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002A - 자동 생먹이 공급기 - Google Patents

자동 생먹이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002A
KR20210095002A KR1020200040248A KR20200040248A KR20210095002A KR 20210095002 A KR20210095002 A KR 20210095002A KR 1020200040248 A KR1020200040248 A KR 1020200040248A KR 20200040248 A KR20200040248 A KR 20200040248A KR 20210095002 A KR20210095002 A KR 20210095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eed
biological
air
biologica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236B1 (ko
Inventor
노섬
신상옥
노경언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Publication of KR20210095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생물 먹이가 수용되도록 하는 몸통부와; 상기 생물 먹이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적정량의 물을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물 주입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냉동 혹은 살아있는 생물 먹이를 균일한 밀도로 용해 혹은 각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공급부와; 용해 또는 각반된 상기 생물 먹이를 사육조로 내보내는 먹이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대규모의 수중동물의 양식 산업시설에서 초기 부화 자어에서 상품이 성어가 되기 전까지의 양식 과정에서 생물 먹이(냉동생물 먹이 포함)를 안전하게 적정량으로 지속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여 먹이의 절감과 노동력이 부족한 양식 현장의 생력화를 기하며 수질환경을 안정시켜 사육어를 건강하게 사육시켜 생존율을 높임으로서 경제적 양식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생먹이 공급기{FISH FOOD AUTO-FEEDING DEVICE}
본 발명은 먹이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장에서 양식되는 어류에게 생물 먹이가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생먹이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배합 사료를 이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영동물의 사육은 배합사료를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자동공급기가 이미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이미 상품화되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어류 중에는 살아있는 생물 먹이나 생 먹이 만을 요구하는 것들이 있고 배합사료를 공급하는 어류라 할지라도 부화 자어의 초기사육의 과정에서는 생물사료에 의존하고 있는 어류의 종류도 많은 실정이다.
현재 대규모양식이 산업화 되어 있는 넙치를 비롯한 대형 해수어류의 경우 대부분이 세절시킨 어육을 모이스트 펠렛이나 알갱이 형태로 사육어의 구경에 맞게 절단시켜 사용하거나 적절한 크기로 성형하여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해수 관상어류나 소형어류의 양식에서는 아직도 직접 손으로 컵이나 기타 용기를 사용하여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정량화가 어렵고 공급하는데 시간과 인력을 많이 소모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어류의 섭식효율을 높이거나 수질유지를 위해서는 불합리한 편으로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모하면서도 수많은 수조에 부정확한 먹이 량을 공급하게 되므로 먹이의 손실은 많은 편이지만 실제 사육대상 어류에게는 제대로 먹이지 못하고 바닥에 침강하여 사료의 유실과 함께 수질악화로 인한 자어의 초기 폐사율을 높이는 원인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비경제적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양식장이나 인력이 모자라는 양식현장에 생력화를 시행하면서 적정량의 먹이를 긴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양식되고 있는 어류의 생존율 향상을 통하여 경제적인 양식을 실현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규모의 수중동물의 양식 산업시설에서 초기 부화 자어에서 상품이 성어가 되기 전까지의 양식 과정에서 생물 먹이(냉동생물 먹이 포함)을 안전하게 적정량으로 지속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여 먹이의 절감과 수질환경을 안정시켜 사육어를 건강하게 사육시켜 생존율을 높임으로서 경제적 양식을 실현할 수 있는 자동 생먹이 공급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 생먹이 공급기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생물 먹이가 수용되도록 하는 몸통부와; 상기 생물 먹이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적정량의 물을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물 주입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냉동 혹은 살아있는 생물 먹이를 균일한 밀도로 용해 혹은 각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공급부와; 용해 또는 각반된 상기 생물 먹이를 사육조로 내보내는 먹이 배출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 주입부는 물이 통과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상기 파이프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연통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조절기와, 일단이 상기 물 조절기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물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몸통부의 일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며 연통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조절기와, 일단이 상기 에어조절기와 연결되며 외부로 연장되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타단이 에어브로우에 연결된 에어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조절기는 상기 몸통부의 최저점의 위치와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먹이 배출구는 상기 몸통부의 판면 일부를 역삼각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물 먹이는 곤쟁이, 요각류(copepod), 알테미아, 물벼룩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일정한 크기의 블럭으로 