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992A -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992A
KR20210094992A KR1020200008947A KR20200008947A KR20210094992A KR 20210094992 A KR20210094992 A KR 20210094992A KR 1020200008947 A KR1020200008947 A KR 1020200008947A KR 20200008947 A KR20200008947 A KR 20200008947A KR 20210094992 A KR20210094992 A KR 20210094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arriage
folding
reformer exercise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식
Original Assignee
구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식 filed Critical 구경식
Priority to KR102020000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992A/ko
Publication of KR2021009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는, 브라켓을 통해 서로 결합되며, 회전핀을 통해 상호 접을 수 있게 마련되고 펼쳐졌을 때 사각 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 프레임과 제2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하면에 가이드 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을 따라서만 이동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캐리지의 하면에 장착되는 줄 고정부; 및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전단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며 접혔을 때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제2고정핀이 선택적으로 관통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며 상기 줄의 연장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롤러를 포함하는 줄 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이식으로 마련되면서도 캐리지의 이동이 부드러우며, 컴팩트한 구조로 접을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COLLAPSIBLE REFORMER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이식으로 마련되면서도 캐리지의 이동이 부드러우며, 컴팩트한 구조로 접을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각광받는 필라테스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길러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서, 반복된 동작으로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이에 사용되는 운동기구 중 "리포머"는 사각형의 나무재질의 베이스 프레임 상에 올려지는 바퀴 달린 캐리지를 포함한다. 캐리지는 베이스 프레임 위를 주행하며 베이스 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종래의 리포머들은 베이스 프레임 위를 주행하는 캐리지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가 최소한 캐리지의 이동거리만큼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전체적인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이는 운반의 어려움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리포머 중 접이식 리포머가 등록특허 제10-0642899호에서 개시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0642899호는 발 단부 레일 부재가 머리 단부 레일 부재 내부에 신축 가능하게 수납된다. 즉, 발 단부 레일 부재가 머리 단부 레일 부재 내부로부터 인출/삽입 됨으로써 전체적인 길이가 변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수납되는 구조에 의해 단차가 형성될 수 밖에 없고, 캐리지가 이 단차 상면을 지나도록 마련됨으로써 캐리지의 반복적인 이동에 의해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출/삽입 구조이므로 미 사용시 삽입하여 해당 구성들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으나, 그 외의 구성들은 접혀지지 않아 분리하여야 하는 등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키는데 제약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2899호(2006.10.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7358호(2016.05.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4327호(2017.04.03.)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는, 접이식으로 마련되면서도 캐리지의 이동이 부드러운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컴팩트한 구조로 접을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는, 브라켓을 통해 서로 결합되며, 회전핀을 통해 상호 접을 수 있게 마련되고 펼쳐졌을 때 사각 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 프레임과 제2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하면에 가이드 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을 따라서만 이동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캐리지의 하면에 장착되는 줄 고정부; 및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전단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며 접혔을 때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제2고정핀이 선택적으로 관통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며 상기 줄의 연장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롤러를 포함하는 줄 운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리지는 상면에 매트리스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의 상면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접혔을 때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 밀착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일단은 상기 다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면 후단에 장착되며, 제3고정핀을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이 접혔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핀이 관통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과 이격되며 고정핀이 관통하는 제2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 하면에 장착되고,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핀이 관통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이격되며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이 접혀졌을 때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의 두께는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전핀의 중심까지의 거리의 2배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는, 접이식으로 마련되면서도 캐리지의 이동이 부드러우며, 컴팩트한 구조로 접을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가이드 롤러가 제1베이스 프레임을 따라서만 이동하므로 접이식으로 마련됨에도 불구하고 캐리지의 이동이 부드러워 운동에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가 접혔을 때 지지부가 제1베이스 프레임과 제2베이스 프레임 하면에 밀착되고 다리의 두께가 제2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회전핀의 중심까지의 거리 2배 이하로 마련되어, 제1베이스 프레임과 제2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므로 컴팩트한 구조로 접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가 접혔을 때 줄 운동부가 제2베이스 프레임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컴팩트한 구조로 접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가 접혔을 때 제1베이스 프레임의 전단에 장착된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어 운반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베이스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베이스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분해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제1베이스 프레임과 제2베이스 프레임의 결합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베이스 프레임이 접혔을 때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캐리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캐리지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가이드 롤러의 위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탄성부재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줄 운동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는, 접이식으로 마련되면서도 캐리지의 이동이 부드러우며, 컴팩트한 구조로 접을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베이스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베이스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분해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1000)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지지부(200)와, 캐리지(300)와, 탄성부재(400)와, 줄 운동부(500)와, 핸들부(600) 및 손잡이(7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을 포함하며, 캐리지(300)가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 틀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은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이 펼쳐지거나 접히는 구조로 마련되며, 펼쳐졌을 때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은 각각 대략 "ㄷ"형상으로 마련되며, 개방된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상이 된다.
