 관부재에 해당한다.
이러한 에어 주입부(124)는 필요시에 한해 개방될 수 있도록 타단에 개폐 가능한 마개가 설치되며, 타단 측 관 내부에는 마개를 개방하여 수동으로 에어를 주입할 시 무분별하게 팽창 몸체부(121)의 가스 충진공간(121T) 내부의 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별도의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부(123)의 작동을 통해 팽창 몸체부(121)의 가스 충진공간(121T)에 가스가 채워져 팽창 몸체부(121)가 팽창하게 되는 경우, 이로 인한 팽창의 수준이 사용자가 부족하다고 느낄 경우 직접 수동 에어주입부(124)의 타단에 설치된 마개를 열고 숨을 불어넣어 팽창 정도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인플레이터부(123)의 작동을 통해 팽창 몸체부(121)의 가스 충진공간(121T)에 가스가 채워져 팽창 몸체부(121)가 팽창하게 되는 경우, 이로 인한 팽창의 수준이 과도하다고 느낄 경우는 직접 수동 에어주입부(124)의 타단에 설치된 마개를 열고 타단측의 체크밸브를 가압하여 가스 충진공간(121T) 내 가스를 조금씩 외부로 배출시켜 줄일 수도 있다.
보호 커버부(125)는 인플레이터부(123)가 팽창 몸체부(121)의 일측에 연결된 부위 및 에어 주입부(124)가 팽창 몸체부(121)의 타측에 연결된 부위의 상측을 덮어 각각의 연결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한 쌍의 보호판 부재이다.
여기서, 보호 커버부(12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부(123)가 팽창 몸체부(121)의 일측에 연결된 부위와 에어 주입부(124)가 팽창 몸체부(121)의 타측에 연결된 부위를 직접적으로 덮어 외부 환경에 의해 해당 부위가 찢어지거나 연결 상태의 분리가 일어나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바다에 빠져 해양에 존재하는 다양한 외부 환경 요인에 노출된 경우, 외부 환경 요인이 사용자가 구출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인플레이터부(123)와 에어 주입부(124)가 설치 연결된 팽창 몸체부(121)에 영향을 끼치는 과정에서 상호 연결된 부위가 훼손되어 가스가 누수되거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부유성을 제공하는 기능 자체가 손실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한 쌍의 보호 커버부(125) 각각의 상면 상에는 소정의 영역에 걸쳐 반사판(126)이 부착되어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진 경우 태양 혹은 구출을 수행하는 자가 비추는 조명장치에서 출력된 빛이 반사판(126)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부유체(120)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위치 알림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알림부(127)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진 경우 즉각적으로 특정 주파수대의 전파신호를 반복 송출하여 구출을 수행하는 자가 해당 신호의 감지 및 발신지 파악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위치 알림부(127)는 팽창 몸체부(121)의 가스 충진공간(121T) 내측에 설치되며, 가스 충진공간(121T)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모듈(미도시), 팽창 몸체부(121)가 팽창함에 따라 압력감지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압력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기 설정된 주파수대의 전파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신호발신모듈(미도시) 및 압력감지모듈과 신호발신모듈의 동작전원을 축전하고 있는 배터리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 알림부(127)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과 이를 기반으로 특정 전파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구성, 그리고 이들 구성의 동작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었으며, 신호발생모듈의 형태가 특정 단말과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신호를 주고받는 형태 혹은 특정 관리서버와 통신하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구조 신호를 주고받는 형태가 아닌 단순히 일정 신호를 반복하여 특정 범위 내에 송출시키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는 위치 알림부(127)의 세부 구성이 복잡해질 경우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 전체의 무게에 영향을 주고, 특히 내측에 설치되는 대상인 부유체(120) 자체가 제공하고자 하는 부유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전파 신호를 이용한 알림 방식은 소형화 되어 팽창 몸체부(121)의 가스 충진공간(121T) 내 설치되는 위치 알림부(127)에 마련되는 배터리모듈이 축전 가능한 동작 전원의 수준을 고려하여 최대한 오랜 시간 알림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진 경우 물 위를 떠다니면 위치 정보는 계속해서 변함에 반해, 알림 신호의 활용 형태가 복잡하거나 고도화될 경우 동작 전원의 소모량을 점차 늘어나게 되고 이는 곧 위치 알림 기능의 지속 시간이 더욱 짧아지게 되어 구출을 수행하는 