냉동시킨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는 고정용 줄에 의하여 천장에 설치된 구조물의 일측에 매달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생먹이 공급기는, 대규모의 수중동물의 양식 산업시설에서 초기 부화 자어에서 상품이 성어가 되기 전까지의 양식 과정에서 생물 먹이(냉동생물 먹이 포함)를 안전하게 적정량으로 지속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여 먹이의 절감과 수질환경을 안정시켜 사육어를 건강하게 사육시켜 생존율을 높임으로서 경제적 양식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가 양식장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가 양식장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는,일정한 내부공간(110)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생물 먹이(1)이 수용되도록 하는 몸통부(100)와; 상기 생물 먹이(1)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적정량의 물을 상기 몸통부(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으로 공급하는 물 주입부(200)와; 상기 몸통부(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에 냉동 혹은 살아있는 생물 먹이(1)을 균일한 밀도로 용해 혹은 각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공급부(300)와; 용해 또는 각반된 상기 생물 먹이(1)를 사육조로 내보내는 먹이 배출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는 대규모의 수중 동물의 양식 산업시설에서 초기 부화자어에서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는 크기까지 생육시키는 양식과정에서 살아서 움직이는 먹이를 포식하는 어류 유생의 섭식 특성상 공급한 먹이가 바닥으로 침강하기 전에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냉동된 생물 먹이(1)가 긴 시간 동안 조금씩 지속적으로 적정량 공급되도록 하여 사육어의 생존율을 높임으로써 경제적인 양식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생물 먹이(1)이라 함은 인공적으로 배양 생산한 생물체나 자연에서 채집한 생물체인 곤쟁이, 알테미나, 물벼룩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일정한 크기의 블럭으로 냉동시킨 것을 일컫는다.
몸통부(10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패트병의 하부를 절개하여 거꾸로 뒤집어서 내부공간(110)이 형성되도록 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내부공간(110)에서 생물 먹이(1)이 특정한 위치에 정체되지 않도록 외면에 굴곡이 없이 매끈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공간(110)에 수용된 해수의 대류 현상에 의하여 냉동된 형태로 제공되는 생물 먹이(1)이 신속하게 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생물 먹이(1)이 내부공간(110)에서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러한 몸통부(100)는 고정용 줄(500)에 의하여 천장에 설치된 구조물의 일측에 매달리도록 하여 양식장의 상부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주입부(200)는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으로 물을 주입하여 주입된 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배출구(4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해동된 생물 먹이(1)이 물과 함께 몸통부(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육수조 안으로 생물 먹이(1)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물 주입부(200)는 담수어류의 경우에는 담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해수어류에는 해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 주입부(200)는 물이 통과하는 파이프(210)와, 상기 파이프(210)의 일측에 상기 파이프(210)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연통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조절기(220)와, 일단이 상기 물 조절기(220)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통부(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에 위치하는 물 호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210)는 물이 통과하는 관상의 부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담수어류의 경우에는 담수가 파이프(210)를 통과하여 몸통부(100)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해수어류에는 해수가 파이프(210)를 통과하여 몸통부(100) 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물 조절기(220)는 파이프(210)의 일측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파이프(210)를 통과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물 조절기(220)에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 조절기(220)에 상기 밸브가 설치됨으로써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에 수용된 생물 먹이(1)의 해동되는 정도에 따라 먹이 배출구(400)를 통하여 몸통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급되는 생물 먹이(1)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물 호스(230)는 일단이 물 조절기(220)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에 위치하도록 하여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으로 물이 공급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물 호스(230)의 타단은 공급되는 물의 낙하로 인하여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에 기 수용된 물이 주변으로 튀지 않도록 몸통부(100)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에어공급부(300)는 적정량의 공기를 물이 수용된 몸통부(100)의 내부로 공급하여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에 수용된 물의 대류 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생물 먹이(1)을 해동시키고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어공급부(300)는 몸통부(100)의 일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며 연통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조절기(310)와, 일단이 에어조절기(310)와 연결되며 외부로 