제1베이스 프레임(110)은 제1기준 프레임(111)과, 제1기준 프레임(111)의 양 단부로부터 직각을 형성하며 연장되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1측면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제1기준 프레임(111)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400)의 일단이 연결되는 로드(113)가 고정 장착된다. 로드(113)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제1측면 프레임(112)의 하면 소정 위치에는 지지부(200)가 결합되는 지지부 고정부(130)가 장착된다.
또한 제1측면 프레임(112)의 하면 말단에는 브라켓(140)이 장착된다.
제2베이스 프레임(120)은 제2기준 프레임(121)과, 제2기준 프레임(121)의 양 단부로부터 직각을 형성하며 연장되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제2측면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제2기준 프레임(121)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줄 운동부(500)가 결합되는 줄 운동부 결합부(125)가 장착된다. 줄 운동부 결합부(125)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제2측면 프레임(122)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는 지지부(200)가 결합되는 지지부 고정부(130)가 장착된다. 지지부 고정부(130)는 제1측면 프레임(112)의 경우 하면에 장착되고, 제2측면 프레임(122)의 경우 내측면에 장착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만, 각각 하면과 내측면에 장착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는 바, 제1측면 프레임(112)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제2측면 프레임(122)의 하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측면 프레임(122)의 하면 단부 쪽에는 제1돌기(123)와, 제1돌기(123)와 이격되는 제2돌기(124)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제1베이스 프레임과 제2베이스 프레임의 결합 설명도이다.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은 브라켓(140)을 통해 서로 결합되며, 회전핀(143)을 통해 상호 접거나 펼쳐진다.
브라켓(140)은 회전핀(143)이 관통하는 제1홀(141)과, 제1홀(141)과 이격되며 고정핀이 관통하는 제2홀(142)이 형성된다.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제1돌기(123)가 브라켓(140)에 삽입되어 회전핀(143)이 관통함으로써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핀(143)에 의해 제2베이스 프레임(120)이 회전하여 접혀진 후 고정핀(144)이 제2돌기(124)를 관통함으로써 접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제2베이스 프레임(120)이 회전핀(143)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데, 제1돌기(123)의 관통공의 위치 등에 의해 회전핀(143)은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00)가 접혔을 때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면은 서로 이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2측면 프레임(122)의 내측면에는 캐리지(30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60)이 장착된다. 가이드 레일(16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제2측면 프레임(122)에 장착되며, 상면을 따라 제1가이드 롤러(331)가 이동한다.
또한 제2기준 프레임(121)의 외측면에는 바퀴(150)가 장착되어 운반이 편리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베이스 프레임이 접혔을 때의 설명도이다.
지지부(200)는 베이스 프레임(100)를 지면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부(200)는 다리(210)와 각도 조절부(220)를 포함한다.
다리(21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지지부 고정부(130)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힌지 결합된다는 것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의미한다.
각도 조절부(22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은 각각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에 결합되며 타단은 각각 다리(210)에 결합된다. 다리(210)가 소정각도 회전한 뒤 각도 조절부(22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00)와 지면 상의 거리(즉 베이스 프레임(100)의 높이)가 변경된다.
다리(210)는 접혔을 때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면에 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210)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 고정부(130)는 제1측면 프레임(112)의 경우 하면에 장착되고, 제2측면 프레임(122)의 경우 내측면에 장착되는 바, 베이스 프레임(100)이 접혔을 때 한 쌍의 다리(210)가 서로 부딪히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다리(210)의 두께는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면으로부터 회전핀(143)의 중심까지의 거리의 2배 이하로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베이스 프레임(120)은 회전핀(143)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데, 제1돌기(123)의 관통공의 위치 등에 의해 회전핀(143)은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00)이 접혔을 때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면은 서로 이격되는데, 이 간격은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면으로부터 회전핀(143)의 중심까지의 거리의 2배가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다리(210)의 두께는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하면으로부터 회전핀(143)의 중심까지의 거리의 2배 이하로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이 접혔을 때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 사이에 한 쌍의 다리(210)가 서로 겹쳐지지 않고 배치되어 보다 컴팩트하게 접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캐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캐리지의 저면사시도이다.