자가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도 전에 해당 기능의 사용에 필요한 동작 전원이 전부 소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치 알림부(127)는 신호발생모듈을 통해 GPS 통신을 통해 획득한 자신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전파 신호를 계속해서 주변으로 장시간 송출하게 되고, 구출을 수행하는 자는 관리단말을 통해 전파 신호를 감지하고, 해당 신호의 발신지 위치를 지속 파악해가면서 사용자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커버(11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벨크로부(111), 제2벨크로부(112), 연결부(113), 호각부재(114), 고정부(115), 부력 조절부(116) 및 공기압 조절부(1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벨크로부(11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선(100L)을 기준으로 대칭된 커버(110)의 좌우 측면(도3의 화살표 양 측면) 중 일측면의 테두리 상에 수 형태의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제2벨크로부(112)는 접힘선(100L)을 기준으로 대칭된 커버(110)의 좌우 측면(도3의 화살표 양 측면) 중 타측면의 테두리 상에 제1벨크로부(111)에 대응되어 암 형태의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커버(110)가 접힘선(100L)을 기준으로 접힘 상태가 될 시 제1벨크로부(111)와 제2벨크로부(112)는 상호 부착되며 벨크로 결합이 가능해지며, 앞 서 설명한 부유체(120)가 팽창할 시 제1벨크로부(111)와 제2벨크로부(112)가 떨어지며 벨크로 결합이 해제되어 접힘 상태의 커버(1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부유체(120)는 개방된다.
다음으로, 연결부(113)는 하부 좌우측에 대칭되도록 한 쌍을 이루어 마련되며, 비팽창 몸체(122)에 구비된 한 쌍의 연결구멍(122H) 각각에 대응 삽입되어 부유체(120)를 커버(110)에 고정 연결 가능하도록 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1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이 커버(110)의 하부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대칭되어 고정 결합된 연결선의 선단에 토글(Toogle)형 구조체(113a)가 고정 결합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를 통해, 연결부(113)의 토글형 구조체(113a)는 비팽창 몸체(122)에 구비된 연결구멍(122H)에 삽입된 후 위상 조절을 통해 연결구멍(122H) 주변에 영역에 걸림 구조를 형성하여 부유체(120)가 커버(11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113)의 토글형 구조체(113a)는 비팽창 몸체(122)에 구비된 연결구멍(122H)에 삽입된 후 위상 조절을 통해 다시 연결구멍(122H)으로부터 삽입 해제되어 부유체(120)가 커버(110)로부터 교체를 위해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호각부재(114)는 커버(110)의 접힘 상태 기준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부유체(120)가 팽창되어 커버(110)로부터 노출되어 내측면이 개방될 시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호각부재를 사용해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다음으로, 고정부(115)는 커버(110)의 접힘 상태 기준 내측면 상에 형성되며, 접힘선(100L)을 기준으로 대칭된 테두리 상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띠 형태로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115) 각각과 커버(110)의 접힘 상태 기준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공간에는 부유체(120) 자체가 삽입되어 커버(110)에 고정 연결되도록 하여, 커버(110)와 부유체(120)간 고정 연결상태가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마련된다.
실시에 따라, 커버(110)의 일측에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 자체의 무게를 부력 수준의 조절을 통해 제어하여 부유성을 일시적으로 낮추거나 다시 원상 회복시킬 수 있도록 부력 조절부(116) 및 공기압 조절부(117)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진 뒤, 특정 외부 요인에 의해 잠수를 하여 이동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혹은 물에 빠져 특정 공간 내에 갇혀 해당 장소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잠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의 부유체(120)가 물에 빠진 순간 팽창되면서 제공한 부유성의 수준이 잠수를 시도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부유성을 낮출 필요가 있으며, 잠수 후에는 다시 원래의 부유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부력 조절부(116)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물 저장공간이 마련된 부력 조절용 챔버(116C)를 기본으로, 외부와 부력 조절용 챔버(116C)를 연결한 물 이동관과 물 이동관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제1밸브로 구성된다.