연장되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타단이 에어브로우에 연결된 에어호스(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에어조절기(310)는 몸통부(100)의 일측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기가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으로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내부공간(1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조절기(310)에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에어조절기(310)에 상기 밸브가 설치됨으로써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에 수용된 생물 먹이(1)를 해동시킬 수 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에 수용된 물에서 대류가 발생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몸통부(100)의 가장자리나 바닥에 생물 먹이(1)가 적층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에어조절기(310)는 몸통부(100)의 최저점의 위치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는 공기가 물속으로 주입되면 부상하여 외부로 빠져나갈때 공기의 이동 경로를 최대한 길게 확보하여 효과적으로 대류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먹이 배출구(400)는 물 주입부(200)에서 주입되는 물과 함께 생물 먹이(1)가 몸통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영역으로서, 이러한 먹이 배출구(400)는 몸통부(100)의 판면 일부를 역삼각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먹이 배출구(400)는 역삼각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하측의 뾰족한 모서리를 통하여 몸통부(100) 내부의 물이 적정량으로 조금씩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생물 먹이(1)를 적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를 이용하여 양식장으로 생물 먹이를 공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해수나 담수가 수용되어 있는 몸통부(100)의 내부로 블럭 형태로 냉동된 생물 먹이(1)를 일정량 넣은 후에 해동시키기 위하여 에어공급부(300)를 가동시켜 공기가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으로 주입되도록 한다.
공기가 몸통부(100)의 내부공간(110)으로 주입되면 몸통부(100)에 수용된 물속에서 대류현상이 발생되면서 서서히 냉동된 생물 먹이(1)가 해동되면서 생물 먹이가 물속에 균일하게 퍼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 공급부(200)를 작동시키면 해수나 담수가 몸통부(100)에 공급되면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먹이 배출구(400)를 통하여 해수나 담수가 배출되면서 그와 함께 생물 먹이(1)가 몸통부(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양식장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생먹이 공급기는, 대규모의 수중동물의 양식 산업시설에서 초기 부화 자어에서 상품이 성어가 되기 전까지의 양식 과정에서 생물 먹이(냉동생물 먹이 포함)의 공급이 안전하게 적정량으로 지속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여 먹이의 절감과 수질환경을 안정시켜 사육어를 건강하게 사육시켜 생존율을 높임으로서 경제적 양식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생물 먹이 100 : 몸통부
110 : 내부공간 200 : 물주입부
210 : 파이프 220 : 해수조절기
230 : 해수호스 300 : 에어공급부
310 : 에어조절기 320 : 에어호스
400 : 먹이 배출구 500 : 고정용 줄

Claims (7)

  1. 일정한 내부공간(110)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생물 먹이(1)이 수용되도록 하는 몸통부(100)와;
    상기 생물 먹이(1)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적정량의 물을 상기 몸통부(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으로 공급하는 물 주입부(200)와;
    상기 몸통부(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에 냉동 혹은 살아있는 생물 먹이(1)을 균일한 밀도로 용해 혹은 각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공급부(300)와;
    용해 또는 각반된 상기 생물 먹이(1)를 사육조로 내보내는 먹이 배출구(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생먹이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주입부(200)는 물이 통과하는 파이프(210)와, 상기 파이프(210)의 일측에 상기 파이프(210)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연통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조절기(220)와, 일단이 상기 물 조절기(220)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통부(100)의 상기 내부공간(110)에 위치하는 물호스(2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생먹이 공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300)는 상기 몸통부(100)의 일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며 연통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조절기(310)와, 일단이 상기 에어조절기(310)와 연결되며 외부로 연장되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타단이 에어브로우에 연결된 에어호스(3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생먹이 공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조절기(310)는 상기 몸통부(100)의 최저점의 위치와 연통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생먹이 공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배출구(400)는 상기 몸통부(100)의 판면 일부를 역삼각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생먹이 공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먹이(1)은 곤쟁이, 요각류(copepod), 알테미아, 물벼룩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일정한 크기의 블럭으로 냉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생먹이 공급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00)는 고정용 줄(500)에 의하여 천장에 설치된 구조물의 일측에 매달리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생먹이 공급기.