캐리지(300)는 사용자가 눕거나 무릎 등을 대며 베이스 프레임(100)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이다.
캐리지(300)는 프레임(310)과, 매트리스(320)와 가이드 롤러(330)를 포함한다.
프레임(310)은 가이드 레일(160)에 안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311)과, 한 쌍의 지지 프레임(31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3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프레임(312)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된다.
프레임(310)의 상면에는 쿠션력을 갖는 매트리스(320)가 장착된다. 또한, 매트리스(32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어깨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패드(321)가 결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가이드 롤러의 위치 설명도이다.
가이드 롤러(330)는 프레임(310)을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제1가이드 롤러(331)와 제2가이드 롤러(332)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 롤러(331)는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160)의 상면 따라 이동하며, 제2가이드 롤러(332)는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제1가이드 롤러(331)와 제2가이드 롤러(332)는 제2베이스 프레임(120)을 따라서만 이동한다. 즉, 제1가이드 롤러(331)는 제2베이스 프레임(120)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160)의 상면을 따라서만 이동하며, 제2가이드 롤러(332)는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내측면을 따라서만 이동한다. 다시 말해, 제1가이드 롤러(331)와 제2가이드 롤러(332)의 초기위치(즉, 탄성부재(400)가 복원된 상태)는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말단부이며, 프레임(310)이 이동할 때 가이드 롤러(330)는 제2프레임(310)을 따라서만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은 서로 접혀지는 구조로 마련되는데, 접혀지는 구조의 경우 미세하게나마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가 형성된 경우 가이드 롤러(330)가 단차를 통과할 때 이동이 부드럽지 않으며 그 때의 충격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운동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310)과 매트리스(320)는 제1베이스 프레임(110)과 제2베이스 프레임(120)에 걸쳐 이동을 하되, 가이드 롤러(330)는 제2베이스 프레임(120)을 따라서만 이동을 함으로써 단차의 영향을 받지 않아 캐리지(300)의 이동이 부드러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탄성부재 설명도이다.
탄성부재(400)는 캐리지(300)가 슬라이딩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일단은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로드(113)에 연결되며 타단은 연결 프레임(31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400)는 인장력이 갖도록 코일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마련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줄 운동부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의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줄 운동부(500)는 사용자가 줄을 당겼을 때 캐리지(30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줄 운동부(500)는 제2기준 프레임(121)의 내측면에 장착된 줄 운동부 결합부(125)에 결합된다. 줄 운동부(500)는 지지봉(510)과 전환 롤러(520)를 포함한다. 전환 롤러(520)는 지지봉(510)의 상단에 장착된다.
줄은 베이스 프레임(100) 하면의 줄 고정부(126)에 일단이 결합되어 지지봉(510) 쪽으로 연장되며 전환 롤러(520)에 의해 연장 방향이 전환된다.
지지봉(510)은 줄 운동부 결합부(125)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며, 제2고정핀(530)이 선택적으로 관통되어 회전이 제한된다. 즉, 사용 시에는 제2고정핀(530)을 관통시켜 고정하되, 베이스 프레임(100)를 접을 때에는 제2고정핀(530)을 관통 해제하고, 지지봉(510)을 회전시킨다. 지지봉(510)은 베이스 프레임(100)이 접혔을 때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개구부에 배치된다. 제2베이스 프레임(120)의 개구부는 제2측면 프레임(122)들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보다 컴팩트하게 접혀진다.
핸들부(600)는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사용자의 발을 지탱하는 구성이다. 핸들부(600)는 제1베이스 프레임(110)의 양측면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3고정핀(610)을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베이스 프레임(100)를 접을 때 핸들부(600)를 회전시켜 매트리스(320) 상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컴팩트하게 접혀진다.