또한, 공기압 조절부(117)는 압축 공기가 소정의 양만큼 저장된 공기압 챔버를 기본으로, 공기압 챔버와 부력 조절용 챔버(116C)를 연결하는 공기 이동관과 공기 이동관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제2밸브를 포함한다.
아울러, 공기압 조절부(117)는 공기압 챔버에 저장된 압축 공기가 가압되거나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소형펌프와 앞 서 설명한 밸브와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 그리고 제어모듈에 사용자의 가압 혹은 터치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입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진 뒤 잠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입력모듈에 동작버튼을 눌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모듈은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소형펌프를 흡입 가동시켜 외부의 물이 부력 조절용 챔버(116C)에 채워지면서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의 부유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원래대로 부유성을 회복하고자 하여 입력모듈에 해제버튼을 눌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모듈은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소형펌프를 가압 가동시켜 부력 조절용 챔버(116C)에 채워졌던 물이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전부 배출이 완료되면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닫게 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110 : 커버
111 : 제1벨크로부 112 : 제2벨크로부
113 : 연결부 114 : 호각부재
115 : 고정부 116 : 부력 조절부
117 : 공기압 조절부
120 : 부유체
121 : 팽창 몸체부 122 : 비팽창 몸체부
123 : 인플레이터부 124 : 에어 주입부
125 : 보호 커버부 126 : 반사판
127 : 위치 알림부
130 : 벨트 부재

Claims (7)

  1. 사용자 상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의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에 있어서,
    가스 공급을 통한 팽창상태의 변화가 일어나 팽창 시 상기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를 착용한 사용자를 수상에 부유시킬 수 있는 부유체;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접힘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전방면이 상호 마주하도록 접힐 시 상기 부유체가 수축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접힘을 통해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수축상태로 수납된 상기 부유체가 팽창 시 접힘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부유체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는, 내부에 가스 충진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가스 충진공간에 가스가 공급될 시 팽창하게 되는 팽창 몸체부와, 상기 팽창 몸체부의 외주면상에 방사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날개면의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날개면의 하부 좌우측에 대칭된 한 쌍의 연결구멍이 구비되는 비팽창 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하부 좌우측에 대칭되도록 한 쌍을 이루어 마련되며 상기 비팽창 몸체에 구비된 한 쌍의 연결구멍 각각에 대응 삽입되어 상기 부유체를 상기 커버에 고정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후단이 상기 커버의 하부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대칭되어 고정 결합된 연결선의 선단에 토글(Toogle)형 구조체가 고정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의 토글형 구조체는 상기 비팽창 몸체에 구비된 상기 연결구멍에 삽입된 후 위상 조절을 통해 상기 연결구멍 주변에 영역에 걸림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부유체가 상기 커버에 고정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토글형 구조체는 상기 비팽창 몸체에 구비된 상기 연결구멍에 삽입된 후 위상 조절을 통해 다시 상기 연결구멍으로부터 삽입 해제되어 상기 부유체가 상기 커버로부터 교체를 위해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상기 커버의 좌우 측면 중 일측면의 테두리 상에 수 형태의 벨크로 부재가 구비된 제1벨크로부와,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상기 커버의 좌우 측면 중 타측면의 테두리 상에 상기 제1벨크로부에 대응되어 접힘 상태 시 상호 부착 결합 가능한 암 형태의 벨크로 부재가 구비된 제2벨크로부와,
    상기 커버의 접힘 상태 기준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호각 부재와,
    상기 커버의 접힘 상태 기준 내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테두리 상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띠 형태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 각각과 상기 커버의 접힘 상태 기준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공간에는 상기 부유체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에 고정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팽창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수압 이상의 수압을 감지하거나 물 접촉에 의해 수분을 감지할 시 상기 팽창 몸체부의 가스 충진공간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부와,