KR1020200040248A 2020-01-22 2020-04-02 자동 생먹이 공급기 KR102470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263 2020-01-22
KR20200008263 2020-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002A true KR20210095002A (ko) 2021-07-30
KR102470236B1 KR102470236B1 (ko) 2022-11-24

Family

ID=7714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48A KR102470236B1 (ko) 2020-01-22 2020-04-02 자동 생먹이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2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3277U (ko) * 1985-04-18 1986-10-28
KR200321149Y1 (ko) * 2003-04-28 2003-07-22 유금범 미끼투입장치
KR20090109978A (ko) * 2008-04-17 2009-10-21 엔엔티시스템즈(주) 해상 가두리용 자동 먹이공급장치
KR101270650B1 (ko) * 2012-10-18 2013-06-03 대한민국 패류 빌딩양식을 위한 먹이생물 공급장치
KR20130066878A (ko) * 2011-12-13 2013-06-21 어업회사법인 (주)한빛수산 쏘가리 부화기술 및 어류 양식방법
KR101785844B1 (ko) * 2016-04-21 2017-10-13 이주원 수족관기능을 갖는 천정설치형 전등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3277U (ko) * 1985-04-18 1986-10-28
KR200321149Y1 (ko) * 2003-04-28 2003-07-22 유금범 미끼투입장치
KR20090109978A (ko) * 2008-04-17 2009-10-21 엔엔티시스템즈(주) 해상 가두리용 자동 먹이공급장치
KR20130066878A (ko) * 2011-12-13 2013-06-21 어업회사법인 (주)한빛수산 쏘가리 부화기술 및 어류 양식방법
KR101270650B1 (ko) * 2012-10-18 2013-06-03 대한민국 패류 빌딩양식을 위한 먹이생물 공급장치
KR101785844B1 (ko) * 2016-04-21 2017-10-13 이주원 수족관기능을 갖는 천정설치형 전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236B1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6996A (ko)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CN103988803A (zh) 一种虹吸式浮游动物饲料孵化和投饵系统及其使用方法
WO2016186518A1 (en) Feed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cleaner fish in an aquaculture farm
KR19990011968A (ko) 미세조류,생사료동물,치어의 연쇄배양장치
GB2518217A (en) Shrimp aquaculture
US11311000B2 (e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feeding response of larval fish
JP6657279B2 (ja) ウナギの仔魚の給餌方法
KR102470236B1 (ko) 자동 생먹이 공급기
US3683853A (en) Fish egg incubator
CN212971261U (zh) 一种浮漂式鲫鱼用水上投饵装置
CN106508752B (zh) 一种养鱼池及养鱼方法
KR20160083260A (ko) 생물 화학적 요인조절을 통한 개선된 양식환경의 수산생물 양식장치
CN114403082A (zh) 一种热电效应实时智能控制的养殖池
CN215302382U (zh) 一种丰年虫自动投喂装置
CN209660180U (zh) 一种简易的粘性鱼卵孵化装置
CN211322589U (zh) 一种自动供水的鸡养殖用饮水装置
CN109964867B (zh) 水产养殖用网箱进食装置
CN211881757U (zh) 一种种养结合用投喂饲料设备
KR101779835B1 (ko) 친환경 순환식 양식 장치
CN217136480U (zh) 一种水产种苗驯料投料桶
CN108432683B (zh) 一种鱼塘简易喂食测量装置
KR20180137061A (ko) 곤충 사료 공급장치
CN218869040U (zh) 一种畜牧喂料机
KR20190012312A (ko) 곤충 수분 공급장치
CN219228720U (zh) 一种智能水产养殖网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