손잡이(700)는 베이스 프레임(100)를 접은 뒤 사용자의 운반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구성이다. 손잡이(700)는 제1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단에 결합되어, 제2베이스 프레임(120)이 접혔을 때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게 마련된다.
사용자는 손잡이(7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베이스 프레임(110)의 외측면에 장착된 바퀴(150)를 통해 쉽게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이식으로 마련되면서도 캐리지의 이동이 부드러우며, 컴팩트한 구조로 접을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제1베이스 프레임
111 : 제1기준 프레임 112 : 제1측면 프레임
113 : 로드 120 : 제2베이스 프레임
121: 제2기준 프레임 122 : 제2측면 프레임
123 : 제1돌기 124 : 제2돌기
125 : 줄 운동부 결합부 130 : 지지부 고정부
140 : 브라켓 141 : 제1홀
142 : 제2홀 143 : 회전핀
144 : 고정핀 150 : 바퀴
160 : 가이드 레일 200 : 지지부
210 : 다리 220 : 각도 조절부
300 : 캐리지 310 : 프레임
320 : 매트리스 321 : 패드
330 : 가이드 롤러 331 : 제1가이드 롤러
332 : 제2가이드 롤러 400 : 탄성부재
500 : 줄 운동부 510 : 지지봉
520 : 전환 롤러 530 : 제2고정핀
600 : 핸들부 700 : 손잡이

Claims (7)

  1. 브라켓을 통해 서로 결합되며, 회전핀을 통해 상호 접을 수 있게 마련되고 펼쳐졌을 때 사각 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 프레임과 제2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하면에 가이드 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을 따라서만 이동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때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캐리지의 하면에 장착되는 줄 고정부; 및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전단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며 접혔을 때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제2고정핀이 선택적으로 관통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며 상기 줄의 연장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롤러를 포함하는 줄 운동부;
    를 포함하는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2. 제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면에 매트리스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의 상면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접혔을 때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 밀착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일단은 상기 다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면 후단에 장착되며, 제3고정핀을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이 접혔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핀이 관통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과 이격되며 고정핀이 관통하는 제2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 프레임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는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핀이 관통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이격되며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이 접혀졌을 때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의 두께는 상기 제2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전핀의 중심까지의 거리의 2배 이하로 마련되는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KR1020200008947A 2020-01-22 2020-01-22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KR20210094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947A KR20210094992A (ko) 2020-01-22 2020-01-22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947A KR20210094992A (ko) 2020-01-22 2020-01-22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92A true KR20210094992A (ko) 2021-07-30

Family

ID=7714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947A KR20210094992A (ko) 2020-01-22 2020-01-22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499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899B1 (ko) 2001-04-12 2006-11-03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KR101627358B1 (ko) 2014-03-04 2016-06-07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101724327B1 (ko) 2017-01-05 2017-04-07 이상곤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리포머 포스쳐용 kem 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899B1 (ko) 2001-04-12 2006-11-03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KR101627358B1 (ko) 2014-03-04 2016-06-07 장경원 리포머 운동기구
KR101724327B1 (ko) 2017-01-05 2017-04-07 이상곤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리포머 포스쳐용 kem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866A (en) Folding collapsible exercising apparatus
US8992392B2 (en) Exercise apparatus
JP4047726B2 (ja) エクササイズ装置
US6340342B1 (en) Multipurpose exercising apparatus
US8007423B2 (en) Collapsible exercise chair
US7465261B2 (en) Carriage for a collapsible reformer exercise apparatus
US20070037674A1 (en) Multi-exercise apparatus
JPH0150424B2 (ko)
KR102092669B1 (ko)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KR10102878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US20050197238A1 (en) Articulated bench
US20020013199A1 (en) Leg press
US20060189462A1 (en) Exercise device
US912607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9358423B2 (en) Abdomen exercise bench
KR200487600Y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20150002915U (ko)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 기구
US20180304116A1 (en) Foldable climbing exercise device
CN114367085A (zh) 提臀锻炼装置
KR101390876B1 (ko) 운동 장치
KR20210094992A (ko) 접이식 리포머 운동기구
US7179213B1 (en) Folding collapsible exercising machine
WO2016084785A1 (ja) 運動器具
KR101745909B1 (ko) 회전의자용 하체운동장치
KR20190013055A (ko) 바벨운동 보조장치가 구비된 복합 헬스 기구