    관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이 상기 팽창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관 내부로 에어 주입 시 상기 팽창 몸체부의 가스 충진공간에 에에가 공급 가능하며, 타단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가 설치되는 에어 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인플레이터부가 상기 팽창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된 부위 및 상기 에어 주입부가 상기 팽창 몸체부의 타측에 연결된 부위의 상측을 덮어 각각의 연결 부위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호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호 커버부 각각의 상면 상에는 소정의 영역에 걸쳐 반사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팽창 몸체부의 가스 충진공간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충진공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모듈, 상기 팽창 몸체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압력감지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압력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기 설정된 주파수대의 전파신호를 반복 송출하는 신호발신모듈 및 상기 압력감지모듈 및 신호발신모듈의 동작전원을 축전하고 있는 배터리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KR1020200009107A 2020-01-23 2020-01-23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KR102299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07A KR102299678B1 (ko) 2020-01-23 2020-01-23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07A KR102299678B1 (ko) 2020-01-23 2020-01-23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360A true KR20210095360A (ko) 2021-08-02
KR102299678B1 KR102299678B1 (ko) 2021-09-08

Family

ID=7731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107A KR102299678B1 (ko) 2020-01-23 2020-01-23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42B1 (ko) 2023-02-09 2023-05-04 문혜란 허리벨트형 구명튜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60B1 (ko) * 2002-04-02 2004-05-24 김승일 구명조끼용 부력재
KR100694483B1 (ko) 2005-01-17 2007-03-1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자동 팽창식 구명 조끼
KR101182898B1 (ko) * 2012-04-18 2012-09-13 김재홍 콤팩트한 휴대형 구명조끼
KR101182957B1 (ko) * 2011-03-16 2012-09-13 김재홍 팽창튜브와 부력재를 복합시킨 구명조끼
KR20120107764A (ko) * 2011-03-22 2012-10-04 신관우 구명 조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60B1 (ko) * 2002-04-02 2004-05-24 김승일 구명조끼용 부력재
KR100694483B1 (ko) 2005-01-17 2007-03-1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자동 팽창식 구명 조끼
KR101182957B1 (ko) * 2011-03-16 2012-09-13 김재홍 팽창튜브와 부력재를 복합시킨 구명조끼
KR20120107764A (ko) * 2011-03-22 2012-10-04 신관우 구명 조끼
KR101182898B1 (ko) * 2012-04-18 2012-09-13 김재홍 콤팩트한 휴대형 구명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678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4177A (en) Pocket-sized, emergency flotation device with status indicator
KR100951194B1 (ko) 조난자의 위치 정보 전송 기능을 갖는 구명용 목걸이 장치
US5199374A (en) Aerial location self-actuating emergency sea surface marker for capsized vessels
GB2159104A (en) Life preserver
KR102299678B1 (ko) 자동 팽창식 구명조끼
US7264525B2 (en) Flotation device
CN101607588A (zh) 水中救生衣
JP4292169B2 (ja) 遊泳用胴着膨張式救命胴衣
KR20050072416A (ko) 팽창식 선박부양장치
US6976894B1 (en) Combination wet suit and flotation device
KR101763687B1 (ko) 투척형 지퍼 열림방식의 자동팽창 구명의
US4662850A (en) Life preserving device with pressure responsive switch
JP3210785U (ja) 浮力補助胴衣
US20040033740A1 (en) Flotation device
CN211280935U (zh) 一种破窗自浮救援装置
KR100691313B1 (ko) 수상 구명 장치
KR20190029058A (ko) 휴대용 구명장치
JP4368240B2 (ja) 救命浮き輪
KR101702095B1 (ko) 구명용 에어밴드
WO2009131343A2 (ko) 구명 기능을 갖는 목걸이 장치
KR102640453B1 (ko) 휴대용 구명백
KR20170106707A (ko) 기체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 팽창형 구명 장치
JP2001310795A (ja) 水難救命用ウェストバッグ
KR101930170B1 (ko) 구명 조끼
EP3865391B1 (en) Buoyancy generator for vehicle occup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